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0923A - 열차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열차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0923A
KR20230140923A KR1020220039785A KR20220039785A KR20230140923A KR 20230140923 A KR20230140923 A KR 20230140923A KR 1020220039785 A KR1020220039785 A KR 1020220039785A KR 20220039785 A KR20220039785 A KR 20220039785A KR 20230140923 A KR20230140923 A KR 20230140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
speed
emergency braking
section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9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한얼
김석헌
진원기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220039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0923A/ko
Publication of KR20230140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09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04Automatic systems, e.g. controlled by train; Change-over to manual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13/00Actuating rail vehicle brakes
    • B61H13/34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5/00Indicators provided on the vehicle or train for signalling purposes
    • B61L15/0072On-board train data han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5/00Recording or indicat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or setting of track apparatus
    • B61L25/02Indicating or record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 B61L25/021Measuring and recording of train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열차 종합 제어 장치로부터 구간 제한 속도 및 열차 속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구간 제한 속도 및 상기 열차 속도를 기초로 열차의 과속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열차의 과속이 감지된 경우 상용만제동 명령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열차 종합 제어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구간 제한 속도가 무코드인지에 따라 제1 비상제동 로직 또는 제2 비상제동 제어 로직을 실행하고, 상기 제1 비상제동 제어 로직 또는 상기 제2 비상제동 제어 로직의 실행에 따라 상기 열차 속도가 상기 구간 제한 속도 이하로 감속된 경우, 상기 제1 비상제동 제어 로직 또는 제2 비상제동 제어 로직의 실행을 종료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자동 열차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열차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IN}
본 개시는 열차 제동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동 신호 발생 시점부터 제동 작동 시점까지의 지연 시간을 고려하여 열차의 제동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 열차 제어 장치(ATC, Automatic Train Control)는 지상으로부터 선로 구간에 대한 속도 코드(제한 속도)를 수신하여 열차의 속도를 제어하는 장치이다.
자동 열차 제어 장치가 열차를 제동하는 방법에는 상용만제동(FSB, Full Service Brake) 및 비상제동(EB, Emergency Brake)가 있다. 상용만제동으로 1차적으로 열차의 속도를 제어하고 제동력이 충분하지 않거나 상용만제동이 작동되지 않은 경우 비상제동이 작동된다. 비상제동은 열차를 완전히 정지하도록 하며 열차가 완전히 정지하기 전까지 작동한다.
한편, 열차가 과속한 경우 자동 열차 제어 장치는 상용만제동(FSB) 신호를 출력하고, 소정의 시간 안에 소정의 속도 이상의 감속도로 열차가 감속되지 않는다면 비상제동을 한다.
그러나, 자동 열차 제어 장치가 열차 종합 제어 장치(TCMS, Train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를 통해서 차량에 상용만제동 출력을 명령해야 하는 경우 자동 열차 제어 장치의 상용만제동 명령 시점과 열차의 상용만제동 작동 시점에 지연 시간(공주 시간)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지연 시간동안 최대 가속되는 상황이 발생하고 열차가 속도가 빠른 구간을 운행하고 있거나 구간 길이가 짧은 구간을 운행하는 경우 제동 거리가 구간을 벗어나게 되어 안전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동 신호 발생 시점부터 제동 작동 시점까지의 지연 시간을 고려하여 철도 차량의 제동을 안전하게 제어하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개시는 자동 열차 제어 장치의 제동 명령 시점과 실제 열차에서 제동이 작동되는 시점 간에 발생하는 지연 시간을 고려하여 비상제동을 제어할 수 있는 자동 열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열차 제어 장치는, 열차 종합 제어 장치로부터 구간 제한 속도 및 열차 속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구간 제한 속도 및 상기 열차 속도를 기초로 열차의 과속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열차의 과속이 감지된 경우 상용만제동 명령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열차 종합 제어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구간 제한 속도가 무코드인지에 따라 제1 비상제동 로직 또는 제2 비상제동 제어 로직을 실행하고, 상기 제1 비상제동 제어 로직 또는 상기 제2 비상제동 제어 로직의 실행에 따라 상기 열차 속도가 상기 구간 제한 속도 이하로 감속된 경우, 상기 제1 비상제동 제어 로직 또는 제2 비상제동 제어 로직의 실행을 종료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열차 제어 장치는 자동 열차 제어 장치의 제동 명령 시점과 실제 열차에서 제동이 작동되는 시점 간에 발생하는 지연 시간을 고려하여 비상제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제동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열차 제어 장치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제동 제어 방법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비상제동 제어 로직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비상제동 제어 로직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제동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을 참고하면, 열차 제동 제어 시스템(10)은 자동 열차 제어 장치(100) 및 열차 종합 제어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자동 열차 제어 장치(100, ATC: Automatic Train Control)는 적어도 하나의 열차를 자동 제어할 수 있는 장치이다. 자동 열차 제어 장치(100)는 열차 종합 제어장치(200, TCMS: Train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로부터 제어 대상이 되는 열차의 속도에 과한 정보, 열차가 운행 중인 구간의 제한 속도에 관한 정보(또는 속도 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자동 열차 제어 장치(100)는 제어 대상이 되는 열차에 설치된 열차 종합 제어 장치(200)로 상용만제동(FSB, Full Service Brake) 명령 또는 비상제동(EB, Emergency Brake)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열차 종합 제어 장치(200)는 자동 열차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상용만제동 명령 또는 비상제동 명령을 기초로 열차의 제동을 제어하거나, 열차의 기관실에 표시하여 기관사가 제동을 작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열차 제어 장치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자동 열차 제어 장치(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출력부(130), 메모리(140) 및 프로세서(150)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열차 종합 제어 장치(200) 등의 외부 장치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110)가 이용하는 통신 기술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5G,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로폰,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3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출력부(130)에는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청각 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자동 열차 제어 장치(100) 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140)는 열차 종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열차 속도 정보, 제한 속도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데이터 관리 서버(100)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여 결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메모리(140)의 데이터를 요청, 검색, 수신 또는 활용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실행 가능한 동작 중 예측되는 동작이나,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는 동작을 실행하도록 자동 열차 제어 장치(100)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50)는 결정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외부 장치의 연계가 필요한 경우, 해당 외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 신호를 해당 외부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자동 열차 제어 장치(100)의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15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자동 열차 제어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 중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제동 제어 방법을 나타낸다.
자동 열차 제어 장치(100)의 통신부(110)는 구간 제한 속도 및 열차 속도에 관한 정보를 열차 종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S301).
구간 제한 속도는 열차가 운행하는 선로의 소정의 구간마다 설정되는 제한 속도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열차가 운행하는 선로의 A 구간에는 구간 제한 속도가 75km/h로 설정될 수 있고, B 구간에서는 구간 제한 속도가 55km/h일 수 있다. 한편, 열차의 운행 상황에 따라 특정 구간에서의 제한 속도는 0km/h가 될 수 있다.
한편, 구간 제한 속도는 속도 코드라 명명할 수도 있으며, 구간 제한 속도가 0km/h인 경우 무코드라고 칭할 수도 있다. 통신부(110)는 소정의 주기마다 구간 제한 속도에 관한 정보를 수신될 수 있다.
한편, 열차 속도는 열차가 운행되는 속도를 의미하며, 통신부(110)는 소정의 주기마다 열차 속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자동 열차 제어 장치(100)의 프로세서(150)는 수신한 구간 제한 속도 및 열차 속도를 기초로 열차의 과속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S302).
프로세서(150)는 구간 제한 속도 및 열차 속도를 기초로 열차 속도가 구간 제한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열차가 과속을 하고 있는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소정의 주기마다 수신되는 제한 속도 및 열차 속도를 기초로 최근 수신된 현재 열차 속도가 최근 수신된 현재 구간 제한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열차가 과속하고 있는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80)는 열차의 과속여부를 감지하는 경우 속도 오차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열차 속도는 운행되는 열차의 속도를 측정한 값이므로 오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프로세서(180)는 속도 오차 범위를 고려하여 열차의 과속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열차 속도가 구간 제한 속도와 오차 속도 범위를 더한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기초로 열차의 과속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제한 속도가 75km/h이고 오차 속도 범위가 +2km/h인 경우 현재 열차 속도가 77km/h이어도 과속이 아니라고 판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열차가 과속을 하지 않는 경우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구간 제한 속도 및 열차 속도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열차의 과속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S303, S301).
한편, 프로세서(150)는 열차의 과속을 감지한 경우 상용만제동(FSB) 명령을 통신부(110)를 통해 열차 종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S303, S304).
이 경우, 열차 종합 제어 장치(200)는 상용만제동 신호를 자동 열차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열차가 상용만 제동할 수 있다.
한편, 열차가 과속이 발생하는 상황은 예시적으로 다음과 같은 상황으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차가 운행하는 선로의 A 구간에는 구간 제한 속도가 75km/h이고, B 구간에서는 구간 제한 속도가 65km/h인 경우, 열차가 A 구간에서 B 구간으로 통과하면 프로세서(150)는 열차가 과속 중인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50)는 구간 제한 속도의 단순 변경으로 인한 과속 발생 상황(제1 상황)으로 판별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구간 제한 속도가 동일하게 유지되는 상황에서 열차의 속도가 상승하여 과속이 발생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과속 감지 전의 이전 구간 제한 속도와 현재 구간 제한 속도가 동일한 경우 열차 속도 상승으로 인한 과속 발생 상황(제2 상황)으로 판별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열차가 운행하는 선로의 A 구간에는 구간 제한 속도가 25km/h이고, B 구간에서는 구간 제한 속도가 0km/h인 경우, 열차가 A 구간에서 B 구간으로 통과하면 프로세서(150)는 통신부(110)를 통해 구간 제한 속도가 0km/h인 무코드를 수신할 수 있으며 열차가 과속 중인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50)는 구간 제한 속도의 무코드 변경으로 인한 과속 발생 상황(제3 상황)으로 판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과속이 감지되고 현재 구간 제한 속도가 무코드가 아니라면, 과속 발생 상황이 구간 제한 속도의 단순 변경으로 인한 과속 발생 상황(제1 상황) 또는 구간 제한 속도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열차 속도 상승으로 인한 과속 발생 상황(제2 상황)으로 판별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50)는 과속이 감지되고 현재 구간 제한 속도가 무코드인 경우 과속 발생 상황이 구간 제한 속도의 무코드 변경으로 인한 과속 발생 상황(제3 상황)으로 판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과속 발생 상황에 기초하여 비상제동 제어 로직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현재 구간 제한 속도가 무코드인지에 따라 제1 비상제동 제어 로직 또는 제2 비상제동 제어 로직을 실행할 수 있다(S305).
비상제동 제어 로직이란, 과속 감지 후 상용만제동 명령을 전송하였음에도 열차 속도가 정상적으로 감속되지 않는 경우 열차의 비상제동을 작동시키는 로직일 수 있다. 비상제동 제어 로직은 과속 감지 후 과속 발생상황에 따라 최대 허용 속도, 비상제동 명령 기준 속도, 시간에 따른 비상제동 명령 기준 속도의 감속값이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과속이 감지되고, 현재 구간 제한 속도가 무코드가 아닌 경우 제1 비상제동 제어 로직을 실행할 수 있다(S306). 이하에서는 제1 비상제동 제어 로직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비상제동 제어 로직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제1 비상제동 제어 로직은 과속 발생 상황이 구간 제한 속도의 단순 변경으로 인한 과속 발생 상황(제1 상황) 또는 구간 제한 속도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열차 속도 상승으로 인한 과속 발생 상황(제2 상황)에서 실행되는 비상제동 제어 로직일 수 있다.
제1 비상제동 제어 로직이 실행되는 경우는 현재 구간 제한 속도가 0km/h(무코드)가 아니기 때문에 상용만제동 명령을 출력한 후에도 소정의 가속 허용 시간(예를 들어, 2초)이 부여될 수 있다.
한편, 가속 허용 시간 동안의 가속 허용 속도 범위는 가속 허용 시간동안 열차가 최대 가속이 되는 상황을 가정하여 설정되는 속도 범위일 수 있다.
가속 허용 속도 범위는 상술한 오차 속도 범위보다 큰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속도 오차 범위가 +2km/h 인경우, 가속 허용 속도 범위는 +5km/h일 수 있다. 따라서, 최대 허용 속도는 과속 감지 직전 구간 제한 속도에 가속 허용 속도 범위를 더한 값일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직전 구간 제한 속도 및 가속 허용 속도 범위를 기초로 최대 허용 속도를 획득할 수 있다(S401).
예를 들어, 과속 발생 상황이 구간 제한 속도의 단순 변경으로 인한 과속 발생 상황(제1 상황)이고, 과속 감지 직전 구간 제한 속도가 75km/h이고, 과속 감지 후 현재 구간 제한 속도가 65km/h이고, 가속 허용 속도 범위가 +5km/h인 경우, 최대 허용 속도는 직전 구간 제한 속도 75km/h에 가속 허용 속도 범위 +5km/h를 더한 값인 80km/h가 될 수 있다.
한편, 제1 비상제동 제어 로직에 따른 비상제동 명령 기준 속도는 과속 감지 후 상용만제동 명령을 전송하였음에도 열차 속도가 정상적으로 감속되지 않는 경우 열차의 비상제동을 작동시키는 비상제동 명령을 전송하기 위한 기준 속도일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50)는 제1 비상제동 제어 로직에 따른 최초 비상제동 명령 기준 속도는 최대 허용 속도로 설정할 수 있다(S402).
즉, 프로세서(150)는 비상 제동 명령 기준 속도를 최초로 설정하는 경우 비상 제동 명령 기준 속도를 최대 허용 속도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상제동 명령 기준 속도는 열차 속도가 상용만제동 명령에도 불구하고 정상적으로 감속되지 않는 경우 열차의 비상제동을 작동시키는 기준 속도이기 때문에 과속 감지 즉시 구간 제한 속도만을 기준으로 비상제동 명령을 하도록 설정되는 경우, 상용만제동 작동 시간(예를 들어, 상용만제동 명령 발생 시점부터 상용만제동 작동 시점까지의 지연 시간)을 고려하지 않고 바로 비상제동 명령이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상용만제동 작동 시간 동안 최악의 경우 열차가 최대로 가속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용만제동 작동 시간 동안 열차가 최대로 가속되는 상황을 가정하여 소정의 시간(예를 들어, 약 2.9초) 동안 가속을 허용하고, 가속을 허용하는 시간 이후에는 상용만제동이 작동된다는 가정하에 비상제동 명령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50)는 비상 제동 명령 기준 속도를 최초로 설정하는 경우 비상 제동 명령 기준 속도를 최대 허용 속도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50)는 과속 감지 후 소정의 가속 허용 시간이 지난 후 열차 속도가 최초 비상 제동 명령 기준 속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S403).
프로세서(150)는 과속 감지가 되고 소정의 가속 허용 시간 후에 열차 속도가 최초 비상 제동 명령 기준 속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기초로 비상제동 명령의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소정의 가속 허용 시간 후 열차 속도가 최초 비상 제동 명령 기준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비상제동 명령을 통신부(110)를 통해 열차 종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S404, S408).
한편, 프로세서(150)는 소정의 주기마다 비상제동 명령 기준 속도를 소정의 감속값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S405).
한편, 프로세서(150)는 소정의 주기가 최초로 지난 후 비상제동 명령 기준 속도에 대한 제1 감속값은 나머지 주기가 지난 후의 비상제동 명령 기준 속도에 대한 제2 감속값보다 작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최초 비상제동 명령 기준 속도가 80km/h이고 소정의 주기(예를 들어, 약 1초)가 최초로 지난 후 최초로 비상제동 명령 기준 속도를 감소시키는 경우 제1 감속값(예를 들어, 약 2.5km/h)만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비상제동 명령 기준 속도는 77.5km/h로 감소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50)는 다시 소정의 주기(예를 들어, 약 1초)가 지난 후 비상제동 명령 기준 속도를 감소시키는 경우 제2 감속값(예를 들어, 약 3.5km/h)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
즉, 프로세서(150)는 최초 주기가 지난 후 최초 비상제동 명령 기준 속도에 대한 최초 감속값(예를 들어, 약 2.5km/h)은 나머지 주기의 감속값(예를 들어, 약 3.5km/h)보다 작게 설정할 수 있다.
상용만제동 작동 시간이 지난 후 상용만제동이 작동되는 최초 주기동안은 열차가 감속되는 정도가 일반적인 경우보다 작을 수 있기 때문에 최초 감속값을 나머지 주기의 감속값보다 작게 설정하여 상용만제동이 정상작동 중임에도 비상제동 명령이 발생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50)는 소정의 주기마다 열차 속도가 현재 구간 제한 속도 이하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S406).
프로세서(150)는 현재 구간 제한 속도 이하로 열차 속도가 감속 완료된 경우 제1 비상제동 제어 로직의 실행을 종료할 수 있다(S407).
다시, 도3을 참고하면, 프로세서(150)는 과속이 감지되고, 현재 구간 제한 속도가 무코드인 경우 제2 비상제동 제어 로직을 실행할 수 있다(S306). 이하에서는 제2 비상제동 제어 로직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비상제동 제어 로직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제2 비상제동 제어 로직은 과속 발생 상황이 구간 제한 속도의 무코드 변경으로 인한 과속 발생 상황(제3 상황)에서 실행되는 비상제동 제어 로직일 수 있다.
제2 비상제동 제어 로직이 실행되는 경우는 현재 구간 제한 속도가 0km/h(무코드)이므로 가속 허용 시간(예를 들어, 2초)이 부여되지 않는다.
프로세서(150)는 직전 구간 제한 속도 및 무코드 허용 속도 범위를 기초로 최대 허용 속도를 획득할 수 있다(S501).
예를 들어, 과속 발생 상황이 구간 제한 속도의 무코드 변경으로 인한 과속 발생 상황(제3 상황)이고 과속 감지 직전 구간 제한 속도가 25km/h이고, 과속 감지 후 현재 구간 제한 속도가 0km/h이고, 무코드 허용 속도 범위가 +1km/h인 경우, 최대 허용 속도는 직전 구간 제한 속도 25km/h에 가속 허용 속도 범위 +1km/h를 더한 값인 26km/h가 될 수 있다.
제2 비상제동 제어 로직에서의 무코드 허용 속도 범위는 제1 비상제동 제어 로직에서의 가속 허용 속도 범위보다 작을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50)는 제2 비상제동 제어 로직에 따른 최초 비상제동 명령 기준 속도는 최대 허용 속도로 설정할 수 있다(S502).
프로세서(150)는 비상 제동 명령 기준 속도를 최초로 설정하는 경우 비상 제동 명령 기준 속도를 최대 허용 속도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50)는 열차 속도가 최초 비상 제동 명령 기준 속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S503).
프로세서(150)는 과속 감지 즉시 열차 속도가 최초 비상 제동 명령 기준 속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50)는 소정의 가속 허용 시간 후 열차 속도가 최초 비상 제동 명령 기준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비상제동 명령을 통신부(110)를 통해 열차 종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S504, S508).
한편, 프로세서(150)는 소정의 주기마다 비상제동 명령 기준 속도를 소정의 감속값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S505).
프로세서(150)는 소정의 주기(예를 들어, 약 1초)마다 비상제동 명령 기준 속도를 소정의 감속값(예를 들어, 약 2.5km/h)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최초 비상제동 명령 기준 속도가 26km/h인 경우 소정의 주기(예를 들어, 약 1초)마다 소정의 감속값(예를 들어, 약 2.5km/h)만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비상제동 명령 기준 속도는 23.5km/h로 감소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50)는 소정의 주기마다 열차 속도가 현재 구간 제한 속도 이하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S506).
프로세서(150)는 현재 구간 제한 속도 이하로 열차 속도가 감속 완료된 경우 제2 비상제동 제어 로직의 실행을 종료할 수 있다(S507).
한편, 다시 도 3을 참고하면, 프로세서(150)는 열차 속도가 현재 구간 제한 속도 이하로 감속될 때까지 제1 비상제동 제어 로직 또는 제2 비상제동 제어 로직을 실행할 수 있다(S308, S306, S307).
또한, 프로세서(150)는 제1 비상제동 제어 로직 또는 제2 비상제동 제어 로직의 실행에 따라 열차 속도가 구간 제한 속도 이하로 감속된 경우, 제1 또는 2 비상제동 제어 로직의 실행을 종료할 수 있다(S309).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열차 종합 제어 장치로부터 구간 제한 속도 및 열차 속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구간 제한 속도 및 상기 열차 속도를 기초로 열차의 과속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열차의 과속이 감지된 경우 상용만제동 명령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열차 종합 제어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구간 제한 속도가 무코드인지에 따라 제1 비상제동 로직 또는 제2 비상제동 제어 로직을 실행하고, 상기 제1 비상제동 제어 로직 또는 상기 제2 비상제동 제어 로직의 실행에 따라 상기 열차 속도가 상기 구간 제한 속도 이하로 감속된 경우, 상기 제1 비상제동 제어 로직 또는 제2 비상제동 제어 로직의 실행을 종료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자동 열차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열차 속도가 상기 구간 제한 속도와 오차 속도 범위를 더한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기초로 상기 과속여부를 감지하는,
    자동 열차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구간 제한 속도가 무코드가 아닌 경우 상기 제1 비상제동 로직을 실행하고, 상기 과속 감지 직전 구간 제한 속도 및 가속 허용 속도 범위를 기초로 최대 허용 속도를 획득하고, 비상 제동 명령 기준 속도를 최초로 설정하는 경우 비상 제동 명령 기준 속도를 최대 허용 속도로 설정하고, 상기 과속 감지 후 가속 허용 시간이 지난 후 상기 열차 속도가 상기 비상 제동 명령 기준 속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비상제동 명령의 전송을 제어하는,
    자동 열차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소정의 주기마다 상기 비상 제동 명령 기준 속도를 소정의 감속값만큼 감소시키는,
    자동 열차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소정의 주기가 최초로 지난 후 비상제동 명령 기준 속도에 대한 제1 감속값은 나머지 주기가 지난 후의 비상제동 명령 기준 속도에 대한 제2 감속값보다 작게 설정하는,
    자동 열차 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구간 제한 속도가 무코드인 경우 상기 제2 비상제동 로직을 실행하고, 상기 과속 감지 직전 구간 제한 속도 및 가속 허용 속도 범위를 기초로 최대 허용 속도를 획득하고, 비상 제동 명령 기준 속도를 최초로 설정하는 경우 비상 제동 명령 기준 속도를 최대 허용 속도로 설정하고, 상기 과속 감지 후 상기 열차 속도가 상기 비상 제동 명령 기준 속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비상제동 명령의 전송을 제어하는,
    자동 열차 제어 장치.
KR1020220039785A 2022-03-30 2022-03-30 열차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301409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9785A KR20230140923A (ko) 2022-03-30 2022-03-30 열차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9785A KR20230140923A (ko) 2022-03-30 2022-03-30 열차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0923A true KR20230140923A (ko) 2023-10-10

Family

ID=88292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9785A KR20230140923A (ko) 2022-03-30 2022-03-30 열차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092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13622B2 (ja) ガイドウェイネットワーク内の車両のための制御システム
EP3835905B1 (en) Vehicle control system
JP5962649B2 (ja) 無線通信機、無線通信システム、輻輳制御方法および記録媒体
KR102183952B1 (ko) 자율주행 차량의 제어장치
WO2013146427A1 (ja) 列車制御装置
JP4998071B2 (ja) 路車間通信システム、車載機、車両および交通信号制御機
CA2934478A1 (en) Communication system for guideway mounted vehicl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5813396B2 (ja) 列車制御システム
JP2003217074A (ja) 車両専用道路における車両運行制御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130102678A (ko)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을 이용한 열차 제어 데이터 갱신 방법 및 시스템
KR20140133321A (ko) 차량간 통신 기반 aeb 제어 장치 및 방법
US9019125B2 (en) Apparatus of guiding safe driving at intersections and method of guiding safe driving using the same
JP6016997B1 (ja) 隊列走行制御システム
JP5847736B2 (ja) 列車制御システム及び列車制御方法
JP5045228B2 (ja) 路車間通信システム、車載機、車両および交通信号制御機
EP3961328A1 (en) Integrated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railway vehicle collision test
US20220281498A1 (en) Railway vehicle and control method and system therefor, and train control and management system
KR20230140923A (ko) 열차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2172869A (zh) 车载信号系统及车载信号通信方法
KR102416609B1 (ko) 보행자 보호 장치, 보행자 보호 방법 및 보행자 보호 차량 통신 장치 및 방법
WO2022105863A1 (zh) 控制车辆的方法、装置、存储介质及车辆
JP2016199057A (ja) 列車制御システム、車上装置、地上制御装置
KR102525939B1 (ko) 산악철도 운행지원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JP5316679B2 (ja) 路車間通信システムおよび車載機
JP6191759B2 (ja) 通信装置、輻輳制御方法およ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