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2551A - Control device for incinerator equipment - Google Patents

Control device for incinerator e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2551A
KR20230172551A KR1020237039447A KR20237039447A KR20230172551A KR 20230172551 A KR20230172551 A KR 20230172551A KR 1020237039447 A KR1020237039447 A KR 1020237039447A KR 20237039447 A KR20237039447 A KR 20237039447A KR 20230172551 A KR20230172551 A KR 20230172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ace body
image information
incinerated
control device
fee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94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노부하루 이와시타
히로토 구사카
도시히코 세토구치
준지 이마다
다쿠이치로 다이마루
고우지 나메리사와
게이이치 하야시
도모미치 에구사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코 칸쿄 카가쿠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코 칸쿄 카가쿠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코 칸쿄 카가쿠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72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2551A/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44Details; Accessories
    • F23G5/442Waste feed arrangements
    • F23G5/444Waste feed arrangements for solid was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7/00Control
    • F23G2207/10Arrangement of sens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7/00Control
    • F23G2207/20Waste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2Heat utilisation in combustion or incineration of was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cineration Of Waste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소각로 설비의 제어 장치는, 피소각물을 연소시키면서 반송하는 노 본체와, 노 본체에 피소각물을 공급하는 피더를 갖는 소각로 설비의 제어 장치로서, 피더의 단부와 접속되는, 노 본체의 수용구를 포함하는 화상 정보를 주기적으로 취득하는 화상 정보 취득부와, 화상 정보에 근거하여 수용구에 있어서의 피소각물이 노 본체에 대하여 돌출된 상태인지 아닌지를 인식하는 화상 정보 인식부와, 피소각물이 노 본체에 대하여 돌출된 상태인 것이, 소정 시간 계속적으로 인식된 경우, 피소각물이 노 본체에 대하여 과잉 공급될 전조가 있다고 판정하는 공급 상태 판정부를 구비한다.The control device of the incinerator facility is a control device of the incinerator facility, which has a furnace body that conveys the incinerated material while burning it, and a feeder that supplies the incinerated material to the furnace body, and includes a receiving port of the furnace body that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feeder. an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that periodically acquires image information, an image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that recognizes whether the incinerated object in the receiving port is in a state protruding from the furnace body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and an image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that recognizes whether the incinerated object in the receiving port is in a state of protruding from the furnace body; It is provided with a supply state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that there is a sign that the incinerated material will be excessively supplied to the furnace body when it is continuously recognized that it is in a protruding state with respect to the furnace body.

Description

소각로 설비의 제어 장치Control device for incinerator equipment

본 개시는, 소각로 설비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is disclosure relates to a control device for incinerator equipment.

본원은, 2021년 6월 29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허출원 2021-107370호에 대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This application claims priority to Patent Application No. 2021-107370 filed in Japan on June 29, 2021, and uses the content here.

특허문헌 1에는, 다음과 같은 폐기물 소각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즉,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폐기물 소각 장치에서는, 노에 낙하하기 전의 폐기물의 화상과 노에 낙하한 후의 폐기물의 화상의 차분 화상에 근거하여, 실제로 노에 공급된 폐기물의 공급량이 검지된다. 또,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폐기물 소각 장치에서는, 폐기물 공급량의 현재가가 소정 공급량 범위보다 높은 경우는, 급진기(給塵機)에 대하여 폐기물 공급 속도를 감소시키고 화격자(火格子)에 대한 폐기물의 공급량을 감소시키는 지령, 연소용 1차 공기량을 증가시키며 폐기물의 연소를 촉진하는 지령 등을 발하여 조업 조건을 변화시킴으로써, 화격자에 대한 폐기물 공급량을 감소시킴과 함께, 화격자의 폐기물의 연소를 촉진하여, 화격자 상의 폐기물량을 감소시키는 제어가 행해진다.Patent Document 1 discloses the following waste incineration device. That is, in the waste incineration devic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the amount of waste actually supplied to the furnace is detected based on the difference image between the image of the waste before falling into the furnace and the image of the waste after falling into the furnace. Additionally, in the waste incineration devic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when the current value of the waste supply amount is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supply amount range, the waste supply speed is reduced to the radical and the waste to the grate is reduced. By changing the operating conditions by issuing instructions to reduce the supply amount, increase the amount of primary air for combustion, and promote combustion of waste, it reduces the amount of waste supplied to the grate and promotes combustion of waste in the grate. , control is performed to reduce the amount of waste on the grate.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20-128837호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20-128837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폐기물 소각 장치에서는, 폐기물 공급량의 현재가에 근거하여 조업 조건 등이 변화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공급량의 변화에 따른 연소용 공기량의 증가 등의 제어에 지연이 발생해 버린다는 과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waste incineration devic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operating conditions, etc. change based on the current price of the waste supply amount, so there is a delay in controlling, for example,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combustion air due to a change in the supply amount. There was a task.

본 개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폐기물 등의 피연소물의 공급량의 변화에 따른 제어의 지연을 개선할 수 있는 소각로 설비의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disclosure was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control device for incinerator facilities that can improve control delays due to changes in the supply amount of incombustible materials such as wast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개시에 관한 소각로 설비의 제어 장치는, 피소각물을 연소시키면서 반송하는 노 본체와, 상기 노 본체에 상기 피소각물을 공급하는 피더를 갖는 소각로 설비의 제어 장치로서, 상기 피더의 단부(端部)와 접속되는, 상기 노 본체의 수용구를 포함하는 화상 정보를 주기적으로 취득하는 화상 정보 취득부와, 상기 화상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수용구에 있어서의 상기 피소각물이 상기 노 본체에 대하여 돌출된 상태인지 아닌지를 인식하는 화상 정보 인식부와, 상기 피소각물이 상기 노 본체에 대하여 돌출된 상태인 것이, 소정 시간 계속적으로 인식된 경우, 상기 피소각물이 상기 노 본체에 대하여 과잉 공급될 전조가 있다고 판정하는 공급 상태 판정부를 구비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control device of the incinerator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s a control device of the incinerator facility having a furnace body that conveys the incinerated material while burning it, and a feeder that supplies the incinerated material to the furnace body, An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connected to the end of the feeder and periodically acquiring image information including the receiving port of the furnace body, and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the incinerated object in the receiving port is an image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that recognizes whether or not the incinerated object is in a protruding state with respect to the furnace body; and, when it is continuously recogniz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at the incinerated object is in a protruding state with respect to the furnace body, It is provided with a supply status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that there is a sign of oversupply.

본 개시의 소각로 설비의 제어 장치에 의하면, 폐기물 등의 피연소물의 공급량의 변화에 따른 제어의 지연을 개선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trol device of the incinerator facility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possible to improve control delays due to changes in the supply amount of incombustible materials such as waste.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한 소각로 설비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한 제어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한 적외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한 제어 장치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한 제어 장치의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한 제어 장치의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한 제어 장치의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한 제어 장치의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한 제어 장치의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한 컴퓨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an incinerator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infrared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4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operation of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5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example of a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6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example of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7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example of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8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example of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9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example of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10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mpu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소각로 설비의 제어 장치의 구성)(Configuration of the control device of the incinerator equipment)

이하,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한 소각로 설비의 제어 장치에 대하여, 도 1~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한 소각로 설비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한 제어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한 적외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한 제어 장치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5~도 9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한 제어 장치의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한 컴퓨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대응하는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여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Hereinafter, a control device for an incinerator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an incinerator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infrared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4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operation of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5 to 9 are schematic diagrams for explaining an operation example of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0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mpu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addition, in each drawing,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scriptions are omitted as appropriate.

(소각로 설비의 구성)(Configuration of incinerator equipment)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관한 소각로 설비(100)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내는 예시적인 형태에서는, 소각로 설비(100)는, 도시 쓰레기, 산업 폐기물, 또는 바이오매스 등을 고체 연료(Fg)로 하는 스토커식의 쓰레기 소각로이다. 또한, 소각로 설비(100)는, 스토커식의 쓰레기 소각로에 한정되지 않는다.FIG. 1 shows a configuration example of an incinerator facilit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the exemplary form shown in FIG. 1, the incinerator facility 100 is a stoker-type waste incinerator that uses municipal waste, industrial waste, or biomass as solid fuel (Fg). Additionally, the incinerator facility 100 is not limited to a stoker-type waste incinerator.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각로 설비(100)는, 호퍼(102)와, 피더부(104)와, 연소실(108)과, 압출 장치(110)(급진 장치)와, 공기 공급 장치(112)와, 열 회수 보일러(114)와, 감온탑(減溫塔)(116)과, 집진 장치(118)와, 굴뚝(120)을 포함한다. 연소실(108)은, 본 개시에 관한 피소각물을 연소시키면서 반송하는 노 본체의 일례이다. 압출 장치(110)는, 본 개시에 관한 노 본체에 피소각물을 공급하는 피더의 일례이다.As shown in FIG. 1, the incinerator equipment 100 includes a hopper 102, a feeder portion 104, a combustion chamber 108, an extrusion device 110 (expelling device), and an air supply device 112. It includes a heat recovery boiler 114, a temperature reduction tower 116, a dust collector 118, and a chimney 120. The combustion chamber 108 is an example of a furnace body that conveys the incinerated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le burning it. The extrusion device 110 is an example of a feeder that supplies incinerated materials to the furnace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피더부(104)는, 연소실(108)을 향하여 뻗는 통로이다. 피더부(104)는, 호퍼(102)에 투입된 폐기물(이물) 등의 피연소물인 고체 연료(Fg)가 퇴적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소각로 설비(100) 내를 고체 연료(Fg)가 이동하는 방향을 이동 방향 W1로 하면, 피더부(104)의 이동 방향 W1의 하류 측의 하류 측 단부(121)(피더부(104)의 연소실(108) 측의 단부)는 연소실(108)의 수용구(122)와 접속하고 있다.The feeder portion 104 is a passage extending toward the combustion chamber 108. The feeder portion 104 is configured so that solid fuel Fg, which is a combustible material such as waste (foreign matter) introduced into the hopper 102, is deposited. If the direction in which the solid fuel Fg moves within the incinerator facility 100 is referred to as the moving direction W1, the downstream end 121 (combustion chamber of the feeder section 104)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moving direction W1 of the feeder section 104 The end (108) side is connected to the receiving port 122 of the combustion chamber 108.

압출 장치(110)는, 피더부(104)에 퇴적한 고체 연료(Fg)를, 수용구(122)를 통하여 연소실(108)에 압출하기 위한 압출 암(124)을 갖는다. 압출 암(124)은, 피더부(104) 내를 이동 방향 W1의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 및 하류 측으로부터 상류 측을 향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압출 암(124)은, 피더부(104) 내를 피더부(104)의 연재 방향(수평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한다.The extrusion device 110 has an extrusion arm 124 for extruding the solid fuel Fg deposited in the feeder portion 104 into the combustion chamber 108 through the receiving port 122. The extrusion arm 124 is configured to be able to move within the feeder unit 104 from the upstream side to the downstream side and from the downstream side to the upstream side in the moving direction W1. That is, the extrusion arm 124 reciprocates within the feeder portion 104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horizontal direction) of the feeder portion 104.

연소실(108)은, 수용구(122)를 통하여 연소실(108)에 압출된 고체 연료(Fg)가 낙하하는 화격자(126)(스토커)를 포함한다. 이 화격자(126)는, 연소실(108)의 바닥부에 상당한다. 화격자(126)는, 화격자(126) 상의 고체 연료(Fg)를 수용구(122)로부터 멀어져 가는 방향(이동 방향 W1의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연소실(108)은, 이동 방향 W1의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을 향하여 차례로 나열되는 건조 영역(128), 연소 영역(130), 및 후 연소 영역(132)을 포함한다. 건조 영역(128)은, 연소실(108) 내의 열에 의하여 고체 연료(Fg)를 건조시킨다. 연소 영역(130)은, 화염(131)을 올려 고체 연료(Fg)를 연소시킨다. 후 연소 영역(132)은, 연소 영역(130)에서 연소되지 않은 번아웃을 완전 연소시킨다. 연소실(108)에서 건조, 연소, 후 연소된 고체 연료(Fg)는 재(135)가 되어, 소각로 설비(100) 외로 배출된다.The combustion chamber 108 includes a grate 126 (stoker) onto which the solid fuel Fg extrud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108 through the receiving port 122 falls. This grate 126 corresponds to the bottom of the combustion chamber 108. The grate 126 is configured to move the solid fuel Fg on the grate 126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receiving port 122 (from the upstream side to the downstream side in the moving direction W1). Additionally, the combustion chamber 108 includes a drying region 128, a combustion region 130, and a post-combustion region 132 that are sequentially arranged from the upstream side to the downstream side in the moving direction W1. The drying area 128 dries the solid fuel Fg by heat within the combustion chamber 108. The combustion region 130 raises the flame 131 to combust the solid fuel (Fg). The post-combustion region 132 completely combusts the burnout that has not been burned in the combustion region 130. The solid fuel (Fg) dried, burned, and post-combusted in the combustion chamber 108 becomes ash 135 and is discharged outside the incinerator facility 100.

공기 공급 장치(112)는, 고체 연료(Fg)의 연소에 이용되는 1차 공기, 및, 고체 연료(Fg)의 연소에 의하여 발생한 일산화 탄소와 같은 미연 가스의 농도 저감에 이용되는 2차 공기를 연소실(108)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도 1에 나타내는 예시적인 형태에서는, 공기 공급 장치(112)는, 공기 공급관(136)과, 공기 공급관(136)에 마련된 블로어(138)를 포함한다. 공기 공급관(136)을 유통하는 공기는, 일부가 1차 공기로서 제1 유량 조절 밸브(140)를 통하여 화격자(126)로부터 연소실(108)의 하부에 공급됨과 함께, 나머지의 일부가 2차 공기로서 제2 유량 조절 밸브(142)를 통하여 연소실(108)의 측벽으로부터 연소실(108)의 상부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공기 공급 장치(112)는, 연소실(108)의 상부에 2차 공기를 공급하는 2차 공기 공급 장치로서 기능한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예시적인 형태에서는, 연소실(108)의 건조 영역(128), 연소 영역(130), 및 후 연소 영역(132)의 각각에 1차 공기가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air supply device 112 supplies primary air used for combustion of solid fuel (Fg) and secondary air used to reduce the concentration of unburned gas such as carbon monoxide generated by combustion of solid fuel (Fg). It is configured to supply to the combustion chamber 108. In the exemplary form shown in FIG. 1 , the air supply device 112 includes an air supply pipe 136 and a blower 138 provided in the air supply pipe 136. The air flowing through the air supply pipe 136 is partly supplied as primary air from the grate 126 to the lower part of the combustion chamber 108 through the first flow control valve 140, and the remaining part is secondary air. It is supplied from the side wall of the combustion chamber 108 to the upper part of the combustion chamber 108 through the second flow control valve 142. The air supply device 112 functions as a secondary air supply device that supplies secondary air to the upper part of the combustion chamber 108. Additionally, in the exemplary form shown in FIG. 1, primary air is supplied to each of the drying area 128, combustion area 130, and post-combustion area 132 of the combustion chamber 108.

열 회수 보일러(114), 감온탑(116), 집진 장치(118), 및 굴뚝(120)의 각각은, 고체 연료(Fg)가 연소하여 생성되는 배기가스(143)가 유통하는 소각로 설비(100)의 화기 통로(144)에 마련된다. 배기가스(143)는, 열 회수 보일러(114), 감온탑(116), 집진 장치(118), 굴뚝(120)의 순서로 유통한다. 열 회수 보일러(114)는, 배기가스(143)의 열에너지로부터 증기를 생성한다. 감온탑(116)은, 열 회수 보일러(114)를 통과한 배기가스(143)의 온도를 낮춘다. 집진 장치(118)는, 감온탑(116)을 통과한 배기가스(143)에 포함되는 비회(飛灰)를 포집한다. 굴뚝(120)은, 집진 장치(118)를 통과한 배기가스(143)를 소각로 설비(100)의 외부에 배기한다. 또한, 열 회수 보일러(114)에서 생성된 증기는, 도시하지 않은 증기 터빈에 공급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Each of the heat recovery boiler 114, the temperature reduction tower 116, the dust collector 118, and the chimney 120 is an incinerator facility 100 through which exhaust gas 143 generated by combustion of solid fuel (Fg) flows. ) is provided in the fire passage 144. The exhaust gas 143 flows through the heat recovery boiler 114, the temperature reduction tower 116, the dust collector 118, and the chimney 120 in that order. The heat recovery boiler 114 generates steam from the heat energy of the exhaust gas 143. The temperature reduction tower 116 lowers the temperature of the exhaust gas 143 that has passed through the heat recovery boiler 114. The dust collector 118 collects fly ash contained in the exhaust gas 143 that has passed through the temperature reduction tower 116. The chimney 120 exhausts the exhaust gas 143 that has passed through the dust collector 118 to the outside of the incinerator facility 100. Additionally, steam generated in the heat recovery boiler 114 may be configured to be supplied to a steam turbine (not shown).

(제어 장치의 구성)(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상술한 소각로 설비(100)에 적용되는 제어 장치(4)는, 피소각물을 연소시키면서 반송하는 연소실(108)과, 연소실(108)에 피소각물을 공급하는 압출 장치(110)를 갖는 소각로 설비(100)의 제어 장치이다. 제어 장치(4)는, 컴퓨터와, 컴퓨터의 주변 장치 등의 하드웨어와, 컴퓨터가 실행하는 프로그램 등의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부터 구성되는 기능적 구성으로서, 다음의 각 부를 구비한다. 즉, 제어 장치(4)는, 화상 정보 취득부(41)와, 화상 정보 인식부(42)와, 공급 상태 판정부(43)와, 연소용 공기량 제어부(44)와, 피더 제어부(45)와, 과잉 공급 검지부(46)와, 돌출량 검지부(47)와, 모델 학습부(48)와, 기억부(49)를 구비한다. 또, 기억부(49)는, 복수의 학습 완료 모델(491)과, 복수의 화상 정보(492)를 기억한다.The control device 4 applied to the above-described incinerator facility 100 is an incinerator facility having a combustion chamber 108 that conveys the incinerated material while burning it, and an extrusion device 110 that supplies the incinerated material to the combustion chamber 108 ( 100) control device. The control device 4 is a functional configuration comprised of a combination of hardware such as a computer and peripheral devices of the computer, and software such as programs executed by the computer, and includes the following parts. That is, the control device 4 includes an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41, an image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42, a supply state determination unit 43, a combustion air quantity control unit 44, and a feeder control unit 45. It is provided with an oversupply detection unit 46, a protrusion amount detection unit 47, a model learning unit 48, and a storage unit 49. Additionally, the storage unit 49 stores a plurality of learned models 491 and a plurality of image information 492.

화상 정보 취득부(41)는, 촬상 장치(2)가 촬영한 피더부(104) 등을 포함하는 영역인 피더 근방 영역을 나타내는 화상 신호를 포함하는 화상 정보를 주기적으로 취득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화상 정보는, 촬영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신호와, 화상 신호의 촬영 일시를 나타내는 정보, 촬영 시에 있어서의 압출 암(124)의 스트로크 총 길이(피더의 총 압출 길이)를 나타내는 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압출 암(124)의 스트로크 총 길이는, 피소각물의 과잉 공급("급락" 등이라고도 불린다)이 발생한 시점을 기점으로서, 압출 암(124)을 이동 방향 W1의 상류로부터 하류로 이동시킨 길이의 합곗값이다. 피더 근방 영역은, 예를 들면, 고체 연료(Fg)의 전면(前面)(Fr)을 주목 영역으로서 포함하는 영역이다.The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41 periodically acquires image information including an image signal indicating the feeder vicinity area, which is the area including the feeder unit 104 and the like captured by the imaging device 2.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image information includes an image signal representing a captured image, information representing the shooting date and time of the image signal, and the total stroke length of the extrusion arm 124 at the time of shooting (total extrusion length of the feeder). It may include information indicating . The total stroke length of the extrusion arm 124 is the sum of the lengths by which the extrusion arm 124 is moved from upstream to downstream in the moving direction W1, starting from the point in time when excessive supply of the incinerated material (also called "plunge", etc.) occurs. It's the price. The area near the feeder is, for example, an area including the front surface (Fr) of the solid fuel (Fg) as an area of interest.

또한, 촬상 장치(2)는, 소각로 설비(100)의 피더부(104)에 퇴적되어 있는 고체 연료(Fg)가 연소실(108)에 낙하하기 전의 고체 연료(Fg)의 적외 화상(열 화상)을 촬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촬상 장치(2)에 의하여 촬상된 고체 연료(Fg)의 적외 화상은, 리얼 타임으로 제어 장치(4)에 보내지도록 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예시적인 형태에서는, 촬상 장치(2)는, 연소실(108)에 낙하하기 전의 고체 연료(Fg)의 표면 중 연소실(108)에 대향하는 전면(Fr)의 적외 화상을 촬상하도록, 연소실(108)의 후 연소 영역(132)보다 이동 방향 W1의 하류 측에 위치하는 연소실(108)의 노고(爐尻)(145)에 마련되어 있다. 이 촬상 장치(2)는, 연소실(108)의 수용구(122)로부터 돌출된 고체 연료(Fg)의 전면(Fr)의 적외 화상을 촬상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고체 연료(Fg)의 전면(Fr)의 적외 화상을 촬상 가능하다면, 촬상 장치(2)는 연소실(108)의 노고(145) 이외에 마련되어도 된다.Additionally, the imaging device 2 captures an infrared image (thermal image) of the solid fuel Fg deposited in the feeder portion 104 of the incinerator facility 100 before the solid fuel Fg falls into the combustion chamber 108. It is configured to capture images. The infrared image of the solid fuel Fg captured by the imaging device 2 is sent to the control device 4 in real time. In the exemplary form shown in FIG. 1, the imaging device 2 captures an infrared image of the front surface Fr facing the combustion chamber 108 among the surfaces of the solid fuel Fg before falling into the combustion chamber 108. It is provided in the furnace 145 of the combustion chamber 108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moving direction W1 than the post-combustion area 132 of the combustion chamber 108. This imaging device 2 is capable of capturing an infrared image of the front surface Fr of the solid fuel Fg protruding from the receiving port 122 of the combustion chamber 108. Additionally, as long as it is possible to capture an infrared image of the front surface Fr of the solid fuel Fg, the imaging device 2 may be provided in a location other than the nogo 145 of the combustion chamber 108.

또, 촬상 장치(2)는, 예를 들면, 적외선 카메라이며, 화염(131)으로부터의 방사가 적은 소정의 파장역의 적외선을 검출한다. 이 경우, 소정의 파장역의 범위는, 예를 들면, 2μm 이상 5μm 이하이다. 보다 화염(131)의 영향을 억제하여 고체 연료(Fg)의 전면(Fr)의 적외 화상을 촬상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파장역의 범위는 3.8μm 이상 4.2μm 이하이다. 또한, 적외 화상으로서 촬상하는 대상 파장역은, 0.8μm~1000μm이다. 이 파장역에 밴드 패스 필터 등을 통과시킴으로써, 필요에 따라, 일부의 파장만을 사용하는 운용도 가능하다.Additionally, the imaging device 2 is, for example, an infrared camera and detects infrared rays in a predetermined wavelength range in which there is little radiation from the flame 131. In this case, the range of the predetermined wavelength range is, for example, 2 μm or more and 5 μm or less. In order to further suppress the influence of the flame 131 and capture an infrared image of the front surface (Fr) of the solid fuel (Fg), the range of the predetermined wavelength range is 3.8 μm or more and 4.2 μm or less. Additionally, the target wavelength range for imaging as an infrared image is 0.8 μm to 1000 μm. By passing this wavelength range through a band-pass filter or the like, operation using only a part of the wavelength is possible, if necessary.

또, 촬상 장치(2)는, 화염(131) 너머로 고체 연료(Fg)의 전면(Fr)의 적외 화상을 촬상 가능하다면 적외선 카메라에 한정되지 않는다. 몇 개의 실시형태에서는, 촬상 장치(2)는, 가시광 카메라와, 가시광 카메라에 입사하는 투과 파장을 소정의 파장역으로 제한하는 필터 장치를 포함한다.Additionally, the imaging device 2 is not limited to an infrared camera as long as it can capture an infrared image of the front surface Fr of the solid fuel Fg beyond the flame 131. In some embodiments, the imaging device 2 includes a visible light camera and a filter device that limits the transmitted wavelength incident on the visible light camera to a predetermined wavelength range.

화상 정보 인식부(42)는, 화상 정보 취득부(41)가 취득한 화상 정보에 근거하여 피더 근방 영역에 있어서의 고체 연료(Fg)가 연소실(108)에 대하여 돌출된 상태인지 아닌지를 인식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화상 정보 인식부(42)는, 학습 완료 모델(491)을 이용하여, 피더 근방 영역에 있어서의 고체 연료(Fg)가 연소실(108)에 대하여 돌출된 상태인지 아닌지를 인식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화상 정보 인식부(42)는, 피더 근방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한 분할 영역마다, 고체 연료(Fg)가 연소실(108)에 대하여 돌출된 상태인지 아닌지를 인식한다. 이 경우, 학습 완료 모델(491)은, 분할 영역마다 학습된다.The image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42 recognizes whether the solid fuel Fg in the area near the feeder is protruding from the combustion chamber 108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41. In this embodiment, the image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42 uses the learned model 491 to recognize whether the solid fuel Fg in the area near the feeder is in a state protruding from the combustion chamber 108. .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image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42 recognizes whether the solid fuel Fg is in a state protruding from the combustion chamber 108 for each divided area in which the area near the feeder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 In this case, the learned model 491 is learned for each divided region.

학습 완료 모델(491)은, 예를 들면, 심층 학습 모델이며, 적어도 화상 정보를 설명 변수로 하고, 고체 연료(Fg)의 돌출이 있음, 없음, 및, 시야 불량을 목적 변수로 하여 미리 교사(敎師)가 있는 학습에 의하여 학습된 모델이다. 학습 완료 모델(491)은, 예를 들면, 적어도 화상 정보를 설명 변수로서 입력하고, 고체 연료(Fg)의 돌출의 있음, 없음, 및, 시야 불량을 목적 변수로 하여 출력한다. 학습 완료 모델(491)은, 예를 들면 뉴럴 네트워크를 요소로 하고, 입력되는 다수의 데이터에 대하여 요구하는 답이 출력되도록, 기계 학습에 의하여 뉴럴 네트워크의 각 층의 뉴런 간의 가중값 부여 계수가 최적화되어 있다. 학습 완료 모델(491)은, 예를 들면, 입력으로부터 출력까지의 연산을 행하는 프로그램과 당해 연산에 이용되는 가중값 부여 계수(파라미터)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또, 학습 완료 모델(491)은, 예를 들면, 촬상 장치(2)가 촬영한 적외 화상을 임의 영역에서 분할한 분할 영역마다 학습된다.The learned model 491 is, for example, a deep learning model, and is prepared in advance by a teacher ( It is a model learned through learning with a teacher. For example, the learned model 491 inputs at least image information as an explanatory variable and outpu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protrusion of the solid fuel Fg and poor visibility as target variables. The learned model 491, for example, uses a neural network as an element, and the weighting coefficients between neurons in each layer of the neural network are optimized through machine learning so that the required answer is output for a large number of input data. there is. The learned model 491 is composed, for example, of a combination of a program that performs calculations from input to output and weighting coefficients (parameters) used in the calculations. In addition, the learned model 491 is learned for each divided area obtained by dividing an infrared image captured by the imaging device 2 in an arbitrary area, for example.

도 3은, 촬상 장치(2)가 촬영한 적외 화상(201)의 예를 나타낸다. 화상 정보 인식부(42)는, 적외 화상(201)을, 이동 방향 W1에 직교하는 방향(X1 방향으로 한다)으로, 왼쪽 영역(RL)과, 중앙 영역(RC)과, 오른쪽 영역(RR)에 3분할하고, 각 분할 영역을, 돌출의 있음, 없음, 또는, 시야 불량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한다. 도 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중앙 영역(RC)이 돌출 있음, 왼쪽 영역(RL)과 오른쪽 영역(RR)이 돌출 없음으로 분류된다. 또한, 시야 불량은, 예를 들면, 재 등이 촬상 장치(2)와 피더 근방 영역의 사이에 개재하는 경우에 촬영된 화상 등에 대응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3분할로 하고 있지만, 3분할에 한정되지 않는다. 고체 연료(Fg)는, 압출 장치(110)에 의하여 균일하게 밀리지만, 쓰레기가 얽히기 때문에 균일하게 노 내에 떨어지지 않는다. 또, 떨어질 때, 안쪽의 쓰레기도 얽혀서 함께 떨어지는 경우가 있으며, 쓰레기의 면이 균일하게 되지 않기 때문에, 주목 영역을 복수 마련하고 있다.FIG. 3 shows an example of an infrared image 201 captured by the imaging device 2. The image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42 divides the infrared image 201 into a left area RL, a center area RC, and a right area RR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movement direction W1 (X1 direction). is divided into three, and each divided area is classified as having protrusion, no protrusion, or poor visibility. In the example shown in FIG. 3, the center area RC is classified as protruding, and the left area RL and right area RR are classified as non-protruding. In addition, poor visibility corresponds to images captured when ash or the like is interposed between the imaging device 2 and the area near the feeder, for example. In addition, although it is divided into three in this embodiment, it is not limited to three divisions. The solid fuel Fg is pushed uniformly by the extrusion device 110, but does not fall uniformly into the furnace because waste becomes entangled. In addition, when falling, the trash inside may become entangled and fall together, and the surface of the trash is not uniform, so multiple attention areas are provided.

학습 완료 모델(491)은, 분할한 영역마다, 화상 정보에 근거하여 쓰레기의 돌출 있음, 없음, 시야 불량으로 분류한 심층 학습에 의한 판정 모델로 할 수 있지만, 판정 모델 작성에 있어서, 스트로크 총 길이 등의 운전 데이터도 함께 설명 변수로서 이용하여 학습시켜도 된다. 또한, 화상 정보는, 실제 운전 중의 화상 정보(492)여도 되고, 과거의 화상 정보(492)를 이용해도 된다.The learned model 491 can be a judgment model based on deep learning that classifies each divided region into whether there is a protrusion of garbage, no garbage, or poor visibility based on image information. However, in creating the judgment model, the total stroke length Driving data such as the like may also be used as explanatory variables for learning. Additionally, the image information may be image information 492 during actual driving, or past image information 492 may be used.

공급 상태 판정부(43)는, 고체 연료(Fg)가 연소실(108)에 대하여 돌출된 상태인 것이, 소정 시간 계속적으로 인식된 경우, 고체 연료(Fg)가 연소실(108)에 대하여 과잉 공급될(급락이 될) 전조가 있다고 판정한다. 또, 공급 상태 판정부(43)는, 적어도, 복수의 분할 영역에서, 고체 연료(Fg)가 연소실(108)에 대하여 돌출된 상태인 것이, 소정 시간 계속적으로 인식된 경우, 고체 연료(Fg)가 연소실(108)에 대하여 과잉 공급될 전조가 있다고 판정한다. 또한, 화상 정보 인식부(42)가, 적어도 화상 정보를 설명 변수로 하고, 고체 연료(Fg)의 돌출의 있음, 없음, 및, 시야 불량을 목적 변수로 하여 구하는 학습 완료 모델(491)을 이용하여, 고체 연료(Fg)가 연소실(108)에 대하여 돌출된 상태인지 아닌지를 인식하는 경우, 공급 상태 판정부(43)는, 다음과 같이 판정한다. 즉, 공급 상태 판정부(43)는, 적어도, 고체 연료(Fg)가 연소실(108)에 대하여 돌출된 상태인 것이, 소정 시간 계속적으로 인식되고, 또한, 압출 장치(110)가 고체 연료(Fg)를 압입 중인 경우, 고체 연료(Fg)가 연소실(108)에 대하여 과잉 공급될 전조가 있다고 판정한다.When the supply state determination unit 43 continuously recognizes that the solid fuel Fg is protruding from the combustion chamber 108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solid fuel Fg will be excessively su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108. It is judged that there is a warning (of a sharp decline). In addition, when the supply state determination unit 43 continuously recognizes that the solid fuel Fg is in a state protruding with respect to the combustion chamber 108 in at least a plurality of divided areas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solid fuel Fg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warning that the combustion chamber 108 will be oversupplied. In addition, the image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42 uses a learned model 491 that determines at least image information as an explanatory variable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protrusion of the solid fuel Fg and poor visibility as objective variables. Therefore, when recognizing whether or not the solid fuel Fg is in a state protruding from the combustion chamber 108, the supply state determination unit 43 determines as follows. That is, the supply state determination unit 43 continuously recognizes that at least the solid fuel Fg is in a state protruding from the combustion chamber 108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the extrusion device 110 continuously recognizes that the solid fuel Fg ) is being pressurized,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risk that the solid fuel Fg will be excessively su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108.

공급 상태 판정부(43)는, 예를 들면, 급락 전조 판정에 있어서, 다음의 조건을 모두 충족시키는지 아닌지로 전조 판정을 행한다. (조건 1) 3분할된 화상 정보로부터, 돌출 있음이 3분할 중 2분할 이상 있음. (조건 2) 5초 계속하여 발생. (조건 3) 피더 동작이 압입 중이다. 또한, 검지 시간은, 예를 들면 소정 시간(예를 들면 60초간) 계속하도록 했다. 이 검지 시간은, 전조 판정의 조건이 성립한 후, 실제로 급락(과잉 공급)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 다음의 전조 판정을 행할 때까지의 대기 시간이다. 전조 판정의 조건이 성립한 후, 실제로 급락(과잉 공급)이 발생한 경우는, 곧바로 다음의 전조 판정을 행할 수 있다. 상기 소정 시간은, 예를 들면, 1회의 평균적인 압입 시간에 맞추어 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in making a plunge prediction decision, the supply state determination unit 43 makes a prediction decision based on whether all of the following conditions are satisfied. (Condition 1) From the image information divided into 3 segments, there is protrusion in 2 or more of the 3 segments. (Condition 2) Occurs continuously for 5 seconds. (Condition 3) Feeder operation is press-fitting. Additionally, the detection time was set to continu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for example, 60 seconds). This detection time is the waiting time after the conditions for the precursor judgment are established until the next precursor judgment is performed when a sudden drop (oversupply) does not actually occur. After the conditions for the precursor judgment are established, if a sharp decline (oversupply) actually occurs, the next precursor judgment can be made immediately. The predetermined time can be adjusted, for example, to match the average pressing time of one time.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공급 상태 판정부(43)는, 고체 연료(Fg)가 연소실(108)에 대하여 돌출된 상태인 것이, 소정 시간 계속적으로 인식되고, 또한, 압출 장치(110)의 스트로크 총 길이(총 압출 길이)에 근거하는 과잉 공급 발생 확률이 소정의 임곗값 이상인 경우, 고체 연료(Fg)가 연소실(108)에 대하여 과잉 공급될 전조가 있다고 판정한다. 도 5는, 압출 장치(110)의 스트로크 총 길이에 근거하는 과잉 공급 발생 확률의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가로축을 스트로크 총 길이, 세로축 급락 발생 확률로서, 스트로크 총 길이에 대한 급락 발생 확률의 예를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대개, 스트로크 총 길이가 L1인 경우, 발생 확률이 10%, 스트로크 총 길이가 L2인 경우, 발생 확률이 40%, 스트로크 총 길이가 L3인 경우, 발생 확률이 70%, 스트로크 총 길이가 L4인 경우, 발생 확률이 90%이다. 또한, 실선(實線)은, 피더 압입 중에 급락이 발생한 경우, 쇄선(鎖線)은, 피더 후진 중 또는 정지 중에 급락이 발생한 경우이다. 도 5에 나타내는 예(플랜트)는, 일반적인 1회당의 스트로크 길이가 L2와 L3의 사이 정도로 제어된 예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pply state determination unit 43 continuously recognizes that the solid fuel Fg is in a state protruding from the combustion chamber 108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further, the stroke of the extrusion device 110 When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oversupply based on the total length (total extruded length)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threshold,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solid fuel Fg will be oversu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108. Figure 5 shows an example of the probability of oversupply occurring based on the total stroke length of the extrusion device 110. Figure 5 shows an example of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a plunge with respect to the total stroke length, with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ing the total stroke length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ing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a plunge. In the example shown in Figure 5, in general, when the total stroke length is L1,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is 10%, when the total stroke length is L2,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is 40%, and when the total stroke length is L3,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is 70%. , if the total stroke length is L4,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is 90%. In addition, the solid line indicates a case where a sudden drop occurs during feeder press-in, and the dashed line indicates a case where a sudden drop occurs during feeder retraction or stop. The example (plant) shown in FIG. 5 is an example in which the typical stroke length per stroke is controlled to be approximately between L2 and L3.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공급 상태 판정부(43)는, 상술한 전조 판정의 모든 조건이 충족된 경우에서도, 압출 장치(110)의 스트로크 총 길이에 근거하는 과잉 공급 발생 확률이 소정의 임곗값(예를 들면 70%) 미만일 때에는, 과잉 공급의 전조가 없다고 판정한다. 또한, 과잉 공급 발생 확률은, 예를 들면, 스트로크 총 길이를 파라미터로 하는 2차 함수로 근사하거나, 스트로크 총 길이와 과잉 공급 발생 확률의 대응 관계를 정한 맵을 사용하여 구하거나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실기(實機)에서의 확인에 있어서는, 전조 검지 후에 반드시 급락이 발생하는 것은 아니었다. 따라서,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피더의 스트로크 총 길이에 대한 급락 발생 확률을 산출하고, 이 발생 확률도 전조 판정에 이용함으로써, 전조 판정의 정밀도를 더 높이고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upply state determination unit 43 determines that even when all conditions of the above-described rolling determination are satisfied,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oversupply based on the total stroke length of the extrusion device 110 is set to a predetermined threshold (e.g. For example, if it is less than 70%,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sign of oversupply. In addition, the probability of oversupply occurrence can be approximated with a quadratic function that uses the total stroke length as a parameter, for example, or can be obtained using a map that determines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total stroke length and the probability of oversupply occurrence. In confirmation with the practical machine of this embodiment, a sudden drop did not necessarily occur after precursor detection. Therefore, as shown in FIG. 5,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a plunge with respect to the total stroke length of the feeder is calculated, and this probability of occurrence is also used for the precursor determination, thereby further increasing the precision of the precursor determination.

또한, 과잉 공급 발생 확률에 대한 임곗값은, 운전 시에 예를 들면 소정 시간마다 운전 상황에 맞추어 예를 들면 공급 상태 판정부(43)가 변경되도록 해도 된다. 급락의 발생 확률은, 이물질(건조도, 형상, 경도 등)에 의하여 변화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검지율이나 정답률(오답률)의 실적값에 근거하여 임곗값을 자동적으로 혹은 수동으로 변경할 수 있다. 후술하는 전조 검지 시에 일산화 탄소의 발생을 억제시키기 위한 제어는, 예를 들면, 전조 검지 시에 급락의 발생 전에 2차 공기의 공급을 증가시킴으로써 행한다. 이 경우, 급락이 실제로 발생하면 산소의 증가 공급에 의하여 불완전 연소를 방지하고, 일산화 탄소의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다. 단, 급락이 실제로 발생하지 않았던 경우, 산소가 과잉이 되며, 질소 산화물의 발생이 증가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일산화 탄소 저감에 대한 요구와, 질소 산화물 발생의 우려의 증가의 밸런스에 의하여, 임곗값을 실제의 운전 상황에 따라 변화시키도록 해도 된다. 여기에서, 운전 상황을 나타내는 정보는, 일산화 탄소의 발생량을 나타내는 정보와 질소 산화물의 발생량을 나타내는 정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이물질, 온도, 습도 등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과잉 공급 발생 확률에 대한 임곗값은, 일산화 탄소의 발생량을 나타내는 정보와 질소 산화물의 발생량을 나타내는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실제의 상기 피소각물의 연소 상황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변화되는 값이다. 이와 같이 임곗값을 변화시킴으로써, 예를 들면 일산화 탄소의 발생량에 대한 상한값과 질소 산화물의 발생량에 대한 상한값을 양호한 정밀도로 관리할 수 있다. 도 6은, 화상 인식에 근거하는 전조 판정과 스트로크 총 길이에 근거하는 과잉 공급 발생 확률과 임곗값의 비교를 조합한 경우에 있어서, 임곗값을 변화시켰을 때의 전조 판정의 오답률과 검지율의 관계를 나타낸다. 오답률은, 전조 판정의 전체 횟수에 대하여 급락이 발생하지 않았던 횟수의 비율이다. 검지율은, 급락이 발생한 횟수에 대한 발생을 전조할 수 있던 횟수의 비율이다. 임곗값을 작게 하면 검지율은 상승했지만 오답률도 상승했다. 임곗값을 크게 하면 오답률은 작게 할 수 있었지만, 검지율도 저하되었다.Additionally, the threshold value for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oversupply may be changed, for example, by the supply state determination unit 43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ng situation, for example, every predetermined time during operation. Since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a sudden drop changes depending on foreign substances (dryness, shape, hardness, etc.), the threshold value can be changed automatically or manually based on performance values of, for example, detection rate or correct response rate (incorrect response rate). Control for suppressing the generation of carbon monoxide during precursor detec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performed, for example, by increasing the supply of secondary air before a plunge occurs during precursor detection. In this case, if a plunge actually occurs, incomplete combustion can be prevented and the generation of carbon monoxide can be suppressed by increased supply of oxygen. However, if the plunge does not actually occur, there is a risk that oxygen may become excessive and the generation of nitrogen oxides may increase. Therefore, the threshold valu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actual driving conditions by balancing the demand for carbon monoxide reduction and the increased risk of nitrogen oxide generation. Here,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e driving situation is not limited to information indicating the amount of carbon monoxide generated and information indicating the amount of nitrogen oxide generated, and may include information indicating foreign matter, temperature, humidity, etc., for example. In this case, the threshold value for the probability of oversupply occurring is a value that changes based on information about the actual combustion situation of the incinerated material, including at least information indicating the amount of carbon monoxide generated and information indicating the amount of nitrogen oxides generated. . By changing the threshold value in this way, for example, the upper limit for the amount of carbon monoxide generated and the upper limit for the amount of nitrogen oxide generated can be managed with good precision. Figure 6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tection rate and the error rate of the rolling judgment when the threshold value is changed in the case of combining rolling judgment based on image recognition and comparison of the overfeed occurrence probability and threshold value based on the total stroke length. represents. The incorrect response rate is the ratio of the number of times a plunge did not occur to the total number of precursory judgments. The detection rate is the ratio of the number of times a plunge occurred to the number of times its occurrence could be predicted. When the threshold value was decreased, the detection rate increased, but the incorrect response rate also increased. Increasing the threshold allowed the error rate to be reduced, but the detection rate also decreased.

연소용 공기량 제어부(44)는, 공급 상태 판정부(43)에 의한 과잉 공급의 전조의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연소용 공기의 공급량을 변화시키도록 공기 공급 장치(112)를 제어한다. 이 제어에 의하여, 예를 들면, 급락이 발생한 경우에 발생하는 급격한 일산화 탄소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연소용 공기량 제어부(44)는, 예를 들면, 공급 상태 판정부(43)에 의하여 과잉 공급의 전조가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2차 연소용 공기의 공급량을 증가시키는 제어를 행함으로써, 노 내의 산소 농도를 올릴 수 있다. 이로써, CO 농도의 급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e combustion air amount control unit 44 controls the air supply device 112 to change the supply amount of combustion air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supply state determination unit 43 as a precursor to oversupply. By this control, for example, a rapid increase in carbon monoxide that occurs when a sudden drop occurs can be suppressed. For example, the combustion air amount control unit 44 performs control to increase the supply amount of secondary combustion air when the supply state determination unit 43 determines that there is a sign of oversupply, thereby reducing the oxygen in the furnace. Concentration can be increased. This makes it possible to suppress the rapid increase in CO concentration.

피더 제어부(45)는, 공급 상태 판정부(43)에 의한 과잉 공급의 전조의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압출 장치(110)의 동작 속도 또는 스트로크 중 적어도 일방을 변화시킨다. 피더 제어부(45)는, 예를 들면, 공급 상태 판정부(43)에 의하여 과잉 공급의 전조가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압출 장치(110)의 동작 속도를 늦추고, 또한, 스트로크(압출 암(124)의 이동 행정)가 짧아지도록 압출 장치(110)를 제어한다. 이 제어에 의하여, 다음의 급락 발생까지의 시간을 벌어(뒤로 미루고), 급락이 발생한 경우이더라도 급진 장치를 정지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연료 공급을 계속시킬 수 있고, 증발량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e feeder control unit 45 changes at least one of the operating speed or stroke of the extrusion device 110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precursor of overfeeding by the supply state determination unit 43. For example, when the feeder control unit 45 determines that there is a sign of overfeeding by the supply state determination unit 43, the feeder control unit 45 slows down the operating speed of the extrusion device 110 and further controls the stroke (extrusion arm 124). The extrusion device 110 is controlled so that the movement stroke) is shortened. By this control, time is gained (postponed) until the next sudden drop occurs, and even when a sudden drop occurs, fuel supply can be continued because there is no need to stop the acceleration device, making it possible to suppress the decrease in evaporation amount. .

또한, 연소용 공기량 제어부(44)에 의한 제어와, 피더 제어부(45)에 의한 제어는, 양방 행해도 되고, 어느 일방만 행해도 된다. 또한, 과잉 공급의 전조가 있다고 판정된 경우의 연소용 공기량 제어부(44)에 의한 제어와 피더 제어부(45)에 의한 제어를, 전조 시 제어라고 한다.In addition, both control by the combustion air amount control unit 44 and control by the feeder control unit 45 may be performed, or only one of them may be performed.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sign of oversupply, the control by the combustion air amount control unit 44 and the control by the feeder control unit 45 are called control at the time of oversupply.

과잉 공급 검지부(46)는, 화상 정보 취득부(41)가 취득한 복수의 적외 화상에 근거하여, 고체 연료(Fg)의 전면(Fr)의 적외 화상의 휘도를 감시함으로써, 과잉 공급의 발생을 검지한다. 도 7은, 연소실(108)에 낙하하기 전의 고체 연료(Fg)의 전면(Fr)의 적외 화상의 휘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세로축이 휘도를, 가로축이 시간을 나타낸다. t1 및 t2는, 과잉 공급이 실제로 발생한 시각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과잉 공급이 실제로 발생한 t1 및 t2인 때에는, 고체 연료(Fg)의 전면(Fr)의 적외 화상의 휘도의 감소가 현저하다. 이 때문에, 고체 연료(Fg)의 전면(Fr)의 적외 화상의 휘도를 감시함으로써, 과잉 공급의 발생을 신속하게 검지할 수 있다. 과잉 공급 검지부(46)는, 과잉 공급의 발생을 검지한 경우, 피더 제어부(45)를 통하여, 압출 장치(110)에 압출 암(124)의 동작을 정지하도록 지시한다. 압출 장치(110)는, 피더 제어부(45)의 지시를 받으면, 압출 암(124)의 동작을 정지한다. 이로써, 연소실(108)에 대한 고체 연료(Fg)의 공급이 정지된다.The oversupply detection unit 46 detects the occurrence of oversupply by monitoring the luminance of the infrared image of the front surface Fr of the solid fuel Fg based on the plurality of infrared images acquired by the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41. do. FIG. 7 is a graph showing the luminance of an infrared image of the front surface (Fr) of the solid fuel (Fg) before falling into the combustion chamber 108, where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luminance and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ime. t1 and t2 are the times when oversupply actually occurred. As shown in FIG. 7, at t1 and t2 when oversupply actually occurs, the decrease in luminance of the infrared image of the front surface Fr of the solid fuel Fg is significant. For this reason, the occurrence of oversupply can be quickly detected by monitoring the luminance of the infrared image of the front surface Fr of the solid fuel Fg. When the oversupply detection unit 46 detects the occurrence of oversupply, it instructs the extrusion device 110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extrusion arm 124 via the feeder control unit 45. When the extrusion device 110 receives instructions from the feeder control unit 45, it stops the operation of the extrusion arm 124. Accordingly, the supply of solid fuel Fg to the combustion chamber 108 is stopped.

또, 과잉 공급 검지부(46)는, 과잉 공급의 발생을 검지한 경우, 연소용 공기량 제어부(44)를 통하여, 공기 공급 장치(112)(2차 공기 공급 장치)로부터 연소실(108)에 공급될 2차 공기의 양을 증가시킨다.In addition, when the oversupply detection unit 46 detects the occurrence of oversupply, the air for combustion is su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108 from the air supply device 112 (secondary air supply device) through the combustion air quantity control unit 44. Increase the amount of secondary air.

돌출량 검지부(47)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소실(108)의 수용구(122)로부터 연소실(108)을 향하여 돌출된 고체 연료(Fg)의 돌출 길이(Lr)를 검지한다. 도 8에 나타내는 예시적인 형태에서는, 돌출량 검지부(47)는, 이동 방향 W1에 있어서, 연소실(108)의 수용구(122)와 고체 연료(Fg)의 전면(Fr) 중 가장 하류 측에 위치하는 부분(Fr1)의 사이의 크기를 돌출 길이(Lr)로서 검지하고 있다. 돌출량 검지부(47)는, 예를 들면, 고체 연료(Fg)를 상방으로부터 촬영할 수 있는 돌출량 검지용 촬상 장치(28)의 촬상 정보에 근거하여 돌출 길이(Lr)를 분할 영역마다 검지한다.As shown in FIG. 8, the protrusion amount detection unit 47 detects the protrusion length Lr of the solid fuel Fg protruding from the receiving port 122 of the combustion chamber 108 toward the combustion chamber 108. In the exemplary form shown in FIG. 8, the protrusion amount detection unit 47 is located at the most downstream side of the receiving port 122 of the combustion chamber 108 and the front face Fr of the solid fuel Fg in the moving direction W1. The size between the exposed portions Fr1 is detected as the protruding length Lr. For example, the protrusion amount detection unit 47 detects the protrusion length Lr for each divided region based on imaging information from the protrusion amount detection imaging device 28 that can image the solid fuel Fg from above.

모델 학습부(48)는, 화상 정보 취득부(41)가 취득한 적외 화상에 대하여, 분할 영역마다, 패턴 인식 등의 화상 처리를 행하여, 시야 불량인지 아닌지를 인식하고, 시야 불량인 경우에 당해 분할 영역을 시야 불량으로 분류한다. 또, 모델 학습부(48)는, 화상 정보 취득부(41)가 취득한 적외 화상에 대하여, 시야 불량으로 인식되지 않았던 경우, 분할 영역마다, 돌출량 검지부(47)가 검지한 돌출 길이(Lr)에 근거하여, 당해 부분 영역을 돌출 있음 또는 돌출 없음으로 분류한다. 그리고, 모델 학습부(48)는, 인식한 결과를 화상 정보(492)로서 저장하고, 예를 들면, 소정량의 화상 정보(492)를 축적한 경우에, 화상 정보(492)를 이용하여 학습 완료 모델(491)을 재학습한다.The model learning unit 48 performs image processing such as pattern recognition for each divided area on the infrared image acquired by the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41, recognizes whether the field of view is poor, and, if the field of view is poor, performs the division. The area is classified as having poor visibility. Additionally, when the infrared image acquired by the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41 is not recognized as having poor visibility, the model learning unit 48 determines the protrusion length (Lr) detected by the protrusion amount detection unit 47 for each divided area. Based on this, the partial region is classified as having protrusion or not having protrusion. Then, the model learning unit 48 stores the recognition result as image information 492, and, for example,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f image information 492 is accumulated, learns using the image information 492. Retrain the completion model 491.

(제어 장치의 동작예)(Example of operation of control device)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제어 장치(4)의 동작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내는 처리는, 예를 들면, 1초 간격으로 반복하여 실행된다. 도 4에 나타내는 처리가 개시되면, 제어 장치(4)는, 전조 시 제어 중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S1). 전조 시 제어 중이 아닌 경우(S1: NO), 화상 정보 취득부(41)가, 촬상 장치(2)(적외선 카메라)로 노 내를 촬영하여 화상 정보를 취득한다(S2). 다음으로, 화상 정보 인식부(42)가, 피더 근방 영역의 화상을 메시 분할한다(S3). 다음으로, 화상 정보 인식부(42)가, 분할 영역마다 심층 학습 판정 모델로, 돌출 있음, 없음, 또는, 시야 불량을 판정한다(S4). 다음으로, 공급 상태 판정부(43)가, 급락 전조 판정을 행한다(S5).Next, with reference to FIG. 4, an operation example of the control device 4 will be described. The processing shown in FIG. 4 is repeatedly executed, for example, at 1 second intervals. When the process shown in FIG. 4 is started, the control device 4 determines whether or not it is being controlled at the time of rolling (S1). When the operation is not under control (S1: NO), the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41 acquires image information by photographing the inside of the furnace with the imaging device 2 (infrared camera) (S2). Next, the image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42 mesh-divides the image in the area near the feeder (S3). Next, the image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42 determin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protrusion, or poor visibility for each divided area using a deep learning judgment model (S4). Next, the supply state determination unit 43 performs a plunge-predicting determination (S5).

공급 상태 판정부(43)는, 상술한 (조건 1)~(조건 3)이 모두 성립하는 경우, 전조 있음으로 판정하고(S5: Yes), 어느 하나라도 성립하지 않는 경우, 전조 없음으로 판정한다(S5: No). 전조 없음으로 판정한 경우(S5: Yes), 공급 상태 판정부(43)는, 스트로크 총 길이에 근거하는 급락 발생 확률이 소정의 임곗값 이상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S6). 임곗값 이상인 경우(S6: Yes), 연소용 공기량 제어부(44)와 피더 제어부(45)가 전조 시 제어를 개시한다(S7). 다음으로, 제어 장치(4)는, 전조 시 제어의 종료 조건이 성립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S8).The supply state determination unit 43 determines that there is a precursor when all of the above-mentioned (condition 1) to (condition 3) are satisfied (S5: Yes), and when any one is not satisfied, it determines that there is no precursor. (S5: No).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rolling (S5: Yes), the supply state determination unit 43 determines whether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a plunge based on the total stroke length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S6). If it is more than the threshold (S6: Yes), the combustion air quantity control unit 44 and the feeder control unit 45 start control at the time of rolling (S7). Next, the control device 4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end condition for control at the time of rolling is satisfied (S8).

전조 시 제어의 종료 조건은, 예를 들면, 실제로 급락이 발생한 것을 과잉 공급 검지부(46)가 검지한 경우, 또는, 전조 시 제어 개시 후에 급락이 발생하지 않고 소정의 계속 시간(예를 들면 60초)이 경과한 경우이다. 전조 시 제어의 종료 조건이 성립한 경우(S8: Yes), 제어 장치(4)는, 전조 시 제어를 종료시켜 실제의 급락에 대한 제어로 이행하거나, 단지 전조 시 제어를 종료한다(S9).The end condition for control during the change is, for example, when the oversupply detection unit 46 detects that a sudden drop has actually occurred, or when the plunge does not occur after the start of the control during the change and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e.g., 60 seconds) is set. ) has elapsed. When the condition for ending the control during the change is established (S8: Yes), the control device 4 terminates the control during the change and transitions to control for the actual plunge, or simply ends the control during the change (S9).

또한, 전조 시 제어 중인 경우(S1: Yes), 제어 장치(4)는, 전조 시 제어의 종료 조건이 성립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S8). 또, 전조 시 제어를 종료한 경우(S9), 급락 전조 판정으로 전조 없음인 경우(S5: No), 임곗값 이상이 아닌 경우(S6: No), 또는, 전조 시 제어의 종료 조건이 성립하지 않았던 경우(S8: No), 제어 장치(4)는, 도 4에 나타내는 처리를 종료한다.In addition, when control is in progress when turning (S1: Yes), the control device 4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end condition for control when turning is satisfied (S8). In addition, when control is terminated at the time of prediction (S9), when there is no prediction due to a sudden prediction judgment (S5: No), when it is not above the threshold (S6: No), or when the condition for ending control at the time of prediction is not established. If not (S8: No), the control device 4 ends the processing shown in FIG. 4.

도 9는, 전조 검지 성립 시의 동작 패턴의 예를 나타낸다. T1 시간은 예를 들면 5초, T2 시간은 예를 들면 60초이다. 시각 t11에서 피더의 압입이 개시되고, 시각 t12에서 조건 1 및 조건 3과 임곗값 판정이 성립하며, 또한, T1 시간 경과하면, 시각 t13에서 전조 검지가 되고, 급락이 발생한 시각 t14까지의 시간 TC1에서, 전조 시 제어가 행해진다. 또, 시각 t11에서 피더의 압입이 개시되고, 시각 t22에서 조건 1 및 조건 3과 임곗값 판정이 성립하며, 또한, T1 시간 경과하면, 시각 t23에서 전조 검지가 되고, 급락이 발생한 시각 t25까지의 시간 TC2에서, 전조 시 제어가 행해진다. 또한, 이 경우, 시각 t24에서, 피더는 압입으로부터 후진 중으로 되어 있다. 또, 시각 t11에서 피더의 압입이 개시되고, 시각 t22에서 조건 1 및 조건 3과 임곗값 판정이 성립하며, 또한, T1 시간 경과하면, 시각 t23에서 전조 검지가 되고, 급락이 발생한 시각 t32까지의 시간 TC3에서, 전조 시 제어가 행해진다. 또한, 이 경우, 시각 t24에서, 피더는 압입으로부터 후진 중이 되어 있다. 또, 시각 t31에서, 피더는 정지하고 있다.Figure 9 shows an example of an operation pattern when omen detection is established. The T1 time is, for example, 5 seconds, and the T2 time is, for example, 60 seconds. At time t11, the press-in of the feeder starts, and at time t12, conditions 1 and 3 and the threshold value judgment are established. Furthermore, when time T1 has elapsed, a precursor is detected at time t13, and the time until the time t14 when the plunge occurs is TC1. In , control is performed during rolling. In addition, the press-in of the feeder starts at time t11, condition 1 and condition 3 and the threshold value judgment are established at time t22, and when time T1 has elapsed, a precursor is detected at time t23, and the drop occurs until time t25. At time TC2, control is performed on the precursor. Additionally, in this case, at time t24, the feeder is moving backward from the press fit. In addition, the press-in of the feeder starts at time t11, condition 1 and condition 3 and the threshold value judgment are established at time t22, and when time T1 has elapsed, a precursor is detected at time t23, and the drop occurs until time t32. At time TC3, control is performed on the precursor. Additionally, in this case, at time t24, the feeder is moving backward from the press fit. Also, at time t31, the feeder is stopped.

(작용·효과)(Action/Effect)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과잉 공급 등의 폐기물 등의 피연소물의 공급량의 변화에 따른 제어의 지연을 개선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delay in control due to changes in the supply amount of incombustible materials such as wastes such as excessive supply can be improved.

(그 외의 실시형태)(Other embodiments)

이상,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했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의 설계 변경 등도 포함된다.As mentioned abov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ut the specific configuration is not limited to this embodiment, and design changes, etc., within the range of no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also included.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학습 완료 모델(491)을 이용하여 화상 인식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옵티컬 플로를 이용하거나, 입체 고차 국소 자기 상관 특징법(CHLAC)을 이용하거나 해도 된다.In addition, in the above embodiment, image recognition processing is performed using the learned model 491,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for example, optical flow is used, or stereoscopic high-order local autocorrelation feature method (CHLAC) is used. You can do either.

또, 연소용 공기량 제어부(44)는, 공급 상태 판정부(43)가 전조를 검지하면 OFA(Over Fire Air)를 선행적으로 열어 공기 부족을 해소하고 CO 농도 증가를 방지하며, 한편, NOx 증가 대책이기 때문에, 후 연소 영역(132)의 댐퍼 개도(開度)를 최소로 하도록 해도 된다. 또, 피더 제어부(45)는, 급락 대상 중에 전조 검지를 한 경우, 스토커 속도를 저감시켜 다음의 발생까지의 시간을 벎으로써, 연속 급락에 의한 증발량의 변동을 억제하도록 해도 된다.In addition, the combustion air quantity control unit 44 proactively opens OFA (Over Fire Air) when the supply status determination unit 43 detects a warning signal to eliminate air shortage and prevent an increase in CO concentration, while also preventing an increase in NOx. As a countermeasure, the damper opening in the post-combustion region 132 may be minimized. In addition, when the feeder control unit 45 detects a precursor among a plummeting target, it may reduce the stalker speed and extend the time until the next occurrence, thereby suppressing the variation in evaporation amount due to continuous plummeting.

<컴퓨터 구성><Computer configuration>

도 10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에 관한 컴퓨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Fig. 10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mputer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컴퓨터(90)는, 프로세서(91), 메인 메모리(92), 스토리지(93), 및, 인터페이스(94)를 구비한다.The computer 90 includes a processor 91, main memory 92, storage 93, and an interface 94.

상술한 제어 장치(4)는, 컴퓨터(90)에 실장된다. 그리고, 상술한 각 처리부의 동작은, 프로그램의 형식으로 스토리지(93)에 기억되어 있다. 프로세서(91)는, 프로그램을 스토리지(93)로부터 판독하여 메인 메모리(92)에 전개하고, 당해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처리를 실행한다. 또, 프로세서(91)는, 프로그램에 따라, 상술한 각 기억부에 대응하는 기억 영역을 메인 메모리(92)에 확보한다.The control device 4 described above is mounted on the computer 90. And the operations of each processing unit described above are stored in the storage 93 in the form of a program. The processor 91 reads the program from the storage 93, expands it into the main memory 92, and executes the above-described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ogram. Additionally, the processor 91 secures a storage area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above-described storage units in the main memory 92 according to the program.

프로그램은, 컴퓨터(90)에 발휘시키는 기능의 일부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프로그램은, 스토리지에 이미 기억되어 있는 다른 프로그램과의 조합, 또는 다른 장치에 실장된 다른 프로그램과의 조합에 의하여 기능을 발휘시키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컴퓨터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또는 상기 구성 대신에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등의 커스텀 LSI(Large Scale Integrated Circuit)를 구비해도 된다. PLD의 예로서는, PAL(Programmable Array Logic), GAL(Generic Array Logic), CPLD(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현되는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가 당해 집적 회로에 의하여 실현되어도 된다.The program may be intended to realize some of the functions to be performed by the computer 90. For example, the program may exert its function by combining it with another program already stored in the storage or by combining it with another program mounted on another device. Additionally, in another embodiment, the computer may be provided with a custom LSI (Large Scale Integrated Circuit) such as a PLD (Programmable Logic Device) in addition to or instead of the above configuration. Examples of PLDs include Programmable Array Logic (PAL), Generic Array Logic (GAL), 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 (CPLD), and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In this case, part or all of the functions realized by the processor may be realized by the integrated circuit.

스토리지(93)의 예로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자기(磁氣)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ROM(Digital Versatile Disc Read Only Memory), 반도체 메모리 등을 들 수 있다. 스토리지(93)는, 컴퓨터(90)의 버스에 직접 접속된 내부 미디어여도 되고, 인터페이스(94) 또는 통신 회선을 통하여 컴퓨터(90)에 접속되는 외부 미디어여도 된다. 또, 이 프로그램이 통신 회선에 의하여 컴퓨터(90)로 전송되는 경우, 전송을 받은 컴퓨터(90)가 당해 프로그램을 메인 메모리(92)에 전개하여, 상기 처리를 실행해도 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토리지(93)는, 일시적이지 않은 유형(有形)의 기억 매체이다.Examples of the storage 93 include Hard Disk Drive (HDD), Solid State Drive (SSD), magnetic disk, magneto-optical disk,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 and Digital Versatile Disc (DVD-ROM). Read Only Memory), semiconductor memory, etc. The storage 93 may be internal media directly connected to the bus of the computer 90, or may be external media connected to the computer 90 through the interface 94 or a communication line. Additionally, when this program is transmitted to the computer 90 via a communication line, the computer 90 that has received the transmission may develop the program into the main memory 92 and execute the above-described processing. In at least one embodiment, storage 93 is a non-transitory, tangible storage medium.

<부기(付記)><Bookbook>

각 실시형태에 기재된 소각로 설비의 제어 장치(4)는,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파악된다.The control device 4 of the incinerator facility described in each embodiment is understood as follows, for example.

(1) 제1 양태에 관한 소각로 설비의 제어 장치(4)는, 피소각물을 연소시키면서 반송하는 노 본체와, 상기 노 본체에 상기 피소각물을 공급하는 피더를 갖는 소각로 설비의 제어 장치로서, 상기 피더의 단부와 접속되는, 상기 노 본체의 수용구(122)를 포함하는 화상 정보를 주기적으로 취득하는 화상 정보 취득부(41)와, 상기 화상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수용구(122)에 있어서의 상기 피소각물이 상기 노 본체에 대하여 돌출된 상태인지 아닌지를 인식하는 화상 정보 인식부(42)와, 상기 피소각물이 상기 노 본체에 대하여 밀려나온 상태인 것이, 소정 시간 계속적으로 인식된 경우, 상기 피소각물이 상기 노 본체에 대하여 과잉 공급될 전조가 있다고 판정하는 공급 상태 판정부(43)를 구비한다. 본 양태 및 이하의 각 양태에 의하면, 과잉 공급 등의 폐기물 등의 피연소물의 공급량의 변화에 따른 제어의 지연을 개선할 수 있다.(1) The control device 4 of the incinerator facility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is a control device of the incinerator facility having a furnace body for conveying the incinerated material while burning it, and a feeder for supplying the incinerated material to the furnace body, An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41 that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feeder and periodically acquires image information including the receiving port 122 of the furnace body, and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an image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42 that recognizes whether the object to be incinerated is in a state protruding from the furnace body; It is provided with a supply state determination unit 43 that determines that there is a sign that the incinerated material will be excessively supplied to the furnace body. According to this aspect and each of the following aspects, it is possible to improve control delays due to changes in the supply amount of incombustible materials such as wastes such as oversupply.

(2) 제2 양태에 관한 소각로 설비의 제어 장치(4)는, 상기 (1)의 양태에 관한 소각로 설비의 제어 장치(4)로서, 상기 화상 정보 취득부(41)는, 상기 수용구(122) 및 건조 영역의 내벽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상기 화상 정보를 취득해도 된다.(2) The incinerator equipment control device 4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is the incinerator equipment control device 4 according to the aspect (1) above, wherein the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41 includes the receiving port ( 122) and the image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part of the inner wall of the dry area may be acquired.

(3) 제3 양태에 관한 소각로 설비의 제어 장치(4)는, 상기 (1) 또는 (2)의 양태에 관한 소각로 설비의 제어 장치(4)로서, 상기 공급 상태 판정부(43)는, 상기 피소각물이 상기 노 본체에 대하여 돌출된 상태인 것이, 소정 시간 계속적으로 인식되고, 또한, 상기 피더의 총 압출 길이에 근거하는 과잉 공급 발생 확률이 소정의 임곗값 이상인 경우, 상기 피소각물이 상기 노 본체에 대하여 과잉 공급될 전조가 있다고 판정해도 된다.(3) The incinerator equipment control device 4 according to the third aspect is the incinerator equipment control device 4 according to the aspect (1) or (2) above, wherein the supply state determination unit 43 includes, When it is continuously recognized that the object to be incinerated is in a state of protruding with respect to the furnace body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oversupply based on the total extrusion length of the feeder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the object to be incinerated is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re are signs of oversupply of the furnace body.

(4) 제4 양태에 관한 소각로 설비의 제어 장치(4)는, 상기 (3)의 양태에 관한 소각로 설비의 제어 장치(4)로서, 상기 임곗값은, 일산화 탄소의 발생량을 나타내는 정보와 질소 산화물의 발생량을 나타내는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실제의 상기 피소각물의 연소 상황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변화되는 값이어도 된다.(4) The incinerator equipment control device 4 according to the fourth aspect is the incinerator equipment control device 4 according to the aspect (3) above, wherein the threshold value includes information indicating the amount of carbon monoxide generated and nitrogen. It may be a value that changes based on information about the actual combustion situation of the incinerated object, including at least information indicating the amount of oxides generated.

(5) 제5 양태에 관한 소각로 설비의 제어 장치(4)는, 상기 (1) 내지 (4)의 양태에 관한 소각로 설비의 제어 장치(4)로서, 상기 화상 정보 인식부(42)는, 상기 수용구(122)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한 분할 영역마다, 상기 피소각물이 상기 노 본체에 대하여 밀려나온 상태인지 아닌지를 인식하고, 상기 공급 상태 판정부(43)는, 적어도, 복수의 상기 분할 영역에서, 상기 피소각물이 상기 노 본체에 대하여 돌출된 상태인 것이, 소정 시간 계속적으로 인식된 경우, 상기 피소각물이 상기 노 본체에 대하여 과잉 공급될 전조가 있다고 판정해도 된다.(5) The incinerator equipment control device 4 according to the fifth aspect is the incinerator equipment control device 4 according to the aspects (1) to (4) above, wherein the image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42 includes, The receiving port 122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and each divided region recognizes whether or not the incinerated object is in a state of being pushed out from the furnace body, and the supply state determination unit 43 determines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regions. In the divided area, when it is continuously recognized that the object to be incinerated protrudes from the furnace body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re is a sign that the object to be incinerated will be excessively supplied to the furnace body.

(6) 제6 양태에 관한 소각로 설비의 제어 장치(4)는, 상기 (1) 내지 (5)의 양태에 관한 소각로 설비의 제어 장치(4)로서, 상기 화상 정보 인식부(42)는, 적어도 상기 화상 정보를 설명 변수로 하고, 상기 피소각물의 돌출이 있음, 없음, 및, 시야 불량을 목적 변수로 하여 구하는 학습 완료 모델(491)을 이용하여, 상기 피소각물이 돌출된 상태인지 아닌지를 인식하며, 상기 공급 상태 판정부(43)는, 적어도, 상기 피소각물이 상기 노 본체에 대하여 돌출된 상태인 것이, 소정 시간 계속적으로 인식되고, 또한, 상기 피더가 상기 피소각물을 압입 중인 경우, 상기 피소각물이 상기 노 본체에 대하여 과잉 공급될 전조가 있다고 판정해도 된다.(6) The incinerator equipment control device 4 according to the sixth aspect is the incinerator equipment control device 4 according to the aspects (1) to (5) above, wherein the image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42 includes, Using at least the image information as an explanatory variable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protrusion of the incinerated object, and the poor visibility as objective variable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incinerated object is in a protruding state or not. and the supply state determination unit 43 continuously recognizes that at least the incinerated object is in a state protruding from the furnace body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the feeder is pressuring the incinerated object,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re are signs that the incinerated material will be excessively supplied to the furnace body.

(7) 제7 양태에 관한 소각로 설비의 제어 장치(4)는, 상기 (1) 내지 (6)의 양태에 관한 소각로 설비의 제어 장치(4)로서, 상기 과잉 공급의 전조의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연소용 공기의 공급량을 변화시키는 연소용 공기량 제어부, 또는, 상기 과잉 공급의 전조의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피더의 동작 속도 또는 스트로크 중 적어도 일방을 변화시키는 피더 제어부 중 적어도 일방을 더 구비해도 된다.(7) The incinerator equipment control device 4 according to the seventh aspect is the incinerator equipment control device 4 according to the aspects (1) to (6) above,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precursor of oversupply. I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combustion air quantity control unit that changes the supply amount of combustion air, or a feeder control unit that changes at least one of the operating speed or stroke of the feeder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precursor of oversupply. .

본 개시의 소각로 설비의 제어 장치에 의하면, 폐기물 등의 피연소물의 공급량의 변화에 따른 제어의 지연을 개선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trol device of the incinerator facility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possible to improve control delays due to changes in the supply amount of incombustible materials such as waste.

100…소각로 설비
108…연소실
110…압출 장치
4…제어 장치
41…화상 정보 취득부
42…화상 정보 인식부
43…공급 상태 판정부
44…연소용 공기량 제어부
45…피더 제어부
49…기억부
491…학습 완료 모델
492…화상 정보
100… Incinerator equipment
108… combustion chamber
110… extrusion device
4… controller
41…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department
42… Image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43… Supply status determination unit
44… Combustion air volume control unit
45… feeder control
49… memory
491… Trained model
492… burn information

Claims (7)

피소각물을 연소시키면서 반송하는 노 본체와, 상기 노 본체에 상기 피소각물을 공급하는 피더를 갖는 소각로 설비의 제어 장치로서,
상기 피더의 단부와 접속되는, 상기 노 본체의 수용구를 포함하는 화상 정보를 주기적으로 취득하는 화상 정보 취득부와,
상기 화상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수용구에 있어서의 상기 피소각물이 상기 노 본체에 대하여 돌출된 상태인지 아닌지를 인식하는 화상 정보 인식부와,
상기 피소각물이 상기 노 본체에 대하여 돌출된 상태인 것이, 소정 시간 계속적으로 인식된 경우, 상기 피소각물이 상기 노 본체에 대하여 과잉 공급될 전조가 있다고 판정하는 공급 상태 판정부를 구비하는 소각로 설비의 제어 장치.
A control device for an incinerator facility having a furnace body that conveys the incinerated material while burning it, and a feeder that supplies the incinerated material to the furnace body, comprising:
an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connected to an end of the feeder and periodically acquiring image information including a receiving port of the furnace body;
an image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that recognizes whether the object to be incinerated in the receiving port is in a state protruding from the furnace body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Control of incinerator equipment including a supply state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that there is a warning that the incinerated material will be excessively supplied to the furnace body when it is continuously recognized that the incinerated material protrudes from the furnace body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상 정보 취득부는, 상기 수용구 및 건조 영역의 내벽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상기 화상 정보를 취득하는, 소각로 설비의 제어 장치.
In claim 1,
The control device of an incinerator facility, wherein the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acquires the image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a part of the receiving port and the inner wall of the drying area.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급 상태 판정부는, 상기 피소각물이 상기 노 본체에 대하여 돌출된 상태인 것이, 소정 시간 계속적으로 인식되고, 또한, 상기 피더의 총 압출 길이에 근거하는 과잉 공급 발생 확률이 소정의 임곗값 이상인 경우, 상기 피소각물이 상기 노 본체에 대하여 과잉 공급될 전조가 있다고 판정하는 소각로 설비의 제어 장치.
In claim 1 or claim 2,
The supply state determination unit continuously recognizes that the incinerated object is in a state of protruding from the furnace body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oversupply based on the total extrusion length of the feede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threshold. , A control device of an incinerator facility that determines that there are signs that the incinerated material will be oversupplied to the furnace body.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임곗값은, 일산화 탄소의 발생량을 나타내는 정보와 질소 산화물의 발생량을 나타내는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실제의 상기 피소각물의 연소 상황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변화되는 값인 소각로 설비의 제어 장치.
In claim 3,
The threshold value is a value that changes based on information about the actual combustion state of the object to be incinerated, including at least information indicating the amount of carbon monoxide generated and information indicating the amount of nitrogen oxide generated. A control device for an incinerator facility.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정보 인식부는, 상기 수용구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한 분할 영역마다, 상기 피소각물이 상기 노 본체에 대하여 돌출된 상태인지 아닌지를 인식하고,
상기 공급 상태 판정부는, 적어도, 복수의 상기 분할 영역에서, 상기 피소각물이 상기 노 본체에 대하여 돌출된 상태인 것이, 소정 시간 계속적으로 인식된 경우, 상기 피소각물이 상기 노 본체에 대하여 과잉 공급될 전조가 있다고 판정하는 소각로 설비의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image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recognizes whether the object to be incinerated is in a state protruding from the furnace body for each divided region in which the receiving por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When the supply state determination unit continuously recognizes that the incinerated object is in a state of protruding from the furnace body in at least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incinerated object will be excessively supplied to the furnace body. A control device for incinerator equipment that determines that a warning sign exists.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정보 인식부는, 적어도 상기 화상 정보를 설명 변수로 하고, 상기 피소각물의 돌출의 있음, 없음, 및, 시야 불량을 목적 변수로 하여 요구하는 학습 완료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피소각물이 돌출된 상태인지 아닌지를 인식하며,
상기 공급 상태 판정부는, 적어도, 상기 피소각물이 상기 노 본체에 대하여 돌출된 상태인 것이, 소정 시간 계속적으로 인식되고, 또한, 상기 피더가 상기 피소각물을 압입 중인 경우, 상기 피소각물이 상기 노 본체에 대하여 과잉 공급될 전조가 있다고 판정하는 소각로 설비의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image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uses a learned model that requires at least the image information as an explanatory variable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protrusion of the incinerated object, and poor visibility as objective variables, to determine whether the incinerated object is protruded. Recognizing whether it is in a state or not,
The supply state determination unit continuously recognizes that at least the incinerated object is in a state of protruding from the furnace body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further, when the feeder is pressing the incinerated object into the furnace body. A control device for incinerator facilities that determines that there are signs of oversupply.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과잉 공급의 전조의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연소용 공기의 공급량을 변화시키는 연소용 공기량 제어부, 또는, 상기 과잉 공급의 전조의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피더의 동작 속도 또는 스트로크 중 적어도 일방을 변화시키는 피더 제어부 중 적어도 일방을 더 구비하는 소각로 설비의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A combustion air quantity control unit that changes the supply amount of combustion air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precursor of oversupply, or a combustion air quantity control unit that changes at least one of the operation speed or stroke of the feeder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precursor of the oversupply. A control device for an incinerator facility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of the feeder control units.
KR1020237039447A 2021-06-29 2022-04-21 Control device for incinerator equipment KR20230172551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107370 2021-06-29
JP2021107370A JP6998485B1 (en) 2021-06-29 2021-06-29 Incinerator equipment control device
PCT/JP2022/018444 WO2023276423A1 (en) 2021-06-29 2022-04-21 Control device for incinerator equip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2551A true KR20230172551A (en) 2023-12-22

Family

ID=80469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9447A KR20230172551A (en) 2021-06-29 2022-04-21 Control device for incinerator equipment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998485B1 (en)
KR (1) KR20230172551A (en)
CN (1) CN117321339A (en)
TW (1) TWI823354B (en)
WO (1) WO2023276423A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28837A (en) 2019-02-08 2020-08-27 Jfe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Waste supply amount measurement device and method and waste incineration device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45954A1 (en) * 1994-12-22 1996-06-27 Abb Management Ag Waste incineration process
JP2014126321A (en) 2012-12-27 2014-07-07 Kobe Steel Ltd Estimation method for waste volume in waste treatment furnace hopper
JP6696816B2 (en) 2016-04-06 2020-05-20 日立造船株式会社 Stoker incinera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28837A (en) 2019-02-08 2020-08-27 Jfe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Waste supply amount measurement device and method and waste incineration device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98485B1 (en) 2022-01-18
CN117321339A (en) 2023-12-29
TWI823354B (en) 2023-11-21
TW202303044A (en) 2023-01-16
WO2023276423A1 (en) 2023-01-05
JP2023005444A (en) 2023-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23750B (en) A kind of method for controlling combustion of incinerator
JPH04297719A (en) Combustion control device for coal combustion furnace
CZ282511B6 (en) Control method of individual or all factors influencing combustion on a furnace grate
JP2019134316A (en) Control device, boiler, monitoring image acquisition method of boiler and monitoring image acquisition program of boiler
WO2021124660A1 (en) Combustion facility state identification device, state identification method, and program
JP2022092448A (en) Learned model generation device, learned model generation program, furnace interior temperature prediction device, furnace interior temperature prediction program, learned model, and incineration system
KR20230172551A (en) Control device for incinerator equipment
WO2021241610A1 (en) Supply amount detection system for incineration furnace, operation control system for incineration furnace, supply amount detection method for incineration furnace,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for incineration furnace
JP2955431B2 (en) Incinerator combustion control device
CN115016553A (en) Prediction model creation device and method, and exhaust gas concentra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JP7213117B2 (en) Incineration system with stoker type incinerator
CN113701161A (en)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combustion of V-shaped grate type garbage incinerator
JPS5813114A (en) Particulate collection device of diesel engine
WO2024106008A1 (en) Collapse detection system and collapse detection method
JP200100411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mbustion in incinerator
JP2021089097A (en) Incineration facility control device, incineration facility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2021103063A (en) Refuse layer thickness evaluation method of refuse incinerator and combustion control method of refuse incinerator
JPS6183819A (en) Burning control of refuse incinerator
JP3467751B2 (en) Detection method of combustion position and burn-off point position in refuse incinerator
JPS5986814A (en) Control method for automatic combustion of refuse incinerator
JPH06193856A (en) Controller for soot blower
JP2004232960A (en) Refuse incinerator
JPH11270829A (en) Combustion control of refuse in refuse incinerator
KR102470121B1 (en) Garbage incinerator and its control method
JPH1054532A (en) Combustion control method of refuse incinera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