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8042A - 전기식으로 작동 가능한 차단 장치를 갖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 Google Patents

전기식으로 작동 가능한 차단 장치를 갖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8042A
KR20230158042A KR1020237035064A KR20237035064A KR20230158042A KR 20230158042 A KR20230158042 A KR 20230158042A KR 1020237035064 A KR1020237035064 A KR 1020237035064A KR 20237035064 A KR20237035064 A KR 20237035064A KR 20230158042 A KR20230158042 A KR 20230158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spring
blocking lever
lever
seat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5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필립 링스
플로리안 쿤츨러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ublication of KR20230158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80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43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electrically actuated lock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41Belt retractors, e.g. reels comprising energy-absorb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벨트 리트랙터로서,
- 벨트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치형 제어 디스크(21) 및
- 전기식으로 작동 가능한 차단 장치(100) 및
- 제1 직립 림(16)의 피벗 베어링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차단 레버(2) ─
- 전기식으로 작동 가능한 차단 장치(100)는 벨트 샤프트에 대해 제어 디스크(21)를 정지시키고, 그 결과 벨트 샤프트가 추출 방향으로 차단되고,
- 차단 레버(2)는 제1 스프링(4)이 작용하는 레버 아암(22)을 갖고, 이 스프링은 제어 디스크(21)의 치형부(26)에 맞물리도록 배치된 차단 팁(25)을 갖는 차단 레버(2)를 제 위치에 프리로딩하고 ─,
- 상기 하우징(1)에 배치되어 힘을 가하는 전자석(3)을 구비하며, 차단 팁(25)은 제어 디스크(21)의 치형부(26)로부터 후퇴되는, 안전벨트 리트랙트에 있어서,
제2 스프링(17)은, 차단 레버(2)가 그 위치에 관계없이 차단 아암(23)과 함께 제2 스프링에 대해 기대어 있고, 제어 디스크(21)의 치형부(26)로부터의 선회 이동 중에 차단 아암(23)에 의해 로딩되는 방식으로 제공되고 배치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식으로 작동 가능한 차단 장치를 갖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의 특징들을 포함하는 전기식으로 작동 가능한 차단 장치(blocking device)를 갖는 안전벨트(seatbelt)에 관한 것이다.
해당 유형의 전기식으로 작동 가능한 차단 장치는, 예를 들어 GB 2 398 824 A에 알려져 있다.
이러한 차단 장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벨트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외치형(externally toothed) 제어 디스크를, 차단 레버의 맞물림에 의해 벨트 샤프트에 대해 정지시키고, 그 결과 차단 폴(blocking pawl)을 강제하여 차량에 고정된 치형부(toothing)로의 제어 이동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며, 그 결과, 종국에는 벨트 샤프트가 추출(pull-out) 방향으로 차단된다.
종래의 기계식 차단 장치에서, 관성 질량은, 미리 결정된 차량 감속이 초과될 때 편향되는 접촉 표면 상에 장착되고, 차량 감속이 초과됨에 따라 차단 레버를 편향시키고, 차단 레버가 제어 디스크의 치형부에 맞물리게 강제한다. 이러한 기계식 차단 장치는 차량 감응형 센서 디바이스라고도 지칭된다. 이러한 기계식 차단 장치의 문제 중 하나는 벨트 샤프트가 의도치 않게 차단되지 않게 하려면 관성 질량이 항상 안전벨트 리트랙터가 설치된 기하학적 구조와 관계없이 차량 종축 및 차량 횡축에 대해 접촉 표면상에 정의된 배향으로 정렬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안전벨트 리트랙터는 차량 내의 안전벨트 리트랙터가 설치된 기하학적 구조를 고려하여 접촉 표면과 그에 걸리는 질량의 배향이 안전벨트 리트랙터에 대해 개별적으로 설계되어, 그것이 미리 결정된 배향에 대응하도록 차량에 대해 개별적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더욱이, 컨버터블 자동차의 경우에서와 같이 안전벨트 리트랙터가 앞좌석에 통합된 경우, 등받이의 경사 각도가 조정될 때 또는 뒷좌석으로 접근하기 위해 등받이가 앞으로 접힐 때, 관성 질량이 접촉 표면에 의도치 않게 편향되고 그 결과 차단 레버가 제어 이동을 위해 제어 디스크의 외부 치형부 내로 의도치 않게 강제된다. 따라서 안전벨트 리트랙터는 추출 방향으로 차단되고, 등받이는 추가로 선회될 수 없거나, 또는 탑승자가 안전벨트를 고정할 수 없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부가적인 연결해제 기구 또는 보상 기구가 제공되어야 하지만, 이는 결국 사고 시에 탑승자의 구속이 항상 보장되도록 이러한 경우에서만 작동될 수도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해야 하므로, 이런 종류의 기계식 차단 장치는 기계적으로 매우 복잡하다.
예를 들어, GB 2 398 824 A로부터 알려진 바와 같이, 전기식으로 작동 가능한 차단 장치의 경우, 대조적으로, 차단 레버의 이동은 전기적으로 제어되며, 그 결과, 이전에 요구되던 관성 질량이 생략된다. 그에 의해, 안전벨트 리트랙터는 차량 내의 상이한 설치 위치에 그리고 또한 등받이에 변경되지 않고 장착될 수 있다. 더욱이, 벨트 샤프트의 차단은 제어 디바이스로부터 유래되는 전기 신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 경우, 신호는 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될 수 있으며, 이는 또한 다른 센서 디바이스 또는 제어 시스템에 따라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센서 디바이스의 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동적 보조 시스템이 활성화될 때, 예를 들어 벨트 샤프트를 자동으로 차단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식 차단 장치는 또한 광학 센서 디바이스의 신호에 따라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제어된다. 더욱이, 전기식으로 작동 가능한 차단 장치는, 관성력에 의해 작동되지 않으므로 차량 주행 방향에 대해 특정 배향으로 배향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임의의 방향 및 배치에서도 기능한다. 따라서, 이것은 탑승자가 다른 탑승자와의 개선된 의사소통을 위해, 휴식 위치에서의 정렬을 위해, 또는 또한 일반적으로 종래의 비자율 주행 차량 좌석의 경우에 가능했던 것보다 상당히 더 큰 조정 범위에서, 자율 주행 운전에 의해 얻어진 자유를 이용하도록 하기 위해서 조정할 수 있는, 적어도 반자율 차량의 좌석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출원인에 의해 그의 제품에서 사용되고 GB 2 398 824 A의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전기식으로 작동 가능한 차단 장치(100)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전기식으로 작동 가능한 차단 장치(100)는, 기본 요소로서, 베이스 플레이트(15) 및 제1 직립 림(16)을 갖는 L자형 기본 구조를 갖는 하우징(1), 하우징(1)의 제1 직립 림(16)상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차단 레버(2), 전자석(3), 및 하우징(1)상의 일 단부에서 유지되고 다른 단부에서는 제1 직립 림(16)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차단 레버(2)의 레버 아암(22)에 연결된 제1 스프링(4)을 포함한다. 제1 스프링(4)은, 차단 레버(2)가 제어 디스크(21)의 치형부(26) 내의 차단 팁(25)과 맞물리는 위치로 제1 스프링(4)이 차단 레버(2)를 프리로딩하고, 그에 의해, 벨트 샤프트(20)에 대해 후방에 제어 디스크(21)를 유지시키도록 인장 스프링으로서 설계된다. 치형부(26)를 포함하는 제어 디스크(21)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도 9에서만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벨트 샤프트(20)가 추출 방향으로 회전되면, 차단 폴이 자동으로 차량에 고정된 치형부 내로 강제되고, 후속하여 벨트 샤프트(20)가 안전벨트의 추가 추출에 대해 차단된다. 차단 레버(2)는 윤곽부(24) 및 강철 플레이트(5)를 포함하며, 이 강철 플레이트(5)는 전자석(3)을 마주하고 있어 전자석(3)이 통전될 때 차단 레버(2)가 전자석(3)에 의해 끌어당겨지고, 그에 따라, 제어 디스크(21)의 치형부(26)로부터 빠져나간다. 그 결과, 벨트 샤프트(20)는 후속하여, 추출 및 후퇴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다. 이런 솔루션의 이점은 전자석(3)의 결함 또는 전력 장애의 경우에도 벨트 샤프트(20)가 추출 방향으로 차단되고, 이러한 경우, 탑승자가 또한 확실하게 구속된다는 것이다.
전자석(3)은 원주형 중심 부분(7) 및 2개의 반경방향 플랜지(8)를 갖는 베이스 컴포넌트(6)를 포함하며, 이들 반경방향 플랜지(8) 중 하나는 각각의 경우, 중심 부분(7)의 단부 중 하나에서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한다. 전자석(3)은 하우징(1)의 베이스 플레이트(15) 상에서 베이스 컴포넌트(6)에 대해 유지된다. 베이스 컴포넌트(6)는 중심 부분(7) 내의 관형 관통 부분(14) 및 중심 부분(7) 외부 상의 반경방향의 환형 중간 공간(9)을 가지며, 환형 중간 공간(9)은 반경방향 플랜지(8)에 의해 중심 부분(7)의 단부를 향해 제한된다. 더욱이, 전자석(3)은 복수의 권선을 갖는 코일(10)을 포함하며, 코일은 환형 중간 공간(9)에 배치되고, 베이스 컴포넌트(6)에 제공된 라인(11)을 통해 외부 제어 디바이스와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부가적으로, 전자석(3)은, 베이스 컴포넌트(6)의 관형 관통 부분(14)에 배치되고 차단 레버(2)의 강철 플레이트(5)를 향하는 자유 단부를 갖는 제1 철심(iron core)(12)을 포함한다.
코일(10)에 통전되면, 차단 레버(2)는 도 2의 우측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1)의 제1 직립 림(16), 제1 철심(12), 및 제1 철심(12)과 제1 직립 림(16) 사이의 차단 레버(2) 및 베이스 플레이트(15)의 부분들에 의해 정의되는 제1 자기 회로(I)를 닫음으로써 끌어당겨진다. 더욱이, 본질적으로 유연한 튜브 형태, 예를 들어 짧은 튜브 조각 형태의 감쇠 요소(13)가 제공되며, 이 요소는 차단 레버(2)를 마주하는 반경방향 플랜지(8)의 2개의 연장부 사이의 단부에서 클램핑된다. 감쇠 요소(13)는, 차단 레버(2)의 자유 단부가 편향된 위치(도 2의 좌측 도면)에서 감쇠 요소(13)에 기대지 않고, 끌어당겨진 위치(도 2의 우측 도면)에서만 클램핑 지점들 사이의 감쇠 요소(13)의 중앙 연성 부분에 안착하는 방식으로 위치된다. 그 결과, 차단 레버(2)의 인력 이동은 그 이동의 마지막 단계에서 감쇠된다. 이러한 감쇠의 결과, 부드러운 정지가 구현되고 차단 레버(2)의 인력 이동 및 후속의 가능한 약간의 이동 중에 방해가 되는 "덜거덕거리는 소음(rattling noises)"이 회피된다.
차단 동작에 대해 개선된 전기식으로 작동 가능한 차단 장치를 포함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제1항의 특징들을 갖는 안전벨트 리트랙터가 제안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은 종속항들, 도면들 및 연관된 설명으로부터 추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본 사상에 따르면, 제2 스프링이 제공되는 것이 제안되며, 제2 스프링은 차단 레버의 차단 아암이 그 위치에 관계없이 제2 스프링에 기대어 있고, 상기 레버가 차단 아암에 의해 제어 디스크의 치형부로부터 선회 이동하는 경우에 인장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제안된 솔루션에는 몇 가지 장점이 있다. 첫 번째 장점은, 제어 디스크의 치형부로부터 차단 레버의 선회 이동에 의해 제2 스프링이 인장되므로, 제어 디스크의 치형부로의 선회 이동 중에 차단 레버의 차단 이동이 제1 스프링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추가로, 이완 중에 제2 스프링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의해 보조된다는 것이다. 그 결과, 제어 디스크를 차단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과, 또한 이에 따라 벨트 샤프트를 차단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예를 들어 4 ms 미만의 값으로 단축될 수 있다. 또 다른 장점은, 차단 레버가 그 위치에 관계없이 제2 스프링에 기대어 있으므로, 첫째로 차단 레버의 이동이 직접 시작되고, 둘째로 원하지 않는 덜거덕거리는 소음이 차단 레버의 위치에 관계없이 영구적으로 방지된다는 것이다. 더욱이, 차단 레버는 그 위치에 관계없이 제2 스프링의 영구적인 맞닿음에 의해 제 위치에 고정되며, 차단 레버의 불리한 이동이 방지될 수 있다.
제2 스프링은 제어 디스크로부터 먼 쪽 측면의, 차단 아암 영역에서 차단 레버를 지지하는 것이 더 제안된다. 제안된 개발로 인해, 차단 레버는 제2 스프링 상의 간단한 지지를 통해, 압력에 의해 위로 작용될 수 있다. 그 결과, 차단 레버의 제2 스프링으로의 추가 연결이 생략될 수 있다. 더욱이, 차단 레버는 바람직하게는 차단 아암과 함께 제2 스프링 상에 놓여 있으므로, 차단 레버는 인장력과 차단 아암을 통한 압축력을 이용하여, 레버 아암에 의해 피벗 베어링의 어느 측면 상의 서로 이격된 2개의 위치에서, 2개의 측면 상에서 위로 작용하게 된다.
제2 스프링이 제1 단부와 제2 단부에 의해 고정되고, 차단 레버가 차단 아암과 함께 스프링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배치된 제2 스프링의 스프링 부분에 대해 기대어 있는 것이 더 제안된다. 제2 스프링은, 차단 장치 상의 2개의 단부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맞닿음 형태로 차단 레버에 대하여 고정되며, 고정된 2개의 단부 사이에 제공된 스프링 부분과 함께, 차단 레버를 위한 탄성 접촉 표면을 동시에 형성한다. 이 경우, 제2 스프링의 2개의 단부는 인장 저항 방식으로 차단 장치에 고정되므로, 차단 레버의 인력 이동 중에 스프링 부분의 영역에서 인장되고, 프로세스 중에 스프링에서 발생된 클램핑력은 고정된 2개의 단부를 통해 차단 장치에 의해 흡수된다.
더욱이, 차단 아암은 바람직하게는 제2 스프링과의 접촉을 위해 제공된 표면상에서, 스프링의 표면에 적응된 프로파일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차단 레버와 제2 스프링 사이의 접촉 표면은 이러한 적응된 프로파일 또는 표면 구조에 의해 증가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러한 적응된 프로파일 구조는 인장된 상태 및/또는 또한 이완된 상태에서 제2 스프링의 형상에 적응되도록 성형될 수 있다. 이 경우, 차단 레버의 표면을 제2 스프링의 종방향 및 제2 스프링의 횡방향의 방향으로 성형하는 것이 표면 구조를 성형하기 위해 이용 가능하다. 이 경우, 프로파일 구조는, 예를 들어 차단 레버의 표면에 의도적으로 설계된 하나 또는 두 개의 곡률, 즉 의도적으로 고르지 않게 설계된 곡률의 형태로 실현될 수 있다.
프로파일 구조는 바람직하게는 상이한 높이의 복수의 캠(cam)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최고 높이의 캠은 중앙에 배열되고, 더 낮은 높이의 캠은 최고 높이의 중앙 캠에 대해 측방향으로 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제안된 프로파일 구조의 성형 결과, 제2 스프링의 클램핑 중에 차단 레버의 접촉 표면은 초기에 작은 접촉 표면으로부터 더 큰 접촉 표면으로 연속적으로 증가되므로, 스프링의 인장이 스프링 힘 증가에 의해 실현될 수 있고, 이는 결국 차단 레버에 작용하는 제동력의 증가도 초래한다.
더욱이, 제2 스프링의 표면은 차단 레버의 피벗 축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홈으로 이루어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안된 프로파일링은 차단 레버가 홈에 의해 제2 스프링에 대한 측방향 변위에 대해 개선된 방식으로 고정된다는 이점을 갖는다.
제2 스프링이 코일 스프링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더 제안된다. 코일 스프링은 대량 생산 시 매우 비용 효율적으로 생산될 수 있으며, 완제품으로 조달되고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코일 스프링은, 권선으로 인해, 전술한 바와 같이, 차단 레버를 제 위치에 측방향으로 고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홈을 갖는 프로파일된 표면 구조를 이미 갖고 있다는 이점도 있다.
제2 스프링이 차단 레버의 피벗 축에 대해 5 내지 15도의 각도로 배열되는 것이 더 제안되며, 그 결과 제2 스프링의 길이가 동일한 설치 공간 폭에서 연장되고, 이에 따라 스프링 거동이 개선될 수 있다. 코일 스프링이 제공되면, 코일 스프링이 권선의 피치와 반대로 대응하는 방식으로 동일한 각도로 배열된다는 점에서, 권선의 피치는 제안된 배치에 의해 추가로 보상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스프링은 권선들 사이의 홈이 차단 레버의 피벗 축에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차단 레버의 선회 이동을 제한하는 충격 댐퍼가 차단 레버 및/또는 차단 장치의 고정된 반대 표면에 제공되는 것이 더 제안된다. 최종 단계에서 차단 레버의 이동은 충격 댐퍼에 의해 추가로 감쇠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스프링에 안착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차단 레버가 접촉하는 경우에 가능한 소음 발생은 충격 댐퍼의 감쇠 특성에 의해 추가로 감소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충격 댐퍼는, 예를 들어 경도가 낮은 플라스틱 재료, 또는 엘라스토머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석의 특히 바람직한 설계는, 전자석이 관통 개구를 포함하는 코일을 갖고, 전자석 내에 철심이 배치되어, 전압이 코일에 인가될 때 철심이 강철 플레이트를 통해 차단 레버 상에 자력을 가하고, 제1 스프링의 힘에 반하여 상기 차단 레버를 작동시켜서 차단 또는 차단 해제 이동을 촉발하는 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차단 레버의 이동이 제1 철심, 제1 직립 림, 및 제1 철심과 제1 직립 림 사이의 차단 레버 및 베이스 플레이트의 부분들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자기 회로에 의해 적어도 강제되는 것이 더 제안된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는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에 기초하여 아래에서 설명된다, 여기서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식으로 작동 가능한 차단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2는 2개의 상이한 위치에서 차단 레버를 갖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식으로 작동 가능한 차단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개발된 전기식으로 작동 가능한 차단 장치를 여러 가지 도면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8은 개발된 전기식으로 작동 가능한 차단 장치의 여러 가지의 확대된 세부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2개의 상이한 위치에서 차단 레버를 갖는 개발된 차단 장치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발된 전기식으로 작동 가능한 차단 장치(100)를 도시하며, 이는 개념적으로 종래 기술에 공지된 안전벨트 리트랙터에 사용되고 도 1 및 도 2의 차단 장치(100)를 대체한다. 개발된 차단 장치(100)는 그 기본 구조에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되고 종래 기술에 공지된 차단 장치(100)와 대응하므로, 이에 대해서는 설명 서문의 설명을 참조하고, 그와 다른 개발된 차단 장치(100)의 구조적 특징과 그로부터 발생하는 이점만을 후술한다.
도 3은 도 2의 좌측 도시에서 볼 수 있는 차단 장치(100)의 위치에 대응하는 편향된 차단 레버(2)를 갖는 위치에 있는 개발된 차단 장치(100)를 도시한다. 도 9의 좌측 도시에서, 동일한 개발된 차단 장치(100)는 편향된 차단 레버(2)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리트랙터에서 볼 수 있는 한편, 편향되지 않은 비편향 차단 레버(2)를 포함하는 동일한 차단 장치(100)는 우측 도시에서 볼 수 있다. 차단 위치에서, 차단 레버(2)는 제어 디스크(21)의 치형부(26) 내의 차단 팁(25)과 맞물리고, 그 결과 제어 디스크(21)가 벨트 샤프트(20)에 대해 차단되어, 차단 폴이 차량에 고정된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치형부로의 제어 이동을 위해 벨트 샤프트(20)를 추출 방향으로 차단하도록 강제된다. 그 후, 벨트 샤프트(20)는 그 위에 감긴 안전벨트의 추출 방향으로 차단된다.
이전에 제공된 감쇠 요소(13)(도 1 및 도 2 참조) 대신에, 이제 제2 스프링(17)이 제공되며, 이는 차단 레버(2)를 향하는 반경방향 플랜지(8)의 반대쪽 연장부 상의 2개의 단부(18, 19)에 의해 고정된다. 제2 스프링(17)은 복수의 권선, 및 표면 상의 상기 권선들 사이에 배치된 홈(33)을 갖는 코일 스프링으로서 설계되며, 2개의 단부 사이에 제공된 스프링 부분(27)을 갖는다. 제2 스프링(17)은 차단 아암(23)의 하면에 제공된 프로파일 구조(28) 상의 스프링 부분(27)으로 차단 레버(2)를 지지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차단 레버(2)는 또한 편향된 위치에서 제2 스프링(17) 상에 안착하며 이를 탄성 맞닿음부로 사용하므로, 편향된 위치에서 제 위치에 또한 고정되며, 즉, 제2 스프링(17)에 의해 가해진 스프링 힘으로 인한 치형부로부터의 의도치 않은 선회가 방지된다. 여기서 제2 스프링(17)은 차단 레버(2)의 피벗 축에 대해 5 내지 15도의 각도로, 즉 이에 대해 약간 대각선으로 배치되며, 그 결과 동일한 설치 폭으로 스프링 길이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제2 스프링(17)의 배향이 코일 스프링의 권선 피치와 반대인 경우, 권선의 피치가 보상될 수 있어, 권선들 사이의 홈(32)이 차단 레버의 피벗 축에 수직으로 배향된다. 여기서, 사이에 형성된 홈(33)을 갖는 권선은 제2 스프링(17)에 대한 측방향 슬리피지(slippage)에 대해 차단 레버(2)를 고정하는 표면 구조를 형성한다. 제2 스프링(17)이 코일 스프링으로 설계되지 않은 경우, 예를 들어 판 스프링으로 설계된 경우, 이러한 표면 구조는 또한 제2 스프링(17)에 오목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스프링(17)은, 플라스틱 스프링의 사용에 비해 특성의 관점에서 온도 의존성이 덜하고, 노화에 대한 내성이 강하도록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제1 직립 림(16) 이외에, 베이스 플레이트(15)에는 제1 림(16)에 대향하는 제2 직립 림(35)이 제공되며, 제2 림을 통해 제2 자기 회로가 전자석(3)의 인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닫힐 수 있다. 또한, 제2 림(35)은 상부 반경방향 플랜지(8)를 지지하거나 대안적으로 제2 스프링(17)을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전자석(3)의 반경방향 플랜지(8)에 제2 스프링(17)을 장착하는 것은, 이 경우에 전자석(3)이 통전될 때 차단 레버(2)에 인력을 가하는 부분에 제2 스프링이 배치되어, 전자석(3)이 통전될 때 차단 레버(2)의 이동이 직접적으로 완충된다는 이점이 있다.
차단 장치(100)를 안전벨트 리트랙터에, 특히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하우징에 고정하기 위한 슬롯(34)이 도 6의 확대도에서도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림(35)에 제공된다. 동일한 슬롯(34)이 제1 직립 림(16)에도 추가로 제공될 수 있어, 차단 장치(100)가 또한 양쪽에서 유지될 수 있다.
더욱이, 반경방향 플랜지(8)를 향하는 강철 플레이트(5)의 측면상에서, 차단 레버(2)의 하면에 충격 댐퍼(33)가 설치된다. 여기서 라인(11)은 도 5에서도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치수가 안정된 금속 핀의 형태로 수직 하방으로 안내되는 접촉 핀으로서 설계되어 있다.
전자석(3)이 통전되면, 차단 레버(2)는 전자석(3)에 의해 강철 플레이트(5)에 가해지는 자력에 의해 끌어당겨지고 이에 따라 차단 팁(25)과 함께 제어 디스크(21)의 치형부(26)로부터 선회한다. 그 결과, 제어 디스크(21)는 해제되고, 스프링 하중으로 인해 벨트 샤프트(20)에 대해 작은 회전 각도만큼 뒤로 회전하며, 이에 따라 차량에 고정된 치형부로부터 차단 폴을 잡아당기므로, 후속하여 벨트 샤프트(20)가 추출 및 후퇴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동시에, 제1 스프링(4)과 제2 스프링(17)이 차단 레버(2)의 인력 이동에 의해 인장된다. 이 경우, 차단 레버(2)는 인장력을 가하면서 레버 아암(22)을 통해 제1 스프링(4)을 클램핑한다. 동시에, 차단 레버(2)는 차단 아암(23)에 의해 그 하면 상에 안착해 있는 제2 스프링(17)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15) 방향으로 원호 형상으로 변형된다. 차단 레버(2)의 차단 아암(23)은 그 하면에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높이가 다른 3개의 캠(29, 30, 31)으로 이루어진 프로파일 구조(28)를 갖는다. 최고 높이의 캠(29)은 더 낮은 동일한 높이의 2개의 캠(30, 31) 사이의 중앙에 배치된다. 더욱이, 더 낮은 동일한 높이의 2개의 캠(30, 31)은 더 높은 높이의 중앙 캠(29)에 대해 대칭적으로, 즉 그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배열된다. 따라서, 차단 레버(2)의 인력 이동 중에, 중앙 캠(29)에 의해 제2 스프링(17)이 먼저 인장되고, 나중에, 바람직하게는 동시에 낮은 높이의 2개의 캠(30,31)이 제2 스프링(17) 상에 안착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스프링(17)은 캠(29, 30, 31)에 의해 연속적으로 인장되고, 차단 레버(2)의 조임 이동이 상승하는 스프링 힘에 의해 그 단부까지 감속된다. 따라서, 캠(29, 30, 31)은 그들의 단부면의 가장 높은 지점 또는 라인을 연결하여, 인장된 제2 스프링(17)의 곡률에 적응된 표면을 형성한다. 물론, 캠(29, 30, 31)은 또한 그 종방향 연장부에서 오목하게 만곡되고 그 단면에서 제2 스프링(17)의 곡률에 적응되는 표면을 추가로 가질 수 있으므로, 캠(29, 30, 31)은 주변의 더 넓은 영역에 걸쳐 제2 스프링(17)에 대해 기대어 있다.
또한, 차단 레버(2)의 차단 아암(23)의 하면에는 충격 댐퍼(33)가 설치되며, 충격 댐퍼는 전자석(3)의 반경방향 플랜지(8)의 상면 방향으로 향하고 있어,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장 불리한 상황에서도 차단 레버(2)가 강철 플레이트(5)에 의해 직접 반경방향 플랜지(8)와 접촉하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충격 댐퍼(33)에는 팁이 있어서 반경방향 플랜지(8)의 표면에 먼저 안착하게 되고, 팁은 그 형상으로 인해 인력 이동 중에 차단 레버(2)의 감쇠를 증가시킨다. 충격 댐퍼(33)는 예를 들어 저경도 플라스틱 재료, 엘라스토머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제1 직립 림(16)에 차단 레버(2)를 장착한 것을 도시한다. 차단 레버(2)는 측면에 돌출 아암이 제공되어, 중간 공간(2b)을 형성한다. 제1 림(16)에는 그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는 아암(16a)이 제공되어, 중간 공간(2b)에 맞물린다. 따라서, 차단 레버(2)는 직립 림(16)에 대해 측방향으로 장착된다. 또한, 중간 공간(2b)은 직립 림(16)의 방향으로 차단 레버(2)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정지부를 동시에 형성한다.
제2 스프링(17)은 차단 레버(2)의 종축에 대해 90도가 아닌 각도로, 바람직하게는 차단 레버(2)의 피벗 축에 대해 5 내지 15도의 각도로 비스듬하게 배치되므로, 차단 장치(100)의 동일한 폭으로 상응하게 더 연성의 스프링 특성을 갖는 더 긴 제2 스프링(17)이 사용될 수 있다. 제2 스프링(17)이 코일 스프링으로서 설계되면, 권선의 피치는 홈(33)이 차단 레버(2)의 피벗 축에 대략 수직으로 배향될 정도로 제2 스프링(17)의 배치에 의해 보상될 수 있다. 그 결과, 차단 레버(2)는 프로파일 구조(28)에 의해 스프링(17)에 대한 개선된 유지력을 갖고, 측방향 슬리피지에 대해 개선된 방식으로 제2 스프링(17)에 고정된다.
인력 이동의 완충 이외에, 제2 스프링(17)의 이점은, 전자석(3)이 비활성화되고, 제1 스프링(4) 외에도 차단 레버(2)를 제어 디스크(21)의 치형부(26) 내로 추가로 강제할 때, 제2 스프링(17)이 인장된 위치에서 차단 레버(2)의 차단 이동을 지지하는 것이 추가로 고려될 수 있다. 그 결과, 추출 방향으로의 제어 디스크(21)의 차단, 및 이에 따라 벨트 샤프트(20)의 차단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따라서, 차단 레버(2)는 잠금에 필요한 선회 이동에 대해 제1 스프링(4)에 의해 가해지는 인장력과 제2 스프링(17)에 의해 가해지는 압축력 모두에 의해 구동된다.
전반적으로, 차단 레버(2)의 이동은, 단 하나의 제1 스프링(4)을 포함하는 종래 기술에서 이미 공지된 솔루션에서 가능했던 것보다, 차단 장치(100)를 향한 인력 이동 및 제어 디스크(21)의 치형부(26)로의 잠금 이동 중 모두에서, 제공된 제2 스프링(17) 및 상기 스프링을 통해 가해진 압력에 의해, 실질적으로 더 낮은 자연스러운 이동 및 이에 따라 실질적으로 더 제어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제공된 제2 스프링(17)으로 인해, 차단 레버(2)는 2개의 측면으로부터 선회 이동을 수행하게 되며, 잠금 이동 중에, 제1 스프링(4)과 제2 스프링(17)에 의해 차단 레버(2)에 가해진 토크가 서로에 추가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제1 스프링(4)이 어떤 이유로든 차단 레버(2)에 더 낮은 스프링 힘을 가하지 않거나 더 낮은 스프링 힘만 가할 때 차단 레버(2)가 여전히 잠금 이동을 수행하게 되고, 그 후 차단 레버(2)가 제2 스프링(17)에 의해 잠금 이동을 수행하게 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Claims (11)

  1. 안전벨트 리트랙터로서,
    -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벨트 샤프트 및
    - 상기 벨트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치형 제어 디스크(21) 및
    - 전기식으로 작동 가능한 차단 장치(100)를 갖고, 상기 전기식으로 작동 가능한 차단 장치(100)는
    - 베이스 플레이트(15) 및 제1 직립 림(upright first limb)(16)을 갖는 하우징(1)과,
    - 상기 제1 직립 림(16)의 피벗 베어링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고 강철 플레이트(5)를 포함하는 차단 레버(2) ─
    - 상기 전기식으로 작동 가능한 차단 장치(100)는 상기 치형부에 상기 차단 레버(2)의 맞물림에 의해 상기 벨트 샤프트에 대해 상기 제어 디스크(21)를 정지시키고, 그 결과 차단 폴(blocking pawl)이 차량에 고정된 상기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치형부에 맞물리는 이동을 수행하도록 강제하고, 상기 벨트 샤프트를 추출 방향으로 차단하고,
    - 상기 차단 레버(2)는 상기 제1 림(16)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제1 스프링(4)이 작용하는 레버 암(22)을 갖고, 상기 제1 스프링(4)은 상기 차단 레버(2)가 상기 제어 디스크(21)의 상기 치형부(26) 내의, 차단 아암(23)의 단부에 배치된 차단 팁(25)과 맞물리는 위치로 상기 차단 레버(2)를 프리로딩하고 ─,
    - 상기 하우징(1)에 배치되어 통전에 의해 상기 차단 레버(2)에 힘을 가하며 그 힘에 의해 상기 차단 레버가 상기 차단 팁(25)과 함께 상기 제어 디스크(21)의 상기 치형부(26)로부터 추출되는 전자석(3)을 포함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에 있어서,
    - 제2 스프링(17)이 제공되고, 상기 제2 스프링(17)은, 상기 차단 레버가 그 위치에 관계없이 그의 차단 아암(23)에 의해 제2 스프링(17)에 대해 기대어 있고, 상기 제어 디스크(21)의 상기 치형부(26)로부터의 선회 이동 중에 상기 차단 아암(23)에 의해 인장되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2. 제1항에 있어서,
    - 상기 제2 스프링(17)은 상기 제어 디스크(21)로부터 먼 쪽 측면의 상기 차단 아암(23) 영역에서 상기 차단 레버(2)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 상기 제2 스프링(17)은 제1 및 제2 단부(18, 19)로 고정되고, 상기 차단 레버(2)는 상기 차단 아암(23)과 함께 상기 제2 스프링(17)의 스프링 부분(27)에 대해 지지되고, 상기 스프링 부분(27)은 상기 제2 스프링(17)의 상기 제1 및 제2 단부(18, 19)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차단 아암(23)은 상기 제2 스프링(17)에 대해 지지하기 위해 제공된 표면상에, 상기 제2 스프링(17)의 표면에 적응된 프로파일 구조(28)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5. 제4항에 있어서,
    - 상기 프로파일 구조(28)는 상이한 높이의 복수의 캠(29, 30, 31)으로 형성되고, 최고 높이의 상기 캠(29)은 중앙에 배열되고, 더 낮은 높이의 캠(30, 31)은 상기 최고 높이의 중앙 캠(29)에 대해 측방향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 상기 제2 스프링(17)의 표면은 상기 차단 레버의 피벗 축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홈(32)으로 이루어진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제2 스프링(17)은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제2 스프링(17)은 상기 차단 레버(2)의 피벗 축에 대해 5 내지 15도의 각도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차단 레버(2)의 선회 이동을 제한하는 충격 흡수 장치(33)가 상기 차단 레버(2) 및/또는 상기 차단 장치(100)의 고정된 반대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전자석(3)은 관통 개구(14)를 갖는 코일(10)을 포함하고,
    - 상기 관통 개구(14)에는 철심(12)이 배치되며, 이 철심은 상기 코일(10)에 전압이 인가될 때 상기 강철 플레이트(5)를 통해 상기 차단 레버(2)에 자력을 가하고, 차단 또는 차단 해제 이동을 촉발하기 위해 상기 제1 스프링(4)의 힘에 반하여 상기 차단 레버(2)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11. 제10항에 있어서,
    - 상기 차단 레버(2)의 이동은, 상기 제1 철심(12), 상기 제1 직립 림(16), 및 상기 제1 철심(12)과 상기 제1 직립 림(16) 사이의 상기 차단 레버(2)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5)의 부분들에 의해 형성된 제1 자기 회로(I)에 의해 적어도 강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KR1020237035064A 2021-03-18 2022-03-14 전기식으로 작동 가능한 차단 장치를 갖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KR202301580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1106683.2A DE102021106683B4 (de) 2021-03-18 2021-03-18 Gurtaufroller mit einer elektrisch betätigbaren Blockiereinrichtung
DE102021106683.2 2021-03-18
PCT/EP2022/056465 WO2022194743A1 (de) 2021-03-18 2022-03-14 Gurtaufroller mit einer elektrisch betätigbaren blockiereinricht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8042A true KR20230158042A (ko) 2023-11-17

Family

ID=80999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5064A KR20230158042A (ko) 2021-03-18 2022-03-14 전기식으로 작동 가능한 차단 장치를 갖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40157909A1 (ko)
EP (1) EP4308422A1 (ko)
JP (1) JP2024510456A (ko)
KR (1) KR20230158042A (ko)
CN (1) CN116981603A (ko)
DE (1) DE102021106683B4 (ko)
WO (1) WO2022194743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09395A1 (de) 1978-03-04 1979-09-13 Autoflug Gmbh Steuervorrichtung fuer automatische gurtaufroller in kraftfahrzeugen
JPS6187764U (ko) 1984-11-16 1986-06-09
DE4018214A1 (de) 1990-06-07 1991-12-12 Harting Elektronik Gmbh Vorrichtung zur elektromagnetischen betaetigung eines sperrmechanismus eines gurtaufrollers
GB2396586B (en) * 2002-12-24 2005-11-16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seat belt retractor arrangement
GB2398824B (en) 2003-02-25 2005-09-28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seat-belt retractor arrangement
DE102019213915A1 (de) 2019-09-12 2021-03-18 Autoliv Development Ab Gurtaufroller mit einer elektrisch betätigbaren Blockiereinrichtung
DE102019214388A1 (de) 2019-09-20 2021-03-25 Joyson Safety Systems Germany Gmbh Gurtaufroller für einen Sicherheitsgu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510456A (ja) 2024-03-07
EP4308422A1 (de) 2024-01-24
US20240157909A1 (en) 2024-05-16
DE102021106683B4 (de) 2023-11-30
DE102021106683A1 (de) 2022-09-22
WO2022194743A1 (de) 2022-09-22
CN116981603A (zh) 2023-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08149B1 (en) Anti-submarine vehicle seat device
US20050269148A1 (en) Buckle pretensioner system
CN111546951B (zh) 车辆用座椅滑动构造
JP7474803B2 (ja) ベルトリトラクタ
US11338716B2 (en) Vehicle footrest
JP2009023517A (ja) 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及び車両用シート
EP1159153A1 (en) Vehicle pivotal headrest
US20090140559A1 (en) Rear-seat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US20110084524A1 (en) Vehicle head restraint
CN114340960B (zh) 带电动的锁止装置的安全带卷收器
US20130181430A1 (en) Self-Locking Belt Retractor
JP2001146127A (ja) 自動車用シート
KR20230158042A (ko) 전기식으로 작동 가능한 차단 장치를 갖는 안전벨트 리트랙터
JP2000102438A (ja) 衝撃緩和装置
JP5584311B2 (ja) 調節可能な安全ステアリングコラム
JPH08188118A (ja) シートベルト用締付装置
JP5749966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US20220371485A1 (en) Vehicle seat crash securing device and vehicle seat
JPS5914293Y2 (ja) シ−トベルトアンカ−装置
US8353551B2 (en) Linear latch with spring biased adjustment bar for use with an upper rear pivoting seat back
JP3350625B2 (ja) 自動車用シートのシートバック
US4838388A (en) Clamping means for a strap
KR20090050683A (ko) 차량의 프리텐셔너
JP2600307Y2 (ja) シートベルトの緩衝装置
JP3917828B2 (ja) 乗り物用シー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