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1910A - 접이식 커버 및 이를 구비한 저장용기 - Google Patents

접이식 커버 및 이를 구비한 저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1910A
KR20230161910A KR1020230141347A KR20230141347A KR20230161910A KR 20230161910 A KR20230161910 A KR 20230161910A KR 1020230141347 A KR1020230141347 A KR 1020230141347A KR 20230141347 A KR20230141347 A KR 20230141347A KR 20230161910 A KR20230161910 A KR 202301619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rim
cover member
foldable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41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에스지테크
구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에스지테크, 구현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에스지테크
Priority to KR1020230141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1910A/ko
Publication of KR20230161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191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of polygonal cross-section and all parts being permanently connected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8Removable lids or covers having a peripheral flange fitting over the rim of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접이식 커버 및 이를 구비한 저장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접이식 커버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곡부를 기준으로 전후 방향을 따라 제1 커버부재와 제2 커버부재로 구분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전측 및 후측으로부터 각각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하는 걸림돌기; 및 상기 절곡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제1 커버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 커버부재에 접촉하는 잠금 위치와 상기 제2 커버부재에 대해 소정 각도를 이루는 개방 위치를 포함하는 범위 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일측 표면에 플러그가 형성되어 상기 잠금 위치에서 상기 플러그가 상기 절곡부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잠금플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커버 및 이를 구비한 저장용기는 금형을 이용하는 일반적인 성형 방법에 의해 신속하게 제작될 수 있다.

Description

접이식 커버 및 이를 구비한 저장용기{FOLDABLE COVER AND STORAGE CONTAIN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물품을 담는 용도의 저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저장용기의 상부에 결합되어 저장용기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접이식 커버 및 이를 구비한 저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음식물 등의 보관 기간을 늘리고 위생적인 보관을 위해서 저장용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저장용기는 커버 및 용기본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각형 커버의 둘레에는 네 개의 잠금날개가 구비되어 있다. 잠금날개는 용기본체의 둘레에 형성된 돌기 등에 결합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커버가 용기본체에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커버의 내측에는 밀폐를 위해서 패킹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저장용기에서는 커버가 잠금날개에 의해 용기본체에 결합되고, 이로 인해 패킹이 수축됨으로써 밀폐력이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저장용기는 커버를 열거나 닫기 위해 네 개의 잠금날개를 모두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국제특허공보 WO 2020/085713호에는 접이식 커버가 구비된 저장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문헌에서 사용자는 접이식 커버를 접어서 커버를 용기본체에서 분리하고, 접이식 커버를 용기본체에 올려 놓음으로써 커버를 용기본체에 결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에 개시된 저장용기에서는 걸림부가 길게 연장되어 있고 그 상부와 하부가 위아래로 중첩되는 형상을 가지므로 금형을 이용하는 일반적인 성형 방법으로는 제조하기 어렵다.
또한, 상기 선행문헌에 개시된 저장용기에서는 커버에 허용가능한 힘의 정도가 낮아 저장용기를 들어올리는 용도의 손잡이를 커버가 아닌 용기본체에 형성해야 한다. 손잡이가 용기본체의 외표면에서 외측으로 돌출함에 따라, 저장용기가 전체적으로 차지하는 부피가 증가하게 되고, 용기본체의 외표면이 평평하지 않아 세척 등이 어려워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국제특허공보 WO 2020/085713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측면은 사용 및 제조가 용이한 접이식 커버 및 저장용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은 구조적 강도 및 밀폐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접이식 커버 및 저장용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용기본체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접이식 커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접이식 커버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곡부를 기준으로 전후 방향을 따라 제1 커버부재와 제2 커버부재로 구분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전측 및 후측으로부터 각각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하는 걸림돌기; 및 상기 절곡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제1 커버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 커버부재에 접촉하는 잠금 위치와 상기 제2 커버부재에 대해 소정 각도를 이루는 개방 위치를 포함하는 범위 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일측 표면에 플러그가 형성되어 상기 잠금 위치에서 상기 플러그가 상기 절곡부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잠금플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커버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커버부재와 상기 제2 커버부재가 평행하게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잠금플랩의 회전에 따른 상기 플러그의 궤적은 상기 제1 커버부재와 상기 제2 커버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와 중첩되어 상기 잠금플랩이 상기 잠금 위치로 회전될 때 상기 플러그는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절곡부에 형성된 홈에 삽입될 수 있다.
접이식 커버는, 상기 커버부의 하면으로부터 아래로 돌출되고 상기 커버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수직커버림; 및 상기 커버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수직커버림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수평커버림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수평커버림 아래의 위치에서 상기 수직커버림의 전측 및 후측으로부터 각각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의 상면은 외측을 향할수록 낮아지도록 경사지거나 굴곡될 수 있다.
상기 수직커버림은 상기 절곡부에서 분리되어 상기 제1 커버부재에 형성된 제1 수직커버림과 상기 제2 커버부재에 형성된 제2 수직커버림으로 구분될 수 있고, 상기 제1 수직커버림의 상기 제2 수직커버림을 향하는 단부 및 상기 제2 수직커버림의 상기 제1 수직커버림을 향하는 단부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커버부재와 상기 제2 커버부재가 평행하게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 수직커버림의 단부와 상기 제2 수직커버림의 단부 사이의 홈이 아래를 향할수록 벌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수직커버림의 내측에서 상기 커버부의 하면으로부터 아래로 돌출되는 내측커버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커버부재와 상기 제2 커버부재 각각에는 손잡이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절곡부는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커버부의 중간에서 벗어난 위치에 형성되어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커버부재와 상기 제2 커버부재의 길이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은 전술한 접이식 커버; 및 상부로 개방되는 수용공간을 내측에 형성하고 상기 접이식 커버가 상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용기본체를 포함하는 저장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은 상부로 개방되는 수용공간을 내측에 형성하는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는 접이식 커버를 포함하는 저장용기를 제공하는데, 해당 저장용기에서 상기 접이식 커버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곡부를 기준으로 전후 방향을 따라 제1 커버부재와 제2 커버부재로 구분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전측 및 후측으로부터 각각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하는 걸림돌기; 및 좌우 양측으로 연장되는 힌지핀을 구비하고 상기 절곡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제1 커버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 커버부재에 접촉하는 잠금 위치와 상기 제2 커버부재에 대해 소정 각도를 이루는 개방 위치를 포함하는 범위 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된 잠금플랩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수용공간을 내측에 정의하는 외측벽; 상기 외측벽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외측벽의 상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트러프부재; 상기 트러프부재의 외측으로부터 위로 연장되는 내측림부재; 상기 내측림부재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측림부재; 상기 상측림부재의 외측에서 아래로 연장되는 외측림부재; 및 상기 용기본체의 좌우 양측에서 상기 힌지핀이 삽입되도록 상부로 개방되는 힌지슬롯을 형성하는 힌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걸림돌기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내측림부재에는 결합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용기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걸림돌기의 상면은 외측을 향할수록 낮아지도록 경사지거나 굴곡될 수 있고, 상기 결합홀이 형성된 위치에서 상기 상측림부재의 하면은 내측을 향할수록 높아지도록 경사지거나 굴곡될 수 있다.
상기 접이식 커버는, 상기 커버부의 하면으로부터 아래로 돌출되고 상기 커버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수직커버림; 및 상기 커버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수직커버림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수평커버림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수평커버림 아래의 위치에서 상기 수직커버림의 전측 및 후측으로부터 각각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할 수 있고, 상기 접이식 커버가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커버림은 상기 상측림부재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힌지부재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트러프부재에는 배수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곡부는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커버부의 중간에서 벗어난 위치에 형성되어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커버부재와 상기 제2 커버부재의 길이가 서로 다를 수 있고,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용기본체의 중간에서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둘로 나누는 내측벽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접이식 커버는 상기 내측벽에 접촉하는 내측패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이식 커버는 한 쌍의 내측패킹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한 쌍의 내측패킹은 각각 상기 내측벽의 상단의 전측과 후측에 접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아래의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커버 및 이를 구비한 저장용기는 금형을 이용하는 일반적인 성형 방법에 의해 신속하게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잠금플랩이 잠금 위치로 배치된 상태에서 접이식 커버는 높은 강도로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높은 밀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커버와 저장용기는 직관적 사용을 가능하게 하고 결합을 위한 구조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말끔한 외관을 가져 상품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의 용기본체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의 용기본체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단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커버의 일부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커버의 일부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커버의 잠금플랩을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에서 접이식 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커버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커버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커버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의 용기본체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전측", "후측", "좌측", "우측", "내측", "외측", "상측" 및 "하측" 등의 표현을 사용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전측" 및 "전방"은 절곡부(305)를 기준으로 제1 커버부재(301)가 위치하는 방향을 지칭하고자 하는 것이고, "후측" 및 "후방"이라 함은 그 반대 방향을 지칭하고자 하는 것이며, "좌측"과 "우측"은 전방과 후방이 위와 같이 정의된 경우를 기준으로 한다. "내측"이라 함은 저장용기(1000)의 내부에 가까운 쪽을 지칭하려는 것이고, "외측"이라 함은 저장용기(1000)의 내부로부터 먼 쪽을 지칭하려는 것이다. 한편, "상측"이라 함은 용기본체(100)가 개방된 방향을 지칭하려는 것이고, "하측"이라 함은 그 반대 방향을 지칭하려는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0)의 실제 사용시에는 명세서에서 언급된 방향이 실제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0)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0)의 용기본체(100)를 예시적으로 나타내고,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커버(300)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며, 도 7은 접이식 커버(300)의 잠금플랩(5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0)는 용기본체(100)와 접이식 커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이식 커버(300)의 커버부는 제1 커버부재(301)와 제2 커버부재(302)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들은 그 사이의 절곡부(305)를 기준으로 절곡될 수 있다. 접이식 커버(300)는 절곡되고 펼쳐지는 방식에 의해 용기본체(100)로부터 분리되고 결합될 수 있다.
용기본체(100)는 상부로 개방되는 수용공간(105)을 내측에 형성하여 수용공간(105) 안에 물품을 저장할 수 있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00)는 바닥(110), 외측벽(120), 트러프부재(130), 내측림부재(140), 상측림부재(150), 외측림부재(160) 및 힌지부재(20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110)과 외측벽(120)은 수용공간(105)을 정의하는 부재에 해당한다. 바닥(110)은 용기본체(100)의 하면에 해당하며 수용공간(105)의 하부를 정의할 수 있다. 바닥(110)의 저면에는 하나 이상의 받침부(114; 도 15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외측벽(120)은 바닥(110)으로부터 위로 연장되어 용기본체(100)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고 수용공간(105)의 측부를 정의할 수 있다.
트러프부재(130)는 외측벽(120)의 가장자리를 따라 외측벽(120)의 상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할 수 있다. 트러프부재(130)는 외측벽(120)의 최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할 수도 있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벽(120)의 상단(124)보다 약간 낮은 위치에서 외측으로 돌출하여 외측벽(120)의 상단(124)이 트러프부재(130)보다 더 위로 돌출하게 할 수 있다. 트러프부재(130)의 하나 이상의 위치에는 배수홀(135)이 형성될 수 있다.
내측림부재(140)는 트러프부재(130)의 외측으로부터 위로 연장될 수 있다. 내측림부재(140)는 결국 외측벽(120)으로부터 약간 이격된 위치에서 위로 연장될 수 있다. 외측벽(120)의 상단(124)이 트러프부재(130)보다 더 위로 돌출하는 경우, 외측벽(120)의 상단(124)과 내측림부재(140)은 트러프부재(130)의 상부에 일종의 홈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림부재(140)의 소정 위치에는 결합홀(145)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홀(145)은 접이식 커버(300)의 걸림돌기(39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걸림돌기(390)에 대응하는 위치,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외측벽(120)으로부터 내측림부재(140)까지의 거리가 용기본체(100)의 테두리 전체에 걸쳐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측림부재(150)는 내측림부재(140)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접이식 커버(300)가 용기본체(100)에 결합되면, 접이식 커버(300)의 수평커버림(350)은 상측림부재(15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내측림부재(140)에 결합홀(145)이 형성된 위치에서 상측림부재(150)의 하면은 내측을 향할수록 높아지도록 경사지거나 굴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외측림부재(160)는 상측림부재(150)의 외측에서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 외측림부재(160)는 결국 내측림부재(140)로부터 약간 이격된 위치에서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 내측림부재(140), 상측림부재(150) 및 외측림부재(160)는 일종의 2중벽 구조를 형성하여 용기본체(100)의 테두리를 보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내측림부재(140)로부터 외측림부재(160)까지의 거리가 용기본체(100)의 테두리 전체에 걸쳐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지만,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내측림부재(140)과 외측림부재(160) 사이의 거리가 용기본체(100)의 좌우측보다 용기본체(100)의 전측 및 후측에서 더 클 수 있다. 용기본체(100)의 전측 및 후측에서 내측림부재(140)과 외측림부재(160) 사이의 거리는 내측림부재(140)에 형성된 결합홀(145)에 삽입되는 걸림돌기(390)의 돌출 길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힌지부재(200)는 접이식 커버(300)의 잠금플랩(500)이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용기본체(100)의 좌우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는 힌지부재(200)가 용기본체(100)의 좌우 양측에서 상측림부재(150)로부터 위로 돌출한다. 힌지부재(200)는 상부로 개방되는 힌지슬롯(205)을 형성할 수 있다. 힌지슬롯(205)에는 접이식 커버(300)의 잠금플랩(500)에 형성된 힌지핀(540)이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좌우 방향으로 힌지부재(200)의 폭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부분에서 내측림부재(140)과 외측림부재(160) 사이의 거리에 대응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용기본체(100)의 좌우측에서의 내측림부재(140)과 외측림부재(160) 사이의 거리는 용기본체(100)의 전후측에서의 내측림부재(140)과 외측림 부재(160) 사이의 거리와 다를 수 있다.
접이식 커버(300)는 잠금플랩(500)의 조작에 의해 절곡되고 펼쳐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용기본체(100)로부터 분리되고 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커버(300) 중 손잡이(400)와 잠금플랩(500)을 제외한 부분을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커버(300)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은 접이식 커버(300)의 잠금플랩(500)만을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이식 커버(300)는 커버부, 수평커버림(350), 수직커버림(360), 내측커버림(370), 보강리브(380), 걸림돌기(390), 손잡이(400) 및 잠금플랩(50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는 접이식 커버(300)의 주요 부분으로서 용기본체(100)의 수용공간(105)을 덮는 부분에 해당한다. 커버부는 제1 커버부재(301), 제2 커버부재(302) 및 절곡부(305)를 포함할 수 있다. 절곡부(305)는 제1 커버부재(301)와 제2 커버부재(302) 사이에 위치하여 제1 커버부재(301)와 제2 커버부재(302)가 서로에 대해 절곡될 수 있게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커버부 중 절곡부(305)의 전측에 위치한 부분을 제1 커버부재(301)로 지칭하고 절곡부(305)의 후측에 위치한 부분을 제2 커버부재(302)로 지칭하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는 커버부가 동일한 재질을 이용하여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있고 절곡부(305)는 절곡을 허용하는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도 12에 더 자세히 묘사된 바와 같이, 절곡부(305)는 제1 커버부재(301)와 제2 커버부재(302) 사이에 형성되어 절곡부(305)에(구체적으로는, 절곡부(305)의 위와 아래에) 홈(315, 365; 도 12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절곡부(305)는 다양한 다른 방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커버부를 이루는 제1 및 제2 커버부재(301, 302)는 베이스(310), 융기부(321, 322) 및 함몰부(330)를 포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베이스(310)를 커버부 중 기본 높이에 있는 부분으로 보면, 융기부(321, 322)는 베이스(310)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높이 솟아오른 부분이고, 함몰부(330)는 베이스(310)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낮게 함몰된 부분이다.
제1 커버부재(301)의 융기부(321)와 제2 커버부재(302)의 융기부(322)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커버부재(301)의 융기부(321)는 제1 커버부재(301)의 좌우측에 형성되어 있고 절곡부(305)에 인접한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융기부(321) 중 절곡부(305)에 인접한 단부는 그 외측이 절단된 형상을 갖고, 해당 부위에는 잠금플랩(500)을 결합하기 위한 회전홀(325)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커버부재(302)의 융기부(322)는 제2 커버부재(302)의 좌우측에 형성되되 그 전측 단부가 절곡부(305)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다. 제1 커버부재(301)의 융기부(321)의 후측 단부와 제2 커버부재(302)의 융기부(322)의 전측 단부 사이의 간격은 회전홀(325)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잠금플랩(500)이 눕혀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제1 및 제2 커버부재(301, 302)의 융기부(321, 322)의 높이는 잠금플랩(500)의 두께에 대응하여 결정될 수 있다. 잠금플랩(500)이 잠금 위치로 회전되어 융기부(321)와 융기부(322) 사이에 눕혀지면 잠금플랩(500) 중 위를 향하는 표면이 융기부(321, 322)의 상면과 동일하거나 근접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고, 접이식 커버(300)가 말끔한 외관을 갖게 할 수 있다.
융기부(321, 322)의 지정된 위치에는 정렬홈(324)이 형성될 수 있다. 정렬홈(324)은 용기본체(100)의 바닥(110)의 저면에 형성된 받침부(114)에 대응하는 위치,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0) 여러 개가 적층될 때 위에 있는 저장용기(1000)의 받침부(114)가 아래에 있는 저장용기(1000)의 정렬홈(324)에 삽입되어 저장용기(1000)들이 더 안정적으로 적층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융기부(321, 322)의 측부에는 손잡이(400)를 결합하기 위한 회전홀(335)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함몰부(330)는 베이스(310)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낮게 함몰된 부분으로서, 손잡이(40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서와 같이, 함몰부(330)의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 치수는 손잡이(400) 전체의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 치수에 대응할 수 있고, 손잡이(400)가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손잡이(400) 전체가 함몰부(330)에 삽입될 수 있다. 함몰부(330)의 깊이 역시 손잡이(400)의 두께에 대응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잡이(400)가 함몰부(330) 안에 눕혀지면 손잡이(400) 중 위를 향하는 표면이 융기부(321, 322)의 상면과 동일하거나 근접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고, 접이식 커버(300)가 말끔한 외관을 갖게 할 수 있다.
수평커버림(350)은 커버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특히 수직커버림(360)보다 더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접이식 커버(300)가 용기본체(100)에 결합될 때, 수평커버림(350)은 용기본체(100)의 상측림부재(150) 위에 위치할 수 있고, 수평커버림(350)의 외측 단부가 상측림부재(150)의 외측 표면과 동일한 평면에 놓이면서 접이식 커버(300)가 말끔한 외관을 갖게 하는 데 일조할 수 있다. 절곡부(305)에 인접한 부분에서는 수평커버림(350)에 여유홀(355)이 형성될 수 있고, 접이식 커버(300)가 용기본체(100)에 결합될 때, 용기본체(100)의 힌지부재(200)는 여유홀(355)을 통과할 수 있다.
수직커버림(360)은 커버부의 하면으로부터 아래로 돌출되고 커버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가 절곡부(305)에서 절곡될 수 있도록, 수직커버림(360)은 절곡부(305)에서 분리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수직커버림(360) 중 제1 커버부재(301)에 형성된 부분은 제1 수직커버림(361)이라 지칭하고 제2 커버부재(302)에 형성된 부분은 제2 수직커버림(362)이라 지칭하기로 한다.
제1 수직커버림(361)의 제2 수직커버림(362)을 향하는 단부 및 제2 수직커버림(362)의 제1 수직커버림(361)을 향하는 단부에는 경사면(364)이 형성될 수 있고, 제1 커버부재(301)와 제2 커버부재(302)가 용기본체(100)와의 결합을 위해 평행하게 펼쳐진 상태에 있을 때, 제1 수직커버림(361)의 단부와 제2 수직커버림(362)의 단부 사이의 홈(365)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를 향할수록 벌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내측커버림(370)은 수직커버림(360)의 내측에서 커버부의 하면으로부터 아래로 돌출될 수 있다. 내측커버림(370)은 수직커버림(360)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으며, 해당 간격은 접이식 커버(300)에 외측패킹부재(431, 432)를 장착하기 위한 패킹홈(375; 도 10 참조)을 형성할 수 있다. 볼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커버(300)는 패킹홈(375)에 삽입되는 외측패킹부재(431, 4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리브(380)는 절곡부(305)에 인접한 위치에서 커버부의 하면으로부터 아래로 돌출될 수 있고, 절곡부(305)의 전후 양측에서 절곡부(305)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보강리브(380)는 절곡부(305) 부위에서 커버부의 구조적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걸림돌기(390)는 접이식 커버(300)가 용기본체(100)에 결합될 때 용기본체(100)에 실제로 걸리는 부분에 해당한다. 걸림돌기(390)는 커버부의 전측 및 후측으로부터 각각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는 걸림돌기(390)가 수평커버림(350) 아래의 위치에서 수직커버림(360)으로부터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한다. 이후 더 자세히 설명되듯이, 걸림돌기(390)의 상면은 외측을 향할수록 낮아지도록 경사지거나 굴곡될 수 있다.
손잡이(400)는 접이식 커버(300)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저장용기(1000)를 들어올리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400)는 파지부(410)와 연결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파지부(410)는 사용자가 실제 파지하는 부분에 해당할 수 있고, 연결부(420)는 파지부(410)의 양측에서 연장되어 파지부(410)를 커버부에 연결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접이식 커버(300)에는 회전홀(335)이 형성될 수 있고, 여기에 연결부(420)에 형성된 회전돌기(미도시)가 삽입되면 손잡이(400)는 회전홀(335)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된다. 평상시에는 손잡이(400)가 중력에 의해 또는 별도의 탄성부재에 의해 함몰부(330) 안에 눕혀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손잡이(400)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파지부(410) 아래에 손을 넣어 파지부(410)를 들어올릴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손잡이(400)가 함몰부(330) 안에 눕혀진 상태에서는 파지부(410)와 연결부(420) 중 위를 향하는 표면이 융기부(321, 322)의 상면과 동일하거나 근접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전후 방향을 따라 파지부(410)의 한쪽에는 베이스(310)가 위치하고 다른 한쪽에는 함몰부(330)가 위치하므로 사용자는 함몰부(330) 쪽에서 파지부(410)를 파지해야 함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된다.
잠금플랩(500)은 접이식 커버(300)의 개방 및 폐쇄를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부분이다. 잠금플랩(500)은 커버부에, 예를 들면 제1 커버부재(30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잠금 위치와 개방 위치를 포함하는 범위 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잠금플랩(500)은 파지부(510), 연결부(520), 플러그(530) 및 힌지핀(540)을 포함할 수 있다.
파지부(510)는 사용자가 잠금플랩(500)을 조작할 때 실제 파지하는 부분에 해당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는 파지부(510) 중 힌지핀(540)을 향하는 쪽에 홈(515)이 형성되어 있어 그 양측에 연장부(514)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형상은 사용자가 파지부(510)를 더 편히 잡을 수 있도록 도와주고 해당 부분이 파지하여 조작해야 하는 부분임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해준다. 각 연장부(514)의 좌우 방향을 따른 폭은 커버부의 융기부(321, 322)의 폭에 대응할 수 있다. 물론, 파지부(510)에 반드시 홈(515)이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연결부(520)는 파지부(510)의 양측에서 돌출하여 파지부(510)와 힌지핀(540)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520)는 융기부(321) 중 절곡부(305)에 인접한 단부에서 그 외측에 절단된 형상을 가진 부분에 삽입될 수 있다.
플러그(530)는 잠금플랩(500)이 잠금 위치로 회전될 때 절곡부(305)에 형성된 홈(315)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플러그(530)는 파지부(510)와 연결부(520)의 일측 표면에서 절곡부(305)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플러그(530)는 파지부(510)와 연결부(520) 중 잠금플랩(500)이 잠금 위치로 회전될 때 커버부를 향하는 표면에 형성될 수 있고, 절곡부(305)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힌지핀(540)은 잠금플랩(500)이 힌지부재(200) 및 회전홀(325)에 결합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힌지핀(540)은 연결부(520)에 형성되되 연결부(520)의 좌우 양측으로 돌출할 수 있는데, 힌지핀(540)의 헤드(550)는 연결부(520)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할 수 있고, 힌지핀(540)의 말단부(560)는 연결부(520)로부터 내측을 향해 돌출할 수 있다. 힌지핀(540)의 말단부(560)는 커버부의 회전홀(325)에 삽입되어 잠금플랩(500)을 커버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힌지핀(540)의 헤드(55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힌지부재(200)의 힌지슬롯(205)에 삽입될 수 있다. 잠금플랩(500)의 회전을 허용하기 위해 힌지핀(540)은 기본적으로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힌지핀(540)에는 편평부(544)가 형성될 수 있다. 힌지핀(540)이 기본적으로는 원기둥 형상을 갖지만, 편평부(544)에서는 원기둥의 측면이 절단된 형상을 가져 편평한 표면을 이룰 수 있다. 잠금플랩(500)이 도 8에서와 같이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편평부(544)는 힌지핀(540)의 전후측에 해당할 수 있으며, 따라서 힌지부재(200)의 힌지슬롯(205)이 원형 형상을 갖고 힌지슬롯(205)의 개방된 상부가 힌지슬롯(205)의 나머지 부분에 비해 좁게 형성되더라도, 잠금플랩(500)이 도 8에서와 같이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는 힌지핀(540)이 편평부(544)로 인해 감소된 폭을 가져 좁은 힌지슬롯(205)의 입구를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0)에서 접이식 커버(300)가 분리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0)이 작동되는 방법에 대해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접이식 커버(300)가 용기본체(100)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용기본체(100)의 수용공간(105)이 상부로 개방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편의에 따라 수용공간(105) 내에 물품을 넣거나 뺄 수 있다.
용기본체(100)를 폐쇄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잠금플랩(500)을 파지하여 잠금플랩(500)이 세로로 배치되게 할 수 있다. 이 때, 접이식 커버(300)의 제1 및 제2 커버부재(301, 302)는 중력에 의해 절곡부(305)를 기준으로 아래로 쳐져 도 8에 도시된 배치를 이룰 수 있다.
사용자는 접이식 커버(300)를 낮추어 용기본체(100)의 개방된 상부에 배치할 수 있고, 제1 및 제2 커버부재(301, 302)는 용기본체(100)에 닿으며 펼쳐질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예로 들면, 제1 및 제2 커버부재(301, 302)의 수직커버림(360)이 용기본체(100)의 외측벽(120)의 상단(124)에 접촉하면서 자연스럽게 펼쳐질 수 있다.
사용자는 힌지핀(540)의 헤드(550)를 힌지부재(200)의 힌지슬롯(205)에 삽입할 수 있다. 잠금플랩(500)이 세로로 배치된 상태에서는 힌지핀(540)이 편평부(544)가 전후측을 향하므로 힌지슬롯(205)의 좁은 입구를 통과할 수 있다. 힌지핀(540)이 힌지슬롯(205)에 온전히 삽입되면, 제1 및 제2 커버부재(301, 302)는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최대한 펼쳐지는데, 최대한 펼쳐진 상태에서는 접이식 커버(300)의 전후측의 걸림돌기(390)가 내측림부재(140)의 결합홀(145)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잠금플랩(500)을 잠금 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다. 잠금플랩(500)의 힌지핀(540)은 그 헤드(550)가 힌지부재(200)의 힌지슬롯(205)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그 말단부(560)는 커버부의 회전홀(325)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커버부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다. 사용자가 잠금플랩(500)을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즉, 개방 위치)에서 가로 방향으로 눕혀진 상태(즉, 잠금 위치)로 회전시키면, 파지부(510)와 연결부(520)가 커버부의 가운데를 하향 가압하여 제1 및 제2 커버부재(301, 302)가 다시 아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잠금플랩(500)의 플러그(530)가 절곡부(305)에 형성된 홈(315)에 삽입되어 제1 및 제2 커버부재(301, 302)가 위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걸림돌기(390)는 충분한 길이로 돌출하여 결합홀(145)에 삽입되고, 상측림부재(150)에 걸려 높은 강도로 접이식 커버(3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접이식 커버(300)가 용기본체(100)에 결합되어 잠겨진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접이식 커버(300)에 결합된 손잡이(400)를 들고 저장용기(1000)를 들어올리더라도 접이식 커버(300)가 분리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8에는 생략되어 있지만, 패킹홈(375)에 외측패킹부재(431, 432)가 장착될 수 있고, 걸림돌기(390)는 커버부를 하향 가압하여 외측패킹부재(431, 432)가 용기본체(100)의 외측벽(120)의 상단(124)에 밀착되게 할 수 있다. 이는 용기본체(100)의 수용공간(105)을 높은 수밀 성능으로 밀폐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6은 각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커버(300) 및 저장용기(1000)의 일부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커버(300) 및 저장용기(1000)가 가진 특징을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0)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걸림돌기(390)와 결합홀(145)이 구비된 부분을 나타낸다.
결합홀(145)은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 위치에서 내측림부재(140)에 형성될 수 있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림부재(140)와 트러프부재(130)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다. 내측림부재(140)는 상측림부재(150)에 의해 상부에서 외측림부재(160)에 연결되므로, 상측림부재(150) 아래에서는 내측림부재(140)가 외측림부재(160)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내측림부재(140)에 결합홀(145)이 형성되면, 결합홀(145) 외측의 공간은 하부로도 개방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0)의 제조를 더 쉽게 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즉, 상부 및 하부 금형이 사용되는 일반적인 성형 방법을 이용하려면 제품의 모든 부분의 상면과 하면(또는 기타 반대 방향을 바라보는 두 표면) 상부 및 하부 금형(또는 기타 반대 방향에서 접근하는 두 금형)에 접촉할 수 있어야 한다. 제작되는 제품에 걸림돌기 또는 걸림홈이 포함된 경우, 이를 금형을 이용하여 성형하기 위해서는 성형물이 금형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을 정도로 매우 작은 돌출길이만 허용되고, 어느 부분의 돌출길이가 일정 수준을 초과하면 성형물을 금형으로부터 이탈할 수 없다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용기본체(100)에 내측림부재(140)과 상측림부재(150)를 형성하고 내측림부재(140)에 결합홀(145)을 형성하면, 용기본체(100)의 모든 부분의 상면 및 하면이 상부 및 하부 금형에 접촉할 수 있게 된다. 걸림돌기(390)의 돌출길이는 특정 값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값으로 설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0)는 걸림돌기(390)의 길이가 제한됨 없이 금형을 이용하는 일반적인 성형 방법으로 제작될 수 있고, 걸림돌기(390)의 길이가 제한되지 않으므로 접이식 커버(300)의 결합 강도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더 나아가, 내측림부재(140)에 결합홀(145)이 형성되더라도 그 주위에 위치하는 상측림부재(150)와 외측림부재(160)가 이를 가리므로 용기본체(100)는 말끔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다. 접이식 커버(300)가 용기본체(10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접이식 커버(300)의 수평커버림(350)이 용기본체(100)의 상측림부재(150)를 가리므로 마찬가지로 저장용기(1000)가 말끔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다.
내측림부재(140)에 형성된 결합홀(145)은 그 외측의 공간이 하부로도 개방되어 있으므로, 결합홀(145)은 배수홀의 역할을 겸할 수 있다. 즉, 접이식 커버(300)와 용기본체(100) 사이의 틈을 통해 액체가 스며들거나 수증기가 용기본체(100)의 테두리 부위에서 응결하여 액체가 생성될 경우, 이 액체는 트러프부재(130)를 따라 이동하여 결합홀(145)을 통해 외부로 낙하할 수 있다. 따라서 트러프부재(130) 부위에 액체가 진입하거나 생성되더라도, 사용자가 접이식 커버(100)를 개방할 때 이 액체가 수용공간(105) 내부로 인입되지 못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0)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접이식 커버(300)가 용기본체(100)에 결합되거나 분리될 때의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걸림돌기(390)의 상면은 외측을 향할수록 낮아지도록 경사지거나 굴곡될 수 있다. 또한, 내측림부재(140)에 결합홀(145)이 형성된 위치에서 상측림부재(150)의 하면은 내측을 향할수록 높아지도록 경사지거나 굴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걸림돌기(390)의 상면에 경사면(394)이 형성되어 있고, 결합홀(145)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측림부재(150)의 하면에도 경사면(154)이 형성되어 있다.
접이식 커버(300)가 펼쳐지면서 용기본체(100)에 결합될 때, 제1 및 제2 커버부재(301, 302)는 예각을 이루고, 걸림돌기(390) 역시 예각을 이루며 결합홀(145)에 진입한다. 걸림돌기(390)의 상면과 상측림부재(150)의 하면에 형성된 경사는 걸림돌기(390)가 더 쉽게 결합홀(145)에 삽입될 수 있게 한다. 즉, 수평커버림(350)은 상측림부재(150)를 접촉하며 상측림부재(150)의 상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걸림돌기(390)의 경사면(394)은 상측림부재(150)의 경사면(154)을 접촉하며 자연스럽게 결합홀(145)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걸림돌기(390)의 내측에도 상측림부재(150)의 경사면(154)에 대응하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상측림부재(150)가 더 효과적으로 접이식 커버(300)를 아래로 가압할 수 있게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커버(300)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에는 용기본체(100)의 힌지부재(200)도 묘사되어 있다.
도 11에서 힌지부재(200)는 수평커버림(350)의 여유홀(355)을 통해 수평커버림(350) 위로 돌출해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는 수평커버림(350)에 여유홀(355)을 형성하지 않은 채 힌지부재(200)가 외측으로 돌출하여 수평커버림(350)의 외측에서 위로 돌출할 수도 있다. 다만, 도 11에서와 같이 수평커버림(350)에 여유홀(355)을 형성함으로써 힌지부재(200)가 외측으로 돌출하지 않게 할 수 있고, 용기본체(100)가 불필요하게 불균일한 형상을 갖지 않게 할 수 있다.
용기본체(100)의 힌지부재(200)는 위로 개방되는 힌지슬롯(205)을 형성하는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슬롯(205)은 힌지핀(540)의 주요 부분 및 힌지핀(540)의 헤드(55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힌지핀(540)의 헤드(550)의 내측에 해당하는 부분에서 힌지부재(200)는 그 단부(204) 사이의 간격이 힌지핀(540)의 직경보다 작되 힌지핀(540)의 편평부(544)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잠금플랩(500)이 개방 위치로 배치된 상태에서는 힌지핀(540)의 편평부(544)가 전후측을 향하게 되어 힌지부재(200)의 단부(204) 사이를 통과할 수 있고, 잠금플랩(500)이 잠금 위치로 회전된 상태에서는 힌지핀(540) 역시 함께 회전하여 힌지부재(200)의 단부(204) 사이를 통과할 수 없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0)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잠금플랩(500)을 잠금 위치로 회전시키면 잠금플랩(500)의 일측 표면에 형성된 플러그(530)가 절곡부(305) 위의 홈(315) 내에 삽입될 수 있고, 이는 제1 및 제2 커버부재(301, 302)가 절곡부(305)를 기준으로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즉, 위로 절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플러그(530)의 길이는 잠금플랩(500)이 잠금 위치로 회전될 때 플러그(530)가 제2 커버부재(302)에 걸리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잠금플랩(500)이 회전되면서 플러그(530)가 제2 커버부재(302)의 내측 단부(314)에 먼저 걸릴 수 있고, 잠금플랩(500)이 이로부터 눕혀지는 방향으로 더 회전되면 플러그(530)가 탄성 변형을 거치며 절곡부(305) 상부의 홈(315)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잠금플랩(500)을 조작할 때 잠금 위치에 도달하는 순간 및 잠금 위치로부터 벗어나는 순간에 플러그(530)가 탄성 변형에 의해 절곡부(305) 상부의 홈(315)을 진입하거나 이탈할 수 있고, 이는 약간의 충격 및/또는 소음을 발생시켜 사용자가 촉각적으로 및/또는 청각적으로 잠금플랩(500)의 잠금 및/또는 해제를 지각할 수 있게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0)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트러프부재(130)의 하나 이상의 위치에는 배수홀(135)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접이식 커버(300)와 용기본체(100) 사이의 틈을 통해 액체가 스며들거나 수증기가 용기본체(100)의 테두리 부위에서 응결하여 액체가 생성될 경우, 이 액체는 트러프부재(130)를 따라 이동하여 배수홀(135)을 통해 외부로 낙하할 수 있다. 따라서 트러프부재(130) 부위에 액체가 진입하거나 생성되더라도, 사용자가 접이식 커버(100)를 개방할 때 이 액체가 수용공간(105) 내부로 인입되지 못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배수홀(135) 중 하나가 힌지부재(200)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접이식 커버(300)는 수평커버림(350)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이 진입하는 것을 막는데, 힌지부재(200)가 위치한 부분에는 힌지부재(200)가 통과하기 위한 여유홀(355)이 형성될 수 있다. 여유홀(355)을 통해 힌지부재(200)와 수평커버림(350) 사이로 외부로부터 액체가 진입하면, 액체는 해당 위치에 형성된 배수홀(135)을 통해 낙하하여 제거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커버(300)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의 상부에 표시된 화살표는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한 제1 커버부재(301)의 길이를 나타낸다. 도 14로부터 알 수 있듯이,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제1 커버부재(301)의 길이는 제2 커버부재(302)의 길이와 다를 수 있다. 도 14에서는 제1 커버부재(301)의 길이가 제2 커버부재(302)의 길이보다 크다.
제1 커버부재(301), 제2 커버부재(302) 및 절곡부(305)를 포함하는 커버부는 하나의 일체형 제품으로 제작될 수 있고 금형을 사용한 성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 게이트(G)는 제1 커버부재(301)에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즉, 금형 내부로 성형 재료가 주입되는 사출 게이트(G)는 접이식 커버(300)의 중심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는데, 제1 커버부재(301)의 길이와 제2 커버부재(302)의 길이가 다르므로 사출 게이트(G)가 제1 커버부재(301)에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성형 재료는 사출 게이트(G)를 통해 주입될 수 있고, 주입되는 재료는 절곡부(305)에 대응하는 얇은 부분을 통과하여 제2 커버부재(302)에 대응하는 부분으로 주입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사출 게이트(G)를 중심으로 전측과 후측에 성형 재료가 충진되는 시간을 비슷하게 하여 제작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커버(300)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저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접이식 커버(300)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용기본체(100)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와 도 16은 용기본체(100)가 내측벽(116)을 더 포함하는 경우를 묘사한다.
먼저 도 16을 참조하면, 내측벽(116)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용기본체(100)의 수용공간(105)을 전후로 나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내측벽(116)은 용기본체(100)의 중간에 형성되어 수용공간(105)을 이등분할 수 있다. 이 경우, 내측벽(116)과 힌지부재(200)가 서로에 대해 정렬될 수 있다. 내측벽(116)은 용기본체(100)의 나머지 부분과 일체형으로 함께 성형될 수도 있고, 별도로 제작되어 용기본체(1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접이식 커버(300)는 패킹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외측패킹부재(431, 432)는 외측벽(120)의 상단(124)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수직커버림(360)과 내측커버림(370) 사이에 형성되는 패킹홈(375)에 삽입될 수 있다.
용기본체(100)가 내측벽(116)을 포함하는 경우, 접이식 커버(300)는 내측패킹부재(461, 4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내측패킹부재(461, 462)는 외측패킹부재(431, 432)보다 더 큰 두께로 제작될 수 있고, 외측패킹부재(431, 432)과 만나는 부분에 오버랩이 있도록 장착될 수 있다. 내측패킹부재(461, 462)는 힌지부재(200) 사이를 잇는 직선을 제외한 부분에 형성될 수 있고, 접이식 커버(300)가 용기본체(100)에 결합되면 내측패킹부재(461, 462)가 내측벽(116)의 전후 양측에 밀착될 수 있다.
위에 제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커버(300) 및 이를 구비한 저장용기(1000)는 금형을 이용하는 일반적인 성형 방법에 의해 신속하게 제작될 수 있다. 잠금플랩(500)이 잠금 위치로 배치된 상태에서 접이식 커버(300)는 높은 강도로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높은 밀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접이식 커버(300)와 저장용기(1000)는 직관적 사용을 가능하게 하고 결합을 위한 구조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말끔한 외관을 가져 상품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0: 저장용기
100: 용기본체 130: 트러프부재
140: 내측림부재 150: 상측림부재
160: 외측림부재 200: 힌지부재
300: 접이식 커버 305: 절곡부
350: 수평커버림 360: 수직커버림(360)
370: 내측커버림 380: 보강리브
390: 걸림돌기 400: 손잡이
500: 잠금플랩 530: 플러그
540: 힌지핀

Claims (16)

  1.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곡부를 기준으로 전후 방향을 따라 제1 커버부재와 제2 커버부재로 구분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전측 및 후측으로부터 각각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하는 걸림돌기; 및
    상기 절곡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제1 커버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 커버부재에 접촉하는 잠금 위치와 상기 제2 커버부재에 대해 소정 각도를 이루는 개방 위치를 포함하는 범위 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일측 표면에 플러그가 형성되어 상기 잠금 위치에서 상기 플러그가 상기 절곡부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잠금플랩을 포함하는 접이식 커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부재와 상기 제2 커버부재가 평행하게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잠금플랩의 회전에 따른 상기 플러그의 궤적은 상기 제1 커버부재와 상기 제2 커버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와 중첩되어 상기 잠금플랩이 상기 잠금 위치로 회전될 때 상기 플러그는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절곡부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커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하면으로부터 아래로 돌출되고 상기 커버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수직커버림; 및
    상기 커버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수직커버림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수평커버림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수평커버림 아래의 위치에서 상기 수직커버림의 전측 및 후측으로부터 각각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커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의 상면은 외측을 향할수록 낮아지도록 경사지거나 굴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커버.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커버림은 상기 절곡부에서 분리되어 상기 제1 커버부재에 형성된 제1 수직커버림과 상기 제2 커버부재에 형성된 제2 수직커버림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 수직커버림의 상기 제2 수직커버림을 향하는 단부 및 상기 제2 수직커버림의 상기 제1 수직커버림을 향하는 단부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커버부재와 상기 제2 커버부재가 평행하게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 수직커버림의 단부와 상기 제2 수직커버림의 단부 사이의 홈이 아래를 향할수록 벌어지는 형상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커버.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커버림의 내측에서 상기 커버부의 하면으로부터 아래로 돌출되는 내측커버림을 더 포함하는 접이식 커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부재와 상기 제2 커버부재 각각에는 손잡이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커버.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접이식 커버; 및
    상부로 개방되는 수용공간을 내측에 형성하고 상기 접이식 커버가 상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용기본체를 포함하는 저장용기.
  9. 상부로 개방되는 수용공간을 내측에 형성하는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는 접이식 커버를 포함하는 저장용기로서,
    상기 접이식 커버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곡부를 기준으로 전후 방향을 따라 제1 커버부재와 제2 커버부재로 구분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전측 및 후측으로부터 각각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하는 걸림돌기; 및
    좌우 양측으로 연장되는 힌지핀을 구비하고 상기 절곡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제1 커버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 커버부재에 접촉하는 잠금 위치와 상기 제2 커버부재에 대해 소정 각도를 이루는 개방 위치를 포함하는 범위 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된 잠금플랩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수용공간을 내측에 정의하는 외측벽;
    상기 외측벽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외측벽의 상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트러프부재;
    상기 트러프부재의 외측으로부터 위로 연장되는 내측림부재;
    상기 내측림부재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측림부재;
    상기 상측림부재의 외측에서 아래로 연장되는 외측림부재; 및
    상기 용기본체의 좌우 양측에서 상기 힌지핀이 삽입되도록 상부로 개방되는 힌지슬롯을 형성하는 힌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돌기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내측림부재에는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의 상면은 외측을 향할수록 낮아지도록 경사지거나 굴곡되어 있고, 상기 결합홀이 형성된 위치에서 상기 상측림부재의 하면은 내측을 향할수록 높아지도록 경사지거나 굴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커버는,
    상기 커버부의 하면으로부터 아래로 돌출되고 상기 커버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수직커버림; 및
    상기 커버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수직커버림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수평커버림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수평커버림 아래의 위치에서 상기 수직커버림의 전측 및 후측으로부터 각각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하고, 상기 접이식 커버가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커버림은 상기 상측림부재 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트러프부재에는 배수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커버부의 중간에서 벗어난 위치에 형성되어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커버부재와 상기 제2 커버부재의 길이가 상이하고,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용기본체의 중간에서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둘로 나누는 내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접이식 커버는 상기 내측벽에 접촉하는 내측패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커버는 한 쌍의 내측패킹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내측패킹은 각각 상기 내측벽의 상단의 전측과 후측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15.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곡부를 기준으로 전후 방향을 따라 제1 커버부재와 제2 커버부재로 구분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전측 및 후측으로부터 각각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하는 걸림돌기; 및
    상기 절곡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제1 커버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 커버부재에 접촉하는 잠금 위치와 상기 제2 커버부재에 대해 소정 각도를 이루는 개방 위치를 포함하는 범위 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된 잠금플랩; 및
    상기 절곡부는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커버부의 중간에서 벗어난 위치에 형성되어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커버부재와 상기 제2 커버부재의 길이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커버.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제1 커버부재와 제2 커버부재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의 위와 아래에 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커버.
KR1020230141347A 2023-10-20 2023-10-20 접이식 커버 및 이를 구비한 저장용기 KR202301619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41347A KR20230161910A (ko) 2023-10-20 2023-10-20 접이식 커버 및 이를 구비한 저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41347A KR20230161910A (ko) 2023-10-20 2023-10-20 접이식 커버 및 이를 구비한 저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1910A true KR20230161910A (ko) 2023-11-28

Family

ID=88957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41347A KR20230161910A (ko) 2023-10-20 2023-10-20 접이식 커버 및 이를 구비한 저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191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5713A1 (ko) 2018-10-25 2020-04-30 구현우 저장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5713A1 (ko) 2018-10-25 2020-04-30 구현우 저장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74393B1 (en) Container with latch
USD946979S1 (en) Container
JP5836877B2 (ja) 工具収納ケース
KR20070101643A (ko) 저장용기
USD949637S1 (en) Container
USD954492S1 (en) Container lid with handle
US11109700B2 (en) Utensil having self-storage handle
USD1002868S1 (en) Cryogenic vial carrier
AU2014100890A4 (en) Containing Box Structure
CA3018258A1 (en) Water resistant tote box
KR20230161910A (ko) 접이식 커버 및 이를 구비한 저장용기
JP6034173B2 (ja) 折畳み容器
JP2000118578A (ja) 小物類収納容器
JP7251774B2 (ja) 容器
JP3911165B2 (ja) 折り畳みコンテナ
USD1000030S1 (en) Litter disposal container
JP7277883B2 (ja) ペダル開閉式ごみ箱
JPS6131947Y2 (ko)
JP5711051B2 (ja) 箱型容器
JP2001269217A (ja) コンパクト容器
JP7440883B2 (ja) 収納ケース
JP7076779B2 (ja) 折畳み容器
JP3033325U (ja) 前倒防止機構を具備するプラスチック製収納ケース
JP4313054B2 (ja) 小物収容ケース
JP2006151454A (ja) 蓋付き容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