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9252A - 작업 차량 - Google Patents
작업 차량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59252A KR20230159252A KR1020230048043A KR20230048043A KR20230159252A KR 20230159252 A KR20230159252 A KR 20230159252A KR 1020230048043 A KR1020230048043 A KR 1020230048043A KR 20230048043 A KR20230048043 A KR 20230048043A KR 20230159252 A KR20230159252 A KR 2023015925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positioning antenna
- canopy
- support
- driver
- Prior art date
Links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1124569 Lycaen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13 municipal solid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5 non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75 pestic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71 till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689 upper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58—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navigation syst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17—Drivers' cabs for tractors or off-the-road vehicles
- B62D33/0625—Drivers' cabs for tractors or off-the-road vehicles ope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6—Fixed roof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9/00—Tractors
- B62D49/06—Tractors adapted for multi-purpose us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01Q1/3208—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wherein the antenna is used
- H01Q1/3233—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wherein the antenna is used particular used as part of a sensor or in a security system, e.g. for automotive radar, navigation system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01Q1/325—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01Q1/325—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 H01Q1/3275—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mounted on a horizontal surface of the vehicle, e.g. on roof, hood, trun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과제] 작업 차량에 있어서 측위 안테나를 적절하게 배치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예시적인 작업 차량은 운전 좌석과, 상기 운전 좌석의 상방에 배치되는 캐노피와, 상기 캐노피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측위 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측위 안테나를 구비한다. 상기 측위 안테나는 상기 캐노피의 하방 또한 상기 지지부의 상방에 배치된다.
[해결 수단] 예시적인 작업 차량은 운전 좌석과, 상기 운전 좌석의 상방에 배치되는 캐노피와, 상기 캐노피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측위 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측위 안테나를 구비한다. 상기 측위 안테나는 상기 캐노피의 하방 또한 상기 지지부의 상방에 배치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작업 차량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좌우의 세로 프레임부, 및 좌우의 세로 프레임부의 상단끼리를 연결하는 가로 프레임부를 가진 롭스를 구비하는 트랙터가 개시된다. 상기 트랙터에 있어서는, 안테나 유닛은 가로 프레임부로부터 후방에, 또한 하단이 가로 프레임부의 상단 가장자리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정면으로 볼 때 안테나 유닛 중 적어도 일부가 가로 프레임부 중 적어도 일부와 중복되어 있다.
정면으로 볼 때, 안테나 유닛 중 적어도 일부가 가로 프레임부 중 적어도 일부와 중복되는 구성으로 하면, 예를 들면 가로 프레임부가 금속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가로 프레임부가 안테나 유닛의 수신의 방해가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점을 감안하여, 작업 차량에 있어서 측위 안테나를 적절하게 배치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작업 차량은 운전 좌석과, 상기 운전 좌석의 상방에 배치되는 캐노피와, 상기 캐노피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측위 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측위 안테나를 구비한다. 상기 측위 안테나는 상기 캐노피의 하방 또한 상기 지지부의 상방에 배치된다.
예시적인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 차량에 있어서 측위 안테나를 적절하게 배치할 수 있다.
도 1은 트랙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트랙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기준선의 설정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트랙터로부터 캐노피를 제거해서 운전부의 주변을 경사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5는 측위 안테나와, 캐노피 및 지지부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6은 트랙터가 구비하는 지지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캐노피와 캐노피 체결 프레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측위 안테나와 운전 좌석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9는 변형예에 의한 지지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변형예에 의한 지지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측위 안테나가 지지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는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2는 측위 안테나가 지지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는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트랙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기준선의 설정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트랙터로부터 캐노피를 제거해서 운전부의 주변을 경사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5는 측위 안테나와, 캐노피 및 지지부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6은 트랙터가 구비하는 지지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캐노피와 캐노피 체결 프레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측위 안테나와 운전 좌석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9는 변형예에 의한 지지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변형예에 의한 지지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측위 안테나가 지지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는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2는 측위 안테나가 지지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는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작업 차량으로서 트랙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단, 작업 차량은 각종 수확기, 이앙기, 콤바인, 토목·건축 작업 장치, 제설차 등의 트랙터 이외의 작업 차량이어도 좋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방향을 이하와 같이 정의한다. 우선, 작업 차량으로서의 트랙터가 작업 시에 진행하는 방향을 「전」으로 하고, 그 반대 방향을 「후」로 한다. 또한, 트랙터의 진행 방향을 향해서 우측을 우로 하고, 좌측을 좌로 한다. 그리고, 트랙터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한다. 이 때, 중력 방향을 하로 하고, 그 반대측을 상으로 한다. 또한, 상하 방향과 수직인 면을 수평면으로 하고, 수평면을 따르는 방향을 수평 방향으로 한다. 또한, 이상의 방향은 단지 설명을 위해서 이용되는 명칭이며, 실제의 위치 관계 및 방향을 한정할 의도는 없다.
<1. 작업 차량의 개요>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트랙터(1)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랙터(1)는 차체(2)와, 엔진(3)과, 미션 케이스(4)를 구비한다.
차체(2)의 전방부에는 좌우 한쌍의 전륜(5)이 배치된다. 차체(2)의 후방부에는 좌우 한쌍의 후륜(6)이 배치된다. 차체(2)는 전륜(5) 및 후륜(6)에 의해 주행 가능하다. 즉, 본 실시형태의 트랙터(1)는 휠 트랙터이다. 단, 트랙터(1)는 크롤러 트랙터여도 좋다.
엔진(3)은 차체(2)의 전방부에, 보닛(7)으로 덮여 배치된다. 엔진(3)은 트랙터(1)의 구동원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엔진(3)은 디젤 엔진이다. 단, 엔진(3)은 가솔린 엔진이어도 좋다. 또한, 트랙터(1)의 구동원은 엔진 대신에 전동 모터 등의 다른 구동원으로 되어도 좋다.
미션 케이스(4)는 엔진(3)의 후방, 또한 운전부(8)의 하방에 배치된다. 미션 케이스(4)의 내부에는 동력 전달 장치(미도시)가 배치된다. 엔진(3)의 회전 동력은 미션 케이스(4) 내의 동력 전달 장치를 통해서, 전륜(5) 및 후륜(6) 중 적어도 일방으로 전달된다.
운전부(8)는 차체(2)에 있어서의 엔진(3)의 후방에 설치된다. 운전부(8)는 운전자(오퍼레이터)가 탑승하는 부분이다. 운전부(8)는 운전 좌석(9)을 포함한다. 즉, 트랙터(1)는 운전 좌석(9)을 구비한다. 운전 좌석(9)은 운전자가 앉는 장소이다.
운전부(8)는 운전 좌석(9)의 전방에 배치되는 스티어링 휠(10)을 포함한다. 즉, 트랙터(1)는 스티어링 휠(10)을 구비한다. 스티어링 휠(10)은 운전 좌석(9)에 앉는 운전자가 조작하는 핸들이다. 스티어링 휠(10)은 스티어링 칼럼(11) 내에 배치되는 스티어링 샤프트(미도시)에 의해,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다. 스티어링 휠(10)의 회전 조작에 의해, 전륜(5)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그 외에, 운전부(8)에는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 레버(12) 및 페달(13)이 설치된다. 또한, 운전부(8)에는 트랙터(1)의 속도를 나타내는 미터기 등이 배치되는 프론트 패널(14)이 설치된다. 조작 레버(12)에는 복수 종류의 레버가 포함되어도 좋고, 예를 들면 주변속 레버, 부변속 레버, 및 작업 레버 등이 포함되어도 좋다. 또한, 페달(13)에는 복수 종류의 페달이 포함되어도 좋고, 예를 들면 액셀 페달, 브레이크 페달, 및 클러치 페달 등이 포함되어도 좋다.
또한, 트랙터(1)는 운전 좌석(9)의 후방부에 롭스(15)를 구비한다. 롭스(15)가 설치됨으로써, 트랙터(1)의 전도 시에 운전자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트랙터(1)는 캐노피(16)와 지지부(17)를 구비한다. 캐노피(16)는 운전 좌석(9)의 상방에 배치된다. 지지부(17)는 캐노피(16)를 지지한다. 캐노피(16)는 운전 좌석(9)을 포함하는 운전부(8)를 덮는 덮개이다. 지지부(17)는 차체(2)에 부착된다. 캐노피(16)는 지지부(17)를 개재해서 차체(2)에 지지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지부(17)는 롭스(15)를 구성하는 프레임(171)을 포함한다. 캐노피(16) 및 지지부(17)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차체(2)의 후방부에는 3점 링크 기구 등으로 구성되는 작업기 연결부(18)가 설치된다. 작업기 연결부(18)에는 작업기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작업기는, 예를 들면 경전 장치, 플라우, 시비 장치, 농약 살포 장치, 수확 장치, 또는 예취 장치여도 좋다. 또한, 차체(2)의 후방부에는 승강 실린더 등의 유압 장치를 갖는 승강 장치(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승강 장치가 작업기 연결부(18)를 승강시킴으로써, 상기 작업기를 승강시킬 수 있다. 또한, 엔진(3)이 발생시킨 동력은 미션 케이스(4)와, 차체(2)의 후방부에 배치된 파워 테이크 오프축(PTO축; 미도시)을 통해서, 견인하는 작업기로 전달할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트랙터(1)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랙터(1)는 제어부(50)를 구비한다. 제어부(50)는, 예를 들면 연산 장치, 입출력부, 및 기억부(5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컴퓨터이다. 연산 장치는, 예를 들면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이다. 기억부(51)는 ROM(Read Only Memory) 및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주기억 장치이다. 기억부(51)는 HDD(Hard Disk Drive) 또는 SSD(Solid State Drive)와 같은 보조 기억 장치를 더 포함해도 좋다. 기억부(51)에는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 등이 기억되어 있다. 연산 장치는 각종 프로그램을 기억부(51)로부터 판독해서 실행한다.
상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협동에 의해, 제어부(50)를 자동 주행 관리부(52), 주행 제어부(53), 및 작업기 제어부(54)로서 동작시킬 수 있다. 제어부(50)는 1개의 하드웨어여도 좋고, 서로 통신 가능한 복수의 하드웨어로 구성되어도 좋다. 즉, 자동 주행 관리부(52), 주행 제어부(53), 및 작업기 제어부(54)는 1개의 제어 장치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고, 복수의 제어 장치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자동 주행 관리부(52)는 제 1 제어 장치에 의해 구성되고, 주행 제어부(53)는 제 2 제어 장치에 의해 구성되고, 작업기 제어부(54)는 제 3 제어 장치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자동 주행 관리부(52)가 구비되는 것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트랙터(1)는 자동 주행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자동 주행이란 트랙터(1)가 구비하는 제어부(50)에 의해 주행에 관한 장치가 제어됨으로써, 미리 결정된 경로를 따르도록 적어도 조타가 자율적으로 행해지는 것을 의미한다. 자동 주행은 조타에 추가하여, 예를 들면 차속과 작업기에 의한 작업 중 적어도 일방이 자율적으로 행해지는 구성이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자동 주행에 의해, 미리 결정된 경로를 따르도록 조타가 자율적으로 행해진다. 즉, 트랙터(1)는 자동 조타 주행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어부(50)에는 위치 취득부(21), 관성 계측 장치(22), 조작부(23), 및 표시부(24)가 접속된다.
위치 취득부(21)는 측위 안테나(25)가 측위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측위 신호를 이용해서, 트랙터(1)의 위치를 예를 들면 위도 및 경도의 정보로서 취득한다. 측위 안테나(25)는 트랙터(1)의 적소에 배치된다. 즉, 트랙터(1)는 측위 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측위 안테나(25)를 구비한다. 측위 안테나(25)를 배치하는 적소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위치 취득부(21)는 취득한 트랙터(1)의 위치 정보를 제어부(50)로 출력한다. 위치 취득부(21)는,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는 기준국으로부터의 측위 신호를 적당한 방법으로 수신한 후에, 공지의 RTK-GNSS(Real Time Kinematic GNSS)법을 이용해서 측위를 행해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위치 취득부(21)는 DGNSS(Differential GNSS)법을 이용해서 측위를 행해도 좋다.
관성 계측 장치(22)는 3축의 각속도 센서와 3방향의 가속도 센서를 포함한다. 관성 계측 장치(22)는 계측한 정보를 제어부(50)로 출력한다. 관성 계측 장치(22)가 설치됨으로써, 차체(2)의 요각, 피치각, 롤각 등의 관성 정보의 계측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조작부(23)는 운전 좌석(9)에 앉는 운전자가 조작한다. 조작부(23)는, 예를 들면 운전자가 트랙터(1)의 자동 주행에 관련된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조작부(23)를 이용한 운전자의 지령은 제어부(50)에 입력된다.
표시부(24)는 제어부(50)로부터의 지령에 따라서 정보의 표시를 적당히 행한다. 표시부(24)는, 예를 들면 트랙터(1)의 자동 주행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한다.
자동 주행 관리부(52)는 자동 주행에 관련된 관리를 행한다. 자동 주행 관리부(52)는, 예를 들면 조작부(23)를 이용한 운전자의 지령에 따라서 자동 주행의 개시 처리나 종료 처리를 행한다. 또한, 자동 주행 관리부(52)는 예를 들면, 위치 취득부(21) 및 관성 계측 장치(22)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해서, 트랙터(1)의 차체(2)의 위치나 방향을 구한다. 또한, 자동 주행 관리부(52)는 예를 들면, 구한 차체 위치와, 미리 결정된 자동 주행용 경로의 관계에 따라서, 자동 주행에 관련된 제어 지령을 출력한다.
주행 제어부(53)는 트랙터(1)의 주행계의 제어를 행한다. 주행 제어부(53)는, 예를 들면 자동 주행 관리부(52)로부터의 제어 지령에 따라서, 트랙터(1)의 차체(2)가 미리 결정된 경로를 따라서 주행하도록 자동 조타 기구(미도시)를 제어한다. 또한, 자동 조타 기구는 상술의 스티어링 칼럼(11) 내에 배치되는 스티어링 샤프트를 자동적으로 회전시켜, 전륜(5)의 방향을 자동적으로 변경한다. 자동 조타 기구에는, 예를 들면 스티어링 모터와, 기어 기구 등으로 구성되는 동력 전달부가 포함된다. 차체 위치에 따라서 스티어링 모터의 동작이 제어된다. 스티어링 모터의 동작은 동력 전달부를 통해서 스티어링 샤프트로 전달되기 때문에, 스티어링 모터의 제어에 의해 전륜(5)의 조작 방향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작업기 제어부(54)는 트랙터(1)의 작업계의 제어를 행한다. 작업기 제어부(54)는, 예를 들면 운전부(8)에 설치된 조작 레버(12)의 조작이나, 자동 주행 관리부(52)로부터의 지령 등에 따라서, 작업기 연결부(18)의 승강의 제어를 행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트랙터(1)가 실행하는 자동 조타 주행의 개요에 대해서 설명해 둔다. 자동 조타 주행을 행할 때에, 우선 기준선(L)의 설정이 행해진다. 도 3은 기준선(L)의 설정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기준선(L)의 설정 방법은 도 3에 나타내는 방법 이외여도 좋다.
기준선(L)의 설정 시에, 우선 트랙터(1)가 포장 내의 적소(도면 중의 A점)로 이동되어, A점 등록이 행해진다. A점 등록은 운전자로부터의 등록 지령에 의해 행해진다. A점 등록의 지령이 나온 시점에 있어서의, 위치 취득부(21)를 이용해서 얻어지는 차체(2)의 위치가 A점의 위치로서 등록된다.
A점 등록이 행해지면, 운전자가 수동 조작으로 트랙터(1)를 직진 주행시켜, 소정 위치(도면 중의 B점)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트랙터(1)가 소정 위치에 도달하면, B점 등록이 행해진다. B점 등록은 운전자로부터의 등록 지령에 의해 행해진다. B점 등록의 지령이 나온 시점에 있어서의, 위치 취득부(21)를 이용해서 얻어지는 차체(2)의 위치가 B점의 위치로서 등록된다. A점과 B점의 등록이 행해지면, A점과 B점을 통과하는 직선이 기준선(L)으로서 설정된다.
기준선(L)이 설정되면, 상기 기준선(L)에 평행한 선이 소정의 간격으로 자동 주행선으로서 생성된다. 자동 조타 주행 시에 있어서는, 상기 자동 주행선과, 위치 취득부(21)를 이용해서 취득되는 차체(2)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트랙터(1)의 진행 방향의 조타 제어가 행해진다.
<2. 측위 안테나의 레이아웃>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트랙터(1)로부터 캐노피(16)를 제거해서 운전부(8)의 주변을 경사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과 도 4의 비교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트랙터(1)는 상측으로부터 캐노피(16)로 덮이는 측위 안테나(25)를 구비한다. 측위 안테나(25)는 상세하게는, 외각을 구성하는 안테나 케이스에 안테나 엘리먼트가 수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안테나 엘리먼트에는, 예를 들면 패치 안테나로서 구성되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안테나 등이 포함된다. 또한, 측위 안테나(25)는 상술의 위치 취득부(21)와 일체화된 측위 유닛으로서 트랙터(1)에 구비되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측위 안테나(25)는 지지부(17)에 부착된다. 단, 측위 안테나(25)는 지지부(17)가 아니라, 캐노피(16)에 부착되어도 좋다. 또한, 측위 안테나(25)는 지지부(17)와 캐노피(16)의 양방에 부착되어도 좋다. 또한, 측위 안테나(25)가 위치 취득부(21)와 일체화된 측위 유닛으로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측위 유닛이 지지부(17) 등에 부착되어도 좋다.
도 5는 측위 안테나(25)와, 캐노피(16) 및 지지부(17)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5는 경사 하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측위 안테나(25)와, 캐노피(16) 및 지지부(17)의 관계를 설명하기 전에, 캐노피(16) 및 지지부(17)의 상세에 대해서 설명한다.
[2-1. 캐노피]
캐노피(16)는 바람직한 형태로서 수지제이다. 캐노피(16)는 수지 이외로 구성되어도 좋지만, 비금속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노피(16)는 하방을 향해서 개구하는 상자 형상이다. 단, 캐노피(16)는 판상 등, 상자 형상 이외여도 좋다. 캐노피(16)는 평면으로 볼 때, 직사각형 형상이다. 상세하게는, 캐노피(16)는 평면으로 볼 때, 후단과 비교해서 전단의 좌우 방향의 길이가 약간 짧은 사다리꼴 형상이다. 단, 캐노피(16)의 형상은 적당히 변경되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노피(16)의 상면은 측면으로 볼 때,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높이가 높아지는 제 1 경사부(161)를 갖는다. 또한, 캐노피(16)의 상면은 측면으로 볼 때, 제 1 경사부(161)의 후단과 연결되어,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높이가 낮아지는 제 2 경사부(162)를 갖는다. 캐노피(16)의 상면에 경사부(161, 162)가 설치됨으로써, 예를 들면 빗물을 하방으로 흐르게 하기 쉽게 하거나, 나뭇잎 등의 쓰레기가 캐노피(16) 위에 쌓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캐노피(16)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와 단부에서는, 제 1 경사부(161)와 제 2 경사부(162)가 연결되는 접속부(163)의 위치가 상이하다. 캐노피(16)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있어서의 접속부(163b)가 좌우의 단부에 있어서의 접속부(163a)보다 후방에 위치한다. 상기 중앙부의 접속부(163b)는 롭스(15)보다 후방에 위치한다. 본 실시형태의 캐노피(16)의 형상에 의하면, 롭스(15)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와, 캐노피(16)의 상하 방향 사이의 간극을 크게 할 수 있다.
[2-2. 지지부]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트랙터(1)가 구비하는 지지부(17)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에는 지지부(17)에 부착되는 측위 안테나(25)도 나타내어져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부(17)는 지주 프레임(171)과, 캐노피 체결 프레임(172)과, 지지 프레임(173)을 갖는다.
지주 프레임(171)은 운전 좌석(9)의 후방에 배치된다(예를 들면, 도 4 참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지주 프레임(171)은 상술의 롭스(15)를 구성하는 프레임을 겸한다. 지주 프레임(171)은 상세하게는, 좌측 지주부(171a)와, 우측 지주부(171b)와, 빔부(171c)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측 지주부(171a), 우측 지주부(171b), 및 빔부(171c)는 단일 부재이며, 예를 들면 금속제이다. 또한, 좌측 지주부(171a), 우측 지주부(171b), 및 빔부(171c)를 갖는 지주 프레임(171)은 복수의 부재를 이용하여 구성되어도 좋다.
좌측 지주부(171a) 및 우측 지주부(171b)는 모두 차체(2)에 지지되어, 차체(2)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다. 좌측 지주부(171a)와 우측 지주부(171b)의 높이는 같다. 좌측 지주부(171a) 및 우측 지주부(171b)는 전후 방향의 위치를 같게 하고,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배치된다. 빔부(171c)는 좌측 지주부(171a)의 상단부와 우측 지주부(171b)의 상단부를 접속한다. 빔부(171c)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다. 좌측 지주부(171a), 우측 지주부(171b), 및 빔부(171c)로 구성되는 지주 프레임(171)은 도어 형상이다. 또한, 지주 프레임(171)은 차체(2)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도 좋다.
캐노피 체결 프레임(172)은 지주 프레임(171)에 지지되어, 캐노피(16)에 체결된다. 상세하게는, 캐노피 체결 프레임(172)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세로 프레임부(172a, 172b)와, 한쌍의 세로 프레임부(172a, 172b)를 접속하는 적어도 1개의 가로 프레임부(172c)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쌍의 세로 프레임부(172a, 172b)는 상하 방향의 높이 위치를 같게 하고,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배치된다. 가로 프레임부(172c)는 한쌍의 세로 프레임부(172a, 172b)의 전단끼리를 접속하는 제 1 가로 프레임부(172c1)를 포함한다. 또한, 가로 프레임부(172c)는 한쌍의 세로 프레임부(172a, 172b)의 전후 방향의 중앙부끼리를 접속하는 제 2 가로 프레임부(172c2)를 포함한다. 즉, 가로 프레임부(172c)의 수는 2개이다. 제 1 가로 프레임부(172c1) 및 제 2 가로 프레임부(172c2)는 모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한쌍의 세로 프레임부(172a, 172b), 및 적어도 1개의 가로 프레임부(172c)는 단일 부재로 구성되어도 좋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부재로 구성된다. 복수의 부재에는 좌측 파이프(1721)와, 우측 파이프(1722)와, 전방 연결편(1723)과, 중앙 파이프(1724)가 포함된다. 이들 부재는, 예를 들면 금속제이다.
좌측 파이프(1721)는 L자 형상의 파이프 부재로 구성된다. 좌측 파이프(1721)는 좌측에 세로 프레임부(172a)와, 제 1 가로 프레임부(172c1)의 일부를 구성한다. 우측 파이프(1722)는 L자 형상의 파이프 부재로 구성된다. 우측 파이프(1722)는 우측의 세로 프레임부(172b)와, 제 1 가로 프레임부(172c1)의 다른 일부를 구성한다. 좌측 파이프(1721)와 우측 파이프(1722)는 캐노피 체결 프레임(172)을 좌우 방향으로 이등분하는 이등분선(BL)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치된다.
전방 연결편(1723)은 좌측 파이프(1721)의 제 1 가로 프레임부(172c1)의 일부를 구성하는 부분과, 우측 파이프(1722)의 제 1 가로 프레임부(172c1)의 다른 일부를 구성하는 부분으로 연결된다. 즉, 제 1 가로 프레임부(172c1)는 좌측 파이프(1721) 및 우측 파이프(1722)의 일부분과, 전방 연결편(1723)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좌측 파이프(1721)와 우측 파이프(1722)를 U자 형상의 단일 부재로서 제 1 가로 프레임부를 구성해도 좋고, 이 경우, 전방 연결편(1723)은 설치되지 않아도 좋다.
중앙 파이프(1724)는 제 2 가로 프레임부(172c2)를 구성한다. 좌측 파이프(1721)의 세로 프레임부(172a)를 구성하는 부분에는 전후 방향의 중앙부에 좌측 파이프 지지구(1725)가 배치된다. 우측 파이프(1722)의 세로 프레임부(172b)를 구성하는 부분에는 전후 방향의 중앙부에 우측 파이프 지지구(1726)가 배치된다. 중앙 파이프(1724)는 좌단부가 좌측 파이프 지지구(1725)에 부착되고, 우단부가 우측 파이프 지지구(1726)에 부착되어 있다. 좌측 파이프 지지구(1725) 및 우측 파이프 지지구(1726)는, 예를 들면 금속제이다.
좌측 파이프(1721)의 세로 프레임부(172a)를 구성하는 부분의 후단부에는 좌후방 연결구(1727)가 설치된다. 우측 파이프(1722)의 세로 프레임부(172b)를 구성하는 부분의 후단부에는 우후방 연결구(1728)가 설치된다. 좌후방 연결구(1727)는 지주 프레임(171)의 좌측 지주부(171a)에, 좌측 프레임 부착구(174a)를 통해서 부착된다. 우후방 연결구(1728)는 지주 프레임(171)의 우측 지주부(171b)에, 우측 프레임 부착구(174b)를 통해서 부착된다. 좌후방 연결구(1727), 우후방 연결구(1728), 좌측 프레임 부착구(174a), 및 우측 프레임 부착구(174b)는, 예를 들면 금속제이다.
또한, 좌측 프레임 부착구(174a)는 정면으로 볼 때 L자 형상이며, 좌측 지주부(171a)의 상부의 전면 및 좌측면과, 빔부(171c)의 좌측부의 전면 및 상면을 덮도록 배치된다. 우측 프레임 부착구(174b)는 정면으로 볼 때 L자 형상이며, 우측 지주부(171b)의 상부의 전면 및 우측면과, 빔부(171c)의 우측부의 전면 및 상면을 덮도록 배치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후방 연결구(1727)는 좌측 프레임 부착구(174a)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다. 우후방 연결구(1728)는 우측 프레임 부착구(174b)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좌측 파이프(1721) 및 우측 파이프(1722)는 후단부를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지주 프레임(171)에 부착된다. 캐노피 체결 프레임(172)은 지주 프레임(171)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부착된다. 또한, 캐노피 체결 프레임(172)은 지주 프레임(171)에 대하여, 요동 불가능하게 부착되어도 좋다.
지지 프레임(173)은 캐노피 체결 프레임(172)을 지주 프레임(171)에 위치 결정해서 지지한다. 지지 프레임(173)은 상세하게는, 좌측 지지 프레임(173a)과 우측 지지 프레임(173b)을 갖는다. 좌측 지지 프레임(173a) 및 우측 지지 프레임(173b)은 단면 U자 형상의 가늘고 길게 연장되는 판금 부재이다. 좌측 지지 프레임(173a) 및 우측 지지 프레임(173b)은 전단이 위, 후단이 아래가 되도록, 자세를 경사지게 배치된다. 좌측 지지 프레임(173a) 및 우측 지지 프레임(173b)의 후방에는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위치 조정 구멍(1731)이 형성된다. 위치 조정 구멍(1731)은 지주 프레임(171)에 대한 캐노피 체결 프레임(172)의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한다.
좌측 지지 프레임(173a)의 전단은 좌측 파이프 지지구(1725)에 나사 등의 고정구를 이용해서 고정된다. 좌측 지지 프레임(173a)의 후방은 위치 조정 구멍(1731)의 적소에, 좌측 프레임 부착구(174a)에 고정되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핀 부재(1741)를 끼워 지주 프레임(171)에 고정된다. 또한, 우측 지지 프레임(173b)의 전단은 우측 파이프 지지구(1726)에 나사 등의 고정구를 이용해서 고정된다. 우측 지지 프레임(173b)의 후방은 위치 조정 구멍(1731)의 적소에, 우측 프레임 부착구(174b)에 고정되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핀 부재(1741)를 끼워 지주 프레임(171)에 고정된다.
좌우의 지지 프레임(173)에 있어서, 핀 부재(1741)를 위치 조정 구멍(1731)에 끼우는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지주 프레임(171)에 대한 캐노피 체결 프레임(172)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핀 부재(1741)를 위치 조정 구멍(1731)에 끼우는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캐노피 체결 프레임(172)에 체결되는 캐노피(16)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도 7은 캐노피(16)와 캐노피 체결 프레임(172)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캐노피 체결 프레임(172)에 캐노피(16)를 체결한 상태로서, 도 6의 VII-VII 위치에서 절단한 경우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노피(16)와 캐노피 체결 프레임(172)은 볼트(175)와 너트(176)를 이용해서 체결된다.
캐노피(16)와 캐노피 체결 프레임(172)이 체결되는 개소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6개소이다. 상기 6개의 체결 개소는 전방 연결편(1723)의 좌우단의 2개소와, 좌측 파이프 지지구(1725), 우측 파이프 지지구(1726), 좌후방 연결구(1727), 및 우후방 연결구(1728) 각각에 설치되는 체결 개소로 구성된다. 또한, 체결 개소의 수나 배치는 적당히 변경되어도 좋다. 또한, 캐노피(16)와 캐노피 체결 프레임(172)을 체결하는 체결 부재는 볼트(175)와 너트(176) 이외여도 좋다.
[2-3. 측위 안테나의 레이아웃의 상세]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측위 안테나(25)는 캐노피(16)의 하방 또한 지지부(17)의 상방에 배치된다. 바꿔 말하면, 측위 안테나(25)는 캐노피(16)와 지지부(17)의 상하 방향 사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측위 안테나(25)를 캐노피(16)로 덮을 수 있고, 측위 안테나(25)가 트랙터(1)의 상방에 존재하는 장해물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장해물은, 예를 들면 나뭇가지나, 트랙터(1)를 격납하는 건물의 지붕 등이다. 또한, 측위 안테나(25)가 지지부(17)의 상방에 배치됨으로써, 지지부(17)가 측위 안테나(25)의 수신의 방해가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지부(17)는 금속을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어, 지지부(17)는 전파의 수신의 방해가 될 우려가 있다. 한편, 캐노피(16)는 수지제이고, 캐노피(16)는 전파의 수신의 방해가 되기 어렵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측위 안테나(25)는 지주 프레임(171)에 지지된다. 즉, 측위 안테나(25)는 롭스(15)를 구성하는 프레임에 지지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측위 안테나(25)를 운전 좌석(9)보다 후방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측위 안테나(25)는 지주 프레임(171)의 상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지주 프레임(171)이 측위 안테나(25)의 수신의 방해가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8은 측위 안테나(25)와 운전 좌석(9)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측위 안테나(25)는 운전 좌석(9)의 등받이면(9a)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또한, 등받이면(9a)은 운전 좌석(9)에 앉는 운전자가 등을 기대는 것이 가능한 면이다. 측위 안테나(25)가 등받이면(9a)보다 후방에 배치됨으로써, 운전자가 운전부(8)에 승강할 때나, 운전자가 허리를 들었을 때에, 운전자의 신체에 측위 안테나(25)가 접촉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측위 안테나(25)는 좌석 기준점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좌석 기준점은 ISO(ISO5353) 혹은 JIS(JISA8318) 등으로 결정되며, 이론상의 운전자의 몸통과 넙적다리의 관절의 근방에 규정된 좌석의 기준점을 말한다.
상세하게는, 측위 안테나(25)는 지주 프레임(171)을 구성하는 빔부(171c)의 상면에 배치된다. 측위 안테나(25)는 빔부(171c)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측위 안테나(25)는 빔부(171c)의 상면에 받침대 프레임(26)을 통해서 부착된다. 측위 안테나(25)는 받침대 프레임(26)에 나사 등의 고정 수단으로 고정된다. 받침대 프레임(26)은 빔부(171c)에 나사 등의 고정 수단으로 고정된다. 또한, 받침대 프레임(26)은 필수적인 구성 요소가 아니다. 또한, 빔부(171c)의 상면에 배치되는 측위 안테나(25)의 측위 기준점은 빔부(171c)의 후단(즉, 지주 프레임(171)의 후단)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위 안테나(25)의 후단부로부터 배선 부재(27)가 연장된다. 배선 부재(27)는 상세하게는, 복수의 전선을 다발로 한 와이어 하니스이다. 또한, 배선 부재(27)는 케이블이어도 좋다. 배선 부재(27)는 신호 처리 장치(28)와 접속된다. 즉, 트랙터(1)는 측위 안테나(25)와 배선 부재(27)에 의해 접속되는 신호 처리 장치(28)를 구비한다. 신호 처리 장치(28)는 측위 안테나(25)로부터 신호를 수신해서 처리를 행한다. 또한, 신호 처리 장치(28)는 예를 들면, 상술의 위치 취득부(21)나, 위치 취득부(21)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신호 처리 장치(28)는 운전 좌석(9)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단, 신호 처리 장치(28)의 위치는 적당히 변경되어도 좋다. 신호 처리 장치(28)는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의 도 9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선 부재(27)는 지지부(17)를 따라서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선 부재(27)는 지주 프레임(171)을 따라서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캐노피(16)의 하측에 배선 부재(27)를 배치할 수 있다. 이 결과, 예를 들면 나뭇가지 등의 장해물로부터 배선 부재(27)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트랙터(1)의 외방으로 배선 부재(27)가 돌출되지 않아, 트랙터(1)의 외관을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선 부재(27)는 지지부(17)의 외측을 따라서 배치된다. 이 경우, 배선 부재(27)는 예를 들면, 밴드 부재 등을 이용해서 지지부(17)에 고정되어도 좋다. 단, 배선 부재(27)는 예를 들면, 지지부(17)가 중공 형상의 부재로 구성되는 경우에, 지지부(17)의 내부를 따라서 배치되어도 좋다.
<3. 변형예>
이상의 측위 안테나(25)의 레이아웃은 예시이다. 측위 안테나(25)의 레이아웃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3-1. 제 1 변형예]
도 9 및 도 10은 변형예에 의한 지지부(17A)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지지부(17A)를 경사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0은 지지부(17A)를 경사 하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는 지지부(17A)에 부착되는 측위 안테나(25)도 나타내어져 있다.
변형예에 의한 지지부(17A)의 구성은 상술한 실시형태의 지지부(17)의 구성과 대략 동일하다. 지지부(17A)는 지주 프레임(171A)과, 캐노피 체결 프레임(172A)과, 지지 프레임(173A)을 갖는다. 지주 프레임(171A) 및 지지 프레임(173A)의 구성은 상술한 지주 프레임(171) 및 지지 프레임(173)의 구성과 같다. 캐노피 체결 프레임(172A)의 구성은 상술한 캐노피 체결 프레임(172)의 구성과 약간 상이하다.
캐노피 체결 프레임(172)은 한쌍의 세로 프레임부(172a, 172b)를 접속하는 가로 프레임부(172c)에 대해서, 제 1 가로 프레임부(172c1) 및 제 2 가로 프레임부(172c2) 이외에 제 3 가로 프레임부(172c3)를 갖는다. 제 3 가로 프레임부(172c3)를 더 갖는 점이 상술의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제 3 가로 프레임부(172c3)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이프 형상의 부재로 구성된다. 제 3 가로 프레임부(172c3)는 한쌍의 세로 프레임부(172a, 172b)에, 예를 들면 고정구를 이용하거나, 용접을 행해서 부착된다. 제 3 가로 프레임부(172c3)는 제 2 가로 프레임부(172c2)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제 3 가로 프레임부(172c3)는 지주 프레임(171A)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측위 안테나(25)는 캐노피 체결 프레임(172A)에 지지된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도 측위 안테나(25)는 캐노피(16)의 하방 또한 지지부(17A)의 상방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캐노피(16)와 측위 안테나(25)가 동일한 구조물(캐노피 체결 프레임(172A))에 부착되는 구성이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캐노피(16)와 측위 안테나(25)를 서로 상이한 구조물에 부착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측위 안테나(25)와 캐노피(16) 사이의 거리를 안정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측위 안테나(25)와 캐노피(16) 사이에 필요하게 되는 간극의 설계값을 작게 할 수 있어, 캐노피(16)의 높이를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캐노피(16)와 측위 안테나(25)가 캐노피 체결 프레임(172A)에 부착되는 구성으로 하면, 캐노피(16)의 위치 조정을 위해서 캐노피 체결 프레임(172A)이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는 경우에, 캐노피(16)와 함께 측위 안테나(25)도 움직인다. 이 때문에, 캐노피(16)의 위치 조정 시에, 캐노피(16)가 측위 안테나(25)에 접촉하는 것과 같은 사태가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세하게는, 측위 안테나(25)는 가로 프레임부(172c)에 지지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측위 안테나(25)는 제 3 가로 프레임부(172c3)에 지지된다. 측위 안테나(25)는 운전 좌석(9)의 등받이면(9a)(도 8 참조)보다 후방, 또한 지주 프레임(171A)의 후단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측위 안테나(25)가 등받이면(9a)보다 후방에 배치됨으로써, 운전자의 운전부(8)로의 승강 시나, 운전자가 허리를 들었을 때에, 운전자의 신체에 측위 안테나(25)가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측위 안테나(25)가 지주 프레임(171A)의 후단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하면, 예를 들면 트랙터(1)의 후진 시 등에 캐노피(16)의 후방이 장해물에 접촉한 경우에, 측위 안테나(25)가 지주 프레임(171A)과 장해물 사이에 끼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측위 안테나(25)가 지주 프레임(171A)의 후단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하면, 캐노피(16)의 위치 조정 시에, 측위 안테나(25)가 캐노피(16)와 지주 프레임(171A) 사이에 낄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도, 측위 안테나(25)는 좌석 기준점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측위 안테나(25)의 측위 기준점은 지주 프레임(171A)의 후단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측위 안테나(25)는 지주 프레임(171A)보다 후방에 배치되어도 좋다. 이 경우, 측위 안테나(25)를 지지하는 제 3 가로 프레임부(172c3)가 지주 프레임(171A)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본 변형예에서는, 측위 안테나(25)는 가로 프레임부(172c)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측위 안테나(25)는 받침대 프레임(26A)을 통해서 제 3 가로 프레임부(172c3)에 부착된다. 측위 안테나(25)는 받침대 프레임(26A)에 나사 등의 체결 부재(29)를 이용해서 고정된다. 받침대 프레임(26A)은, 예를 들면 고정구의 이용이나 용접 등에 의해 제 3 가로 프레임부(172c3)에 고정된다. 즉, 트랙터(1)는 측위 안테나(25)가 체결 부재(29)에 의해 체결되어, 가로 프레임부(172c)에 부착되는 받침대 프레임(26A)을 구비한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받침대 프레임(26A)은 가로 프레임부(172c)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것은 예시이다. 받침대 프레임(26A)은 가로 프레임부(172c)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도 좋다. 즉, 측위 안테나(25)는 지지부(17A)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예를 들면 측위 안테나(25)의 메인터넌스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지부(17A)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는 측위 안테나(25)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동에 의해 측위 안테나(25)를 낮은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다.
도 11은 측위 안테나(25)가 지지부(17A)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는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받침대 프레임(26A)은 상방 위치와 하방 위치 사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도 좋다. 또한, 상방 위치는 도 11의 좌측에 나타내는 상태이며, 측위 안테나(25)를 이용하는 통상 상태이다. 하방 위치는 도 11에 나타내는 우측의 상태이며, 메인터넌스 등을 행하는 비통상 상태이다. 축선은 상세하게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방 위치에서는, 측위 안테나(25)와 받침대 프레임(26A)의 체결부(290)가 하방을 향하고, 하방 위치에서는, 체결부(290)가 운전 좌석(9)측을 향한다. 또한, 체결부(290)는 측위 안테나(25)와 받침대 프레임(26A)이 체결 부재(29)로 체결되는 부분이며, 단수 또는 복수여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측위 안테나(25)의 분리나 메인터넌스를 행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변형예에서는, 측위 안테나(25)는 제 3 가로 프레임부(172c3)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했다. 단, 측위 안테나(25)는 예를 들면, 제 1 가로 프레임부(172c1) 또는 제 2 가로 프레임부(172c2) 등의 다른 가로 프레임부(172c)에 설치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캐노피 체결 프레임(172A)의 전방에 배치되는 가로 프레임부(172c)에 측위 안테나(25)가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는 경우에는 도 12에 나타내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도 12는 측위 안테나(25)가 지지부(17A)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는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도 11에 나타내는 예와 비교해서, 운전 좌석(9)에 대한 측위 안테나(25)의 전후 관계가 반대로 되기 때문에, 상방 위치로부터 하방 위치에 이를 때의, 받침대 프레임(26A)의 회전 방향이 반대로 되어 있다. 즉, 도 1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상방 위치로부터 하방 위치에 이를 때에, 받침대 프레임(26A)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한편, 도 1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상방 위치로부터 하방 위치에 이를 때에, 받침대 프레임(26A)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측위 안테나(25)를 운전 좌석(9)보다 전방에 배치한 경우에 있어도, 상방 위치에서는 측위 안테나(25)와 받침대 프레임(26A)의 체결부(290)가 하방을 향하며, 하방 위치에서는, 체결부(290)가 운전 좌석(9)측을 향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으로 되돌아가서, 제 1 변형예에 있어서도, 상술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측위 안테나(25)의 후단부로부터 배선 부재(27)가 연장된다. 배선 부재(27)는 가로 프레임부(172c)를 따라서 배치된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배선 부재(27)는 제 3 가로 프레임부(172c3)를 따라서 배치된다. 또한, 본 예에서는, 배선 부재(27)는 가로 프레임부(172c)의 외측을 따라서 배치되지만, 가로 프레임부(172c)의 내부를 따라서 배치되어도 좋다.
[3-2. 제 2 변형예]
측위 안테나(25)는 적어도 일부의 전후 방향의 위치가 후차축(102)(도 1 참조)과 같은 위치에 배치되어도 좋다. 바꿔 말하면, 측위 안테나(25)는 상방으로부터의 평면으로 볼 때 후차축(102)과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어도 좋다. 또한, 후차축(102)은 트랙터(1)의 후륜(6)의 차축이다. 제 2 변형예의 구성으로 하면, 차체(2)의 위치의 제어가 후차축(102)을 기준으로 하여 행해지는 구성에 있어서, 제어를 행하기 쉽게 할 수 있다.
[3-3. 제 3 변형예]
측위 안테나(25)는 상기 차량의 전후 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되어도 좋다. 차량의 전후 방향의 중앙부는, 예를 들면 차체(2)의 전단과 후단의 중앙부이다. 또한, 차량의 전후 방향의 중앙부는 상방으로부터의 평면으로 볼 때, 전차축(101)(도 1 참조)과, 후차축(102)의 전후 방향의 중앙과 겹치는 부분이어도 좋다. 즉, 측위 안테나(25)는 상방으로부터의 평면으로 볼 때, 전차축(101)과 후차축(102)의 전후 방향의 중앙과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어도 좋다. 또한, 전차축(101)은 트랙터(1)의 전륜(5)의 차축이다. 제 3 변형예의 구성으로 하면, 차체(2)의 경사에 대한 영향을 받기 어려운 위치에 측위 안테나(25)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제 3 변형예의 구성으로 하면, 차체(2)의 위치의 제어가 차량의 전후 방향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하여 행해지는 구성에 있어서, 제어를 행하기 쉽게 할 수 있다.
<4. 유의 사항 등>
본 명세서 중에 개시되는 여러 기술적 특징은 그 기술적 창작의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변경을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 나타내어지는 복수의 실시형태 및 변형예는 가능한 범위에서 조합해서 실시되어도 좋다.
<5. 부기>
예시적인 본 발명의 작업 차량은 운전 좌석과, 상기 운전 좌석의 상방에 배치되는 캐노피와, 상기 캐노피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측위 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측위 안테나를 구비하고, 상기 측위 안테나는 상기 캐노피의 하방 또한 상기 지지부의 상방에 배치되는 구성(제 1 구성)이어도 좋다.
상기 제 1 구성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운전 좌석의 후방에 배치되는 지주 프레임을 갖고, 상기 측위 안테나는 상기 지주 프레임에 지지되는 구성(제 2 구성)이어도 좋다.
상기 제 1 구성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운전 좌석의 후방에 배치되는 지주 프레임과, 상기 지주 프레임에 지지되어, 상기 캐노피에 체결되는 캐노피 체결 프레임을 갖고, 상기 측위 안테나는 상기 캐노피 체결 프레임에 지지되는 구성(제 3 구성)이어도 좋다.
상기 제 3 구성에 있어서, 상기 캐노피 체결 프레임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세로 프레임부와, 상기 한쌍의 세로 프레임부를 접속하는 적어도 1개의 가로 프레임부를 갖고, 상기 측위 안테나는 상기 가로 프레임부에 지지되는 구성(제 4 구성)이어도 좋다.
상기 제 1 구성 내지 제 4 구성 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측위 안테나는 상기 운전 좌석의 등받이면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구성(제 5 구성)이어도 좋다.
상기 제 2 구성 내지 제 4 구성 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측위 안테나는 상기 운전 좌석의 등받이면보다 후방, 또한 상기 지주 프레임의 후단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구성(제 6 구성)이어도 좋다.
상기 제 1 구성 내지 제 6 구성 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측위 안테나와 배선 부재에 의해 접속되는 신호 처리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배선 부재는 상기 지지부를 따라서 배치되는 구성(제 7 구성)이어도 좋다.
상기 제 1 구성 내지 제 7 구성 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측위 안테나는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는 구성(제 8 구성)이어도 좋다.
상기 제 4 구성에 있어서, 상기 측위 안테나가 체결 부재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가로 프레임부에 부착되는 받침대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받침대 프레임은 상방 위치와 하방 위치 사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상방 위치에서는, 상기 측위 안테나와 상기 받침대 프레임의 체결부가 하방을 향하며, 상기 하방 위치에서는, 상기 체결부가 상기 운전 좌석측을 향하는 구성(제 9 구성)이어도 좋다.
상기 제 1 구성 내지 제 9 구성 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측위 안테나는 적어도 일부의 전후 방향의 위치가 후차축과 같은 위치에 배치되는 구성(제 10 구성)이어도 좋다.
상기 제 1 구성 내지 제 9 구성 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측위 안테나는 상기 차량의 전후 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구성(제 11 구성)이어도 좋다.
1: 트랙터(작업 차량)
9: 운전 좌석
9a: 등받이면
16: 캐노피
17, 17A: 지지부
25: 측위 안테나
26, 26A: 받침대 프레임
27: 배선 부재
28: 신호 처리 장치
29: 체결 부재
101: 후차축
171, 171A: 지주 프레임
172, 172A: 캐노피 체결 프레임
172a, 172b: 세로 프레임부
173c: 가로 프레임부
290: 체결부
9: 운전 좌석
9a: 등받이면
16: 캐노피
17, 17A: 지지부
25: 측위 안테나
26, 26A: 받침대 프레임
27: 배선 부재
28: 신호 처리 장치
29: 체결 부재
101: 후차축
171, 171A: 지주 프레임
172, 172A: 캐노피 체결 프레임
172a, 172b: 세로 프레임부
173c: 가로 프레임부
290: 체결부
Claims (11)
- 운전 좌석과,
상기 운전 좌석의 상방에 배치되는 캐노피와,
상기 캐노피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측위 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측위 안테나를 구비하고,
상기 측위 안테나는 상기 캐노피의 하방 또한 상기 지지부의 상방에 배치되는 작업 차량.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운전 좌석의 후방에 배치되는 지주 프레임을 갖고,
상기 측위 안테나는 상기 지주 프레임에 지지되는 작업 차량.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운전 좌석의 후방에 배치되는 지주 프레임과,
상기 지주 프레임에 지지되어, 상기 캐노피에 체결되는 캐노피 체결 프레임을 갖고,
상기 측위 안테나는 상기 캐노피 체결 프레임에 지지되는 작업 차량.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캐노피 체결 프레임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세로 프레임부와,
상기 한쌍의 세로 프레임부를 접속하는 적어도 1개의 가로 프레임부를 갖고,
상기 측위 안테나는 상기 가로 프레임부에 지지되는 작업 차량.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위 안테나는 상기 운전 좌석의 등받이면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작업 차량. -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위 안테나는 상기 운전 좌석의 등받이면보다 후방, 또한 상기 지주 프레임의 후단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작업 차량.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위 안테나와 배선 부재에 의해 접속되는 신호 처리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배선 부재는 상기 지지부를 따라서 배치되는 작업 차량.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위 안테나는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는 작업 차량.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측위 안테나가 체결 부재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가로 프레임부에 부착되는 받침대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받침대 프레임은 상방 위치와 하방 위치 사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상방 위치에서는, 상기 측위 안테나와 상기 받침대 프레임의 체결부가 하방을 향하며,
상기 하방 위치에서는, 상기 체결부가 상기 운전 좌석측을 향하는 작업 차량.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위 안테나는 적어도 일부의 전후 방향의 위치가 후차축과 같은 위치에 배치되는 작업 차량.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위 안테나는 상기 차량의 전후 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작업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22078638A JP2023167449A (ja) | 2022-05-12 | 2022-05-12 | 作業車両 |
JPJP-P-2022-078638 | 2022-05-12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59252A true KR20230159252A (ko) | 2023-11-21 |
Family
ID=88294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48043A KR20230159252A (ko) | 2022-05-12 | 2023-04-12 | 작업 차량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230365072A1 (ko) |
EP (1) | EP4275996A1 (ko) |
JP (1) | JP2023167449A (ko) |
KR (1) | KR20230159252A (ko) |
CN (1) | CN117048707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960865B2 (ja) | 2017-12-18 | 2021-11-05 | 株式会社クボタ | トラクタ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60865B2 (ja) | 1986-01-08 | 1994-08-10 | 株式会社島津製作所 | 材料試験機 |
JP7376314B2 (ja) * | 2019-10-29 | 2023-11-08 | 三菱マヒンドラ農機株式会社 | 作業車両 |
US11338860B2 (en) * | 2020-03-10 | 2022-05-24 | Caterpillar Paving Products Inc. | Multi-function modular cover for a roof assembly |
-
2022
- 2022-05-12 JP JP2022078638A patent/JP2023167449A/ja active Pending
-
2023
- 2023-04-12 KR KR1020230048043A patent/KR20230159252A/ko unknown
- 2023-04-24 EP EP23169526.3A patent/EP4275996A1/en active Pending
- 2023-05-03 US US18/142,587 patent/US20230365072A1/en active Pending
- 2023-05-11 CN CN202310527492.9A patent/CN117048707A/zh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960865B2 (ja) | 2017-12-18 | 2021-11-05 | 株式会社クボタ | トラクタ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30365072A1 (en) | 2023-11-16 |
CN117048707A (zh) | 2023-11-14 |
EP4275996A1 (en) | 2023-11-15 |
JP2023167449A (ja) | 2023-11-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422909B2 (ja) | 作業車両 | |
US11383703B2 (en) | Work vehicle | |
US11221630B2 (en) | Work vehicle | |
JP6525902B2 (ja) | 圃場作業車両 | |
JP7565255B2 (ja) | トラクタ | |
EP4228089A1 (en) | Antenna unit for work vehicle, and work vehicle | |
CN113473839B (zh) | 农业机械 | |
EP3572302B1 (en) | Work vehicle | |
JP6815980B2 (ja) | 作業車 | |
JP2023164472A (ja) | 作業車両 | |
US20230076382A1 (en) | Work vehicle | |
CN113453535B (zh) | 农业机械 | |
KR20230159252A (ko) | 작업 차량 | |
JP6820828B2 (ja) | トラクタ | |
JP2021073948A (ja) | 作業車両 | |
EP4269181A1 (en) | Work vehicle | |
JP7509850B2 (ja) | 作業車 | |
JP7475295B2 (ja) | 作業車 | |
JP7421697B2 (ja) | 作業車両 | |
JP7326176B2 (ja) | 移植機 | |
WO2023119993A1 (ja) | 圃場作業機 | |
JP2021072783A (ja) | 作業車 | |
JP2023163126A (ja) | 作業車両 | |
CN116946241A (zh) | 作业车辆 | |
JP2023096967A (ja) | 作業車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