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1854A - 정보 처리 장치, 시스템, 정보 처리 방법, 및 화상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시스템, 정보 처리 방법, 및 화상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1854A
KR20230141854A KR1020237030064A KR20237030064A KR20230141854A KR 20230141854 A KR20230141854 A KR 20230141854A KR 1020237030064 A KR1020237030064 A KR 1020237030064A KR 20237030064 A KR20237030064 A KR 20237030064A KR 20230141854 A KR20230141854 A KR 202301418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ing
virtual
cutting pattern
processing device
mach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0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나토 마치다
요스케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시티즌 도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티즌 도케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티즌 도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41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18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6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monitoring or safety
    • G05B19/4068Verifying part programme on screen, by drawing or oth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79/00Methods, machines, or devices not covered elsewhere, for working metal by removal of material
    • B23D79/02Machines or devices for scr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5/00Automatic 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cutting velocity or position of tool o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9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tasks execute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182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the machine tool function, e.g. thread cutting, cam making, tool direction contro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93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part programming, e.g. entry of geometrical information as taken from a technical drawing, combining this with machining and material information to obtain control information, named part programme, for the NC machin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93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part programming, e.g. entry of geometrical information as taken from a technical drawing, combining this with machining and material information to obtain control information, named part programme, for the NC machine
    • G05B19/40931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part programming, e.g. entry of geometrical information as taken from a technical drawing, combining this with machining and material information to obtain control information, named part programme, for the NC machine concerning programming of geometry
    • G05B19/40932Shape inp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obotics (AREA)
  • Ge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merical Control (AREA)
  • Milling, Broaching, Filing, Reaming, And Other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정보 처리 장치는 모점수, 가공폭, 및 가공 형상을 포함하는 입력 정보를 취득한다. 또, 정보 처리 장치는, 가상 가공 영역에 있어서, 입력 정보에 포함되는 모점수에 따른 복수의 모점을 균등 난수에 의해서 결정된 각각의 좌표로 설정한다. 또, 정보 처리 장치는, 가상 가공 영역에 있어서, 복수의 모점에 기초하여, 소정의 분할 알고리즘에 의해 복수의 분할선을 형성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는 입력 정보에 포함되는 가공폭 및 가공 형상에 기초하여 각 분할선을 따라서 가상의 스크래핑 가공을 행함으로써 형성되는 제1 가상의 절삭 패턴을 실현하는 스크래핑 가공을 가공 장치에 실행시키기 위한 가공 지시 데이터를 생성한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시스템, 정보 처리 방법, 및 화상 생성 장치
본 발명은 스크래핑 가공을 행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공작 기계 등에 있어서의 슬라이딩면에 대해서 「스크래핑(scraping) 가공」이 행해지고 있다. 스크래핑 가공에서는, 대상물의 비가공면에, 복수의 절삭부에 의해서 절삭 패턴을 형성한다. 스크래핑 가공에 의해서 형성된 복수의 절삭부에 윤활유의 기름 고임이 생김으로써, 슬라이딩면에 있어서 원하는 슬라이딩성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허 문헌 1에는, 자동 스크래핑 장치에 의한 가공 방법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가공 방법에 있어서는, 피가공물에 대해서 바람직한 평면도의 파라미터 및 피가공물 당접면의 3D 곡면에 기초하여, 깎는 위치, 길이, 넓이, 및 깊이가 산출된다. 그리고, 산출된 깎는 위치, 길이, 넓이, 및 깊이에 대한 신호가 자동 스크래핑 장치에 송신된다.
특허 문헌 2에는, 로봇에 의해서 스크래핑 가공을 행하는 가공 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가공 장치에 있어서는, 카메라에 의해서 촬상된 화상을 이용하여, 금속면의 위치 및 자세와, 금속면의 요철 부분의 위치가 검출된다. 그리고,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로봇에 의해서 스크래핑 가공이 행해진다.
특허 문헌 3에는, 슬라이딩 부품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슬라이딩 부품에 있어서는, 개구 지름이 상이한 복수의 딤플이 랜덤하게 분포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특허 문헌 3에는, 딤플의 개구 지름의 랜덤 분포의 수법으로서 난수를 사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13-141709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개 2016-137551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개 2017-207209호 공보
스크래핑 가공은 사람의 수작업에 의해서 행해지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근래에는, 이러한 스크래핑 가공을 가공 장치에 의해서 실현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그렇지만, 스크래핑 가공에 의해서, 슬라이딩면에 있어서 원하는 슬라이딩성을 얻는 것이 가능한 기름 고임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랜덤한 절삭 패턴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가공 장치에 의한 스크래핑 가공에 의해서 바람직한 절삭 패턴을 실현하는 것은 곤란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가공 장치에 의해서 바람직한 절삭 패턴의 스크래핑 가공을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모점(generatrix)수, 가공폭, 및 가공 형상을 포함하는 입력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가상 가공 영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정보에 포함되는 모점수에 따른 복수의 모점을 균등 난수에 의해서 결정된 각각의 좌표로 설정하는 것과, 상기 가상 가공 영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점에 기초하여, 소정의 분할 알고리즘에 의해 복수의 분할선을 형성하는 것과, 상기 가상 가공 영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정보에 포함되는 가공폭 및 가공 형상에 기초하여 각 분할선을 따라서 가상의 스크래핑 가공을 행함으로써 형성되는 제1 가상의 절삭 패턴을 실현하는 스크래핑 가공을 가공 장치에 실행시키기 위한 가공 지시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데이터 생성 처리를 실행하는 데이터 생성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시스템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서 생성된 상기 가공 지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스크래핑 가공을 실행하는 가공 장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되는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 모점수, 가공폭, 및 가공 형상을 포함하는 입력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가상 가공 영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정보에 포함되는 모점수에 따른 복수의 모점을 균등 난수에 의해서 결정된 각각의 좌표로 설정하는 것과, 상기 가상 가공 영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점에 기초하여, 소정의 분할 알고리즘에 의해 복수의 분할선을 형성하는 것과, 상기 가상 가공 영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정보에 포함되는 가공폭 및 가공 형상에 기초하여 각 분할선을 따라서 가상의 스크래핑 가공을 행함으로써 형성되는 제1 가상의 절삭 패턴을 실현하는 스크래핑 가공을 가공 장치에 실행시키기 위한 가공 지시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따른 프로그램은, 모점수, 가공폭, 및 가공 형상을 포함하는 입력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가상 가공 영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정보에 포함되는 모점수에 따른 복수의 모점을 균등 난수에 의해서 결정된 각각의 좌표로 설정하는 것과, 상기 가상 가공 영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점에 기초하여, 소정의 분할 알고리즘에 의해 복수의 분할선을 형성하는 것과, 상기 가상 가공 영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정보에 포함되는 가공폭 및 가공 형상에 기초하여 각 분할선을 따라서 가상의 스크래핑 가공을 행함으로써 형성되는 제1 가상의 절삭 패턴을 실현하는 스크래핑 가공을 가공 장치에 실행시키기 위한 가공 지시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컴퓨터에 실행시킨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따른 화상 생성 장치는, 모점수, 가공폭, 및 가공 형상을 포함하는 입력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가상 가공 영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정보에 포함되는 모점수에 따른 복수의 모점을 균등 난수에 의해서 결정된 각각의 좌표로 설정하는 것과, 상기 가상 가공 영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점에 기초하여, 소정의 분할 알고리즘에 의해 복수의 분할선을 형성하는 것과, 상기 가상 가공 영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정보에 포함되는 가공폭 및 가공 형상에 기초하여 각 분할선을 따라서 가상의 스크래핑 가공을 행함으로써 형성되는 제1 가상의 절삭 패턴을 나타내는 화상을 생성하는 것을 실행하는 화상 생성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공 장치에 의해서 바람직한 절삭 패턴의 스크래핑 가공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따른 가공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가상 가공 영역의 모습을 나타내는 제1 도이다.
도 4는 가상 가공 영역의 모습을 나타내는 제2 도이다.
도 5는 가상 가공 영역의 모습을 나타내는 제3 도이다.
도 6은 데이터 생성 처리의 플로우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데이터 생성 처리 이외의 정보 처리의 플로우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제2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가공 장치에 스크래핑 가공을 행하게 하기 위한 가공 지시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 정보 처리 장치는 데이터 생성 처리를 실행하는 데이터 생성부를 구비한다. 데이터 생성부는 모점수, 가공폭, 및 가공 형상을 포함하는 입력 정보를 취득한다. 여기서, 가공폭 및 가공 형상은, 스크래핑 가공에 의해서 형성되는 절삭 패턴에 있어서의 개개의 절삭부의 폭 및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또, 데이터 생성부는, 가상 가공 영역에 있어서, 입력 정보에 포함되는 모점수에 따른 복수의 모점을 균등 난수에 의해서 결정된 각각의 좌표로 설정한다. 여기서, 가상 가공 영역은, 가상의 스크래핑 가공의 대상이 되는 영역이다. 이 가상 가공 영역에 있어서, 균등 난수에 의해서 결정된 각각의 좌표로 복수의 모점이 설정됨으로써, 입력 정보에 포함되는 모점수의 모점이 가상 가공 영역의 대략 전체에 랜덤하게 분포하게 된다.
또한, 데이터 생성부는, 가상 가공 영역에 있어서, 복수의 모점에 기초하여, 소정의 분할 알고리즘에 의해 복수의 분할선을 형성한다. 여기서, 소정의 분할 알고리즘은, 평면 상에 설정된 복수의 점에 기초하여, 평면을 분할하는 복수의 분할선을 형성하는 알고리즘이다. 상기와 같이 가상 가공 영역의 대략 전체에 랜덤하게 분포한 복수의 모점에 기초하여 각 분할선이 형성됨으로써, 개개의 길이 및 연재(延在) 방향이 랜덤한 복수의 분할선이 가상 가공 영역의 대략 전체에 랜덤하게 분포하게 된다.
여기서, 가상 가공 영역에 있어서, 입력 정보에 포함되는 가공폭 및 가공 형상에 기초하여 각 분할선을 따라서 가상의 스크래핑 가공을 행함으로써 형성되는 가상의 절삭 패턴을 「제1 가상의 절삭 패턴」이라고 칭한다. 상기와 같이 개개의 길이 및 연재 방향이 랜덤하고 또한 분포도 랜덤한 복수의 분할선을 따라서 가상의 스크래핑 가공이 행해진 경우, 랜덤한 가상의 절삭 패턴이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제1 가상의 절삭 패턴은 랜덤한 패턴이 된다.
이에, 데이터 생성부는 제1 가상의 절삭 패턴을 실현하는 스크래핑 가공을 가공 장치에 실행시키기 위한 가공 지시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러한 가공 지시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가공 장치에 랜덤한 절삭 패턴의 스크래핑 가공을 행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가공 장치에 의해서 바람직한 절삭 패턴의 스크래핑 가공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입력 정보가 되는 모점수, 가공폭, 및 가공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다양한 절삭 패턴의 스크래핑 가공을 가공 장치에 의해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부품의 치수, 재질, 형상, 및 그 상대 배치 등은, 특별히 기재가 없는 한은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그러한 것만으로 한정하는 취지인 것은 아니다.
<제1 실시 형태>
(시스템의 개략 구성)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가공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내는 것처럼, 가공 시스템(1)은 정보 처리 장치(100)와, 스크래핑 가공 장치(20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정보 처리 장치(100)가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 상당하고, 스크래핑 가공 장치(200)가 본 발명에 따른 「가공 장치」에 상당한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가공 시스템(1)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상당한다.
스크래핑 가공 장치(200)는 대상물의 피가공면(금속면)에 대해서 스크래핑 가공을 자동으로 행하는 장치이다. 스크래핑 가공 장치(200)는 로봇 핸드(201) 및 제어 장치(2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로봇 핸드(201)는 그 선단부에 스크래핑 공구가 장착되어 있다. 제어 장치(202)는 입력된 가공 지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로봇 핸드(201)를 제어한다. 제어 장치(202)에 의해서 로봇 핸드(201)가 제어됨으로써, 대상물의 피가공면에 대해서 스크래핑 가공이 행해진다. 즉, 스크래핑 가공 장치(200)에 있어서는, 제어 장치(202)에 입력되는 가공 지시 데이터에 따른 스크래핑 가공이 행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공 장치」의 구성은, 스크래핑 가공 장치(200)와 같은 로봇 핸드를 가지는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가공 장치」의 구성은, 입력된 가공 지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스크래핑 가공을 행할 수 있는 구성이면, 공지의 어떠한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스크래핑 가공 장치(200)의 제어 장치(202)에 입력하는 가공 지시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이다. 정보 처리 장치(100)에서 생성된 가공 지시 데이터는, 정보 처리 장치(100)로부터 스크래핑 가공 장치(200)에 송신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0)로부터 스크래핑 가공 장치(200)로의 가공 지시 데이터의 송신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 중 어느 것에 의해서 행해져도 된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일반적인 컴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정보 처리 장치(100)를 구성하는 컴퓨터는, 프로세서(101), 주 기억부(102), 보조 기억부(103), 입출력 인터페이스(입출력 I/F)(104), 및 통신 인터페이스(통신 I/F)(105)를 가진다.
여기서, 프로세서(101)는,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이다. 주 기억부(102)는, 예를 들면, RAM(Random Access Memory)이다. 보조 기억부(103)는, 예를 들면, ROM(Read Only Memory), HDD(Hard Disk Drive), 또는 플래쉬 메모리이다. 또, 보조 기억부(103)는 리무버블 미디어(휴대형 기록 매체)를 포함해도 된다. 여기서, 리무버블 미디어는, 예를 들면, USB 메모리, SD 카드, 또는, CD-ROM, DVD 디스크, 혹은 블루레이 디스크와 같은 디스크 기록 매체이다. 입출력 I/F(104)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이다. 통신 I/F(105)는, 예를 들면, LAN(Local Area Network) 인터페이스 보드, 또는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 회로이다.
보조 기억부(103)에는 오퍼레이팅 시스템(OS), 각종 프로그램, 및 각종 정보 테이블 등이 격납되어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01)가 보조 기억부(103)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주 기억부(102)에 로드하여 실행함으로써, 후술하는 가공 지시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처리 등의 각종의 처리가 실현된다. 다만, 정보 처리 장치(100)에 있어서의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은 ASIC나 FPGA와 같은 하드웨어 회로에 의해서 실현되어도 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반드시 단일의 물리적 구성에 의해서 실현될 필요는 없고, 서로 제휴하는 복수 대의 컴퓨터에 의해서 구성되어도 된다. 또, 스크래핑 가공 장치(200)와 정보 처리 장치(100)가 일체적으로 된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기능 구성)
다음으로, 정보 처리 장치(100)의 기능 구성에 대해서 도 2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0)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데이터 생성부(110), 제1 산출부(111), 화상 생성부(112), 출력부(113), 및 통신부(114)를 기능부로서 가지고 있다.
데이터 생성부(110)는 가공 지시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 처리를 실행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가공 지시 데이터는, 구체적으로는, 스크래핑 가공 장치(200)에 있어서 대상물의 피가공면에 대해서 스크래핑 가공을 행할 때에, 절삭 공구에 의해서 각 절삭부를 절삭할 때의, 가공 개시점의 좌표, 가공의 방향, 가공의 깊이(힘의 크기), 및 가공의 길이 등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이하, 데이터 생성부(110)에서 실행되는 데이터 생성 처리에 대해서, 도 3 내지 도 5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모두 데이터 생성 처리에서 이용되는 가상 가공 영역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가상 가공 영역은 가상의 스크래핑 가공의 대상이 되는 영역이다. 이 가상 가공 영역은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서 정보 처리 장치(100)에 기억되어 있어도 된다. 또, 스크래핑 가공 장치(200)에 의한 실제의 스크래핑 가공의 대상물에 있어서의 피가공면에 따른 영역으로서, 가상 가공 영역이 설정되어도 된다.
데이터 생성 처리에서는, 먼저, 해당 처리를 행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입력 정보가 취득된다. 입력 정보에 포함되는 파라미터는, 구체적으로는, 모점수, 가공폭, 및 가공 형상이다. 여기서, 가공폭 및 가공 형상은, 스크래핑 가공에 의해서 형성되는 절삭 패턴에 있어서의 개개의 절삭부의 폭 및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입력 정보에 포함되는 가공폭 및 가공 형상은, 스크래핑 가공 장치(200)에 실제로 행하게 하는 스크래핑 가공에 의해서 대상물의 피가공면에 형성되는 절삭 패턴에 있어서의 개개의 절삭부의 폭 및 형상에 대응하고 있다.
가공 형상은, 예를 들면, 직사각형, 사다리꼴, 타원형, 또는 초승달형이다. 또, 가공 형상에 따라서는, 개개의 절삭부에 있어서의 가공폭은 반드시 일정하지는 않다. 그 때문에, 입력 정보가 되는 가공폭은, 가공 형상에 따라 개개의 절삭부에 있어서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의 폭으로서 규정되어도 된다. 또, 모점수는 데이터 생성 처리에 이용하는 모점의 수이다. 모점에 대한 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100)에 있어서, 모점수, 가공폭, 및 가공 형상을 포함하는 입력 정보는, 입출력 I/F(104)를 통해서 유저에 의해서 입력되어도 된다.
데이터 생성 처리에 있어서는, 다음으로, 가상 가공 영역에 있어서, 입력 정보에 포함되는 모점수에 따른 복수의 모점이 균등 난수에 의해서 결정된 각각의 좌표로 설정된다. 도 3은, 가상 가공 영역에 있어서, 입력 정보에 포함되는 모점수에 따른 복수의 모점이 설정된 모습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있어서는, 가상 가공 영역 내의 복수의 점이 모점을 나타내고 있다. 복수의 모점 각각의 좌표가 균등 난수에 의해서 결정됨으로써, 도 3에 나타내는 것처럼, 입력 정보에 포함되는 모점수의 모점이 가상 가공 영역의 대략 전체에 랜덤하게 분포하게 된다.
데이터 생성 처리에 있어서는, 다음으로, 가상 가공 영역에 있어서, 복수의 모점에 기초하여, 소정의 분할 알고리즘에 의해 복수의 분할선이 형성된다. 도 4는, 가상 가공 영역에 있어서, 도 3에 나타내는 복수의 모점에 기초하여 복수의 분할선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있어서는, 가상 가공 영역 내의 복수의 선분이 분할선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소정의 분할 알고리즘은, 평면 상에 설정된 복수의 점에 기초하여, 평면을 분할하는 복수의 분할선을 형성하는 알고리즘이다. 소정의 분할 알고리즘으로서는, 보로노이(voronoi) 분할 또는 들로네(delaunay) 분할을 예시할 수 있다. 다만, 소정의 분할 알고리즘은 이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복수의 모점수에 기초하여 보로노이 분할에 의해 복수의 분할선이 형성되었을 경우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가상 가공 영역의 대략 전체에 랜덤하게 분포한 복수의 모점에 기초하여 각 분할선이 형성됨으로써, 도 4에 나타내는 것처럼, 개개의 길이 및 연재 방향이 랜덤한 복수의 분할선이 가상 가공 영역의 대략 전체에 랜덤하게 분포하게 된다.
데이터 생성 처리에 있어서는, 다음으로, 제1 가상의 절삭 패턴을 실현하는 스크래핑 가공을 스크래핑 가공 장치(200)에 실행시키기 위한 가공 지시 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제1 가상의 절삭 패턴은, 가상 가공 영역에 있어서, 입력 정보에 포함되는 가공폭 및 가공 형상에 기초하여 각 분할선을 따라서 가상의 스크래핑 가공을 행함으로써 형성되는 가상의 절삭 패턴이다.
도 5는 제1 가상의 절삭 패턴의 세 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a)는 입력 정보에 포함되는 가공 형상이 타원형인 경우의 제1 가상의 절삭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그 때문에, 도 5의 (a)에 있어서는, 개개의 절삭부(가상의 절삭부)의 형상이 타원형으로 되어 있다. 또, 도 5의 (b)는 입력 정보에 포함되는 가공 형상이 직사각형인 경우의 제1 가상의 절삭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그 때문에, 도 5의 (b)에 있어서는, 개개의 절삭부의 형상이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다. 또, 도 5의 (c)는 입력 정보에 포함되는 가공 형상이 사다리꼴인 경우의 제1 가상의 절삭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그 때문에, 도 5의 (c)에 있어서는, 개개의 절삭부의 형상이 사다리꼴로 되어 있다. 또한, 도 5의 (a), (b), 및 (c)는, 모두, 도 4에 나타낸 가상 가공 영역에 있어서의 복수의 분할선을 따라서 가상의 스크래핑 가공을 행함으로써 형성된 제1 가상의 절삭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가상 가공 영역에 있어서, 개개의 길이 및 연재 방향이 랜덤하고 또한 분포도 랜덤한 복수의 분할선을 따라서 가상의 스크래핑 가공이 행해짐으로써, 도 5의 (a), (b), 및 (c)에 나타내는 것처럼, 제1 가상의 절삭 패턴은 랜덤한 패턴이 된다. 그 때문에, 데이터 생성 처리에 있어서 제1 가상의 절삭 패턴에 대응하는 데이터로서 생성되는 가공 지시 데이터는, 스크래핑 가공 장치(200)에 랜덤한 절삭 패턴의 스크래핑 가공을 실행시키는 데이터가 된다.
또, 제1 산출부(111)는 상술한 제1 가상의 절삭 패턴에 대응하는 당접 면적률 및 당접 점수를 산출하는 기능을 가진다. 여기서, 데이터 생성부(110)에 의해서 생성된 가공 지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스크래핑 가공 장치(200)에 의해서 대상물의 피가공면에 대해서 스크래핑 가공이 행해진 경우에 형성되는 절삭 패턴을 실제 절삭 패턴이라고 칭한다. 제1 가상의 절삭 패턴에 대응하는 당접 면적률 및 당접 점수는, 이 실제 절삭 패턴에 의해서 실현되는 당접 면적률 및 당접 점수와 동등하다. 또한, 당접 면적률은, 피가공면에 있어서의, 스크래핑 가공에 의해서 형성되는 당접면(볼록부)의 면적의 비율로서 나타내져도 된다. 또, 당접 점수는, 피가공면에 있어서의, 스크래핑 가공에 의해서 형성되는 당접면(볼록부)의 수로서 나타내져도 된다.
또, 화상 생성부(112)는 상술한 제1 가상의 절삭 패턴을 나타내는 화상을 생성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의 데이터 생성부(110)에 있어서의 데이터 생성 처리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것처럼, 모점수, 가공폭, 및 가공 형상을 포함하는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도 5의 (a), (b), 및 (c)에 예시하는 것 같은 제1 가상의 절삭 패턴을 도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제1 산출부(111)는,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가상의 절삭 패턴에 대응하는 당접 면적률 및 당접 점수를 산출한다. 또, 화상 생성부(112)는,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가상의 절삭 패턴을 나타내는 화상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생성부(110), 제1 산출부(111), 및 화상 생성부(112)는, 프로세서(101)에 의해서 실현할 수 있다.
또, 출력부(113)는 제1 산출부(111)에 의해서 산출된 제1 가상의 절삭 패턴에 대응하는 당접 면적률 및 당접 점수, 및 화상 생성부(112)에 의해서 생성된 제1 가상의 절삭 패턴을 나타내는 화상을 출력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출력부(113)는 입출력 I/F(104)에 의해서 실현할 수 있다.
또, 통신부(114)는 데이터 생성부(110)에 의해서 생성된 가공 지시 데이터를 스크래핑 가공 장치(200)에 송신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통신부(114)는 통신 I/F(105)에 의해서 실현할 수 있다.
(정보 처리의 플로우)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0)에서 실행되는 정보 처리의 플로우에 대해 도 6 및 도 7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데이터 생성부(110)에 의해서 실행되는 데이터 생성 처리의 플로우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플로우에서는, 먼저 S101에 있어서, 모점수, 가공폭, 및 가공 형상을 포함하는 입력 정보가 취득된다. 다음으로, S102에 있어서, 가상 가공 영역에 있어서, 입력 정보에 포함되는 모점수의 모점이 설정된다. 이 때에, 각 모점이 설정되는 좌표가, 자동으로 생성되는 균등 난수에 의해서 결정된다. 다음으로, S103에 있어서, S102에서 가상 가공 영역에 설정된 복수(모점수)의 모점에 기초하여, 소정의 분할 알고리즘에 의해 복수의 분할선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S104에 있어서, 제1 가상의 절삭 패턴을 실현하는 스크래핑 가공을 스크래핑 가공 장치(200)에 실행시키기 위한 가공 지시 데이터가 생성된다. 이 때의 제1 가상의 절삭 패턴이, 입력 정보에 포함되는 가공폭 및 가공 형상과, S102에서 가상 가공 영역에 형성된 복수의 분할선에 대응하는 가상의 절삭 패턴이다.
상기의 데이터 생성 처리에 의해서 생성된 가공 지시 데이터가 통신부(114)에 의해서 스크래핑 가공 장치(200)에 송신된다. 그리고, 스크래핑 가공 장치(200)에 있어서, 정보 처리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가공 지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실제로, 대상물의 피가공면에 대해서 스크래핑 가공이 행해진다. 이것에 의해, 대상물의 피가공면에 있어서, 제1 가상의 절삭 패턴과 동등한 실제 절삭 패턴이 형성된다. 즉, 정보 처리 장치(100)에서 생성된 가공 지시 데이터에 의해서, 스크래핑 가공 장치(200)에 랜덤한 절삭 패턴의 스크래핑 가공을 행하게 할 수 있다. 또, 입력 정보로서 입력하는 모점수, 가공폭, 및 가공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정보 처리 장치(100)에 있어서 다양한 패턴의 가공 지시 데이터를 생성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다양한 절삭 패턴의 스크래핑 가공을 가공 장치(200)에 행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도 7은 제1 산출부(111), 화상 생성부(112), 및 출력부(113)에 의해서 실행되는 처리의 플로우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또한, 본 플로우는, 도 6에 나타내는 데이터 생성 처리의 플로우에 있어서의 S103에 이어서 실행된다. 그 때문에, 정보 처리 장치(100)에 있어서, 도 6에 나타내는 플로우에 있어서의 S104의 처리와, 도 7에 나타내는 정보 처리는, 병행으로 실행되어도 된다.
본 플로우에서는, S201에 있어서, 제1 가상의 절삭 패턴에 대응하는 당접 면적률 및 당접 점수가 산출된다. 다음으로, S202에 있어서, 제1 가상의 절삭 패턴을 나타내는 화상이 생성된다. 다음으로, S203에 있어서, S210에서 산출된 제1 가상의 절삭 패턴에 대응하는 당접 면적률 및 당접 점수, 및 S202에서 화상 생성부(112)에 의해서 생성된 제1 가상의 절삭 패턴을 나타내는 화상이 출력된다.
도 7에 나타내는 정보 처리에 의해서 출력부(113)에 상기와 같은 데이터가 출력됨으로써,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가공 지시 데이터에 의해서 실현되는 절삭 패턴을 구체적인 수치 및 화상으로서 유저가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0)를,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생성 장치」로서 파악할 수도 있다.
또, 정보 처리 장치(100)로부터 스크래핑 가공 장치(200)로의 가공 지시 데이터의 송신은, 유저로부터의 송신 지시를 받고 나서 실행되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유저는, 출력부(113)에서 출력된, 제1 가상의 절삭 패턴에 대응하는 당접 면적률 및 당접 점수, 및 제1 가상의 절삭 패턴을 나타내는 화상을 확인한 다음, 정보 처리 장치(100)로부터 스크래핑 가공 장치(200)로 가공 지시 데이터를 송신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 유저는 원하는 면적률, 당접 점수, 및 절삭 패턴의 스크래핑 가공을 스크래핑 가공 장치(200)에 의해서 실현시키기 위해서, 정보 처리 장치(100)에 입력하는 입력 정보를 조정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가공 시스템의 개략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같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원하는 절삭 패턴에 있어서의 당접 면적률, 당접 점수, 및 가공 형상을 나타내는 절삭 패턴 정보가 정보 처리 장치(100)에 입력된다. 여기서, 원하는 절삭 패턴은, 유저가, 스크래핑 가공 장치(200)에 의한 스크래핑 가공에 의해서 실현하는 것을 원하는 절삭 패턴이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0)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100)가 데이터 생성부(110), 제1 산출부(111), 화상 생성부(112), 출력부(113), 및 통신부(114)에 더하여, 결정부(115)를 기능부로서 가지고 있다. 여기서, 결정부(115)는 데이터 생성부(110)에서의 데이터 생성 처리에 적용하는 입력 정보를 결정하는 기능을 가진다. 결정부(115)는 정보 처리 장치(100)에 입력되는 절삭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정보를 결정한다. 또한, 결정부(115)는 프로세서(101)에 의해서 실현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결정부(115)는 제2 산출부(1150)를 포함하고 있다. 제2 산출부(1150)는 모점수, 가공폭, 및 가공 형상에 대응하는, 가상의 절삭 패턴에 있어서의 당접 면적률 및 당접 점수를 산출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제2 산출부(1150)에서 실행되는 당접 면적률 및 당접 점수의 산출 방법은, 상술한 제1 산출부(111)에서 실행되는 이들 값의 산출 방법과 같다.
그리고, 결정부(115)에 있어서, 제2 산출부(1150)는 모점수 및 가공폭 중 적어도 어느 값을 변경하면서, 가상의 절삭 패턴에 있어서의 당접 면적률 및 당접 점수의 산출을 복수 회 실행한다. 이 제2 산출부(1150)에 의한 당접 면적률 및 당접 점수의 산출은, 원하는 절삭 패턴에 대한 절삭 패턴 정보에 있어서의 당접 면적률 및 당접 점수와의 차가 소정 범위 내인 값이 산출될 때까지 반복된다. 그리고, 결정부(115)는, 제2 산출부(1150)에 의해서, 가상의 절삭 패턴에 있어서의 당접 면적률 및 당접 점수로서, 원하는 절삭 패턴에 대한 절삭 패턴 정보에 있어서의 당접 면적률 및 당접 점수와의 차가 소정 범위 내인 값이 산출되었을 때의, 모점수, 가공폭, 및 가공 형상에 기초하여 입력 정보를 결정한다. 또한, 반드시, 원하는 절삭 패턴에 대한 절삭 패턴 정보에 있어서의 당접 면적률 및 당접 점수 양쪽을 만족시키는 모점수, 가공폭, 및 가공 형상을 구할 필요는 없다. 즉, 제2 산출부(1150)에 의해서 산출되는 당접 면적률 및 당접 점수의 어느 일방이, 원하는 절삭 패턴에 대한 절삭 패턴 정보에 있어서의 값과의 차가 소정 범위 내가 되었을 때에, 제2 산출부(1150)에 의한 당접 면적률 및 당접 점수의 산출이 종료되어도 된다. 그리고, 결정부(115)가 이 때의 모점수, 가공폭, 및 가공 형상에 기초하여 입력 정보를 결정해도 된다.
결정부(115)에 의해서 입력 정보가 결정되면, 정보 처리 장치(100)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정보 처리가 실행된다. 즉, 결정부(115)에 의해서 결정된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가공 지시 데이터가 생성된다. 이것에 의하면, 스크래핑 가공 장치(200)에 의한 스크래핑 가공에 의해서, 원하는 절삭 패턴 또는 원하는 절삭 패턴에 근사한 절삭 패턴을 실현시키기 위한 가공 지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변형예 1)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변형예 1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의 변형예 1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0)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100)가 데이터 생성부(110), 제1 산출부(111), 화상 생성부(112), 출력부(113), 통신부(114), 및 결정부(115)에 더하여, 데이터베이스(116)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결정부(115)에, 도 7에서 나타낸 제2 산출부(1150)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116)는, 절삭 패턴에 있어서의 당접 면적률, 당접 점수, 및 가공 형상과, 모점수 및 가공폭의 상관 관계를 기억하고 있다. 데이터베이스(116)에 기억하는 이들 값의 상관 관계는 시뮬레이션 등에 기초하여 미리 구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16)는 보조 기억부(103)에 의해서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결정부(115)는 원하는 절삭 패턴에 대한 절삭 패턴 정보에 있어서의 당접 면적률, 당접 점수, 및 가공 형상과, 데이터베이스(116)에 기억된 상관 관계에 기초하여, 모점수 및 가공폭을 도출한다. 이것에 의해서 도출된 모점수 및 가공폭이 입력 정보로 결정된다. 또,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결정부(115)에 의해서 결정된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가공 지시 데이터가 생성된다. 이것에 의해서도, 스크래핑 가공 장치(200)에 의한 스크래핑 가공에 의해서, 원하는 절삭 패턴 또는 원하는 절삭 패턴에 근사한 절삭 패턴을 실현시키기 위한 가공 지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변형예 2)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변형예 2에 대해 설명한다. 본 변형예에서는, 데이터 생성부(110) 자체가, 모점수, 가공폭, 및 가공 형상에 대응하는, 가상의 절삭 패턴에 있어서의 당접 면적률 및 당접 점수를 산출하는 기능을 가진다. 그 때문에, 본 변형예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100)가 데이터 생성부(110)와는 별도로, 제1 산출부(111) 및 결정부(115)를 가질 필요는 없다. 또, 본 변형예에서는, 원하는 절삭 패턴에 대한 절삭 패턴 정보에 있어서의 당접 면적률 및 당접 점수와의 차가 소정 범위 내인 당접 면적률 및 당접 점수를, 원하는 당접 면적률 및 당접 점수로 한다.
그리고, 데이터 생성부(110)가, 입력 정보가 되는 모점수 및 가공폭 중 적어도 어느 값을 변경하면서, 제1 가상의 절삭 패턴에 있어서의 당접 면적률 및 당접 점수의 산출을 반복하여 실행한다. 이 때, 입력 정보에 있어서의 가공 형상을, 원하는 절삭 패턴에 대한 절삭 패턴 정보에 있어서의 가공 형상으로 한다. 또한, 이 때에 실행되는 당접 면적률 및 당접 점수의 산출 방법은, 상술한 제1 산출부(111)에 있어서 실행되는 이들 값의 산출 방법과 같다. 데이터 생성부(110)는, 산출 결과가 원하는 당접 면적률 및 당접 점수가 될 때까지 상기의 산출을 반복한다.
그리고, 본 변형예에서는, 원하는 당접 면적률 및 당접 점수가 산출되었을 때의 제1 가상의 절삭 패턴을 실현하는 스크래핑 가공을 가공 장치(200)에 실행시키기 위한 가공 지시 데이터가 데이터 생성부(110)에 의해서 생성된다. 이것에 의해서도, 스크래핑 가공 장치(200)에 의한 스크래핑 가공에 의해서, 원하는 절삭 패턴 또는 원하는 절삭 패턴에 근사한 절삭 패턴을 실현시키기 위한 가공 지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입력 정보에 포함되는 가공 형상은, 반드시 한 종류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입력 정보에는 복수 종류의 형상의 가공 형상이 포함되어도 된다.
<그 외의 실시 형태>
상기의 실시 형태는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본 개시는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있어서 설명한 처리나 수단은, 기술적인 모순이 생기지 않는 한에 있어서, 자유롭게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 1개의 장치가 행하는 것으로서 설명한 처리가, 복수의 장치에 의해서 분담하여 실행되어도 된다. 혹은, 상이한 장치가 행하는 것으로서 설명한 처리가, 1개의 장치에 의해서 실행되어도 상관없다.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각 기능을 어떠한 하드웨어 구성(서버 구성)에 의해서 실현할지는 유연하게 변경 가능하다.
본 개시는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기능을 실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컴퓨터에 공급하고, 해당 컴퓨터가 가지는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읽어내어 실행하는 것에 의해서도 실현 가능하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시스템 버스에 접속 가능한 비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기억 매체에 의해서 컴퓨터에 제공되어도 되고, 네트워크를 통해서 컴퓨터에 제공되어도 된다. 비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기억 매체는, 예를 들면, 자기 디스크(플로피(등록상표)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등), 광 디스크(CD-ROM, DVD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등) 등 임의 타입의 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EPROM, EEPROM, 자기 카드, 플래쉬 메모리, 또는 광학식 카드와 같은, 전자적 명령을 격납하기 위해서 적합한 임의 타입의 매체를 포함한다.
1···가공 시스템
100··정보 처리 장치
110··데이터 생성부
111··제1 산출부
112··화상 생성 장치
113··출력부
114··통신부
115··결정부
1150··제2 산출부
116··데이터베이스
200··스크래핑 가공 장치

Claims (11)

  1. 모점수, 가공폭, 및 가공 형상을 포함하는 입력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가상 가공 영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정보에 포함되는 모점수에 따른 복수의 모점을 균등 난수에 의해서 결정된 각각의 좌표로 설정하는 것과,
    상기 가상 가공 영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점에 기초하여, 소정의 분할 알고리즘에 의해 복수의 분할선을 형성하는 것과,
    상기 가상 가공 영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정보에 포함되는 가공폭 및 가공 형상에 기초하여 각 분할선을 따라서 가상의 스크래핑 가공을 행함으로써 형성되는 제1 가상의 절삭 패턴을 실현하는 스크래핑 가공을 가공 장치에 실행시키기 위한 가공 지시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데이터 생성 처리를 실행하는 데이터 생성부를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상의 절삭 패턴에 대응하는 당접 면적률 및 당접 점수를 산출하는 제1 산출부를 더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원하는 절삭 패턴에 있어서의 당접 면적률, 당접 점수, 및 가공 형상을 나타내는 절삭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정보를 결정하는 결정부를 더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모점수, 가공폭, 및 가공 형상에 대응하는, 가상의 절삭 패턴에 있어서의 당접 면적률 및 당접 점수를 산출하는 제2 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산출부에 있어서, 가상의 절삭 패턴에 있어서의 당접 면적률 및 당접 점수로서, 상기 원하는 절삭 패턴에 대한 상기 절삭 패턴 정보에 있어서의 당접 면적률 및 당접 점수와의 차가 소정 범위 내인 값이 산출되었을 때의, 모점수, 가공폭, 및 가공 형상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정보를 결정하는, 정보 처리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절삭 패턴에 있어서의 당접 면적률, 당접 점수, 및 가공 형상과, 모점수 및 가공폭의 상관 관계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결정부는
    상기 원하는 절삭 패턴에 대한 상기 절삭 패턴 정보에 있어서의 당접 면적률 및 당접 점수에 대응하는 모점수 및 가공폭을,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상관 관계에 기초하여 도출함으로써, 상기 입력 정보를 결정하는, 정보 처리 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상의 절삭 패턴을 나타내는 화상을 생성하는 화상 생성부를 더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생성 처리는
    상기 제1 가상의 절삭 패턴에 대응하는 당접 면적률 및 당접 점수를 산출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데이터 생성 처리에 있어서, 원하는 당접 면적률 및 당접 점수가 산출되었을 때의 상기 제1 가상의 절삭 패턴을 실현하는 스크래핑 가공을 상기 가공 장치에 실행시키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가공 지시 데이터로서 생성하는, 정보 처리 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서 생성된 상기 가공 지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스크래핑 가공을 실행하는 가공 장치를 구비하는 시스템.
  9.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되는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
    모점수, 가공폭, 및 가공 형상을 포함하는 입력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가상 가공 영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정보에 포함되는 모점수에 따른 복수의 모점을 균등 난수에 의해서 결정된 각각의 좌표로 설정하는 것과,
    상기 가상 가공 영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점에 기초하여, 소정의 분할 알고리즘에 의해 복수의 분할선을 형성하는 것과,
    상기 가상 가공 영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정보에 포함되는 가공폭 및 가공 형상에 기초하여 각 분할선을 따라서 가상의 스크래핑 가공을 행함으로써 형성되는 제1 가상의 절삭 패턴을 실현하는 스크래핑 가공을 가공 장치에 실행시키기 위한 가공 지시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
  10. 모점수, 가공폭, 및 가공 형상을 포함하는 입력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가상 가공 영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정보에 포함되는 모점수에 따른 복수의 모점을 균등 난수에 의해서 결정된 각각의 좌표로 설정하는 것과,
    상기 가상 가공 영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점에 기초하여, 소정의 분할 알고리즘에 의해 복수의 분할선을 형성하는 것과,
    상기 가상 가공 영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정보에 포함되는 가공폭 및 가공 형상에 기초하여 각 분할선을 따라서 가상의 스크래핑 가공을 행함으로써 형성되는 제1 가상의 절삭 패턴을 실현하는 스크래핑 가공을 가공 장치에 실행시키기 위한 가공 지시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11. 모점수, 가공폭, 및 가공 형상을 포함하는 입력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가상 가공 영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정보에 포함되는 모점수에 따른 복수의 모점을 균등 난수에 의해서 결정된 각각의 좌표로 설정하는 것과,
    상기 가상 가공 영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점에 기초하여, 소정의 분할 알고리즘에 의해 복수의 분할선을 형성하는 것과,
    상기 가상 가공 영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정보에 포함되는 가공폭 및 가공 형상에 기초하여 각 분할선을 따라서 가상의 스크래핑 가공을 행함으로써 형성되는 제1 가상의 절삭 패턴을 나타내는 화상을 생성하는 것을,
    실행하는 화상 생성부를 구비하는 화상 생성 장치.
KR1020237030064A 2021-03-04 2022-03-04 정보 처리 장치, 시스템, 정보 처리 방법, 및 화상 생성 장치 KR202301418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34417A JP2022134918A (ja) 2021-03-04 2021-03-04 情報処理装置、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画像生成装置
JPJP-P-2021-034417 2021-03-04
PCT/JP2022/009317 WO2022186369A1 (ja) 2021-03-04 2022-03-04 情報処理装置、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画像生成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1854A true KR20230141854A (ko) 2023-10-10

Family

ID=83155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0064A KR20230141854A (ko) 2021-03-04 2022-03-04 정보 처리 장치, 시스템, 정보 처리 방법, 및 화상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40152111A1 (ko)
EP (1) EP4302937A1 (ko)
JP (1) JP2022134918A (ko)
KR (1) KR20230141854A (ko)
CN (1) CN116940907A (ko)
TW (1) TW202306721A (ko)
WO (1) WO20221863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151401A (ja) * 2022-03-31 2023-10-16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自動キサゲ加工装置、自動キサゲ加工方法、情報処理装置、加工指示データの生成方法、及び加工指示データ生成プログラ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41709A (ja) 2012-01-06 2013-07-22 National Formosa Univ きさげ装置による加工方法
JP2016137551A (ja) 2015-01-28 2016-08-04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ロボットを用いたキサゲ加工装置及びキサゲ加工方法
JP2017207209A (ja) 2013-09-18 2017-11-24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しゅう動部品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05282B2 (ja) * 2007-07-25 2012-03-2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皺画像生成装置
JP5806105B2 (ja) * 2011-12-22 2015-11-10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パラメータ補正方法および制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41709A (ja) 2012-01-06 2013-07-22 National Formosa Univ きさげ装置による加工方法
JP2017207209A (ja) 2013-09-18 2017-11-24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しゅう動部品
JP2016137551A (ja) 2015-01-28 2016-08-04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ロボットを用いたキサゲ加工装置及びキサゲ加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02937A1 (en) 2024-01-10
CN116940907A (zh) 2023-10-24
WO2022186369A1 (ja) 2022-09-09
JP2022134918A (ja) 2022-09-15
TW202306721A (zh) 2023-02-16
US20240152111A1 (en) 2024-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1512797A (zh) Cnc加工程序生成系統及方法
WO2019167650A1 (ja) 工具経路を生成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TW201610730A (zh) 點雲網格簡化系統及方法
KR20230141854A (ko) 정보 처리 장치, 시스템, 정보 처리 방법, 및 화상 생성 장치
Balabokhin et al. Iso-scallop tool path building algorithm “based on tool performance metric” for generalized cutter and arbitrary milling zones in 3-axis CNC milling of free-form triangular meshed surfaces
JP6865055B2 (ja) 加工負荷解析装置、加工負荷解析プログラム、及び加工負荷解析システム
CN116945189A (zh) 加工路径生成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9411331B2 (en) Automatic programming device and method
KR20110072462A (ko) 3차원 곡면 모델 스케치를 위한 모델링 방법 및 시스템 , 및 기록 매체
JP2010211629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TW201423292A (zh) 數値控制系統及數値控制資料生成方法
CN107025106B (zh) 一种图形绘制方法及装置
WO2015068524A1 (ja) 機器配置自動算出装置
KR102039265B1 (ko) Jt포맷을 활용한 선박/해양플랜트 배관재의 기하학적 간섭 체크 및 설치 순서 도출 방법 및 장치
JP6470431B2 (ja) オブジェクトのジオメトリーの生成
JP2019101590A (ja) 情報処理装置
JP5253829B2 (ja) Cadシステム及びcam加工情報の生成方法
JP2013214299A (ja) 物理量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物理量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
JP7094706B2 (ja) 作図支援システム、作図支援方法、及び作図支援プログラム
JP7322355B2 (ja) 曲線生成方法、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11656599B2 (en) Machining simulator and storage medium encoded with machining simulation program
JP6910750B1 (ja) 工具経路生成方法、工具経路生成プログラム及びサーバ装置
KR20230031744A (ko) 드로잉 툴 기반의 곡선 피팅 방법, 장치 및 기기
JP2019518290A (ja) 応力特異性の検出および除去
JP4276127B2 (ja) 加工工具選択装置、加工工具選択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