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3561A - 평김 다발의 결속장치 - Google Patents

평김 다발의 결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3561A
KR20230143561A KR1020230034881A KR20230034881A KR20230143561A KR 20230143561 A KR20230143561 A KR 20230143561A KR 1020230034881 A KR1020230034881 A KR 1020230034881A KR 20230034881 A KR20230034881 A KR 20230034881A KR 20230143561 A KR20230143561 A KR 20230143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 plate
bundle
press
flat
seaw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4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미 카와시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카와시마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카와시마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카와시마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30143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35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7/00Bundling particula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using string, wire, or narrow tape or band; Baling fibrous material, e.g. pea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B27/08Bundling paper sheets, envelopes, bags, newspapers, or other thin flat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20Means for compressing or compacting bundles prior to bun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44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by endless belts or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Edible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첫째로, 평김 다발의 결속이 확실하고 안정적으로 지장없이 실현되고, 둘째로, 그때, 평김 다발에 대한 대미지, 손상 발생도 회피되는, 평김 다발의 결속장치를 제안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평김 다발의 결속장치(1)는 김의 생산공정에서 사용되며, 컨베이어(2), 프레스판(3), 결속기(4), 압출부재(5) 등을 가지고 있다. 컨베이어(2)는 평김 다발(A)을 얹어서 전방으로 반송한다. 그리고 프레스판(3)은 반송 정지된 평김 다발(A)을 베이스 위치보다 위에서 실어 이동시켜, 적재, 상승하여, 톱 위치에서 프레스 받침과의 사이에서 프레스 압축한다. 결속기(4)는 프레스 압축된 평김 다발(A)을 프레스판(3)과 함께 결속띠로 결속한다. 압출부재(5)는 프레스 압축, 결속, 강하된 평김 다발(A)을 프레스판(3)으로부터 압출, 발출한다.

Description

평김 다발의 결속장치{BINDING APPARATUS FOR UNFOLDED STATE LAVER BUNDLE}
본 발명은 김의 생산공정에서 사용되는, 평김 다발의 결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절곡되지 않는, 평평하게 펼쳐진 그대로의 평김 다발을 결속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김(마른김)의 생산공정에서는, 생김 적채, 수세, 뜨기, 탈수, 건조 등의 전공정 후에, 검사, 카운트 집적, (절곡), 결속 등의 후공정을 거쳐, 김이 생산, 출하되고 있다.
후공정에 있어서, 검사된 평김은 10장 등의 평김 다발로 하여 카운트 집적된 후, 둘로 절곡한 후에, 결속, 출하되고 있다.
그래서, 이러한 종래예 1(대표예, 일반예)에 대해, 평김 다발을 절곡, 결속하지 않고, 평평하게 펼친 평김 다발 그대로 결속, 출하하는 종래예 2도, 시장 요구에 의해 증가하고 있다. 즉, 50장이나 100장의 평김 다발로 하여, 결속, 출하하는 종래예 2도 최근 증가해오고 있다.
즉, 생산, 출하된 김은 사후 구운김, 조미김 등의 2차 가공에 제공되는 경우도 많다. 그때, 전술한 절곡, 결속하였던 종래예 1에 있어서는, 결속을 풀고 절곡을 다시 펴서, 원래의 평김으로 하여 가공에 제공되고 있었다.
이에 대해, 이러한 펴는 수고를 덜기 위해, 평김 다발(판김으로도 칭하여진다) 그대로 결속, 출하하는 종래예 2도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종래예 2의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다음의 특허문헌 1, 2에 나타내어진 것을 들 수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6-101809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6-101810호 공보
〈종래기술〉
특허문헌 1, 2에 나타내어진 종래예 2의 평김 다발의 결속장치는, 엘리베이터, 지지판, 압축판, 묶음지 이송장치(척커), 실린더 등을 조합시킨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평김 다발의 결속 부분이 프레스 압축되지 않는 부분 프레스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볼록해진 상태에서 결속되어 버려, 김에 대한 대미지, 손상이 우려된다. 또한, 복수의 실린더를 구동원으로 하기 때문에, 프레스 안정성 등에도 우려가 있다.
이에, 종래예 2의 평김 다발의 결속장치에 대해서는, 더욱 새로운 구조인 것의 출현이 절실히 요망되고 있어, 새로운 개발이 과제로 되어 있었다.
〈본 발명에 대해서〉
본 발명의 평김 다발의 결속장치는 이러한 실정을 고려하여,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첫째로, 평김 다발의 결속이 확실하고 안정적으로 실현되고, 둘째로, 그때, 평김 다발에 대한 대미지, 손상도 회피되는, 평김 다발의 결속장치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각 청구항에 대해서〉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한 바와 같이, 다음과 같다.
청구항 1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다.
청구항 1의 평김 다발의 결속장치는 김의 생산공정에서 사용되며, 컨베이어, 프레스판, 결속기, 압출(押出)부재를 가지고 있다.
상기 컨베이어는 평김 다발을 한 다발씩 얹어서 전방으로 반송한다.
상기 프레스판은 하위의 베이스 위치와 상위의 톱 위치 사이에서 승강 이동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프레스판은 반송 정지된 평김 다발을, 베이스 위치보다 위에서 실어 이동시켜, 적재, 상승하여, 톱 위치에서 프레스 받침과의 사이에서 하측으로부터 프레스 압축한다.
상기 결속기는 프레스 압축된 평김 다발을 상기 프레스판과 함께 결속띠로 결속한다.
상기 압출부재는 프레스 압축, 결속, 강하된 평김 다발을 결속띠와 함께, 상기 프레스판으로부터 압출, 발출(拔出)한다.
이로써, 결속띠로 결속된 평김 다발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다.
청구항 2의 평김 다발의 결속장치는,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는 끈 컨베이어로 이루어진다.
상기 결속기는 프레스 압축된 평김 다발을 상하좌우에 걸쳐 결속띠로 감아 결속한다. 그리고 그때, 상기 프레스판도 함께 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다.
청구항 3의 평김 다발의 결속장치는,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판은 좌우로 분할되어 있다.
상기 압출부재는 분할된 상기 프레스판 간의 간격을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다.
청구항 4의 평김 다발의 결속장치는,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판은 전단부(前端部) 아래에 보조 프레스판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보조 프레스판은, 상기 프레스판에 대해 밀접 위치와 사이가 떨어진 위치로 상하 변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보조 프레스판은, 밀접 위치에서는 상기 프레스판과 함께 연동하여 평김 다발을 프레스 압축 가능하다. 사이가 떨어진 위치에서는, 상기 프레스판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을 이용하여, 결속띠 하부의 상기 프레스판 아래로부터의 압출, 발출이 가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다.
청구항 5의 평김 다발의 결속장치는,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판은 밀리미터 단위의 두께가 얇은 박판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함께 상기 프레스판은 평김 다발의 횡폭에 비해, 같은 정도 이하 내지 약간 좁은 정도의 횡폭으로 이루어진다.
이로써, 결속띠 하부의 상기 프레스판 아래로부터의 압출, 발출 시에, 상기 프레스판에 의한 부하가 완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용 등에 대해서〉
본 발명은 이러한 수단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된다.
(1) 이 평김 다발의 결속장치는 김의 생산공정에서 사용된다.
(2) 그리고, 먼저 평김 다발이 결속기 아래에 반입된다.
(3) 그 후에 평김 다발은 결속기를 향해 상승된다. 즉, 프레스판과 보조 프레스판이 하위의 베이스 위치로부터 상승하여, 평김 다발을 적재하고 더욱더 상승한다.
(4) 그리고 평김 다발은 프레스 압축된 후 결속된다. 즉, 프레스판과 보조 프레스판이 톱 위치에서, 프레스 받침과의 사이에서 평김 다발을 프레스 압축한다. 그 후에 결속기가 프레스 압축된 평김 다발을 프레스판과 함께 결속띠로 결속한다.
(5) 그리고, 프레스 압축, 결속된 평김 다발은 프레스판과 보조 프레스판의 강하에 수반하여, 강하한다.
(6) 그 후, 평김 다발은 프레스판으로부터 압출, 발출된다. 즉 압출부재가 후퇴 위치에서 전진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결속띠로 결속된 평김 다발이 압출, 발출된다.
(7) 그때, 결속띠 하부는 프레스판과 사이가 떨어진 위치의 보조 프레스판 사이에 형성된 극간을 이용하여, 프레스판 아래로부터 압출, 발출된다.
(8) 또한, 이와 같이 보조 프레스판을 배치한 것, 또한, 프레스판을 얇은 두께로 한 것, 또한, 프레스판을 평김 다발 이하의 횡폭으로 한 것 등에 의해, 프레스판 아래로부터의 압출, 발출 시에, 프레스판에 의한 부하가 완화된다. 즉, 평김 다발 하부나 특히 결속띠 하부에 대한 부하가 완화된다.
(9)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결속장치는 평김 다발에 대해서, (a) 하측으로부터의 프레스 압축, (b) 프레스판과 함께 하는 결속, (c) 프레스판으로부터의 압출, 발출 등의 채용에 의해, 평김 다발이나 결속띠로의 마찰, 부하가 완화된다.
〈제1 효과〉
첫째로, 평김 다발의 결속이 확실하고 안정적으로 실현된다.
본 발명의 평김 다발의 결속장치에서는, 평김 다발을 (a) 하측으로부터 프레스 압축하고, (b) 프레스판과 함께 결속한 후에, (c) 프레스판으로부터 압출, 발출하는 등, 독특한 방식을 채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이러한 특징에, 추가로, 보조 프레스판, 프레스판의 두께, 폭의 설정 등도 가해짐으로써, 평김 다발이나 결속띠로의 부하가 완화되면서, 평김 다발의 결속이 확실하고 안정적으로 실현된다.
〈제2 효과〉
둘째로, 따라서 평김 다발에 대한 대미지, 손상이 회피된다.
본 발명의 평김 다발의 결속장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평김 다발이나 결속띠로의 부하가 완화되면서, 결속이 실현된다. 이로써 결속 시에, 평김 다발에 대해서 찢어짐, 구김, 흐트러짐, 산란, 절곡, 만곡, 변형, 파손 등등이 발생하는 것은 회피된다.
즉 평김 다발에 대해서 품질상, 취급상, 외관상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없어진다. 평김 다발은 평평하게 펼쳐진 그대로라서 대미지를 받기 쉬운데, 그의 손상은 회피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발휘하는 효과는 현저하게 큰 것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평김 다발의 결속장치에 대해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의 설명에 제공한다. 그리고 (1)도는 정면 설명도, (2)도는 측면 설명도이다.
도 2는 동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의 설명에 제공하고, 공정 전체의 정면 설명도이다. 그리고 (1)도는 제1 공정, (2)도는 제2 공정, (3)도는 제3 공정을 나타낸다.
도 3은 동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의 설명에 제공하고, 동 공정 전체의 정면 설명도이다. 그리고 (1)도는 제4 공정, (2)도는 제5 공정을 나타내다.
도 4는 동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의 설명에 제공하고, 결속기에 의한 결속공정의 측면 설명도이다. 그리고 (1)도, (2)도, (3)도는 그 공정 1, 2, 3을 나타낸다.
도 5는 동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의 설명에 제공하고, 결속기에 의한 결속공정의 측면 설명도이다. 그리고 (1)도, (2)도, (3)도는 그 공정 4, 5, 6을 나타낸다.
도 6은 동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의 설명에 제공하고, 결속기에 의한 결속공정의 측면 설명도이다. 그리고 (1)도, (2)도는 그 공정 7, 8을 나타낸다.
도 7은 동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의 설명에 제공한다. 그리고 (1)도, (2)도는 정면 설명도이고, 결속된 평김 다발에 대해서 (1)도는 프레스판으로부터의 압출 전, 발출 전을 나타내고, (2)도는 프레스판으로부터의 압출 후, 발출 후를 나타낸다.
(3)도, (4)도는 측면 설명도로, 결속된 평김 다발에 대해서 (3)도는 프레스판으로부터의 압출 전, 발출 전을 나타내고, (4)도는 프레스판으로부터의 압출 후, 발출 후를 나타낸다.
(5)도, (6)도는 사시 설명도로, 평김 다발에 대해서 (5)도는 결속 전을, (6)도는 결속 후를 나타낸다.
아래에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개요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평김 다발(A)의 결속장치(1)는 김의 생산공정에서 사용되고, 컨베이어(2), 프레스판(3), 결속기(4), 압출부재(5) 등을 가지고 있다.
컨베이어(2)는 평김 다발(A)을 한 다발씩 얹어서 전방으로 반송한다.
프레스판(3)은 하위의 베이스 위치(B)와 상위의 톱 위치(C) 사이에서 승강 이동 가능하다. 그리고, 반송 정지된 평김 다발(A)을 베이스 위치(B)보다 위에서 실어 이동시켜, 적재, 상승하여, 톱 위치(C)에서 프레스 받침과의 사이에서 하측으로부터 프레스 압축한다.
결속기(4)는 프레스 압축된 평김 다발(A)을 프레스판(3)과 함께 결속띠(D)로 결속한다.
압출부재(5)는 프레스 압축, 결속, 강하된 평김 다발(A)을 결속띠(D)와 함께 프레스판(3)으로부터 압출, 발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의 결속장치(1)는 결속띠(D)로 결속된 평김 다발(A)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개요에 대해서는 이상과 같다. 아래에 이러한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하게 기술한다.
〈컨베이어(2) 등에 대해서〉
먼저, 도 1, 도 2, 도 3을 참조하여, 결속장치(1)의 컨베이어(2) 등에 대해서 설명한다.
컨베이어(2)는 평김 다발(A)을 한 다발씩 얹어서 전방으로 반송한다. 평김 다발(A)은 전공정의 카운트 집적공정부터, 절곡하지 않는 평김 그대로, 50장이나 100장 등의 다발로 집적되어 공급된다(도 7의 (5)도의 좌측도 참조).
1장의 평김은 길이 210 ㎜(∼230 ㎜, 더 나아가서는 275 ㎜)×폭 190 ㎜(∼200 ㎜) 정도의 치수로, 대략 직사각형의 얇은 시트 형상을 이룬다.
컨베이어(2)는 도시예에서는 끈 컨베이어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컨베이어(2)는 적어도 결속기(4) 아래에 이르기까지 배치 설치되어 있다. 2개의 끈 사이의 좌우폭 간격은 평김 다발(A)의 좌우폭보다 좁게 되어 있다. 도 1의 (1)도 중, 6은 컨베이어(2)의 구동기구의 모터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베이어(2)에 대해서 결속기(4) 아래의 앞쪽에 정렬부(7)가 배치 설치되어 있다.
정렬부(7)는 컨베이어(2)의 좌우 외측에 각각 배치된, 한쌍의 센터 맞춤 판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정렬부(7)는 평김 다발(A)의 좌우폭 중심이 프레스판(3)의 좌우 중심을 지나도록 센터를 맞춘다.
센서(8)(도 2, 도 3을 참조)가 반송되어 온 평김 다발(A)의 도달을 검출하면, 컨베이어(2)가 일시 정지하고, 정렬부(7)가 센터를 맞춘다. 도 1의 (1)도 중, 9는 정렬부(7)의 구동기구의 모터이다.
컨베이어(2) 등에 대해서는 이상과 같다.
〈프레스판(3)에 대해서(설명 1)〉
다음으로, 도 1, 도 2, 도 3 등을 참조하여, 결속장치(1)의 프레스판(3)에 대해서 그 개요를 설명한다.
프레스판(3)은 하위의 베이스 위치(B)와 상위의 톱 위치(C) 사이에서 승강 이동 가능하다. 이로써 프레스판(3)은 반송 정지된 평김 다발(A)을, 베이스 위치(B)보다 약간 위에서 실어 이동시켜, 적재, 상승하여, 톱 위치(C)에서 프레스 압축한다.
이러한 프레스판(3)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센서(10)가 반송되어 온 평김 다발(A)의 결속 위치 도달을 검출하면, 컨베이어(2)가 정지하고, 평김 다발(A)이 결속기(4) 아래의 결속 위치에서 정지한다.
그 후에 프레스판(3)이 그때까지의 하위의 베이스 위치(B)로부터 상승함으로써, 평김 다발(A)을 정지한 컨베이어(2) 위로부터 실어 이동시킨다. 그리고, 평김 다발(A)을 적재하여 상승하여, 톱 위치(C)에서 정지하고 프레스 압축한다. 프레스 받침으로서, 도시예에서는 결속기(4)의 하면판(11)이 이용되고 있다.
도 1의 (1)도 중, 12는 프레스판(3)의 구동기구(13)의 모터이다. 구동기구(13)에는 캠(14)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프레스판(3)에 의한 프레스 압축에 관하여는, 예를 들면, 인코더를 사용한 검출 제어를 토대로, 모터(12)의 회전을 인버터 제어한다. 이로써 프레스판(3)의 톱 위치(C) 그리고 프레스압이 적절히 선택, 설정, 일정화되어, 관리, 유지된다. 서보 모터나 펄스 모터의 사용도 생각된다.
프레스판(3)의 개요에 대해서는 이상과 같다.
〈결속기(4)에 대해서〉
다음으로 도 1, 도 4∼도 6 등을 참조하여, 결속장치(1)의 결속기(4)에 대해서 설명한다.
결속기(4)는 결속 위치의 컨베이어(2) 위쪽에 세워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프레스판(3)에서 프레스 압축된 평김 다발(A)을 프레스판(3)과 함께 결속띠(D)로 결속한다.
즉 결속기(4)는 프레스 압축된 평김 다발(A)을, 그 전후방향의 중앙 위치에서, 상하좌우에 걸쳐 결속띠(D)로 감아 결속한다. 그때, 프레스판(3)도 평김 다발(A)과 함께 결속한다. 결속띠(D)로서는 폭이 넓은 띠형상의 종이 테이프가 사용된다.
결속기(4)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기술한다. 결속기(4)로서는 지폐 다발, 시트 다발, 그 밖의 다발 결속용 시판, 공지의 밴딩기가 사용된다. 예를 들면, 스트라팩 주식회사(일본국 도쿄도 쥬오쿠 긴자 8-16-6 긴자 스트라팩 빌딩) 제조의 OB-360N형 밴딩기가 사용된다.
결속기(4)에 의한 결속공정에 대해서 도 4∼도 6의 예를 설명한다. 도면 중 E는 결속띠(D)용 롤지나 테이프지, 15는 송출용 겸 되감기용 롤러, 16은 용착 절단부이다.
·도 4의 (1)도의 공정 1의 초기 상태에서, 도 4의 (2)도의 공정 2에서 롤지(E)가 송출되어 주위로 가이드된다. 그 후에 도 4의 (3)도의 공정 3에서는 평김 다발(A)이 프레스판(3)에 적재된다.
·다음으로, 도 5의 (1)도의 공정 4에서는, 적재, 상승된 평김 다발(A)이 프레스판(3)과 결속기(4) 하면판(11) 사이에서 프레스 압축된다.
·그리고 도 5의 (2)도의 공정 5에서 롤지(E)가 되감김으로써, 도 5의 (3)도의 공정 6에서 롤지(E)가 결속띠(D)가 되어, 평김 다발(A)과 프레스판(3)을 감음, 조임, 결속한다.
·이로써 결속띠(D)는 용착 절단부(16)에서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가 열용착 실링되는 동시에, 끝이 절단된다.
·그리고 도 6의 (1)도의 공정 7에서, 결속된 평김 다발(A)과 프레스판(3)이 강하되는 동시에, 다음의 롤지(E)가 송출된다. 이로써 도 6의 (2)도의 공정 8에서, 결속된 평김 다발(A)이 프레스판(3)으로부터 압출, 발출된다(도 7의 (1)도∼(4)도도 참조).
·그리고, 다음의 평김 다발(A) 대기 상태가 된다.
결속기(4)에 대해서는 이상과 같다.
〈압출부재(5)에 대해서〉
다음으로, 도 1, 도 2, 도 3 등을 참조하여, 결속장치(1)의 압출부재(5)에 대해서 설명한다.
압출부재(5)는 프레스 압축, 결속, 강하된 평김 다발(A)을 결속띠(D)와 함께 프레스판(3)으로부터 압출, 발출한다. 프레스판(3)은 좌우방향으로 분할되어 있고, 압출부재(5)는 좌우로 분할된 프레스판(3) 사이의 간격을 전후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압출부재(5)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기술한다. 먼저, 도시하는 프레스판(3)은 각각 전후방향을 따른 중앙판(31), 사이드판(32), 사이드판(33)으로 3분할되어 있고, 각각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도 1의 (2)도의 측면도를 참조).
그리고, 2개의 압출부재(5)가 이와 같이 형성된 2개의 간격 내를 각각 전진 위치(F)와 후퇴 위치(G)로, 모터 등을 구비한 구동기구에 의해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에 압출부재(5)는 평김 다발(A)이 아직 프레스 압축되어 있지 않은 공정에서는, 전진 위치(F)에 있다(도 2의 (1)도, (2)도). →그 후에 압출부재(5)는 평김 다발(A)이 상승, 프레스 압축, 결속되면, 전진 위치(F)에서 후퇴 위치(G)로 후퇴 이동한다(도 2의 (3)도).
→그리고 압출부재(5)는 평김 다발(A)이 강하되어 오면(도 3의 (1)도), →후퇴 위치(G)에서 전진 위치(F)로 전진함으로써, 프레스판(3)으로부터 평김 다발(A)을 결속띠(D)와 함께 압출, 발출한다(도 3의 (2)도)(도 7의 (1)도→(2)도의 정면도, 및 (3)도→(4)도의 측면도도 참조). →이로써, 결속띠(D)로 결속된 평김 다발(A)이 얻어진다.
압출부재(5)에 대해서는 이상과 같다.
〈보조 프레스판(17)에 대해서〉
다음으로, 도 1, 도 2, 도 3, 도 7의 (1)도∼(4)도 등을 참조하여, 결속장치(1)의 보조 프레스판(17)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술한 메인 프레스판(3)은 전단부 아래에 서브 보조 프레스판(17)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보조 프레스판(17)은 프레스판(3)에 대해 밀접 위치(H)와 사이가 떨어진 위치(J)로 상하 변이 가능하다.
밀접 위치(H)에서는 보조 프레스판(17)은 프레스판(3)과 함께 연동한다. 사이가 떨어진 위치(J)에서는, 보조 프레스판(17)과 프레스판(3) 사이에 형성되는 극간을 이용하여, 결속띠(D) 하부(D')의 압출, 발출이 행하여진다.
이러한 보조 프레스판(17)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기술한다. 먼저, 도시하는 프레스판(3)은 전술한 바와 같이 중앙판(31), 사이드판(32), 사이드판(33)으로 3분할되어 있다. 이로써 3개의 보조 프레스판(17)도 각각에 대해서 그 전단부 아래에 부설되어 있다.
그리고, 3개의 보조 프레스판(17)은 각각 프레스판(3) 아래에 밀착된 밀접 위치(H)(도 2의 (2)도, (3)도를 참조)와, 프레스판(3) 아래로부터 사이가 떨어져 극간이 형성되는 위치(J)(도 2의 (1)도, 도 3을 참조)로 상하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로써 보조 프레스판(17)은 밀접 위치(H)에서는, 프레스판(3)과 함께 연동하여 평김 다발(A)을 프레스 압축 가능하다.
이에 대해 사이가 떨어진 위치(J)에서는, 보조 프레스판(17)과 프레스판(3) 사이에 형성되는 상하 극간이 이용된다. 즉, 그때까지 프레스판(3)도 결속되어 있었던 결속띠(D)의 하부(D')에 대해서, 압출부재(5)에 의한 프레스판(3) 아래로부터의 압출, 발출이 행하여지게 된다(도 3을 참조)(도 7의 (1)도→(2)도의 정면도, 및 (3)도→(4)도의 측면도도 참조).
도 1의 (1)도 중, 18은 보조 프레스판(17)의 구동기구(19)의 캠이다. 이 구동기구(19)는 전술한 프레스판(3)의 구동기구(13)의 모터(12)를 함께 사용하고 있다. 이로써 1대의 모터(12)로 각각의 캠(14, 18)을 매개함으로써, 프레스판(3)과 보조 프레스판(17)이 합동하여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각각의 톱 위치(C) 그리고 프레스압의 설정, 관리, 유지에 대해서는 프레스판(3)에 대해서 전술한 바에 준하나, 합동하여 구동하는 면에서도, 이들이 보다 적절하게 행하여지게 된다.
보조 프레스판(17)에 대해서는 이상과 같다.
〈프레스판(3)에 대해서(설명 2)〉
다음으로, 도 1, 도 7의 (1)도∼(4)도를 참조하여, 프레스판(3)의 두께와 횡폭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프레스판(3)은 두께가 밀리미터 단위, 예를 들면 2 ㎜ 이상∼5 ㎜ 이하의 박판으로 이루어진다. 이로써 프레스판(3)은 결속띠(D) 하부(D')의 프레스판(3) 아래로부터의 압출, 발출 시에, 부하의 완화기능을 발휘한다.
즉, 결속된 평김 다발(A) 및 결속띠(D)를 프레스판(3) 아래로부터 압출, 발출할 때, 평김 다발(A) 하부, 특히 결속띠 하부(D')가 프레스판(3)에서 부하하중을 받는 것이 완화, 감소된다. 프레스판(3)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두께가 두꺼운 경우에 비해 부하하중이 완화, 감소된다. 이로써 압출, 발출이 용이해진다(도 7의 (1)도→(2)도 및 (3)도→(4)도도 참조).
또한, 프레스판(3)은 평김 다발(A)의 횡폭에 비해, 같은 정도 이하∼약간 좁은 정도의 횡폭으로 이루어진다. 이로써, 이 프레스판(3)은 결속띠 하부(D')의 프레스판(3)으로부터의 압출, 발출 시, 이 면에서도 부하의 완화기능을 발휘한다.
즉, 결속된 평김 다발(A) 및 결속띠(D)를 프레스판(3) 아래로부터 압출, 발출할 때에 있어서, 평김 다발(A) 하부 특히 결속띠 하부(D')가 부하하중을 받는 것이 완화, 감소된다. 프레스판(3)의 횡폭이 좁기 때문에, 횡폭이 넓은 경우에 비해 부하하중이 완화, 감소된다. 이로써, 압출, 발출이 용이해진다(도 7의 (3)도→(4)도도 참조).
프레스판(3)의 두께와 횡폭에 대해서는 이상과 같다.
〈작용 등〉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이에 아래와 같이 도 2, 도 3에 나타낸 제1 공정∼제5 공정을 거친다.
(1) 본 발명의 평김 다발(A)의 결속장치(1)는, 김을 평김 그대로 구부리지 않고 출하하는, 김의 생산공정에서 사용된다.
(2) 먼저, 도 2의 (1)도의 제1 공정에 있어서 평김 다발(A)이 반송되어 온다(도 7의 (5)도의 좌측도 참조).
즉, 전공정에서 카운트 집적된 예를 들면 100장 다발의 평김 다발(A)이 컨베이어(2)에서 반입되어, 정렬부(7)에서 센터가 맞춰진다(도 1도 참조).
프레스판(3)과 보조 프레스판(17)은 결속기(4) 아래에서 컨베이어(2) 아래의 하위의 베이스 위치(B)에 위치한다. 보조 프레스판(17)은 프레스판(3)에 대해 사이가 떨어진 위치(J)에 있다. 압출부재(5)는 전진 위치(F)에 있다.
그리고 센서(10)가 반입되어 온 평김 다발(A)을 검출하면, 컨베이어(2)가 정지하고, 한 다발의 평김 다발(A)이 결속기(4) 아래의 결속 위치에서 정지한다.
(3) 그 후에, 도 2의 (2)도의 제2 공정에 있어서 평김 다발(A)은 결속기(4)를 향하여 상승된다.
즉, 프레스판(3)과 밀접 위치(H)로 변위된 보조 프레스판(17)이 하위의 베이스 위치(B)로부터 상승하고, 이로써 평김 다발(A)을 적재하여 상위의 결속기(4)를 향하여 더욱더 상승한다. 압출부재(5)는 전진 위치(F)에 있다.
(4) 그리고, 도 2의 (3)도의 제3 공정에 있어서 평김 다발(A)은 프레스 압축된 후, 결속된다.
즉, 프레스판(3)과 밀접 위치(H)의 보조 프레스판(17)이 톱 위치(C)에서 정지하고, 프레스 받침인 결속기(4)의 하면판(11)과의 사이에서 적재하는 평김 다발(A)을 프레스 압축한다.
그 후에 결속기(4)가 작동하고, 이로써 프레스 압축된 평김 다발(A)을 프레스판(3)과 함께 결속띠(D)로 결속한다(도 4, 도 5도 참조). 그 사이, 프레스판(3) 아래에 형성된 하위 공간을 압출부재(5)가 그때까지의 전진 위치(F)에서 후퇴 위치(G)로 이동한다.
(5) 그 후, 도 3의 (1)도의 제4 공정에 있어서 프레스 압축, 결속된 평김 다발(A)이 강하된다(도 6의 (1)도 참조).
즉 프레스판(3)과 밀접 위치(H)의 보조 프레스판(17)이 그때까지의 톱 위치(C)로부터 강하하여, 컨베이어(2)의 바로 위에서 정지한다. 이로써 적재, 결속된 평김 다발(A)도 강하, 정지된다.
사후, 보조 프레스판(17)은 그때까지의 밀접 위치(H)에서 사이가 떨어진 위치(J)로 변위되어, 프레스판(3)과의 사이에 극간이 형성된다.
(6) 이로써, 도 3의 (2)도의 제5 공정에 있어서 평김 다발(A)이 결속띠(D)와 함께 프레스판(3)으로부터 압출, 발출된다(도 7의 (1)도→(2)도 및 (3)도→(4)도도 참조).
즉 압출부재(5)가 후퇴 위치(G)에서 전진 위치(F)로 이동함으로써, 결속띠(D)로 결속된 평김 다발(A)이 전방으로 압출, 발출된다(도 7의 (6)도도 참조).
압출, 발출이 완료되면, 프레스판(3)과 보조 프레스판(17)은 컨베이어(2) 아래의 베이스 위치(B)로 복귀한다.
(7) 또한, 이러한 평김 다발(A)이나 결속띠(D)의 프레스판(3)으로부터의 압출, 발출 시, 결속띠 하부(D')의 압출, 발출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다.
결속띠 하부(D')는 프레스판(3)과 사이가 떨어진 위치(J)의 보조 프레스판(17) 사이에 형성된 극간을 이용하여, 프레스판(3) 아래로부터 원활하게 압출, 발출된다(도 7의 (1)도→(2)도 및 (3)도→(4)도도 참조).
(8) 또한, 프레스판(3)에 관하여, 먼저, 이와 같이 전단부 아래에 보조 프레스판(17)을 배치한 것, 또한, 얇은 두께로 만든 것, 더욱이, 평김 다발(A)의 횡폭 이하의 횡폭으로 한 것 등에 의해, 다음의 이점이 발생한다.
프레스판(3) 아래로부터의 압출, 발출 시, 프레스판(3)에 의한 부하가 한층 완화된다(도 7의 (1)도→(2)도 및 (3)도→(4)도도 참조).
즉 평김 다발(A) 하부, 특히 결속띠 하부(D')가 프레스판(3)에서 마찰, 부하하중을 받는 것이 완화, 감소된다.
(9) 그래서, 본 발명의 평김 다발(A)의 결속장치(1)는,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a) 평김 다발(A)을 하측으로부터 프레스 압축하고, (b) 프레스판(3)과 함께 결속한 후에, (c) 프레스판(3)으로부터 압출, 발출하는 등, 특징적인 독특한 방식을 채용하여 이루어진다.
이로써, 이들 (a), (b), (c)에 의해, 평김 다발(A)이 확실하고 안정적으로 결속 가능해진다. 즉, 평김 다발(A)이나 결속띠(D)로의 부하하중이 완화되어, 평김 다발(A)의 손상 발생이 방지된다.
〈기타〉
또한 첫째로, 본 발명의 하부 프레스방식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인 프레스기는 상부 프레스방식으로 이루어져, 프레스판(3)이 대상물을 상측으로부터 프레스 압축한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결속장치(1)의 프레스판(3)은, 대상물인 평김 다발(A)을 하측으로부터 프레스하는 하부 프레스방식을 채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레스 후에는, 결속띠(D)로 프레스판(3)과 함께 결속되어 있었던 평김 다발(A)을 프레스판(3)으로부터 인출, 발출하게 된다. 그때, 일반적인 상부 프레스방식에서는, 결속띠(D)로 평김 다발(A)을 들어올려서 매달아 올리는 것이 필요해지기 때문에, 평김 다발(A)에 대한 부하가 커서 대미지, 손상 발생의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은 하부 프레스방식을 채용하였기 때문에, 인출, 발출 시에 평김 다발(A)을 들어올려, 매달아 올릴 필요가 없어, 평김 다발(A)의 부하가 완화되어 대미지, 손상이 회피된다.
또한 둘째로, 결속띠(D)의 복수 사용에 관하여는 다음과 같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결속띠(D)가 1개 사용되고 있는데, 본 발명의 결속장치(1)는 이것에 관계없이, 복수 개의 결속띠(D)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대략 직사각형의 평김의 길이 치수가 예를 들면 275 ㎜로 긴 경우, 이것을 묶은 평김 다발(A)의 흐트러짐, 산란 방지의 관점에서, 예를 들면 2개 사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즉 2개의 결속띠(D)를 사용하여, 평김 다발(A)에 평행하게 감아 결속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2회째(2개째) 결속장치(1)의 공정은, 전술한 1회째(1개째) 공정에 준한다. 또한, 1회째 결속 종료 후, 평김 다발(A)을 압출부재(5)로, 2회째 결속 대응위치까지 밀어서 이동시켜 둔 후에, 재차, 프레스판(3)으로 평김 다발(A)을 상승시키게 된다. 그리고 2회째 결속을 행하여, 프레스판(3) 그리고 평김 다발(A)을 강하시켜, 이로써 2회 결속된 평김 다발(A)을 압출부재(5)에 의해 압출, 발출하게 된다.
A 평김 다발
B 베이스 위치
C 톱 위치
D 결속띠
D' (결속띠) 하부
E 롤지
F 전진 위치
G 후퇴 위치
H 밀접 위치
J 사이가 떨어진 위치
1 결속장치
2 컨베이어
3 프레스판
31 중앙판
32 사이드판
33 사이드판
4 결속기
5 압출부재
6 모터
7 정렬부
8 센서
9 모터
10 센서
11 하면판
12 모터
13 구동기구
14 캠
15 롤러
16 용착 절단부
17 보조 프레스판
18 캠
19 구동기구

Claims (5)

  1. 김의 생산공정에서 사용되는 평김 다발의 결속장치로서, 컨베이어, 프레스판, 결속기, 압출부재를 가지고 있고,
    상기 컨베이어는 평김 다발을 한 다발씩 얹어서 전방으로 반송하며,
    상기 프레스판은 하위의 베이스 위치와 상위의 톱 위치 사이에서 승강 이동 가능하여, 반송 정지된 평김 다발을 베이스 위치보다 위에서 실어 이동시켜, 적재, 상승하여, 톱 위치에서 프레스 받침과의 사이에서 하측으로부터 프레스 압축하고,
    상기 결속기는 프레스 압축된 평김 다발을 상기 프레스판과 함께 결속띠로 결속하며,
    상기 압출부재는 프레스 압축, 결속, 강하된 평김 다발을 결속띠와 함께, 상기 프레스판으로부터 압출, 발출하고, 이로써, 결속띠로 결속된 평김 다발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김 다발의 결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는 끈 컨베이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속기는 프레스 압축된 평김 다발을 상하좌우에 걸쳐 결속띠로 감아 결속하며, 그때, 상기 프레스판도 함께 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김 다발의 결속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판은 좌우로 분할되어 있고, 상기 압출부재는 분할된 상기 프레스판 간의 간격을 전후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김 다발의 결속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판은 전단부 아래에 보조 프레스판을 구비하고 있고, 그 보조 프레스판은, 상기 프레스판에 대해 밀접 위치와 사이가 떨어진 위치로 상하 변위 가능하며,
    밀접 위치에서는, 상기 프레스판과 함께 연동하여 평김 다발을 프레스 압축 가능하고, 사이가 떨어진 위치에서는, 상기 프레스판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극간을 이용하여, 결속띠 하부의 상기 프레스판 아래로부터의 압출, 발출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김 다발의 결속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판은 밀리미터 단위의 두께가 얇은 박판으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평김 다발의 횡폭에 비해, 같은 정도 이하 내지 약간 좁은 정도의 횡폭으로 이루어지고, 이로써, 결속띠 하부의 상기 프레스판 아래로부터의 압출, 발출 시에, 상기 프레스판에 의한 부하가 완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김 다발의 결속장치.
KR1020230034881A 2022-04-05 2023-03-17 평김 다발의 결속장치 KR202301435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2-062911 2022-04-05
JP2022062911A JP2023153560A (ja) 2022-04-05 2022-04-05 平海苔束の結束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3561A true KR20230143561A (ko) 2023-10-12

Family

ID=88291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4881A KR20230143561A (ko) 2022-04-05 2023-03-17 평김 다발의 결속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23153560A (ko)
KR (1) KR2023014356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1810A (ja) 2004-10-07 2006-04-20 Nishihatsu Sangyo Kk 平海苔束束ね方法及び平海苔束束ね装置
JP2006101809A (ja) 2004-10-07 2006-04-20 Nishihatsu Sangyo Kk 海苔束製造ライン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1810A (ja) 2004-10-07 2006-04-20 Nishihatsu Sangyo Kk 平海苔束束ね方法及び平海苔束束ね装置
JP2006101809A (ja) 2004-10-07 2006-04-20 Nishihatsu Sangyo Kk 海苔束製造ライ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153560A (ja) 2023-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79333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packen von Druckerzeugnissen
FI65749C (fi) Saett och anordning att genom pressning oeverfoera voluminoestmaterial till balar
US6702118B2 (en) Packaging a strip of material
EP1860033B1 (en) Banding machine for logs of sheet material
EP0324437A1 (en) Machine and method for forming compressed batches of fibrous material
CN110114271B (zh) 纸板卷保护系统
CN110920991A (zh) 一种保护膜卷材包装机
JP4965892B2 (ja) 積層平海苔束結束装置
KR20230143561A (ko) 평김 다발의 결속장치
US6293075B1 (en) Packaging a strip of material
CN211468909U (zh) 片状物料推送机构及推送捆扎装置
CN210682133U (zh) 滚动式推料转向装置
EP3296218B1 (en) Paper sheet binding apparatus
JP2023155557A (ja) 平海苔束の保護紙付結束装置
JP7053884B2 (ja) スタンピングフォイルを駆動する装置、スタンピングステーション及びスタンピング機、及びスタンピングフォイルの駆動を制御する方法
JP5874191B2 (ja) 包装システム
WO2014034543A1 (ja) 胴巻き包装装置
CN117533571B (zh) 一种包装纸箱自动化包装设备
EP0218781B1 (en) Tying apparatus
CN211494688U (zh) 一种保护膜卷材包装机
CN212666300U (zh) 一种胶合板连续自动排板生产线
CN216546891U (zh) 纸板打包装置
CN115072040B (zh) 一种龙骨成品自动包装的系统及方法
CN218317497U (zh) 一种膜卷垛水平捆扎装置
RU2751229C2 (ru) Способ сжатия пачек бумаги тиссь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