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5504B1 -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5504B1
KR102565504B1 KR1020160108600A KR20160108600A KR102565504B1 KR 102565504 B1 KR102565504 B1 KR 102565504B1 KR 1020160108600 A KR1020160108600 A KR 1020160108600A KR 20160108600 A KR20160108600 A KR 20160108600A KR 102565504 B1 KR102565504 B1 KR 102565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tub
auxiliary washing
tub
auxiliary
wash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8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3388A (ko
Inventor
김용권
유명희
이상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8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5504B1/ko
Priority to US16/327,938 priority patent/US11078611B2/en
Priority to PCT/KR2017/007691 priority patent/WO2018038399A1/ko
Publication of KR20180023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3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5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5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0Parameters relating to constructional components, e.g. door sens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4Rib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38Time, e.g. dur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06F2105/60Audible signa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6Parti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245Damping vibrations by displacing, supplying or ejecting a material, e.g. liquid, into or from counterbalancing pock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일 측에 따른 세탁기는, 메인 세탁조에 탈착 가능한 보조 세탁조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석과 미리 설정된 거리 내로 인접하면,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스위치부의 감지신호의 출력 여부를 기초로 상기 보조 세탁조의 장착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보조 세탁조의 장착 여부에 관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세탁기 내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보조 세탁조가 마련된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전력을 이용하여 의류를 세탁하는 기계로서,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펄세이터의 회전을 통해 세탁물과 세탁수를 교반시키고 세탁 수류를 생성시켜 세탁물을 세탁하는 전자동 세탁기와, 드럼에 형성된 리프터를 통해 세탁물을 낙하시킴으로써 세탁물을 세탁하는 드럼형 세탁기로 구분될 수 있다.
전자동 세탁기는 세탁수를 저수하는 터브와,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조와, 회전조의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펄세이터와, 회전조 및 펄세이터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구동장치를 포함한다.
근래에는 회전조의 내부에 보조 세탁조를 설치하여 세탁물을 분류해서 따로 세탁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조 세탁조가 따로 마련되어 있는 경우,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세탁을 따로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가 세탁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시간적인 측면, 경제적인 측면에서 효율적이라는 이점이 있다.
보조 세탁조의 장착 여부뿐만 아니라, 정상 장착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보조 세탁조 상에 마련된 손잡이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보조 세탁조 상에 수용된 세탁물의 이탈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에 따른 세탁기는, 메인 세탁조에 탈착 가능한 보조 세탁조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석과 미리 설정된 거리 내로 인접하면,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스위치부의 감지신호의 출력 여부를 기초로 상기 보조 세탁조의 장착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보조 세탁조의 장착 여부에 관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세탁기 내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구동 장치를 통해 회전력을 제공함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에서 출력되는 감지신호의 출력 횟수를 기초로 상기 보조 세탁조의 장착 여부, 및 상기 보조 세탁조의 정상 장착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감지 신호가 적어도 1회 이상 출력되면 상기 보조 세탁조가 장착된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보조 세탁조를 기 설정된 회전속도로 기 설정된 회전 시간 동안 회전시킴에 따른 감지신호의 출력 횟수를 기초로 상기 보조 세탁조의 정상 장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석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적어도 하나의 자석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보조 세탁조에 마련된 손잡이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탁기에 마련된 터브의 상부에 부착되어, 상기 보조 세탁조에 수용된 세탁물의 이탈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2개의 적외선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2개의 적외선 센서는 상기 터브의 상부 상에 대향되는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를 통한 감지 결과를 기초로 상기 보조 세탁조에 수용된 세탁물의 이탈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세탁물이 이탈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세탁기 내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상기 보조 세탁조 상에 보급수를 급수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측에 따른 세탁기는, 보조 세탁조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석과 미리 설정된 거리 내로 인접하면,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보조 세탁조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기초로 상기 보조 세탁조 상에 마련된 손잡이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손잡이의 위치에 관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보조 세탁조의 회전 정도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기초로 상기 보조 세탁조 상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자석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적어도 하나의 자석의 위치로부터 상기 보조 세탁조 상에 마련된 손잡이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손잡이의 위치에 관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보조 세탁조의 회전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터브의 상부에 부착되어, 상기 보조 세탁조에 수용된 세탁물의 이탈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를 통한 감지 결과를 기초로 상기 보조 세탁조에 수용된 세탁물의 이탈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세탁물이 이탈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세탁기 내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상기 보조 세탁조 상에 보급수를 급수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메인 세탁조에 탈착 가능한 보조 세탁조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석과, 터브의 상부에 부착된 스위치부가 미리 설정된 거리 내로 인접함에 따라 감지신호가 출력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감지신호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보조 세탁조의 장착 여부 및 상기 보조 세탁조의 정상 장착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세탁기 내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구동 장치를 통해 회전력을 제공함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의 감지신호의 출력 여부 및 출력 횟수를 기초로 상기 보조 세탁조의 장착 여부, 및 상기 보조 세탁조의 정상 장착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 신호의 출력이 적어도 1회 이상 검출되면, 상기 보조 세탁조가 장착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보조 세탁조를 기 설정된 회전속도로 기 설정된 회전 시간 동안 회전시킴에 따른 감지신호의 출력 횟수를 기초로 상기 보조 세탁조의 정상 장착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측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보조 세탁조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석과 터브의 상부에 부착되는 스위치부가 미리 설정된 거리 내로 인접함에 따라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출력되는 감지신호의 수신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보조 세탁조 상에 마련된 손잡이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손잡이의 위치에 관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보조 세탁조의 회전 정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출력되는 감지신호의 수신 결과를 기초로 상기 보조 세탁조 상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자석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적어도 하나의 자석의 위치로부터 상기 보조 세탁조 상에 마련된 손잡이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보조 세탁조의 장착 여부뿐만 아니라, 정상 장착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세탁기의 파손, 세탁물의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보조 세탁조 상에 마련된 손잡이의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손쉽게 보조 세탁조를 탈착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보조 세탁조 상에 수용된 세탁물의 이탈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세탁기의 파손, 세탁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세탁조와 밸런서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세탁조가 밸런서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가 마련된 보조 세탁조가 밸런서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서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상부커버 상에 마련된 인터페이스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부 상에 마련된 다양한 버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 세탁조와 터브의 상부 프레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 세탁조의 저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터브의 상부에 부착된 센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세탁조의 장착 여부 및 정상 장착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는 세탁기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러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의 위치를 제어하는 세탁기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신호를 기초로 세탁물의 이탈 여부를 판단하는 세탁기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신호의 검출결과에 기초하여 보조 세탁조의 장착 여부 및 정상 장착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는 세탁기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동 세탁기는 물(세탁수 또는 헹굼수)의 담수를 위한 터브, 이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세탁조, 이 세탁조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류를 발생시키는 펄세이터 및 이 세탁조 및 펄세이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를 포함하고, 수류와 세제의 계면활성작용으로 세탁물의 오염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한편, 후술할 실시예들이 도 1의 탑-로드 타입의 전자동 세탁기에 적용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세탁물을 수용하는 세탁조가 회전하는 동안 세탁물의 낙하를 이용하여 세탁이 이루어지는 프런트-로드 타입의 드럼형 세탁기에도 적용 가능하며 제한은 없다. 이하에서는 세탁기의 구조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세탁조와 밸런서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세탁조가 밸런서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가 마련된 보조 세탁조가 밸런서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세탁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상부커버(15), 전면커버(11) 및 측후면커버(13) 및 하부커버(18, 도 2)로 구성된 캐비닛(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부 커버(15)의 상부에는 도어(16, 도 2)와 각종 제어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으며, 각종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부(530)가 마련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530)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세탁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캐비닛(10) 내부에 마련되어 물이 저수되는 터브(20)와, 터브(2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메인 세탁조(30)와, 메인 세탁조(30) 내부에 배치되어 수류를 발생시키는 펄세이터(31), 및 메인 세탁조(30) 또는 펄세이터(31)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40)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커버(15)와 하부 커버(18)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커버(15)에는 메인 세탁조(30)의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투입구(14)가 형성되고, 투입구(14)는 캐비닛(10)의 상부에 설치된 도어(16)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또한, 하부 커버(18)에는 세탁기(1)를 바닥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접지부(19)가 장착될 수 있다.
캐비닛(10)의 상부에는 메인 세탁조(30) 및 보조 세탁조(100) 중 적어도 하나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장치(50)가 마련될 수 있다.
터브(20)는 캐비닛(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세탁수를 저수할 수 있다. 터브(20)는 서스펜션 부재(미도시)에 의해 캐비닛(10)에 지지될 수 있다. 예를들어, 터브(30)는 터브(30)의 외면 하측과 캐비닛(10)의 내측 상부를 연결하는 서스펜션 부재에 의해 캐비닛(10)에 걸린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서스펜션 부재는 세탁시 또는 탈수시 터브(30)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다.
메인 세탁조(3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인 세탁조(30)의 내부에는 세탁물이 수용되는 제1 세탁공간(32)이 마련될 수 있다. 메인 세탁조(30)의 바닥에는 펄세이터(31)가 마련될 수 있다.
펄세이터(31)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수류를 발생시키고, 메인 세탁조(30) 내의 세탁물을 발생된 수류에 의해 물과 함께 교반될 수 있다. 즉, 펄세이터(31)는 제1 세탁공간(32)에 수용된 세탁물을 세탁수와 함께 교반시킬 수 있다.
한편, 메인 세탁조(30)의 외면에는 다수의 통공(33)이 형성될 수 있다. 세탁수는 통공(33)을 통해 메인 세탁조(30)와 터브(20)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메인 세탁조(30)의 상부에는 밸런서(90)가 마련될 수 있다. 밸런서(90)는 체결공(94)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공(94)과 체결부재(미도시)가 체결됨으로써, 밸런서(90)는 메인 세탁조(3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밸런서(90)는 메인 세탁조(30)의 고속 회전 시에 메인 세탁조(30)에 발생되는 불평형 하중을 상쇄시켜 메인 세탁조(30)가 안정적으로 회전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보조 세탁조(100)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세탁물이 수용되는 제2 세탁공간(101)이 마련될 수 있다. 보조 세탁조(100)는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보조 세탁조(100)는 메인 세탁조(30)와 분리되어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세탁조(100)는 메인 세탁조(30)의 상부에 결합되는 밸런서(90)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보조 세탁조(100)가 메인 세탁조(30)에 장착된다는 것은 보조 세탁조(100)가 메인 세탁조(30)에 안착되는 것과 결합되는 것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세탁조(100)가 메인 세탁조(30)에 장착된 경우, 메인 세탁조(3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구동장치(40)는 메인 세탁조(30) 뿐만 아니라, 보조 세탁조(100)에도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2 세탁공간(101) 내부의 세탁물과 제1 세탁공간(32) 내부의 세탁물 간에는 분리된 채로 세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보조 세탁조(100)가 탈착되어 분리된 경우, 보조 세탁조(100)는 다양한 용도로써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세탁조(100)가 메인 세탁조(30)로부터 분리된 경우, 보조 세탁조(100)는 세탁 전후에 세탁물을 수용하는 빨래통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캐비닛(10)의 상부에는 메인 세탁조(30) 및 보조 세탁조(100) 중 적어도 하나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 장치(50)가 마련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급수장치(50)는 급수를 제어하는 급수 밸브(51), 급수 밸브(51)와 세제 공급장치(60)를 연결하는 제1 급수관(52), 급수 밸브(51)와 보조 세탁조(100)의 상부로 세탁수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55)을 연결하는 제2 급수관(53), 및 세제 공급장치(60)와 터브(20)에 마련되는 급수홀(21)을 연결하는 제3 급수관(54)을 포함할 수 있다.
급수 밸브(51)의 일측은 외부 급수원와 연결되며, 급수 밸브(51)의 타측은 제1 급수관(52) 및 제2 급수관(53)과 연결되어,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공급 받은 물을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1 급수관(52)의 일측은 급수 밸브(51)와 연결될 수 있고, 제1 급수관(52)의 타측은 세제 공급장치(60)와 연결되어, 세제 공급장치(60)에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2 급수관(53)의 일측은 급수 밸브(51)와 연결될 수 있고, 타측은 보조 세탁조(100)의 상측에 마련된 분사 노즐(55)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사 노즐(55)은 제2 급수관(53)을 통해 보조 세탁조(100) 내부로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3 급수관(54)의 일측은 세제 공급장치(60)와 연결될 수 있고, 제3 급수관(54)의 타측은 터브(20)의 외면에 형성되는 급수 홀(21)과 연결될 수 있다. 제3 급수관(54)은 세제 공급장치(60)를 거쳐 터브(20)와 메인 세탁조(30) 사이로 세제가 용해된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다. 제3 급수관(54)에 의해 터브(20)의 내부로 공급된 세탁수는 통공(33)을 통해 메인 세탁조(30)의 내부로 저수될 수 있다.
세제 공급장치(60)는 상부 커버(15)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세제 공급장치(60)는 제1 급수관(52)과 연결되는 케이스(63), 및 케이스(63)에 탈착 가능하며, 세제가 수납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마련된 세제 용기(61)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63)의 저면에는 세제가 용해된 세탁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65)가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65)에는 제3 급수관(54)이 연결될 수 있다. 제1 급수관(52)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세제 공급장치(60)와 제3 급수관(54)을 경유하여 세제와 함께 메인 세탁조(30)와 터브(20) 사이의 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다.
터브(20)의 하부에는 세탁 또는 탈수 과정이 완료된 후, 세탁수를 캐비닛(10)의 외부로 배수시키는 배수 호스(70)가 마련될 수 있다.
구동장치(40)는 메인 세탁조(30) 및 펄세이터(31)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클러치(120), 클러치(120)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50)와, 클러치(120)의 구동축(124)과 메인 세탁조(30)의 바닥부를 연결하여 구동축(124)의 회전력을 메인 세탁조(30)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플랜지부재(140)와, 클러치(120) 및 구동모터(150)를 고정하는 베이스 플레이트(1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동장치(40)는 클러치(120)와 구동모터(150)를 고정시키는 풀리(1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보조 세탁조(10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밸런서(90)는 메인 세탁조(30)로 세탁물이 투입되는 개구(91)와, 개구(91)의 둘레를 따라 상측으로 연장되는 지지 리브(93)와, 체결공(94)을 포함할 수 있다.
밸런서(90)는 체결공(94)과 체결부재(미도시)를 통해 메인 세탁조(3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보조 세탁조(100)는 메인 세탁조(30)의 상부에 배치되는 밸런서(90)와 분리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세탁조(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런서(90)의 상면(92)에 안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조 세탁조(100)는 메인 세탁조(3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한편, 보조 세탁조(100)는 제2 세탁공간(101)을 형성하는 바스켓부(102)와 세탁물 투입구(117)를 형성하는 커버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바스켓부(102)는 바닥벽(104)과 측벽(103)을 포함할 수 있다. 측벽(103)에는 배수홀이 마련되어 있어, 보조 세탁조(100)가 회전함에 따라 원심력에 의해 세탁수가 배수홀로 배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측변(103)은 바닥면(104)에 대해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바스켓부(10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질 수 있다.
측벽(103)이 경사지게 마련되어, 보조 세탁조(100)가 회전하면 보조 세탁조(100) 내부의 세탁수는 측벽(103)의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원심력에 의해 세탁수가 측벽(103)으로 이동하고, 측벽(103)으로 이동한 세탁수는 측벽(103)의 경사를 따라 측벽(103)의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측벽(103)의 상부에는 배수홀이 마련되어, 배수홀을 통과한 세탁수는 배수유로를 통해 배수될 수 있다.
분리 세탁을 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보조 세탁조(100)를 메인 세탁조(30)에 장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세탁기(1)는 제1 세탁공간(32)에서 세탁행정을 수행하고, 제2 세탁공간(101)에서 세탁행정을 각각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세탁물들을 함께 세탁을 하는 경우 이염될 가능성 등과 같은 세탁물의 특성으로 인해 메인 세탁조(30)의 세탁물과 함께 세탁을 하는 것이 부적절한 경우, 사용자는 보조 세탁조(100)를 장착시켜, 메인 세탁조(30)에 수용된 세탁물과 분리 세탁시킬 수 있다.
다만, 메인 세탁조(30)와 보조 세탁조(100)를 통해 세탁물을 분리 세탁하더라도, 탈수 행정 시 보조 세탁조(100)의 세탁수가 메인 세탁조(30) 내부로 배수되면 결과적으로 메인 세탁조(30)의 세탁물이 오염되거나 이염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의 보조 세탁조(100)에는, 보조 세탁조(100)의 세탁수를 메인 세탁조(30)와 터브(20) 사이로 배수하는 배수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세탁조(100)에 마련된 세탁물에 대해 탈수 행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보조 세탁조(100)의 제2 세탁공간(101)에 있는 세탁수는 메인 세탁조(30)의 외부로 배수되므로, 메인 세탁조(30)의 세탁물이 보조 세탁조(100)의 세탁수로 인해 이염되거나 오염되지 않는다.
보조 세탁조(100)는 밸런서(90)의 상면(92)에 안착되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브의 상부(33)와 인접할 수 있다. 이때, 터브의 상부(33)는 터브의 상부 프레임(33)이라 하기도 하며, 터브 커버(33)라 하기도 한다. 이때, 터브 커버(33)는 터브(20)와 분리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고 또는 터브(20)와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보조 세탁조(100)는 탈착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실수로 인해 제대로 장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때, 보조 세탁조(100)가 정상적으로 장착되지 않았음에도 세탁행정이 수행된다면, 세탁기(1)가 파손될 수 있다. 또한, 제2 세탁공간(101)에 있는 세탁수가 메인 세탁조(30)의 외부로 배수되지 않고, 제1 세탁공간(101)으로 흘러 들어가 세탁물 간에 이염 또는 오염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보조 세탁조(100)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G)가 마련되어 있어, 사용자는 손잡이(G)를 통해 보조 세탁조(100)을 보다 손쉽게 탈착할 수 있다. 이때, 손잡이(G)가 사용자가 이용하기 불편한 방향으로 위치하면, 사용자가 직접 보조 세탁조(100)를 회전시켜 손잡이(G)를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보조 세탁조(100)의 상부는 개방된 형태로 구현되어 있어, 보조 세탁조(100)가 회전함에 따라 제2 세탁공간(101) 상에 세탁물은 보조 세탁조(100)의 상부로 이탈될 수 있다. 세탁물이 이탈되었음에도 세탁 행정을 수행하는 경우, 보조 세탁조(100)의 회전으로 인해 세탁물은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세탁기(1)의 파손, 세탁물의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먼저 세탁기(1)의 제어 블록도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a 및 도 5b는 서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상부커버 상에 마련된 인터페이스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부 상에 마련된 다양한 버튼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 세탁조와 터브의 상부 프레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 세탁조의 저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터브의 상부에 부착된 센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세탁조의 장착 여부 및 정상 장착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는 세탁기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러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의 위치를 제어하는 세탁기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신호를 기초로 세탁물의 이탈 여부를 판단하는 세탁기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세탁기(1)는 전술한 급수 장치(50), 클러치(120)와 구동 모터(150)를 포함하는 구동장치(40)뿐만 아니라, 스위치부(51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세탁기(1)는 자석(511)이 장착된 보조 세탁조(1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구동장치(40), 및 급수장치(50)에 관한 설명은 전술하였는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이하에서는 각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인터페이스부(53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제어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인터페이스부(530)는 컨트롤 패널이라 하기도 하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인터페이스(530)로 통일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인터페이스부(530)는 세탁기(1)의 일 면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5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의 상부 커버(15, 도1)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530)는 입력부(540), 및 디스플레이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54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제어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5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 입력을 인가받는 배수 입력 버튼(541)뿐만 아니라, 전원 온/오프(On/Off)입력을 인가받는 전원 버튼(542), 세탁행정의 시작/일시정지 입력을 인가받는 시작 버튼(543), 세탁방식을 선택하는 입력을 인가받는 세탁 방식 선택 버튼(544), 세탁행정을 선택하는 입력을 인가받는 세탁 행정 선택 버튼(545) 및 급수되는 세탁수의 수위를 결정하는 입력을 인가받는 수위 결정 버튼(54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버튼들은 기 공지된 다양한 타입의 버튼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버튼들은 사용자가 압력을 가하여 눌러 제어 명령을 입력하는 가압식 타입의 버튼 또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회전시키며 제어 명령을 입력하는 회전식 타입의 버튼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사용자가 터치를 통해 제어 명령을 입력하는 터치 스크린 타입의 버튼으로 구현될 수 있는 등 제한은 없다.
또한, 디스플레이부(550)에는 세탁기(1)의 동작상태 및 사용자의 조작상태 등과 같은 각종 정보가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550)을 통해 각종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550)는 음극선관(CRT, Cathode Ray Tube) 디스플레이 패널,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패널,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ED, Field Emission Display) 패널 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세탁기(1)에 관한 각종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장치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50)와 입력부(540)와는 인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50)와 입력부(540)가 인접하여 마련되면, 사용자는 입력부(500)를 통해 제어명령을 입력한 후, 그에 대응하는 결과를 디스플레이부(620)를 통해 바로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제어부(500)는 입력부(540)를 통해 각종 제어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으며, 입력 받은 제어명령에 따라 각종 세탁행정, 탈수행정 등을 수행함에 있어 보조 세탁조(100)의 장착 여부뿐만 아니라, 보조 세탁조(100)가 정상적으로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 다음, 판단 결과에 따라 디스플레이부(550) 상에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500)는 보조 세탁조(100)로부터 세탁물의 이탈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디스플레이부(550) 상에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도 5a를 참조하면, 세탁기(1)에는 자석(511)이 부착된 보조 세탁조(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자석만이 보조 세탁조(100) 상에 부착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 개의 자석이 보조 세탁조(100)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3개의 자석, 예를 들어 제1 자석, 제2 자석, 제3 자석이 보조 세탁조(100)의 일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장착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나, 보조 세탁조(100)의 부착되는 자석의 개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할 실시예들이 전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자석, 제2 자석, 제3 자석으로 구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단순히 자석이라 하기로 한다.
제1 자석, 제2 자석, 및 제3 자석은 보조 세탁조의 일 면 중 어느 하나의 면 중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자석(511a), 제2 자석(511b), 및 제3 자석(511c)은 보조 세탁조(100)의 일 면에 부착되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세탁조(100)가 회전함에 따라 제1 자석(511a), 제2 자석(511b), 및 제3 자석(511c) 또한 회전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1 자석, 제2 자석, 및 제3 자석은 보조 세탁조(100)의 커버부(110)의 일 면 또는 내부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자석(511a), 제2 자석(511b), 및 제3 자석(511c)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세탁조(100)의 커버부(110)의 하부에 부착될 수 있다. 보조 세탁조(100)에 자석을 부착하는 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며, 기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장착이 가능하다.
제1 자석(511a), 제2 자석(511b), 및 제3 자석(511c)이 스위치부(510)와 인접하게 되면, 스위치부(510)는 감지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제어부(500)는 이를 기초로 보조 세탁조의 장착 여부뿐만 아니라, 정상적으로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자석(511a), 제2 자석(511b), 및 제3 자석(511c)은 보조 세탁조(100)의 측면, 상면 등 부착 가능한 면 어디에도 부착되더라도, 제1 자석(511a), 제2 자석(511b), 및 제3 자석(511c)을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스위치부(510)가 마련되면 되므로, 설계방식에는 제한이 없다.
한편, 제1 자석(511a), 제2 자석(511b), 및 제3 자석(511c)은 120도 간격으로 균일하게 부착될 수 있다. 또는, 제1 자석(511a), 제2 자석(511b), 및 제3 자석(511c)은 불균일하게 장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9를 참조하면, 보조 세탁조(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제1 자석(511a)과 제2 자석(511b) 간의 각도 차, 즉 위상 차 c1과, 제2 자석(511b)와 제3 자석(511c) 간의 위상차 x2은 다를 수 있다. 또한, 제1 자석(511a)과 제3 자석(511c)간의 위상차 x3은 x1, 및 x2와 다를 수 있다.
이때,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기 회전속도로 보조 세탁조(100)를 회전시킴에 따라, 각 자석(511)이 감지된 시간을 기초로 자석(511a, 511b, 511c)의 위치, 자석(511a, 511b, 511c) 간의 위상차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보조 세탁조(100)에는 자석(511) 간의 위치, 배치방법에는 제한이 없다.
또한, 후술할 바와 같이, 자석(511)과 손잡이(G) 간의 위치정보가 세탁기(1)의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어 있어, 제어부(500)는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조 세탁조(100)의 위치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자석(511) 간의 위치, 배치방법에는 제한이 없다.
한편, 세탁기(1)에는 스위치부(510)가 마련될 수 있다.
스위치부(510)는 자석(511)이 미리 설정된 거리 내로 인접하면, 감지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부(510)는 리드 스위치(read switch)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자석(511)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기 공지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스위치부(510)는 보조 세탁조(100)와 인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스위치부(510)는 보조 세탁조(100)가 회전함에 따라, 보조 세탁조(100)와 함께 회전하는 자석(511)을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부(510)는 터브(20)의 상부 또는 밸런서(90)의 상부와 같이 보조 세탁조(100)와 인접한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스위치부(5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브 커버(33)의 내측에 부착되어 보조 세탁조(100)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자석(511)을 감지할 수 있다.
보조 세탁조(100) 상에 장착된 자석(511)이 스위치부(510)와 미리 설정된 거리 내로 인접하게 되면, 스위치부(510)와 자석(511) 간에는 자기력이 발생될 수 있다. 스위치부(510)는 발생된 자기력을 기초로 감지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설정된 거리는 스위치부(510)와 자석(511) 간에 발생된 자기력으로 인해 감지신호가 출력되는 거리로써, 스위치부(510)와 자석(511)의 스펙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스위치부(510)와 제어부(500) 간에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어부(500)는 스위치부(510)에서 감지신호가 출력되는지 여부를 파악하거나 또는 출력된 감지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500)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세탁기(1)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520)는 세탁물과 같은 대상체를 감지할 수 있는 기 공지된 다양한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52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마련된 제1 적외선(Infrared Ray, IR) 센서(521a)와 제2 적외선 센서(521b)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제1 적외선 센서(521a)와 제2 적외선 센서(521b)는 터브(20)의 상부, 예를 들어, 터브 커버(33)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으나, 이외에도 보조 세탁조(100)의 개방된 상부 상에 세탁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디에도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제1 적외선 센서(521a)와 제2 적외선 센서(521b)를 부착하는 방법은 기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제한은 없다.
또 다른 예로, 센서부(520)는 초음파 신호를 방사하고, 세탁물로부터 반사된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여 세탁물의 이탈 여부를 감지하는 초음파 센서, 영상으로부터 세탁물을 파악하는 3D 센서 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제한은 없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센서부(520)가 적외선 센서를 통해 구현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나, 후술할 실시예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기 공지된 다양한 센서를 통해서도 가능하다.
센서부(520)는 보조 세탁조(100)의 상부에 장착되어, 보조 세탁조(100)의 상부에 마련된 개구로 세탁물이 이탈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제1 적외선 센서(521a)와 제2 적외선 센서(521b) 사이에 어떠한 세탁물도 없는 경우, 적외선 센서((521a, 521b) 상호 간에는 센서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반면에, 제1 적외선 센서(521a)와 제2 적외선 센서(521b) 사이에 대상체가 존재하는 경우, 적외선 센서((521a, 521b) 상호 간에는 대상체로 인해 센서신호를 주고 받을 수 없다.
이때, 센서부(520)와 제어부(500) 간에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어부(500)는 센서부(520)의 센서신호의 송수신 결과, 즉 감지결과를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센서부(520)로부터 센서신호의 송수싱 결과를 파악할 수 있으며, 파악한 결과를 기초로 세탁물의 이탈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500)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센서부(520)는 배터리가 내장되어, 자체적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센서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또는, 센서부(52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제어부(500)를 통해 전원을 공급 받을 수도 있으며, 세탁기(1)의 전원에 직접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 받을 수도 있는 등 제한은 없다.
한편, 세탁기(1)에는 세탁기(1) 내 구성요소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500)가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프로세서(processor), MCU(Micro Control Unit)와 같이 연산처리가 가능한 각종 연산처리 장치와 메모리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에는 세탁기(1)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알고리즘, 프로그램 형태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제어부(500)는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세탁기(1)의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신호를 통해 세탁기(1)의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세탁기(1)에 마련된 인터페이스부(53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 받으면, 제어부(500)는 제어신호를 통해 세탁기(1)의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제어부(500)가 보조 세탁조(100)의 장착 여부 및 정상적으로 장착되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부(500)는 제어 신호를 통해 보조 세탁조(10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1100).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기 설정된 회전속도로 보조 세탁조(1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현재 보조 세탁조(100)의 장착 여부가 명확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여기서 보조 세탁조(100)를 회전시킨다는 것은 구동장치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보조 세탁조(100)에 가하는 세탁기(1) 내 구성요소를 회전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기 설정된 회전 시간은 보조 세탁조(100)를 360도, 즉 1바퀴 회전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일 수 있으며, 보조 세탁조(100)의 직경, 및 회전속도에 따라 기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3초 동안 20 rpm의 회전속도로 보조 세탁조(1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보조 세탁조(100)가 회전하면서, 제1 자석(511a), 제2 자석(511b), 및 제3 자석(511b)가 스위치부(510)와 미리 설정된 거리 내로 인접하면, 스위치부(510)는 감지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500)는 스위치부(510)로부터 출력된 또는 수신된 감지신호의 횟수를 기초로 보조 세탁조(100)가 장착 여부뿐만 아니라, 정상적으로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신호는 3회 출력된 경우(1110), 즉 제1 자석 내지 제3 자석(511a, 511b, 511c)과 스위치부(510)가 인접하여 감지신호가 3회 출력된 경우, 제어부(500)는 보조 세탁조(100)가 장착되었을 뿐만 아니라, 정상적으로 장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1120). 이때, 사용자로부터 세탁행정 제어명령을 입력 받은 경우, 제어부(500)는 제어신호를 통해 세탁기(1) 내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보조 세탁조(100) 및 메인 세탁조(30)의 공동 세탁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1130).
감지신호가 2회 출력된 경우(1140), 즉 제1 자석 내지 제3 자석(511a, 511b, 511c) 중 2개의 자석과 스위치부(510)가 인접하여 감지신호가 2회 출력된 경우, 제어부(500)는 보조 세탁조(100)가 장착되었으나, 비정상적으로 장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1150).
제어부(500)는 공동 세탁을 수행하지 않고, 에러신호를 출력함으로써(1160), 사용자에게 보조 세탁조(100)를 다시 장착할 것을 요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는 세탁기(1)의 파손, 세탁물의 손상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550) 상에 에러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세탁기(1)의 스피커를 통해 비프(beep) 음을 출력할 수 있는 등, 에러신호를 출력하는 방법에는 제한이 없다.
감지신호가 1회 출력된 경우(1170), 즉 제1 자석 내지 제3 자석(511a, 511b, 511c) 중 어느 하나의 자석과 스위치부(510)가 인접하여 감지신호가 1회 출력된 경우, 제어부(500)는 보조 세탁조(100)가 장착되었으나, 비정상적으로 장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1180). 이에 따라, 제어부(5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에러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1160).
한편, 감지신호가 출력되지 않은 경우, 즉, 제1 자석 내지 제3 자석(511a, 511b, 511c) 중 어느 하나의 자석도 스위치부(510)와 인접하지 않아 감지신호가 출력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500)는 보조 세탁조(100)가 장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메인 세탁조의 단독 세탁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1190).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는 사용자에게 보조 세탁조(100)의 장착 여부를 별도로 확인 받지 않아도, 보조 세탁조(100)의 장착 여부를 자동으로 판단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세탁기(1)의 전원이 켜져 있는 경우, 제어부(500)는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보조 세탁조(100)의 장착 여부 및 정상 장착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제어부(500)가 세탁기(1)이 전원이 켜진 모든 상황에서 보조 세탁조(100)의 장착 및 정상 장착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효율적이지 못하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500)는 특정 구간 또는 특정 시점 상에서만 보조 세탁조(100)의 장착 여부 및 정상 장착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특정 구간 또는 특정 시점은 보조 세탁조(100)의 장착 여부 및 정상 장착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판단이 필요한 구간 또는 시점으로써, 특정 구간 또는 특정 시점에 대한 정보는 제어부(500)의 메모리에 기 저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변경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500)는 전원이 켜졌을 때부터 세탁 행정, 탈수 행정 등 각종 행정에 관한 시작명령을 입력 받기 전의 구간 내에서, 보조 세탁조(100)의 장착 여부 및 정상 장착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어부(500)는 사용자가 전원 버튼(542, 도 7)을 눌렀으나 시작 버튼(543, 도 7), 세탁 방식 선택 버튼(544, 도 7), 세탁 행정 선택 버튼(545, 도 7) 및 수위 결정 버튼(546, 도 7) 등으로부터 제어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구간 상에서 보조 세탁조(100)의 장착 여부 및 정상 장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탁 행정, 탈수 행정, 헹굼 행정 등에 관한 시작명령을 입력 받으면, 제어부(500)는 입력 받은 제어명령을 기초로 세탁기(1)의 구성요소를 제어함에 있어, 전술한 판단 결과를 반영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사용자가 시작 버튼(543, 도 7)을 누른 경우, 제어부(500)는 시작 버튼(543, 도 7)을 누른 시점에 보조 세탁조(100)의 장착 여부 및 정상 장착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500)는 배수 행정을 수행하기 전에 보조 세탁조(100)의 장착 여부 및 정상 장착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가 시작 버튼(543)을 통해 일시 정지 명령을 입력한 후, 다시 시작명령을 입력 받았을 때, 실시에예 따른 제어부(500)는 보조 세탁조(100)의 장착 여부 및 정상 장착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실시예에 제어부(500)는 보조 세탁조(100)의 장착 여부 및 정상 장착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판단이 필요한 시점에서 전술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전술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보조 세탁조(100)의 상부의 테두리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손잡이(G, 도 4b)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손잡이(G, 도 4b)를 이용하여 보조 세탁조(100)를 손쉽게 탈착할 수 있으며, 빨래통으로도 보다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보조 세탁조(100)를 탈거하고자 할 때, 손잡이가 측후면 커버(13) 방향에 위치해 있으면, 손잡이(G, 도 4b)를 이용하기가 번거롭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500)는 보조 세탁조(100)의 회전을 제어하여 사용자가 보조 세탁조(100)의 손잡이(G, 도 4b)를 이용하기 쉬운 위치, 즉 정위치에 위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정위치라 함은 사용자가 세탁기(1)의 전면에 위치하였을 때 손잡이(G, 도 4b)를 잡기 쉬운 위치, 즉 손잡이(G, 도 4b)가 전면 커버(11, 도 1)를 향해 위치한 경우를 의미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손잡이(G, 도 4b)를 이용하여 보조 바스켓(100)을 보다 편리하게 탈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보조 세탁조(100)의 위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제어부(500)는 제어신호를 통해 보조 세탁조(1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보조 세탁조(100)를 360도, 즉 1바퀴 회전시켜, 보조 세탁조(100)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자석과, 터브의 상부(33)에 부착된 스위치부(510)가 미리 설정된 거리 내로 인접함에 따라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1400).
이때, 제1 자석 내지 제3 자석(511a, 511b, 511c)와 관련된 위치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세탁기(1)의 메모리에 기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손잡이의 위치정보 또한 세탁기(1)의 메모리에 기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손잡이의 위치정보는 제1 자석 내지 제3 자석(511a, 511b, 511c)의 위치를 기초로 기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에는 제1 자석 내지 제3 자석(511a, 511b, 511c)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어떠한 방향으로 어느 정도 회전시켜야 손잡이가 정위치에 위치하는지에 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제1 자석 내지 제3 자석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 파악 결과를 기초로 손잡이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으며(1410),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보조 세탁조(100)의 회전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1420). 이에 따라, 제어부(500)는 제어신호를 통해 보조 세탁조(100)를 회전시켜, 손잡이가 정위치에 위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예 따른 제어부(500)는 특정 시점 또는 특정 구간에서만, 보조 세탁조(100)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시점 또는 특정 구간은 사용자가 보조 세탁조(100)를 탈거할 것으로 예상되는 시점 또는 구간을 의미한다. 특정 구간 또는 특정 시점에 대한 정보는 제어부(500)의 메모리에 기 저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변경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이 완료된 시점에서, 보조 세탁조(100)의 손잡이가 정위치에 위치하도록 보조 세탁조(10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전술한 동작에 의해 보조 세탁조(100)의 장착이 감지된 후에도, 보조 세탁조(100)이 정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변심 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장착은 되었으나 비 정상적으로 장착되어, 보조 바스켓(100)의 탈거 또는 재장착이 요구되는 경우, 제어부(500)는 보조 바스켓(100)이 정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는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보조 바스켓(100)을 탈거 또는 재장착하게끔 한다.
또한, 사용자가 일시정지 명령을 입력한 경우, 도어를 열어 세탁물을 추가하거나 또는 보조 바스켓(100)을 탈거할 확률이 높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500)는 일시정지 명령을 입력 받았을 때에도, 보조 바스켓(100)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5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보조 바스켓(100)에서 세탁물의 이탈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보조 세탁조(100)로부터 세탁물의 이탈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적외선 센서(521a)와 제2 적외선 센서(521b) 사이에 대상체, 예를 들어 세탁물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센서신호의 송수신 결과는 달라질 수 있다. 이때, 제1 적외선 센서(521a)와 제2 적외선 센서(521b) 사이에 세탁물이 존재한다는 것은 세탁물이 보조 세탁조(100)로부터 이탈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도 13을 참조하면, 제어부(500)는 센서부(520)의 센서신호의 감지 결과, 즉 제1 적외선 센서(521a)와 제2 적외선 센서(521b) 간의 센서신호의 송수신 결과, 즉 감지 결과에 따라 세탁물의 이탈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1300).
또한, 제어부(500)는 세탁물의 이탈 여부에 관한 판단 결과에 따라 대응되는 동작이 달라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세탁행정이 완료되어 탈수행정이 수행되어야 할 때, 제어부(500)는 세탁물의 이탈 여부에 관한 판단 결과에 따라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센서신호가 감지된 경우, 즉 적외선 센서(521a)와 제2 적외선 센서(521b) 사이에 어떠한 세탁물도 존재하지 않아 센서신호를 정상적으로 주고 받은 경우, 제어부(500)는 세탁기(1) 내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보조 세탁조(100) 상에 마련된 세탁물에 대해 탈수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1310).
반면에, 센서신호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 즉 적외선 센서(521a)와 제2 적외선 센서(521b) 사이에 존재하는 세탁물로 인해 센서신호를 주고 받지 못한 경우, 제어부(500)는 보급수를 급수하여 세탁물이 보조 세탁조(100) 내부로 진입되게끔 제어할 수 있다(1320). 이에 따라 세탁물이 보조 세탁조(100) 내부로 진입하여 센서신호가 감지되면, 제어부(500)는 헹굼 행정을 수행한 다음, 탈수행정을 수행함으로써, 세탁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1330).
이하에서는 감지신호의 검출결과를 기초로 보조 세탁조의 장착 여부 및 정상 장착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는 세탁기의 동작 흐름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신호의 검출결과에 기초하여 보조 세탁조의 장착 여부 및 정상 장착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는 세탁기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세탁기의 메인 세탁조 상부에는 보조 세탁조가 장착 가능하여, 세탁기는 메인 세탁조 외에 보조 세탁조를 이용하여 분리 세탁을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세탁기는 보조 세탁조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자석과 스위치부 간에 미리 설정된 거리 내로 인접하여 감지신호가 출력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1500).
여기서, 스위치부는 자석과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감지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것으로써, 터브의 상부, 또는 밸런서의 상부 등 보조 세탁조와 인접한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스위치부는 세탁기의 제어부와 전술한 바와 같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어부는 감지신호의 출력 여부를 검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출력 횟수 또한 검출 가능하다.
이에 따라, 세탁기는 감지신호의 수신결과에 기초하여 보조 세탁조의 장착 여부 및 보조 세탁조의 정상 장착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할 수 있다(1510). 예를 들어, 세탁기는 보조 세탁조를 회전시키는 구동 장치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보조 세탁조가 장착된 경우, 보조 세탁조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자석과 스위치부가 인접함에 따라 감지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탁기는 감지신호의 출력 여부를 검출하여, 보조 세탁조의 장착 여부 및 보조 세탁조의 정상 장착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기 설정된 회전속도로 회전력을 제공하였음에도 스위치로부터 감지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세탁기는 보조 세탁조가 장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부로부터 감지신호가 적어도 1회 검출되면, 세탁기는 보조 세탁조가 장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세탁기의 메모리에는 보조 세탁조의 부착된 자석의 위치정보뿐만 아니라, 개수정보 또한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감지신호의 검출 횟수가 보조 세탁조에 부착된 자석의 개수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세탁기는 보조 세탁조가 정상 장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감지신호가 적어도 1회 이상 검출되었으나, 감지신호의 검출 횟수가 보조 세탁조에 부착된 자석의 개수보다 적은 경우, 세탁기는 보조 세탁조가 비 정상적으로 장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세탁기는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세탁기 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1520).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세탁 행정, 탈수 행정 등의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은 경우, 세탁기는 판단 결과를 기초로 메인 세탁조의 단독 세탁 행정, 단독 탈수 행정 등을 수행하거나 또는 메인 세탁조와 보조 세탁조의 공동 세탁 행정, 공동 탈수 행정 등을 수행할 수 있는 등 제한은 없다.
뿐만 아니라, 세탁기는 감지신호의 출력 횟수, 및 출력 시점을 기준으로 자석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조 세탁조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세탁기의 메모리에는, 보조 세탁조 상에서 손잡이와 자석 간의 상대적인 위치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탁기는 파악한 자석의 위치를 기초로 손잡이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세탁기는 보조 세탁조가 정위치에 위치하도록, 즉 보조 세탁조의 손잡이가 전면 커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보조 세탁조의 회전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도어를 열어 보조 세탁조를 탈착할 것으로 판단되는 시점, 예를 들어 일시정지 명령을 입력 하거나 또는 세탁 행정이 완료된 시점 등에, 세탁기는 보조 세탁조를 회전시켜 자석의 위치를 파악한 다음, 파악한 자석의 위치를 기초로 손잡이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세탁기는 손잡이의 위치를 기초로 보조 세탁조의 회전 정도를 결정한 다음, 구동 장치를 통해 보조 세탁조가 정위치에 위치하도록 회전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간편하게 보조 세탁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부(unit)", "~기", "~블록(block)", "~부재(member)", "~모듈(module)"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은 접근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되는 구성일 수 있다.
1: 디스플레이 장치, 10: 본체, 20: 디스플레이 패널

Claims (16)

  1. 메인 세탁조에 탈착 가능한 보조 세탁조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석과 미리 설정된 거리 내로 인접하면,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부;
    상기 스위치부의 감지신호의 출력 여부를 기초로 상기 보조 세탁조의 장착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보조 세탁조의 장착 여부에 관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세탁기 내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보조 세탁조에 수용된 세탁물의 이탈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를 통한 감지 결과를 기초로 상기 보조 세탁조에 수용된 세탁물의 이탈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세탁물이 이탈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세탁기 내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상기 보조 세탁조 상에 보급수를 급수하는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구동 장치를 통해 회전력을 제공함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에서 출력되는 감지신호의 출력 횟수를 기초로 상기 보조 세탁조의 장착 여부, 및 상기 보조 세탁조의 정상 장착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는 세탁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감지 신호가 적어도 1회 이상 출력되면 상기 보조 세탁조가 장착된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보조 세탁조를 기 설정된 회전속도로 기 설정된 회전 시간 동안 회전시킴에 따른 감지신호의 출력 횟수를 기초로 상기 보조 세탁조의 정상 장착 여부를 판단하는 세탁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석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적어도 하나의 자석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보조 세탁조에 마련된 손잡이의 위치를 제어하는 세탁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세탁기에 마련된 터브의 상부에 부착되는 세탁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2개의 적외선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2개의 적외선 센서는 상기 터브의 상부 상에 대향되는 위치에 부착되는 세탁기.
  7. 삭제
  8. 보조 세탁조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석과 미리 설정된 거리 내로 인접하면,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부;
    상기 보조 세탁조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기초로 상기 보조 세탁조 상에 마련된 손잡이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손잡이의 위치에 관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보조 세탁조의 회전 정도를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보조 세탁조에 수용된 세탁물의 이탈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를 통한 감지 결과를 기초로 상기 보조 세탁조에 수용된 세탁물의 이탈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세탁물이 이탈된 것으로 판단되면, 세탁기 내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상기 보조 세탁조 상에 보급수를 급수하는 세탁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기초로 상기 보조 세탁조 상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자석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적어도 하나의 자석의 위치로부터 상기 보조 세탁조 상에 마련된 손잡이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손잡이의 위치에 관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보조 세탁조의 회전 정도를 결정하는 세탁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세탁기에 마련된 터브의 상부에 부착되는 세탁기.
  11. 삭제
  12. 메인 세탁조에 탈착 가능한 보조 세탁조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석과, 터브의 상부에 부착된 스위치부가 미리 설정된 거리 내로 인접함에 따라 감지신호가 출력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감지신호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보조 세탁조의 장착 여부 및 상기 보조 세탁조의 정상 장착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세탁기 내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단계;
    센서부를 통해 상기 보조 세탁조에 수용된 세탁물의 이탈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보조 세탁조에 수용된 세탁물이 이탈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세탁기 내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상기 보조 세탁조 상에 보급수를 급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구동 장치를 통해 회전력을 제공함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의 감지신호의 출력 여부 및 출력 횟수를 기초로 상기 보조 세탁조의 장착 여부, 및 상기 보조 세탁조의 정상 장착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 신호의 출력이 적어도 1회 이상 검출되면, 상기 보조 세탁조가 장착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보조 세탁조를 기 설정된 회전속도로 기 설정된 회전 시간 동안 회전시킴에 따른 감지신호의 출력 횟수를 기초로 상기 보조 세탁조의 정상 장착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보조 세탁조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석과 터브의 상부에 부착되는 스위치부가 미리 설정된 거리 내로 인접함에 따라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출력되는 감지신호의 수신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보조 세탁조 상에 마련된 손잡이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손잡이의 위치에 관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보조 세탁조의 회전 정도를 결정하는 단계;
    센서부를 통해 상기 보조 세탁조에 수용된 세탁물의 이탈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보조 세탁조에 수용된 세탁물이 이탈된 것으로 감지되면, 세탁기 내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상기 보조 세탁조 상에 보급수를 급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출력되는 감지신호의 수신 결과를 기초로 상기 보조 세탁조 상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자석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적어도 하나의 자석의 위치로부터 상기 보조 세탁조 상에 마련된 손잡이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20160108600A 2016-08-25 2016-08-25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565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600A KR102565504B1 (ko) 2016-08-25 2016-08-25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US16/327,938 US11078611B2 (en) 2016-08-25 2017-07-18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PCT/KR2017/007691 WO2018038399A1 (ko) 2016-08-25 2017-07-18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600A KR102565504B1 (ko) 2016-08-25 2016-08-25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3388A KR20180023388A (ko) 2018-03-07
KR102565504B1 true KR102565504B1 (ko) 2023-08-11

Family

ID=61246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8600A KR102565504B1 (ko) 2016-08-25 2016-08-25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078611B2 (ko)
KR (1) KR102565504B1 (ko)
WO (1) WO20180383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02013021866B1 (pt) 2013-08-27 2021-12-21 Whirlpool S.A. Sistema dispensador valvulado de insumos em forma líquida por ação inercial centrífuga para aparelhos eletrodomésticos
BR102013025343B1 (pt) 2013-10-01 2021-08-17 Whirlpool S.A. Sistema de detecção de cesto removível de lavadora e método para detecção de cesto removível de lavadora
BR102013027400B1 (pt) 2013-10-24 2021-08-10 Whirlpool S.A. Sistema de acoplamento de compartimento removível para aparelhos eletrodomésticos
KR102411846B1 (ko) * 2017-07-04 2022-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10533273B2 (en) 2017-07-17 2020-01-14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removable basket
US11053622B2 (en) 2017-07-17 2021-07-06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removable basket
US11473230B2 (en) * 2017-07-17 2022-10-18 Whirlpool Corporation Selectable method of control for double basket laundry treating appliance
US10648120B2 (en) 2017-07-17 2020-05-12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and method of control
US10787761B2 (en) 2017-08-22 2020-09-29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system and kit for use with a laundry treating appliance
KR102418952B1 (ko) * 2017-08-31 2022-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인식 기능을 갖는 가전제품
KR102521858B1 (ko) * 2018-07-02 2023-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방법
USD1015657S1 (en) * 2021-11-01 2024-0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USD1015666S1 (en) * 2021-11-01 2024-0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5731B1 (ko) * 2005-06-10 2012-08-2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 세탁기의 세탁물 이탈 감지장치
KR101242067B1 (ko) * 2006-05-30 2013-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5479A (ja) * 1996-09-19 1998-04-07 Sanyo Electric Co Ltd 二槽式洗濯機
KR102147819B1 (ko) 2013-09-12 2020-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50106680A (ko) * 2014-03-12 2015-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이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5731B1 (ko) * 2005-06-10 2012-08-2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 세탁기의 세탁물 이탈 감지장치
KR101242067B1 (ko) * 2006-05-30 2013-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3388A (ko) 2018-03-07
US11078611B2 (en) 2021-08-03
US20190186064A1 (en) 2019-06-20
WO2018038399A1 (ko) 2018-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5504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US10184200B2 (en) Washing machine
EP3135801B1 (en) Auxiliary washing machine
US11326294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11149371B2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20036900A1 (en) Washing machine
JP2018000856A (ja) 洗濯機
KR102598167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40283563A1 (en) Fully automatic washing machine
JP5690999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238114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454767B1 (ko) 세탁물 처리기기
JP2016214666A (ja) 洗濯機
JP2017018467A (ja) 洗濯機
KR102065428B1 (ko) 의류처리장치
JP6667251B2 (ja) 衣類処理装置
JP2018099257A (ja) 洗濯機及び衣類乾燥機
KR20070015306A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