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4054A - 튜브 용기용 압출성형품 및 튜브 용기 - Google Patents

튜브 용기용 압출성형품 및 튜브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4054A
KR20230144054A KR1020237030473A KR20237030473A KR20230144054A KR 20230144054 A KR20230144054 A KR 20230144054A KR 1020237030473 A KR1020237030473 A KR 1020237030473A KR 20237030473 A KR20237030473 A KR 20237030473A KR 20230144054 A KR20230144054 A KR 20230144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thylene resin
density polyethylene
derived
layer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0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 시바타
아리사 마키
류야 나가오
Original Assignee
다이와 세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와 세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와 세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44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405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32B1/08Tubular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02Body construction
    • B65D35/10Body construction made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32B2323/046LDPE, i.e. low density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40Close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97/00Tubular articles, e.g. hoses,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Tubes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전체로서 튜브 형상을 가지고, 최내층, 제1 접착층, 중간층, 제2 접착층 및 최외층이 순서대로 적층된 5층 구조를 가지고, 상기 최내층 및 상기 최외층의 각각이 식물 유래의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하는 튜브 용기용 압출성형품.

Description

튜브 용기용 압출성형품 및 튜브 용기
본 발명은 튜브 용기용 압출성형품 및 튜브 용기에 관한 것이다.
치약이나 화장품 등을 수용하는 튜브 용기로서 라미네이트 튜브가 알려져 있다. 라미네이트 튜브는 폴리에틸렌 수지, 특수지, 알루미늄박 등을 라미네이트 가공에 의해 포갠 라미네이트 시트를 원료로서 사용하여 제조된다. 일반적으로는 라미네이트 튜브는 라미네이트 시트를 원통 형상으로 둥글게 하여 시트의 양단부를 포개고, 포갠 부분을 용착하고, 얻어진 용기 본체에 캡 끼워맞춤 부분을 접합함으로써 제조된다.
이러한 라미네이트 튜브에는 예를 들면 이하의 문제가 있다. 라미네이트 튜브는 양단부를 포개어 제조되기 때문에, 포갠 부분에 단차가 생겨, 외관상의 문제가 있다. 포갠 부분에는 라미네이트 시트 단면이 노출되기 때문에, 수용한 내용물이 상기 단면으로부터 라미네이트 내부로 침투하여, 라미네이트 시트 물성이 저하된다. 또 라미네이트 튜브는 원통 형상으로 둥글게 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나, 상기 서술한 단차를 눈에 띄지 않도록 하고 싶은 점에서, 후육화(厚肉化)가 어렵고, 직경이 큰 튜브에서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
라미네이트 튜브의 상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압출 성형에 의해 튜브 용기의 용기 본체를 제조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및 2). 압출 성형에 의해 제조된 튜브 용기는 압출 성형 튜브라고 불린다. 압출 성형 튜브는 용융된 수지를 압출기에서 연속적으로 튜브 형상으로 압출하고, 그 후,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고, 얻어진 용기 본체에 캡 끼워맞춤 부분을 접합함으로써 제조된다. 다층의 압출 성형 튜브의 경우, 용융된 복수 종류의 수지를 따로 따로의 압출기에서 1개의 금형으로 압출하여, 금형 내에서 다층 구조의 튜브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제조된다.
현재 유통되고 있는 튜브 용기는 석유 유래의 수지를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이 주류이다.
일본국 특개 평11-309406호 공보 일본국 특개 평11-309785호 공보
본 발명자들은 라미네이트 튜브의 상기 문제와 환경 보호의 관점에서, 식물 유래의 폴리에틸렌 수지를 배합한 압출 성형 튜브의 개발에 몰두하여, 이하의 문제를 새롭게 찾아냈다.
석유 유래의 폴리에틸렌 수지 대신에 식물 유래의 폴리에틸렌 수지를 배합하면, 압출 성형 튜브에 스트레스 크랙을 발생시키기 쉬워졌다. 또 식물 유래의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층과 가스 배리어성을 가지는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다층의 압출 성형 튜브를 제조했더니, 시일 강도가 저하되는 경향이 보였다. 또 석유 유래의 폴리에틸렌 수지 대신에 식물 유래의 폴리에틸렌 수지를 배합하면, 압출 성형 튜브의 표면이 매끄럽지 않고 표면이 거칠어지기 쉬워졌다.
그래서, 본 발명은 식물 유래의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하고, 내스트레스크랙성, 시일 강도 및 표면평활성이 우수한 압출 성형 튜브에 관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 의하면, 전체로서 튜브 형상을 가지고, 최내층, 제1 접착층, 중간층, 제2 접착층 및 최외층이 순서대로 적층된 5층 구조를 가지고, 상기 최내층 및 상기 최외층의 각각이 식물 유래의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하는 튜브 용기용 압출성형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일단이 시일된 상기 서술한 압출성형품을 포함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일단이 시일된 상기 압출성형품의 타단에 접합된 캡 끼워맞춤 부분
을 갖춘 튜브 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식물 유래의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하고, 내스트레스크랙성, 시일 강도 및 표면평활성이 우수한 압출 성형 튜브에 관한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압출성형품의 5층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튜브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고 있지 않다.
1. 튜브 용기용 압출성형품
튜브 용기용 압출성형품은 전체로서 튜브 형상을 가지고, 최내층, 제1 접착층, 중간층, 제2 접착층 및 최외층이 순서대로 적층된 5층 구조를 가지고, 상기 최내층 및 상기 최외층의 각각이 식물 유래의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튜브 용기용 압출성형품은 간단히 「압출성형품」이라고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압출성형품에 포함되는 식물 유래의 폴리에틸렌 수지의 비율(%)을 「바이오매스도」라고 한다. 즉, 바이오매스도는 이하의 식에 의해 산출되는 값을 가리킨다.
바이오매스도(%)={(식물 유래의 폴리에틸렌 수지의 합계 질량)/(압출성형품을 구성하는 전체 수지의 합계 질량)}×100
1-1. 구조
압출성형품은 전체로서 튜브 형상을 가지고, 최내층, 제1 접착층, 중간층, 제2 접착층 및 최외층이 순서대로 적층된 5층 구조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압출성형품의 5층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출성형품(1)은 최내층(1a), 제1 접착층(1b), 중간층(1c), 제2 접착층(1d) 및 최외층(1e)이 이 순서대로 적층된 5층 구조를 가진다. 도 1에 표시되는 압출성형품(1)은 튜브 용기의 용기 본체로서 사용되면, 최내층(1a)측의 면이 튜브 용기의 내부 공간과 인접하고, 최외층(1e)측의 면이 튜브 용기의 외부 공간과 인접한다.
압출성형품(1)은 원통 형상이어도 되고, 타원통 형상이어도 된다. 압출성형품(1)은 예를 들면 30~190mm의 둘레 길이를 가진다. 압출성형품(1)은 바람직하게는 40~160mm의 둘레 길이를 가진다. 둘레 길이는 튜브 형상의 압출성형품(1)의 외주의 길이를 가리킨다.
압출성형품(1)은 예를 들면 0.19~0.55mm, 바람직하게는 0.24~0.5mm의 두께를 가진다. 두께는 튜브 형상의 압출성형품(1)의 벽의 두께를 가리키며, 압출성형품(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대략 등간격으로 설정된 3개소에서 측정된 두께의 평균값이다.
최내층(1a)은 예를 들면 0.12~0.25mm, 바람직하게는 0.14~0.24mm의 두께를 가진다. 제1 접착층(1b)은 예를 들면 0.001~0.03mm, 바람직하게는 0.005~0.02mm의 두께를 가진다. 중간층(1c)은 예를 들면 0.01~0.1mm, 바람직하게는 0.02~0.08mm의 두께를 가진다. 제2 접착층(1d)은 예를 들면 0.001~0.03mm, 바람직하게는 0.005~0.02mm의 두께를 가진다. 최외층(1e)은 예를 들면 0.06~0.2mm, 바람직하게는 0.08~0.18mm의 두께를 가진다.
압출성형품(1)은 임의의 길이를 가질 수 있고, 튜브 용기의 용기 본체보다 긴 길이를 가지고 있어도 되며, 튜브 용기의 용기 본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전자의 경우, 압출성형품(1)은 튜브 용기의 용기 본체의 길이로 절단된 후, 튜브 용기의 용기 본체로서 사용된다.
1-2. 수지
이하, 최내층(1a), 제1 접착층(1b), 중간층(1c), 제2 접착층(1d), 최외층(1e)을 구성하는 수지에 대해, 순서대로 설명한다.
(최내층(1a))
최내층(1a)은 식물 유래의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최내층(1a)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Low Density Polyethylene:LDPE)와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L-LDPE)를 포함하고,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LDPE) 및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L-LDPE)의 적어도 일방이 식물 유래이다.
즉,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최내층(1a)은
식물 유래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바이오매스 LDPE)와 식물 유래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바이오매스 L-LDPE)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식물 유래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바이오매스 LDPE)와 석유 유래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석유 L-LDPE)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며,
석유 유래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석유 LDPE)와 식물 유래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바이오매스 L-LDPE)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LDPE)와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L-LDPE)는 제조 방법의 차이에 의해 구조적으로 상이하다. 즉,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LDPE)는 에틸렌의 중합체이며, 에틸렌이 랜덤으로 분기되어 결합한 구조를 가진다. 이 때문에,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LDPE)는 주쇄에 각종의 탄소수의 측쇄가 결합하고, 측쇄에는 단쇄 분지(예를 들면 탄소수 약20개 이하의 단쇄 분지) 및 장쇄 분지(예를 들면 탄소수 약20개를 넘는 장쇄 분지)가 포함된다. 한편,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L-LDPE)는 에틸렌과 α-올레핀의 공중합체이다. 이 때문에,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L-LDPE)는, 주쇄에 장쇄 분지(예를 들면 탄소수 약20개를 넘는 장쇄 분지)는 결합하고 있지 않고, 단쇄 분지(예를 들면 탄소수 약20개 이하의 단쇄 분지)만이 결합하고 있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최내층(1a)은 식물 유래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바이오매스 LDPE)와 식물 유래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바이오매스 L-LDPE)를 포함한다. 이 실시형태는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라고 부른다.
다른 더욱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최내층(1a)은 식물 유래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바이오매스 LDPE)와 석유 유래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석유 L-LDPE)를 포함한다. 이 실시형태는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제2 실시형태」라고 부른다.
다른 더욱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최내층(1a)은 석유 유래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석유 LDPE)와 식물 유래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바이오매스 L-LDPE)를 포함한다. 이 실시형태는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제3 실시형태」라고 부른다.
최내층(1a)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LDPE)와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L-LDPE)를 예를 들면 9:1~1:9의 질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최내층(1a)은 식물 유래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바이오매스 LDPE)와 식물 유래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바이오매스 L-LDPE)를 예를 들면 9:1~4:6의 질량비로, 바람직하게는 8:2~4:6의 질량비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7:3~4:6의 질량비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6:4~4:6의 질량비로 포함한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최내층(1a)은 식물 유래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바이오매스 LDPE)와 석유 유래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석유 L-LDPE)를 예를 들면 9:1~4:6의 질량비로, 바람직하게는 9:1~5:5의 질량비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9:1~6:4의 질량비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9:1~7:3의 질량비로 포함한다.
제3 실시형태에서는, 최내층(1a)은 석유 유래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석유 LDPE)와 식물 유래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바이오매스 L-LDPE)를 예를 들면 6:4~1:9의 질량비로, 바람직하게는 5:5~1:9의 질량비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4:6~1:9의 질량비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4:6~2:8의 질량비로 포함한다.
이하, 「식물 유래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바이오매스 LDPE)」, 「식물 유래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바이오매스 L-LDPE)」, 「석유 유래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석유 LDPE)」, 「석유 유래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석유 L-LDPE)」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식물 유래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바이오매스 LDPE)」
「식물 유래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바이오매스 LDPE)」는 식물을 원료로서 사용하여 제조한 에틸렌의 중합체이며, 에틸렌이 랜덤으로 분기되어 결합한 구조를 가진다. 「식물 유래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바이오매스 LDPE)」는 예를 들면 사탕수수 유래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이다. 사탕수수 유래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는 사탕수수를 원료로서 사용하여 제조한 에틸렌의 중합체이며, 에틸렌이 랜덤으로 분기되어 결합한 구조를 가진다.
「식물 유래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바이오매스 LDPE)」의 밀도는, 0.91g/cm3~0.93g/cm3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0.915g/cm3~0.93g/cm3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되는 수지의 밀도는 JIS K7112:1999에 준거한 방법으로 얻어진 측정값이다.
또 「식물 유래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바이오매스 LDPE)」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는, 0.1g/10분~10g/10분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1g/10분~5g/10분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되는 수지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는 JIS K7210:1999에 준거한 방법으로 얻어진 측정값이다. 멜트 플로우 레이트는 구체적으로는 190℃에서 21.18N의 하중을 수지에 걸었을 때 10분간으로 토출되는 수지 중량의 측정값이다.
「식물 유래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바이오매스 LDPE)」는, 예를 들면 Braskem사로부터 판매되고 있는 식물 유래의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할 수 있고, 그 예로서, SEB853, SBC818, SBF0323HC, STN7006, SPB618의 상품명으로 판매되고 있는 수지를 들 수 있다.
「식물 유래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바이오매스 L-LDPE)」
「식물 유래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바이오매스 L-LDPE)」는 식물을 원료로서 사용하여 제조한 에틸렌과 α-올레핀의 공중합체이다. 「식물 유래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바이오매스 L-LDPE)」는 예를 들면 사탕수수 유래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이다. 사탕수수 유래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는 사탕수수를 원료로서 사용하여 제조한 에틸렌과 α-올레핀의 공중합체이다.
「α-올레핀」은 3~20의 탄소수를 가지는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화합물이며, 예를 들면 1-부텐, 1-헥센, 4-메틸-1-펜텐, 1-옥텐 등을 들 수 있다.
「식물 유래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바이오매스 L-LDPE)」의 밀도는, 0.91g/cm3~0.93g/cm3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0.915g/cm3~0.93g/cm3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식물 유래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바이오매스 L-LDPE)」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는, 0.1g/10분~10g/10분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1g/10분~5g/10분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물 유래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바이오매스 L-LDPE)」는, 예를 들면 Braskem사로부터 판매되고 있는 식물 유래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할 수 있고, 그 예로서, SLL118, SLL118/21, SLL218, SLL218/21, SLL318, SLH118, SLH218, SLH0820/30AF의 상품명으로 판매되고 있는 수지를 들 수 있다.
「석유 유래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석유 LDPE)」
「석유 유래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석유 LDPE)」는 석유를 원료로서 사용하여 제조한 에틸렌의 중합체이며, 에틸렌이 랜덤으로 분기되어 결합한 구조를 가진다.
「석유 유래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석유 LDPE)」의 밀도는, 0.91g/cm3~0.93g/cm3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0.915g/cm3~0.93g/cm3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석유 유래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석유 LDPE)」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는, 0.1g/10분~10g/10분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1g/10분~5g/10분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석유 유래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석유 LDPE)」는 시판되는 석유 유래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사용할 수 있고, 그 예로서, 미츠이·다우폴리케미컬 가부시키가이샤로부터 미라손이라는 상품명으로 판매되고 있는 수지, 니혼폴리에틸렌 가부시키가이샤로부터 노바테크라는 상품명으로 판매되고 있는 수지, 도소 가부시키가이샤로부터 페트로센이라는 상품명으로 판매되고 있는 수지, 가부시키가이샤 ENEOS NUC로부터 NUC라는 상품명으로 판매되고 있는 수지를 들 수 있다.
「석유 유래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석유 L-LDPE)」
「석유 유래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석유 L-LDPE)」는 석유를 원료로서 사용하여 제조한 에틸렌과 α-올레핀의 공중합체이다.
「α-올레핀」은 3~20의 탄소수를 가지는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화합물이며, 예를 들면 1-부텐, 1-헥센, 4-메틸-1-펜텐, 1-옥텐 등을 들 수 있다.
「석유 유래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석유 L-LDPE)」의 밀도는, 0.91g/cm3~0.93g/cm3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0.915g/cm3~0.93g/cm3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석유 유래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석유 L-LDPE)」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는, 0.1g/10분~10g/10분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1g/10분~5g/10분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석유 유래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석유 L-LDPE)」는 시판되는 석유 유래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사용할 수 있고, 그 예로서, 가부시키가이샤 프라임폴리머로부터 에볼류, 네오젝스 또는 울트젝스라는 상품명으로 판매되고 있는 수지, 니혼폴리에틸렌 가부시키가이샤로부터 노바테크라는 상품명으로 판매되고 있는 수지를 들 수 있다.
(제1 접착층(1b))
제1 접착층(1b)은 최내층(1a)을 중간층(1c)과 접착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접착층(1b)은 예를 들면 산 변성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한다. 「산 변성 폴리에틸렌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무수 말레인산 변성 폴리에틸렌 수지이다.
제1 접착층(1b)은 전형적으로는 석유 유래의 산 변성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한다. 「석유 유래의 산 변성 폴리에틸렌 수지」는 석유 유래의 폴리에틸렌을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그 무수물로 변성함으로써 얻어진 수지이다. 이러한 수지는 산 변성에 의해 접착성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접착성 수지로서 공지이다.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그 무수물의 예로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α-에틸아크릴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테트라히드로프탈산, 클로로말레인산, 부테닐숙신산 및 이들의 무수물을 들 수 있다.
「석유 유래의 산 변성 폴리에틸렌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석유 유래의 무수 말레인산 변성 폴리에틸렌 수지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석유 유래의 산 변성 폴리에틸렌 수지」는 석유 유래의 무수 말레인산 변성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MA 변성 LDPE), 석유 유래의 무수 말레인산 변성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MA 변성 L-LDP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석유 유래의 무수 말레인산 변성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MA 변성 LDPE)」는 석유를 원료로서 사용하여 제조한 에틸렌의 단독중합체를 무수 말레인산으로 변성함으로써 얻어진 수지이다.
「석유 유래의 무수 말레인산 변성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MA 변성 LDPE)」의 밀도는, 0.91g/cm3~0.93g/cm3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0.915g/cm3~0.93g/cm3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기재되는 수지의 밀도는 JIS K7112:1999에 준거한 방법으로 얻어진 측정값이다.
또 「석유 유래의 무수 말레인산 변성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MA 변성 LDPE)」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는, 0.1g/10분~10g/10분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1g/10분~5g/10분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기재되는 수지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는 JIS K7210:1999에 준거한 방법으로 얻어진 측정값이다. 멜트 플로우 레이트는 구체적으로는 190℃에서 21.18N의 하중을 수지에 걸었을 때 10분간으로 토출되는 수지 중량의 측정값이다.
「석유 유래의 무수 말레인산 변성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MA 변성 LDPE)」는 예를 들면 미츠비시케미컬 가부시키가이샤로부터 「모딕」(등록상표)이라는 상품명으로 판매되고 있는 수지, 미츠이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로부터 「애드머」(등록상표)라는 상품명으로 판매되고 있는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석유 유래의 무수 말레인산 변성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MA 변성 L-LDPE)」는 석유를 원료로서 사용하여 제조한 에틸렌과 α-올레핀의 공중합체를 무수 말레인산으로 변성함으로써 얻어진 수지이다. 「α-올레핀」은 3~20의 탄소수를 가지는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화합물이며, 예를 들면 1-부텐, 1-헥센, 4-메틸-1-펜텐, 1-옥텐 등을 들 수 있다.
「석유 유래의 무수 말레인산 변성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MA 변성 L-LDPE)」의 밀도는, 0.91g/cm3~0.93g/cm3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0.915g/cm3~0.93g/cm3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석유 유래의 무수 말레인산 변성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MA 변성 L-LDPE)」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는, 0.1g/10분~10g/10분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1g/10분~5g/10분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석유 유래의 무수 말레인산 변성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MA 변성 L-LDPE)」는, 예를 들면 미츠이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로부터 「애드머」(등록상표)라는 상품명으로 판매되고 있는 수지, 미츠비시케미컬 가부시키가이샤로부터 「모딕」(등록상표)이라는 상품명으로 판매되고 있는 수지, ARKEMA사로부터 「OREVAC」(등록상표)이라는 상품명으로 판매되고 있는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중간층(1c))
중간층(1c)은 바람직하게는 가스 배리어성을 가지는 수지를 포함한다. 중간층(1c)을 구성하는 수지는 가스 배리어성을 가지는 수지로서 공지의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중간층(1c)을 구성하는 수지는 예를 들면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수지(EVOH), 나일론(NY), 폴리비닐알코올(PVA),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폴리염화비닐리덴(PVDC)이며, 바람직하게는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수지(EVOH)이다.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수지(EVOH)는, 예를 들면 미츠비시케미컬 가부시키가이샤로부터 「소아놀」(등록상표)이라는 상품명으로 판매되고 있는 수지,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로부터 「에발」(등록상표)이라는 상품명으로 판매되고 있는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2 접착층(1d))
제2 접착층(1d)은 최외층(1e)을 중간층(1c)과 접착하는 역할을 한다. 제2 접착층(1d)은 예를 들면 산 변성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한다. 「산 변성 폴리에틸렌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무수 말레인산 변성 폴리에틸렌 수지이다.
제2 접착층(1d)은 전형적으로는 석유 유래의 산 변성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한다. 「석유 유래의 산 변성 폴리에틸렌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석유 유래의 무수 말레인산 변성 폴리에틸렌 수지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석유 유래의 산 변성 폴리에틸렌 수지」는, 석유 유래의 무수 말레인산 변성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MA 변성 LDPE), 석유 유래의 무수 말레인산 변성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MA 변성 L-LDP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제2 접착층(1d)에 포함되는 「석유 유래의 산 변성 폴리에틸렌 수지」는, 제1 접착층(1b)에서 설명한 「석유 유래의 산 변성 폴리에틸렌 수지」와 마찬가지이며, 그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제2 접착층(1d)은 제1 접착층(1b)과 동일한 수지 조성을 가지고 있어도 되고, 제1 접착층(1b)과 상이한 수지 조성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최외층(1e))
최외층(1e)은 식물 유래의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최외층(1e)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LDPE)와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L-LDPE)를 포함하고,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LDPE) 및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L-LDPE)의 적어도 일방이 식물 유래이다.
즉,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최외층(1e)은
식물 유래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바이오매스 LDPE)와 식물 유래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바이오매스 L-LDPE)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식물 유래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바이오매스 LDPE)와 석유 유래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석유 L-LDPE)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며,
석유 유래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석유 LDPE)와 식물 유래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바이오매스 L-LDPE)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최외층(1e)은 식물 유래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바이오매스 LDPE)와 식물 유래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바이오매스 L-LDPE)를 포함한다. 이 실시형태는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라고 부른다.
다른 더욱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최외층(1e)은 식물 유래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바이오매스 LDPE)와 석유 유래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석유 L-LDPE)를 포함한다. 이 실시형태는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제2 실시형태」라고 부른다.
다른 더욱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최외층(1e)은 석유 유래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석유 LDPE)와 식물 유래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바이오매스 L-LDPE)를 포함한다. 이 실시형태는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제3 실시형태」라고 부른다.
최외층(1e)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LDPE)와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L-LDPE)를 예를 들면 9:1~1:9의 질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최외층(1e)은 식물 유래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바이오매스 LDPE)와 식물 유래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바이오매스 L-LDPE)를 예를 들면 9:1~4:6의 질량비로, 바람직하게는 8:2~4:6의 질량비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7:3~4:6의 질량비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6:4~4:6의 질량비로 포함한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최외층(1e)은 식물 유래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바이오매스 LDPE)와 석유 유래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석유 L-LDPE)를 예를 들면 9:1~4:6의 질량비로, 바람직하게는 9:1~5:5의 질량비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9:1~6:4의 질량비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9:1~7:3의 질량비로 포함한다.
제3 실시형태에서는, 최외층(1e)은 석유 유래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석유 LDPE)와 식물 유래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바이오매스 L-LDPE)를 예를 들면 6:4~1:9의 질량비로, 바람직하게는 5:5~1:9의 질량비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4:6~1:9의 질량비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4:6~2:8의 질량비로 포함한다.
최외층(1e)에 포함되는 수지, 즉 「식물 유래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바이오매스 LDPE)」, 「식물 유래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바이오매스 L-LDPE)」, 「석유 유래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석유 LDPE)」, 「석유 유래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석유 L-LDPE)」는, 최내층(1a)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며, 그들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최외층(1e)은 최내층(1a)과 동일한 수지 조성을 가지고 있어도 되고, 최내층(1a)과 상이한 수지 조성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첨가제)
최내층(1a), 제1 접착층(1b), 중간층(1c), 제2 접착층(1d), 최외층(1e)은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여 구성되지만, 수지에 더해 필요에 따라 공지의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첨가제로서는 수지용 첨가제로서 알려져 있는 각종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다.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산화방지제, 자외선흡수제, 내후제, 대전방지제, 충전제, 결정핵제, 착색 안료, 광택제거제, 착색방지제, 방담제, 난연제, 안티블로킹제, 활제(슬립제, 이형제를 포함한다) 및 CO2 흡수제 등을 들 수 있다. 첨가제의 총함유량은 각 층의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면 0.01~10질량부로 할 수 있다.
(바이오매스도)
상기 서술한 5개의 층을 가지는 압출성형품(1)은 식물 유래의 폴리에틸렌 수지를 예를 들면 40질량%를 넘는 양으로 포함한다. 압출성형품(1)은 식물 유래의 폴리에틸렌 수지를 바람직하게는 5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0질량% 이상의 양으로 포함한다. 즉, 압출성형품(1)에 포함되는 식물 유래의 폴리에틸렌 수지의 비율(즉, 바이오매스도)은, 예를 들면 40질량%보다 크고, 바람직하게는 5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0질량% 이상이다.
압출성형품(1)에 포함되는 식물 유래의 폴리에틸렌 수지의 비율(즉, 바이오매스도)의 상한은, 예를 들면 85질량%이다.
1-3. 제조 방법
압출성형품(1)은 공지의 공압출성형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즉, 최내층(1a)을 구성하는 수지, 제1 접착층(1b)을 구성하는 수지, 중간층(1c)을 구성하는 수지, 제2 접착층(1d)을 구성하는 수지, 최외층(1e)을 구성하는 수지를, 따로 따로인 압출기에서 1개의 금형으로 압출하여, 금형 내에서 5층 구조의 튜브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압출성형품」이라는 용어는 압출 성형에 의해 튜브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가리킨다. 바꾸어 말하면, 「압출성형품」이라는 용어는 압출 성형 직후에 튜브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을 가리킨다. 따라서, 「압출성형품」이라는 용어는 시트 형상으로 압출 성형한 것을 튜브 형상으로 둥글게 한 것을 포함하지 않는다.
2. 튜브 용기용 성형품
압출성형품(1)은 압출성형품(1) 위에 하나 이상의 추가의 층을 갖추고 있어도 된다. 즉, 다른 측면에 따르면, 압출성형품과, 상기 압출성형품 위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층을 갖춘, 튜브 용기용 성형품이 제공된다. 이 튜브 용기용 성형품은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간단히 「성형품」이라고 한다.
추가의 층은 공지의 가식 기술에 따라, 예를 들면 인쇄, 도장(예를 들면 인쇄층 표면 보호의 클리어 도장), 라벨 붙이기, 핫스탬프, 슈링크 필름 붙이기, 증착 또는 필름 전사에 의해, 압출성형품 위에 형성할 수 있다. 추가의 층은 1개의 층이어도 되고, 복수의 층이어도 되며, 예를 들면 1~5층으로 할 수 있다.
3. 튜브 용기
튜브 용기는
일단이 시일된 상기 서술한 압출성형품을 포함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일단이 시일된 상기 압출성형품의 타단에 접합된 캡 끼워맞춤 부분
을 갖추고 있다.
또는 튜브 용기는
일단이 시일된 상기 서술한 성형품을 포함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일단이 시일된 상기 성형품의 타단에 접합된 캡 끼워맞춤 부분
을 갖추고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튜브 용기를 도 2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튜브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튜브 용기(10)는, 용기 본체(11)와, 용기 본체(11)에 접합된 캡 끼워맞춤 부분(12)을 갖추고 있다. 튜브 용기(10)는 용기 본체(11)에 내용물을 충전하고, 캡 끼워맞춤 부분(12)에 캡을 끼워맞추어 사용된다. 여기서, 내용물은 고점도의 액체여도 반고체여도 된다. 내용물은 예를 들면 세안료, 화장품, 치약이나, 핸드 크림 등의 일용품이나, 잼이나 버터 등의 식품이다.
용기 본체(11)는 상기에서 설명한 압출성형품(1)의 일단을 시일함으로써 얻어진다. 시일은 튜브 용기의 엔드 시일 가공으로서 공지의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히트 시일 방식, 초음파 시일 방식, 핫에어 시일 방식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압출성형품(1)에는 일단을 시일하기 전에 외면 상에 하나 이상의 추가의 층을 설치해도 된다. 즉, 용기 본체(11)는 공지의 가식 기술에 따라, 예를 들면 인쇄, 도장(예를 들면 인쇄층 표면 보호의 클리어 도장), 라벨 붙이기, 핫스탬프, 슈링크 필름 붙이기, 증착 또는 필름 전사에 의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추가의 층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용기 본체(1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체부(21)와, 동체부(21)의 일방의 단부에 설치된 시일부(22)를 갖추고 있다.
동체부(21)는 압출성형품(1) 또는 성형품의 시일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다. 동체부(21)의 시일부(22)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단부는 개구부를 들여다봤을 때의 형상이 원형 혹은 타원형의 원통 형상을 가지고 있다.
시일부(22)는 압출성형품(1) 또는 성형품의 일방의 단부를 열에 의해 용착함으로써 형성된 부분이다. 시일부(22)는 편평 형상을 가지고, 그 마주한 내면끼리가 시일되어 있다. 시일부(22)는 용기 본체(11)의 일단을 폐색하고 있다.
동체부(21)의 시일부(22)가 설치된 단부와는 반대의 단부에는, 캡 끼워맞춤 부분(12)이 설치되어 있다. 캡 끼워맞춤 부분(12)은, 동체부(21)의 시일부(22)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단부와 일체로 연속되는 어깨부(31)와, 어깨부(31)의 중앙에 설치된 원통 형상의 주둥이부(32)를 갖추고 있다. 캡 끼워맞춤 부분(12)은 동체부(21)와는 별개로 사출 성형이나 압축 성형에 의해 제조되어, 동체부(21)와 접합되어 있다. 사출 성형의 경우, 인서트 성형에 의해, 캡 끼워맞춤 부분(12)의 형성과, 용기 본체(11)로의 캡 끼워맞춤 부분(12)의 접합을 동시에 행해도 되고, 또는 별도 부품으로서 캡 끼워맞춤 부분(12)을 사출 성형한 후, 초음파 용착에 의해 용기 본체(11)에 접합해도 된다.
어깨부(31)는 튜브 용기(10)의 외부 공간에 면한 외면과, 튜브 용기(10)의 내부 공간에 면한 내면의 각각이, 내부 공간으로부터 외부 공간을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원추사다리꼴 형상을 가지고 있다. 어깨부(31)의 외주 가장자리는 동체부(21)와 연속되어 있다. 주둥이부(32)는 어깨부(31)의 중심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4. 효과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압출성형품, 성형품 및 튜브 용기는, 최내층(1a), 제1 접착층(1b), 중간층(1c), 제2 접착층(1d) 및 최외층(1e)이 순서대로 적층된 5층 구조를 가지고, 최내층(1a) 및 최외층(1e)의 각각에 식물 유래의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식물 유래의 폴리에틸렌 수지를 배합한 압출 성형 튜브를, 접착층을 독립된 층으로서 설치하여 5층 구조로 함으로써, 우수한 내스트레스크랙성, 우수한 시일 강도 및 우수한 표면평활성을 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압출성형품, 성형품 및 튜브 용기는, 상기한 5층 구조를 가지는 것에 더해, 최내층(1a) 및 최외층(1e)의 각각에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LDPE)와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L-LDPE)를 포함하고, 이들 수지의 적어도 일방이 식물 유래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특정의 수지의 조합을 사용함으로써, 보다 우수한 내스트레스크랙성, 보다 우수한 시일 강도 및 보다 우수한 표면평활성을 달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압출성형품, 성형품 및 튜브 용기는 이하의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압출성형품, 성형품 및 튜브 용기는, 식물 유래의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하기 때문에, 석유 유래의 폴리에틸렌 수지의 경우와 비교하여, CO2 배출량의 삭감에 기여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압출성형품, 성형품 및 튜브 용기는, 압출 성형에 의해 제조되기 때문에, 라미네이트 튜브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포개지는 부분(즉, 이음매)이 없어, 심리스한 외관을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압출성형품, 성형품 및 튜브 용기는, 압출 성형에 의해 제조되기 때문에, 라미네이트 튜브와 비교하여, 후육화가 용이하며, 직경이 큰 튜브 용기라도 충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압출성형품, 성형품 및 튜브 용기는, 상기의 5층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이하의 이점을 가진다. 다층 구조 튜브에 있어서, 최내층 및 최외층을 가스 배리어성을 가지는 중간층과 접착하는 경우, 최내층 및 최외층에 접착성 수지를 편입시키는 방법과, 최내층과 중간층 사이 및 최외층과 중간층 사이에 접착성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층을 설치하는 방법의 2가지의 방법이 생각된다. 본 발명에서는, 후자의 방법에 따라, 제1 접착층(1b) 및 제2 접착층(1d)을 독립된 층으로서 설치하여 5층 구조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최내층(1a)이나 최외층(1e)에 접착성 수지를 편입시킬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최내층(1a)이나 최외층(1e)에 포함되는 식물 유래의 폴리에틸렌 수지의 비율을 최대 100질량%까지 높일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압출성형품의 바이오매스도를 높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제1 접착층(1b) 및 제2 접착층(1d)을 독립된 층으로서 설치하여 5층 구조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최내층(1a)이나 최외층(1e)에 접착성 수지를 편입시킨 경우와 같이 접착성 수지가 희석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접착성 수지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접착성 수지는 접착성을 발휘하기 위해서 특수한 화학 구조를 가지고 있어, 비교적 고가인 재료이기 때문에, 접착성 수지의 사용량을 줄이면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5. 바람직한 태양
이하에 바람직한 태양을 정리해서 기재한다.
[1] 전체로서 튜브 형상을 가지고, 최내층, 제1 접착층, 중간층, 제2 접착층 및 최외층이 순서대로 적층된 5층 구조를 가지고, 상기 최내층 및 상기 최외층의 각각이 식물 유래의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하는 튜브 용기용 압출성형품.
[2] 상기 최내층 및 상기 최외층의 각각이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와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및 상기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의 적어도 일방이 식물 유래인 [1]에 기재된 압출성형품.
[3] 상기 최내층 및 상기 최외층의 각각이 식물 유래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와 식물 유래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하는 [2]에 기재된 압출성형품.
[4] 상기 최내층 및 상기 최외층의 각각이 식물 유래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와 석유 유래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하는 [2]에 기재된 압출성형품.
[5] 상기 최내층 및 상기 최외층의 각각이 석유 유래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와 식물 유래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하는 [2]에 기재된 압출성형품.
[6] 상기 최내층 및 상기 최외층의 각각이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와 상기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9:1~1:9의 질량비로 포함하는 [2]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압출성형품.
[7] 상기 최내층 및 상기 최외층의 각각이 상기 식물 유래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와 상기 식물 유래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9:1~4:6의 질량비로, 바람직하게는 8:2~4:6의 질량비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7:3~4:6의 질량비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6:4~4:6의 질량비로 포함하는 [3]에 기재된 압출성형품.
[8] 상기 최내층 및 상기 최외층의 각각이 상기 식물 유래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와 상기 석유 유래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9:1~4:6의 질량비로, 바람직하게는 9:1~5:5의 질량비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9:1~6:4의 질량비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9:1~7:3의 질량비로 포함하는 [4]에 기재된 압출성형품.
[9] 상기 최내층 및 상기 최외층의 각각이 상기 석유 유래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와 상기 식물 유래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6:4~1:9의 질량비로, 바람직하게는 5:5~1:9의 질량비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4:6~1:9의 질량비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4:6~2:8의 질량비로 포함하는 [5]에 기재된 압출성형품.
[10] 상기 식물 유래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가 0.91g/cm3~0.93g/cm3, 바람직하게는 0.915g/cm3~0.93g/cm3의 밀도를 가지는 [3] 또는 [7]에 기재된 압출성형품.
[11] 상기 식물 유래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가 0.1g/10분~10g/10분, 바람직하게는 1g/10분~5g/10분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를 가지는 [3], [7] 또는 [10]에 기재된 압출성형품.
[12] 상기 식물 유래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가 0.91g/cm3~0.93g/cm3, 바람직하게는 0.915g/cm3~0.93g/cm3의 밀도를 가지는 [3], [7], [10] 또는 [11]에 기재된 압출성형품.
[13] 상기 식물 유래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가 0.1g/10분~10g/10분, 바람직하게는 1g/10분~5g/10분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를 가지는 [3], [7], [10], [11] 또는 [12]에 기재된 압출성형품.
[14] 상기 식물 유래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가 0.91g/cm3~0.93g/cm3, 바람직하게는 0.915g/cm3~0.93g/cm3의 밀도를 가지는 [4] 또는 [8]에 기재된 압출성형품.
[15] 상기 식물 유래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가 0.1g/10분~10g/10분, 바람직하게는 1g/10분~5g/10분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를 가지는 [4], [8] 또는 [14]에 기재된 압출성형품.
[16] 상기 석유 유래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가 0.91g/cm3~0.93g/cm3, 바람직하게는 0.915g/cm3~0.93g/cm3의 밀도를 가지는 [4], [8], [14] 또는 [15]에 기재된 압출성형품.
[17] 상기 석유 유래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가 0.1g/10분~10g/10분, 바람직하게는 1g/10분~5g/10분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를 가지는 [4], [8], [14], [15] 또는 [16]에 기재된 압출성형품.
[18] 상기 석유 유래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가 0.91g/cm3~0.93g/cm3, 바람직하게는 0.915g/cm3~0.93g/cm3의 밀도를 가지는 [5] 또는 [9]에 기재된 압출성형품.
[19] 상기 석유 유래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가 0.1g/10분~10g/10분, 바람직하게는 1g/10분~5g/10분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를 가지는 [5], [9] 또는 [18]에 기재된 압출성형품.
[20] 상기 식물 유래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가 0.91g/cm3~0.93g/cm3, 바람직하게는 0.915g/cm3~0.93g/cm3의 밀도를 가지는 [5], [9], [18] 또는 [19]에 기재된 압출성형품.
[21] 상기 식물 유래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가 0.1g/10분~10g/10분, 바람직하게는 1g/10분~5g/10분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를 가지는 [5], [9], [18], [19] 또는 [20]에 기재된 압출성형품.
[22] 상기 식물이 사탕수수인 [1] 내지 [2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압출성형품.
[23] 상기 압출성형품이 식물 유래의 폴리에틸렌 수지를 40질량%를 넘는 양으로 포함하는 [1] 내지 [2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압출성형품.
[24] 상기 압출성형품이 식물 유래의 폴리에틸렌 수지를 50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6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질량% 이상의 양으로 포함하는 [1] 내지 [2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압출성형품.
[25] 상기 압출성형품이 식물 유래의 폴리에틸렌 수지를 50~85질량%, 바람직하게는 60~85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70~85질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1] 내지 [2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압출성형품.
[26] 상기 제1 접착층 및 상기 제2 접착층의 각각이 산 변성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하는 [1] 내지 [2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압출성형품.
[27] 상기 산 변성 폴리에틸렌 수지가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그 무수물로 변성된 폴리에틸렌 수지인 [26]에 기재된 압출성형품.
[28] 상기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그 무수물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α-에틸아크릴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테트라히드로프탈산, 클로로말레인산, 부테닐숙신산 및 이들의 무수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7]에 기재된 압출성형품.
[29] 상기 산 변성 폴리에틸렌 수지가 무수 말레인산 변성 폴리에틸렌 수지인 [26] 내지 [2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압출성형품.
[30] 상기 산 변성 폴리에틸렌 수지가 석유 유래의 무수 말레인산 변성 폴리에틸렌 수지인 [26] 내지 [2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압출성형품.
[31] 상기 산 변성 폴리에틸렌 수지가 석유 유래의 무수 말레인산 변성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석유 유래의 무수 말레인산 변성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26] 내지 [3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압출성형품.
[32] 상기 무수 말레인산 변성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가 0.91g/cm3~0.93g/cm3, 바람직하게는 0.915g/cm3~0.93g/cm3의 밀도를 가지고, 상기 무수 말레인산 변성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가 0.91g/cm3~0.93g/cm3, 바람직하게는 0.915g/cm3~0.93g/cm3의 밀도를 가지는 [31]에 기재된 압출성형품.
[33] 상기 무수 말레인산 변성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가 0.1g/10분~10g/10분, 바람직하게는 1g/10분~5g/10분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를 가지고, 상기 무수 말레인산 변성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가 0.1g/10분~10g/10분, 바람직하게는 1g/10분~5g/10분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를 가지는 [31] 또는 [32]에 기재된 압출성형품.
[34] 상기 중간층이 가스 배리어성을 가지는 수지를 포함하는 [1] 내지 [3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압출성형품.
[35] 상기 수지가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수지(EVOH), 나일론(NY), 폴리비닐알코올(PVA),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또는 폴리염화비닐리덴(PVDC)인 [34]에 기재된 압출성형품.
[36] 상기 수지가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수지인 [34] 또는 [35]에 기재된 압출성형품.
[37] 상기 압출성형품이 원통 형상 또는 타원통 형상을 가지는 [1] 내지 [3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압출성형품.
[38] 상기 압출성형품이 30~190mm, 바람직하게는 40~160mm의 둘레 길이를 가지는 [1] 내지 [3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압출성형품.
[39] 상기 압출성형품이 0.19~0.55mm, 바람직하게는 0.24~0.5mm의 두께를 가지는 [1] 내지 [3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압출성형품.
[40] 상기 최내층이 0.12~0.25mm, 바람직하게는 0.14~0.24mm의 두께를 가지고, 상기 최외층이 0.06~0.2mm, 바람직하게는 0.08~0.18mm의 두께를 가지는 [1] 내지 [3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압출성형품.
[41] 상기 중간층이 0.01~0.1mm, 바람직하게는 0.02~0.08mm의 두께를 가지는 [1] 내지 [4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압출성형품.
[42] 상기 제1 접착층이 0.001~0.03mm, 바람직하게는 0.005~0.02mm의 두께를 가지고, 상기 제2 접착층이 0.001~0.03mm, 바람직하게는 0.005~0.02mm의 두께를 가지는 [1] 내지 [4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압출성형품.
[43] [1] 내지 [4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압출성형품과,
상기 압출성형품 상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층
을 갖춘 튜브 용기용 성형품.
[44] 일단이 시일된 [1] 내지 [4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압출성형품을 포함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일단이 시일된 상기 압출성형품의 타단에 접합된 캡 끼워맞춤 부분
을 갖춘 튜브 용기.
[45] 일단이 시일된 [43]에 기재된 성형품을 포함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일단이 시일된 상기 성형품의 타단에 접합된 캡 끼워맞춤 부분
을 갖춘 튜브 용기.
(실시예)
[실시예 1]
[1-1] 압출성형품의 제조
최내층 및 최외층용의 수지로서, 이하의 수지 A~G를 준비했다.
수지 A:석유 유래의 저밀도 폴리에틸렌(밀도:0.92g/cm3, MFR:1.9g/10min(190℃, 21.18N 하중))(이하, 「석유 LDPE」라고 부른다);
수지 B:식물 유래의 저밀도 폴리에틸렌(밀도:0.923g/cm3, MFR:2.7g/10min(190℃, 21.18N 하중))(이하 「바이오매스 LDPE」라고 부른다);
수지 C:식물 유래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밀도:0.916g/cm3, MFR:2.3g/10min(190℃, 21.18N 하중))(이하 「바이오매스 L-LDPE-1」이라고 부른다);
수지 D:석유 유래의 무수 말레인산 변성 저밀도 폴리에틸렌(밀도:0.93g/cm3, MFR:1.0g/10min(190℃, 21.18N 하중))(이하 「MA 변성 LDPE-1」이라고 부른다);
수지 E:석유 유래의 무수 말레인산 변성 저밀도 폴리에틸렌(밀도:0.92g/cm3, MFR:1.5g/10min(190℃, 21.18N 하중))(이하 「MA 변성 LDPE-2」라고 부른다);
수지 F:식물 유래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밀도:0.916g/cm3, MFR:1.0g/10min(190℃, 21.18N 하중))(이하 「바이오매스 L-LDPE-2」라고 부른다);
수지 G:석유 유래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밀도:0.925g/cm3, MFR:1.9g/10min(190℃, 21.18N 하중))(이하, 「석유 L-LDPE」라고 부른다).
제1 접착층 및 제2 접착층용의 접착성 수지로서, 석유 유래의 무수 말레인산 변성 저밀도 폴리에틸렌(밀도:0.93g/cm3, MFR:1.0g/10min(210℃, 21.18N 하중))을 준비했다.
중간층(배리어층)용의 수지로서,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밀도:1.14g/cm3, MFR:12.0g/10min(210℃, 21.18N 하중))를 준비했다.
<예 1>
최내층 및 최외층을 구성하는 수지로서 「석유 LDPE」를 사용했다. 「석유 LDPE」 100질량부에 대하여, 산화방지제 0.1질량부, 착색 안료로서 산화티탄 2.5질량부를 첨가하여, 혼합물을 얻었다. 1축 튜브 압출기의 3개의 호퍼에, 각각 상기 혼합물의 펠릿, 접착성 수지의 펠릿 및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의 펠릿을 투입했다. 압출기 및 다이의 설정 온도를 170~200℃로 설정하고, 60개/min의 생산 속도 및 10.8m/min의 인취 속도라는 성형 조건으로, 최내층/제1 접착층/중간층/제2 접착층/최외층의 5층 구조를 가지는 튜브를 성형했다.
얻어진 튜브(즉, 압출성형품)의 둘레 길이는 157mm이며, 길이는 180mm, 평균 두께는 0.46mm였다. 또 최내층, 제1 접착층, 중간층, 제2 접착층, 최외층의 두께는 각각 0.225mm, 0.01mm, 0.04mm, 0.01mm, 0.175mm였다.
<예 2>
최내층 및 최외층을 구성하는 수지로서 「바이오매스 LDPE」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5층 구조를 가지는 튜브를 제조했다.
<예 3>
최내층 및 최외층을 구성하는 수지로서 「바이오매스 L-LDPE-1」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5층 구조를 가지는 튜브를 제조했다.
<예 4>
예 4에서는 3층 구조를 가지는 튜브를 제조했다. 최내층 및 최외층을 구성하는 수지로서, 「MA 변성 LDPE-1」과 「MA 변성 LDPE-2」와 「바이오매스 L-LDPE-2」를 50:20:30의 질량비로 드라이블랜드함으로써 얻어진 혼합 수지를 사용했다. 혼합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산화방지제 0.1질량부, 착색 안료로서 산화티탄 2.5질량부를 첨가하여, 혼합물을 얻었다. 1축 튜브 압출기의 2개의 호퍼에, 각각 상기 혼합물의 펠릿 및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의 펠릿을 투입했다. 압출기 및 다이의 설정 온도를 170~200℃로 설정하고, 60개/min의 생산 속도 및 10.8m/min의 인취 속도라는 성형 조건으로, 최내층/중간층/최외층의 3층 구조를 가지는 튜브를 성형했다.
얻어진 튜브(즉, 압출성형품)의 둘레 길이는 157mm이며, 길이는 180mm, 평균 두께는 0.46mm였다. 또 최내층, 중간층, 최외층의 두께는 각각 0.225mm, 0.06mm, 0.175mm였다.
<예 5>
최내층 및 최외층을 구성하는 수지로서 「바이오매스 LDPE」와 「바이오매스 L-LDPE-1」을 50:50의 질량비로 드라이블랜드함으로써 얻어진 혼합 수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5층 구조를 가지는 튜브를 제조했다.
<예 6>
최내층 및 최외층을 구성하는 수지로서 「바이오매스 LDPE」와 「석유 L-LDPE」를 85:15의 질량비로 드라이블랜드함으로써 얻어진 혼합 수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5층 구조를 가지는 튜브를 제조했다.
<예 7>
최내층 및 최외층을 구성하는 수지로서 「바이오매스 LDPE」와 「바이오매스 L-LDPE-1」을 70:30의 질량비로 드라이블랜드함으로써 얻어진 혼합 수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5층 구조를 가지는 튜브를 제조했다.
<예 8>
최내층 및 최외층을 구성하는 수지로서 「바이오매스 LDPE」와 「석유 L-LDPE」를 70:30의 질량비로 드라이블랜드함으로써 얻어진 혼합 수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5층 구조를 가지는 튜브를 제조했다.
<예 9>
최내층 및 최외층을 구성하는 수지로서 「석유 LDPE」와 「바이오매스 L-LDPE-1」을 30:70의 질량비로 드라이블랜드함으로써 얻어진 혼합 수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5층 구조를 가지는 튜브를 제조했다.
[1-2] 평가 방법
예 1~9의 튜브의 물성을 하기의 방법에 의해 평가했다.
<내스트레스크랙성>
얻어진 튜브의 일단을 히트 시일한 후, 엔드부로부터 5cm의 부분을 잘라내어 시험편으로 했다. 이 시험편을 10% Igepal(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수용액에 침지하고, 65℃ 항온조에서 소정 시간에 걸쳐 보관했다. 보관 후, 균열의 유무를 육안으로 판정했다.
·평가 기준
○:24시간 보관 후에 균열 없음
△:6시간 보관 후에 미소한 균열이 보임
×:6시간 보관 후에 큰 균열이 보임(내용물의 누설에 이름)
<초음파 시일 강도>
초음파 시일기(브랜손제 TS-2, 파워서플라이 2000X)를 사용하여, 진폭 90%, 용착 시간:200msec의 시일 조건으로 샘플을 시일 후, 이하에 기재된 방법으로 평가를 행했다. 시일 후의 샘플을 15mm 폭의 스트립 형상으로 잘라 시험편으로 했다. 시험편의 시일부를 180°로 열고, 인장시험기(시마즈세이사쿠쇼제, 상품명 AUTOGRAPH AGS-X)의 유지부에 부착했다. 인장 속도 50mm/min으로 T형 인장 시험을 행하여, 안정값을 초음파 시일 강도[N]로 했다.
·평가 기준
○:35N 이상
△:23N 이상, 35N 미만
×:23N 미만
<표면 거칠기>
얻어진 튜브의 표면의 거친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했다.
·평가 기준
○:거칠지 않음
△:약간 거침
×:눈에 띌 정도로 거침
<바이오매스도>
얻어진 튜브에 포함되는 식물 유래의 폴리에틸렌 수지의 비율(%), 즉 「바이오매스도」를 이하의 식에 의해 산출했다.
바이오매스도(%)={(식물 유래의 폴리에틸렌 수지의 합계 질량)/(압출성형품을 구성하는 전체 수지의 합계 질량)}×100
[1-3] 평가 결과
예 1~9의 튜브의 「최내층 및 최외층의 수지 조성」 및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표 중의 「배합량」의 값은 질량부를 나타내고, 「초음파 시일 강도」의 값은 뉴턴을 나타낸다.
예 1의 튜브는 최내층/제1 접착층/중간층/제2 접착층/최외층의 5층 구조를 가지고, 최내층 및 최외층의 각각이 석유 유래의 폴리에틸렌 수지로 구성되며, 식물 유래의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 예 1의 튜브는 내스트레스크랙성 시험, 초음파 시일 강도 시험 및 표면 거칠기 시험 모두에 있어서 양호한 결과를 나타냈다.
예 2 및 예 3의 튜브는 예 1과 마찬가지의 5층 구조를 가지고, 최내층 및 최외층의 각각이 식물 유래의 폴리에틸렌 수지로 구성된다. 예 2의 튜브는 예 1의 튜브와 비교하면, 스트레스크랙을 발생시키기 쉬워져, 시일 강도가 저하되는 경향이 보였지만, 어느 것이나 실용적으로 문제없는 레벨이었다. 또 예 3의 튜브는 예 1의 튜브와 비교하면, 표면에 약간 거침이 관찰되었지만, 실용적으로 문제없는 레벨이었다.
예 4의 튜브는 최내층 및 최외층의 각각이 식물 유래의 폴리에틸렌 수지와 접착성 수지로 구성되며, 최내층/중간층/최외층의 3층 구조를 가진다. 예 4의 튜브는 내스트레스크랙성 시험, 초음파 시일 강도 시험 및 표면 거칠기 시험 모두에 있어서 양호한 결과를 나타냈다. 단, 예 4의 튜브는 접착성 수지를 최내층 및 최외층에 편입시키고 있기 때문에, 접착성 수지가 희석되어, 다량의 접착성 수지를 사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예 4의 튜브는 5층 구조의 튜브(예 2, 3, 5~8)와 비교하면, 바이오매스도가 낮다.
예 5 및 예 7의 튜브는 예 1과 마찬가지의 5층 구조를 가지고, 최내층 및 최외층의 각각이 식물 유래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와 식물 유래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로 구성된다. 예 5 및 예 7의 튜브는 어느 것이나 내스트레스크랙성 시험, 초음파 시일 강도 시험 및 표면 거칠기 시험 모두에 있어서 양호한 결과를 나타냈다.
예 6 및 예 8의 튜브는 예 1과 마찬가지의 5층 구조를 가지고, 최내층 및 최외층의 각각이 식물 유래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와 석유 유래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로 구성된다. 예 6 및 예 8의 튜브는 어느 것이나 내스트레스크랙성 시험, 초음파 시일 강도 시험 및 표면 거칠기 시험 모두에 있어서 양호한 결과를 나타냈다.
예 9의 튜브는 예 1과 마찬가지의 5층 구조를 가지고, 최내층 및 최외층의 각각이 석유 유래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와 식물 유래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로 구성된다. 예 9의 튜브는 내스트레스크랙성 시험, 초음파 시일 강도 시험 및 표면 거칠기 시험 모두에 있어서 양호한 결과를 나타냈다.
1…압출성형품, 1a…최내층, 1b…제1 접착층, 1c…중간층, 1d…제2 접착층, 1e…최외층, 10…튜브 용기, 11…용기 본체, 12…캡 끼워맞춤 부분, 21…동체부, 22…시일부, 31…어깨부, 32…주둥이부.

Claims (13)

  1. 전체로서 튜브 형상을 가지고, 최내층, 제1 접착층, 중간층, 제2 접착층 및 최외층이 순서대로 적층된 5층 구조를 가지고, 상기 최내층 및 상기 최외층의 각각이 식물 유래의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하는 튜브 용기용 압출성형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내층 및 상기 최외층의 각각이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와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및 상기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의 적어도 일방이 식물 유래인 압출성형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최내층 및 상기 최외층의 각각이 식물 유래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와 식물 유래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하는 압출성형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최내층 및 상기 최외층의 각각이 식물 유래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와 석유 유래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하는 압출성형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최내층 및 상기 최외층의 각각이 석유 유래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와 식물 유래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하는 압출성형품.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최내층 및 상기 최외층의 각각이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와 상기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9:1~1:9의 질량비로 포함하는 압출성형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성형품이 식물 유래의 폴리에틸렌 수지를 40질량%를 넘는 양으로 포함하는 압출성형품.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층 및 상기 제2 접착층의 각각이 산 변성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하는 압출성형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산 변성 폴리에틸렌 수지가 무수 말레인산 변성 폴리에틸렌 수지인 압출성형품.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이 가스 배리어성을 가지는 수지를 포함하는 압출성형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가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수지인 압출성형품.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압출성형품과,
    상기 압출성형품 상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층
    을 갖춘 튜브 용기용 성형품.
  13. 일단이 시일된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압출성형품 또는 일단이 시일된 제12항의 성형품을 포함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일단이 시일된 상기 압출성형품 또는 상기 일단이 시일된 상기 성형품의 타단에 접합된 캡 끼워맞춤 부분
    을 갖춘 튜브 용기.
KR1020237030473A 2021-03-19 2022-03-18 튜브 용기용 압출성형품 및 튜브 용기 KR202301440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46128 2021-03-19
JP2021046128A JP2022144924A (ja) 2021-03-19 2021-03-19 チューブ容器用押出成形品およびチューブ容器
PCT/JP2022/012494 WO2022196791A1 (ja) 2021-03-19 2022-03-18 チューブ容器用押出成形品およびチューブ容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4054A true KR20230144054A (ko) 2023-10-13

Family

ID=83320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0473A KR20230144054A (ko) 2021-03-19 2022-03-18 튜브 용기용 압출성형품 및 튜브 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2144924A (ko)
KR (1) KR20230144054A (ko)
CN (1) CN116981630A (ko)
WO (1) WO2022196791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9406A (ja) 1998-04-28 1999-11-09 Daiwa Can Co Ltd プラスチックチューブ容器の製造装置
JPH11309785A (ja) 1998-04-28 1999-11-09 Daiwa Can Co Ltd プラスチックチューブ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0666A (ja) * 2005-03-03 2006-09-14 Takeuchi Press Ind Co Ltd 多層チューブ容器
JP2019094509A (ja) * 2019-03-15 2019-06-2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樹脂フィルム
JP2020164596A (ja) * 2019-03-28 2020-10-0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樹脂フィルム、積層体及び包装製品
JP7375363B2 (ja) * 2019-08-09 2023-11-08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多層構造体
JP7354672B2 (ja) * 2019-08-21 2023-10-0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樹脂フィルム及びラミネートチューブ容器
JP2021195149A (ja) * 2020-06-12 2021-12-27 大和製罐株式会社 チューブ容器用押出成形品およびチューブ容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9406A (ja) 1998-04-28 1999-11-09 Daiwa Can Co Ltd プラスチックチューブ容器の製造装置
JPH11309785A (ja) 1998-04-28 1999-11-09 Daiwa Can Co Ltd プラスチックチューブ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144924A (ja) 2022-10-03
CN116981630A (zh) 2023-10-31
WO2022196791A1 (ja) 2022-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89935A (en) Product package having reliable openability
CA2040064C (en) Barrier film with improved extensibility for cheese packaging
WO2012014902A1 (ja) 共押出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袋
CN108602334B (zh) 用于容器的铝阻隔层压体和在肩部的阻隔衬里
CN210526002U (zh) 一种耐高温高阻隔聚烯烃复合膜
JP6101851B1 (ja) 白色シーラントフィルム及びこれを備える包装体
JPH06510310A (ja) 流動性物質の包装用ポーチ
MX2012003787A (es) Material de embalaje hibrido.
WO2021251101A1 (ja) チューブ容器用押出成形品およびチューブ容器
US20140124404A1 (en) Dual barrier laminate structure
JP5991504B2 (ja) 易貫通性蓋材
JPWO2019230416A1 (ja) 積層フィルム及び食品包装袋
JP5249536B2 (ja) 二重袋包装体用インフレーションフィルムおよび二重袋包装体
KR20230144054A (ko) 튜브 용기용 압출성형품 및 튜브 용기
JP2022056686A (ja) 積層体およびチューブ容器
JP4904770B2 (ja) ポリエチレン用易剥離性接着剤及びその構造物
JP2018020545A (ja) 白色シーラントフィルム及びこれを備える包装体
JP6822198B2 (ja) シーラント用接着剤及び易剥離性フィルム
KR102326286B1 (ko) 적층 필름, 라미네이트 필름 및 포장 용기
JP2021104851A (ja) チューブ容器
JP2007038605A (ja) 共押出積層フィルム並びにそれを用いたラミネートフィルム及び包装容器
WO2023132361A1 (ja) 包装袋用積層体、包装袋、スパウト付き包装袋及び内容物入りスパウト付き包装袋
JP7196427B2 (ja) 積層フィルム及び角底袋
JP2018020544A (ja) 白色シーラントフィルム及びこれを備える包装体
JP2022056685A (ja) 積層体およびチューブ容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