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3347A - 필름성형장치 - Google Patents

필름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3347A
KR20230163347A KR1020237018004A KR20237018004A KR20230163347A KR 20230163347 A KR20230163347 A KR 20230163347A KR 1020237018004 A KR1020237018004 A KR 1020237018004A KR 20237018004 A KR20237018004 A KR 20237018004A KR 20230163347 A KR20230163347 A KR 20230163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forming
cooling
cooling wind
suction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8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야 히오키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63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334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9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 B29C48/10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flexible, e.g. blown fo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2Extrusion nozzles or dies with annular openings, e.g. for forming 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885External treatment, e.g. by using air rings for cooling tubular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1Cooling
    • B29C48/9115Cooling of hollow articles
    • B29C48/912Cooling of hollow articles of tubular films
    • B29C48/913Cooling of hollow articles of tubular films extern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28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blown tubular films, e.g. by inf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3/00Producing 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23/00Tubular articles
    • B29L2023/001Tubular films, slee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Encapsulation Of And Coatings For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Abstract

필름성형장치는, 다이(102)로부터 토출된 성형재료를 냉각하는 냉각부(104)와, 냉각부(104)로부터 취출된 냉각풍을 정류하는 정류부(105)를 구비한다. 정류부(105)는, 냉각풍을 흡인하는 흡인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필름성형장치
본 발명은, 필름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이의 토출구로부터 용융된 성형재료를 막상(膜狀)으로 압출하고, 그것을 냉각부로부터의 냉각풍에 의하여 고화시켜 필름을 성형하는 필름성형장치가 알려져 있다. 종래에는, 토출구의 폭이나 냉각부로부터의 냉각풍의 풍속이나 풍온을 조절함으로써 필름두께를 목표범위에 들게하는 필름성형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7-177348호
냉각부로부터 취출(吹出)되는 냉각풍은 분류(噴流)이며, 그 흐름은 난류가 된다. 냉각풍이 난류이면, 토출구의 연장방향에 있어서의 위치에 따라, 또 동일한 위치이더라도 시간에 따라 냉각 능력이 상이하며, 그 결과, 성형되는 필름의 막두께가 불균일해진다. 또, 난류인 냉각풍은, 막상으로 압출된 성형재료를 진동시켜, 그 결과, 성형되는 필름의 품질이 저하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일 양태의 예시적인 목적의 하나는, 냉각풍의 흐름의 흐트러짐을 저감시킬 수 있는 필름성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태의 필름성형장치는, 다이로부터 토출된 성형재료를 냉각하는 냉각부와, 냉각부로부터 취출된 냉각풍을 정류(整流)하는 정류부를 구비한다. 정류부는, 냉각풍을 흡인하는 흡인부를 포함한다.
다만, 이상의 구성요소의 임의의 조합이나, 본 발명의 구성요소나 표현을 방법, 장치, 시스템 등의 사이에서 서로 치환한 것도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유효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냉각풍의 흐름의 흐트러짐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필름성형장치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도 1의 흡인링을 중심축(A)을 포함하는 평면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흡인링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필름성형장치의 정류부와 그 주변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필름성형장치의 정류부와 그 주변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제3 실시형태에 관한 필름성형장치의 정류부와 그 주변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의 (a), (b)는, 연통로의 예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9는 제3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필름성형장치의 다이의 토출구의 주변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제3 실시형태의 다른 변형예에 관한 필름성형장치의 다이의 토출구의 주변을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적합한 실시형태를 기초로 각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는,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예시이며, 실시형태에 기술되는 모든 특징이나 그 조합은, 반드시 발명의 본질적인 것만은 아니다. 각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 또는 동등의 구성요소, 부재, 처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하고, 적절히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필름성형장치(100)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필름성형장치(100)는, 다이(102)와, 냉각부(104)와, 정류부(105)와, 한 쌍의 가이드부(106)와, 인취기(引取機)(108)와, 권취기(110)를 구비한다.
다만, 이후에서는, 중심축(C)에 수직인 평면 상에서 중심축(C)을 통과하는 임의의 방향을 직경방향으로 하고, 직경방향에 있어서 중심축(C)에 가까운 측을 내주측, 중심축(C)으로부터 먼 쪽을 외주측으로 하며, 중심축(C)에 수직인 평면 상에 있어서 중심축(C)을 중심으로 하는 원의 원주를 따른 방향을 둘레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
다이(102)에 형성된 링상의 토출구(102a)로부터, 용융된 성형재료가 원통상으로 토출된다. 토출된 원통상의 성형재료의 내측에는, 다이(102)의 중심부에 형성된 에어분출구(102b)로부터, 적절한 타이밍에 에어가 분출되어, 원통상으로 부풀어 오른 박육(薄肉)의 필름(이하, "버블"이라고도 부른다)이 성형된다.
냉각부(104)는, 다이(102)의 상방에 배치된다. 냉각부(104)는, 중심축(C)을 둘러싸는 중공의 링상의 케이스이다. 냉각부(104)는, 링상의 냉각부본체(104a)와, 냉각부본체(104a)의 내주측의 하단으로부터 직경방향 내측으로 뻗어 있는 공급유로(104b)와, 공급유로(104b)의 직경방향 내측으로 연속하며, 상방을 향하여 개구하는 취출부(104c)를 포함한다. 도시하지 않은 블로어로부터 냉각부본체(104a)에 냉각풍이 송입된다. 냉각부본체(104a)에 송입된 냉각풍은, 공급유로(104b)를 통과하여 취출부(104c)로부터 취출되어 버블에 분사된다. 이로써, 버블이 냉각된다. 취출부(104c)는 특히, 중심축(C)을 중심으로 하는 링상의 토출구(102a)와 동심(同心)이 되도록 형성된다. 이로써, 냉각풍이 버블에 닿는 높이 및 풍량이 둘레방향으로 균일해진다.
정류부(105)는, 흡인부를 구성하는 흡인링(130)과, 적어도 하나(이 예에서는 복수)의 흡인펌프(132)를 구비한다. 흡인링(130)은, 냉각부(104)의 상방에 배치된다. 흡인링(130) 및 흡인펌프(132)는, 예를 들면, 가이드부(106)에 매달려 있어도 되고, 냉각부(104)로부터 뻗는 다리에 지지되어도 되며, 도시하지 않은 프레임에 고정되어도 된다. 정류부(105)는, 냉각부(104)로부터 취출된 냉각풍을 정류하여, 냉각풍의 흐름의 흐트러짐을 저감시킨다.
한 쌍의 가이드부(106)는, 정류부(105)의 상방에 배치되어, 버블을 인취기(108)에 안내한다. 인취기(108)는, 가이드부(106)의 상방에 배치된다. 인취기(108)는, 한 쌍의 핀치롤(118)을 포함한다. 한 쌍의 핀치롤(118)은, 도시하지 않은 모터로 구동되어 회전하고, 안내된 버블을 끌어올리면서 편평하게 절첩한다. 권취기(110)는, 절첩된 필름을 권취하여, 필름롤체(120)를 형성한다.
도 2는, 흡인링(130)을 중심축(C)을 포함하는 평면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상면도이다. 도 3에서는, 흡인링(130)의 케이스(134)의 상벽(134d)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도 3을 참조한다.
흡인링(130)은, 중공의 링상의 케이스(134)를 갖는다. 케이스(134)는, 상벽(134d)과, 하벽(134a)과, 내벽(134e)과, 외벽(134f)을 갖는다. 케이스(134)의 하벽(134a)에 있어서의 내주측에는, 중심축(C)을 둘러싸는 링상의 흡인구(134b)가 형성되어 있다. 흡인구(134b)는 하방으로 개구되어 있다. 케이스(134)의 외주측에는, 복수의 호스구(134c)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호스구(134c)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방향에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복수의 호스구(134c)는, 도시된 예에서는 상벽(134d)에 형성되어 있지만, 하벽(134a)에 형성되어도 된다.
복수의 호스구(134c)와, 적어도 하나의 흡인펌프(132)가, 호스(136)에 의하여 접속된다. 흡인펌프(132)를 작동시켜, 호스(136)를 통하여 케이스(134) 내의 공기를 흡인하면, 냉각부(104)로부터 취출된 버블을 따라 상승하는 냉각풍이, 흡인구(134b)로부터 케이스(134) 내에 흡인된다. 냉각부(104)로부터 취출된 냉각풍을 하류측에 있어서 흡인함으로써, 냉각풍의 흐름의 흐트러짐이 저감된다. 또한, 흡인링(130)이 마련되는 높이 위치는, 실험, 시뮬레이션 혹은 지견(知見)에 근거하여 결정되면 된다.
케이스(134)의 내부에는, 원통상의 배플판(138)이 마련된다. 배플판(138)은, 케이스(134)의 내부의 공간을, 흡인구(134b)측과 호스구(134c)측으로 구획한다. 배플판(138)에는, 흡인구(134b)측과 호스구(134c)측을 연통하는 다수의 관통구멍(138a)이 마련된다. 이 예에서는, 다수의 관통구멍(138a)은 직경방향으로 뻗어 있다. 흡인구(134b)로부터 케이스(134) 내에 흡인된 냉각풍은, 관통구멍(138a)을 통과하여 호스구(134c)측으로 흐른다.
여기에서, 만일 배플판(138)이 없는 경우를 생각한다. 호스구(134c)는 둘레방향으로 불연속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호스구(134c)에 가까운 흡인구(134b)의 부분, 즉 호스구(134c)의 직경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흡인구(134b)의 부분의 흡인력은 강해지고, 호스구(134c)로부터 먼 흡인구(134b)의 부분, 즉 호스구(134c)의 직경방향 내측에 위치하지 않는 흡인구(134b)의 부분의 흡인력은 약해진다. 즉, 흡인구(134b)에 있어서의 흡인력이 둘레방향으로 불균일해진다. 이에 대하여, 호스구(134c)와 흡인구(134b)의 사이에 배플판(138)을 마련함으로써, 배플판(138)보다 상류측(즉 내주측)에 있어서의 공기의 흐름이 균일해져, 흡인구(134b)로부터의 흡인력은 둘레방향으로 비교적 균일해진다. 둘레방향으로 보다 균일한 흡인력으로 냉각풍을 흡인함으로써, 버블을 따라 상승하는 냉각풍의 흐름도 둘레방향으로 보다 균일해진다.
배플판(138)의 내주측에는, 래버린스부(140)가 마련된다. 래버린스부(140)는, 복잡하게 구부러진 유로를 갖는 부분이다. 래버린스부(140)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면 형상이 벨로즈상의 유로(142)를 갖는다. 유로(142)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벽(134d)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고정된 원통상의 판(144)과, 하벽(134a)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고정된 원통상의 판(144)을 직경방향으로 번갈아 배치함으로써 형성된다. 래버린스부(140)를 마련함으로써, 흡인구(134b)로부터 배플판(138)까지의 유로가 길어지고, 당해 유로에 있어서의 공기의 흐름이 둘레방향으로 보다 균일해져, 그 결과, 흡인구(134b)로부터의 흡인력은 둘레방향으로 보다 균일해진다.
배플판(138)의 외주측에는, 평활화유로(146)가 마련된다. 평활화유로(146)는, 둘레방향으로 만곡된 복수의 구획벽(148)에 의하여 구획된, 복수의 호스구(134c)의 각각을 향하도록 둘레방향으로 뻗는 유로이다. 둘레방향으로 뻗는 평활화유로(146)를 마련함으로써, 배플판(138)을 빠져나간 공기가 호스구(134c)에 도달할 때까지의 거리가 비교적 길어진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냉각부(104)로부터 취출된 버블을 따라 상승하는 냉각풍은 정류부(105)에 의하여 흡인된다. 이로써, 버블을 따라 상승하는 냉각풍의 흐름의 흐트러짐이 저감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흡인링(130)의 내부에 배플판(138), 래버린스부(140) 및 평활화유로(146)가 마련된다. 이로써 흡인구(134b)로부터의 흡인력은 둘레방향으로 보다 균일해져, 냉각풍의 흐름을 둘레방향으로 보다 균일하게 할 수 있다.
계속해서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흡인링(130)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대응한다. 변형예에 관한 흡인링(130)에서는, 흡인링(130)의 링상의 흡인구(134b)는, 케이스(134)의 내벽(134e)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흡인구(134b)는, 내주측으로 개구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흡인구(134b)는 내벽(134e)에 있어서의 상측에 마련되어 있지만, 하측에 마련되어도 되고, 상하 중앙에 마련되어도 된다. 본 변형에 의하면,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제2 실시형태에서는, 필름성형장치가, 냉각부로부터의 냉각풍을 정류하기 위한 정류판을 구비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냉각부로부터의 냉각풍을, 정류판으로 구획된 공간에 흡인한다. 이하, 제1 실시형태와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5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필름성형장치(200)의 정류부(205)와 그 주변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필름성형장치(200)는, 다이(102)와, 냉각부(104)와, 정류부(205)와, 한 쌍의 가이드부(106)와, 인취기(108)와, 권취기(110)를 구비한다. 한 쌍의 가이드부(106), 인취기(108) 및 권취기(110)의 표시는 생략한다.
정류부(205)는, 냉각풍을 정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이 예에서는 복수)의 정류판(220)과, 흡인부를 구성하는 흡인링(130)과, 흡인펌프(132)를 구비한다. 여기서만, 흡인링(130)의 형상이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복수의 정류판(220)은, 서로 직경이 상이한 원통상의 판이다. 복수의 정류판(220)은, 중심축(C)(도 5에서는 도시하지 않는다)을 중심으로 하여 동심원상으로 배치된다. 복수의 정류판(220)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이 예에서는 공급유로(104b)의 상벽(104d)에 재치되어 고정된다. 복수의 정류판(220)의 상단의 높이 위치는, 직경방향 외측의 정류판(220)에 위치하는 것일수록 높게 되어 있다.
버블과 냉각부(104)의 사이의 공간(250)은, 정류판(220)에 의하여 복수의 공간(250a~250d)으로 구획된다. 정류판(220)에는, 구획된 복수의 공간(250a~250d)을 연통하는 연통 구멍(220a)이 형성되어 있다.
흡인링(130)은, 직경방향에 있어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정류판(220)과, 냉각부본체(104a)의 사이의 공간(250d)을 막도록 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직경방향에 있어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정류판(220)과, 냉각부본체(104a)의 사이의 공간(250d)의 상단을 막도록 설치된다. 흡인펌프(132)를 작동시키면, 흡인링(130)에 의하여 복수의 공간(250a~250d) 내의 공기가 흡인되어, 그 결과, 냉각부(104)로부터 취출된 냉각풍이 복수의 공간(250a~250d) 내에 흡인된다.
또한, 흡인링(130)에 흡인됨으로써 공간(250b~250d) 내의 압력이 저하되어, 버블이 공간(250b~250d)으로 끌어당겨지는 경우가 있다. 끌어당겨진 버블이 정류판(220)에 접촉하면, 버블에 흠집이 나 버린다. 이에 비하여, 가장 내측의 정류판(220)에도 연통 구멍(220a)을 형성함으로써, 버블이 정류판(220)에 접촉할 것 같게 되면, 가장 내측의 정류판(220)의 연통 구멍(220a)으로부터 외기가 유입되고, 공간(250b~250d) 내의 압력이 상승하여, 버블이 정류판(220)에 접촉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냉각부(104)로부터 취출된 버블을 따라 상승하는 냉각풍은 정류부(205)에 의하여 흡인된다. 정류판(220)을 마련함으로써 냉각풍의 흐름이 어느 정도는 정류되는 즉 냉각풍의 흐름의 흐트러짐이 저감되지만, 냉각풍을 그 하류측에서 흡인함으로써, 냉각풍의 흐름의 흐트러짐이 더 저감된다.
계속해서 제2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6은,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필름성형장치(200)의 정류부(205)와 그 주변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대응한다. 본 변형예에서는, 흡인링(130)은, 직경방향에 있어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정류판과, 냉각부본체(104a)의 사이의 공간(250d)에 배치된다. 본 변형예의 흡인링(130)은, 래버린스부(140), 배플판(138) 및 평활화유로(146)가, 케이스(134) 내에 있어서 하방으로부터 이 순서로 나열되어 구성된다. 링상의 흡인구(134b)는 케이스(134)의 내벽(134e)에 형성되어 있으며, 직경방향에 있어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정류판(220)에 형성된 연통 구멍(220a)에 직접 접속되어 있다. 본 변형에 의하면,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제3 실시형태에서는,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필름성형장치가 정류판을 구비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제2 실시형태와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7은, 제3 실시형태에 관한 필름성형장치(300)의 정류부(305)와 그 주변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필름성형장치(200)와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필름성형장치(300)는, 다이(102)와, 냉각부(104)와, 정류부(305)와, 한 쌍의 가이드부(106)와, 인취기(108)와, 권취기(110)를 구비한다. 한 쌍의 가이드부(106), 인취기(108) 및 권취기(110)의 표시는 생략한다.
정류부(305)는, 적어도 하나(이 예에서는 복수)의 정류판(220)과, 흡인부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이 예에서는 복수)의 연통로(104e)를 포함한다. 복수의 연통로(104e)는 각각, 공급유로(104b)의 상벽(104d)을 상하로 관통하고, 정류판(220)으로 구획된 복수의 공간(250b~250d)의 각각과, 냉각부(104)의 공급유로(104b)를 연통한다. 이 예에서는, 복수의 연통로(104e)는, 연직방향으로 직선상으로 뻗는다. 바꾸어 말하면, 복수의 연통로(104e)는 직선상으로 뻗고, 연통로(104e)의 연장방향과 공급유로(104b)의 연장방향은 직교한다.
도 8의 (a), (b)는, 연통로(104e)의 예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8의 (a)의 예에서는, 연통로(104e)는 평면으로 보았을 때 둘레방향으로 뻗는 홈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8의 (a)의 예에서는, 연통로(104e)는 평면으로 보았을 때 원형의 구멍이다.
복수의 공간(250b~250d)은 각각, 도 8의 (a)와 같이 하나의 연통로(104e)로 연통되어도 되고, 도 8의 (b)와 같이 복수의 연통로(104e)로 연통되어도 된다.
공급유로(104b)를 흐르는 냉각풍의 유속이 높아지면, 공급유로(104b)의 압력은 저하되어, 연통로(104e)의 일단 측인 공급유로(104b)와 타단 측인 공간(250b~250d)의 사이에 차압이 발생한다. 이로써, 복수의 공간(250b~250d) 내의 공기는 연통로(104e)를 통하여 공급유로(104b)측에 흡인되고, 복수의 공간(250b~250d) 내는 부압(負壓)이 되어, 냉각부(104)로부터 취출된 냉각풍이 복수의 공간(250b~250d) 내에 흡인된다.
부언하면, 연통로(104e)의 직경이 지나치게 크면, 공급유로(104b)로부터 냉각부(104)에 냉각풍이 유입되어 버린다. 따라서 연통로(104e)는, 실험이나 시뮬레이션 등에 근거하여, 공급유로(104b)로부터 연통로(104e)에 냉각풍이 유입되지 않는 크기로 형성되면 된다.
또, 공급유로(104b)에 있어서의 냉각풍의 유속이 높으면, 공급유로(104b)로부터 연통로(104e)에 냉각풍이 유입되기 어려워진다고 생각된다. 또, 원하는 차압을 얻으려면, 공급유로(104b)를 흐르는 냉각풍의 유속은 어느 정도 이상인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공급유로(104b)를, 원하는 유속을 실현할 수 있는 유로면적(즉 높이)으로 형성하면 된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계속해서 제3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9는, 제3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필름성형장치(300)의 정류부(305)와 그 주변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대응한다. 본 변형예에서는, 복수의 연통로(104e)는 직선상으로 뻗고, 공급유로(104b)의 연장방향(D1)과 연통로(104e)의 연장방향(D2)이 이루는 각도 α는 90°보다 크게 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취출부(104c)를 향하여 공급유로(104b)를 직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흐르는 냉각풍이 연통로(104e)에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0은, 제3 실시형태의 다른 변형예에 관한 필름성형장치(300)의 다이(102)의 토출구(102a)의 주변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대응한다. 본 변형예에서는, 복수의 연통로(104e)는 연직방향으로 직선상으로, 또한, 연통로(104e)는 상측일수록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냉각풍이 공급유로(104b)로부터 연통로(104e)에는 유입되기 어렵고, 공간(250b~250d)으로부터 연통로(104e)에는 유입되기 쉬워진다.
다만, 도 9의 변형예와 도 10의 변형예를 조합해도 된다. 즉, 연통로(104e)는, 상측일수록 넓고, 또한, 연통로(104e)의 연장방향과 공급유로(104b)의 연장방향이 이루는 각도 α가 90°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계속해서, 제1~제3 실시형태에 공통되는 변형예를 설명한다.
실시형태에서는, 다이(102)의 토출구(102a)가 환상인 이른바 환다이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형태의 기술사상의 적어도 일부는, 토출구가 직선상인 이른바 T다이에도 적용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근거하여, 구체적인 어구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원리, 응용의 일 측면을 나타내고 있는 것에 지나지 않고, 실시형태에는, 청구범위에 규정된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많은 변형예나 배치의 변경이 인정된다.
본 발명은, 필름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100, 200, 300 필름성형장치
102 다이
102a 토출구
104 냉각부
104a 냉각부본체
104b 공급유로
104c 취출부
104e 연통로
105 정류부
220 정류판

Claims (6)

  1. 다이로부터 토출된 성형재료를 냉각하는 냉각부와,
    상기 냉각부로부터 취출된 냉각풍을 정류하는 정류부를 구비하고,
    상기 정류부는, 냉각풍을 흡인하는 흡인부를 포함하는, 필름성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부는, 성형재료를 따라 상승하는 냉각풍을 흡인하는, 필름성형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상기 다이로부터 원통상으로 토출된 성형재료를 냉각하고,
    상기 정류부는, 성형재료의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된 정류판을 가지며,
    상기 흡인부는, 냉각풍을, 정류판으로 구획된 공간에 흡인하는, 필름성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판은, 동심원상으로 복수 배치되고,
    복수의 상기 정류판으로 구획된 각 공간은 연통되어 있는, 필름성형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냉각풍을 성형재료를 향하여 취출하는 취출부와, 상기 취출부에 냉각풍을 공급하는 공급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흡인부는, 상기 정류판으로 구획된 공간과 상기 공급유로를 연통하는 연통로를 포함하는, 필름성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로는, 상기 정류판으로 구획된 공간 내의 냉각풍이 연통로에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필름성형장치.
KR1020237018004A 2021-03-31 2022-03-23 필름성형장치 KR202301633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60747 2021-03-31
JPJP-P-2021-060747 2021-03-31
PCT/JP2022/013699 WO2022210206A1 (ja) 2021-03-31 2022-03-23 フィルム成形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3347A true KR20230163347A (ko) 2023-11-30

Family

ID=83456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8004A KR20230163347A (ko) 2021-03-31 2022-03-23 필름성형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311400A1 (ko)
EP (1) EP4316780A1 (ko)
JP (1) JPWO2022210206A1 (ko)
KR (1) KR20230163347A (ko)
CN (1) CN116615324A (ko)
TW (1) TWI812129B (ko)
WO (1) WO2022210206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77348A (ja) 2016-03-28 2017-10-05 住友重機械モダン株式会社 フィルム成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9069A (ja) * 1981-10-05 1983-04-07 Showa Denko Kk インフレ−シヨンフイルム成形装置
JPH068320A (ja) * 1992-06-25 1994-01-18 Mitsubishi Petrochem Co Ltd 包装用樹脂フィルム
JPH06872A (ja) * 1992-06-23 1994-01-11 Mitsubishi Petrochem Co Ltd インフレーションフィルム成形用冷却装置
JPH0760833A (ja) * 1993-08-23 1995-03-07 Mitsubishi Chem Corp インフレーション樹脂フィルムの成形方法
JPH0834053A (ja) * 1994-07-22 1996-02-06 Mitsubishi Chem Corp 延伸樹脂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H0839667A (ja) * 1994-08-01 1996-02-13 Mitsubishi Chem Corp 二軸延伸樹脂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H08290457A (ja) * 1995-02-24 1996-11-05 Tomy Kikai Kogyo Kk 押出成型装置の冷却媒体供給装置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層流形成部材
JPH08290458A (ja) * 1995-02-24 1996-11-05 Tomy Kikai Kogyo Kk 押出成型装置の冷却媒体供給装置
DE10355809A1 (de) * 2003-11-28 2005-06-09 Bayer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lasfolien
CN202137947U (zh) * 2011-03-29 2012-02-08 东莞市正新包装制品有限公司 一种薄膜吹塑机的冷却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77348A (ja) 2016-03-28 2017-10-05 住友重機械モダン株式会社 フィルム成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10206A1 (ja) 2022-10-06
JPWO2022210206A1 (ko) 2022-10-06
US20230311400A1 (en) 2023-10-05
EP4316780A1 (en) 2024-02-07
TW202239569A (zh) 2022-10-16
TWI812129B (zh) 2023-08-11
CN116615324A (zh) 2023-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8200B2 (en) External cooling air ring for blown-film extrusion
US4373273A (en) Air ring having a circular array of a large multiplicity of substantially parallel cell-like passages in the air flow path leading to the outlet
US11787099B2 (en) High performance cooling system
KR20230163347A (ko) 필름성형장치
US11298865B2 (en) High performance cooling system
US20210370573A1 (en) High performance cooling system
JP2020176354A (ja) 溶融紡糸設備
JP2017218702A (ja) メルトブロー用紡糸ダイ
JP2017203233A (ja) メルトブロー用ダイ
JP3521926B2 (ja) インフレーションフィルム成形装置
CN209955132U (zh) 静压箱
JPH0230267Y2 (ko)
JPH0517228Y2 (ko)
JPH0114421Y2 (ko)
WO2023214310A1 (en) Cooling ring for an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plastic blown films
CN210233990U (zh) 一种吹膜机冷却风环
CN211968403U (zh) 一种薄膜吹塑成型装置
JPH0230266Y2 (ko)
JPH0513551Y2 (ko)
JPH091656A (ja) 外部冷却装置
JPH0230268Y2 (ko)
JPH0230265Y2 (ko)
JP3672967B2 (ja) 外部冷却装置
JPH0757523B2 (ja) インフレ−シヨンフイルム成形装置
CA1115471A (en) Air cooling ring for plastic blown fil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