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0077A - 전해질 조성물 - Google Patents

전해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0077A
KR20230170077A KR1020237039287A KR20237039287A KR20230170077A KR 20230170077 A KR20230170077 A KR 20230170077A KR 1020237039287 A KR1020237039287 A KR 1020237039287A KR 20237039287 A KR20237039287 A KR 20237039287A KR 20230170077 A KR20230170077 A KR 20230170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ate
mol
lithium
electrolyte composition
vin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9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매튜 로버츠
리유 진
유 후
라이스 디아스 페레이라
니콜로 궤리니
알렉스 마드센
Original Assignee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70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007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9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olv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7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8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olu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25Organic electrolyte
    • H01M2300/0028Organic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solvent
    • H01M2300/0037Mixture of solv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rimary Cells (AREA)

Abstract

리튬 이온 배터리용 전해질 조성물이 개시된다. 상기 조성물은 5 내지 25 wt%의 리튬 염, 2 내지 10 wt%의 첨가제 및 65 내지 93 wt%의 용매를 포함하며, (a) 리튬 염은 20 내지 100 mol%의 리튬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및 0 내지 95 mol%의 리튬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를 포함하고, (b) 첨가제는 비닐렌 카보네이트, 및 선택적으로 30 내지 90 mol% 플루오로에틸렌 카보네이트를 포함하며, (c) 용매는 70 내지 90 mol% 에틸렌 카보네이트 및 10 내지 30 mol% 프로필렌 카보네이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해질 조성물
본 발명은 전해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업용 리튬 이온 배터리들은 통상적으로 리튬 염 소스로서 LiPF6를 사용하고 용매로서 선형 카보네이트, 예를 들어 DEC/DMC/EMC를 사용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상업용 리튬 이온 배터리들에서 사용되는 염 및 용매 성분들은 열분해 및/또는 그 휘발성으로 인해 고온에서 처리될 수 없다.
압출에 의한 리튬 이온 배터리 구성요소들의 제조가 제조 비용 및 스루풋 속도로 인해 현재 관심 분야이다. 압출은 통상적으로 고온에서의 처리를 수반한다. 고온을 수반하는 배터리 제조를 위한 다른 유용한 처리 기술들로는 열간 압연 및 열간 프레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면, 리튬 이온 배터리용 전해질 조성물이 제공되고, 상기 조성물은 5 내지 25 wt%의 리튬 염, 2 내지 10 wt%의 첨가제, 및 65 내지 93 wt%의 용매를 포함하며,
(a) 리튬 염은 20 내지 100 mol%의 리튬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및 0 내지 95 mol%의 리튬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를 포함하고,
(b) 첨가제는 비닐렌 카보네이트, 및 선택적으로 30 내지 90 mol% 플루오로에틸렌 카보네이트를 포함하며,
(c) 용매는 70 내지 90 mol% 에틸렌 카보네이트 및 10 내지 30 mol% 프로필렌 카보네이트를 포함한다.
새로운 리튬 이온 배터리 전해질 조성물들의 식별은 간단하지 않다. 발명자들은 고온에서도 낮은 휘발성을 갖은 일련의 LiPF6-무함유 액체 전해질들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따라서 고온을 수반하는 처리 기술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LiPF6는 이러한 고온에서 분해된다. 또한, LiPF6는 수분에 민감하여 물과 접촉 시 HF를 방출하고 물과 접촉 시 열 폭주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을 피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현재 청구된 조성물들은 (a) 그라파이트를 부동태화하며[그라파이트가 애노드(anode)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의미함], (b) 인화점이 100 ℃ 이상인 고온에서 안정적이고, 낮은 증기압을 가지며, 이에 따라 압출(또는 달리 고온에서 처리)될 수 있고, (c) 일반적인 캐소드(cathode) 재료에 대해 안정적이며, (d) 충분한 이온 전도도를 갖고, (e) 충분한 속도 성능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전해질 조성물을 포함하는 압출된 배터리 구성요소, 및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조성물의 약 55 ℃를 넘는 온도로의 가열을 필요로 하는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배터리 구성요소를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적절하게는, 처리 단계는 약 60 ℃, 70 ℃ 또는 80 ℃를 넘는 온도로의 조성물의 가열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일부 경우, 가열을 필요로 하는 처리 단계는 압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들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루어지는, 예시의 방식으로만 제공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다음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30 ℃에서 높은 Ni 캐소드 및 천연 그라파이트 애노드를 사용한 C-속도의 함수로서 방전 용량을 나타낸다. 실선은 예시 2에 대한 데이터이고, 파선은 비교 예시이다. 동일한 뱃치의 전극들 및 셀 포맷이 사용되었으며, 즉 유일한 차이점은 전해질이다.
일부 경우에, 전해질 조성물의 리튬 농도는 약 0.7 M 내지 2.0 M이다.
일부 경우에, 리튬 염은 20 내지 100 mol%의 리튬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및 0 내지 95 mol%의 리튬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로 이루어진다.
일부 경우에, 첨가제는 (ⅰ) 비닐렌 카보네이트, 또는 (ⅱ) 10 내지 70 mol% 비닐렌 카보네이트 및 30 내지 90 mol% 플루오로에틸렌 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다.
일부 경우에, 용매는 70 내지 90 mol% 에틸렌 카보네이트 및 10 내지 30 mol% 프로필렌 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다.
일부 경우에, 전해질 조성물은:
a) 7.8 wt% 리튬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69.3 wt% 에틸렌 카보네이트, 17.3 wt%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및 5.5 wt% 비닐렌 카보네이트;
b) 1.6 wt% 리튬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19.1 wt% 리튬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 55.9 wt% 에틸렌 카보네이트, 18.6 wt%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및 4.8 wt% 비닐렌 카보네이트;
c) 1.6 wt% 리튬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19.1 wt% 리튬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 54.7 wt% 에틸렌 카보네이트, 18.2 wt%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4.2 wt% 비닐렌 카보네이트 및 2.1 wt% 플루오로에틸렌 카보네이트; 및
d) 7.8 wt% 리튬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64.9 wt% 에틸렌 카보네이트, 16.2 wt%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및 11.1 wt% 비닐렌 카보네이트
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이러한 일부 경우에, 전해질 조성물은 조성물 d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비교 데이터는 당업계에 알려져 있는 다음 전해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 용매 내의 1 몰 LiPF6, 용매는 에틸렌 카보네이트 및 에틸메틸카보네이트를 1:3 중량비로 포함함.
- 첨가제 성분이 이 용액에 첨가되었으며; 이는 비닐렌 카보네이트(2 wt%) 및 플루오로에틸렌 카보네이트(0.5 wt%, wt%는 염 + 용매 + 첨가제를 포함한 용액의 총 중량에 기초함)로 구성됨.
몇 가지 전해질 조성물들이 아래 표 1에 설명되어 있다. 이들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셀에서 테스트되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양한 방전 속도들에서 첫 번째 사이클 효율 및 속도 용량을 결정하였다.
표 1
표 1에서는 다음 표기가 사용된다:
LiBF4: 리튬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LiTFSI: 리튬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
LiPF6: 리튬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EC: 에틸렌 카보네이트
PC: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VC: 비닐렌 카보네이트
FEC: 플루오로에틸렌 카보네이트
전해질들의 전기화학적 평가들은 스웨즈락 또는 파우치 타입 셀들로 수행되었다. 모든 셀들은, 90 wt% 이상의 고 니켈 NMC 활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면적 코팅 중량이 150 g/m2 이상인 하나의 캐소드 층, 및 90 wt% 이상의 그라파이트/SiOx 혼합 활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면적 코팅 중량이 100 g/m2 이상인 하나의 애노드 층을 갖는다.
셀 조립은 노점(Dew point)이 -40 ℃ 미만인 드라이룸에서 수행되었다. 설계상 공칭 용량은 스웨즈락 또는 파우치 타입 셀들에 대해 각각 약 3.5 mAh 또는 40.0 mAh였다. 용량 밸런스는 애노드의 약 85 내지 90 % 사용률에서 제어되었다. 모든 셀들에 대해, 유리 섬유 분리막들이 사용되고, 스웨즈락 또는 파우치 셀들에 대해 각각 70 ㎕ 또는 1 ㎖의 전해질이 첨가되었다.
모든 셀들은 30 ℃에서 전기화학적으로 형성되었다. 셀은 초기에 처음 1 시간 동안 C/20의 전류(셀을 완전히 충전하거나 방전하는 데 20 시간이 걸리는 전류)로 충전된 후, 셀 전압이 4.2 V의 컷오프 전압(cut-off voltage)에 도달할 때까지 나머지 충전 동안 C/10으로 증가되었다. 그 후, 셀은 2.5 V의 컷오프 전압까지 C/10에서 방전된다. 셀은 충전 및 방전 모두에 대해 C/10에서 동일한 컷오프 전압들로 두 번 더 사이클을 반복한다. 첫 번째 사이클 효율은 첫 번째 사이클 충전 용량을 첫 번째 사이클 방전 용량으로 나눈 값에 의해 결정되며, 백분율로 표시되었다. 일단 셀이 이 형성 단계를 통과하면, 30 ℃ 및 45 ℃에서 순차적으로 속도 용량이 테스트되었다. C-속도는 캐소드 공칭 용량(활성 물질 중량에 그 이론적 용량을 곱한 값)에 기초하여 계산되었다. 속도 용량 테스트에서, 모든 충전은 C/5의 전류에서 수행되는 한편, 방전은 C/10 내지 10C의 범위에서 수행되었다. 속도 용량들은 이에 따라 결정되었으며, 이는 동일한 테스트로부터 C/10 용량으로 나눔으로써 더 정규화될 수 있다.
표 1에 제시된 데이터에 추가하여, 0.2C에서의 속도 테스트 후 전해질 조성물들 C 및 2를 포함한 셀들의 용량 유지율은 100 % 또는 그 부근인 것으로 밝혀졌다.
앞선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례가 되는 예시들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들이 예상된다. 여하한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여하한의 특징은 단독으로 또는 설명된 다른 특징들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여하한의 다른 실시예들 또는 여하한의 다른 실시예들의 여하한의 조합의 1 이상의 특징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앞서 설명되지 않은 균등물 및 수정예가 채택될 수 있다.

Claims (10)

  1. 리튬 이온 배터리용 전해질 조성물로서,
    5 내지 25 wt%의 리튬 염, 2 내지 10 wt%의 첨가제, 및 65 내지 93 wt%의 용매를 포함하며,
    (a) 상기 리튬 염은 20 내지 100 mol%의 리튬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및 0 내지 95 mol%의 리튬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를 포함하고,
    (b) 상기 첨가제는 비닐렌 카보네이트, 및 선택적으로 30 내지 90 mol% 플루오로에틸렌 카보네이트를 포함하며,
    (c) 상기 용매는 70 내지 90 mol% 에틸렌 카보네이트 및 10 내지 30 mol% 프로필렌 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전해질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리튬 농도는 약 0.7 M 내지 2.0 M인,
    전해질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염은 20 내지 100 mol% 리튬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및 0 내지 95 mol% 리튬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로 이루어지는,
    전해질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ⅰ) 비닐렌 카보네이트, 또는 (ⅱ) 10 내지 70 mol% 비닐렌 카보네이트 및 30 내지 90 mol% 플루오로에틸렌 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지는,
    전해질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70 내지 90 mol% 에틸렌 카보네이트 및 10 내지 30 mol% 프로필렌 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지는,
    전해질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7.8 wt% 리튬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69.3 wt% 에틸렌 카보네이트, 17.3 wt%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및 5.5 wt% 비닐렌 카보네이트;
    b) 1.6 wt% 리튬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19.1 wt% 리튬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 55.9 wt% 에틸렌 카보네이트, 18.6 wt%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및 4.8 wt% 비닐렌 카보네이트;
    c) 1.6 wt% 리튬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19.1 wt% 리튬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 54.7 wt% 에틸렌 카보네이트, 18.2 wt%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4.2 wt% 비닐렌 카보네이트 및 2.1 wt% 플루오로에틸렌 카보네이트; 및
    d) 7.8 wt% 리튬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64.9 wt% 에틸렌 카보네이트, 16.2 wt%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및 11.1 wt% 비닐렌 카보네이트
    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전해질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 조성물은 7.8 wt% 리튬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64.9 wt% 에틸렌 카보네이트, 16.2 wt%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및 11.1 wt% 비닐렌 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지는,
    전해질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해질 조성물을 포함하는 압출된 배터리 구성요소.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의 약 55 ℃를 넘는 온도로의 가열을 필요로 하는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배터리 구성요소를 형성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단계는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37039287A 2021-04-15 2022-03-22 전해질 조성물 KR202301700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2105392.1 2021-04-15
GB2105392.1A GB2606513B (en) 2021-04-15 2021-04-15 Electrolyte compositions
PCT/GB2022/050717 WO2022219299A1 (en) 2021-04-15 2022-03-22 Electrolyte compositi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0077A true KR20230170077A (ko) 2023-12-18

Family

ID=76377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9287A KR20230170077A (ko) 2021-04-15 2022-03-22 전해질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40204256A1 (ko)
EP (1) EP4324042A1 (ko)
JP (1) JP2024513610A (ko)
KR (1) KR20230170077A (ko)
CN (1) CN117203810A (ko)
AU (1) AU2022257317A1 (ko)
GB (1) GB2606513B (ko)
WO (1) WO2022219299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51953B2 (ja) * 2001-02-23 2008-02-27 三菱化学株式会社 非水系電解液二次電池
JP2003197255A (ja) * 2001-12-25 2003-07-11 Yuasa Corp 非水電解質二次電池
WO2008093837A1 (ja) * 2007-02-02 2008-08-07 Ube Industries, Ltd. エステル化合物、それを用いた非水電解液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19299A1 (en) 2022-10-20
GB2606513B (en) 2024-01-03
US20240204256A1 (en) 2024-06-20
JP2024513610A (ja) 2024-03-26
EP4324042A1 (en) 2024-02-21
AU2022257317A1 (en) 2023-11-23
GB202105392D0 (en) 2021-06-02
CN117203810A (zh) 2023-12-08
GB2606513A (en) 2022-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63468B1 (en) Electrolyte for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and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using same
KR20180027984A (ko) 전해액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CN102412417A (zh) 一种改善锂离子电池高温电化学性能的非水电解液及其应用
KR101444992B1 (ko) 비수계 이차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20190122260A (ko) 전해질 조성물 및 리튬-이온 배터리에서의 그의 용도
KR102645232B1 (ko) 리튬 염 혼합물 및 배터리 전해질로서의 그의 용도
KR20190127946A (ko) 리튬 염 혼합물 및 배터리 전해질로서의 그것의 사용
KR101800930B1 (ko) 비수계 리튬이차전지용 첨가제와, 이를 포함하는 비수계 전해액, 전극 및 비수계 리튬이차전지
JP2001057234A (ja) 非水電解液および非水電解液二次電池
KR20190033005A (ko) 전해액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JP2001057235A (ja) 非水電解液および非水電解液二次電池
US20240204256A1 (en) Electrolyte compositions
KR20230175239A (ko) 전해질 조성물
US20240186581A1 (en) Electrolyte compositions
US20140242454A1 (en) Electrolyte with solid electrolyte interface promoters
US20060204857A1 (en) High performance and safer electrolytes for lithium-ion electrochemical devices
EP4078711B1 (en) Electrolyte for li secondary batteries
US20230395866A1 (en) Electrochemical cell with a specific liquid electrolyte
KR100810680B1 (ko) 4.4v 이상의 고전압용 리튬 2차전지용 비수성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2차전지
CN111952677A (zh) 一种用电化学氧化还原制备高电压锂电池的方法
KR20240039183A (ko) 전해질 조성물
KR20220078601A (ko) 비수성 전해 조성물 및 그 용도
KR20190033004A (ko) 전해액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WO2004100294A1 (en) High performance and safer electrolytes for lithium-ion electrochemical dev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