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0056A - 분리 장치의 거품제거 구조 - Google Patents

분리 장치의 거품제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0056A
KR20230170056A KR1020237038930A KR20237038930A KR20230170056A KR 20230170056 A KR20230170056 A KR 20230170056A KR 1020237038930 A KR1020237038930 A KR 1020237038930A KR 20237038930 A KR20237038930 A KR 20237038930A KR 20230170056 A KR20230170056 A KR 20230170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peripheral surface
inner peripheral
outlet
separ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8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코토 타시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분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분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분리
Publication of KR20230170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005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04C5/14Construction of the underflow ducting; Apex constructions; Discharge arrangements ; discharge through sidewall provided with a few slits or perfo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04C5/02Construction of inlets by which the vortex flow is generated, e.g. tangential admission, the fluid flow being forced to follow a downward path by spirally wound bulkheads, or with slightly downwardly-directed tangential admission
    • B04C5/04Tangential in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04C5/14Construction of the underflow ducting; Apex constructions; Discharge arrangements ; discharge through sidewall provided with a few slits or perforations
    • B04C5/185Dust col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04C5/24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yclone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액체에서의 거품 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분리 장치의 거품제거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분리 장치의 거품제거 구조는, 액체를 도입하기 위한 도입구를 포함하는 도입부와, 하단에 설치된 배출구를 포함하는 드레인부를 갖는 사이클론과, 간격을 두고 배출구를 둘러싸고 배출구보다 하방으로 연장되는 통부재를 구비한다. 드레인부는, 도입부와 접속된 제1 부재와, 제1 부재와 접속되고, 배출구가 설치된 제2 부재와, 제1 부재로부터 제2 부재에 걸쳐 형성되고, 하방을 향함에 따라 내경이 작아지는 제 1 내주면을 갖고, 배출구는 제 1 내주면과 접속되고 연장 방향으로 제 1 내주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함에 따라 내경이 커지는 제 2 내주면을 가지고, 통부재는 배출구를 둘러싸는 제 3 내주면과 일단에 설치된 개구부를 갖고, 연장 방향을 따라 제 2 내주면을 제 3 내주면으로 향하게 연장된 가상면은 제 3 내주면과 교차한다.

Description

분리 장치의 거품제거 구조
본 발명은 분리 장치의 거품제거 구조에 관한 것이다.
공작 기계에 의해 금속 재료 등을 기계 가공할 때, 가공 정밀도의 향상, 공구의 수명의 연장, 및 칩이나 금속 분말 등의 배출을 촉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연삭액, 절삭액, 쿨런트 등으로 불리는 각종의 액체가 사용된다.
이들 액체는, 기계 가공에 의해 생긴 칩이나 금속 분말 등의 이물질이 포함된 상태에서 공작 기계로부터 배출된다. 배출된 액체는 이물질을 분리하고 제거한 후 공작 기계로 되돌려 재사용된다. 이물질을 포함하는 액체로부터 이물질을 분리 및 제거하기 위한 분리 장치에 관하여, 지금까지 다양한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거품발생 억제형 액체 사이클론이 개시되어 있다. 이 사이클론은 중력 방향을 향해 내경이 점차 작아지는 부분을 갖고 내경의 대경부에 공급된 분리 대상 액상체를 선회시켜 비중이 큰 물질과 비중이 작은 액체로 분리하는 선회류 실을 구비하고, 분리된 상기 비중이 큰 물질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하단에 가지는 동시에 분리된 상기 비중이 작은 액체가 선회류로서 상승하는 상승 유로를 상단에 갖는 사이클론 본체와, 상기 사이클론 본체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상승 유로를 통해 상기 비중이 작은 액체가 유입되는 상실을 구비하는 액체 사이클론으로서, 상기 사이클론 본체의 하단의 배출구의 기압 P를 게이지압으로 -0 .5kg/㎠G≤P<0kg/㎠G의 부압의 범위가 되도록, 상기 상실로부터 상기 비중이 작은 액체가 유출되는 유출로의 횡단면적을 규제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사이클론은 분리되어 회수된 액체의 거품발생을 충분히 억제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특개 2008-665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사이클론을 근거로 해도, 액체의 거품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구조에 관해서는, 아직도 여러 가지 개선의 여지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액체의 거품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분리 장치의 거품제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분리장치의 거품제거구조는 중심축을 따라 연장되어, 내부에 이물질을 포함하는 액체를 도입하기 위한 도입구를 포함하는 도입부와,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액체 및 상기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포함하는 드레인부를 갖고, 상기 내부에서 상기 액체를 선회시키는 사이클론과, 상기 중심 축선으로부터 멀어지는 반경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배출구를 둘러싸는 동시에, 상기 사이클론의 연장 방향으로 배출구보다 하방으로 연장되는 통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드레인부는, 상기 도입부와 접속된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와 접속되고, 상기 배출구가 설치된 제2 부재와, 상기 제1 부재로부터 상기 제2 부재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연장 방향에서 하방을 향함에 따라 내경이 작아지는 제 1 내주면을 갖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제 1 내주면과 접속되고, 상기 연장 방향에서 상기 제 1 내주면 로부터 하방으로 향함에 따라 내경이 커지는 제2 내주면을 갖고, 상기 통부재는, 상기 배출구를 둘러싸는 제3 내주면과,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이물이 통과하는 개구부를 가지고, 상기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제 2 내주면을 상기 제 3 내주면을 향해 연장 한 가상면은 상기 제 3 내주면과 교차하여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상기 액체 및 이물질은 개구부를 통해 하방으로 배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액체의 거품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분리 장치의 거품제거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분리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분리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 인 측면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 예의 사이클론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4는도 2의 IV 부를 나타내는 개략적 인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제 1 실시 예의 통부재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6은 제 1 실시 예의 통부재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7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분리 장치의 비교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제 2 실시 예에 따른 분리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 인 측면도이다.
도 9는도 8의 IX 부분을 나타내는 개략적 인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은 제 2 실시 예의 통부재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이하, 분리 장치의 거품제거 구조의 각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개시는 단지 일례에 지나지 않으며, 이하의 각 실시 형태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가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는 변형은 당연히 개시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설명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도면에 있어서 각 부분의 사이즈, 형상 등을 실제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변경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경우도 있다. 복수의 도면에 있어서, 대응하는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도 있다.
각 실시 형태에서는, 액체에 포함되는 이물을 원심력에 의해 분리 및 제거하기위한 분리 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액체는, 예를 들어 연삭액, 절삭액, 및 냉각수 등을 포함한다. 이물질은 예를 들어 금속 재료와 같은 칩, 금속 분말 등을 포함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분리 장치 (1)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분리 장치(1)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예의 사이클론 (10)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IV부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 예의 통부재(30)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 예의 통부재(30)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이하, 각 도면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부품의 일부를 투과시켜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리 장치(1)는 사이클론(10), 도입관(21), 배출관(22), 통부재(30), 침전조(40) 및 이물 회수 박스(23)를 구비하고 있다. 사이클론 (10)은 그 내부에서 액체에 함유된 이물질을 분리하고 제거한다. 사이클론(10)은, 침전조(40)의 상방에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클론(10)은 중심 축선(CX)을 따라 연장된다.
여기서, 중심축선(CX)을 따르는 평행한 방향을 축 방향 (Dx)으로 정의한다. 축 방향(Dx)의 일측을 위 또는 상방으로 정의하고, 축 방향(Dx)의 타측을 하 또는 하방으로 정의한다. 사이클론(10)의 연장 방향은 축 방향(Dx)에 대응한다. 중심축선(CX)을 중심으로 중심축선(CX)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반경 방향(Dr)으로 정의하고, 중심축선 (CX)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 θ를 정의한다.
 도 3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사이클론 (10)은 사이클론 본체 (11), 클린 케이스 (60), 기액 분리관 (71) 및 내벽 (72)을 포함한다. 사이클론 본체(11)는, 단부(12)와, 단부(12)와 반대측의 단부(13)를 갖고 있다. 단부(12)는 사이클론 본체(11)의 상단에 상당하고, 단부(13)는 사이클론(10) 및 사이클론 본체(11)의 하단에 상당한다.
사이클론 본체 (11)는 도입부 (51)와, 도입부 (51)에 접속된 드레인부(52)를 갖는다. 도입부(51)는 사이클론 본체(11)의 상단측에 위치하고, 드레인부(52)는 사이클론 본체(11)의 하단측에 위치한다. 도입부(5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입부(51)는 내주면(511)을 갖는다. 내주면(511)은 축방향(Dx)을 따라 균일한 직경으로 연장되어 있다.
드레인부 (52)는 도입부 (51)와 동축 상에 위치하고 있다. 드레인부(52)는, 도입부(51)에 접속된 원추대 형상의 제1 부재(53)와, 제1 부재(53)에 접속된 원주 형상의 제2 부재(54)를 갖고 있다. 드레인부(52)는, 제1 부재(53)로부터 제2 부재(54)에 걸쳐 형성된 내주면(521)(제1 내주면)을 갖고 있다.
내주면 (521)은 내주면 (511)의 하단 측에서 원주 방향 θ에 걸쳐 접속되어 있다. 내주면(521)은, 내주면(511)과의 접속 개소로부터 사이클론 본체(11)의 하단을 향해 연장되는 원추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내주면 (521)은 사이클론 본체 (11)의 하단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내경이 작아진다. 이하, 내주면(511)과 내주면(521)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을 「사이클론 본체(11)의 내부」라고 한다.
사이클론 본체 (11)는 도입구 (55)와 배출구 (56)를 더 갖는다. 도입구(55)는, 사이클론 본체(11)의 내부에 이물질을 포함하는 액체를 도입한다. 도입구(55)는 도입부(51)에 설치되어 있다. 도입구(55)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도입부(51)의 접선 방향을 따르도록 개구되어 있다.
도입구(55)에는 도입관(21)이 접속되어 있다. 도입관(21)에는 이물질을 포함하는 액체가 유입된다. 도입관(21)은, 도입구(55)를 통하여 사이클론 본체(11)의 내부와 사이클론 본체(11)의 외부를 연통하고 있다.
도입관(21)에는, 호스 등이 접속되어 있다. 도입관(21)으로부터 도입되는 액체는, 도입부(51)의 접선 방향을 따라 사이클론 본체(11)의 내부에 공급된다. 도입관(21)에는, 예를 들면 압력계(24)가 설치되어 있다. 압력계(24)는, 예를 들면 압력 센서 등 이어도 된다.
배출구(56)는, 액체로부터 분리된 이물을 많이 포함하는 액체를 사이클론 본체(11)의 내부로부터 사이클론 본체(11)의 외부로 배출한다. 배출구(56)는 사이클론 본체(11)의 내부와 사이클론 본체(11)의 외부를 연통하고 있다. 배출구(56)는 사이클론 본체(11)의 단부(13)에 설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배출구(56)는, 하단측의 제2 부재(54)의 단부에 있어서, 축 방향(Dx)을 따라 연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56)는 내주면(561)(제2 내주면)을 갖는다. 내주면(561)은 내주면(521)과의 접속 개소로부터 하방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내경이 커지는 원추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클린 케이스(60)는, 사이클론 본체(11)에 의해 이물이 분리된 액체를 내부에 저류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린 케이스(60)는 사이클론 본체(11)의 상단측에 설치되어 있다.
클린 케이스(60)는 측벽(61), 저벽(62) 및 축 방향(Dx)의 저벽(62)의 반대측의 상벽(63)을 갖는다. 저벽(62) 및 상벽(63)은 측벽(61)에 연결된다. 이하, 측벽(61), 저벽(62) 및 상벽(63)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을 「클린 케이스(60)의 내부」라고 한다.
측벽(61)은 중심 축선 (CX)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측벽(61)은 축방향(Dx)을 따라 균일한 직경으로 연장된다. 저벽(62) 및 상벽(63)은 중심 축선(CX)을 중심으로 하는 원판 형상이다. 상벽(63)은, 예를 들면 측벽(61)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저벽(62)은 사이클론 본체(11)의 내부와 클린 케이스 (60)의 내부를 분리한다. 저벽(62)에는, 중심 축선(CX)을 중심으로 하는 연통 구멍(64)이 설치되어 있다. 연통 구멍(64)은 사이클론 본체(11)의 내부와 클린 케이스(60)의 내부를 연통한다. 도 3에 도시된 예에서, 연통 구멍(64)은 중심 축선(CX)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이다.
클린 케이스(60)는, 배출구(65)를 더 갖고 있다. 배출구(65)는, 이물이 분리된 액체를 클린 케이스(60)의 내부로부터 클린 케이스(60)의 외부로 배출한다. 배출구(65)는 측벽(61)에 설치되어 있다.
배출구(65)에는 배출관(22)이 접속되어 있다. 배출관(22)은, 사이클론(10)에 의해 이물이 분리된 액체를 배출한다. 배출관(22)은, 예를 들어 배출구(65)로부터 배출된 액체를 저류하기 위한 액체 회수 탱크(도시하지 않음)를 향해 연장되어 있다. 배출관(22)에는 호스 등이 접속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배출관 (22)에는 밸브 (25)가 제공된다. 밸브(25)는, 개도를 조정함으로써 배출관(22)으로부터 배출되는 유량을 조정한다. 밸브(25)의 개도의 조정은, 예를 들면 밸브(25)에 설치된 핸들(26)을 조작함으로써 행한다. 밸브(25)는, 예를 들면 구획 밸브이다.
기액 분리관(71)은, 클린 케이스(60)의 내부에 있어서 중심 축선(CX)과 동축 상에 설치되어 있다. 기액 분리관(71)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액 분리관(71)은 축방향(Dx)을 따라 일정한 직경으로 연장되어 있다.
기액 분리관(71)은 축방향(Dx)을 따라 연통 구멍(64)으로부터 상벽(63)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기액 분리관 (71)의 내부는 연통 구멍 (64)을 통해 사이클론 본체 (11)의 내부에 접속되어 있다.
기액 분리관(71)은 복수의 구멍(73)을 갖는다. 복수의 구멍(73)은, 예를 들면 기액 분리관(71) 전체에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구멍(73)은, 예를 들면 축방향(Dx) 및 원주 방향(θ)에 각각 균일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도 3에서는 복수의 구멍 (73)의 일부를 나타낸다. 구멍(73)은 기액 분리관(71)의 내주면과 외주면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다. 구멍 (73)의 형상은, 예를 들면 원형이다.
내벽(72)은 클린 케이스(60)의 내부에 있어서 기액 분리관(71)을 반경 방향(Dr) 외측으로부터 둘러싸도록 중심 축선(CX)과 동축 상에 설치되어 있다. 내벽(72)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내벽(72)은 축 방향(Dx)을 따라 저벽(62)으로부터 상벽(63)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내벽 (72)은 내주면 (74)을 갖는다. 내주면(74)은 축 방향(Dx)을 따라 균일한 직경으로 연장되어 있다. 내벽(72)은, 사이클론 본체(11)의 상단측에 위치하는 기액 분리관(71)의 일부를 원주 방향(θ)의 전체에 걸쳐서 둘러싸고 있다. 내벽(72)의 내경은 기액 분리관(71)의 외경보다 크고, 측벽(61)의 내경보다도 작다.
반경 방향(Dr)에 있어서, 클린 케이스(60)의 내부에는 기액 분리관(71)과 내벽(72) 사이에 제1 저류부(66)가 형성되고, 내벽(72)과 측벽(61) 사이에 제2 저류부(67)가 형성된다.
사이클론(10)은, 도입부(51) 및 제1 부재(53)를 반경 방향(Dr) 외측으로부터 둘러싸는 커버(80)를 더 구비하고 있다. 커버(80)는, 중심 축선(CX)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 형상의 측벽(81)과, 측벽(81)에 접속된 저벽(82)을 갖고 있다. 측벽(81)은 축 방향(Dx)을 따라 균일한 직경으로 연장된다. 측벽(81)의 외경은, 예를 들어 측벽(61)의 외경과 대략 동일할 수도 있고, 측벽(61)의 외경보다 작을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저벽(82)은 축 방향(Dx)에서의 제1 부재(53)와 제2 부재(54)의 접속부(57)와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저벽(82)은 중심 축선(CX)과 직교한다. 저벽(82)은, 일례로서, 중심 축선(CX)을 중심으로 하는 원판 형상이다.
다음으로, 통부재(30)에 대하여 설명한다. 통부재(30)는 분리 장치 (1)의 거품제거 구조의 일부를 구성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부재(30)는 사이클론 본체(11)의 하단측에 설치되어 있다. 통부재(30)는 축 방향(Dx)에서 배출구(56)보다 하방으로 연장된다.
통부재(30)는 제1 통부재(31)와, 제1 통부재(31)에 연결된 제2 통부재(32)를 포함한다. 제1통부재(31) 및 제2통부재(32)는 각각 별도의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통부재 (31)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제 1 통부재(31)는 단부 (33), 단부 (33)와 반대측의 단부 (34) 및 내주면 (311) (제 3 내주면)을 갖는다. 통부재(30)는 단부(33)에서 저벽(82)에 연결된다.
제1 통부재(31)는 축 방향(Dx)을 따라 일정한 직경으로 형성된다. 중심 축선 (CX)을 따르는 단면에서, 제1 통부재(31)에서의 반경 방향(Dr)의 폭을 폭 W1로한다. 폭(W1)은 제1 통부재(31)의 내경에 대응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폭 (W1)은 축 방향(Dx)으로 일정하다.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축 방향(Dx)의 제1 통부재(31)의 길이는 축 방향(Dx)의 제2 통부재(32)의 길이보다 길다.
분리 장치(1)의 거품제거 구조에 있어서, 제1 통부재(31)는 배출구(56)를 둘러싸고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경 방향(Dr)에 있어서, 내주면(311)은 제2 부재(54)의 외주면(541)과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내주면 (311)은 제2 부재(54)의 외주면(541)과 접촉하지 않고, 제1 통부재(31)와 제2 부재(54) 사이에는 원주 방향(θ) 전체에 걸쳐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다른 관점에서, 제1 통부재(31)의 내경은 제2 부재(54)의 외경보다 크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통부재(31)에는 연통 구멍(35)이 형성되어 있다. 연통 구멍(35)은, 제1 통부재(31)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고 있다. 도 4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연통 구멍 (35)의 위치는 축 방향(Dx)에서 배출구 (56)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통 구멍(35)은, 일례로서 단부(33)에 형성되고, 저벽(82)과 접하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예에서, 연통 구멍(35)의 형상은 원주 방향(θ)을 따라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이다. 연통 구멍(35)의 형상은, 예를 들면 다른 사각형, 원형 등의 다른 형상이어도 된다. 연통 구멍(35)의 형상은 축 방향(Dx)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일 수 있다. 연통 구멍(35)의 개수는 원주 방향(θ)으로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고, 축 방향(Dx)으로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제2 통부재(32)는 제1 통부재(31)와 동축 상에 위치한다. 제2통부재(32)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통부재 (32)는 축 방향(Dx)에서 제1 통부재 (3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다.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제2 통부재(32)의 두께는 제1 통부재(31)의 두께보다 작다. 제2 통부재(32)의 두께는 제1 통부재(31)의 두께보다 클 수도 있고, 제1 통부재(31)의 두께와 동일할 수도 있다.
제2 통부재(32)는 단부 (34)에 접속된 단부 (36), 축 방향 (Dx)의 단부(36)의 반대측의 단부(37) 및 내주면 (321)을 갖는다. 내주면 (321)은 단부 (36)에서 내주면 (311)과 원주 방향(θ)에 걸쳐 접속되어 있다.
내주면(321)은 내주면(311)과의 접속 위치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원추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중심 축선(CX)을 따르는 단면에서, 제2 통부재(32)에서의 반경 방향(Dr)의 폭을 폭 W2로한다. 폭(W2)은 제2 통부재(32)의 내경에 상당한다. 제2 통부재(32)는 폭(W2)이 축 방향(Dx)에서 하방을 향함에 따라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다른 관점에서, 제2 통부재(32)의 폭(W2)은 개구부(38)를 향해 서서히 작아진다.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단부(37)는 반경 방향(Dr)에 대해 경사져 있다. 제2 통부재(32)는, 예를 들면 원추대 형상의 부재의 일단을 반경 방향(Dr)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절단함으로써 형성된다.
단부(37)에는 개구부(38)가 설치되어 있다. 개구부(38)는 제2 통부재(32)에만 형성된다. 개구부(38)는 축 방향(Dx)의 하방을 향해 개구되어 있다. 배출구(56)로부터 배출된 액체 및 이물은 개구부(38)를 통해 축 방향(Dx)의 하방에 설치된 침전조(40)로 배출된다.
개구부(38)는 개구 가장자리(381)를 갖는다. 단부(37)는 반경 방향(Dr)에서 경사지기 때문에, 개구 가장자리(381)는 반경 방향(Dr)에 대해 경사진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면, 개구부(38)의 면적은 제1 통부재(31)의 면적보다 작다. 중심 축선(CX)과 직교하는 평면을 보는 것을 「평면시」라고 한다. 도 6에 있어서는, 축 방향(Dx)에 있어서, 제1 통부재(31)의 단부(33)측으로부터 통부재(30)를 보고 있다.
여기서, 개구부(38)의 면적은 개구 에지(381)에 둘러싸인 영역의 면적이다. 제1 통부재(31)의 면적은 중심 축선 (CX)과 직교하는 제1 통부재(31)의 단면적 중 제1 통부재(31)의 내주면 (311)으로 둘러싸인 영역의 면적이다.
 제2 통부재(32)의 면적은 축 방향(Dx)에서 하방을 향함에 따라 작아진다. 여기서, 제2 통부재(32)의 면적은 중심 축선(CX)과 직교하는 제2 통부재(32)의 단면적 중 내주면(321)으로 둘러싸인 영역의 면적이다.
다음으로, 침전조 (40)에 대하여 설명한다.
침전조(40)는, 배출구(56)로부터 배출된 액체 및 이물을 저류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침전조(40)는, 탱크 본체(41), 컨베이어(42), 구동 기구(43) 및 방해판(44)을 구비하고 있다. 조 본체(41)는 축 방향(Dx)에서 배출구(56)보다 하방에 설치되어 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클론(10)이 침전조(40)에 설치되었을 때에, 제2 부재(54) 및 통부재(30)는, 조 본체(41)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
조 본체(41)의 내부에는, 저장된 액체에 의해 액면이 형성된다. 도 2 이후에, 액면을 액면 L4로 나타낸다. 배출구(56)는, 액면(L4)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축 방향(Dx)에서의 액면(L4)으로부터 단부(13)까지의 거리를 거리(H4)로 한다. 예로서, 거리 H4는 100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조 본체(41)에는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반출로(411)가 형성되어 있다. 반출로(411)는, 조 본체 (41)의 저부(412)로부터 비스듬히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반출로(411)의 일단에는 이물 배출구(413)가 형성되어 있다. 이물 배출구(413)는, 축 방향(Dx)에 있어서, 액면(L4)보다도 상방에 설치되어 있다.
조 본체(41)에는 액체 배출구(414)가 더 형성되어 있다. 액체 배출구(414)는, 예를 들면 이물 배출구(413)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액체 배출구 (414)는 탱크 본체 (41)에 저류 된 액체를 탱크 본체 (41)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탱크 등으로 배출한다.
액면(L4)이 액체 배출구(414)까지 상승하면, 액체가 액체 배출구(414)로부터 배출되기 때문에, 액면(L4)은 액체 배출구(414)보다 상방에 위치하지 않는다. 액면(L4)은, 예를 들면 축방향(Dx)에서의 액체 배출구(414)의 위치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컨베이어(42)는, 조 본체(41)로부터 이물을 이물 회수 박스(23)로 배출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42)는, 반출로(411)를 따라 조 본체(41)의 저부(412)로부터 이물 배출구(413)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컨베이어(42)는 체인(421), 스프로킷(422), 복수의 스크레이퍼(423) 등으로 구성된다. 컨베이어(42)는 구동 기구(43)에 의해 구동된다. 도 1에 도시 된 예에서, 구동기구 (43)는 탱크 본체 (41)의 외부에 제공된다. 구동기구 (43)는, 예를 들면 모터를 구동원으로 한다.
복수의 스크레이퍼(423)는 체인(421)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조 본체 (41)의 바닥부(412)에 퇴적 된 이물질은 컨베이어(42)의 구동에 수반하여 스크레이퍼(423)에 의해 바닥부(412)로부터 반출로(411)를 통해 이물질 배출구(413)로 보내진다. 이물 배출구(413)에 도달한 이물은 이물 회수 박스(23)를 향해 낙하한다.
방해판(44)은 통부재(30)로부터 배출된 이물이 액체 배출구(414)로 직접 흐르는 것을 억제한다. 도 2에 도시된 예에서, 방해판(44)은 통부재(30)와 액체 배출구(414) 사이에 위치한다.
다음으로, 분리 장치(1)의 이물질을 함유하는 액체로부터 이물질을 분리 제거하는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사이클론 본체(11)의 내부에는, 이물질을 포함하는 액체가 도입관(21)을 통해 도입구(55)로부터 도입된다. 액체는 도입부(51)의 접선 방향으로 소정의 유속으로 공급된다. 공급된 액체는, 도입부(51)의 내주면(511) 및 드레인부(52)의 내주면(521)을 따라 선회하면서, 배출구(56)를 향해 하강한다.
이에 의해, 사이클론 본체(11)의 내부에는, 중심 축선(CX)을 중심으로 하는 하강 와류가 발생한다. 도 3 에서, 하강 와류는 와류 DV로 표시된다. 액체에 포함 된 이물질은 사이클론 본체 (11)의 내부에서 하강 와류에 기초한 원심력에 의해 분리된다.
분리된 이물질은 드레인 부 (52)의 내주면 (521)에 모이면서 드레인 부 (52)의 내주면 (521)을 따라 선회하면서 하강한다. 이물질은, 예를 들면 슬러지가 되어 배출구(56)로부터 액체와 함께 배출된다. 배출된 이물 및 액체는 침전조(40)에 회수된다. 일례로서, 배출구(56)로부터 배출되는 액체의 유량은, 분당 10L(10L/min) 이하이다.
드레인부(52)의 내주면(521)을 따라 하강한 하강 와류는, 배출구(56) 부근에서 상향의 힘을 받아 상승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 사이클론(10)의 중심 축선(CX)을 따라 배출구(56)로부터 클린 케이스(60)를 향하는 상승 와류가 형성된다. 도 3에서, 상승 와류는 화살표 RV로 표시된다.
상승 와류는 중심 축선(CX)을 중심으로 하는 기둥 형상의 공기층과, 공기층 주위에 형성된 액체층을 포함한다. 공기층은 축방향(Dx)을 따라 배출구(56)로부터 연통 구멍(64)을 통해 기액 분리관(71)을 향해 연장된다. 액체층은, 공기층의 외주면을 따라 배출구(56)로부터 기액 분리관(71)을 향하여 이물이 분리된 액체가 상승함으로써 형성된다.
상승 와류가 기액 분리관(71)으로 유입됨으로써, 공기층을 따라 배출구(56)로부터 기액 분리관(71)까지 이물이 분리된 액체가 상승한다. 상승 와류의 표층 부분에 위치하는 액체 층으로부터 기액 분리관(71)의 복수의 구멍(73)을 통과하여 액체가 제 1 저장부(66)로 흐른다. 제 1 저장부(66)로 유입된 액체는 내벽(72)을 넘어 제2 저장부(67)로 흐른다.
기액 분리관(71)으로부터 유입된 액체는, 주로 제1 저류부(66) 및 제2 저류부(67)에 일시적으로 저류된다. 사이클론 본체(11)의 내부에서 이물질이 액체로부터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클린 케이스(60)에 저류된 액체에는 이물질이 거의 포함되어 있지 않다. 제 2 저장 부 (67)에 저장된 액체는 배출구 (65)로부터 배출관 (22)을 통해 액체 회수 탱크로 배출된다.
다음으로, 배출구(56)로부터 배출된 액체에 대하여 설명한다.
배출구(56)로부터 배출된 액체는 이물질을 포함한다. 액체는 하강 와류에 의해 내주면(561)을 따라 침전조(40)로 배출된다. 내주면(561)이 하방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커지기 때문에, 액체는 배출구(56)로부터 반경 방향(Dr)으로 퍼지면서 침전조(40)를 향해 배출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 방향(Dx)에서 단부(13)와 액면(L4) 사이에서, 내주면(311)은 가상면(562)과 교차한다. 가상면(562)은 단부(13)로부터 내주면(311)을 향하여 내주면(561)을 연장한 면이다.
도 4에서는, 배출구(56)로부터 배출되는 액체의 흐름을 화살표로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되는 액체의 일부는 액면(L4)에 도달하기 전에 내주면(311)과 충돌한다. 배출된 액체는 내주면(311)과 충돌하기 때문에, 제1 통부재(31)의 면적보다 넓지 않는다.
내주면(311)과 가상면(562)이 교차한 위치를 위치(P3)로 한다. 분리 장치(1)의 거품제거 구조에 있어서, 단부(13)와 액면(L4) 사이에 위치(P3)가 위치하도록, 제1 통부재(31)의 폭(W1)이 설정되어 있다. 축 방향 (Dx)에서, 위치 (P3)는 단부 (34)로부터 소정의 간격을두고 제공된다. 축방향(Dx)에서의 위치(P3)로부터 단부(34)까지의 거리를 거리(H3)로 한다. 일례로서, 거리 H3은 40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주면(311)과 충돌하면, 액체는 감속된다. 액면(L4)에 도달했을 때의 액체의 유속은, 배출구(56)로부터 배출되었을 때의 액체의 유속보다도 작다. 내주면(311)과 충돌한 액체는 내주면(311) 및 내주면(321)을 따라 액면(L4)으로 흐른다.
내주면(321)은 원추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내주면(321)을 통해 액체를 액면(L4)을 향해 흐르게 할 수 있다. 액체가 내주면(321)을 따라 흐르면, 액체의 유속은 더욱 작아진다.
분리 장치(1)의 거품제거 구조에 있어서,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부재(30)의 일부는 액체에 침지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통부재(32)의 일부는 액체에 침지된다. 축방향(Dx)에서, 제2 통부재(32)에 있어서의 액체에 침지된 영역은, 예를 들면 액체에 잠기지 않은 영역보다도 크다.
개구부(38)의 관점에서 볼 때, 개구부(38)는 액체에 잠겨있다. 개구 가장자리(381)의 전체는 액체에 잠겨 있다. 축방향(Dx)에서, 액면(L4)은 단부(37)보다 상방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통부재(32)의 내부에 형성된 액면 (L4)의 면적은 축 방향 (Dx)의 액면 (L4)의 위치에서의 제 2 통부재(32)의 면적과 동일하다. 축방향(Dx)의 액면(L4)의 위치에 있어서의 제2통부재(32)의 면적을 작게 함으로써, 배출된 액체의 액면(L4)으로의 유입 면적은 작아진다.
다른 관점에서는, 축방향(Dx)의 액면(L4)의 위치에 있어서의 제2 통부재(32)의 면적을 작게 함으로써, 배출된 액체와 액면(L4)이 충돌하는 면적이 작아진다.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제2 통부재(32)의 내부에 형성된 액면(L4)의 면적은 제1 통부재(31)의 면적보다 작다.
도 2에 도시된 예에서, 제2 통부재(32)는 개구부(38)가 컨베이어(42)를 향하도록 제공된다. 다른 관점에서, 개구부(38)는 액체 배출구(414)를 향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부(37)는 액체 배출구(414)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축방향(Dx)에서 바닥부(412)로부터의 거리가 커지도록 기울어진다.
제2 통부재(32)의 단부(37)는 반경 방향(Dr)에 대해 경사지기 때문에, 제2 통부재 (32)는 컨베이어(42)의 스크레이퍼(423)와 간섭하지 않는다. 단부(37)와 컨베이어(42)의 스크레이퍼(423)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컨베이어(42)의 위치에 따라, 중심 축선(CX)에 대한 단부(37)의 각도는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도 7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분리 장치 (1)의 비교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분리 장치(100)는 통부재(30)를 구비하지 않는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구(56)로부터 배출된 액체는 배출구(56)로부터 크게 퍼지고, 액면(L4)을 향해 흐른다. 분리 장치(100)에 있어서의 배출된 액체와 액면(L4)이 충돌하는 면적은, 분리 장치(1)에서의 배출된 액체와 액면(L4)이 충돌하는 면적보다 커진다.
배출구(56)로부터 배출된 액체는, 액면(L4)에 유입할 때에 거품이 발생하기 쉽다. 예를 들면, 배출된 액체가 액면(L4)으로 유입할 때에 공기를 권취함으로써 거품이 발생한다. 배출된 액체와 액면(L4)이 충돌하는 면적이 커지면, 거품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또한, 액체의 유속이 크면, 거품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배출된 액체에는 이물질이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거품에는 이물질이 부착되어 있다. 조 본체(41)에서 거품이 발생하면, 액면(L4)으로부터 배출구(56)의 근방까지 거품이 형성될 뿐만 아니라, 배출구(56)가 거품에 침지하는 경우가 있다. 분리 장치의 가동시에, 배출구(56)의 근방에서는, 상술한 상승 와류의 영향에 의해 배출구(56)로부터 사이클론 본체(11)의 내부를 향하는 흐름이 발생하고 있다.
 그 때문에, 배출구(56)로부터 거품이 흡입되어, 거품이 클린 케이스(6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경우가 있다. 거품에는 이물질이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클린 케이스(60)의 내부로부터 배출관(22)을 통하여 액체 회수 탱크로 이물질이 배출된다.
또한, 거품이 액체 배출구(414)로부터 배출되거나, 거품이 조 본체(41)로부터 오버플로우 함으로써 침전조(40)의 외부로 거품이 배출되는 경우나, 액면(L4)에서 발생한 거품이 컨베이어(42)를 이물 배출구(413)를 통하여 배출됨으로써, 거품이 이물 회수 박스(23)에 모이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분리 장치에 있어서의 거품의 발생은, 액체로부터 이물을 분리하는 분리 정밀도의 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분리 정밀도는 여과 정밀도로 지칭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의 분리 장치(1)는 배출구(56)를 둘러싸고 배출구(56)보다 하방으로 연장되는 통부재(30)를 포함한다. 배출구(56)를 통부재(30)에 의해 둘러싸는 것에 의해, 배출구(56)로부터 배출된 액체가 제1통부재(31)의 내주면(311)에 충돌한다. 이에 의해, 배출된 액체의 반경 방향(Dr)에서의 확산을 억제함과 함께, 배출된 액체를 감속시킬 수 있다.
사이클론(10)과 침전조(40)와 조합하여 사용했을 때에는, 배출된 액체와 액면(L4)이 충돌하는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는 동시에, 감속한 상태에서 액체를 액면(L4)을 향해 흐르는 것이 가능하다..
배출구(56)로부터 통부재(30)를 통하여 침전조(40)로 액체를 배출함으로써, 액체가 액면(L4)에 유입할 때에 있어서의 거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분리 장치(1)이면, 도 7에 도시한 통부재(30)를 구비하지 않는 분리 장치(100)와 비교하여, 액체의 거품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분리 장치(1)는, 사이클론(10), 통부재(30), 침전조(40) 등에 의해, 액체의 거품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거품제거 구조를 구성하고 있다. 즉, 분리 장치(1)의 거품제거 구조이면, 액체에 거품제거제 등을 첨가할 필요가 없고, 액체의 거품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통부재(31)와 제2 부재 (54) 사이에는 원주 방향(θ)의 전체에 걸쳐 간극이 형성되어있다. 다른 관점에서, 제2 부재(54)의 외주면(541)과 제1 통부재(31)의 내주면(311)은 접하지 않는다.
따라서, 통부재(30)의 내부에서 거품이 발생한 경우에도, 분리 장치(1)의 작동 중에, 거품이 제2 통부재(32)의 내주면(321) 및 제1 통부재(31)의 내주면(311)을 통해서, 배출구(56)로부터 사이클론 본체(11)의 내부로 흡입되기 어렵다.
또한, 통부재(30)에 있어서, 축 방향(Dx)의 액면(L4)의 위치에 있어서의 제2 통부재(32)의 면적은, 제1 통부재(31)의 면적보다 작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평면에서 볼 때, 개구부(38)의 면적은 제1 통부재(31)의 면적보다 작다. 제 2 통부재 (32)의 폭 (W2)은 개구부(38)를 향해 서서히 작아진다.
제2통부재(32)의 내부에 형성된 액면(L4)을 제1통부재(31)의 면적보다 작게 함으로써, 배출된 액체와 액면(L4)이 충돌하는 면적을 더욱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액체가 액면 (L4)으로 유입할 때의 거품의 발생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제2통부재(32)를 설치함으로써, 제1통부재(31)의 내주면(311)에 충돌한 액체의 유속을 더욱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액체를 감속한 상태에서 액면(L4)에 흘릴 수 있다. 그 결과, 액체가 액면 (L4)으로 유입할 때의 거품의 발생을 보다 억제 할 수 있다.
개구부(38)를 액체에 담그면, 통부재(30)의 내부에서 거품이 발생하더라도, 거품이 통부재(30)의 외부로 퍼지기 어렵다. 이와 같이, 액체의 거품발생을 억제함으로써 침전조(40)로부터 이물만을 이물 회수 박스(23)로 배출할 수 있고, 분리 장치(1)에 의해 이물을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제1 통부재(31)에는 연통 구멍 (35)이 설치되어있다. 제1 통부재(31)에 연통 구멍 (35)을 설치함으로써, 분리 장치 (1)의 가동시에 제1 통부재(31) 및 제2 통부재(32)의 내부의 압력이 부압이 되기 어렵다.
그 때문에, 분리 장치(1)의 가동시에 있어서, 배출구(56)로부터 거품을 흡입하기 어렵다. 축 방향 Dx에 있어서, 연통 구멍(35)을 배출구(56)보다 상방으로 형성함으로써, 연통 구멍(35)을 액면(L4)으로부터 분리하고, 통부재(30)의 외부에서 거품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라도, 연통 구멍 (35)을 통해 기포가 통부재(30)의 내부로 유입되기 어렵다.
배출구(56)는 액면(L4)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배출구(56)를 액면(L4)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떨어뜨림으로써, 통부재(30)의 내부에서 거품이 발생한 경우라도, 배출구(56)와 거품과의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통부재(30)에 의한 거품제거 효과를 안정적으로 발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리 장치(1)의 가동시에 있어서 배출구(56)로부터 거품을 흡입하기 어려워진다. 배출구(56)로부터 거품을 흡입하기 어려운 구조로 함으로써, 분리 장치(1)에 있어서의 분리 정밀도는 저하되기 어려워진다.
제2 통부재 (32)의 개구부(38)는 액체에 잠겨있다. 이에 의해, 액체 중의 개구부(38)로부터 이물을 조 본체(41)의 저부(412)를 향해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액체 중의 이물의 분산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도 7에 도시한 분리 장치(100)와 비교하여, 침전조(40)에 있어서의 이물의 배출 효과 및 침전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액체의 거품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분리 장치(1)의 거품제거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것 외에도, 본 실시 형태로부터 여러 가지 바람직한 작용을 얻을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 8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분리 장치(1)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IX부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통부재(30)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제2 실시 형태는, 통부재(30) 및 침전조(40)가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침전조(40)는 조 본체(41)와, 방해판(44)을 구비하고 있다. 조 본체(41)에는 액체 배출구(414)가 설치되어 있다. 침전조(40)는 컨베이어(42) 및 구동 기구(43)를 구비하지 않는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부재(30)는 제1 통부재(31)와, 제1 통부재(31)에 연결된 제2 통부재(32)를 포함한다. 제2 실시 예의 제1 통부재(31)는 제1 실시 예의 제1 통부재(31)와 동일한 형상이다.
제2 통부재(32)는 제1 통부재(31)와 동축 상에 위치한다. 제2통부재(32)는 원추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통부재(32)는 축 방향(Dx)에서 제1 통부재(3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다. 제2 통부재(32)는 내주면(321)을 갖는다. 내주면(321)은 내주면(311)과 원주 방향(θ)에 걸쳐 접속되어 있다.
내주면(321)은 내주면(311)과의 접속 위치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원추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반경 방향(Dr)서의 제2 통부재(32)의 폭(W2)은 개구부(38)를 향해 서서히 작아진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면, 개구부(38)의 면적은 제1 통부재(31)의 면적보다 작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2 통부재(32)의 단부(37)는, 반경 방향(Dr)에 평행하다. 다른 관점에서, 제2 통부재(32)의 단부(37)는 중심 축선(CX)에 직교한다. 침전조(40)는 컨베이어(42)를 구비하지 않기 때문에, 제2 통부재(32)의 단부(37)가 스크레이퍼(423)와 간섭하지 않는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통부재(32)의 일부는 액체에 잠겨진다. 축 방향(Dx)에서, 제2 통부재(32)에 있어서의 액체에 침지된 영역은, 예를 들면 액체에 잠기지 않은 영역보다도 크다.
개구부(38)의 관점에서 볼 때, 개구부(38)는 액체에 잠겨있다. 개구 가장자리(381)의 전체는 액체에 잠겨 있다. 축방향(Dx)에서, 액면(L4)은 단부(37)보다 상방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통부재(32)의 내부에 형성된 액면(L4)의 면적은 축 방향(Dx)의 액면(L4)의 위치에서의 제2 통부재(32)의 면적과 동일하다. 축 방향(Dx)의 액면(L4)의 위치에 있어서의 제2통부재(32)의 면적을 작게 함으로써, 배출된 액체의 액면(L4)으로의 유입 면적은 작아진다.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분리 장치(1)의 거품제거 구조의 구성에 있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2 실시형태의 통부재(30)이면, 제2 통부재(32)의 단부(37)가 반경 방향(Dr)에 평행하기 때문에, 배출되는 이물질을 조 본체(41)의 저부(412)를 향하여 배출하기 쉽고, 침전 조(40)에 있어서의 이물의 배출 효과 및 침전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 예의 통부재(30)는 단부 (37)가 반경방향(Dr) 대해 경사지지 않기 때문에, 제1 실시 예의 통부재(30)보다 제작하기 쉽다. 그 결과,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통부재(30)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통부재(30)보다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다.
제1 통부재 (31)의 폭 (W1)은 축 방향 (Dx)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제2 통부재(32)의 폭 (W2)은 축 방향 (Dx)에서 하방을 향함에 따라 단조롭게 작아질 수 있고, 축 방향 (Dx)에서 폭 (W2)이 일정한 부분을 가질 수있다. 제2 통부재(32)는 폭(W2)이 폭(W1)보다 작은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축방향(Dx)의 제1통부재(31)의 길이는, 축방향(Dx)의 제2통부재(32)의 길이보다 짧아도 좋고, 축방향(Dx)의 제2통부재(32)의 길이와 같아도 좋다. 제1 통부재(31)의 길이 및 제2 통부재(32)의 길이는, 액면(L4) 등과의 관계에 있어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제1 통부재(31) 및 제2 통부재(32)의 형상은 중심 축선 (CX)과 직교하는 단면 형상이 원형 이외에 다각형 일수 있다. 분리 장치(1)의 각 부분은, 예를 들어 금속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단, 분리 장치(1)는 수지 등의 비금속 재료로 형성된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1…분리 장치, 10…사이클론, 30…통부재, 31… 제1 통부재, 32… 제2 통부재, 38… 개구부, 40… 침전조, 55… 도입구, 56… 배출구.

Claims (8)

  1. 중심축선을 따라 연장되고, 내부에 이물질을 포함하는 액체를 도입하기 위한 도입구를 포함하는 도입부와,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액체 및 상기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포함하는 드레인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에서 상기 액체를 선회시키는 사이클론과,
    상기 중심축선으로부터 멀어지는 반경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배출구를 둘러싸는 것과 동시에, 상기 사이클론의 연장 방향에서 상기 배출구보다 하방을 향해 연장하는 통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드레인부는, 상기 도입부와 접속된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와 접속되고, 상기 배출구가 설치된 제2 부재와, 상기 제1 부재로부터 상기 제2 부재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연장 방향에서 하방을 향함에 따라 내경이 작아지는 제1 내주면을 갖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제1 내주면과 접속되고, 상기 연장 방향에서 상기 제1 내주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향함에 따라 내경이 커지는 제2 내주면을 갖고,
    상기 통부재는, 상기 배출구를 둘러싸는 제3 내주면과,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이물이 통과하는 개구부를 갖고,
    상기 연장방향을 따라 상기 제2 내주면을 상기 제3 내주면을 향해 연장한 가상면은, 상기 제3 내주면과 교차하고,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상기 액체 및 상기 이물질은 상기 개구부를 통해 하방으로 배출되는 분리 장치의 거품제거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부재는, 상기 제3 내주면을 갖는 제1 통부재와, 상기 제1 통부재에 접속되어 상기 연장 방향으로 하방을 향해 연장하는 제2 통부재를 갖고,
    상기 제2 통부재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1 통부재와 접속된 단부의 반대측의 단부에 설치되고,
    평면에서 보면, 상기 개구부의 면적은 상기 제1 통부재의 면적보다 작은 분리 장치의 거품제거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선을 따르는 단면에 있어서, 상기 반경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2 통부재의 폭은, 상기 개구부를 향해 작아지는 분리 장치의 거품제거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부재는 상기 통부재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연통구멍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통구멍은, 상기 연장 방향으로 상기 배출구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분리 장치의 거품제거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부 및 상기 제1 부재를 둘러싸는 측벽과, 상기 측벽과 접속된 저벽을 갖는 커버를 더 구비하고,
    상기 통부재는 상기 저벽과 연결되는 분리 장치의 거품제거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방향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보다 하방에 설치되고,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액체 및 상기 이물을 저류하기 위한 침전조를 더 구비하는 분리 장치의 거품제거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연장 방향으로 상기 침전조의 액면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가상면과 상기 제3내주면이 교차한 위치는, 상기 연장 방향에 있어서 상기 액면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분리 장치의 거품제거 구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침전조에 저류된 상기 액체에 잠기는 분리 장치의 거품제거 구조.
KR1020237038930A 2022-01-06 2022-09-01 분리 장치의 거품제거 구조 KR202301700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2-000926 2022-01-06
JP2022000926A JP7116386B1 (ja) 2022-01-06 2022-01-06 分離装置
PCT/JP2022/032968 WO2023132100A1 (ja) 2022-01-06 2022-09-01 分離装置の消泡構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0056A true KR20230170056A (ko) 2023-12-18

Family

ID=82786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8930A KR20230170056A (ko) 2022-01-06 2022-09-01 분리 장치의 거품제거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82855A1 (ko)
JP (1) JP7116386B1 (ko)
KR (1) KR20230170056A (ko)
CN (1) CN117412815A (ko)
TW (1) TW202327711A (ko)
WO (1) WO202313210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0665A (ja) 2006-06-21 2008-01-10 Noritake Co Ltd 発泡抑制型液体サイクロン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67429C (ko) * 1948-03-25
FI43305C (fi) * 1962-12-20 1971-03-10 Bauer Bros Co Hydrosykloni
JPS4124458Y1 (ko) * 1963-09-04 1966-12-12
US3331193A (en) * 1964-03-23 1967-07-18 Bauer Bros Co Cyclonic separator
JP4215489B2 (ja) * 2001-11-27 2009-01-28 株式会社industria 遠心分離装置
JP2006130489A (ja) * 2004-11-04 2006-05-25 Cnk:Kk サイクロン装置
JP2008307442A (ja) * 2007-06-13 2008-12-25 Nksyst Co Ltd 汚れのないクリーン液を取得可能としたスラッジ濾過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5897349B2 (ja) * 2011-03-01 2016-03-30 株式会社東芝 固液分離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0665A (ja) 2006-06-21 2008-01-10 Noritake Co Ltd 発泡抑制型液体サイクロ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100348A (ja) 2023-07-19
US20240082855A1 (en) 2024-03-14
WO2023132100A1 (ja) 2023-07-13
CN117412815A (zh) 2024-01-16
JP7116386B1 (ja) 2022-08-10
TW202327711A (zh) 2023-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7926B1 (ko) 사이클론형 이물질 분리 장치
JP4518001B2 (ja) 分離方法および分離装置
JP7256644B2 (ja) 廃液処理装置
JP5074689B2 (ja) ノズル
JP2003144804A (ja) 油水分離装置
WO2015037722A1 (ja) 浮上油吸引装置及び分離槽
KR20230170056A (ko) 분리 장치의 거품제거 구조
JP7068036B2 (ja) 気液分離機構
WO2023286419A1 (ja) サイクロン型異物分離装置
JP4714091B2 (ja) 発泡抑制型液体サイクロン
JP4714055B2 (ja) 遠心分離機
JP2010104975A (ja) 浮遊物・表層液の回収装置
KR20230156143A (ko) 분리장치
KR20190051404A (ko) 유수 분리기
JP6557759B1 (ja) クーラント循環装置
JP2008161808A (ja) サイクロン形異物分離装置
JP2009172453A (ja) 浮上物除去装置
JP2023076933A (ja) バキューム装置および加工装置
JP6206708B2 (ja) クーラント清浄装置
KR101504135B1 (ko) 오일 불순물 여과장치
KR102286145B1 (ko) 상부투입방식의 원심분리기
KR101534408B1 (ko) 절삭유 정제장치
JP7052211B2 (ja) 汚液受取装置及び汚液受取方法
JP2010240508A (ja) サイクロン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