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9459A - 연성의 튜브 교정 및 절단시스템 - Google Patents

연성의 튜브 교정 및 절단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9459A
KR20230149459A KR1020220048691A KR20220048691A KR20230149459A KR 20230149459 A KR20230149459 A KR 20230149459A KR 1020220048691 A KR1020220048691 A KR 1020220048691A KR 20220048691 A KR20220048691 A KR 20220048691A KR 20230149459 A KR20230149459 A KR 202301494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hole
correction
rot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8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갑영
유세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씨
Priority to KR1020220048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9459A/ko
Publication of KR20230149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94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00Straightening or restoring form of metal rods, metal tubes, metal profiles,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whether or not in combination with sheet metal parts
    • B21D3/02Straightening or restoring form of metal rods, metal tubes, metal profiles,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whether or not in combination with sheet metal parts by rollers
    • B21D3/05Straightening or restoring form of metal rods, metal tubes, metal profiles,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whether or not in combination with sheet metal parts by rollers arranged on axes rectangular to the path of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 B23K26/38Removing material by boring or cut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연성의 튜브 교정 및 절단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관을 위해 코일형태로 권취 시 곡선 상으로 연장되는 금속소재로 된 연성 튜브를 권취해제하여 직선상으로 연장되게 교정한 후 설정된 길이로 절단할 수 있는 연성의 튜브 교정 및 절단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연성의 튜브 교정 및 절단시스템은 회전되는 회전체의 중공부 내로 곡률을 갖도록 연장된 튜브를 연속적으로 직선상으로 관통이송시켜, 튜브가 이송되면서 동시에 직진도가 교정될 수 있어 간결한 구조로 관형상의 튜브의 직진도를 교정할 수 있으며 관리 및 조작효율이 높은 이점이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연성의 튜브 교정 및 절단시스템은 회전제의 튜브교정툴과 제1 및 제2진퇴부가 메인회전부재와 함께 회전되되 메인회전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운동이 이루어지면서 튜브가 교정되므로 튜브교정툴에 튜브가 접촉되는 시간이 확장되므로 교정작업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연성의 튜브 교정 및 절단시스템{Flexible tube straightening and cutting system}
본 발명은 연성의 튜브 교정 및 절단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관을 위해 코일형태로 권취 시 곡선 상으로 연장되는 금속소재로 된 연성 튜브를 권취해제하여 직선상으로 연장되게 교정한 후 설정된 길이로 절단할 수 있는 연성의 튜브 교정 및 절단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라디에이터(radiator)나 에어컨의 콘덴서(condenser)와 같은 내연기관의 냉각시스템에는 가스나 냉각수 등의 냉매를 흘려 순환시킬 수 있도록 내부에 복수의 유로가 형성되고 우수한 열전도성 및 경량성 등의 특징으로 갖는 알루미늄을 소재로 제작된 알루미늄 튜브를 설치하여 사용한다.
알루미늄 튜브는 코일형태로 권취되어 보관되는데,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기 위하여, 코일형태로 권취 시 곡률을 갖도록 길이연장된 알루미늄 튜브를 직선상으로 편 후 절단해주어야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55182호에는 코일형태로 권취된 알루미늄 튜브를 권취해제하여 교정수단을 통해 교정 후 절단하는 알루미늄 튜브 절단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알루미늄 튜브 절단장치는 판상의 알루미늄 튜브의 직진도를 교정하여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는 것으로, 원형관 형상의 알루미늄 튜브를 교정하여 절단하는데 적합하지 않으며, 판상의 알루미늄 튜브가 상하 및 좌우로 배치된 다수의 롤러에 가압되어 교정되므로 구조가 복잡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7629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연선의 튜브 교정 및 절단장치를 개발한 바 있으며, 지금까지 관련 장치를 지속적으로 연구 개발하여 후속 출원하기에 이르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53017호 : 알루미늄 튜브 절단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간결한 구조로 원형 관형상의 알루미늄 튜브의 직진도를 교정 및 절단할 수 있으며, 특히 직진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연성의 튜브 교정 및 절단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연성의 튜브 교정 및 절단시스템은코일 형태로 권취된 연성의 튜브가 거치되는 튜브공급부와; 상기 튜브의 직경에 대응되게 관통된 튜브교정공을 가지며, 상기 튜브공급부에서 권취 해제되어 상기 튜브교정공으로 진입된 상기 튜브의 직진도가 교정되게 길이연장 방향을 축으로 회전되는 회전되는 회전체를 포함하는 직진도 교정부와; 상기 직진도 교정부를 통하여 직진도가 교정된 상기 튜브를 레이저를 이용하여 절단하는 튜브 절단부와; 상기 튜브공급부의 상기 튜브가 권취해제되어 상기 직진도 교정부를 지나 상기 튜브절단부로 관통 연장되도록 상기 튜브를 이송시키기 위한 당김구동모터를 포함하는 튜브 이송부와; 상기 회전체 및 상기 당김구동모터의 구동축의 회전속도를 감지하여 상기 튜브 교정 및 이송상태 모니터링 하는 모니터링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체는 상기 튜브공급부와 상기 튜브절단부가 이격된 방향으로 길이연장되고 중심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튜브가 관통 연장되도록 내측이 관통형성되되 상기 튜브의 직경에 대응되게 관통된 튜브교정공을 가지며, 상기 튜브교정공으로 진입된 상기 튜브의 직진도가 교정되게 길이연장 방향을 축으로 회전되며, 상기 직진도 교정부는 상기 회전체의 양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및 제2회전지지브라켓과; 상기 제1회전지지브라켓에 대해 돌출된 상기 회전체의 일측이 중심으로 관통 장착되는 회전종동풀리와; 상부에 상기 제1 및 제2회전지지브라켓이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 상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종동풀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종동풀리와 연결되는 회전구동모터;를 더 구비하며, 상기 회전체는 상기 제1 및 제2회전지지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중공부가 형성된 메인회전유닛과, 상기 튜브의 직경에 대응하여 상기 튜브를 교정할 수 있도록, 상기 중공부 내로 진입되게 상기 메인회전유닛에 횡방향으로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튜브교정공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직진도교정툴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회전유닛은 일단측이 상기 회전종동풀리와 결합되게 상기 제1회전지지브라켓을 관통하는 풀리결합부와, 상기 풀리결합부 타단측에서 상기 제1 및 제2회전지지브라켓 사이로 연장되고 상기 풀리결합부보다 외경이 확장되는 회전몸체부를 포함하며, 내측이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메인회전부재와; 상기 메인회전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회전부재 내로 관통 장착되며 상기 튜브가 관통연장되게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된 제1교정가이드공이 형성된 제1튜브가이드바와, 상기 제2회전지지브라켓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몸체부 내로 연장되며 내측이 갈이방향을 따라 관통된 제2교정가이드공이 형성되며 상기 메인회전부재 내에서 상기 제1튜브가이드바와 이격되는 제2튜브가이드바를 구비하고, 상기 직진도 교정툴은 상기 제1튜브가이드바와 상기 제2튜브가이드바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튜브교정공이 상기 제1 및 제2교정가이드공과 직선상으로 연통되게 상기 회전몸체부의 횡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몸체부는 길이방향 중심측 일측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타원형상으로 관통되어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는 교정툴지지홀과, 길이방향 중심측 타측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연장부와,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연장부에 직교하는 제2연장부를 갖도록 관통되어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는 십자형상의 교정툴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직진도 교정툴은 상기 교정툴 지지홀의 폭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교정출지지홀에 상기 회전몬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서 상기 제2연장부와 나란하되 상기 제2연장부보다 좁은 폭으로 돌출되며 중심측에 상기 튜브교정공이 형성된 교정플레이트와, 상기 교정플레이트의 단부에서 돌출되어 너트와 결합되는 나사결합부와, 상기 제1 및 제2튜브가이드바와 마주하는 상기 교정플레이트의 양측면에 상기 튜브교정공의 둘레를 따라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튜부가이드바의 단부가 삽입지지되는 복수의 지지링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튜브가이드바는 일측이 상기 풀리결합부에 삽입되어 고정 장착되며 내측에 상기 튜브가 이동가능하게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되 길이방향 타측의 직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제1이동가이드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이동가이드공이 단턱지게 직경이 확장되어 내주면에 형성된 제1턱의 단부에서 상기 제1이동가이드공의 둘레로 인입형성되는 링형상의 제1진퇴가이드홈이 형성된 제1회전부재결합부와, 상기 제1진퇴가이드홈에 수용되는 제1탄성스프링과, 일단이 상기 교정플레이트의 일면에 형성된 상기 지지링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튜브교정공과 연통되며 상기 튜브가 이동가능하며 상기 제1이동가이드공과 연통되어 상기 제1이동가이드공과 함께 상기 제1교정가이드공을 형성하는 제2이동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진퇴가이드홈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길이방향 일단측이 상기 제1진퇴가이드홈에 수용되어 상기 제1탄성스프링에 지지되며, 상기 제2이동가이드공의 길이방향 일측의 직경이 단턱지게 확장되어 상기 제1턱과 마주하는 제2턱이 형성된 제1진퇴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튜브가이드바는 상기 제2회전지지브라켓에 제자리 회전가능하게 관통하며 상기 회전몸체부와 함께 회전가능하게 상기 회전몸체부에 삽입결합되고, 내측에 상기 튜브가 이동가능하게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제3이동가이드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3이동가이드공의 길이방향 일측의 직경이 단턱지게 확장되어 내주면에 형성된 제3턱의 단부에서 상기 제3이동가이드공의 둘레로 인입 형성되는 링 형상의 제2진퇴가이드홈이 형성된 제2회전부재결합부와, 상기 제2진퇴가이드홈에 수용되는 제2탄성스프링과, 일단이 상기 교정플레이트의 타면에 형성된 상기 지지링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튜브교정공과 연통되며 상기 튜브가 이동가능하며 상기 제3이동가이드공과 연통되어 상기 제3이동가이드공과 함께 상기 제2교정가이드공을 형성하는 제4이동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진퇴가이드홈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길이방향 일단측이 상기 제2진퇴가이드홈에 수용되어 상기 제2탄성스프링에 지지되며, 상기 제4이동가이드공의 길이방향 일측의 직경이 단턱지게 확장되어 상기 제3턱과 마주하는 제4턱이 형성된 제2진퇴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연성의 튜브 교정 및 절단시스템은 회전되는 회전체의 중공부 내로 곡률을 갖도록 연장된 튜브를 연속적으로 직선상으로 관통이송시켜, 튜브가 이송되면서 동시에 직진도가 교정될 수 있어 간결한 구조로 관형상의 튜브의 직진도를 교정할 수 있으며 관리 및 조작효율이 높은 이점이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연성의 튜브 교정 및 절단시스템은 회전제의 튜브교정툴과 제1 및 제2진퇴부가 메인회전부재와 함께 회전되되 메인회전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운동이 이루어지면서 튜브가 교정되므로 튜브교정툴에 튜브가 접촉되는 시간이 확장되므로 교정작업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성의 튜브 교정 및 절단시스템에 대한 일부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연성의 튜브 교정 및 절단시스템에 대한 일부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연성의 튜브 교정 및 절단시스템에 대한 일부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연성의 튜브 교정 및 절단시스템에 대한 일부 평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연성의 튜브 교정 및 절단시스템의 교정유닛에 대한 일부분리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회전체에 대한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연성의 튜브 교정 및 절단시스템에 대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연성의 튜브 교정 및 절단시스템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성의 튜브 교정 및 절단시스템(10)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성의 튜브 교정 및 절단시스템(10)은 알류미늄 튜브와 같은 금속소재로 된 연성의 튜브(1)의 직진도를 교정한 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성의 튜브 교정 및 절단시스템(10)은 코일 형태로 권취된 연성의 튜브(1)가 거치되는 튜브공급부(20)와; 튜브(1)의 직경에 대응되게 관통된 튜브교정공(78)을 가지며, 튜브공급부(20)에서 권취 해제되어 튜브교정공(78)으로 진입된 튜브(1)의 직진도가 교정되게 길이연장 방향을 축으로 회전되는 회전되는 회전체(51)를 포함하는 직진도 교정부(50)와; 직진도 교정부(50)를 통하여 직진도가 교정된 튜브(1)를 레이저를 이용하여 절단하는 튜브 절단부(100)와; 튜브공급부(20)의 튜브(1)가 권취해제되어 직진도 교정부(50)를 지나 튜브절단부(100)로 관통 연장되도록 튜브(1)를 이송시키기 위한 당김구동모터(205)를 포함하는 튜브 이송부(150)와; 튜브이송부(150), 직진도 교정부(50) 및 튜브절단부(100)에 구동을 위한 조작부(230)와; 상기 회전체 및 상기 당김구동모터의 구동축의 회전속도를 감지하여 상기 튜브 교정 및 이송상태 모니터링 하는 모니터링 수단(300)을 구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성의 튜브 교정 및 절단시스템(10)은 직진도 교정부(50), 튜브 이송부(150), 튜브절단부(100) 및 조작부(230)가 설치되는 내부공간을 갖는 사각 형상의 베이스프레임(15)을 구비한다.
튜브공급부(20)는 도 1을 참고하면, 고정 프레임(21)과, 고정프레임(2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직회전축(22)과, 중심측이 수직회전축(22)과 결합되어 수직회전축(22)과 함께 회전가능하며 내측에 관통되게 코일형태로 권취된 튜브(1)를 지지하는 회전플레이트(23)와, 회전플레이트(23)의 상면에서 수직회전축(22)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동일간격 상호 이격되어 튜브(1)가 코일형태로 권취 되면서 형성되는 관통부(미도시) 측에 위치되어 회전플레이트(23)와 함께 회전되는 코일형태로 권취된 튜브(1)를 지지하는 다수의 회전지지바(24)를 구비한다.
회전플레이트(23)는 튜브(1)의 권취된 방향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코일형태로 권취된 튜브(1)가 권취해제되도록 한다.
튜브 이송부(150)는 튜브공급부(20)와 직진도 교정부(50) 사이에 설치되어 튜브(1)를 직진도 교정부(50) 측으로 당기는 제1튜브당김부(161)와, 직진도 교정부(50)와 튜브절단부(100) 사이에 설치되어 직진도 교정부(50)에서 교정되어 인출된 튜브(1)를 튜브절단부(100) 측으로 당기는 제2튜브당김부(181)와, 튜브공급부(20)에서 권취해제된 튜브(1)를 제1튜브당김부(161) 측으로 안내하는 튜브가이드부(151)와, 튜브당김구동부(200)를 구비한다.
튜브가이드부(151)는 튜브공급부(20)와 마주하는 베이스프레임(15)의 일측부에 돌출되게 장착되는 제1연장바(152)와, 제1연장바(152)의 측부에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되 직경선상이 튜브공급부(20)와 베이스프레임(15)를 향하도록 장착되며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인입되어 튜브공급부(20)에서 권취해제된 튜브(1)가 수용되는 가이드홈(154)이 형성되는 메인가이드롤러(153)와, 제1연장바(152)에서 튜브공급부(20) 방향으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바(155)와, 제2연장바(155)의 단부 측부에 상하로 배치되고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하 이격된 공간 사이로 튜브(1)를 안내하는 제1 및 제2보조가이드롤러(157,159)를 구비한다.
제1튜브당김부(161)는 도 3을 참고하면, 베이스프레임(15)의 상면 일측에 장착된다. 제1튜브당김부(161)는 튜브(1) 이송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관통되며 상하로 길이연장된 제1슬라이딩홀(163)이 형성된 제1당김부프레임(162)과, 제1슬라이딩홀(163)의 하부측에 수용되어 고정장착되는 제1고정블럭(164)과, 제1슬라이딩홀(163)의 상부측에 수용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이동블럭(165)과, 튜브(1) 이송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1이동블럭(165)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제1당김부프레임(162)에 대해 돌출되는 제1가압이송롤러(167)와, 튜브(1) 이송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1고정블럭(164)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제1당김부프레임(162)에 대해 돌출되는 제2가압이송롤러(169)와, 제1당김부프레임(162)의 상부에서 나사결합되어 제1슬라이딩홀(163)로 관통되며 단부가 제1이동블럭(165)과 결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튜브(1)의 직경에 대응하여 제1이동블럭(165)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1튜브밀착조절핸들(171)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1튜브당김부(161)는 제1당김부프레임(162)의 일측부에 장착되며 제1 및 제2가압이송롤러(167,169)와 마주하도록 돌출되며 튜브가이드부(151)에서 안내된 튜브(1)가 관통되는 제1튜브가이드공(173)이 형성된 제1가이드플레이트(172)와, 제1당김부프레임(162)의 타측부에 장착되며 제1 및 제2가압이송롤러(167,169)와 마주하도록 돌출되며 튜브(1) 이송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며 제1튜브가이드공(174)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형성되어 튜브(1)가 직진도 교정부(50)에 진입 전 나란하게 연장되도록 안내하는 제2 및 제3튜브가이드공(176,미도시)이 형성된 제2 및 제3가이드플레이트(175,177)를 포함하는 사각형상의 가이드프레임(174)을 구비한다.
제1 및 제2가압이송롤러(167,169)는 상하로 적층되며 상호 접촉되는 각 외주면에 튜브(1)의 일측부 또는 타측부가 밀착되어 수용되게 원주방향을 따라 인입되는 제1 및 제2이송유도홈(168,170)이 형성되어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튜브공급부(20)에서 권취 해제되는 튜브(1)를 직진도 교정부(50) 측으로 당긴다.
제2튜브당김부(181)는 베이스프레임(15)의 상면 타측에 장착된다. 제2튜브당김부(181)는 튜브(1) 이송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관통되며 상하로 길이연장된 제2슬라이딩홀(183)이 형성된 제1당김부프레임(182)과, 제2슬라이딩홀(183)의 하부측에 수용되어 고정장착되는 제2고정블럭(184)과, 제2슬라이딩홀(183)의 상부측에 수용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이동블럭(185)과, 튜브(1) 이송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2이동블럭(185)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제2당김부프레임(182)에 대해 돌출되는 제3가압이송롤러(187)와, 튜브(1) 이송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2고정블럭(184)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제2당김부프레임(182)에 대해 돌출되는 제4가압이송롤러(189)와, 제2당김부프레임(182)의 상부에서 나사결합되어 제2슬라이딩홀(183)로 관통되며 단부가 제2이동블럭(185)과 결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튜브(1)의 직경에 대응하여 제2이동블럭(185)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2튜브밀착조절핸들(191)을 구비한다.
제3 및 제4가압이송롤러(187,189)는 상하로 적층되며 상호 접촉되는 각 외주면에 튜브(1)의 일측부 또는 타측부가 밀착되어 수용되게 원주방향을 따라 인입되는 제3 및 제4이송유도홈(188,190)이 형성되어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후술되는 직진도교정부(50)의 회전체(51)에서 인출되는 튜브(1)를 상기 튜브 절단부(100)로 당긴다.
제1 내지 제4가압이송롤러(167,169,187,189)는 튜브(1)에 밀착되어 회전되면서 튜브(1)가 이송될 수 있도록 가압하되 튜브(1)의 횡단면 형상이 유지될 수 있도록 우레탄 또는 고무와 같은 신축가능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튜브당김구동부(200)는 제1고정블럭(164)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튜브(1)이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관통장착되어 제1당김부프레임에 대해 양측이 돌출되어 일단에 제2가압이송롤러(169)이 장착되는 제2롤러회전축(179)에 결합되는 제1당김종동풀리(201)와, 제2고정블럭(184)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튜브(1)이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관통장착되어 제2당김부프레임에 대해 양측이 돌출되어 일단에 제4가압이송롤러(189)이 장착되는 제4롤러회전축(199)에 결합되는 제2당김종동풀리(203)와, 베이스프레임(15)의 내부공간(16)에 설치되게 베이스프레임(15)의 상판(17)의 하면에 장착되는 당김구동모터(205)와, 당김구동모터(205)의 구동축(206)에 결합되는 당김구동풀리(207)와, 당김구동풀리(207)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제2가압이송롤러와 상기 제4가압이송롤러가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연결하는 튜브당김 구동벨트(209)를 구비한다.
베이스프레임(15)의 상판(17)에는 상하로 관통되며 제1당김종동풀리(201)와 제2당김종동풀리(203)가 이격된 방향으로 연장되어 튜브당김구동벨트(209)가 관통되는 제1밸트관통공(18)과, 제1튜브당김부(20)와 직진도 교정부(50) 사이를 상하로 관통하며 튜브(1)의 이송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밸트관통공(19)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성의 튜브 교정 및 절단시스템(10)은 베이스프레임(15)의 상판(17)의 튜브(1)가 이송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양측부에 장착되는 제1 및 제2고정레일(33,34)과, 제1 또는 제2고정레일(33,34)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되어 튜브공급부(20) 방향으로 베이스프레임(15)에 대해 인출가능한 제1 및 제2이동레일(31,32)과, 하방과 튜브가(1)가 이송되는 방향의 양측이 개방되며 튜브(1)가 이송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측부 하단에 각각 제1 및 제2이동레일(31,32)이 결합되어 제1 및 제2이동레일(31,32)과 함께 슬라이딩 이동가능하 안전커버(36)를 구비한다.
안전커버(36)는 베이스프레임(15)의 상판에 대해 돌출되는 직진도교정부(50)와, 튜브절단부(100)와, 튜브이송부(150)를 튜브(1) 이송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감쌀 수 있도록 터널형태로 형성된다.
도 1을 참고하면, 튜브당김구동부(200)는 제2당김종동풀리(203)의 수직하방에 위치되게 베이스프레임(15)의 상판(17) 하면에 장착되는 풀리지지프레임(212)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튜브당김구동벨트(209)에 연결되는 제3당김종동풀리(211)를 구비하나, 도시된 바와 다르게, 제3당김종동풀리(211)없이 당김구동풀리(207)가 제1 또는 당김종동풀리(201)의 수직하방에 위치되게 당김구동모터(205)가 베이스프레임(15)에 장착될 수도 있다.
직진도 교정부(50)는 튜브공급부(20)와 튜브절단부(100)가 이격된 방향으로 길이연장되고 중심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튜브(1)가 관통 연장되도록 내측이 관통형성되되 튜브(1)의 직경에 대응되게 관통된 튜브교정공(78)을 가지며, 튜브교정공(78)으로 진입된 튜브(1)의 직진도가 교정되게 길이연장 방향을 축으로 회전되는 회전체(51)와; 회전체(51)의 양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및 제2회전지지브라켓(81,84)과, 제1회전지지브라켓(81)에 대해 돌출된 회전체(51)의 일측이 중심으로 관통 장착되는 회전종동풀리(90)와, 상부에 제1 및 제2회전지지브라켓(81,84)이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15) 상에 설치되며 회전종동풀리(9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연결되는 회전구동모터(93)와, 회전구동모터(93)의 구동축(94)에 결합되는 회전구동풀리(95)와, 제2밸트관통공(19)를 관통하여 회전종동풀리(90)와 회전구동풀리(95)를 연결하는 회전구동벨트(97)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회전지지브라켓(81,84)은 제1튜브당김부(161)와 제2튜브당김부(181) 사이에 위치되게 메인프레임(15)의 상판(17)의 상면에 장착된다.
회전체(51)는 제1 및 제2회전지지브라켓(81,84)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중공부(55)가 형성된 메인회전유닛(52)과, 튜브(1)의 직경에 대응하여 튜브(1)를 교정할 수 있도록, 중공부(55) 내로 진입되게 메인회전유닛(52)에 횡방향으로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며 튜브교정공(78)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직진도교정툴(75)을 구비한다.
메인회전유닛(52)은 메인회전부재(54)와, 제1튜브가이드바(61)와, 제2튜브가이드바(66)를 구비한다.
메인회전부재(54)은 중공부가(55)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일단측이 회전종동풀리(90)와 결합되게 제1회전지지브라켓(81)을 관통하는 풀리결합부(56)와, 풀리결합부(56) 타단측에서 제1 및 제2회전지지브라켓(81,84)이 이격된 거리만큼 연장되고 풀리결합부(55)보다 큰 외경을 갖는 회전몸체부(57)를 포함한다.
제1튜브가이드바(61)는 메인회전부재(54)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메인회전부재(54) 내로 관통 장착되며 튜브(1)가 관통연장되게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된 제1교정가이드공(62)이 형성된다.
제2튜브가이드바(66)는 제2회전지지브라켓(84)을 관통하여 회전몸체부(57) 내로 연장되며 내측이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된 제2교정가이드공(67)이 형성되며, 메인회전부재(54) 내에서 제1튜브가이드바(61)와 이격된다.
메인회전부재(54)의 회전몸체부(57)는 길이방향 중심측의 일측부에 회전몸체부(57)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타원형상으로 관통되어 중공부(55)와 연통되는 교정툴 지지홀(58)과, 길이방향 중심측의 타측부에 회전몸체부(57)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연장부(59a)와 회전몸체부(57)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연장부(59a)에 직교하는 제2연장부(59b)를 갖도록 관통되어 중공부(55)와 연통되는 십자형상의 교정툴관통홀(59)을 구비한다.
직진도 교정툴(75)은 교정툴 지지홀(58)의 폭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교정툴지지홀(58)에 회전몸체부(57)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지지되는 헤드부(76)와, 헤드부(76)에서 제2연장부(59b)와 나란하되 제2연장부(59b)보다 좁은 폭으로 돌출되며 중심측에 튜브교정공(78)이 형성된 교정플레이트(77)와, 교정플레이트(77)의 단부에서 돌출되어 너트(80)와 결합되는 나사결합부(79)와, 상기 교정플레이트(77)의 제1 및 제2튜브가이드바(61,66)와 마주하는 양측면에 튜브교정공(78)의 둘레를 따라 돌출형성되어 제1 또는 제2튜브가이드바(61,66)의 단부가 삽입지지되는 복수의 지지링(80)을 구비한다.
교정툴 지지홀(58)은 도 6을 참고하면, 하부 폭이 단턱이게 좁아지게 형성되어, 교정툴 지지홀(58)을 형성하는 회전몸체부(57)의 내주면에 헤드부(76)의 상부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딩 이동지지턱(58a)이 형성된다.
그리고, 헤드부(76)는 정원 형상으로 형성되되, 교정툴지지홀(58)의 폭 방향 하부 양측면에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인입되되 슬라이딩이동지지턱(58a)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된 복수의 이동지지홈(76a)이 형성된다.
직진도 교정툴(75)은 교정하고자 하는 튜브(1)의 직경에 따라 메인회전부재(54)에 교체되어 장착될 수 있도록, 튜브교정공의 직경을 달리하는 다수 개가 구비된다.
직진도 교정툴(75)은 교정플레이트(77)와 나사결합부(79)가 교정툴 지지홀(58)로 진입되어 교정플레이트(77)의 하단이 제2연장부(59b)에 위치되고, 나사결합부(79)가 회전몸체부(57)에 대해 돌출되며 헤드부가 교정툴 지지홀(58)에 지지되도록, 회전몸체부(57)에 황방향으로 삽입된다.
직진도 교정툴(75)의 교정플레이트(77)는 제1튜브가이드바(62)와 제2튜브가이드바(67) 사이에 위치되며, 튜브교정공(78)이 제1 및 제2교정가이드공(62,67)과 동일 선상에 위치에서 연통된다.
튜브교정공(78)은 튜브(1)의 직경에 대응되게 일정한 직경으로 관통형성된 메인교정부(78a)와, 메인교정부(78)의 양단에서 상호 멀어질수로 외경이 확장되는 외경확장부(78b,78c)를 구비한다.
제1튜브가이드바(61)는 제1회전부재결합부(462)와, 제1진퇴부(469)와, 제1탄성스프링(486)을 구비한다.
제1회전부재결합부(462)는 일측이 메인회전부재(54)의 풀리결합부(56)에 삽입되어 고정 장착되며 내측에 튜브(1)가 이동가능하게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되 길이방향 타측의 직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제1이동가이드공(463)이 형성되며, 제1이동가이드공(463)이 단턱지게 직경이 확장되어 내주면에 형성된 제1턱(464)의 단부에서 제1이동가이드공(463)의 둘레로 인입형성되는 링형상의 제1진퇴가이드홈(465)이 형성된다.
제1탄성스프링(486)은 제1진퇴가이드홈(465)에 수용되어 제1진퇴부(467)를 탄성지지한다.
제1진퇴부(469)는 일단이 교정플레이트(77)의 일면에 형성된 지지링(80)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튜브교정공(78)과 연통되며 튜브(1)가 이동가능하며 제1이동가이드공(463)과 연통되어 제1이동가이드공(463)과 함께 제1교정가이드공(62)을 형성하는 제2이동가이드공(470)이 형성된다.
제1진퇴부(469)는 제1진퇴가이드홈(465)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관형상으로 형성되며, 길이방향 일단측이 제1진퇴가이드홈(465)에 수용되게, 제2이동가이드공(470)의 길이방향 일측의 직경이 단턱지게 확장되어 제1턱(464)과 마주하는 제2턱(472)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진퇴부(469)는 제1회전부재결합부(462)에 대해 메인회전부재(54)의 길이방향으로 진퇴가능하되, 메인회전부재(54) 및 제1회전부재결합부(462)와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제1진퇴부(469)의 일측 외주면에 돌출된 제1키(미도시)가 형성되고, 제1회전부재결합부(462)는 타단측 내주면에 외측으로 인입되며 제1진퇴부(469) 방향으로 개방되어 제1키가 메인회전부재(54)의 길이방향으로 진퇴가능하게 수용되는 제1키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제2튜브가이드바(66)는 제2회전부재결합부(492)와, 제2진퇴부(498)와, 제2탄성스프링(501)을 구비한다.
제2회전부재결합부(492)는 제2회전지지브라켓(84)에 제자리 회전가능하게 관통하며 메인회전부재(54)의 회전몸체부(57)와 함께 회전가능하게 회전몸체부(57)에 삽입결합되고, 내측에 튜브(1)가 이동가능하게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제3이동가이드공(493)이 형성되며 제3이동가이드공(493)의 길이방향 일측의 직경이 단턱지게 확장되어 내주면에 형성된 제3턱(494)의 단부에서 제3이동가이드공(493)의 둘레로 인입 형성되는 링 형상의 제2진퇴가이드홈(495)이 형성된다.
제2탄성스프링(501)은 제2진퇴가이드홈(495)에 수용되어 제2진퇴부(498)를 탄성지지한다.
제2진퇴부(498)은 일단이 교정플레이트(77)의 타면에 형성된 지지링(80)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튜브교정공(78)과 연통되며 튜브(1)가 이동가능하며 제3이동가이드공(493)과 연통되어 제3이동가이드공(493)과 함께 제2교정가이드공(67)을 형성하는 제4이동가이드공(499)이 형성된다.
제2진퇴부(498)는 제2진퇴가이드홈(495)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관형상으로 형성되며, 길이방향 일단측이 제2진퇴가이드홈(495)에 수용되게, 제4이동가이드공(499)의 길이방향 일측의 직경이 단턱지게 확장되어 제3턱(494)과 마주하는 제4턱(500)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진퇴부(498)는 제2회전부재결합부(492)에 대해 메인회전부재(54)의 길이방향으로 진퇴가능하되, 메인회전부재(54) 및 제2회전부재결합부(492)와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제2진퇴부(498)의 타측 외주면에 돌출된 제2키(미도시)가 형성되고, 제2회전부재결합부(492)은 일단측 내주면에 외측으로 인입되며 제2진퇴부(498) 방향으로 개방되어 제2키가 메인회전부재(54)의 길이방향으로 진퇴가능하게 수용되는 제2키홈(미도시)이 형성된다.
튜브절단부(100)는 베이스프레임(15)의 상판(17) 타측 상면에 장착되는 절단지지프레임(101)과, 제3 및 제4가압이송롤러(187,189)과 마주하도록 튜브(1) 이송방향의 직교하는 절단지지프레임(101)의 일측부에 장착되어 직진도 교정부(50)에서 인출되어 튜브이송부(150)에 당겨지면서 이송되는 튜브(1)를 지지하는 절단지지블럭(105)과, 절단지지프레임(101)의 상단에 설치되는 레이저 커팅기(110)를 구비한다.
절단지지블럭(105)은 상단이 제4가압이송롤러의 제4이송유도홈(190)에 대응되거나 하방에 위치되도록 절단지지프레임(101)에 장착되며, 직진도교정부(50)에 인접한 직육면체 형상의 제1지지블럭(106)과, 제1지지블럭(106)에 대해 커터의 두께 만큼 직진도교정부(50)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되게 절단지지프레임(101)에 장착되어 제1지지블럭(106)과 함께 빔관통홈(107)을 형성하는 제2지지블럭(108)을 구비한다.
제2지지블럭(108)은 상부 측이 상단으로 갈수록 절단지지프레임(101)에 대해 돌출된 길이가 감소되게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레이저절단기(110)에서 조사된 레이저 빔에 의해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 절단된 튜브(1)의 하강을 가이드한다.
튜브절단부(100)는 상하로 연장되며 튜브(1) 이송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폭을 가져 제2직진도교정부(50)와 마주하는 절단지지블럭(105)의 측부에 하부가 각각 장착되는 제4가이드플레이트(125)를 더 구비한다.
제4가이드플레이트(125)는 제3이송유도홈(188)과 제4이송유도홈(190)이 형합되는 위치에 관통형성된 제4튜브가이드공(126)이 형성된다.
조작부(230)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송속도와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복수의 속도조절레버와, 전원스위치와, 수동 및 자동 전환 레버와, 자동시작버튼, 자동정지버튼, 이송시작버튼, 회전시작버튼, 실린더구동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부(230)의 일측에는 이송속도 및 회전속도를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가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235)는 당김구동모터(205)의 회전속도에 고려하여 설정된 시간간격마다 레이저 빔(미도시)이 하강되게 레이저 커팅기(110)를 구동시키도록 적용된다.
제어부(235)는 속도조절레버에 설정된 이송속도에 마다 대응되는 절단시간간격이 설정되어, 조작부(230)의 자동시작버튼이 작업자에 의해 조작되면 설정된 이송속도에 대응하여 일정시간마다 이송되는 튜브(1)를 절단할 수 있다.
모니터링 수단(300)은 회전구동모터(93)의 구동축(94)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제어부(235)에 전달하는 제1회전감지센서(301)와, 당김구동모터(205)의 구동축(206) 회전수를 감지하여 제어부(235)에 전달하는 제2회전감지센서(302)와, 제1 및 제2회전감지센서(302)에서 제어부(235)로 전달된 회전수 정보를 관리서버(309)나 관리자 단말기(307)로 전달하는 통신부(305)를 구비한다.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307)에 회전구동모터(93)의 구동축(94)과 당김구동모터(205)의 구동축(206)의 회전수를 조절하기 위한 회전수 조작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제어부(235)는 통신부(305)를 통해 관리자 단말기(307)에서 전달된 상기 회전수 조작정보 전달받아, 회전구동모터(93)의 구동축(94)과 당김구동모터(205)의 구동축(206)의 회전수를 조작할 수 있도록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성의 튜브 교정 및 절단시스템(10)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작업자의 조작부(230) 조작 또는 관리자 단말기(307) 조작 의해 당김구동모터(205)와, 회전구동모터(93)가 구동될수 있다.
당김구동모터(205)가 구동되면, 당김구동풀리(207)가 회전되면서 튜브당김구동벨트(209)에 연결된 제1 및 제2당김종동풀리(201,203)가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고, 제2 및 제4가압이송롤러(169,189)도 함께 회전된다. 이에 의해 제2 또는 제4가압이송롤러(169,189)에 밀착된 제1 및 제2가압이송롤러(167,187)가 제2 또는 제4가압이송롤러(169,189)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작업자가 초기에 튜브공급부(20)에서 권취해제되는 튜브(1)를 튜브가이드(151)를 통해 제1가이드플레이트(172)의 제1튜브가이드공(173)으로 관통시켜 제1 및 제2가압이송롤러(167,169) 사이로 진입시킨다. 그러면 제1 및제2가압이송롤러(167,169) 사이로 진입된 튜브(1)는 직진도 교정부(50)로 이송되어 진입되고 튜브절단부(100) 방향으로 이송된다. 직진도 교정부(50)의 회전체(51)로 진입된 튜브(1)는 회전체의 튜브교정공(78)을 관통하는데, 회전체가 회전되면서 곡률을 갖는 면이 튜브교정공(78)에 접촉되면서 직진도가 향상될수 있다.
또한, 직직교 교정부(50)의 회전체(51) 회전되면서 회전체 내로 진입된 튜브(1)가 교정 시, 튜브교정툴(75)와 제1 및 제2진퇴부(469,198)가 튜브(1) 이송방향으로 이동되었다가 제1탄성스프링(486)의 반발력에 의해 튜브(1) 이송반대방향으로 이동되고 제2탄성스프링(486)과 튜브(1)의 이송력에 의해 다시 튜브(1) 이송방향으로 이동되는 왕복운동이 이루어져 튜브교정툴(75)의 위치가 변동되면서 튜브(1)의 직진도가 교정될 수 있어 교정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성의 튜브 교정 및 절단시스템(10)은 회전되는 회전체(51)의 중공부(55) 내로 곡률을 갖도록 연장된 튜브(1)를 연속적으로 직선상으로 관통이송시켜, 튜브(1)가 이송되면서 동시에 직진도가 교정될 수 있어 간결한 구조로 관형상의 튜브의 직진도를 교정할 수 있으며 관리 및 조작효율이 높은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성의 튜브 교정 및 절단시스템(10)은 튜브교정툴(75)와 제1 및 제2진퇴부(469,198)가 메인회전부재(54)와 함께 회전되되 메인회전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운동이 이루어지면서 튜브가 교정되므로 튜브교정툴(75)에 튜브가 접촉되는 시간이 확장되므로 교정작업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과제(결과물)는 2021년도 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의 결과입니다.(2021RIS-002)
10 : 연성의 튜브 교정 및 절단 시스템
15 : 베이스프레임 20 : 튜브공급부
50 : 직진도 교정부 51 : 회전체
52 : 메인회전유닛 54 : 메인회전부재
61 : 제1튜브가이드바 66 : 제2튜브가이드바
75 : 튜브교정툴 100 : 튜브절단부
150 : 튜브이송부 230 : 조작부
300 : 모니터링수단 462 : 제1회전부재결합부
469 : 제1진퇴부 486 : 제1탄성스프링
492 : 제2회전부재결합부 498 : 제2진퇴부
501 : 제2탄성스프링

Claims (6)

  1. 코일 형태로 권취된 연성의 튜브가 거치되는 튜브공급부와;
    상기 튜브의 직경에 대응되게 관통된 튜브교정공을 가지며, 상기 튜브공급부에서 권취 해제되어 상기 튜브교정공으로 진입된 상기 튜브의 직진도가 교정되게 길이연장 방향을 축으로 회전되는 회전되는 회전체를 포함하는 직진도 교정부와;
    상기 직진도 교정부를 통하여 직진도가 교정된 상기 튜브를 레이저를 이용하여 절단하는 튜브 절단부와;
    상기 튜브공급부의 상기 튜브가 권취해제되어 상기 직진도 교정부를 지나 상기 튜브절단부로 관통 연장되도록 상기 튜브를 이송시키기 위한 당김구동모터를 포함하는 튜브 이송부와;
    상기 회전체 및 상기 당김구동모터의 구동축의 회전속도를 감지하여 상기 튜브 교정 및 이송상태 모니터링 하는 모니터링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의 튜브 교정 및 절단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튜브공급부와 상기 튜브절단부가 이격된 방향으로 길이연장되고 중심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튜브가 관통 연장되도록 내측이 관통형성되되 상기 튜브의 직경에 대응되게 관통된 튜브교정공을 가지며, 상기 튜브교정공으로 진입된 상기 튜브의 직진도가 교정되게 길이연장 방향을 축으로 회전되며,
    상기 직진도 교정부는
    상기 회전체의 양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및 제2회전지지브라켓과; 상기 제1회전지지브라켓에 대해 돌출된 상기 회전체의 일측이 중심으로 관통 장착되는 회전종동풀리와; 상부에 상기 제1 및 제2회전지지브라켓이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 상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종동풀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종동풀리와 연결되는 회전구동모터;를 더 구비하며,
    상기 회전체는
    상기 제1 및 제2회전지지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중공부가 형성된 메인회전유닛과, 상기 튜브의 직경에 대응하여 상기 튜브를 교정할 수 있도록, 상기 중공부 내로 진입되게 상기 메인회전유닛에 횡방향으로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튜브교정공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직진도교정툴을 구비하고,
    상기 메인회전유닛은
    일단측이 상기 회전종동풀리와 결합되게 상기 제1회전지지브라켓을 관통하는 풀리결합부와, 상기 풀리결합부 타단측에서 상기 제1 및 제2회전지지브라켓 사이로 연장되고 상기 풀리결합부보다 외경이 확장되는 회전몸체부를 포함하며, 내측이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메인회전부재와;
    상기 메인회전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회전부재 내로 관통 장착되며 상기 튜브가 관통연장되게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된 제1교정가이드공이 형성된 제1튜브가이드바와,
    상기 제2회전지지브라켓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몸체부 내로 연장되며 내측이 갈이방향을 따라 관통된 제2교정가이드공이 형성되며 상기 메인회전부재 내에서 상기 제1튜브가이드바와 이격되는 제2튜브가이드바를 구비하고,
    상기 직진도 교정툴은
    상기 제1튜브가이드바와 상기 제2튜브가이드바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튜브교정공이 상기 제1 및 제2교정가이드공과 직선상으로 연통되게 상기 회전몸체부의 횡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의 튜브 교정 및 절단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몸체부는
    길이방향 중심측 일측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타원형상으로 관통되어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는 교정툴지지홀과, 길이방향 중심측 타측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연장부와,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연장부에 직교하는 제2연장부를 갖도록 관통되어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는 십자형상의 교정툴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직진도 교정툴은
    상기 교정툴 지지홀의 폭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교정출지지홀에 상기 회전몬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서 상기 제2연장부와 나란하되 상기 제2연장부보다 좁은 폭으로 돌출되며 중심측에 상기 튜브교정공이 형성된 교정플레이트와, 상기 교정플레이트의 단부에서 돌출되어 너트와 결합되는 나사결합부와,
    상기 제1 및 제2튜브가이드바와 마주하는 상기 교정플레이트의 양측면에 상기 튜브교정공의 둘레를 따라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튜부가이드바의 단부가 삽입지지되는 복수의 지지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의 튜브 교정 및 절단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튜브가이드바는
    일측이 상기 풀리결합부에 삽입되어 고정 장착되며 내측에 상기 튜브가 이동가능하게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되 길이방향 타측의 직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제1이동가이드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이동가이드공이 단턱지게 직경이 확장되어 내주면에 형성된 제1턱의 단부에서 상기 제1이동가이드공의 둘레로 인입형성되는 링형상의 제1진퇴가이드홈이 형성된 제1회전부재결합부와,
    상기 제1진퇴가이드홈에 수용되는 제1탄성스프링과,
    일단이 상기 교정플레이트의 일면에 형성된 상기 지지링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튜브교정공과 연통되며 상기 튜브가 이동가능하며 상기 제1이동가이드공과 연통되어 상기 제1이동가이드공과 함께 상기 제1교정가이드공을 형성하는 제2이동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진퇴가이드홈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길이방향 일단측이 상기 제1진퇴가이드홈에 수용되어 상기 제1탄성스프링에 지지되며, 상기 제2이동가이드공의 길이방향 일측의 직경이 단턱지게 확장되어 상기 제1턱과 마주하는 제2턱이 형성된 제1진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튜브가이드바는
    상기 제2회전지지브라켓에 제자리 회전가능하게 관통하며 상기 회전몸체부와 함께 회전가능하게 상기 회전몸체부에 삽입결합되고, 내측에 상기 튜브가 이동가능하게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제3이동가이드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3이동가이드공의 길이방향 일측의 직경이 단턱지게 확장되어 내주면에 형성된 제3턱의 단부에서 상기 제3이동가이드공의 둘레로 인입 형성되는 링 형상의 제2진퇴가이드홈이 형성된 제2회전부재결합부와,
    상기 제2진퇴가이드홈에 수용되는 제2탄성스프링과,
    일단이 상기 교정플레이트의 타면에 형성된 상기 지지링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튜브교정공과 연통되며 상기 튜브가 이동가능하며 상기 제3이동가이드공과 연통되어 상기 제3이동가이드공과 함께 상기 제2교정가이드공을 형성하는 제4이동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진퇴가이드홈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길이방향 일단측이 상기 제2진퇴가이드홈에 수용되어 상기 제2탄성스프링에 지지되며, 상기 제4이동가이드공의 길이방향 일측의 직경이 단턱지게 확장되어 상기 제3턱과 마주하는 제4턱이 형성된 제2진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의 튜브 교정 및 절단시스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수단은
    상기 회전구동모터의 구동축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제1회전감지센서와,
    상기 당김구동모터의 구동축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제2회전감지센서와,
    상기 회전구동모터의 구동축과 상기 당김구동모터의 구동축의 회전수 정보를 전달받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로 전달된 상기 회전수 정보를 관리서버나 관리자 단말기로 전달하는 통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입력된 상기 회전구동모터의 구동축과 상기 당김구동모터의 구동축의 회전수를 조절하기 위한 회전수 조작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회전구동모터와 상기 당김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의 튜브 교정 및 절단시스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이송부는
    상하로 적층되며 상호 접촉되는 각 외주면에 상기 튜브의 일측부 또는 타측부가 밀착되어 수용되게 원주방향을 따라 인입되는 제1 및 제2이송유도홈이 형성되어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튜브공급부에서 권취 해제되는 상기 튜브를 상기 직진도 교정부 측으로 당기는 제1 및 제2가압이송롤러를 포함하는 제1튜브당김부와;
    상하로 적층되며 상호 접촉되는 각 외주면에 상기 튜브의 일측부 또는 타측부가 밀착되어 수용되게 원주방향을 따라 인입되는 제3 및 제4이송유도홈이 형성되어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회전체에서 인출되는 상기 튜브를 상기 튜브 절단부로 당기는 제3 및 제4가압이송롤러를 포함하는 제2튜브당김부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는 상기 제2가압이송롤러와 상기 제4가압이송롤러를 연결하며 상기 당김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튜브당김 구동벨트를 포함하는 튜브 당김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의 튜브 교정 및 절단시스템.
KR1020220048691A 2022-04-20 2022-04-20 연성의 튜브 교정 및 절단시스템 KR202301494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691A KR20230149459A (ko) 2022-04-20 2022-04-20 연성의 튜브 교정 및 절단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691A KR20230149459A (ko) 2022-04-20 2022-04-20 연성의 튜브 교정 및 절단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9459A true KR20230149459A (ko) 2023-10-27

Family

ID=88514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8691A KR20230149459A (ko) 2022-04-20 2022-04-20 연성의 튜브 교정 및 절단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945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3017B1 (ko) 2012-01-09 2014-01-17 정용락 알루미늄 튜브 절단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3017B1 (ko) 2012-01-09 2014-01-17 정용락 알루미늄 튜브 절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4426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servo-controlled manufacturing operations
KR102486242B1 (ko) 파이프 절단장치
US11389848B2 (en) Flattening device, conveying apparatus and processing system
KR102376298B1 (ko) 연성의 튜브 교정 및 절단장치
PT2564987T (pt) Métodos e aparelhos para operações de fabrico
IT9021510A1 (it) Apparecchiatura per il taglio di laminati.
KR20230149459A (ko) 연성의 튜브 교정 및 절단시스템
CN104908075A (zh) 一种把卷筒绝缘纸裁切成段状绝缘纸的装置
CN114289556A (zh) 一种钢构件矫正装置
KR102315372B1 (ko) 냉매 관 절단장치
CN116864237A (zh) 一种全自动导线套管打标装置
JP2007021648A (ja) 切断装置
US9441419B2 (en) Optimized soil penetrating machine
US20030061925A1 (en) Apparatus for cutting an elongate tube
KR102198443B1 (ko) 공사 현장용 천공 장치
CN210305852U (zh) 一种防护密闭门的打孔设备
CN108748343B (zh) 盘纸分切机及其收卷机构
US4869227A (en) Process and device for producing deep cuts in concrete or similar material
CN208560659U (zh) 一种管件送料装置
JP2016221654A (ja) ワイヤ放電加工装置の自動結線装置
KR100817540B1 (ko) 차량 조향용 브러시리스 전동기의 코어 어셈블리에 코일을권취하는 장치
JP2017008542A (ja) ブレース切断装置
CN210755880U (zh) 一种激光切割机及其气动支撑机构
CN217070836U (zh) 一种型钢加工用钻孔装置
CN213971334U (zh) 一种薄膜切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