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8953A - 서로 다른 접착 영역을 가지는 접착층을 사용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서로 다른 접착 영역을 가지는 접착층을 사용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8953A
KR20230148953A KR1020220047972A KR20220047972A KR20230148953A KR 20230148953 A KR20230148953 A KR 20230148953A KR 1020220047972 A KR1020220047972 A KR 1020220047972A KR 20220047972 A KR20220047972 A KR 20220047972A KR 20230148953 A KR20230148953 A KR 202301489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acrylate
meth
folding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7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장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애스크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애스크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애스크와이
Priority to KR1020220047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8953A/ko
Publication of KR20230148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895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C08F2/50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with sensitis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0/00
    • C08F265/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0/00 on to polymers of esters
    • C08F265/06Polymerisation of acrylate or methacrylate esters on to polymer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보강부재의 폴딩부의 패턴이 외부에서 시인되지 않도록 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가 개시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보강부재, 표시패널부 및 상기 보강부재와 상기 표시패널부를 결합시키는 접착층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접착층은 접착력이 다른 복수의 영역들을 가진다.

Description

서로 다른 접착 영역을 가지는 접착층을 사용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FOLDERBLE DISPLAY USING ADHESIVE FILM HAVING DIFFERENT ADHESIVE SECTIONS}
본 발명은 폴더블 표시패널부와 보강부재의 라미네이션 공정에 사용되는 접착층을 사용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접착층은 동일 부재면 상에서 접착력이 유지되는 접착부와 접착력이 '0'이거나 '0'에 가까운 비접착부를 가지며 저온 저장탄성 모듈러스(G')가 0.05 이상 1MPa 이하일 수 있다.
최근 디스플레이 패널의 발달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폴더블 디스플레이 및 롤러블 디스플레이가 모바일 및 TV 시장에서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위해 플렉서블 특성, 폴딩성을 안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다양한 접착필름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KR 10-2022-0013499 A
본 발명은 접착력이 다른 영역들을 포함하며 저온 저장탄성 모듈러스가 0.05MPa 내지 1MPa인 접착층을 사용하여 우수한 폴딩성, 복원성 및 형상유지성을 실현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보강부재의 폴딩부의 패턴이 외부에서 시인되지 않도록 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는 보강부재; 표시패널부; 및 상기 보강부재와 상기 표시패널부를 결합시키는 접착층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접착층은 접착력이 다른 복수의 영역들을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는 비폴딩 영역 및 폴딩 영역을 가지는 표시패널부; 상기 비폴딩 영역에 대응하는 비폴딩부 및 상기 폴딩 영역에 대응하는 폴딩부를 가지는 보강부재; 및 상기 표시패널부와 상기 보강부재를 결합시키는 접착층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비폴딩 영역 및 상기 비폴딩부에 대응하는 접착부 및 상기 폴딩 영역과 상기 폴딩부에 대응하는 비접착부를 가지고, 상기 비접착부는 50gf/in 이하의 접착력을 가지며, 상기 디스플레이의 폴딩이 상기 폴딩 영역, 상기 폴딩부 및 상기 비접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는 폴더블 표시패널부와 보강부재를 접착시키는 접착층을 사용하되, 상기 접착층 중 접착부는 상기 폴더블 표시패널부의 비폴딩 영역에 해당하는 위치에 접착력이 600gf/in 내지 1,500gf/in인 접착부를 사용하고 상기 폴더블 표시패널부의 폴딩 영역에 해당하는 위치에 접착력이 '0' 또는 '0'에 가까운 값을 가지는 비접착부를 사용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보강부재의 폴딩부에 형성된 미세천공의 형상이 외부로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필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사용되는 보강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의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술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필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폴더블 디스플레이 또는 롤러블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접착필름(10)은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 1 이형필름(예를 들어 중박 이형필름, 120), 접착층(100) 및 제 2 이형필름(예를 들어 경박 이형필름, 110)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층(100)은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의 비폴딩부에 대향되는 접착부들(101 및 102) 및 폴딩부에 대향되는 비접착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부들(101 및 102) 및 비접착부(103)는 동일한 가변 접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되, 자외선 노광을 통하여 다른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경박 이형필름(110)은 접착부(101 및 102)에 대응하는차광 영역(111 및 112) 및 비접착부(103)에 대응하는 투명 영역(113)을 포함하고, 경박 이형필름(110) 위에 배열된 자외선 노광장치(미도시)를 통하여 자외선이 경박 이형필름(110)으로 입사될 수 있다. 이 경우, 차광 영역(111 및 112)으로 입사되는 자외선은 차광 영역(111 및 112)에 의해 차단되어 차광 영역(111 및 112) 하부의 접착부(101 및 102)로 입사되지 않는 반면에, 투명 영역(113)으로 입사된 자외선은 투명 영역(113)을 통하여 비접착부(103)로 입사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비접착부(103)의 접착력이 '0' 또는 '0'에 가까운 값, 바람직하게는 50gf/in 이하로 낮아져서 동일면 상에 서로 다른 접착력을 가지는 접착층(100)이 제조될 수 있다.
비접착부(103)의 접착력이 낮아짐에 따라 접착부(101 또는 102)의 접착력이 비접착부(103)의 접착력보다 높을 수 있다.
한편, 접착필름(10)은 접착층(100)의 일면에 경박 이형필름(110)을 합지시키고 다른 일면에 중박 이형필름(120)을 합지시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경박 이형필름(110)과 중박 이형필름(120)은 5gf/in 이상의 이형력 차이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필름(10)은 이형력이 15gf/in 이상 30gf/in 미만인 중박 이형필름(120)의 이형면에 가변 접착 조성물을 도포한 후 가열을 통하여 접착층(100)을 형성하고, 그런 후 접착층(100)의 상면에 이형력이 10gf/in 이하인 경박 이형필름(110)을 합지함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력 영역이 상이한 접착필름(10)은 1) 필름화 단계 2) 자외선 노광단계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층(100)의 조성물(가변 접착제 조성물)은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및 1종 이상의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다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광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머는 가변 접착 특성을 가지는 접착제 조성물이 초기 높은 접착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베이스 물질로서, 탄소수 1 내지 14인 알킬기를 가지는 1종 이상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히드록시기를 포함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용제로서 에틸아세테이트(EA)와 열개시제를 혼합한 후 공중합시킴에 의해 합성될 수 있으며, 평균 분자량은 300,000g/mol ~ 500,000g/mol일 수 있다.
상기 다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예를 들어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Pentaerythritol triacrylate, PETA)와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우레탄 결합시킴에 의해 생성될 수 있으며, 평균 분자량은 800g/mol ~ 1,500g/mol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변 접착제 조성물은 상기 공중합된 (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머 100 중량%(중량부)에 대하여, 광경화 조성물로써 평균분자량이 800g/mol ~ 1,500g/mol인 다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20 중량%(중량부) ~ 40 중량%(중량부), 1종 이상의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5 중량%(중량부) ~ 20 중량%(중량부) 및 광개시제 0.5 중량%(중량부) ~ 10 중량%(중량부)의 범위에서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가변 접착 조성물 내의 광경화 조성물 중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가 5 중량% 미만이면 자외선(UV) 조사 전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으며,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UV 조사 후 원하는 수준의 접착력으로 낮아지지 않고 높은 접착력 상태를 유지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PETA)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층(100)은 상기 가변 접착제 조성물, 경화제 및 휘발성 용제 등을 교반하여 코팅용 혼합물(조액)을 제조하고, 상기 제조된 코팅용 혼합물을 이형필름의 이형면에 도포한 후 열 건조시킴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층(100)은 중박 이형필름(120)의 이형면에 가변 접착제 조성물을 선택된 두께로 도포한 후 가열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접착필름(10)은 가열 온도 90℃ ~ 150℃, 바람직하게는 100℃ ~ 130℃에서 1분 ~ 5분, 바람직하게는 1분 ~ 3분동안 가열한 후 중박 이형필름(120)의 이형면 위에 형성된 접착층(100)의 상면에 차광인쇄된 경박 이형필름(110)을 합지한 후 숙성(aging)시킴에 이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열경화 방식에 의해 제조된 접착층(100)의 숙성은 30℃ ~ 70℃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40℃ ~ 60℃의 온도에서 1일 ~ 5일, 바람직하게는 1일 ~ 3일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열경화용 혼합물에서 상기 경화제는 0.1 중량% ~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2중량% ~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DI),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DI),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DI) 중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변 접착제 조성물은 열건조 코팅에서 두께 조절을 위해 고형분 함량이 30 중량% ~ 50 중량%의 범위에서 상기 휘발성 용제와 혼합될 수 있다.
상기 휘발성 용제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다양한 용매를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메틸에틸케톤(MEK), 톨루엔, 에틸아세테이트(EA)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변 접착제 조성물을 경화시켜 제조된 접착층(100)의 초기 부착강도는 500gf/in ~ 2,000gf/in, 바람직하게는 800gf/in ~ 1,500 gf/in의 접착력(180°, peel strength)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가변 접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1종 이상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열경화 단계에서 상기 다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말단의 아크릴레이트기와 반응하지 않으며, 자외선(UV) 노광 단계에서 상기 가변 접착제 조성물에 포함된 광개시제에 의해 상기 다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말단에 위치한 아크릴기와 서로 반응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접착층(100)의 접착력이 '0' 또는 '0'에 가까운 값, 바람직하게는 50gf/in 이하로 낮아져셔 동일면 상에 서로 다른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층(100)은 상대적으로 높은 접착력을 가지는 접착부(101 및 102) 및 상대적으로 낮은 접착력을 가지는 비접착부(10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부(101 및 102)는 접착력이 500gf/in ~ 2,000gf/in을 가지며, 비접착부(103)는 접착력이 '0' 또는 '0'에 가까운 값, 바람직하게는 50gf/in 이하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접착부(101 및 102)는 경박 이형필름(110)의 차광 영역(111 및 112)에 대응하고, 비접착부(103)는 경박 이형필름(110)의 투명 영역(113)에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차광 영역(111 및 112)과 투명 영역(113)은 번갈아 배열될 수 있으며, 폭은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패턴은 구현 목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변 접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다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상기 열경화 공정에 의해 형성된 접착층(100)의 내충격성 및 연신복원성을 향상시키고,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었을 때 폴딩성이 향상되도록 저장탄성 모듈러스를 낮게 하더라도 점착층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자외선(UV) 노광 공정에 의해 상기 가변 접착제 조성물에 포함된 광개시제에 의해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와 반응하여 접착력을 '0' 또는 '0'에 가까운 값으로 낮추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접착층(100)의 저온(-20℃) 저장탄성 모듈러스(G')가 1MPa 초과일 경우 -20℃의 저온에서 폴딩이 반복되면 크랙 또는 부서짐 등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0.05MPa 미만인 경우 흐름성이 높아져서 타발 등의 공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접착층(100)의 저온 저장탄성 모듈러스(G')는 0.05MPa 이상 1MPa 이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5MPa 이상 0.5MPa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가변 접착층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탄소수 1-14의 선형 또는 분지형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iso-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헵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노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트)아크릴레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 개시제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UV 광경화가 가능한 광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하이드록시 사이클로헥실 페닐케톤, 1-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디메틸 2,4,6-트리메틸 벤조일 포스핀옥사이드 및 2,2-디메톡시-2-페닐 아세토페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을 포함할 수 있다.
차광인쇄된 이형필름(110)은 중박 이형필름(120)의 위에 형성된 접착층(100)의 상면에 이형면이 향하도록 하여 라미네이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외선 노광 공정을 통하여 서로 다른 접착력 영역이 접착층(100)의 동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형필름(110) 상측에서 자외선이 조사되면, 차광 영역(111 및 112)에서는 상기 자외선이 투과하지 못하고 투명 영역(113)을 통하여 상기 자외선이 투과된다. 결과적으로, 투명 영역(113)에 대응하는 비접착부(103)의 접착력이 가변되며, 바람직하게는 접착력이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접착층(100) 중 접착부(101 및 102)가 비접착부(103)보다 접착력이 클 수 있다.
상기 자외선 노광 공정에서 자외선 에너지는 500mJ/cm2 이상 10,000mJ/cm2 이며, 이러한 자외선이 조사된 투명 영역(113)에 대응하는 비접착부(103)의 접착력이 '0'이 되거나 '0'에 가까운 값으로 가변될 수 있다.
접착층(100)의 접착력 변형의 특성은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접착력 변형비(DA)로 나타낼 수 있으며, 비접착부(103)의 접착력 접착력 변형비(DA)는 0.9 이상 1 이하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는, 접착부(101 또는 102)와 비접착부(103)의 접착력 차이는 0.9 이상 1 이하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A1은 ASTM D3330에 의해 측정된 상기 가변접착층의 유리(glass)에 대한 초기 접착강도이며, A2는 상기 가변접착층에 UV를 조사 후 ASTM D3330에 의해 측정된 유리(glass)에 대한 최종 접착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사용되는 보강부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종래의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보강부재(20)는 폴더블 디스플레이(30)에서 폴더블 표시패널부(300)를 보호하기 위하여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폴더블 표시패널부(300)에서 폴더블 표시패널(310)과 보호부재(320)는 별도의 접착부재에 의해 라미네이션되어지며,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보강부재(20)는 폴더블 표시패널부(300)의 하부에 위치하여 폴더블 표시패널부(300)의 변형을 방지하고 평탄도를 유지시키며, 폴더블 표시패널부(300)의 비폴딩 영역(W1 및 W2)에 대향하는 비폴딩부(201 및 202)와 폴딩 영역(W3)에 대향하는 폴딩부(203)를 포함할 수 있다.
보강부재(20)의 폴딩성을 향상시키기위하여, 폴딩부(203)의 영역은 다양한 형태로 미세천공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층(100)에 의해 폴더블 표시패널부(300)와 보강부재(20)가 상하로 적층되되, 접착층(100)의 접착부(101 및 102)가 비폴딩 영역(W1 및 W2) 및 보강부재(20)의 비폴딩부(201 및 202)에 대응하여 배열되고, 접착력이 '0'이거나 '0'에 가까운 비접착부(103)가 폴딩 영역(W3) 및 폴딩부(203)에 대응하여 배열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폴더블 표시패널부(300)가 전 영역에 연속되어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종래의 폴더블 디스플레이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층(a1 및 a2) 이 비연속적으로 타발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폴더블 표시패널부(300)와 보강부재(20)의 비폴딩부(201 및 202) 사이에 접착층(a1 및 a2)이 존재하나 폴딩부(203)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필름부가 존재하지 않게 된다. 이는 접착력이 높은 접착층이 연속되어 폴딩부(203)에 대응하는 위치에 존재할 경우 폴딩시 압축력에 의해 접착층이 보강부재(20)의 천공부 형상측으로 눌림이 발생되어 폴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존의 발명에서는 접착부의 비연속 타발에 의한 공간(H1)으로 인하여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폴딩시켰을 때 폴더블 표시패널부(300)가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H1) 방향으로 가라앉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보강부재(20)의 폴딩부(203)에 격자형태로 천공된 미세천공부의 패턴이 폴더블 표시패널부(300)측으로 시인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폴더블 디스플레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층(100) 중 보강부재(20)의 폴딩부(203)에 해당하는 부분에 접착력이 '0' 또는 '0'에 가까운 비접착부(103)를 배열하고, 비폴딩부(201 및 202)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폴더블 표시패널부(300)와 보강부재(20)의 접착을 위하여 접착력이 높은 접착부들(101 및 102)을 배열할 수 있다. 이 경우, 비접착부(103)가 존재하기 때문에 폴더블 표시패널부(300)가 가라앉는 현상이 발행되지 않으며, 그 결과 폴더블 표시패널부(300)와 보강부재(20)가 라미네이션된 상태에서 A-A' 축을 기준으로 폴딩되었을 때 보강부재(20)의 폴딩부(203)에 격자형태로 천공된 미세천공부의 패턴이 폴더블 표시패널부(300)측으로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접착력이 '0'이거나 '0'에 가까운 비접착부(103)가 동일 필름상에 연속적으로 형성됨에 따라 폴더블 표시패널(310) 상에 배열된 초박막 커버글라스(미도시)의 크랙을 방지할 수 있고 수분, 이물질 등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기존의 폴더블 디스플레이에서는, 공간(H1)으로 인하여 상기 초박막 커버글라스에 크랙이 발생할 수 있고 공간(H1) 내부로 수분, 이물질 등이 침투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시키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접착필름의 제조>
본 발명에서의 접착필름(10)은 1) 가변 접착제 조성물을 이용한 가변 접착층을 제조하는 단계 및 2) 상기 가변 접착층을 자외선으로 노광시키는 단계를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변 접착층은 자외선 노광에 의해 접착력이 초기 접착력보다 낮아지며, 예를 들어 상기 접착력은 '0'에 가까워지도록 낮아질 수 있다.
상기 가변 접착층은 일면에 이형력이 30gf/in 이하인 중박 이형필름(120)과 이형력이 10gf/in 이하이면서 광투과율이 85% 이상의 투명 영역(113)과 광투과율이 0% 내지 60%인 불투명, 특히 블랙 차광 영역(111 및 112)을 가지는 경박 이형필름(110)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경박 이형필름(110) 상에 차광 영역들(111 및 112)이 형성되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중박 이형필름(120)에 차광 영역들이 형성될 수도 있다.
경박 이형필름(110)의 차광 영역(111 및 112)은 폴더블 표시패널(310)의 비폴딩부(W1 및 W2) 또는 보강부재(20)의 비폴딩부(W1 및/, W2)의 면적과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변 접착층은 차광 영역(111 및 112)을 포함하는 경박 이형필름(110) 과 중박 이형필름(120) 사이에 배열되고, 자외선을 경박 이형필름(110)으로 조사하면 자외선은 투명 영역(113)을 통하여서만 상기 가변 접착층으로 조사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가변 접착층 중 투명 영역(113)에 대응하는 영역, 즉 비접착부(113)의 접착력이 '0' 또는 '0'에 가까운 값으로 가변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변 접착제 조성물의 상기 다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하기 화학식 2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말단에 알킬기를 가지는 화합물로, 상기 광개시제에 의해 분자들 사이의 알킬기들이 결합되면서 접착력이 '0' 또는 '0'에 가깝게 변화될 수 있다.
상기 다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R로 표시된 탄소-탄소 간의 불포화 결합된 C2~C14의 직쇄형태의 아크릴레이트기로 이루질 수 있다.
상기 다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A'는 2관능의 양쪽에 NCO기를 가진 페닐기, 디페닐기, 폴리 페닐기와 같은 방향족 화합물, C2내지 C20으로 이루어진 지방족 화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열건조 공정(50)에서 중박 이형필름(120)의 이형면(520)에 가변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한(502) 후 열건조 장치(503)에서 용제를 건조시켜 가변 접착층을 형성하고, 차광 영역(111 및 112) 및 투명 영역(113)을 포함하는 가변 접착층 상에 경박 이형필름(110)을 형성하며, 경박 이형필름(110)이 형성된 구조물을 권취부(504)로 권취하고, 40℃ ~ 60℃의 온도에서 48시간 이상 숙성하여 접착필름(10)을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박 이형필름(110)의 이형면이 자외선 노광장치(미도시)를 향하도록 하고, 1,000mJ/cm2 이상 10,000mJ/cm2 이하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투명 영역(113)의 하부에 위치한 투명영역(113)과 동일한 면적의 상기 가변 접착층의 접착력이 '0' 또는 '0'에 가깝게 변화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접착력이 다른 영역들을 가지는 접착층(110)이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경박 이형필름(110)의 차광 영역들(111 및 112)은 동일한 투과율 또는 차광율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차광 영역(111 및 112)는 50% 미만의 광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접착층(110)의 접착부(101 및 102) 및 비접착부(103)의 접착력은 차광 영역(111 및 112)의 투과도를 40% 이하의 범위에서 조절함에 의해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폴더블 디스플레이>
본 실시예의 폴더블 디스플레이는 폴더블 표시패널부(300), 미세천공 가공된 폴딩영역(W3)을 포함하는 보강부재(20) 및 이들을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층(1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폴더블 표시패널부(300)은 폴더블 표시패널(310)과 보호부재(320)가 라미네이션 된 형태이다.
폴더블 표시패널(310)은 폴리이미드(Polyimide, PI) 기판 위에 형성된 유기 발광표시장치와 커버글라스(미도시)가 일면에 라미네이션되고, 폴더블 표시패널(310)의 다른 일면에는 보호부재(32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강부재(20)은 폴더블 표시패널부(300)의 폴딩축을 기준으로 폴딩될 수 있도록 미세천공 가공된 폴딩영역(W3)을 포함한다.
상기 미세천공은 삼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 원형의 형태로 2um~500um의 크기로 천공되어 보강부재(20)의 폴딩성 및 연신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폴더블 디스플레이(30)는 폴더블 표시패널부(300)와 미세천공 영역을 포함하는 보강부재(20)를 접착력이 서로 다른 영역을 가지는 접착층(100)을 이용하여 합지함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폴더블 표시패널부(300)와 보강부재(20)의 비폴딩 영역(W1, W2)에 대응하여 접착층(100)의 접착부(101 및 102)를 배치시키고, 폴더블 표시패널부(300)와 보강부재(20)의 폴딩 영역(W3)에 대응하는 접착층(100)의 비접착부(103)를 배치시킬 수 있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폴더블 디스플레이(30)는 폴딩에 의해 보강부재(20)의 폴딩영역(W3)에 위치하는 비접착부(103)에 의해 폴딩에 의해 압축력이 작용하여 폴더블 표시패널부(300)가 보강부재(20)의 미세천공 패턴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폴더블 디스플레이(30)를 다시 펼쳤을 때 비접착부(103)에 의해 밀착력이 크게 작용하지 않으므로 폴딩 후 폴더블 디스플레이(30)의 복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된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프로세스적인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즉, 각각의 구성 요소는 각각의 프로세스로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실시예의 프로세스는 장치의 구성 요소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접착층 110 : 경박 이형필름
120 : 중박 이형필름 111, 112 : 차광 영역
113 : 투명 영역 101, 102 : 접착부
103 : 접착부 30 : 폴더블 디스플레이
300 : 폴더블 표시패널부 20 : 보강부재
201, 202 : 비폴딩부 203 : 폴딩부

Claims (12)

  1. 보강부재;
    표시패널부; 및
    상기 보강부재와 상기 표시패널부를 결합시키는 접착층을 포함하되,
    상기 접착층은 접착력이 다른 복수의 영역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폴더블 디스플레이이되,
    상기 접착층은 제 1 접착력을 가지는 접착부 및 상기 제 1 접착력보다 낮은 제 2 접착력을 가지는 비접착부를 가지며,
    상기 제 2 접착력은 50gf/in 이하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착부의 접착력은 초기 제 1 접착력이었다가 자외선이 상기 비접착부로 조사됨에 따라 상기 제 2 접착력으로 가변되되,
    상기 비접착부의 접착력 변형비(하기 수학식의 △A)는 0.9 내지 1 이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 수학식 ]

    여기서, A1은 초기 접착 강도를 의미하고, A2는 상기 자외선 조사 후의 접착 강도를 나타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표시패널부의 비폴딩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비폴딩부와 상기 표시패널부의 폴딩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미세천공 가공된 폴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접착층의 접착부는 상기 비폴딩영역 및 상기 비폴딩부에 대응하여 위치하며, 상기 접착층의 비접착부는 상기 폴딩 영역 및 상기 폴딩부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동일한 가변 접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지나 서로 다른 접착력을 가지는 접착부 및 비접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접착부로는 자외선이 조사되지 않고 상기 비접착부로 자외선이 조사됨에 의해 상기 비접착부의 접착력이 낮아지며, 상기 접착부의 접착력이 상기 비접착부의 접착력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접착제 조성물은 (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머, 1종 이상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다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광개시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머는 탄소수 1 내지 14인 알킬기를 가지는 1종 이상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용제로서 에틸아세테이트(EA)와 열개시제를 혼합한 후 공중합시킴에 의해 형성되되,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머의 평균분자량은 300,000g/mol ~ 500,000g/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와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우레탄 결합시킴에 의해 형성되되,
    상기 다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평균분자량은 800g/mol ~ 1,500g/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머 100 중량%에 대하여, 상기 다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는 20 중량% 내지 40 중량%를 가지고,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5 중량% 내지 20 중량%를 가지며, 상기 광개시제는 0.5 중량% 내지 10 중량%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iso-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헵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노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트)아크릴레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11.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비폴딩 영역 및 폴딩 영역을 가지는 표시패널부;
    상기 비폴딩 영역에 대응하는 비폴딩부 및 상기 폴딩 영역에 대응하는 폴딩부를 가지는 보강부재; 및
    상기 표시패널부와 상기 보강부재를 결합시키는 접착층을 포함하되,
    상기 접착층은 상기 비폴딩 영역 및 상기 비폴딩부에 대응하는 접착부 및 상기 폴딩 영역과 상기 폴딩부에 대응하는 비접착부를 가지고, 상기 비접착부는 50gf/in 이하의 접착력을 가지며, 상기 디스플레이의 폴딩이 상기 폴딩 영역, 상기 폴딩부 및 상기 비접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 및 상기 비접착부는 동일한 가변 접착제 조성물로 형성되되,
    상기 가변 접착제 조성물이 도포된 가변 접착층의 일부에 자외선이 조사됨에 의해 50gf/in 이하의 접착력을 가지는 비접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변 접착제 조성물은 (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머, 1종 이상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다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광개시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KR1020220047972A 2022-04-19 2022-04-19 서로 다른 접착 영역을 가지는 접착층을 사용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KR202301489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7972A KR20230148953A (ko) 2022-04-19 2022-04-19 서로 다른 접착 영역을 가지는 접착층을 사용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7972A KR20230148953A (ko) 2022-04-19 2022-04-19 서로 다른 접착 영역을 가지는 접착층을 사용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8953A true KR20230148953A (ko) 2023-10-26

Family

ID=88508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7972A KR20230148953A (ko) 2022-04-19 2022-04-19 서로 다른 접착 영역을 가지는 접착층을 사용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895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3499A (ko) 2018-09-27 2022-02-04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3499A (ko) 2018-09-27 2022-02-04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제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7728B1 (ko) 광투과형 전자파 차폐 적층체 및 그의 제조방법, 광투과형 전파흡수체 및 접착제 조성물
KR101566060B1 (ko) 점착 필름, 이를 위한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부재
KR101372456B1 (ko) 우레탄 수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 및 태양전지용 이면 보호 시트
CN103003379B (zh) 压敏粘合剂组合物
JP6090868B2 (ja) 偏光板
KR102219043B1 (ko)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31528B1 (ko) 광 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TWI795522B (zh) 黏著片及其製造方法、以及圖像顯示裝置之製造方法
US11511522B2 (en) High performance photocurable optically clear adhesive
EP2335114A2 (en) Gasket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TW201431700A (zh) 附黏著層之透明面材、積層體、顯示裝置、及其等之製造方法
KR102664294B1 (ko) 광경화성 점착 시트, 점착 시트 적층체,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WO2019124447A1 (ja) 光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20230148953A (ko) 서로 다른 접착 영역을 가지는 접착층을 사용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JP6024505B2 (ja) 硬化性樹脂組成物、粘着層付き透明面材および積層体
KR20140111392A (ko)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점착필름
WO2017038845A1 (ja) 光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2398069B1 (ko) 경화성 조성물
KR20220119340A (ko) 경화성 조성물
KR102655889B1 (ko) 가변 점착 특성을 가지는 점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가변 점착층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18104635A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接着剤組成物、偏光板用接着剤組成物、偏光板用接着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偏光板
KR20230148954A (ko) 서로 다른 접착 구간을 가지는 접착필름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170077142A (ko) Uv 경화성 감압 접착제(psa) 또는 단계화 가능한 psa 시스템을 이용한 조립 방법
KR101820448B1 (ko) 강화글라스 접착용 양면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KR102392725B1 (ko)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그 열경화물로 된 아크릴계 점착제 및 이를 이용한 장식 유리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