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6508A - 액제 조성물, 막, 및 막을 구비하는 물품 - Google Patents

액제 조성물, 막, 및 막을 구비하는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6508A
KR20230146508A KR1020237020968A KR20237020968A KR20230146508A KR 20230146508 A KR20230146508 A KR 20230146508A KR 1020237020968 A KR1020237020968 A KR 1020237020968A KR 20237020968 A KR20237020968 A KR 20237020968A KR 20230146508 A KR20230146508 A KR 202301465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film
composition
mass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0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키 사카즈메
Original Assignee
소마아루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마아루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소마아루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46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6508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09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phase separation, sol-gel transition, evaporation or solvent quenching
    • B01D67/0011Casting solutio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2Inorganic material
    • B01D71/021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2Inorganic material
    • B01D71/024Oxides
    • B01D71/027Silicium 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02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spra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5/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 B05D5/06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to obtain multicolour or other optical eff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2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2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09D7/62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modified by treatment with othe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C09D7/68Particle size between 100-1000 n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C09D7/69Particle size larger than 1000 n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70Additives characterised by shape, e.g. fibres, flakes or microsphe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10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 F16J15/1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characterised b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06Specific viscosities of materials involv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43Specific optical proper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전자 기기나 전자 기기 부품 등의 각종 공업 제품에 시공하여 적합하고, 디자인성이 높은 막을 형성할 수 있는 액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A) 수지 성분, (B) 요철 형성 입자, (B1) 입경(d1)이 0.05μm 이상 0.4μm 이하의 무기계 소립자, (B2) 입경(d2)이 2μm 이상 6μm 이하의 무기계 대립자, (C) 희석 용매로 한다. 액제 조성물은, 스프레이 도장에 의한 막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A), (B) 및 (C)를 적어도 포함한다. (B)는 조성물의 전고형분의 총량 100 질량% 중에 20 질량% 이상 60 질량% 이하로 함유된다. (B)는 (B1) 및 (B2)를 90 질량% 이상 포함한다. (B1):1에 대한 (B2)의 질량비가 1.8 이상 3.3 이하이다.

Description

액제 조성물, 막, 및 막을 구비하는 물품
본 발명은 액제(液劑) 조성물, 막(膜), 및 막을 구비하는 물품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막을 형성하기 위한 액제 조성물, 그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막, 및 상기 막을 피도장물 상에 구비하는 물품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의 전자 기기에는, 디자인성의 향상, 내부 배선 등의 은폐, 및 차광 등을 목적으로 그 케이스의 일부 또는 전부(바깥면이든 안쪽면이든 상관없음)나, 터치 패널의 육안으로 볼 수 있는 면 측에 배치하여 고정되는 커버 글래스의 육안으로 볼 수 없는 면의 일부(예를 들면 테두리 부분)에 검정 도색막을 시공하는 경우가 있다. 최근 들어 이러한 요청은 예를 들어 각종 카메라 유닛에 장착되는 렌즈 등 전자 기기 부품의 일부(예컨대 렌즈의 바깥 가장자리) 또는 전부에 대해서도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서는, 스마트폰 등의 휴대형 전자 기기의 케이스에 절연 재료로 구성되는 스크린 인쇄를 직접 실시하거나, 또는 스크린 인쇄를 실시한 막 형성 필름을 인 몰드 성형하는 것에 의해 막을 형성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7-285093호
그러나, 최근의 공업 제품의 디자인성 향상의 요청에 따라, 이러한 제품에 대해 더욱 디자인성이 높은 검정 도색막(예를 들면 요철막)을 시공할 것을 요구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전자 기기나 전자 기기 부품 등의 각종 공업 제품에 시공하여 적합하고 디자인성이 높은 막을 형성할 수 있는 액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예의 검토한 결과 이하의 요건을 만족함으로써 디자인성이 높은 막 형성에 유효함을 발견했다.
·막 형성법(도장(塗裝)법)으로서 스프레이법을 사용할 것.
·막 형성에 사용하는 액제 조성물이 특정 조성(소정의 입경 범위를 가지는 크고 작은 무기계 입자를 소정의 질량비 범위로 포함하는 요철 형성 입자를 소정 비율로 포함함)일 것.
본 발명자는 이러한 새로운 식견에 근거하여 이하에 제공되는 발명을 완성시켜 상기 과제를 해결했다.
이하에서는, (A) 수지 성분, (B) 요철 형성 입자, (B1) 입경(d1)이 0.05μm 이상 0.4μm 이하인 무기계 소립자, (B2) 입경(d2)이 2μm 이상 6μm 이하인 무기계 대립자, (C) 희석 용매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프레이 도장에 의한 막 형성용 액제 조성물로서,
(A), (B), 및 (C)를 적어도 포함하고,
(B)는 조성물의 전고형분의 총량 100 질량% 중에 20 질량% 이상 60 질량% 이하로 함유되며,
(B)는 (B1) 및 (B2)를 90 질량% 이상 포함하고, (B1):1에 대한 (B2)의 질량비가 1.8 이상 3.3 이하인 조성물
이 제공된다.
상기의 액제 조성물은 이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B2)는 실리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카는 착색제에 의해 흑색화된 복합 실리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1)은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5℃에서의 점도가 1 mPa·s 이상 30 mPa·s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의 액제 조성물로 형성된 스프레이 도장에 의한 막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막을 구비하는 물품이 제공된다.
상기의 물품은 이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막이 형성된 면의 최표면의 입사 각도 60°의 입사광에 대한 광택도(이하, 그냥 「광택도」라고도 함)가 2% 미만, 파장 550nm의 빛에 대한 반사율(이하, 그냥 「반사율」이라고도 함)이 4% 이하, SCE 방식에 의한 CIELAB 표색계에서의 L값이 2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막에 대해 투과에서의 차광성이 요구되는 경우, 막이 형성된 면의 최표면의 광학 농도가 1.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막이 형성된 면의 최표면의, JIS B0601:2001에 있어서의 최대 높이(Rz)(이하, 그냥 「Rz」라고도 함)가 7μm 이상, 윤곽 곡선 요소의 길이의 평균(Rsm)(이하, 그냥 「Rsm」이라고도 함)은 80μm 이상, 윤곽 곡선의 왜도(skewness)(이하, 그냥 「Rsk」라고도 함)가 0.3 이하이면서 동시에 윤곽 곡선의 첨도(kurtosis)(Rku)(이하, 그냥 「Rku」라고도 함)가 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 기기나 전자 기기 부품 등의 각종 공업 제품에 시공하여 적합하고 디자인성이 높은 막을 형성할 수 있는 액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가장 바람직한 형태에 대해 설명하되,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당업자의 통상의 지식에 근거하여 이하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 적절히 변경, 개량 등이 가해진 것도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수치 범위에서, 어떤 수치 범위로 기재된 상한값 또는 하한값은 실시예에 나타나 있는 값으로 치환해도 된다.
본 명세서에서 조성물 중의 각 성분의 함유율 또는 함유량은, 조성물 중에 각 성분에 해당하는 물질이 여러 종류가 존재하는 경우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이상 조성물 중에 존재하는 해당 여러 종류의 물질의 합계의 함유율 또는 함유량을 의미한다.
<액제 조성물>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액제 조성물(이하, 그냥 「조성물」이라고도 함)은, 피도장물의 표면에 막을 형성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A) 수지 성분, (B) 요철 형성 입자, 및 (C) 희석 용매를 포함한다. 조성물의 형성에 사용하는 (B)는, (B1) 입경(d1)이 0.05μm 이상 0.4μm 이하인 소립자, 및 (B2) 입경(d2)이 2μm 이상 6μm 이하인 대립자를 포함하며, 또한 (B1) 및 (B2) 이외의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조성물은, (A), (B1), (B2), 및 (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형태에 따른 조성물은, 피도장물의 표면에 도포할 때에 스프레이 도장을 알맞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조성물의 상세에 대해 설명한다.
-(A)-
조성물의 형성에 사용하는 (A)는, (B)의 바인더가 된다. (A)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열가소성 수지 및 열경화성 수지 중 어느 것이든 사용해도 무방하다. 열경화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페놀계 수지, 멜라민계 수지, 우레아계 수지, 디아릴프탈레이트계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알키드계 수지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로는, 폴리 아크릴 에스테르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부티랄 수지,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형성되는 요철막의 내열성, 내습성, 내용제성, 및 표면 경도의 관점에서는, (A)로서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경화성 수지로는, 형성되는 막의 유연성, 및 강인함을 고려하면 아크릴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A)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A)의 함유량(총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다른 성분과의 배합 밸런스를 고려하면, 조성물의 전고형분의 총량(100 질량%)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질량% 이하이다.
-(B)-
조성물의 형성에 사용하는 (B)는 크기가 다른 요철 형성 입자를 여러 개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필수이며, (B)로서 특히 (B1) 소립자와 (B2) 대립자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예컨대, (B)를, 크기가 다른 요철 형성 입자의 2 종류만(즉, (B1) 및 (B2))으로 구성할 경우, (B2)의 입경(d2)은 (B1)의 입경(d1)의, 바람직하게는 10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배 이상, 바람직하게는 40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5배 이하이다. (B)로서 크기가 다른 요철 형성 입자를 3 종류 이상 사용하는 경우, 입경이 최대치를 나타내는 요철 형성 입자의 입경(dmax)과 입경이 최소값을 나타내는 요철 형성 입자의 입경(dmin)이, 상기 관계(즉, (dmax)가 (dmin)의, 바람직하게는 10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배 이상, 바람직하게는 40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5배 이하)가 되도록 조정하면 된다.
일 형태에 있어서 (d1)는, 바람직하게는 0.05μ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μm 이상, 바람직하게는 0.4μ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3μm 이하이다. (d2)는, 바람직하게는 2μ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μm 이상, 바람직하게는 6μ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μ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μm 이하이다.
(B1)의 입경(d1) 및 (B2)의 입경(d2)은, 레이저 회절/산란식 입경 분포 측정 장치에 의해 측정되는 체적 기준의 메디안 지름이다.
일 형태에 있어서, (B) 중에서의 (B2)의 질량비는 (B1):1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8 이상, 바람직하게는 3.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3 이하이다. 이 질량비 범위에서, 상술한 특정 입경 범위를 가지는 (B1)와 (B2)를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형성되는 막 중에서 인접하는 2개의 (B2) 사이에 1개의 (B1)이 매립되기 쉬워지며, 그 결과, 막 표면의 저광택성 및 저반사성을 실현할 수 있는 동시에, 흑색도를 높일 수 있는(L값이 낮아지는) 것이 본 발명자에 의해 발견되었다.
(B) 중의, (B1)와 (B2)의 합계 함유량(총량)은,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질량% 이상이다. 그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100 질량%이다. 즉, 일 형태에 있어서, (B1) 및 (B2)은 100 질량%(B) 중에,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상 함유되어 있으면 된다.
(B)의 함유량(총량)은 조성물의 전고형분의 총량(100 질량%)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6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질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질량% 이하이다. (B)의 총량이 20 질량% 미만이면, 광택 상승, 광학 농도 부족의 문제를 일으키고, 60 질량%를 초과하면, 형성된 도막 중의 (A)가 상대적으로 적어져서, 그 결과, 피도장물로부터의 도막 탈락의 문제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B2)로는 수지계 입자 및 무기계 입자의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수지계 입자로서는 예를 들어 멜라민 수지, 벤조구아나민 수지, 벤조구아나민/멜라민/포르말린 축합물,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스티렌 수지, 불소 수지, 실리콘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무기계 입자로서는 실리카, 알루미나, 탄산칼슘, 황산바륨, 산화티탄, 탄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더 뛰어난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B2)는 무기계 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2)로 무기계 입자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저광택이고 고차광의 막을 형성하기 쉽다. (B2)로 사용하는 무기계 입자로서는 실리카가 바람직하다. (B2)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형성되는 막 표면의 보다 나은 저광택, 저반사, 낮은 L값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입도 분포가 좁은(CV(Coefficient of Variation)값이 예를 들어 15 이하) 입자(날렵한 것)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V값은 입경의 평균값(산술 평균 입경)에 대한 입경 분포가 퍼지는(입경의 불규칙한 분포) 정도를 수치화한 것이다. 이러한 입자를 사용함으로써 형성되는 막 중에서(B2)와 (B1)의 접촉 기회가 늘어나고, 막 표면의 더 나은 저광택, 저반사, 저L값을 실현하기 쉽다.
또, 형성되는 막 표면의 광택도를 더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B2)로서 부정형의 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중에서도 (B2)로서 특히 다공질의 부정형 실리카 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2)로 이러한 입자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막이 되었을 때 (B2)의 표면 및 내부에서 빛이 굴절을 반복함에 따라 막 표면의 광택도를 더욱 저감시킬 수 있다.
일 형태에 있어서, 형성되는 막 표면의 빛 반사를 억제하기 위해서, 유기계 또는 무기계 착색제에 의해 (B2)를 검은색으로 착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재료로서 복합화 실리카, 도전성 실리카, 검은색 실리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복합화 실리카로서는, 예를 들면 카본 블랙(이하, 그냥 「CB」라고도 함)과 실리카를 나노 레벨로 합성해 복합화한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도전성 실리카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카 입자에 CB 등의 도전성 입자를 코팅한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검은색 실리카로서는, 예를 들면 규석 중에 흑연을 함유하고 있는 천연 광석을 예로 들 수 있다.
한편, (B2)와 마찬가지로 (B1)의 재질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수지계 입자 및 무기계 입자의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수지계 입자로서는 예를 들어 멜라민 수지, 벤조구아나민 수지, 벤조구아나민/멜라민/포르말린 축합물,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스티렌 수지, 불소 수지, 실리콘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무기계 입자로서는 실리카, 알루미나, 탄산칼슘, 황산바륨, 산화티탄, CB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B1)로서는 예를 들면, 착색·도전제로서 첨가되는 CB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B1)로 CB를 사용함으로써 형성되는 막이 착색되기 때문에, 더욱 반사 방지 효과가 향상되고, 또한 양호한 대전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
조성물의 형성에 사용하는 (C)는, (A)를 용해하고 또한 그 조성물 전체의 점도를 조정할 목적으로 배합된다. (C)를 사용함으로써 (A), 더 나가아서는 필요에 따라 첨가되는 그밖의 성분이 혼합되기 쉬워져 조성물의 균일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조성물의 점도를 적당히 조정할 수 있어서 피도장물의 표면에 막을 형성할 때의 조성물의 조작성 및 도포 두께의 균일성을 높일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얻을 수 있는 물품의 디자인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C)로서는, (A)를 용해할 수 있는 용매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유기 용제 또는 물을 예로 들 수 있다. 유기 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 에틸 케톤, 톨루엔,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부탄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C)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조성물 중의 (C)의 함유량(총량)은, 상기한 바와 같은 (C)의 배합에 의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A) 100 질량부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1 질량부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3 질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20 질량부 이하이다.
-(D) 임의 성분-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A), (B), (C)) 이외에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을 정도로 (D)가 포함되어 있어도 괜찮다. (D)로는 예를 들어 레벨링제, 증점제, pH 조정제, 윤활제, 분산제, 소포제, 경화제, 반응 촉매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A)로서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경화제를 배합함으로써 (A)의 가교를 촉진시킬 수 있다. 경화제로서는 관능기를 가지는 우레아 화합물, 멜라민 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아지리딘 화합물, 옥사졸린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경화제로는 이 중에서도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경화제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조성물 중에 경화제를 배합하는 경우의 비율은 (A) 100 질량부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10 질량부 이상 50 질량부 이하이다. 이 범위에서 경화제를 첨가함으로써 형성되는 막 경도를 높일 수 있고, 그 결과 해당 막이 다른 부재와 슬라이드 이동하는 환경에 놓이더라도 장기간에 걸쳐 막 표면의 성상이 유지되어, 저광택, 고차광, 저반사, 및 높은 흑색도가 계속 유지되기 쉽다.
조성물 중에 경화제를 배합하는 경우, (A)와 경화제의 반응을 촉진하기 위해서 반응 촉매를 병용할 수도 있다. 반응 촉매로서는 예를 들면 암모니아나 염화암모늄 등을 들 수 있다. 조성물 중에 반응 촉매를 배합하는 경우의 비율은 경화제 100 질량부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0.1 질량부 이상 10 질량부 이하이다.
일 형태에 따른 조성물은 피도장물의 표면에 해당 조성물을 평활성을 계속 유지하면서, 스프레이를 이용해 도공(스프레이 도장)한다고 하는 이유로부터, 25℃에서의 점도가, 바람직하게는 1 mPa·s 이상, 바람직하게는 30 mPa·s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20 mPa·s 이하이다. 조성물의 점도가 너무 낮으면, 디자인성 향상을 충분히 발현할 수 있는 두께의 막을 형성할 수 없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조성물의 점도가 너무 높으면, 피도장물의 표면에 조성물을 균일하게 분무하기 어렵고, 그 결과, 두께가 일정하고 디자인성이 향상된 막을 형성할 수 없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점도는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 즉 사용한 (A), (B)의 종류나 분자량 등에 따라 다르며, 또한, 상기(A), (B) 외에 (D)를 배합했을 경우, (D)의 종류나 분자량 등에 따라서 다르지만, 조성물 중의 (C)의 양을 상술한 범위에서 조정함으로써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조성물은, (C) 중에 (A), (B), 필요에 따라서 (D)를 첨가하고 혼합 교반함으로써 조제(제조)할 수 있다. 각 성분을 혼합하는 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러한 성분들이 균일하게 혼합되면 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조성물은 1액형이어도 되고, 2액형이어도 된다. 조성물 중에 (D)로서 경화제를 배합하는 경우, 일 형태에 따른 조성물은, 예를 들어 경화제 이외의 성분을 포함하는 제 1 액과, 경화제를 포함하는 제 2 액으로 된 2액형일 수도 있다.
<도장 방법, 막, 및 물품>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조성물을 사용해 막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막을 구비하는 물품을 제조할 수 있다.
막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스프레이 도장(예를 들면, 에어 스프레이, 에어리스 스프레이, 정전기 스프레이 등), 페인트 브러시, 커튼 플로우 코팅, 롤러 브러시 코팅, 바 코팅, 키스 롤, 메탈링 바, 그라비아 롤, 리버스 롤, 딥 코팅, 다이 코팅 등의 임의의 방법, 또는 장치에 의해 임의의 피도장물에 대해서 막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일 형태에 따른 조성물은, 작은 스프레이 구멍으로부터의 액적의 분무가 필요한 스프레이 도장에 의해 막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꿔 말하면, 일 형태에 따른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스프레이 도장에 의한 막 형성용 조성물이며, 형성된 막은 스프레이 도장막이다.
일 형태에 따른 조성물을 사용한 스프레이 도장에 의하면, 조성물로 이루어진 액적이 피도장물 표면에 차례차례 부착되고, 그와 동시에 피도장물에 부착된 액적 중 (C)의 휘발이 진행된다. 그 결과, 액적으로부터 (C)가 제거된 고형분(입자)이 피도장물 표면에 차례차례로 겹겹이 쌓여, 고형 입자 적층물을 형성한다. 일 형태에 따르면 이 고형 입자 적층물이 막을 구성한다.
(A)로서 열경화성 수지를 이용하고, 추가로 (D)로서 경화제를 배합한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피도장물 표면에 고형 입자 적층물을 부착시킨 후, 그 적층물을 가열해 경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가열 전 적층물 중에 미량의 (C)가 남아 있어도 이 가열에 의해(C)는 완전히 휘발된다.
가열 조건은, 가열 전 적층물의 두께나 피도장물의 내열성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정하면 된다. 가열 조건은, 일례로서 70℃ 이상 150℃ 이하에서 1분간 이상 10분간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 130℃ 이하에서 2분간 이상 5분간 이하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조성물의 도장 대상(피도장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유리, 수지, 금속, 세라믹스, 목재 등을 소재로 하는 경질 표면을 가지는 물체이면 된다. 피도장물의 형상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판 형상, (중공의) 통 형상, 및 필름 형상의 것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피도장물로서 예를 들면 이하를 들 수 있다.
·휴대전화, 스마트폰, 태블릿, PC, PC 주변기기(키보드, 프린터, 외장 디스크 등), 손목시계, 오디오 기기, 각종 OA 기기 등의 전기·전자 기기.
·냉장고, 청소기, 전자레인지, 텔레비전, 녹화 기기 등의 가전제품.
·계단, 마루, 책상, 의자, 옷장, 그 밖의 가구, 목공 제품.
·각종 건축재, 플로어링, 건물의 내벽·외벽 등.
·자동차나 오토바이 등의 차량, 또는 그 부품:구체적으로는, 차량의 보디, 내장품(미터 패널, 대시 보드, 핸들 등), 범퍼, 스포일러, 도어 손잡이, 헤드라이트, 미등, 알루미늄 휠, 오토바이의 가솔린 탱크 등.
·광학 용도, 예를 들면 각종 카메라 유닛에 장착되는 렌즈 등의 광학 부품.
·안경, 고글, 이들과 유사한 제품.
본 명세서에 있어서 물품이란,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조성물에 의한 막이, 피도장물 상에 직접 또는 미리 형성한 앵커층 위에 형성된 물체를 말한다.
앵커층으로서는, 예를 들면 우레아계 수지층, 멜라민계 수지층, 우레탄계 수지층,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우레탄계 수지층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디아민, 디올 등의 활성 수소 함유 화합물을 함유하는 용액을 피도장물 표면에 도포해 경화시킴으로써 얻어진다. 또한, 우레아계 수지, 멜라민계 수지의 경우는, 수용성 우레아계 수지, 또는 수용성 멜라민계 수지를 함유하는 용액을 피도장물 표면에 도포해 경화시킴으로써 얻어진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유기 용제(메틸에틸케톤, 톨루엔 등)로 용해 또는 희석한 용액을 피도장물 표면에 도포해 건조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한편, 일단 피도장물 이외의 물체(예를 들면 플라스틱 필름 등)에 일 형태에 따른 조성물로 막을 형성하고, 그 물체마다 피도장물에 첩부(貼付)함으로써 일 형태에 따른 조성물의 막을 물품 표면에 형성해도 무방하다.
일 형태에 따른 조성물로 형성되는 막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물품의 용도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막의 평균 막 두께는, 피도장물 표면으로부터 막의 (B2) 및 (B1)로 인해 돌출되어 있는 부분을 포함하는 높이이다. 막의 평균 막 두께는 JIS K7130에 준거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막의 특성>
일 형태에 따른 조성물로 형성되는 막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광택도, 반사율, L값, 광학 농도, 밀착성)
일 형태에 따른 조성물로 형성되는 막은, 막 표면의 광택도가 2% 미만, 반사율이 4% 이하, L값이 2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 형태에 따른 조성물로 형성되는 막에 대해 투과에서의 차광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상기 특성(막 표면의 광택도가 2% 미만, 반사율이 4% 이하, L값이 22 이하) 이외에 추가로 막 표면의 광학 농도가 1.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일 형태에 따른 조성물로 형성되는 막이 최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구성이면, 문자 그대로 막 표면의 광택도, 반사율, L값 및 광학 농도가 상기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 형태에 따른 조성물로 형성되는 막 위에 다른 막이 피복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다른 막의 표면(즉 물품의 최표면)의 광택도, 반사율, L값 및 광학 농도가 상기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이러한 표면들을 합쳐서 「막 최표면」이라고 한다.
일 형태에 따른 조성물로 형성되는 막은, 막 최표면의 광택도가 2% 미만, 반사율이 4% 이하, L값이 2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 형태에 따른 조성물로 형성되는 막에 대해 투과에서의 차광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상기 특성(막 최표면의 광택도가 2% 미만, 반사율이 4% 이하, L값이 22 이하) 외에 추가로 막 최표면의 광학 농도가 1.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막 최표면의 광택도, 반사율, L값 및 광학 농도가 상기 범위인 것에 의해 막 최표면의 저광택성, 저반사율, 높은 흑색도 및 고차광성을 실현할 수 있다.
광택도의 상한값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미만이다. 광택도를 상기 범위로 조정함으로써 빛의 난반사에 의한 플레어/고스트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광택도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낮으면 낮을수록 좋다.
반사율의 상한값은 더 바람직하게는 3%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이하이다. 반사율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낮으면 낮을수록 좋다. 반사율을 상기 범위로 조정함으로써 빛의 난반사에 의한 플레어/고스트 현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L값(흑색도)의 상한값은 더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8 이하이다. L값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외관이 더 까만 것을 원하는 관점에서 낮으면 낮을수록 좋다. L값을 상기 범위로 조정함으로써 흑색성이 높아 까만 색이 돋보여 디자인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스마트폰 등의 휴대 전화의 카메라 유닛으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L값은, 막 최표면의 SCE 방식에 의한 CIE 1976 L*a*b*(CIELAB) 표색계에서의 명도 L*값이다. SCE 방식이라 함은 정반사광 제거 방식을 말하는 것으로, 정반사광을 제거하여 색을 측정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SCE 방식의 정의는 JIS Z 8722(2009)에 규정되어 있다. SCE 방식에서는 정반사광을 제거하고 측정하기 때문에 실제의 사람의 눈으로 본 색에 가까운 색이 된다.
CIE는 Commission Internationalede l'Eclairage의 약칭으로, 국제 조명 위원회를 의미한다. CIELAB 표시색은, 지각과 장치의 차이로 인한 색차를 측정하기 위해서 1976년에 권고되었고, JIS Z 8781(2013)에 규정되어 있는 균등 색공간(color space)이다. CIELAB의 3개의 좌표는, L*값, a*값, b*값으로 표시된다. L*값은 명도를 나타내며 0~100으로 표시된다. L*값이 0인 경우는 검은색을 의미하고, L*값이 100인 경우는 하얀 확산색을 의미한다. a*값은 빨강과 초록의 사이의 색을 나타낸다. a*값이 마이너스이면 초록색 근처의 색을 의미하고, 플러스이면 빨강색 근처의 색을 의미한다. b*값은 노랑과 파랑의 사이의 색을 의미한다. b*가 마이너스이면 파란색 근처의 색을 의미하고, 플러스이면 노란색 근처의 색을 의미한다.
조성물로 형성되는 막에 대해 투과에서의 차광성이 요구되는 경우에서의, 광학 농도의 하한값은 더 바람직하게는 2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이상이다. 광학 농도를 상기 범위로 조정함으로써 차광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광학 농도의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높으면 높을수록 좋다.
상기 광택도, 반사율, L값, 광학 농도는, 후술하는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특성(광택도, 반사율, L값, 필요에 따라 광학 농도)에 더하여, 조성물로 형성되는 막은, 추가로 해당 막의 피도장물 표면에의 밀착성이 양호한 것이 바람직하다. 조성물로 형성되는 막의 피도장물 표면에의 밀착성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있어서의 밀착성 평가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도막 잔존이 7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Rz, Rsm, Rsk, Rku, Ra)
일 형태에 따른 조성물로 형성되는 막은, 막 최표면의 최대 높이(Rz)가 7μm 이상, 윤곽 곡선 요소의 길이의 평균(Rsm)이 80μm 이상, 윤곽 곡선의 왜도(Rsk)가 0.3 이하, 윤곽 곡선의 첨도(Rku)가 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막 최표면의 Rz, Rsm, Rsk, 및 Rku가 상기 범위인 것에 의해 막 최표면의 광택도, 광학 농도, 반사율 및 L값을 상기 범위(광택도 2% 미만, 반사율 4% 이하, L값 22 이하, 필요에 따라 광학 농도 1.5 이상)로 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막 최표면의 저광택성, 저반사율, 높은 흑색도 및 필요에 따라 고차광성을 실현할 수 있다.
Rz의 하한값은 더 바람직하게는 10μm 이상이다. Rz의 하한값을 상기 값으로 함으로써 한층 더 저광택성, 저반사율 및 고차광성으로 조정하기 쉬워진다.
Rz의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50μ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μm 이하이다. Rz의 상한값을 상기 값으로 함으로써 막 최표면의 한층 더 저광택성, 고차광성, 저반사율 및 높은 흑색성을 실현시키기 쉽다.
Rsm는 기준 길이에 윤곽 곡선 요소의 길이의 평균을 나타낸 것이다. Rsm의 하한값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μ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μm 이상이다. Rsm의 하한값을 상기 값으로 함으로써 저광택의 이점을 더욱 얻기 쉬워진다. Rsm의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160μm 이하이다. 상기 범위에서는 피도장물과 그 위에 형성되는 막 사이에서 보다 뛰어난 밀착성을 얻을 수 있다.
Rsk는, 제곱 평균 평방근 높이(Zq)의 세제곱에 의해 무차원화한 기준 길이에 있어서의 높이 Z(x)의 세제곱 평균을 나타내며, 막 최표면 요철 형상의 평균선에 대한 치우침, 즉 왜곡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Rsk의 값이 플러스(Rsk>0)이면, 요철 형상이 오목측에 치우쳐 돌출 형상이 날카롭게 되고, 마이너스(Rsk<0)이면, 요철 형상이 볼록측에 치우쳐 돌출 형상이 둔해지는 경향이다. 윤곽 곡선의 돌출 형상이 둔한 것이 날카로운 것보다 헤이즈는 낮아진다.
Rsk의 상한값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이하이다. Rsk의 상한값을 상기 값으로 함으로써 저광택의 이점을 더욱 얻기 쉬워진다. Rsk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0 이상이다. Rsk의 하한값을 상기 값으로 함으로써 저광택의 이점을 얻기 쉬워진다.
Rku는, 제곱 평균 평방근 높이(Zq)의 4승에 의해 무차원화한 기준 길이에 있에서의 높이 Z(x)의 4승 평균을 나타내며, 막 최표면 요철 선단의 뾰족한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Rku가 클수록 요철부의 선단이 날카로운 것이 많아지므로, 요철의 선단부 근처의 경사각은 커지지만, 다른 부분의 경사각은 작아져, 배경이 반사되어 찍히는 현상이 발생하기 쉬운 경향이 있다. 또, Rku가 작을수록 요철부의 선단이 평탄하게 되는 것이 많아지므로, 요철의 선단부의 경사각은 작아져, 배경이 반사되어 찍히는 현상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Rku의 하한값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3.3 이상이다. Rku의 하한값을 상기 값으로 함으로써 저광택의 장점을 더욱 얻기 쉬워진다. Rku의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이다. Rku의 상한값을 상기 값으로 함으로써 저광택의 장점을 쉽게 얻을 수 있다.
일 형태에 따른 조성물로 형성되는 막은, 막 최표면의 산술 평균 조도(Ra)가 바람직하게는 0.5μ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μ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5μm 이상이다.
한편, 상술한 막 최표면의, Rz, Rsm, Rsk, Rku, 및 Ra는, JIS B0601:2001에 근거하여 측정 및 산출할 수 있다.
실시 예
이하, 본 발명을 실험 예(실시 예 및 비교 예를 포함한다)에 근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험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기재에 있어서, 「부」는 「질량부」를 나타내고, 「%」는 「질량%」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조성물의 구성 성분]
A(수지 성분)로서 이하의 것을 준비했다.
·A1:열경화성 아크릴 수지
(ACRYDIC A801, DIC사 제품, 고형분 50%)
B(요철 형성 입자)에 속하는 B1(소립자)로서 이하의 것을 준비했다.
·B1a:카본 블랙(CB)(입경 150 nm)
(MHI 블랙#273, 미쿠니시키소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CB 함유량 9.5%)
·B1b:투명 실리카(입경 58 nm)
(ACEMATT R972, EVONIK사 제품)
B에 속하는 B2(대립자)로서 이하의 것을 준비했다.
·B2a:복합 실리카(입경 3μm)
(BECSIA ID, 후지 실리시아가가쿠가부시키가이샤 제품)
·B2b:검은색 아크릴 비즈(입경 3μm)
(RUBCOULEUR 224 SMD 블랙, 다이이치세이카고교가부시키가이샤 제품)
·B2c:투명 실리카(입경 4.1μm)
(SYLYSIA 430, 후지 실리시아가가쿠가부시키가이샤 제품)
·B2d:투명 실리카(입경 8μm)
(SYLYSIA 450, 후지 실리시아가가쿠가부시키가이샤 제품)
·B2e:투명 아크릴 비즈(입경 3μm)
(유니파우더 NMB-0320C, JX닛코우 닛세키 에네르기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한편, B2a(복합 실리카)에 사용한 BECSIA ID는 CB/실리카 = 약 25/75(질량비)의 CB와 실리카의 복합 입자이다. B1a(CB)에 사용한 MHI 블랙#273은 CB 분산액으로, 그 분산액의 고형분 총량 18% 중 9.5%가 CB, 나머지 8.5%가 그밖의 화합물이다. 기타 화합물 8.5% 중 3%가 구리 화합물, 5.5%가 아크릴 수지이다.
D(임의 성분)로서 이하의 것을 준비했다.
·D1: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TAKENATE D110N, 미쓰이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고형분 75%)
[피도장물]
피도장물로서 스마트폰의 케이스(플라스틱제의 외부 케이스)를 준비했다.
[실험 예 1~16]
1. 조성물의 제작
표 1에 나타내는 고형분비가 되도록 실험 예마다의 각 성분을, 총고형분 약 25 질량%가 되도록, (C) 희석 용매로서의 필요량의 혼합 용매(메틸에틸케톤:부틸아세테이트=50:50) 중에 넣고 교반 혼합함으로써 액제 조성물(이하, 그냥 「액제」라고도 함)을 조제했다.
2. 물품(평가용 샘플)의 제작
각 실험 예에서 얻어진 액제를, 아래와 같이 (3-3) 도장성과 동일한 방법에 따른 스프레이 도장에 의해, 피도장물의 겉표면을 향해 분무한 후, 120℃에서 3분간 가열 건조함으로써, 피도장물의 표면에 평균 막 두께가 20μm인 스프레이 도장에 의한 고형 입자 적층의 가열 후 도막(이하, 그냥 「도막」이라고도 함)이 형성된 물품을 얻었다.
3. 평가
각 실험 예에서 얻어진 액제에 대해, 하기에 나타내는 방법으로 각종 특성(점도, 주입성, 도장성, 액 흘림성)을 평가했다(액제 평가). 또, 각 실험 예에서 얻어진 물품에 형성된 도막에 대해, 하기에 나타내는 방법으로 각종 특성(특성, 표면 성상)을 평가했다(물품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액제 평가]
(3-1) 점도
각 액제의 점도는, E형 점토계(VISCOMETER TV-35, 도끼산교가부시키가이샤 제품)를 사용해 25℃, 1 rpm, 1 분후, 표준 콘 로터, 로터 코드:01의 조건으로 측정했다.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점도가 1 mPa·s 이상 30 mPa·s 이하(점도가 양호)
×:점도가 30 mPa·s 초과(점도가 과도하게 높음)
(3-2) 주입성
액제의 주입성은, 에어 스프레이로의 주입 모습을 관찰함으로써 평가했다.
에어 캔(스프레이 워크 에어 캔 420 D, 타미야사 제품)에 에어 브러시(스프레이 워크 HG 싱글 에어 브러시, 타미야사 제품)를 장착한 에어 스프레이를 이용해 각 액제가 에어 브러시의 컵으로부터 노즐에 들어가는 모습을 육안으로 관측하여 주입성을 평가했다.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전혀 막힘없이 순조롭게 액제가 노즐에 들어갔음
△:막힘은 없었지만, 약간 노즐에 액제가 들어가는 속도가 약간 느림
×:액제가 막혀서 노즐에 액제가 들어가지 않음
(3-3) 도장성
액제의 도장성은, 스프레이 도장에 의한 도장 후의 도장 얼룩을 관찰함으로써 평가했다.
각 액제를 상기 (3-2)에서 사용한 에어 스프레이에 주입하고, 에어 브러시 선단으로부터 10cm의 거리로부터, 10초간 피도장물의 겉표면을 향해 분무하여, 형성된 고형 입자 적층물에 대해 육안으로 도공 얼룩을 평가했다.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도장 얼룩(두께가 고르지 못한 상태)은 확인되지 않았다.
△:도장 얼룩이 일부 확인되었다
×:도장 얼룩이 많은 범위에 확인되었다
(3-4) 액 흘림성
액제의 액 흘림성은, 스프레이 도장에 의한 도장 후의 피도장물로부터의 액 흘림을 관찰함으로써 평가했다.
상기 (3-3) 도장성과 마찬가지로, 각 액제를, 상기(3-2)에서 사용한 에어 스프레이에 주입하고, 에어 브러시 선단으로부터 10cm의 거리로부터 10초간 피도장물의 겉표면을 향해 분무한 후의 피도장물로부터의 부착된 액적의 액 흘림성을 평가했다.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도장 후의 피도장물을 수직으로 세워 두었을 때에도 액 흘림이 전혀 일어나지 않음
△:도장 후의 피도장물을 수직으로 세워 두었을 때 점차 액이 흘러내림
×:도장 후의 피도장물을 수직으로 세워 두었을 때 곧바로 액이 흐르기 시작함
[물품 평가]
(3-5) 특성
-광택도-
각 물품에 형성된 도막 표면의 입사각 60°의 측정광에 대한 광택도(60°경면 광택도)는, 글로스 미터(VG 7000, 닛뽕덴쇼쿠고교가부시키가이샤 제품)를 이용해 JIS Z8741에 준거한 방법으로 광택도 9점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광택도로 했다.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광택도가 1.5% 미만(저광택성이 매우 양호)
○:광택도가 1.5% 이상 2% 미만(저광택성이 양호)
×:광택도가 2% 이상(저광택성이 불충분)
-반사율-
각 물품에 형성된 도막 표면의 파장 550nm의 빛에 대한 반사율(550nm 반사율)은, 분광 측색계(CM-5, 코니카 미놀타사 제품)를 이용해 JIS Z8722에 준거한 방법으로 반사율 9점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반사율로 했다.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반사율이 3% 이하(저반사성이 매우 양호)
○:반사율이 3% 초과 4% 이하(저반사성이 양호)
×:반사율이 4% 초과(저반사성이 불충분)
-흑색도-
각 물품에 형성된 도막 표면의 흑색도는, 해당 도막 표면의 SCE 방식에 따른 CIE 1976 L*a*b*(CIELAB) 표색계에서의 명도 L*값을 측정함으로써 평가했다. 그 명도 L*값은, 분광 측색계(CM-5, 코니카 미놀타사 제품)를 이용해 JIS Z8781-4:2013에 준거한 방법으로 측정했다.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측정에서는, 광원으로서 CIE 표준 광원 D65를 이용하여 시야 각도 10°로 하고, SCE 방식에 의해 CIELAB 표시색으로 L*값을 구했다. CIE 표준 광원 D65는, JIS Z 8720(2000) 「측색용 일미나이트(표준 광) 및 표준 광원」에 규정되어 있으며, ISO 10526(2007)에도 동일한 규정이 있다. CIE 표준 광원 D65는 주광으로 조명되는 물체색을 표시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시야 각도 10°에 대해서는, JIS Z 8723(2009) 「표면색의 시각 비교 방법」에 규정되고 있고, ISO/DIS 3668에도 동일한 규정이 있다.
◎:L값이 20 이하(흑색도가 매우 높음)
○:L값이 20 초과 22 이하(흑색도가 높음)
×:L값이 22 초과(흑색도가 불충분)
-차광성-
각 물품에 형성된 도막의 차광성은, 그 도막의 광학 농도를 산출함으로써 평가했다. 각 물품에 형성된 도막의 광학 농도는, 광학 농도계(X-rite 361T(OrthoFilter), 일본평판기계사 제품)를 이용해 물품의 도막측에 수직 투과 광속을 조사하여 도막이 없는 상태와의 비를 log(對數)로 나타내 산출했다. 광학 농도 6.0 이상은 측정의 검출 상한값이다.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한편, 본 평가는 피도장물 자체에 투과성이 있고, 또한 그 위에 형성되는 도막에 차광성이 요구되는 경우를 상정한 것이다. 도막에 차광성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 여기서의 평가는 종합 평가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광학 농도가 2 이상(차광성이 매우 양호)
○:광학 농도가 1.5 이상 2 미만(차광성이 양호)
×:광학 농도가 1.5 미만(차광성이 불충분)
-밀착성-
각 물품에 형성된 도막의 피도장물 표면에의 밀착성은, 해당 도막에 시판품 커터로 노치를 바둑판 모양으로 넣고 거기에 셀로판 테이프(셀로테이프, 니치반가부시키가이샤 제품)를 붙였다 떼어내어 도막의 잔존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함으로써 평가했다.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도막 잔존이 100%(밀착성이 매우 높음)
○:도막 잔존이 75% 이상 100% 미만(밀착성이 높음)
×:도막 잔존이 75% 미만(밀착성이 불충분)
-종합 평가-
상기 광택도, 반사율, 흑색도 및 밀착성을 종합 평가했다.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한편, 차광성에 대해서는, 상기와 같이 필요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기 때문에 종합 평가의 대상으로부터는 제외했다.
◎:광택도의 평가, 반사율의 평가, 흑색도의 평가 및 밀착성의 평가가 모두 ◎
○:광택도의 평가, 반사율의 평가, 흑색도의 평가, 및 밀착성의 평가 중에서 적어도 1개가 ○이고 모두 ×는 아님
×:광택도의 평가, 반사율의 평가, 흑색도의 평가 및 밀착성의 평가 중 적어도 1개가 ×
(3-6) 표면 성상
-Rz값, Rsm값, Rsk값, Rku값, Ra값-
각 물품에 형성된 도막 표면의 성상(Rz값, Rsm값, Rsk값, Rku값, Ra값)은, 표면 조도 측정기(SURFCOM 480B, 도쿄세이미츠사 제품)를 이용해 JISB0601:2001에 준거한 방법으로 측정했다.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Rz)
◎:Rz가 10μm 이상(매우 양호)
○:Rz가 7μm 이상 10μm 미만(양호)
×:Rz가 7μm 미만(불량)
(Rsm)
◎:Rsm가 120μm 이상(매우 양호)
○:Rsm가 80μm 이상 120μm 미만(양호)
×:Rsm가 80μm 미만(불량)
(Rsk)
◎:Rsk가 0.2 이하(매우 양호)
○:Rsk가 0.2 초과 0.3 이하(양호)
×:Rsk 0.3 초과(불량)
(Rku)
◎:Rku가 3.3 이상(매우 양호)
○:Rku가 3 이상 3.3 미만(양호)
×:Rku가 3 미만(불량)
(Ra)
◎:Ra가 1.5μm 이상(매우 양호)
○:Ra가 0.5μm 이상 1.5μm 미만(양호)
×:Ra가 0.5μm 미만(불량)
[표 1]
4. 고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제 중에 (B)로서 (B1)와 (B2)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지 않은 경우(실험예 6, 7, 9, 11, 12), 막 특성의 광택도, 반사율, L값, 밀착성의 하나 이상을 만족시킬 수 없었다. 한편, (B)로서 (B1)와 (B2)의 쌍방을 액제 중에 포함했다고 해도(실험예 1~5, 8, 10), (B1):1에 대한 (B2)의 질량비가 1.8 미만(실험예 1)이거나 3.3 초과(실험예 5)이면, 막 특성의 L값, 밀착성의 하나 이상을 만족시킬 수 없었다. (B1)과 (B2)의 쌍방을 포함하고 또한 (B1):1에 대한 (B2)의 질량비 범위가 적절(1.8 이상 3.3 이하)해도(실험예 2~4, 13~17), 전고형분 100 질량% 중의(B) 함유량(총량)이 20 질량% 미만(실험예 13)이거나 60 질량% 초과(실험예 17)이면, 액제의 점도 및, 막 특성의 광택도, 반사율, L값, 밀착성의 하나 이상을 만족시킬 수가 없었다.
이에 반해, (B1):1에 대한 (B2)의 질량비 범위가 1.8 이상 3.3 이하이면서 또한 조성물의 전고형분 총량 100 질량%에 대한 (B)의 함유 총량이 20 질량% 이상 60 질량% 이하이면(실험예 2~4, 8, 10, 14~16), 액제의 점도, 주입성, 도장성 및 액 흘림성과, 막 특성, 및 막 성상의 모두를 만족시킬 수가 있었다.

Claims (10)

  1. 스프레이 도장에 의한 막 형성용 액제 조성물로서,
    (A), (B), 및 (C)를 적어도 포함하고,
    (B)는, 조성물의 전고형분의 총량 100 질량% 중에 20 질량% 이상 60 질량% 이하로 함유되며,
    (B)는, (B1) 및 (B2)를 90 질량% 이상 포함하고, (B1):1에 대한 (B2)의 질량비가 1.8 이상 3.3 이하인, 조성물:
    (A) 수지 성분
    (B) 요철 형성 입자
    (B1) 입경(d1)이 0.05μm 이상 0.4μm 이하인 무기계 소립자
    (B2) 입경(d2)이 2μm 이상 6μm 이하인 무기계 대립자
    (C) 희석 용매
  2. 제1항에 있어서,
    (B2)는 실리카를 포함하는,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실리카는 착색제에 의해 흑색화된 복합 실리카를 포함하는,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B1)은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5℃에서의 점도가 1 mPa·s 이상 30 mPa·s 이하인,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로 형성된 스프레이 도장에 의한 막(膜).
  7. 제6항에 기재된 막을 구비하는 물품.
  8. 제7항에 있어서,
    막이 형성된 면의 최표면의, 입사 각도 60°인 입사광에 대한 광택도가 2% 미만, 파장 550nm의 빛에 대한 반사율이 4% 이하, SCE 방식에 의한 CIELAB 표색계에서의 L값이 22 이하인, 물품.
  9. 제8항에 있어서,
    막에 대해 투과에서의 차광성이 요구되는 경우, 막이 형성된 면의 최표면의 광학 농도가 1.5 이상인, 물품.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막이 형성된 면의 최표면의, JIS B0601:2001에 있어서의 최대 높이(Rz)가 7μm 이상, 윤곽 곡선 요소의 길이의 평균(Rsm)은 80μm 이상, 윤곽 곡선의 왜도(skewness)(Rsk)가 0.3 이하이면서 동시에 윤곽 곡선의 첨도(kurtosis)(Rku)가 3 이상인 물품.
KR1020237020968A 2021-02-16 2022-02-09 액제 조성물, 막, 및 막을 구비하는 물품 KR202301465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22487A JP7386823B2 (ja) 2021-02-16 2021-02-16 液剤組成物、膜、及び膜を備える物品
JPJP-P-2021-022487 2021-02-16
PCT/JP2022/005000 WO2022176724A1 (ja) 2021-02-16 2022-02-09 液剤組成物、膜、及び膜を備える物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6508A true KR20230146508A (ko) 2023-10-19

Family

ID=82931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0968A KR20230146508A (ko) 2021-02-16 2022-02-09 액제 조성물, 막, 및 막을 구비하는 물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100484A1 (ko)
JP (1) JP7386823B2 (ko)
KR (1) KR20230146508A (ko)
CN (1) CN116867861A (ko)
TW (1) TW202246448A (ko)
WO (1) WO2022176724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5093A (ja) 2006-04-20 2007-11-01 Tokai Rika Co Ltd 携帯機及び加飾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18071A (ja) * 1991-04-17 1992-11-09 Dainippon Toryo Co Ltd 塗料組成物及び被覆アルミニウム材
JPH0734030A (ja) * 1993-07-20 1995-02-03 Dainippon Toryo Co Ltd 塗料組成物及び被覆アルミニウム材
JP4987290B2 (ja) 2005-12-13 2012-07-25 日本特殊塗料株式会社 意匠性仕上げ塗料
JP6607682B2 (ja) * 2015-03-05 2019-11-20 日鉄ケミカル&マテリアル株式会社 遮光膜用黒色樹脂組成物、当該組成物を硬化させた遮光膜を有する遮光膜付基板、並びに当該遮光膜付基板を有するカラーフィルター及びタッチパネル
JP6650686B2 (ja) 2015-05-21 2020-02-19 株式会社きもと 遮光部材
CA3039640C (en) * 2016-11-07 2021-06-15 Shikoku Research Institute Incorporated Coating composition, coating film, and coating method
JP7055784B2 (ja) * 2018-12-13 2022-04-18 キヤノン化成株式会社 霧化塗布用表面反射防止塗料および表面反射防止塗膜
TW202112837A (zh) * 2019-09-26 2021-04-01 日商富士軟片股份有限公司 導熱層的製造方法、積層體的製造方法及半導體器件的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5093A (ja) 2006-04-20 2007-11-01 Tokai Rika Co Ltd 携帯機及び加飾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100484A1 (en) 2024-03-28
WO2022176724A1 (ja) 2022-08-25
CN116867861A (zh) 2023-10-10
TW202246448A (zh) 2022-12-01
JP2022124706A (ja) 2022-08-26
JP7386823B2 (ja) 2023-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74990B (zh) 透光性结构体、其制造方法及物品
CN107924002A (zh) 透光性结构体、其制造方法及物品
CN107924003A (zh) 透光性结构体
WO2010018852A1 (ja) 塗料組成物および塗膜が形成された物品
US10668653B2 (en) Decorative sheet and decorative molded article
CN112126343A (zh) 防眩触控屏显示器和其他经涂覆的制品和形成它们的方法
KR20240032828A (ko) 광학 소자
WO2023002942A1 (ja) レンズフード
KR20230146508A (ko) 액제 조성물, 막, 및 막을 구비하는 물품
JP7421583B2 (ja) 物品の鑑賞等用什器
JP7433282B2 (ja) 測距装置
WO2023112989A1 (ja) レンズユニット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
CN109749109A (zh) 涂膜
WO2023054002A1 (ja) 塗料用水性樹脂組成物及び塗料
TW202402032A (zh) 攝影棚搭建用套件
JPS63276540A (ja) 反射防止用積層体
JPH04108872A (ja) つや消し塗料
JP2009234058A (ja) 剥離フィルム及び積層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