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2684A - 조인트 어셈블리, 사방 밸브 어셈블리 및 공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조인트 어셈블리, 사방 밸브 어셈블리 및 공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2684A
KR20230162684A KR1020237037154A KR20237037154A KR20230162684A KR 20230162684 A KR20230162684 A KR 20230162684A KR 1020237037154 A KR1020237037154 A KR 1020237037154A KR 20237037154 A KR20237037154 A KR 20237037154A KR 20230162684 A KR20230162684 A KR 20230162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member
pipe
connection sleeve
section
straight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7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지에 왕
주앙 랑
Original Assignee
제지앙 둔안 아트피셜 인바이런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지앙 둔안 아트피셜 인바이런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제지앙 둔안 아트피셜 인바이런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62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2684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02Welded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1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14Joints for pipes of different diameters or cross-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7/00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 F16L57/02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against cracking or buck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Disconnectible Joints And Screw-Threaded Joint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조인트 어셈블리, 사방 밸브 어셈블리 및 공조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조인트 어셈블리는 제1 파이프 부재(10); 제2 파이프 부재(20); 제1 파이프 부재(10)의 일단에 연결된 제1 연결 슬리브(30); 및 제2 파이프 부재(20)의 일단에 연결된 제2 연결 슬리브(40)를 포함한다. 제1 연결 슬리브(30)는 제2 연결 슬리브(40)와 연결된다. 제1 연결 슬리브(30)는 제1 직선관이고, 제2 연결 슬리브(40)는 제1 직선관과 네스팅되도록 설치된 제2 직선관이다. 또는 제1 연결 슬리브(30)는 제1 가변 직경관이고, 제2 연결 슬리브(40)는 제1 가변 직경관과 네스팅되도록 설치된 제2 가변 직경관이다. 상기 기술적 해결책은 용접로 부피 제한으로 인해 스테인리스 강관 그룹과 구리관 그룹 용접이 제한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였다.

Description

조인트 어셈블리, 사방 밸브 어셈블리 및 공조 시스템
본 출원은 출원일이 2021년 4월 13일이고, 출원번호가 202120752797.6이며, 발명의 명칭이 "조인트 어셈블리, 사방 밸브 어셈블리 및 공조 시스템"인 중국 특허 출원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출원은 열교환 시스템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인트 어셈블리, 사방 밸브 어셈블리 및 공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조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스테인리스 강관 그룹과 구리관 그룹 사이의 연결과 관련이 있다. 공조 업체의 용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스테인리스 강관 그룹에 강관 그룹과의 용접이 용이하도록 하나의 구리 조인트를 설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용접로에서 구리 조인트와 스테인리스 강관 그룹을 함께 용접한다. 그러나 용접로의 부피 제한으로 인해, 스테인리스 강관 그룹 점용 공간이 비교적 커, 구리 조인트와 스테인리스 강관 그룹 용접이 제한적이다.
본 출원의 주요 목적은 조인트 어셈블리, 사방 밸브 어셈블리 및 공조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관련 기술에서 용접로의 부피 제한으로 인해 스테인리스 강관의 길이가 제한되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출원의 일 양상은 조인트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여기에는 제1 파이프 부재; 제2 파이프 부재; 제1 파이프 부재의 일단에 연결된 제1 연결 슬리브; 및 제2 파이프 부재의 일단에 연결된 제2 연결 슬리브가 포함된다. 제1 연결 슬리브는 제2 연결 슬리브와 연결된다. 제1 연결 슬리브는 제1 직선관이고, 제2 연결 슬리브는 제1 직선관과 네스팅되도록 설치된 제2 직선관이다. 또는 제1 연결 슬리브는 제1 가변 직경관이고, 제2 연결 슬리브는 제1 가변 직경관과 네스팅되도록 설치된 제2 가변 직경관이다.
또한, 제1 연결 슬리브가 제1 직선관이고 제2 연결 슬리브가 제2 직선관인 경우, 제1 파이프 부재는 제3 가변 직경관이고, 제2 파이프 부재는 제4 가변 직경관이다. 제1 파이프 부재와 제1 연결 슬리브가 네스팅되도록 설치되고, 제2 연결 슬리브와 제2 파이프 부재가 네스팅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제1 파이프 부재는 순차적으로 연결된 제1 직선 구간, 제1 직경 확장 구간 및 제2 직선 구간을 포함한다. 제2 파이프 부재는 순차적으로 연결된 제3 직선 구간, 제2 직경 확장 구간 및 제4 직선 구간을 포함한다. 제1 연결 슬리브는 제2 직선 구간을 씌우도록 설치된다. 제2 연결 슬리브는 제1 연결 슬리브를 씌우도록 설치된다. 제3 직선 구간은 제2 연결 슬리브를 씌우도록 설치된다. 제2 연결 슬리브의 단부는 제2 직경 확장 구간에 맞닿는다.
또한, 제1 직경 확장 구간의 외벽과 제1 직선 구간의 외벽 사이의 협각은 120도 이상이다.
또한, 제1 연결 슬리브의 길이는 제2 연결 슬리브의 길이보다 크고, 제2 연결 슬리브의 길이는 제4 직선 구간의 길이보다 크다.
또한, 제2 파이프 부재 내에 위치한 제1 연결 슬리브의 일단은 제1 파이프 부재에서 돌출된다. 제2 파이프 부재 내에 위치한 제2 연결 슬리브의 일단은 제1 파이프 부재에서 돌출된다.
또한, 제1 파이프 부재는 순차적으로 연결된 제5 직선 구간, 제1 직경 축소 구간 및 제6 직선 구간을 포함한다. 제2 파이프 부재는 순차적으로 연결된 제7 직선 구간, 제3 직경 확장 구간 및 제8 직선 구간을 포함한다. 제1 연결 슬리브는 제5 직선 구간을 씌우도록 설치된다. 제1 연결 슬리브의 단부는 제1 직경 축소 구간에 맞닿는다. 제2 연결 슬리브는 제1 연결 슬리브를 씌우도록 설치된다. 제8 직선 구간은 제2 연결 슬리브를 씌우도록 설치된다. 제2 연결 슬리브의 단부는 제3 직경 확장 구간에 맞닿는다.
또한, 제1 직경 축소 구간의 외벽과 제5 직선 구간의 외벽 사이의 협각은 120도 이상이다.
또한, 제1 연결 슬리브가 제1 가변 직경관이고, 제2 연결 슬리브가 제2 가변 직경관인 경우, 제1 파이프 부재는 제3 직선관이고, 제2 파이프 부재는 제4 직선관이다. 제1 연결 슬리브의 제1단은 제1 파이프 부재의 일단과 네스팅되도록 설치된다. 제1 연결 슬리브의 제2단은 제2 연결 슬리브의 제1단과 네스팅되도록 설치된다. 제2 연결 슬리브의 제2단은 제2 파이프 부재의 일단과 네스팅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제1 연결 슬리브는 순차적으로 연결된 제9 직선 구간, 제2 직경 축소 구간, 제10 직선 구간, 제4 직경 확장 구간 및 제11 직선 구간을 포함한다. 제2 연결 슬리브는 순차적으로 연결된 제12 직선 구간, 제5 직경 확장 구간 및 제13 직선 구간을 포함한다. 제9 직선 구간은 제1 파이프 부재의 일단을 씌우도록 설치된다. 제1 파이프 부재의 단부는 제2 직경 축소 구간에 맞닿는다. 제12 직선 구간의 일단은 제11 직선 구간 내에 네스팅된다. 제12 직선 구간의 단부는 제4 직경 확장 구간에 맞닿는다. 제2 파이프 부재의 일단은 제13 직선 구간 내에 네스팅된다. 제2 파이프 부재의 단부는 제5 직경 확장 구간에 맞닿는다.
또한, 제1 파이프 부재와 제2 파이프 부재의 재질은 스테인리스강이고, 제1 연결 슬리브와 제2 연결 슬리브의 재질은 구리이다.
본 출원의 다른 일 양상은 사방 밸브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여기에는 사방 밸브 및 조인트 어셈블리가 포함된다. 조인트 어셈블리는 상술한 조인트 어셈블리이다.
본 출원의 다른 일 양상은 공조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깅세는 사방 밸브 어셈블리가 포함된다. 사방 밸브 어셈블리는 상술한 사방 밸브 어셈블리이다.
본 출원의 기술적 해결책을 적용함에 있어서, 조인트 어셈블리는 제1 파이프 부재, 제2 파이프 부재, 제1 연결 슬리브 및 제2 연결 슬리브를 포함한다. 제1 연결 슬리브는 제1 파이프 부재의 일단에 연결된다. 제2 연결 슬리브는 제2 파이프 부재의 일단에 연결된다. 제1 연결 슬리브는 제2 연결 슬리브와 연결된다. 여기에서, 제1 연결 슬리브는 제1 직선관이고, 제2 연결 슬리브는 제1 직선관과 네스팅되도록 설치되는 제2 직선관이다. 또는, 제1 연결 슬리브는 제1 가변 직경관이고, 제2 연결 슬리브는 제1 가변 직경관과 네스팅되도록 설치되는 제2 가변 직경관이다. 이처럼, 제1 연결 슬리브와 제2 연결 슬리브는 모두 비교적 짧다. 용접로 내에서 먼저 제1 파이프 부재를 제1 연결 슬리브와 연결하고, 제2 파이프 부재를 제2 연결 슬리브와 연결할 수 있다. 그 다음, 용접로 외부에서 다시 제1 연결 슬리브를 제2 연결 슬리브와 연결하여, 제1 파이프 부재와 제2 파이프 부재를 함께 연결한다. 이처럼, 본 출원의 기술적 해결책은 서로 연결된 제1 파이프 부재와 제2 파이프 부재의 연결 길이가 제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너무 작은 용접로를 고려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출원의 기술적 해결책은 관련 기술에서 용접로 부피가 제한되어 스테인리스 강관의 길이가 제한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였다. 또한 제2 직선관과 제1 직선관이 네스팅되도록 설치되어, 제1 연결 슬리브와 제2 연결 슬리브의 연결 강도를 강화시킬 수 있다. 또는 제1 가변 직경관이 제1 파이프 부재 자체의 구조적 강도를 강화할 수 있고, 제2 가변 직경관이 제2 파이프 부재 자체의 구조적 강도를 강화할 수 있다. 이처럼 제1 파이프 부재와 제2 파이프 부재의 연결 강도를 강화하여, 제1 파이프 부재와 제2 파이프 부재가 함께 연결되는 품질을 보장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를 구성하는 명세서 첨부 도면은 본 출원의 추가적인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예시적 실시예 및 그에 대한 설명은 본 출원을 해석하기 위한 것이며, 이는 본 출원을 제한하지 않는다. 첨부 도면에 대한 설명은 하기와 같다.
도 1은 본 출원에 따른 조인트 어셈블리의 실시예 1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조인트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조인트 어셈블리의 A 지점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에 따른 조인트 어셈블리의 실시예 2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조인트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조인트 어셈블리의 B 지점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에 따른 조인트 어셈블리의 실시예 3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조인트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조인트 어셈블리의 C 지점의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 실시예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설명된 실시예는 본 출원의 전부가 아닌 일부 실시예일 뿐이다. 이하에서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설명을 위한 것일 뿐이므로 본 출원 및 그 응용 또는 사용을 제한하지 않는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조인트 어셈블리는 제1 파이프 부재(10), 제2 파이프 부재(20), 제1 연결 슬리브(30) 및 제2 연결 슬리브(40)를 포함한다. 제1 연결 슬리브(30)는 제1 파이프 부재(10)의 일단에 연결된다. 제2 연결 슬리브(40)는 제2 파이프 부재(20)의 일단에 연결된다. 제1 연결 슬리브(30)는 제2 연결 슬리브(40)와 연결된다. 여기에서, 제1 연결 슬리브(30)는 제1 직선관이고, 제2 연결 슬리브(40)는 제1 직선관과 네스팅되도록 설치되는 제2 직선관이다.
실시예 1의 기술적 해결책을 적용하여, 제1 연결 슬리브(30)와 제2 연결 슬리브(40)가 모두 비교적 짧다. 용접로 내에서 먼저 제1 파이프 부재(10)를 제1 연결 슬리브(30)와 연결하고, 제2 파이프 부재(20)를 제2 연결 슬리브(40)와 연결할 수 있다. 그 다음, 용접로 외부에서 다시 제1 연결 슬리브(30)를 제2 연결 슬리브(40)와 연결하여, 제1 파이프 부재(10)와 제2 파이프 부재(20)를 함께 연결한다. 이처럼, 본 출원의 기술적 해결책은 서로 연결된 제1 파이프 부재(10)와 제2 파이프 부재(20)의 연결 길이가 제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너무 작은 용접로를 고려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실시예 1의 기술적 해결책은 관련 기술에서 용접로 부피가 제한되어 스테인리스 강관의 길이가 제한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였다. 또한 제2 직선관과 제1 직선관이 네스팅되도록 설치되어, 제1 연결 슬리브(30)와 제2 연결 슬리브(40)의 연결 강도를 강화할 수 있다. 이처럼 제1 파이프 부재(10)와 제2 파이프 부재(20)의 연결 강도를 강화하여, 제1 파이프 부재(10)와 제2 파이프 부재(20)가 함께 연결되는 품질을 보장할 수 있다. 용접로가 너무 작기 때문에, 제1 파이프 부재(10) 또는 제2 파이프 부재(20)를 복수 구간으로 절단할 수 있다.
실시예 1에 있어서, 제1 연결 슬리브(30)와 제1 파이프 부재(10)의 일단은 노내납땜을 채택하며, 구리계 땜납을 사용하고, 융점은 1000도 이상이다. 제2 연결 슬리브(40)를 제2 파이프 부재(20)의 일단에 연결하는 것은 노내납땜을 채택하며, 구리계 땜납을 사용하고 융점은 1000도 이상이다. 제1 연결 슬리브(30)와 제2 연결 슬리브(40)는 화염 용접을 채택하며, 인-구리 땜납을 사용하고, 용접 온도는 900도 이하이다. 이처럼, 연결 위치에 따라 상이한 땜납의 융점을 적용하여 각각의 용접 위치가 영향을 받지 않도록 보장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 슬리브(30)가 제1 직선관이고, 제2 연결 슬리브(40)가 제2 직선관인 경우, 제1 파이프 부재(10)는 제3 가변 직경관이고, 제2 파이프 부재(20)는 제4 가변 직경관이다. 제1 파이프 부재(10)와 제1 연결 슬리브(30)가 네스팅되도록 설치되고, 제2 연결 슬리브(40)와 제2 파이프 부재(20)가 네스팅되도록 설치된다. 이처럼, 제1 파이프 부재(10), 제1 연결 슬리브(30), 제2 연결 슬리브(40) 및 제2 파이프 부재(20)는 순차적으로 함께 적층된다. 제1 파이프 부재(10)와 제2 파이프 부재(20) 사이가 접촉되지 않아, 제1 파이프 부재(10)와 제2 파이프 부재(20)의 연결 강도가 크게 증가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파이프 부재(10)는 순차적으로 연결된 제1 직선 구간(11), 제1 직경 확장 구간(12) 및 제2 직선 구간(13)을 포함한다. 제2 파이프 부재(20)는 순차적으로 연결된 제3 직선 구간(21), 제2 직경 확장 구간(22) 및 제4 직선 구간(23)을 포함한다. 제1 연결 슬리브(30)는 제2 직선 구간(13)을 씌우도록 설치된다. 제2 연결 슬리브(40)는 제1 연결 슬리브(30)를 씌우도록 설치된다. 제3 직선 구간(21)은 제2 연결 슬리브(40)를 씌우도록 설치된다. 제2 연결 슬리브(40)의 단부는 제2 직경 확장 구간(22)에 맞닿는다. 이처럼, 제1 연결 슬리브(30)와 제2 직선 구간(13) 연결 지점의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2 직선 구간(13), 제1 연결 슬리브(30), 제2 연결 슬리브(40) 및 제4 직선 구간(23) 사이의 연결 지점의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직경 확장 구간(12)의 외벽과 제1 직선 구간(11)의 외벽 사이의 협각은 120도 이상이다. 이처럼, 제1 직경 확장 구간(12)의 외벽과 제1 직선 구간(11)의 외벽 전이 지점에 응력 집중이 쉽게 일어나지 않아 가공이 용이하다. 제1 직경 확장 구간(12)의 외벽과 제1 직선 구간(11)의 외벽 사이의 협각은 바람직하게는 120도 또는 150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파이프 부재(10)와 제2 파이프 부재(20) 사이 연결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제1 연결 슬리브(30)의 길이는 제2 연결 슬리브(40)의 길이보다 크고, 제2 연결 슬리브(40)의 길이는 제4 직선 구간(23)의 길이보다 크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파이프 부재(20) 내에 위치한 제1 연결 슬리브(30)의 일단은 제1 파이프 부재(10)에서 돌출된다. 제2 파이프 부재(20) 내에 위치한 제2 연결 슬리브(40)의 일단은 제1 파이프 부재(10)에서 돌출된다. 이처럼, 제2 직선 구간(13) 내 유통물(예를 들어 가스 또는 액체)이 제3 직선 구간(21) 내로 원활하게 유통하여, 제2 직경 확장 구간(22)이 유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킨다.
실시예 1에 있어서, 제1 파이프 부재(10)와 제2 파이프 부재(20)의 재질은 스테인리스강이고, 제1 연결 슬리브(30)와 제2 연결 슬리브(40)의 재질은 구리이다.
본 출원의 조인트 어셈블리의 실시예 2에 있어서, 실시예 1과의 차이점은 제1 파이프 부재의 구조적 형태에 있다. 도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2에 있어서, 제1 파이프 부재(10)는 순차적으로 연결된 제5 직선 구간(14), 제1 직경 축소 구간(15) 및 제6 직선 구간(16)을 포함한다. 제2 파이프 부재(20)는 순차적으로 연결된 제7 직선 구간(24), 제3 직경 확장 구간(25) 및 제8 직선 구간(26)을 포함한다. 제1 연결 슬리브(30)는 제5 직선 구간(14)을 씌우도록 설치된다. 제1 연결 슬리브(30)의 단부는 제1 직경 축소 구간(15)에 맞닿는다. 제2 연결 슬리브(40)는 제1 연결 슬리브(30)를 씌우도록 설치된다. 제8 직선 구간(26)은 제2 연결 슬리브(40)를 씌우도록 설치된다. 제2 연결 슬리브(40)의 단부는 제3 직경 확장 구간(25)에 맞닿는다. 이처럼, 제1 연결 슬리브(30)와 제5 직선 구간(14) 연결 지점의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6 직선 구간(16), 제1 연결 슬리브(30), 제2 연결 슬리브(40) 및 제8 직선 구간(26) 사이의 연결 지점의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직경 축소 구간(15)의 외벽과 제5 직선 구간(14)의 외벽 사이의 협각은 120도 이상이다. 이처럼, 제1 직경 축소 구간(15)과 제5 직선 구간(14)의 외벽 전이 지점에 응력 집중이 쉽게 일어나지 않아 가공이 용이하다. 제1 직경 축소 구간(15)의 외벽과 제5 직선 구간(14)의 외벽 사이의 협각은 바람직하게는 120도 또는 150도이다.
본 출원의 조인트 어셈블리의 실시예 3에 있어서, 실시예 1과의 차이점은 제1 파이프 부재, 제1 연결 슬리브, 제2 연결 슬리브 및 제2 파이프 부재의 구조적 형태에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3에 있어서, 제1 연결 슬리브(30)가 제1 가변 직경관이고, 제2 연결 슬리브(40)가 제2 가변 직경관인 경우, 제1 파이프 부재(10)는 제3 직선관이고, 제2 파이프 부재(20)는 제4 직선관이다. 제1 연결 슬리브(30)의 제1단은 제1 파이프 부재(10)의 일단과 네스팅되도록 설치된다. 제1 연결 슬리브(30)의 제2단은 제2 연결 슬리브(40)의 제1단과 네스팅되도록 설치된다. 제2 연결 슬리브(40)의 제2단은 제2 파이프 부재(20)의 일단과 네스팅되도록 설치된다. 제1 가변 직경관이 제1 파이프 부재(10) 자체의 구조적 강도를 강화할 수 있고, 제2 가변 직경관이 제2 파이프 부재(20) 자체의 구조적 강도를 강화할 수 있다. 이처럼 제1 파이프 부재(10)와 제2 파이프 부재(20)의 연결 강도를 강화하여, 제1 파이프 부재(10)와 제2 파이프 부재(20)가 함께 연결되는 품질을 보장할 수 있다. 동시에, 제1 파이프 부재와 제1 연결 슬리브 사이에 화염 용접을 수행할 때, 화염 용접 시 제1 파이프 부재가 타는 것을 방지하고, 제1 파이프 부재가 비교적 우수한 내식성을 갖도록 하여, 제1 연결 슬리브의 사용 수명이 연장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 슬리브(30)는 순차적으로 연결된 제9 직선 구간(31), 제2 직경 축소 구간(32), 제10 직선 구간(33), 제4 직경 확장 구간(34) 및 제11 직선 구간(35)을 포함한다. 제2 연결 슬리브(40)는 순차적으로 연결된 제12 직선 구간(41), 제5 직경 확장 구간(42) 및 제13 직선 구간(43)을 포함한다. 제9 직선 구간(31)은 제1 파이프 부재(10)의 일단을 씌우도록 설치된다. 이처럼, 제9 직선 구간(31)과 제1 파이프 부재(10)의 일단 사이의 연결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제1 파이프 부재(10)의 단부는 제2 직경 축소 구간(32)에 맞닿고, 제12 직선 구간(41)의 일단은 제11 직선 구간(35) 내에 네스팅된다. 이처럼, 제12 직선 구간(41)의 일단과 제11 직선 구간(35) 사이의 연결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제12 직선 구간(41)의 단부는 제4 직경 확장 구간(34)에 맞닿는다. 제2 파이프 부재(20)의 일단은 제13 직선 구간(43) 내에 네스팅된다. 제2 파이프 부재(20)의 단부는 제5 직경 확장 구간(42)에 맞닿는다. 이처럼, 제2 파이프 부재(20)의 일단과 제13 직선 구간(43) 사이의 연결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본 출원은 사방 밸브 어셈블리를 더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사방 밸브 어셈블리는 사방 밸브 및 조인트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조인트 어셈블리는 상술한 조인트 어셈블리이다. 상술한 조인트 어셈블리는 관련 기술에서 용접로 부피 제한으로 인해, 스테인리스 강관의 길이가 제한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조인트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사방 밸브 어셈블리도 동일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출원은 공조 시스템을 더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공조 시스템은 사방 밸브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사방 밸브 어셈블리는 상술한 사방 밸브 어셈블리이다. 상술한 사방 밸브 어셈블리는 관련 기술에서 용접로 부피 제한으로 인해, 스테인리스 강관의 길이가 제한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사방 밸브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공조 시스템도 동일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 내용은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출원을 제한하지 않는다. 본 출원이 속한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사상과 원칙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진 모든 수정, 동등한 대체, 개선 등은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상기 첨부 도면에는 하기의 참조 부호가 포함된다.
10-제1 파이프 부재, 11-제1 직선 구간, 12-제1 직경 확장 구간, 13-제2 직선 구간, 14-제5 직선 구간, 15-제1 직경 축소 구간, 16은 제6 직선 구간, 20-제2 파이프 부재, 21-제3 직선 구간, 22-제2 직경 확장 구간, 23-제4 직선 구간, 24-제7 직선 구간, 25-제3 직경 확장 구간, 26-제8 직선 구간, 30-제1 연결 슬리브, 31-제9 직선 구간, 32-제2 직경 축소 구간, 33-제10 직선 구간, 34-제4 직경 확장 구간, 35-제11 직선 구간, 40-제2 연결 슬리브, 41-제12 직선 구간, 42-제5 직경 확장 구간, 43-제13 직선 구간.

Claims (13)

  1. 조인트 어셈블리에 있어서,
    제1 파이프 부재(10);
    제2 파이프 부재(20);
    상기 제1 파이프 부재(10)의 일단에 연결된 제1 연결 슬리브(30); 및
    상기 제2 파이프 부재(20)의 일단에 연결된 제2 연결 슬리브(4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슬리브(30)는 상기 제2 연결 슬리브(40)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연결 슬리브(30)는 제1 직선관이고, 상기 제2 연결 슬리브(40)는 상기 제1 직선관과 네스팅되도록 설치된 제2 직선관이거나, 상기 제1 연결 슬리브(30)는 제1 가변 직경관이고, 상기 제2 연결 슬리브(40)는 상기 제1 가변 직경관과 네스팅되도록 설치된 제2 가변 직경관인, 조인트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슬리브(30)가 상기 제1 직선관이고 상기 제2 연결 슬리브(40)가 상기 제2 직선관인 경우, 상기 제1 파이프 부재(10)는 제3 가변 직경관이고, 상기 제2 파이프 부재(20)는 제4 가변 직경관이고, 상기 제1 파이프 부재(10)와 상기 제1 연결 슬리브(30)가 네스팅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 연결 슬리브(40)와 상기 제2 파이프 부재(20)가 네스팅되도록 설치되는, 조인트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프 부재(10)는 순차적으로 연결된 제1 직선 구간(11), 제1 직경 확장 구간(12) 및 제2 직선 구간(13)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파이프 부재(20)는 순차적으로 연결된 제3 직선 구간(21), 제2 직경 확장 구간(22) 및 제4 직선 구간(23)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슬리브(30)는 상기 제2 직선 구간(13)을 씌우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 연결 슬리브(40)는 상기 제1 연결 슬리브(30)를 씌우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3 직선 구간(21)은 상기 제2 연결 슬리브(40)를 씌우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 연결 슬리브(40)의 단부는 상기 제2 직경 확장 구간(22)에 맞닿는, 조인트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직경 확장 구간(12)의 외벽과 상기 제1 직선 구간(11)의 외벽 사이의 협각이 120도 이상인, 조인트 어셈블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슬리브(30)의 길이가 상기 제2 연결 슬리브(40)의 길이보다 크고, 상기 제2 연결 슬리브(40)의 길이가 상기 제4 직선 구간(23)의 길이보다 큰, 조인트 어셈블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이프 부재(20) 내에 위치한 상기 제1 연결 슬리브(30)의 일단은 상기 제1 파이프 부재(10)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2 파이프 부재(20) 내에 위치한 상기 제2 연결 슬리브(40)의 일단은 상기 제1 파이프 부재(10)에서 돌출되는, 조인트 어셈블리.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프 부재(10)는 순차적으로 연결된 제5 직선 구간(14), 제1 직경 축소 구간(15) 및 제6 직선 구간(16)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파이프 부재(20)는 순차적으로 연결된 제7 직선 구간(24), 제3 직경 확장 구간(25) 및 제8 직선 구간(26)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슬리브(30)는 상기 제5 직선 구간(14)을 씌우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 연결 슬리브(30)의 단부는 상기 제1 직경 축소 구간(15)에 맞닿고, 상기 제2 연결 슬리브(40)는 상기 제1 연결 슬리브(30)를 씌우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8 직선 구간(26)은 상기 제2 연결 슬리브(40)를 씌우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 연결 슬리브(40)의 단부는 상기 제3 직경 확장 구간(25)에 맞닿는, 조인트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직경 축소 구간(15)의 외벽과 상기 제5 직선 구간(14)의 외벽 사이의 협각이 120도 이상인, 조인트 어셈블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슬리브(30)가 상기 제1 가변 직경관이고, 상기 제2 연결 슬리브(40)가 상기 제2 가변 직경관인 경우, 상기 제1 파이프 부재(10)는 제3 직선관이고, 상기 제2 파이프 부재(20)는 제4 직선관이고, 상기 제1 연결 슬리브(30)의 제1단은 상기 제1 파이프 부재(10)의 일단과 네스팅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 연결 슬리브(30)의 제2단은 상기 제2 연결 슬리브(40)의 제1단과 네스팅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 연결 슬리브(40)의 제2단은 상기 제2 파이프 부재(20)의 일단과 네스팅되도록 설치되는, 조인트 어셈블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슬리브(30)는 순차적으로 연결된 제9 직선 구간(31), 제2 직경 축소 구간(32), 제10 직선 구간(33), 제4 직경 확장 구간(34) 및 제11 직선 구간(35)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 슬리브(40)는 순차적으로 연결된 제12 직선 구간(41), 제5 직경 확장 구간(42) 및 제13 직선 구간(43)을 포함하고, 상기 제9 직선 구간(31)은 상기 제1 파이프 부재(10)의 일단을 씌우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 파이프 부재(10)의 단부는 상기 제2 직경 축소 구간(32)에 맞닿고, 상기 제12 직선 구간(41)의 일단은 상기 제11 직선 구간(35) 내에 네스팅되고, 상기 제12 직선 구간(41)의 단부는 상기 제4 직경 확장 구간(34)에 맞닿고, 상기 제2 파이프 부재(20)의 일단은 상기 제13 직선 구간(43) 내에 네스팅되고, 상기 제2 파이프 부재(20)의 단부는 상기 제5 직경 확장 구간(42)에 맞닿는, 조인트 어셈블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프 부재(10)와 상기 제2 파이프 부재(20)의 재질은 스테인리스강이고, 상기 제1 연결 슬리브(30)와 상기 제2 연결 슬리브(40)의 재질은 구리인, 조인트 어셈블리.
  12. 사방 밸브 및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인트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사방 밸브 어셈블리.
  13. 제12항에 따른 사방 밸브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공조 시스템.
KR1020237037154A 2021-04-13 2022-02-11 조인트 어셈블리, 사방 밸브 어셈블리 및 공조 시스템 KR202301626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20752797.6 2021-04-13
CN202120752797.6U CN215060195U (zh) 2021-04-13 2021-04-13 接头组件、四通阀组件以及空调系统
PCT/CN2022/076084 WO2022218023A1 (zh) 2021-04-13 2022-02-11 接头组件、四通阀组件以及空调系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2684A true KR20230162684A (ko) 2023-11-28

Family

ID=79149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7154A KR20230162684A (ko) 2021-04-13 2022-02-11 조인트 어셈블리, 사방 밸브 어셈블리 및 공조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4513318A (ko)
KR (1) KR20230162684A (ko)
CN (1) CN215060195U (ko)
WO (1) WO20222180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5060195U (zh) * 2021-04-13 2021-12-07 浙江盾安禾田金属有限公司 接头组件、四通阀组件以及空调系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37259B1 (fr) * 2002-03-14 2004-05-28 Snecma Moteurs Raccord fluidique resistant aux hautes pressions a chaud
CN211925062U (zh) * 2020-03-25 2020-11-13 广东恒基金属制品实业有限公司 一种不锈钢管与铜管的焊接结构
CN112178308A (zh) * 2020-09-21 2021-01-05 浙江盾安人工环境股份有限公司 管件连接结构
CN213809308U (zh) * 2020-12-07 2021-07-27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管路及空调器
CN215060195U (zh) * 2021-04-13 2021-12-07 浙江盾安禾田金属有限公司 接头组件、四通阀组件以及空调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18023A1 (zh) 2022-10-20
JP2024513318A (ja) 2024-03-25
CN215060195U (zh) 202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162684A (ko) 조인트 어셈블리, 사방 밸브 어셈블리 및 공조 시스템
CN211951743U (zh) 一种超高压全新料钢丝网骨架管
CN204388688U (zh) 用于换热器的集流管组件
CN106555910B (zh) 管道连接结构及方法、空调机组的管路总成
CN209495044U (zh) 一种接头及管道
JP2008279453A (ja) 配管合流部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016686A (ja) 配管合流部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CN204852675U (zh) 一种管体对接焊用复合套管
CN217844115U (zh) 一种不锈钢空调管组件
WO2022227709A1 (zh) 集气管
KR20220143135A (ko) 파이프 부재 연결 구조
CN215763749U (zh) 金属接管结构
CN204787962U (zh) 一种高熔点金属板翅式换热器
KR20230160386A (ko) 연결관 어셈블리 및 그 조립 방법, 스테인리스 사방밸브 및 공조 관로 시스템
CN215488215U (zh) 一种多对接结构的流体阀
CN210344655U (zh) 一种厚壁y型三通金属管件
CN215674157U (zh) 一种三通管道
KR200364131Y1 (ko) 확관연결구의 파이프 고정구조
CN211736206U (zh) 一种有缝排烟风管
CN219221572U (zh) 一种可快速连接的钛管
CN220668751U (zh) 一种并联发热装置
CN209054189U (zh) 一种圆管制成的耐用双面镀铜的y形燃气总管
CN215111067U (zh) 一种新型贮液消音器
CN210770789U (zh) 一种耐腐蚀双壁波纹管
CN214500482U (zh) 一种多级变径异径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