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1304A - 차량용 램프 모듈 및 그 램프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모듈 및 그 램프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1304A
KR20230171304A KR1020220071709A KR20220071709A KR20230171304A KR 20230171304 A KR20230171304 A KR 20230171304A KR 1020220071709 A KR1020220071709 A KR 1020220071709A KR 20220071709 A KR20220071709 A KR 20220071709A KR 20230171304 A KR20230171304 A KR 20230171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area
light source
light guide
incid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1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수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71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1304A/ko
Priority to JP2022190768A priority patent/JP2023181964A/ja
Priority to DE102022132187.8A priority patent/DE102022132187A1/de
Priority to US18/063,517 priority patent/US11754245B1/en
Priority to CN202211655394.5A priority patent/CN117267649A/zh
Publication of KR20230171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13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51Light emitting diodes [LED] arranged in one or more 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43Light emitting diodes [LED]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of the illuminating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47Light emitting diodes [LED]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angled to the optical axis of the illuminating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4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21S41/26Elongated 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21S41/265Composite lenses; Lenses with a patch-like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21S41/27Thick 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85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not provided in groups F21S41/24 - F21S41/280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 F21S41/66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by switching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3/14Light 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3/15Strips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F21S43/236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ight gu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F21S43/236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ight guide
    • F21S43/241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ight guide of complex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6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not provided in groups F21S43/235 - F21S43/25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3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21W2102/10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 F21W2102/13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for high-beam region or low-beam reg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21W2102/10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 F21W2102/13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for high-beam region or low-beam region
    • F21W2102/135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for high-beam region or low-beam region the light having cut-off lines, i.e. clear borderlines between emitted regions and dark reg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3/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signalling purposes
    • F21W2103/55Daytime running lights [DR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두 종류 이상의 배광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광원; 상기 복수의 광원의 일 측에 구비되며, 하면부에서 상방으로 만입된 형상을 갖는 제1 만입 영역이 형성되는 도광부; 및 상기 복수의 광원 중 일부 광원과 상기 도광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일부 광원에서 출사되는 광이 입사되는 옵틱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광원은, 상기 도광부의 후방에서 상기 도광부의 후면부와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제1 광원; 및 상기 도광부의 하부에서 상기 도광부의 하면부와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제2 광원; 을 포함하고, 상기 옵틱부는 상기 제2 광원과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차량용 램프 모듈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 모듈 및 그 램프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LAMP MODULE FOR VEHICLE AND LAMP FOR VEHICL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 모듈 및 그 램프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광 효율이 향상된 구조를 갖는 차량용 램프 모듈 및 그 램프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그 기능에 다라 다양한 종류의 차량용 램프가 탑재된다. 예를 들어, 차량의 전방에는 로우빔 램프, 하이빔 램프, DRL(Daytime Running Light) 램프 등이 탑재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차량에 다양한 종류의 램프가 함께 탑재되므로 각각의 램프에 의해 형성되는 발광면이 서로 달라 램프의 점등 시 차량의 디자인 측면에서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 기술에 따르면, 다양한 종류의 램프가 차량에 탑재됨으로 인해 램프가 차량에서 차지하는 공간이 지나치게 크다는 문제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하나의 차량용 램프에서 2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 램프를 점등하는 경우에도 하나의 발광면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디자인 측면에서 차별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두 종류 이상의 배광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광원; 상기 복수의 광원의 일 측에 구비되며, 하면부에서 상방으로 만입된 형상을 갖는 제1 만입 영역이 형성되는 도광부; 및 상기 복수의 광원 중 일부 광원과 상기 도광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일부 광원에서 출사되는 광이 입사되는 옵틱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광원은, 상기 도광부의 후방에서 상기 도광부의 후면부와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제1 광원; 및 상기 도광부의 하부에서 상기 도광부의 하면부와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제2 광원; 을 포함하고, 상기 옵틱부는 상기 제2 광원과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차량용 램프 모듈이 제공된다.
상기 도광부는, 상기 도광부의 후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광원에서 출사된 광 중 적어도 일부가 입사되는 제1 입사면; 및 상기 도광부의 상기 제1 만입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광원에서 출사되어 상기 옵틱부에 입사된 광 중 적어도 일부가 입사되는 제2 입사면;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입사면은, 상기 도광부의 후면부 최상단과 상기 도광부의 전면부 최하단을 연결한 가상의 면인 기능 분할면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옵틱부는, 상기 제2 광원과 마주보는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광원에서 출사되는 광 중 적어도 일부가 입사하는 옵틱 입사 영역; 및 상기 옵틱부에서 상기 옵틱 입사 영역이 형성되는 부분의 반대편에 형성되고 상기 옵틱 입사 영역에 입사된 광 중 적어도 일부가 출사되는 옵틱 출사 영역; 을 포함하고, 상기 옵틱 입사 영역은, 상기 제2 광원에서 출사되어 상기 옵틱 입사 영역에 입사된 광을 집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옵틱 출사 영역은, 상기 옵틱 입사 영역에서 집광된 광을 확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옵틱 입사 영역은 상기 제2 광원을 향해 돌출되는 볼록 렌즈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옵틱 출사 영역은 상기 제2 광원을 향해 만입되는 오목 렌즈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입사면은, 상기 도광부의 후방을 향해 볼록하게 돌출되는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만입 영역은, 상기 제1 만입 영역의 후방 영역에 구비되고 전방으로 갈수록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만입 영역의 전방 영역에 구비되고 전방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면;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광원은, 상기 제1 면의 전후 방향 폭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만입 영역은, 상기 제1 면의 상부 끝부와 상기 제2 면의 상부 끝부를 연결하는 제3 면;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면은,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전방 연장 구간; 및 상기 전방 연장 구간의 전방 끝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면에 연결되는 하방 연장 구간;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만입 영역을 수평 방향으로 잘랐을 때, 상기 제1 면은, 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면의 표면에는 반사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면은, 상기 전방 연장 구간에 형성되고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는 일 측면과 타 측면의 높이가 서로 다른 단차 형상을 갖는 컷오프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광부의 전면부는, 상기 도광부의 전방을 향해 볼록하게 돌출된 곡면 형상을 갖는 제1 곡면 영역; 및 상기 제1 곡면 영역의 상부에 구비되고 후방을 향해 오목하게 만입된 곡면 형상을 갖는 제2 곡면 영역;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곡면 영역과 상기 제2 곡면 영역이 서로 접하는 영역 부근에서, 상기 제2 곡면 영역의 곡률 반경은 상기 제1 곡면 영역의 곡률 반경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 광원에서 출사된 광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도광부의 상기 후면부를 투과한 후 외부에 출사되어 제1 배광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광원에서 출사된 광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도광부의 상기 제1 만입 영역을 투과한 후 외부에 출사되어 제2 배광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배광 패턴은 상기 제1 광원에서 출사된 광 중 상기 제1 곡면 영역을 통과한 광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2 배광 패턴은 상기 제2 광원에서 출사된 광 중 상기 제2 곡면 영역을 통과한 광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옵틱부는 상기 제2 광원과 상기 제2 면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2 광원에서 출사된 광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옵틱부 및 상기 제2 면을 거쳐 상기 제2 곡면 영역에 도달할 수 있다.
상기 도광부의 하면부는, 제1 만입 영역의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제1 만입 영역의 하부 끝부로부터 연장되고 전방으로 갈수록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 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경사면의 표면에는 반사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은, 상기 도광부의 후면부 최상단과 상기 도광부의 전면부 최하단을 연결한 가상의 면인 기능 분할면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상기 볼록 렌즈의 상부 끝부 또는 하부 끝부를 향하는 방향과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상기 볼록 렌즈의 가운데 영역을 향하는 방향이 이루는 각은 25도 내지 35도일 수 있다.
상기 제2 곡면 영역의 최하단은, 상기 제2 광원과 상기 경사면의 최상단을 연결한 가상의 면 상에 위치하거나 상기 가상의 면보다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광원이 접합되는 제1 기판; 상기 제2 광원이 접합되는 제2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에 밀착 구비되는 히트 싱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트 싱크 중 상기 제1 기판이 접합되는 영역과 상기 제2 기판이 접합되는 영역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차량용 램프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로서, 상기 차량용 램프 모듈은, 두 종류 이상의 배광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광원; 상기 복수의 광원의 일 측에 구비되며, 하면부에서 상방으로 만입된 형상을 갖는 제1 만입 영역이 형성되는 도광부; 및 상기 복수의 광원 중 일부 광원과 상기 도광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일부 광원에서 출사되는 광이 입사되는 옵틱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광원은, 상기 도광부의 후방에서 상기 도광부의 후면부와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제1 광원; 및 상기 도광부의 하부에서 상기 도광부의 하면부와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제2 광원; 을 포함하고, 상기 옵틱부는 상기 제2 광원과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차량용 램프가 제공된다.
상기 복수의 차량용 램프 모듈은, 상부에 구비되되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상부 램프 모듈; 및 상기 상부 램프 모듈의 하부에 구비되되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하부 램프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램프 모듈에 구비되는 상기 도광부의 전면부 형상과 상기 하부 램프 모듈에 구비되는 상기 도광부의 전면부 형상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도광부의 전면부는, 상기 도광부의 전방을 향해 볼록하게 돌출된 곡면 형상을 갖는 제1 곡면 영역; 상기 제1 곡면 영역의 상부에 구비되고 전방을 향해 볼록하게 돌출된 곡면 형상을 갖는 제2 곡면 영역; 및 상기 제1 곡면 영역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방으로 만입된 형상을 갖는 제2 만입 영역;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만입 영역은 상기 복수의 하부 램프 모듈에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차량용 램프에서 2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 램프를 점등하는 경우에도 하나의 발광면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디자인 측면에서 차별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모듈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모듈의 제2 광원 및 옵틱부를 확대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모듈의 다른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 모듈이 복수로 구비된 차량용 램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 모듈 및 차량용 램프를 설명한다.
차량용 램프 모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모듈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모듈의 제2 광원 및 옵틱부를 확대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 모듈(20, 이하, '램프 모듈'이라 한다)은 두 종류 이상의 배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램프 모듈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램프 모듈(20)은 제1 배광 패턴 및 제1 배광 패턴과 다른 제2 배광 패턴을 개별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배광 패턴은 로우빔 패턴일 수 있고, 제2 배광 패턴은 DRL 패턴일 수 있다. 그러나, 제1 배광 패턴 및 제2 배광 패턴의 종류는 전술한 내용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종류의 빔 패턴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램프 모듈(20)은 두 종류 이상의 배광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광원(100) 및 복수의 광원(100)의 일 측에 구비되고 복수의 광원(100)과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도광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광부(200)는 후술할 각 구성들이 일체로 형성되는 렌즈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일체형 렌즈, 즉, 도광부(200)를 통해 제1 배광 패턴과 제2 배광 패턴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에도 하나의 도광부를 통해 하나의 발광면을 공유할 수 있고 차량의 디자인 측면에서 차별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광부(200)의 표면은 위치에 따라 복수의 영역으로 구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광부(200)는 도광부의 전방 영역을 형성하는 전면부(210), 도광부의 후방 영역을 형성하는 후면부, 도광부의 상부 영역을 형성하는 상면부(230) 및 도광부의 하부 영역을 형성하는 하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부(200)의 하면부(240)에는 상방으로 만입된 형상을 갖는 제1 만입 영역(24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광원(100)은 도광부(200)의 후방에서 도광부(200)의 후면부와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제1 광원(101) 및 도광부(200)의 하부에서 도광부(200)의 하면부(240)와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제2 광원(10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광원(101) 및 제2 광원(102)은 LED일 수 있으나, 광원의 종류는 LED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광원(101)에서 출사된 광 중 적어도 일부는 도광부(200)의 후면부를 통과한 후 외부에 출사되어 제1 배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고, 제2 광원(102)에서 출사된 광 중 적어도 일부는 도광부(200)의 제1 만입 영역(242)을 투과한 후 외부에 출사되어 제2 배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제2 배광 패턴을 제1 배광 패턴보다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램프 모듈(20)은 복수의 광원(100) 중 일부 광원과 도광부(200)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일부 광원에서 출사되는 광이 입사되는 옵틱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옵틱부(300)는 광을 투과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일부 광원에서 출사된 광을 집광한 후 출사함으로써 상기 일부 광원에서 출사되는 광을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옵틱부(300)는 제2 광원(102)과 마주보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광원(102)에서 출사되는 광이 옵틱부(300)에서 집광된 후 외부에 출사될 수 있으므로, 제2 광원(102)을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제2 배광 패턴에 의해 형성되는 배광 분포 역시 법규에 맞도록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광부(200) 중 제1 광원(101)이 입사되는 영역과 제2 광원(102)이 입사되는 영역은 서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 2를 참고하면, 도광부(200)는 도광부(200)의 후면부에 형성되고 제1 광원(101)에서 출사된 광 중 적어도 일부가 입사되는 제1 입사면(220) 및 도광부(200)의 제1 만입 영역(242)에 형성되고 제2 광원(102)에서 출사되어 옵틱부(300)에 입사된 광 중 적어도 일부가 입사되는 제2 입사면(242b)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입사면(220)은 도광부(200)의 후면부 전체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입사면(242b)은 도광부(200)의 후면부 최상단과 도광부(200)의 전면부(210) 최하단을 연결한 가상의 면인 기능 분할면(A)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도광부(200)의 후면부 최상단은 도광부(200)의 후면부 중 도광부(200)의 상면부(230)와 만나는 영역으로 이해될 수 있고, 도광부(200)의 전면부(210) 최하단은 도광부(200)의 전면부(210) 중 도광부(200)의 하면부(240)와 만나는 영역으로 이해될 수 있다.
기능 분할면(A)은 도광부(200)의 후면부 최상단과 전면부(210) 최하단을 연결함으로써 도광부(200)를 2개의 영역으로 가상 분할하는 면으로서, 전술한 제1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영역과 제2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영역을 구분하는 기준이 되는 면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입사면(242b)이 기능 분할면(A)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제1 광원(101)에서 출사되어 제1 입사면(220)으로 입사되는 광과 제2 광원(102)에서 출사되어 제2 입사면(242b)으로 입사되는 광이 서로 교차하거나 간섭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이로써, 서로 다른 배광 패턴 간의 교차 및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램프 모듈(20)은 제1 광원(101)과 도광부(200) 사이에 구비되는 콜리메이터(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콜리메이터(150)는 제1 광원(101)에서 출사된 광을 평행광으로 전환한 후에 도광부(200)에 공급하는 구성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옵틱부(300)는 제2 광원(102)에서 출사되는 광을 집광한 후 출사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때, 옵틱부(300)는 제2 광원(102)과 마주보는 영역에 형성되고 제2 광원(102)에서 출사되는 광 중 적어도 일부가 입사하는 옵틱 입사 영역(310) 및 옵틱부(300)에서 옵틱 입사 영역(310)이 형성되는 부분의 반대편에 형성되고 옵틱 입사 영역(310)에 입사된 광 중 적어도 일부가 출사되는 옵틱 출사 영역(320)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옵틱 출사 영역(3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입사면(242b)과 마주보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제2 광원(102)에서 출사된 광 중 대부분은 옵틱 입사 영역(310)에 입사될 수 있다.
이때, 옵틱 입사 영역(310)은 제2 광원(102)에서 출사되어 옵틱 입사 영역(310)에 입사된 광을 집광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옵틱 출사 영역(320)은 옵틱 입사 영역(310)에서 집광된 광을 확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옵틱 입사 영역(310)은 제2 광원(102)을 향해 돌출되는 볼록 렌즈 형상을 포함할 수 있고, 옵틱 출사 영역(320)은 제2 광원(102)을 향해 만입되는 오목 렌즈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광원(102)에서 출사된 광은 옵틱 입사 영역(310) 중 볼록 렌즈 형상을 갖는 영역에서 집광된 후, 옵틱 출사 영역(320)에서 출사될 때 오목 렌즈 형상을 갖는 영역에서 확산될 수 있다.
한편, 옵틱 입사 영역(310)에 형성되는 상기 볼록 렌즈는 소정의 범위 내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고하면, 제2 광원(102)으로부터 옵틱 입사 영역(310)의 상기 볼록 렌즈의 상부 끝부 또는 하부 끝부를 향하는 방향과 제2 광원(102)으로부터 상기 볼록 렌즈의 가운데 영역을 향하는 방향이 이루는 각(θ)은 25 내지 35도일 수 있다. 이는 제2 광원(102)에서 출사된 광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배광 패턴이 DRL 패턴인 경우에, DRL 패턴에 요구되는 법규 사항을 만족하기 위함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i) 제2 광원(102)으로부터 옵틱 입사 영역(310)의 상기 볼록 렌즈의 상부 끝부를 향하는 방향과 제2 광원(102)으로부터 상기 볼록 렌즈의 가운데 영역을 향하는 방향이 이루는 각과 ii) 제2 광원(102)으로부터 옵틱 입사 영역(310)의 상기 볼록 렌즈의 하부 끝부를 향하는 방향과 제2 광원(102)으로부터 상기 볼록 렌즈의 가운데 영역을 향하는 방향이 이루는 각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도광부(200)의 제1 입사면(220)은 도광부(200)의 후방, 즉, 제1 광원(101)을 향해 볼록하게 돌출되는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광원(101)에서 출사되어 콜리메이터(150)에서 평행광으로 전환된 광은 제1 입사면(220)을 통과하면서 집광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도광부(200)의 제1 만입 영역(242)은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제1 만입 영역(242)은 제1 만입 영역(242)의 후방 영역에 구비되고 전방으로 갈수록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면(242a) 및 제1 만입 영역(242)의 전방 영역에 구비되고 전방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면(242b)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2 면(242b)은 전술한 제2 입사면일 수 있다. 일 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광원(102)은 제1 면(242a)의 전후 방향 폭 내에 구비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제1 만입 영역(242)은 제1 면(242a)의 상부 끝부와 제2 면(242b)의 상부 끝부를 연결하는 제3 면(242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3 면(242c)은 제1 면(242a)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전방 연장 구간(242c-1) 및 전방 연장 구간(242c-1)의 전방 끝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제2 면(242b)의 상부 끝부에 연결되는 하방 연장 구간(242c-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3 면(242c)은 도광부(200)를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대략 L자 형상을 갖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램프 모듈(20)에 구비되는 제1 만입 영역(242)을 수평 방향으로 잘랐을 때 제1 면(242a)은 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제1 면(242a)이 평면 형상을 갖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제1 만입 영역(242)을 수평 방향으로 잘랐을 때 제1 면(242a)은 포물선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면(242a)의 표면에는 반사층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광원(101)에서 출사된 광 중 제1 면(242a)에 도달한 광은 제1 면(242a)을 투과하지 못하고 반사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광원(101)에서 출사되는 광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배광 패턴은 로우빔 패턴일 수 있는데, 전술한 반사층은 제1 광원(101)에서 출사되어 제1 면(242a)에 도달한 광이 전방으로 출사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로우빔 패턴에 요구되는 법규 사항을 만족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로우빔 패턴에 요구되는 법규 사항을 만족하게 위해 제1 만입 영역에는 단차 형상을 갖는 컷오프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3 면(242c)은 전방 연장 구간(242c-1)에 형성되고 좌우 방향(도 2를 기준으로 지면을 뚫고 나오거나 뚫고 들어가는 방향)으로 이격되는 일 측면과 타 측면의 높이가 서로 다른 단차 형상을 갖는 컷오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광원(101)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배광 패턴은 로우빔 패턴일 수 있는데, 컷오프부는 법규상 로우빔 패턴의 상부 경계 영역에 형성될 것이 요구되는 컷오프 라인(cut off line)을 형성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광원(101)에서 출사된 광 중 일부가 컷오프부에 의해 차단됨으로써 컷오프 라인이 형성된 로우빔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단일의 곡면 형상을 갖는 도광부(200)의 후면부, 즉, 제1 입사면(220)과 달리 도광부(200)의 전면부(210)는 복수의 곡면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 1을 참고하면, 도광부(200)의 전면부(210)는 도광부(200)의 전방을 향해 볼록하게 돌출된 곡면 형상을 갖는 제1 곡면 영역(212) 및 제1 곡면 영역(212)의 상부에 구비되고 후방을 향해 오목하게 만입된 곡면 형상을 갖는 제2 곡면 영역(2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곡면 영역(212)는 제1 광원(101)에서 출사되어 제1 입사면(220)에 입사된 광이 도달하는 영역일 수 있고, 제2 곡면 영역(214)은 제2 광원(102)에서 출사되어 제2 입사면(242b)에 입사된 광이 도달하는 영역일 수 있다. 즉, 전술한 제1 배광 패턴은 제1 광원(101)에서 출사된 광 중 제1 곡면 영역(212)을 통과한 광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전술한 제2 배광 패턴은 제2 광원(102)에서 출사된 광 중 제2 곡면 영역(214)을 통과한 광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반면, 제1 광원(101)에서 출사된 광은 제2 곡면 영역(214)에 도달하지 않고, 제2 광원(102)에서 출사된 광은 제1 곡면 영역(212)에 도달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옵틱부(300)는 제2 광원(102)과 제2 입사면(242b) 사이에 구비되고, 제2 광원(102)에서 출사된 광 중 적어도 일부(보다 바람직하게는, 제2 광원에서 출사된 광 중 대부분)는 옵틱부(300) 및 제2 입사면 (242b)을 거쳐 제2 곡면 영역(214)에 도달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곡면 영역(214) 중 일부는 제1 곡면 영역(212)의 상부 경계보다 하부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곡면 영역(214)의 다른 일부는 제1 곡면 영역(212)의 상부 경계보다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제1 곡면 영역(212)의 상부 경계 중 일부 영역이 하방으로 만입된 형상을 가지고, 제2 곡면 영역(214)은 제1 곡면 영역(212)의 상부 경계 중 하방으로 만입된 영역에서 제1 곡면 영역(212)과 맞닿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럼에도, 전체적으로 봤을 때 제2 곡면 영역(214)은 제1 곡면 영역(212)보다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제2 광원(102)에서 출사되어 옵틱 입사 영역(310)의 볼록 렌즈 영역에 입사된 광이 제2 곡면 영역(214)에 도달할 수 있도록, 옵틱 입사 영역(310)의 상기 볼록 렌즈 영역의 크기는 제2 곡면 영역(214)의 크기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곡면 영역(212) 및 제2 곡면 영역(214)은 서로 다른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곡면 영역(214)의 평균 곡률 반경은 제1 곡면 영역(212)의 평균 곡률 반경보다 작고, 제2 곡면 영역(214)의 크기는 제1 곡면 영역(212)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 곡면 영역(212)과 제2 곡면 영역(214)이 서로 접하는 영역 부근에서 제2 곡면 영역(214)의 곡률 반경은 제1 곡면 영역(212)의 곡률 반경보다 작을 수 있다.
한편, 도 1을 참고하면, 도광부(200)의 전면부(210)는 제1 곡면 영역(212)의 상부에 형성되되 제2 곡면 영역(214)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추가 영역(2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영역(218)은 제1 곡면 영역(212) 및 제2 곡면 영역(214)과는 다른 곡률 반경을 가짐으로써 제1 곡면 영역(212) 및 제2 곡면 영역(214)과 구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 영역(218)의 하부 경계 중 일부 영역은 상방으로 만입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2 곡면 영역(214)은 추가 영역(218)의 하부 경계 중 상방으로 만입된 영역에서 추가 영역(218)과 맞닿을 수 있다. 즉, 제2 곡면 영역(214)의 둘레 전체는 제1 곡면 영역(212) 및 추가 영역(218)에 의해 둘러싸여 있을 수 있다. 추가 영역(218)은 곡면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나 평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추가 영역(218)이 곡면 형상을 갖는 경우 추가 영역(218)의 곡률 반경은 제1 곡면 영역(212) 및 제2 곡면 영역(214)의 곡률 반경보다 클 수 있다.
제1 곡면 영역(212) 및 제2 곡면 영역(214)과 달리 추가 영역(218)은 제1 배광 패턴 및 제2 배광 패턴의 형성에 실질적으로 기여하지 않는 구성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광원(101) 및 제2 광원(102)에서 출사된 광은 추가 영역(218)에 도달하지 않거나,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데 실질적으로 기여하지 않는 정도만 추가 영역(218)에 도달할 수 있다. 그러나, 추가 영역(218)은 본 발명에 따른 램프 모듈(20)에 구비되는 제1 광원(101), 제2 광원(102) 및 콜리메이터(150) 등의 구성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램프 모듈(20)의 비점등시에도 램프 모듈(20)의 심미성을 확보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부(200)의 하면부(240)는 제1 만입 영역(242)의 하부 끝부로부터 연장되고 전방으로 갈수록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24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경사면(244)은 제1 만입 영역(242)보다 전방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면(242b)의 하부 끝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이때, 경사면(244)의 표면에는 반사층이 형성될 수 있다. 경사층(244)의 표면에 형성되는 반사층은 제2 광원(102)에서 출사되는 광 중 일부를 차단함으로써 제2 광원(102)에서 출사되는 광이 제1 곡면 영역(212)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244)은 기능 분할면(A)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고하면, 제2 곡면 영역(214)의 최하단은 제2 광원(102)과 경사면(244)의 최상단을 연결한 가상의 면 상에 위치하거나 상기 가상의 면보다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2 곡면 영역(214)의 최하단이란 제2 곡면 영역(214)가 제1 곡면 영역(212)과 만나는 경계를 의미할 수 있다. 이는, 제2 광원(102)에서 출사된 광이 제1 곡면 영역(212)에 도달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일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램프 모듈(20)은 제1 광원(101)이 접합되는 제1 기판(410), 제2 광원(102)이 접합되는 제2 기판(420) 및 제1 기판(410)이 밀착되는 히트 싱크(500)를 포함할 수 있다. 히트 싱크(500)는 제1 광원(101)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여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도 1에는 일 예로서, 제2 광원(102) 및 제2 기판(420)이 히트 싱크(500)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는, 제1 광원(101)이 로우빔 패턴을 형성하고, 제2 광원(102)이 DRL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 제1 광원(101)에서 발생하는 열에 비해 제2 광원(102)에서 발생하는 열이 작기 때문에, 제2 광원(102)은 히트 싱크에 의한 방열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모듈의 다른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램프 모듈(20)에 대해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램프 모듈(20)에도 모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르면, 히트 싱크(500)가 제2 광원(102)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일 예와 차이가 있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르면, 램프 모듈(20)은 제1 광원(101)이 접합되는 제1 기판(410), 제2 광원(102)이 접합되는 제2 기판(420) 및 제1 기판(410)과 제2 기판(420)에 밀착 구비되는 히트 싱크(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히트 싱크(500) 중 제1 기판(410)이 접합되는 영역과 제2 기판(420)이 접합되는 영역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광원(101)은 도광부(200)의 후면부와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반면, 제2 광원(102)은 도광부(200)의 하면부(240)와 마주보도록 구비되므로 히트 싱크(500)가 제1 광원(101)과 제2 광원(102)에서 발생하는 열을 모두 흡수하기 위해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트 싱크(500)가 대략 L자 형상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질 필요가 있다.
차량용 램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 모듈이 복수로 구비된 차량용 램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10, 이하, '램프'라 한다)는 복수의 램프 모듈(2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램프 모듈(20)은 각각 두 종류 이상의 배광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광원(100), 복수의 광원(100)의 일 측에 구비되며, 하면부(240)에서 상방으로 만입된 형상을 갖는 제1 만입 영역(242)이 형성되는 도광부(200) 및 복수의 광원(100) 중 일부 광원과 도광부(200)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일부 광원에서 출사되는 광이 입사되는 옵틱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광원(100)은 도광부(200)의 후방에서 도광부(200)의 후면부와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제1 광원(101) 및 도광부(200)의 하부에서 도광부(200)의 하면부(240)와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제2 광원(10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옵틱부(300)는 제2 광원(102)과 마주보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옵틱부(300)는 제2 광원(102)에서 출사되는 광을 보다 효과적으로 집광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램프(10)에 구비되는 램프 모듈(20)에 대한 내용은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전술한 내용들로 갈음한다.
도 5를 참고하면, 복수의 램프 모듈은 상부에 구비되되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상부 램프 모듈(20a) 및 상부 램프 모듈(20a)의 하부에 구비되되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하부 램프 모듈(20b)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램프 모듈(20a) 및 하부 램프 모듈(20b)은 본 발명에 따른 램프 모듈과 관련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전술한 내용으로 갈음한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 램프 모듈(20a)에 구비되는 상부 도광부(200a)의 전면부의 형상과 하부 램프 모듈(20b)에 구비되는 하부 도광부(200b)의 전면부의 형상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이하, 상부 램프 모듈(20a) 및 하부 램프 모듈(20b)에 구비되는 도광부(200)의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도 2 및 도 5를 참고하면, 하부 도광부(200b)의 전면부는 전술한 제1 곡면 영역(212) 및 제2 곡면 영역(214) 이외에도 제1 곡면 영역(212)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방으로 만입된 형상을 갖는 제2 만입 영역(2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반면, 상부 도광부(200a)의 전면부에는 전술한 제2 만입 영역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램프(10)에서 제2 만입 영역(216)은 복수의 하부 램프 모듈(20b)에만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차량용 램프
20 : 차량용 램프 모듈
20a : 상부 램프 모듈
20b : 하부 램프 모듈
100 : 광원
101 : 제1 광원
102 : 제2 광원
150 : 콜리메이터
200 : 도광부
200a : 상부 도광부
200b : 하부 도광부
210 : 전면부
212 : 제1 곡면 영역
214 : 제2 곡면 영역
216 : 제2 만입 영역
218 : 추가 영역
220 : 제1 입사면
230 : 상면부
240 : 하면부
242 : 제1 만입 영역
242a : 제1 면
242b : 제2 면, 제2 입사면
242c : 제3 면
242c-1 : 전방 연장 구간
242c-2 : 하방 연장 구간
300 : 옵틱부
310 : 옵틱 입사 영역
320 : 옵틱 출사 영역
410 : 제1 기판
420 : 제2 기판
500 : 히트 싱크
A : 기능 분할면

Claims (23)

  1. 두 종류 이상의 배광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광원;
    상기 복수의 광원의 일 측에 구비되며, 하면부에서 상방으로 만입된 형상을 갖는 제1 만입 영역이 형성되는 도광부; 및
    상기 복수의 광원 중 일부 광원과 상기 도광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일부 광원에서 출사되는 광이 입사되는 옵틱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광원은,
    상기 도광부의 후방에서 상기 도광부의 후면부와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제1 광원; 및
    상기 도광부의 하부에서 상기 도광부의 하면부와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제2 광원; 을 포함하고,
    상기 옵틱부는 상기 제2 광원과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차량용 램프 모듈.
  2. 청구항 1에서,
    상기 도광부는,
    상기 도광부의 후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광원에서 출사된 광 중 적어도 일부가 입사되는 제1 입사면; 및
    상기 도광부의 상기 제1 만입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광원에서 출사되어 상기 옵틱부에 입사된 광 중 적어도 일부가 입사되는 제2 입사면;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입사면은,
    상기 도광부의 후면부 최상단과 상기 도광부의 전면부 최하단을 연결한 가상의 면인 기능 분할면의 하부에 위치하는 차량용 램프 모듈.
  3. 청구항 1에서,
    상기 옵틱부는,
    상기 제2 광원과 마주보는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광원에서 출사되는 광 중 적어도 일부가 입사하는 옵틱 입사 영역; 및
    상기 옵틱부에서 상기 옵틱 입사 영역이 형성되는 부분의 반대편에 형성되고 상기 옵틱 입사 영역에 입사된 광 중 적어도 일부가 출사되는 옵틱 출사 영역; 을 포함하고,
    상기 옵틱 입사 영역은,
    상기 제2 광원에서 출사되어 상기 옵틱 입사 영역에 입사된 광을 집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옵틱 출사 영역은,
    상기 옵틱 입사 영역에서 집광된 광을 확산하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모듈.
  4. 청구항 3에서,
    상기 옵틱 입사 영역은 상기 제2 광원을 향해 돌출되는 볼록 렌즈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옵틱 출사 영역은 상기 제2 광원을 향해 만입되는 오목 렌즈 형상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모듈.
  5. 청구항 1에서,
    상기 제1 입사면은,
    상기 도광부의 후방을 향해 볼록하게 돌출되는 곡면 형태로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모듈.
  6. 청구항 1에서,
    상기 제1 만입 영역은,
    상기 제1 만입 영역의 후방 영역에 구비되고 전방으로 갈수록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만입 영역의 전방 영역에 구비되고 전방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면;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광원은,
    상기 제1 면의 전후 방향 폭 내에 구비되는 차량용 램프 모듈.
  7. 청구항 6에서,
    상기 제1 만입 영역은,
    상기 제1 면의 상부 끝부와 상기 제2 면의 상부 끝부를 연결하는 제3 면;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면은,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전방 연장 구간; 및
    상기 전방 연장 구간의 전방 끝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면에 연결되는 하방 연장 구간; 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모듈.
  8. 청구항 6에서,
    상기 제1 만입 영역을 수평 방향으로 잘랐을 때,
    상기 제1 면은,
    직선 형상을 갖는 차량용 램프 모듈.
  9. 청구항 6에서,
    상기 제1 면의 표면에는 반사층이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모듈.
  10. 청구항 7에서,
    상기 제3 면은,
    상기 전방 연장 구간에 형성되고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는 일 측면과 타 측면의 높이가 서로 다른 단차 형상을 갖는 컷오프부;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모듈.
  11. 청구항 6에서,
    상기 도광부의 전면부는,
    상기 도광부의 전방을 향해 볼록하게 돌출된 곡면 형상을 갖는 제1 곡면 영역; 및
    상기 제1 곡면 영역의 상부에 구비되고 후방을 향해 오목하게 만입된 곡면 형상을 갖는 제2 곡면 영역; 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모듈.
  12. 청구항 11에서,
    상기 제1 곡면 영역과 상기 제2 곡면 영역이 서로 접하는 영역 부근에서,
    상기 제2 곡면 영역의 곡률 반경은 상기 제1 곡면 영역의 곡률 반경보다 작은 차량용 램프 모듈.
  13. 청구항 11에서,
    상기 제1 광원에서 출사된 광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도광부의 상기 후면부를 투과한 후 외부에 출사되어 제1 배광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광원에서 출사된 광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도광부의 상기 제1 만입 영역을 투과한 후 외부에 출사되어 제2 배광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배광 패턴은 상기 제1 광원에서 출사된 광 중 상기 제1 곡면 영역을 통과한 광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2 배광 패턴은 상기 제2 광원에서 출사된 광 중 상기 제2 곡면 영역을 통과한 광에 의해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모듈.
  14. 청구항 11에서,
    상기 옵틱부는 상기 제2 광원과 상기 제2 면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2 광원에서 출사된 광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옵틱부 및 상기 제2 면을 거쳐 상기 제2 곡면 영역에 도달하는 차량용 램프 모듈.
  15. 청구항 11에서,
    상기 도광부의 하면부는,
    제1 만입 영역의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제1 만입 영역의 하부 끝부로부터 연장되고 전방으로 갈수록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 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경사면의 표면에는 반사층이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모듈.
  16. 청구항 15에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도광부의 후면부 최상단과 상기 도광부의 전면부 최하단을 연결한 가상의 면인 기능 분할면의 하부에 위치하는 차량용 램프 모듈.
  17. 청구항 4에서,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상기 볼록 렌즈의 상부 끝부 또는 하부 끝부를 향하는 방향과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상기 볼록 렌즈의 가운데 영역을 향하는 방향이 이루는 각은 25도 내지 35도인 차량용 램프 모듈.
  18. 청구항 15에서,
    상기 제2 곡면 영역의 최하단은,
    상기 제2 광원과 상기 경사면의 최상단을 연결한 가상의 면 상에 위치하거나 상기 가상의 면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차량용 램프 모듈.
  19. 청구항 1에서,
    상기 제1 광원이 접합되는 제1 기판;
    상기 제2 광원이 접합되는 제2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에 밀착 구비되는 히트 싱크;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모듈.
  20. 청구항 19에서,
    상기 히트 싱크 중 상기 제1 기판이 접합되는 영역과 상기 제2 기판이 접합되는 영역은 일체로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모듈.
  21. 복수의 차량용 램프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로서,
    상기 차량용 램프 모듈은,
    두 종류 이상의 배광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광원;
    상기 복수의 광원의 일 측에 구비되며, 하면부에서 상방으로 만입된 형상을 갖는 제1 만입 영역이 형성되는 도광부; 및
    상기 복수의 광원 중 일부 광원과 상기 도광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일부 광원에서 출사되는 광이 입사되는 옵틱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광원은,
    상기 도광부의 후방에서 상기 도광부의 후면부와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제1 광원; 및
    상기 도광부의 하부에서 상기 도광부의 하면부와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제2 광원; 을 포함하고,
    상기 옵틱부는 상기 제2 광원과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차량용 램프.
  22. 청구항 21에서,
    상기 복수의 차량용 램프 모듈은,
    상부에 구비되되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상부 램프 모듈; 및
    상기 상부 램프 모듈의 하부에 구비되되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하부 램프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램프 모듈에 구비되는 상기 도광부의 전면부 형상과 상기 하부 램프 모듈에 구비되는 상기 도광부의 전면부 형상은 서로 다른 차량용 램프.
  23. 청구항 22에서,
    상기 도광부의 전면부는,
    상기 도광부의 전방을 향해 볼록하게 돌출된 곡면 형상을 갖는 제1 곡면 영역;
    상기 제1 곡면 영역의 상부에 구비되고 전방을 향해 볼록하게 돌출된 곡면 형상을 갖는 제2 곡면 영역; 및
    상기 제1 곡면 영역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방으로 만입된 형상을 갖는 제2 만입 영역;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만입 영역은 상기 복수의 하부 램프 모듈에만 구비되는 차량용 램프.
KR1020220071709A 2022-06-13 2022-06-13 차량용 램프 모듈 및 그 램프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KR20230171304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1709A KR20230171304A (ko) 2022-06-13 2022-06-13 차량용 램프 모듈 및 그 램프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JP2022190768A JP2023181964A (ja) 2022-06-13 2022-11-29 車両用ランプ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ランプモジュールを含む車両用ランプ
DE102022132187.8A DE102022132187A1 (de) 2022-06-13 2022-12-05 Lampenmodul für ein Fahrzeug und Lampe für ein Fahrzeug, das dasselbe enthält
US18/063,517 US11754245B1 (en) 2022-06-13 2022-12-08 Lamp module for vehicle and lamp for vehicle including the same
CN202211655394.5A CN117267649A (zh) 2022-06-13 2022-12-22 用于车辆的灯模块及包括该灯模块的用于车辆的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1709A KR20230171304A (ko) 2022-06-13 2022-06-13 차량용 램프 모듈 및 그 램프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1304A true KR20230171304A (ko) 2023-12-20

Family

ID=87933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1709A KR20230171304A (ko) 2022-06-13 2022-06-13 차량용 램프 모듈 및 그 램프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754245B1 (ko)
JP (1) JP2023181964A (ko)
KR (1) KR20230171304A (ko)
CN (1) CN117267649A (ko)
DE (1) DE1020221321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2301A (ko) * 2022-06-29 2024-01-05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KR20240009098A (ko) * 2022-07-13 2024-01-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모듈 및 그 램프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26462A (ja) * 2007-07-17 2009-02-05 Toyoda Gosei Co Ltd 車両用灯具
DE102013006707A1 (de) * 2012-05-26 2013-11-28 Docter Optics Se Fahrzeugscheinwerfer
CN112443806B (zh) * 2016-01-13 2022-09-09 三菱电机株式会社 前照灯模块
JP7025924B2 (ja) * 2017-12-28 2022-02-25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灯具
KR102438173B1 (ko) 2020-11-24 2022-08-30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에 기반한 반도체 장비 통신 프로토콜 계층 구조, 게이트웨이 및 전송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22132187A1 (de) 2023-12-14
US11754245B1 (en) 2023-09-12
CN117267649A (zh) 2023-12-22
JP2023181964A (ja) 2023-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90405B2 (en) Vehicle lighting unit
US10100994B2 (en) Vehicle lamp
JP6131571B2 (ja) 車両用灯具
KR20230171304A (ko) 차량용 램프 모듈 및 그 램프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JP6146040B2 (ja) 車両用前照灯
US20070091630A1 (en) Bifunctional LED headlamp
CN106764783B (zh) 一种车辆用前照灯
EP2860442B1 (en) Vehicle lamp
JP7363416B2 (ja) 車両用導光体及び車両用灯具ユニット
JP6136219B2 (ja) 車両用前照灯
JP2013171710A (ja) 車両用前照灯
US7543963B2 (en) Module for projecting a light beam
JP5982986B2 (ja) 車両用前照灯
JP2011187162A (ja) 車両用灯具
KR20240009098A (ko) 차량용 램프 모듈 및 그 램프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KR102517337B1 (ko) 차량용 램프 모듈 및 그 램프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JP5170651B2 (ja) 車両前照灯用光学ユニット
US11808425B2 (en) Lamp for vehic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KR20240007499A (ko) 차량용 램프 모듈 및 그 램프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KR20230036354A (ko) 램프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램프
KR20220083482A (ko) 차량용 램프
KR20230056465A (ko) 차량용 램프
JP5516868B2 (ja) 車両用信号灯具ユニット
KR20170077409A (ko) 차량용 램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