KR20230173936A -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전동 치료용 침대 매트리스 구조 - Google Patents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전동 치료용 침대 매트리스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3936A
KR20230173936A KR1020220074775A KR20220074775A KR20230173936A KR 20230173936 A KR20230173936 A KR 20230173936A KR 1020220074775 A KR1020220074775 A KR 1020220074775A KR 20220074775 A KR20220074775 A KR 20220074775A KR 20230173936 A KR20230173936 A KR 20230173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ayer
support
bed mattress
piezoelectric
paragrap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4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승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승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승산업
Priority to KR1020220074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3936A/ko
Publication of KR20230173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393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4Seating furniture, e.g. 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 movable parts changeable to beds; Chair beds
    • A47C17/045Seating furniture having loose or by fabric hinge connected cushions changeable to be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005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non-specific motion; Details common to machines covered by H02N2/02 - H02N2/16
    • H02N2/001Driving devices, e.g. vib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18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electrical output from mechanical input, e.g. gene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2Beds
    • A61H2201/0146Mattres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 치료용 침대 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
간을 절약할 수 있는 전동 치료용 침대 매트리스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전동 치료용 침대 매트리스 구조 {SPACE-SAVING ELECTRIC THERAPY BED MATRIX CONSTRUCTION}
본 발명은 전동 치료용 침대 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전동 치료용 침대 매트리스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매트리스는 온돌방이나 마루 위에서 잘 때 담요, 이불 또는 침대에 사용하는 침구류이며, 딱딱한 바닥에 대한 쿠션재 역할을 함과 동시에 바닥면의 온도에 영향이 없도록 하는 단열재의 역할도 한다.
현재에는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단순한 편안함과 쿠션역할에서 벗어나 건강에 도움이 되는 기능이 부가된 매트리스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진동모터를 포함하여 신체부위를 진동으로 마사지하는 매트리스도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마시지하는 매트리스는 소음이 크고 진동의 세기가 강해서 취짐중에는 사용하기가 어려우며, 사용자의 신체 면적보다는 넓은 면적을 가지기 때문에, 공간이 심하게 낭비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1 기술적 과제는 사용 소음이 작도록 하기 위하여, 압전소자를 사용하여 진동하는 방식의 진동수단이 구비된 매트리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2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에게 진동을 고루 분산시키고 신체 각 부위들에 의한 하중을 분산시켜 매트리스가 하중에 대한 균일한 압축 정도를 갖는 매트리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3 기술적 과제는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접이식 매트리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전동 치료용 침대 매트리스 구조는
다층 구조를 갖는 전동 치료용 매트리스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견고한 지지력을 제공하는 폴리우레탄폼의 제1 지지층;
상기 제1 지지층 상측에 수면시 뒤척임으로 인한 전체적인 흔들림을 고르게 분산하는 폴리우레탄폼의 제2 지지층;
상기 제2 지지층 상측에 제공되는 메모리폼의 제3 지지층;
상기 제3 지지층 위에 제공되는 메모리폼의 제4 지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층에 전기를 통하여 진동하는 압전진동소자가 다수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층에서 제2, 3 지지층 및 제4 지지층들로 갈수록 밀도가 더 증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전진동소자와 연결되고, 사용자의 체중에 의하여 전기를 발생시켜 상기 압전진동소자에 공급하는 압전발전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전진동소자의 진동세기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동 치료용 매트리스는 접거나 펼쳐 소파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전동 치료용 침대 매트리스 구조는 압전진동소자를 구비함으로써 적은 소음과 전력으로도 매트리스가 진동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압전발전소자를 구비함으로써 외부의 전원 공급 없이 진동을 얻을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따른 전동 치료용 침대 매트리스 구조는 제1 지지층에서 제2, 3 지지층들 및 제4 지지층으로 갈수록 밀도가 더 증가되게 형성한 다층구조로 되어서 이용자의 체중을 효과적으로 분산 및 지지함으로써 허리 통증이 유발되지 않아 편안하고 쾌적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고, 진동이 몸 전체에 고루 분산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치료용 침대 매트리스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치료용 침대 매트리스의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내지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의료용 전동 침대의 구성 및 작동 관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치료용 침대 매트리스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전동 치료용 침대 매트리스 구조는
다층 구조를 갖는 전동 치료용 매트리스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견고한 지지력을 제공하는 폴리우레탄폼의 제1 지지층;
상기 제1 지지층 상측에 수면시 뒤척임으로 인한 전체적인 흔들림을 고르게 분산하는 폴리우레탄폼의 제2 지지층;
상기 제2 지지층 상측에 제공되는 메모리폼의 제3 지지층;
상기 제3 지지층 위에 제공되는 메모리폼의 제4 지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층에 전기를 통하여 진동하는 압전진동소자가 다수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구조의 침대 매트리스는, 제1 지지층과, 제2 지지층, 제3 지지층, 제4 지지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지지층과 제 2 지지층은 폴리우레탄폼으로 형성되고, 제3 지지층과 제4 지지층은 메모리폼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내지 제4 지지층들은 접착제로 접착되어 일체화된다.
상기 제1 지지층은 밀도가 25~34kg/m3으로, 두께 8~10cm로 형성되는 한편, 제2 지지층은 밀도가 35~44kg/m3로 두께가 6~8cm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지지층은 증가된 두께로 전체적으로 견고한 지지력을 제공하며, 제2 지지층은 적절한 경도로 수면시 뒤척임으로 인한 전체적인 흔들림을 고르게 분산하게 한다. 또한, 제2 지지층은 밀도가 제1 지지층에서 보다 더 크게 되어 체중으로 인한 지지층의 탄성변형에 의한 압축 깊이가 더 작게 된다. 상기 제1 지지층과 제2 지지층을 각각 8cm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지지층은 밀도가 45~54kg/m3로 두께가 4~5cm으로 형성되는 한편, 제4 지지층은 밀도가 55~70kg/m3으로 두께가 3~4cm으로 형성된다. 이로써, 매트리스의 최상층인 제4 지지층에서 체중에 의한 압력을 분산하고, 그 하측의 제3 지지층에서는 제4 지지층에서의 분산된 체중의 압력을 흡수하고, 제4 지지층의 밀도가 제3 지지층 보다 더 커서 체압으로 인한 지지층의 탄성변형에 의한 압축깊이가 상대적으로 더 작게 된다. 제3 지지층은 4cm, 제4 지지층은 5cm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 지지층에서 제2, 3 지지층 및 제4 지지층들로 갈수록 밀도가 더 증가되는 다층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 신체 각 부위들에서의 하중들의 차이가 고르게 분산되어 체중에 의한 압력으로 인한 매트리스의 탄성변형에 의한 압축깊이도 고르게 된다. 이로써, 이용자는 전체적으로 균일한 탄성 지지력으로 신체가 국부적으로 더 굽어지는 문제없이 쾌적하고 편안하게 숙면을 취할 수 있으며, 허리 통증도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에 더해, 압전진동소자에서 발생된 진동이 신체의 고루 전달되는 효능이 있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동 치료용 매트리스는 하중을 분산지지하는 탄성보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보강부재는 천연고무, 합성고무, 탄성플라스틱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중합체의 시트, 탄성 스트랜드 또는 금속판넬을 파형으로 형성하되, 하중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파형 곡면판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3 지지층과 제4 지지층 사이에서 접착제로 서로 일체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트들이나 파형 곡면판들에는 다수의 구멍들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동 치료용 매트리스는 제2 지지층에 전기를 통하여 진동하는 압전진동소자 및 압전발전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전진동소자는 전원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상기 전원부는 외부전원 및 압전진동소자와 전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전원스위치와 세기 조절 등이 가능한 조절부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세기를 조절하고 전원스위치를 넣으면 압전진동소자에 전원이 공급되어 압전진동소자가 진동을 한다.
또한, 상기 답전발전소자는 압력에 의하여 전기를 발생하는 것으로서, 기계적 변형으로부터 전기를 발생시키는 압전파이버 매트릭스(piezoelectric fiber matrix) 등을 이용한다. 이러한 압전발전소자는 압전진동소자와 전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사용자가 매트리스에 누웠을 때 형태의 변화가 있는 쿠션부의 소정위치에 복수 개 설치된다.
또한, 압전진동소자의 진동세기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별도로 구비하여 진동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동 치료용 매트릭스는 접거나 펼쳐 소파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동 치료용 매트릭스는 두께와 폭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육면체'로 이루어지되 길이가 동일하게 이루어져 동일한 면적을 가지며 서로 절첩되게 연결되어 포개지거나 펄쳐지도록 된 한 쌍의 지지조립체들과, 상기 지지조립체들 중 하나의 지지조립체와 서로 절첩되게 연결되며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지지조립체와 접촉하는 제1 장면의 길이가 상기 지지조립체보다 작은 길이를 가지고 상기 제1 장면과 대칭되는 위치의 제1 단면의 길이는 상기 제1 장면의 길이보다 작게 이루어져 상기 지지조립체에 대하여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제1 장면과 상기 제1 단면의 사이를 연결하는 제1 경사면이 상기 지지조립체의 상면에 대하여 경사각도를 가지면서 적층되도록 되는 제1 경사조립체와, 상기 제1 경사조립체와 서로 절첩되게 연결되며,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제1 경사조립체의 제1 단면과 접촉하는 제2 장면의 길이가 상기 제1 단면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상기 제2 장면과 대칭되는 위치의 제2 단면의 길이는 상기 제2 장면의 길이보다 작게 이루어져 상기 제1 경사조립체에 대하여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제2 장면과 상기 제2 단면의 사이를 연결하는 제2 경사면이 상기 제1 단면에 대하여 경사각도를 가지면서 적층되도록 되는 제2 경사조립체를 가지는 다수의 조립체들이 지그재그방향으로 절첩가능하게 연결되어 펼쳐지거나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본 발명의 내용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제1 지지층
20: 제2 지지층
30: 제3 지지층
40: 제4 지지층

Claims (5)

  1. 다층 구조를 갖는 전동 치료용 매트리스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견고한 지지력을 제공하는 폴리우레탄폼의 제1 지지층;
    상기 제1 지지층 상측에 수면시 뒤척임으로 인한 전체적인 흔들림을 고르게 분산하는 폴리우레탄폼의 제2 지지층;
    상기 제2 지지층 상측에 제공되는 메모리폼의 제3 지지층;
    상기 제3 지지층 위에 제공되는 메모리폼의 제4 지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층에 전기를 통하여 진동하는 압전진동소자가 다수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전동 치료용 침대 매트리스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층에서 제2, 3 지지층 및 제4 지지층들로 갈수록 밀도가 더 증가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매트리스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진동소자와 연결되고, 사용자의 체중에 의하여 전기를 발생시켜 상기 압전진동소자에 공급하는 압전발전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매트리스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진동소자의 진동세기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매트리스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치료용 매트리스는 접거나 펼쳐 소파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매트리스 구조.
KR1020220074775A 2022-06-20 2022-06-20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전동 치료용 침대 매트리스 구조 KR202301739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4775A KR20230173936A (ko) 2022-06-20 2022-06-20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전동 치료용 침대 매트리스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4775A KR20230173936A (ko) 2022-06-20 2022-06-20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전동 치료용 침대 매트리스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3936A true KR20230173936A (ko) 2023-12-27

Family

ID=89377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4775A KR20230173936A (ko) 2022-06-20 2022-06-20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전동 치료용 침대 매트리스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393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36022B1 (en) Bed mat
US8077884B2 (en) Actuation of floor systems using mechanical and electro-active polymer transducers
JP2005143552A (ja) ジェル状クッション
KR20230173936A (ko)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전동 치료용 침대 매트리스 구조
TW200410668A (en) Massage machine
JP2004154423A (ja) マット式マッサージ機及びベッド
KR102378668B1 (ko) 다층구조의 침대 매트리스
KR102052267B1 (ko) 매트리스
JP4666201B2 (ja) ベッド
JP4710257B2 (ja) ベッド
JP3903164B2 (ja) 体圧分散マット
JPH10146247A (ja) クッション材
JPH0340195Y2 (ko)
JP2006255403A (ja) マットレス及びベッド
JP2006061641A (ja) 人体の姿勢保持装置とその製造方法
KR102285166B1 (ko) 매트리스
JP2003159307A (ja) 指圧効果用用具
JP2006043361A (ja) 体感音響ベッドパッド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100474368B1 (ko) 트윈스프링 메트리스
KR200249404Y1 (ko) 우레탄 발포층이 구비된 형상기억 메트리스
JPH11299583A (ja) マットレス装置
JP2000083766A (ja) 音響機構を付与した寝具構造
JP2007301393A (ja) 指圧効果用用具
JP2007307401A (ja) 指圧効果用用具
JP2008029633A (ja) マッサージベ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