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0498A - 친환경 낚시용 봉돌 - Google Patents

친환경 낚시용 봉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0498A
KR20230150498A KR1020220049932A KR20220049932A KR20230150498A KR 20230150498 A KR20230150498 A KR 20230150498A KR 1020220049932 A KR1020220049932 A KR 1020220049932A KR 20220049932 A KR20220049932 A KR 20220049932A KR 20230150498 A KR20230150498 A KR 20230150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buoyancy
parts
buoyancy body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9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호
Original Assignee
김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호 filed Critical 김경호
Priority to KR1020220049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0498A/ko
Publication of KR20230150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049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01K95/005Sinkers not containing lea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로 문어를 잡는데 사용되는 친환경 낚시용 봉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낚시용 봉돌은 다수개가 등각으로 배열되고 갈고리형으로 구성된 바늘(50); 상기 바늘(50)과 연결되고 상기 바늘(50)이 수중에서 상부로 상승하는 부력을 제공하는 다수개의 부력체(10, 20, 30); 상기 부력체(10, 20, 30)와 연결되고 일정한 질량을 가져 상기 바늘(50)을 포함하는 부력체(10, 20, 30)를 수중에서 하부로 침강시키는 추(40); 및 상기 다수개의 부력체(10, 20, 30)와 추(40)를 결합하는 클립(60)을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낚시용 봉돌은 다수개의 부력체 및 일정 비중 이상의 추를 이용하여 구성됨으로써, 부력이 잘 조절되어 원하는 위치 또는 일정한 깊이의 수심에 용이하게 낚시를 안착시킬 수 있고, 친환경적으로 제조되어 침전되어 유실되더라도 산화, 마모, 침식 또는 용해에 의한 수중 오염의 염려가 없다.

Description

친환경 낚시용 봉돌{ECO-FRIENDLY FISHING SINKER}
본 발명은 주로 문어를 잡는데 사용되는 친환경 낚시용 봉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부력체 및 일정 비중 이상의 추를 이용하여 봉돌을 구성함으로써, 부력이 잘 조절되어 원하는 위치 또는 일정한 깊이의 수심에 용이하게 낚시를 안착시킬 수 있고, 친환경적으로 제조되어 침전되어 유실되더라도 산화, 마모, 침식 또는 용해에 의한 수중 오염의 염려가 없는 친환경 낚시용 봉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봉돌은 채비의 일부로 무거운 중량을 가지고 있으므로 채비를 원하는 장소나 수심으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채비를 멀리 던질 수 있게 해주고 빨리 가라앉도록 하며, 미끼가 원하는 장소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해 주는 역할도 한다. 봉돌은 부피에 비해 무게가 무거울수록 유리하므로 비중이 높은 납이 주재료가 되어 왔지만, 공해물질인 납을 대신할 새로운 소재로 점차 바뀌고 있다.
또한, 봉돌은 채비의 어떤 부위에 설치하느냐, 또는 낚싯줄에 어떻게 부착하느냐에 따라 종류가 나뉜다. 대표적으로는 가운데에 낚싯줄이 통과할 수 있도록 구멍이 뚫린 구멍 봉돌, 철사가 결합된 편대 봉돌, 고리가 달린 고리 봉돌, 도래와 봉돌이 결합된 도래 봉돌이 있는가 하면, 낚싯줄에다 직접 고정하는 조개 봉돌, 좁쌀 봉돌도 있다.
이러한 봉돌은 작업 중 바위에 걸리거나 기타 여러 가지 이유로 자주 유실되어 바다의 연안이나 민물 속에 가라앉게 된다. 바다나 민물 속에 가라앉은 봉돌은 각종 해조류나 모래, 자갈 또는 바위 등에 부딪쳐서 마모되거나 침식되는데, 이 과정에서 유해한 중금속인 납이 과량으로 용출되어 수중에 퍼짐으로써 수중오염을 가중시킬 뿐만 아니라 해조류나 어류 등 해산물에 치명적인 해를 끼치는 폐단이 발생하였다. 또한 납을 주재료로 하여 제조된 봉돌은 그 제조과정에서 대기 중 방치 시 열에 의해 미세한 납 성분이 휘발 되어 대기오염을 가중시키거나 봉돌 제조 작업 중 작업자의 피부와의 접촉에 의해 납 중독과 같은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봉돌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이 중에서 국내등록특허 제10-0798138호에서는 시멘트를 이용한 친환경 어구용 수화물계 봉돌의 제조방법이 개시된 바 있으나, 상기 시멘트를 이용한 친환경 어구용 수화물계 봉돌은 비중과 강도 및 부식성의 문제가 있으며, 시멘트 또한 환경에 유해한 조성물로 알려져 있어 봉돌의 사용에 제한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국내등록특허 제10-1186237호에서는 금속, 세라믹 및 금속-세라믹 복합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분체, 분쇄물 또는 분체와 분쇄물의 혼합물과, 유황과, 디시클로펜타디엔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출발물질로 하여 제조되는 개질 유황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봉돌이 개시된 바 있으나, 상기 개질 유황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봉돌은 제조가 번거롭고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관계로, 실제로 실용화 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저가의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고 부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실용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환경 친화적인 봉돌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요구에 따라 본 발명자는 환경 친화적이면서도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낚시용 봉돌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국내등록특허 제10-1470361호(2014년 12월 02일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1528534호(2015년 06월 08일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1901271호(2018년 09월 17일 등록)
본 발명은 다수개의 부력체 및 일정 비중 이상의 추를 이용하여 봉돌을 구성함으로써, 부력이 잘 조절되어 원하는 위치 또는 일정한 깊이의 수심에 용이하게 낚시를 안착시킬 수 있고, 친환경적으로 제조되어 침전되어 유실되더라도 산화, 마모, 침식 또는 용해에 의한 수중 오염의 염려가 없는 친환경 낚시용 봉돌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낚시용 봉돌은 다수개가 등각으로 배열되고 갈고리형으로 구성된 바늘(50); 상기 바늘(50)과 연결되고 상기 바늘(50)이 수중에서 상부로 상승하는 부력을 제공하는 다수개의 부력체(10, 20, 30); 상기 부력체(10, 20, 30)와 연결되고 일정한 질량을 가져 상기 바늘(50)을 포함하는 부력체(10, 20, 30)를 수중에서 하부로 침강시키는 추(40); 및 상기 다수개의 부력체(10, 20, 30)와 추(40)를 결합하는 클립(60)을 포함한다.
상기 부력체(10, 20, 30)는 제1 부력체(10), 제2 부력체(20) 및 제3 부력체(30)를 포함하고, 상기 추(40)는 비중이 7 이상인 금속이나 금속 복합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1 부력체(10)는 폴리프로필렌 발포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부력체(20)는 상기 제1 부력체(10)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부력체(20)는 연질 폴리우레탄, 섬유, 변성 EVA 수지, MQ 레진, 고무, 탈크 및 안정제를 포함하는 제2 부력성형체 조성물을 혼합한 후 성형하여 형성되되, 상기 제2 부력성형체 조성물은 연질 폴리우레탄 180 내지 220 중량부, 섬유 1 내지 5 중량부, 변성 EVA 수지 10 내지 20 중량부, MQ 레진 5 내지 10 중량부, 고무 3 내지 7 중량부, 탈크 1 내지 3 중량부 및 안정제 0.1 내지 1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3 부력체(30)는 상기 제2 부력체(20)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3 부력체(30)는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Diglycidyl Ether of Bisphenol A) 에폭시 수지, PMMA(Polymethyl Methacrylate) 수지 조성물,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충진제, 폴리실록산 및 산화방지제를 포함하는 제3 부력성형체 조성물을 혼합한 후 성형하여 형성되되, 상기 제3 부력성형체 조성물은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Diglycidyl Ether of Bisphenol A) 에폭시 수지 130 내지 170 중량부, PMMA(Polymethyl Methacrylate) 수지 조성물 80 내지 120 중량부,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 HDPE) 10 내지 30 중량부, 충진제 1 내지 5 중량부, 폴리실록산 1 내지 3 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0.1 내지 1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낚시용 봉돌은 다수개의 부력체 및 일정 비중 이상의 추를 이용하여 구성됨으로써, 부력이 잘 조절되어 원하는 위치 또는 일정한 깊이의 수심에 용이하게 낚시를 안착시킬 수 있고, 친환경적으로 제조되어 침전되어 유실되더라도 산화, 마모, 침식 또는 용해에 의한 수중 오염의 염려가 없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낚시용 봉돌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낚시용 봉돌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낚시용 봉돌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낚시용 봉돌(1)은 다수개가 등각으로 배열되고 갈고리형으로 구성된 바늘(50), 상기 바늘(50)과 연결되고 상기 바늘(50)이 수중에서 상부로 상승하는 부력을 제공하는 다수개의 부력체(10, 20, 30), 상기 부력체(10, 20, 30)와 연결되고 일정한 질량을 가져 상기 바늘(50)을 포함하는 부력체(10, 20, 30)를 수중에서 하부로 침강시키는 추(40), 및 상기 다수개의 부력체(10, 20, 30)와 추(40)를 결합하는 클립(60)을 포함한다.
상기 바늘(50)은 다수개가 등각으로 배열되고 갈고리형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바늘(50)은 물고기를 포함하는 수중생물, 예를 들어, 문어가 입으로 물게 되면 다수개의 부력체(10, 20, 30)의 부력 및 추(40)의 중량에 의한 저항으로 상기 바늘(50)에 문어가 쉽게 걸릴 수 있다.
상기 바늘(50)은 일단이 갈고리형으로 구성되어 문어를 포획할 수 있고, 타단은 길게 연장되어 부력체(10, 20, 30)의 내부로 관통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부력체(10, 20, 30)에 의해 상부로 상승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부력체(10, 20, 30)의 움직임에 의해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부력체(10, 20, 30)는 상기 바늘(50)과 연결되고 상기 부력체(10, 20, 30)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바늘(50)의 타단이 관통 설치되고, 상기 바늘(50)이 수중에서 상부로 상승하는 부력을 제공할 수 있는데, 상기 부력체(10, 20, 30)는 제1 부력체(10), 제2 부력체(20) 및 제3 부력체(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부력체(10)는 상기 바늘(50)의 타단이 관통되어 설치되고 상기 바늘(50)을 상부로 상승시키는 부력을 강하게 제공하기 위하여 발포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부력체(10)는 폴리프로필렌 발포체로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내유성 및 100℃까지의 내열성이 우수하고, 2차 성형 및 재활용이 가능하여 자동차 부품, 필름, 사출품 등 넓은 영역에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부력체(10)는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폴리프로필렌 발포체가 사용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폴리프로필렌 발포체를 제조하기 위하여 혼합 수지 및 핵제(nucleating agent)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1차 압출기(extruder)의 스크류(screw)로 이동시키면서, 220 내지 240℃의 온도에서 혼합물을 용융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혼합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혼합 수지일 수 있는데, 상기 혼합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180 내지 220 중량부, 저밀도 폴리에틸렌 10 내지 30 중량부 및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1 내지 3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 또는 2~8개의 탄소원자를 가진 α-올레핀과의 블록 또는 불규칙 공중합체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α-올레핀은 1-부텐(1-butene), 1-펜텐(1-pentene), 1-헥센(1-hexene) 및 1-옥텐(1-octen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프로필렌과 공중합되는 α-올레핀의 양은 프로필렌 1몰당 0.01 내지 30몰%일 수 있으며, 상기 폴리프로필렌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300,000 내지 500,000g/mol, 용융지수는 0.1 내지 10g/10분(230℃)일 수 있다.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상기 폴리프로필렌과 혼합되어 사용되는데,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그 자체가 곁가지를 가지는 구조이며 라디칼 발생제에 의하여 라디칼이 생성되더라도 폴리프로필렌과는 달리 분해가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분자량이 증가하여 전체적으로 분자량의 저하 없이 발포성의 극대화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중량평균 분자량이 600,000 내지 800,000g/mol이고, 용융지수가 0.1~0.4g/10분(230℃)인 폴리에틸렌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상기 폴리프로필렌과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상용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를 혼합하여 사용함으써 상기 폴리프로필렌과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상용성을 좋게 할 수 있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로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디시클로-펜타디엔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1,4-헥사디엔 고무 및 에틸렌-프로필렌-시클로-펜타디엔 고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고,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에틸렌 및 프로필렌의 함량비가 40:60 내지 90:10(w/w)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핵제(nucleating agent)는 상기 혼합 수지의 결정화 속도를 촉진시키고 미세화시킬 뿐만 아니라,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핵제는 폴리비닐시클로알칸, 폴리(3-메틸-1-부텐) 또는 폴리알킬렌실란의 고융점 고분자계 핵제, 벤질리덴소르비톨계 핵제 또는 로진계 핵제와 같은 유기 핵제를 사용할 수도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핵제로는 탈크(talc)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핵제의 함량은 발포체 셀의 구조에 영향을 미치고, 핵제가 과다 투여되면 발포체 셀의 외벽이 약화되어 오픈 셀(open cell)이 될 우려가 있고, 점도가 너무 높으면 발포체 셀의 외벽에 저항이 커져 배율이 저하될 수 있는데, 상기 핵제는 상기 혼합 수지 전체 함량 100 중량부에 대해 1 내지 2 중량부의 중량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 수지는 라디칼 생성제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라디칼 생성제는 상기 혼합 수지 전체 함량 100 중량부에 대해 0.3 내지 0.7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라디칼 생성제로는 디-t-부틸 퍼옥사이드, 디쿠밀퍼옥사이드, 2,5-디메틸-2,5-디(t-부틸퍼옥시)헥산, 2,5-디메틸-2,5-디(t-부틸퍼옥시)헥산, 3-부틸-4,4-비스(t-부틸 퍼옥시발레레이트), 쿠밀히드로퍼옥사이드, 라우로일퍼옥사이드, t-부틸퍼옥시아세테이트, t-부틸퍼옥시메틸에틸케톤퍼옥사이드, t-부틸쿠밀퍼옥사이드 및 (t-부틸퍼옥시)-부틸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용융된 혼합물이 수용되어 있는 1차 압출기의 온도 210 내지 230℃ 및 내부 압력 6 내지 8kg/cm2으로 유지한 후 상기 1차 압출기 내에 수용되어 있는 혼합물이 균일하게 용융되어 혼합되도록 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1차 압출기 내에 용융된 혼합물을 2차 압출기로 이송시키고 상기 2차 압출기를 온도 180 내지 200℃ 및 내부 압력 18 내지 22kg/cm2으로 유지한 후 발포제(foaming agent)를 투입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포제는 아조디카본아미드, 스테아릴 모노글리세리드, 질소, 이산화탄소, 아르곤 및 공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포제는 용융된 혼합물 전체 함량 100 중량부에 대해, 1 내지 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는데, 상기 발포제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충분한 발포 효과가 일어나가 어렵고,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발포제의 투입량이 너무 많아 발포체가 오픈될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발포제는 상기한 범위 내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발포제가 투입된 혼합물을 이송시키면서 140 내지 150℃의 온도로 변화시키고 압력을 75 내지 85kg/cm2으로 변화시켜 다이(die)까이 이송시키는 공정을 거침으로써 제1 부력체(10)로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발포체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2 부력체(20)는 상기 제1 부력체(10)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부력체(20)는 연질 폴리우레탄, 섬유, 변성 EVA 수지, MQ 레진, 고무, 탈크 및 안정제를 포함하는 제2 부력성형체 조성물을 혼합한 후 공지된 방법으로 성형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부력성형체 조성물은 연질 폴리우레탄 180 내지 220 중량부, 섬유 1 내지 5 중량부, 변성 EVA 수지 10 내지 20 중량부, MQ 레진 5 내지 10 중량부, 고무 3 내지 7 중량부, 탈크 1 내지 3 중량부 및 안정제 0.1 내지 1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연질 폴리우레탄은 공지의 연질 폴리우레탄이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연질 폴리우레탄은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 조성물, 폴리올(Polyol) 조성물 및 가교제(Crosslinking agent)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교제는 하기의 [화학식 1]을 만족하고, 상기 연질 폴리우레탄 조성물은, 상기 폴리올 조성물에 대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의 NCO 인덱스(NCO Index)가 1.3 내지 1.5이고, 상기 폴리올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가교제를 1.3 내지 1.7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R1-(CH2)m-NH-(CH2)n-R2
상기 R1과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아민기 또는 히드록시기이고, 상기 m과 n은 각각 독립적으로 6 이상 8 이하의 자연수이다.
또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은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 MDI),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oluene Diisocyanate, TDI), 이들의 중합체, 이들의 공중합체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폴리올 조성물은 폴리에테르폴리올(Polyether polyol), 폴리에스테르폴리올(Polyester polyol) 및 코폴리머폴리올(Copolymer poly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섬유로는 폴리아미드 섬유가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폴리아미드 섬유(Nylon6 Fiber)는 연질 폴리우레탄 수지에 혼합되어 제2 부력체(20)의 인장강도, 신장율, 경도를 향상시켜 크랙에 대한 저항성 역시 높이는 역할을 한다. 상기 폴리아미드 섬유는 길이 0.1~0.5mm, 직경 1~30㎛, 비중 1.13~1.16 범위의 폴리아미드 섬유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변성 EVA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로서 EVA(Ethylene Vinyl Acetate) 수지에 가교제를 혼합한 EVA(Ethylene Vinyl Acetate) 변성체 수지이다. 상기 EVA(Ethylene Vinyl Acetate) 수지는 결합력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 탄성, 내구성 및 내열성 등의 물성이 우수한데, 상기 변성 EVA(Ethylene Vinyl Acetate) 수지는 EVA(Ethylene Vinyl Acetate)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가교제 3 내지 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TAIC(triallyl isocyanurate) 및 과산화물(hyperoxide)이 1:1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는데, 상기 TAIC는 변성 EVA 수지의 결합력 또는 접착력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과산화물은 가교반응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과산화물은 산소원자 두 개가 단일 결합을 한 음이온을 가진 화합물로서, 메틸에틸케톤 과산화물(Methyl ethylketone), 디쿠밀 과산화물(Dicumyl peroxide), 트리메틸시클로헥산(trimethylcycolhexane), 2,5-디메틸-2,5-디(t-부틸퍼옥시)헥산(2,5-dimethyl-2,5-di(tert-butylperoxy)hexane), 2,2'-비스(t-부틸퍼옥시)디이소프로필벤젠(2,2'-Bis(tertbutylperoxy)diisopropylbenzene), 4,4'-비스(t-부틸퍼옥시)부틸발레레이트(4,4'-Bis(tertbutylperoxy)butylvalerate), 에틸 3,3-비스(t-부틸퍼옥시)부티레이트(ethyl 3,3-Bis(tertbutylperoxy)butyrate) 및 t-부틸 쿠밀 과산화물(tert-butyl cymyl perox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트리메틸시클로헥산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MQ 레진은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MQ 레진은 M 단위(R3SiO1/2) 및 Q 단위(SiO4/2)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MQ 레진은 일관능성 실록산 단위(M 단위)와 4관능성 실록산 단위(Q단위)를 포함하는 3차원 망상의 입체적 분자 구조를 갖는 실리콘 화합물을 의미하고, R은 규소 원자에 결합되어 있는 관능기를 의미한다.
상기 식 중에서, R은 서로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의, 탄소 원자수 2~8의 1가 탄화수소이고, M 단위(R3SiO1/2)/Q 단위(SiO4/2)로 나타내는 몰비가 1.2 내지 1.4일 수 있다.
상기 고무는 천연고무, 폴리이소프렌, 폴리이소부틸렌, 부틸 고무, 부타디엔 고무, 이소프렌 고무,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BR), 우레탄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아크릴 고무, 실리콘 고무 등의 합성고무를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고무로 천연고무가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천연고무는 비중이 0.92 정도인 망상구조물로서 고무 중 탄성이 제일 우수하고, 화학적 성질에 따라 가공성이 우수하며, 다른 고무와의 혼화성이 좋다.
상기 탈크는 제2 부력체(20)의 물성을 향상시키고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탈크는 경도(morhs)가 3.0이고, 비중이 2.5 내지 2.8이며, 비표면적이 0.036 내지 1m2/g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안정제는 제2 부력성형체 조성물의 물리적, 화학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 상기 안정제는 알릴 알킬 황산염(allyl alkyl sulfonate) 또는 공중합성 황산염 모노머(copolymerizable sulfonate manomer)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3 부력체(30)는 상기 제2 부력체(20)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3 부력체(30)는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Diglycidyl Ether of Bisphenol A) 에폭시 수지, PMMA(Polymethyl Methacrylate) 수지 조성물,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 HDPE), 충진제, 폴리실록산 및 산화방지제를 포함하는 제3 부력성형체 조성물을 혼합한 후 공지된 방법으로 성형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3 부력성형체 조성물은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Diglycidyl Ether of Bisphenol A) 에폭시 수지 130 내지 170 중량부, PMMA(Polymethyl Methacrylate) 수지 조성물 80 내지 120 중량부,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 HDPE) 10 내지 30 중량부, 충진제 1 내지 5 중량부, 폴리실록산 1 내지 3 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0.1 내지 1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Diglycidyl Ether of Bisphenol A) 에폭시 수지는 일반적으로 아래 [화학식 2]의 구조를 가지는 에폭시 프리폴리머를 말한다.
[화학식 2]
상기 [화학식 2]에서 n은 1 ~ 25 범위의 양수이고, 상기 n의 크기에 따라 에폭시의 연화점이 결정된다.
상기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 에폭시 수지로 쓰일 수 있는 에폭시 프리폴리머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에폭시를 사용하면 무방하며 특별한 제약이 없는데, 예를 들어, 상기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 에폭시 수지로는 Henkel Japan 사의 E-20(601)이나 국도화학(주)의 YD-128이 있다.
상기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 에폭시 수지는 습윤 경화성이 있고, 제3 부력체(30)의 강도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데, 상기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 에폭시는 당량 180~220(g/eq), 점도 8,000~15,000(cps, at 25℃)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PMMA(Polymethyl Methacrylate) 수지 조성물은 PMMA 수지를 포함하는데, 상기 PMMA 수지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를 말하며, 인간의 일상생활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소재로 콘택트렌즈나 인공관절, 뼈 등으로 사용되고 있고, 규칙적인 결합체로 구성되어 있어 미반응 물질로 인한 환경오염이 적고 작업 및 화재 시 유독가스를 발생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며 인체에 안전하다.
상기 PMMA 수지는 신장률 100% 이상으로 인장강도가 10MPa 이상인 고탄성 및 고인장강도를 갖는 PMMA 수지가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PMMA 수지는 PMMA 수지에 1관능성 단량체 및 2관능성 단량체의 함량을 조절하여 고탄성 및 고인장강도의 PMMA 수지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PMMA 수지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PMMA 수지 30~50 중량부, n-butyl acrylate(BA) 단량체 20~40 중량부, methyl methacrylate(MMA) 단량체 10~30 중량부, 2-hydroxy ethyl methacrylate(2-HEMA) 단량체 5~10 중량부, methacrylic acid(MAA) 단량체 2~5 중량부 및 tripropyleneglycol diacrylate(TPGDA) 단량체 2~5 중량부를 혼합하여 60~70℃ 온도로 가온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혼합물에 경화촉진제인 n,n-dimethyl-p-toluidine(DMPT) 0.1~1.0 중량부를 40~50℃의 온도에서 혼합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제2 혼합물을 상온으로 냉각하여 경화제인 dibenzoyl peroxide(BPO) 1~2 중량부를 혼합하여 PMMA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PMMA 수지는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 i-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트리데실 메타크릴레이트,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 사이클로 헥실 메타크릴레이트, 벤질 메타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와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t-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그리고 메타아크릴산, 아크릴산 등과 같이 산가를 가지는 단량체를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이용하여 현탁중합, 벌크중합, 용액중합 등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PMMA 수지는 분자량 5,000~200,000g/mol에 유리전이온도(Tg) 20~100℃가 적당하며, 중합시 사용하는 산가를 가진 단량체는 중합 단량체 총량 대비 1~5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상기 1관능성 단량체에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 i-부틸 메타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트리데실 메타크릴레이트,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 사이클로 헥실 메타크릴레이트, 벤질 메타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와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t-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젠 군에서 선택되는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단독 혹은 2 종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2관능성 단량체인 가교성 단량체는 한 분자 내에 라디칼 중합 가능한 이중결합을 2개 이상 가지고 있는 단량체로서 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1,2-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1,2-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1,3-부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1,3-부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1,6-헥산다이올디아크릴레이트, 1,6-헥산다이올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디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 HDPE)은 가지 사슬이 거의 없는 선형이며, 분자량은 20만 이하인데,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제3 부력성형체 조성물에 포함되어 내화학성, 내열성, 내습성, 내충격성 및 내구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상기 충진제는 열적·물리적 강도향상, 마모방지 및 인열에 영향을 미치며 내부식성, 내후성 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충진제로는 일라이트-운모(Illite-Mica), 제올라이트(Zeolite), 규사, 맥반석, 황토석, 감람석(Olivine), 고령토(Kaolin), 규산염 광물(Silica Mineral), 규조토(Diatomite), 규회석(Wollastonite), 납석(Pyrophyllite), 돌로마이트(Dolomite), 장석(Feldspar), 진주암(Perlite), 질석(Vermiculite), 중정석(Barite), 활석(Talc) 및 규조토(diatomaceous earth)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실록산은 제3 부력체(30) 표면에 대해 우수한 발수력을 제공함으로써, 제3 부력체(30) 표면에 대한 우수한 발수성 및 발수내구성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폴리실록산은 하기의 [화학식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화학식 3]
상기 [화학식 3]에서 R4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방향족 유기기, 아크릴레이트류 유기기, 에폭시류 유기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X는 수소원자, 황화수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알킬기, 아크릴레이트류 유기기, 에폭시류 유기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며, n은 폴리실록산의 중량평균분자량(Mw)이 1,000g/mol 내지 100,000g/mol로 되게 하는 1 이상의 정수이다.
예를 들어, 상기 폴리실록산은 디메틸폴리실록산 및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디메틸폴리실록산 및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3:7 내지 7:3이 되도록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가공 중 열화를 방지하고 오염을 최대한 방지하며 제3 부력성형체 조성물로 제조되는 제3 부력체(30)의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상기 산화방지제는 Tetrakis[methylene-3-(3,5-di-tert-butyl-4-hydroxyphenyl) propionate] methane, Tris(2,4-di-tert-butylphenyl) phosphite 및 1,2-bis(3,5-di-tert-butyl-4-hydroxyhydrocinnamoly) hydrazin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추(40)는 상기 부력체(10, 20 , 30)와 연결되고 일정한 질량을 가져 상기 바늘(50)을 포함하는 부력체(10, 20, 30)를 수중에서 하부로 침강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추(40)는 비중이 7 이상인 금속이나 금속 복합물로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추(40)의 구성은 공지의 기술인바 설명의 편의 및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명확성을 위하여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추(40)의 일단에는 고리(41)가 형성되는데, 상기 고리(40)는 부력체(10, 20, 30)와 연결된 클립(60)이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상기 바늘(50)을 포함하는 부력체(10, 20 , 30)가 추(4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클립(60)은 상기 다수개의 부력체(10, 20, 30), 구체적으로 제3 부력체(30)의 타단과 결합되고 추(40)에 형성된 고리(41)에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상기 바늘(50)을 포함하는 부력체(10, 20 , 30)가 추(4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낚시용 봉돌에 대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 실시예 >
다수개가 등각으로 배열되고 갈고리형으로 구성된 바늘, 상기 바늘과 연결된 제1 부력체, 제2 부력체 및 제3 부력체, 상기 제1 부력체, 제2 부력체 및 제3 부력체와 고리로 연결된 추 및 상기 제1 부력체, 제2 부력체 및 제3 부력체와 추에 형성된 고리를 결합하는 클립으로 구성된 문어 낚시용 봉돌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
다수개가 등각으로 배열되고 갈고리형으로 구성된 바늘, 상기 바늘과 연결된 부력체 및 상기 부력체와 연결된 추로 구성된 문어 낚시용 봉돌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른 문어 낚시용 봉돌에 대한 부력, 유동성, 편리성 등에 대하여 관능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점수 및 평가기준은 9점 채점법을 이용하였으며,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 관능평가에서 유동성은 흐르는 물에서 바늘이 상방으로 움직이는 정도를 측정하였으며, 편리성은 바늘이 낚시줄에 꼬이지 않고 문어를 용이하게 유인하는 정도로 측정하였다.
점수 평가 기준
9 매우 좋음
7 좋음
5 보통
3 나쁨
1 매우 나쁨
구분 부력 유동성 편리성 종합적 선호도
실시예 8.2 8.1 8.3 8.2
비교예 5.1 5.4 5.2 5.2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문어 낚시용 봉돌은 비교예에 따른 문어 낚시용 봉돌에 비해, 부력이 좋아 바늘을 상방으로 상승시켜 낚시줄 등과 꼬이는 것을 방지하고 유동성이 우수하여 문어를 용이하게 유인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봉돌 10; 제1 부력체
20; 제2 부력체 30; 제3 부력체
40; 추 41; 고리
50; 바늘 60; 클립

Claims (3)

  1. 다수개가 등각으로 배열되고 갈고리형으로 구성된 바늘(50);
    상기 바늘(50)과 연결되고 상기 바늘(50)이 수중에서 상부로 상승하는 부력을 제공하는 다수개의 부력체(10, 20, 30);
    상기 부력체(10, 20, 30)와 연결되고 일정한 질량을 가져 상기 바늘(50)을 포함하는 부력체(10, 20, 30)를 수중에서 하부로 침강시키는 추(40); 및
    상기 다수개의 부력체(10, 20, 30)와 추(40)를 결합하는 클립(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낚시용 봉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10, 20, 30)는 제1 부력체(10), 제2 부력체(20) 및 제3 부력체(30)를 포함하고, 상기 추(40)는 비중이 7 이상인 금속이나 금속 복합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낚시용 봉돌.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력체(10)는 폴리프로필렌 발포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부력체(20)는 상기 제1 부력체(10)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부력체(20)는 연질 폴리우레탄, 섬유, 변성 EVA 수지, MQ 레진, 고무, 탈크 및 안정제를 포함하는 제2 부력성형체 조성물을 혼합한 후 성형하여 형성되되, 상기 제2 부력성형체 조성물은 연질 폴리우레탄 180 내지 220 중량부, 섬유 1 내지 5 중량부, 변성 EVA 수지 10 내지 20 중량부, MQ 레진 5 내지 10 중량부, 고무 3 내지 7 중량부, 탈크 1 내지 3 중량부 및 안정제 0.1 내지 1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며, 상기 제3 부력체(30)는 상기 제2 부력체(20)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3 부력체(30)는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Diglycidyl Ether of Bisphenol A) 에폭시 수지, PMMA(Polymethyl Methacrylate) 수지 조성물,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충진제, 폴리실록산 및 산화방지제를 포함하는 제3 부력성형체 조성물을 혼합한 후 성형하여 형성되되, 상기 제3 부력성형체 조성물은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Diglycidyl Ether of Bisphenol A) 에폭시 수지 130 내지 170 중량부, PMMA(Polymethyl Methacrylate) 수지 조성물 80 내지 120 중량부,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 HDPE) 10 내지 30 중량부, 충진제 1 내지 5 중량부, 폴리실록산 1 내지 3 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0.1 내지 1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낚시용 봉돌.
KR1020220049932A 2022-04-22 2022-04-22 친환경 낚시용 봉돌 KR202301504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9932A KR20230150498A (ko) 2022-04-22 2022-04-22 친환경 낚시용 봉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9932A KR20230150498A (ko) 2022-04-22 2022-04-22 친환경 낚시용 봉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0498A true KR20230150498A (ko) 2023-10-31

Family

ID=88543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9932A KR20230150498A (ko) 2022-04-22 2022-04-22 친환경 낚시용 봉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0498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361B1 (ko) 2014-10-16 2014-12-08 김용수 재활용 금속분말을 이용한 문어낚시용 친환경 봉돌 및 그 제조장치
KR101528534B1 (ko) 2014-09-29 2015-06-16 이중남 친환경 어구용 봉돌 및 그 제조방법
KR101901271B1 (ko) 2016-11-01 2018-11-05 김용수 문어 낚시용 봉돌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8534B1 (ko) 2014-09-29 2015-06-16 이중남 친환경 어구용 봉돌 및 그 제조방법
KR101470361B1 (ko) 2014-10-16 2014-12-08 김용수 재활용 금속분말을 이용한 문어낚시용 친환경 봉돌 및 그 제조장치
KR101901271B1 (ko) 2016-11-01 2018-11-05 김용수 문어 낚시용 봉돌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7116B1 (ko) 중공 유리 미소구체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조성물
ES2204561T3 (es) Composiciones de mezclas poliuretano.poliolefina compatibles termoplasticas.
KR100756349B1 (ko) 나일론계 수지 복합재
JP2013515102A (ja) フレキシブルチューブ材料およびその材料を製造する方法
KR20160104652A (ko) 중공 유리 미소구체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
CN107722448B (zh) 利用天然纤维的汽车内饰材料用复合组合物
KR20170123319A (ko) 중공 유리 미소구체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조성물 및 이와 관련된 물품 및 방법
WO2021027523A1 (zh) 一种高填充热塑性树脂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DE2659357A1 (de) Schlagzaehe thermoplastische formmassen
KR20100050486A (ko) 증가된 가요성 케이블 절연을 위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및 실란 공중합체의 가교성 블렌드
US6235840B1 (en) Nylon modifiers having enhanced flow properties
EP1939246B1 (en) Polyolefin composition comprising silicon-containing filler
KR20230150498A (ko) 친환경 낚시용 봉돌
JP2006508214A (ja) エンジニアリング熱可塑性樹脂/ポリオレフィンブレンドの相溶化剤
KR20080075152A (ko) 연질-경질 성형 물품
JP2008088374A (ja) ホイールキャップ
KR101183366B1 (ko) 재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것을 포함하는 성형체
WO1996020247A1 (en) CROSS-LINKED POLYMER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PROPYLENE-ETHYLENE COPOLYMER AND AN ETHYLENE-α-OLEFIN COPOLYMER
KR960003280B1 (ko) 연질 열가소성 조성물
RU2408630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месевой полиамидной композиции
KR100490834B1 (ko) 가교화 회전성형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KR100533542B1 (ko)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 조성물
CN114127188A (zh) 用于非充气轮胎的温度稳定的聚合物共混物
KR100843607B1 (ko) 촉감이 우수한 표면특성을 갖는 올레핀계 열가소성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3096245A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該組成物からなる成形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