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0618A - 음성인식 기능을 갖는 가전제품 - Google Patents

음성인식 기능을 갖는 가전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0618A
KR20230170618A KR1020230170879A KR20230170879A KR20230170618A KR 20230170618 A KR20230170618 A KR 20230170618A KR 1020230170879 A KR1020230170879 A KR 1020230170879A KR 20230170879 A KR20230170879 A KR 20230170879A KR 20230170618 A KR20230170618 A KR 20230170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home appliance
unit
microphone chip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70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화성
손동현
이지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70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0618A/ko
Publication of KR20230170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061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4Structural association of microphone with electric circuitry therefo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8Constructional details of speech recogni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1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incorporating only one transduc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7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 H01L25/075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the devices being arranged next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8Optical field-shaping elements
    • H01L33/60Reflec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6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emiconductor body, e.g. lead-frames, wire-bonds or solder ba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Led Device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사용자의 음성에 의해 제품의 동작을 조작할 수 있는 가전제품을 개시한다. 가전제품은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사용자의 음성을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를 포함하는 마이크로폰 유닛, 상기 마이크로폰 유닛과 소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스피커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음성인식 기능을 갖는 가전제품{HOME APPLIANCE HAVING VOICE RECOGNIZING FUNCTION}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가전제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세탁기, 전기 오븐, 에어컨 등과 같은 가전제품은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사용자에 다양한 옵션을 제공하고 있기도 한다.
이와 같이 다양한 옵션을 제공하는 경우, 가전제품에는 사용자가 조작을 통해 기능과 옵션을 선택할 수 있도록 다양한 버튼과 같은 조작부가 마련되기도 하며, 이 경우 사용자가 조작법을 충분히 숙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조작에 어려움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보다 손쉽게 할 수 있는 작동할 수 있는 제품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사용자의 음성에 의해 제품의 동작을 조작할 수 있는 가전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사용자가 제품에 다가가지 않고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도 조작이 가능한 가전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가전제품은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사용자의 음성을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수평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감지부를 포함하는 마이크로폰 유닛, 상기 마이크로폰 유닛과 소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스피커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폰 유닛은 상기 감지부를 구비하는 마이크로폰 칩과, 상기 마이크로폰 칩이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의 주위에 배치되어 상기 감지부로의 진동 및 소음 유입을 저감하기 위한 완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로 소리가 유입되도록 상기 본체에서 상기 감지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마이크 홀과, 상기 마이크 홀을 통해 상기 감지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마이크 홀의 후방에 배치되는 방수 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 내부에는 상기 마이크로폰 유닛의 위치를 안내하기 고정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 홀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폰 유닛은 양면 테이프를 통해 상기 본체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폰 유닛은 상기 본체의 상부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스피커 유닛은 상기 마이크로폰 유닛과 이격되어 상기 본체의 상부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 유닛으로부터 출력되는 소리가 상기 본체의 외부에 전달되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스피커 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 홀은 상기 스피커 유닛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스피커 유닛과 상기 스피커 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스피커 유닛으로부터 출력되는 소리가 상기 스피커 홀을 통해 상기 본체의 외부에 전달되도록 전달공간을 형성하는 가이드 리브가 마련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가전제품은 음식 조리를 위한 캐비티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조작부와 조작상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제어 패널, 사용자의 음성을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 패널의 내측에 배치되는 마이크로폰 유닛, 상기 마이크로폰 유닛으로부터 이격되게 상기 제어 패널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에게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폰 유닛은 상기 제어 패널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피커 유닛은 상기 제어 패널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폰 유닛은 상기 제어 패널의 일측에 배치되면서 상기 조작부의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스피커 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 유닛은 다이아프램이 상기 제어 패널의 일측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 유닛은 다이아프램이 상기 제어 패널의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스피커 유닛으로부터 출력되는 소리가 상기 본체의 외부에 전달되도록 상기 제어패널에 형성되어 상기 스피커 유닛보다 아래에 배치되는 스피커 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전면에 바람이 송풍되는 토출구를 구비하는 본체,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상단에 설치되는 마이크로폰 유닛, 상기 마이크로폰 유닛과 소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스피커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폰 유닛은,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마이크로폰 칩과, 상기 마이크로폰 칩에서 출력 음성신호를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폰 유닛이 결합되는 마이크로폰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폰 커버는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전장품이 설치되는 전장실이 마련되고, 상기 스피커 유닛은 상기 전장실내에 수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직접 조작부를 조작하지 않고 사용자의 음성을 이용하여 제품의 조작이 가능하고 작동상태로 음성으로 전달받을 수 있으므로 제품의 이용 편리상이 향상될 수 있다.
음성인식을 통해 제품을 조작할 수 있으므로, 기능 및 옵션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부를 간소할 수 있어 미관이 향상될 수 있고 제품의 제작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으로서, 세탁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일부 구성이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패널에 대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제어패널의 후면을 나타낸 분해도
도 5는 도 3의 제어패널의 전면을 나타낸 분해도
도 6은 세탁기의 전면커버에 마이크로폰 유닛이 설치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세탁기의 전면커버에 마이크로폰 유닛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으로서, 오븐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제어패널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0은 제어패널의 후면에서 마이크로폰 유닛과 스피커 유닛이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마이크로폰 유닛과 스피커 유닛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유닛의 배치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으로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도 13의 실내기의 상부를 확대한 도면
도 15는 도 14에서 일부 구성이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 참조 부호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부'가 부가된 용어는, 실시예에 따라 '부'가 하나의 부품으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가 복수의 부품들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분과 다른 부분에 따라서 물리적 연결을 의미할 수도 있고,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부분 이외의 또 다른 부분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며,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서 또 다른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 1 이나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부분을 다른 부분으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특별한 기재가 없는 이상 이들이 순차적인 표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조작이 필요한 모든 가전제품에 적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가전제품은 세탁기, 냉장고, 오븐, 식기 세척기, 로봇 청소기 및 공기조화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 에는 가전제품의 일 예로 세탁기를 도시하였다. 도 8에서는 가전제품의 일 예로 오븐을 도시하였으며, 도 13에서는 공기조화기를 일 예로 도시하였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가전제품은 냉장고를 포함한 다양한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으로서, 세탁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일부 구성이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00)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1)을 포함할 수 있고, 본체(101)는 복수의 세탁부(110, 1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기(100)는, 제1 세탁 공간(111)이 마련되는 제1 세탁부(110)와, 제2 세탁 공간(121)이 마련되는 제2 세탁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에는 세탁기(100)가 두 개의 세탁부(110, 120)를 포함하는 실시예에 대해서만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서 하나의 세탁기(100)에 하나의 세탁부만 마련되거나 셋 이상의 세탁부를 포함하는 것도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된다.
제1세탁부(110)은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제1 하우징(112)과, 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하우징(113)과, 제1세탁 공간(111)을 개폐하기 위하여 전면 하우징(11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도어(1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세탁부(120)도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제2 하우징(122)과, 제2세탁 공간(121)을 개폐하기 위한 제2도어(12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세탁기(100)는 제1 하우징(112) 및 제2 하우징(122)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시키는 고정 브래킷(13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브래킷(130)은, 예를 들어, 제1 하우징(112)의 전방 및 제2 하우징(122)의 전방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 브래킷(130)은, 설계자의 고려에 따라서 제1 하우징(112)의 측방 및 제2 하우징(122)의 측방에 결합되거나, 또는 제1 하우징(112)의 후방 및 제2 하우징(122)의 후방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세탁기(100)는, 제어 패널(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패널(150)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조작 및 정보 확인의 편의를 위하여 세탁기(100)의 전방 하우징(140)의 상부에 배치되어 전면 하우징 (113)과 제2하우징(122)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제어 패널(150)의 배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 패널(150)에는 세탁기(10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명령을 입력 받거나, 및/또는 세탁기(100)와 관련된 정보를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51)가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51)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장치는, 예를 들어, 물리 버튼,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노브, 스틱, 트랙볼 및 트랙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 가능하며, 이외에도 설계자가 고려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출력 장치는, 시각적으로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표시 장치는 예를 들어 음극선관(CRT, Cathode Ray Tube)이나 각종 디스플레이 패널,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CD, 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패널,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퀀텀닷 디스플레이 패널 등을 이용하여 구현 가능하다. 사운드 출력 장치는 스피커 장치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패널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제어패널의 후면을 나타낸 분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제어패널의 전면을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3 내지 5를 참조하면, 제어패널(150)은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스위치(미도시), 디스플레이(미도시)를 포함하는 각종 전자부품이 설치되는 패널 본체(151)과, 패널 본체(151)의 전면에 결합되는 전면커버(152)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 본체(151)는 앞서 설명한 전면 하우징 (도 2, 113)과 제2하우징(도 2, 122)과 결합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전면 커버(152)는 외부로부터의 수분 및 먼지가 제어 패널(150) 내부의 부품들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패널 본체(151)의 전방에 배치되어 패널 본체(151)의 전면을 덮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전면 커버(152)에는 제품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소자로부터 발광된 빛이 외부로 투과될 수 있는 투명부와, 제품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버튼이 마련될 수 있다.
전면 커버(152)의 후면에는 패널 본체(151)과의 결합을 위하여 다수의 후크(152a)가 마련될 수 있고, 패널 본체(151)에는 전면 커버(152)과 결합된 상태에서 후크(152a)에 대응될 수 있는 위치에 후크(152a)와 결합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걸림턱(151a)가 마련될 수 있다.
제어패널(150)에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기 위하여 소리를 감지하기 위한 마이크로폰 유닛(10)이 설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 유닛(10)은 전면 커버(152)와 패널 본체(151)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전면 커버(152)에는 사용자의 음성이 마이크로폰 유닛(10)으로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전면 커버(152)의 내외를 관통하는 마이크 홀(152b)이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로폰 유닛(10)은 제어패널(150)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마이크로폰 유닛(10)의 배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어패널(150) 내부의 공간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 유닛(10)은 전기회로를 구성하는 회로가 패터닝되는 인쇄회로기판(11)과, 인쇄회로기판(11)에 설치되는 마이크로폰 칩(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11)에는 마이크로폰 칩(12)에서 수집된 음성신호를 인쇄회로기판(11)의 외부로 전달할 수 있도록 단자(미도시)가 접속되는 커넥터(13)가 마련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 칩(12)는 반도체 제조 공정을 응용해 초미세 기계부품과 전자회로가 동시에 집적된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마이크로폰 일 수 있다.
마이크로폰 칩(12)에서 소리를 감지하는 감지부(12a)는 세탁기(100)의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마이크로폰 칩(12)은 2채널을 구성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어 인쇄회로기판(1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마이크로폰 칩(12)을 서로 이격시켜 배치하면 두 마이크로폰 칩(12)에서 감지되는 사용자의 음성의 크기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에서 가까운 거리에 있는 마이크로폰 칩(12)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와 먼 거리에 있는 마이크로폰 칩(12)의 음성신호로 상호 대비함에 의해 입력된 음성신호 중 노이즈 부분을 삭제하는 처리가 가능하고, 사용자의 위치에서 가까운 거리에 있는 마이크로폰 칩(12)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좀 더 증폭하여 처리함으로써 마이크로폰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한 쌍의 마이크로폰 칩(12)은 이격된 거리가 클수록 신호처리에 좀 더 효율적일 수 있으므로, 마이크로폰 칩(12)의 이격거리는 최소 30mm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격거리가 클수록 인쇄회로기판(11)의 폭이 증가될 수 있고 이는 제어패널(150)의 내부에 배치함에 있어 불리한 점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100mm를 초과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로폰 유닛(10)에 한 쌍의 마이크로폰 칩(12)이 배치되나, 마이크로폰 칩(12)의 개수는 하나일 수도 있고, 셋 이상의 복수일 수도 있다.
마이크로폰 유닛(10)이 제어패널(150)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전면 커버(152)의 후면에는 마이크로폰 유닛(10)의 설치위치를 안내하고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돌기(153)가 마련될 수 있다.
고정돌기(153)는 전면 커버(152)의 후면에서 마이크로폰 유닛(10)의 설치위치에서 전면 커버(152)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기둥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고정돌기(153a)와, 전면 커버(152)의 후면에서 마이크로폰 유닛(10)의 설치위치의 주위에 마련되는 제2고정돌기(153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폰 유닛(10)의 인쇄회로기판(11)에는 제1고정돌기(153a)과 관통할 수 있도록 가이드 홀(11a)이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돌기(153)와 가이드 홀(11a)은 마이크로폰 유닛(10)의 설치위치를 안내함과 동시에 마이크로폰 유닛(10)이 전면 커버(152)에 고정되도록 구속력을 제공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 유닛(10)이 세탁기(100)에 설치되면, 사용자가 제품의 동작을 음성으로 명령할 수 있게 되고, 사용자의 음성이 마이크로폰 유닛(10)으로 전달되어 음성신호로 변환되고, 이를 음성인식을 위한 과정을 거쳐 제품의 동작에 관계되는 명령으로 인식하게 되면 이에 해당하는 동작을 음성으로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음성을 인식하게 되는 과정에서 가전제품의 외부에 있는 음성인식 서버와 통신으로 접속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마이크로폰 유닛(10)은 세탁기의 동작을 위한 인터페이스 중 입력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제어패널(150)에는 소리의 출력을 위한 스피커 유닛(20)이 설치될 수 있다. 스피커 유닛(20)은 제품의 작동 상태 및 마이크로폰 유닛(10)에 의해 인식된 작동명령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피커 유닛(20)은 제어패널(150)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마이크로폰 유닛(10)과 이격되게 제어 패널(15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이크로폰 유닛(10)과 스피커 유닛(20)을 이격시키는 이유는 마이크로폰 유닛(10)과 스피커 유닛(20)이 동시에 동작할 경우 스피커의 음이 마이크로폰에 들어가 증폭되어서 다시 스피커를 통해 나오는 식으로 루프가 형성됨으로써 발진 상태가 되는 하울링(howling)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스피커 유닛(20)은 제어패널(150)의 후면에 설치될 수 있다. 스피커 유닛(20)은 그 두께가 충분히 슬림할 경우 제어패널(150)의 내부공간에 수용될 수도 있다.
스피커 유닛(20)은 패널 본체(151)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패널 본체(151)에는 스피커 유닛(20)에서 출력되는 소리가 세탁기(100)의 전방을 향하여 전달될 수 있도록 스피커 유닛(20)이 패널 본체(151)에 결합된 상태에서 스피커 유닛(20)의 다이아프램(21)에 대응되는 위치에 소리전달 홀(151b)가 마련될 수 있다.
스피커 유닛(20)은 패널 본체(151)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스피커 유닛(20)의 양측에는 걸림돌기(22)와 나사홀(23)이 마련될 수 있고, 패널 본체(151)의 후면에는 걸림돌기(22)이 삽입될 수 있는 걸림부(151c)와 스피커 유닛(20)의 나사홀(23)에 대응되는 나사홀(151d)이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방법은 하나의 예시일 뿐 걸림구조을 이용하거나 나사 체결구조만을 이용하여 스피커 유닛(20)을 패널 본체(151)에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피커 유닛(20)에서 출력되는 소리가 세탁기(100)의 전방을 향하여 전달될 수 있도록 전면 커버(152)에는 스피커 홀(152c)가 마련될 수 있다.
스피커 홀(152c)은 스피커 유닛(20)의 전방에 마련되면서 스피커 유닛(20) 보다 아래에 마련될 수 있고, 소리전달 홀(151b)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스피커 유닛(20)으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만약 스피커 홀 (152c)로 수분이 유입되더라고 유입된 물이 스피커 유닛(20)으로 향하지 않고 중력에 의해 전면 커버(152)와 패널 본체(151)사이의 공간을 따라 아래로 흐르면서 제어패널(15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도될 수 있다.
스피커 홀(152c)가 소리전달 홀(151b)보다 아래에 배치됨에 따라 둘 사이 간격이 이격되므로 좀 더 원활한 소리 전달을 위하여 스피커 유닛(20)과 소리전달 홀(151b)사이의 공간에는 소리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가이드 구조는 전면 커버(152)와 패널 본체(151)에 마련되는 가이드 리브(151c)(152d)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리브(151c)는 소리전달 홀(151b)의 주위를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패널 본체(151)이 전면에서 돌출된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리브(152d)는 소리전달 홀(151b)과 스피커 홀(152c)사이의 공간의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면 커버(152)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된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소리의 가이드 구조는 하나의 예시일 뿐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며, 가이드 구조가 전면 커버(152)와 패널 본체(151) 중 어느 하나에만 마련될 수 도 있다.
도 6은 세탁기의 전면커버에 마이크로폰 유닛이 설치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세탁기의 전면커버에 마이크로폰 유닛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로폰 칩(12)의 감지부(12a)의 주위에는 완충부재(14)가 배치될 수 있다. 완충부재(14)는 전면 커버(152)로부터 세탁기(100)의 동작에 따른 진동 및 소음이 감지부(12a)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감지부(12a)와 전면 커버(152)의 후면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흡진과 흡음을 위하여 폼(foam)형태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완충부재(14)는 감지부(12a)의 주위를 감쌀 수 있도록 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11)과 후술할 방수시트(15)에 부착될 수 있도록 완충부재(14)의 양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방수시트(15)는 완충부재(14)와 전면 커버(152)의 후면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방수시트(15)의 전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방수시트(15)는 외부에서 마이크로폰 유닛(10)으로 향하는 수분의 유입은 차단하고 전면 커버(152)의 안쪽의 습기는 외부로 발산할 수 있으며, 소리 전달에 유리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폰 유닛(10)과 전면 커버(152)사이에는 마이크로폰 유닛(10)의 고정을 위하여 양면 테이프(16)가 배치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방수시트(15)는 그 전면에 미리 도포된 접착제에 의해 전면 커버(152)의 후면의 마이크 홀(152b) 주위에 부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마이크 홀(152b)을 통해 감지부(12a)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방수시트(15)의 후면에는 완충부재(14)의 전면이 접착될 수 있으며, 완충부재(14)의 후면은 감지부(12a)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접착될 수 있다.
양면테이프(16)도 완충부재(14)와 마찬가지로 폼형태의 재질로 형성되어 전면커버(152)의 진동 및 소음이 마이크로폰 유닛(10)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마이크로폰 유닛(10)이 전면커버(152)의 후면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으로서, 오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제어패널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제어패널의 후면에서 마이크로폰 유닛과 스피커 유닛이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마이크로폰 유닛과 스피커 유닛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11을 참조하면, 오븐(200)은, 일 실시예에 있어서,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201)을 포함할 수 있고, 본체(201)에 형성된 캐비티를 개폐하기 위하여 본체(201)의 전면에 배치되는 도어(2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210)의 상부에는 오븐(200)의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221)와 오븐(200)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디스플레이부(222)가 마련되는 제어패널(22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체(210)의 상부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올려 놓고 가열시킬 수 있는 쿡탑(230)이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쿡탑(230)을 구비하는 오븐(20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일 뿐 쿡탑(230)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제어패널(220)에는 전술한 세탁기(100)에 적용된 마이크로폰 유닛(10)과 스피커 유닛(20)이 설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 유닛(10)과 스피커 유닛(20)은 세탁기(100)에 설치된 것도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 유닛(10)과 스피커 유닛(20)의 기능은 전술한 세탁기(100)에 적용된 경우와 동일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오븐(200)에 마이크로폰 유닛(10)과 스피커 유닛(20)이 설치되는 경우, 제어패널(220)의 내부공간과 구성이 세탁기(100)의 제어패널(150)과 상이함에 의해 마이크로폰 유닛(10)과 스피커 유닛(20)의 배치위치와 설치구조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일례로, 마이크로폰 유닛(10)은 제어패널(220)의 일측에 치우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조작부(221)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스피커 유닛(20)은 마이크로폰 유닛(10)과 이격되어 디스플레이부(222)의 일측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 유닛(10)이 제어패널(220)에 설치되는 구조는 전술한 세탁기(100)에서의 마이크로폰 유닛(10)의 설치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패널(220)의 전면 커버(223)에는 마이크 홀(223a)가 마련될 수 있으며, 마이크로폰 유닛(10)의 감지부(도 6, 12a)가 오븐(200)의 전방을 향하도록 마이크로폰 유닛(10)의 전면이 제어패널(220)에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감지부(도 6, 12a)의 주위에 완충부재(도 6, 14)가 동일하게 부착될 수 있고, 마이크로폰 유닛(10)의 고정을 위하여 양면 테이프(도 6, 16)도 제어패널(220)의 후면과 마이크로폰 유닛(10)의 전면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방수시트(도 6, 15)의 경우, 오븐(200)의 사용과정에서 제어패널(220)에 다량의 수분이 유입될 가능성이 적다는 점에서 방수시트(도 6, 15)는 생략될 수 도 있다.
스피커 유닛(20)은 제어패널(220) 내부의 부품 배치상 공간이 협소한 경우, 도시된 예와 같이 스피커 유닛(20)의 다이아프램(21)이 오븐(200)의 측면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이때 스피커 유닛(20)의 고정구조는 세탁기(100)에 적용된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스피커 유닛(20)의 다이아프램(21)의 오븐(200)을 측방을 향하게 배치됨에 따라 스피커 유닛(20)에서 출력되는 소리가 전방을 향할 수 있도록 스피커 유닛(20)의 일측면에는 다이아프램(21)과 연통되는 홀(24)이 마련될 수 있다.
도 12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유닛의 배치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마이크로폰 유닛(10)은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게 제어패널(220)의 일측에 배치되지만, 스피커 유닛(20)은 제어패널(220)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스피커 유닛(20)은 세탁기(100)에 적용된 경우와 동일하게 다이아프램(21)이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수분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피커 유닛(20)의 아래에 스피커 홀(223b)이 제어패널(220)에 마련될 수 도 있다.
도 13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으로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의 실내기의 상부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15는 도 14에서 일부 구성이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내지 15를 참조하면, 실내기(300)은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301)을 구비하고, 본체(301)의 전면에는 송풍을 위하여 다수의 토출구(302)가 마련될 수 있다.
본체(301)의 상단에는 공기조화기의 기능 수행을 위한 각종 전기부품 및 전자부품이 설치될 수 있도록 전장실(310)이 마련될 수 있다.
전장실(310)은 실내기(300) 내부의 기류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실내기(300) 내부의 유로와 구획되게 마련될 수 있다.
전장실(310)의 내부에는 제어를 위한 기판(311)과 소리의 출력을 위한 스피커 유닛(20)이 배치될 수 있다. 전장실(310)의 개구된 상부는 전장실 커버(32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스피커 유닛(20)은 전장실(31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전장실 커버(320)에는 소리의 출력을 위한 스피커 홀(323)이 마련될 수 있다.
음성인식을 위한 마이크로폰 유닛(10)은 스피커 유닛(20)과 이격되게 전장실(31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고, 전체적으로 실내기(300)의 상단부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 유닛(10)은 박스형태의 케이스(330)에 설치되어 수용된 상태에서 케이스(330)이 실내기(300)의 상단면(303)에 결합됨에 의해 실내기(100)에 설치될 수 있다.
케이스(330)의 하부에는 실내기(300)의 상단면(303)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후크(331)이 마련될 수 있고, 실내기(300)의 상단면(303)을 형성하는 전장실 커버(320)에는 결합후크(331)이 삽입되어 착탈될 수 있는 걸림부(322)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마이크로폰 유닛(10)은 본체(30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수리 또는 교체가 용이하게 마련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 유닛(10)이 케이스(330)에 설치되는 구조는 전술한 세탁기(100)에서의 마이크로폰 유닛(10)의 설치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330)의 전면에는 마이크 홀(332)가 마련될 수 있으며, 마이크로폰 유닛(10)의 감지부(도 6, 12a)가 실내기(300)의 전방을 향하도록 마이크로폰 유닛(10)의 전면이 하우징(330)에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감지부(도 6, 12a)의 주위에 완충부재(도 6, 14)가 동일하게 부착될 수 있고, 마이크로폰 유닛(10)의 고정을 위하여 양면 테이프(도 6, 16)도 케이스(330)의 후면과 마이크로폰 유닛(10)의 전면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방수시트(도 6, 15)의 경우, 실내기(300)의 사용과정에서 상단면(303)에 다량의 수분이 유입될 가능성이 적다는 점에서 방수시트(도 6, 15)는 생략될 수 도 있다.
마이크로폰 유닛(10)과 스피커 유닛(20)의 기능은 전술한 세탁기(100)에 마이크로폰 유닛(10)과 스피커 유닛(20)이 적용된 경우와 동일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마이크로폰 유닛 11: 인쇄회로기판
12: 마이크로폰 칩 14: 완충부재
15: 방수시트 16: 양면 테이프
20: 스피커 유닛 21: 다이아프램
100: 세탁기 150: 제어 패널
151: 패널 본체 152: 전면 커버
152b: 마이크 홀 152c: 스피커 홀
200: 오븐 201: 본체
220: 제어 패널 223a: 마이크 홀
300: 실내기 310: 전장실
320: 전장실 커버 330: 케이스

Claims (10)

  1. 가전기기에 있어서,
    상기 가전기기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되는 전장실;
    상기 전장실을 커버하는 전장실 커버;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전장실 커버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마이크 수용부로서, 제1마이크 홀 및 제2마이크 홀을 포함하는 전면부를 갖는 마이크 수용부; 및
    상기 마이크 수용부 내부의 상기 공간에 수용되고, 제1마이크로폰 칩과 제2마이크로폰 칩을 구비하는 인쇄회로기판; 을 포함하고,
    상기 제1마이크로폰 칩과 상기 제2마이크로폰 칩은 측방으로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1마이크로폰 칩은, 상기 가전기기의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음성이 상기 제1마이크 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1마이크로폰 칩의 감지부를 통해 감지되도록 상기 제1마이크 홀과 정렬되고,
    상기 제2마이크로폰 칩은, 상기 가전기기의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음성이 상기 제2마이크 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2마이크로폰 칩의 감지부를 통해 감지되도록 상기 제2마이크 홀과 정렬되는 가전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실 커버는, 상기 가전기기의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전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1마이크로폰 칩과 상기 제2마이크로폰 칩 사이에 배치되는 커넥터와,
    상기 제1마이크로폰 칩과 상기 제2마이크로폰 칩을 통해 수신된 음성신호가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전달되도록 상기 커넥터에 연결되는 단자를 더 포함하는 가전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이크로폰 칩의 감지부는 상기 제1마이크 홀과 정렬되고, 상기 제2마이크로폰 칩의 감지부는 상기 제2마이크 홀과 정렬되는 가전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수용부의 상기 전면부는 상기 마이크 수용부 내부에 위치하는 내면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내면에 양면 테이프를 통해 부착되는 가전기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마이크로폰 칩의 감지부와 상기 제2마이크로폰 칩의 감지부는 전방을 향하고,
    상기 전면부는 상기 마이크 수용부 내부에 위치하는 내면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내면에 고정되는 가전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실 커버는 스피커 홀을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 홀을 통해 상기 가전기기 외부로 소리가 전달되도록 상기 전장실 내부의 공간에 수용되는 스피커; 를 더 포함하는 가전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이크로폰 칩과 상기 제2마이크로폰 칩의 이격 거리는 30mm 이상 100mm 이하인 가전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기기 외부로 소리를 전달하도록 상기 가전기기 내부에 수용되는 스피커; 를 더 포함하는 가전기기.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는 상기 마이크 수용부 내부에 위치하는 내면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전면부의 상기 내면에 고정되는 제1면과, 상기 제1면의 반대인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마이크로폰 칩과 상기 제2마이크로폰 칩은 상기 제2면에 마련되는 가전기기.
KR1020230170879A 2017-08-31 2023-11-30 음성인식 기능을 갖는 가전제품 KR202301706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0879A KR20230170618A (ko) 2017-08-31 2023-11-30 음성인식 기능을 갖는 가전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460A KR102418952B1 (ko) 2017-08-31 2017-08-31 음성인식 기능을 갖는 가전제품
KR1020220057705A KR102609995B1 (ko) 2017-08-31 2022-05-11 음성인식 기능을 갖는 가전제품
KR1020230170879A KR20230170618A (ko) 2017-08-31 2023-11-30 음성인식 기능을 갖는 가전제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7705A Division KR102609995B1 (ko) 2017-08-31 2022-05-11 음성인식 기능을 갖는 가전제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0618A true KR20230170618A (ko) 2023-12-19

Family

ID=6552586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1460A KR102418952B1 (ko) 2017-08-31 2017-08-31 음성인식 기능을 갖는 가전제품
KR1020220057705A KR102609995B1 (ko) 2017-08-31 2022-05-11 음성인식 기능을 갖는 가전제품
KR1020230170879A KR20230170618A (ko) 2017-08-31 2023-11-30 음성인식 기능을 갖는 가전제품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1460A KR102418952B1 (ko) 2017-08-31 2017-08-31 음성인식 기능을 갖는 가전제품
KR1020220057705A KR102609995B1 (ko) 2017-08-31 2022-05-11 음성인식 기능을 갖는 가전제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4) US11259103B2 (ko)
EP (2) EP3654331A4 (ko)
KR (3) KR102418952B1 (ko)
CN (2) CN117524220A (ko)
TW (1) TW202339302A (ko)
WO (1) WO20190452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8952B1 (ko) * 2017-08-31 2022-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인식 기능을 갖는 가전제품
KR102541585B1 (ko) * 2018-08-07 2023-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과 음성 인식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홈어플라이언스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560668B1 (ko) 2018-08-22 2023-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330900B1 (ko) 2019-09-27 2021-1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로봇
KR102330901B1 (ko) * 2019-09-27 2021-1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로봇
EP4017018A1 (en) * 2020-12-15 2022-06-22 BSH Hausgeräte GmbH Voice-controlled household device
KR102603035B1 (ko) * 2023-06-23 2023-11-15 김민수 Ai 기반의 버츄얼 챗봇 운영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7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03141A1 (de) * 1985-01-31 1986-08-07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6000 Frankfurt Haushaltsgeraet mit einer dateneingabe- und ausgabeeinrichtung
US6169789B1 (en) 1996-12-16 2001-01-02 Sanjay K. Rao Intelligent keyboard system
AU7833898A (en) * 1997-11-20 1999-06-15 Nielsen Media Research, Inc. Voice recognition unit for audience measurement system
KR100395545B1 (ko) 2000-01-22 2003-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의 음성인식에 의한 조리제어장치와 그 방법
KR100832492B1 (ko) 2002-08-16 2008-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넷 냉장고용 메인컨트롤러의 방열 및 전자파차폐구조
JP4266148B2 (ja) * 2003-09-30 2009-05-20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KR100549003B1 (ko) * 2004-02-04 2006-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넓은 튜닝 범위를 갖는 멤스 튜너블 커패시터 및 그것을제조하는 방법
JP4426912B2 (ja) * 2004-06-30 2010-03-03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マイクロホン装置
KR20060097455A (ko) 2005-03-09 2006-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성인식기능이 구비된 멜로디 공기조화기
JP4278637B2 (ja) 2005-06-07 2009-06-17 益男 片田 フットライト付き冷蔵庫
GB2434369B (en) * 2006-01-20 2010-08-25 P2I Ltd Plasma coated electrical or electronic devices
JP4793207B2 (ja) 2006-09-29 2011-10-12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マイクロホン装置、および音響装置
JP4483913B2 (ja) * 2007-09-03 2010-06-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洗濯機
JP6041382B2 (ja) * 2010-07-23 2016-12-07 日本電気株式会社 音響機器および発振ユニット
KR101213540B1 (ko) 2011-08-18 2012-12-18 (주)에스엠인스트루먼트 멤스 마이크로폰 어레이를 이용한 음향감지 장치 및 음향카메라
JP5633493B2 (ja) * 2011-09-16 2014-12-03 オムロン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マイクロフォン
US9356337B2 (en) * 2012-02-23 2016-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terminal
KR101880082B1 (ko) * 2012-03-27 2018-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JP6073074B2 (ja) 2012-05-14 2017-02-01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CN202709615U (zh) 2012-06-20 2013-01-30 合肥美的荣事达电冰箱有限公司 用于冰箱门体的上端盖组件及具有该上端盖组件的冰箱
KR101213539B1 (ko) * 2012-09-03 2012-12-18 (주)에스엠인스트루먼트 멤스 마이크로폰 어레이를 이용한 음향감지 장치 및 음향카메라
US10292538B2 (en) * 2012-10-11 2019-05-21 Roman Tsibulevskiy Partition technologies
KR101967917B1 (ko) * 2012-10-30 2019-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을 인식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14084413A1 (ko) * 2012-11-28 2014-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 기기 구동 장치 및 방법
KR101994693B1 (ko) * 2012-12-05 2019-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 제어방법
KR102124932B1 (ko) 2013-01-25 2020-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 제어방법
JP6075163B2 (ja) * 2013-03-29 2017-02-08 富士通株式会社 携帯型電子機器及び携帯型電子機器の防水方法
KR102129786B1 (ko) * 2013-04-03 2020-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060825B1 (ko) 2013-05-03 2019-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6373653B2 (ja) 2013-06-25 2018-08-15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JP2015031498A (ja) 2013-08-07 2015-02-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冷蔵庫
KR102114860B1 (ko) * 2013-09-04 2020-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가전기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TWI558224B (zh) * 2013-09-13 2016-11-11 宏碁股份有限公司 麥克風模組與電子裝置
WO2015055239A1 (en) * 2013-10-16 2015-04-23 Saronikos Trading And Services, Unipessoal Lda Laundry washing machine with speech recognition and response capabilities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KR102208477B1 (ko) * 2014-06-30 2021-01-27 삼성전자주식회사 마이크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1888391B1 (ko) * 2014-09-01 2018-08-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음성 신호 관리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KR102196183B1 (ko) * 2014-10-27 2020-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18395B1 (ko) * 2014-11-17 2015-05-15 구본훈 스마트 레이저 폰
DE102015100757B3 (de) * 2015-01-20 2016-06-16 Epcos Ag Modul mit spannungsfrei befestigtem MEMS-Bauelement
KR102262218B1 (ko) * 2015-01-28 2021-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어잭 인식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1731448B1 (ko) 2015-02-16 2017-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06162475A (zh) * 2015-03-23 2016-11-23 钰太芯微电子科技(上海)有限公司 基于麦克风的声源识别系统及智能家电设备
JP6449073B2 (ja) 2015-03-25 2019-01-09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
KR102383790B1 (ko) * 2015-05-22 2022-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주변 환경 인식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296174B1 (ko) * 2015-06-26 2021-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오디오 변환 방법
KR20170017204A (ko) 2015-08-05 2017-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20170022567A (ko) * 2015-08-21 201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택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컨택 장치와 전자 장치
US20170069324A1 (en) * 2015-09-08 2017-03-09 General Electric Company Voice controlled electronic kitchen assistance
JP6676324B2 (ja) 2015-09-30 2020-04-08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機器
KR102399550B1 (ko) * 2015-11-20 2022-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마이크로폰 및 스피커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205211412U (zh) * 2015-12-17 2016-05-04 天津春荣合陞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智能语音识别身份认证机
KR102392113B1 (ko) * 2016-01-20 2022-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음성 명령 처리 방법
JP6730068B2 (ja) 2016-01-26 2020-07-29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WO2017131444A1 (ko) * 2016-01-27 2017-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의 구동 유닛, 이를 포함하는 세탁장치 또는 트윈 세탁장치, 그리고 이의 제어방법
KR102642666B1 (ko) 2016-02-05 2024-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인식 장치 및 방법, 음성인식시스템
KR102489948B1 (ko) * 2016-02-18 2023-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조방법
KR102498451B1 (ko) * 2016-03-24 2023-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정보 제공 방법
KR102498364B1 (ko) * 2016-03-24 2023-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정보 제공 방법
KR20170135209A (ko) * 2016-05-30 2017-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358760B2 (en) * 2016-06-30 2019-07-23 Midea Group Co., Ltd. Laundry washing machine with automatic rinse operation type selection
US10161075B2 (en) * 2016-06-30 2018-12-25 Midea Group Co., Ltd. Laundry washing machine with automatic detection of detergent deficit
US10161074B2 (en) * 2016-06-30 2018-12-25 Midea Group Co., Ltd. Laundry washing machine with automatic detergent dispensing and/or rinse operation type selection
US10273622B2 (en) * 2016-06-30 2019-04-30 Midea Group Co., Ltd. Laundry washing machine with automatic selection of load type
CN206225001U (zh) * 2016-07-27 2017-06-06 歌尔股份有限公司 智能语音设备
KR102565504B1 (ko) * 2016-08-25 2023-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24632A (ko) * 2016-08-30 2018-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수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273623B2 (en) * 2016-09-22 2019-04-30 Midea Group Co., Ltd. Laundry washing machine incorporating distance sensor
US10266982B2 (en) * 2016-09-22 2019-04-23 Midea Group Co., Ltd. Laundry washing machine with dynamic damping force optimization
CN206117701U (zh) * 2016-09-30 2017-04-19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家用电器及其控制系统
KR102562287B1 (ko) * 2016-10-14 2023-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CN106356061A (zh) * 2016-10-24 2017-01-25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基于声源定位的语音识别方法和系统、及智能家电设备
KR102583491B1 (ko) * 2016-11-11 2023-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06839590B (zh) 2017-01-04 2019-11-29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冰箱
CN106679326A (zh) 2017-01-25 2017-05-17 北京通远科技有限公司 基于语音识别进行控制的智能冰箱
KR102418952B1 (ko) * 2017-08-31 2022-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인식 기능을 갖는 가전제품
US11118294B2 (en) 2018-01-08 2021-09-14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machine
KR102445370B1 (ko) 2018-01-08 2022-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05926A1 (en) 2022-12-21
CN111033612A (zh) 2020-04-17
WO2019045243A1 (ko) 2019-03-07
CN117524220A (zh) 2024-02-06
US20220167071A1 (en) 2022-05-26
TW202339302A (zh) 2023-10-01
US11259103B2 (en) 2022-02-22
US20230178703A1 (en) 2023-06-08
KR20220066871A (ko) 2022-05-24
US20230261157A1 (en) 2023-08-17
KR102609995B1 (ko) 2023-12-05
EP4105926B1 (en) 2024-05-29
CN111033612B (zh) 2023-12-08
KR102418952B1 (ko) 2022-07-08
EP3654331A4 (en) 2020-08-12
US11606634B2 (en) 2023-03-14
US20200213700A1 (en) 2020-07-02
KR20190024454A (ko) 2019-03-08
EP3654331A1 (en) 2020-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9995B1 (ko) 음성인식 기능을 갖는 가전제품
CN107388705B (zh) 冰箱
WO2015192715A1 (zh) 一种移动终端
KR20150006264A (ko) 드럼세탁기
EP3733946A1 (en) User-interface system for a laundry appliance
US11585596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3733954B1 (en) User-interface system for a laundry appliance
CN209674873U (zh) 具备语音识别装置的家用电器
KR102060261B1 (ko) 스위치 제어 장치 및 스위치 제어 방법
WO2020135376A1 (zh) 一种衣物处理装置
KR102045385B1 (ko) 센서 장치
KR101503282B1 (ko) 공기조화기
WO2009014331A2 (en) Air conditioner
CN218243764U (zh) 音箱
JP6931226B2 (ja) タッチ式スイッチ
EP4174385A1 (en) Cooking appliance
KR101506076B1 (ko) 관통홀이 형성된 버튼부가 구비된 리모트콘트롤러
WO2013098389A1 (en) A household appliance
JP4327748B2 (ja) 操作盤
KR20100013003U (ko) 발광수단이 향상된 엘리베이터 스위치
TW201342815A (zh) 具有接收器的電子裝置
WO2018073834A1 (en) Touch control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