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0139A - 조리용기용 착탈식 양수 손잡이 - Google Patents

조리용기용 착탈식 양수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0139A
KR20230150139A KR1020220049721A KR20220049721A KR20230150139A KR 20230150139 A KR20230150139 A KR 20230150139A KR 1020220049721 A KR1020220049721 A KR 1020220049721A KR 20220049721 A KR20220049721 A KR 20220049721A KR 20230150139 A KR20230150139 A KR 202301501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achable
handle
cooking vessel
unit
detachab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9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경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스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스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스피스
Priority to KR1020220049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0139A/ko
Publication of KR20230150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013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2Bowl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1Saucepan, frying-pan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착탈식 양수 손잡이(100)는, 조리용기의 몸체 또는 손잡이에 착탈이 가능한 착탈부(11)가 일단에 형성되며,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여 상기 조리용기의 몸체 또는 손잡이에 부착되거나,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착탈유닛(10); 상기 착탈유닛(10)을 수용하면서, 내부에서 상기 착탈유닛(10)이 회전 작동할 수 있는 작동공간(21) 및 상기 착탈유닛(10)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회전축(22)이 형성된 하우징(20); 상기 착탈유닛(10)의 일측과 상기 하우징(20)의 상측 내벽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착탈유닛(10)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부재(30); 및 상기 착탈유닛(10)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하우징(20)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가 가압할 경우, 상기 회전축(22)을 중심으로 상기 착탈부(11)가 하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조리용기의 몸체 또는 손잡이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스위치(4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리용기용 착탈식 양수 손잡이{Removable two-handed handle for cooking vessel}
본 발명은 조리용기용 착탈식 양수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리용기에는 사용자가 조리용기를 쉽게 들어올릴 수 있도록 구성되며, 아울러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부착되어 있는데, 일측에만 손잡이가 부착된 조리용기를 편수형 조리용기라 하고 양측에 각각 손잡이가 부착된 조리용기를 양수형 조리용기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손잡이가 조리용기에 고정된 상태로 부착된 경우에는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하여 조리용기를 가열할 때 고온의 열이 손잡이로 전달되어 손잡이가 뜨거워지게 된다. 이처럼 뜨거워진 손잡이를 그대로 잡을 경우에는 화상의 우려가 있으므로, 행주나 두꺼운 장갑 등을 이용하여 조리용기를 들어올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조리용기를 잡는 동작이 불안정하여 조리용기를 떨어뜨릴 수 있는데, 이 경우 조리가 끝난 음식물을 버려야 하고 뜨거운 음식물 및 조리용기가 튀어 신체에 접촉됨으로써 화상의 우려도 있다.
그리고, 조리용기에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된 경우에는 외부로 돌출된 손잡이로 인해 보관시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고, 조리용기를 세척할 때 손잡이 부근에 이물질이 끼어 부패할 수 있어 위생상으로도 양호하지 못한 점이 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손잡이를 조리용기와 별도로 제작하여 필요할 때에만 조리용기에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착탈식 손잡이가 개발되고 있으며, 후술하는 특허문헌에 다양한 종류의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가 기재되어 있다.
종래의 특허문헌 1은 조리용기에 부착되어진 손잡이 걸이구와 탈부착식 손잡이간의 연결고정부위 고정력을 일층 향상시켜 안전성을 높이고 록킹수단의 구조를 간소화시켜 조립을 신속 간편하게 이룸은 물론 원가를 절감하도록 한 조리용기 손잡이가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조리용기 손잡이는 손잡이 걸이구가 조리용기에 나사로 부착되어 있어, 조리용기 내부의 나사 주위가 오염될 수 있고 세척하기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특허문헌 2와 3은 한 번의 조작으로 록킹 및 해제를 수행하여 착탈이 간편하고 기어와 스토퍼로 록킹이 유지되어 조리용기의 두께와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는 조리용기용 손잡이를 기재되어 있다.
상기한 특허문헌 2와 3의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는 빗살형 걸림홈과 톱니형 걸림돌기가 치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조리용기 두께에 따라 착탈편 위치를 매번 조절해야 하는 사용상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1-0000210호(공고일자 2001.12.24.)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3457호(공고일자 2003.02.07.) 등록특허공보 제10-0716595호(공고일자 2007.05.10.)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리용기의 몸체 또는 손잡이에 착탈시키기 위한 내부 구조가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한 단순하면서 편리한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조하기 매우 용이하여 제조 원가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사용상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착탈식 양수 손잡이(100)는, 조리용기의 몸체 또는 손잡이에 착탈이 가능한 착탈부(11)가 일단에 형성되며,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여 상기 조리용기의 몸체 또는 손잡이에 부착되거나,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착탈유닛(10); 상기 착탈유닛(10)을 수용하면서, 내부에서 상기 착탈유닛(10)이 회전 작동할 수 있는 작동공간(21) 및 상기 착탈유닛(10)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회전축(22)이 형성된 하우징(20); 상기 착탈유닛(10)의 일측과 상기 하우징(20)의 상측 내벽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착탈유닛(10)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부재(30); 및 상기 착탈유닛(10)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하우징(20)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가 가압할 경우, 상기 회전축(22)을 중심으로 상기 착탈부(11)가 하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조리용기의 몸체 또는 손잡이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스위치(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착탈식 양수 손잡이(100)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은, 내부에 상기 조리용기의 몸체 또는 손잡이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23);이 형성되며, 사용자가 스위치(40)를 용이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치(40)가 배치된 부분에 내측으로 함몰된 가압공간(24);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착탈식 양수 손잡이(100)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40)를 상측 방향으로 가압할 경우, 상기 착탈유닛(10)이 회전부를 중심으로 하측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탄성부재(30)가 수축되어 상기 착탈부(11)가 상기 조리용기의 몸체 또는 손잡이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40)에서 가압을 해제할 경우, 상기 탄성부재(3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스위치(40)가 원래 위치로 복귀하면서, 상기 착탈유닛(10)이 회전부를 중심으로 상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착탈식 양수 손잡이(100)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은 하측 내벽과 상기 착탈유닛(10) 사이에 상기 착탁유닛의 타측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25);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40)를 가압할 경우, 상기 착탈유닛(10)이 일정 범위 내에서 회전 작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착탈식 양수 손잡이(100)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30)는 상기 탈착유닛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프링(31); 상기 스프링(31)의 내측에 삽입되며, 상기 하우징(20)의 상측 내벽과 연결되어 상부에서 상기 스프링(31)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1고정부(32); 상기 제1고정부(32)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면서 상기 스프링(31)의 내측에 삽입되며, 상기 착탈유닛(10)의 타측과 연결되어 하부에서 상기 스프링(31)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조리용기의 몸체 또는 손잡이에 착탈시키기 위한 내부 구조가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한 단순하면서 편리한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조하기 매우 용이하여 제조 원가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착탈부(11)를 조리용기의 손잡이(A)에 끼운 상태에서, 밀착시킬 경우, 착탈부(11)가 벌어지면서 탄성부재(30)의 탄성력에 의해 조리용기의 손잡이(A)를 파지하여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누구나 손쉽게 조리용기의 손잡이(A)를 파지 또는 부착시킬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부착(파지)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분리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부착(파지)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분리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착탈식 양수 손잡이(100)는, 조리용기의 몸체 또는 손잡이에 착탈이 가능한 착탈부(11)가 일단에 형성되며,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여 상기 조리용기의 몸체 또는 손잡이에 부착되거나,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착탈유닛(10); 상기 착탈유닛(10)을 수용하면서, 내부에서 상기 착탈유닛(10)이 회전 작동할 수 있는 작동공간(21) 및 상기 착탈유닛(10)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회전축(22)이 형성된 하우징(20); 상기 착탈유닛(10)의 일측과 상기 하우징(20)의 상측 내벽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착탈유닛(10)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부재(30); 및 상기 착탈유닛(10)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하우징(20)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가 가압할 경우, 상기 회전축(22)을 중심으로 상기 착탈부(11)가 하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조리용기의 몸체 또는 손잡이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스위치(40);를 포함한다.
착탈유닛(10)은 조리용기의 몸체 또는 손잡이에 착탈이 가능한 착탈부(11)가 일단에 형성되며,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여 상기 조리용기의 몸체 또는 손잡이에 부착되거나,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착탈부(11)는 조리용기의 몸체 또는 손잡이에 밀착시킬 경우, 탄성부재(30)의 탄성력에 의해 조리용기의 몸체 또는 손잡이에 파지 또는 부착되면서 고정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착탈부(11)는 조리용기의 몸체 또는 손잡이에 밀착이 용이하도록 상면이 말단으로부터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착탈부(11)는 상면에 뾰족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조리용기의 손잡이(A)에 형성된 구멍(H)에 끼워지는 착탈팁(11a)이 형성될 수 있어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착탈유닛(10)은 회전축(22)과 결합된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측에 위치하며, 일단에 착탈부(11)가 형성된 제1작동부(12)와,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타측에 위치하며, 타단에 스위치(40)가 형성된 제2작동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작동부(13)의 상면 중심부 측에 탄성부재(3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작동부(12)는 회전축(22)을 기준으로 제2작동부(13)보다 더 상측에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조리용기의 몸체 또는 손잡이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는 것이다.
하우징(20)은 상기 착탈유닛(10)을 수용하면서, 내부에서 상기 착탈유닛(10)이 회전 작동할 수 있는 작동공간(21) 및 상기 착탈유닛(10)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회전축(22)이 형성된 구성으로, 본 발명의 전체적인 외관을 이루는 구성이다.
따라서, 하우징(20)은 상기 각 구성들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하우징(20)은 내부에 착탈유닛(10)을 수용하면서 착탈유닛(10)이 회전 작동할 수 있도록 작동공간(21)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착탈식 양수 손잡이(100)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은, 내부에 상기 조리용기의 몸체 또는 손잡이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23);이 형성되며, 사용자가 스위치(40)를 용이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치(40)가 배치된 부분에 내측으로 함몰된 가압공간(24);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하우징(20)의 내부에 조리용기의 몸체 또는 손잡이의 일부가 삽입되기 때문에 고정력을 높일 수 있어 조리용기의 몸체 또는 손잡이를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20)에 가압공간(24)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조리용기의 몸체 또는 손잡이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스위치(40)를 가압하기 용이하기 때문에 사용상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탄성부재(30)는 상기 착탈유닛(10)의 일측과 상기 하우징(20)의 상측 내벽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착탈유닛(10)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 탄성력을 가지는 스프링(3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착탈식 양수 손잡이(100)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30)는 상기 탈착유닛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프링(31); 상기 스프링(31)의 내측에 삽입되며, 상기 하우징(20)의 상측 내벽과 연결되어 상부에서 상기 스프링(31)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1고정부(32); 상기 제1고정부(32)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면서 상기 스프링(31)의 내측에 삽입되며, 상기 착탈유닛(10)의 타측과 연결되어 하부에서 상기 스프링(31)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탄성부재(30)는 스프링(31)을 기준으로 상부에 제1고정부(32)가 배치되며, 하부에 제2고정부(33)가 배치되면서 제1고정부(32)와 제2고정부(33)는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구조인 것이다. 이에 따라, 탄성부재(30)는 착탈유닛(10)에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착탈유닛(10)이 조리용기의 손잡이(A)에 부착되어 있을 때, 고정력을 높일 수 있게 되며, 착탈유닛(10)을 조리용기의 손잡이(A)로부터 분리시킨 후, 착탈유닛(10)이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착탈식 양수 손잡이(100)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40)를 상측 방향으로 가압할 경우, 상기 착탈유닛(10)이 회전축(22)를 중심으로 하측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탄성부재(30)가 수축되어 상기 착탈부(11)가 상기 조리용기의 몸체 또는 손잡이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40)에서 가압을 해제할 경우, 상기 탄성부재(3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스위치(40)가 원래 위치로 복귀하면서, 상기 착탈유닛(10)이 회전축(22)를 중심으로 상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착탈식 양수 손잡이(100)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은 하측 내벽과 상기 착탈유닛(10) 사이에 상기 착탁유닛의 타측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25)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40)를 가압할 경우, 상기 착탈유닛(10)이 일정 범위 내에서 회전 작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조리용기의 손잡이(A)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 스위치(40)를 사용자가 눌러서 스위치(40)를 상측으로 작동하면, 지지부(25)가 착탈유닛(10)을 지지하면서 지렛대의 원리와 같이, 회전축(22)을 중심으로 제1작동부(12)가 회전하여 하측 방향으로 작동되기 때문에 착탈부(11)를 사용자가 조리용기의 손잡이(A)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착탈부(11)를 조리용기의 손잡이(A)에 끼운 상태에서, 밀착시킬 경우, 착탈부(11)가 벌어지면서 탄성부재(30)의 탄성력에 의해 조리용기의 손잡이(A)를 파지하여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누구나 손쉽게 조리용기의 손잡이(A)를 파지 또는 부착시킬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 : 조리용기용 착탈식 양수 손잡이
10 : 착탈유닛
11 : 착탈부
11a : 착탈팁
12 : 제1작동부
13 : 제2작동부
20 : 하우징
21 : 작동공간
22 : 회전축
23 : 삽입공간
24 : 가압공간
25 : 지지부
30 : 탄성부재
31 : 스프링
32 : 제1고정부
33 : 제2고정부
40 : 스위치
A : 조리용기의 손잡이
H : 구멍

Claims (5)

  1. 조리용기의 몸체 또는 손잡이에 착탈이 가능한 착탈부(11)가 일단에 형성되며,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여 상기 조리용기의 몸체 또는 손잡이에 부착되거나,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착탈유닛(10);
    상기 착탈유닛(10)을 수용하면서, 내부에서 상기 착탈유닛(10)이 회전 작동할 수 있는 작동공간(21) 및 상기 착탈유닛(10)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회전축(22)이 형성된 하우징(20);
    상기 착탈유닛(10)의 일측과 상기 하우징(20)의 상측 내벽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착탈유닛(10)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부재(30); 및
    상기 착탈유닛(10)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하우징(20)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가 가압할 경우, 상기 회전축(22)을 중심으로 상기 착탈부(11)가 하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조리용기의 몸체 또는 손잡이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스위치(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착탈식 양수 손잡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은, 내부에 상기 조리용기의 몸체 또는 손잡이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23);이 형성되며, 사용자가 스위치(40)를 용이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치(40)가 배치된 부분에 내측으로 함몰된 가압공간(2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착탈식 양수 손잡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40)를 상측 방향으로 가압할 경우, 상기 착탈유닛(10)이 회전부를 중심으로 하측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탄성부재(30)가 수축되어 상기 착탈부(11)가 상기 조리용기의 몸체 또는 손잡이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40)에서 가압을 해제할 경우, 상기 탄성부재(3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스위치(40)가 원래 위치로 복귀하면서, 상기 착탈유닛(10)이 회전부를 중심으로 상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착탈식 양수 손잡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은 하측 내벽과 상기 착탈유닛(10) 사이에 상기 착탁유닛의 타측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25);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40)를 가압할 경우, 상기 착탈유닛(10)이 일정 범위 내에서 회전 작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착탈식 양수 손잡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30)는 상기 탈착유닛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프링(31); 상기 스프링(31)의 내측에 삽입되며, 상기 하우징(20)의 상측 내벽과 연결되어 상부에서 상기 스프링(31)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1고정부(32); 상기 제1고정부(32)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면서 상기 스프링(31)의 내측에 삽입되며, 상기 착탈유닛(10)의 타측과 연결되어 하부에서 상기 스프링(31)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착탈식 양수 손잡이.
KR1020220049721A 2022-04-21 2022-04-21 조리용기용 착탈식 양수 손잡이 KR202301501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9721A KR20230150139A (ko) 2022-04-21 2022-04-21 조리용기용 착탈식 양수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9721A KR20230150139A (ko) 2022-04-21 2022-04-21 조리용기용 착탈식 양수 손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0139A true KR20230150139A (ko) 2023-10-30

Family

ID=88558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9721A KR20230150139A (ko) 2022-04-21 2022-04-21 조리용기용 착탈식 양수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0139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210U (ko) 1999-06-04 2001-01-05 신항우 조리용기 손잡이
KR200303457Y1 (ko) 2002-11-20 2003-02-07 최정호 조리용기용 손잡이
KR100716595B1 (ko) 2005-09-12 2007-05-10 이상호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210U (ko) 1999-06-04 2001-01-05 신항우 조리용기 손잡이
KR200303457Y1 (ko) 2002-11-20 2003-02-07 최정호 조리용기용 손잡이
KR100716595B1 (ko) 2005-09-12 2007-05-10 이상호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40789A (ko) 주방기구 배치부를 갖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뚜껑을 포함하는 조리기구
EP2494896A1 (en) Detachable handle for cooking vessels
JP2003503087A (ja) 取り外しできる取っ手を備えている料理用具
ES2248392T3 (es) Dispositivo amovible para agarrar, levantar, manipular y volcar utensilios de cocina con dos asas.
KR200323762Y1 (ko) 조리 용기용 손잡이
KR20100030481A (ko) 조리용기
US9149157B2 (en) Universal pot lid handling device and method
KR20230150139A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양수 손잡이
KR20150064336A (ko) 접시 및 받침판 기능이 되는 뚜껑
KR20060108597A (ko) 조리용기용 간이 손잡이
KR102655239B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101304960B1 (ko) 조리용기용 탈,부착 손잡이
KR200427913Y1 (ko) 조리용기용 다점지지 손잡이 및 이를 갖는 조리용기
KR20110007035U (ko) 조리용기용 탈부착 손잡이
JP5677199B2 (ja) 取出し具付き容器
KR200424567Y1 (ko) 조리용기용 탈부착 손잡이 및 이를 갖는 조리용기
KR200303451Y1 (ko) 냄비 손잡이
KR200215679Y1 (ko) 남비의 본체 손잡이 장치
KR200341650Y1 (ko) 조리 용기
JP6955247B2 (ja) 調理器具の耳状保持部材のための脱着可能な把持具
WO2008072863A1 (en) Detachable handles and structure of the vessels
KR20120110802A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JP3229086U (ja) 鍋蓋係止具を備えた鍋蓋
KR200238404Y1 (ko) 가스와 버너의 수납기능을 갖는 코펠
KR102580693B1 (ko) 분리형 손잡이가 구비된 조리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