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2049A - 밸브 장치 - Google Patents

밸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2049A
KR20230162049A KR1020237036845A KR20237036845A KR20230162049A KR 20230162049 A KR20230162049 A KR 20230162049A KR 1020237036845 A KR1020237036845 A KR 1020237036845A KR 20237036845 A KR20237036845 A KR 20237036845A KR 20230162049 A KR20230162049 A KR 20230162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opening
refrigerant
refrigerant passage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6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스케 아라이
히사시 아사노
마사하루 이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Publication of KR20230162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20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12Covers for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F25B41/34Expansion valves with the valve member being actuated by electric means, e.g. by piezoelectric actuators
    • F25B41/35Expansion valves with the valve member being actuated by electric means, e.g. by piezoelectric actuators by rotary motors, e.g. by stepping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01Geometry problems, e.g. for reducing siz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5/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evaporator circuits, e.g. for varying refrigerating capacity
    • F25B5/0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evaporator circuits, e.g. for varying refrigerating capacity arranged in parall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냉매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는 소형의 밸브 장치를 제공한다. 밸브 장치(5)는 밸브 모듈(10)과, 리시버 드라이어(20)를 갖고 있다. 밸브 모듈(10)이 복수의 냉매 통로를 갖는 하나의 밸브 본체(100)와, 밸브 본체(100)에 부착된 복수의 밸브 유닛을 갖고 있다. 리시버 드라이어(20)가 냉매를 저류 가능한 통형상의 리시버 드라이어 본체(210)와, 리시버 드라이어 본체(210)의 상단부에 접합된 덮개체(220)를 갖고 있다. 그리고, 덮개체(220)가 밸브 본체(100)와 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밸브 장치
본 발명은 밸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은 종래의 냉동 사이클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 문헌 1의 냉동 사이클 장치는 제1∼제3 개폐 밸브를 포함하는 냉매 회로 전환부를 구비한다. 냉매 회로 전환부는 제1 회로와 제2 회로를 전환한다. 제1 회로에서, 실내 응축기로부터 유출된 냉매는 순번대로 리시버 드라이어, 난방용 팽창 밸브 및 실외 열교환기에 흐른다. 제2 회로에서, 실외 열교환기로부터 유출된 냉매는 순번대로 리시버 드라이어, 냉방용 팽창 밸브 및 실내 증발기에 흐른다. 냉동 사이클 장치는 제1 회로에서, 난방용 팽창 밸브의 상류에 리시버 드라이어가 배치되고, 제2 회로에서, 냉방용 팽창 밸브의 상류에 리시버 드라이어가 배치된다. 리시버 드라이어는 실내 응축기에서 응축된 액상 냉매의 잉여분을 축적한다. 이에 의해, 증발기로서의 실외 열교환기 또는 실내 증발기로부터 유출되는 냉매에 과열도를 갖게 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2020-176824호 공보
상술한 냉동 사이클 장치에서는 실내 응축기와 제1 개폐 밸브와 제2 개폐 밸브가 3방 조인트 및 배관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한, 리시버 드라이어와 다른 부품도 동일 또는 같은 방법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 때문에 냉동 사이클 장치는 접속 개소가 많고, 냉매가 누설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냉동 사이클 장치에서 각 부품이 3방 조인트 및 배관을 통하여 접속되기 때문에 냉동 사이클 장치가 커진다.
그래서, 본 발명은 냉매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는 소형의 밸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밸브 장치는,
밸브 모듈과, 리시버 드라이어를 갖는 밸브 장치로서,
상기 밸브 모듈이 복수의 냉매 통로를 갖는 하나의 밸브 본체와, 상기 밸브 본체에 부착된 복수의 밸브 유닛을 가지고,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가 냉매를 저류 가능한 통형상의 리시버 드라이어 본체와,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본체의 상단부에 접합된 덮개체를 가지고,
상기 덮개체가 상기 밸브 본체와 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가 나사구멍을 가지고,
상기 밸브 본체가 상기 나사구멍에 대응하여 배치된 관통구멍을 가지고,
상기 덮개체가 상기 관통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나사구멍에 나합되는 볼트에 의해 상기 밸브 본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가 상기 나사구멍을 2개 가지고,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본체의 내측 공간에 통과하는 접속구멍을 2개 가지고,
2개의 상기 나사구멍의 중심을 잇는 선분이 2개의 상기 접속구멍의 중심을 잇는 선분과 교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밸브 장치가 원통형상의 조인트 부재를 가지고,
상기 조인트 부재가 축방향으로 접속된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가지고,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접속구멍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냉매 통로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밸브 유닛이 역지밸브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역지밸브 유닛이 상기 조인트 부재가 배치된 냉매 통로에 배치되고,
상기 조인트 부재가 상기 역지밸브 유닛을 유지하는 유지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밸브 본체의 외면에는 제1 실내측 개구, 제2 실내측 개구, 제1 실외측 개구, 제2 실외측 개구, 제1 중간 개구 및 제2 중간 개구가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냉매 통로가,
상기 제1 실내측 개구와 상기 제2 중간 개구를 접속하는 제1 냉매 통로와,
상기 제1 실내측 개구와 상기 제2 실외측 개구를 접속하는 제2 냉매 통로와,
상기 제1 중간 개구와 상기 제2 냉매 통로를 접속하는 제3 냉매 통로와,
상기 제1 실외측 개구와 상기 제2 중간 개구를 접속하는 제4 냉매 통로와,
상기 제1 중간 개구와 상기 제2 실내측 개구를 접속하는 제5 냉매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밸브 유닛이,
상기 제1 냉매 통로를 개폐 가능한 제1 개폐 밸브 유닛과,
상기 제2 냉매 통로에서의 상기 제1 실내측 개구와 상기 제3 냉매 통로와의 접속 개소 사이의 제1 통로 부분을 개폐 가능한 제2 개폐 밸브 유닛과,
상기 제2 냉매 통로에서의 상기 제2 실외측 개구와 상기 제3 냉매 통로와의 접속 개소 사이의 제2 통로 부분의 통로 면적을 무단계로 변경 가능한 유량 조정 밸브 유닛과,
상기 제3 냉매 통로에서의 상기 제1 중간 개구로부터 상기 제2 냉매 통로에의 냉매의 흐름을 허용하면서 상기 제2 냉매 통로로부터 상기 제1 중간 개구에의 냉매의 흐름을 금지하는 제1 역지밸브 유닛과,
상기 제4 냉매 통로에서의 상기 제1 실외측 개구로부터 상기 제2 중간 개구에의 냉매의 흐름을 허용하면서 상기 제2 중간 개구로부터 상기 제1 실외측 개구에의 냉매의 흐름을 금지하는 제2 역지밸브 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밸브 본체의 외면에는 제3 실내측 개구가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냉매 통로가 상기 제1 실외측 개구와 상기 제3 실내측 개구를 접속하는 제6 냉매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밸브 유닛이 상기 제6 냉매 통로를 개폐 가능한 제3 개폐 밸브 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밸브 본체의 외면이 제1 평면과, 상기 제1 평면과 직각인 제2 평면과, 상기 제2 평면과 평행한 제3 평면을 가지고,
상기 제1 평면에는 상기 제1 평면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2 부착구멍과 제3 부착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제2 평면에는 상기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1 부착구멍과 제4 부착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제1 부착구멍의 내측에는 상기 제1 개폐 밸브 유닛에 의해 개폐되는 제1 밸브구가 배치되고,
상기 제2 부착구멍의 내측에는 상기 제2 개폐 밸브 유닛에 의해 개폐되는 제2 밸브구가 배치되고,
상기 제3 부착구멍의 내측에는 상기 제3 개폐 밸브 유닛에 의해 개폐되는 제3 밸브구가 배치되고,
상기 제4 부착구멍의 내측에는 상기 유량 조정 밸브 유닛에 의해 개구면적이 무단계로 변경되는 제4 밸브구가 배치되고,
상기 관통구멍이 상기 제2 평면으로부터 상기 제3 평면까지 늘어나 있고,
상기 제1 평면의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관통구멍의 상기 길이 방향의 위치가 상기 제2 밸브구와 상기 제3 밸브구 사이에 있고,
상기 제2 평면의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관통구멍의 상기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위치가 상기 제1 밸브구와 상기 제4 밸브구 사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냉매 통로가 상기 제2 밸브구 및 상기 제4 밸브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냉매 통로에서의 상기 제2 밸브구와 상기 제4 밸브구 사이의 부분이 L자 형상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밸브 장치는 밸브 모듈과, 리시버 드라이어를 갖고 있다. 밸브 모듈이 복수의 냉매 통로를 갖는 하나의 밸브 본체와, 밸브 본체에 부착된 복수의 밸브 유닛을 갖고 있다. 리시버 드라이어가 냉매를 저류 가능한 통형상의 리시버 드라이어 본체와, 리시버 드라이어 본체의 상단부에 접합된 덮개체를 갖고 있다. 그리고, 덮개체가 밸브 본체와 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밸브 모듈과 리시버 드라이어를 가장 근접하게 배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밸브 장치를 소형화 할 수 있다. 또한, 밸브 장치는 복수의 냉매 통로를 갖는 하나의 밸브 본체와 밸브 본체에 부착된 복수의 밸브 유닛을 갖고 있다. 그 때문에 냉매 통로끼리의 접속 개소 및 냉매 통로와 밸브 유닛의 접속 개소에서 냉매가 누설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접속을 위한 부품을 삭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한 밸브 장치를 갖는 공조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
도 2는 도 1의 공조 장치가 난방 모드일 때의 냉매의 흐름을 도시하는 도.
도 3은 도 1의 공조 장치가 냉방 모드일 때의 냉매의 흐름을 도시하는 도.
도 4는 도 1의 공조 장치가 제습 난방 모드일 때의 냉매의 흐름을 도시하는 도.
도 5는 도 1의 공조 장치가 가지는 밸브 장치의 정면도.
도 6은 도 5의 밸브 장치가 가지는 밸브 모듈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밸브 모듈의 다른 사시도.
도 8은 도 6의 밸브 모듈의 정면도.
도 9는 도 6의 밸브 모듈의 우측면도.
도 10은 도 6의 밸브 모듈의 좌측면도.
도 11은 도 6의 밸브 모듈의 평면도.
도 12는 도 6의 밸브 모듈의 저면도.
도 13은 도 6의 밸브 모듈의 배면도.
도 14는 도 9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15는 도 9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16은 도 9의 C-C선에 따른 단면도.
도 17은 도 9의 D-D선에 따른 단면도.
도 18은 도 8의 E-E선에 따른 단면도.
도 19는 도 8의 F-F선에 따른 단면도.
도 20은 도 8의 G-G선에 따른 단면도.
도 21은 도 8의 H-H선에 따른 단면도.
도 22는 도 8의 J-J선에 따른 단면도.
도 23은 도 6의 밸브 모듈이 가지는 밸브 본체의 평면도.
도 24는 도 6의 밸브 모듈이 가지는 밸브 본체의 우측면도.
도 25는 도 6의 밸브 모듈이 가지는 제1 개폐 밸브 유닛의 단면도.
도 26은 도 6의 밸브 모듈이 가지는 제2 개폐 밸브 유닛의 단면도.
도 27은 도 6의 밸브 모듈이 가지는 유량 조정 밸브 유닛의 단면도.
도 28은 도 5의 밸브 장치가 가지는 리시버 드라이어의 사시도.
도 29는 도 28의 리시버 드라이어의 정면도.
도 30은 도 28의 리시버 드라이어의 평면도.
도 31은 도 5의 밸브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도(밸브 본체에 리시버 드라이어를 부착하기 전의 상태).
도 32는 도 5의 밸브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도(밸브 본체에 리시버 드라이어를 부착한 후의 상태).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한 밸브 장치에 관해, 도 1∼도 3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한 밸브 장치를 갖는 공조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공조 장치가 난방 모드일 때의 냉매의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공조 장치가 냉방 모드일 때의 냉매의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공조 장치가 제습 난방 모드일 때의 냉매의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공조 장치가 가지는 밸브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6∼도 13은 도 5의 밸브 장치가 가지는 밸브 모듈의 사시도, 다른 사시도, 정면도, 우측면도, 좌측면도, 평면도, 저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14∼도 17은 도 9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B-B선에 따른 단면도, C-C선에 따른 단면도 및 D-D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8∼도 22는 도 8의 E-E선에 따른 단면도, F-F선에 따른 단면도, G-G선에 따른 단면도, H-H선에 따른 단면도 및 J-J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3, 도 24는 도 6의 밸브 모듈이 가지는 밸브 본체의 평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 25∼도 27은 도 6의 밸브 모듈이 가지는 제1 개폐 밸브 유닛의 단면도, 제2 개폐 밸브 유닛의 단면도 및 유량 조정 밸브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28∼도 30은 도 5의 밸브 장치가 가지는 리시버 드라이어의 사시도,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31, 도 32는 도 5의 밸브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1은 밸브 본체에 리시버 드라이어를 부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32는 밸브 본체에 리시버 드라이어를 부착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각 도면에서, 화살표(X)로 나타내는 X방향이 좌우 방향이고, 화살표(Y)로 나타내는 Y방향이 전후 방향이고, 화살표(Z)로 나타내는 Z방향이 상하 방향이다. 화살표(X)에서 「X」의 문자가 있는 쪽이 우방(右方)이고, 화살표(Y)에서 「Y」의 문자가 있는 쪽이 후방이고, 화살표(Z)에서 「Z」의 문자가 있는 쪽이 상방이다.
공조 장치(1)는 예를 들면, 차량에 탑재되어, 차실에의 송풍 공기를 냉각하거나 가열하거나 하는 차량용 공조 장치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조 장치(1)는 밸브 장치(5)와, 압축기(30)와, 실내 응축기(40)와, 실내 증발기(50)와, 실외 열교환기(60)와, 유량 조정 밸브(70)를 갖고 있다.
밸브 장치(5)는 밸브 모듈(10)과, 리시버 드라이어(20)를 갖고 있다.
도 5∼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밸브 모듈(10)은 밸브 본체(100)와, 제1 개폐 밸브 유닛(300)과, 제2 개폐 밸브 유닛(400)과, 제3 개폐 밸브 유닛(500)과, 유량 조정 밸브 유닛(600)과, 제1 역지밸브 유닛(700)과, 제2 역지밸브 유닛(800)을 갖고 있다.
밸브 본체(100)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을 압출 성형함에 의해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밸브 본체(100)는 정면(101)과, 배면(102)과, 좌측면(103)과, 우측면(104)과, 상면(105)과, 하면(106)을 갖고 있다. 각 면은 밸브 본체(100)의 외면이고, 평면형상이다. 우측면(104)은 제1 평면이다. 상면(105)은 우측면(104)에 직각으로 접속된 제2 평면이다. 하면(106)은 우측면(104)에 직각으로 접속되면서 상면(105)과 평행한 제3 평면이다. 좌측면(103)은 상면(105)에 직각으로 접속되면서 우측면(104)과 평행한 제4 평면이다.
정면(101)에는 제1 실내측 개구(111)가 형성되어 있다(도 6, 도 8). 배면(102)에는 제1 실외측 개구(121)가 형성되어 있다(도 7, 도 13). 좌측면(103)에는 제2 실내측 개구(112), 제3 실내측 개구(113) 및 제2 실외측 개구(122)가 형성되어 있다(도 7, 도 10). 하면(106)에는 제1 중간 개구(131) 및 제2 중간 개구(132)가 형성되어 있다(도 12).
밸브 본체(100)는 절삭 가공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냉매 통로를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밸브 본체(100)는 제1 냉매 통로(151)와, 제2 냉매 통로(152)와, 제3 냉매 통로(153)와, 제4 냉매 통로(154)와, 제5 냉매 통로(155)와, 제6 냉매 통로(156)를 갖고 있다.
제1 냉매 통로(151)는 제1 실내측 개구(111)와 제2 중간 개구(132)를 접속하고 있다. 제1 냉매 통로(151)에는 제1 개폐 밸브 유닛(300)이 배치되어 있다.
제2 냉매 통로(152)는 제1 실내측 개구(111)와 제2 실외측 개구(122)를 접속하고 있다. 제2 냉매 통로(152)에는 제3 냉매 통로(153)가 접속되어 있다. 제2 냉매 통로(152)에서의 제1 실내측 개구(111)와 제3 냉매 통로(153)와의 접속 개소(152c) 사이의 제1 통로 부분(152a)에는 제2 개폐 밸브 유닛(400)이 배치되어 있다. 제2 냉매 통로(152)에서의 제2 실외측 개구(122)와 접속 개소(152c) 사이의 제2 통로 부분(152b)에는 유량 조정 밸브 유닛(600)이 배치되어 있다.
제3 냉매 통로(153)는 제1 중간 개구(131)와 제2 냉매 통로(152)를 접속하고 있다. 제3 냉매 통로(153)에는 제1 역지밸브 유닛(700)이 배치되어 있다.
제4 냉매 통로(154)는 제1 실외측 개구(121)와 제2 중간 개구(132)를 접속하고 있다. 제4 냉매 통로(154)에는 제2 역지밸브 유닛(800)이 배치되어 있다.
제5 냉매 통로(155)는 제1 중간 개구(131)와 제2 실내측 개구(112)를 접속하고 있다.
제6 냉매 통로(156)는 제1 실외측 개구(121)와 제3 실내측 개구(113)를 접속하고 있다. 제6 냉매 통로(156)에는 제3 개폐 밸브 유닛(500)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밸브 본체(100)는 제1 관통구멍(171)과, 제2 관통구멍(172)을 갖고 있다(도 8, 도 19). 제1 관통구멍(171) 및 제2 관통구멍(172)은 상면(105)부터 하면(106)까지 직선형상으로 늘어나 있다.
제1 개폐 밸브 유닛(300)은 상면(105)의 우측면(104) 가까이의 개소에 배치되어 있다. 제1 개폐 밸브 유닛(300)은 제1 냉매 통로(151)를 개폐 가능(즉, 통로 면적을 0 또는 0보다 큰 면적으로 변경 가능)하다.
제1 개폐 밸브 유닛(300)은 밸브 본체(100)와 함께 파일럿식의 개폐 밸브를 구성한다. 제1 개폐 밸브 유닛(300)은 노멀리 클로즈 타입이다. 밸브 본체(100)의 상면(105)에는 제1 부착구멍(161)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부착구멍(161)에는 제1 개폐 밸브 유닛(300)이 배치된다. 밸브 본체(100)는 제1 부착구멍(161)의 내측에 제1 밸브실(311)과, 제1 밸브실(311)에 개구한 제1 밸브구(312)와, 제1 밸브구(312)를 둘러싸는 제1 밸브시트(313)를 갖고 있다. 제1 밸브실(311) 및 제1 밸브구(312)는 제1 냉매 통로(151)의 일부이다.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개폐 밸브 유닛(300)은 주밸브체(320)와, 밸브체 구동부(330)를 갖고 있다.
주밸브체(320)는 원판 형상을 갖고 있다. 주밸브체(320)는 파일럿 통로(325)와, 균압 통로(326)를 갖고 있다. 주밸브체(320)가 제1 밸브시트(313)에 접함으로써 제1 밸브구(312)가 닫히고, 주밸브체(320)가 제1 밸브시트(313)로부터 떨어짐으로써 제1 밸브구(312)가 열린다.
밸브체 구동부(330)는 홀더(331)와, 케이스(332)와, 플런저(333)와, 전자 코일(334)과, 파일럿 밸브체(335)와, 고정 철심(336)을 갖고 있다.
홀더(331)는 원통형상을 갖고 있다. 홀더(331)는 밸브 본체(100)의 제1 부착구멍(161)에 감합되어 있다. 홀더(331)의 내측에는 주밸브체(32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주밸브체(320)는 제1 밸브실(311)과 홀더(331)의 내측의 배압실(314)을 구획하고 있다. 파일럿 통로(325)는 배압실(314)과 제1 밸브구(312)를 접속한다. 균압 통로(326)는 제1 밸브실(311)과 배압실(314)을 접속한다. 주밸브체(320)와 홀더(331)의 사이에는 개방밸브 스프링(337)이 배치되어 있다. 개방밸브 스프링(337)은 압축 코일 스프링이다. 개방밸브 스프링(337)은 주밸브체(320)를 상방으로 밀고 있다.
케이스(332)는 원통형상을 갖고 있다. 케이스(332)의 하단부는 홀더(331)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고, 홀더(331)에 접합되어 있다. 케이스(332)의 상단부의 내측에는 원주 형상의 고정 철심(336)이 배치되어 있다. 고정 철심(336)은 케이스(332)의 상단부에 접합되어 있다. 고정 철심(336)의 하단면에는 스프링 받이부재(336a)가 배치되어 있다.
플런저(333)는 원주 형상을 갖고 있다. 플런저(333)는 케이스(332)의 내측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플런저(333)의 상단면에는 스프링 수용구멍(333a)이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수용구멍(333a)의 저면(333b)과 고정 철심(336)의 스프링 받이부재(336a)와의 사이에는 플런저 스프링(338)이 배치되어 있다. 플런저 스프링(338)은 압축 코일 스프링이다. 플런저 스프링(338)은 플런저(333)를 하방으로 밀고 있다.
전자 코일(334)은 원통형상을 갖고 있다. 전자 코일(334)의 내측에 케이스(332)가 배치된다. 전자 코일(334)은 고정 철심(336) 및 플런저(333)를 자화한다.
파일럿 밸브체(335)는 하방을 향하는 원추형상을 갖고 있다. 파일럿 밸브체(335)는 플런저(333)의 하단면에 일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파일럿 밸브체(335)는 배압실(314)에 배치되어 있다. 파일럿 밸브체(335)는 파일럿 통로(325)를 개폐한다.
제1 개폐 밸브 유닛(300)에서는 전자 코일(334)이 비통전 상태일 때, 플런저(333)가 플런저 스프링(338)에 밀려서 하방으로 이동한다. 파일럿 밸브체(335)도 하방으로 이동하고, 파일럿 밸브체(335)가 파일럿 통로(325)를 닫고, 주밸브체(320)를 하방으로 민다. 주밸브체(320)가 제1 밸브시트(313)에 접하고, 제1 밸브구(312)가 닫힌다. 제1 밸브구(312)가 닫히면 제1 밸브실(311) 및 배압실(314)로부터 제1 밸브구(312)에의 냉매의 흐름이 차단된다. 냉매는 제1 밸브실(311) 및 배압실(314)에 머무른다. 주밸브체(320)는 냉매에 의해 제1 밸브시트(313)에 밀려 붙여진다.
제1 개폐 밸브 유닛(300)에서는 전자 코일(334)이 통전 상태일 때, 플런저(333)가 자력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한다. 파일럿 밸브체(335)도 상방으로 이동하고, 파일럿 통로(325)가 열린다. 배압실(314)의 냉매가 파일럿 통로(325)를 통하여 제1 밸브구(312)에 흐르고, 배압실(314)의 냉매 압력이 제1 밸브실(311)의 냉매 압력보다 낮아진다. 또한, 개방밸브 스프링(337)이 주밸브체(320)를 상방으로 밀고 있다. 이에 의해, 주밸브체(320)가 제1 밸브시트(313)로부터 떨어지고, 제1 밸브구(312)가 열린다.
제2 개폐 밸브 유닛(400)은 우측면(104)의 정면(101) 가까이의 개소에 배치되어 있다. 제2 개폐 밸브 유닛(400)은 제2 냉매 통로(152)의 제1 통로 부분(152a)을 개폐 가능(즉, 통로 면적을 0 또는 0보다 큰 면적으로 변경 가능)하다.
제2 개폐 밸브 유닛(400)은 밸브 본체(100)와 함께 파일럿식의 개폐 밸브를 구성한다. 제2 개폐 밸브 유닛(400)은 노멀리 오픈 타입이다. 밸브 본체(100)의 우측면(104)에는 제2 부착구멍(162)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부착구멍(162)에는 제2 개폐 밸브 유닛(400)이 배치된다. 밸브 본체(100)는 제2 부착구멍(162)의 내측에 제2 밸브실(411)과, 제2 밸브실(411)에 개구한 제2 밸브구(412)와, 제2 밸브구(412)를 둘러싸는 제2 밸브시트(413)를 갖고 있다. 제2 밸브실(411)과 제1 실내측 개구(111)로부터 제2 밸브실(411)까지 늘어나는 냉매 통로(151a)(도 18, 도 22)는 제1 냉매 통로(151)의 일부이고, 제2 냉매 통로(152)의 일부이기도 하다. 제2 밸브구(412)는 제2 냉매 통로(152)의 일부이다.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개폐 밸브 유닛(400)은 주밸브체(420)와, 밸브체 구동부(430)를 갖고 있다.
주밸브체(420)는 몸통부(421)와, 제1 플랜지부(422)와, 제2 플랜지부(423)를 일체적으로 갖고 있다. 몸통부(421)는 원주 형상을 갖고 있다. 제1 플랜지부(422)는 원환 형상을 갖고 있다. 제1 플랜지부(422)의 내주연은 몸통부(421)의 우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제2 플랜지부(423)는 원환 형상을 갖고 있다. 제2 플랜지부(423)의 내주연은 몸통부(421)의 좌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몸통부(421)는 파일럿 통로(425)를 갖고 있다. 제1 플랜지부(422)는 균압 통로(426)를 갖고 있다. 제2 플랜지부(423)에는 원환판 형상의 패킹이 배치되어 있다. 주밸브체(420)(구체적으로는 제2 플랜지부(423)의 패킹)가 제2 밸브시트(413)에 접함으로써 제2 밸브구(412)가 닫히고, 주밸브체(420)가 제2 밸브시트(413)로부터 떨어짐으로써 제2 밸브구(412)가 열린다. 주밸브체(420)의 제1 플랜지부(422)와 밸브 본체(100) 사이에는 개방밸브 스프링(437)이 배치되어 있다. 개방밸브 스프링(437)은 압축 코일 스프링이다. 개방밸브 스프링(437)은 주밸브체(420)의 제1 플랜지부(422)를 우방으로 밀고 있다.
밸브체 구동부(430)는 고정 철심(431)과, 케이스(432)와, 플런저(433)와, 전자 코일(434)과, 파일럿 밸브체(435)와, 밸브축(436)을 갖고 있다.
고정 철심(431)은 대경 원통부(431a)와, 소경 원통부(431b)를 일체적으로 갖고 있다. 대경 원통부(431a)는 밸브 본체(100)의 제2 부착구멍(162)의 내주면에 나사 구조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소경 원통부(431b)는 대경 원통부(431a)와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다. 소경 원통부(431b)의 외경은 대경 원통부(431a)의 내경보다 작다. 소경 원통부(431b)는 우측면(104)부터 돌출하고 있다. 대경 원통부(431a)의 내측에는 제1 플랜지부(422)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1 플랜지부(422)는 제2 밸브실(411)과 대경 원통부(431a)의 내측의 배압실(414)을 구획하고 있다. 파일럿 통로(425)는 배압실(414)과 제2 밸브구(412)를 접속한다. 균압 통로(426)는 제2 밸브실(411)과 배압실(414)을 접속한다.
케이스(432)는 좌단부가 개구하면서 우단부가 막혀진 원통형상을 갖고 있다. 케이스(432)의 좌단부의 내측에는 고정 철심(431)의 소경 원통부(431b)가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432)의 좌단부는 고정 철심(431)에 접합되어 있다.
플런저(433)는 원통형상을 갖고 있다. 플런저(433)는 케이스(432)의 내측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플런저(433)와 고정 철심(431) 사이에는 플런저 스프링(438)이 배치되어 있다. 플런저 스프링(438)은 압축 코일 스프링이다. 플런저 스프링(438)은 플런저(433)를 우방으로 밀고 있다.
전자 코일(434)은 원통형상을 갖고 있다. 전자 코일(434)의 내측에 케이스(432)가 배치된다. 전자 코일(434)은 고정 철심(431) 및 플런저(433)를 자화한다.
파일럿 밸브체(435)는 밸브축(436)의 좌단부에 일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파일럿 밸브체(435)는 배압실(414)에 배치되어 있다. 파일럿 밸브체(435)는 밸브축(436)을 통하여 플런저(433)에 접속되어 있다. 파일럿 밸브체(435)에는 원판 형상의 패킹이 배치되어 있다. 파일럿 밸브체(435)는 파일럿 통로(425)를 개폐한다.
밸브축(436)은 가늘고 길다란 원통형상을 갖고 있다. 밸브축(436)의 우단부는 플런저(433)의 좌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밸브축(436)은 고정 철심(431)의 소경 원통부(431b)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밸브축(436)은 소경 원통부(431b)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2 개폐 밸브 유닛(400)에서는 전자 코일(434)이 통전 상태일 때, 플런저(433)가 자력에 의해 좌방으로 이동한다. 파일럿 밸브체(435)도 좌방으로 이동하고, 파일럿 밸브체(435)가 파일럿 통로(425)를 닫고, 주밸브체(420)를 좌방으로 민다. 주밸브체(420)가 제2 밸브시트(413)에 접하고, 제2 밸브구(412)가 닫힌다. 제2 밸브구(412)가 닫히면 제2 밸브실(411) 및 배압실(414)로부터 제2 밸브구(412)에의 냉매의 흐름이 차단된다. 냉매는 제2 밸브실(411) 및 배압실(414)에 머무른다. 주밸브체(420)는 냉매에 의해 제2 밸브시트(413)에 밀려 붙여진다.
제2 개폐 밸브 유닛(400)에서는 전자 코일(434)이 비통전 상태일 때, 플런저(433)가 플런저 스프링(438)에 밀려서 우방으로 이동한다. 파일럿 밸브체(435)도 우방으로 이동하고, 파일럿 통로(425)가 열린다. 배압실(414)의 냉매가 파일럿 통로(425)를 통하여 제2 밸브구(412)에 흐르고, 배압실(414)의 냉매 압력이 제2 밸브실(411)의 냉매 압력보다 낮아진다. 또한, 개방밸브 스프링(437)이 주밸브체(420)를 우방으로 밀고 있다. 이에 의해, 주밸브체(420)가 제2 밸브시트(413)로부터 떨어지고, 제2 밸브구(412)가 열린다.
제3 개폐 밸브 유닛(500)은 우측면(104)의 배면(102) 가까이의 개소에 배치되어 있다. 제3 개폐 밸브 유닛(500)은 제6 냉매 통로(156)를 개폐 가능(즉, 통로 면적을 0 또는 0보다 큰 면적으로 변경 가능)하다.
제3 개폐 밸브 유닛(500)은 밸브 본체(100)와 함께 파일럿식의 개폐 밸브를 구성한다. 제3 개폐 밸브 유닛(500)은 노멀리 오픈 타입이다. 밸브 본체(100)의 우측면(104)에는 제3 부착구멍(163)이 형성되어 있다. 제3 부착구멍(163)에는 제3 개폐 밸브 유닛(500)이 배치된다. 밸브 본체(100)는 제3 부착구멍(163)의 내측에 제3 밸브실(511)과, 제3 밸브실(511)에 개구한 제3 밸브구(512)와, 제3 밸브구(512)를 둘러싸는 제3 밸브시트(513)를 갖고 있다. 제3 밸브실(511)과 제1 실외측 개구(121)로부터 제3 밸브실(511)까지 늘어나는 냉매 통로(154a)(도 18, 도 21)는 제4 냉매 통로(154)의 일부이고, 제6 냉매 통로(156)의 일부이기도 하다. 제3 밸브구(512)는 제6 냉매 통로(156)의 일부이다.
제3 개폐 밸브 유닛(500)은 주밸브체(520)와, 밸브체 구동부(530)를 갖고 있다. 주밸브체(520)의 몸통부는 파일럿 통로(525)를 갖고 있다. 밸브체 구동부(530)가 가지는 고정 철심은 밸브 본체(100)의 제3 부착구멍(163)의 내주면에 나사 구조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제3 개폐 밸브 유닛(500)에서는 밸브체 구동부(530)의 전자 코일이 통전 상태일 때, 주밸브체(520)가 제3 밸브시트(513)에 접하고, 제3 밸브구(512)가 닫힌다. 제3 개폐 밸브 유닛(500)에서는 밸브체 구동부(530)의 전자 코일이 비통전 상태일 때, 주밸브체(520)가 제3 밸브시트(513)로부터 떨어지고, 제3 밸브구(512)가 열린다. 제3 개폐 밸브 유닛(500)은 제2 개폐 밸브 유닛(400)과 동일(실질적으로 동일을 포함한다)한 구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유량 조정 밸브 유닛(600)은 상면(105)의 좌측면(103) 가까이의 개소에 배치되어 있다. 유량 조정 밸브 유닛(600)은 제2 냉매 통로(152)의 제2 통로 부분(152b)의 통로 면적을 무단계로 변경 가능하다.
유량 조정 밸브 유닛(600)은 밸브 본체(100)와 함께 유량 조정 밸브를 구성한다. 밸브 본체(100)의 상면(105)에는 제4 부착구멍(164)이 형성되어 있다. 제4 부착구멍(164)에는 유량 조정 밸브 유닛(600)이 배치된다. 밸브 본체(100)는 제4 부착구멍(164)의 내측에 제4 밸브실(611)과, 제4 밸브실(611)에 개구한 제4 밸브구(612)와, 제4 밸브구(612)를 둘러싸는 제4 밸브시트(613)를 갖고 있다. 제4 밸브실(611) 및 제4 밸브구(612)는 제2 냉매 통로(152)의 일부이다.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량 조정 밸브 유닛(600)은 밸브체(620)와, 밸브체 구동부(630)를 갖고 있다.
밸브체(620)는 스템(621)과, 밸브부(622)와, 스프링 받이부(623)와, 볼 받이부(624)를 갖고 있다. 스템(621)은 원주 형상을 갖고 있다. 밸브부(622)는 스템(621)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밸브부(622)는 원환 형상을 갖고 있다. 밸브부(622)는 스템(621)의 외주면부터 지름 방향 외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스프링 받이부(623)는 스템(621)의 상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스프링 받이부(623)는 지름 방향 외방으로 돌출하는 플랜지(623a)를 갖고 있다. 볼 받이부(624)는 원판부와, 원판부의 하면에 형성된 볼록부를 갖고 있다. 볼 받이부(624)의 볼록부는 스프링 받이부(623)에 형성된 구멍에 접합되어 있다. 밸브체(620)는 밸브부(622)가 제4 밸브구(612)에 대해 진퇴함에 의해, 제4 밸브구(612)의 개구면적(즉, 제2 냉매 통로(152)의 제2 통로 부분(152b)의 통로 면적)을 무단계로 변경한다.
밸브체 구동부(630)는 밸브체(62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밸브부(622)를 제4 밸브구(612)에 대해 진퇴시킨다. 밸브체 구동부(630)는 홀더(640)와, 캔(650)과, 로터(660)와, 유성 치차 기구(670)와, 구동축(682)과, 볼(684)과, 스테이터 유닛(690)을 갖고 있다.
홀더(640)는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제이다. 홀더(640)는 원통형상을 갖고 있다. 홀더(640)는 제4 부착구멍(164)의 내주면에 나사 구조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홀더(640)의 상부의 내측에는 원통형상의 구동축 지지 부재(642)가 배치되어 있다. 구동축 지지 부재(642)의 내주면의 하부에는 암나사(642c)가 형성되어 있다. 홀더(640)의 하단부와 밸브 본체(100) 사이에 밸브체 지지 부재(644)가 배치되어 있다. 밸브체 지지 부재(644)는 원통형상을 갖고 있다. 밸브체 지지 부재(644)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밸브체 지지구멍(644a)을 갖고 있다. 밸브체 지지구멍(644a)의 내측에는 밸브체(620)의 스템(621)이 배치되어 있다. 플랜지(623a)와 밸브체 지지 부재(644) 사이에 개방밸브 스프링(646)이 배치되어 있다. 개방밸브 스프링(646)은 압축 코일 스프링이다. 개방밸브 스프링(646)은 밸브체(620)를 상방으로 밀고 있다.
캔(650)은 하단부가 개구하면서 상단부가 막혀진 원통형상을 갖고 있다. 캔(650)의 하단부는 환형상 부재(651)를 통하여 홀더(640)에 접합되어 있다.
로터(660)는 원통형상을 갖고 있다. 로터(660)의 외경은 캔(650)의 내경보다 작다. 로터(660)는 캔(65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로터(660)의 상단부에는 원판 형상의 연결 부재(662)가 접합되어 있다. 연결 부재(662)는 로터(660)의 상단부를 막고 있다. 연결 부재(662)의 중심을 로터축(663)이 관통하고 있다. 로터(660)는 연결 부재(662)를 통하여 로터축(663)에 연결되어 있다.
유성 치차 기구(670)는 고정 링 치차(671)와, 태양 치차(672)와, 복수의 유성 치차(673)와, 캐리어(674)와, 출력 치차(675)와, 출력축(676)을 갖고 있다. 태양 치차(672)는 연결 부재(662)와 동축으로 결합되어 있다. 태양 치차(672)는 로터(660) 및 연결 부재(662)와 함께 회전된다. 태양 치차(672)의 회전은 고정 링 치차(671), 복수의 유성 치차(673), 캐리어(674) 및 출력 치차(675)에 의해 감속되어, 출력축(676)에 전달된다. 출력축(676)은 구동축 지지 부재(642)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구동축(682)은 원주부(682a)와, 평판부(682b)를 갖고 있다. 평판부(682b)는 원주부(682a)의 상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원주부(682a)와 평판부(682b)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원주부(682a)의 외주면에는 수나사(682c)가 형성되어 있다. 수나사(682c)는 구동축 지지 부재(642)의 암나사(642c)와 나합된다. 평판부(682b)는 출력축(676)의 슬릿(676a)의 내측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구동축(682)은 출력축(676)에 의해 회전되고, 나사 이송 작용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볼(684)은 구동축(682)과 밸브체(620)의 볼 받이부(62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스테이터 유닛(690)은 원통형상을 갖고 있다. 스테이터 유닛(690)의 내측에 캔(650)이 배치된다. 스테이터 유닛(690)은 도시하지 않은 스테이터를 갖고 있다. 스테이터 유닛(690)의 스테이터와 로터(660)로 스테핑 모터를 구성한다.
유량 조정 밸브 유닛(600)에서, 스테이터 유닛(690)의 스테이터에 통전하여 로터(66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로터(660)의 회전이 유성 치차 기구(670)에서 감속되어, 출력축(676)에 의해 구동축(682)이 회전된다. 구동축(682)이 회전되면 나사 이송 작용에 의해 구동축(682)이 하방으로 이동한다. 구동축(682)은 볼(684)을 통하여 밸브체(620)를 하방으로 민다. 밸브체(620)가 하방으로 이동하고, 제4 밸브구(612)의 개구면적이 작아진다. 본 실시례에서, 제4 밸브구(612)의 최소의 개구면적은 0이고, 제4 밸브구(612)는 전폐 상태가 된다.
유량 조정 밸브 유닛(600)에서, 스테이터 유닛(690)의 스테이터에 통전하여 로터(660)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로터(660)의 회전이 유성 치차 기구(670)에서 감속되어, 출력축(676)에 의해 구동축(682)이 회전된다. 구동축(682)이 회전되면 나사 이송 작용에 의해 구동축(682)이 상방으로 이동한다. 개방밸브 스프링(646)에 눌려진 밸브체(620)가 상방으로 이동하고, 제4 밸브구(612)의 개구면적이 커진다. 제4 밸브구(612)가 전개 상태가 되면 냉매는 팽창하는 일 없이 제4 밸브구(612)를 흐른다.
제2 냉매 통로(152)는 제2 밸브구(412) 및 제4 밸브구(612)를 포함하고 있다. 제2 냉매 통로(152)는 제2 밸브구(412)로부터 좌방으로 늘어나는 부분과 제4 밸브구(612)로부터 하방으로 늘어나는 부분을 갖고 있고, 이들 부분이 직각으로 접속되어 있다. 즉, 제2 냉매 통로(152)에서의 제2 밸브구(412)와 제4 밸브구(612) 사이의 부분이 L자 형상을 갖고 있다(도 14).
제1 역지밸브 유닛(700)은 제3 냉매 통로(153)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역지밸브 유닛(700)은 제3 냉매 통로(153)에서의 제1 중간 개구(131)로부터 제2 냉매 통로(152)에의 냉매의 흐름을 허용하면서 제2 냉매 통로(152)로부터 제1 중간 개구(131)에의 냉매의 흐름을 금지한다.
제1 역지밸브 유닛(700)은 밸브 본체(100)와 함께 역지밸브를 구성한다. 밸브 본체(100)는 제3 냉매 통로(153)에 원환 테이퍼 형상의 밸브시트(713)를 갖고 있다. 제1 중간 개구(131)로부터 상방으로 늘어나는 냉매 통로(153a)(도 16, 도 20)는 제3 냉매 통로(153)의 일부이고, 제5 냉매 통로(155)의 일부이기도 하다.
제1 역지밸브 유닛(700)은 밸브체(720)와, 코일 스프링(730)과, 유지 부재(740)를 갖고 있다. 밸브체(720)는 제3 냉매 통로(153) 내에 냉매의 흐름 방향(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밸브체(720)는 원환 형상의 밸브부(721)를 갖고 있다. 코일 스프링(730)의 중심축은 제3 냉매 통로(153) 내에서 냉매의 흐름 방향에 따라 배치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730)의 일단부는 밸브체(720)에 접속되고, 타단부는 밸브 본체(100)에 고정된 유지 부재(740)에 유지되어 있다. 밸브체(720)는 코일 스프링(730)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진다. 밸브체(720)는 후방으로 이동함에 의해 밸브부(721)가 밸브시트(713)에 접한다.
제1 중간 개구(131)의 냉매 압력이 제2 냉매 통로(152)의 접속 개소(152c)의 냉매 압력보다 크면 밸브체(720)가 냉매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지고, 코일 스프링(730)이 압축된다. 그리고, 밸브부(721)가 밸브시트(713)로부터 떨어져서, 제3 냉매 통로(153)가 열린다. 이에 의해, 제3 냉매 통로(153)에서의 제1 중간 개구(131)로부터 제2 냉매 통로(152)에의 냉매의 흐름이 허용된다.
제1 중간 개구(131)의 냉매 압력이 제2 냉매 통로(152)의 접속 개소(152c)의 냉매 압력 이하면 코일 스프링(730)이 복원하여 밸브체(720)가 코일 스프링(730)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진다. 그리고, 밸브부(721)가 밸브시트(713)에 접하여 제3 냉매 통로(153)가 닫힌다. 이에 의해, 제3 냉매 통로(153)에서의 제2 냉매 통로(152)로부터 제1 중간 개구(131)에의 냉매의 흐름이 금지된다.
제2 역지밸브 유닛(800)은 제4 냉매 통로(154)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역지밸브 유닛(800)은 제4 냉매 통로(154)에서의 제1 실외측 개구(121)로부터 제2 중간 개구(132)에의 냉매의 흐름을 허용하면서 제2 중간 개구(132)로부터 제1 실외측 개구(121)에의 냉매의 흐름을 금지한다.
제2 역지밸브 유닛(800)은 밸브 본체(100)와 함께 역지밸브를 구성한다. 밸브 본체(100)는 제4 냉매 통로(154)에 원환 테이퍼 형상의 밸브시트(813)를 갖고 있다. 제2 중간 개구(132)로부터 상방으로 늘어나는 냉매 통로(151b)(도 16, 도 18)는 제1 냉매 통로(151)의 일부이고, 제4 냉매 통로(154)의 일부이기도 하다.
제2 역지밸브 유닛(800)은 밸브체(820)와, 코일 스프링(830)을 갖고 있다. 밸브체(820)는 제4 냉매 통로(154) 내에 냉매의 흐름 방향(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밸브체(820)는 원환 형상의 밸브부(821)를 갖고 있다. 코일 스프링(830)의 중심축은 제4 냉매 통로(154) 내에서 냉매의 흐름 방향에 따라 배치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830)의 일단부는 밸브체(820)에 접속되고, 타단부는 냉매 통로(151b)에 배치된 제2 조인트 부재(260)에 유지되어 있다. 밸브체(820)는 코일 스프링(830)에 의해 상방으로 밀려진다. 밸브체(820)는 상방으로 이동함에 의해 밸브부(821)가 밸브시트(813)에 접한다.
제1 실외측 개구(121)의 냉매 압력이 제2 중간 개구(132)의 냉매 압력보다 크면 밸브체(820)가 냉매에 의해 하방으로 밀려지고, 코일 스프링(830)이 압축된다. 그리고, 밸브부(821)가 밸브시트(813)로부터 떨어지고, 제4 냉매 통로(154)가 열린다. 이에 의해, 제4 냉매 통로(154)에서의 제1 실외측 개구(121)로부터 제2 중간 개구(132)에의 냉매의 흐름이 허용된다.
제1 실외측 개구(121)의 냉매 압력이 제2 중간 개구(132)의 냉매 압력 이하면 코일 스프링(830)이 복원하고, 밸브체(820)가 코일 스프링(830)에 의해 상방으로 밀려진다. 그리고, 밸브부(821)가 밸브시트(813)에 접하고, 제4 냉매 통로(154)가 닫힌다. 이에 의해, 제4 냉매 통로(154)에서의 제2 중간 개구(132)로부터 제1 실외측 개구(121)에의 냉매의 흐름이 금지된다.
리시버 드라이어(20)는 냉매를 기액 분리하여 액상 냉매의 잉여분을 저장한다. 또한, 리시버 드라이어(20)는 냉매 중의 수분을 제거한다. 리시버 드라이어(20)는 리시버 드라이어 본체(210)와, 덮개체(220)를 갖고 있다. 리시버 드라이어 본체(210) 및 덮개체(220)는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제이다.
리시버 드라이어 본체(210)는 상단부가 개구하면서 하단부가 막혀진 원통형상을 갖고 있다. 리시버 드라이어 본체(210)는 냉매 중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건조제를 수용하고 있다.
덮개체(220)는 원판 형상을 갖고 있다. 덮개체(220)는 제1 접속구멍(231)과, 제2 접속구멍(232)과, 제1 나사구멍(271)과, 제2 나사구멍(272)을 갖고 있다.
제1 접속구멍(231)은 밸브 본체(100)의 제1 중간 개구(131)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1 접속구멍(231)의 지름은 제1 중간 개구(131)의 지름과 같다. 제2 접속구멍(232)은 밸브 본체(100)의 제2 중간 개구(132)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2 접속구멍(232)의 지름은 제2 중간 개구(132)의 지름과 같다. 제1 접속구멍(231) 및 제2 접속구멍(232)은 직접적 또는 도시하지 않은 배관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리시버 드라이어 본체(210)의 내측 공간과 통하고 있다.
제1 나사구멍(271)은 밸브 본체(100)의 제1 관통구멍(171)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2 나사구멍(272)은 밸브 본체(100)의 제2 관통구멍(172)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1 나사구멍(271)의 중심과 제2 나사구멍(272)의 중심을 잇는 선분(L1)과 제1 접속구멍(231)의 중심과 제2 접속구멍(232)의 중심을 잇는 선분(L2)은 교차하고 있다(도 30).
제1 중간 개구(131)와 제1 접속구멍(231)은 제1 조인트 부재(250)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제1 조인트 부재(250)는 원통형상을 갖고 있다. 제1 조인트 부재(250)는 하방부터 상방으로 순번대로 접속된 제1 부분(251)과 제2 부분(252)을 갖고 있다.
제1 부분(251)과 제2 부분(252)은 제1 조인트 부재(250)의 축방향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1 부분(251)의 외경은 제1 접속구멍(231)의 지름과 같다. 제1 부분(251)은 제1 접속구멍(231)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부분(251)과 제1 접속구멍(231)의 내주면 사이에 봉지 부재(고무재제의 O링 등)가 배치되어 있다. 제2 부분(252)의 외경은 제1 중간 개구(131)의 지름과 같다. 제2 부분(252)은 제1 중간 개구(131)로부터 상방으로 늘어나는 냉매 통로(153a)에 배치된다. 제2 부분(252)과 냉매 통로(153a)의 내주면 사이에 봉지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리시버 드라이어 본체(210)의 내측 공간에 있는 냉매는 제1 접속구멍(231) 및 제1 조인트 부재(250)의 내측 공간(250a)을 통과하여 냉매 통로(153a)(제3 냉매 통로(153), 제5 냉매 통로(155))에 흐른다.
제2 중간 개구(132)와 제2 접속구멍(232)은 제2 조인트 부재(260)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제2 조인트 부재(260)는 하단부가 개구하면서 상단부가 막혀진 원통형상을 갖고 있다. 제2 조인트 부재(260)는 하방부터 상방으로 순번대로 접속된 제1 부분(261)과 제2 부분(262)과 제3 부분(263)을 갖고 있다.
제1 부분(261)과 제2 부분(262)과 제3 부분(263)은 제2 조인트 부재(260)의 축방향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1 부분(261)의 외경은 제2 접속구멍(232)의 지름과 같다. 제1 부분(261)은 제2 접속구멍(232)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부분(261)과 제2 접속구멍(232)의 내주면 사이에 봉지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제2 부분(262)의 외경은 제2 중간 개구(132)의 지름과 같다. 제2 부분(262)은 제2 중간 개구(132)로부터 상방으로 늘어나는 냉매 통로(151b)에 배치된다. 제2 부분(262)과 냉매 통로(151b)의 내주면 사이에 봉지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제3 부분(263)은 주벽부(263a)와 상벽부(263b)를 갖고 있다. 주벽부(263a)의 하단부는 제2 부분(262)과 접속되어 있다. 주벽부(263a)의 외경은 제2 부분(262)의 외경보다 작다. 상벽부(263b)는 주벽부(263a)의 상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주벽부(263a) 및 상벽부(263b)는 관통구멍을 갖고 있다. 냉매 통로(151b)(제1 냉매 통로(151), 제4 냉매 통로(154))의 냉매는 제3 부분(263)의 관통구멍, 제2 조인트 부재(260)의 내측 공간(260a) 및 제2 접속구멍(232)을 통과하여 리시버 드라이어 본체(210)의 내측 공간에 흐른다.
제2 조인트 부재(260)의 제3 부분(263)의 상벽부(263b)는 제2 역지밸브 유닛(800)의 코일 스프링(830)의 타단부를 유지하고 있다.
다음에 밸브 장치(5)의 제조 방법의 한 예에 관해, 도 31, 도 3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직방체 형상의 워크 피스에 개구, 냉매 통로, 제1 관통구멍(171) 및 제2 관통구멍(172)을 형성하여 밸브 본체(100)를 제작한다. 그리고, 밸브 본체(100)에 제1 역지밸브 유닛(700) 및 제2 역지밸브 유닛(800)을 부착한다(도 31).
원판 형상의 워크 피스에 제1 접속구멍(231), 제2 접속구멍(232), 제1 나사구멍(271) 및 제2 나사구멍(272)을 형성하여 덮개체(220)를 제작한다. 금속 드로잉 가공에 의해 리시버 드라이어 본체(210)를 제작한다. 리시버 드라이어 본체(210)에 도시하지 않은 건조제를 수용하고, 리시버 드라이어 본체(210)의 상단부에 덮개체(220)를 용접한다(도 31).
제1 조인트 부재(250)의 제1 부분(251)을 덮개체(220)의 제1 접속구멍(231)에 삽입하고, 제2 부분(252)을 밸브 본체(100)의 제1 중간 개구(131)(냉매 통로(153a))에 삽입한다. 제2 조인트 부재(260)의 제1 부분(261)을 덮개체(220)의 제2 접속구멍(232)에 삽입하고, 제2 부분(262) 및 제3 부분(263)을 밸브 본체(100)의 제2 중간 개구(132)(냉매 통로(151b))에 삽입한다. 밸브 본체(100)의 하면(106)에 덮개체(220)를 접촉시킨다. 이에 의해, 제1 조인트 부재(250)의 전체가 밸브 본체(100)의 내측 및 덮개체(220)의 내측에 배치된다. 제2 조인트 부재(260)의 전체가 밸브 본체(100)의 내측 및 덮개체(220)의 내측에 배치된다. 밸브 본체(100)의 제1 관통구멍(171) 및 제2 관통구멍(172)에 상면(105)측부터 볼트(7)를 삽입한다. 볼트(7)를 제1 나사구멍(271) 및 제2 나사구멍(272)에 나합시켜서, 볼트(7)에 의해 밸브 본체(100)와 덮개체(220)를 체결한다(도 32).
제1 개폐 밸브 유닛(300)을 밸브 본체(100)의 제1 부착구멍(161)의 개소에 부착한다. 제2 개폐 밸브 유닛(400)을 밸브 본체(100)의 제2 부착구멍(162)의 개소에 부착한다. 제3 개폐 밸브 유닛(500)을 밸브 본체(100)의 제3 부착구멍(163)의 개소에 부착한다. 유량 조정 밸브 유닛(600)을 밸브 본체(100)의 제4 부착구멍(164)의 개소에 부착한다. 이와 같이 하여 밸브 장치(5)가 완성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축기(30)의 토출구는 배관(P1)을 통하여 실내 응축기(40)의 입구와 접속되어 있다. 압축기(30)는 냉매를 흡입하고, 냉매를 압축하고, 고온 고압의 냉매를 토출한다. 실내 응축기(40)는 압축기(30)가 토출한 냉매의 열을 방출한다. 실내 응축기(40)는 차실에의 송풍 공기를 가열한다. 실내 응축기(40)의 출구는 배관(P2)을 통하여 밸브 장치(5)의 제1 실내측 개구(111)와 접속되어 있다. 실내 증발기(50)에서, 당해 실내 증발기(50)의 내부를 흐르는 냉매와 차실에의 송풍 공기가 열교환한다. 실내 증발기(50)는 송풍 공기를 냉각한다. 실내 증발기(50)의 출구는 배관(P3)을 통하여 압축기(30)의 흡입구와 접속되어 있다. 실내 증발기(50)의 입구는 배관(P4)을 통하여 밸브 장치(5)의 제2 실내측 개구(112)와 접속되어 있다. 배관(P4)에는 유량 조정 밸브(70)가 배치되어 있다. 유량 조정 밸브(70)는 배관(P4)의 통로 면적을 무단계로 변경 가능하다. 실외 열교환기(60)에서, 당해 실외 열교환기(60)의 내부를 흐르는 냉매와 외기가 열교환한다. 실외 열교환기(60)의 출구는 배관(P5)을 통하여 밸브 장치(5)의 제1 실외측 개구(121)와 접속되어 있다. 실외 열교환기(60)의 입구는 배관(P6)을 통하여 밸브 장치(5)의 제2 실외측 개구(122)와 접속되어 있다. 밸브 장치(5)의 제3 실내측 개구(113)는 배관(P7)을 통하여 배관(P3)과 접속되어 있다. 배관(P1∼P7)은 냉매 통로이다.
공조 장치(1)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를 갖고 있다. 제어 장치는 압축기(30), 밸브 장치(5)(제1 개폐 밸브 유닛(300), 제2 개폐 밸브 유닛(400), 제3 개폐 밸브 유닛(500), 유량 조정 밸브 유닛(600)), 유량 조정 밸브(70)를 제어한다. 공조 장치(1)는 난방 모드, 냉방 모드 및 제습 난방 모드를 갖고 있다.
난방 모드, 냉방 모드 및 제습 난방 모드에 관해, 도 2∼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도 4에서, 제1 개폐 밸브 유닛(300), 제2 개폐 밸브 유닛(400), 제3 개폐 밸브 유닛(500), 유량 조정 밸브 유닛(600) 및 유량 조정 밸브(70) 중 폐쇄밸브 상태의 것에 해칭을 붙이고 있다.
난방 모드에서, 공조 장치(1)의 제어 장치는 밸브 장치(5)의 제1 개폐 밸브 유닛(300)에 의해 제1 냉매 통로(151)를 열고, 제2 개폐 밸브 유닛(400)에 의해 제2 냉매 통로(152)의 제1 통로 부분(152a)을 닫고, 유량 조정 밸브 유닛(600)에 의해 제2 냉매 통로(152)의 제2 통로 부분(152b)의 통로 면적을 냉매가 팽창 가능한 크기로 하고, 제3 개폐 밸브 유닛(500)에 의해 제6 냉매 통로(156)를 열고, 유량 조정 밸브(70)에 의해 배관(P4)을 닫는다. 그리고, 제어 장치는 압축기(30)를 동작시켜서 냉매를 순환시킨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난방 모드에서, 냉매는 차례로 압축기(30), 실내 응축기(40), 제1 냉매 통로(151)(제1 개폐 밸브 유닛(300)), 리시버 드라이어(20), 제3 냉매 통로(153)(제1 역지밸브 유닛(700)), 제2 냉매 통로(152)의 제2 통로 부분(152b)(유량 조정 밸브 유닛(600)), 실외 열교환기(60), 제6 냉매 통로(156)(제3 개폐 밸브 유닛(500))를 통과하여 압축기(30)에 돌아온다. 이에 의해, 유량 조정 밸브 유닛(600)에 의해 팽창된 냉매가 실외 열교환기(60)에 흐른다. 난방 모드에서, 송풍 공기는 실내 증발기(50)에서 냉각되지 않고, 실내 응축기(40)에서 가열된 후 차실에 보내진다.
냉방 모드에서, 공조 장치(1)의 제어 장치는 밸브 장치(5)의 제1 개폐 밸브 유닛(300)에 의해 제1 냉매 통로(151)를 닫고, 제2 개폐 밸브 유닛(400)에 의해 제2 냉매 통로(152)의 제1 통로 부분(152a)을 열고, 유량 조정 밸브 유닛(600)에 의해 제2 냉매 통로(152)의 제2 통로 부분(152b)의 통로 면적을 최대 면적(전개 상태)으로 하고, 제3 개폐 밸브 유닛(500)에 의해 제6 냉매 통로(156)를 닫고, 유량 조정 밸브(70)에 의해 배관(P4)의 통로 면적을 냉매가 팽창 가능한 크기로 한다. 그리고, 제어 장치는 압축기(30)를 동작시켜서 냉매를 순환시킨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냉방 모드에서, 냉매는 차례로 압축기(30), 실내 응축기(40), 제2 냉매 통로(152)(제2 개폐 밸브 유닛(400), 유량 조정 밸브 유닛(600)), 실외 열교환기(60), 제4 냉매 통로(154)(제2 역지밸브 유닛(800)), 리시버 드라이어(20), 제5 냉매 통로(155), 유량 조정 밸브(70), 실내 증발기(50)를 통과하고, 압축기(30)에 돌아온다. 이에 의해, 유량 조정 밸브(70)에 의해 팽창된 냉매가 실내 증발기(50)에 흐른다. 냉방 모드에서, 송풍 공기는 실내 증발기(50)에서 냉각된 후 차실에 보내진다.
제습 난방 모드에서, 공조 장치(1)의 제어 장치는 밸브 장치(5)의 제1 개폐 밸브 유닛(300)에 의해 제1 냉매 통로(151)를 열고, 제2 개폐 밸브 유닛(400)에 의해 제2 냉매 통로(152)의 제1 통로 부분(152a)을 닫고, 유량 조정 밸브 유닛(600)에 의해 제2 냉매 통로(152)의 제2 통로 부분(152b)의 통로 면적을 냉매가 팽창 가능한 크기로 하고, 제3 개폐 밸브 유닛(500)에 의해 제6 냉매 통로(156)를 열고, 유량 조정 밸브(70)에 의해 배관(P4)의 통로 면적을 냉매가 팽창 가능한 크기로 한다. 그리고, 제어 장치는 압축기(30)를 동작시켜서 냉매를 순환시킨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습 난방 모드에서, 냉매는 차례로 압축기(30), 실내 응축기(40), 제1 냉매 통로(151)(제1 개폐 밸브 유닛(300)), 리시버 드라이어(20), 제3 냉매 통로(153)(제1 역지밸브 유닛(700)), 제2 냉매 통로(152)의 제2 통로 부분(152b)(유량 조정 밸브 유닛(600)), 실외 열교환기(60), 제6 냉매 통로(156)(제3 개폐 밸브 유닛(500))를 통과하고, 압축기(30)에 돌아온다. 또한, 일부의 냉매는 리시버 드라이어(20)로부터 제5 냉매 통로(155), 유량 조정 밸브(70), 실내 증발기(50)를 통과하고, 압축기(30)에 돌아온다. 이에 의해, 유량 조정 밸브 유닛(600)에 의해 팽창된 냉매가 실외 열교환기(60)에 흐르고, 유량 조정 밸브(70)에 의해 팽창된 냉매가 실내 증발기(50)에 흐른다. 제습 난방 모드에서, 송풍 공기는 실내 증발기(50)에서 냉각(제습)되고, 실내 응축기(40)에서 가열된 후 차실에 보내진다.
본 실시례에 관한 밸브 장치(5)는 밸브 모듈(10)과, 리시버 드라이어(20)를 갖고 있다. 밸브 모듈(10)이 복수의 냉매 통로를 갖는 하나의 밸브 본체(100)와, 밸브 본체(100)에 부착된 복수의 밸브 유닛을 갖고 있다. 리시버 드라이어(20)가 냉매를 저류 가능한 통형상의 리시버 드라이어 본체(210)와, 리시버 드라이어 본체(210)의 상단부에 접합된 덮개체(220)를 갖고 있다. 그리고, 덮개체(220)가 밸브 본체(100)와 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했기 때문에 밸브 모듈(10)과 리시버 드라이어(20)를 가장 근접하게 배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밸브 장치(5)를 소형화 할 수 있다. 또한, 밸브 장치(5)는 복수의 냉매 통로를 갖는 하나의 밸브 본체(100)와 밸브 본체(100)에 부착된 복수의 밸브 유닛을 갖고 있다. 그 때문에 냉매 통로끼리의 접속 개소 및 냉매 통로와 밸브 유닛의 접속 개소에서 냉매가 누설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접속을 위한 부품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덮개체(220)가 제1 나사구멍(271)과, 제2 나사구멍(272)을 갖고 있다. 밸브 본체(100)가 제1 나사구멍(271)에 대응하여 배치된 제1 관통구멍(171)과, 제2 나사구멍(272)에 대응하여 배치된 제2 관통구멍(172)을 갖고 있다. 덮개체(220)가 제1 관통구멍(171)을 통과하여 제1 나사구멍에 나합되는 볼트(7) 및 제2 관통구멍(172)을 통과하여 제2 나사구멍(272)에 나합된 볼트(7)에 의해 밸브 본체(100)에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비교적 간이한 구조에 의해 밸브 본체(100)에 리시버 드라이어(20)의 덮개체(220)를 확실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덮개체(220)가 리시버 드라이어 본체(210)의 내측 공간에 통과하는 제1 접속구멍(231) 및 제2 접속구멍(232)을 갖고 있다. 제1 나사구멍(271)의 중심과 제2 나사구멍(272)의 중심을 잇는 선분(L1)이 제1 접속구멍(231)의 중심과 제2 접속구멍(232)의 중심을 잇는 선분(L2)과 교차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1 나사구멍(271)과, 제2 나사구멍(272)과, 제1 접속구멍(231)과, 제2 접속구멍(232)을 서로 겹치지 않도록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밸브 장치(5)가 원통형상의 제1 조인트 부재(250)와, 원통형상의 제2 조인트 부재(260)를 갖고 있다. 제1 조인트 부재(250)가 상하 방향으로 접속된 제1 부분(251)과, 제2 부분(252)을 갖고 있다. 제1 부분(251)이 제1 접속구멍(231)에 배치되고, 제2 부분(252)이 제2 중간 개구(132)로부터 상방으로 늘어나는 냉매 통로(153a)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조인트 부재(260)가 상하 방향으로 접속된 제1 부분(261)과, 제2 부분(262)과, 제3 부분(263)을 갖고 있다. 제1 부분(261)이 제2 접속구멍(232)에 배치되고, 제2 부분(262) 및 제3 부분(263)이 제1 중간 개구(131)로부터 상방으로 늘어나는 냉매 통로(151b)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밸브 본체(100) 및 덮개체(220)의 내측에 배치된 제1 조인트 부재(250) 및 제2 조인트 부재(260)에 의해, 밸브 본체(100)의 냉매 통로와 리시버 드라이어(20)의 내측 공간을 접속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1 조인트 부재(250) 및 제2 조인트 부재(260)가 밸브 장치(5)의 크기에 영향을 주는 일이 없고, 밸브 모듈(10)과 리시버 드라이어(20)를 보다 확실하게 접속하면서 밸브 장치(5)를 소형화 할 수 있다.
또한, 밸브 모듈(10)이 제2 역지밸브 유닛(800)을 갖고 있다. 제2 역지밸브 유닛(800)이 제2 조인트 부재(260)가 배치된 냉매 통로(151b)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조인트 부재(260)가 제2 역지밸브 유닛(800)을 유지하고, 당해 제2 역지밸브 유닛(800)의 냉매 통로(151b)로부터의 탈락을 막는 유지 부재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2 역지밸브 유닛(800)을 유지하는 별개의 유지 부재가 불필요하여 부품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밸브 본체(100)의 외면에는 제1 실내측 개구(111), 제2 실내측 개구(112), 제1 실외측 개구(121), 제2 실외측 개구(122), 제1 중간 개구(131) 및 제2 중간 개구(132)가 마련되어 있다. 밸브 본체(100)에는 제1 실내측 개구(111)와 제2 중간 개구(132)를 접속하는 제1 냉매 통로(151)와, 제1 실내측 개구(111)와 제2 실외측 개구(122)를 접속하는 제2 냉매 통로(152)와, 제1 중간 개구(131)와 제2 냉매 통로(152)를 접속하는 제3 냉매 통로(153)와, 제1 실외측 개구(121)와 제2 중간 개구(132)를 접속하는 제4 냉매 통로(154)와, 제1 중간 개구(131)와 제2 실내측 개구(112)를 접속하는 제5 냉매 통로(155)가 마련되어 있다. 밸브 모듈(10)은 제1 냉매 통로(151)를 개폐 가능한 제1 개폐 밸브 유닛(300)과, 제2 냉매 통로(152)에서의 제1 실내측 개구(111)와 제3 냉매 통로(153)와의 접속 개소(152c) 사이의 제1 통로 부분(152a)을 개폐 가능한 제2 개폐 밸브 유닛(400)과, 제2 냉매 통로(152)에서의 제2 실외측 개구(122)와 접속 개소(152c) 사이의 제2 통로 부분(152b)의 통로 면적을 무단계로 변경 가능한 유량 조정 밸브 유닛(600)과, 제3 냉매 통로(153)에서의 제1 중간 개구(131)로부터 제2 냉매 통로(152)에의 냉매의 흐름을 허용하면서 제2 냉매 통로(152)로부터 제1 중간 개구(131)에의 냉매의 흐름을 금지하는 제1 역지밸브 유닛(700)과, 제4 냉매 통로(154)에서의 제1 실외측 개구(121)로부터 제2 중간 개구(132)에의 냉매의 흐름을 허용하면서 제2 중간 개구(132)로부터 제1 실외측 개구(121)에의 냉매의 흐름을 금지하는 제2 역지밸브 유닛(800)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냉매 통로끼리의 접속 개소 및 냉매 통로와 밸브 유닛의 접속 개소에서 냉매가 누설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접속을 위한 부품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밸브 본체(100)의 외면에는 제3 실내측 개구(113)가 마련되어 있다. 밸브 본체(100)에는 제1 실외측 개구(121)와 제3 실내측 개구(113)를 접속하는 제6 냉매 통로(15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밸브 모듈(10)이 제6 냉매 통로(156)를 개폐 가능한 제3 개폐 밸브 유닛(500)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냉매 통로끼리의 접속 개소 및 냉매 통로와 밸브 유닛의 접속 개소에서 냉매가 누설되는 것을 더욱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접속을 위한 부품을 더욱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밸브 모듈(10)은 제3 실내측 개구(113), 제6 냉매 통로(156) 및 제3 개폐 밸브 유닛(500)을 생략한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밸브 본체(100)의 외면이 우측면(104)과, 우측면(104)과 직각인 상면(105)과, 상면(105)과 평행한 하면(106)을 갖고 있다. 우측면(104)에는 우측면(104)의 길이 방향(Y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배치된 제2 부착구멍(162)과 제3 부착구멍(163)이 마련되어 있다. 상면(105)에는 우측면(104)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X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배치된 제1 부착구멍(161)과 제4 부착구멍(164)이 마련되어 있다. 제1 부착구멍(161)의 내측에는 제1 개폐 밸브 유닛(300)에 의해 개폐되는 제1 밸브구(312)가 배치되어 있다. 제2 부착구멍(162)의 내측에는 제2 개폐 밸브 유닛(400)에 의해 개폐되는 제2 밸브구(412)가 배치되어 있다. 제3 부착구멍(163)의 내측에는 제3 개폐 밸브 유닛(500)에 의해 개폐되는 제3 밸브구(512)가 배치되어 있다. 제4 부착구멍(164)의 내측에는 유량 조정 밸브 유닛(600)에 의해 개구면적이 무단계로 변경되는 제4 밸브구(612)가 배치되어 있다. 제1 관통구멍(171) 및 제2 관통구멍(172)이 상면(105)부터 하면(106)까지 늘어나 있다. 우측면(104)의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1 관통구멍(171)의 Y방향의 위치 및 제2 관통구멍(172)의 Y방향의 위치가 제2 밸브구(412)와 제3 밸브구(512) 사이에 있다. 그리고, 상면(105)의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1 관통구멍(171)의 X방향의 위치 및 제2 관통구멍(172)의 X방향의 위치가 제1 밸브구(312)와 제4 밸브구(612) 사이에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각 밸브구로부터 직선형상으로 늘어나는 냉매 통로와 제1 관통구멍(171) 및 제2 관통구멍(172)이 겹쳐지지 않도록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냉매 통로(152)가 제2 밸브구(412) 및 제4 밸브구(612)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2 냉매 통로(152)에서의 제2 밸브구(412)와 제4 밸브구(612) 사이의 부분이 L자 형상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2 냉매 통로(152)에서의 제2 밸브구(412)와 제4 밸브구(612) 사이의 부분을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상술한 밸브 장치(5)에서는 제1 실내측 개구(111)가 정면(101)에 마련되고, 제1 실외측 개구(121)가 배면(102)에 마련되고, 제2 실내측 개구(112), 제3 실내측 개구(113) 및 제2 실외측 개구(122)가 좌측면(103)에 마련되어 있는데, 이들은 밸브 본체(100)의 다른 외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제1 실내측 개구(111)가 상면(105)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냉매 통로(151a)의 적어도 일부가 Z축방향에 따라 배치되어 상면(105)에 있는 제1 실내측 개구(111)와 접속된다. 또한, 제1 실외측 개구(121)가 상면(105)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냉매 통로(154a)의 적어도 일부가 Z축방향에 따라 배치되어 상면(105)에 있는 제1 실외측 개구(121)와 접속된다. 또한, 제2 실외측 개구(122)가 정면(101)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제2 냉매 통로(152)(제2 냉매 통로(152)에서의 제4 밸브실(611)과 제2 실외측 개구(122)를 접속한 부분)가 Y축방향에 따라 배치되어 정면(101)에 있는 제2 실외측 개구(122)와 접속된다. 또한, 제2 실내측 개구(112)가 배면(102) 또는 상면(105)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제5 냉매 통로(155)의 적어도 일부가 Y축방향 또는 Z축방향에 따라 배치되어 배면(102) 또는 상면(105)에 있는 제2 실내측 개구(112)와 접속된다. 또한, 제3 실내측 개구(113)가 배면(102) 또는 상면(105)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제6 냉매 통로(156)의 적어도 일부가 Y축방향 또는 Z축방향에 따라 배치되어 배면(102) 또는 상면(105)에 있는 제3 실내측 개구(113)와 접속된다.
본 실시례에 관한 밸브 장치(5)에서, 밸브 본체(100)의 외면에 마련된 개구(제1 실내측 개구(111), 제2 실내측 개구(112), 제3 실내측 개구(113), 제1 실외측 개구(121) 및 제2 실외측 개구(122))의 위치는 밸브 장치(5)의 사이즈(체적)가 최소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데,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개구의 위치를 적절히 변경하여 배관의 레이아웃을 변경함으로써, 공조 장치(1)의 사이즈나 점유 스페이스의 저감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이 있다.
상술한 밸브 장치(5)는 당해 밸브 장치(5)가 조립된 시스템의 제어 장치에 의해 각 밸브유닛이 제어되는 구성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 이외에도, 예를 들면, 밸브 장치(5)가 제어 유닛을 갖고 있고, 제어 유닛이 시스템으로부터의 모든 신호를 수신하고, 복수의 밸브 유닛을 집중 제어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밸브 장치(5)의 제1 개폐 밸브 유닛(300)은 전자력으로 동작하는 파일럿식의 개폐 밸브 유닛이고, 제1 밸브구(312)가 열려진 개방밸브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통전이 필요한 것이다. 제2 개폐 밸브 유닛(400)은 전자력으로 동작하는 파일럿식의 개폐 밸브 유닛이고, 제2 밸브구(412)가 닫혀진 폐쇄밸브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통전이 필요한 것이다. 제3 개폐 밸브 유닛(500)은 제2 개폐 밸브 유닛(400)과 동일(실질적으로 동일을 포함한다)한 구성을 갖는다. 그리고, 밸브 장치(5)에서, 이들 개폐 밸브 유닛에 대신하여 통전을 정지해도 개방밸브 상태 및 폐쇄밸브 상태를 유지하는 래치식의 개폐 밸브 유닛을 채용해도 좋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원통」이나 「원주」 등의 형상을 나타내는 각 용어는 실질적으로 그 용어의 형상을 갖는 부재나 부재의 부분에도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원통형상의 부재」는 원통형상의 부재와 실질적으로 원통형상의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에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실시례의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전술한 실시례에 대해, 당업자가 적절히, 구성 요소의 추가, 삭제, 설계 변경을 행한 것이나, 실시례의 특징을 적절히 조합시킨 것도, 본 발명의 취지에 반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 공조 장치 5: 밸브 장치
7: 볼트 10: 밸브 모듈
20: 리시버 드라이어 30: 압축기
40: 실내 응축기 50: 실내 증발기
60: 실외 열교환기 70: 유량 조정 밸브
100: 밸브 본체 111: 제1 실내측 개구
112: 제2 실내측 개구 113: 제3 실내측 개구
121: 제1 실외측 개구 122: 제2 실외측 개구
131: 제1 중간 개구 132: 제2 중간 개구
151: 제1 냉매 통로 151a: 냉매 통로
151b: 냉매 통로 152: 제2 냉매 통로
152a: 제1 통로 부분 152b: 제2 통로 부분
152c: 접속 개소 153: 제3 냉매 통로
153a: 냉매 통로 154: 제4 냉매 통로
154a: 냉매 통로 155: 제5 냉매 통로
156: 제6 냉매 통로 161: 제1 부착구멍
162: 제2 부착구멍 163: 제3 부착구멍
164: 제4 부착구멍 171: 제1 관통구멍
172: 제2 관통구멍 210: 리시버 드라이어 본체
220: 덮개체 231: 제1 접속구멍
232: 제2 접속구멍 271: 제1 나사구멍
272: 제2 나사구멍 250: 제1 조인트 부재
250a: 내측 공간 251: 제1 부분
252: 제2 부분 260: 제2 조인트 부재
261: 제1 부분 262: 제2 부분
263: 제3 부분 263a: 주벽부
263b: 상벽부 300: 제1 개폐 밸브 유닛
311: 제1 밸브실 312: 제1 밸브구
313: 제1 밸브시트 314: 배압실
320: 주밸브체 325: 파일럿 통로
326: 균압 통로 330: 밸브체 구동부
331: 홀더 332: 케이스
333: 플런저 333a: 스프링 수용구멍
333b: 저면 334: 전자 코일
335: 파일럿 밸브체 336: 고정 철심
336a: 스프링 받이부재 337: 개방밸브 스프링
338: 플런저 스프링 400: 제2 개폐 밸브 유닛
411: 제2 밸브실 412: 제2 밸브구
413: 제2 밸브시트 414: 배압실
420: 주밸브체 421: 몸통부
422: 제1 플랜지부 423: 제2 플랜지부
425: 파일럿 통로 426: 균압 통로
430: 밸브체 구동부 431: 고정 철심
431a: 대경 원통부 431b: 소경 원통부
432: 케이스 433: 플런저
434: 전자 코일 435: 파일럿 밸브체
436: 밸브축 437: 개방밸브 스프링
438: 플런저 스프링 500: 제3 개폐 밸브 유닛
511: 제3 밸브실 512: 제3 밸브구
513: 제3 밸브시트 520: 주밸브체
525: 파일럿 통로 530: 밸브체 구동부
600: 유량 조정 밸브 유닛 611: 제4 밸브실
612: 제4 밸브구 613: 제4 밸브시트
620: 밸브체 621: 스템
622: 밸브부 623: 스프링 받이부
623a: 플랜지 624: 볼 받이부
630: 밸브체 구동부 640: 홀더
642: 구동축 지지 부재 642c: 암나사
644: 밸브체 지지 부재 644a: 밸브체 지지구멍
646: 개방밸브 스프링 650: 캔
651: 환형상 부재 660: 로터
662: 연결 부재 663: 로터축
670: 유성 치차 기구 671: 고정 링 치차
672: 태양 치차 673: 유성 치차
674: 캐리어 675: 출력 치차
676: 출력축 676a: 슬릿
682: 구동축 682a: 원주부
682b: 평판부 682c: 수나사
684: 볼 690: 스테이터 유닛
700: 제1 역지밸브 유닛 713: 밸브시트
720: 밸브체 721: 밸브부
730: 코일 스프링 740: 유지 부재
800: 제2 역지밸브 유닛 813: 밸브시트
820: 밸브체 821: 밸브부
830: 코일 스프링 P1∼P7: 배관

Claims (9)

  1. 밸브 모듈과, 리시버 드라이어를 갖는 밸브 장치로서,
    상기 밸브 모듈이 복수의 냉매 통로를 갖는 하나의 밸브 본체와, 상기 밸브 본체에 부착된 복수의 밸브 유닛을 가지고,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가 냉매를 저류 가능한 통형상의 리시버 드라이어 본체와,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본체의 상단부에 접합된 덮개체를 가지고,
    상기 덮개체가 상기 밸브 본체와 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가 나사구멍을 가지고,
    상기 밸브 본체가 상기 나사구멍에 대응하여 배치된 관통구멍을 가지고,
    상기 덮개체가 상기 관통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나사구멍에 나합되는 볼트에 의해 상기 밸브 본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가 상기 나사구멍을 2개 가지고,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본체의 내측 공간에 통과하는 접속구멍을 2개 가지고,
    2개의 상기 나사구멍의 중심을 잇는 선분이 2개의 상기 접속구멍의 중심을 잇는 선분과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장치가 원통형상의 조인트 부재를 가지고,
    상기 조인트 부재가 축방향으로 접속된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가지고,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접속구멍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냉매 통로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밸브 유닛이 역지밸브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역지밸브 유닛이 상기 조인트 부재가 배치된 냉매 통로에 배치되고,
    상기 조인트 부재가 상기 역지밸브 유닛을 유지하는 유지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장치.
  6.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본체의 외면에는 제1 실내측 개구, 제2 실내측 개구, 제1 실외측 개구, 제2 실외측 개구, 제1 중간 개구 및 제2 중간 개구가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냉매 통로가,
    상기 제1 실내측 개구와 상기 제2 중간 개구를 접속하는 제1 냉매 통로와,
    상기 제1 실내측 개구와 상기 제2 실외측 개구를 접속하는 제2 냉매 통로와,
    상기 제1 중간 개구와 상기 제2 냉매 통로를 접속하는 제3 냉매 통로와,
    상기 제1 실외측 개구와 상기 제2 중간 개구를 접속하는 제4 냉매 통로와,
    상기 제1 중간 개구와 상기 제2 실내측 개구를 접속하는 제5 냉매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밸브 유닛이,
    상기 제1 냉매 통로를 개폐 가능한 제1 개폐 밸브 유닛과,
    상기 제2 냉매 통로에서의 상기 제1 실내측 개구와 상기 제3 냉매 통로와의 접속 개소 사이의 제1 통로 부분을 개폐 가능한 제2 개폐 밸브 유닛과,
    상기 제2 냉매 통로에서의 상기 제2 실외측 개구와 상기 제3 냉매 통로와의 접속 개소 사이의 제2 통로 부분의 통로 면적을 무단계로 변경 가능한 유량 조정 밸브 유닛과,
    상기 제3 냉매 통로에서의 상기 제1 중간 개구로부터 상기 제2 냉매 통로에의 냉매의 흐름을 허용하면서 상기 제2 냉매 통로로부터 상기 제1 중간 개구에의 냉매의 흐름을 금지하는 제1 역지밸브 유닛과,
    상기 제4 냉매 통로에서의 상기 제1 실외측 개구로부터 상기 제2 중간 개구에의 냉매의 흐름을 허용하면서 상기 제2 중간 개구로부터 상기 제1 실외측 개구에의 냉매의 흐름을 금지하는 제2 역지밸브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본체의 외면에는 제3 실내측 개구가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냉매 통로가 상기 제1 실외측 개구와 상기 제3 실내측 개구를 접속하는 제6 냉매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밸브 유닛이 상기 제6 냉매 통로를 개폐 가능한 제3 개폐 밸브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본체의 외면이 제1 평면과, 상기 제1 평면과 직각인 제2 평면과, 상기 제2 평면과 평행한 제3 평면을 가지고,
    상기 제1 평면에는 상기 제1 평면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2 부착구멍과 제3 부착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제2 평면에는 상기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1 부착구멍과 제4 부착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제1 부착구멍의 내측에는 상기 제1 개폐 밸브 유닛에 의해 개폐되는 제1 밸브구가 배치되고,
    상기 제2 부착구멍의 내측에는 상기 제2 개폐 밸브 유닛에 의해 개폐되는 제2 밸브구가 배치되고,
    상기 제3 부착구멍의 내측에는 상기 제3 개폐 밸브 유닛에 의해 개폐되는 제3 밸브구가 배치되고,
    상기 제4 부착구멍의 내측에는 상기 유량 조정 밸브 유닛에 의해 개구면적이 무단계로 변경되는 제4 밸브구가 배치되고,
    상기 관통구멍이 상기 제2 평면으로부터 상기 제3 평면까지 늘어나 있고,
    상기 제1 평면의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관통구멍의 상기 길이 방향의 위치가 상기 제2 밸브구와 상기 제3 밸브구 사이에 있고,
    상기 제2 평면의 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관통구멍의 상기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위치가 상기 제1 밸브구와 상기 제4 밸브구 사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냉매 통로가 상기 제2 밸브구 및 상기 제4 밸브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냉매 통로에서의 상기 제2 밸브구와 상기 제4 밸브구 사이의 부분이 L자 형상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장치.
KR1020237036845A 2021-07-13 2022-06-20 밸브 장치 KR202301620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115892A JP2023012318A (ja) 2021-07-13 2021-07-13 弁装置
JPJP-P-2021-115892 2021-07-13
PCT/JP2022/024556 WO2023286532A1 (ja) 2021-07-13 2022-06-20 弁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2049A true KR20230162049A (ko) 2023-11-28

Family

ID=84919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6845A KR20230162049A (ko) 2021-07-13 2022-06-20 밸브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372257A1 (ko)
JP (1) JP2023012318A (ko)
KR (1) KR20230162049A (ko)
CN (1) CN117581050A (ko)
WO (1) WO202328653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76824A (ja) 2019-04-19 2020-10-29 株式会社デンソー 冷凍サイク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7883Y2 (ko) * 1972-06-09 1977-02-18
JP2012093051A (ja) * 2010-10-28 2012-05-17 Fuji Koki Corp ヒートポンプ用気液分離器及びインジェクション式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
JP6539640B2 (ja) * 2016-12-27 2019-07-03 株式会社不二工機 冷媒容器
JP2018192938A (ja) * 2017-05-18 2018-12-06 サンデン・オートモーティブクライメイトシステム株式会社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2021047000A (ja) * 2019-09-13 2021-03-25 株式会社デンソー 接続モジュー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76824A (ja) 2019-04-19 2020-10-29 株式会社デンソー 冷凍サイク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86532A1 (ja) 2023-01-19
JP2023012318A (ja) 2023-01-25
CN117581050A (zh) 2024-02-20
EP4372257A1 (en) 2024-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0280B1 (ko) 전자 밸브
JP5488185B2 (ja) 車両用空調装置
CN104704306B (zh) 制冷循环装置
JP7340044B2 (ja) 流体管理ユニット及び熱管理システム
CN107351628B (zh) 热泵空调系统及电动汽车
CN107351624B (zh) 热泵空调系统及电动汽车
JP5620833B2 (ja) 三方電磁弁
JP5572807B2 (ja) 制御弁および車両用冷暖房装置
KR20230162049A (ko) 밸브 장치
EP2685143B1 (en) Control valve
WO2021199864A1 (ja) 膨張弁の取付構造
US11221076B2 (en) Device for regulating a flow-through and distributing a fluid in a fluid circuit
KR20240007268A (ko) 밸브 장치
US20090138129A1 (en) Freezer Heat Exchanger Coolant Flow Divider Control Device
JP7309250B2 (ja) 弁装置および空調装置
JP5699267B2 (ja) 制御弁
JP2011255689A (ja) 車両用冷暖房装置および制御弁
JP5613879B2 (ja) 制御弁および車両用冷暖房装置
CN112013563B (zh) 电磁切换阀及具有其的热泵系统
US20230134928A1 (en) Electronic actuator for working fluid flow control
US20220412470A1 (en) Device for controlling a flow and distributing a fluid in a fluid circuit
JP2012082908A (ja) 集合弁
JP2024068925A (ja) 切替弁ユニット
KR20220028855A (ko) 통합제어밸브 및 이의 작동방법
KR20220052419A (ko) 냉매 전환 밸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