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0361A - 선재 피막 제거 장치 및 선재 성형 시스템 - Google Patents

선재 피막 제거 장치 및 선재 성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0361A
KR20230140361A KR1020230017753A KR20230017753A KR20230140361A KR 20230140361 A KR20230140361 A KR 20230140361A KR 1020230017753 A KR1020230017753 A KR 1020230017753A KR 20230017753 A KR20230017753 A KR 20230017753A KR 20230140361 A KR20230140361 A KR 20230140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pair
wire rod
removal device
too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7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이지 오바야시
다카시 노지마
료타 후카츠
Original Assignee
아사히 세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세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세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40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036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1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manufacturing wire harnesses
    • H01B13/01209Deta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48Machines
    • H02G1/1265Machines the cutting elemen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85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friction, e.g. abrading, grinding, brush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48Mach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03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feeding conductor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1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manufacturing wire harnesses
    • H01B13/0123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manufacturing wire harnesses the wires being disposed by machi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1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manufacturing wire harnesses
    • H01B13/01254Flat-harness manufactu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H01B9/006Constructional features relating to th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48Machines
    • H02G1/1268Machines the cutting element making a longitudinal in combination with a transverse or a helical c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moval Of Insulation Or Armoring From Wires Or Cables (AREA)
  • Wire Processing (AREA)
  • Coil Winding Methods And Apparatuses (AREA)
  • Manufacturing Cores, Coils, And Magnets (AREA)

Abstract

(과제)
종래의 선재 피막 제거 장치로는 불가능했던 노출면의 가공을 선재에 대하여 행하는 것이 가능한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해결 수단)
본 실시형태의 선재 피막 제거 장치(10)는 선재(90)가 직선 형상으로 뻗은 상태에서 송급되는 선재 송급로(R)를 가지고, 그 선재 송급로(R)의 제1 위치에서 제1 방향으로부터 선재(90)를 사이에 끼우고 피막(90B)을 절제하는 1쌍의 회전 공구(31)와, 선재 송급로(R)의 제2 위치에서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부터 선재(90)를 사이에 끼우고 피막(90B)을 절제하는 1쌍의 회전 공구(32)를 갖춘다.

Description

선재 피막 제거 장치 및 선재 성형 시스템{WIRE COATING REMOVAL DEVICE AND WIRE FORMING SYSTEM}
본 개시는 선재의 피막을 제거하는 선재 피막 제거 장치 및 그것을 가지는 선재 성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선재의 길이 방향의 임의의 위치를 1쌍의 공구로 사이에 끼우고 선재를 덮는 피막을 제거하여, 1쌍의 노출면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선재 피막 제거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WO2019/207989(단락 [0019], 도 5, 6)
종래의 기술로는 불가능했던 노출면을 선재에 가공하는 것이 가능한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청구항 1의 발명은, 선재가 직선 형상으로 뻗은 상태에서 송급되는 선재 송급로와, 상기 선재 송급로의 제1 위치에서, 제1 방향에서 상기 선재를 사이에 끼우고 상기 선재의 피막을 제거하는 1쌍의 제1 회전 공구와, 상기 1쌍의 제1 회전 공구를 회전 구동하는 제1 회전 구동 기구와, 상기 선재 송급로의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에서 상기 선재를 사이에 끼우고 상기 선재의 피막을 제거하는 1쌍의 제2 회전 공구와, 상기 1쌍의 제2 회전 공구를 회전 구동하는 제2 회전 구동 기구와, 상기 선재의 송급에 따라 상기 1쌍의 제1 회전 공구끼리를 서로 접근 및 이간시키는 제1 공구 간격 변경 기구와, 상기 선재의 송급에 따라 상기 1쌍의 제2 회전 공구끼리를 서로 접근 및 이간시키는 제2 공구 간격 변경 기구를 갖추고, 상기 선재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가공 대상 부위의 상기 피막의 일부를 상기 1쌍의 제1 회전 공구로 제거하고나서, 상기 가공 대상 부위의 상기 피막의 나머지를 상기 1쌍의 제2 회전 공구로 제거하는 선재 피막 제거 장치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선재 성형 시스템 정면도이다.
도 2(A)는 선재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 (B)는 선재 성형품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C)는 피막 제거 가공된 선재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선재 피막 제거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선재 피막 제거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5는 지지 부재 주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A)는 도 4에 있어서의 A-A 단면도, (B)는 도 4에 있어서의 B-B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있어서의 C-C 단면도이다.
도 8은 1쌍의 슬라이드 베이스를 떼어낸 상태의 도 3에 있어서의 C-C 단면도이다.
도 9는 선재 성형기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선재에 대하여, 1쌍의 제1 회전 공구가 근접하고, 1쌍의 제2 회전 공구가 이간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선재에 대하여, 1쌍의 제1 회전 공구가 이간하고, 1쌍의 제2 회전 공구가 근접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선재 피막 제거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D-D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E-E 단면도이다.
도 15는 변형예에 따른 제1 공구 간격 변경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변형예에 따른 제1 공구 간격 변경 기구의 사시도이다.
[제1 실시형태]
이하, 도 1~도 11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선재 성형 시스템(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재 성형 시스템(100)은 선재 피막 제거 장치(10)와 선재 성형기(80)를 갖추어 이루어지고, 선재(90)에 대하여 선재 피막 제거 장치(10)로 피막 제거 가공을 행하고 나서 선재 성형기(80)로 선재 성형품(91)으로 성형한다. 도 2(A)에는 그 선재(90)의 일례가 표시되고, 도 2(B)에는 선재 성형품(91)의 일례가 표시되어 있다.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재(90)는 예를 들면 도전성 금속인 선재 본체(90A)를 절연성의 피막(90B)으로 덮은 구조를 이루고, 그 단면 형상은 예를 들면 편평한 장방형으로 되어 있다. 또 선재 본체(90A)를 구성하는 금속은 예를 들면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이며, 피막(90B)은 예를 들면 에나멜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선재(90)는 단면이 편평한 사각형이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면 형상은 사각형 이외의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이어도 된다. 또 선재 본체(90A)를 구성하는 금속은 구리 또는 구리 합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성형 가능한 부재이면 어떠한 부재여도 되고, 비도전성의 부재여도 된다. 선재 피막 제거 장치(10)가 선재 성형기(80)와 별개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선재 본체(90A)는 성형 불가능한 부재여도 된다. 또 피막(90B)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에나멜이지만, 절연성의 수지여도 되고, 선재 본체(90A)를 피복하고 있는 것이면, 절연성이 아니어도 된다. 또한 선재 본체(90A) 및 피막(90B)은 일층 구조여도 되고, 다층 구조여도 된다.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선재 성형품(91)은 예를 들면 코일이며, 코일 본체(92)로부터 1쌍의 연장부(93)가 뻗은 구조를 이루고 있다. 각 연장부(93)의 선단부에는 선단면 및 4 측면에서 선재 본체(90A)가 노출된 전기접속부(95)가 갖추어져 있다.
선재 피막 제거 장치(10)는 도 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재(90)에 대하여 선재 성형품(91)의 전개 길이인 소정 간격(L0)마다 소정 길이만큼 피막(90B)을 제거하여 선재 본체(90A)의 노출면(94)을 형성한다. 각 노출면(94)은 선재(90)의 상하의 양면에 위치하는 1쌍의 제1 노출면(94A)과, 선재(90)의 횡방향의 양면에 위치하는 1쌍의 제2 노출면(94B)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선재 성형기(80)는 선재(90)를 각 노출면(94)의 중앙에서 절단한다. 이것에 의해, 절반의 길이가 된 노출면(94)과 절단면에 의해 상기 서술한 전기접속부(95)가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선재 성형품(91)은 코일이지만, 예를 들면 U자 형상이나 V자 형상이어도 되고, 어떠한 형상이어도 된다. 또 전기접속부(95)는 선재 성형품(91)을 구성하는 선재(90)의 단부만에 갖추어져 있지만, 그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임의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전기접속부(95)는 선재(90)의 노출면(94)과 절단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노출면(94)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또 노출면(94)에 대해서도, 1쌍의 제1 노출면(94A) 및 1쌍의 제2 노출면(94B)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1쌍의 제1 노출면(94A) 및 1쌍의 제2 노출면(94B)의 어느 한쪽만인 것이어도 된다.
이하, 선재 피막 제거 장치(1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선재 피막 제거 장치(10)에 있어서는, 도 3에 보여지고 있는 측을 「전측」, 그 반대측을 「후측」이라 하고, 도 3의 지면과 직교하는 방향을 전후 방향이라고 한다. 또 전후 방향은 다음에 서술하는 선재 송급로(R)의 선재(90)에 있어서의 횡방향이기도 하다. 또한 도 4~8에 있어서 전향(前向)을 화살표 「F」로 나타내고, 후향(後向)을 화살표 「R」로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재 피막 제거 장치(10)는 선재(90)가 송급되는 선재 송급로(R)를 수평으로 뻗은 상태로 갖추고, 그 선재 송급로(R)의 일단부에 선재 송급 장치(11)를 가진다. 선재 송급 장치(11)는 선재 송급로(R)를 사이에 끼우고 상하 방향에서 대향하는 1쌍의 롤러(12)와, 그들의 회전 구동원인 서보모터(13)(도 4 참조)를 갖춘다. 그리고, 1쌍의 롤러(12)의 사이에 선재(90)가 끼워지고, 1쌍의 롤러(12)가 대칭 회전하여 선재(90)가 선재 송급로(R)를 따라 도 3에 있어서의 우방향을 향하여 송급된다. 이하, 선재 송급로(R)가 뻗는 방향을 「선재 송급 방향(H1)」이라고 한다.
선재 송급 장치(11)보다 선재 송급 방향(H1)의 상류측에는 선재 가이드 부재(20)가 설치되어 있다. 선재 가이드 부재(20)에는 선재 송급 방향(H1)으로 관통하는 가이드 구멍(20H)이 갖추어져 있다. 그 가이드 구멍(20H)의 단면 형상은 상기 서술한 선재(90)가 꼭 맞게 통과 가능하게 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편평한 장방형을 이루고 있다(도 6(A) 및 도 6(B) 참조). 그리고, 가이드 구멍(20H)이 선재 송급로(R)의 일부를 이루어, 선재(90)는 가이드 구멍(20H)을 통과하여 선재 송급 장치(11)에 안내된다.
또한 선재 송급 장치(11)는 선재 가이드 부재(20)에 대하여 선재 송급 방향(H1)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었지만, 예를 들면 선재 가이드 부재(20)에 대하여 선재 송급 방향(H1)의 상류측이어도 되고, 도중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재 가이드 부재(20)에는 선재 송급 방향(H1)의 도중의 2개소에 제1과 제2 분단부(21, 2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류측의 제1 분단부(21)에서 노출되는 선재(90)에 대하여, 상하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1쌍의 제1 회전 공구(31)가 접근 및 이간함과 아울러,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류측의 제2 분단부(22)에서 노출되는 선재(90)에 대하여, 횡방향의 양측으로부터 1쌍의 제2 회전 공구(32)가 접근 및 이간하도록 되어 있다. 이들에 의해, 선재(90)의 임의의 위치의 피막(90B)이 제1 및 제2 회전 공구(31, 32)에 의해 제거된다.
구체적으로는 선재 가이드 부재(20)는 전체적으로는 단면 사각형의 봉형상으로 되어 있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분단부(21)보다 상류측의 상류측 가이드부(20A)와, 제1과 제2 분단부(21, 22) 사이의 중간 가이드부(20B)와, 제2 분단부(22)보다 하류측의 하류측 가이드부(20C)로 나뉘어져 있다. 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분단부(21)에 있어서 맞대어진 상류측 가이드부(20A) 및 중간 가이드부(20B)의 각 단부는 선재 송급로(R)(가이드 구멍(20H))를 사이에 끼운 상하에 1쌍의 사면(斜面)을 가지는 테이퍼 형상을 이루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분단부(22)에 있어서 맞대어진 중간 가이드부(20B) 및 하류측 가이드부(20C)의 각 단부는 선재 송급로(R)(가이드 구멍(20H))를 사이에 끼운 전후에 1쌍의 사면을 가지는 테이퍼 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류측 가이드부(20A), 중간 가이드부(20B) 및 하류측 가이드부(20C)(이들을 합쳐서 간단히 「가이드부(20A, 20B, 20C)」라고 한다)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부재(23)에 의해 일직선 형상으로 늘어선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20A, 20B, 20C)와 지지 부재(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이드 유닛(20U)이 지지대(15)와 지지벽(14) 사이에 걸쳐져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부재(23)는 예를 들면 각통체(24)의 일단에 브릿지체(25)를 갖추어 이루어진다. 브릿지체(25)는 예를 들면 선재 송급 방향(H1)으로 늘어서는 3개의 대향벽(25A, 25B, 25C)을 연락벽(25S)으로 연락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대향벽(25A, 25B, 25C)은 선재 송급 방향(H1)으로부터 보면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장방형의 판형상을 이루며, 그 3개의 각부가 모따기되고 또한 장방형의 4변은 상하 방향에 대하여 45°의 각도로 경사져 있다. 또 3개의 대향벽(25A, 25B, 25C)에는 단면 사각형의 끼워맞춤 구멍(25H)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류측의 대향벽(25A)의 끼워맞춤 구멍(25H)에 상류측 가이드부(20A)에 있어서의 하류측의 단부 가까운 위치가 끼워맞춰져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고, 중앙의 대향벽(25B)의 끼워맞춤 구멍(25H)에 중간 가이드부(20B)의 중간부가 끼워맞춰져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며, 하류측의 대향벽(25C)의 끼워맞춤 구멍(25H)에 하류측 가이드부(20C)에 있어서의 상류측의 단부 가까운 위치가 끼워맞춰져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서술한 대향벽(25A, 25B, 25C)의 선재 송급 방향(H1)으로부터 본 형상인 장방형의 긴변은,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짧은 변보다 약간 길고, 일방의 짧은 변이 비스듬하게 상후측에 위치하는 한편, 타방의 짧은 변이 비스듬하게 하전측에 위치한다. 또 장방형의 상하의 양 각부가 수평면이 되도록 모따기됨과 아울러, 후측의 각부가 연직면이 되도록 모따기되어 있다. 또 연락벽(25S)은 선재 송급 방향(H1)으로 뻗는 띠판 형상을 이루고, 그 폭 방향은 대향벽(25A, 25B, 25C)의 비스듬한 상후측의 짧은 변과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웃하는 대향벽(25A, 25B) 사이 및 대향벽(25B, 25C) 사이에 끼워져, 그들의 대향벽(25A, 25B, 25C)의 비스듬한 상후측의 짧은 변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접속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서술한 각통체(24)는 브릿지체(25)의 상류측의 단면으로부터 선재 송급 방향(H1)의 상류측으로 뻗어 있다. 또 각통체(24)의 4개의 측면은 상하 방향에 대하여 45°의 각도로 경사져 있다. 그리고, 각통체(24)는 상류측 가이드부(20A)의 길이 방향의 도중 부분의 외측에 여유있게 끼워지고, 상류측 가이드부(20A)는 각통체(24)로부터 더욱 상류측으로 뻗어 있다. 또 각통체(24)의 상류측의 단부에는 측방으로 뻗어나오는 도시하지 않는 플랜지가 갖추어져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서술한 지지대(15)는 선재 송급 장치(11)에 대한 선재 송급 방향(H1)의 상류측 옆에 위치하고, 선재 송급 장치(11)와 함께 지지 테이블(60)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다. 또 상기 서술한 지지벽(14)은 지지 테이블(60)의 상면으로부터 연직으로 기립되어, 선재 송급 방향(H1)과 직교하는 주평면을 표리(表裏)로 가지는 판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 지지벽(14)에는 선재 가이드 부재(20)에 대응한 사각형의 관통 구멍(14H)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류측 가이드부(20A) 중 각통체(24)로부터 선재 송급 방향(H1)의 상류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지지벽(14)의 관통 구멍(14H)에 끼워맞춰짐과 아울러, 각통체(24)의 도시하지 않는 플랜지가 지지벽(14)의 주평면에 포개어져 볼트로 고정되어 있다. 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류측 가이드부(20C)는 길이 방향의 도중 부분이 지지대(15)의 상면에 포개어져 고정되고, 선재 송급 장치(11)에 있어서의 1쌍의 롤러(12)의 앞 위치까지 뻗어 있다. 또한 하류측 가이드부(20C)의 하류측 단부는 선재 송급로(R)(가이드 구멍(20H))를 사이에 끼우고 상하에 1쌍의 사면을 가지는 테이퍼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지지 부재(23)의 브릿지체(25)는 선재 송급 방향(H1)으로부터 보아 장방형 형상을 이루고 있었지만, 예를 들면 원형이어도 되고, 어떠한 형상이어도 된다. 또 각통체(24)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원통체여도 되고, 어떠한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각통체(24)는 내측에 상류측 가이드부(20A)가 여유롭게 끼워져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끼워맞춰져 있어도 된다. 또 가이드부(20A, 20B, 20C)의 지지 구조는 상기 서술한 지지 부재(23)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상류측 가이드부(20A)와 중간 가이드부(20B) 사이 및 중간 가이드부(20B)와 하류측 가이드부(20C) 사이를 후술하는 1쌍의 제1 회전 공구(31) 및 1쌍의 제2 회전 공구(32)와의 간섭을 피해서 띠형상 부재로 각각 연결해도 된다.
1쌍의 제1 회전 공구(31)는 선재 송급 장치(11)의 전후 방향과 평행한 원기둥 형상을 이루고, 도 7에 나타낸 1쌍의 제1 회전 구동 기구(41)에 의해 각각 구동된다. 각 제1 회전 구동 기구(41)는 모터(43)와 지지부(44)를 제1 회전 공구(31)의 동축 상에 갖춘다. 또 1쌍의 제1 회전 구동 기구(41)는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선재 송급로(R)를 사이에 끼우고 전후로 나뉘어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1쌍의 제1 회전 공구(31) 중 상측의 제1 회전 공구(31)의 제1 회전 구동 기구(41)는, 모터(43) 및 지지부(44)가 제1 회전 공구(31)보다 전측에 배치되고, 하측의 제1 회전 공구(31)의 제1 회전 구동 기구(41)는, 모터(43) 및 지지부(44)가 제1 회전 공구(31)보다 후측에 배치되어 있다.
1쌍의 제2 회전 공구(32)도 상하 방향과 평행한 원기둥 형상을 이루고, 제1 회전 구동 기구(41)와 동일한 구조의 1쌍의 제2 회전 구동 기구(42)에 의해 각각 구동된다. 또 1쌍의 제2 회전 구동 기구(42)도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선재 송급로(R)를 사이에 끼우고 상하로 나뉘어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1쌍의 제2 회전 공구(32) 중 전측의 제2 회전 공구(32)의 제2 회전 구동 기구(42)는, 모터(43) 및 지지부(44)가 제2 회전 공구(32)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후측의 제2 회전 공구(32)의 제2 회전 구동 기구(42)는, 모터(43) 및 지지부(44)가 제2 회전 공구(32)보다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1쌍의 제1 회전 구동 기구(41) 및 1쌍의 제2 회전 구동 기구(42)는 1쌍의 제1 회전 공구(31)끼리 및 1쌍의 제2 회전 공구(32)끼리가 대칭 회전하도록 구동한다. 그리고, 제1 회전 공구(31) 및 제2 회전 공구(32)는 외주면을 선재(90)에 눌러 피막(90B)을 제거한다.
1쌍의 제1 회전 공구(31)끼리의 간격을 변경하는 제1 공구 간격 변경 기구와, 1쌍의 제2 회전 공구(32)끼리의 간격을 변경하는 제2 공구 간격 변경 기구는, 1쌍의 슬라이드 기구(70)를 공유하고 있어, 1쌍의 제1 회전 공구(31)끼리가 근접하면 1쌍의 제2 회전 공구(32)끼리가 멀어지고, 1쌍의 제1 회전 공구(31)끼리가 멀어지면 1쌍의 제2 회전 공구(32)끼리가 근접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쌍의 슬라이드 기구(70)는 선재 송급로(R)를 중심으로 하여 점대칭으로 배치되고, 각 슬라이드 기구(70)는 지지벽(14)의 주평면과 평행한 면 내에서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에 대하여 예를 들면 45°의 각도로 전측 상향으로 경사진 방향(이하, 「특정 경사 방향(H2)」이라고 한다.)으로 뻗는 가이드 레일(72)과 볼나사(73)를 갖춘다. 그들 가이드 레일(72)과 볼나사(73)를 지지하기 위해서, 특정 경사 방향(H2)으로 뻗는 띠판 형상의 고정 플레이트(71)가 지지벽(14) 중 지지대(15)를 향하는 주평면에 포개어져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 플레이트(71) 중 지지벽(14)의 주평면 중 선재 송급로(R)에 가까운 측에 가이드 레일(72)이 고정되어 있다. 또 고정 플레이트(71)의 주평면 중 선재 송급로(R)로부터 먼 측에는 고정 플레이트(71)의 특정 경사 방향(H2)에 있어서의 일단부와 타단부 근방 위치에 1쌍의 돌출벽(71A)이 설치되고, 그들 1쌍의 돌출벽(71A)에 볼나사(73)의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고정 플레이트(71)의 타단부로부터는 모터 지지 돌출벽(71B)이 돌출되어 있다. 또 고정 플레이트(71)에는 감속기 부착 서보모터(74)의 일단부가 지지되고, 그 감속기 부착 서보모터(74)의 회전 출력축과 볼나사(73)가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볼나사(73)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볼너트(75)와, 가이드 레일(7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지고 또한 볼너트(75)의 양측에 위치하는 1쌍의 슬라이더(76)에 슬라이드 베이스(77)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감속기 부착 서보모터(74)에 의해 슬라이드 베이스(77)가 임의의 슬라이드 위치로 이동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선재 가이드 부재(20)보다 전측의 슬라이드 기구(70)(이하, 간단히 「전측의 슬라이드 기구(70)」라고 한다)의 감속기 부착 서보모터(74)가 고정 플레이트(71)의 상단에 위치하는 한편, 선재 가이드 부재(20)보다 후측의 슬라이드 기구(70)(이하, 간단히 「후측의 슬라이드 기구(70)」라고 한다)의 감속기 부착 서보모터(74)가 고정 플레이트(71)의 하단에 위치한다. 또한 지지 테이블(60)의 천판(60A)에는 전측의 슬라이드 기구(70)의 하단부를 수용하는 관통 구멍(60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특정 경사 방향(H2)이 특허청구범위의 「제3 방향」에 상당하고, 상하 방향이 특허청구범위의 「제1 방향」에 상당하며, 전후 방향이 특허청구범위의 「제2 방향」에 상당한다.
슬라이드 베이스(77)는 특정 경사 방향(H2)으로 뻗어 있고 또한 고정 플레이트(71)와 평행한 띠판 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전측의 슬라이드 베이스(77)에는 그 상단부에 상측의 제1 회전 구동 기구(41)의 모터(43) 및 지지부(44)가 고정되고, 하단부에 대좌 부재(78)(도 3 참조)를 개재시켜 후측의 제2 회전 구동 기구(42)의 모터(43) 및 지지부(44)가 고정되어 있다. 한편, 후측의 슬라이드 베이스(77)에는 하단부에 하측의 제1 회전 구동 기구(41)의 모터(43) 및 지지부(44)가 고정되고, 상단부에 대좌 부재(78)를 개재시켜 전측의 제2 회전 구동 기구(42)의 모터(43) 및 지지부(44)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전측의 슬라이드 베이스(77)가 비스듬하게 하방으로 이동하는 한편, 후측의 슬라이드 베이스(77)가 비스듬하게 상방으로 이동함으로써,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쌍의 제1 회전 공구(31)끼리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접근하는 한편, 1쌍의 제2 회전 공구(32)가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간하고, 전측의 슬라이드 베이스(77)가 비스듬하게 상방으로 이동하는 한편, 후측의 슬라이드 베이스(77)가 비스듬하게 하방으로 이동함으로써,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쌍의 제1 회전 공구(31)끼리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간하는 한편, 1쌍의 제2 회전 공구(32)가 전후 방향으로 서로 접근한다. 또한 도 10 및 도 11에는 1쌍의 제1 회전 공구(31)가 평행 이동하는 가공의 평면이 평면(K1)으로서 표시되고, 1쌍의 제2 회전 공구(32)가 평행 이동하는 가공의 평면이 평면(K2)으로서 표시되어 있다.
또한 1쌍의 제1 회전 공구(31)끼리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접근 및 이간할 때는, 전후 방향으로도 접근 및 이간한다. 1쌍의 제2 회전 공구(32)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 상측의 제1 회전 공구(31) 및 후측의 제2 회전 공구(32)는 브릿지체(25)의 연락벽(25S)과 선재 가이드 부재(20) 사이의 공간에 대하여 진퇴하듯이 이동한다(도 6 참조).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일방의 제1 회전 구동 기구(41)와 일방의 제2 회전 구동 기구(42)가 공통의 슬라이드 베이스(77)에 고정되어 세트가 되어 이동하고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구성이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가이드 레일(72)에 설치된 1쌍의 슬라이더(76) 중, 일방의 슬라이더(76)에 제1 회전 구동 기구(41)만이 고정된 슬라이드 베이스를 고정하고, 타방의 슬라이더(76)에 제2 회전 구동 기구(42)만이 고정된 슬라이드 베이스를 고정하여, 이들 2개의 슬라이드 베이스를 각각의 구동원으로 이동시켜도 된다. 또 타방의 제1 회전 구동 기구(41)와 타방의 제2 회전 구동 기구(4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슬라이드 베이스(77)가 볼나사(73) 및 볼너트(75)에 의해 슬라이드하고 있었지만, 슬라이드 베이스(77)를 이동 가능한 구성이면 어떠한 구조여도 되고, 예를 들면 래크 앤드 피니언 기구에 의해 슬라이드시켜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1쌍의 슬라이드 베이스(77)가 지지벽(14)의 주평면과 평행한 면 내에서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에 대하여 45°의 각도로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지만, 이 각도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선재(90)의 형상 또는 1쌍의 회전 공구(31) 및 1쌍의 회전 공구(32)의 기울기에 맞추어 적절하게 변경해도 된다.
선재 피막 제거 장치(10)의 구조에 관한 설명은 이상이다. 이어서 선재 성형기(8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재 성형기(80)에도 선재(90)를 송급하는 것이 가능한 선재 송급 장치(81)가 갖추어져 있다. 그리고, 선재 송급 장치(81)로부터 송급되는 선재(90)가 퀼(82)의 가이드 구멍으로 통과되어 가공 스테이지(S)에 송급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공 스테이지(S)에는 선재(90)를 사이에 끼우고 굽힘 성형 등을 하는 것이 가능한 복수의 성형 툴(83)과, 선재(90)를 절단하는 것이 가능한 절단 툴(84)이 갖추어져 있다. 이들에 의해, 상기 서술한 선재 성형품(91)이 순차적으로 성형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선재 피막 제거 장치(10)의 선재 송급 장치(11)와 선재 성형기(80)의 선재 송급 장치(81)는 동일 직선 상에 선재 송급로(R)를 가지지만, 그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선재 피막 제거 장치(10)의 선재 송급로(R)와 선재 성형기(80)의 선재 송급로(R)가 상하로 어긋나 있어도 되고, 상방으로부터 보아 상이한 방향을 향하고 있어도 된다.
선재 성형 시스템(100)의 구성에 관한 설명은 이상이다. 이어서 선재 피막 제거 장치(10) 및 선재 성형 시스템(100)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선재 성형 시스템(100)이 정지한 상태에서는, 선재 피막 제거 장치(10)에 있어서는 1쌍의 제1 회전 공구(31)와 1쌍의 제2 회전 공구(32)는 모두 선재 송급로(R)로부터 이간한 원점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선재 피막 제거 장치(10)의 선재 송급로(R)에 선재(90)가 통과되고, 그 선단이 선재 송급 장치(11)의 1쌍의 롤러(12)에 끼워넣어진다. 그리고, 선재 피막 제거 장치(10)가 기동되면, 1쌍의 제1 회전 공구(31)가 접근하고, 선재 가이드 부재(20)의 제1 분단부(21)에 있어서 선재(90)의 상하의 양면에 맞닿는다(도 6(A) 및 도 10 참조). 이 때, 1쌍의 제2 회전 공구(32)는 이간하여 선재(90)로부터 횡방향으로 떨어져 있다. 이 상태에서 선재 송급 장치(11)가 선재(90)를 소정 길이만큼 송급한다. 이것에 의해 선재(90)의 상하의 양면으로부터 소정 길이분의 피막(90B)이 제거되어, 1쌍의 제1 노출면(94A)이 형성된다.
1쌍의 제1 노출면(94A)이 형성되면, 1쌍의 제1 회전 공구(31)가 이간하여 선재(90)로부터 떨어짐과 아울러, 1쌍의 제2 회전 공구(32)가 접근하여 선재(90)에 근접해간다. 그리고, 제1 노출면(94A)의 일단이 선재 가이드 부재(20)의 제2 분단부(22)에 도달한 곳에서 1쌍의 제2 회전 공구(32)가 선재(90)의 횡방향의 양면에 맞닿는다(도 6(B) 및 도 11 참조). 이 때, 1쌍의 제1 회전 공구(31)는 이간하여 선재(90)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떨어져 있다. 이 상태에서 선재 송급 장치(11)가 선재(90)를 소정 길이만큼 송급한다. 이것에 의해 선재(90)의 횡방향의 양면으로부터 소정 길이분의 피막(90B)이 제거되어 1쌍의 제2 노출면(94B)이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1쌍의 제1 노출면(94A)과 1쌍의 제2 노출면(94B)으로 이루어지는 노출면(94)이 선재(90)에 형성된다. 또 1쌍의 제2 노출면(94B)이 형성되면, 1쌍의 제1 회전 공구(31) 및 1쌍의 제2 회전 공구(32)가 원점 위치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선재 피막 제거 장치(10)는 노출면(94)이 선재(90)에 소정 간격(L0)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동작을 반복한다.
선재 피막 제거 장치(10)로부터 선재 성형기(80)를 향하여 선재(90)가 소정 길이분만큼 뻗으면 선재(90)가 선재 성형기(80)의 선재 송급 장치(81)에 받아들여져,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재 피막 제거 장치(10)와 선재 성형기(80) 사이에서 선재(90)가 휜 상태가 된다. 구체적으로는 선재 피막 제거 장치(10)와 선재 성형기(80)의 장치간 거리에 대하여 적어도 1개의 선재 성형품(91)의 전개 길이분(즉 상기 서술한 소정 간격(L0)분)만큼 긴 선재(90)가 선재 송급 장치(11, 81) 사이에 배치되도록 세트된다. 그리고, 선재 피막 제거 장치(10)의 선재 성형품(91)의 1개분의 선재(90)에 노출면(94)을 가공하여 송급하는 1사이클의 시간과, 선재 성형기(80)의 1개의 선재(90)를 성형하는 1사이클의 시간이 동일하게 되도록 선재 피막 제거 장치(10)와 선재 성형기(80)가 동기하여 동작한다. 이것에 의해 선재 피막 제거 장치(10)와 선재 성형기(80)가 일정한 동작을 반복하여 선재 성형품(91)이 순차적으로 제조된다. 여기서, 선재 피막 제거 장치(10)와 선재 성형기(80)는 각각 선재 송급 장치(11, 81)를 가지고, 선재 피막 제거 장치(10)와 선재 성형기(80) 사이에서 선재(90)가 휘어 있으므로, 1사이클 중에 선재 피막 제거 장치(10) 및 선재 성형기(80)의 일방이 타방을 기다리거나 하는 일은 없고, 원활하게 선재 피막 제거 장치(10)와 선재 성형기(80)가 동작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선재 피막 제거 장치(10)에 의하면, 선재(9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임의의 위치에 상하 방향(제1 방향)을 향한 1쌍의 제1 노출면(94A)과, 선재 피막 제거 장치(10)의 전후 방향(제2 방향)을 향한 1쌍의 제2 노출면(94B)을 가공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선재 피막 제거 장치(10)에 의하면, 종래의 선재 피막 제거 장치로는 불가능했던 노출면(94)의 가공을 선재(90)에 대하여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선재(90)는 선재 가이드 부재(20)에 의해 피가공부의 양측이 지지되어 안정되므로, 가공 정밀도가 향상된다. 또 선재(90) 및 그것이 통과되는 선재 가이드 부재(20)의 가이드 구멍(20H)은 단면 사각형을 이루고 있으므로, 가공시의 선재(90)의 축 둘레의 회전 및 비틀림이 방지되어, 가공 정밀도가 향상된다. 또한 선재 피막 제거 장치(10) 자체가 선재(90)를 송급하는 선재 송급 장치(11)를 가지므로, 선재(9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피가공부의 위치 정밀도가 향상된다. 또 본 실시형태의 선재 성형 시스템(100)에서는, 선재 피막 제거 장치(10)와 선재 성형기(80)가 선재 송급 장치(11, 81)를 각각 갖추고 있으므로, 그들 선재 피막 제거 장치(10)와 선재 성형기(80) 사이에 선재(90)의 느슨함을 두어 선재 피막 제거 장치(10) 및 선재 성형기(80)의 일방이 타방을 기다리는 동작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선재(90)로부터 선재 성형품(91)을 제조할 수 있다.
그런데, 1쌍의 제1 회전 공구(31)의 제1 방향(구체적으로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을 변경하는 제1 공구 간격 변경 기구 및 1쌍의 제2 회전 공구(32)의 제2 방향(구체적으로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을 변경하는 제2 공구 간격 변경 기구는, 제1 회전 공구(31)를 구동하는 1쌍의 제1 회전 구동 기구(41)를 제1 방향과 평행하게 이동시킴과 아울러, 제2 회전 공구(32)를 구동하는 1쌍의 제2 회전 구동 기구(42)를 제2 방향과 평행하게 이동시키는 구조(이하, 「단순 이동 구조」라고 한다)여도 되는데, 그러한 단순 이동 구조에서는 1쌍의 제1 회전 구동 기구(41)끼리 및 1쌍의 제2 회전 구동 기구(42)끼리의 상호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서, 제1 회전 구동 기구(41) 및 제2 회전 구동 기구(42)의 크기의 제한이 엄격하게 된다. 이에 대해, 본 실시형태의 구조와 같이 제1 공구 간격 변경 기구 및 제2 공구 간격 변경 기구가 1쌍의 슬라이드 기구(70)를 공유하여, 일방의 제1 회전 공구(31)와 일방의 제2 회전 공구(32)를 세트로 하여 이동시킴과 아울러, 타방의 제1 회전 공구(31)와 타방의 제2 회전 공구(32)를 세트로 하여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하면, 제1 회전 구동 기구(41) 및 제2 회전 구동 기구(42)의 간섭을 용이하게 회피할 수 있고, 그들의 크기나 구조의 제한이 완화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1쌍의 제1 노출면(94A)과 1쌍의 제2 노출면(94B)은 선재(9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지만,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1쌍의 제1 회전 공구(31)가 1쌍의 제1 노출면(94A)을 가공하기 위해서 접근·이간하는 제1 방향(상하 방향)과, 1쌍의 제2 회전 공구(32)가 1쌍의 제2 노출면(94B)을 가공하기 위해서 접근·이간하는 방향(전후 방향)이 직교하고 있지만, 90도 이외의 각도로 교차하고 있어도 된다.
또 1쌍의 제1 회전 공구(31)끼리 및 1쌍의 제2 회전 공구(32)끼리는 공통의 회전 구동 기구로 회전 구동되어도 된다. 1쌍의 제1 회전 공구(31)끼리를 공통의 회전 구동 기구로 회전 구동하는 것에 관해서는, 공통의 회전체(기어나 풀리)를 중심으로 하여 1쌍의 제1 회전 공구(31)가 회동되는 구성이 생각된다. 1쌍의 제2 회전 공구(32)끼리의 간격을 변경하는 제2 공구 간격 변경 기구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1쌍의 제1 노출면(94A)과 1쌍의 제2 노출면(94B)으로 이루어지는 노출면(94)을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1쌍의 제1 노출면(94A) 및 1쌍의 제2 노출면(94B)의 어느 한쪽만으로 노출면이 형성되어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본 실시형태의 선재 피막 제거 장치(10)에 의하면, 1쌍의 제1 노출면(94A) 및 1쌍의 제2 노출면(94B)으로 이루어지는 노출면(94)과, 1쌍의 제1 노출면(94A)만의 노출면과, 1쌍의 제2 노출면(94B)만의 노출면의 복수 종류의 노출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이하, 도 12~도 14에 나타낸 본 실시형태의 선재 피막 제거 장치(10A)에 대해 설명한다. 이 선재 피막 제거 장치(10A)에는 천판(60A)으로부터 기립되어 선재 송급 방향(H1)에서 대향하는 1쌍의 지지벽(14A, 14B)이 갖추어져 있다. 그리고, 1쌍의 지지벽(14A, 14B)의 서로의 대향면 중 상류측의 지지벽(14A)의 대향면에,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쌍의 제1 회전 공구(31)끼리의 간격을 변경하는 제1 공구 간격 변경 기구로서 1쌍의 슬라이드 기구(70A)가 갖추어지고, 하류측의 지지벽(14B)의 대향면에,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쌍의 제2 회전 공구(32)끼리의 간격을 변경하는 제2 공구 간격 변경 기구로서 1쌍의 슬라이드 기구(70B)가 갖추어져 있다. 이들 슬라이드 기구(70A, 70B)는 상기 제1 실시형태의 슬라이드 기구(70)와 기본적인 구조가 동일하며, 제1 실시형태와 동일 구조의 부위에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호가 붙여져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류측의 지지벽(14A)의 대향면에서는, 1쌍의 슬라이드 기구(70A)가 선재 송급로(R)를 사이에 끼우고 전후 방향으로 늘어서 있고, 각 슬라이드 기구(70A)의 슬라이드 베이스(77)가 상하로 슬라이드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각 슬라이드 기구(70A)의 슬라이드 베이스(77)에 각각 제1 회전 공구(31)를 회전 구동하는 제1 회전 구동 기구(41)가 부착되어 있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류측의 지지벽(14B)의 대향면에서는, 1쌍의 슬라이드 기구(70B)가 선재 송급로(R)를 사이에 끼우고 상하 방향으로 늘어서 있고, 각 슬라이드 기구(70B)의 슬라이드 베이스(77)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각 슬라이드 기구(70B)의 슬라이드 베이스(77)에 각각 제2 회전 공구(32)를 회전 구동하는 제2 회전 구동 기구(42)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본 실시형태의 선재 피막 제거 장치(10A)는 상기 서술한 구성 이외에는 제1 실시형태의 선재 피막 제거 장치(10)와 동일하며, 제1 실시형태의 선재 피막 제거 장치(10)와 동일하게 선재(90)를 가공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같은 단순 이동 구조에서는 1쌍의 제1 회전 구동 기구끼리 및 1쌍의 제2 회전 구동 기구끼리의 상호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서, 제1 회전 구동 기구 및 제2 회전 구동 기구의 크기나 구조의 제한이 엄격하게 되지만, 제1 실시형태의 구조에서는 그러한 제한이 완화된다.
[다른 실시형태]
(1) 상기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서는, 1쌍의 제1 회전 공구(31)끼리의 간격을 변경하는 제1 공구 간격 변경 기구에는 1쌍의 슬라이드 기구(70)(또는 1쌍의 슬라이드 기구(70A))가 포함되고, 그들 1쌍의 슬라이드 기구(70)가 각각의 구동원(감속기 부착 서보모터(74))으로 구동되고 있었지만, 공통의 구동원으로 구동되도록 해도 된다. 1쌍의 제2 회전 공구(32)끼리의 간격을 변경하는 제2 공구 간격 변경 기구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2) 구체적으로는 도 15에 나타낸 제1 공구 간격 변경 기구(110)와 같이, 예를 들면 공통의 가이드 레일(7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어맞춘 1쌍의 슬라이더(76)에 1쌍의 제1 회전 공구(31)를 구동시키는 제1 회전 구동 기구(41)가 부착되고, 1쌍의 슬라이더(76)에 각각 고정되어 가이드 레일(72)과 평행하게 뻗는 1쌍의 래크(99)가 대향 배치되며, 또한 그들 1쌍의 래크(99)에 끼워져 맞물리는 피니언(98)이 설치되고, 그 피니언(98)이 모터(97)로 회전 구동되도록 해도 된다. 제2 공구 간격 변경 기구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3) 또 도 16에 나타낸 제1 공구 간격 변경 기구(111)와 같이, 상기한 1쌍의 래크(99) 및 피니언(98) 대신에, 1쌍의 풀리(113) 사이에 타이밍 벨트(114)를 걸치고, 타이밍 벨트(114)의 1쌍의 대향 부분(114A)이 가이드 레일(72)과 평행하게 뻗도록 하여 배치하여 1쌍의 슬라이더(76)를 1쌍의 대향 부분(114A)에 고정하고, 일방의 풀리(113)가 모터(97)로 회전 구동되도록 해도 된다. 제2 공구 간격 변경 기구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4) 상기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서는, 1쌍의 제1 회전 공구(31)는 각각의 구동원으로 회전 구동되고 있었지만, 공통의 구동원으로 회전 구동되도록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1개의 모터로 회전 구동되는 입력 기어에 1쌍의 제1 회전 공구(31)와 일체 회전하는 1쌍의 출력 기어를 직접 또는 아이들 기어를 개재시켜 기어 연결하여, 1쌍의 제1 회전 공구(31)가 1개의 모터로 회전 구동됨과 아울러, 입력 기어의 중심에 대한 1쌍의 출력 기어의 위치를 변경하여 1쌍의 제1 회전 공구(31)의 간격을 변경 가능하게 해도 된다. 또 1개의 모터로 회전 구동되는 입력 풀리에 1쌍의 제1 회전 공구(31)와 일체 회전하는 1쌍의 출력 풀리를 타이밍 벨트로 벨트 연결하여, 1쌍의 제1 회전 공구(31)가 1개의 모터로 회전 구동됨과 아울러, 입력 풀리의 중심에 대한 1쌍의 출력 풀리의 위치를 변경하여 1쌍의 제1 회전 공구(31)의 간격을 변경 가능하게 해도 된다. 1쌍의 제2 회전 공구(32)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5) 상기 각 실시형태의 모터는, 제1 회전 공구(31) 및 제2 회전 공구(32)를 회전 구동하는 모터는 전기 모터여도 에어 모터여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는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기술의 구체예가 개시되어 있는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은 이들 구체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체예를 다양하게 변형, 변경한 것도 포함하고, 또 구체예로부터 일부를 단독으로 빼낸 것도 포함한다.
10…선재 피막 제거 장치
11, 81…선재 송급 장치
20…선재 가이드 부재
20H…가이드 구멍
21…제1 분단부
22…제2 분단부
31…제1 회전 공구
32…제2 회전 공구
41…제1 회전 구동 기구
42…제2 회전 구동 기구
77…슬라이드 베이스
80…선재 성형기
90…선재
90B…피막
100…선재 성형 시스템
R…선재 송급로

Claims (8)

  1. 선재가 직선 형상으로 뻗은 상태에서 송급되는 선재 송급로와,
    상기 선재 송급로의 제1 위치에서, 제1 방향에서 상기 선재를 사이에 끼우고 상기 선재의 피막을 제거하는 1쌍의 제1 회전 공구와,
    상기 1쌍의 제1 회전 공구를 회전 구동하는 제1 회전 구동 기구와,
    상기 선재 송급로의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에서 상기 선재를 사이에 끼우고 상기 선재의 피막을 제거하는 1쌍의 제2 회전 공구와,
    상기 1쌍의 제2 회전 공구를 회전 구동하는 제2 회전 구동 기구와,
    상기 선재의 송급에 따라 상기 1쌍의 제1 회전 공구끼리를 서로 접근 및 이간시키는 제1 공구 간격 변경 기구와,
    상기 선재의 송급에 따라 상기 1쌍의 제2 회전 공구끼리를 서로 접근 및 이간시키는 제2 공구 간격 변경 기구
    를 갖추고,
    상기 선재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가공 대상 부위의 상기 피막의 일부를 상기 1쌍의 제1 회전 공구로 제거하고나서, 상기 가공 대상 부위의 상기 피막의 나머지를 상기 1쌍의 제2 회전 공구로 제거하는 선재 피막 제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 구동 기구는 쌍을 이루어 상기 1쌍의 제1 회전 공구를 각각 회전 구동하고,
    상기 제2 회전 구동 기구는 쌍을 이루어 상기 1쌍의 제2 회전 공구를 각각 회전 구동하고,
    상기 선재 송급 방향과 직교하고 또한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제3 방향에 대하여, 각각 평행하게 이동하는 1쌍의 슬라이드 베이스를 갖추고,
    일방의 상기 슬라이드 베이스에 일방의 상기 제1 회전 구동 기구와 일방의 상기 제2 회전 구동 기구가 탑재됨과 아울러, 타방의 상기 슬라이드 베이스에 타방의 상기 제1 회전 구동 기구와 타방의 상기 제2 회전 구동 기구가 탑재되어, 상기 제1 공구 간격 변경 기구 및 상기 제2 공구 간격 변경 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1쌍의 슬라이드 베이스가 서로 역향(逆向)으로 되는 제1 향(向)으로 이동되면, 상기 1쌍의 제1 회전 공구가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의 양방향에서 서로 접근하는 한편, 상기 1쌍의 제2 회전 공구가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에서 서로 이간하고,
    상기 1쌍의 슬라이드 베이스가 서로 역향으로 되는 상기 제1 향과는 반대인 제2 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1쌍의 제1 회전 공구가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의 양방향에서 서로 이간하는 한편, 상기 1쌍의 제2 회전 공구가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에서 서로 접근하는 선재 피막 제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재 송급 방향으로 뻗고, 상기 선재가 삽입통과되는 선재 가이드 구멍을 가지는 선재 가이드 부재와,
    상기 선재 가이드 부재의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를 분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선재가 노출되는 제1 분단부 및 제2 분단부를 갖추는 선재 피막 제거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재 송급 방향으로 뻗고, 상기 선재가 삽입통과되는 선재 가이드 구멍을 가지는 선재 가이드 부재와,
    상기 선재 가이드 부재의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를 분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선재가 노출되는 제1 분단부 및 제2 분단부를 갖추는 선재 피막 제거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재 가이드 구멍 및 상기 선재는 단면 사각형을 이루고 있는 선재 피막 제거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재 가이드 구멍 및 상기 선재는 단면 사각형을 이루고 있는 선재 피막 제거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재를 송급하는 선재 송급 장치를 가지는 선재 피막 제거 장치.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선재 피막 제거 장치와, 상기 선재 피막 제거 장치로부터 상기 선재를 받아들여 성형하는 선재 성형기를 갖추어 이루어지고,
    상기 선재를 송급하는 선재 송급 장치가 상기 선재 피막 제거 장치와 상기 선재 성형기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선재 성형 시스템.
KR1020230017753A 2022-03-29 2023-02-10 선재 피막 제거 장치 및 선재 성형 시스템 KR202301403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2-053210 2022-03-29
JP2022053210A JP7154727B1 (ja) 2022-03-29 2022-03-29 線材被膜除去装置及び線材成形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0361A true KR20230140361A (ko) 2023-10-06

Family

ID=83658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7753A KR20230140361A (ko) 2022-03-29 2023-02-10 선재 피막 제거 장치 및 선재 성형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318271A1 (ko)
EP (1) EP4254691A1 (ko)
JP (1) JP7154727B1 (ko)
KR (1) KR20230140361A (ko)
CN (1) CN11689602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07989A1 (ja) 2018-04-26 2019-10-31 三菱電機株式会社 絶縁被膜剥離装置および絶縁被膜剥離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7533A (ja) * 1984-09-10 1986-04-07 Yoshihisa Yatsuo 線材の連続表面研摩装置
JPS61127953U (ko) * 1985-01-25 1986-08-11
JPH0183066U (ko) * 1987-11-18 1989-06-02
JPH0824941A (ja) * 1994-07-13 1996-01-30 Daido Steel Co Ltd 線材のインラインサイジング方法
JP4304509B2 (ja) * 2005-02-01 2009-07-29 富士電機システムズ株式会社 平角線材用皮膜剥き装置
DE102019213976B4 (de) * 2019-09-13 2021-07-15 Wafio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Drahtverarbeitungsmaschine zur Herstellung von Formteilen aus isoliertem Flachmaterial
CN110936271A (zh) * 2019-10-07 2020-03-31 浙江谋皮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钢丝除锈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07989A1 (ja) 2018-04-26 2019-10-31 三菱電機株式会社 絶縁被膜剥離装置および絶縁被膜剥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154727B1 (ja) 2022-10-18
US20230318271A1 (en) 2023-10-05
EP4254691A1 (en) 2023-10-04
JP2023146165A (ja) 2023-10-12
CN116896028A (zh) 2023-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78592B (zh) 机床
TWI485032B (zh) 機床
EP2754532B1 (en) Machine tool line
JPH11343133A (ja) 板ガラスの切断装置
KR20120117308A (ko) 양두 밀링 머신
JP5933490B2 (ja) 旋盤
WO2013122138A1 (ja) 帯鋸盤
TWI505906B (zh) 金屬件加工方法
KR20120090437A (ko) 프레임 절단기
CN207414443U (zh) 一种高效铣削刃具弧面的专用龙门式数控铣床
CN103878589B (zh) 金属件加工方法
CN111974915B (zh) 线材成形机
KR20230140361A (ko) 선재 피막 제거 장치 및 선재 성형 시스템
CN114346311A (zh) 一种四边锯及其切割门板的方法
JP2008055453A (ja) 帯板材製品の製造方法及び帯板材加工機
KR102661851B1 (ko) 더블엔드 테노너
CN103878534B (zh) 金属件加工方法
CN106378496A (zh) 一种立柱铲齿机
CN208005156U (zh) 两剪六冲横剪线
CN207577692U (zh) 双头yag镭射机
JPH02142633A (ja) 曲げ装置
CN217493095U (zh) 一种激光切管机
CN2497899Y (zh) 散热鳍片成型装置
CN203765244U (zh) 双转式夹具结构和多工件型插装设备
KR101491311B1 (ko) 논슬립 경계석 가공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