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2651A -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 - Google Patents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2651A
KR20230152651A KR1020237018252A KR20237018252A KR20230152651A KR 20230152651 A KR20230152651 A KR 20230152651A KR 1020237018252 A KR1020237018252 A KR 1020237018252A KR 20237018252 A KR20237018252 A KR 20237018252A KR 20230152651 A KR20230152651 A KR 20230152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side flap
width direction
leg circumference
wa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8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헤이 아오치
Original Assignee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30152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265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22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 A61F13/5633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open type diap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1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waist region
    • A61F13/4901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waist region the elastic means being elastic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being located at the crotch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22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 A61F13/5633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open type diaper
    • A61F13/5644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open type diaper having more than one pair of fasteners

Abstract

[과제] 연결 테이프를 점선을 통해 상하 한 쌍 구비한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점선의 개시점을 인식하기 쉽게 만든다.
[해결 수단] 상기 과제는, 등측 부분(B)의 양 측부에 폭 방향(WD)으로 연장된 연결 테이프(5)의 측연 중, 웨이스트 측 플랩(51)의 연결부(5c)와 다리 둘레 측 플랩(52)의 연결부(5c)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전후 방향(LD)으로 3등분하여, 웨이스트 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제1 테두리(21), 다리 주위 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제2 테두리(22), 그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제3 테두리(23)라 하면, 제3 테두리(23)의 적어도 일부가 제1 테두리(21) 및 제2 테두리(22)보다 기단 측으로 오목한 오목부(11)를 갖고 있으며, 사용자가 오목부(11)를 알아차림으로써, 오목부(11)로부터 기단 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점선(10)을 인식하여, 장착 시에 점선(10)을 떼어냄으로써 해결된다.

Description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
본 발명은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는 전후 방향의 중앙으로부터 전측으로 연장되는 배측 부분과, 후측으로 연장되는 등측 부분을 갖고, 등측 부분의 양 측부로부터 돌출되는 연결용 돌출부를 가지며, 신체에 장착 시, 연결용 돌출부를 허리 양측으로부터 배측 외면으로 돌려서 배측 외면에 연결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이러한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는 영유아용으로서 사용되는 것 외에, 간호 용도(성인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웨이스트 둘레 및 다리 둘레가 느슨해지기 쉽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종래, 등측 부분의 각 측부에서 웨이스트 측 단부 및 다리 둘레 측 단부에 각각 연결용 돌출부를 마련하고, 웨이스트 측 연결용 돌출부와, 다리 둘레 측 연결용 돌출부를 교차시켜, 웨이스트 측 연결용 돌출부를 비스듬히 하향으로 잡아당기면서 연결시킴으로써 웨이스트 둘레를 단단히 조임과 함께, 다리 둘레 측 연결용 돌출부를 비스듬히 상향으로 잡아당기면서 연결시킴으로써 다리 둘레를 단단히 조이는, 이른바 교차 고정이 추천되고 있다.
동일한 장착 형태를 가능하게 만드는 것으로서, 점선에 의해 연결 패널의 선단 측을 상하 2단으로 분할 가능하게 만들고, 사용자가 점선을 분리하여 상하 한 쌍의 연결용 돌출부를 형성하는 것도 제안되고 있다(특허문헌 1 참조).
또한, 일체적인 연결 패널의 선단 측이 양 갈래로 나뉘어져, 쉽게 박리 가능한 손잡부를 마련한, 상하 한 쌍의 연결용 돌출부가 형성된 양 갈래 구조인 것도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2 참조). 이상의 해결 수법은 연결용 돌출부를 상하 한 쌍 마련하는 점에서 공통된 것이다.
그러나, 연결 패널 선단 측을 상하 2단으로 분할하는 점선은 잘 보이지 않는 것이므로, 익숙하지 않은 장착자가 사용할 때, 점선으로 분할하지 않고 연결 패널을 일체로서 배측 외면에 연결해버려, 교차 고정을 실행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교차 고정을 실행하지 않고 장착한 경우, 피트성이 떨어져 새는 일이 발생하거나, 불쾌감을 느낄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다.
일본 특허공보 제6087081호 일본 특허공보 제6440471호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 과제는 사용자가 연결 테이프에 존재하는 점선을 알아차리기 쉽게 만드는 것 등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한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는 이하와 같다.
<제1 양태>
전후 방향의 중앙을 포함한 고간부와, 전후 방향의 중앙으로부터 전측 및 후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나오는 배측 부분 및 등측 부분을 가지며,
등측 부분의 각 측부에,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나온 연결 테이프를 가지며,
상기 연결 테이프는 웨이스트 측 플랩 및 다리 둘레 측 플랩을 가지며,
상기 웨이스트 측 플랩 및 상기 다리 둘레 측 플랩은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점선을 통해 서로 일체화된 기단 측 부분과, 서로 전후 방향으로 이간된 선단 측 부분을 가지며,
상기 웨이스트 측 플랩의 선단 측 부분 및 상기 다리 둘레 측 플랩의 선단 측 부분에, 배측 부분과 탈착이 자유롭게 연결되는 훅재 또는 점착제층을 갖는 연결부가 각각 마련된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연결 테이프의 측연 중, 상기 웨이스트 측 플랩의 상기 연결부와 상기 다리 둘레 측 플랩의 상기 연결부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웨이스트 측에 위치하는 제1 테두리, 다리 둘레 측에 위치하는 제2 테두리, 그리고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제3 테두리로 전후 방향으로 3등분하였을 때, 상기 제3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1 테두리 및 상기 제2 테두리보다 기단 측으로 오목한 오목부를 갖고,
상기 오목부에서 기단 측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상기 점선의 선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
(작용 효과)
본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의 연결 테이프는, 웨이스트 측 플랩의 연결부와 다리 둘레 측 플랩의 연결부 사이의 측연에 국소적 오목부가 존재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이 오목부를 알아차리기 쉽고, 그 오목부 끝으로 연속되는 폭 방향의 점선도 인식하기 쉽다. 또한, 오목부에서 기단 측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점선의 선단을 가지면, 오목부를 개시점으로 삼아 점선을 떼어내려 하였을 때에, 점선을 분리하는 힘이 오목부에 모이기 쉬워, 떼어내기를 쉽게 개시할 수 있다.
<제2 양태>
상기 연결 테이프는, 상기 연결부와 상기 오목부 사이를 지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는 선에서, 상기 접는 선보다 선단 측 부분이 상기 접는 선보다 기단 측 부분 위로 되접힘과 함께, 상기 연결부를 통해 접합되어 있는,
제1 양태의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
(작용 효과)
제품의 콤팩트화 등의 이유로, 종래부터 연결 테이프를 접는 것은 알려져 있다. 본 양태는 이 접는 선을 연결부와 오목부 사이를 지나도록 배치한 점에 특징을 갖는다. 이로써, 연결 테이프가 접힌 상태에서는, 오목부의 웨이스트 측 및 다리 둘레 측의 대부분이 전후 방향을 따라 직선이 되는데 비하여, 그 사이에 오목부가 존재하기 때문에, 특히 오목부를 알아차리기 쉬운 것이 된다. 또한, 연결 테이프가 접힌 상태에서 오목부 및 점선을 알아차리기 쉽다는 것은, 연결 테이프를 접은 상태인 채로 점선으로 떼어내는 것으로도 이어져, 예를 들면, 연결부가 훅재일 때에는 훅재에 피부를 닿지 않고 점선을 분리 가능하게 되어, 훅재에 의해 피부 표면을 잘 상처내지 않는다는 이점도 있다.
<제3 양태>
상기 점선의 선단에서 상기 오목부와 폭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20도∼50도인,
제1 또는 제2 양태의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
(작용 효과)
떼어내는 개시점인 점선의 선단에서, 오목부가 폭 방향에 대해서 예각으로, 구체적으로는 20도∼50도로 형성되어 있으면, 점선을 분리하는 힘이 더욱 점선의 선단에 집중하기 쉬워져, 떼어내기를 쉽게 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도」는 오목부가 곡선형을 이룰 경우에는, 점선의 선단에서 오목부의 접선 방향과 폭 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의미한다.
<제4 양태>
상기 연결 테이프는, 그 전후 방향의 중앙을 지나 폭 방향을 따르는 가상선에 대해서 선 대칭을 이루고,
상기 웨이스트 측 플랩 및 상기 다리 둘레 측 플랩 각각은, 각각의 전후 방향의 중앙을 지나 폭 방향을 따르는 가상선에 대해서 선 대칭을 이루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선단 측 부분에서 폭 방향 중간의 소정 위치에 소정의 폭으로 전후 방향으로 연속되고 있으며,
상기 선단 측 부분은 상기 연결부보다 선단 측에, 상기 연결부를 갖지 않는 손잡이부를 갖고 있고,
상기 연결 테이프의 측연 중, 상기 웨이스트 측 플랩의 상기 연결부와 상기 다리 둘레 측 플랩의 상기 연결부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은, 폭 방향 중간에 그 양측보다 전후 방향의 이간 거리가 긴 부분을 갖고 있는,
제1∼제3 중 어느 한 양태의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
(작용 효과)
연결용 테이프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부직포 등의 기재(基材)의 폭 방향 중앙에 연속 띠 모양의 훅재를 1개 붙이거나 또는 점착제를 소정의 폭으로 연속적으로 도포한 후, 연결 테이프의 측연을 따라 파상 패턴으로 폭 방향으로 2분할하고, 이것들을 연속 방향으로 하나의 연결 테이프분의 간격으로 절단함으로써, 폐재의 발생 없이 좌우의 연결 테이프를 제조하는 것이 널리 이루어지고 있다(이하, 트림리스 제법이라고도 함). 이러한 트림리스 제법을 채택하여 전술한 오목부를 형성할 경우, 연결 테이프의 측연 중, 웨이스트 측 플랩의 연결부와 다리 둘레 측 플랩의 연결부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의 형상에 따라서는, 손잡이부의 치수가 작아져, 잡기 힘들어질 우려가 있지만, 본 양태의 형상이라면, 손잡부의 치수가 커져, 손잡이부가 잡기 쉬운 것이 된다.
<제5 양태>
상기 연결 테이프는, 그 전후 방향의 중앙을 지나 폭 방향을 따르는 가상선에 대해서 선대칭을 이루고,
상기 웨이스트 측 플랩 및 상기 다리 둘레 측 플랩 각각은, 각각의 전후 방향의 중앙을 지나 폭 방향을 따르는 가상선에 대해서 선대칭을 이루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선단 측 부분에서 폭 방향 중간의 소정 위치에 소정의 폭으로 전후 방향으로 연속되고 있으며,
상기 선단 측 부분은 상기 연결부보다 선단 측에, 상기 연결부를 갖지 않는 손잡이부를 갖고 있고,
상기 연결 테이프의 측연 중, 상기 웨이스트 측 플랩의 상기 연결부와 상기 다리 둘레 측 플랩의 상기 연결부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은, 곡률 반경이 30 이상인 곡선 및 직선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제1∼제3 중 어느 한 양태의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
(작용 효과)
본 양태의 연결 테이프는 제조가 쉽다. 또한, 본 양태의 연결 테이프를 상술한 트림리스 제법으로 제조할 경우, 손잡이부가 작아져, 잡기 힘들어지는 반면, 착용 시에는 손잡이부가 잘 되젖혀지지 않기 때문에, 손잡이부가 방해가 되거나, 연결부가 잘못 박리되거나 할 우려가 적은 것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연결 테이프에 존재하는 점선을 알아차리기 쉬워지는 등의 이점이 초래된다.
도 1은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의 전개 상태의 내면 측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의 전개 상태의 외면 측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iv-iv 단면도이다.
도 5는 장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연결 테이프의 평면도이다.
도 7의 (a)는 연결 테이프의 평면도, 그리고 (b)는 접은 연결 테이프의 평면도이다.
도 8은 연결 테이프의 평면도 및 오목부 부근의 확대도이다.
도 9는 연결 테이프의 평면도 및 오목부 부근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연결 테이프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연결 테이프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연결 테이프의 제조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도 4는 전후 방향(LD)의 중앙을 포함한 고간부(C)와, 고간부(C)의 전후 방향(LD)의 중앙으로부터 전측 및 후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나오는 배측 부분(F) 및 등측 부분(B)을 갖고, 등측 부분(B)의 각 측부에 폭 방향(WD)으로 연장되어 나온 연결 테이프(5)를 갖는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이 일회용 기저귀는, 액 불투과성 시트(1)의 내면과 투액성 탑 시트(2) 사이에 흡수체(3)가 개재된 기본 구조를 갖는 것이다.
(흡수체)
흡수체(3)로서는, 펄프 섬유의 적섬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등의 필라멘트의 집합체, 혹은 부직포를 기본으로 하며, 필요에 따라 고흡수성 폴리머를 혼합, 고착 등을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필요에 따라, 흡수체(3)는 크레이프지(미도시)로 쌀 수 있다. 또한, 흡수체(3)의 형상은 도시한 바와 같은 모래시계 형상 외에, 직사각 형상 등, 적절히 정할 수 있다. 흡수체(3)에 있어서의 펄프 평량은 100∼500g/㎡ 정도, 두께는 1∼15㎜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흡수성 폴리머의 평량은 0∼300g/㎡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액 불투과성 시트)
액 불투과성 시트(1)는 흡수체(3)의 주위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흡수체(3)에 흡수된 배설물 이면 측으로의 이동을 차단하는 것이다. 액 불투과성 시트(1)로서는, 폴리에틸렌 필름 등의 플라스틱 필름 외에,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하는 면에서 차수성을 해치지 않고 투습성을 구비한 시트도 사용할 수 있다. 이 차수·투습성 시트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중에 무기 충전재를 용융 혼련하여 시트를 형성한 후, 1축 또는 2축 방향으로 연신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미다공성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액 불투과성 시트(1)의 단위면적당 중량은 13∼40g/㎡인 것이 바람직하고, 두께는 0.01∼0.1㎜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저귀 외면을 옷감과 같은 외관, 촉감으로 만들기 위하여, 액 불투과성 시트(1)의 이면 전체는 외장 시트(12)로 덮여 있으며, 양 시트(1, 12)의 외주연은 기저귀의 외주연까지 이르러 있다. 외장 시트(12)로서는 각종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으나, 스펀 본드 부직포가 적합하다. 외장 시트(12)는 생략할 수도 있다.
(측부 배리어 시트)
도 3 및 도 4에도 도시되는 바와 같이, 물품 내면의 양 측부(도시한 형태에서는 탑 시트(2)의 측연부 표면으로부터 그 옆쪽으로 연장되는 액 불투과성 시트(1)의 표면)에는, 측부 배리어 시트(4)의 폭 방향 외측 부분(4x)이 전후 방향 전체에 걸쳐 붙어 있다. 측부 배리어 시트(4)는 각종 부직포(스펀 본드 부직포가 적합함) 외에, 액 불투과성 시트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플라스틱 필름, 또는 이들의 적층 시트를 사용할 수 있지만, 피부에 대한 감촉성 면에서, 발수 처리를 실시한 부직포가 적합하다. 측부 배리어 시트(4)의 폭 방향 중앙 측 부분(4c)은 전후 방향 양단부(4x)에서는, 물품 내면(도시한 형태에서는, 탑 시트(2) 표면)에 핫멜트 접착제 등의 수단으로 고착되어 있지만, 이들 사이의 중간부는 비고정 자유 부분(4f)으로 되어 있으며, 이 자유 부분(4f)의 선단부(전개 상태에서 폭 방향 중앙 측 단부)에는, 세장형 탄성 신축 부재(4G)가 전후 방향(LD)을 따라 신장된 상태로, 핫멜트 접착제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 세장형 탄성 신축 부재(4G)는 도시한 예에서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개 마련되어 있으나, 1개여도 좋다. 세장형 탄성 신축 부재(4G)(다른 세장형 탄성 신축 부재도 마찬가지)로서는, 실 모양, 끈 모양, 띠 모양 등으로 형성된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 구체적으로는 스티렌계 고무, 폴리올레핀계 고무, 우레탄계 고무, 에스테르계 고무,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스티렌부타디엔, 실리콘, 폴리에스테르 등, 통상 사용되는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자유 부분(4f)은 세장형 탄성 신축 부재(4G)의 수축력이 작용하는 결과,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물품 내면(도시한 형태에서는, 탑 시트(2) 표면)에 대해서 기립하는 측부 배리어를 구성한다. 이 기립 부분의 기단(4b)은 측부 배리어 시트(4)에서 폭 방향 외측의 고정 부분(4x)과 내측 부분(4c)과의 경계에 위치한다. 또한, 도 1 중, 비스듬한 우상(右上) 사선 부분은 측부 배리어 시트(4)의 고착 부분을 도시한다. 또한, 일회용 기저귀(100)는 전후 방향(LD)에 있어서, 양 측연(다리 개구의 테두리가 되는 부분)(Le)을 따라 연장되는 다리 둘레 탄성 신축 부재(14)를, 그 연장 방향을 따라 신장한 상태로 설치하였다. 양 측연(Le)을 따라 연장되는 다리 둘레 탄성 신축 부재(14)를 마련하면, 양 측연(Le)이 다리 둘레에 피트되어, 다리 둘레로부터 새는 일이 잘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좌우 각 측에서 다리 둘레 탄성 신축 부재(14)의 개수는 적절히 정할 수 있다.
(플랩부 등)
일회용 기저귀(100)의 전후 방향 양단부에서는, 액 불투과성 시트(1), 외장 시트(12), 탑 시트(2) 및 측부 배리어 시트(4)가 흡수체(3)의 전후 끝보다 전후 양측으로 각각 연장되며, 흡수체(3)가 존재하지 않는 엔드 플랩부(EF)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일회용 기저귀(100)의 좌우 양 측부에서는, 액 불투과성 시트(1), 외장 시트(12), 탑 시트(2) 및 측부 배리어 시트(4)가 흡수체(3)의 측연보다 옆쪽으로 각각 연장되며, 흡수체(3)가 존재하지 않는 사이드 플랩부가 형성되어 있다. 사이드 플랩부 중, 배측 부분(F)의 웨이스트 측 부분 및 등측 부분(B)의 웨이스트 측 부분에 각각 위치하는 부분은, 그들 사이의 중간 부분보다 옆쪽으로 연장되어 나와 있으며, 이들 부분이 기저귀의 몸통 둘레 부분이 되는 웨이스트 측 사이드 플랩부(SF)가 된다.
또한, 일회용 기저귀(100)는 전후 방향(LD)에 있어서, 양 측연(다리 개구의 테두리가 되는 부분)(Le)이 다리 둘레를 따라 잘록한 곡선형을 이루는 범위로서 정해지는 고간부(C)와, 이 고간부(C)의 전측 및 후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나오는 부분이며, 또한, 양 측연이 전후 방향(LD)을 따라 직선형을 이루는, 배측 몸통 둘레부(TF) 및 등측 몸통 둘레부(TB)를 갖는다.
등측 몸통 둘레부(TB)에는, 그 측연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연결 테이프(5)가 장착됨과 함께, 배측 몸통 둘레부(TF)의 표면에 폭 방향(WD)을 따라 타겟 테이프(6)가 붙어 있다. 연결 테이프(5)는, 등측 몸통 둘레부(TB)에서 시트 사이에 핫멜트 접착제 등의 수단으로 고정된 고정부(5f)와, 등측 몸통 둘레부(TB)의 측연의 시트 사이로부터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본체부(5e)를 갖고 있으며, 본체부(5e)의 전후 방향 중간에 마련된 점선(10)을 떼어냄으로써, 웨이스트 측 플랩(51) 및 다리 둘레 측 플랩(52)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웨이스트 측 플랩(51) 및 다리 둘레 측 플랩(52)은 점선(10)을 통해 서로 일체화된 기단 측 부분(5g)과, 서로 전후 방향(LD)으로 이간된 선단 측 부분(5h)이라 한다. 연결 테이프(5)에서 점선(10)의 기단 근방에는, 기단을 더욱 초과하여 폭 방향 내측으로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점선(10)을 분리하는 힘을 분산시키는 C자 형상의 칼집이 들어가 있어도 좋다.
연결 테이프(5)는 충분한 강도를 갖는 부직포, 특히, 복수 층의 부직포를 적층한 시트, 폴리라미 부직포를 기재(8)로 삼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웨이스트 측 플랩(51) 및 다리 둘레 측 플랩(52)의 내면에는, 배측 부분(F)의 외면에 탈착이 자유롭게 연결되는 훅재(9)를 갖는 연결부(5c)가 마련되어 있다. 도시한 형태에서는, 연결부(5c)는 웨이스트 측 플랩(51) 및 다리 둘레 측 플랩(52)의 선단 측 부분(5h)에 각각 하나로만 하는 것 외에, 폭 방향(WD)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소에 마련할 수도 있다. 훅재(9)는, 메카니컬 패스너(면 패스너)의 웅재가 적합하게 사용되며, 메카니컬 패스너의 핀이 타겟 테이프(6)의 루프에 탈착 가능하게 걸려, 외장 시트(12)에 부직포를 사용할 경우에는, 이 부직포의 섬유가 루프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타겟 테이프(6)를 생략할 수도 있다. 연결부(5c)는 점착제층에 의해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타겟 테이프(6)로서, 표면이 평활한 수지 테이프(시트)를 사용하면 적합하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웨이스트 측 플랩(51) 및 다리 둘레 측 플랩(52)은 본체부(5e)가 폭 방향(WD)으로 탄성 신축하는 신축부를 가질 수 있다. 신축부를 형성하기 위한 수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신축 부직포나 고무 시트 등과 같이, 그 자체로 탄성 신축하는 소재로 연결용 돌출부를 형성할 수도 있지만, 도시한 형태에서는, 각 플랩(51, 52)의 본체부(5e) 중, 폭 방향(WD)의 적어도 일부분을 제1 시트와 제2 시트를 맞붙여서 형성함과 함께, 제1 시트와 제2 시트 사이에 탄성 신축 부재(20)를 고정시킴으로써, 신축 가능하게 하였다. 탄성 신축 부재(20)로서는 세장형인 것 외에, 시트형인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오목부)
도 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 테이프(5)의 측연 중, 웨이스트 측 플랩(51)의 연결부(5c)와 다리 둘레 측 플랩(52)의 연결부(5c)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전후 방향(LD)으로 3등분하여, 웨이스트 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제1 테두리(21), 다리 둘레 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제2 테두리(22), 그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제3 테두리(23)라 하면, 제3 테두리(23)의 적어도 일부가 제1 테두리(21) 및 제2 테두리(22)보다 기단 측으로 오목한 오목부(11)를 갖고 있고, 오목부(11)의 가장 기단 측으로부터 기저귀의 폭 방향 중앙 측을 향하여 점선(10)이 연장되어 있으면, 오목부(11)가 장착 시에 점선(10)의 존재를 알아차리게 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점선(10)을 알아차려 이것을 떼어내면, 떼어낸 연결 테이프(5)는 웨이스트 측 플랩(51)과 다리 둘레 측 플랩(52)으로 나뉘어져,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교차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점선(10)을 떼어낼 때, 오목부(11)에서 기단 측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점선(10)의 선단을 가지면, 오목부(11)를 개시점으로 삼아 점선(10)을 떼어내려 하였을 때에, 점선(10)을 분리하는 힘이 오목부(11)에 모이기 쉬워, 떼어내기를 쉽게 개시할 수 있다.
도 7의 (b)의 제품 상태에서는, 연결부(5c)와 오목부(11) 사이에 위치하는 전후 방향(LD)을 따라 접는 선(7)에서 웨이스트 측 플랩(51) 및 다리 둘레 측 플랩(52)이 연결 테이프(5)의 기단 측 부분(5g)을 향해 접히고, 연결부(5c)의 훅재(9)와 기단 측 부분(5g)에 접착되어 있으면 보다 바람직하다. 이로써, 연결 테이프(5)가 접힌 상태에서는, 오목부(11)의 웨이스트 측 및 다리 둘레 측의 대부분이 전후 방향(LD)을 따라 직선이 되는데 비하여, 그 사이에 오목부(11)가 존재하기 때문에, 오목부(11)가 특히 눈에 띄게 된다. 또한, 연결 테이프(5)를 접은 상태에서, 오목부(11) 및 점선(10)을 알아차리기 쉽다는 것은, 연결 테이프(5)를 접은 상태인 채로 점선(10)으로 떼어내는 것으로 이어지며, 예를 들면, 연결부(5c)가 훅재(9)일 때에는 훅재에 피부를 닿지 않고 점선(10)을 분리할 수 있게 되어, 훅재(9)에 의해 피부 표면을 잘 손상시키지 않는다는 이점도 있다.
도 8에서 도시하는, 오목부(11)의 선단에서 오목부(11)와 폭 방향(WD)이 이루는 각도(α)는 예각이면, 점선(10)을 떼어내는 힘이 오목부(11)의 기단 측에 모이기 쉬운 형상이 되며, 구체적으로, 20도∼50도이면, 점선(10)으로부터 떼어내기를 개시하기 쉬워진다. 또한, 도 9와 같이, 오목부(11)의 형상이 곡선형일 경우, 곡선의 접선과 폭 방향(WD)이 이루는 각도를 α라 한다. 오목부(11)의 형상이나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오목부(11)의 전후 방향(LD) 치수(최대치)(11L)는 15㎜∼25㎜, 폭 방향(WD) 치수(최대치)(11W)는 5㎜∼15㎜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3 테두리(23)의 적어도 일부에 마련되는 오목부(11)는 제1 테두리(21) 및 제2 테두리(22)보다 기단 측으로 오목한 부분이라는 것으로부터도 분명한 바와 같이, 제3 테두리(23)에 위치하는 부분만을 의미한다. 즉, 도 8∼도 11에 도시하는 예와 같이, 외관이 제1 테두리(21)부터 제2 테두리(22)에 걸친 일련의 오목부로 보인다 하더라도,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오목부(11)는 제3 테두리(23)에 위치하는 부분만을 의미하며, 그러므로 오목부(11)의 치수는 도시한 바와 같다.
도 7∼9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 테이프(5)의 측연 중, 웨이스트 측 플랩(51)의 연결부(5c)와 다리 둘레 측 플랩(52)의 연결부(5c)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의 형상은, 전후 방향(LD)의 이간 거리가 점선의 선단을 향함에 따라 넓어지지 않고 짧아지는 형상으로 하는 것 외에,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LD)의 이간 거리가 길어지는 부분을 갖는 형상으로도 할 수 있다.
연결 테이프(5)의 형상은 도시한 예와 같이, 연결 테이프(5)의 전후 방향의 중앙을 지나 폭 방향(WD)을 따르는 가상선에 대해서 선대칭인 형상이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웨이스트 측 플랩(51)과 다리 둘레 측 플랩(52)은 동일한 형상이며, 웨이스트 측 플랩(51)과 다리 둘레 측 플랩(52) 사이의 가상선 상의 일부와 점선(10)의 위치는 같아진다. 또한, 웨이스트 측 플랩(51)도 그 전후 방향의 중앙을 지나 폭 방향(WD)을 따르는 가상선에 대해서 선대칭인 형상이며, 다리 둘레 측 플랩(52)도 동일한 형상이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연결 테이프(5)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직포 등의 기재(8)의 폭 방향(WD) 중앙에 연속 띠 모양의 훅재(9)를 전후 방향(LD)으로 1개 붙이거나 또는 점착제를 소정의 폭으로 연속으로 도포하여, 연결 테이프(5)의 측연을 따라 파상 패턴으로 폭 방향(WD)으로 2분할하고, 연속 방향으로 연결 테이프(5)의 전후 방향(LD) 간격으로 절단함으로써 제조 가능하다(트림리스 제법).
(손잡이부)
웨이스트 측 플랩(51)과 다리 둘레 측 플랩(52)의 선단 측 부분(5h)에 있어서, 연결부(5c)보다 선단 측의 연결부(5c)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이 손잡이부(13)로서 남겨져 있으면 바람직하다.
손잡이부(13)의 형상 및 크기는 한정되지 않지만, 손잡이부(13)의 전후 방향(LD) 치수(13L)(바뀔 경우에는 최대치)는 10㎜∼20㎜, 폭 방향(WD) 치수(13W)(바뀔 경우에는 최소치)는 15㎜∼25㎜인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부(13)가 큰 것일수록 잡기 쉽고, 오목부(11)가 눈에 띄는 것이 되지만, 손잡이부(13)에는 연결부(5c)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 시에 들뜨기 쉽고, 젖혀짐이 발생하기 쉬운 것이 된다. 반대로, 손잡이부(13)가 작은 것일수록 잡기 힘들고, 오목부(11)가 눈에 잘 띄지 않는 것이 되지만, 잘 들뜨지 않고, 젖혀짐이 잘 발생하지 않는 것이 된다. 특히, 전술한 트림리스 제법으로 오목부(11)를 형성할 경우, 연결 테이프(5)의 측연 중, 웨이스트 측 플랩(51)의 연결부(5c)와 다리 둘레 측 플랩(52)의 연결부(5c)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의 형상이 손잡이부(13)의 형상이 되기 때문에, 그 형상에 따라서는, 손잡이부(13)의 치수가 작아져, 잡기 힘들어지거나, 반대로 젖혀짐이 발생하기 쉬워지거나 할 우려가 있다.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 테이프(5)의 측연 중, 웨이스트 측 플랩(51)의 연결부(5c)와 다리 둘레 측 플랩(52)의 연결부(5c)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은, 폭 방향(WD) 중간에 그 양측보다 전후 방향(LD)의 이간 거리(11L)가 길다(예를 들면, 웨이스트 측 플랩(51)의 연결부(5c)와 다리 둘레 측 플랩(52)의 연결부(5c)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의 전후 방향(LD)의 이간 거리의 최대치의 1.2∼1.5배) 부분을 갖고 있으면, 손잡이부(13)는 잡기 쉬운 것이 되지만, 장착 시에 손잡이부(13)가 들뜨거나 젖혀지거나 할 가능성은 높아진다. 한편,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 테이프(5)의 측연 중, 적어도 웨이스트 측 플랩(51)의 연결부(5c)와 다리 둘레 측 플랩(52)의 연결부(5c)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바람직하게는 전체)은, 곡률 반경이 30 이상인 곡선 및 직선 중 적어도 한쪽으로만 이루어지는 것이라면, 손잡이부(13)는 작아져, 장착 시에 조작하기 어렵지만, 장착 시 들뜨거나 젖혀짐이 잘 발생하지 않는 것이 되며, 나아가, 연결 테이프(5) 제조 시에 파상 패턴으로의 분할을 실시하기 쉽다는 점에서, 제조 안정성이 뛰어난 것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예와 같이,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1 액 불투과성 시트
2 탑 시트
3 흡수체
4 측부 배리어 시트
5 연결 테이프
5c 연결부
5e 본체부
5f 고정부
5g 기단 측 부분
5h 선단 측 부분
51 웨이스트 측 플랩
52 다리 둘레 측 플랩
6 타겟 테이프
7 접는 선
8 기재
9 훅재
10 점선
11 오목부
11L 오목부(11)의 전후 방향 치수
11W 오목부(11)의 폭 방향 치수
12 외장 시트
13 손잡이부
13L 손잡이부(13)의 전후 방향 치수
13W 손잡이부(13)의 폭 방향 치수
14 다리 둘레 탄성 신축 부재
20 탄성 신축 부재
21 제1 테두리
22 제2 테두리
23 제3 테두리
F 배측 부분
B 등측 부분
100 일회용 기저귀

Claims (5)

  1. 전후 방향의 중앙을 포함한 고간부와, 전후 방향의 중앙으로부터 전측 및 후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나오는 배측 부분 및 등측 부분을 가지며,
    등측 부분의 각 측부에,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나온 연결 테이프를 가지며,
    상기 연결 테이프는 웨이스트 측 플랩 및 다리 둘레 측 플랩을 가지며,
    상기 웨이스트 측 플랩 및 상기 다리 둘레 측 플랩은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점선을 통해 서로 일체화된 기단 측 부분과, 서로 전후 방향으로 이간된 선단 측 부분을 가지며,
    상기 웨이스트 측 플랩의 선단 측 부분 및 상기 다리 둘레 측 플랩의 선단 측 부분에, 배측 부분과 탈착이 자유롭게 연결되는 훅재 또는 점착제층을 갖는 연결부가 각각 마련된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연결 테이프의 측연 중, 상기 웨이스트 측 플랩의 상기 연결부와 상기 다리 둘레 측 플랩의 상기 연결부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웨이스트 측에 위치하는 제1 테두리, 다리 둘레 측에 위치하는 제2 테두리, 그리고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제3 테두리로 전후 방향으로 3등분하였을 때, 상기 제3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1 테두리 및 상기 제2 테두리보다 기단 측으로 오목한 오목부를 갖고,
    상기 오목부에서 기단 측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상기 점선의 선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테이프는, 상기 연결부와 상기 오목부 사이를 지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는 선에서, 상기 접는 선보다 선단 측 부분이 상기 접는 선보다 기단 측 부분 상으로 되접힘과 함께, 상기 연결부를 통해 접합되어 있는,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선의 선단에서 상기 오목부과 폭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20도∼50도인,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테이프는, 그 전후 방향의 중앙을 지나 폭 방향을 따르는 가상선에 대해서 선대칭을 이루고,
    상기 웨이스트 측 플랩 및 상기 다리 둘레 측 플랩 각각은, 각각의 전후 방향의 중앙을 지나 폭 방향을 따르는 가상선에 대해서 선대칭을 이루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선단 측 부분에서 폭 방향 중간의 소정 위치에 소정의 폭으로 전후 방향으로 연속되고 있으며,
    상기 선단 측 부분은 상기 연결부보다 선단 측에, 상기 연결부를 갖지 않는 손잡이부를 갖고 있고,
    상기 연결 테이프의 측연 중, 상기 웨이스트 측 플랩의 상기 연결부와 상기 다리 둘레 측 플랩의 상기 연결부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은, 폭 방향 중간에 그 양측보다 전후 방향의 이간 거리가 긴 부분을 갖고 있는,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테이프는, 그 전후 방향의 중앙을 지나 폭 방향을 따르는 가상선에 대해서 선대칭을 이루고,
    상기 웨이스트 측 플랩 및 상기 다리 둘레 측 플랩 각각은, 각각의 전후 방향의 중앙을 지나 폭 방향을 따르는 가상선에 대해서 선대칭을 이루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선단 측 부분에서 폭 방향 중간의 소정 위치에 소정의 폭으로 전후 방향으로 연속되고 있으며,
    상기 선단 측 부분은 상기 연결부보다 선단 측에, 상기 연결부를 갖지 않는 손잡이부를 갖고 있고,
    상기 연결 테이프의 측연 중, 상기 웨이스트 측 플랩의 상기 연결부와 상기 다리 둘레 측 플랩의 상기 연결부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은, 곡률 반경이 30 이상인 곡선 및 직선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
KR1020237018252A 2021-03-03 2022-01-26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 KR202301526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33331 2021-03-03
JP2021033331A JP2022134287A (ja) 2021-03-03 2021-03-03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PCT/JP2022/002763 WO2022185790A1 (ja) 2021-03-03 2022-01-26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2651A true KR20230152651A (ko) 2023-11-03

Family

ID=83154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8252A KR20230152651A (ko) 2021-03-03 2022-01-26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40108518A1 (ko)
EP (1) EP4285884A1 (ko)
JP (1) JP2022134287A (ko)
KR (1) KR20230152651A (ko)
CN (1) CN116528808A (ko)
TW (1) TW202235063A (ko)
WO (1) WO2022185790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87081B2 (ja) 2012-07-31 2017-03-01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6440471B2 (ja) 2014-12-01 2018-12-19 花王株式会社 展開型着用物品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04471A (ja) 1982-05-24 1983-11-29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密閉形鉛蓄電池
JP2563824Y2 (ja) * 1991-06-17 1998-02-25 トーヨー衛材株式会社 使い捨て尿取りパッド
JP4721793B2 (ja) * 2005-07-08 2011-07-13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11147496A (ja) * 2010-01-19 2011-08-04 Livedo Corporation 使い捨ておむつ
JP2011200336A (ja) * 2010-03-24 2011-10-13 Livedo Corporation 止着テープおよびこの止着テープを備えた使い捨ておむつ
JP5958306B2 (ja) * 2012-11-30 2016-07-27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テープ型使い捨ておむ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87081B2 (ja) 2012-07-31 2017-03-01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6440471B2 (ja) 2014-12-01 2018-12-19 花王株式会社 展開型着用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134287A (ja) 2022-09-15
WO2022185790A1 (ja) 2022-09-09
CN116528808A (zh) 2023-08-01
EP4285884A1 (en) 2023-12-06
US20240108518A1 (en) 2024-04-04
TW202235063A (zh) 2022-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69676B2 (ja) 紙おむつ
JP5113429B2 (ja) テープ式使い捨ておむつ
US6562017B1 (en) Absorbent article with raisable strips
JP4190074B2 (ja) ウイング付き生理用ナプキン
JP5442953B2 (ja) テープ式使い捨ておむつ
JP6037378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4885671B2 (ja) 吸収性物品
KR20230152651A (ko)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
JP2009201849A5 (ko)
JP6202622B2 (ja)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CN109982677B (zh) 带型一次性尿布
JP2022134287A5 (ko)
JP5658926B2 (ja) 吸収性物品
JP5814455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7357569B2 (ja) 連結式使い捨て着用物品
WO2021065675A1 (ja)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着用物品
JP6168696B2 (ja)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5773643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5584058B2 (ja) 吸収性物品
JP6310602B2 (ja)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6980395B2 (ja)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6960215B2 (ja)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2018083025A5 (ko)
JP2008061871A (ja) 使い捨ておむつ
JP5852203B2 (ja) 吸収性物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