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0693B1 - 분리형 손잡이가 구비된 조리용기 - Google Patents

분리형 손잡이가 구비된 조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0693B1
KR102580693B1 KR1020220032438A KR20220032438A KR102580693B1 KR 102580693 B1 KR102580693 B1 KR 102580693B1 KR 1020220032438 A KR1020220032438 A KR 1020220032438A KR 20220032438 A KR20220032438 A KR 20220032438A KR 102580693 B1 KR102580693 B1 KR 102580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ontainer
support
cooking vessel
b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2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 채 정
Original Assignee
(주)바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프코 filed Critical (주)바프코
Priority to KR1020220032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06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1Saucepan, frying-pan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2Bowl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손잡이가 구비된 조리용기는 음식물을 수용하는 용기부의 일측에 하부로 통과되며 그 하면을 지지하는 손잡이부를 구비하여 기존 복잡한 구조의 탈부착손잡이와 비교하여 구조를 간소화시켜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과 더불어 제작단가를 대폭 절감하고, 용기부와 손잡이부의 접촉부분에 다수의 요철구를 형성하여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분리형 손잡이가 구비된 조리용기 { Cooking vessel with detachable handle }
본 발명은 분리형 손잡이가 구비된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 복잡한 구조의 탈부착손잡이와 비교하여 구조를 간소화시켜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과 더불어 제작단가가 절감되도록 음식물을 수용하는 용기부의 일측에 하부로 통과되며 그 하면을 지지하는 손잡이부가 구비되고, 결합되는 접촉면의 결합력이 증가되도록 용기부와 손잡이부의 접촉부분에 다수의 요철구가 형성된 분리형 손잡이가 구비된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용기는 원하는 음식을 조리할 때 사용하는 도구로서 조리하려는 재료를 조리용기에 넣은 후 열을 가열하여 원하는 음식을 조리하는 조리도구이다.
이러한 조리용기는 조리 후 가열된 용기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사용자의 손이 열로 인하여 화상을 입는 것이 방지되도록 손잡이가 구비되는데 손잡이는 조리용기의 양측 또는 일측에 볼트로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종래의 손잡이가 장착된 조리용기는 손잡이로 인하여 수납 및 보관시 공간의 면적이 불필요하게 증가 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 최근 조리용기에서 손잡이를 상황에 따라 탈부착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종리용기용 탈부착형 손잡이에 대한 기술문헌으로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494483호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종래의 탈부착형 손잡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의 일측에 돌출된 와이어브라켓형태인 본체손잡이(11)와, 상기 본체손잡이(11)가 삽입되도록 요입된 손잡이삽입홈(17e)이 형성된 하우징손잡이(17)로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손잡이(17)에는 상측에 하부로 눌려지는 누름해제버튼(14)과, 상기 누름해제버튼(14)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손잡이삽입홈(17e)에서 승하강하는 브라켓걸림구(15)와, 상기 브라켓걸림구(15)의 하부에 상기 브라켓걸림구(15)를 탄성적으로 승하강시키는 잠금유지스프링(18)으로 구성되어 상기 본체손잡이(11)가 상기 브라켓걸림구(15)로 삽입될 경우 상기 누름해제버튼(14)을 눌러 삽입시키고, 이후 누름해제버튼(14)을 놓으면 상기 잠금유지스프링(18)이 상기 브라켓걸림구(15)를 상승시키는 것으로 용기본체와 하우징손잡이(17)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탈부착형 손잡이는 하우징손잡이(11)의 구조가 복잡 즉, 하우징손잡이(11)의 내부에 승하강하는 브라켓걸림구(15) 및 누름해제버튼(14), 잠금유지스프링(18) 등 다양한 구조를 상호 조립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제작난이도가 상승하여 생산효율이 저하됨과 동시에 제작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탈부착형 손잡이는 용기본체를 상기 잠금유지스프링(14)의 탄성력만으로 지지함으로써, 용기본체가 무거워지는 경우 또는 외부에서 충격이 발생된 경우 상기 하우징손잡이(17)가 용기본체에서 원하지 않게 이탈되는 문제 즉, 사용시 용기본체와 하우징손잡이가 이탈되어 뜨거운 내용물로 인하여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을 수용하는 용기부의 일측에 하부로 통과되며 그 하면을 지지하는 손잡이부를 구비하여 기존 복잡한 구조의 탈부착손잡이와 비교하여 구조를 간소화시켜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과 더불어 제작단가를 대폭 절감하고, 용기부와 손잡이부의 접촉부분에 다수의 요철구를 형성하여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분리형 손잡이가 구비된 조리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손잡이가 구비된 조리용기는 음식물을 가열하며 조리하는 조리용기로서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일측면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된 연결편과, 상기 연결편의 일면에 상하로 관통된 연결공과, 상기 연결편의 일면에 상하로 관통된 나사체결공으로 이루어진 용기부와; 상기 연결편의 상면에 안착되는 판형상의 손잡이본체와, 상기 손잡이본체 일단부에 상기 연결공으로 삽입되도록 하부로 절곡된 삽입절곡구와, 상기 삽입절곡구의 하부에 상기 연결편의 하면이 지지되도록 일측방향으로 연장된 절곡지지구와, 상기 손잡이본체의 상면에 상하로 관통된 볼트체결공으로 이루어진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상부에 구비된 원통형상의 다이얼손잡이와, 상기 다이얼손잡이의 하부에 상기 볼트체결공을 관통하며 상기 나사체결공에 체결되는 체결볼트로 이루어진 볼트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편의 하면에는 상부방향으로 요입된 지지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절곡지지구의 상면에는 상기 절곡지지구가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지지걸림홈에 삽입되는 지지걸림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공에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도록 중심부가 연결된 중앙연결구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본체의 일단부에는 상기 중앙연결구가 삽입되도록 내측으로 요입된 요입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연결구의 양측에는 상기 요입절개부의 내측면을 지지하여 상기 손잡이본체의 흔들림이 방지되도록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지지돌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곡지지구의 전단면에는 상기 용기본체의 외주면에 상기 절곡지지구가 밀착되도록 상기 용기본체의 반경과 동일한 반경의 원호로 이루어진 밀착라운드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기본체의 일측면에는 내측방향으로 요입된 다수개의 용기요철구가 형성되고; 상기 밀착라운드면에는 상기 절곡지지구와 용기본체의 마찰력이 향상되도록 상기 용기요철구에 안착되는 다수개의 지지요철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이얼손잡이의 외주면에는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수직방향으로 요입된 다수개의 요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손잡이가 구비된 조리용기는 아래와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음식물을 수용하는 용기부의 일측에 탈부착되는 손잡이부를 구비함으로써, 손잡이부를 부착하여 뜨거워진 용기부를 안전하게 들어올리거나 보관시 손잡이부를 분리하여 보관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둘째, 상하로 관통된 연결공으로 삽입된 후 그 하면을 지지하는 삽입절곡구 및 절곡지지구를 형성하고, 그 상부에서 볼트를 체결하는 볼트부를 구비함으로써, 손잡이부와 용기부를 탈부착구조를 간편하게 구성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과 더불어 제작단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셋째, 중앙연결구의 양측에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지지돌구를 형성함으로써, 요입절개부의 내측면에 지지돌구가 밀착되어 손잡이본체가 전후방향을 축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무거운 중량의 용기부를 안전하게 들어올릴 수 있고,
넷째, 용기부와 손잡이부의 접촉면에 다수의 요철구를 형성함으로써, 접촉된 면에 마찰력을 증가시켜 용기부의 하중 및 충격으로 손잡이부가 회전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관한 탈부착손잡이를 나타내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손잡이가 분리된 것을 나타내 보인 상부 분해사시도 및 하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손잡이의 체결구조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 및 부분확대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A-A단면을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와 손잡이가 분리된 것을 나타내 보인 부분 분해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요철구를 나타내 보인 부분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손잡이가 구비된 조리용기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을 가열하며 조리하는 조리용기(100)로서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용기본체(111)와, 상기 용기본체(111)의 일측면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된 연결편(112)과, 상기 연결편(112)의 일면에 상하로 관통된 연결공(113)과, 상기 연결편(112)의 일면에 상하로 관통된 나사체결공(114)으로 이루어진 용기부(110)와; 상기 연결편(112)의 상면에 안착되는 판형상의 손잡이본체(121)와, 상기 손잡이본체(121)의 일단부에 상기 연결공(113)으로 삽입되도록 하부로 절곡된 삽입절곡구(122)와, 상기 삽입절곡구(122)의 하부에 상기 연결편(112)의 하면이 지지되도록 일측방향으로 연장된 절곡지지구(123)와, 상기 손잡이본체(121)의 상면에 상하로 관통된 볼트체결공(124)으로 이루어진 손잡이부(120)와; 상기 손잡이부(120)의 상부에 구비된 원통형상의 다이얼손잡이(131)와, 상기 다이얼손잡이(131)의 하부에 상기 볼트체결공(124)을 관통하며 상기 나사체결공(114)에 체결되는 체결볼트(132)로 이루어진 볼트부(13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편(112)의 하면에는 도 4와 같이 상부방향으로 요입된 지지걸림홈(115)이 형성되고; 상기 절곡지지구(123)의 상면에는 상기 절곡지지구(123)가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지지걸림홈(115)에 삽입되는 지지걸림돌기(125)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공(113)에는 도 5와 같이 한 쌍으로 이루어지도록 중심부가 연결된 중앙연결구(116)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본체(121)의 일단부에는 상기 중앙연결구(116)가 삽입되도록 내측으로 요입된 요입절개부(12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연결구(116)의 양측에는 도 6과 같이 상기 요입절개부(126)의 내측면을 지지하여 상기 손잡이본체(121)의 흔들림이 방지되도록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지지돌구(117)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절곡지지구(123)의 전단면에는 도 7과 같이 상기 용기본체(111)의 외주면에 상기 절곡지지구(123)가 밀착되도록 상기 용기본체(111)의 반경(θ)과 동일한 반경(θ)의 원호로 이루어진 밀착라운드면(127)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본체(111)의 일측면에는 도 8과 같이 내측방향으로 요입된 다수개의 용기요철구(118)가 형성되고; 상기 밀착라운드면(127)에는 상기 절곡지지구(123)와 용기본체(111)의 마찰력이 향상되도록 상기 용기요철구(118)에 안착되는 다수개의 지지요철구(128)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다이얼손잡이(131)의 외주면에는 도 2와 같이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수직방향으로 요입된 다수개의 요철부(133)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손잡이가 구비된 조리용기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손잡이가 구비된 조리용기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을 가열하며 조리하는 조리용기(100)이다.
이때, 상기 조리용기(100)에는 음식물을 수용하는 용기부(110)와 상기 용기부(110)의 일측에 탈부착되며 상기 용기부(110)를 들어주는 손잡이부(120)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손잡이부(120)를 부착하여 뜨거워진 용기부(110)를 안전하게 들어올리거나 보관시 손잡이부(120)를 분리하여 보관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용기부(110)의 연결편(112)에 상하로 관통된 연결공(113)을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부(120)의 일단부에 하부로 절곡된 삽입절곡구(122)와, 상기 삽입절곡구(122)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절곡지지구(123)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연결공(113)으로 상기 절곡지지구(123)를 통과시키는 것만으로 상기 손잡이부(120)와 용기부(110)를 쉽게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절곡지지구(123)의 상면은 상기 연결편(112)의 하면을 지지하게 됨으로써, 상기 용기부(110)의 하중을 안전하게 지지하며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이후, 상기 볼트체결공(124)을 관통하며 상기 나사체결공(114)에 체결되는 체결볼트(132)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연결공(113)으로 통과된 손잡이부(120)가 흔들리거나 회전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체결볼트(132)의 상부에는 다이얼손잡이(131)가 구비되는데 상기 다이얼손잡이(131)의 외주면에 다수의 요철부(133)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다이얼손잡이(131)를 회전시킬 경우 마찰력을 증가시켜 볼트부(130)를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편(112)의 하면에는 도 4와 같이 상부방향으로 요입된 지지걸림홈(115)이 형성되고, 상기 절곡지지구(123)의 상면에는 상기 지지걸림홈(115)에 삽입되는 지지걸림돌기(125)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절곡지지구(123)가 상기 지지걸림홈(115)에 안착되어 일측으로 이탈되거나 회전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공(113)에는 도 5와 같이 한 쌍으로 이루어지도록 중심부가 연결된 중앙연결구(116)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본체(121)의 일단부에는 상기 중앙연결구(116)가 삽입되도록 내측으로 요입된 요입절개부(126)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연결공(113)으로 통과된 손잡이부(120)가 수직방향을 축으로 회전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연결구(116)의 양측에는 도 6과 같이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지지돌구(117)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요입절개부(126)의 내측면에 상기 지지돌구(117)가 밀착되는 것으로 상기 손잡이본체(121)의 흔들림 즉, 전후방향을 축으로 회전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절곡지지구(123)의 전단면에는 도 7과 같이 상기 용기본체(111)의 직경(θ)과 동일한 직경(θ)의 밀착라운드면(127)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용기본체(111)의 외주면에 상기 절곡지지구(123)를 밀착시켜 손잡이부(120)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본체(111)의 일측면에 도 8과 같이 내측방향으로 요입된 다수개의 용기요철구(118)와 상기 밀착라운드면(127)에 상기 용기요철구(118)에 안착되는 다수개의 지지요철구(128)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절곡지지구(123)의 전단면과 용기본체(111)의 외주면에 마찰력을 증가시켜 수직방향을 축으로 회전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조리용기 110 : 용기부
111 : 용기본체 112 : 연결편
113 : 연결공 114 : 나사체결공
115 : 지지걸림홈 116 : 중앙연결구
117 : 지지돌구 118 : 용기요철구
120 : 손잡이부 121 : 손잡이본체
122 : 삽입절곡구 123 : 절곡지지구
124 : 볼트체결공 125 : 지지걸림돌기
126 : 요입절개부 127 : 밀착라운드면
128 : 지지요철구 130 : 볼트부
131 : 다이얼손잡이 132 : 체결볼트
133 : 요철부

Claims (7)

  1. 음식물을 가열하며 조리하는 조리용기(100)에 있어서,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용기본체(111)와, 상기 용기본체(111)의 일측면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된 연결편(112)과, 상기 연결편(112)의 일면에 상하로 관통된 연결공(113)과, 상기 연결편(112)의 일면에 상하로 관통된 나사체결공(114)으로 이루어진 용기부(110)와;
    상기 연결편(112)의 상면에 안착되는 판형상의 손잡이본체(121)와, 상기 손잡이본체(121)의 일단부에 상기 연결공(113)으로 삽입되도록 하부로 절곡된 삽입절곡구(122)와, 상기 삽입절곡구(122)의 하부에 상기 연결편(112)의 하면이 지지되도록 일측방향으로 연장된 절곡지지구(123)와, 상기 손잡이본체(121)의 상면에 상하로 관통된 볼트체결공(124)으로 이루어진 손잡이부(120)와;
    상기 손잡이부(120)의 상부에 구비된 원통형상의 다이얼손잡이(131)와, 상기 다이얼손잡이(131)의 하부에 상기 볼트체결공(124)을 관통하며 상기 나사체결공(114)에 체결되는 체결볼트(132)로 이루어진 볼트부(130)로 구성되고;
    상기 절곡지지구(123)의 전단면에는 상기 용기본체(111)의 외주면에 상기 절곡지지구(123)가 밀착되도록 상기 용기본체(111)의 반경과 동일한 반경의 원호로 이루어진 밀착라운드면(127)이 형성되며;
    상기 용기본체(111)의 일측면에는 내측방향으로 요입된 다수개의 용기요철구(118)가 형성되고; 상기 밀착라운드면(127)에는 상기 절곡지지구(123)와 용기본체(111)의 마찰력이 향상되도록 상기 용기요철구(118)에 안착되는 다수개의 지지요철구(12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손잡이가 구비된 조리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편(112)의 하면에는 상부방향으로 요입된 지지걸림홈(115)이 형성되고;
    상기 절곡지지구(123)의 상면에는 상기 절곡지지구(123)가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지지걸림홈(115)에 삽입되는 지지걸림돌기(12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손잡이가 구비된 조리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공(113)에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도록 중심부가 연결된 중앙연결구(116)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본체(121)의 일단부에는 상기 중앙연결구(116)가 삽입되도록 내측으로 요입된 요입절개부(12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손잡이가 구비된 조리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연결구(116)의 양측에는 상기 요입절개부(126)의 내측면을 지지하여 상기 손잡이본체(121)의 흔들림이 방지되도록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지지돌구(117)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손잡이가 구비된 조리용기.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손잡이(131)의 외주면에는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수직방향으로 요입된 다수개의 요철부(13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손잡이가 구비된 조리용기.
KR1020220032438A 2022-03-16 2022-03-16 분리형 손잡이가 구비된 조리용기 KR102580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438A KR102580693B1 (ko) 2022-03-16 2022-03-16 분리형 손잡이가 구비된 조리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438A KR102580693B1 (ko) 2022-03-16 2022-03-16 분리형 손잡이가 구비된 조리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0693B1 true KR102580693B1 (ko) 2023-09-20

Family

ID=88191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2438A KR102580693B1 (ko) 2022-03-16 2022-03-16 분리형 손잡이가 구비된 조리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069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440U (ja) * 1993-10-20 1995-05-23 パール金属株式会社 鍋、フライパン等の着脱把手構造
KR200323762Y1 (ko) * 2003-06-03 2003-08-19 권만현 조리 용기용 손잡이
KR101027486B1 (ko) * 2010-11-19 2011-04-06 이상만 조리용기용 손잡이
KR102294097B1 (ko) * 2020-04-24 2021-08-26 박정원 포켓 결합식 분리형 손잡이를 갖는 조리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440U (ja) * 1993-10-20 1995-05-23 パール金属株式会社 鍋、フライパン等の着脱把手構造
KR200323762Y1 (ko) * 2003-06-03 2003-08-19 권만현 조리 용기용 손잡이
KR101027486B1 (ko) * 2010-11-19 2011-04-06 이상만 조리용기용 손잡이
KR102294097B1 (ko) * 2020-04-24 2021-08-26 박정원 포켓 결합식 분리형 손잡이를 갖는 조리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51452B2 (ja) 積み重ね可能な調理器具用ハンドルおよびそのようなハンドルと器具とのセット
US2863037A (en) Electric coffee cup
US5887751A (en) Detachable cookware handle
CN103565261A (zh) 具有改进控制设备的用于在压力下烹调食物的烹调器具
US20130025470A1 (en) Utensil with simplified handling
KR101528452B1 (ko) 탈착식 손잡이
KR20030046427A (ko) 2개의 손잡이를 갖춘 조리 기구를 파지하고, 들어올리고,취급하고, 기울이기 위한 착탈가능한 장치
KR102580693B1 (ko) 분리형 손잡이가 구비된 조리용기
JP6033964B2 (ja) 調理容器用着脱式取っ手
JP2014036838A (ja) 着脱式容器取っ手
KR200323762Y1 (ko) 조리 용기용 손잡이
KR20150064336A (ko) 접시 및 받침판 기능이 되는 뚜껑
KR101165816B1 (ko) 조리용기
KR102138829B1 (ko) 조립성을 향상시킨 이중조리용기 및 이중조리용기 제조방법
KR102308622B1 (ko) 매입 인서트편에 의한 바텀캡 조립 구조를 구비한 이중조리용기 및 이중조리용기 제조방법
CN211507743U (zh) 烹饪器具
KR20210088178A (ko) 매입 인서트편에 의한 바텀캡 조립 구조와 가열 효율 향상 구조를 구비한 이중조리용기
CN209661261U (zh) 烹饪器具的蒸盘、蒸盘组件及烹饪器具
KR101202930B1 (ko) 조리용기의 탈,부착 손잡이
JP5962966B2 (ja) 電気加熱調理器
KR200303451Y1 (ko) 냄비 손잡이
CN215127113U (zh) 手柄和锅具
KR200472929Y1 (ko)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
CN219720385U (zh) 烹饪器具
JP2008284027A (ja) スタッキング構造を有する電気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