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7197A - 바디 프레임 및 바디 프레임을 갖는 차량 - Google Patents

바디 프레임 및 바디 프레임을 갖는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7197A
KR20230147197A KR1020237032539A KR20237032539A KR20230147197A KR 20230147197 A KR20230147197 A KR 20230147197A KR 1020237032539 A KR1020237032539 A KR 1020237032539A KR 20237032539 A KR20237032539 A KR 20237032539A KR 20230147197 A KR20230147197 A KR 202301471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section
plate
longitudinal beam
body frame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2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 취안
하오 중
쥔페이 옌
위 왕
텅융 류
Original Assignee
비와이디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와이디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와이디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47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71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18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front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62D21/03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transverse members providing body sup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4Door pillars ; windshield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4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145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having a crossbeam incorporated there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72Floor protection, e.g. from corrosion or scra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바디 프레임 및 바디 프레임을 갖는 차량. 바디 프레임은 전방 크로스 부재, 제1 전방 종방향 레일 및 제2 전방 종방향 레일을 포함한다. 제1 전방 종방향 레일 및 제2 전방 종방향 레일은 간격을 두고 배열되며, 제1 전방 종방향 레일 및 제2 전방 종방향 레일 각각은 서로 연결된 종방향 레일의 후방 섹션의 전방 부분 및 종방향 레일의 후방 섹션의 후방 부분을 포함한다. 종방향 레일의 후방 섹션의 전방 부분은 전방 크로스 부재에 연결되고, 종방향 레일의 후방 섹션의 전방 부분의 상부 표면은 전방 크로스 부재의 상부 표면과 동일한 평면에 위치되고, 각각의 종방향 레일의 후방 섹션의 후방 부분은 대응하는 종방향 레일의 후방 섹션의 전방 부분에 연결된다.

Description

바디 프레임 및 바디 프레임을 갖는 차량
관련 출원에 대한 교차-참조
본 출원은 발명의 명칭을 "차량 바디 프레임 및 차량 바디 프레임을 갖는 차량(VEHICLE BODY FRAME AND VEHICLE WITH SAME)"으로 하여 2021년 6월 29일자로 출원된 중국 특허 출원 번호 202110732244.9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상기-참조된 출원의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합체되어 있다.
본 개시내용은 차량 바디 프레임 및 차량 바디 프레임을 갖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전방 충돌은 차량의 전방 구조의 합리성에 대한 중요한 평가 표준들 중 하나이다. 차량에 전방 충돌이 가해질 때 승객실 내의 승객들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전방 충돌의 충돌력의 후방 전달 과정에서, 차량의 전방 구조의 변형을 통해 대응하는 충돌력을 흡수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련 기술의 차량 바디 프레임(1')은 일반적으로 전방 종방향 빔(100') 및 전방 횡방향 빔(200')을 구비한다. 전방 종방향 빔(100')은 전방 횡방향 빔(200')과 연결된다. 따라서, 전방 종방향 빔(100') 및 전방 횡방향 빔(200')은, 승객들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차량의 전방 구조가 변형되어 승객실 내로 침입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차량이 겪는 충돌력을 견딜 수 있다. 하지만, 전방 종방향 빔(100')과 전방 횡방향 빔(200') 사이의 연결로 인해, 힘이 가해질 때 전방 횡방향 빔(200')의 플립(flip)을 유발할 수 있고, 따라서 전방 횡방향 빔(200')은 전방 저항에서 낮은 유효성을 가지며, 차량의 전방 구조가 승객실 내로 침입할 더 큰 가능성이 존재한다.
본 개시내용은 관련 기술 분야에서의 상기 기술적 문제점들 중 적어도 하나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일 목적은 차량 바디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차량 바디 프레임은 높은 안전성, 전방 충돌에 대한 양호한 저항, 편리한 연결 등의 장점들을 갖는다.
본 개시내용은 상기 실시예에서 제공된 차량 바디 프레임을 갖는 차량을 추가로 제공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개시내용의 제1 양태의 실시예는 차량 바디 프레임을 제공하고, 이는, 전방 횡방향 빔; 및 제1 전방 종방향 빔 및 제2 전방 종방향 빔을 포함한다. 제1 전방 종방향 빔 및 제2 전방 종방향 빔은 좌우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된다. 제1 전방 종방향 빔 및 제2 전방 종방향 빔 각각은 서로 연결된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 및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을 포함한다.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은 전방 횡방향 빔에 연결된다.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의 상부 표면과 전방 횡방향 빔의 상부 표면은 동일한 평면에 위치된다. 각각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은 대응하는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에 연결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바디 프레임은 높은 안전성, 전방 충돌에 대한 양호한 저항, 편리한 연결 등의 장점들을 갖는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전방 종방향 빔 및 제2 전방 종방향 빔 각각은: 제1 전방 연결 플레이트 - 제1 전방 연결 플레이트는 전방 횡방향 빔 및 대응하는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에 각각 연결되고, 제1 전방 연결 플레이트는 연결된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의 일 측부 상에 위치됨 -; 및 제2 전방 연결 플레이트 - 제2 전방 연결 플레이트는 전방 횡방향 빔 및 대응하는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에 각각 연결되고, 제2 전방 연결 플레이트는 연결된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의 다른 측부 상에 위치됨 - 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차량 바디 프레임은 중심 채널 - 중심 채널은 전방 횡방향 빔 뒤에 위치되고 전방 횡방향 빔에 연결됨 -; 및 제1 스커프 플레이트(scuff plate) 및 제2 스커프 플레이트 - 제1 스커프 플레이트 및 제2 스커프 플레이트는 좌우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제1 전방 종방향 빔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의 일 측부는 제1 스커프 플레이트와 연결되고 다른 측부는 중심 채널과 연결되며, 제2 전방 종방향 빔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의 일 측부는 제2 스커프 플레이트와 연결되고 다른 측부는 중심 채널과 연결됨 - 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전방 종방향 빔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은 제2 스커프 플레이트에 가까운 제1 스커프 플레이트의 일 측부에 연결되고, 제2 전방 종방향 빔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은 제1 스커프 플레이트에 가까운 제2 스커프 플레이트의 일 측부에 연결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각각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은 대응하는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의 하부 표면에 연결되고 중심 채널의 하부 표면에 연결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각각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의 2개의 측부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점진적으로 서로로부터 멀어진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차량 바디 프레임은 제1 A 필러 및 제2 A 필러를 더 포함한다. 제1 A 필러와 제2 A 필러는 좌우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된다. 전방 횡방향 빔의 2개의 단부는 제1 A 필러 및 제2 A 필러에 각각 연결된다. 제1 A 필러는 제1 스커프 플레이트와 연결된다. 제2 A 필러는 제2 스커프 플레이트와 연결된다. 제1 전방 종방향 빔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의 일 측부는 제1 A 필러와 연결된다. 제2 전방 종방향 빔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의 일 측부는 제2 A 필러와 연결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각각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은 후방 섹션 내부 측부 부분 - 후방 섹션 내부 측부 부분은 중심 채널 및 대응하는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에 각각 연결되고, 후방 섹션 내부 측부 부분은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점진적으로 하향 경사짐 -; 및 후방 섹션 외부 측부 부분 - 후방 섹션 외부 측부 부분은 대응하는 제1 스커프 플레이트 또는 제2 스커프 플레이트, 대응하는 제1 A 필러 또는 제2 A 필러, 대응하는 후방 섹션 내부 측부 부분 및 대응하는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에 각각 연결되고, 후방 섹션 외부 측부 부분은 중심 채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후방 섹션 내부 측부 부분의 일 측부 상에 위치됨 - 을 포함한다.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의 후방 섹션 외부 측부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각각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의 후방 섹션 내부 측부 부분의 일 측부와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의 후방 섹션 내부 측부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의 후방 섹션 외부 측부 부분의 일 측부 사이의 거리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각각의 후방 섹션 내부 측부 부분은: 후방 섹션 내부 플레이트 - 후방 섹션 내부 플레이트의 전방 단부가 대응하는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에 연결되고, 중심 채널을 향하는 후방 섹션 내부 플레이트의 일 측부는 하향 굴곡되고 중심 채널에 연결됨 -; 및 후방 섹션 외부 플레이트 - 후방 섹션 외부 플레이트의 전방 단부는 대응하는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에 연결되고, 중심 채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후방 섹션 외부 플레이트의 일 측부는 하향 굴곡되고 대응하는 후방 섹션 외부 측부 부분에 연결되고, 중심 채널을 향하는 후방 섹션 외부 플레이트의 일 측부는 후방 섹션 내부 플레이트에 연결됨 - 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각각의 후방 섹션 내부 측부 부분은 전방 보조 차량 바디 프레임 지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한다. 전방 보조 차량 바디 프레임 지지 플레이트의 전방 단부가 대응하는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에 연결된다. 전방 보조 차량 바디 프레임 지지 플레이트는 후방 섹션 내부 플레이트의 상부 표면 및 후방 섹션 외부 플레이트의 상부 표면에 연결된다. 전방 보조 차량 바디 프레임 지지 플레이트는 전방 보조 차량 바디 프레임 장착 구멍을 구비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방 보조 차량 바디 프레임 지지 플레이트는 지지 바디 - 지지 바디는 후방 섹션 내부 플레이트 및 후방 섹션 외부 플레이트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고, 전방 보조 차량 바디 프레임 장착 구멍은 지지 바디에 제공됨 -; 제1 수직 플레이트 - 제1 수직 플레이트는 지지 바디에 연결되고 하향 굴곡되고, 제1 수직 플레이트는 후방 섹션 내부 플레이트 및 후방 섹션 외부 플레이트에 연결됨 -; 제2 수직 플레이트 - 제2 수직 플레이트는 지지 바디에 연결되고 하향 굴곡되고, 제2 수직 플레이트는 후방 섹션 내부 플레이트에 연결됨 -; 및 제3 수직 플레이트 - 제3 수직 플레이트는 지지 바디에 연결되고 상향 굴곡되고, 제3 수직 플레이트는 중심 채널을 향하는 후방 섹션 내부 플레이트의 측부에 연결됨 - 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각각의 후방 섹션 외부 측부 부분은 후방 섹션 폐쇄 플레이트 - 후방 섹션 폐쇄 플레이트는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후방 섹션 폐쇄 플레이트는 대응하는 제1 A 필러 또는 제2 A 필러, 전방 횡방향 빔, 대응하는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 및 대응하는 후방 섹션 내부 측부 부분과 각각 연결됨 -; 및 제1 후방 연결 플레이트 - 제1 후방 연결 플레이트는 후방 섹션 폐쇄 플레이트 뒤에 위치되고, 제1 후방 연결 플레이트는 대응하는 제1 스커프 플레이트 또는 제2 스커프 플레이트, 후방 섹션 폐쇄 플레이트, 및 대응하는 후방 섹션 내부 측부 부분과 각각 연결됨 - 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각각의 후방 섹션 외부 측부 부분은 제2 후방 연결 플레이트를 더 포함한다. 제2 후방 연결 플레이트는 연결 부분 및 만곡된 표면 부분을 포함한다. 연결 부분은 후방 섹션 폐쇄 플레이트 및 제1 후방 연결 플레이트와 각각 연결된다. 만곡된 표면 부분은 연결 부분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고 호-형상 단면을 갖는다. 만곡된 표면 부분은 제1 후방 연결 플레이트의 상부 표면에 연결된다. 연결 부분 및 만곡된 표면 부분 양자 모두는 후방 섹션 내부 측부 부분에 연결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차량 바디 프레임은 대시 보드 하부 횡방향 빔을 더 포함한다. 대시 보드 하부 횡방향 빔은 전방 횡방향 빔 및 중심 채널에 연결된다. 대시 보드 하부 횡방향 빔은 중심 채널 아래에 그리고 전방 횡방향 빔 뒤에 위치된다. 대시 보드 하부 횡방향 빔의 2개의 단부는 제1 전방 종방향 빔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 및 제2 전방 종방향 빔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에 각각 연결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차량 바디 프레임은 대시 보드 보강 플레이트를 더 포함한다. 대시 보드 보강 플레이트는 좌우 방향을 따라 배열된 제1 플레이트 바디, 제2 플레이트 바디, 및 제3 플레이트 바디를 포함한다. 제2 플레이트 바디는 제1 플레이트 바디와 제3 플레이트 바디 사이에 위치된다. 제1 플레이트 바디는 전방 횡방향 빔 및 제1 전방 종방향 빔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에 각각 연결된다. 제3 플레이트 바디는 전방 횡방향 빔 및 제2 전방 종방향 빔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에 각각 연결된다. 제2 플레이트 바디는 전방 횡방향 빔, 대시 보드 하부 횡방향 빔, 및 중심 채널에 각각 연결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차량 바디 프레임은 바닥부를 더 포함한다. 중심 채널, 각각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 및 대시 보드 보강 플레이트는 바닥부에 연결된다. 각각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의 하부 표면, 대시 보드 하부 횡방향 빔의 하부 표면, 및 대시 보드 보강 플레이트의 하부 표면은 바닥부의 하부 표면보다 낮지 않다.
본 개시내용의 제2 양태의 실시예는 본 개시내용의 제1 양태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바디 프레임을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의 제1 양태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바디 프레임을 사용함으로써, 본 개시내용의 제2 양태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높은 안전성, 전방 충돌에 대한 양호한 저항, 편리한 연결 등의 장점들을 갖는다.
본 개시내용의 추가적인 양태 및 장점은 이하의 설명에 부분적으로 제공될 것이며, 그 중 일부는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지거나 본 개시내용의 실시로부터 학습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전술한 및/또는 추가적인 양태 및 장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의 다음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지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관련 기술의 차량 바디 프레임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바디 프레임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바디 프레임의 전방 횡방향 빔과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 사이의 연결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바디 프레임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 및 A 필러 사이의 연결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바디 프레임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바디 프레임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의 후방 섹션 내부 측부 부분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 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바디 프레임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의 후방 섹션 외부 측부 부분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바디 프레임과 배터리 팩 사이의 연결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바디 프레임의 대시 보드 보강 플레이트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바디 프레임의 대시 보드 하부 횡방향 빔과 전방 종방향 빔 사이의 연결의 개략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B-B 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참조 번호:
차량 바디 프레임(1),
전방 횡방향 빔(100),
제1 A 필러(200), 제1 전방 종방향 빔(220),
제2 필러(300), 제2 전방 종방향 빔(320), 제1 전방 연결 플레이트(321), 제2 전방 연결 플레이트(322),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410),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420), 후방 섹션 내부 측부 부분(430), 후방 섹션 내부 플레이트(431), 후방 섹션 외부 플레이트(432), 전방 보조 차량 바디 프레임 지지 플레이트(440), 지지 바디(441), 제1 수직 플레이트(442), 제2 수직 플레이트(443), 제3 수직 플레이트(444), 전방 보조 차량 바디 프레임 장착 구멍(445), 후방 섹션 외부 측부 부분(450), 후방 섹션 폐쇄 플레이트(451), 제1 후방 연결 플레이트(452), 제2 후방 연결 플레이트(453), 연결 부분(454), 만곡된 표면 부분(455),
중심 채널(500), 대시 보드 하부 횡방향 빔(600), 대시 보드 보강 플레이트(700), 제1 플레이트 바디(710), 제2 플레이트 바디(720), 제3 플레이트 바디(730), 및 배터리 팩(900).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이 아래에 상세히 설명되고,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이다.
본 개시내용의 설명에서, "중심", "종방향", "횡방향", "길이", "폭", "두께", "상", "하", "전방", "후방", "좌", "우", "수직", "수평", "상단", "하단", "내부", "외부", "시계방향", "반시계방향", "축방향", "반경방향", 및 "원주방향"과 같은 용어들에 의해 지시되는 배향 또는 위치 관계는 첨부 도면에 도시된 배향 또는 위치 관계에 기초하며, 언급된 장치 또는 구성요소가 특정 배향을 가져야 하거나 특정 배향으로 구성 및 동작되어야 한다는 것을 지시 또는 암시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 및 설명의 용이성 및 간결성을 위해서만 사용된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용어는 본 개시내용에 대한 제한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개시내용의 설명에서, "다수"는 2개 이상을 의미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바디 프레임(1)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된다.
도 2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차량 바디 프레임(1)은 전방 횡방향 빔(100), 제1 전방 종방향 빔(220), 및 제2 전방 종방향 빔(320)을 포함한다.
제1 전방 종방향 빔(220) 및 제2 전방 종방향 빔(320)은 좌우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된다. 제1 전방 종방향 빔(220) 및 제2 전방 종방향 빔(320) 각각은 서로 연결된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410) 및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420)을 포함한다.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410)은 전방 횡방향 빔(100)에 연결되고 전방 횡방향 빔(100)의 전방에 위치된다.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410)의 상부 표면과 전방 횡방향 빔(100)의 상부 표면은 동일한 평면에 위치된다.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410)의 하부 표면은 전방 횡방향 빔(100)의 하부 표면보다 높지 않다.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420)은 대응하는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410)에 연결된다.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410) 및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420) 양자 모두는 대응하는 전방 종방향 빔의 후방 섹션이고, 전방 종방향 빔의 전방 섹션만이 첨부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이러한 실시예에서의 차량 바디 프레임(1)에 따르면,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410)은 전방 횡방향 빔(100)에 연결되고 전방 횡방향 빔(100)의 전방에 위치되고,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410)의 상부 표면 및 전방 횡방향 빔(100)의 상부 표면은 동일한 평면에 위치된다.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410)의 하부 표면은 전방 횡방향 빔(100)의 하부 표면보다 높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에, 전방 횡방향 빔(100)은 전방 충돌에 저항하는 차량 바디 프레임(1)의 능력을 개선시키기 위해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410)에 대한 지지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관련 기술에서의 차량 바디 프레임과 비교하여, 상하 방향으로의 전방 횡방향 빔(100)에 대한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410)의 충돌력은 더 균일하므로, 전방 횡방향 빔(100)은 힘으로 인해 플립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전방 횡방향 빔(100)이 전방 충돌로 인해 승객실 내로 침입할 확률이 감소되고, 안전성이 크게 개선되고, 전방 횡방향 빔(100)은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410)에 대한 양호한 지지 효과를 갖는다.
또한, 제1 전방 종방향 빔(220) 및 제2 전방 종방향 빔(320) 각각은 서로 연결된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410) 및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420)을 포함한다.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420)은 대응하는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410)에 연결된다. 이 경우에, 제1 전방 종방향 빔(220)의 후방 섹션과 제2 전방 종방향 빔(320)의 후방 섹션 양자 모두는 2개의 부분으로 분할되고, 이에 의해 제1 전방 종방향 빔(220) 및 제2 전방 종방향 빔(320)의 무결성 및 전방 충돌 저항의 유효성을 보장하고, 또한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410)의 후방 표면이 전방 횡방향 빔(100)의 전방 표면에서 정지하는 데 유익하여,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410)과 전방 횡방향 빔(100) 사이의 연결을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이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바디 프레임(1)은 높은 안전성, 전방 충돌에 대한 양호한 저항, 편리한 연결 등의 장점들을 갖는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2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차량 바디 프레임(1)은 제1 A 필러(200), 제2 A 필러(300), 중심 채널(500), 제1 스커프 플레이트(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및 제2 스커프 플레이트(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한다.
제1 A 필러(200) 및 제2 A 필러(300)는 좌우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된다. 전방 횡방향 빔(100)의 2개의 단부는 제1 A 필러(200) 및 제2 A 필러(300)에 각각 연결된다. 중심 채널(500)은 전방 횡방향 빔(100) 뒤에 위치되고 전방 횡방향 빔(100)에 연결된다. 제1 스커프 플레이트 및 제2 스커프 플레이트는 좌우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된다. 제1 스커프 플레이트는 제1 A 필러(200)와 연결된다. 제2 스커프 플레이트는 제2 A 필러(300)와 연결된다. 제1 전방 종방향 빔(220)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420)의 일 측부는 제1 스커프 플레이트와 연결되고 다른 측부는 중심 채널(500)과 연결된다. 제2 전방 종방향 빔(320)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420)의 일 측부는 제2 스커프 플레이트와 연결되고 다른 측부는 중심 채널(500)과 연결된다.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420)의 하부 표면은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410)의 하부 표면보다 낮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방 종방향 빔(220)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420)의 좌측부는 제1 스커프 플레이트와 연결되고, 우측부는 중심 채널(500)과 연결된다. 제2 전방 종방향 빔(320)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420)의 우측부는 제2 스커프 플레이트와 연결되고, 좌측부는 중심 채널(500)과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전방 횡방향 빔(100)은 2열 용접(two-row welding)의 방식으로 제1 A 필러(200) 및 제2 A 필러(300)와 연결될 수 있고, 전방 횡방향 빔(100)의 후방 측부 표면의 높이 치수는 중심 채널(500)의 전방 단부 표면의 높이 치수와 동일하거나 유사하여, 중심 채널(500)은 상하 방향으로 전방 횡방향 빔(100)에 대한 더 포괄적인 지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방 종방향 빔(220)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420)은 제1 전방 종방향 빔(220)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410)과 용접될 수 있다. 제2 전방 종방향 빔(320)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420)은 제2 전방 종방향 빔(320)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410)과 용접될 수 있다. 제1 전방 종방향 빔(220)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420)은 제1 스커프 플레이트 및 중심 채널(500)과 각각 용접된다. 제2 전방 종방향 빔(320)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420)은 제2 스커프 플레이트 및 중심 채널(500)과 각각 용접된다.
제1 전방 종방향 빔(220)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420)의 하부 표면이 제1 전방 종방향 빔(220)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410)의 하부 표면에 연결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제2 전방 종방향 빔(320)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420)의 하부 표면은 제2 전방 종방향 빔(320)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410)의 하부 표면에 연결된다.
따라서, 각각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410)은 전방 횡방향 빔(100)과 "T"-형상의 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중심 채널(500) 및 전방 횡방향 빔(100)은 또한 "T"-형상의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2개의 전방 종방향 빔은 전방 횡방향 빔(100)을 통해 중심 채널(500) 및 2개의 A 필러로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에 전방 충돌이 가해질 때,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410)이 겪은 충돌력은 전방 횡방향 빔(100)을 따라 2개의 A 필러 및 중심 채널(500)로 전달될 수 있고, 전방 횡방향 빔(100), 중심 채널(500), 및 2개의 A 필러는 2개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410)에 대한 안정된 지지를 제공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차량 바디 프레임(1)의 전방 구조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승객실의 공간을 압착하는 것을 예방하고, 승객들에 대한 높은 안전성을 보장한다.
또한, 제1 스커프 플레이트, 제2 스커프 플레이트 및 중심 채널(500)은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420)을 통해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410)에 대한 지지를 제공할 수 있어서,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410) 상에서의 전후 방향으로의 지지가 더 충분해지고,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410)의 위치 안정성이 크게 개선된다. 이 경우, 차량에 충돌이 가해질 때,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410)이 겪은 충돌력의 일부는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420)을 통해 중심 채널(500) 및 2개의 스커프 플레이트로 전달될 수 있고, 차량 바디 프레임(1)의 전방 구조는 후방으로 이동하여 승객실의 공간을 압착할 가능성이 적고, 이에 의해 승객들의 더 높은 안전성을 보장한다.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420)의 하부 표면은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410)의 하부 표면보다 낮아서,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420)과 대응하는 스커프 플레이트 사이의 연결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제1 A 필러(200)가 받는 응력은 제1 스커프 플레이트에 의해 전달될 수 있고, 제2 A 필러(300)가 받는 응력은 제2 스커프 플레이트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 관련 기술에서 전방 종방향 빔(100')이 스커프 플레이트와 연결되지 않은 차량 바디 프레임(1')과 비교하여,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서의 차량 바디 프레임(1)은 제1 전방 종방향 빔(220) 및 제2 전방 종방향 빔(320)을 지지하기 위해 전방 횡방향 빔(100), 2개의 A 필러, 2개의 스커프 플레이트, 및 중심 채널(500)을 완전히 사용하고; 차량 바디 프레임(1)의 전방 구조는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더 많은 힘 전달 경로들을 가지며; 차량 바디 프레임(1)은 더 높은 무결성을 가져서, 전방 충돌에 저항하는 차량 바디 프레임(1)의 능력을 개선시킨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도 4를 참조하면, 각각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420)의 2개의 측부(예컨대, 좌측부 및 우측부)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점진적으로 서로로부터 멀어진다. 즉, 각각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420)의 일 측부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점진적으로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420)의 다른 측부로부터 멀어지고,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420)의 상기 다른 측부는 또한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점진적으로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420)의 상기 측부로부터 멀어진다. 따라서, 각각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420)의 2개의 측부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헤링본" 구조를 형성한다.
이 경우에,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420)과 차량 바디 프레임(1)의 나머지 구조체들 사이의 협력이 더욱 합리적이다. 2개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420)과 중심 채널(500), 제1 스커프 플레이트, 및 제2 스커프 플레이트 사이의 접촉 면적은 더 크고, 차량 바디 프레임(1)의 힘 전달 구조가 더 안정적이어서, 승객 안전을 보호하는데 유익하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4를 참조하면, 각각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420)은 대응하는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410)의 하부 표면에 연결되고 중심 채널(500)의 하부 표면에 연결되며, 이에 의해 상하 방향에서 각각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420) 및 중심 채널(500)의 힘 전달 효율을 증가시킨다.
차량에 전방 충돌이 가해질 때,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410)의 상부 부분이 충돌력의 일부를 전방 횡방향 빔(100)을 통해 중심 채널(500), 제1 A 필러(200), 및 제2 A 필러(300)로 전달하고,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410)의 하부 부분은 충돌력의 다른 부분을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420)을 통해 중심 채널(500), 제1 스커프 플레이트, 및 제2 스커프 플레이트로 전달한다. 즉,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410)의 충돌력은 상하 방향으로 2개의 힘 전달 경로를 통해 후방으로 전달되므로, 차량 바디 프레임(1)이 겪은 충돌력이 더욱 분산될 수 있고, 전방 충돌에 대한 차량 바디 프레임(1)의 저항 효과가 크게 개선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전방 종방향 빔(220) 및 제2 전방 종방향 빔(320) 각각은 제1 전방 연결 플레이트(321) 및 제2 전방 연결 플레이트(322)를 더 포함한다.
제1 전방 연결 플레이트(321)는 전방 횡방향 빔(100) 및 대응하는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410)에 각각 연결된다. 제1 전방 연결 플레이트(321)는 연결된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410)의 일 측부에 위치된다. 제2 전방 연결 플레이트(322)는 전방 횡방향 빔(100) 및 대응하는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410)에 각각 연결된다. 제2 전방 연결 플레이트(322)는 연결된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410)의 다른 측부 상에 위치된다.
제1 전방 종방향 빔(220)의 제1 전방 연결 플레이트(321) 및 제2 전방 연결 플레이트(322)는 제1 전방 종방향 빔(220)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410)의 좌측부 및 우측부에 연결된다. 제2 전방 종방향 빔(320)의 제1 전방 연결 플레이트(321) 및 제2 전방 연결 플레이트(322)는 제2 전방 종방향 빔(320)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410)의 좌측부 및 우측부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1 전방 연결 플레이트(321) 및 제2 전방 연결 플레이트(322)는 전방 횡방향 빔(100)과 대응하는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410) 사이의 연결 강도를 강화할 수 있다.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410)이 겪는 충돌력은 전방 횡방향 빔(100)에 더 직접적으로 가해진다. 힘 전달의 유효성이 증가되고,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410)이 겪은 충돌력이 크게 공유되어,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410)으로부터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420)으로 전달되는 힘이 감소될 수 있어, 승객실의 구조적 완전성을 유지하고 승객들의 안전을 보호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4를 참조하면, 제1 전방 종방향 빔(220)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420)의 일 측부는 제1 A 필러(200)와 연결되는데, 즉 제1 전방 종방향 빔(220)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420)은 제1 A 필러(200)로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제2 전방 종방향 빔(320)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420)의 일 측부는 제2 A 필러(300)와 연결되는데, 즉, 제2 전방 종방향 빔(320)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420)은 제2 A 필러(300)로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차량 바디 프레임(1)은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410)에 충분한 지지력을 제공하기 위해 더 다양한 힘 전달 경로들을 가짐으로써, 승객들이 부상 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량 바디 프레임(1) 내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410)의 상대 위치를 유지하는 데 유익하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5를 참조하면, 각각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420)은 후방 섹션 내부 측부 부분(430) 및 후방 섹션 외부 측부 부분(450)을 포함한다.
후방 섹션 내부 측부 부분(430)은 중심 채널(500) 및 대응하는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410)에 각각 연결된다. 후방 섹션 내부 측부 부분(430)은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하향으로 점진적으로 경사진다. 후방 섹션 외부 측부 부분(450)은 대응하는 제1 스커프 플레이트 또는 제2 스커프 플레이트, 대응하는 제1 A 필러(200) 또는 제2 A 필러(300), 대응하는 후방 섹션 내부 측부 부분(430), 및 대응하는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410)에 각각 연결된다. 후방 섹션 외부 측부 부분(450)은 중심 채널(500)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대응하는 후방 섹션 내부 측부 부분(430)의 일 측부 상에 위치된다.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420)의 후방 섹션 외부 측부 부분(450)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각각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420)의 후방 섹션 내부 측부 부분(430)의 일 측부와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420)의 후방 섹션 내부 측부 부분(430)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420)의 후방 섹션 외부 측부 부분(450)의 일 측부 사이의 거리가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예를 들어, 후방 섹션 내부 측부 부분(430)의 전방 섹션이 충돌력을 견딜 수 있고, 후방 섹션 내부 측부 부분(430)의 후방 단부가 바닥부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승객실 내부의 하부 공간의 매끄러운 천이를 보장한다. 또한, 후방 섹션 내부 측부 부분(430)이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하향으로 점진적으로 경사지기 때문에, 승객의 발을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후방 섹션 외부 측부 부분(450)은 작은 오프셋 충돌(offset collision) 시에 승객의 발 위치들에서의 타이어들의 충격에 대한 차량 바디 프레임(1)의 저항을 개선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각각의 후방 섹션 내부 측부 부분(430)은 후방 섹션 내부 플레이트(431) 및 후방 섹션 외부 플레이트(432)를 포함한다.
후방 섹션 내부 플레이트(431)의 전방 단부는 대응하는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410)에 연결된다. 중심 채널(500)을 향하는 후방 섹션 내부 플레이트(431)의 일 측부는 하향 굴곡되고 중심 채널(500)에 연결된다. 후방 섹션 외부 플레이트(432)의 전방 단부는 대응하는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410)에 연결된다. 중심 채널(500)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후방 섹션 외부 플레이트(432)의 일 측부는 하향 굴곡되고 대응하는 후방 섹션 외부 측부 부분(450)에 연결된다. 중심 채널(500)을 향하는 후방 섹션 외부 플레이트(432)의 일 측부는 후방 섹션 내부 플레이트(431)에 연결된다.
따라서,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420)과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410) 사이의 연결 강도가 크게 증가된다.
또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각각의 후방 섹션 내부 측부 부분(430)은 전방 보조 차량 바디 프레임 지지 플레이트(440)를 더 포함한다. 전방 보조 차량 바디 프레임 지지 플레이트(440)의 전방 단부가 대응하는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410)에 연결된다. 전방 보조 차량 바디 프레임 지지 플레이트(440)는 후방 섹션 내부 플레이트(431)의 상부 표면 및 후방 섹션 외부 플레이트(432)의 상부 표면에 연결된다. 전방 보조 차량 바디 프레임 지지 플레이트(440)는 전방 보조 차량 바디 프레임 장착 구멍(445)을 구비한다.
이 경우, 후방 섹션 내부 측부 부분(430)과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410) 사이의 연결 강도가 더 높고, 후방 섹션 내부 측부 부분(430)은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410)에 대해 더 충분한 지지력을 제공한다. 또한, 후방 섹션 내부 측부 부분(430)은 전방 보조 차량 바디 프레임을 위한 장착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후방 섹션 내부 측부 부분(430)은 다수의 기능을 통합하여, 차량 바디 프레임(1)의 부품들의 수가 감소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전방 보조 차량 바디 프레임 지지 플레이트(440)는 지지 바디(441), 제1 수직 플레이트(442), 제2 수직 플레이트(443), 및 제3 수직 플레이트(444)를 포함한다.
지지 바디(441)는 후방 섹션 내부 플레이트(431) 및 후방 섹션 외부 플레이트(432)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이격된다. 전방 보조 차량 바디 프레임 장착 구멍(445)은 지지 바디(441) 내에 제공된다. 제1 수직 플레이트(442)는 지지 바디(441)에 연결되고, 하향 굴곡된다. 제1 수직 플레이트(442)는 후방 섹션 내부 플레이트(431) 및 후방 섹션 외부 플레이트(432)에 연결된다. 제2 수직 플레이트(443)는 지지 바디(441)에 연결되고, 하향 굴곡된다. 제2 수직 플레이트(443)는 후방 섹션 내부 플레이트(431)에 연결된다. 제3 수직 플레이트(444)는 지지 바디(441)에 연결되고 상향 굴곡된다. 제3 수직 플레이트(444)는 중심 채널(500)을 향하는 후방 섹션 내부 플레이트(431)의 측부에 연결된다.
이 경우, 전방 보조 차량 바디 프레임 지지 플레이트(440)는 각각 후방 섹션 내부 플레이트(431) 및 후방 섹션 외부 플레이트(432)와 연결되어, 후방 섹션 내부 측부 부분(430)의 구조적 안정성을 크게 증가시킨다. 또한, 전방 보조 차량 바디 프레임 장착 구멍(445)은 후방 섹션 내부 플레이트(431) 및 후방 섹션 외부 플레이트(432)로부터 각각 이격되고, 보조 차량 바디 프레임(1)의 나사식 체결구(예컨대, 볼트)를 장착하기 위한 슬리브가 전방 보조 차량 바디 프레임 장착 구멍(445)의 2개의 단부에서의 고정을 위한 지지 표면들을 가짐으로써, 전방 보조 차량 바디 프레임(1)의 장착 지점의 구조적 강도를 증가시킨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5 및 도 8을 참조하면, 각각의 후방 섹션 외부 측부 부분(450)은 후방 섹션 폐쇄 플레이트(451) 및 제1 후방 연결 플레이트(452)를 포함한다.
후방 섹션 폐쇄 플레이트(451)는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후방 섹션 폐쇄 플레이트(451)는 대응하는 제1 A 필러(200) 또는 제2 A 필러(300), 전방 횡방향 빔(100), 대응하는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410), 및 대응하는 후방 섹션 내부 측부 부분(430)과 각각 연결된다. 제1 후방 연결 플레이트(452)는 후방 섹션 폐쇄 플레이트(451) 뒤에 위치된다. 제1 후방 연결 플레이트(452), 후방 섹션 폐쇄 플레이트(451) 및 대응하는 후방 섹션 내부 측부 부분(430)이 연결된다.
예를 들어, 후방 섹션 폐쇄 플레이트(451)의 "U"-형상 단면이 수평으로 배열될 수 있어, 후방 섹션 폐쇄 플레이트(451)가 더 양호한 비틀림 저항을 가질 수 있다. 차량의 휠이 충격을 받을 때, 후방 섹션 폐쇄 플레이트(451)의 승객실로의 편향이 예방된다. 후방 섹션 폐쇄 플레이트(451)의 일 단부는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410)의 후방 단부 상에 지지될 수 있어,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410)의 힘 전달 효율을 증가시킨다. 후방 섹션 폐쇄 플레이트(451)의 다른 단부는 대응하는 A 필러와 연결될 수 있다. 후방 섹션 폐쇄 플레이트(451)는 전방 횡방향 빔(100)의 하부 표면에 용접된다. 따라서, 상하 방향을 따라 배열된 이중 횡방향 빔 구조가 차량 바디 프레임(1)의 좌측부 및 우측부에 형성되고,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410)과 대응하는 A 필러 사이의 힘 전달 효율이 높다. 또한,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410)은 제1 후방 연결 플레이트(452)를 통해 대응하는 스커프 플레이트로 힘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8을 참조하면, 각각의 후방 섹션 외부 측부 부분(450)은 제2 후방 연결 플레이트(453)를 더 포함한다. 제2 후방 연결 플레이트(453)는 연결 부분(454) 및 만곡된 표면 부분(455)을 포함한다. 연결 부분(454)은 후방 섹션 폐쇄 플레이트(451) 및 제1 후방 연결 플레이트(452)와 각각 연결된다. 만곡된 표면 부분(455)은 연결 부분(454)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호-형상 단면을 갖는다. 만곡된 표면 부분(455)은 제1 후방 연결 플레이트(452)의 상부 표면에 연결된다. 연결 부분(454) 및 만곡된 표면 부분(455) 양자 모두는 후방 섹션 내부 측부 부분(430)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2 후방 연결 플레이트(453)와 제1 후방 연결 플레이트(452) 사이에는 아치-형상의 단면을 갖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은 차량에 작은 오프셋 충돌이 가해질 때 충돌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어, 운전자의 발 공간에 대한 타이어들의 충격을 감소시키고, 이에 의해 운전자의 발 공간의 안정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상기 공간은 각각의 전방 종방향 빔의 힘을 대응하는 스커프 플레이트로 더 양호하게 전달할 수 있고, 그에 의해 힘 전달의 유효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후방 섹션 폐쇄 플레이트(451), 제1 후방 연결 플레이트(452) 및 제2 후방 연결 플레이트(453)는 후방 섹션 내부 측부 부분(430)과 연결(예를 들어, 용접)되어, 후방 섹션 외부 측부 부분(450)과 후방 섹션 내부 측부 부분(430) 사이의 연결 강도가 더 높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전방 종방향 빔(220)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420)은 제2 스커프 플레이트에 가까운 제1 스커프 플레이트의 일 측부에 연결된다. 제2 전방 종방향 빔(320)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420)은 제1 스커프 플레이트에 가까운 제2 스커프 플레이트의 일 측부에 연결된다.
한편으로, 제1 전방 종방향 빔(220)은 제1 스커프 플레이트의 하부 표면에 연결될 필요가 없고, 제2 전방 종방향 빔(320)은 제2 스커프 플레이트의 하부 표면에 연결될 필요가 없으므로, 제1 스커프 플레이트 및 제2 스커프 플레이트 아래의 공간이 확장될 수 있으며, 이는 배터리 팩(900)의 배열에 유익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차량 바디 프레임(1)의 전체 연결 강도를 보장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좌우 방향에서의 차량 바디 프레임(1)의 치수가 감소될 수 있고, 이는 차량 바디 프레임(1)의 소형화에 유익하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9,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차량 바디 프레임(1)은 대시 보드 하부 횡방향 빔(600)을 더 포함한다. 대시 보드 하부 횡방향 빔(600)은 전방 횡방향 빔(100) 및 중심 채널(500)에 연결된다. 대시 보드 하부 횡방향 빔(600)은 중심 채널(500) 아래에 그리고 전방 횡방향 빔(100) 뒤에 위치된다. 예를 들어, 대시 보드 하부 횡방향 빔(600)은 전방 횡방향 빔(100)의 하부 표면에 용접되어, 긴밀하게 연결되고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는 이중 횡방향 빔을 형성한다. 대시 보드 하부 횡방향 빔(600)의 2개의 단부는 제1 전방 종방향 빔(220)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420) 및 제2 전방 종방향 빔(320)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420)에 각각 연결된다.
예를 들어, 대시 보드 하부 횡방향 빔(600)은 배터리 팩(900)의 전방 또는 위에 위치될 수 있다. 대시 보드 하부 횡방향 빔(600)은 주행 중인 차량의 웨이딩(wading) 또는 공기 흡입 중에 액체들 및 불순물들이 배터리 팩(900)의 표면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배터리 팩(900)의 부식률을 감소시키고, 배터리 팩(900)의 서비스 수명을 연장시킨다. 또한, 대시 보드 하부 횡방향 빔(600)은 배터리 팩(900)에 대한 열 보존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대시 보드 하부 횡방향 빔(600)은 또한 배터리 팩(900)에 대한 트레딩 보호 효과(treading protection effect)를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2개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420)은 대시 보드 하부 횡방향 빔(600)을 통해 좌우 방향으로 서로 힘을 전달할 수 있고, 2개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420)은 또한 대시 보드 하부 횡방향 빔(600)을 통해 중심 채널(500)로 힘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대시 보드 하부 횡방향 빔(600)은 전방 횡방향 빔(100)의 하부 표면에 용접되어, 긴밀하게 연결되고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는 이중 횡방향 빔을 형성함으로써, 대시 보드 하부 횡방향 빔(600)과 전방 횡방향 빔(100)의 굴곡 모멘트를 증가시킬 수 있다. 대시 보드 하부 횡방향 빔(600) 및 전방 횡방향 빔(100)은 충돌 중에 승객실에 대한 차량의 전방 구조의 충격에 더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다. 또한, 대시 보드 하부 횡방향 빔(600)은 전방 횡방향 빔(100)과 연결되어, 대시 보드 하부 횡방향 빔(600)과 전방 횡방향 빔(100)의 자기-비틀림(self-torsion) 경향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 대시 보드 하부 횡방향 빔(600)은 보조 차량 바디 프레임 및 배터리 팩(900)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장착 지점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을 참조하면, 차량 바디 프레임(1)은 대시 보드 보강 플레이트(700)를 더 포함한다. 대시 보드 보강 플레이트(700)는, 좌우 방향을 따라 배열된 제1 플레이트 바디(710), 제2 플레이트 바디(720), 및 제3 플레이트 바디(730)를 포함한다. 제2 플레이트 바디(720)는 제1 플레이트 바디(710)와 제3 플레이트 바디(730) 사이에 위치된다. 제1 플레이트 바디(710)는 전방 횡방향 빔(100), 제1 전방 종방향 빔(220)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420), 및 제1 A 필러(200)에 각각 연결된다. 제3 플레이트 바디(730)는 전방 횡방향 빔(100), 제2 전방 종방향 빔(320)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420), 및 제2 A 필러(300)에 각각 연결된다. 제2 플레이트 바디(720)는 전방 횡방향 빔(100), 대시 보드 하부 횡방향 빔(600), 및 중심 채널(500)에 각각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1 플레이트 바디(710)는 전방 횡방향 빔(100), 제1 전방 종방향 빔(220)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420), 및 제1 A 필러(200)에 각각 용접된다. 제3 플레이트 바디(730)는 전방 횡방향 빔(100), 제2 전방 종방향 빔(320)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420), 및 제2 A 필러(300)에 각각 용접된다. 제2 플레이트 바디(720)는 전방 횡방향 빔(100), 대시 보드 하부 횡방향 빔(600), 및 중심 채널(500)에 각각 용접된다.
이 경우에, 전방 충돌에 대한 차량 바디 프레임(1)의 저항 용량이 증가될 수 있으며, 즉, 차량 바디 프레임(1)의 구조적 강도가 더 큰 충돌력을 견디도록 증가되어, 승객들의 안전을 개선한다.
선택적으로, 제1 플레이트 바디(710)의 두께 및 제3 플레이트 바디(730)의 두께 양자 모두가 제2 플레이트 바디(720)의 두께보다 크다. 차량 바디 프레임(1)의 배열에서, 제1 플레이트 바디(710)와 제3 플레이트 바디(730)는 작은 오프셋 충돌에 대한 차량 바디 프레임(1)의 저항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더 큰 충돌력을 견딜 필요가 있으므로, 제1 플레이트 바디(710) 및 제3 플레이트 바디(730)는 더 두꺼울 필요가 있다. 또한, 제2 플레이트 바디(720)는 더 얇도록 구성되어, 차량 바디 프레임(1)의 중량이 감소될 수 있고, 제조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410),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420), 및 대시 보드 하부 횡방향 빔(600) 중 적어도 하나의 상부 표면에 개구부가 제공되고, 대시 보드 보강 플레이트(700)가 이 개구부를 덮는다.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410),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420) 및 대시 보드 하부 횡방향 빔(600) 모두는 개구부를 구비할 수 있다. 대시 보드 보강 플레이트(700)는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410),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420), 및 대시 보드 하부 횡방향 빔(600) 위에 위치되고, 상기 구조들의 개구부들을 덮는다.
따라서,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410),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420) 및 대시 보드 하부 횡방향 빔(600)의 하중-지탱 성능 및 저항이 더 증가되어, 승객실을 더 보강한다.
구체적으로, 차량 바디 프레임(1)은 바닥부를 더 포함한다. 중심 채널(500), 각각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420) 및 대시 보드 보강 플레이트(700)는 바닥부에 연결된다.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420)은 바닥부로 힘을 전달할 수 있고, 힘은 더 분산된다. 각각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420)의 하부 표면, 대시 보드 하부 횡방향 빔(600)의 하부 표면, 및 대시 보드 보강 플레이트(700)의 하부 표면은 바닥부의 하부 표면보다 낮지 않다.
이 경우, 바닥부 아래의 배터리 팩(900)의 배열과 간섭하는 부분들이 존재하지 않는데, 즉, 배터리 팩(900)은 제1 스커프 플레이트 및 제2 스커프 플레이트까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전후 방향으로의 배터리 팩(900)의 치수가 또한 증가될 수 있고, 배터리 팩(900)의 상부 표면이 바닥부의 하부 표면에 더 긴밀하게 부착되고, 상하 방향으로의 배터리 팩(900)의 치수가 또한 증가되어, 차량 바디 프레임(1)은 더 큰 용적을 갖는 배터리 팩(900)을 구비할 수 있어, 차량의 크루즈 주행 능력(cruising ability)을 증가시킨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된다. 차량은 본 개시내용의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바디 프레임(1)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바디 프레임(1)을 사용함으로써, 본 개시내용의 이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높은 안전성, 전방 충돌에 대한 양호한 저항, 편리한 연결 등의 장점들을 갖는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 바디 프레임(1) 및 차량 바디 프레임(1)을 갖는 차량의 다른 구성들 및 동작들은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공지되어 있고, 본 명세서에서는 다시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설명에서, "실시예", "일부 실시예들", "예시적인 실시예들", "예", "특정 예" 또는 "일부 예들"과 같은 참조 용어들의 설명은 실시예 또는 예를 참조하여 설명된 특정 특징들, 구조들, 재료들 또는 특성들이 본 개시내용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예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전술한 용어들에 대한 예시적인 설명들은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 또는 예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이 도시 및 설명되었지만,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내용의 원리 및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들 실시예에 대하여 다양한 변경, 수정, 대체,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개시내용의 범위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17)

  1. 차량 바디 프레임이며,
    전방 횡방향 빔; 및
    제1 전방 종방향 빔 및 제2 전방 종방향 빔 - 상기 제1 전방 종방향 빔 및 상기 제2 전방 종방향 빔은 좌우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상기 제1 전방 종방향 빔 및 상기 제2 전방 종방향 빔 각각은 서로 연결된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 및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은 전방 횡방향 빔에 연결되고,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의 상부 표면 및 전방 횡방향 빔의 상부 표면이 동일한 평면에 위치되고, 각각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은 대응하는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에 연결됨 -을 포함하는, 차량 바디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방 종방향 빔 및 상기 제2 전방 종방향 빔 각각은:
    제1 전방 연결 플레이트 - 상기 제1 전방 연결 플레이트는 상기 전방 횡방향 빔 및 대응하는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 전방 연결 플레이트는 연결된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의 일 측부 상에 위치됨 -; 및
    제2 전방 연결 플레이트 - 상기 제2 전방 연결 플레이트는 상기 전방 횡방향 빔 및 대응하는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에 각각 연결되고, 제2 전방 연결 플레이트는 연결된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의 다른 측부 상에 위치됨 -을 더 포함하는, 차량 바디 프레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중심 채널 - 상기 중심 채널은 상기 전방 횡방향 빔 뒤에 위치되고 상기 전방 횡방향 빔에 연결됨 -; 및
    제1 스커프 플레이트 및 제2 스커프 플레이트 - 상기 제1 스커프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스커프 플레이트는 좌우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상기 제1 전방 종방향 빔의 상기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의 일 측부는 상기 제1 스커프 플레이트와 연결되고, 다른 측부는 상기 중심 채널과 연결되며, 상기 제2 전방 종방향 빔의 상기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의 일 측부는 상기 제2 스커프 플레이트와 연결되고, 다른 측부는 상기 중심 채널과 연결됨 - 를 더 포함하는, 차량 바디 프레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방 종방향 빔의 상기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은 상기 제2 스커프 플레이트에 가까운 상기 제1 스커프 플레이트의 일 측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전방 종방향 빔의 상기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은 상기 제1 스커프 플레이트에 가까운 상기 제2 스커프 플레이트의 일 측부에 연결되는, 차량 바디 프레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은 대응하는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의 하부 표면에 연결되고 상기 중심 채널의 하부 표면에 연결되는, 차량 바디 프레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의 2개의 측부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점진적으로 서로 멀어지는, 차량 바디 프레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A 필러 및 제2 A 필러 - 상기 제1 A 필러 및 상기 제2 A 필러는 상기 좌우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상기 전방 횡방향 빔의 2개의 단부는 상기 제1 A 필러 및 상기 제2 A 필러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 A 필러는 상기 제1 스커프 플레이트와 연결되고, 상기 제2 A 필러는 상기 제2 스커프 플레이트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전방 종방향 빔의 상기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의 일 측부는 상기 제1 A 필러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전방 종방향 빔의 상기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의 일 측부는 상기 제2 A 필러와 연결됨 - 를 더 포함하는, 차량 바디 프레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은,
    후방 섹션 내부 측부 부분 - 상기 후방 섹션 내부 측부 부분은 상기 중심 채널 및 대응하는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후방 섹션 내부 측부 부분은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하향으로 점진적으로 경사짐 -; 및
    후방 섹션 외부 측부 부분 - 상기 후방 섹션 외부 측부 부분은 대응하는 제1 스커프 플레이트 또는 제2 스커프 플레이트, 대응하는 제1 A 필러 또는 제2 A 필러, 대응하는 후방 섹션 내부 측부 부분, 및 대응하는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후방 섹션 외부 측부 부분은 상기 중심 채널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대응하는 후방 섹션 내부 측부 부분의 일 측부 상에 위치됨 -을 포함하고,
    상기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의 상기 후방 섹션 외부 측부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각각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의 상기 후방 섹션 내부 측부 부분의 일 측부와 상기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의 상기 후방 섹션 내부 측부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상기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의 상기 후방 섹션 외부 측부 부분의 일 측부 사이의 거리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차량 바디 프레임.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후방 섹션 내부 측부 부분은,
    후방 섹션 내부 플레이트 - 상기 후방 섹션 내부 플레이트의 전방 단부가 대응하는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중심 채널을 향하는 상기 후방 섹션 내부 플레이트의 일 측부는 하향 굴곡되고 상기 중심 채널에 연결됨 -; 및
    후방 섹션 외부 플레이트 - 상기 후방 섹션 외부 플레이트의 전방 단부가 대응하는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중심 채널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상기 후방 섹션 외부 플레이트의 일 측부는 하향 굴곡되어 대응하는 후방 섹션 외부 측부 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중심 채널을 향하는 상기 후방 섹션 외부 플레이트의 일 측부는 상기 후방 섹션 내부 플레이트에 연결됨 - 를 포함하는, 차량 바디 프레임.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후방 섹션 내부 측부 부분은,
    전방 보조 차량 바디 프레임 지지 플레이트 - 상기 전방 보조 차량 바디 프레임 지지 플레이트의 전방 단부가 대응하는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전방 보조 차량 바디 프레임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후방 섹션 내부 플레이트의 상부 표면 및 상기 후방 섹션 외부 플레이트의 상부 표면에 연결되고, 상기 전방 보조 차량 바디 프레임 지지 플레이트는 전방 보조 차량 바디 프레임 장착 구멍을 구비함 -를 더 포함하는, 차량 바디 프레임.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보조 차량 바디 프레임 지지 플레이트는
    지지 바디 - 상기 지지 바디는 상기 후방 섹션 내부 플레이트 및 상기 후방 섹션 외부 플레이트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전방 보조 차량 바디 프레임 장착 구멍이 상기 지지 바디에 제공됨 -;
    제1 수직 플레이트 - 상기 제1 수직 플레이트는 상기 지지 바디에 연결되고 하향 굴곡되며, 상기 제1 수직 플레이트는 상기 후방 섹션 내부 플레이트 및 상기 후방 섹션 외부 플레이트에 연결됨 -;
    제2 수직 플레이트 - 상기 제2 수직 플레이트는 상기 지지 바디에 연결되고 하향 굴곡되며, 상기 제2 수직 플레이트는 상기 후방 섹션 내부 플레이트에 연결됨 -; 및
    제3 수직 플레이트 - 상기 제3 수직 플레이트는 상기 지지 바디에 연결되고 상향 굴곡되며, 상기 제3 수직 플레이트는 상기 중심 채널을 향하는 상기 후방 섹션 내부 플레이트의 측부에 연결됨 - 를 포함하는, 차량 바디 프레임.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후방 섹션 외부 측부 부분은,
    후방 섹션 폐쇄 플레이트 - 상기 후방 섹션 폐쇄 플레이트는 상기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후방 섹션 폐쇄 플레이트는 대응하는 제1 A 필러 또는 제2 A 필러, 상기 전방 횡방향 빔, 대응하는 종방향 빔 후방 섹션 전방 부분, 및 대응하는 후방 섹션 내부 측부 부분과 각각 연결됨 -; 및
    제1 후방 연결 플레이트 - 상기 제1 후방 연결 플레이트는 상기 후방 섹션 폐쇄 플레이트 뒤에 위치되고, 상기 제1 후방 연결 플레이트는 대응하는 제1 스커프 플레이트 또는 제2 스커프 플레이트, 상기 후방 섹션 폐쇄 플레이트 및 대응하는 후방 섹션 내부 측부 부분과 각각 연결됨 - 를 포함하는, 차량 바디 프레임.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후방 섹션 외부 측부 부분은,
    제2 후방 연결 플레이트 - 상기 제2 후방 연결 플레이트는 연결 부분 및 만곡된 표면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분은 상기 후방 섹션 폐쇄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후방 연결 플레이트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만곡된 표면 부분은 상기 연결 부분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호-형상 단면을 갖고, 상기 만곡된 표면 부분은 상기 제1 후방 연결 플레이트의 상부 표면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 부분 및 상기 만곡된 표면 부분 양자 모두는 상기 후방 섹션 내부 측부 부분에 연결됨 - 를 더 포함하는, 차량 바디 프레임.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시 보드 하부 횡방향 빔 - 상기 대시 보드 하부 횡방향 빔은 상기 전방 횡방향 빔 및 상기 중심 채널에 연결되고, 상기 대시 보드 하부 횡방향 빔은 상기 중심 채널 아래 및 상기 전방 횡방향 빔의 뒤에 위치되고, 상기 대시 보드 하부 횡방향 빔의 2개의 단부는 상기 제1 전방 종방향 빔의 상기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 및 상기 제2 전방 종방향 빔의 상기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에 각각 연결됨 - 을 더 포함하는, 차량 바디 프레임.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시 보드 보강 플레이트 - 상기 대시 보드 보강 플레이트는 좌우 방향을 따라 배열된 제1 플레이트 바디, 제2 플레이트 바디, 및 제3 플레이트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플레이트 바디는 상기 제1 플레이트 바디와 상기 제3 플레이트 바디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 바디는 상기 전방 횡방향 빔 및 상기 제1 전방 종방향 빔의 상기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3 플레이트 바디는 상기 전방 횡방향 빔 및 상기 제2 전방 종방향 빔의 상기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 바디는 상기 전방 횡방향 빔, 상기 대시 보드 하부 횡방향 빔, 및 상기 중심 채널에 각각 연결됨 - 를 더 포함하는, 차량 바디 프레임.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닥부 - 상기 중심 채널, 각각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 및 상기 대시 보드 보강 플레이트는 상기 바닥부에 연결되고, 각각의 종방향 빔 후방 섹션 후방 부분의 하부 표면, 상기 대시 보드 하부 횡방향 빔의 하부 표면 및 상기 대시 보드 보강 플레이트의 하부 표면이 상기 바닥부의 하부 표면보다 낮지 않음 - 를 더 포함하는, 차량 바디 프레임.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차량 바디 프레임을 포함하는 차량.
KR1020237032539A 2021-06-29 2022-05-24 바디 프레임 및 바디 프레임을 갖는 차량 KR202301471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0732244.9 2021-06-29
CN202110732244.9A CN114932953B (zh) 2021-06-29 2021-06-29 车身框架和具有其的车辆
PCT/CN2022/094613 WO2023273698A1 (zh) 2021-06-29 2022-05-24 车身框架和具有其的车辆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7197A true KR20230147197A (ko) 2023-10-20

Family

ID=82862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2539A KR20230147197A (ko) 2021-06-29 2022-05-24 바디 프레임 및 바디 프레임을 갖는 차량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40017769A1 (ko)
EP (1) EP4299419A1 (ko)
JP (1) JP2024518017A (ko)
KR (1) KR20230147197A (ko)
CN (1) CN114932953B (ko)
AU (1) AU2022303792A1 (ko)
BR (1) BR112023022079A2 (ko)
WO (1) WO20232736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79814B (zh) * 2023-04-27 2023-10-03 麦格纳卫蓝新能源汽车技术(镇江)有限公司 一种汽车前纵梁总成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51764B2 (ja) * 1992-11-06 1998-05-1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体のフロント構造
JP2014043133A (ja) * 2012-08-24 2014-03-13 Toyota Motor Corp 車体前部構造
CN205131383U (zh) * 2015-11-05 2016-04-06 北京汽车股份有限公司 梁架总成和电动汽车
CN106882272A (zh) * 2015-12-16 2017-06-23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前机舱框架总成
CN107554609A (zh) * 2016-06-30 2018-01-09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用于车辆的地板总成及车辆
CN109204467B (zh) * 2017-06-30 2021-02-2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车身结构和车辆
CN109204465B (zh) * 2017-06-30 2021-06-18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车身结构及车辆
CN109204460B (zh) * 2017-06-30 2020-12-25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车身结构和车辆
US10214243B2 (en) * 2017-07-11 2019-02-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frame
CN208682932U (zh) * 2018-07-17 2019-04-02 广州小鹏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前碰撞传递结构和电动汽车
CN111619670B (zh) * 2019-09-19 2021-07-13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前车身结构及汽车
CN213007574U (zh) * 2020-07-24 2021-04-20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车辆电池包安装框架和车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23022079A2 (pt) 2024-01-09
CN114932953B (zh) 2023-05-05
EP4299419A1 (en) 2024-01-03
JP2024518017A (ja) 2024-04-24
AU2022303792A1 (en) 2023-10-19
US20240017769A1 (en) 2024-01-18
CN114932953A (zh) 2022-08-23
WO2023273698A1 (zh) 2023-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204496B (zh) 车身结构及车辆
US7370886B2 (en) Vehicle lower frame structure
CN109204544B (zh) 车身结构和车辆
CN109204527B (zh) 车身结构和车辆
US20240017769A1 (en) Vehicle body frame and vehicle with same
CN109204464B (zh) 车身结构和车辆
CN216468112U (zh) 车身和具有其的车辆
CN109204516B (zh) 车身结构和车辆
CN109204502B (zh) 车身结构和车辆
CN109204495B (zh) 车身结构及车辆
CN109204488B (zh) 车身结构和车辆
CN109204508B (zh) 车身结构和车辆
CN109204480B (zh) 车身结构和车辆
CN109204543B (zh) 车身结构和车辆
CN109204467B (zh) 车身结构和车辆
CN220410708U (zh) 偏置碰撞支撑装置、车架及车辆
CN218536898U (zh) 中地板结构总成及车辆
CN220374636U (zh) 前机舱总成和具有其的汽车
CN210116570U (zh) 用于车辆的中通道总成结构及具有其的车辆
CN219487572U (zh) 车辆前机舱结构和车辆
CN218431430U (zh) 一种车体后部总成结构和汽车
CN220924299U (zh) 前围总成和具有其的车辆
CN220053943U (zh) 车身结构和车辆
CN213008360U (zh) 用于车辆的副车架总成和车辆
EP4292908A1 (en) Lower vehicle body architecture stru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