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4676A - 소성 연필심 - Google Patents

소성 연필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4676A
KR20230164676A KR1020237033337A KR20237033337A KR20230164676A KR 20230164676 A KR20230164676 A KR 20230164676A KR 1020237033337 A KR1020237033337 A KR 1020237033337A KR 20237033337 A KR20237033337 A KR 20237033337A KR 20230164676 A KR20230164676 A KR 20230164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ther
pencil lead
modified silicone
fired pencil
organic b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3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츠야 다나카
하지메 사카타
다카히로 미우라
유타 무라야마
모에 다케나카
Original Assignee
펜텔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펜텔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펜텔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64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4676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00Pencil-leads; Crayon compositions; Chalk com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19/00Non-propelling pencils; Styles; Crayons; Chalks
    • B43K19/02Pencils with graphite; Coloured penc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19/00Non-propelling pencils; Styles; Crayons; Chalks
    • B43K19/16Making non-propelling pencils
    • B43K19/18Making pencil writing-co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소성 연필심은 체질재와 유기 결합재와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소성하여 얻어진다.

Description

소성 연필심
본 개시는 체질재와 유기 결합재를 적어도 함유하는 소성 연필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소성(燒成) 연필심으로서는, 흑연이나 질화붕소 등의 체질재(體質材), 염화비닐 수지, 염화비닐리덴 수지, 아세트산비닐 수지, 염소화폴리에틸렌, 폴리비닐알코올, 아크릴아미드 수지, 염소화파라핀 수지, 페놀 수지, 푸란 수지, 요소 수지, 부틸 고무 등의 유기 결합재, 벤토나이트, 카올린 클레이 등의 점토질 결합재, 프탈산에스테르 등의 가소제, 메틸에틸케톤, 물 등의 용제, 스테아르산염 등의 안정제, 스테아르산 등의 활제, 카본 블랙 등의 충전제 등의 재료를 혼합, 분산, 혼련하고, 세선형으로 압출 성형한 것을 소성 온도까지 열처리하여 얻어진 열처리 후의 심체(芯體)에, 실리콘 오일, 유동 파라핀, 스핀들유, 스쿠알란, α-올레핀 올리고머 등의 유상물(油狀物)이나 왁스류를 함침시킨 소성 연필심이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소성 연필심의 굽힘 강도와 필기선(筆記線)의 농도에는 역상관 관계가 있어, 굽힘 강도를 향상시키고자 하면 소성 연필심이 마모되기 어렵게 되고, 그 결과로서 필기선의 농도가 저하해 버린다. 반대로 필기선의 농도를 향상시키고자 하고 마모되기 쉬운 소성 연필심으로 하면 굽힘 강도가 저하해 버리는 관계가 있다. 그래서, 이 역상관 관계를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소성 연필심의 특성을 향상시키는 재료의 일례로서, 하기 특허문헌에 나와 있는 것과 같이, 체질재와 유기 결합재에 규소 화합물을 첨가하여 소성 온도에서 열처리함으로써, 필기선의 농도를 유지한 다음에 굽힘 강도의 향상이나 외관 불량의 억제와 같은 효과를 보이는 소성 연필심이나 그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소성 연필심의 성능으로서 매끄러운 필기감을 얻기 위해서, 열처리 후의 심체의 기공 내에 윤활 성분을 함침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소성 연필심의 배합 재료로서 규소의 산화물 및/또는 규소의 유기 화합물을 이용하여 특정 온도와 분위기 하에서 소성 처리함으로써, 굽힘 강도가 높은 소성 연필심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소성 연필심의 배합 재료로서 소수성 무정형 실리카를 이용함으로써, 외관 불량을 일으키는 일 없이 굽힘 강도와 필기선 농도의 밸런스가 우수한 소성 연필심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소성 연필심의 배합 재료로서 실세스퀴옥산을 이용함으로써, 소성 연필심에 외관 불량을 일으키는 일 없이 특허문헌 2보다 굽힘 강도가 높고 진한 필적을 보이는 소성 연필심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4에는, 소성 연필심의 배합 재료로서가 아니라 열처리 후의 심체에 함침하는 유상물 내에 분산시킨 카본 나노 입자나 규소의 산화물 세라믹 나노 입자가 필기 시에 베어링 효과를 발휘함으로써 매끄러운 필기감을 보이는 소성 연필심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소화63-35672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 2004-175900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공개 2011-68796호 공보 특허문헌 4: 국제공개 WO2010/123070호 공보
일반적으로 소성 연필심은 굽힘 강도를 향상시키면 걸림이 있는 필기감으로 되어 버리는 것이다. 이것은, 수지 탄화물에 의해 체질재와 체질재를 접착하는 것이 굽힘 강도를 향상시키는 요인의 하나이며, 이 수지 탄화물은, 유기 결합재를 소성 온도에서 열처리함으로써 형성되지만, 열처리 시에 팽창과 수축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유기물의 분해·휘발로 인한 팽창이나 축합이 불규칙하게 일어나, 심체 전체가 복잡하게 체적 수축한다. 그 결과, 수지 탄화물의 표면은 요철 형상으로 되어, 요철 형상의 수지 탄화물과 체질재의 접착이 치밀하며 응집되어 있는 부분과, 공극이 큰 불균일한 부분이 발생해 버린다. 그 때문에, 이 수지 탄화물의 요철이나 응집부가 필기 시에 걸림을 생기게 하여, 매끄러운 필기감을 해치는 요인으로 되고 있었다. 규소 화합물을 첨가함으로써 굽힘 강도와 필기선의 농도를 양립시키는 발명은 개시되어 왔지만, 종래 알려진 규소 화합물의 효과는, 규소 화합물 자체를, 굽힘 강도의 보강제로서의 효과를 얻기 위한 것이고, 수지 탄화물에 작용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굽힘 강도와 필기선의 농도가 향상되면 필기감이 저하해 버린다는 과제는 해결되지 않았다.
특허문헌 1에 나와 있는 규소 산화물 및/또는 규소의 유기 화합물은, 유기 결합재와의 친화성이 없고, 수지 탄화물과는 독립적으로 체질재와 체질재를 결부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인데, 소성 온도에서 열처리하면 심체의 강도는 향상되지만, 분산이 균일하게 되기 어려우며, 체질재와의 접착 부분이 조밀(粗密)하기 때문에 굽힘 강도 향상도 불충분하고, 또한 걸림이 있는 필기감이었다.
특허문헌 2, 특허문헌 3은, 유기 결합재에 대하여 분산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표면 처리나 분자 구조를 갖는 규소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필기선의 농도를 유지하고, 굽힘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개시되어 있지만, 굽힘 강도가 향상됨에 따라 필기감은 나빠져, 걸림이 없는 매끄러운 필기감을 얻을 수 없었다.
특허문헌 4에 나와 있는, 나노 입자를 분산시킨 유상물을 함침시키는 방법에서는, 열처리 후의 심체에 존재하는 함침에 유효한 기공이 나노 입자에 의해서 기공의 개구부가 막혀, 함침에 유효한 기공의 수가 감소해 버린다. 그 때문에, 함침한 유상물이 소성 연필심에 유지되는 양이 감소하여, 윤활제로서의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어, 매끄러운 필기감을 해치고 있었다.
상술한 사정에 감안하여,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형태는, 굽힘 강도의 향상과 필기선 농도의 유지를 양립할 수 있으면서 또한 매끄러운 필기감을 갖는 소성 연필심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형태에 따른 소성 연필심은, 체질재와 유기 결합재와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소성하여 얻어진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소성 연필심은, 체질재와 유기 결합재와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을 적어도 배합하고, 혼련, 압출 성형한 후, 소성 온도까지 열처리하여 얻어진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혼합물 내 상기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의 함유량이 상기 혼합물 내 상기 유기 결합재의 함유량에 대하여 0.5 중량% 이상 3 중량% 이하이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이, 분기된 실리콘 사슬을 주사슬로 하는 분자 구조를 갖는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이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의 25℃에서의 동점도(動粘度)가 100 ㎟/s 이상 10000 ㎟/s 이하이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형태에 따른 소성 연필심의 제조 방법은,
적어도 체질재와 유기 결합재와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단계와,
상기 혼합물을 성형하여 성형체를 얻는 단계와,
상기 성형체를 소성하여 소성 연필심을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굽힘 강도의 향상과 필기선 농도의 유지를 양립할 수 있으면서 또한 매끄러운 필기감을 갖는 소성 연필심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몇 가지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단,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를 이것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며, 단순한 설명예에 지나지 않는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 따른 소성 연필심은, 체질재와 유기 결합재와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소성하여 얻어진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소성 연필심은, 체질재와 유기 결합재와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혼련하고, 압출 성형하여 얻어진 성형체를 소성 온도까지 열처리하여 얻어진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 따른 소성 연필심의 제조 방법은, 적어도 체질재와 유기 결합재와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단계와, 상기 혼합물을 성형하여 성형체를 얻는 단계와, 상기 성형체를 소성하여 소성 연필심을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은, 디메틸폴리실록산의 메틸기의 일부가 적어도 폴리옥시알킬렌기로 치환된 화합물이며, 그 폴리옥시알킬렌기는 유기 결합재에의 친화성을 보이기 때문에, 혼합 또는 혼련 시에 유기 결합재와 그 밖의 배합 재료의 계면에 있어서,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이 유기 결합재에 흡착한 흡착층을 형성한다. 그 후, 열처리(소성)에 의해,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흡착층의 실록산 결합부는 수지 탄화물의 피막으로서 규소의 산화물이나 탄화물 등의 화합물로 된다고 고려된다. 피막이 형성된 수지 탄화물은, 피막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고강도로 되기 때문에 굽힘 강도가 향상된다. 또한, 규소의 산화물이나 탄화물 등의 화합물은 열팽창율이 낮기 때문에, 유기 결합재의 팽창이나 수축으로 인한 표면의 요철 형상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어, 평활한 표면으로 되기 쉽다. 이 때문에, 매끄러운 필기감이 얻어지고, 체질재에의 수지 탄화물의 접착 면적이 피막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작아지기 때문에, 필기 시의 마모를 방해하지 않는다.
따라서, 굽힘 강도의 향상과 필기선 농도의 유지를 양립하며 또한 필기 시의 마찰이 저하하기 때문에, 걸림이 저감된 매끄러운 필기감의 소성 연필심을 얻을 수 있다.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분류의 대표예로서는, 주사슬이 되는 실리콘 사슬의 곁사슬에 폴리옥시알킬렌기가 도입된 곁사슬형과, 실리콘 사슬의 편말단에 폴리옥시알킬렌기가 도입된 편말단형, 실리콘 사슬의 양말단에 폴리옥시알킬렌기가 도입된 양말단형, 그리고 주사슬의 구성이 실리콘 사슬과 폴리옥시알킬렌기의 교대 공중합을 포함하는 (AB)n형이 존재한다. 또한, 곁사슬형은 주사슬의 분자 구조에 따라 직쇄형과 분기형으로 분류된다. 또한, 폴리옥시알킬렌기로서는, 적어도 폴리옥시에틸렌기 및/또는 폴리옥시프로필렌기를 포함하는 것이 굽힘 강도도 높고 필기 저항치도 작아져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의 25℃에서의 동점도는, 100 ㎟/s 이상 10000 ㎟/s 이하이면, 혼련 시에 있어서 유기 결합재에의 분산이 용이하게 되어 균일성이 향상되고, 또한 열처리 시에는 저점도화로 인한 유기 결합재로부터의 탈리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동점도는 500 ㎟/s 이상 4500 ㎟/s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혼합물 내에서의 유기 결합재의 함유량에 대한, 혼합물 내에서의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의 함유량 비율은 0.5 중량% 이상 3 중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술한 비율이 0.5 중량% 이상 3 중량% 이하이면, 피막을 형성하기 위해서 충분한 함유량으로 되면서 또한 필기 시에 소성 연필심이 마모되기 쉬운 적절한 피막의 두께로 되어, 굽힘 강도와 필기선 농도의 밸런스가 우수한 소성 연필심을 얻을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비율은 0.8 중량% 이상 2 중량% 이하이다.
양말단형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으로서는, 신에츠가가쿠고교(주) 제조의 X-22-4952(25℃에서의 동점도: 100 ㎟/s), X-22-4272(25℃에서의 동점도: 270 ㎟/s), KF-6123(25℃에서의 동점도: 420 ㎟/s), KF-6004(상온에서는 고체)를 들 수 있다.
(AB)n형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으로서는, 다우·도레이(주) 제조의 DOWSIL FZ-2203(25℃에서의 동점도: 4100 ㎟/s)이나 DOWSIL FZ-2222(25℃에서의 동점도: 20000 ㎟/s), DOWSIL FZ-2233(25℃에서의 동점도: 5000 ㎟/s), 모멘티브 퍼포먼스 머터리얼즈 재팬 합동회사 제조의 Silsoft860(25℃에서의 동점도: 170 ㎟/s), Silsoft870(25℃에서의 동점도: 220 ㎟/s), Silsoft900(25℃에서의 동점도: 250 ㎟/s)을 들 수 있다.
직쇄형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으로서는, 신에츠가가쿠고교(주) 제조의 KF-351A(25℃에서의 동점도: 70 ㎟/s), KF-352A(25℃에서의 동점도: 1600 ㎟/s), KF-353(25℃에서의 동점도: 430 ㎟/s), KF-354L(25℃에서의 동점도: 200 ㎟/s), KF-355A(25℃에서의 동점도: 150 ㎟/s), KF-615A(25℃에서의 동점도: 920 ㎟/s), KF-945(25℃에서의 동점도: 130 ㎟/s), KF-640(25℃에서의 동점도: 20 ㎟/s), KF-642(25℃에서의 동점도: 50 ㎟/s), KF-643(25℃에서의 동점도: 19 ㎟/s), KF-644(25℃에서의 동점도: 38 ㎟/s), KF-6020(25℃에서의 동점도: 180 ㎟/s), KF-6204(25℃에서의 동점도: 70 ㎟/s), X-22-4515(25℃에서의 동점도: 4000 ㎟/s), KF-6011(25℃에서의 동점도: 130 ㎟/s), KF-6011P(25℃에서의 동점도: 140 ㎟/s), KF-6012(25℃에서의 동점도: 1600 ㎟/s), KF-6015(25℃에서의 동점도: 150 ㎟/s), KF-6017(25℃에서의 동점도: 600 ㎟/s), KF-6017P(25℃에서의 동점도: 850 ㎟/s), KF-6043(25℃에서의 동점도: 400 ㎟/s), KF-6048(알킬기와의 공변성(共變性), 25℃에서의 동점도: 2700 ㎟/s), X-22-2516(알킬기 및 아랄킬기와의 공변성, 25℃에서의 동점도: 70 ㎟/s), X-22-3939A(아미노기와의 공변성, 25℃에서의 동점도: 3300 ㎟/s), X-22-4741(에폭시기와의 공변성, 25℃에서의 동점도: 350 ㎟/s), KF-1002(에폭시기와의 공변성, 25℃에서의 동점도: 4500 ㎟/s)나, 다우·도레이(주) 제조의 DOWSIL ES-5612 Formulation Aid(25℃에서의 동점도: 1000 ㎟/s), DOWSIL BY25-337(25℃에서의 동점도: 3000 ㎟/s), DOWSIL BY22-008M(25℃에서의 동점도: 2500 ㎟/s), DOWSIL ES-5373 Formulation Aid(25℃에서의 동점도: 660 ㎟/s), DOWSIL FZ-2123(25℃에서의 동점도: 90 ㎟/s), DOWSIL SS-2804(25℃에서의 동점도: 390 ㎟/s), DOWSIL SH3771 M Fluid(25℃에서의 동점도: 300 ㎟/s), DOWSIL 5200 Formulation Aid(알킬기와의 공변성, 25℃에서의 동점도: 2000 ㎟/s), 모멘티브 퍼포먼스 머터리얼즈 재팬 합동회사 제조의 TSF4440(25℃에서의 동점도: 160 ㎟/s), SF1188A(25℃에서의 동점도: 1100 ㎟/s), SF1288(25℃에서의 동점도: 400 ㎟/s), Silsoft840(25℃에서의 동점도: 420 ㎟/s), Silsoft875(25℃에서의 동점도: 400 ㎟/s), Silsoft880(25℃에서의 동점도: 600 ㎟/s)을 들 수 있다.
분기형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으로서는, 신에츠가가쿠고교(주) 제조의 KF-6028(25℃에서의 동점도: 900 ㎟/s)이나 KF-6028P(25℃에서의 동점도: 900 ㎟/s), KF-6038(알킬기와의 공변성, 25℃에서의 동점도: 700 ㎟/s)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분기형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특히 KF-6028 또는 KF-6028P가 바람직하다. 분기형이면,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끼리의 분자간 상호 작용이 약해짐으로써, 혼련 시에 있어서의 균일성을 얻기 쉽고, 평활성이 높은 피막을 형성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필기 시에 걸림을 생기게 하는 일 없이, 종래의 소성 연필심보다 필기 시의 마찰이 크게 저하한, 매끄러운 필기감을 보이는 소성 연필심을 얻을 수 있다.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도 좋다. 또한, 다른 실리콘 화합물과 병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디메틸폴리실록산이나 폴리글리세린 변성 실리콘, 아미노 변성 실리콘, 메틸페닐 변성 실리콘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체질재로서는 흑연이나 질화붕소, 운모, 탈크 등을 들 수 있다. 흑연으로서는 천연 흑연과 인조 흑연의 어느 흑연이나 이용할 수 있지만, 결정이 발달하고, 벽개성이 양호한 천연 흑연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천연 흑연 중 인편상 흑연을 이용하는 것이다. 인편상 흑연은 결정이 발달하고, 그 발달한 결정이 적층하여 높은 어스펙트비와 평활한 표면을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인편상 흑연은 압출 성형으로 세선형으로 심을 성형할 때에 압출 방향으로 배향하여 심의 굽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그 우수한 벽개성에 의해, 매끄러운 필기감과 높은 필기선의 농도를 얻을 수 있다. 인편상 흑연의 시판 제품으로서는 (주)츄에쓰고쿠엔고교쇼 제조의 BF 시리즈, CPB 시리즈, SC 시리즈, 후지고쿠엔고교(주) 제조의 FT 시리즈, MF 시리즈 등을 들 수 있다. 질화붕소로서는 육방정계의 질화붕소(h-BN)를 들 수 있다. 붕소 원자와 질소 원자가 교대로 정육각형의 정점을 담당하여 완성되는 결정이 발달해 있고, 그 결정이 몇 층에나 겹쳐 쌓여 육방정계의 질화붕소(h-BN)의 1 입자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육방정계 질화붕소(h-BN)의 입자는 흑연과 마찬가지로 판상 형상을 하고 있다. 또한, 그 층간은 약한 반데르발스힘으로 결부되어 있으므로, 육방정계 질화붕소(h-BN)는 윤활성이 풍부하다. 이러한 성질 때문에, 육방정계 질화붕소(h-BN)는 흑연과 마찬가지로 소성 연필심의 재료로서 적합하며, 육방정계 질화붕소(h-BN)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소성 연필심은 높은 굽힘 강도와 필기선의 농도를 갖추는 것으로 된다. 시판 제품으로서는, 덴카(주) 제조의 덴카보론나이트라이드 SGP, 덴카보론나이트라이드 GP, 덴카보론나이트라이드 HGP, 덴카보론나이트라이드 SP-2나, 미즈시마고긴테츠(주) 제조의 SHP-3, SHP-5, SHP-7, HP-1, HP-2, HP-4W, HP-6, HP-60, HP-P1, FS-1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결합재로서는,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염소화폴리염화비닐, 염소화폴리에틸렌, 염소화파라핀, 푸란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스티렌, 폴리메타크릴산메틸, 요소 수지, 멜라민 수지, 폴리에스테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아크릴아미드, 부틸 고무 등 합성수지나, 리그닌, 셀룰로오스, 트래거캔스검, 아라비아검 등의 천연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유기 결합재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도 좋다. 특히 폴리염화비닐 등의 열가소성 수지는 가공성이 풍부하며 저렴하면서 또한 공급도 안정적이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폴리염화비닐로서는, 다이요우엔비(주) 제조의 TH 시리즈, TU 시리즈, TE 시리즈, TG 시리즈, (주)가네카 제조의 가네비닐 S 시리즈, 가네비닐 KS 시리즈, 가네비닐 K 시리즈, 가네비닐 M 시리즈, 가네비닐 HM 시리즈, 도소(주) 제조의 류론페이스트, 신다이이치엔비(주) 제조의 ZEST 시리즈를 들 수 있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소성 연필심은, 체질재, 유기 결합재 및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에 더하여, 점토질 결합재 등의 다른 재료 및/또는 각종 첨가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소성하여 얻어지는 것이라도 좋다.
점토질 결합재로서는 벤토나이트나 카올린 클레이 등을 들 수 있다. 가소제로서는, 프탈산디옥틸(DOP), 프탈산디부틸(DBP), 디옥틸아디페이트, 디알릴이소프탈레이트, 트리크레딜포스페이트, 아디프산디옥틸 등을 들 수 있다. 용제로서는, 메틸에틸케톤, 아세톤 등의 케톤류나, 에탄올 등의 알코올류, 물 등을 들 수 있다. 안정제로서는, 스테아르산염, 유기 주석류, 바륨-아연류, 칼슘-아연류 등을 들 수 있다. 활제로서는, 스테아르산, 베헤닌산 등 지방산류나, 지방산 아마이드류 등을 들 수 있다. 충전제로서는, 철, 알루미늄, 티탄, 아연 등의 금속이나 그 합금, 또한 이들 금속이나 합금의 산화물이나 질화물, 이산화규소(실리카)나 실세스퀴옥산 등의 규소 산화물, 카본 블랙, 풀러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충전제는, 구형, 무정형의 입상(粒狀), 침상, 섬유상, 판상 등의 형상인 것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도 좋다. 이 중에서도 판상 입자는, 압출 성형 시에, 흑연과 마찬가지로 압출 방향으로 배향하여 심체 내에 배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예컨대 판상 실리카나 판상 알루미나 등을 들 수 있다. 판상 실리카로서는, 버미큘라이트를 팽적(膨積) 처리한 후, 산 처리하여, 수세, 건조, 분쇄, 분급함으로써 얻어지는 비정질 벽개성 판상 실리카를 들 수 있다. 버미큘라이트는 버미큘라이트군 점토 광물 혹은 운모군 점토 광물로 분류되는 가수(加水) 운모를 주성분으로 하는 광물이며, 질석(蛭石)이라고도 불리고 있다. 버미큘라이트의 화학적 조성은 산지 등에 따라 다르기도 하지만, 대표적인 조성은 이하와 같다.
SiO2 35~45 중량%
Al2O3 10~20 중량%
MgO3 7~30 중량%
Fe2O3 5~22 중량%
CaO 0~3 중량%
Na2O 0~1 중량%
K2O 0~10 중량%
Fe 이외의 중금속 함유량(Pb, Cr, Cd 등) 0.2 중량% 이하
작열 원료(1050℃) 3~25 중량%
버미큘라이트를 황산, 염산, 질산 등으로 처리함으로써, MgO3이나 Fe2O3 등의 유색 성분이 제거되고, 버미큘라이트의 층 구조를 유지한 판상 실리카(비정질 벽개성 판상 실리카)로 된다. 이 판상 실리카(비정질 벽개성 판상 실리카)의 층간은 수산기에 의한 수소 결합에 의해 이어져 있기 때문에, 판상 실리카에 가벼운 전단력을 거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벽개시킬 수 있다. 또한, 1100℃까지 열처리하더라도 판상 실리카(비정질 벽개성 판상 실리카)의 층 구조는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소성 연필심에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시판 제품으로서는 미즈사와가가쿠고교(주) 제조의 실리프를 들 수 있다. 판상 알루미나로서는 α-Al2O3, γ-Al2O3, θ-Al2O3 등을 들 수 있다. 판상 알루미나의 입자 표면은 평활하기 때문에, 입자 사이의 윤활성이 좋고, 필기선의 농도와 필기감을 쉽게 해치지 않는다. 시판 제품으로서는, 긴세이마테크(주) 제조의 세라프 FYA00610, FYA02025, FYA10030이나 가와이셋카이고교(주) 제조의 세라슐 BMM 시리즈를 들 수 있다. 또한, 실세스퀴옥산은, 조성식으로는 [R(SiO1.5)n]으로 표시되고, 단위 조성 중에 1.5개(=sesqui)의 산소를 갖는 실록산이라는 의미에서 [sil-sesqui-oxane]라고 불리고 있다. 실세스퀴옥산으로서는, 도쿄가세이고교(주) 제조의 옥타키스(디메틸실릴옥시)옥타실세스퀴옥산(R:OSi(CH3)2H)이나 옥타비닐옥타실세스퀴옥산(R:CH3-CH=CH2)이나 그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가지 실시형태에 따른 소성 연필심은, 체질재와 유기 결합재와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소성하여 얻어진다. 여기서, 「소성 연필심」은 「소성」이라는 열처리를 거쳐 얻어지는 것인 바, 일반적으로 합성수지나 천연수지 등의 유기물(유기 결합재)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소성 온도에까지 열처리하면, 수지 분자가 흑연 등의 체질재와 복잡하게 얽힌 상태에서 유기물의 분해나 축합이 불규칙하게 일어나, 심체 전체적으로 복잡하게 체적 수축하기 때문에, 열처리 후의 심체의 골격 구조는 미세한 부분에서 매우 복잡한 것으로 되고, 열처리 후의 개개의 조성물의 결합 정도나 크기 등도 다양하여, 상기 효과와의 관련이 우위가 되는 체계화된 측정, 해석을 행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은 횟수의 실험 등을 행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그것을 그 구조 또는 특성에 의해 직접 특정하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또는 대체로 비실제적인 사정이 존재한다고 고려된다.
열처리 후의 심체의 기공에 함침시키는 오일에는 종래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유동 파라핀이나 α-올레핀 올리고머, 스쿠알란, 스핀들유, 실리콘 오일, 지방산 에스테르, 피마자유 등의 유상물이나, 파라핀 왁스나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카르나우바 왁스 등의 왁스류를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동점도의 측정에는, 라우다 제조의 자동 동점도 측정 장치 PVS VAS나 시바타카가쿠(주) 제조의 캐논 펜스케 우벨로데 등을 이용할 수 있지만, 절대 점도를 밀도(비중)로 나눔으로써 산출하여도 좋다.
<실시예 1>
KF-6028(분기형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0.45 중량부
인편상 흑연(체질재: 체적 평균 직경 15 ㎛) 45 중량부
폴리염화비닐(유기 결합재) 30 중량부
프탈산디옥틸(가소제) 20 중량부
메틸에틸케톤(용제) 15 중량부
스테아르산염(안정제) 1.5 중량부
스테아르산(활제) 0.5 중량부
카본 블랙(충전제) 1 중량부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의 첨가량이 유기 결합재의 첨가량에 대하여 1.5 중량%이다. 즉, 상술한 재료의 혼합물 내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함유량의 유기 결합재 함유량에 대한 비율이 1.5 중량%이다.
상기한 배합 재료를 헨셀믹서에 의한 분산 혼합 처리, 3본(本) 롤밀에 의한 혼련 처리를 한 후, 단축 압출기로 세선형으로 압출 성형하고, 공기 중에서 실온에서부터 350℃까지 약 10시간 걸쳐 승온하여, 350℃에서 약 1시간 유지하는 가열 처리를 실시하고, 또한 밀폐 용기 내에서 1100℃를 최고로 하는 소성 처리를 실시하여, 공칭 직경 0.5의 열처리 후의 심체를 얻었다. 이 열처리 후의 심체를 온도 100℃로 가열한 유동 파라핀 내에 10시간 침지한 후, 표면 상의 불필요한 성분을 제거함으로써 소성 연필심을 얻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KF-6028의 배합량을 0.45 중량부에서 0.06 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소성 연필심을 얻었다.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의 첨가량이 유기 결합재의 첨가량에 대하여 0.2 중량%이다. 즉, 상술한 재료의 혼합물 내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함유량의 유기 결합재 함유량에 대한 비율이 0.2 중량%이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 KF-6028의 배합량을 0.45 중량부에서 0.15 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소성 연필심을 얻었다.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의 첨가량이 유기 결합재의 첨가량에 대하여 0.5 중량%이다. 즉, 상술한 재료의 혼합물 내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함유량의 유기 결합재 함유량에 대한 비율이 0.5 중량%이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 있어서, KF-6028의 배합량을 0.45 중량부에서 0.24 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소성 연필심을 얻었다.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의 첨가량이 유기 결합재의 첨가량에 대하여 0.8 중량%이다. 즉, 상술한 재료의 혼합물 내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함유량의 유기 결합재 함유량에 대한 비율이 0.8 중량%이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 있어서, KF-6028의 배합량을 0.45 중량부에서 0.9 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소성 연필심을 얻었다.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의 첨가량이 유기 결합재의 첨가량에 대하여 3 중량%이다. 즉, 상술한 재료의 혼합물 내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함유량의 유기 결합재 함유량에 대한 비율이 3 중량%이다.
<실시예 6>
실시예 1에 있어서, KF-6028의 배합량을 0.45 중량부에서 1.2 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소성 연필심을 얻었다.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의 첨가량이 유기 결합재의 첨가량에 대하여 4 중량%이다. 즉, 상술한 재료의 혼합물 내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함유량의 유기 결합재 함유량에 대한 비율이 4 중량%이다.
<실시예 7>
실시예 1에 있어서, KF-6028을 KF-6017(직쇄형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소성 연필심을 얻었다.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의 첨가량이 유기 결합재의 첨가량에 대하여 1.5 중량%이다. 즉, 상술한 재료의 혼합물 내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함유량의 유기 결합재 함유량에 대한 비율이 1.5 중량%이다.
<실시예 8>
실시예 1에 있어서, KF-6028을 KF-6038(분기형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알킬기와의 공변성)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소성 연필심을 얻었다.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의 첨가량이 유기 결합재의 첨가량에 대하여 1.5 중량%이다. 즉, 상술한 재료의 혼합물 내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함유량의 유기 결합재 함유량에 대한 비율이 1.5 중량%이다.
<실시예 9>
실시예 1에 있어서, KF-6028을 KF-6048(직쇄형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알킬기와의 공변성)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소성 연필심을 얻었다.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의 첨가량이 유기 결합재의 첨가량에 대하여 1.5 중량%이다. 즉, 상술한 재료의 혼합물 내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함유량의 유기 결합재 함유량에 대한 비율이 1.5 중량%이다.
<실시예 10>
실시예 1에 있어서, KF-6028을 FZ-2203((AB)n형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소성 연필심을 얻었다.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의 첨가량이 유기 결합재의 첨가량에 대하여 1.5 중량%이다. 즉, 상술한 재료의 혼합물 내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함유량의 유기 결합재 함유량에 대한 비율이 1.5 중량%이다.
<실시예 11>
실시예 1에 있어서, KF-6028을 FZ-2123(직쇄형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소성 연필심을 얻었다.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의 첨가량이 유기 결합재의 첨가량에 대하여 1.5 중량%이다. 즉, 상술한 재료의 혼합물 내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함유량의 유기 결합재 함유량에 대한 비율이 1.5 중량%이다.
<실시예 12>
실시예 1에 있어서, KF-6028을 FZ-2222((AB)n형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소성 연필심을 얻었다.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의 첨가량이 유기 결합재의 첨가량에 대하여 1.5 중량%이다. 즉, 상술한 재료의 혼합물 내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함유량의 유기 결합재 함유량에 대한 비율이 1.5 중량%이다.
<실시예 13>
실시예 1에 있어서, KF-6028을 Silsoft900((AB)n형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소성 연필심을 얻었다.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의 첨가량이 유기 결합재의 첨가량에 대하여 1.5 중량%이다. 즉, 상술한 재료의 혼합물 내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함유량의 유기 결합재 함유량에 대한 비율이 1.5 중량%이다.
<실시예 14>
실시예 1에 있어서, KF-6028을 FZ-2233((AB)n형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소성 연필심을 얻었다.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의 첨가량이 유기 결합재의 첨가량에 대하여 1.5 중량%이다. 즉, 상술한 재료의 혼합물 내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함유량의 유기 결합재 함유량에 대한 비율이 1.5 중량%이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 있어서, KF-6028을 KF-96-1,000cs(디메틸폴리실록산, 25℃에서의 동점도: 1000 ㎟/s, 신에츠가가쿠고교(주) 제조)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소성 연필심을 얻었다.
디메틸폴리실록산의 첨가량이 유기 결합재의 첨가량에 대하여 1.5 중량%이다. 즉, 상술한 재료의 혼합물 내 규소 화합물 함유량의 유기 결합재 함유량에 대한 비율이 1.5 중량%이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KF-6028을 에어로질 R972(소수성 무정형 실리카(표면기: (CH3)2), 니혼 에어로질(주) 제조)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소성 연필심을 얻었다.
에어로질 R972의 첨가량이 유기 결합재의 첨가량에 대하여 1.5 중량%이다. 즉, 상술한 재료의 혼합물 내 규소 화합물 함유량의 유기 결합재 함유량에 대한 비율이 1.5 중량%이다.
<비교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 KF-6028을 에어로질 R202(소수성 무정형 실리카(실리콘 오일로 표면 처리한 것), 니혼에어로질(주) 제조)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소성 연필심을 얻었다.
에어로질 R202의 첨가량이 유기 결합재의 첨가량에 대하여 1.5 중량%이다. 즉, 상술한 재료의 혼합물 내 규소 화합물 함유량의 유기 결합재 함유량에 대한 비율이 1.5 중량%이다.
<비교예 4>
실시예 1에 있어서, KF-6028을 옥타키스(디메틸실릴옥시)옥타실세스퀴옥산(도쿄가세이고교(주) 제조)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소성 연필심을 얻었다.
실세스퀴옥산의 첨가량이 유기 결합재의 첨가량에 대하여 1.5 중량%이다. 즉, 상술한 재료의 혼합물 내 규소 화합물 함유량의 유기 결합재 함유량에 대한 비율이 1.5 중량%이다.
<비교예 5>
실시예 1에 있어서,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KF-6028)을 첨가하지 않는 배합으로 혼련, 압출 성형한 후, 소성 온도까지 열처리하여 얻어진 열처리 후의 심체에, 다이아몬드 나노 입자(비표면적 450 ㎡/g, 체적 평균 직경 mv치 10 ㎚, 다이아 머터리얼(주) 제조)를 분산한 디메틸실리콘 오일 KF96-30CS(25℃에서의 동점도: 30 ㎟/s, 굴절률 1.401, 신에츠가가쿠고교(주) 제조)(온도 100℃) 내에, 10시간 침지한 후, 표면 상의 불필요한 성분을 제거함으로써 소성 연필심을 얻었다.
이상, 실시예 1~14 및 비교예 1~5에서 얻은 소성 연필심에 관해서, 하기 방법에 의해, 굽힘 강도, 필기선의 농도, 필기 저항치의 측정을 실시했다.
(굽힘 강도의 시험 방법)
굽힘 강도의 측정은 JIS S 6005에 준하여 실시했다.
(필기선 농도의 시험 방법)
필기선의 농도의 측정은 JIS S 6005에 준하여 실시했다.
(필기 저항치의 시험 방법)
필기 저항치의 측정은 신토카가쿠(주) 제조의 마찰 마모 시험기 트라이보기어 Type: 40을 이용하여 실시했다. 측정 환경은 온도 23℃±2℃, 습도 65%±5%로 했다. 샤프펜슬에는 펜텔(주) 제조의 P205를 사용하고, 전용 필기 도구용 홀더를 이용하여 마찰 마모 시험기에 고정했다. 측정 스테이지 상에, 스테인리스판의 깔개와 JIS S 6039에 기재된 시험용지를 고정하여, 샤프펜슬로 직선 위를 필기했을 때의 마찰력을 측정했다. 시험용지는 미리 온도 23℃ 습도 65%의 항온항습조에 24시간 이상 정치한 것을 사용했다. 장치 조건은, 필기 각도: 75도, 수직 하중: 200 g, 이동 속도: 1 ㎝/초, 샘플링 속도: 1 ㎑, 측정 시간: 10초로 했다. 측정 시간 10초 중, 1.5초부터 9.5초의 마찰력의 평균치를 동마찰력으로 하고, 동마찰력을 수직하중으로 나눔으로써 필기 저항치(동마찰 계수)를 산출했다. 또한, 필기 저항치의 산출은 장치 부속의 전용 소프트웨어 Tribosoft6으로 자동 산출된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로부터 분명한 것과 같이, 실시예 1~14의 소성 연필심은, 비교예 1~5의 소성 연필심과 비교하여, 필기선의 농도는 동등하며 또한 굽힘 강도가 향상되어, 보다 매끄러운 필기감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 1~14에서는,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을 배합하고 있기 때문에, 필기 저항치가 낮고, 매끄러우며 걸림이 저감된 필기감을 얻을 수 있으면서, 높은 필기 농도와 굽힘 강도의 향상이 보인다. 또한,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의 함유량이 유기 결합재의 함유량에 대하여 0.5 중량% 이상 3 중량% 이하인 실시예 1, 3~5, 7~14는, 굽힘 강도와 필기선 농도의 밸런스가 우수하고, 매끄러운 필기감을 보이는 소성 연필심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1~6은, 분기된 실리콘 사슬을 주사슬로 하는 분자 구조를 갖는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을 배합하고 있기 때문에, 특히 매끄러운 필기감을 보이는 소성 연필심을 얻을 수 있다.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의 동점도가 100 ㎟/s 이상 10000 ㎟/s 이하인 실시예 1~10, 13~14는, 굽힘 강도와 필기선 농도의 밸런스가 우수하고, 매끄러운 필기감을 보이는 소성 연필심을 얻을 수 있다.
비교예 1에서는, 폴리옥시알킬렌기를 갖지 않는 디메틸폴리실록산을 첨가하고 있어, 굽힘 강도는 향상되지만, 필기 저항치가 높고, 걸림이 많은 필기감으로 되어 버린다.
비교예 2에서는, 표면을 메틸기로 소수화한 소수성 무정형 실리카를 첨가하고 있어, 굽힘 강도는 향상되지만, 필기 저항치가 높고, 걸림이 많은 필기감으로 되어 버린다.
비교예 3에서는, 표면을 실리콘 오일로 처리한 소수성 무정형 실리카를 첨가하고 있어, 굽힘 강도는 향상되지만, 필기 저항치가 높고, 걸림이 많은 필기감으로 되어 버린다.
비교예 4에서는, 실세스퀴옥산을 첨가하고 있어, 굽힘 강도는 향상되지만, 필기 저항치가 높고, 걸림이 많은 필기감으로 되어 버린다.
비교예 5에서는, 소성 연필심에 존재하는 함침에 유효한 기공이 나노다이아몬드에 의해서 기공의 개구부가 막혀, 함침에 유효한 기공의 수가 감소해 버린다. 그 때문에, 유상물이 갖는 윤활성을 충분히는 발휘할 수 없으므로, 매끄러운 필기감을 얻기에는 이르지 못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상술한 실시형태에 변형을 가한 형태나 이들 형태를 적절하게 조합한 형태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동일」, 「같다」 및 「균질」 등의 사물이 같은 상태임을 나타내는 표현은, 엄밀하게 같은 상태를 나타내는 것뿐만 아니라, 공차 혹은 동일한 기능이 얻어지는 정도의 차가 존재하고 있는 상태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하나의 구성 요소를 「구비한다」, 「포함한다」 또는 「갖는다」와 같은 표현은 다른 구성 요소의 존재를 제외하는 배타적인 표현이 아니다.

Claims (6)

  1. 체질재와, 유기 결합재와,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소성하여 얻어지는 소성 연필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을 혼련하고, 압출 성형하여 얻어진 성형체를 소성 온도까지 열처리하여 얻어지는 소성 연필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 내 상기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의 함유량이, 상기 혼합물 내 상기 유기 결합재의 함유량에 대하여, 0.5 중량% 이상 3 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성 연필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이, 분기된 실리콘 사슬을 주사슬로 하는 분자 구조를 갖는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성 연필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의 25℃에서의 동점도(動粘度)가 100 ㎟/s 이상 10000 ㎟/s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성 연필심.
  6. 적어도 체질재와, 유기 결합재와,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단계와,
    상기 혼합물을 성형하여 성형체를 얻는 단계와,
    상기 성형체를 소성하여 소성 연필심을 얻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소성 연필심의 제조 방법.
KR1020237033337A 2021-03-31 2022-03-24 소성 연필심 KR202301646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60923 2021-03-31
JP2021060923 2021-03-31
PCT/JP2022/014179 WO2022210306A1 (ja) 2021-03-31 2022-03-24 焼成鉛筆芯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4676A true KR20230164676A (ko) 2023-12-04

Family

ID=83458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3337A KR20230164676A (ko) 2021-03-31 2022-03-24 소성 연필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WO2022210306A1 (ko)
KR (1) KR20230164676A (ko)
CN (1) CN117157365A (ko)
DE (1) DE112022001946T5 (ko)
WO (1) WO2022210306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5672A (ja) 1986-07-30 1988-02-16 Pentel Kk 鉛筆芯の製造方法
JP2004175900A (ja) 2002-11-27 2004-06-24 Pentel Corp 鉛筆芯の製造方法
WO2010123070A1 (ja) 2009-04-24 2010-10-28 三菱鉛筆株式会社 鉛筆芯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068796A (ja) 2009-09-28 2011-04-07 Pentel Corp 焼成鉛筆芯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6384A (ja) * 1996-05-28 1997-12-09 Mitsubishi Pencil Co Ltd 焼成鉛筆芯
JP4771519B2 (ja) * 2005-05-11 2011-09-14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固形状絵具
DE102005055193B4 (de) * 2005-11-19 2008-03-13 J. S. Staedtler Gmbh & Co. Kg Mine für Schreib-, Zeichen- oder Malgeräte
JP2012144615A (ja) * 2011-01-11 2012-08-02 Sakura Color Products Corp 固形描画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5672A (ja) 1986-07-30 1988-02-16 Pentel Kk 鉛筆芯の製造方法
JP2004175900A (ja) 2002-11-27 2004-06-24 Pentel Corp 鉛筆芯の製造方法
WO2010123070A1 (ja) 2009-04-24 2010-10-28 三菱鉛筆株式会社 鉛筆芯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068796A (ja) 2009-09-28 2011-04-07 Pentel Corp 焼成鉛筆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157365A (zh) 2023-12-01
JPWO2022210306A1 (ko) 2022-10-06
DE112022001946T5 (de) 2024-01-18
WO2022210306A1 (ja) 2022-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08995B2 (en) Multifunctional graphene-silicone elastomer nanocomposite, method of making the same, and uses thereof
EP1831301B1 (de) Reaktive kieselsäuresuspensionen
EP2155823B1 (en) Fluorosilicone elastomers for high temperature performance
KR101247417B1 (ko) 연필심 및 그 제조 방법
Kovalčíková et al. Effect of the counterpart material on wear characteristics of silicon carbide ceramics
Park et al. Improvement of red mud polymer-matrix nanocomposites by red mud surface treatment
GB2066277A (en) Flame resistant silicone rubber compositions and methods
KR20230164676A (ko) 소성 연필심
KR101543027B1 (ko) 자동차용 타이어 조성물
CN1269908C (zh) 振动阻尼硅氧烷组合物
JP4627563B2 (ja) 鉛筆芯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76970B1 (ko) 경주차량용 스틸계 마찰재 조성물
CA1315452C (en) Silicone extrusion stock
JP2024051855A (ja) 焼成鉛筆芯
JP2626407B2 (ja) ラバーコンタクト
Kessman et al. Structural, mechanical, and tribological properties of fluorinated mesoporous silica films: Effect of functional moiety and surfactant template concentrations
Souza et al. Influence of basal plane domains in the tribological behavior of graphites
JP4627567B2 (ja) 鉛筆芯の製造方法
JP3909144B2 (ja) 鉛筆芯
KR102536230B1 (ko) 내화성능이 우수한 실리콘 고무 조성물
TWI837160B (zh) 鉛筆芯
Demizu et al. The effect of trialkyl phosphites and other oil additives on the boundary lubrication of ceramics: friction of silicon-based ceramics
Goeritz et al. Mobility of adsorbed polymer chains
JP4627568B2 (ja) 鉛筆芯の製造方法
KR100610419B1 (ko) 자동차의 글래스 런 채널용 불소코팅재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