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8548A - 컨트롤러 및 컴퓨터 - Google Patents

컨트롤러 및 컴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8548A
KR20230138548A KR1020237030964A KR20237030964A KR20230138548A KR 20230138548 A KR20230138548 A KR 20230138548A KR 1020237030964 A KR1020237030964 A KR 1020237030964A KR 20237030964 A KR20237030964 A KR 20237030964A KR 20230138548 A KR20230138548 A KR 202301385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
controller
pressure
grip portion
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0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무나카타
준 하세가와
후타 이마타
히로시 후지오카
유타 사토
기요카즈 사카이
료이치 기쿠치
나오야 니시자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무
Publication of KR20230138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85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5Pressure sensors for measuring the pressure or force exerted on the touch surface without providing the touch position

Abstract

[과제] 유저가 느끼는 위화감을 경감시킬 수 있는 컨트롤러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본 발명에 따른 그립을 가진 펜형 컨트롤러(6)는, 펜 형상으로 형성된 펜부(6p)와, 펜부(6p)의 축 방향과 교차하는 그립부(6g)와, 그립부(6g) 내에 배치되는 배터리(6gg)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컨트롤러 및 컴퓨터
본 발명은 컨트롤러 및 컴퓨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VR(Virtual Reality), AR(Augmented Reality), MR(Mixed Reality), SR(Substitutional Reality) 등의 XR 기술에 의해 구성된 공간(이하 「XR 공간」이라고 함) 내에서 사용되는 컨트롤러 및 그와 같은 컨트롤러와 통신 가능한 컴퓨터에 관한 것이다.
유저가 XR 공간 내의 위치를 지시하기 위해서, 펜형의 컨트롤러가 이용된다. 특허문헌 1에는, 펜형의 컨트롤러의 예가 개시되어 있다.
펜형의 컨트롤러에는, 배터리가 내장되는 경우가 있다. 이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은, 집적 회로의 동작,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 등을 위해 이용된다.
국제 공개 제2019/220803호 명세서
그렇지만, 배터리를 내장하고 있는 펜형의 컨트롤러는, 중량 밸런스가 나빠, 사용시에 유저가 위화감을 느껴 버린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는, 유저가 느끼는 위화감을 경감시킬 수 있는 컨트롤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펜형의 컨트롤러에 압력 패드를 마련하는 경우, 복수의 압력 패드를 마련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 중 다른 하나는, 복수의 압력 패드를 가지는 컨트롤러로부터 송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컴퓨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컨트롤러는, 펜 형상으로 형성된 펜부와, 상기 펜부의 축 방향과 교차하는 그립부와, 상기 그립부 내에 배치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컨트롤러이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른 컴퓨터는, 펜 형상으로 형성된 펜부와, 상기 펜부의 축 방향과 교차하는 그립부와, 상기 그립부 내에 배치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컨트롤러로서, 상기 펜부는, 제1 정전 터치 센서 및 제1 감압 센서를 포함하는 제1 압력 패드 및 제2 정전 터치 센서 및 제2 감압 센서를 포함하는 제2 압력 패드를 가지는 컨트롤러와 통신 가능한 컴퓨터로서,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송신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프로세서를 가지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에 의해서 수신되는 정보로서 상기 제1 정전 터치 센서에 의해서 검출되는 정보 또는 상기 통신부에 의해서 수신되는 정보로서 상기 제2 정전 터치 센서에 의해서 검출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부에 의해서 수신되는 정보로서 상기 제1 감압 센서에 의해서 검출되는 압압(押壓)값에 관한 필압값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통신부에 의해서 수신되는 정보로서 상기 제2 감압 센서에 의해서 검출되는 압압값에 관한 필압값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컴퓨터이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의하면, 유저가 느끼는 위화감을 경감시킬 수 있는 컨트롤러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의하면, 복수의 압력 패드를 가지는 컨트롤러로부터 송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컴퓨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그립을 가진 펜형 컨트롤러(6)를 포함하는 트래킹 시스템(1)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컴퓨터(2)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유저가 컨트롤러(6)를 오른손으로 파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의 (a) 및 (b)는, 서로 다른 각도에서 본 컨트롤러(6)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낸 A-A선에 대응하는 컨트롤러(6)의 단면도이다.
도 6의 (a) 및 (b)는, 서로 다른 각도에서 본 컨트롤러(6)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컨트롤러(6)의 기능 블록을 나타내는 대략 블록도이다.
도 8은 압력 패드(6pbL)의 단면을 포함하는 컨트롤러(6)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낸 A-A선에 있어서의 컨트롤러(6)의 단면도이다.
도 10의 (a)는 도 8에 나타낸 압력 패드(6pbL)의 단면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도 8에 나타낸 압력 패드(6pbL)의 단면 구조의 다른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c)는 도 8에 나타낸 압력 패드(6pbL)의 단면 구조의 또 다른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d)는 (c)의 예에 따른 압력 패드(6pbL)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처리 회로(50)로부터 압력 패드(6pbL, 6pbR)의 검출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의 공급을 받은 컴퓨터(2)에 의해서 실행되는 처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택트 톱 버튼(6ga) 및 다이얼 버튼(6gb)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택트 톱 버튼(6ga) 및 다이얼 버튼(6gb)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그립을 가진 펜형 컨트롤러(6)를 포함하는 트래킹 시스템(1)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래킹 시스템(1)은, 컨트롤러(6) 외에, 컴퓨터(2)와, 위치 검출 장치(3)와, 3대의 카메라(4a~4c)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5)를 가지고 구성된다. 컴퓨터(2)와, 위치 검출 장치(3), 카메라(4a~4c),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5), 컨트롤러(6) 각각은,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해 통신 가능하게 구성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저는 데스크 체어(61)에 앉아, 머리부에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5)를 장착하고, 컨트롤러(6)를 오른손으로 쥔 상태에서, 트래킹 시스템(1)을 사용한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5)의 표시면에는 컴퓨터(2)에 의해서 렌더링된 XR 공간이 표시되어 있고, 유저는, 이 XR 공간을 보면서, 데스크(60)의 상방에서 컨트롤러(6)를 조작하게 된다. 컨트롤러(6)는, 펜에 그립이 장착된 형상을 가지는 펜형의 디바이스로서, XR 공간 내에 표시되는 3D 오브젝트의 제어(구체적으로는, 3D 오브젝트의 묘화, 3D 오브젝트의 이동 등)를 행한다. 추가로, 컨트롤러(6)는 위치 검출 장치(3)를 이용하여 2D 입력을 행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컴퓨터(2)는, 도 1의 예에서는, 데스크(60)의 중앙에 배치된 노트형의 퍼스널 컴퓨터에 의해 구성된다. 다만, 컴퓨터(2)를 반드시 데스크(60) 중앙에 배치할 필요는 없고, 위치 검출 장치(3), 카메라(4a~4c),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5), 및, 컨트롤러(6)와 통신 가능한 위치에 배치하면 된다. 또한, 컴퓨터(2)는, 노트형의 퍼스널 컴퓨터 외에도, 데스크톱형의 퍼스널 컴퓨터, 태블릿형의 퍼스널 컴퓨터, 스마트폰, 서버 컴퓨터 등, 다양한 타입의 컴퓨터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컴퓨터(2)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컴퓨터(2)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101), 기억 장치(102), 입력 장치(103), 출력 장치(104), 및 통신 장치(105)를 가지고 구성된다.
CPU(101)는 컴퓨터(2)의 각 부를 제어함과 아울러, 기억 장치(102)에 기억되는 각종 프로그램을 읽어내어 실행하는 프로세서이다. 후술하는 컴퓨터(2)가 실행하는 처리는, CPU(101)가 기억 장치(102)에 기억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서 실현된다.
기억 장치(102)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의 주기억 장치와, 하드 디스크 등의 보조 기억 장치를 포함하고, 컴퓨터(2)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이나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 및 이들 프로그램에 의해서 이용되는 데이터를 기억하는 역할을 하는 장치이다.
입력 장치(103)는, 유저의 입력 조작을 접수하여 CPU(101)에 공급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터치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출력 장치(104)는, CPU(101)의 처리 결과를 유저에 대해서 출력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스피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 장치(105)는 위치 검출 장치(3), 카메라(4a~4c),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5), 컨트롤러(6)를 포함하는 외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CPU(101)의 제어에 따라, 이들 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도 1로 되돌아간다. 컴퓨터(2)는, 카메라(4a~4c)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5), 컨트롤러(6), 및 위치 검출 장치(3) 각각의 위치 및 기울기를 주기적으로 검출하는 것에 의해, 이것들의 움직임을 트래킹하는 역할을 한다. 위치 및 기울기의 검출은, 구체적으로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5), 컨트롤러(6), 및 위치 검출 장치(3) 각각의 표면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LED를 이용하여 실행된다. 즉, 컴퓨터(2)는, 카메라(4a~4c)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 중에서 이들의 LED가 발하고 있는 광을 검출하는 것에 의해, 각 장치의 위치 및 기울기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2)는 트래킹하고 있는 각 장치의 움직임과, 컨트롤러(6)에 마련되는 각 스위치 등(후술)의 상태에 기초하여 XR 공간 및 그 안에 표시하는 3D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생성한 XR 공간 및 3D 오브젝트를 렌더링하여,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5)에 송신하는 처리를 행한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5)는, 컴퓨터(2)로부터 송신된 렌더링 화상을 표시하는 것에 의해, 하나 이상의 3D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XR 공간을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위치 검출 장치(3)는, 도 1의 예에서는, 데스크(60)의 상면 중 유저로부터 볼 때 컴퓨터(2) 앞쪽측에 상당하는 위치에 배치된 태블릿에 의해 구성된다. 다만, 위치 검출 장치(3)를 반드시 이 위치에 배치할 필요는 없고, 데스크 체어(61)에 앉은 유저의 손이 닿는 범위에 배치하면 된다. 또한, 위치 검출 장치(3) 및 컴퓨터(2)를, 예를 들면 태블릿 단말 등의 일체의 장치에 의해 구성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위치 검출 장치(3)는 터치면 상에서의 컨트롤러(6)의 펜 팁의 위치를 주기적으로 검출하고, 검출한 위치를 순차적으로 컴퓨터(2)에 송신하는 기능을 가진다. 컴퓨터(2)는, 송신된 위치에 기초하여, 2D 오브젝트 또는 3D 오브젝트를 구성하는 스트로크 데이터의 생성 및 렌더링을 행한다. 이 렌더링에는, 묘화하는 선의 굵기 또는 투명도를 후술하는 필압값에 따라 제어하는 처리가 포함된다. 위치 검출 장치(3)에 의한 위치 검출의 구체적인 방식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액티브 정전 방식 또는 정전 유도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카메라(4a~4c)는 각각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촬상 장치로서, 촬영에 의해서 얻어진 영상을 순차적으로 컴퓨터(2)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카메라(4a)는 데스크(60)를 사이에 두고 유저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카메라(4b)는 유저의 좌측 상방에, 카메라(4c)는 유저의 우측 상방에, 각각 데스크(60)의 상면을 촬영할 수 있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도 3은 유저가 컨트롤러(6)를 오른손으로 파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4의 (a) 및 도 4의 (b)는, 서로 다른 각도에서 본 컨트롤러(6)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 나타낸 A-A선에 대응하는 컨트롤러(6)의 단면도이며, 도 6의 (a) (b)는, 서로 다른 각도에서 본 컨트롤러(6)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컨트롤러(6)의 기능 블록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이하,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서, 컨트롤러(6)의 구성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4의 (a) 및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트롤러(6)는 펜 형상으로 형성된 펜부(6p)와, 길이 방향이 펜부(6p)의 축 방향과 교차하도록 펜부(6p)에 고정된 그립부(6g)를 가지고 구성된다. 유저가 이 컨트롤러(6)를 파지하는 때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엄지, 검지, 중지로 그립부(6g)를 잡도록 하는 형태로 컨트롤러(6)를 파지하게 된다. 이하, 펜부(6p)의 축 방향을 x방향이라고 칭하고, x방향과 그립부(6g)의 길이 방향에 의해 구성되는 평면 내의 방향이고, 또한, x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z방향이라고 칭하며, x방향 및 z방향 각각과 직교하는 방향을 y방향이라고 칭한다.
도 4의 (a) 및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펜부(6p)의 펜 팁에는 니브(nib)(6pa)가 마련되고, 측면에는, 좌우의 압력 패드(6pbL, 6pbR)와, 좌우의 시프트 버튼(6pcL, 6pcR)과, USB(Universal Serial Bus) 커넥터(6pd)가 마련된다. 또한, 그립부(6g)에는, 택트 톱 버튼(6ga)과, 다이얼 버튼(6gb)과, 그래브(grab) 버튼(6gc)과, 좌우의 택트 버튼(6gdL, 6gdR)과, 오목부(6ge)가 마련된다. 이것들 외에, 도 5, 도 6의 (a),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펜부(6p)의 내부에는, 펜 팁 전극(6pe)과, 프린트 회로 기판 어셈블리(6pf)와, 플렉서블 프린트 회로 기판(6pg)이 배치되고, 그립부(6g)의 내부에는, 햅틱(haptics) 소자(6gf)와, 배터리(6gg)와, 메인 보드(6gh)가 배치된다. 이들 부품 중 프린트 회로 기판 어셈블리(6pf)는 컨트롤러(6)의 기간(基幹)을 이루는 부품이며, 컨트롤러(6)는 완성품으로서의 프린트 회로 기판 어셈블리(6pf)에 다른 부품을 장착하는 것에 의해서 제조된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트롤러(6)는 기능적으로, 처리 회로(50), 필압 센서(51), 무선 통신 회로(52), 및 전원 회로(53)를 가지고 구성된다. 이 중 처리 회로(50)는 프린트 회로 기판 어셈블리(6pf) 내에 실장된 집적 회로에 의해서 구성되고, 무선 통신 회로(52) 및 전원 회로(53)는, 플렉서블 프린트 회로 기판(6pg) 상에 실장된 집적 회로에 의해서 구성된다.
처리 회로(50)는 컨트롤러(6)의 중앙 처리 장치로서 기능하는 회로로서, 압력 패드(6pbL, 6pbR), 시프트 버튼(6pcL, 6pcR), 택트 톱 버튼(6ga), 다이얼 버튼(6gb), 그래브 버튼(6gc), 택트 버튼(6gdL, 6gdR), 필압 센서(51) 각각의 상태(조작 상태, 검출 상태)를 취득하고, 펜 팁 전극(6pe) 또는 무선 통신 회로(52)를 통해서 위치 검출 장치(3) 또는 컴퓨터(2)에 공급하는 기능과, 위치 검출 장치(3) 또는 컴퓨터(2)가 송신한 신호를 펜 팁 전극(6pe) 또는 무선 통신 회로(52)를 통해서 수신하는 기능과, 위치 검출 장치(3) 또는 컴퓨터(2)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따른 처리를 행하는 기능을 가지고 구성된다. 위치 검출 장치(3) 또는 컴퓨터(2)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따른 처리에는, 수신한 신호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고 반송하는 처리와, 햅틱 소자(6gf)의 제어가 포함된다. 처리 회로(50)는 또한, 컨트롤러(6)의 표면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LED 각각의 점등 상태의 제어도 행한다.
무선 통신 회로(52)는 블루투스(등록상표)나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등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회로이다. 처리 회로(50)는, 이 무선 통신 회로(52)를 이용하여, 도 1에 나타낸 컴퓨터(2)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한다.
니브(6pa)는 펜 팁을 구성하는 대략 막대 모양의 부재로서, 선단 방향을 향하여 가압된 상태에서, 선단이 펜부(6p)의 하우징으로부터 약간 돌출하도록 배치된다. 니브(6pa)의 후단은, 필압 센서(51)에 맞닿아 있다. 유저가 니브(6pa)의 선단을 위치 검출 장치(3)의 터치면에 대고 누르면, 니브(6pa)는 후방을 향하여 이동한다. 필압 센서(51)는, 이 이동을 검출하는 것에 의해서 니브(6pa)의 선단에 가해지고 있는 압력을 검출하는 센서로서, 검출한 압력의 값을 「필압값」으로 하여 처리 회로(50)에 통지하는 역할을 한다.
펜 팁 전극(6pe)은 도 5, 도 6의 (a),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니브(6pa)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도전체로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처리 회로(5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처리 회로(50)는, 펜 팁 전극(6pe)을 매개로 하여, 위치 검출 장치(3)와의 사이에서의 신호의 송수신을 실행한다. 위치 검출 장치(3)는, 이렇게 하여 송수신되는 신호에 의해, 터치면 상에서의 니브(6pa)의 위치를 검출함과 아울러, 처리 회로(50)로부터 상기 필압값의 취득을 행한다.
USB 커넥터(6pd)는, USB 케이블을 접속 가능하게 구성된 커넥터로서, 처리 회로(50) 및 전원 회로(53)에 접속되어 있다. 처리 회로(50)는, USB 케이블을 통해서 외부로부터 펌웨어에 의해, 자신의 펌웨어를 갱신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전원 회로(53)는, USB 케이블을 통해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배터리(6gg)를 충전하도록 구성된다. 전원 회로(53)와 배터리(6gg)의 사이는, 플렉서블 프린트 회로 기판(6pg)으로부터 메인 보드(6gh)에 걸쳐 연장 마련되는 배선에 의해 접속된다. 충전된 배터리(6gg)는 처리 회로(50) 및 햅틱 소자(6gf)를 포함하는 컨트롤러(6) 내의 각 부에 동작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종래의 펜형 컨트롤러라면, 배터리(6gg)는 펜부(6p) 내의 위치에 마련되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컨트롤러(6)에 있어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립부(6g) 내의 위치에 배터리(6gg)가 마련된다. 달리 말하면, 배터리(6gg)는, 펜부(6p) 내에 배치되는 프린트 회로 기판 어셈블리(6pf)의 하측(프린트 회로 기판 어셈블리(6pf)로부터 볼 때, 그립부(6g)의 길이 방향의 양 단부 중 펜부(6p)의 축 방향으로부터 먼 쪽의 단부측)에 배치된다. 또 다른 식으로 말하면, 배터리(6gg)는 햅틱 소자(6gf)와 오목부(6ge)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배치를 채용함으로써, 펜부(6p) 및 그립부(6g) 중 유저가 잡고 있는 부분보다 상측의 부분을 종래보다 가볍게 할 수 있으므로, 유저가 그립부(6g)를 잡고 컨트롤러(6)의 조작을 행하는 경우의 위화감의 경감이 실현된다.
압력 패드(6pbL, 6pbR)는 각각, 표면에 유저의 손가락이 접촉하고 있는 것, 및, 표면 내에서의 그 손가락의 위치를 검출하는 터치 센서와, 표면에 가해지고 있는 압력을 검출하기 위한 감압 센서를 가지는 디바이스이다. 압력 패드(6pbL, 6pbR)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추후 도 8을 참조하면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압력 패드(6pbL, 6pbR)의 검출 결과는 처리 회로(50)를 통해서 컴퓨터(2)에 공급되어, 각종 처리를 위해서 사용된다. 구체적인 예에서는, 감압 센서에 의해서 검출된 압력은, 애플리케이션 상에서의 선택 및 묘화를 위해서 이용된다. 예를 들면, 마치 상술한 필압값과 같이, 묘화하는 선의 굵기 또는 투명도를 압력에 따라 제어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한편, 터치 센서에 의해서 검출된 터치의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는, 감압 센서 출력의 온 오프 판정, 및, 가벼운 더블 탭을 실현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도 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력 패드(6pbL, 6pbR)는 각각, 펜부(6p)의 상면 중 그립부(6g)보다도 펜 팁 근처의 위치에, xz평면을 사이에 두고 좌우 대칭이 되도록 배치된다. 오른손으로 컨트롤러(6)를 파지하고 있는 유저는, 도 3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엄지에 의해 압력 패드(6pbL)의 조작을, 검지에 의해 압력 패드(6pbR)의 조작을, 각각 행하게 된다.
시프트 버튼(6pcL, 6pcR), 그래브 버튼(6gc), 택트 버튼(6gdL, 6gdR)은 각각, 온 오프 가능하게 구성된 스위치이다. 시프트 버튼(6pcL, 6pcR)은 각각, 애플리케이션의 메뉴에 할당된다. 그래브 버튼(6gc)은 오브젝트를 잡고 이동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택트 버튼(6gdL, 6gdR)은 각각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과 같은 버튼 보조를 위해서 이용된다. 처리 회로(50)는 이들 스위치의 조작 상태도 검출하고, 검출한 상태에 기초하는 정보를 컴퓨터(2) 또는 위치 검출 장치(3)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2) 및 위치 검출 장치(3)는 각각, 이렇게 하여 공급된 정보에 따른 처리를 행한다.
도 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프트 버튼(6pcL, 6pcR)은 각각, 펜부(6p)의 상면 중 압력 패드(6pbL, 6pbR)와 그립부(6g) 사이의 위치에, xz평면을 사이에 두고 좌우 대칭이 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그래브 버튼(6gc)은 그립부(6g)의 펜 팁측 측면 중 하측 단부 근방의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택트 버튼(6gdL, 6gdR)은 각각, 그립부(6g)의 펜 팁측 측면 중 z방향으로 볼 때 펜부(6p)와 중첩되는 위치에, xz평면을 사이에 두고 좌우 대칭이 되도록 배치된다. 오른손으로 컨트롤러(6)를 파지하고 있는 유저는, 도 3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중지에 의해 그래브 버튼(6gc)의 누름 조작을, 검지에 의해 택트 버튼(6gdR)의 누름 조작을, 엄지에 의해 택트 버튼(6gdL)의 누름 조작을, 각각 행하게 된다.
택트 톱 버튼(6ga)은 길게 누르는 것에 의해 전원 버튼으로서 기능하는 스위치이다. 또한, 다이얼 버튼(6gb)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링 모양의 부재로서, 조작 상태로 하여 회전량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이 회전량은, 예를 들면 선택 중인 오브젝트를 회전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택트 톱 버튼(6ga) 및 다이얼 버튼(6gb)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추후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처리 회로(50)는 택트 톱 버튼(6ga) 및 다이얼 버튼(6gb)의 조작 상태도 검출하고, 검출한 상태에 기초하는 정보를 컴퓨터(2) 또는 위치 검출 장치(3)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2) 및 위치 검출 장치(3)는 각각, 이렇게 하여 공급된 정보에 따른 처리를 행한다.
도 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이얼 버튼(6gb)은 그립부(6g)의 상측 단부(그립부(6g)의 길이 방향의 양 단부 중 펜부(6p)의 축 방향으로부터 가까운 쪽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고, 택트 톱 버튼(6ga)은 다이얼 버튼(6gb)의 중공 부분에 배치된다. 오른손으로 컨트롤러(6)를 파지하고 있는 유저는, 도 3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엄지에 의해 다이얼 버튼(6gb)의 회전 조작 및 택트 톱 버튼(6ga)의 누름 조작을 행하게 된다. 다만, 택트 톱 버튼(6ga) 및 다이얼 버튼(6gb)은 유저가 엄지를 의도적으로 그립부(6g)의 상측 단부까지 들어 올리지 않으면 조작할 수 없는 위치에 있기 때문에, 통상 상태에서는, 유저의 손에 의해서 가려지지 않고 노출되어 있다.
오목부(6ge)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저가 컨트롤러(6)를 파지한 경우에 검지 밑부터 엄지 밑에 걸친 부분이 꼭 들어맞도록 구성된 부분으로서, 펜부(6p)의 펜 꽁무늬를 향하여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컨트롤러(6)에 이 오목부(6ge)를 마련한 것에 의해, 컨트롤러(6)를 사용하는 유저의 피로가 경감된다.
도 5, 도 6의 (a), 도 6의 (b), 도 7에 나타낸 햅틱 소자(6gf)는 햅틱을 위한 동작을 행하는 소자로서, 예를 들면 진동 소자에 의해서 구성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햅틱 소자(6gf)는 그립부(6g) 내에서 유저가 잡는 부분의 근방에 배치된다. 달리 말하면, 햅틱 소자(6gf)는 그립부(6g) 중 펜부(6p)와 인접하는 위치에 마련된다. 햅틱 소자(6gf)로부터 볼 때 그립부(6g)의 반대측에는 오목부(6ge)가 위치하고 있고, 이것에 의해, 도 3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유저의 중지에 햅틱을 주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8은 압력 패드(6pbL)의 단면을 포함하는 컨트롤러(6)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9는 도 8에 나타낸 A-A선에 있어서의 컨트롤러(6)의 단면도이며, 도 10의 (a)는 도 8에 나타낸 압력 패드(6pbL)의 단면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서 압력 패드(6pbL)의 단면 구조에 대해 설명하지만, 도 9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압력 패드(6pbR)도 마찬가지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 8, 도 9, 및 도 10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력 패드(6pbL)는 표면 부재(10)와, 정전 터치 센서(11)와, 감압 센서(13)와, 탄성체(12)가, 펜부(6p)의 하우징에 고정된 설치대(30) 상에 배치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치대(30)는 통 모양의 형상을 가지고 있고, 압력 패드(6pbL)는 그 외주면에 배치된다. 또한, 도 10의 (a)에 있어서는, 탄성체(12)의 기재를 생략하고 있다. 이 점은, 후술하는 도 10의 (b)~도 10의 (d)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표면 부재(10)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에 의해서, 표면을 유저가 누르기 쉬운 형상으로 형성된 부재이다. 정전 터치 센서(11)는 자기 용량 방식 또는 상호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로서, 도 10의 (a)의 예에 있어서는, 표면 부재(10)의 하면(내측 표면)에 붙여진 리지드(rigid) 플렉서블 기판 또는 필름 상에 탑재되어 있다. 또한, 표면 부재(10)의 하면에 도전성의 잉크로 인쇄하는 것에 의해, 정전 터치 센서(11)를 구성해도 된다. 정전 터치 센서(11)는, 표면 부재(10)의 표면에 유저의 손가락이 접촉하고 있는 것, 및, 표면 부재(10)의 표면 내에서의 그 손가락의 위치를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탄성체(12)는 일단이 표면 부재(10)에 고정되고, 타단이 설치대(30)에 고정된 탄성 부재로서, 전형적으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에 의해서 구성된다. 다만, 고무 등 다른 종류의 탄성체에 의해서 탄성체(12)를 구성해도 된다. 감압 센서(13)는, 압압력에 의해서 저항값이 변화하는 센서로서, 설치대(30)의 표면(외주면)에 고정된다. 감압 센서(13)로서 구체적으로는, 스트로크가 있는 센서(눌렀을 때에 형상이 변화하는 센서)와, 스트로크가 없는 센서(눌렀을 때에 형상이 변화하지 않는 센서) 양방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손가락의 움직임에 수반하여 컨트롤러(6) 자체가 움직여 버리는 것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후자를 이용하는 것이 특히 적합하다.
표면 부재(10), 정전 터치 센서(11)(및 리지드 플렉서블 기판 등), 및 감압 센서(13)는 서로 고정되어 있고, 소정의 범위 내에서 표면 부재(10)의 표면의 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됨과 아울러, 탄성체(12)에 의해서 외측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이 가압에 의해, 표면 부재(10)의 표면에 힘이 가해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감압 센서(13)와 설치대(30)의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고 있다. 한편, 유저가 표면 부재(10)를 압압하는 것에 의해서 감압 센서(13)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감압 센서(13)가 설치대(30)에 의해서 압압되고, 감압 센서(13)의 저항값이 변화한다.
도 7에 나타낸 처리 회로(50)는, 정전 터치 센서(11)의 검출 결과와, 감압 센서(13)의 저항값(이하 「압압값」이라고 함)을 취득하는 것에 의해서, 압력 패드(6pbL)의 검출 결과를 취득한다. 그리고, 취득한 검출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하고, 컴퓨터(2)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도 10의 (b)는 압력 패드(6pbL)의 단면 구조의 다른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전 터치 센서(11)의 탑재된 리지드 플렉서블 기판 또는 필름을 표면 부재(10)의 상면(외측 표면)에 붙이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표면 부재(10)의 상면에 도전성의 잉크로 인쇄하는 것에 의해, 정전 터치 센서(11)를 구성해도 된다.
도 10의 (c)는 압력 패드(6pbL)의 단면 구조의 또 다른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의 (d)는 도 10의 (c)의 예에 따른 압력 패드(6pbL)의 평면도이다. 다만, 도 10의 (d)에 있어서는, 표면 부재(10)의 기재를 생략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정전 터치 센서(11)가 탑재된 리지드 플렉서블 기판 또는 필름을 'ㅁ' 자형으로 형성하고, 중앙의 중공 부분에 감압 센서(13)가 위치하도록 설치대(30)의 상면에 붙이고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표면 부재(10)의 표면에 정전 터치 센서(11)를 배치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라도, 정전 터치 센서(11)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설치대(30)의 상면에 도전성의 잉크로 인쇄하는 것에 의해, 정전 터치 센서(11)를 구성해도 된다.
컨트롤러(6)의 처리 회로(50)는, 무선 통신 회로(52)를 통해서, 압력 패드(6pbL, 6pbR)에 의해서 검출된 정보, 즉, 압력 패드(6pbR)의 정전 터치 센서(11)에서 검출되는 정보, 압력 패드(6pbR)의 감압 센서(13)에 의해서 검출되는 정보, 압력 패드(6pbL)의 정전 터치 센서(11)에서 검출되는 정보, 또는, 압력 패드(6pbL)의 감압 센서(13)에 의해서 검출되는 정보를, 컴퓨터(2)에 송신한다. 그리고, 컴퓨터(2)는, 압력 패드(6pbR)의 정전 터치 센서(11)에서 검출되는 정보, 또는, 압력 패드(6pbR)의 감압 센서(13)에 의해서 검출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압력 패드(6pbR)의 감압 센서(13)에 의해서 검출되는 정보와 관련되는 필압값을 출력하거나, 또는, 압력 패드(6pbL)의 감압 센서(13)에 의해서 검출되는 정보와 관련되는 필압값을 출력한다. 이하에, 처리 회로(50)로부터 압력 패드(6pbL, 6pbR)의 검출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의 공급을 받은 컴퓨터(2)에 의해서 실행되는 처리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11은 처리 회로(50)로부터 압력 패드(6pbL, 6pbR)의 검출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의 공급을 받은 컴퓨터(2)에 의해서 실행되는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11에 나타내는 처리는, 컴퓨터(2)에서 동작하는 컨트롤러(6)의 디바이스 드라이버에 의해서 실행되는 처리인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애플리케이션 등, 디바이스 드라이버 이외의 프로그램에 의해서 실행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도 11에 있어서 「오른쪽 정전 터치」는 압력 패드(6pbR)의 정전 터치 센서(11)에서 검출되는 터치 조작을 가리키고, 「오른쪽 감압 터치」는 압력 패드(6pbR)의 감압 센서(13)에 의해서 검출되는 압압 조작을 가리키며, 「왼쪽 정전 터치」는 압력 패드(6pbL)의 정전 터치 센서(11)에서 검출되는 터치 조작을 가리키고, 「왼쪽 감압 터치」는 압력 패드(6pbL)의 감압 센서(13)에 의해서 검출되는 압압 조작을 가리킨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컴퓨터(2)는 먼저, 오른쪽 정전 터치 및 왼쪽 정전 터치를 온(대응하는 정보의 처리 회로(50)로부터의 입력을 접수하는 상태)으로 하고, 오른쪽 감압 터치 및 왼쪽 감압 터치를 오프(대응하는 정보의 처리 회로(50)로부터의 입력을 무시하는 상태)로 한다(스텝 S1).
컴퓨터(2)는, 처리 회로(50)로부터 공급되는 정보를 참조하는 것에 의해, 압력 패드(6pbL, 6pbR) 각각의 정전 터치 센서(11)의 검출 결과를 취득한다(스텝 S2). 그리고, 취득한 검출 결과를 참조하는 것에 의해, 오른쪽 정전 터치 또는 왼쪽 정전 터치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3).
스텝 S3에 있어서, 오른쪽 정전 터치 또는 왼쪽 정전 터치 모두 검출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 컴퓨터(2)는, 스텝 S2로 되돌아가 처리를 계속한다. 한편, 왼쪽 정전 터치가 검출되었다고 판정한 컴퓨터(2)는, 오른쪽 정전 터치 및 왼쪽 정전 터치를 오프로 하는 한편, 왼쪽 감압 터치를 온으로 한다(스텝 S4). 그리고, 처리 회로(50)로부터 공급되는 정보를 참조하는 것에 의해 압력 패드(6pbL)의 감압 센서(13)의 압압값을 취득하고(스텝 S5), 취득한 압압값이 소정의 임계값을 상회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6). 이 판정에 있어서 상회하고 있다고 판정한 컴퓨터(2)는, 취득한 압압값을 필압값으로 하여 애플리케이션에 출력한 후(스텝 S7), 스텝 S5로 되돌아가 다음의 압압값을 취득한다. 한편, 스텝 S6의 판정에 있어서 상회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 컴퓨터(2)는, 스텝 S1으로 되돌아가 처리를 반복한다.
스텝 S3에 있어서 오른쪽 정전 터치가 검출되었다고 판정했을 경우의 컴퓨터(2)의 처리는, 좌우의 차이를 제외하고, 왼쪽 정전 터치가 검출된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컴퓨터(2)는, 오른쪽 정전 터치 및 왼쪽 정전 터치를 오프로 하는 한편, 오른쪽 감압 터치를 온으로 한다(스텝 S8). 그리고, 처리 회로(50)로부터 공급되는 정보를 참조하는 것에 의해 압력 패드(6pbR)의 감압 센서(13)의 압압값을 취득하고(스텝 S9), 취득한 압압값이 소정의 임계값을 상회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0). 이 판정에 있어서 상회하고 있다고 판정한 컴퓨터(2)는, 취득한 압압값을 필압값으로 하여 애플리케이션에 출력한 후(스텝 S11), 스텝 S9으로 되돌아가 다음의 압압값을 취득한다. 한편, 스텝 S10의 판정에 있어서 상회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 컴퓨터(2)는, 스텝 S1으로 되돌아가 처리를 반복한다.
컴퓨터(2)가 이상과 같은 처리를 행하는 것에 의해, 압력 패드(6pbL, 6pbR) 중 유저가 최초로 접촉한 일방의 감압 센서(13)를 유효로 하는 한편, 타방의 감압 센서(13)를 무효로 할 수 있으므로, 유저는 압력 패드(6pbL, 6pbR)를 가지는 컨트롤러(6)를 스트레스 없게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스트로크가 없는 감압 센서(13)를 이용하는 경우, 유저가 의식적으로 압압하지 않아도, 감압 센서(13)가 반응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유저에게 있어서 스트레스가 되지만,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처리에 의하면, 압력 패드(6pbL, 6pbR) 중 유저가 최초로 접촉한 일방을 정전 터치 센서(11)에 의해서 검출하고, 검출한 일방의 감압 센서(13)만을 유효하게 하고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감압 센서(13)의 반응을 억제하여, 유저의 스트레스를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2는 택트 톱 버튼(6ga) 및 다이얼 버튼(6gb)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13의 (a)~도 13의 (d)는, 택트 톱 버튼(6ga) 및 다이얼 버튼(6gb)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먼저 도 12를 참조하면, 택트 톱 버튼(6ga) 및 다이얼 버튼(6gb)은, 펜부(6p)의 하우징에 고정된 평탄한 표면을 가지는 설치대(31) 상에 배치된다. 다이얼 버튼(6gb)은 인코더(20) 및 회전체(21)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택트 톱 버튼(6ga)은 택트 스위치(22), 커버(23), 탄성체(24), 누름자(25), 및 렌즈(26)를 가지고 구성된다. 누름자(25)의 상면에는, 상술한 하나 이상의 LED(컴퓨터(2)에 의한 검출 대상이 되는 하나 이상의 LED) 중 하나인 LED(27)가 설치된다.
회전체(21)는, 설치대(31)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하여 배치된 링 형상의 부재로서, 유저 조작에 의해 중심 주위를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인코더(20)는 회전체(21)의 회전량을 검출하는 장치로서, 도 1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치대(31)의 중심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원형의 부재에 의해서 구성된다. 인코더(20)의 외주는 회전체(21)의 내주와 맞물려 있고, 인코더(20)는 이 맞물림을 통해서 회전체(21)의 회전량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커버(23)는 인코더(20)의 상면을 덮는 부재로서, 설치대(31) 및 인코더(20)에 대해서 고정된다.
택트 스위치(22)는 압압에 의해서 온 오프 가능하게 구성된 스위치로서, 도 1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원형의 설치대(31)의 중앙에 배치된다. 탄성체(24)는 일단이 커버(23)의 상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누름자(25)의 하면에 고정된 탄성 부재로서, 전형적으로는, 도 1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에 의해서 구성된다. 다만, 고무 등 다른 종류의 탄성체에 의해서 탄성체(24)를 구성해도 된다.
누름자(25)는 렌즈(26)의 표면의 압압력을 택트 스위치(22)에 전달하기 위한 경질 부재이다. 또한, 렌즈(26)는, 렌즈(26)는 투명하고 경질인 재료에 의해서 구성된 반구 모양의 부재로서, 택트 톱 버튼(6ga)의 상면을 구성하고 있다. 렌즈(26)를 투명 재료에 의해 구성하고 있는 것은, 렌즈(26) 아래에 배치된 LED(27)를 컨트롤러(6)의 외부로부터 볼 수 있도록 하고, 그것에 의해서, 컴퓨터(2)가 카메라(4a~4c)의 영상 내에서 LED(27)의 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누름자(25) 및 렌즈(26)는 서로 고정되어 있고, 소정의 범위 내에서 설치대(30)의 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됨과 아울러, 탄성체(24)에 의해서 외측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이 가압력에 의해, 렌즈(26)에 힘이 가해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택트 스위치(22)는 누름자(25)에 의해서 압압되고 있지 않은 상태가 된다. 한편, 유저가 렌즈(26)를 압압하는 것에 의해서 렌즈(26) 및 누름자(25)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택트 스위치(22)가 누름자(25)에 의해서 압압되고, 택트 스위치(22)의 온 오프 상태가 전환된다.
도 7에 나타낸 처리 회로(50)는, 인코더(20)에 의해서 검출된 회전량 및 택트 스위치(22)의 온 오프 상태를 취득하는 것에 의해서, 택트 톱 버튼(6ga) 및 다이얼 버튼(6gb)의 조작 상태를 취득한다. 그리고, 취득한 조작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하고, 컴퓨터(2)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그립을 가진 펜형 컨트롤러(6)에 의하면, 중량 부품인 배터리(6gg)가 펜부(6p)가 아니라 그립부(6g) 내에 배치된다. 따라서, 중량 밸런스가 개선되므로, 그립부(6g)를 잡고 조작을 행하는 경우에 유저가 느끼는 위화감을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그립을 가진 펜형 컨트롤러(6)에 의하면, 오목부(6ge)로부터 볼 때 그립부(6g)의 반대측에 햅틱 소자(6gf)를 마련했으므로, 유저의 중지에 적합하게 햅틱을 주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그립을 가진 펜형 컨트롤러(6)에 의하면, 정전 터치 센서(11) 및 감압 센서(13)를 포함하는 압력 패드(6pbL, 6pbR)를 마련했으므로, 압력 패드(6pbL, 6pbR)의 표면에 유저의 손가락이 접촉하고 있는 것, 및, 표면 내에서의 그 손가락의 위치를 검출함과 아울러, 압력 패드(6pbL, 6pbR)의 표면에 가해지고 있는 압력을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3D 오브젝트의 렌더링을 위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그립을 가진 펜형 컨트롤러(6)에 의하면, 통상 상태에서는 유저의 손에 의해서 가려지지 않고 노출되어 있는 그립부(6g)의 상측 단부에 택트 톱 버튼(6ga)을 마련하고, 그 안에 LED(27)를 배치했으므로, 컴퓨터(2)가 컨트롤러(6)의 트래킹에 실패할 가능성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트래킹 시스템(1)에 의하면, 압력 패드(6pbL, 6pbR) 중 유저가 최초로 접촉한 일방의 감압 센서(13)를 유효로 하는 한편, 타방의 감압 센서(13)를 무효로 할 수 있으므로, 유저는 압력 패드(6pbL, 6pbR)를 가지는 컨트롤러(6)를 스트레스 없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형태로 하등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양태로 실시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1 : 트래킹 시스템 2 : 컴퓨터
3 : 위치 검출 장치 4a~4c : 카메라
5 :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6 : 그립을 가진 펜형 컨트롤러
6g : 그립부 6ga : 택트 톱 버튼
6gb : 다이얼 버튼 6gc : 그래브 버튼
6gdL, 6gdR : 택트 버튼 6ge : 오목부
6gf : 햅틱 소자 6gg : 배터리
6gh : 메인 보드 6p : 펜부
6pa : 니브 6pbL, 6pbR : 압력 패드
6pcL, 6pcR : 시프트 버튼 6pd : USB 커넥터
6pe : 펜 팁 전극 6pf : 프린트 회로 기판 어셈블리
6pg : 플렉서블 프린트 회로 기판 10 : 표면 부재
11 : 정전 터치 센서 12 : 탄성체
13 : 감압 센서 20 : 인코더
21 : 회전체 22 : 택트 스위치
23 : 커버 24 : 탄성체
25 : 누름자 26 : 렌즈
30, 31 : 설치대 50 : 처리 회로
51 : 필압 센서 52 : 무선 통신 회로
53 : 전원 회로 60 : 데스크
61 : 데스크 체어 101 : CPU
102 : 기억 장치 103 : 입력 장치
104 : 출력 장치 105 : 통신 장치

Claims (16)

  1. 펜 형상으로 형성된 펜부와,
    상기 펜부의 축 방향과 교차하는 그립부와,
    상기 그립부 내에 배치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컨트롤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상기 그립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기 그립부 내에 배치되는 컨트롤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상기 펜부의 축 방향으로부터 가까운 제1 단부를 포함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펜부의 축 방향으로부터 먼 제2 단부를 포함하는 제2 부분을 가지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그립부의 상기 제2 부분 내에 배치되는 컨트롤러.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펜부는 회로를 가지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는 컨트롤러.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햅틱 소자를 더 가지고,
    상기 햅틱 소자는 상기 그립부 내에 배치되는 컨트롤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햅틱 소자는 상기 그립부 내에서 유저가 잡는 부분의 근방에 배치되는 컨트롤러.
  7.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햅틱 소자는 상기 펜부와 인접하는 상기 그립부 내의 위치에 배치되는 컨트롤러.
  8.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상기 펜부의 펜 팁측에 위치하는 제1 측면 및 상기 펜부의 펜 리어(rear)측에 위치하는 제2 측면을 가지고,
    상기 햅틱 소자는 상기 제1 측면의 근방에 배치되는 컨트롤러.
  9.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상기 펜부의 축 방향으로부터 가까운 제1 단부를 포함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펜부의 축 방향으로부터 먼 제2 단부를 포함하는 제2 부분을 가지고,
    상기 햅틱 소자는 상기 그립부의 상기 제2 부분 내에 배치되는 컨트롤러.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상기 제2 측면의 근방에 마련되는 오목부를 가지는 컨트롤러.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상기 햅틱 소자와 상기 오목부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컨트롤러.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펜부는 정전 터치 센서 및 감압 센서를 포함하는 압력 패드를 가지는 컨트롤러.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펜부는 제1 정전 터치 센서 및 제1 감압 센서를 포함하는 제1 압력 패드 및 제2 정전 터치 센서 및 제2 감압 센서를 포함하는 제2 압력 패드를 가지는 컨트롤러.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유저에 의해서 압압 가능하게 구성된 버튼을 가지고,
    상기 버튼은,
    온 오프 가능하게 구성된 택트 스위치와,
    컴퓨터에 의한 상기 컨트롤러의 검출을 위한 LED를 포함하는 컨트롤러.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버튼의 상면은 투명 부재에 의해서 구성되고,
    상기 LED는 상기 투명 부재 아래에 배치되는 컨트롤러.
  16. 청구항 13에 기재된 컨트롤러와 통신 가능한 컴퓨터로서,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송신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프로세서를 가지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에 의해서 수신되는 정보로서 상기 제1 정전 터치 센서에 의해서 검출되는 정보 또는 상기 통신부에 의해서 수신되는 정보로서 상기 제2 정전 터치 센서에 의해서 검출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부에 의해서 수신되는 정보로서 상기 제1 감압 센서에 의해서 검출되는 압압값에 관한 필압값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통신부에 의해서 수신되는 정보로서 상기 제2 감압 센서에 의해서 검출되는 압압값에 관한 필압값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컴퓨터.
KR1020237030964A 2021-04-23 2022-02-21 컨트롤러 및 컴퓨터 KR202301385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73433 2021-04-23
JP2021073433 2021-04-23
JP2021128570 2021-08-04
JPJP-P-2021-128570 2021-08-04
PCT/JP2022/006951 WO2022224578A1 (ja) 2021-04-23 2022-02-21 コントローラ及びコンピュー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8548A true KR20230138548A (ko) 2023-10-05

Family

ID=83722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0964A KR20230138548A (ko) 2021-04-23 2022-02-21 컨트롤러 및 컴퓨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45536A1 (ko)
EP (1) EP4328717A1 (ko)
JP (2) JP7339470B2 (ko)
KR (1) KR20230138548A (ko)
TW (1) TW202242613A (ko)
WO (1) WO202222457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20803A1 (ja) 2018-05-18 2019-11-21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指示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59438B1 (en) * 1998-06-04 2001-07-10 Wacom Co., Ltd. Coordinate input stylus
JP2006259267A (ja) * 2005-03-17 2006-09-28 Fujinon Corp ライトペン
JP5052357B2 (ja) * 2008-01-22 2012-10-17 京セラ株式会社 端末装置およびキー制御方法
JP5233887B2 (ja) * 2009-07-21 2013-07-10 株式会社リコー 入力キー制御装置、入力キー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2063844A (ja) * 2010-09-14 2012-03-29 Fuji Xerox Co Ltd ユーザ識別システム、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916506B2 (ja) * 2016-07-08 2021-08-11 国立大学法人大阪大学 筆記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JP6562007B2 (ja) 2017-01-30 2019-08-2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ペン型入力装置及び表示入力システム
EP3716031A4 (en) 2017-11-21 2021-05-05 Wacom Co., Ltd. RENDERING DEVICE AND METHOD
JP2019168506A (ja) 2018-03-22 2019-10-03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棒状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20803A1 (ja) 2018-05-18 2019-11-21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指示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28717A1 (en) 2024-02-28
US20240045536A1 (en) 2024-02-08
WO2022224578A1 (ja) 2022-10-27
JPWO2022224578A1 (ko) 2022-10-27
TW202242613A (zh) 2022-11-01
JP2023153347A (ja) 2023-10-17
JP7339470B2 (ja) 2023-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93053B2 (en) Input device
CN210573659U (zh) 计算机系统、头戴式设备、手指设备和电子设备
US11442559B2 (en) Dual-mode optical input device
JP7373258B2 (ja) 位置指示装置、コンピュータ、制御方法
US20130201162A1 (en) Multi-purpose pen input device for use with mobile computers
US20050012712A1 (en) Hand-held pointing device
US9977520B2 (en) Stylus with capacitive slide and grip sensors
KR102020064B1 (ko) 압력 감지 팁을 포함하는 무선 위치 결정 펜
US20210096660A1 (en) Finger-wearable input assembly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US20050116933A1 (en) Dual mode computer mouse
US10191557B2 (en) User interface device
TWI787616B (zh) 具有可定製預設的控制器附加裝置
US20190339791A1 (en) Foot controller computer input device
JP4940294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操作デバイス及び情報処理方法
DK181047B1 (en) INDOOR SENSOR DEVICE SYSTEMS
CN107077232B (zh) 指向装置托架组合件及系统
EP3513272B1 (en) Display device including an input device
CN107436693B (zh) 操控装置
CN111813247B (zh) 鼠标笔及电子设备
JP7339470B2 (ja) コントローラ及びコンピュータ
CN116888565A (zh) 控制器及计算机
KR20040009310A (ko) 펜형 마우스 및 이를 이용한 문자체 보정방법
CN107305440B (zh) 辅助装置及导航系统
WO2001026089A1 (en) Cursor positioning device with tactile output capability (the 'living mouse')
OA18945A (en) Wireless positioning pen with pressuresensitive t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