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7971A - Device for golf ball retrieving - Google Patents

Device for golf ball retriev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7971A
KR20230147971A KR1020220047026A KR20220047026A KR20230147971A KR 20230147971 A KR20230147971 A KR 20230147971A KR 1020220047026 A KR1020220047026 A KR 1020220047026A KR 20220047026 A KR20220047026 A KR 20220047026A KR 20230147971 A KR20230147971 A KR 20230147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ush bar
unit
fixed
golf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70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장운
Original Assignee
(주) 다원기기
박장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다원기기, 박장운 filed Critical (주) 다원기기
Priority to KR1020220047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7971A/en
Publication of KR20230147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7971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2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for picking-up or collecting
    • A63B47/024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for picking-up or collecting for collecting by using a sweeping means moving across the playing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2Ultra-sound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5Optical or opto-electronic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6Video camera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2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means for remote communication, e.g. internet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공 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중앙밀대를 중심으로 하는 확장밀대의 회전구동에 의해 수거부의 길이가 가변되어 골프공의 수거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골프공 수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주행이 이루어지는 본체부; 본체부에 일체로 연결되는 지지부; 지지부에 상하방향으로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탄성결합되는 수거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거부는, 지지부에 탄성결합되는 중앙밀대와, 중앙밀대의 양측단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확장밀대와, 중앙밀대에 연결설치되어 확장밀대를 회전시키는 밀대구동부를 포함하여, 수거부의 길이 가변에 의해 좁은 공간 및 넓은 공간에서 골프공의 수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olf ball collection device,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golf ball collection device that can quickly collect golf balls by changing the length of the collection part by rotating the extension pusher centered on the central pusher. It is done.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in body part where driving takes place; A support portion integral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It includes a collecting part elastically coupled to the support so that it can flow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wherein the collecting part includes a central pusher elastically coupled to the support, an extension pusher rotatab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entral pusher, and It is configured to smoothly collect golf balls in narrow and wide spaces by varying the length of the collection part, including a push drive section that is connected to the central push bar and rotates the extension push bar.

Description

골프공 수거장치{Device for golf ball retrieving}Device for golf ball retrieving}

본 발명은 골프공 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중앙밀대를 중심으로 회전작동되는 확장밀대에 의해 수거부의 전체 길이가 가변되어, 좁은 공간 및 넓은 공간에서 원격제어에 의해 골프공의 수거가 이루어질 수 있는 골프공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olf ball collection device, in which the overall length of the collection part is variable by an extension pusher that rotates around a central pusher, so that golf balls can be collected by remote control in narrow and wide spaces. It is about a golf ball collection device.

일반적으로 실내골프장의 경우, 골퍼가 친 공은 근거리에 위치한 장벽이나 그물에 걸려 다시 타자가 서 있는 위치로 자동으로 수거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별도로 공을 수집할 필요가 없지만, 야외 골프연습장의 경우 실제 필드에서 운동하는 거리와 환경에 맞도록 대형 그물이 연습장의 전방 수 백미터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 연습자가 친 공이 일정 거리 날아간 후에 그물에 걸려 바닥으로 낙하된 후에 한곳으로 모여서 다시 연습자가 서 있는 타석으로 자동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Generally, in the case of an indoor golf course, the ball hit by the golfer is caught on a barrier or net located nearby and is automatically collected back to the position where the batter is standing, so there is no need to collect the ball separately, but in the case of an outdoor golf driving range, the ball is automatically collected in the actual field. A large net is installed at a location several hundred meters in front of the practice field to suit the distance and environment of exercise, so the ball hit by the practitioner flies a certain distance, gets caught in the net and falls to the floor, then gathers in one place and returns to the batting box where the practitioner stands. It is configured to be supplied automatically.

이와 같은 야외 골프연습장은 연습장 전방 및 측방에 일정 영역 둘레로 일정 높이의 그물망이 둘러 처지고, 바닥면은 타자가 서 있는 근거리의 평지와 원거리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경사면의 하단에는 경사면으로 낙하된 공이 자동으로 굴러 내려와 한곳으로 모여 진 후에 타자가 서 있는 타석으로 자동으로 수거될 수 있는 공 수거홈이 마련되어 있다.This type of outdoor golf driving range is equipped with a net of a certain height surrounding a certain area in front and on the sides of the driving range, and the floor consists of a flat surface near where the batter stands and a slope at a distance, and at the bottom of the slope is a drop down slope. There is a ball collection groove that automatically rolls down the ball and collects it in one place, then automatically collects it in the batter's box where the batter is standing.

그러나, 타자가 친 골프공이 원거리로 날아갔을 경우에는 경사지게 설치된 그물망에 의해 골프공의 회수가 이루어지지만, 어프로치 연습 즉, 타자가 서 있는 타석 근처의 평지에 낙하된 공은 일정시간 연습이 이루어지면서 많은 골프공이 잔류하게 된다. However, if the golf ball hit by the batter flies a long distance, the golf ball is recovered by a net installed at an angle. However, in approach practice, that is, the ball that falls on the flat ground near the batter's box where the batter is standing is practic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many people use it. The golf ball remains.

이와 같이, 근거리의 평지에 잔류하는 골프공의 수거는, 휴식시간에 다수의 사람들이 연습장 평지로 올라가 평지에 낙하된 공을 공 수거홈으로 밀어내어 골프공을 수거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In this way, in order to collect golf balls remaining on the flat ground nearby, a number of people go up to the flat area of the practice range during breaks and push balls that have fallen on the flat ground into the ball collection groove to collect the golf balls.

그러나, 사람이 직접 들어가서 골프공을 회수할 경우에는 회수하는 사람의 안전을 위해 골프 연습장 이용객들이 골프 연습을 중단하고 불가피하게 휴식을 취하여야 하므로, 이용객의 타격 흐름이 끊어지게 되는 현상이 발생될 뿐 아니라, 수시로 골프공의 수거가 이루어져야 하므로, 많은 시간이 낭비되고, 공 수거를 위한 적정 인력이 상시 준비되어야 하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when a person goes in and retrieves a golf ball, golf driving range users inevitably have to stop practicing and take a break for the safety of the person collecting the golf ball, which only results in the user's hitting flow being cut off. In addition, since golf balls had to be collected frequently, a lot of time was wasted, and there were various problems such as the need for adequate manpower to be prepared at all times to collect balls.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9-0112338(2009.10.28)Public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112338 (2009.10.28)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397936(2005.09.30)Registered Utility Model Gazette registration number 20-0397936 (2005.09.30)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761171(2017.07.19)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761171 (2017.07.19)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207283(2012.11.27)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207283 (2012.11.27)

본 발명의 목적은 원격제어에 의해 실내 및 실외 골프 연습장내의 골프공을 회수할 수 있는 골프공 수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olf ball collection device that can retrieve golf balls from indoor and outdoor golf driving ranges by remote control.

본 발명의 목적은 한 쌍의 주행부에 의해 본체부의 주행방향 및 방향전환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골프공 수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olf ball collection device that can quickly change the direction and direc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by using a pair of traveling portions.

본 발명의 목적은 중앙밀대를 중심으로 하는 확장밀대의 회전구동에 의해 수거부의 길이를 확장시켜 넓은 면적에 대한 골프공의 회수가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수거부의 길이 가변을 통해 좁은 폭의 공간내에서도 본체부의 이동 및 골프공의 수거가 이루어질 수 있는 골프공 수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quickly collect golf balls over a wide area by expanding the length of the collection unit by rotating the extension push bar centered on the central push bar, and to quickly collect golf balls in a narrow space by changing the length of the collector. The aim is to provide a golf ball collection device that can move the main body and collect golf balls.

본 발명은 주행이 이루어지는 본체부; 본체부에 일체로 연결되는 지지부; 지지부에 상하방향으로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탄성결합되는 수거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거부는, 지지부에 탄성결합되는 중앙밀대와, 중앙밀대의 양측단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확장밀대와, 중앙밀대에 연결설치되어 확장밀대를 회전시키는 밀대구동부를 포함하여, 수거부의 길이 가변에 의해 좁은 공간 및 넓은 공간에서 골프공의 수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in body part where driving takes place; A support portion integral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It includes a collecting part elastically coupled to the support so that it can flow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wherein the collecting part includes a central pusher elastically coupled to the support, an extension pusher rotatab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entral pusher, and It is configured to smoothly collect golf balls in narrow and wide spaces by varying the length of the collection part, including a push drive section that is connected to the central push bar and rotates the extension push bar.

본 발명은 원격제어에 의해 골프 연습장 필드의 내에 잔류된 골프공의 수거가 이루어지므로, 인력 투입에 따른 안전사고의 발생이 방지되고, 골프 연습을 위한 골프공의 구입 비용 및 골프공의 회수를 위한 인건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golf balls remaining in the golf driving range field by remote control, preventing safety accidents due to manpower input, and reducing the cost of purchasing golf balls for golf practice and recovering golf balls. This has the effect of reducing labor costs.

본 발명은 이용객의 연습의 중단없이 연속적인 골프공의 회수가 가능하므로, 이용객의 연습집중력이 향상될 뿐 아니라, 타격 리듬의 끊어짐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이용객의 연습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continuous recovery of golf balls without stopping the user's practice, which not only improves the user's practice concentration, but also prevents the hitting rhythm from being interrupted, thereby improving the user's practice efficiency.

본 발명은 중앙밀대를 중심으로 확장밀대가 펼쳐져 밀대의 전체 길이가 확장되도록 되어 있어, 야외 골프연습장 등지에서 타자의 전방에 형성된 평탄한 필드 역할을 하는 평지부에 잔류된 골프공에 대한 수거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nsion push bar is spread around the central push bar to extend the entire length of the push bar, thereby improving the collection efficiency for golf balls remaining on the flat area that serves as a flat field formed in front of the batter at outdoor golf driving ranges, etc. There is an effect.

본 발명은 중앙밀대와 확장밀대에 의해 필요에 따라 밀대의 전체 길이가 가변되도록 되어 있어, 본체부의 이동성 및 골프공의 수거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mobility of the main body and the collection efficiency of golf balls by allowing the overall length of the push bar to be varied as needed by the central push bar and the extended push bar.

본 발명은 밀대구동부에 의해 힌지축을 중심으로 확장밀대가 회전이동되도록 되어 있어, 평지 뿐 아니라, 평지와 경사면이 혼합된 지면에 대해서도 골프공의 수거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llowing the golf ball collection operation to be smoothly performed not only on flat ground but also on a mixture of flat ground and inclined surfaces, as the extended push rod is rotated and moved around the hinge axis by the push drive eastern part.

본 발명은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한 쌍의 주행부를 구비하도록 되어 있어, 주행방향 및 방향전환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뿐 아니라, 좁은 반경내에서도 회전 및 방향전환이 가능하여 좁은 공간 또는 지면 구석에 잔류하는 골프공에 대한 회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air of independently driven running units, so that not only can the running direction and direction change be freely performed, but rotation and direction change are also possible within a narrow radius, thereby providing protection against golf balls remaining in narrow spaces or corners of the ground. This has the effect of making recovery easy.

본 발명은 지지부의 탄성력에 의해 수거부가 지면방향으로 가압되도록 되어 있어, 지면에 대한 수거부의 들림현상이 방지되고, 이를 통해 본체부의 주행 및 골프공의 수거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lection part is 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groun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upport part, thereby preventing the collection part from lifting against the ground, and this has the effect of stabilizing the running of the main body and the collection of golf balls.

또한, 본 발명은 지지부에 의해 수거부가 상하방향으로 완충유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지면상태 또는 장애물로 인해 수거부에 발생되는 충격이 완화되며, 이를 통해 수거부의 손상 방지 및, 본체부의 주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collection unit to be cushioned and flow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support part, so that the impact generated on the collection unit due to ground conditions or obstacles is alleviated,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collection unit and preventing the main body from running. This has many benefits, including stabilization.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해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해구성을 보인 또다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장력조절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의 결합관계를 보인 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지지부에 의한 수거부의 가압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를 보인 또다른 예시도
Figure 1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n exploded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other example showing an exploded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ension adjustmen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upport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support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pressurization state of the collection unit by the support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n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nother example showing an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해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해구성을 보인 또다른 예시도를,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장력조절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의 결합관계를 보인 예시도를, 도 8 은 본 발명의 지지부에 의한 수거부의 가압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를 보인 또다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Figure 1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n exploded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other illustration showing the disassembled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illustration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ension adjustment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illustration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7 is an illustration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support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pressing state of the collection part by the support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0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shows another example showing the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the invention.

본 발명은 주행이 이루어지는 본체부(10); 본체부에 일체로 연결되는 지지부(20); 지지부(20)에 상하방향으로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탄성결합되는 수거부(30);를 포함하되, 상기 수거부(30)는, 지지부(20)에 탄성결합되는 중앙밀대(40)와, 중앙밀대(40)의 양측단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확장밀대(50)와, 중앙밀대(40)에 연결설치되어 확장밀대(50)를 회전시키는 밀대구동부(60)를 포함하여,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10) in which traveling takes place; A support portion (20) integral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Includes a collection part (30) elastically coupled to the support part (20) so that it can flow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rein the collection part (30) includes a central push bar (40) elastically coupled to the support part (20), and a central An extension push bar 50 rotatab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push bar 40, and a push drive unit 60 connected to the central push bar 40 to rotate the extension push bar 50,

중앙밀대(40)에 의해 폭이 좁은 공간에서 골프공(90)의 수거가 이루어지고, 중앙밀대(40)와 하나 이상의 확장밀대(50)에 의해 폭이 넓은 공간에서 골프공(90)의 수거가 원격제어에 의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Golf balls (90) are collected in a narrow space by the central push bar (40), and golf balls (90) are collected in a wide space by the central push bar (40) and one or more extension push bars (50). It is configured to be carried out quickly by remote control.

상기 본체부(10)는 골프공(90)의 수거를 위한 주행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1)과, 베이스 프레임(11)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어 본체부(10)를 이동시키는 주행부(12)와, 베이스 프레임(11)에 설치되어 골프공 수거작업을 위해 본체부(10) 및 수거부(30)를 제어하는 제어부(13)와, 베이스 프레임(11)에 설치되어 관리서버 또는 원격조정기(80)와의 상호통신을 위한 통신모듈(14)과, 베이스 프레임(11)에 설치되어, 주행부(12), 제어부(13) 및 통신모듈(14)로 필요로 하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5)와, 주행부(12), 제어부(13), 통신모듈(14) 및 배터리(15)의 외부노출이 방지되도록 베이스 프레임(11)에 연결설치되는 함체커버(16)를 포함한다. The main body 10 is driven to collect the golf ball 90, and as shown in Figures 1 to 4, it is located on the base frame 11 an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se frame 11, respectively. A running unit 12 installed to move the main body 10, a control unit 13 installed on the base frame 11 to control the main body 10 and the collecting unit 30 for collecting golf balls, and , a communication module 14 installed on the base frame 11 for mutual communication with the management server or remote controller 80, and a communication module 14 installed on the base frame 11, with the running unit 12, the control unit 13, and communication A base frame (11) to prevent external exposure of the battery (15) that supplies the power required for the module (14), the driving unit (12), the control unit (13), the communication module (14), and the battery (15). Includes a case cover (16) connected to and installed.

상기 베이스 프레임(11)은 도 2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0)가 일체로 고정설치되고, 제어부(13), 통신모듈(14), 배터리(15)가 연결설치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2 to 4, the base frame 11 has a support unit 20 fixed therein, and a control unit 13, a communication module 14, and a battery 1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11)에는 함체커버(16)가 결합되는 다수의 결합대(11a)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결합대(11a)는 베이스 프레임(11)에 연결설치되는 주행부(12), 제어부(13), 통신모듈(14), 배터리(15) 등에 간섭되지 않고 함체커버(16)의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소정높이로 돌출되도록 형성/설치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base frame 1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upling bands 11a to which the enclosure cover 16 is coupled. At this time, the coupling table 11a is installed on the enclosure cover 16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driving unit 12, control unit 13, communication module 14, battery 15, etc., which are connected to the base frame 11. It is formed/installed to protrude at a predetermined height so that .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11)은 그 형상이 사각형 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e frame 11 is shown as a rectangular shape, but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and may have a variety of shapes.

상기 주행부(12)는 도 2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연결설치되는 주행바퀴(12a)와,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설치되는 주행모터(12b)와, 주행모터(12b)와 주행바퀴(12a)에 연결되어 주행모터(12b)의 구동력을 주행바퀴(12a)로 전달하는 구동체인(12c)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2 to 4, the traveling unit 12 includes a traveling wheel 12a rotatably connected to the base frame, a traveling motor 12b fixed to the base frame, and a traveling motor ( It includes a drive chain (12c) that is connected to 12b) and the driving wheel (12a) and transmits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motor (12b) to the driving wheel (12a).

이때, 주행모터(12b)는 감속기(12d)가 연결설치되어 있으며, 감속기에는 구동 스프라켓(12e)이 설치되고, 주행바퀴 회전축(12f)에는 종동 스프라켓(12g)이 각각 연결설치되어, 구동체인(12c)이 구동 스프라켓(12e)과 종동 스프라켓(12g)에 연결설치됨으로써, 주행모터(12b)의 구동력이 주행바퀴(12a)에 전달되게 된다. At this time, the travel motor 12b is connected to a reducer 12d, a drive sprocket 12e is installed on the reducer, and a driven sprocket 12g is connected to the drive wheel rotation shaft 12f, respectively, and the drive chain (12g) is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12b. As 12c) is connected to the driving sprocket 12e and the driven sprocket 12g,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motor 12b is transmitted to the driving wheel 12a.

즉, 상기 주행부(12)는, 주행모터(12b)의 구동시, 주행모터(12b)의 구동력이 감속기(12d)를 통해 구동 스프라켓(12e)에 전달되고, 구동 스프라켓(12e)의 회전력이 구동체인(12c)을 통해 종동 스프라켓(12g)에 전달되어 주행바퀴(12a)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That is, when the driving motor 12b is driven, the driving part 12 transmits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motor 12b to the driving sprocket 12e through the reducer 12d, an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sprocket 12e is transmitted to the driving sprocket 12e. It is transmitted to the driven sprocket (12g) through the drive chain (12c) to rotate the driving wheel (12a).

또한, 상기 주행부(12)는, 구동체인(12c)의 장력을 조정하는 장력조절부(17)를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running unit 12 further includes a tension adjusting unit 17 that adjusts the tension of the driving chain 12c.

상기 장력조절부(17)는 도 3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1)에 고정설치되고 장홀(17b)이 구비된 고정브래킷(17a)과, 장홀(17b)을 관통하여 고정너트(17e)에 의해 고정브래킷(17a)에 고정되는 고정핀(17c)과, 고정핀(17c)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구동체인(12c)에 접촉되도록 연결설치되는 장력 스프라켓(17d)을 포함하여, 장홀(17b)을 통한 장력 스프라켓(17d)의 상하 위치조절에 의해 구동체인(12c)의 장력이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3 to 5, the tension adjusting unit 17 is fixed to the base frame 11 and is fixed through a fixing bracket 17a provided with a long hole 17b, and the long hole 17b. It includes a fixing pin (17c) fixed to the fixing bracket (17a) by a nut (17e), and a tension sprocket (17d)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xing pin (17c) and connected to contact the drive chain (12c). Thus, the tension of the drive chain 12c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tension sprocket 17d through the long hole 17b.

또한, 상기 장력조절부(17)는 베이스 프레임(11)에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장력조절부(17)는 구동 스프라켓(12e)과 종동 스프라켓(12g) 사이 및, 종동 스프라켓(12g) 사이에 위치하도록 베이스 프레임(11)을 중심으로 상/하에 설치될 수 있다. Additionally, one or more tension adjusting units 17 may be installed on the base frame 11. As an example, the tension adjusting unit 17 may be installed above and below the base frame 11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driving sprocket 12e and the driven sprocket 12g and between the driven sprockets 12g.

또한, 상기 주행부(12)는 스프라켓과 체인에 의해 주행모터의 구동력이 주행바퀴로 전달되도록 설명되어 있으나, 그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풀리와 구동벨트에 의해 주행모터의 구동력이 주행바퀴로 전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riving part 12 is described so that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motor is transmitted to the driving wheels by a sprocket and a chain, but the configura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motor is transmitted to the driving wheels by a pulley and a drive belt. It can be configured to be delivered to .

상기와 같이 구성된 주행부(12)는, 도 2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1)의 양측 즉, 좌/우측에 위치하도록 한 쌍이 설치되어 있으며, 좌/우측에 배치된 각각의 주행부는 원격제어에 의해 독립적으로 구동되어 본체부(10)의 이동 및 방향전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한 쌍의 주행부(12)는 상호 반대되는 방향으로 구동되어, 협소공간내에서도 방향전환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 아니라, 동일한 방향으로 구동되어 본체부(10)의 전진이동 및 후진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주행부(12)는 서로다른 속도를 구비하도록 개별구동되어 본체부(10)의 이동 및 방향전환이 이루어지도록 작동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2 to 4, the traveling units 12 configured as above are installed in pairs to b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base frame 11, that i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each pair is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The running part of is driven independently by remote control to move and change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That is, the pair of traveling parts 12 are driven in opposite directions, so that direction changes can be made quickly and accurately even in a narrow space, and are driven in the same direction to move the main body 10 forward and backward. It can be driven to cause movement. In addition, the pair of traveling units 12 may be individually driven to have different speeds so that the main body 10 can move and change direction.

상기 제어부(13)는 통신모듈(14)을 통해 수신된 신호에 의해 원격제어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한 쌍의 주행부(12)에 대한 제어(주행모터의 구동전원, 구동방향, 방향전환, 주행속도 등등), 수거부(30)의 작동에 대한 제어 등등, 골프공 수거를 위한 본체부(10)의 주행 및 수거부(30)의 작동을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13 controls remote control by signals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4, and controls the pair of driving units 12 (driving power of the driving motor, driving direction, and direction change). , running speed, etc.), control of the operation of the collection unit 30, etc., control the running of the main body 10 and the operation of the collection unit 30 for collecting golf balls.

또한, 상기 제어부(13)에는 골프공의 수거작업을 관리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이 더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본체부 및 수거부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3 may further store various programs for managing the collection of golf balls, and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the main body and the collection unit by the programs.

또한, 상기 제어부(13)는 본체부(10) 및 수거부(30)을 작동상태, 작동위치 및 이상유무를 수집하여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기능도 구비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3 also has a function to collect the operating status, operating position, and abnormality of the main body 10 and the collection unit 30 and transmit them to the manager.

상기 통신모듈(14)은 골프공 수거장치의 원격제어가 이루어지도록 신호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관리서버 또는 원격조정기(80)와 상호 유/무선통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통신모듈(14)은 무선통신이 주를 이루고, 유선통신이 부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module 14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to remotely control the golf ball collection device, and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red/wireless with the management server or remote controller 80. The communication module 14 may be configured so that wireless communication is the main part and wired communication is the main part.

상기 배터리(15)는 베이스 프레임(11)에 장탈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용전원에 연결되어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battery 15 is configured to be attached and detached to the base frame 11, and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 commercial power source for charging.

또한, 상기 배터리(15)는 하나 이상의 복수개가 설치되어, 재충전을 위해 일측 배터리가 분리될 경우, 나머지 배터리에 의해 주행 및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one or more batteries 15 may be installed so that when one battery is separated for recharging, driving and operation are performed by the remaining battery.

상기 함체커버(16)는 베이스 프레임의 결합대(11a)에 고정설치되며, 베이스 프레임(11), 배터리(15), 주행부(12), 제어부(13), 통신모듈(14)의 외부노출이 방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enclosure cover 16 is fixedly installed on the coupling table 11a of the base frame, and the base frame 11, battery 15, traveling unit 12, control unit 13, and communication module 14 are exposed to the outside. It is designed to prevent this.

또한, 상기 본체부(10)는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커버(16)에 감지센서(18)가 더 연결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in body 10 may have a detection sensor 18 connected to the enclosure cover 16, as shown in FIGS. 3 and 4.

상기 감지센서(18)는 본체부(10)의 주행에 따른 장애물(돌, 경계턱, 배수홈 등등)의 감지 및 이동경계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초음파센서, 레이저 센서 등등 거리를 감지할 수 있는 각종 센서로 이루어지거나, 비젼센서 등과 같이 영상획득을 통해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함체커버(16)의 둘레를 따라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The detection sensor 18 is used to detect obstacles (stones, boundary ridges, drain grooves, etc.) and determine the movement boundaries of the main body 10 as it travels, and can detect distances such as ultrasonic sensors and laser sensors. It may be made of various sensors or a sensor that can detect obstacles through image acquisition, such as a vision sensor, and one or more may be installed along the perimeter of the enclosure cover 16.

또한, 상기 감지센서(18)는 본체부(10)의 주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주행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감지센서가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etection sensor 18 is preferably installed so that at least one detection sensor is located in the driving direction so that the main body 10 can travel stably.

또한, 상기 본체부(10)는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커버(16)에 영상획득부(19)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영상획득부(19)는 골프공의 위치, 골프장 시설에 대한 정보 및 본체부 주변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것으로, 함체커버(16)에 하나 이상이 설치된다. In addition, the main body 10 may further have an image acquisition unit 19 installed on the enclosure cover 16,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image acquisition unit 19 is used to obtain the location of the golf ball, information about the golf course facilities, and images of the surroundings of the main body, and one or more of the image acquisition units 19 are installed on the enclosure cover 16.

이때, 상기 영상획득부(19)는 어안렌즈를 구비하는 카메라가 설치될 수 있으며, 주행방향 측에 위치하도록 함체커버(16)에 설치되거나, 함체커버(16)의 상단에 설치되어 본체부(10) 주변에 대한 영상이 한번에 획득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image acquisition unit 19 may be installed with a camera having a fish-eye lens, and may be installed on the enclosure cover 16 so as to be located on the traveling direction side, or may be installed on the top of the enclosure cover 16 and be installed on the main body ( 10) It can be installed so that images of the surroundings can be acquired at once.

또한, 이와 같이 영상획득부(19)에 의해 획득된 영상은 통신모듈(14) 및 제어부(13)를 통해 관리서버 또는 원격조정기(80)로 전달되어, 관리자가 손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image acquired by the image acquisition unit 19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or remote controller 8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4 and the control unit 13, so that the manager can easily understand it.

상기 지지부(20)는 소정압력으로 수거부(30)를 지면(91) 방향으로 가압하여 지면(91)에서 수거부(30)의 들림현상을 방지함으로써, 골프공(90) 수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The support unit 20 presses the collection unit 30 toward the ground 91 with a predetermined pressure to prevent the collection unit 30 from being lifted from the ground 91, thereby ensuring smooth collection of golf balls 90. It is equipped with a function that allows

상기 지지부(20)는,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에 고정설치되는 고정지지대(21)와, 수거부(30)에 고정설치되고 고정지지대(21)의 일측내로 상하이동되도록 삽입되는 이동지지대(22)와, 고정지지대(21)와 이동지지대(22)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체(23)와, 탄성체(23)를 관통하여 이동지지대(22)에 하단이 고정설치되고, 고정지지대(21)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된 상단에 조절너트(25)가 체결되는 가이드봉(24)을 포함하여, 탄성체(23)의 탄성력에 의해 수거부(30)에 고정된 이동지지부(22)가 지면방향으로 가압되도록 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6 and 7, the support part 2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main body 10, the fixed support 21, and the collection part 30, and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fixed support 21. The movable support 22 is inserted to move up and down inside, the elastic body 23 is installed between the fixed support 21 and the movable support 22, and the lower end is fixed to the movable support 22 through the elastic body 23. It is installed and includes a guide rod (24) to which an adjustment nut (25) is fastened to the upper end that protrudes outward through the fixing support (21), and is fixed to the collection unit (3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23). The movable support portion 22 is 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ground.

상기 고정지지대(21)는, 본체부의 베이스 프레임(11)에 일측단이 고정설치되는 메인지지대(26)와, 상기 메인지지대(26)의 타측단에 고정설치되고 하측방향으로 개구된 내부공간(27a)을 구비하고 상단패널(27b)에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가이드홀(27c)이 형성된 하우징 지지대(27)를 포함한다. The fixed support 21 includes a main support 26,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base frame 11 of the main body, and an internal space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main support 26 and opening downward ( 27a) and includes a housing support 27 having a guide hole 27c communicating with the internal space in the upper panel 27b.

상기 이동지지대(22)는, 수거부(30)에 고정설치되는 하단지지대(22a)와, 하단지지대(22a)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측방향으로 개구된 내부공간(22c)을 구비하며, 하우징 지지대의 내부공간내로 상/하이동되도록 삽입되는 가이드 지지대(22b)를 포함한다. The movable support 22 has a lower support 22a fixed to the collection unit 30, and an internal space 22c formed integrally with the lower support 22a and opening upward, and the housing support It includes a guide support (22b) that is inserted to move up and down within the internal space of.

상기 탄성체(23)는 이동지지대의 하단지지대(22a)에 일측단이 접촉지지되고, 하우징 지지대의 상단패널(27b)에 타측단이 접촉지지되도록 고정지지대의 내부공간 즉, 메인지지대의 내부공간(27a)과 이동지지대의 내부공간(22c)내에 설치되어 있다. 일 예로, 상기 탄성체(23)는 압축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The elastic body 23 has one end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lower support 22a of the movable support, and the other end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upper panel 27b of the housing support, so that the inner space of the fixed support, that is, the inner space of the main support ( It is installed in 27a) and the internal space 22c of the mobile support. For example, the elastic body 23 may be a compression spring.

상기 가이드봉(24)은 고정지지대(21)와 이동지지대(22)를 연결하는 기능, 수거부(3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기능, 수거부(30)의 상/하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기능 및, 탄성체(23)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The guide rod 24 has a function of connecting the fixed support 21 and the movable support 22, a function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collection unit 30, and a function of guiding the upward/downward movement of the collection unit 30. And, it has a function of adjusting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23.

상기 가이드봉(24)은 이동지지대의 하단지지대(22a)에 일측단이 나사결합되고, 하우징 지지대의 가이드홀(27c)을 관통하여 돌출된 타측단에 조절너트(25)가 체결됨으로써, 고정지지대(21)와 이동지지대(22)의 분리가 방지되도록 연결된다. The guide rod 24 has one end screwed to the lower support 22a of the movable support, and an adjustment nut 25 is fastened to the other end protruding through the guide hole 27c of the housing support, thereby forming a fixed support. (21) and the mobile support (22) are connected to prevent separa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지지부(20)는, 탄성체(23)의 탄성력과 조절너트(25)의 가이드봉(24) 체결에 의해 이동지지대(22)가 고정설치된 수거부(30)의 위치가 지지되고,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체(23)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지지대(22)가 지면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이동지지대에 연결된 수거부(30)가 지면(91)으로부터 들리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The support portion 2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upports the position of the collection portion 30 on which the movable support 22 is fixedly install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23 and the fastening of the guide rod 24 of the adjustment nut 25, As shown in FIG. 8, the movable support 22 is pressed in the ground direc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23, thereby preventing the collection unit 30 connected to the movable support from being lifted from the ground 91.

또한, 상기 지지부(20)는 탄성체(23)에 의해 완충기능을 구비하고 있어, 장애물, 골프공 등에 의해 수거부(30)에 외압이 발생될 시, 탄성체(23)가 압축되면서 이동지지대의 가이드 지지대(22b)가 고정지지대의 하우징 지지대내(27)로 삽입이동되어 완충작용이 이루어지는 효과도 구비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support part 20 has a buffering function by the elastic body 23, so that when external pressure is generated on the collection part 30 by an obstacle, a golf ball, etc., the elastic body 23 is compressed and guides the movable support. The support 22b is inserted and moved into the housing support 27 of the fixed support to provide a buffering effect.

상기 수거부(30)는 본체부(10)의 주행에 따라 골프공(90)을 밀어서 수거하는 것으로,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0)에 연결된 중앙밀대(40)를 중심으로 양측에 확장밀대(50)가 회전가능하도록 힌지축(31)에 의해 연결되고, 중앙밀대(40)와 확장밀대(50) 사이에 밀대구동부(60)가 설치되어, 밀대구동부(60)의 작동에 의해 힌지축(31)을 중심으로 확장밀대(50)가 회전됨으로써, 중앙밀대(40)와 하나 이상의 확장밀대(50)에 의해 골프공을 밀어서 수거하도록 되어 있다. The collection unit 30 collects the golf balls 90 by pushing them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ain body 10. As shown in FIGS. 1 to 4, the central push bar 40 connected to the support unit 20 is used to collect the golf balls 90. The extension push bar 50 on both sides is connected to the center by a hinge shaft 31 so as to be rotatable, and a push drive section 60 is installed between the central push bar 40 and the extension push bar 50, so that the push drive section 60 The extension push bar 50 rotates around the hinge axis 31 by the operation of the golf ball, thereby pushing and collecting the golf ball by the central push bar 40 and one or more extension push bars 50.

상기 중앙밀대(40)는 지지부의 이동지지대(22) 즉, 이동지지대의 하단지지대(22a)에 고정설치되어, 이동지지대(22)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중앙밀대(40)는 사각 파이프 또는 다각 파이프 또는 패널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entral push bar 40 is fixed to the movable support 22 of the support unit, that is, the lower support 22a of the movable support unit, and is able to move in the upward/downward direction together with the movable support unit 22. Additionally, the central push bar 40 may be made of a square pipe, polygonal pipe, or panel type.

상기 확장밀대(50)는 일측단이 중앙밀대(40)와 힌지축(31)에 의해 연결되고 밀대구동부(60)에 의해 힌지축(31)을 중심으로 회전이동됨, 상기 확장밀대(50)는 사각 파이프 또는 다각 파이프 또는 패널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One end of the extension push bar 50 is connected to the central push bar 40 and the hinge axis 31, and is rotated around the hinge axis 31 by the push drive unit 60. The extension push bar 50 Can be made of square pipe, polygonal pipe or panel type.

또한, 상기 확장밀대(50)의 타측단에 가이드패널(51)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패널(51)은 본체부(10)의 주행 중, 골프공이 확장밀대(50)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차단하여 골프공의 수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골프공 수거방향(A)으로 돌출되어지도록 소정의 경사를 구비하며 확장밀대(50)의 끝단에 고정설치되어 있다. In addition, a guide panel 51 is installed on the other end of the extension push bar 50, and the guide panel 51 prevents the golf ball from deviating to the outside of the extension push bar 50 while the main body 10 is running. It is used to block golf balls to be collected smoothly. It has a predetermined slope so that it protrudes in the golf ball collection direction (A) and is fixedly installed at the end of the extension pusher (50).

또한, 상기 중앙밀대(40)의 양측에는 가이드패널(41)이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패널(41)은 확장밀대(50)의 가이드패널(51)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본체부(10)의 주행 중, 골프공이 중앙밀대(40) 외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구비하게 된다.In addition, guide panels 41 may be further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push bar 40, and the guide panel 41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guide panel 51 of the extension push bar 50, and the main body portion 10 ) is equipped with a function to block the golf ball from moving to the outside of the central push bar (40) while the golf ball is running.

이와 같이, 중앙밀대(40)에 가이드패널(41)이 더 설치될 경우, 골프공의 수거작업 시, 골프공이 일측으로 편중되는 현상이 방지되어 본체부(10)의 주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로 인해 골프공의 수거작업이 원활하게 진행되는 효과를 구비하게 된다. In this way, when the guide panel 41 is further installed on the central push bar 40, when collecting golf balls, the phenomenon of golf balls being biased to one side is prevented, so that the main body 10 runs stably. , This has the effect of allowing the collection of golf balls to proceed smoothly.

또한, 상기 중앙밀대(40) 및 확장밀대(50)에는 지면(91)에 구름접촉되며 이동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로울러(32,33)가 각각 연결설치되어 있다. In addition, one or more rollers 32 and 33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central push bar 40 and the extended push bar 50 so that they can be moved while in rolling contact with the ground 91.

즉, 지지부(20)의 탄성력에 의해 중앙밀대(40)가 지면(91)방향으로 가압될 시, 도 8 및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밀대(40)에 구비된 로울러(32)가 지면(91)에 접촉되어, 본체부(10)의 주행시 로울러(32)가 구름작동됨으로써, 중앙밀대(40)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That is, when the central push bar 40 is 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ground 91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upport portion 20, as shown in FIGS. 8 and 10, the roller 32 provided on the central push bar 40 By contacting the ground 91, the roller 32 rolls when the main body 10 travels, thereby allowing the central pusher 40 to move smoothly.

또한, 밀대구동부(60)에 의해 확장밀대(50)가 지면(91) 방향으로 회전이동될 시, 확장밀대(50)에 구비된 로울러(33)가 지면(91)에 접촉되어, 본체부(10)의 주행시 로울러(33)가 구름작동됨으로써, 확장밀대(50)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In addition, when the extension pusher 50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ground 91 by the pusher drive unit 60, the roller 33 provided on the extension pusher 50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91, and the main body portion ( When 10) is driven, the roller 33 rolls so that the extension push bar 50 moves smoothly.

상기 밀대구동부(60)는 힌지축(31)을 중심으로 확장밀대(50)를 회전이동시키는 것으로,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밀대(40)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브래킷(61)과, 고정브래킷(6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설치되고 확장밀대(50)에 연결되어 확장밀대(50)를 회전작동시키는 액츄에이터(6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액츄에이터는 전동모터, 공/유압실린더 등등 힌지축을 중심으로 확장밀대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모든 기기장치를 포함한다.The push drive unit 60 rotates the extended push bar 50 around the hinge axis 31, and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fixing bracket 61 is fixed to the central push bar 40. ) and an actuator 62 tha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xing bracket 61 and is connected to the extension pusher 50 to rotate the extension pusher 50. At this time, the actuator includes all mechanical devices such as electric motors, pneumatic/hydraulic cylinders, etc. that allow the extension pusher to rotate around the hinge axis.

이와 같이 구성된 수거부(30)는 도 1, 도 9 및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밀대(50)의 회전작동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수거부(30)의 전체 길이가 확장되어 골프공의 수거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수거부(30)는 중앙밀대(40)에 의해 골프공(90)의 수거작업이 원격제어될 수 있고, 중앙밀대(40)와 하나의 확장밀대(50)에 의해 골프공(90)의 수거작업이 원격제어될 수 있으며, 중앙밀대(40)와 두 개의 확장밀대(50)에 의해 골프공(90)의 수거작업이 원격제어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 9, and 10, the collection unit 30 configured in this way extends the entire length of the collection unit 3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extension pusher 50 to accommodate golf balls. Collection work is carried out easily. That is, the collection unit 30 can remotely control the collection of golf balls 90 by the central pusher 40, and can collect golf balls 90 by the central pusher 40 and one extension pusher 50. ) can be remotely controlled, and the collection of golf balls 90 can be remotely controlled by the central pusher 40 and the two extended pushers 50.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골프공 수거를 위하여 목적위치로 이동할 시에는 밀대구동부(60)에 의해 확장밀대(50)가 접혀진 상태 즉, 밀대구동부(60)에 의해 중앙밀대(40)에 대하여 확장밀대(50)가 직각으로 유지된 상태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확장밀대(50)가 접혀진 상태를 유지할 경우, 수거부(30)는 확장밀대(50)와 중앙밀대(40)에 의해 전체적으로 'U'자 형상을 이루게 되어, 장애물과의 간섭발생없이 또한 좁은 폭을 구비하는 이동경로에 대해서도 본체부(10)의 신속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moving to the target location to collect golf balls, the extended push bar (50) is folded by the push bar drive portion (60), that is, the expander push bar (50) is expanded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ush bar (40) by the push bar drive unit (60). The push bar 50 is moved while being maintained at a right angle. In this way, when the extension push bar 50 is maintained in the folded state, the collection unit 30 forms an overall 'U' shape by the extension push bar 50 and the central push bar 40, without interference with obstacles. Rapid movement of the main body 10 is possible even on a movement path having a narrow width.

또한, 목적위치에 도달 후에는 밀대구동부(60)에 의해 하나 이상의 확장밀대(50)가 중앙밀대(40)에 연장도도록 지면(91) 방향으로 펼쳐진 후(회전작동된 후), 본체의 주행이 이루어지면, 중앙밀대(40)와 확장밀대(50)에 의해 골프공(90)의 수거가 이루어지게 된다.In addition, after reaching the target position, one or more extension push rods (50) are extended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ground (91) by the push rod drive unit (60) to extend to the central push rod (40), and then the main body travels. When this is accomplished, the golf ball 90 is collected by the central pusher 40 and the extended pusher 50.

또한, 본 발명은 밀대구동부에 의해 힌지축을 중심으로 확장밀대가 회전이동되도록 되어 있어,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지 뿐 아니라, 평지와 경사면이 혼합된 지면에 대해서도 골프공의 수거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nsion pusher is rotated around the hinge axis by the pusher drive portion, so as shown in FIG. 10, golf balls can be collected not only on flat ground but also on a mixture of flat ground and inclined surfaces. You can.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본체부 주행 및, 밀대구동부에 의한 확장밀대의 회전작동은 모두 원격제어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traveling of the main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otation of the extension pusher by the pusher drive portion are all performed by remote control.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anyon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such change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또한, 본 발명에 기재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이 기재된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fore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described terms.

(10) : 본체부 (11) : 베이스 프레임
(11a) : 결합대 (12) : 주행부
(12a) : 주행바퀴 (12b) : 주행모터
(12c) : 구동체인 (12d) : 감속기
(12e) : 구동 스프라켓 (12f) : 주행바퀴 회전축
(12g) : 종동 스프라켓 (13) : 제어부
(14) : 통신모듈 (15) : 배터리
(16) : 함체커버 (17) : 장력조절부
(17a) : 고정브래킷 (17b) : 장홀
(17c) : 고정핀 (17d) : 장력 스프라켓
(18) : 감지센서 (19) : 영상획득부
(20) : 지지부 (21) : 고정지지대
(22) : 이동지지대 (22a) : 하단지지대
(22b) : 가이드 지지대 (22c) : 내부공간
(23) : 탄성체 (24) : 가이드봉
(25) : 조절너트 (26) : 메인지지대
(27) : 하우징 지지대 (27a) : 내부공간
(27b) : 상단패널 (27c) : 가이드홀
(30) : 수거부 (31) : 힌지축
(32,33): 로울러 (40) : 중앙밀대
(50) : 확장밀대 (41,51): 가이드패널
(60) : 밀대구동부 (61) : 고정브래킷
(62) : 액츄에이터 (80) : 관리서버 또는 원격조정기
(90) : 골프공 (91) : 지면
(100) : 골프공 수거장치
(10): Main body (11): Base frame
(11a): Coupler (12): Running part
(12a): Driving wheel (12b): Driving motor
(12c): Drive chain (12d): Reducer
(12e): Drive sprocket (12f): Driving wheel rotation axis
(12g): Driven sprocket (13): Control unit
(14): Communication module (15): Battery
(16): Case cover (17): Tension control part
(17a): Fixing bracket (17b): Long hole
(17c): Fixing pin (17d): Tension sprocket
(18): Detection sensor (19): Image acquisition unit
(20): Support (21): Fixed support
(22): Mobile support (22a): Bottom support
(22b): Guide support (22c): Internal space
(23): Elastic body (24): Guide rod
(25): Adjustment nut (26): Main support
(27): Housing support (27a): Internal space
(27b): Top panel (27c): Guide hole
(30): Collection part (31): Hinge axis
(32,33): Roller (40): Central pusher
(50): Extension push bar (41,51): Guide panel
(60): Push drive eastern part (61): Fixing bracket
(62): Actuator (80): Management server or remote controller
(90): Golf ball (91): Ground
(100): Golf ball collection device

Claims (11)

주행이 이루어지는 본체부(10);
본체부에 일체로 연결되는 지지부(20);
지지부(20)에 상하방향으로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탄성결합되는 수거부(30);를 포함하되,
상기 수거부(30)는, 지지부(20)에 탄성결합되는 중앙밀대(40)와, 중앙밀대(40)의 양측단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확장밀대(50)와, 중앙밀대(40)에 연결설치되어 확장밀대(50)를 회전시키는 밀대구동부(60)를 포함하여,
중앙밀대(40)에 의해 좁은 공간에서 골프공(90)의 수거가 이루어지고, 중앙밀대(40)와 하나 이상의 확장밀대(50)에 의해 넓은 공간에서 골프공(90)의 수거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수거장치.
A main body portion (10) in which traveling takes place;
A support portion (20) integral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It includes a collection part (30) elastically coupled to the support part (20) so that it can flow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collection unit 30 includes a central push bar 40 elastically coupled to the support portion 20, an extension push bar 50 rotatab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entral push bar 40, and a central push bar 40. Including a push drive unit (60) connected to and installed to rotate the extension push bar (50),
The golf balls 90 are collected in a narrow space by the central push bar 40, and the golf balls 90 are collected in a wide space by the central push bar 40 and one or more extension push bars 50. A golf ball coll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1 에 있어서;
중앙밀대(40) 및 확장밀대(50)에는 지면(91)에 구름접촉되며 이동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로울러(32,33)가 각각 연결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수거장치.
In claim 1;
A golf ball coll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one or more rollers (32, 33)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central push bar (40) and the extended push bar (50) so that they can be moved while in rolling contact with the ground (91).
청구항 1 에 있어서;
밀대구동부(60)는, 중앙밀대(40)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브래킷(61)과, 고정브래킷(6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설치되고 확장밀대(50)에 연결되어 확장밀대(50)를 회전작동시키는 액츄에이터(6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수거장치.
In claim 1;
The push drive unit 60 is rotatably connected to a fixing bracket 61 fixed to the central push bar 40 and the fixing bracket 61, and is connected to the extension push bar 50 to rotate the extension push bar 50. A golf ball collection device comprising an actuator (62) that operates.
청구항 1 에 있어서;
확장밀대(50)의 끝단에는 가이드패널(51)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수거장치.
In claim 1;
A golf ball coll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guide panel (51) is further installed at the end of the extension bar (50).
청구항 1 에 있어서;
중앙밀대(40)의 양측에는 가이드패널(41)이 더 설치되고, 확장밀대(50)의 끝단에는 가이드패널(51)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수거장치.
In claim 1;
A golf ball coll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guide panels (41) are further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push bar (40), and a guide panel (51) is further installed at the end of the extended push bar (50).
청구항 1 에 있어서;
지지부(20)는, 본체부(10)에 고정설치되는 고정지지대(21)와, 수거부(30)에 고정설치되고 고정지지대(21)의 일측내로 상하이동되도록 삽입되는 이동지지대(22)와, 고정지지대(21)와 이동지지대(22)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체(23)와, 탄성체(23)를 관통하여 이동지지대(22)에 하단이 고정설치되고, 고정지지대(21)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된 상단에 조절너트(25)가 체결되는 가이드봉(24)을 포함하여,
탄성체(23)의 탄성력에 의해 수거부(30)에 고정된 이동지지부(22)가 지면방향으로 가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수거장치.
In claim 1;
The support unit 20 includes a fixed support 21 fixed to the main body 10, a movable support 22 fixed to the collection unit 30 and inserted to move up and down inside one side of the fixed support 21. , an elastic body 23 installed between the fixed support 21 and the movable support 22, the lower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movable support 22 through the elastic body 23, and the outer side penetrating the fixed support 21. Including a guide rod (24) to which an adjustment nut (25) is fastened to the upper protruding end,
A golf ball coll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able support part (22) fixed to the collection part (30) is pressed in the ground direc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23).
청구항 6 에 있어서;
고정지지대(21)는, 본체부의 베이스 프레임(11)에 일측단이 고정설치되는 메인지지대(26)와, 상기 메인지지대(26)의 타측단에 고정설치되고 하측방향으로 개구된 내부공간(27a)을 구비하고 상단패널(27b)에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가이드홀(27c)이 형성된 하우징 지지대(27)를 포함하고,
이동지지대(22)는, 수거부(30)에 고정설치되는 하단지지대(22a)와, 하단지지대(22a)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측방향으로 개구된 내부공간(22c)을 구비하며, 하우징 지지대의 내부공간내로 상/하이동되도록 삽입되는 가이드 지지대(22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수거장치.
In claim 6;
The fixed support 21 includes a main support 26 having one end fixed to the base frame 11 of the main body, and an internal space 27a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main support 26 and opening downward. ) and includes a housing support 27 having a guide hole 27c communicating with the internal space in the upper panel 27b,
The movable support 22 has a lower support 22a fixed to the collection unit 30, and an internal space 22c formed integrally with the lower support 22a and opening upward, and is a housing support. A golf ball collection device comprising a guide supporter (22b) that is inserted to move up and down into the internal space.
청구항 1 에 있어서;
본체부(10)는, 베이스 프레임(11)과, 베이스 프레임(11)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어 본체부(10)를 이동시키는 주행부(12)와, 베이스 프레임(11)에 설치되어 골프공 수거작업을 위해 본체부(10) 및 수거부(30)를 제어하는 제어부(13)와, 베이스 프레임(11)에 설치되어 관리서버 또는 원격조정기(80)와의 상호통신을 위한 통신모듈(14)과, 베이스 프레임(11)에 설치되어, 주행부(12), 제어부(13) 및 통신모듈(14)로 필요로 하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5)와, 주행부(12), 제어부(13), 통신모듈(14) 및 배터리(15)의 외부노출이 방지되도록 베이스 프레임(11)에 연결설치되는 함체커버(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수거장치.
In claim 1;
The main body 10 is installed on the base frame 11, a running part 12 that is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se frame 11 and moves the main body 10, and the base frame 11. A control unit 13 that controls the main body 10 and the collection unit 30 for golf ball collection work, and a communication module ( 14), a battery 15 installed on the base frame 11 and supplying power required for the driving unit 12, the control unit 13,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14, the driving unit 12, and the control unit. (13), A golf ball collection device comprising an enclosure cover (16) connected to the base frame (11) to prevent external exposure of the communication module (14) and battery (15).
청구항 8 에 있어서;
본체부(10)는 함체커버(16)에 감지센서(18)와 영상획득부(19)가 더 설치되되, 상기 영상획득부(19)는 어안렌즈를 구비하는 카메라가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수거장치.
In claim 8;
The main body unit 10 is a golf golf game, characterized in that a detection sensor 18 and an image acquisition unit 19 are further installed on the enclosure cover 16, and the image acquisition unit 19 is a camera equipped with a fish-eye lens. Ball collection device.
청구항 8 에 있어서;
주행부(12)는, 베이스 프레임(1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설치되는 주행바퀴(12a)와, 베이스 프레임(11)에 고정설치되는 주행모터(12b)와, 주행모터(12b)와 주행바퀴(12a)에 연결되어 주행모터(12b)의 구동력을 주행바퀴(12a)로 전달하는 구동체인(12c)을 포함하되,
상기 주행모터(12b)에는 감속기(12d)가 연결설치되고, 감속기(12d)에는 구동 스프라켓(12e)이 연결 설치되며, 주행바퀴 회전축(12f)에는 종동 스프라켓(12g)이 각각 연결설치되어, 구동체인(12c)이 구동 스프라켓(12e)과 종동 스프라켓(12g)에 연결설치됨으로써, 주행모터(12b)의 구동력이 주행바퀴(12a)에 전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수거장치.
In claim 8;
The driving unit 12 includes a driving wheel 12a rotatably connected to the base frame 11, a driving motor 12b fixed to the base frame 11, a driving motor 12b, and a driving wheel. It includes a drive chain (12c) connected to (12a) and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motor (12b) to the driving wheel (12a),
A reducer (12d) is connected to the travel motor (12b), a drive sprocket (12e) is connected to the reducer (12d), and a driven sprocket (12g) is connected to the drive wheel rotation shaft (12f) to drive the drive. A golf ball coll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in (12c) is connected to the driving sprocket (12e) and the driven sprocket (12g), so that the driving force of the traveling motor (12b) is transmitted to the traveling wheel (12a).
청구항 10 에 있어서;
주행부(12)는, 구동체인(12c)의 장력을 조정하는 장력조절부(17)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장력조절부(17)는 베이스 프레임(11)에 고정설치되고 장홀(17b)이 구비된 고정브래킷(17a)과, 장홀(17b)을 관통하여 고정너트(17e)에 의해 고정브래킷(17a)에 고정되는 고정핀(17c)과, 고정핀(17c)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구동체인(12c)에 접촉되도록 연결설치되는 장력 스프라켓(17d)을 포함하여, 장홀(17b)을 통한 장력 스프라켓(17d)의 상하 위치조절에 의해 구동체인(12c)의 장력이 조절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수거장치.
In claim 10;
The running unit 12 further includes a tension adjusting unit 17 that adjusts the tension of the driving chain 12c,
The tension adjusting unit 17 is fixed to the base frame 11 and includes a fixing bracket 17a having a long hole 17b, and a fixing bracket 17a passing through the long hole 17b and using a fixing nut 17e. Including a fixing pin (17c) fixed to the fixing pin (17c) and a tension sprocket (17d)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xing pin (17c) and connected to contact the drive chain (12c), a tension sprocket (17b) through the long hole (17b) A golf ball coll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ension of the drive chain (12c)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up and down position of 17d).
KR1020220047026A 2022-04-15 2022-04-15 Device for golf ball retrieving KR2023014797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7026A KR20230147971A (en) 2022-04-15 2022-04-15 Device for golf ball retriev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7026A KR20230147971A (en) 2022-04-15 2022-04-15 Device for golf ball retriev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7971A true KR20230147971A (en) 2023-10-24

Family

ID=88515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7026A KR20230147971A (en) 2022-04-15 2022-04-15 Device for golf ball retriev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7971A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936Y1 (en) 2005-07-22 2005-10-10 한영문 collection device for golf ball
KR20090112338A (en) 2008-04-24 2009-10-28 (주) 리버스 Golf ball pickup robot
KR101207283B1 (en) 2011-06-14 2012-12-04 이손이엔엘 (주) Remote Control Golf Ball Collector
KR101761171B1 (en) 2015-10-30 2017-07-25 주식회사 자연 Automatic Collecting system of golf ball using the collecting robo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936Y1 (en) 2005-07-22 2005-10-10 한영문 collection device for golf ball
KR20090112338A (en) 2008-04-24 2009-10-28 (주) 리버스 Golf ball pickup robot
KR101207283B1 (en) 2011-06-14 2012-12-04 이손이엔엘 (주) Remote Control Golf Ball Collector
KR101761171B1 (en) 2015-10-30 2017-07-25 주식회사 자연 Automatic Collecting system of golf ball using the collecting robo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26350B (en) A kind of Soccer robot overall structure
CN106005080A (en) Crop bottom-layer stalk routing inspection spherical robot with jumping obstacle avoiding function
KR101873226B1 (en) Device for golf ball retrieving
US20180193711A1 (en) Automatic batting tee apparatus
CN108114405A (en) Treadmill Adaptable System based on 3D depth cameras and flexible force sensitive sensor
KR101761171B1 (en) Automatic Collecting system of golf ball using the collecting robot
CN105148528B (en) A kind of modularization Soccer robot
KR20230147971A (en) Device for golf ball retrieving
CN208340049U (en) A kind of pass work device for basketball training
KR101529289B1 (en) Ball collecting device for golf driving range
US20150182834A1 (en) Mobile device which simulates player motion
CN205252474U (en) It picks up in tennis training machine of an organic whole to collect service
CN113521699B (en) Ice and snow motion auxiliary device
CN111840953B (en) Tennis training device
CN110501350A (en) A kind of crops lesion monitoring device
KR101980043B1 (en) Device for golf ball retrieving
KR100672897B1 (en) Golf training machine
CN210196922U (en) Intelligent stadium
KR101144913B1 (en) An apparatus for collecting golf boll
CN208366176U (en) A kind of multiple target motion target plateform system
CN110975259A (en) Volleyball catching and blocking device
CN114225314B (en) Omnidirectional electric treadmill
CN112999631B (en) Badminton training aiding device and training system thereof
CN107624669B (en) Intelligent traction equipment based on treadmill
KR101176346B1 (en) Golf ball auto transfer apparatus for golf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