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5181A - 두부 보호 장비 - Google Patents

두부 보호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5181A
KR20230155181A KR1020220054712A KR20220054712A KR20230155181A KR 20230155181 A KR20230155181 A KR 20230155181A KR 1020220054712 A KR1020220054712 A KR 1020220054712A KR 20220054712 A KR20220054712 A KR 20220054712A KR 20230155181 A KR20230155181 A KR 202301551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oupling
cover member
closing member
venti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4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7599B1 (ko
Inventor
이윤행
Original Assignee
(주) 에이치제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이치제이씨 filed Critical (주) 에이치제이씨
Priority to KR1020220054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7599B1/ko
Priority to PCT/KR2023/004287 priority patent/WO2023214691A1/ko
Publication of KR20230155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5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28Ventilating arrangements
    • A42B3/281Air ducting systems
    • A42B3/283Air inlets or outlets, with or without closure shutter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6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28Ventil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두부 보호 장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는,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외부 프레임; 상기 외부 프레임의 외면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수용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연통공을 포함하는 통기부; 상기 연통공을 폐쇄하거나 개방하도록 상기 통기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수용 공간과 외부의 연통을 허용하거나 차단하게 구성되는 개폐 부재; 및 상기 통기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개폐 부재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폐 부재를 회전시키게 구성되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부재가 일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 상기 개폐 부재가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연통공이 개방되어 상기 수용 공간과 외부가 연통되고, 상기 커버 부재가 타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 상기 개폐 부재가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 중 다른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연통공이 폐쇄되어 상기 수용 공간과 외부의 연통이 차단되게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두부 보호 장비{Head part protector}
본 발명은 두부 보호 장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조작으로 외부와 내부의 연통을 허용하거나 차단할 수 있는 구조의 두부 보호 장비에 관한 것이다.
두부 보호 장비는 흔히 헬멧(helmet)이라 지칭되는 장비로, 착용자의 두부를 보호하기 위해 활용된다.
두부 보호 장비는 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착용자의 두부를 수용할 수 있다. 수용된 두부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두부 보호 장비는 두부를 외측에서 감싸게 형성됨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두부 보호 장비의 상기 공간 및 수용된 착용자의 두부는 외부와의 연통이 차단된다.
상기와 같은 연통 차단에 의해, 착용자가 장시간 동안 두부 보호 장비를 착용할 경우 착용자는 답답함을 느끼게 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최근에는 착용된 상태로 상기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기 위한 구조의 두부 보호 장비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연통을 위한 부재가 복수 개 구비되어, 상기 공간과 외부가 복수 개의 지점에서 연통될 수 있는 구조의 두부 보호 장비가 각광받고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문헌 제20-2012-0003190호는 통풍이 가능한 헬멧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헬멧의 내부로 강제 통풍을 위한 송풍팬이 형성된 공기 흡입구 및 외부의 공기를 공기 흡입구로 유도하기 위한 공기 도입부를 포함하는 통풍이 가능한 헬멧을 개시한다.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20-0052179호는 통풍제어 기능을 갖는 오토바이 헬멧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흡기부, 흡기부를 개폐하는 슬라이드 방식의 개폐판 및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부를 포함하는 통풍제어 기능을 갖는 오토바이 헬멧을 개시한다.
그런데, 상기 선행문헌들이 개시하는 통풍제어 기능을 갖는 오토바이 헬멧은 오토바이 헬멧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기 위해서는 송풍팬이 작동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선행문헌들은 내기의 배출을 위해 별도의 전력 및 제어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추가 구성이 요구된다.
한국공개실용신안문헌 제20-2012-0003190호 (2012.05.09.)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20-0052179호 (2020.05.1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명한 조작으로 외부와 내부가 연통될 수 있는 구조의 두부 보호 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와 내부를 연통하는 구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구조의 두부 보호 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와 내부를 연통하는 구성의 작동이 외부에 구비되는 구성과 연동될 수 있는 구조의 두부 보호 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통을 위한 조작 방향이 명확하게 인지될 수 있는 구조의 두부 보호 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관이 미려한 구조의 두부 보호 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외부 프레임; 상기 외부 프레임의 외면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수용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연통공을 포함하는 통기부; 상기 연통공을 폐쇄하거나 개방하도록 상기 통기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수용 공간과 외부의 연통을 허용하거나 차단하게 구성되는 개폐 부재; 및 상기 통기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개폐 부재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폐 부재를 회전시키게 구성되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부재가 일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 상기 개폐 부재가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연통공이 개방되어 상기 수용 공간과 외부가 연통되고, 상기 커버 부재가 타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 상기 개폐 부재가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 중 다른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연통공이 폐쇄되어 상기 수용 공간과 외부의 연통이 차단되게 구성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통기부는, 상기 연통공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상기 커버 부재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커버 부재 결합부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부재 결합부는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커버 부재 결합부는 상기 연통공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도록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 부재 결합부는, 상기 일 방향 및 상기 타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결합 리브; 및 상기 결합 리브의 내부에 함몰 형성되며, 상기 결합 리브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 슬릿(slit)을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결합 슬릿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프레임 결합부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레임 결합부와 상기 커버 부재 결합부는 후크 결합(hook fit)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 부재는, 판 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통기부의 연통공을 덮게 구성되는 개폐 몸체; 상기 개폐 몸체의 연장 방향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커버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돌기; 및 상기 개폐 몸체와 연속되며, 상기 통기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축부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개폐 부재를 향하는 일 면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 돌기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개폐 부재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돌기와 상기 개폐 부재 결합부는 링크 결합(link fit)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 부재 결합부는, 상기 일 방향 및 상기 타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결합 돌기의 일측을 지지하게 구성되는 제1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와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1 연장부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결합 돌기의 타측을 지지하게 구성되는 제2 연장부; 및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 돌기가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결합 공간을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연장부, 상기 제2 연장부 및 상기 결합 공간은, 상기 일 방향 및 상기 타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연장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기부는, 상기 외부 프레임의 상기 외면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수용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연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부재가 전방 측에서 후방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연통공이 개방되고, 상기 커버 부재가 후방 측에서 전방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다른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연통공이 폐쇄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기부는, 상기 외부 프레임의 후방 측으로 치우치게 위치되어, 상기 수용 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유출하게 구성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는 간명한 조작으로 외부와 내부가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는 외부와 내부를 연통하는 구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는 외부와 내부를 연통하는 구성의 작동이 외부에 구비되는 구성과 연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는 연통을 위한 조작 방향이 명확하게 인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는 외관이 미려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두부 보호 장비에 구비되는 통기부 및 커버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두부 보호 장비에 구비되는 통기부, 커버부 및 개폐 부재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도 1의 두부 보호 장비에 구비되는 통기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두부 보호 장비에 구비되는 통기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도 1의 두부 보호 장비에 구비되는 커버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두부 보호 장비에 구비되는 커버부를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1은 도 1의 두부 보호 장비에 구비되는 개폐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의 두부 보호 장비에 구비되는 통기부가 폐쇄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의 두부 보호 장비에 구비되는 통기부가 개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해당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서 이를 대체할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가 있을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일부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상측", "하측", "좌측", "우측", "전방 측" 및 "후방 측"이라는 용어는 도 1에 도시된 좌표계를 참조하여 이해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10)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10)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내부로 유입된 외기가 두부 보호 장비(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두부 보호 장비(10)에는 유입된 외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복수 개의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10)는 내기의 유출을 위해 구비되는 부재가 외측으로 노출되는 면적이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주행 중 돌출된 부분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 저항이 최소화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두부 보호 장비(10)의 착용자가 탑승한 이륜차 등의 주행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10)는 외부 프레임(100), 통기부(200), 커버 부재(300) 및 개폐 부재(400)를 포함한다.
외부 프레임(100)은 두부 보호 장비(10)의 외형을 형성한다. 외부 프레임(100)의 내부에는 공간(후술될 수용 공간(120))이 형성되어, 착용자의 두부(head part)를 수용할 수 있다. 외부 프레임(100)은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착용자의 두부를 보호할 수 있다.
외부 프레임(100)은 경량이면서도 고강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착용자가 느끼는 이물감 또는 중량감을 최소화하면서도, 착용자의 두부를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함이다. 일 실시 예에서, 외부 프레임(100)은 강화 플라스틱 등의 합성 수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외부 프레임(100)은 착용자의 두부를 수용, 보호하고, 주행 중 공기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외부 프레임(100)은 착용자의 두부와 유사하게 구(sphere) 형상이다.
외부 프레임(100)에는 통기부(200)가 구비된다. 통기부(200)는 외부 프레임(100)과 결합되어, 외부 프레임(10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게 구성될 수 있다.
외부 프레임(100)에는 커버 부재(300)가 결합된다. 커버 부재(300)는 통기부(2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통기부(200)와 외부를 연통하거나 연통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프레임(100)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거나 차단될 수 있다.
외부 프레임(100)에는 개폐 부재(400)가 결합된다. 개폐 부재(400)는 회전 가능하게 통기부(200) 및 커버 부재(300)에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개폐 부재(400)는 커버 부재(300)의 이동에 따라 회전되어 통기부(200)와 외부의 연통을 허용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프레임(100)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거나 차단될 수 있다.
즉, 외부 프레임(100)의 내부와 외부의 연통은, 커버 부재(300)의 이동에 연동되는 개폐 부재(400)의 회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외부 프레임(100)은 외면(110) 및 수용 공간(120)을 포함한다.
외면(110)은 외부 프레임(100)의 외측 면을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외부 프레임(100)은 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 외면(110)은 구의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면(110)은 외부 프레임(100)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 공간(120)을 외측에서 둘러싼다. 달리 표현하면, 외면(110)은 수용 공간(120)의 방사상 외측에서 수용 공간(120)의 외주를 따라 연장 형성된다.
외면(110)의 일측에는 통기부(200)가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외면(110)의 상기 일측은 함몰 형성되어, 통기부(200)가 수용,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외면(110)의 후방 측에 통기부(200)가 결합된다.
외면(110)의 상기 일측에는 커버 부재(300)가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커버 부재(300)는 상기 일측에 결합된 통기부(2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외면(110)의 상기 일측에는 개폐 부재(400)가 결합된다. 개폐 부재(400)는 상기 일측에 배치되는 통기부(200) 및 커버 부재(300)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외면(110)의 상기 일측에는 통기부(200)의 연통공(260)과 연통되는 프레임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관통공(미도시)은 연통공(260)의 개수 및 배치 방식에 상응하게 구비되어, 수용 공간(120)과 연통공(260)을 연통하게 구성될 수 있다.
수용 공간(120)은 외부 프레임(1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이다(도 12 내지 도 13 참조). 수용 공간(120)은 착용자의 두부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착용자의 두부를 수용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수용 공간(120)은 외부 프레임(100)의 형상에 상응하게 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용 공간(12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은 개방 형성되어 착용자의 두부 또는 목 부위가 수용될 수 있다. 수용 공간(120)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은 바이저(도면 부호 미부여)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상기 바이저(도면 부호 미부여)는 외부 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수용 공간(120)은 외면(110)에 둘러싸인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수용 공간(120)의 상기 일측 및 상기 타측, 즉 하측 및 전방 측을 제외한 다른 부분은 외면(110)에 둘러싸인다.
수용 공간(120)은 상술한 프레임 관통공(미도시)에 의해 외부와 연통된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10)는 통기부(200)를 포함한다.
통기부(200)는 외부 프레임(100)에 구비되어, 수용 공간(120)과 외부를 연통한다. 또한, 통기부(200)에는 커버 부재(300)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더 나아가, 통기부(200)에는 개폐 부재(4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용 공간(120)과 외부의 연통을 허용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폐 부재(400)의 회전은 커버 부재(300)의 이동과 연동될 수 있다.
따라서, 통기부(200)에 구비되는 다양한 구성은 커버 부재(300)에 의해 덮여, 외부로 임의 노출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외부 프레임(100)의 외면(110)을 따라 유동되는 공기에 인가되는 저항이 최소화되어, 주행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통기부(200)는 외부 프레임(10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통기부(200)는 외면(110)에 결합되어, 외부 프레임(100)의 외측에 위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통기부(200)는 외면(110)의 부분 중 함몰 형성된 상기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에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통기부(200)는 외면(110)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실시 예에서, 통기부(200)는 외면(1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통기부(200)는 커버 부재(300)에 의해 부분적으로 덮일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커버 부재(300)가 전방 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통기부(200)의 후방 측은 외측으로 부분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후술될 바와 같이, 커버 부재(300)가 후방 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통기부(200)의 전방 측은 부분적으로 노출되어 내기가 유출되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통기부(200)는 외기가 수용 공간(120)으로 유입되는 통로로 기능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통기부(200)는 외부 프레임(100)의 전방 측에 구비될 수 있다.
통기부(200)는 개폐 부재(400)에 의해 부분적으로 덮일 수 있다. 즉, 통기부(200)에 형성되는 연통공(260) 및 연통공(260)에 인접한 부분은, 개폐 부재(400)에 따라 덮일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통기부(200)는 통기 함몰부(210), 커버 부재 결합부(220), 회전 지지부(230), 가이드 리브(250) 및 연통공(260)을 포함한다.
통기 함몰부(210)는 통기부(200)의 부분 중 몸체로 기능되는 부분이다. 통기 함몰부(210)는 외면(110)에 함몰 형성되어, 소정의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공간에는 통기부(200)의 다른 구성 요소가 수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통기 함몰부(210)가 공간임을 전제하여 설명한다.
통기 함몰부(210)에는 통기부(200)의 다른 구성이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통기 함몰부(210)에는 커버 부재 결합부(220), 회전 지지부(230), 가이드 리브(250) 및 연통공(260)이 배치된다.
통기 함몰부(210)는 커버 부재(300)에 의해 부분적으로 덮이게 배치된다. 통기 함몰부(210)는 커버 부재(300)보다 큰 면적을 갖게 형성되어, 커버 부재(300)가 치우치게 위치되는 방향의 부분이 덮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커버 부재(300)가 전방 측으로 치우치게 위치되면, 통기 함몰부(210)의 전방 측이 커버 부재(300)에 덮이게 된다. 또한, 커버 부재(300)가 후방 측으로 치우치게 위치되면, 통기 함몰부(210)의 후방 측이 커버 부재(300)에 덮이게 된다.
통기 함몰부(210)는 개폐 부재(400)를 수용한다. 개폐 부재(400)는 통기 함몰부(210)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다. 수용된 개폐 부재(400)는 커버 부재(300)와 결합되며 커버 부재(300)에 덮여, 외부로 임의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통기 함몰부(210)는 통기부(200)의 다른 구성을 수용하고, 커버 부재(300)에 덮이며, 개폐 부재(400)를 수용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통기 함몰부(210)는 주행 방향, 즉 전방 측 모서리의 길이가 그에 반대되는 방향, 즉 후방 측 모서리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다각형상이다.
통기 함몰부(210)는 수용 공간(120)과 연통된다. 구체적으로, 통기 함몰부(210)는 그 내부에 배치되어, 외면(110)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연통공(260)에 의해 수용 공간(120)과 연통된다. 상기 연통은 개폐 부재(400)의 회전에 의해 허용`되거나 차단될 수 있다.
통기 함몰부(210)는 외부와 연통된다. 구체적으로, 커버 부재(300)가 후방 측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개폐 부재(400)가 회전되면, 수용 공간(120)의 내기는 통기 함몰부(210)를 통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통기 함몰부(210)에는 커버 부재 결합부(220)가 배치된다.
커버 부재 결합부(220)는 커버 부재(30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커버 부재 결합부(220)는 커버 부재(300)의 프레임 결합부(330)와 결합된다.
커버 부재 결합부(220)는 통기 함몰부(210)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커버 부재 결합부(220)는 수용 공간(120)의 방사상 외측 방향, 즉 상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커버 부재 결합부(220)는 커버 부재(300)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커버 부재 결합부(220)는 커버 부재(300)의 이동 방향, 즉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커버 부재 결합부(22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커버 부재 결합부(220)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복수 개의 위치에서 커버 부재(30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커버 부재 결합부(220)는 두 개 구비되어, 각각 통기 함몰부(210)의 좌측 및 우측에 치우치게 배치된다.
이때, 도시된 실시 예에서, 두 개의 커버 부재 결합부(220)는 회전 지지부(230), 가이드 리브(250) 및 연통공(26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다. 두 개의 커버 부재 결합부(22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개폐 부재(4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커버 부재 결합부(220)의 개수 및 배치 방식은 커버 부재(300)의 프레임 결합부(330)의 개수 및 배치 방식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커버 부재 결합부(220)는 결합 리브(221) 및 결합 슬릿(slit)(222)을 포함한다.
결합 리브(221)는 커버 부재(300)의 프레임 결합부(330)를 지지한다. 결합 리브(221)는 통기 함몰부(210)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되고, 커버 부재(30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리브(221)는 상측을 향해 돌출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결합 리브(221)는 결합 슬릿(222)에 삽입된 프레임 결합부(330)를 폭 방향,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에서 지지하게 구성된다. 결합 리브(221)는 복수 개의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결합 리브(221)는 통기 함몰부(210)를 기준으로 외측을 향해 치우치게 위치되는 제1 부분 및 통기 함몰부(210)를 기준으로 내측을 향해 치우치게 위치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은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결합 슬릿(222)으로 정의될 수 있다.
결합 슬릿(222)은 프레임 결합부(330)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한다. 커버 부재(300)는 프레임 결합부(330)가 결합 슬릿(222)에 삽입된 상태에서 그 길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결합 슬릿(222)은 결합 리브(221)의 내부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결합 슬릿(222)은 결합 리브(221)의 내부에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슬릿(222)은 결합 리브(221)의 상측 면에서 함몰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 리브(221)가 복수 개의 부분으로 구분되는 실시 예에서, 결합 슬릿(222)은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 사이에 위치된다.
따라서, 결합 슬릿(222)에 수용된 프레임 결합부(330)는 폭 방향, 즉 좌측 및 우측이 결합 리브(221)의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에 의해 지지됨이 이해될 것이다.
결합 슬릿(222)은 결합 리브(221)와 같은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때, 결합 리브(221)는 연장 방향을 따라 그 형상이 변경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리브(221)의 전방 측 부분의 단면적은 결합 리브(221)의 후방 측 부분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결합 리브(221)의 내부에 형성되는 결합 슬릿(222)의 형상 또한 그 연장 방향을 따라 형상이 변경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슬릿(222)의 전방 측 부분의 단면적은 결합 리브(221)의 후방 측 부분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프레임 결합부(330)는 결합 리브(221)의 전방 측을 통해 결합 슬릿(222)에 삽입 결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한 쌍의 커버 부재 결합부(220) 사이에는 회전 지지부(230)가 배치된다.
회전 지지부(230)는 개폐 부재(4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회전 지지부(230)에는 개폐 부재(400)의 회전 축부(43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회전 지지부(230)는 개폐 부재(400)의 회전축(axis)으로 기능될 수 있다.
회전 지지부(230)는 통기 함몰부(210)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회전 지지부(230)는 한 쌍의 커버 부재 결합부(220) 사이에 통기 함몰부(210)의 전방 측에 치우치게 배치된다.
회전 지지부(230)는 회전 축부(43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후술될 바와 같이, 회전 축부(430)는 고리(ring)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 회전 지지부(230)는 회전 축부(430)에 삽입 결합되는 봉(bar)의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실시 예에서, 회전 지지부(230)는 원형의 단면을 갖고, 통기 함몰부(210)의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원통 형상이다.
한 쌍의 커버 부재 결합부(220) 사이에는 가이드 리브(250)가 배치된다.
가이드 리브(250)는 커버 부재(300)의 개폐 부재 결합부(320)를 지지한다. 가이드 리브(250)에 의해, 개폐 부재 결합부(320)는 통기 함몰부(210)에서 요동되지 않고, 기 설정된 방향,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 부재(300) 또한 요동되지 않고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가이드 리브(250)는 한 쌍의 커버 부재 결합부(220) 사이에 위치된다. 가이드 리브(250)는 통기 함몰부(210)의 부분 중 개폐 부재(400)에 의해 덮이는 부분과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이격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개폐 부재 결합부(320)가 이동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가이드 리브(250)는 커버 부재(30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이드 리브(25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연장 방향이 커버 부재 결합부(220)의 연장 방향과 같음이 이해될 것이다.
이때, 가이드 리브(250)의 형상은 그 연장 방향을 따라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이드 리브(250)는 전방 측에서 후방 측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수용 공간(120)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되, 후방 측 단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된다.
가이드 리브(250)의 상기 형상에 의해, 개폐 부재 결합부(320)는 통기 함몰부(210)의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의 요동이 방지될 수 있다.
가이드 리브(25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가이드 리브(250)는 서로 이격되어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각각 개폐 부재 결합부(320)를 지지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이드 리브(250)는 두 개 구비되어, 통기 함몰부(21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치우치게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두 개의 가이드 리브(250)는 개폐 부재(400)에 의해 덮이는 상기 부분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게 배치된다. 또한, 좌측에 위치되는 가이드 리브(250)는 좌측에 위치되는 커버 부재 결합부(220)와 상기 부분 사이에, 우측에 위치되는 가이드 리브(250)는 우측에 위치되는 커버 부재 결합부(220)와 상기 부분 사이에 배치된다.
달리 표현하면, 통기 함몰부(210)의 부분 중 개폐 부재(400)에 덮이는 상기 부분을 중심으로 외측을 향해 가이드 리브(250) 및 커버 부재 결합부(220)가 차례로 배치된다.
가이드 리브(250)의 개수 및 배치 방식은 개폐 부재 결합부(320)의 개수 및 배치 방식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가이드 리브(250) 사이에는 연통공(260)이 형성된다.
연통공(260)은 통기 함몰부(210)가 수용 공간(120)과 연통되는 부분이다. 연통공(260)은 통기 함몰부(210)를 내측에서 둘러싸는 면에 관통 형성되어, 외부 프레임(100)에 관통 형성되는 프레임 개구부(미도시)와 연통된다. 이에 따라, 수용 공간(120)과 통기 함몰부(210)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 공간(120)의 내기가 연통공(260) 및 통기 함몰부(210)를 차례로 통과하여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연통공(260)은 프레임 개구부(미도시)와 연통되어, 통기 함몰부(210)와 수용 공간(120)을 연통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연통공(260)은 원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의 높이를 갖는 원기둥 형상이다.
연통공(260)은 개폐 부재(400)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개폐 부재(400)가 회전되어 연통공(260)이 폐쇄되면, 통기 함몰부(210)와 수용 공간(120)의 연통이 차단된다. 개폐 부재(400)가 회전되어 연통공(260)이 개방되면, 통기 함몰부(210)와 수용 공간(120)이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연통공(260)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연통공(260)은 서로 이격되어 다른 위치에서 각각 통기 함몰부(210) 및 수용 공간(120)을 연통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연통공(260)은 두 개 형성되어, 통기 함몰부(210)의 폭 방향, 즉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연통공(260)의 개수 및 배치 방식은 프레임 개구부(미도시)의 개수 및 배치 방식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10)는 커버 부재(300)를 포함한다.
커버 부재(300)는 이동 가능하게 통기부(200)에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기부(200)는 외부 프레임(100)에 결합되는 바, 커버 부재(300)는 통기부(200)를 매개로 외부 프레임(100)에 결합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 예에서, 커버 부재(300)는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통기부(200)에 결합될 수 있다.
커버 부재(300)는 두부 보호 장비(10)의 착용자의 주행 방향 및 이에 반대되는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커버 부재(300)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통기부(200)에 결합된다.
커버 부재(300)는 통기부(200)를 부분적으로 덮으며 통기부(200)에 결합된다. 즉, 커버 부재(300)가 전방 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커버 부재(300)는 통기부(200)의 전방 측 부분을 덮게 된다. 커버 부재(300)가 후방 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커버 부재(300)는 통기부(200)의 후방 측 부분을 덮게 된다.
이를 위해, 커버 부재(300)는 통기부(200)의 면적, 구체적으로 통기 함몰부(210)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
커버 부재(300)는 개폐 부재(400)와 결합된다. 후술될 바와 같이, 개폐 부재(400)는 통기부(200)의 회전 지지부(2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 지지부(230)를 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커버 부재(300)는 개폐 부재(40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여, 회전되는 개폐 부재(400)의 폭 방향의 단부를 가이드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커버 부재(300)는 커버 몸체(310), 개폐 부재 결합부(320) 및 프레임 결합부(330)를 포함한다.
커버 몸체(310)는 커버 부재(300)의 외형을 형성한다. 커버 몸체(310)는 커버 부재(300)가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이다.
커버 몸체(310)는 통기부(200)를 부분적으로 덮으며 통기부(200)에 결합된다. 상기 결합은 개폐 부재 결합부(320) 및 프레임 결합부(330)에 의해 달성된다.
커버 몸체(310)는 외부 프레임(100)의 외면(11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외면(110)은 구의 외면, 즉 곡면 형상인 바, 커버 몸체(310) 또한 그 외측 면이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 몸체(310)는 통기부(200)의 통기 함몰부(21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커버 몸체(310)는 전방 측 모서리의 길이가 후방 측 모서리의 길이보다 긴 다각형의 형상이다.
상기 형상에 의해, 외부 프레임(1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커버 부재(300)의 부분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행시 커버 부재(300)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 저항이 최소화되어, 주행 성능이 극대화될 수 있다.
커버 몸체(310)의 면 중 통기부(200)를 향하는 일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면(또는 내면)에는 개폐 부재 결합부(320) 및 프레임 결합부(330)가 위치된다.
개폐 부재 결합부(320)는 커버 부재(300)가 개폐 부재(40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개폐 부재 결합부(320)는 개폐 부재(40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에 따라, 커버 부재(300) 및 개폐 부재(400) 중 어느 하나의 이동은 다른 하나의 이동과 연동될 수 있다.
개폐 부재 결합부(320)는 커버 몸체(310)의 상기 하측 면에서 통기부(200)를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개폐 부재 결합부(320)는 커버 부재(300)의 이동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개폐 부재 결합부(320)는 통기 함몰부(210)에 수용된다. 구체적으로, 개폐 부재 결합부(320)는 개폐 부재(400)와 가이드 리브(25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다. 상기 공간에 수용된 개폐 부재 결합부(320)의 외측은 가이드 리브(25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공간에 수용된 개폐 부재 결합부(320)의 내측은 개폐 부재(400)를 지지한다.
개폐 부재 결합부(32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개폐 부재 결합부(320)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각각 통기부(200) 및 개폐 부재(400)와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개폐 부재 결합부(320)는 두 개 구비되어, 개폐 부재(40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된다.
이때, 좌측에 위치되는 개폐 부재 결합부(320)는 개폐 부재(400)의 좌측 단부 및 좌측에 위치되는 가이드 리브(250) 사이에 위치된다. 또한, 우측에 위치되는 개폐 부재 결합부(320)는 개폐 부재(400)의 우측 단부 및 우측에 위치되는 가이드 리브(250) 사이에 위치된다.
즉, 복수 개의 개폐 부재 결합부(320)는 개폐 부재(40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개폐 부재 결합부(320)는 제1 연장부(321), 제2 연장부(322), 결합 공간(323) 및 지지 리브(324)를 포함한다.
제1 연장부(321)는 개폐 부재 결합부(320)에 결합된 개폐 부재(400)의 결합 돌기(420)의 일측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연장부(321)는 결합 돌기(420)의 하측을 지지한다.
제1 연장부(321)는 지지 리브(324)의 면 중 개폐 부재(400)를 향하는 일면, 즉 내측 면에 형성된다. 제1 연장부(321)는 지지 리브(324)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지지 리브(324)의 연장 길이보다 짧은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제1 연장부(321)는 커버 몸체(310)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즉, 커버 부재(300)의 전후 방향의 이동에 의해 개폐 부재(400)가 회전될 수 있다. 제1 연장부(321)가 경사지게 연장됨에 따라, 커버 부재(300)의 전후 방향의 이동은 회전 축부(430)를 중심으로 한 개폐 부재(400)의 회전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1 연장부(321)와 이격되어, 제2 연장부(322)가 형성된다.
제2 연장부(322)는 개폐 부재 결합부(320)에 결합된 개폐 부재(400)의 결합 돌기(420)의 타측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연장부(322)는 결합 돌기(420)의 상측을 지지한다.
제2 연장부(322)는 지지 리브(324)의 면 중 개폐 부재(400)를 향하는 상기 일면, 즉 내측 면에 형성된다. 제2 연장부(322)는 지지 리브(324)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지지 리브(324)의 연장 길이보다 짧은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제2 연장부(322)는 커버 몸체(310)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즉, 커버 부재(300)의 전후 방향의 이동에 의해 개폐 부재(400)가 회전될 수 있다. 제2 연장부(322)가 경사지게 연장됨에 따라, 커버 부재(300)의 전후 방향의 이동은 회전 축부(430)를 중심으로 한 개폐 부재(400)의 회전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때, 제2 연장부(322)는 제1 연장부(321)와 같은 경사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2 연장부(322)는 제1 연장부(321)보다 긴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제1 연장부(321)와 제2 연장부(322)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공간은 결합 공간(323)으로 정의될 수 있다.
결합 공간(323)은 결합 돌기(420)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한다. 결합 돌기(420)는 결합 공간(323)에 수용된 상태에서 결합 공간(323)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결합 공간(323)은 제1 연장부(321) 및 제2 연장부(322) 사이에 위치된다. 결합 공간(323)은 제1 연장부(321) 또는 제2 연장부(322)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연장부(321), 제2 연장부(322) 및 결합 공간(323)은 커버 부재(300)가 이동되는 방향, 전후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연장부(321), 제2 연장부(322) 및 결합 공간(323)은 후방의 하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결합 공간(323)에 수용된 결합 돌기(420) 또한 통기부(200)에 대해 경사지게 이동되어, 커버 부재(300)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이 개폐 부재(400)의 회전으로 전환될 수 있다.
지지 리브(324)는 개폐 부재 결합부(320)의 몸체를 형성한다. 지지 리브(324)는 커버 몸체(310)의 면 중 통기부(200)를 향하는 상기 타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면에서 통기부(200)를 향해 돌출된다. 지지 리브(324)는 커버 부재(300)의 이동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지지 리브(324)는 가이드 리브(250)와 개폐 부재(400) 사이에 위치된다. 지지 리브(324)는 가이드 리브(250)와 개폐 부재(40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다. 지지 리브(324)의 외측은 가이드 리브(250)에 의해 지지된다. 지지 리브(324)의 내측에는 개폐 부재(400)가 위치된다.
지지 리브(324)는 상기 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개폐 부재(40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리브(324)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하 방향의 높이를 갖는 다각 판형으로 구비된다.
개폐 부재 결합부(320)의 외측에는 프레임 결합부(330)가 위치된다.
프레임 결합부(330)는 커버 부재(300)가 통기부(200)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기부(200)는 외부 프레임(100)에 결합되는 바, 프레임 결합부(330)는 통기부(200)를 매개로 외부 프레임(100)에 결합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프레임 결합부(330)는 통기부(2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프레임 결합부(330)는 커버 부재(300)의 이동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커버 부재 결합부(220)에 결합된다.
프레임 결합부(330)는 커버 몸체(310)의 상기 하측 면에서 통기부(200)를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프레임 결합부(330)는 커버 부재(300)의 이동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프레임 결합부(330)는 통기 함몰부(210)에 수용된다. 구체적으로, 프레임 결합부(330)는 통기 함몰부(210)에 배치되는 커버 부재 결합부(22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프레임 결합부(330)는 결합 슬릿(222)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결합 리브(221)에 의해 그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이 지지될 수 있다.
프레임 결합부(33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프레임 결합부(330)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복수 개의 커버 부재 결합부(220)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프레임 결합부(330)는 두 개 구비되어, 좌측에 위치되는 커버 부재 결합부(220) 및 우측에 위치되는 커버 부재 결합부(220)에 각각 결합된다.
프레임 결합부(330)는 개폐 부재 결합부(32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복수 개의 프레임 결합부(330)는 복수 개의 개폐 부재 결합부(32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프레임 결합부(330)는 결합 연장부(331) 및 커버 돌기(332)를 포함한다.
결합 연장부(331)는 프레임 결합부(330)의 몸체를 형성한다. 결합 연장부(331)는 커버 몸체(310)의 상기 하측 면과 연속된다. 결합 연장부(331)는 통기부(200)를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결합 연장부(331)는 커버 부재(300)의 이동 방향, 즉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결합 연장부(331)는 결합 슬릿(222)에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즉, 결합 연장부(331)의 돌출 방향의 일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 및 이에 인접한 부분은 결합 슬릿(222)에 수용되어, 결합 리브(221)에 의해 그 폭 방향, 즉 좌측 및 우측이 지지된다.
결합 연장부(331)의 연장 방향의 단부 중 통기부(200)를 향하는 일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에는 커버 돌기(332)가 구비된다.
커버 돌기(332)는 프레임 결합부(330)가 커버 부재 결합부(220)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이다. 커버 돌기(332)는 결합 연장부(331)의 상기 일 단부, 즉 하측 단부와 연속된다.
커버 돌기(332)는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에 위치되는 프레임 결합부(330)의 커버 돌기(332)는 좌측을 향해, 우측에 위치되는 프레임 결합부(330)의 커버 돌기(332)는 우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커버 돌기(332)는 결합 슬릿(222)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다. 수용된 커버 돌기(332)는 결합 리브(22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커버 돌기(332)의 각 단부는 테이퍼(taper)지게 형성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커버 돌기(332)는 그 단부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감소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커버 돌기(332)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 제1 부분과 연속되며 경사지게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 및 제2 부분과 연속되며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3 부분을 포함한다. 즉 상기 실시 예에서, 커버 돌기(332)의 단면은 직각삼각형의 형상이다.
따라서, 커버 돌기(332)와 커버 부재 결합부(220)는 스냅 결합(snap fit) 또는 후크 결합(hook fit)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커버 돌기(332)는 소정의 크기 이상의 외력이 인가되지 않는 한, 결합 슬릿(222)에서 임의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10)는 개폐 부재(400)를 포함한다.
개폐 부재(400)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통기부(200)의 연통공(260)을 개방하거나 폐쇄하게 구성된다. 개폐 부재(400)의 회전에 따라, 수용 공간(120)과 통기 함몰부(210) 및 외부와의 연통이 허용되거나 차단될 수 있다.
개폐 부재(400)는 통기부(200)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다. 구체적으로, 개폐 부재(400)는 통기 함몰부(210)에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다. 개폐 부재(400)는 회전 지지부(2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개폐 부재(400)는 통기 함몰부(210)의 일부를 덮으며 통기 함몰부(210)에 수용될 수 있다. 이때, 개폐 부재(400)에 의해 덮이는 통기 함몰부(210)의 상기 일부는 연통공(260)이 배치되는 부분임이 이해될 것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개폐 부재(400)는 복수 개의 커버 부재 결합부(220) 또는 복수 개의 가이드 리브(250) 사이에 위치된다.
개폐 부재(400)는 커버 부재(3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커버 부재(300)의 이동은 개폐 부재(400)의 회전으로 전환될 수 있다. 통기 함몰부(210)에 수용된 개폐 부재(400)는 커버 부재(300)에 덮이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개폐 부재(400)는 외부로 임의 노출되지 않게 된다.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개폐 부재(400)는 개폐 몸체(410), 결합 돌기(420), 회전 축부(430), 개폐 함몰부(440) 및 개폐 보스부(450)를 포함한다.
개폐 몸체(410)는 개폐 부재(400)의 몸체를 형성한다. 개폐 몸체(410)는 회전 가능하게 통기부(200)에 결합되어, 연통공(260)을 개방하거나 폐쇄한다.
개폐 몸체(410)는 통기부(20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개폐 몸체(410)는 회전 축부(430)에 의해 통기부(200)의 회전 지지부(2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개폐 몸체(410)는 커버 부재(30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개폐 몸체(410)는 결합 돌기(420)에 의해 커버 부재(3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개폐 몸체(410)는 회전되어 연통공(260)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개폐 몸체(410)는 좌우 방향(즉, 폭 방향)의 길이가 전후 방향(즉, 길이 방향)의 길이보다 길고, 상하 방향의 두께를 갖는 사각의 판형으로 형성된다.
개폐 몸체(410)의 폭 방향의 각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에는 결합 돌기(420)가 구비된다. 개폐 몸체(410)의 길이 방향의 일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단부에는 회전 축부(430)가 위치된다. 개폐 몸체(410)의 두께 방향의 면 중 통기부(200)를 향하는 일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면에는 개폐 함몰부(440) 및 개폐 보스부(450)가 형성된다.
결합 돌기(420)는 개폐 부재(400)가 커버 부재(3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이다. 결합 돌기(420)는 개폐 부재 결합부(320)의 결합 공간(323)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다. 결합 공간(323)에 수용된 결합 돌기(420)는 제1 연장부(321) 및 제2 연장부(322)에 의해 상측 및 하측이 각각 지지된다.
결합 돌기(420)는 결합 공간(323)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 공간(323)을 형성하는 제1 연장부(321) 및 제2 연장부(322)는 각각 통기 함몰부(210)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된다. 이에 따라, 결합 돌기(420) 역시 통기 함몰부(210)에 대해 경사지게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 부재(300)의 전후 방향의 이동은 개폐 부재(400)의 시게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의 회전으로 전환될 수 있다. 즉, 결합 돌기(420)와 개폐 부재 결합부(320)는 링크 결합(link fit)될 수 있다.
결합 돌기(420)는 개폐 몸체(410)의 폭 방향의 각 단부, 즉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결합 돌기(420)의 돌출 길이는 제1 연장부(321) 및 제2 연장부(322)의 돌출 길이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 돌기(420)는 결합 공간(323)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결합 공간(323)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돌기(420)는 적어도 하나의 곡면을 갖는 입체기둥 형상이다.
결합 돌기(42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결합 돌기(420)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복수 개의 개폐 부재 결합부(320)와 각각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돌기(420)는 두 개 구비되어, 개폐 몸체(41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위치된다.
회전 축부(430)는 개폐 부재(400)가 통기부(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이다. 회전 축부(430)는 회전 지지부(2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 축부(430)는 개폐 몸체(410)의 길이 방향의 일 단부, 즉 전방 측 단부에 위치된다. 달리 표현하면, 회전 축부(430)는 회전 지지부(230)를 향하는 개폐 몸체(410)의 일 단부에 위치된다.
회전 축부(430)는 회전 지지부(23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회전 축부(430)는 내부에 원통 형상의 공간이 형성된 갈고리(hook) 형상이다. 이때, 상기 공간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은 개방 형성되어 회전 지지부(230)가 상기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공간의 크기, 예를 들면 단면의 직경은 회전 지지부(230)의 단면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 지지부(230)와 회전 축부(430)는 끼움 결합되어, 소정의 크기의 외력이 인가되지 않는 한 임의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
개폐 함몰부(440)는 개폐 부재(400)의 회전에 의해 연통공(260)의 외주를 둘러싸게 형성된다. 개폐 함몰부(440)에 의해, 연통공(260)의 밀폐가 신뢰성 있게 수행될 수 있다.
개폐 함몰부(440)는 개폐 몸체(410)의 면 중 통기부(200)를 향하는 일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면에 형성된다. 개폐 함몰부(440)는 개폐 몸체(410)의 상기 일 면, 즉 하측 면에 함몰 형성된다.
개폐 함몰부(440)는 연통공(26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개폐 함몰부(440)는 환형(ring shape)으로 형성된다.
개폐 함몰부(44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개폐 함몰부(440)는 서로 이격되어 다른 위치에서, 복수 개의 연통공(260)의 외주를 각각 둘러싸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개폐 함몰부(440)는 두 개 구비되어, 개폐 몸체(410)의 폭 방향, 즉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개폐 함몰부(440)의 형상, 개수 및 배치 방식은 연통공(260)의 형상, 개수 및 배치 방식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환형으로 형성되는 개폐 함몰부(440)의 내부, 즉 방사상 내측에 형성되는 부분은 개폐 보스(boss)부(450)로 정의될 수 있다.
개폐 보스부(450)는 개폐 부재(400)의 회전에 의해 연통공(260)에 삽입되어 연통공(260)을 밀폐한다.
개폐 보스부(450)는 개폐 몸체(410)의 상기 일 면, 즉 하측 면에 형성된다. 개폐 보스부(450)의 방사상 외측에는 개폐 함몰부(440)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개폐 보스부(450)는 개폐 함몰부(440)에 비해 상대적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게 된다.
개폐 보스부(450)는 연통공(260) 또는 개폐 함몰부(44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개폐 보스부(450)는 원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의 두께를 갖는 원판 형상이다.
개폐 보스부(45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개폐 보스부(450)는 서로 이격되어 다른 위치에서, 복수 개의 연통공(260)에 각각 삽입되어 이들을 밀폐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개폐 보스부(450)는 두 개 구비되어, 개폐 몸체(410)의 폭 방향, 즉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개폐 보스부(450)의 형상, 개수 및 배치 방식은 연통공(260) 또는 개폐 함몰부(440)의 형상, 개수 및 배치 방식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하, 도 12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10)에 구비되는 커버 부재(300) 및 개폐 부재(400)의 작동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커버 부재(300) 및 개폐 부재(400)가 이동되어 연통공(260)이 개방된 상태가 도시된다. 상기 상태에서, 연통공(260)은 수용 공간(120) 및 통기 함몰부(210)를 연통한다. 이때, 커버 부재(300)의 이동에 의해 통기 함몰부(210)의 전방 측이 노출되며 외부와 연통된다.
이에 따라, 도시된 상태에서, 수용 공간(120)의 내기는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상기 상태가 형성되기 위한 커버 부재(300) 및 개폐 부재(400)의 이동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통기부(2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부재(300)가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으로 이동된다. 커버 부재(300)는 프레임 결합부(330) 및 가이드 리브(250)의 결합에 의해 그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커버 부재(300)가 후방 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커버 부재(3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개폐 부재(400)가 이동된다. 이때, 개폐 부재(400)의 결합 돌기(420)는 결합 공간(323)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바, 결합 돌기(420)는 결합 공간(323)을 둘러싸는 제1 연장부(321) 및 제2 연장부(322)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개폐 부재(400)는 회전 축부(430)에 의해 통기부(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개폐 부재(40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은 회전 축부(430)와 회전 지지부(230)의 결합에 의해 구속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연장부(321) 및 제2 연장부(322)는 후방의 하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다. 따라서, 커버 부재(300)가 후방 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결합 공간(323)에 삽입된 결합 돌기(420)는 전방의 상측을 향해 경사지게 이동된다. 즉, 개폐 부재(400)는 회전 축부(430)를 중심으로 상측을 향해 회전된다.
결과적으로, 도시된 실시 예에서, 커버 부재(300)가 후방 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개폐 부재(400)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연통공(260)이 개방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커버 부재(300) 및 개폐 부재(400)가 이동되어 연통공(260)이 폐쇄된 상태가 도시된다. 상기 상태에서, 연통공(260)은 개폐 부재(400)에 의해 폐쇄되어 수용 공간(120)과 통기 함몰부(210)의 연통이 차단된다. 이때, 커버 부재(300)의 이동에 의해 통기 함몰부(210)의 후방 측이 노출된다.
즉, 통기 함몰부(210)의 전방 측은 커버 부재(300)에 덮이게 되어, 통기 함몰부(210)와 외부의 연통이 차단된다. 따라서, 수용 공간(120)의 내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외기 또한 수용 공간(120)으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상기 상태가 형성되기 위한 커버 부재(300) 및 개폐 부재(400)의 이동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통기부(2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부재(300)가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으로 이동된다. 커버 부재(300)는 프레임 결합부(330) 및 가이드 리브(250)의 결합에 의해 그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커버 부재(300)가 전방 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커버 부재(3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개폐 부재(400)가 이동된다. 이때, 개폐 부재(400)의 결합 돌기(420)는 결합 공간(323)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바, 결합 돌기(420)는 결합 공간(323)을 둘러싸는 제1 연장부(321) 및 제2 연장부(322)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개폐 부재(400)는 회전 축부(430)에 의해 통기부(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개폐 부재(40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은 회전 축부(430)와 회전 지지부(230)의 결합에 의해 구속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연장부(321) 및 제2 연장부(322)는 후방의 하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다. 따라서, 커버 부재(300)가 전방 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결합 공간(323)에 삽입된 결합 돌기(420)는 후방의 하측을 향해 경사지게 이동된다. 즉, 개폐 부재(400)는 회전 축부(430)를 중심으로 하측을 향해 회전된다.
결과적으로, 도시된 실시 예에서, 커버 부재(300)가 전방 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개폐 부재(40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연통공(260)이 폐쇄될 수 있다.
이때, 개폐 부재(400)에 구비되는 개폐 보스부(450)가 연통공(260)에 삽입되고, 연통공(260)의 외주가 개폐 함몰부(440)에 감싸져 연통공(260)의 밀폐가 더욱 신뢰성 있게 수행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10)는 수용 공간(120)과 외부를 연통하는 통기부(200)를 포함한다. 통기부(200)에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연통공(260)을 개방하거나 폐쇄하게 구성되는 개폐 부재(400)가 구비된다. 개폐 부재(400)는 커버 부재(3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커버 부재(300)는 통기부(200) 및 통기부(200)에 수용된 개폐 부재(400)를 덮으며 통기부(200)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커버 부재(300)의 이동만으로 개폐 부재(400)가 회전되어 연통공(260)이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커버 부재(300)는 두부 보호 장비(10)에 구비되는, 연통을 위한 다른 부재와 같은 방향으로 이동되어 수용 공간(120)과 외부의 연통을 허용하거나 차단하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간명한 조작만으로도 수용 공간(120)과 외부가 연통되어 수용 공간(120)의 내기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300)가 외기의 유입을 위한 상기 다른 부재와 같은 방향으로 조작되어 수용 공간(120)과 외부의 연통이 허용되거나 차단되는 바, 착용자의 혼동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커버 부재(300)는 통기부(200) 및 통기부(200)에 결합되는 개폐 부재(400)를 덮으며 통기부(200)에 결합된다. 커버 부재(300)가 외측으로 노출되는 변은 외부 프레임(100)의 외면(110)과 유사한 형상을 갖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통기부(200), 커버 부재(300) 및 개폐 부재(400)가 외부 프레임(1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면적이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통기부(200), 커버 부재(300) 및 개폐 부재(400)가 구비됨에 따라 발생되는 공기 저항이 최소화되어, 주행 성능의 저하 역시 최소화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두부 보호 장비(10)의 외측은 전체적으로 통일성 있게 형성되어, 외관이 미려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두부 보호 장비 100: 외부 프레임
110: 외면 120: 수용 공간
200: 통기부 210: 통기 함몰부
220: 커버 부재 결합부 221: 결합 리브
222: 결합 슬릿(slit) 230: 회전 지지부
250: 가이드 리브 260: 연통공
300: 커버 부재 310: 커버 몸체
320: 개폐 부재 결합부 321: 제1 연장부
322: 제2 연장부 323: 결합 공간
324: 지지 리브 330: 프레임 결합부
331: 결합 연장부 332: 커버 돌기
400: 개폐 부재 410: 개폐 몸체
420: 결합 돌기 430: 회전 축부
440: 개폐 함몰부 450: 개폐 보스부

Claims (12)

  1.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외부 프레임;
    상기 외부 프레임의 외면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수용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연통공을 포함하는 통기부;
    상기 연통공을 폐쇄하거나 개방하도록 상기 통기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수용 공간과 외부의 연통을 허용하거나 차단하게 구성되는 개폐 부재; 및
    상기 통기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개폐 부재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폐 부재를 회전시키게 구성되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부재가 일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 상기 개폐 부재가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연통공이 개방되어 상기 수용 공간과 외부가 연통되고,
    상기 커버 부재가 타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 상기 개폐 부재가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 중 다른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연통공이 폐쇄되어 상기 수용 공간과 외부의 연통이 차단되게 구성되는,
    두부 보호 장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는,
    상기 연통공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상기 커버 부재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커버 부재 결합부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 결합부는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커버 부재 결합부는 상기 연통공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도록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두부 보호 장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 결합부는,
    상기 일 방향 및 상기 타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결합 리브; 및
    상기 결합 리브의 내부에 함몰 형성되며, 상기 결합 리브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 슬릿(slit)을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결합 슬릿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프레임 결합부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결합부와 상기 커버 부재 결합부는 후크 결합(hook fit)되는,
    두부 보호 장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는,
    판 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통기부의 연통공을 덮게 구성되는 개폐 몸체;
    상기 개폐 몸체의 연장 방향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커버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돌기; 및
    상기 개폐 몸체와 연속되며, 상기 통기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축부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개폐 부재를 향하는 일 면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 돌기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개폐 부재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돌기와 상기 개폐 부재 결합부는 링크 결합(link fit)되는,
    두부 보호 장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 결합부는,
    상기 일 방향 및 상기 타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결합 돌기의 일측을 지지하게 구성되는 제1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와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1 연장부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결합 돌기의 타측을 지지하게 구성되는 제2 연장부; 및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 돌기가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결합 공간을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 상기 제2 연장부 및 상기 결합 공간은, 상기 일 방향 및 상기 타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연장되는,
    두부 보호 장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는,
    상기 외부 프레임의 상기 외면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수용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연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부재가 전방 측에서 후방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연통공이 개방되고,
    상기 커버 부재가 후방 측에서 전방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다른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연통공이 폐쇄되는,
    두부 보호 장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는,
    상기 외부 프레임의 후방 측으로 치우치게 위치되어, 상기 수용 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유출하게 구성되는,
    두부 보호 장비.
KR1020220054712A 2022-05-03 2022-05-03 두부 보호 장비 KR102627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712A KR102627599B1 (ko) 2022-05-03 2022-05-03 두부 보호 장비
PCT/KR2023/004287 WO2023214691A1 (ko) 2022-05-03 2023-03-30 두부 보호 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712A KR102627599B1 (ko) 2022-05-03 2022-05-03 두부 보호 장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5181A true KR20230155181A (ko) 2023-11-10
KR102627599B1 KR102627599B1 (ko) 2024-01-23

Family

ID=88646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4712A KR102627599B1 (ko) 2022-05-03 2022-05-03 두부 보호 장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27599B1 (ko)
WO (1) WO2023214691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3190U (ko) 2010-10-29 2012-05-09 구본엽 통풍이 가능한 헬멧
KR20200052179A (ko) 2018-11-06 2020-05-14 주식회사 창의산업 통풍제어 기능을 갖는 오토바이 헬멧
KR102319167B1 (ko) * 2021-03-26 2021-10-29 국방과학연구소 정화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95121B2 (en) * 2008-10-16 2014-04-15 HaberVision LLC Actively ventilated helmet systems and methods
JP6149149B1 (ja) * 2016-12-22 2017-06-14 有限会社伊藤組 吸排気機能付ヘルメット
KR102211703B1 (ko) * 2019-07-31 2021-02-02 장용호 에어필터가 구비된 미세먼지방지 공기압 에어헬멧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3190U (ko) 2010-10-29 2012-05-09 구본엽 통풍이 가능한 헬멧
KR20200052179A (ko) 2018-11-06 2020-05-14 주식회사 창의산업 통풍제어 기능을 갖는 오토바이 헬멧
KR102319167B1 (ko) * 2021-03-26 2021-10-29 국방과학연구소 정화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14691A1 (ko) 2023-11-09
KR102627599B1 (ko) 2024-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12843A (en) Helmet
EP1153551B1 (en) Helmet
US4054953A (en) Crash helmet
EP0474941B1 (en) Helmet with improved ventilation
US9808042B2 (en) Batting helmet having localized impact protection
US5086520A (en) Ventilating device for helmet
KR100871285B1 (ko) 헬멧
US5388277A (en) Air intake device in helmet
EP0474942B1 (en) Helmet
JP3850505B2 (ja) 齧歯類小動物用観賞飼育容器の出入口用口縁材
JP3799118B2 (ja) 齧歯類小動物用観賞飼育容器
KR102627599B1 (ko) 두부 보호 장비
US5388278A (en) Air intake device in helmet
KR102571406B1 (ko) 두부 보호 장비
JPH0641807A (ja) ヘルメットの通風構造
JP2004051064A (ja) レジスタ
KR20200052179A (ko) 통풍제어 기능을 갖는 오토바이 헬멧
JP2839640B2 (ja) ヘルメットの空気量調整装置
KR102604970B1 (ko) 두부 보호 장비
CN112006371B (zh) 头盔和索环
JPH0441138Y2 (ko)
EP3854246B1 (en) Protective helmet
KR100317816B1 (ko) 통풍장치가 구성된 헬멧
JP6417069B1 (ja) ヘルメット
CN212395196U (zh) 具有通气装置的面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