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1518A - 적층체 및 적층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적층체 및 적층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1518A
KR20230141518A KR1020230038016A KR20230038016A KR20230141518A KR 20230141518 A KR20230141518 A KR 20230141518A KR 1020230038016 A KR1020230038016 A KR 1020230038016A KR 20230038016 A KR20230038016 A KR 20230038016A KR 20230141518 A KR20230141518 A KR 20230141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film
film
laminate
layer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8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아키 사와다
미즈에 나가타
사토시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41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151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 C09J133/064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containing anhydride, COOH or COOM groups, with M being metal or onium-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09J7/401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characterised by the release coating com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ly on one side of the carrier, e.g. sing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Abstract

본 발명은 외관이 우수하고 생산성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체는, 보호 필름과, 기능성 필름과, 점착제층을 이 순서대로 포함하고, 상기 보호 필름은, 상기 기능성 필름이 배치되는 측으로부터, 점착성을 구비하는 제1 보호 필름과, 제2 보호 필름을 이 순서대로 포함하고, 상기 제1 보호 필름과 상기 제2 보호 필름은 점착제를 개재하여 적층되어 있다.

Description

적층체 및 적층체의 제조 방법{LAMINATE AND METHOD FOR PRODUCING LAMINATE}
본 발명은 적층체 및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능성 필름은 점착제를 이용하여 피착체에 첩합될 경우가 있다. 예컨대, 액정 표시 장치 및 일렉트로루미네센스(EL) 표시 장치(예컨대, 유기 EL 표시 장치, 무기 EL 표시 장치)로 대표되는 화상 표시 장치에 탑재되는 화상 표시 패널에는, 일반적으로 편광판, 위상차 필름 등의 기능성 필름이 점착제를 이용하여 첩합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을 참조).
피착체에 기능성 필름을 적층하기 위하여, 미리 기능성 필름에 점착제층을 적층하여 두는 경우가 있지만, 이 적층을 양호하게 행하여, 우수한 외관을 갖는 적층체를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하여, 얻어진 적층체는 다른 필름과 양호하게 적층 가능한 상태인 것도 바람직하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21-103286호
상기를 감안하여,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외관이 우수하고, 생산성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체는, 보호 필름과, 기능성 필름과, 점착제층을 이 순서대로 포함하고, 상기 보호 필름은, 상기 기능성 필름이 배치되는 측으로부터, 점착성을 구비하는 제1 보호 필름과, 제2 보호 필름을 이 순서대로 포함하고, 상기 제1 보호 필름과 상기 제2 보호 필름은 점착제를 개재하여 적층되어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기능성 필름에 대한 상기 보호 필름의 박리력은 0.03N/25mm 이하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2 보호 필름의 표면 조도 Ra는 0.1㎛ 이하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점착제층의 25℃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0.14MPa 이상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 조성물은,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및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포함하고,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의 함유량은 1.5중량부 이상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기능성 필름은 위상차 필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적층체로부터 상기 보호 필름을 박리한 후, 상기 적층체와 편광판을 적층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체의 제조 방법은, 서로 대향하는 제1 주면 및 제2 주면을 포함하는 기능성 필름의 상기 제1 주면에 보호 필름을 첩합하는 것 및 상기 기능성 필름의 상기 제2 주면에 점착제 조성물의 도공층을 적층하고, 상기 도공층을 에이징하여 점착제층을 얻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보호 필름은, 상기 기능성 필름이 배치되는 측으로부터, 점착성을 구비하는 제1 보호 필름과, 제2 보호 필름을 이 순서대로 포함하고, 상기 제1 보호 필름과 상기 제2 보호 필름은 점착제를 개재하여 적층되어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조 방법은 박리 라이너에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도공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조 방법은, 장척상의 상기 기능성 필름을, 상기 보호 필름이 첩합되고, 상기 도공층이 적층된 상태에서, 롤상으로 권회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에이징을 롤상으로 권회된 상태에서 행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도공층은,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도공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건조 온도는 130℃ 이하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에이징을 25℃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0.14MPa 이상이 될 때까지 행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기능성 필름에 대한 상기 보호 필름의 박리력은 0.03N/25mm 이하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2 보호 필름의 표면 조도 Ra는 0.1㎛ 이하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및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포함하고,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의 함유량은 1.5중량부 이상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외관이 우수하고 생산성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적층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체의 개략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체의 제조 공정 1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b는, 상기 공정 1에 이어지는 공정 2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타흔(打痕)이 발생하는 모습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적층체 전구체의 권회체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의 개략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형태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은 설명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실시의 형태에 비하여, 각부의 폭, 두께, 형상 등에 대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경우가 있지만,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본 발명의 해석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용어 및 기호의 정의)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및 기호의 정의는 하기와 같다.
(1) 굴절률(nx, ny, nz)
'nx'는 면내의 굴절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즉,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이고, 'ny'는 면내에서 지상축과 직교하는 방향(즉,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이며, 'nz'는 두께 방향의 굴절률이다.
(2) 면내 위상차(Re)
'Re(λ)'는, 23℃에서의 파장 λnm의 광으로 측정한 면내 위상차이다. 예컨대, 'Re(550)'은, 23℃에서의 파장 550nm의 광으로 측정한 면내 위상차이다. Re(λ)는, 층(필름)의 두께를 d(nm)로 하였을 때, 식: Re(λ)=(nx-ny)×d에 의해 구할 수 있다.
(3) 두께 방향의 위상차(Rth)
'Rth(λ)'는, 23℃에서의 파장 λnm의 광으로 측정한 두께 방향의 위상차이다. 예컨대, 'Rth(550)'는, 23℃에서의 파장 550nm의 광으로 측정한 두께 방향의 위상차이다. Rth(λ)는, 층(필름)의 두께를 d(nm)로 하였을 때, 식: Rth(λ)=(nx-nz)×d에 의해 구할 수 있다.
(4) Nz 계수
Nz 계수는 Nz=Rth/Re에 의해 구할 수 있다.
(5) 각도
본 명세서에서 각도를 언급할 때는, 당해 각도는 기준 방향에 대하여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의 양쪽을 포함한다. 따라서, 예컨대 '45°'는 ±45°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체의 제조 방법은, 서로 대향하는 제1 주면 및 제2 주면을 포함하는 기능성 필름의 제1 주면에 보호 필름을 첩합하는 것(공정 1), 및 기능성 필름의 제2 주면에 점착제 조성물의 도공층을 적층하고(공정 2), 도공층을 에이징하여 점착제층을 얻는 것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체의 개략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며,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체의 제조 방법의 공정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체(52)는, 보호 필름(20)과, 기능성 필름(10)과, 점착제층(32)과, 박리 라이너(40)를 이 순서대로 포함한다.
공정 1에서는, 서로 대향하는 제1 주면(10a) 및 제2 주면(10b)을 갖는 기능성 필름(10)의 제1 주면(10a)에 보호 필름(20)을 첩합하고, 도 2a는 그의 첩합이 완성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대표적으로는, 기능성 필름(10) 및 보호 필름(20)은 장척상으로 되고, 첩합은 이들을 롤 반송하면서(소위 롤 투 롤에 의해) 행하여진다. 여기서, '장척상'이란, 폭에 대하여 길이가 충분히 긴 세장 형상을 말하며, 예컨대 폭에 대하여 길이가 10배 이상, 바람직하게는 20배 이상인 세장 형상을 말한다. 보호 필름(20)을 이용함으로써, 기능성 필름(10)의 반송성을 확보할 수 있다.
기능성 필름(10)은, 예컨대 위상차 필름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기능성 필름(10)은, 수지 필름의 연신 필름(연신 수지 필름)일 수 있다. 수지 필름은, 대표적으로는, 카보네이트 결합 및 에스테르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기를 포함하는 수지를 함유한다. 바꾸어 말하면, 수지 필름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또는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계 수지를 함유한다.
위상차 필름은, 용도 등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광학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위상차 필름은 λ/4판으로서 기능할 수 있고, 대표적으로는. 굴절률 특성이 nx>ny=nz의 관계를 나타낸다. 위상차 필름의 면내 위상차 Re(550)는, 바람직하게는 100nm∼190nm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nm∼170nm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nm∼160nm이다. 또한, 여기서 'ny=nz'는 ny와 nz가 완전히 동일한 경우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ny>nz 또는 ny<nz가 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위상차 필름의 Nz 계수는, 바람직하게는 0.9~1.5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9~1.3이다. 위상차 필름은, 위상차값이 측정 광의 파장에 따라 커지는 역분산 파장 특성을 나타내어도 된다. 이 경우, 위상차 필름의 Re(450)/Re(550)는, 바람직하게는 0.8 이상 1 미만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8 이상 0.95 이하이다.
위상차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7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60㎛ 이하이다.
보호 필름(20)은, 기능성 필름(10)이 배치되는 측으로부터, 제1 보호 필름(21)과 제2 보호 필름(22)을 이 순서대로 포함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보호 필름(22)은 점착제층(23)을 개재하여 제1 보호 필름(21)에 적층되어 있다. 보호 필름(20)의 두께는, 예컨대 40㎛~120㎛이다. 보호 필름(20)의 첩합은, 기능성 필름(10)에 제1 보호 필름(21)을 첩합한 후, 제1 보호 필름(21)에 제2 보호 필름(22)을 첩합하여도 되고, 미리, 제1 보호 필름(21)에 제2 보호 필름(22)을 첩합한 후, 이것을 기능성 필름(10)에 첩합하여도 된다. 제1 보호 필름(21)에 대한 제2 보호 필름(22)의 첩합은, 미리, 제2 보호 필름(22)에 점착제층(23)이 형성된 표면 보호 필름을 이용하여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보호 필름(21)으로서는, 점착성을 구비한 자기 점착성 필름이 이용된다. 자기 점착성 필름으로서는, 대표적으로는, 폴리올레핀 필름이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자기 점착성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구성된다. 여기서, 폴리에틸렌에는, 에틸렌의 호모폴리머 및 에틸렌과 다른 올레핀의 공중합체가 포함된다. 폴리프로필렌에는, 프로필렌의 호모폴리머 및 프로필렌과 다른 올레핀의 공중합체가 포함된다.
상기 폴리에틸렌의 구체예로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線)상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을 들 수 있다.
상기 다른 올레핀으로서는, 예컨대 에틸렌, 프로필렌, 부텐, 펜텐, 헥센, 헵텐, 옥텐, 노넨, 데센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에틸렌, 프로필렌, 부텐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과 다른 올레핀의 공중합체의 제작에서, 다른 올레핀의 배합 비율은,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과 다른 올레핀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하여, 40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중량부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중량부 이하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폴리올레핀 필름은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올레핀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필름 또는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의 혼합물 필름이다. 폴리올레핀 필름이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경우, 폴리에틸렌의 함유 비율은,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하여 60중량부 이상 97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0중량부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0중량부 이상이다.
자기 점착성 필름(폴리올레핀 필름)은 입자, 안료, 착색제, 대전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열 안정제, 염소 포획제 등의 다른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자기 점착성 필름(폴리올레핀 필름)은, 조성이 균일한 단일층이어도 되고, 조성이 상이한 2층 이상의 적층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적층 구조의 구체예로서는, 조성이 상이한 제1층과 제2층의 2층 구조, 제1층과 제2층과 제3층의 3층 구조를 들 수 있다. 또한, 제1층과 제3층은, 조성이 실질적으로 동일하여도 되고, 상이하여도 된다. 또한, 자기 점착성 필름(폴리올레핀 필름)은, 무연신 필름이어도 되고, 연신 필름이어도 되지만, 무연신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자기 점착성 필름의 표면 조도 Ra(첩착면과는 반대 측의 주면의 Ra)는, 예컨대 0.05㎛ 이상 0.5㎛ 이하이다. 자기 점착성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5㎛~6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5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5㎛~40㎛이다.
제2 보호 필름(22)의 형성 재료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폴리머;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폴리노보넨 등의 시클로올레핀계 폴리머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하여도 된다.
점착제층(23)으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구성이 채용될 수 있다. 구체예로서는,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에폭시계 점착제 및 폴리에테르계 점착제를 들 수 있다. 점착제의 베이스 수지를 형성하는 모노머의 종류, 수, 조합과 배합비, 및 가교제의 배합량, 반응 온도, 반응 시간 등을 조정함으로써, 목적에 따른 소망하는 특성을 갖는 점착제를 조제할 수 있다. 점착제의 베이스 수지는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하여도 된다. 베이스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아크릴 수지이다(구체적으로는, 점착제층은, 바람직하게는 아크릴계 점착제로 구성된다). 점착제층의 두께는, 예컨대 5㎛~15㎛이다.
제2 보호 필름(22)의 표면 조도 Ra는, 바람직하게는 0.1㎛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7㎛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이하이다. 제2 보호 필름(22)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0㎛~8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6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50㎛이다.
기능성 필름(10)에 대한 보호 필름(20)의 박리력(실질적으로는, 기능성 필름(10)에 대한 제1 보호 필름(21)의 박리력)은, 바람직하게는 0.03N/25mm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5N/25mm 이하이다. 이와 같은 박리력에 의하면, 예컨대 후술하는 다른 필름과의 적층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기능성 필름(10)으로부터 보호 필름(20)을 박리할 때의 박리성이 우수하고, 다른 필름과 양호하게 적층할 수 있다. 한편, 기능성 필름(10)에 대한 보호 필름(20)의 박리력은, 바람직하게는 0.01N/25mm 이상이다.
공정 2에서는, 기능성 필름(10)의 제2 주면(10b)에 점착제 조성물의 도공층(30)을 적층하고, 도 2b는 적층체 전구체(50)가 완성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예에서는, 박리 라이너(40)를 이용하여, 기능성 필름(10)의 제2 주면(10b)에 점착제 조성물의 도공층(30)을 적층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박리 라이너(40)에 점착제 조성물의 도공층(30)을 형성하고, 도공층(30)이 형성된 박리 라이너(40)를 기능성 필름(10)에 적층함으로써 적층체 전구체(50)를 제작하고 있다. 박리 라이너(40)를 이용함으로써, 예컨대, 도공층(30)을 보호함과 함께, 기능성 필름(10)을 롤상으로 권회할 수 있다.
도공층(30)은, 점착제 조성물을 도공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은, 대표적으로는, 아크릴계 점착제이다. 아크릴계 점착제는, 대표적으로는,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를 포함한다.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는, 바람직하게는, 모노머 성분으로서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말한다.
상기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에 포함되는 알킬기로서는, 예컨대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으로서 탄소수 1∼18의 알킬기를 들 수 있다. 알킬기의 구체예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이소부틸기, 아밀기, 헥실기, 시클로헥실기, 헵틸기, 2-에틸헥실기, 이소옥틸기, 노닐기, 데실기, 이소데실기, 도데실기, 이소미리스틸기, 라우릴기, 트리데실기, 펜타데실기, 헥사데실기, 헵타데실기, 옥타데실기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이용될 수 있다. 알킬기의 평균 탄소수는 3~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에서의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은,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를 형성하는 모노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예컨대 50중량부∼95중량부이고, 바람직하게는 70중량부~90중량부이다.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는, 모노머 성분으로서 극성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극성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로서는, 예컨대 카복실기 함유 모노머, 히드록실기 함유 모노머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카복실기 함유 모노머가 이용된다.
상기 카복실기 함유 모노머는, 카복실기를 갖고, 또한 (메트)아크릴로일기, 비닐기 등의 중합성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이다. 카복실기 함유 모노머의 구체예로서는, (메트)아크릴산, 카복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카복시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크로톤산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산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에서의 극성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의 함유량은,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를 형성하는 모노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1중량부~10중량부이어도 되고, 2.5중량부~8중량부이어도 된다.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는, 모노머 성분으로서, 방향환을 갖는 모노머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방향환을 갖는 모노머로서는, 바람직하게는, 벤질 아크릴레이트가 이용된다.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에서의 방향환을 갖는 모노머의 함유량은,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를 형성하는 모노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5중량부~30중량부이어도 되고, 10중량부~20중량부이어도 된다.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예컨대 100×104~300×104이고, 바람직하게는 150×104~250×104이다.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에는 가교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대표적으로는, 가교제는, 얻어지는 점착제층에서는, 가교 반응 후의 형태로 아크릴계 점착제에 포함된다. 가교제를 함유시킴으로써, 예컨대 아크릴계 점착제에 적당한 응집력을 부여할 수 있다. 가교제로서는, 바람직하게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특히, 3관능의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가 이용된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의 배합량은,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5중량부 이상 10중량부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중량부 이상 5중량부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아크릴계 점착제는 과산화물계 가교제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형태에 따르면, 예컨대, 얻어지는 점착제층의 백화를 억제하고, 점착 특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는, 임의의 적절한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첨가제의 대표예로서는, 각종 실란 커플링제를 들 수 있다.
건조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30℃ 이하이고, 120℃ 이하이어도 되고, 110℃ 이하이어도 되며, 100℃ 이하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온도에서 건조함으로써,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가교 속도를 억제하여 상기 백화를 억제하면서, 후술하는 저장 탄성률을 만족하는 점착제층을 얻을 수 있다. 한편, 건조 온도는, 예컨대 90℃ 이상이다. 건조 시간은, 예컨대 60초~120초이다.
도공층(30)의 겔 분율(도공층 형성 직후)은, 예컨대 5% 이상 85% 미만이고, 50% 이하이어도 되고, 20% 이하이어도 된다. 도공층(30)의 두께(얻어지는 점착제 층의 두께)는, 예컨대 10㎛~50㎛이다.
박리 라이너(40)는 임의의 적절한 플라스틱 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플라스틱 필름의 구체예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들 수 있다. 박리 라이너(40)로서는, 표면이 박리제로 코팅된 플라스틱 필름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박리제의 구체예로서는, 실리콘계 박리제, 불소계 박리제, 장쇄 알킬 아크릴레이트계 박리제를 들 수 있다.
박리 라이너(40)의 두께는, 예컨대 30㎛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40㎛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이다. 한편, 박리 라이너(40)의 두께는, 예컨대 10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80㎛ 이하이다.
형성된 도공층(30)을 에이징하여, 도 1에 나타내는 적층체(52)가 얻어질 수 있다. 도공층(30)을 형성 후, 기능성 필름(10)(적층체 전구체(50))을 롤상으로 권회하는 경우, 도공층(30)은 롤상으로 권회된 상태에서 에이징된다. 에이징의 온도는, 예컨대 20℃~40℃이다. 에이징의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24시간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2일~7일이다. 에이징에 의해 후술하는 저장 탄성률을 양호하게 달성할 수 있다.
롤상으로 권회된 적층체 전구체(50)에서, 도공층(30)의 내측에 위치하는 보호 필름(20)의 표면 상태(표면의 요철 형상)에 따라서는, 에이징 도중의 도공층(30)에 타흔이 발생하여, 얻어지는 점착제층에 타흔이 존재할 수 있다. 도공층(30)을 에이징하여 얻어지는 점착제층은, 화상 표시 패널의 화상 표시 패널 본체에 첩합될 수 있기 때문에, 점착제층의 타흔은 화상 표시 특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도 3은, 타흔이 발생하는 모습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적층체 전구체의 권회체의 부분 확대도이다. 내측에 위치하는 보호 필름(20)의 표면에 존재하는 볼록부(20a)를 따라, 볼록부(20a)의 외측에 위치하는 도공층(30)에 타흔이 발생할 수 있다. 도공층(30)의 에이징이 충분히 진행되지 않는 경우, 타흔은 발생하기 쉬운 경향이 있다. 보호 필름(20)(제2 보호 필름(22))이 상기 표면 조도 Ra를 만족할 수 있음으로써, 도공층(30)에서의 타흔의 발생을 억제하고, 타흔(풀 타흔)의 발생이 억제된 점착제층을 얻을 수 있다.
 얻어지는 점착제층의 겔 분율(에이징 후의 겔 분율)은, 바람직하게는 85%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다. 점착제층의 25℃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바람직하게는 0.14MPa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6MPa 이상이다. 한편, 점착제층의 25℃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바람직하게는 1.5MPa 이하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체는, 예컨대 편광판에 적층하여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기능성 필름을 위상차 필름으로서 이용하고, 편광판에 적층하여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을 얻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의 개략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100)은, 보호 필름(20)을 박리하고, 기능성 필름(위상차 필름)(10)과 도공층(30)을 에이징하여 얻어지는 점착제층(32)과 박리 라이너(40)를 포함하는 적층체(52)와 편광판(60)을 적층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대표적으로는, 적층체(52) 및 편광판(60)은 장척상으로 되어, 적층은 이들을 롤 반송하면서(소위 롤 투 롤에 의해) 행하여진다.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100)은, 대표적으로는, 화상 표시 패널의 화상 표시 패널 본체에 점착제층(32)에 의해 첩부된다. 점착제층(32)이 상기 저장 탄성률을 만족함으로써, 환경 변화에 의한 표시 특성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예컨대, 기능성 필름(위상차 필름)(10)의 위상차 특성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도시예에서는, 편광판(60)은, 편광자(61)와, 편광자(61)의 편측에 배치되는 제1 보호층(62)과, 편광자(61)의 다른 편측에 배치되는 제2 보호층(63)을 포함하고 있으나, 제2 보호층(63)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각 부재는 임의의 적절한 접착층을 개재하여 적층될 수 있다. 접착층의 구체예로서는, 접착제층, 점착제층을 들 수 있다. 예컨대, 편광자와 보호층은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첩합된다. 구체적으로는, 편광자와 보호층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를 이용하여 첩합된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의 경화 후의 두께(접착제층의 두께)는, 예컨대 0.2㎛∼3.0㎛이고, 바람직하게는 0.4㎛∼2.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6㎛~1.5㎛이다. 또한, 예컨대 편광판과 기능성 필름은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첩합된다. 편광판과 기능성 필름의 사이에 배치되는 점착제층의 두께는, 예컨대 10㎛~20㎛이다.
[편광자]
상기 편광자는, 대표적으로는, 이색성(二色性) 물질(예컨대, 요오드)을 포함하는 수지 필름이다. 수지 필름으로서는, 예컨대 폴리비닐알코올(PVA)계 필름, 부분 포르말화 PVA계 필름,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계 부분 비누화 필름 등의 친수성 고분자 필름을 들 수 있다.
편광자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8㎛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이하이다. 한편, 편광자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 이상이다.
편광자는, 바람직하게는 파장 380nm~780nm 중 어느 파장에서 흡수 이색성을 나타낸다. 편광자의 단체 투과율은, 예컨대 41.5%∼46.0%이고, 바람직하게는 42.0%∼46.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4.5%∼46.0%이다. 편광자의 편광도는, 바람직하게는 97.0%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9.0%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9.9% 이상이다.
편광자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제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편광자는 단층의 수지 필름으로부터 제작하여도 되고, 2층 이상의 적층체를 이용하여 제작하여도 된다.
상기 단층의 수지 필름으로부터 편광자를 제작하는 방법은, 대표적으로는, 수지 필름에, 요오드나 이색성 염료 등의 이색성 물질에 의한 염색 처리와 연신 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수지 필름으로서는, 예컨대, 폴리비닐알코올(PVA)계 필름, 부분 포르말화 PVA계 필름,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계 부분 비누화 필름 등의 친수성 고분자 필름이 이용된다. 당해 방법은, 불용화 처리, 팽윤 처리, 가교 처리 등을 추가로 포함하여도 된다. 이와 같은 제조 방법은 당업계에 주지 관용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적층체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편광자는, 예컨대 수지 기재와 수지 필름 또는 수지층(대표적으로는 PVA계 수지층)의 적층체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PVA계 수지 용액을 수지 기재에 도포하고, 건조시켜 수지 기재 위에 PVA계 수지층을 형성하여, 수지 기재와 PVA계 수지층의 적층체를 얻는 것; 당해 적층체를 연신 및 염색하여 PVA계 수지층을 편광자로 하는 것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수지 기재의 편측에, 할로겐화물과 PVA계 수지를 포함하는 PVA계 수지층을 형성한다. 연신은, 대표적으로는 적층체를 붕산 수용액 중에 침지시켜 연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연신은, 필요에 따라, 붕산 수용액 중에서의 연신의 전에 적층체를 고온(예컨대, 95℃ 이상)에서 공중 연신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적층체는, 긴 방향으로 반송하면서 가열함으로써 폭 방향으로 2% 이상 수축시키는 건조 수축 처리에 제공된다. 대표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의 제조 방법은, 적층체에, 공중 보조 연신 처리와 염색 처리와 수중 연신 처리와 건조 수축 처리를 이 순서대로 실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보조 연신을 도입함으로써, 열가소성 수지 위에 PVA를 도포하는 경우에도, PVA의 결정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져, 높은 광학 특성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동시에 PVA의 배향성을 사전에 높임으로써, 후의 염색 공정이나 연신 공정에서 물에 침지되었을 때에, PVA의 배향성의 저하나 용해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어, 높은 광학 특성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PVA계 수지층을 액체에 침지한 경우에서, PVA계 수지층이 할로겐화물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PVA 분자의 배향의 흐트러짐 및 배향성의 저하가 억제될 수 있고, 높은 광학 특성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건조 수축 처리에 의해 적층체를 폭 방향으로 수축시킴으로써, 높은 광학 특성을 달성할 수 있다. 얻어진 수지 기재/편광자의 적층체로부터 수지 기재를 박리한 박리면에, 또는, 박리면과는 반대 측의 면에 보호층을 적층하여 편광판이 얻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편광자의 제조 방법의 상세는, 예컨대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2-73580호, 일본특허 제6470455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 공보는, 그의 전체의 기재가 본 명세서에 참고로서 원용된다.
[보호층]
상기 보호층은, 편광자의 보호층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당해 필름의 주성분이 되는 재료의 구체예로서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비닐알코올계,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이미드계, 폴리에테르설폰계, 폴리설폰계, 폴리스티렌계, 폴리노보넨 등의 시클로올레핀계, 폴리올레핀계, (메트)아크릴계, 아세테이트계 등의 수지를 들 수 있다.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은, 대표적으로는, 화상 표시 장치(예컨대, 유기 EL 표시 장치)의 시인(視認) 측에 배치되어, 제1 보호층(62)은 시인 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1 보호층(62)에는, 필요에 따라 하드 코트(HC) 처리, 반사 방지 처리, 스티킹 방지 처리, 안티글레어 처리 등의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보호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8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40㎛, 더욱 바람직하게는 15㎛~35㎛이다. 또한, 상기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경우, 제1 보호층(62)의 두께는 표면 처리층의 두께를 포함한 두께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편광자(61)와 기능성 필름(10)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보호층(63)은 광학적으로 등방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광학적으로 등방성이다'란, 면내 위상차 Re(550)가 0nm∼10nm이고, 두께 방향의 위상차 Rth(550)가 -10nm∼+10nm인 것을 말한다. 편광자(61)와 기능성 필름(10)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보호층(63)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8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4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30㎛이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두께, 표면 조도 Ra, 겔 분율 및 저장 탄성률은 하기의 측정 방법에 의해 측정한 값이다. 또한, 특별히 명기하지 않는 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의 '부' 및 '%'는 중량 기준이다.
<두께>
10㎛ 이하의 두께는, 주사(走査)형 전자 현미경(니혼전자사 제조, 제품명 'JSM-7100F')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10㎛를 초과하는 두께는, 디지털 마이크로미터(안리츠사 제조, 제품명 'KC-351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표면 조도 Ra>
JIS B 0601(1994년도판)에 따라 산술 평균 표면 조도 Ra(㎛)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유리판(마쓰나미(MATSUNAMI)사 제조, MICRO SLIDE GLASS, 품번 S, 두께 1.3mm, 45mm×50mm)에 측정 대상을 점착제로 첩합하여 측정용 시료를 제작하였다. 다음으로, 선단부(다이아몬드)의 곡률 반경(R)이 2㎛인 측정 바늘을 갖는 촉침식 표면 조도 측정기(주식회사 오사카 연구소 제조, 고 정밀도 미세 형상 측정기, 상품명 '서프 코더 ET4000') 를 이용하여, 주사 속도 1㎜/초, 컷 오프값 0.8㎜, 측정 길이 12㎜의 조건에서 얻어진, 측정용 시료의 최표면의 요철 형상을 일정 방향으로 측정하였다. 이 측정에 기초하여, 산술 평균 표면 조도 Ra를 산출하였다. 또한, 상기 고 정밀도 미세 형상 측정기는 측정값을 자동적으로 산출한다.
<겔 분율>
점착제 조성물의 도공 직후, 도공으로부터 3일 후 및 도공으로부터 5일 후의 겔 분율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박리 라이너와 도공층의 적층물로부터 5cm×5cm의 사이즈로 절취한 시험편의 중량을 측정한 후, 시험편을 톨루엔 50g 중에 1시간 침지하였다. 침지 후, 잔존물을 취출하여 150℃에서 10분간 건조 처리하고, 다시 중량을 측정하여 겔 분율(%)을 산출하였다.
<저장 탄성률 G'(25)>
동적 점탄성 측정에 의해 저장 탄성률(G')을 온도 25℃에서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티에이 인스트루먼츠(TA Instruments)사 제조, 'ARES-G2')를 이용하여, 이하의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측정용의 샘플로서는, 평가 대상의 점착제층을 두께 1㎜로 변경한 것을 이용하였다.
·변형 모드: 비틀림
·측정 주파수: 1Hz
·승온 속도: 5℃/분
·형상: 패럴렐 플레이트, 8.0mmφ
[실시예 1]
(위상차 필름의 준비)
위상차 필름으로서, 두께 52㎛의 연신 수지 필름(테이진사 제조, '퓨어 에이스 RM-147')을 준비하였다.
(보호 필름의 첩합)
위상차 필름의 편측에, 폴리에틸렌계 필름(도레이 필름 가공 주식회사 제조, '트레텍(등록상표) 7832C', 두께: 30㎛, 첩착면과는 반대 측의 주면의 Ra: 0.05㎛)을 첩합하였다. 이어서, 폴리에틸렌계 필름 표면에, 표면 보호 필름(닛토덴코사 제조, 'E-MASK RP301', 두께 60m)을 첩합하였다. 또한, 표면 보호 필름은, 두께 50㎛의 PET계 필름에 점착제층(두께 10㎛)이 형성된 필름이다.
(점착제 조성물 A의 조제)
교반 날개, 온도계, 질소 가스 도입관 및 냉각기를 구비한 4구 플라스크에, n-부틸 아크릴레이트(BA) 79.9중량부, 벤질 아크릴레이트(BzA) 15.0중량부, 아크릴산(AA) 5.0중량부 및 4-히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HBA) 0.1을 투입하였다. 다음으로, BA, AA 및 HBA의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중합 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을 0.1중량부 더하고, 완만하게 교반하면서 질소 가스를 도입하여 플라스크 내를 질소 치환한 후, 플라스크 내의 액체 온도를 55℃ 부근으로 유지하고 중합 반응을 7시간 진행시켰다. 다음으로, 얻어진 반응액에 초산 에틸을 더하여, 고형분 농도 12중량%로 조정하여, (메트)아크릴계 폴리머(A)의 용액을 얻었다. (메트)아크릴계 폴리머(A)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220만이었다.
얻어진 (메트)아크릴계 폴리머(A)의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트리메틸올프로판/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3량체 부가물(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도소사 제조, '코로네이트 L') 3중량부 및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실란 커플링제, 신에쓰 화학공업사 제조, 'KBM403') 0.1중량부를 혼합하여, 용제형의 점착제 조성물 A를 얻었다.
(도공층의 형성)
편측에 실리콘 처리가 실시된 두께 38㎛의 PET계 필름(미쓰비시 화학 폴리에스테르 필름사 제조, 'MRF38')의 처리 면에, 파운틴 코터를 이용하여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 A를 도공하고, 95℃에서 100초간 공기 순환식 항온 오븐에서 건조하여, 두께 15㎛, 겔 분율 8%의 도공층을 형성하였다.
(적층체의 제작)
위상차 필름의 보호 필름이 첩합되어 있지 않은 측에, 도공층이 형성된 박리 라이너를 첩합하여 적층체 전구체를 얻었다. 얻어진 적층체 전구체를, 박리 라이너가 내측에 배치되도록 롤상으로 권취(卷取)하고, 이 상태로 23℃에서 5일간 두고, 도공층의 에이징을 행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저장 탄성률이 0.18MPa이고, 겔 분율이 94% 이상인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 2]
도공층의 형성에서, 건조 온도를 125℃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저장 탄성률이 0.18MPa이고, 겔 분율이 94% 이상인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얻었다.
[비교예 1]
보호 필름의 첩합에서, 표면 보호 필름을 이용하지 않은 것(폴리에틸렌계 필름만을 위상차 필름에 첩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저장 탄성률이 0.18MPa이고, 겔 분율이 94% 이상인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얻었다.
[비교예 2]
보호 필름의 첩합에서, 폴리에틸렌계 필름을 이용하지 않은 것(표면 보호 필름만을 위상차 필름에 첩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저장 탄성률이 0.18MPa이고, 겔 분율이 94% 이상인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얻었다.
[비교예 3]
위상차 필름에 보호 필름을 첩합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저장 탄성률이 0.18MPa이고, 겔 분율이 94% 이상인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얻었다.
[참고예]
도공층의 형성에서, 하기의 점착제 조성물 B를 이용한 것 및 도공 후에 155℃에서 60초간 건조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저장 탄성률이 0.18MPa이고, 겔 분율이 94% 이상인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얻었다.
<점착제 조성물 B>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A)의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트리메틸올프로판/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3량체 부가물(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도소사 제조, '코로네이트 L') 3중량부, 벤조일퍼옥사이드(과산화물 가교제, 니혼유지사 제조, '나이퍼 BMT-K40') 0.1중량부 및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실란 커플링제, 신에쓰 화학 공업사 제조, 'KBM403') 0.1중량부를 혼합하여, 용제형의 점착제 조성물 B를 얻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하여, 하기의 평가를 행하였다. 평가 결과를 각종 측정값과 함께 표 1 중에 정리한다. 또한, 표 1에 나타내는 표면 조도 Ra는, 적층체 최표면(박리 라이너와는 반대 측의)에 위치하는 부재에 대하여 측정한 값이다.
<평가>
1. 반송성
적층체가 얻어질 때까지(위상차 필름에 도공층을 첩합할 때)의 반송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양호: 반송으로 인한 접힘, 파단은 발생하지 않음
불량: 반송으로 인한 접힘, 파단이 발생함
2. 박리성
얻어진 적층체로부터 폭 50mm, 길이 100mm의 사이즈로 절취한 샘플을, 만능 인장 시험기에서 박리 속도 300mm/분, 박리 각도 90°로 길이 방향으로 박리하였을 때의 박리력(N/25mm)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위상차 필름에 대한 보호 필름의 박리력을 측정하였다. 또한, 측정은 23℃, 50%RH의 환경 하에서 행하였다.
또한, 얻어진 적층체로부터 폭 70mm, 길이 100mm의 사이즈로 절취한 샘플을, 만능 인장 시험기에서 박리 속도 30mm/분, 박리 각도 90°로 길이 방향으로 박리하였을 때에 발생하는 박리 직후의 위상차 필름 표면의 전위(kV)를, 샘플의 평면시 중앙부의 위쪽 100㎜의 위치에 고정시킨 표면 전위계(카스가전기사 제조, 'KSD-0103')로 측정하였다. 측정은 23℃, 50%RH의 환경 하에서 행하였다.
3. 외관(타흔)
적층체(에이징 후)의 외관을 육안으로 관찰하고, 적층체의 장척 방향 1m의 범위 내에 확인되는 타흔의 수를 확인함으로써 평가하였다.
[표 1]
실시예에서는, 우수한 박리성과 외관이 달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참고예에서, 가교제의 응집이 원인으로 생각되는 점착제층의 백화가 확인되었지만,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는 점착제층의 백화는 확인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체는, 예컨대 화상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의 제조에 이용될 수 있다. 화상 표시 장치로서는, 대표적으로는 액정 표시 장치, 유기 EL 표시 장치, 무기 EL 표시 장치를 들 수 있다.
10: 기능성 필름
20: 보호 필름
21: 제1 보호 필름
22: 제2 보호 필름
23: 점착제층
30: 도공층
32: 점착제층
40: 박리 라이너
50: 적층체 전구체
52: 적층체
60: 편광판
61: 편광자
62: 제1 보호층
63: 제2 보호층
100: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

Claims (15)

  1. 보호 필름과, 기능성 필름과, 점착제층을 이 순서대로 포함하고,
    상기 보호 필름은, 상기 기능성 필름이 배치되는 측으로부터, 점착성을 구비하는 제1 보호 필름과, 제2 보호 필름을 이 순서대로 포함하고, 상기 제1 보호 필름과 상기 제2 보호 필름은 점착제를 개재하여 적층되어 있는,
    적층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필름에 대한 상기 보호 필름의 박리력은 0.03N/25mm 이하인, 적층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호 필름의 표면 조도 Ra는 0.1㎛ 이하인, 적층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25℃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0.14MPa 이상인, 적층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 조성물은,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및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포함하고,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의 함유량은 1.5중량부 이상인, 적층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필름은 위상차 필름인, 적층체.
  7. 서로 대향하는 제1 주면 및 제2 주면을 포함하는 기능성 필름의 상기 제1 주면에 보호 필름을 첩합하는 것, 및,
    상기 기능성 필름의 상기 제2 주면에 점착제 조성물의 도공층을 적층하고, 상기 도공층을 에이징하여 점착제층을 얻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보호 필름은, 상기 기능성 필름이 배치되는 측으로부터, 점착성을 구비하는 제1 보호 필름과, 제2 보호 필름을 이 순서대로 포함하고, 상기 제1 보호 필름과 상기 제2 보호 필름은 점착제를 개재하여 적층되어 있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박리 라이너에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도공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장척상의 상기 기능성 필름을, 상기 보호 필름이 첩합되고, 상기 도공층이 적층된 상태에서, 롤상으로 권회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에이징을, 롤상으로 권회된 상태에서 행하는, 제조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공층은,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도공하고, 건조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건조 온도는 130℃ 이하인, 제조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에이징을 25℃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0.14MPa 이상이 될 때까지 행하는, 제조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필름에 대한 상기 보호 필름의 박리력은 0.03N/25mm 이하인, 제조 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호 필름의 표면 조도 Ra는 0.1㎛ 이하인, 제조 방법.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및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포함하고,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의 함유량은 1.5중량부 이상인, 제조 방법.
  15. 제6항에 기재된 적층체로부터 상기 보호 필름을 떼어낸 후, 상기 적층체와 편광판을 적층하는 것을 포함하는,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의 제조 방법.

KR1020230038016A 2022-03-31 2023-03-23 적층체 및 적층체의 제조 방법 KR202301415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2060571A JP2023151127A (ja) 2022-03-31 2022-03-31 積層体および積層体の製造方法
JPJP-P-2022-060571 2022-03-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1518A true KR20230141518A (ko) 2023-10-10

Family

ID=88292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8016A KR20230141518A (ko) 2022-03-31 2023-03-23 적층체 및 적층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3151127A (ko)
KR (1) KR20230141518A (ko)
CN (1) CN116891691A (ko)
TW (1) TW20234439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103286A (ja) 2019-01-25 2021-07-15 住友化学株式会社 有機elディスプレイ用積層体およびそれに用いる円偏光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103286A (ja) 2019-01-25 2021-07-15 住友化学株式会社 有機elディスプレイ用積層体およびそれに用いる円偏光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344394A (zh) 2023-11-16
CN116891691A (zh) 2023-10-17
JP2023151127A (ja) 2023-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93904B2 (ja) 偏光板
JP6692599B2 (ja) 粘着剤層付き偏光板
WO2014171479A1 (ja) 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2019109329A (ja) 積層体
CN108885298B (zh) 光学薄膜、剥离方法以及光学显示面板的制造方法
JP2016062027A (ja) 粘着剤層付き偏光板
WO2018221232A1 (ja) 光学フィルム、剥離方法及び光学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CN108463750B (zh) 带粘合剂层的单侧保护偏振膜、图像显示装置及其连续制造方法
WO2018190180A1 (ja) 偏光板、画像表示装置および該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20220075221A (ko) 위상차층 및 점착제층 구비 편광판 및 그것을 사용한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 장치
JP2021189259A (ja) 位相差層および粘着剤層付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表示装置
WO2017047408A1 (ja) 複合偏光板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パネル
TW201734515A (zh) 偏光板組及液晶面板
WO2022075148A1 (ja) 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CN110568539B (zh) 带防映入层的偏振片
KR20200047378A (ko) 액정층 적층체
WO2016072358A1 (ja) プロテクトフィルム付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20160197A (ja) 光学積層体および該光学積層体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7089093B2 (ja) 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KR20230141518A (ko) 적층체 및 적층체의 제조 방법
JP7382450B2 (ja) 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7387361B2 (ja) 光学積層体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22202371A1 (ja) 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TWI777946B (zh) 附表面保護薄膜之偏光薄膜及偏光薄膜之製造方法
WO2018216598A1 (ja) 偏光フィルム、粘着剤層付き偏光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