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0210U - 조리용기 손잡이 - Google Patents

조리용기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0210U
KR20010000210U KR2019990009878U KR19990009878U KR20010000210U KR 20010000210 U KR20010000210 U KR 20010000210U KR 2019990009878 U KR2019990009878 U KR 2019990009878U KR 19990009878 U KR19990009878 U KR 19990009878U KR 20010000210 U KR20010000210 U KR 2001000021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locking
cooking vessel
locking member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98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56649Y1 (ko
Inventor
신항우
Original Assignee
신항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항우 filed Critical 신항우
Priority to KR20199900098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6649Y1/ko
Publication of KR200100002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02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66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66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8Heat-insulating handles

Landscapes

  • Cooker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9-3600호의 개량고안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조리용기(냄비,후라이팬등등)를 이동시키기 위한 손잡이를 조리용기 몸체로 부터 자유롭게 원타치로 탈부착시켜 보관이나 조리용기 수납시 공간활용을 극대화 시킴은 물론, 조리용기와 탈부착식 손잡이간의 연결고정부위를 이루는 강판의 절곡걸이편이 조리용기 외주면 상단에 설치되어진 손잡이 걸이구 끼움공에 밑에서 부터 밀어올려 넓은 면적으로 끼움고정되도록 하고 손잡이 걸이구 상면에 록킹부재의 록킹판이 걸쳐지도록 안전 잠금수단을 간구하고 있는바, 이는 연결고정부위의 걸림면적이 넓어 충격이나 강한 흔들림에도 손잡이 연결고정부위가 쉽게 빠지지 않고 강판의 절곡걸이편이 손잡이 걸이구 하부에서 지지하는 형태로 끼움되어져 있어 설사 잠금수단이 없더라도 냄비 이동에는 별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잠금수단인 록킹부재를 구성하는 구성원을 사출성형하여 일체로 구성함으로서 조립이 용이하고 상호 구조적 연계동작이 견고하여 고장이 발생되지 않을뿐만 아니라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리용기 손잡이{A handle care of health container}
본 고안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9-3600호의 개량고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용기에 부착되어진 손잡이 걸이구와 탈부착식 손잡이간의 연결고정부위 고정력을 일층 향상시켜 안전성을 높이고 록킹수단의 구조를 간소화시켜 조립을 신속간편하게 이룸은 물론 원가를 절감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조리용기는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제조된 후라이팬이나 냄비등을 보편적으로 널리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조리용기는 조리대상물인 각종 음식물이 넣어지는 몸체를 구성하고 상부 개방부는 필요에 따라 뚜껑을 덮어 사용하기도한다.
아울러, 몸체 외면 상단 양측으로 돌출하는 양수 또는 단수 손잡이를 리벳과 같은 체결수단을 통해 견고히 부착고정하고 있는 것이며, 이러한 조리용기는 가스레인지나 별도의 밀폐된 조리실을 구비한 전자레인지 및 오븐레인지와 같은 조리기의 조리실 내부에 넣고 열원(고주파나 화염)을 통해 소망하는 조리를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통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조리용기를 들어올리거나 이동하기 위한 양수 및 단수 손잡이가 몸체 외면 상단 측면으로 일정길이 돌출한 상태로 리벳과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고정상태로 견고히 부착되어져 있어 일정한 면적을 갖도록 설계된 협소한 조리실을 구비한 전자레인지나 오븐레인지를 사용함에 있어, 고정형 손잡이에 의한 걸리적 거림과 조리실 도어 닫힘에 많은 지장을 초래하고 손잡이가 조리실내에서 상당한 면적을 차지하고 있어 유효면적 감소로 인한 조리용기 수납효율을 저해하는 것이다.
한편, 조리를 완료한 조리용기를 조리실로 부터 취출함에 있어 뜨거워진 손잡이를 그대로잡을때 화상을 입을 우려가 있고, 화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필히 별도의 취출도구 예컨데, 장갑이나 클램프등을 이용하여 꺼내야 하는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가중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소코져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9-3600호가 고안되어 출원되었던 것이다.
상기한 선출원 고안을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조리용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손잡이를 조리용기로 부터 자유롭게 원타치로 탈부착시켜 필요에따라 밀폐된 조리실에 수납함에 있어 손잡이를 떼내어 조리실 면적을 최소로 줄여 많은 조리용기를 수납토록하고, 조리가 완료된후에 재차 손잡이를 원타치로 부착하여 취출함으로써, 기존과 같이 손잡이의 열변형을 방지하고 가열된 손잡이로 인한 사용자의 화상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함과, 손잡이를 조리용기에 탈부착하여 이동함에 있어 흔들림이나 충격으로 부터 쉽게 손잡이가 떨어지지 못하도록 안전수단을 간구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선출원 고안(실용신안등록출원 제99-3600호)에 있어 손잡이를 구성하는 상,하부케이스 접면부위 사이에 개재된 강판 선단의 절곡걸림편이 조리용기 냄비본체 측면에 부착되어진 고정편 상단 끼움장공에 끼움고정되어 걸어지며, 상부케이스 전방 공간부상에 설치되어진 버튼의 조작에 따라 슬라이더잠금부재가 측방향으로 슬라이드 동작하면서 선단 걸림돌기가 고정편 일단 하부에 선택적으로 걸려 손잡이가 위쪽으로 들어올려지지 않도록 록킹하고 있는 것이다.
아울러 하방으로 눌러 슬라이더잠금부재의 동작을 제어하는 안전수단인 버튼은 슬라이더잠금부재 사이에 압축스프링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어 슬라이더잠금부재의 동작을 멈추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조리용기와 손잡이간의 연결고정부위가 단순히 냄비몸체 측면으로 부착되어진 고정편과 손잡이 전방으로 돌출되어진 강판의 선단 절곡걸림편 및 슬라이더잠금부재의 선단 걸림돌기만으로 고정되어져 있는바, 이는 걸림면적이 적고 잦은 사용시 안전버튼을 통한 슬라이더잠금부재의 측방향 슬라이드 동작이 정확하게 일어나지 않아 충격이나 작은 흔들림에도 슬라이더잠금부재의 선단 걸림돌기가 고정편 일단으로 부터 빠져나와 조리용기 이동시 손잡이 록킹이 해재되어 용기 내부의 뜨거운 음식물에 의한 화상을 입을 수 있는 것이며, 실질적으로 손잡이의 록킹을 제어하는 슬라이더잠금부재와 이를 동작하는 버튼이 별개로 제작하여 내부에 압축스프링을 개재한 상태에서 끼움결합하고 있어 구조적으로 취약하고 정확한 동작은 물론 쉽게 파손되거나 원활한 동작을 수행할 수 없는 것이며, 버튼을 탄력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압축스프링이 버튼과 슬라이더잠금부재 내부에 개재되어 있어 조립성이 저하되고 부품수 증가로 인한 원가상승의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본 출원인의 선출원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9-3600호의 미미점을 보안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조리용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손잡이를 조리용기로 부터 자유롭게 원타치로 탈부착되도록 하여 조리실에 수납함에 있어 공간활용을 효율적으로 이룸은 물론, 조리용기 측면에 설치된 손잡이 걸이구와 손잡이 전방 걸이수단간의 결합부위 고정을 견고하게 하여 조리용기의 안정된 이동을 이룰 수 있도록 하고 연결고정부위 잠금수단인 록킹부재의 구조를 간소화하여 조립 및 분해를 용이하게 하고 작업성이 우수함은 물론 원가를 절감하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손잡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손잡이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손잡이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손잡이 정단면도.
도 5는 도 4의 요부발췌 확대단면도로써, 록킹부재에 의한 손잡이 록킹해제를 보여준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부호 A 는 냄비 몸체에 선택적으로 탈부착되어 조리용기를 이동시키는 조리용기 손잡이(A)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조리용기 손잡이는 일측 내부에 공간(11)을 형성하고 공간 직상부에 관통하는 장공(12)을 천공하여서 된 상부케이스(10)를 구성하고, 고정볼트(도시는 생략함.)나 딸깍이 결합과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케이스와 결합하되, 일측으로 상부케이스의 공간(11)과 상호 연통하는 공간(21)을 갖는 하부케이스(20)를 구비한다.
아울러, 상기 상,하부케이스(10)(20)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기에 적합하도록 인체공학적으로 외형을 설계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 접면부에 개재되어지되, 일측단부에 절곡걸이편(31)을 구비한 금속재의 강판(30)을 마련하며, 강판의 외형은 상기한 상,하부케이스와 부합되도록 제작한다.
이상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9-3600호 손잡이 구성을 설명한 것이며, 본 고안은 다만 상기 손잡이 걸이구(2) 양측으로 플랜지를 구성하여 조리용기 몸체(1)에 고정수단으로 고정설치하고 내부에 관통하는 슬리트 형태의 끼움공(2b)이 천공된 융기부(2a)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강판 절곡걸이편(31)을 끼움공 하부에서부터 밀어올려 삽입되도록 절곡형성하고, 상기 상,하부케이스 공간내에 록킹부재(40)를 설치하여 이의 동작에 따라 조리용기의 손잡이 걸이구(2) 상면에 선택적으로 걸쳐지도록 슬라이딩 동작하면서 절곡걸이편의 빠짐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의 록킹부재(40)는 상부케이스 장공(11) 일측으로 마련되어진 걸림턱(13)에 선택적으로 걸려 고정되는 걸림돌기(41a)를 일측에 형성하는 탄동걸림편(일종의 판스프링 역할을 수행한다.)(41)을 형성하고, 상부케이스(10) 장공내에서 유동하면서 탄동걸림편(41)의 걸림돌기(41a) 걸림동작을 제어하는 버튼(42)을 마련하는 한편, 상기 버튼의 측방향 슬라이딩 동작에 따라 연동하면서 손잡이 걸이구 상면에 선택적으로 걸쳐지는 금속재의 록킹판(44)을 고정하는 고정편(43)으로 구성되며, 상기한 탄동걸림편(41)과 버튼(42) 및 고정편(43)은 상호 일체로 사출성형하여 구성하도록 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45 는 록킹부재를 일측으로 밀어주는 압축스프링을 도시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우선 상부케이스(10)와 하부케이스(20) 접면부위에 강판(30)을 개재한후 상,하부케이스 공간(11)(21)내에 록킹부재(40)를 설치한 상태에서 고정볼트와 같은 결합수단을 이용 체결하여 손잡이를 구성하게 되며, 이렇게 결합된 손잡이(A)를 사용하여 필요에따라 조리용기 손잡이 걸이구(2)에 탈부착시켜 용기를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동작상태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4와 같이 사용자가 손잡이(A)를 잡고 상부케이스 장공(12)으로 부터 일정높이 돌출된 록킹부재의 버튼(42)을 엄지손가락으로 눌러 상부케이스 장공 일측 걸림턱(13)에 걸려 고정되어진 탄동걸림편(41) 일측 걸림돌기(41a)의 걸림력을 해제시킨 상태에서 후방으로 이동시키며, 이때 버튼(42)과 연동하는 록킹판(44) 또한 록킹부재 후방에 개재되어진 압축스프링(45)을 압축하면서 후방으로 밀려가도록 되는 것이다.
그후 손잡이 걸이구 용기부(2a) 끼움공(2b) 하측에서부터 강판 일측의 절곡걸이편(31)을 밀어올려 끼움공에 넓게 면접된상태로 끼워지며, 이때 엄지손가락으로 잡고 있던 버튼(42)을 놓으면 압축되었던 압축스프링(45)에 의해 록킹부재의 록킹판(44)이 전방을 향해 튀어나오면서 손잡이 걸이구 상면에 걸쳐져 강판의 절곡걸이편이 밑으로 빠지지 못하고 견고하게 고정설치되는 것이다.
상기한 동작에 있어 록킹부재의 탄동걸림편(41) 일측 걸림돌기(41a)가 상부케이스 장공 일측의 걸림턱(13) 내부에 탄력적으로 걸려 재차 버튼을 조작하지 않는한 록킹판(44)이 손잡이 걸이구(2) 상면에 걸쳐진상태에서 유동하지 못하는 것이다.
한편, 부착되어진 손잡이(A)를 떼어낼때는 도 5와 같이 우선 손잡이를 잡은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으로 버튼(42)을 눌러 탄동걸림편의 일측 걸림돌기를 상부케이스 장공 일측의 걸림턱(13)으로 부터 걸림을 해제시킨상태에서 후방으로 밀어주면 압축스프링이 압축됨과 동시에 손잡이 걸이구(2) 상면에 걸쳐져 있던 록킹판 또한 연동하여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결국에는 강판의 절곡걸이편(31)이 빠지도록 되는 것이다.
이렇게 설명된 구성을 갖는 탈부착식 손잡이는 비단 조리용기 뿐만 아니라 이동을 목적으로 하여 손잡이를 필요로 하는 물품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되어진 본 고안은 조리용기(냄비,후라이팬등등)를 이동시키기 위한 손잡이를 조리용기 몸체로 부터 자유롭게 원타치로 탈부착시켜 보관이나 조리용기 수납시 공간활용을 극대화 시킴은 물론, 조리용기와 탈부착식 손잡이간의 연결고정부위를 이루는 강판의 절곡걸이편이 조리용기 외주면 상단에 설치되어진 손잡이 걸이구 끼움공에 밑에서 부터 밀어올려 넓은 면적으로 끼움고정되도록 하고 손잡이 걸이구 상면에 록킹부재의 록킹판이 걸쳐지도록 안전 잠금수단을 간구하고 있는바, 이는 연결고정부위의 걸림면적이 넓어 충격이나 강한 흔들림에도 손잡이 연결고정부위가 쉽게 빠지지 않고 강판의 절곡걸이편이 손잡이 걸이구 하부에서 지지하는 형태로 끼움되어져 있어 설사 잠금수단이 없더라도 냄비 이동에는 별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잠금수단인 록킹부재를 구성하는 구성원을 사출성형하여 일체로 구성함으로서 조립이 용이하고 상호 구조적 연계동작이 견고하여 고장이 발생되지 않을뿐만 아니라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 것이다.

Claims (3)

  1. 일측 내부에 공간(11)을 형성하고 공간 직상부에 관통하는 장공(12)을 천공하여서 된 상부케이스(10)와, 상기 상부케이스와 결합하되 일측으로 상부케이스의 공간과 상호 연통하는 공간(21)을 갖는 하부케이스(20)와,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 접면부에 개재되어지되 일측단부에 조리용기 외주면 상단에 부착된 손잡이 걸이구에 끼움고정되는 절곡걸이편(31)을 구비한 강판(30)등으로 이루어진 조리용기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걸이구(2)는 조리용기 몸체(1)에 고정수단으로 고정설치되는 플랜지부를 양측에 형성하고 내부에 끼움공(2b)이 천공된 융기부(2a)를 구성하며, 강판 절곡걸이편(31)을 끼움공 하부에서부터 밀어올려 삽입되도록 절곡형성하고, 상기 상,하부케이스 공간(11)(21)내에 록킹부재(40)를 설치하여 이의 동작에 따라 조리용기의 손잡이 걸이구(2) 상면에 슬라이딩 동작하면서 절곡걸이편의 빠짐을 제어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손잡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40)는 상부케이스(10) 장공 일측으로 마련되어진 걸림턱(13)에 선택적으로 걸려 고정되는 걸림돌기(41a)를 일측에 형성하는 탄동걸림편(41)과, 상부케이스 장공(12)내에서 유동하면서 탄동걸림편의 걸림돌기 걸림동작을 제어하는 버튼(42)과, 상기 버튼의 측방향 슬라이딩 동작에따라 연동하면서 손잡이 걸이구(2) 상면에 선택적으로 걸쳐지는 록킹판(44)을 고정하는 고정편(43)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손잡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40)의 탄동걸림편(41)과 버튼(42) 및 고정편(43)은 상호 일체로 사출성형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손잡이.
KR2019990009878U 1999-06-04 1999-06-04 조리용기 손잡이 KR2002566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9878U KR200256649Y1 (ko) 1999-06-04 1999-06-04 조리용기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9878U KR200256649Y1 (ko) 1999-06-04 1999-06-04 조리용기 손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210U true KR20010000210U (ko) 2001-01-05
KR200256649Y1 KR200256649Y1 (ko) 2001-12-24

Family

ID=54763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9878U KR200256649Y1 (ko) 1999-06-04 1999-06-04 조리용기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6649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278B1 (ko) * 2010-03-26 2010-10-18 이종주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WO2012044078A2 (en) * 2010-09-28 2012-04-05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display method, and multimedia transmission 10 method
KR101598300B1 (ko) 2014-11-05 2016-02-26 양원준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200491879Y1 (ko) 2018-12-20 2020-06-24 양원준 조리용기 뚜껑
KR20210136723A (ko) * 2020-05-08 2021-11-17 주식회사 실바트 조리용기 손잡이
KR20220020503A (ko) 2020-08-12 2022-02-21 양원준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20230147347A (ko) 2022-04-14 2023-10-23 주식회사 디스피스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20230150139A (ko) 2022-04-21 2023-10-30 주식회사 디스피스 조리용기용 착탈식 양수 손잡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8869B1 (ko) * 2013-05-21 2014-04-23 양원준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101570707B1 (ko) 2014-07-30 2015-11-20 양원준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101587937B1 (ko) * 2014-09-05 2016-01-22 주식회사 해피콜 조리용기 손잡이
KR102486565B1 (ko) * 2021-10-25 2023-01-10 주식회사 이씨티 착탈식 냄비 손잡이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278B1 (ko) * 2010-03-26 2010-10-18 이종주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WO2012044078A2 (en) * 2010-09-28 2012-04-05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display method, and multimedia transmission 10 method
WO2012044078A3 (en) * 2010-09-28 2012-06-07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display method, and multimedia transmission 10 method
KR101598300B1 (ko) 2014-11-05 2016-02-26 양원준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200491879Y1 (ko) 2018-12-20 2020-06-24 양원준 조리용기 뚜껑
KR20210136723A (ko) * 2020-05-08 2021-11-17 주식회사 실바트 조리용기 손잡이
KR20220020503A (ko) 2020-08-12 2022-02-21 양원준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20230147347A (ko) 2022-04-14 2023-10-23 주식회사 디스피스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20230150139A (ko) 2022-04-21 2023-10-30 주식회사 디스피스 조리용기용 착탈식 양수 손잡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6649Y1 (ko) 2001-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56649Y1 (ko) 조리용기 손잡이
US5429039A (en) Multipurpose cooker
CA2345186C (en) Versatile surface heating cartridge for cooking appliance
KR100971872B1 (ko) 조리용기의 탈부착형 손잡이
US11399665B2 (en) Removable cookware handle
CN103565261A (zh) 具有改进控制设备的用于在压力下烹调食物的烹调器具
CN109681927A (zh) 一种多功能智能集成灶台
US20120024165A1 (en) Side door switching mechanism for a toaster
KR200463179Y1 (ko) 냄비
KR20000017904U (ko) 음식물 조리용기 손잡이
CN215502432U (zh) 一种具有新型隔板的多功能锅
KR102296337B1 (ko) 누름판을 구비하는 다용도 조리기구
JP5855044B2 (ja) 加熱調理容器
KR20000017954U (ko) 조리용기 손잡이
CN217243896U (zh) 一种空气炸和空气烤两用的烹饪器具
CN209996065U (zh) 烤箱
CN203028997U (zh) 多用途节能锅盖
KR200491221Y1 (ko) 탈착식 뚝배기 파지구
CN215686964U (zh) 烹饪器具
CN211408618U (zh) 烹饪器具
KR20060045049A (ko) 가열조리기
CN215820571U (zh) 烹饪器具
CN216429272U (zh) 烤箱门把手结构
CN211049153U (zh) 一种燃气烤炉
CN215686962U (zh) 烹饪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