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2571A - 팬 어셈블리 및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팬 어셈블리 및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2571A
KR20230172571A KR1020237039784A KR20237039784A KR20230172571A KR 20230172571 A KR20230172571 A KR 20230172571A KR 1020237039784 A KR1020237039784 A KR 1020237039784A KR 20237039784 A KR20237039784 A KR 20237039784A KR 20230172571 A KR20230172571 A KR 20230172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ortion
diffusion flow
fan assembly
impeller
vol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9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푸취엔 웨이
옌동 우
리화 마
Original Assignee
지디 미디어 히팅 엔드 벤틸레이팅 이큅먼트 코 엘티디
허페이 메이디 히팅 엔드 벤틸레이팅 이큅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디 미디어 히팅 엔드 벤틸레이팅 이큅먼트 코 엘티디, 허페이 메이디 히팅 엔드 벤틸레이팅 이큅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지디 미디어 히팅 엔드 벤틸레이팅 이큅먼트 코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30172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2571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22Discharge tong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226Fan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226Fan casings
    • F04D29/4233Fan casings with volutes extending mainly in axial or radially inward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41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2Centrifugal or radial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팬 어셈블리 및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되, 팬 어셈블리는 하우징 본체와 하우징 본체의 개구부위에 연결된 볼류트 텅을 포함하는 볼류트; 및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 본체 내에 설치되는 날개바퀴를 포함하며, 볼류트 텅은 확산 흐름부와 통과 흐름부를 포함하며, 통과 흐름부는 날개바퀴의 축방향을 따라 확산 흐름부의 양측에 위치하고 확산 흐름부보다 높다. 본 출원은 볼류트의 형상을 최적화하고, 볼류트 텅은 협력하여 사용되는 통과 흐름부와 확산 흐름부를 포함하며, 이로써 통과 흐름부가 위치한 곳의 기류의 유속을 감소시키고 팬 어셈블리의 출풍 균일성을 확보하며 팬 어셈블리의 작동 성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킨다.

Description

팬 어셈블리 및 공기조화기
본 출원은 2021년 07월 07일자 중국 국가 지적재산권국에 제출된 출원번호 "202121538970.9" 및 "팬 어셈블리 및 공기조화기"라는 출원명칭의 중국 특허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그 전부내용은 인용에 의해 본 출원에 결합된다.
본 출원은 팬의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팬 어셈블리 및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팬 어셈블리는 공기조화기의 핵심 부품이며 그 성능의 우열에 따라 공기조화기의 치수, 성능 및 소리 품질이 결정된다. 관련기술에 있어서, 출풍부위에서 팬 어셈블리의 배출풍속이 다르기(중부의 유속은 주변의 유속보다 큼) 때문에, 팬 어셈블리 및 공기조화기의 소음이 비교적 크고 팬의 송풍 효율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출원은 적어도 선행기술에 존재하는 기술적 문제 중 하나를 해결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제1 측면은 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제2 측면은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제1 측면은 팬 어셈블리를 제공하되, 이 팬 어셈블리는 하우징 본체와 하우징 본체의 개구부위에 연결된 볼류트 텅(volute tongue)을 포함하는 볼류트(volute); 및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 본체 내에 설치되는 날개바퀴를 포함하며, 볼류트 텅은 확산 흐름부(擴流部)와 통과 흐름부(過流部)를 포함하며, 통과 흐름부는 날개바퀴의 축방향을 따라 확산 흐름부의 양측에 위치하고 확산 흐름부보다 높다.
본 출원에서 제안한 팬 어셈블리는 볼류트와 날개바퀴를 포함한다. 그 중 볼류트는 하우징 본체와 하우징 본체의 개구부위에 연결된 볼류트 텅을 포함하며, 날개바퀴의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 본체 내에 설치된다. 팬 어셈블리의 작동 중 날개바퀴가 회전되면 기류를 외부로부터 하우징 본체 내로 흡입할 수 있으며, 기류는 날개바퀴에 의해 가압된 후 볼류트 텅을 거쳐 배출된다.
특히, 팬 어셈블리의 작동 중 날개바퀴에서 유출되는 기류의 분포가 고르지 않으며, 날개바퀴의 축방향에서 중부의 위치에 가까울수록 풍량이 커지고, 풍량이 큰 곳일수록 기류의 유속도 그에 따라 빠르게 된다. 따라서, 본 출원은 볼류트 텅의 형상을 최적화하였으며, 볼류트 텅에는 통과 흐름부와 확산 흐름부가 포함되고, 통과 흐름부를 확산 흐름부보다 높게 설치하도록 확보하면, 확산 흐름부의 상대적 위치가 낮아지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통과 흐름부가 위치한 곳의 통과 흐름 면적을 효과적으로 확장할 수 있으며, 나아가 통과 흐름부가 위치한 곳의 기류의 유속을 감소시킴으로써, 팬 어셈블리의 전체 유속을 상대적으로 비교적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날개바퀴의 축방향을 따라 통과 흐름부는 확산 흐름부의 양측에 위치하여 확산 흐름부가 중부에 위치하도록 하며, 이로써 확산 흐름부 및 통과 흐름부의 분포는 날개바퀴에서 유출되는 기류량의 분포와 매칭하도록 위치하는 것을 확보한다. 확산 흐름부는 통과 흐름부보다 낮게 설치하기 때문에 확산 흐름부를 사용하여 그가 위치한 곳의 통과 흐름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그가 위치한 곳의 기류의 유속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위에서 언급한 통과 흐름부와 확산 흐름부의 협력을 통해 팬 어셈블리의 출풍 균일성을 확보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동일한 작동 소리의 경우 본 출원에서 제안한 팬 어셈블리는 더 큰 공간의 공기조절을 충족시키기 위해 더 많은 풍량을 송출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동일한 풍량의 경우 본 실시예에서 제안한 팬 어셈블리는 작동 소리가 더 낮고 팬 어셈블리의 쾌적성을 향상시킨다. 이에 대응하여, 동일한 풍량 및 동일한 작동 소리의 경우 본 실시예에서 제안한 팬 어셈블리는 더 작은 부피를 가지고, 더 낮은 비용 또는 더 다양화한 장착 공간의 요구 사항을 충족시킨다.
따라서, 본 출원은 볼류트의 형상을 최적화하고, 볼류트 텅은 협력하여 사용되는 통과 흐름부와 확산 흐름부를 포함하며, 이로써 통과 흐름부가 위치한 곳의 기류의 유속을 감소시키고 팬 어셈블리의 출풍 균일성을 확보하며 팬 어셈블리의 작동 성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킨다.
본 출원의 상기 기술안에 따른 팬 어셈블리는 다음과 같은 부가 기술적 특징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기술안에서, 볼류트 텅은 텅 본체를 더 포함하되, 확산 흐름부와 통과 흐름부는 텅 본체에 설치되고, 확산 흐름부는 텅 본체에 오목하게 함몰되어 설치된다.
일부 가능한 기술안에서, 날개바퀴의 축방향을 따라, 확산 흐름부의 중부의 깊이는 양단부의 깊이보다 크다.
일부 가능한 기술안에서, 날개바퀴의 축방향을 따라 확산 흐름부를 절취하면, 확산 흐름부는 하나의 원호를 포함하거나 서로 연결된 복수의 원호를 포함한다.
일부 가능한 기술안에서, 날개바퀴의 축을 따라 확산 흐름부를 절취하면, 확산 흐름부의 높이는 확산 흐름부의 중부에서 양단부를 향해 동기적으로 상승한다.
일부 가능한 기술안에서, 볼류트의 출풍 방향에서 확산 흐름부의 높이가 점차 증가한다.
일부 가능한 기술안에서, 날개바퀴의 반경방향을 따라 확산 흐름부를 절취하면, 확산 흐름부는 직선을 포함하고, 직선과 수평면 사이의 제1 협각은 8°보다 크고 12°보다 작거나 같다.
일부 가능한 기술안에서, 날개바퀴의 반경방향을 따라 확산 흐름부를 절취하면, 확산 흐름부는 원호선을 포함하고, 원호선의 날개바퀴에 근접하는 일단에서의 접선과 수평면 사이의 제2 협각은 8°보다 크고 12°보다 작거나 같다.
일부 가능한 기술안에서, 확산 흐름부는 하우징 본체(104)의 내벽에 체결된다.
일부 가능한 기술안에서, 확산 흐름부와 하우징 본체(104)의 내벽 사이에 라운드 코너가 설치되어 있다.
일부 가능한 기술안에서, 확산 흐름부의 최대 깊이와 볼류트 텅의 축방향 치수의 비율은 0.05보다 크거나 같고 0.1보다 작거나 같다.
일부 가능한 기술안에서, 볼류트 텅은 싱크대(sinking table)를 더 포함하되, 싱크대는 통과 흐름부에 설치되고 확산 흐름부의 양측에 위치한다.
일부 가능한 기술안에서, 날개바퀴의 축방향을 따라, 볼류트의 입풍구는 날개바퀴의 양측에 위치하고; 팬 어셈블리는 볼류트의 입풍구에 설치된 집류기를 더 포함한다.
일부 가능한 기술안에서, 볼류트는 서로 연결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포함하며, 제1 하우징에는 확산 흐름부와 통과 흐름부가 설치되어 있다.
본 출원의 제2 측면은 상기 임의의 하나의 기술안의 팬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제안한다.
본 출원에서 제안한 공기조화기는 상기 임의의 하나의 기술안의 팬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기술안의 팬 어셈블리의 모든 유익한 효과를 가지므로, 여기에서 더 이상 하나하나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추가의 측면 및 이점은 다음의 설명 부분에서 명확해지거나 본 출원의 실천을 통해 이해될 것이다.
본 출원의 상기 및/또는 추가의 측면 및 이점은 다음의 첨부도면과 함께 실시예의 설명에서 명확해지고 이해하기 쉬워질 것이다.
도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의 팬 어셈블리의 구조 모식도(은폐된 날개바퀴)이다.
도2는 도1에 나타낸 팬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다.
도3은 도1에 나타낸 팬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4는 도1에 나타낸 팬 어셈블리 중 제1 하우징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5는 도4에 나타낸 제1 하우징의 측면도이다.
도6은 도4에 나타낸 제1 하우징의 A부위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7은 도5에 나타낸 제1 하우징의 B부위의 부분 확대도이다.
위에서 언급한 본 출원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해, 아래에서는 첨부된 도면 및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결합하여 본 출원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상충되지 않는 한, 본 출원의 실시예 및 실시예의 특징은 서로 조합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아래 설명에서는 본 출원을 완전히 이해하기 위해 많은 구체적인 세부 사항을 설명하였지만, 본 출원은 여기에 설명된 것과 다른 기타 방법으로 구현할 수도 있으므로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아래에 개시된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에서는 도1 내지 도7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팬 어셈블리 및 공기조화기를 설명한다. 도3에서의 점선 화살표는 볼류트(102)의 출풍방향을 나타내고, 도2 및 도4에서의 점선(L1)은 기준면(L1)을 나타내고, 도7에서의 직선(L2)은 수평면을 나타내고, 도4에서의 점선(O)가 가리키는 방향은 날개바퀴의 축방향이다.
도1,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제1 실시예는 볼류트(102) 및 날개바퀴(미도시)를 포함하는 팬 어셈블리를 제안한다.
여기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류트(102)는 하우징 본체(104)와 하우징 본체(104)의 개구부위에 연결된 볼류트 텅(112)을 포함하며, 날개바퀴의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 본체(104) 내에 설치되며, 팬 어셈블리의 작동 중 날개바퀴가 회전되면 기류를 외부로부터 하우징 본체(104) 내로 흡입할 수 있으며, 기류는 날개바퀴에 의해 가압된 후 배출된다.
특히, 팬 어셈블리의 작동 중 날개바퀴에서 유출되는 기류의 분포가 고르지 않으며, 날개바퀴의 축방향에서 중부의 위치에 가까울수록 풍량이 커지고, 풍량이 큰 곳일수록 기류의 유속도 그에 따라 빠르게 된다. 따라서, 도4,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볼류트(102)의 형상을 최적화하였으며, 볼류트 텅(112)에는 협력하여 사용되는 통과 흐름부(110)와 확산 흐름부(108)가 포함되고, 통과 흐름부(110)를 확산 흐름부(108)보다 높게 설치하도록 확보하면, 확산 흐름부(108)의 상대적 위치가 낮아지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볼류트 텅(112)에서 통과 흐름부(110)가 위치한 곳의 통과 흐름 면적을 효과적으로 확장할 수 있으며, 나아가 통과 흐름부(110)가 위치한 곳의 기류의 유속을 감소시킴으로써, 팬 어셈블리의 전체 유속을 상대적으로 비교적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4,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바퀴의 축방향을 따라 통과 흐름부(110)는 확산 흐름부(108)의 양측에 위치하여 확산 흐름부(108)가 중부에 위치하도록 하며, 이로써 확산 흐름부(108) 및 통과 흐름부(110)의 분포는 날개바퀴에서 유출되는 기류량의 분포와 매칭하도록 위치하는 것을 확보한다. 확산 흐름부(108)는 통과 흐름부(110)보다 낮게 설치하기 때문에 확산 흐름부(108)를 사용하여 그가 위치한 곳의 통과 흐름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그가 위치한 곳의 기류의 유속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위에서 언급한 통과 흐름부(110)와 확산 흐름부(108)의 협력을 통해 팬 어셈블리의 출풍 균일성을 확보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동일한 작동 소리의 경우 본 실시예에서 제안한 팬 어셈블리는 더 큰 공간의 공기조절을 충족시키기 위해 더 많은 풍량을 송출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동일한 풍량의 경우 본 실시예에서 제안한 팬 어셈블리는 작동 소리가 더 낮고 팬 어셈블리의 쾌적성을 향상시킨다. 이에 대응하여, 동일한 풍량 및 동일한 작동 소리의 경우 본 실시예에서 제안한 팬 어셈블리는 더 작은 부피를 가지고, 더 낮은 비용 또는 더 다양한 장착 공간의 요구 사항을 충족시킨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볼류트(102)의 형상을 최적화하고, 볼류트 텅(112)은 협력하여 사용되는 통과 흐름부(110)와 확산 흐름부(108)를 포함하며, 이로써 통과 흐름부(110)가 위치한 곳의 기류의 유속을 감소시키고 팬 어셈블리의 출풍 균일성을 확보하며 팬 어셈블리의 작동 성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킨다.
본 출원의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를 기반으로 아래와 같은 팬 어셈블리를 제안한다.
도4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류트 텅(112)은 하우징 본체(104)의 개구부위에 연결된 텅(tongue) 본체(106)를 더 포함하며, 확산 흐름부(108) 및 통과 흐름부(110)는 모두 텅 본체(106)에 설치된다.
또한, 통과 흐름부(110)는 텅 본체(106)의 내벽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팬 어셈블리의 작동 중 기류는 텅 본체(106)의 내벽을 통해 직접 도류 및 분류되며, 이로써 날개바퀴에 의해 가압된 후의 기류는 통과 흐름부(110)를 거쳐 최종적으로 배출된다. 구체적으로, 텅 본체(106)의 내벽에 의해 위에서 언급한 통과 흐름부(110)가 한정된다.
또한, 확산 흐름부(108)는 텅 본체(106)에 오목하게 함몰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확산 흐름부(108)를 통과 흐름부(110)보다 낮게 설치하도록 확보하며, 즉 확산 흐름부(108)가 위치한 곳의 통과 흐름 면적이 통과 흐름부(110)가 위치한 곳의 통과 흐름 면적보다 크도록 확보하며, 나아가 확산 흐름부(108)가 위치한 곳의 기류의 유속을 어느 정도 감소시키고, 나아가 확산 흐름부(108)가 위치한 곳의 기류의 유속과 통과 흐름부(110)가 위치한 곳의 기류의 유속을 일치하도록 하며, 이로써 팬 어셈블리 전체의 등속의 송풍을 실현한다. 구체적으로, 텅 본체(106)의 내부에는 상기 확산 흐름부(108)를 한정시키는 오목 홈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볼류트 텅(112)의 구조가 간단하고 볼류트 텅(112) 및 팬 어셈블리 전체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으며 동시에 볼류트 텅(112) 및 팬 어셈블리 전체의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오목하게 함몰된 확산 흐름부(108)는 그가 위치한 곳의 바람저항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동일한 풍량의 경우 더 높은 정압을 통해 볼류트(102) 중의 저항력을 극복할 수 있으며, 동시에 풍량을 볼류트(102) 내에서 보다 균일하고 합리적으로 분포하게 한다.
또한, 볼류트(102)의 출풍 방향에서, 확산 흐름부(108)는 하우징 본체(104)와 직접 체결될 수도 있고, 확산 흐름부(108)와 하우징 본체(104) 사이에 라운드 코너를 설치하여 라운드 코너를 통해 확산 흐름부(108)와 하우징 본체(104)가 체결될 수도 있다. 상기의 두 가지 방법은 모두 확산 흐름부(108)와 하우징 본체(104)의 내벽 사이의 평활한 연결을 확보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제3 실시예는 제2 실시예를 기반으로 아래와 같은 팬 어셈블리를 제안한다.
도2 및 도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바퀴의 축방향을 따라 확산 흐름부(108)의 중부의 깊이는 양단부의 깊이보다 크다. 구체적으로, 날개바퀴의 두 축방향단면까지의 거리가 동일한 평면을 기준면(L1)으로 정의하고, 날개바퀴의 축방향을 따라 확산 흐름부(108)의 중심은 기준면(L1)에 위치하며, 날개바퀴의 축방향을 따라 기준면(L1)으로부터 양측으로 확산 흐름부(108)의 중부의 깊이는 양단부의 깊이보다 크다. 구체적으로, 확산 흐름부(108)의 깊이는 즉 확산 흐름부(108)의 오목하게 함몰된 깊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확산 흐름부(108)의 깊이를 최적화하여 날개바퀴의 축방향을 따라 확산 흐름부(108)의 중부의 깊이를 양단부의 깊이보다 크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날개바퀴의 축방향을 따라 확산 흐름부(108)는 중심에서 양측으로의 깊이를 점차 감소시켜 날개바퀴의 축방향을 따라 확산 흐름부(108)의 확산 흐름 효과를 점차 감소하도록 한다. 즉, 날개바퀴의 축방향을 따라 확산 흐름부(108)의 중부에서 양측위치까지의 통과 흐름 면적이 점차 감소된다.
특히, 팬 어셈블리의 작동 중 날개바퀴의 축방향을 따라 기준면(L1)에서의 풍량이 최대이고 기준면(L1)에서 양측으로의 풍량이 점차 감소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볼류트 텅(112)에 확산 흐름부(108)를 설치하는 기초상에 확산 흐름부(108)의 깊이를 더욱 최적화하여 확산 흐름부(108)의 깊이에서 그가 위치한 곳의 풍량과 매칭하도록 하며, 이로써 기준면(L1)에서 확산 흐름부(108)의 깊이가 최대이고 양측으로의 깊이가 점차 낮아지도록 확보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확산 흐름부(108)가 위치한 곳의 기류의 유속이 일치함을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또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바퀴의 축방향을 따라 확산 흐름부(108)를 절취하면, 확산 흐름부(108)는 하나의 원호를 포함할 수 있고, 서로 연결된 복수의 원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준면(L1)의 깊이는 점차 증가하거나 감소하여 기준면(L1)이 날개바퀴의 축방향에서 평활상태에 있도록 확보함으로써, 한편으로는 확산 흐름부(108)의 전체 구조가 조화를 이루도록 확보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확산 흐름부(108)가 볼류트(102) 내에서 바람저항을 일으키지 않도록 확보하여 팬 어셈블리의 송풍효율을 확보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또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바퀴의 축방향을 따라 확산 흐름부(108)를 절취하면, 확산 흐름부(108)의 높이는 확산 흐름부(108)의 중부에서 양단부를 향해 동기적으로 상승된다. 즉, 날개바퀴의 축방향을 따라 확산 흐름부(108)를 절취하면, 확산 흐름부(108)는 기준면(L1)에 대해 대칭적으로 설치된다.
특히, 팬 어셈블리의 작동 중 날개바퀴에서 유출되는 기류는 기준면(L1)에서 양측을 향해 점차 작아지며 풍량의 많고 적음은 그가 위치한 곳으로부터 기준면(L1)까지의 거리와 음의 상관관계를 갖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풍량의 분포 법칙에 따라 확산 흐름부(108)의 형상을 최적화하며, 날개바퀴의 축방향을 따라 확산 흐름부(108)를 절취하면, 확산 흐름부(108)는 기준면(L1)에 대해 대칭적으로 설치되도록 확보된다. 즉, 확산 흐름부(108)의 형상이 풍량 분포와 매칭하도록 확보하고 기준면(L1)이 날개바퀴의 축방향에서 평활상태에 있도록 확보함으로써, 한편으로는 확산 흐름부(108)의 전체 구조가 조화를 이루도록 확보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확산 흐름부(108)가 볼류트(102) 내에서 바람저항을 일으키지 않도록 확보하여 팬 어셈블리의 송풍효율을 확보한다.
본 출원의 제4 실시예는 제2 실시예를 기반으로 아래와 같은 팬 어셈블리를 제안한다.
도5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산 흐름부(108)의 하우징 본체(104)의 내벽에 연결된 일단은 확산 흐름부(108)의 텅 본체(106)의 내벽에 연결된 일단보다 낮다. 즉, 볼류트(102)의 출풍방향을 따라 확산 흐름부(108)의 높이가 점차 증가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확산 흐름부(108)의 높이를 최적화하여 확산 흐름부(108)와 볼류트 텅(112)의 내벽의 평활한 연결을 확보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팬 어셈블리의 작동 중 기류가 하우징 본체(104)에서 원활하게 유출되도록 확보하고 기류가 확산 흐름부(108)를 통과할 때 안정하게 전이되는 상태에 있도록 확보한다.
본 출원의 제5 실시예는 제4 실시예를 기반으로 아래와 같은 팬 어셈블리를 제안한다.
도5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의 장착이 완료된 후 볼류트(102)의 출풍구(124)가 수평으로 설치된다. 그 중, 날개바퀴의 반경방향을 따라 확산 흐름부(108)를 절취하면, 확산 흐름부(108)는 직선을 포함한다. 또한, 이 직선과 수평면(L2) 사이의 제1 협각(θ)은 8°보다 크고 12°보다 작거나 같다. 즉, 볼류트(102)의 출풍 방향을 따라 확산 흐름부(108)의 벽면과 송풍 방향 사이에 8°에서 12°의 경사 각도가 이루어지도록 확보하고, 확산 흐름부(108)는 하우징 본체(104)를 향한 일측의 위치가 낮도록 확보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팬 어셈블리의 작동 중 날개바퀴에 의해 가압된 후의 기류는 먼저 확산 흐름부(108)와 통과 흐름부(110)가 위치한 위치로 흐르게 되며, 확산 흐름부(108)의 벽면과 수평면(L2) 사이에 8°에서 12°의 경사 각도가 이루어져 기류를 원활하게 확산 흐름부(108)로 흐르게 하며, 확산 흐름부(108)가 통과 흐름부(110)보다 낮기 때문에 확산 흐름부(108)를 흐르는 기류의 유속이 감소되어 통과 흐름부(110)를 흐르는 기류의 유속과 매칭하도록 확보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먼저 팬 어셈블리 전체의 송풍 속도가 균일하도록 확보하고, 그 다음 기류가 확산 흐름부(108)를 통해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흐르도록 하여, 팬 어셈블리의 작동 소음을 줄이고 팬 어셈블리의 송풍효율을 향상시킨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제1 협각(θ)은 8°, 9°, 10°, 11°, 12° 등일 수 있고, 여기에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소음 감소와 송풍 효율 향상을 달성할 수 있기만 하면 모두 실현 가능하다는 것은 본 분야의 기술자도 이해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제6 실시예는 제4 실시예를 기반으로 아래와 같은 팬 어셈블리를 제안한다.
공기조화기의 장착이 완료된 후 볼류트(102)의 출풍구(124)가 수평으로 설치된다. 그 중, 날개바퀴의 반경방향을 따라 확산 흐름부(108)를 절취하면, 확산 흐름부(108)는 원호선을 포함한다(도면에는 이 실시예가 나타내지 않음). 또한, 이 원호선의 날개바퀴에 근접하는 일단에서의 접선과 수평면(L2) 사이에 제2 협각을 가지고, 제2 협각은 8°보다 크고 12°보다 작거나 같다. 즉, 볼류트(102)의 출풍 방향을 따라 확산 흐름부(108)의 벽면과 송풍 방향 사이에 8°에서 12°의 경사 각도가 이루어지도록 확보하고, 확산 흐름부(108)는 하우징 본체(104)를 향한 일측의 위치가 낮도록 확보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팬 어셈블리의 작동 중 날개바퀴에 의해 가압된 후의 기류는 먼저 확산 흐름부(108)와 통과 흐름부(110)가 위치한 위치로 흐르게 되며, 확산 흐름부(108)의 벽면과 수평면(L2) 사이에 8°에서 12°의 경사 각도가 이루어져 기류를 원활하게 확산 흐름부(108)로 흐르게 하며, 확산 흐름부(108)가 통과 흐름부(110)보다 낮기 때문에 확산 흐름부(108)를 흐르는 기류의 유속이 감소되어 통과 흐름부(110)를 흐르는 기류의 유속과 매칭하도록 확보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먼저 팬 어셈블리 전체의 송풍 속도가 균일하도록 확보하고, 그 다음 기류가 확산 흐름부(108)를 통해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흐르도록 하여, 팬 어셈블리의 작동 소음을 줄이고 팬 어셈블리의 송풍효율을 향상시킨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제2 협각은 8°, 9°, 10°, 11°, 12° 등일 수 있고, 여기에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소음 감소와 송풍 효율 향상을 달성할 수 있기만 하면 모두 실현 가능하다는 것은 본 분야의 기술자도 이해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제7 실시예는 제2 실시예를 기반으로 아래와 같은 팬 어셈블리를 제안한다.
도2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확산 흐름부(108)의 최대 깊이(H)와 볼류트 텅(112)의 축방향 치수(L)의 비율을 최적화하여 확산 흐름부(108)의 최대 깊이(H)와 볼류트 텅(112)의 축방향 치수(L)의 비율을 0.05보다 크거나 같게 하고 0.1보다 작거나 같게 하도록 확보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볼류트 텅(112)에서 확산 흐름부(108)의 최대 함몰 깊이가 서로 매칭하도록 확보하며, 즉 볼류트 텅(112)에서 확산 흐름부(108)의 최대 함몰 치수가 적합하도록 확보한다.
구체적으로, 확산 흐름부(108)의 최대 깊이(H)는 확산 흐름 효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즉, 확산 흐름부(108)의 최대 깊이(H)가 클수록 그 깊이가 가장 큰 위치의 확산 흐름 효과가 더 좋고 기류의 유속 감소 효과도 더 좋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확산 흐름부(108)의 최대 깊이(H)와 볼류트 텅(112)의 축방향 치수(L)의 비율을 0.05보다 크거나 같게 설계하여 확산 흐름부(108)의 충분한 확산 흐름 효과를 확보한다.
또한, 확산 흐름부(108)의 최대 깊이(H)와 볼류트 텅(112)의 축방향 치수(L)의 비율이 너무 크면, 확산 흐름부(108)에 의해 볼류트 텅(112) 전체의 강도가 낮아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확산 흐름부(108)의 최대 깊이(H)와 볼류트 텅(112)의 축방향 치수(L)의 비율을 0.1보다 작거나 같게 설계하며, 나아가 확산 흐름부(108)와 볼류트 텅(112) 구조가 서로 매칭하도록 확보함으로써, 확산 흐름 효과를 확보하면서 볼류트 텅(112)의 강도를 확보하며, 나아가 볼류트 텅(112) 및 팬 어셈블리 전체의 사용수명을 확보한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확산 흐름부(108)의 최대 깊이(H)와 볼류트 텅(112)의 축방향 치수(L)의 비율은 0.05, 0.06, 0.07, 0.08, 0.09, 0.1 등이 될 수 있으며, 여기에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충분한 확산 흐름 효과와 강한 강도를 갖는 확산 흐름부(108)를 포함할 수 있기만 하면 모두 실현 가능하다는 것은 본 분야의 기술자도 이해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제8 실시예는 제2 실시예를 기반으로 아래와 같은 팬 어셈블리를 제안한다.
도4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 어셈블리는 싱크대(114)를 더 포함한다. 그 중, 싱크대(114)는 통과 흐름부(110)에 설치되고 확산 흐름부(108)의 양측에 위치한다. 통과 흐름부(110)에는 싱크대(114)가 설치되어 있어 볼류트 텅(112)에서 볼류트(102)의 내벽과 날개바퀴의 외부 가장자리 사이의 최소 간극을 확보함과 동시에 볼류트(102)에 대한 기류의 충격을 줄일 수 있고, 볼류트(102) 내부의 유동장을 최적화하였으며, 볼류트 텅(112)에서 기류에 의한 와류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팬 어셈블리의 성능을 확보함과 동시에 팬의 와류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켰으며, 나아가 팬 어셈블리의 사용 쾌적성을 개선하였으며, 팬 어셈블리의 송풍 효율을 확보하였다.
이 실시예에서는 또한 도4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류트 텅(112)은 싱크대(114)를 더 포함하되, 싱크대(114)는 텅 본체(106)에 설치되며 확산 흐름부(108)는 2개의 싱크대(114) 사이에 위치한다. 즉, 본 실시예는 볼류트(102)의 양측벽에 근접하는 볼류트 텅(112)의 위치에 상기 싱크대(114)가 설치되어 있으며, 싱크대(114)가 확산 흐름부(108)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확보하고, 확산 흐름부(108)가 2개의 싱크대(114) 사이에 위치하도록 확보한다. 특히, 팬 어셈블리의 작동 중 상기 싱크대(114)의 설치를 통해 볼류트 텅(112)과 날개바퀴의 외부 가장자리 사이의 최소 간격을 확보할 수 있으며 동시에 볼류트 텅(112)에 대한 기류의 충격을 줄일 수 있고, 볼류트(102) 내부의 유동장을 최적화하였으며, 볼류트 텅(112)에서 기류에 의한 와류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팬 어셈블리의 성능을 확보함과 동시에 팬의 와류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켰으며, 나아가 팬 어셈블리의 사용 쾌적성을 개선하였으며, 팬 어셈블리의 송풍 효율을 확보하였다.
실시예1~실시예8을 기반으로 또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류트(102)의 입풍구(122)는 날개바퀴의 축방향의 양측에 위치하고, 볼류트(102)의 출풍구(124)는 날개바퀴의 반경방향의 측방에 위치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팬 어셈블리의 작동 중 외부공기는 날개바퀴의 축방향의 양측에서 볼류트(102) 내부로 들어갈 수 있으며 날개바퀴에 의해 가압된 후 날개바퀴의 반경방향의 출풍구(124)에서 배출된다.
실시예1~실시예8을 기반으로 또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 어셈블리에는 집류기(116)가 더 포함된다. 그 중, 집류기(116)는 볼류트(102)에 설치되고 볼류트(102)의 입풍구(122)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팬 어셈블리를 사용하는 동안 집류기(116)는 볼류트(102)의 입풍구(122)에서 우수한 집류 및 도류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며, 나아가 팬 어셈블리의 송풍량 및 송풍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1~실시예8을 기반으로 또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류트(102)는 서로 연결된 제1 하우징(118) 및 제2 하우징(120)을 포함하며, 제1 하우징(118)에는 상기 확산 흐름부(108) 및 통과 흐름부(110)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하우징(118)은 볼류트(102)의 하부 하우징이고, 제2 하우징(120)은 볼류트(102)의 상부 하우징이며, 제1 하우징(118)에는 상기 볼류트 텅(112)이 설치되어 있고, 볼류트 텅(112)에는 상기 확산 흐름부(108)와 통과 흐름부(110)가 설치되어 있다.
본 출원의 제9 실시예는 실시예1~실시예8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와 같은 팬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제안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안한 공기조화기는 상기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팬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팬 어셈블리의 모든 유익한 효과를 가지므로, 여기에서 더 이상 하나하나 설명하지 않는다.
도1, 도2,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제1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볼류트(102) 및 날개바퀴를 포함하는 팬 어셈블리를 제안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볼류트(102)의 형상을 최적화하되, 볼류트 텅(112)에는 협력하여 사용되는 통과 흐름부(110)와 확산 흐름부(108)이 포함되며, 통과 흐름부(110)를 확산 흐름부(108)보다 높게 설치하도록 확보하면, 확산 흐름부(108)의 상대적 위치가 낮아지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볼류트 텅(112)에셔 통과 흐름부(110)가 위치한 곳의 통과 흐름 면적을 효과적으로 확장할 수 있으며, 나아가 통과 흐름부(110)가 위치한 곳의 기류의 유속을 감소시킴으로써, 팬 어셈블리의 전체 유속을 상대적으로 비교적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또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류트 텅(112)은 하우징 본체(104)의 개구부위에 연결된 텅 본체(106)를 더 포함하되, 확산 흐름부(108)와 통과 흐름부(110)는 모두 텅 본체(106)에 설치되며, 통과 흐름부(110)는 텅 본체(106)의 내벽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확산 흐름부(108)는 텅 본체(106)에 오목하게 함몰되어 설치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또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산 흐름부(108)의 깊이를 최적화하여 날개바퀴의 축방향을 따라 확산 흐름부(108)의 중부의 깊이를 양단부의 깊이보다 크게 한다. 즉, 날개바퀴의 축방향을 따라 중심에서 양측으로 확산 흐름부(108)의 깊이가 점차 감소시켜 날개바퀴의 축방향을 따라 확산 흐름부(108)의 확산 흐름 효과가 점차 감소하도록 한다. 또한, 날개바퀴의 축방향을 따라 확산 흐름부(108)를 절취하면, 확산 흐름부(108)는 하나의 원호를 포함할 수 있고, 서로 연결된 복수의 원호를 포함할 수도 있어 기준면(L1)이 날개바퀴의 축방향에서 평활상태에 있도록 확보한다. 또한, 날개바퀴의 축방향을 따라 확산 흐름부(108)를 절취하면, 확산 흐름부(108)는 기준면(L1)에 대해 대칭적으로 설치되어 확산 흐름부(108)의 형상이 풍량의 분포와 서로 매칭하도록 확보된다. 또한, 볼류트(102)의 출풍 방향을 따라 확산 흐름부(108)의 높이가 점차 증가하여 기류가 원활하게 확산 흐름부(108)를 흐르도록 확보하고, 기류가 확산 흐름부(108)을 통과할 때 안정하게 전이되는 상태에 있도록 확보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또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의 장착이 완료된 후 볼류트(102)의 출풍구(124)가 수평으로 설치된다. 날개바퀴의 반경방향을 따라 확산 흐름부(108)를 절취하면, 확산 흐름부(108)가 직선을 포함할 때 이 직선과 수평면(L2) 사이에 제1 협각(θ)을 형성하고, 제1 협각(θ)은 8°보다 크고 12°보다 작거나 같으며; 확산 흐름부(108)가 원호선을 포함할 때 이 원호선의 날개바퀴에 근접하는 일단에서의 접선과 수평면(L2) 사이에 제2 협각을 형성하고, 제2 협각은 8°보다 크고 12°보다 작거나 같다.
이 실시예에서는 또한 확산 흐름부(108)의 최대 깊이(H)와 볼류트 텅(112)의 축방향 치수(L)의 비율을 0.05보다 크거나 같고 0.1보다 작거나 같게 하도록 확보하기 위해, 확산 흐름부(108)의 최대 깊이(H)와 볼류트 텅(112)의 축방향 치수(L)를 최적화하였다.
이 실시예에서는 또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류트 텅(112)은 통과 흐름부(110)에 설치되고 확산 흐름부(108)의 양측에 위치한 싱크대(114)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볼류트(102)의 내벽과 날개바퀴의 외부 가장자리 사이의 최소 간극을 확보함과 동시에 볼류트(102)에 대한 기류의 충격을 줄일 수 있고, 볼류트(102) 내부의 유동장을 최적화하였으며, 볼류트 텅(112)에서 기류에 의한 와류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팬 어셈블리의 성능을 확보함과 동시에 팬의 와류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켰으며, 나아가 팬 어셈블리의 사용 쾌적성을 개선하였으며, 팬 어셈블리의 송풍 효율을 확보하였다. 구체적으로, 싱크대(114)는 볼류트 텅(112)에 설치되고, 확산 흐름부(108)는 2개의 싱크대(114) 사이에 위치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또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류트(102)의 입풍구(122)는 날개바퀴의 축방향의 양측에 위치하고, 볼류트(102)의 출풍구(124)는 날개바퀴의 반경방향의 측방에 위치한다. 또한, 볼류트(102)의 입풍구(122)에는 집류기(116)가 설치되어 있고, 집류기(116)는 볼류트(102)의 입풍구(122)에서 우수한 집류 및 도류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며, 나아가 팬 어셈블리의 송풍량 및 송풍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팬 어셈블리는 공기조화기의 핵심 부품이며 그 성능의 우열에 따라 공기조화기의 치수, 성능 및 소리 품질이 결정된다. 현재 팬 어셈블리의 기술적 제약으로 인해 공기조화기는 일반적으로 소음이 비교적 크고 치수도 비교적 크며 열교환 효과가 좋지 않다. 본 출원은 위에서 언급한 공기조화기가 소음이 크고 치수가 크며 열교환 효과가 좋지 않은 기술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팬 어셈블리를 제안한다.
도1, 도2,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에서 제안한 팬 어셈블리는 볼류트(102), 날개바퀴, 확산 흐름부(108) 및 통과 흐름부(110)를 포함하되, 볼류트(102)는 하우징 본체(104) 및 하우징 본체(104)의 개구부위에 연결된 볼류트 텅(112)을 포함한다. 그 중,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류트 텅(112)은 협력하여 사용되는 확산 흐름부(108)와 통과 흐름부(110)를 포함하며, 확산 흐름부(108)는 오목한 상태로 통과 흐름부(110)보다 낮다 (오목 방향은 볼류트 텅(112)의 외부를 가리킴). 또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바퀴의 두 축방향단면까지의 거리가 동일한 평면을 기준면(L1)으로 정의하고, 날개바퀴의 축방향을 따라 확산 흐름부(108)를 절취하면, 확산 흐름부(108)는 기준면(L1)에 대해 대칭적으로 설치된다. 또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바퀴의 반경방향을 따라 확산 흐름부(108)를 절취하면, 확산 흐름부(108)가 직선을 포함할 때 직선과 수평면(L2) 사이에 제1 협각(θ)을 형성하고, 제1 협각(θ)은 8°보다 크고 12°보다 작거나 같으며; 확산 흐름부(108)가 원호선을 포함할 때 원호선의 날개바퀴에 근접하는 일단에서의 접선과 수평면(L2) 사이에 제2 협각을 형성하고, 제2 협각은 8°보다 크고 12°보다 작거나 같다. 또한, 확산 흐름부(108)의 최대 깊이(H)와 볼류트 텅(112)의 축방향 치수의 비율은 0.05보다 크거나 같고 0.1보다 작거나 같다. 또한, 날개바퀴의 축방향을 따라 확산 흐름부(108)를 절취하면, 확산 흐름부(108)는 하나의 원호를 포함하거나 서로 연결된 복수의 원호를 포함한다. 또한, 볼류트(102)의 송풍 방향에서, 확산 흐름부(108)는 하우징 본체(104)의 내벽에 직접 체결될 수 있고, 확산 흐름부(108)와 하우징 본체(104)의 내벽 사이에 라운드 코너가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과 흐름부(110)의 위치에 싱크대(114)를 설치할 수 있다.
동일한 소음의 경우 본 출원에서 제안한 팬 어셈블리가 적용된 공기조화기는 더 큰 공간의 공기조절을 충족시키기 위해 더 많은 풍량을 송출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동일한 풍량의 경우 본 출원에서 제안한 팬 어셈블리가 적용된 공기조화기는 소음이 더 낮고 공기조화기의 쾌적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동일한 풍량의 경우 본 출원에서 제안한 팬 어셈블리가 적용된 공기조화기는 송풍 관로의 저항을 극복하기 위해 더 높은 정압을 갖고, 공기조화기에 장치가 장착되는 것을 감소시킨다. 이에 대응하여, 동일한 풍량의 경우 본 출원에서 제안한 팬 어셈블리가 적용된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표면은 풍속 분포가 더 균일하다.
동일한 소음과 동일한 풍량의 경우, 본 출원에서 제안한 팬 어셈블리가 적용된 공기조화기는 더 작은 부피를 가지고, 더 낮은 비용 또는 더 다양한 장착 공간의 요구 사항을 충족시킨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용어 "복수”는 2개 이상을 의미하고, 달리 명시적으로 한정되지 않는 한, 용어 "상”, "하” 등이 지시하는 방위 또는 위치 관계는 도면에 도시된 방위 또는 위치 관계에 기반하는 것으로,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고 설명을 간소화하기 위한 것이며, 지칭하는 장치 또는 소자가 반드시 특정된 방위, 특정된 방위의 구조 및 동작을 구비해야 함을 지시하거나 암시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발명에 대한 한정으로 이해해서는 아니 되며; 용어 "연결”, "장착”, "고정” 등은 모두 넓은 의미로 이해되어야 하고, 예를 들어 "연결”은 고정 연결, 탈착 연결 또는 일체형 연결일 수 있고; 직접 연결 또는 중간 매체를 통한 간접 연결일 수 있다. 당업자에게 있어서, 본 발명에서 상기 용어들의 구체적인 의미는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설명에서, 용어 "일 실시예”, "일부 실시예”, "구체적인 실시예” 등의 설명은 해당 실시예 또는 예를 결부하여 설명한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점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예에 포함됨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용어의 예시적인 표현은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 또는 예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설명된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점은 임의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 또는 예에서 적당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에 대해 다양한 변경 및 변화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 및 원칙 내에서 이루어진 모든 수정, 동등한 대체, 개선 등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도1 내지 도7에서 부호와 부재 명칭 사이의 대응 관계는 아래와 같다.
102 : 볼류트 104 : 하우징 본체
106 : 텅 본체 108 : 확산 흐름부
110 : 통과 흐름부 112 : 볼류트 텅
114 : 싱크대 116 : 집류기
118 : 제1 하우징 120 : 제2 하우징
122 : 입풍구 124 : 출풍구

Claims (11)

  1. 하우징 본체와 상기 하우징 본체의 개구부위에 연결된 볼류트 텅을 포함하는 볼류트;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 본체 내에 설치되는 날개바퀴를 포함하고,,
    상기 볼류트 텅은 확산 흐름부와 통과 흐름부를 포함하며, 상기 날개바퀴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통과 흐름부는 상기 확산 흐름부의 양측에 위치하고, 상기 통과 흐름부는 상기 확산 흐름부보다 높은, 팬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류트 텅은 텅 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확산 흐름부와 상기 통과 흐름부는 상기 텅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확산 흐름부는 상기 텅 본체에 오목하게 함몰되어 설치되는, 팬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바퀴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확산 흐름부의 중부의 깊이는 양단부의 깊이보다 큰, 팬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바퀴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확산 흐름부를 절취하면, 상기 확산 흐름부는 하나의 원호를 포함하거나 서로 연결된 복수의 원호를 포함하는, 팬 어셈블리.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류트의 출풍 방향에서 상기 확산 흐름부의 높이가 점차 증가하는, 팬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바퀴의 반경방향을 따라 상기 확산 흐름부를 절취하면, 상기 확산 흐름부는 직선을 포함하고, 상기 직선과 수평면 사이의 제1 협각은 8°보다 크고 12°보다 작거나 같으며; 또는
    상기 날개바퀴의 반경방향을 따라 상기 확산 흐름부를 절취하면, 상기 확산 흐름부는 원호선을 포함하고, 상기 원호선의 날개바퀴에 근접하는 일단에서의 접선과 수평면(L2) 사이의 제2 협각은 8°보다 크고 12°보다 작거나 같은, 팬 어셈블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바퀴의 반경방향을 따라, 상기 확산 흐름부는 상기 하우징 본체의 내벽에 체결되거나; 또는
    상기 날개바퀴의 반경방향을 따라, 상기 확산 흐름부와 상기 하우징 본체의 내벽 사이에 라운드 코너가 설치되어 있는 팬, 어셈블리.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 흐름부의 최대 깊이와 상기 볼류트 텅의 축방향 치수의 비율은 0.05보다 크거나 같고 0.1보다 작거나 같은, 팬 어셈블리.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류트 텅은 싱크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싱크대는 상기 통과 흐름부에 설치되고 확산 흐름부의 양측에 위치하는, 팬 어셈블리.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바퀴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볼류트의 입풍구는 상기 날개바퀴의 양측에 위치하고;
    상기 팬 어셈블리는 상기 볼류트의 입풍구에 설치된 집류기를 더 포함하는, 팬 어셈블리.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팬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20237039784A 2021-07-07 2022-04-28 팬 어셈블리 및 공기조화기 KR202301725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21538970.9U CN215490035U (zh) 2021-07-07 2021-07-07 风机组件和空调器
CN202121538970.9 2021-07-07
PCT/CN2022/089939 WO2023279817A1 (zh) 2021-07-07 2022-04-28 风机组件和空调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2571A true KR20230172571A (ko) 2023-12-22

Family

ID=79725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9784A KR20230172571A (ko) 2021-07-07 2022-04-28 팬 어셈블리 및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4368901A1 (ko)
JP (1) JP2024519553A (ko)
KR (1) KR20230172571A (ko)
CN (1) CN215490035U (ko)
AU (1) AU2022308067A1 (ko)
BR (1) BR112023024872A2 (ko)
CA (1) CA3219902A1 (ko)
WO (1) WO20232798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5490035U (zh) * 2021-07-07 2022-01-11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风机组件和空调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4020A (ja) * 1986-06-27 1988-01-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横断流送風機
JP2005037001A (ja) * 2003-07-16 2005-02-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JP4539855B2 (ja) * 2005-06-30 2010-09-08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CN101131163A (zh) * 2006-08-25 2008-02-27 浙江兴昌风机有限公司 改良结构的风机
JP4187032B2 (ja) * 2006-09-29 2008-11-2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2009270778A (ja) * 2008-05-08 2009-11-19 Hitachi Appliances Inc 空気調和機
CN210196137U (zh) * 2019-07-12 2020-03-27 广东美的白色家电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离心风机及其蜗壳和家用电器
CN210565177U (zh) * 2019-10-10 2020-05-19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风机和烹饪器具
CN215490035U (zh) * 2021-07-07 2022-01-11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风机组件和空调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2308067A1 (en) 2023-12-07
BR112023024872A2 (pt) 2024-02-15
JP2024519553A (ja) 2024-05-16
WO2023279817A1 (zh) 2023-01-12
CN215490035U (zh) 2022-01-11
EP4368901A1 (en) 2024-05-15
CA3219902A1 (en) 2023-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67510B2 (en) Centrifugal fan and air conditioner
EP3530961B1 (en) Flow guiding ring structure, axial flow fan and air-conditioner
WO2014061642A1 (ja) ターボファンおよび空気調和機
JP2000205589A (ja) 空気調和機
CN106593952A (zh) 轴流风叶及具有其的风机、空调室外机
KR20230172571A (ko) 팬 어셈블리 및 공기조화기
CN210799449U (zh) 一种离心式管道风机
TWM240487U (en) Modified centrifugal fan wheel
KR100724824B1 (ko) 공기조화장치의 실외기
WO2021169197A1 (zh) 一种离心风机和空调装置
CN209761863U (zh) 一种可降低高频阶次噪音的蜗壳
CN102146934A (zh) 扇轮
CN213066352U (zh) 风道结构、移动空调和公共饮食场所排气风机、中央空调
CN211575275U (zh) 空调室内机及空调器
CN210404946U (zh) 一种增程器及控制器散热装置
CN209908804U (zh) 一种离心风机
CN218864346U (zh) 一种空调器室外机及空调系统
CN217481585U (zh) 一种贯流风叶的安装结构及壁挂内机、空气调和机
CN212508971U (zh) 一种新型风扇复合叶轮
CN220981440U (zh) 取暖器
CN214370859U (zh) 风口组件、出风组件和空调系统
CN220705996U (zh) 电机散热风扇
CN219197727U (zh) 一种仿涡流流道型散热装置
CN216788809U (zh) 一种离心风机用集流器及应用其的多翼离心风机
CN212079737U (zh) 叶片、叶轮、风机及油烟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