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8523A - 수지 용기 - Google Patents

수지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8523A
KR20230138523A KR1020237030020A KR20237030020A KR20230138523A KR 20230138523 A KR20230138523 A KR 20230138523A KR 1020237030020 A KR1020237030020 A KR 1020237030020A KR 20237030020 A KR20237030020 A KR 20237030020A KR 20230138523 A KR20230138523 A KR 20230138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ntainer
top plate
stirring
opening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0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게루 카나이
노부유키 모리모토
요시오 마츠오
아츠히토 타도코로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 세이케이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세키스이 세이케이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 세이케이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세키스이 세이케이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 세이케이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38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852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2Cans, casks, barrels, or drums
    • B65D1/14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16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shape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8Blow-mould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간이한 장치 구성으로 수납물의 교반 및 공급이 가능한 수지 용기를 제공한다. 저판(110), 몸통부(120), 및 천판(130)이 일체 성형된 통형의 수지 용기(100)로서, 천판은 구부(140)를 적어도 3개 갖고, 구부는 최소 구경을 갖는 제 1 구부(141, 142)와, 최소 구경의 1-5배에 있어서의 임의 배수의 구경을 갖는 제 2 구부(144)를 갖고, 제 2 구부 중 1개는 수납물 교반용의 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지 용기
본 발명은 수지 용기에 관한 것이고, 자세하게는, 예를 들면 케미컬·메커니컬·폴리싱(CMP) 슬러리 등의 분리 또는 침전하기 쉬운 물질을 포함하는 현탁액 등의 용액을 수송 및 보관하기 위한 수지 용기이며, 교반도 가능한 수지 용기에 관한 것이다.
케미컬·메커니컬·폴리싱(CMP) 슬러리 등과 같은 연마제를 포함하는 용액을 정치했을 때, 연마제는 용액 내에서의 분산성이 저하되고, 분리되어 침전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의 용액을 연마 공정에서 사용할 때에는, 용액 내의 연마제를 교반기로 균일하게 분산시켜서 공급이 행해진다. 또한, 교반 및 공급 시에 대기 중의 오염물 또는 외부로부터의 이물이 용액으로 혼입되는 것을 극력 피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클린 환경하(밀폐 상태)에서 용액을 교반해서 공급할 필요가 있다. 또한, 용액의 공급은 교반 공정의 종료 후에 행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용액의 수납에는, 예를 들면 케미컬 드럼 등이라고 불리며, 내측을 플라스틱 용기로 구성한 용기, 또는 예를 들면 폴리 드럼 등이라고 불리며, 전체를 수지로 제작한 용기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이들 용기에는 수납물의 충전용 및 배출용의 구부가 각각 1개씩, 합계 2개밖에 형성되어 있지 않고, 또한 이들 구부의 구경은 비교적 작다. 따라서, 이와 같은 용기에 수납된 용액을 교반 및 공급하는 경우에는 용액을 다른 용기로 옮겨 담거나, 또는 다양한 지그를 갖고 밀폐 상태에서 교반 공급하기 위한 장치를 용기에 부착하거나 할 필요가 발생한다.
한편, 용액을 교반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용기 자체를 횡전시켜서 1, 2, 또는 3차원적으로 용기를 회전시키는 방법, 또는 일단에 교반 날개를 설치한 회전축을 용액 내에서 회전시키는 방법(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등이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3-11060호 공보
그러나, 용기 자체를 횡전시켜서 교반하는 방법은 용기로부터의 용액 누설 등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고, 또한 그것을 위한 장치 구성이 대형화되어 고비용이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술한 종래의 용기에 있어서 교반 날개에 의한 교반을 행하는 것은, 구부의 수 및 크기의 점에서 어렵다.
따라서, 간이한 장치 구성으로, 또한 용기를 밀폐한 상태에서 용액의 교반 및 공급을 행하는 것은 의외로 곤란하다.
본 발명은 수지제의 용기에 있어서, 간이한 장치 구성으로 수납물의 교반 및 공급이 가능한 수지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이 구성한다.
즉,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있어서의 수지 용기는 저판, 상기 저판의 외주로부터 일어선 원통상의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의 상단을 폐색하는 천판이 일체 성형된 통형의 수지 용기이며,
상기 천판은 상기 수지 용기의 내외를 관통하는 구부를 적어도 3개 갖고,
상기 구부는 최소 구경을 갖는 제 1 구부와, 최소 구경의 1-5배에 있어서의 임의 배수의 구경을 갖는 제 2 구부를 갖고,
제 2 구부 중 1개는 수납물 교반용의 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의하면, 수지 용기는 적어도 3개의 구부를 갖고, 제 2 구부 중 1개는 수납물 교반용의 구부인 점에서, 이 제 2 구부를 통해 수납물의 교반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제 1 구부를 통해 수납물의 충전, 배출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상기 수지 용기에 의하면 간이한 장치 구성으로 수납물의 교반 및 공급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수지 용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나타내는 수지 용기의 상면도이다.
도 2는 도 1a에 나타내는 수지 용기에 있어서의 용액의 교반 및 공급에 관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a에 나타내는 수지 용기의 저판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a에 나타내는 수지 용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내는 수지 용기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면이며, 상기 수지 용기의 상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있어서의 A-A 단면도이다.
도 5c는 도 5a에 있어서의 B-B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b에 나타내는 구부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수지 용기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마찬가지의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이 불필요하게 장황해지는 것을 피하고 당업자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미 잘 알려진 사항의 상세 설명 및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 및 첨부 도면의 내용은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주제를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은 설명을 보조하기 위한 이미지적인 개념도이며, 실제의 형태를 정확하게 나타낸 것은 아니다.
제1실시형태
도 1a 및 도 1b(합쳐서 도 1이라고 기재하는 경우도 있다)를 참조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수지 용기(100)의 개략 구성에 대해서 설명을 행한다. 수지 용기(100)는 저판(110), 저판(110)의 외주로부터 일어선 원통상의 몸통부(120), 및 몸통부(120)의 상단을 폐색하는 천판(130)이 일체 성형된 통형의 수지 용기이다. 이와 같은 수지 용기(100)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재 등의 열가소성 수지재를 사용해서 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작되는 용기이며, 예를 들면 폴리 드럼 또는 플라스틱 드럼 등의 명칭이 붙여진 용기에 상당하다. 또한, 수지 용기(100)는 다양한 사이즈를 가질 수 있고, 수납량으로 10리터(L)~1000L, 통상 20L~200L 정도의 용기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200L인 것을 예로 든다. 또한, 수지 용기(100)의 형상은 본 실시형태의 통형에 한정되지 않고, 각형 등, 용도 등에 따라 적당히 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지 용기(100)는 강제 용기에 비해 내약액성, 내부식성 등이 우수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반도체 분야 및 디스플레이 분야(액정·유기 EL)에 있어서의 약액 등을 수납하는 용기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액의 예로서는, 반도체 분야에서는, 예를 들면 상술한 CMP(케미컬·메커니컬·폴리싱) 슬러리, 포토레지스트, 현상액, 에칭액, 세정액 등이며, 디스플레이 분야(액정·유기 EL)에서는 포토레지스트, 컬러레지스트, 컬러 필터 재료 등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CMP 슬러리를 수납하는 수지 용기(100)를 예로 든다. 또한, 수지 용기(100)의 수납물은 상술 등의 액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폼상의 휩 크림, 유탁액상인 우유, 마요네즈, 핸드 크림, 혈액, 도료, 또는 석회수 또는 시멘트 등의 무기물과 액체의 혼합물 등이어도 좋다.
수지 용기(100)의 천판(130)은 수지 용기(100)의 내측과 외측을 관통하는 3개 이상의 구부(140)를 갖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구부(141, 142, 144)를 갖고 있다. 이들 구부(140)는 최소 구경을 갖는 제 1 구부와, 상기 제 1 구부의 1배~5배에 있어서의 임의 배수의 구경을 갖는 제 2 구부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구부에 대응하는 2개의 구부(141, 142)와, 제 2 구부에 대응하는 1개의 구부(144)를 형성하고 있으며, 구부(144)의 구경은 구부(141, 142)의 구경보다 크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판(130)의 중앙에 구부(144)를 배치하고, 천판(130)의 직경 방향을 따라 구부(141, 142)를 배치하고 있다.
또한, 구경이란, 수지 용기(100)의 내외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의 내경에 상당하는 치수이며,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곡경(谷徑) 또는 산경(山徑)에 상당하다.
또한, 제 2 구부의 구경이 제 1 구부의 구경의 1배인 경우에는, 모든 구부(140)가 동일한 구경을 갖는다. 한편, 각각의 구부(140)가 서로 상이한 구경을 가질 수도 있다.
구부(140)의 구경은 φ20㎜-φ200㎜의 범위에 있다. 따라서, 상술한 제 2 구부가 제 1 구부의 1배~5배 범위의 임의 배수의 구경을 갖는다는 관계를 유지한 상태에서, 예를 들면 제 1 구부는 최소 φ20㎜의 구경을, 제 2 구부는 최대 φ200㎜의 구경을 각각 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지 용기(100)는 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점에서, 성형에 사용하는 1쌍의 금형끼리의 직선상의 맞춤면을 따라 파팅 라인(PL)이 발생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지 용기(100)에 있어서의 모든 구부(140)는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팅 라인(105) 상에 위치하여 형성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금형을 간이화할 수 있고, 구부(140)를 갖는 수지 용기(100)의 성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성형된 수지 용기(100)는 모든 구부(140)를 포함해서 파팅 라인(105)에 대해서 선대칭이 되는 점에서, 성형 시에 있어서의 잔류 응력을 저감하기 쉽고, 성형 안정성이 우수하고, 예를 들면 낙하 강도도 우수하다는 이점도 얻어진다.
한편, 구부(140)를 파팅 라인(105)으로부터 분리해서 배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각 구부(140)에 설치하는 장치의 배치 자유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구부(140)에, 예를 들면 교반 장치 및 배출 장치를 배치한 형태에서는 수납물의 교반 효율의 추가적인 향상 가능성이 얻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수지 용기(100)는 상술한 연마제를 포함하는 CMP 슬러리 등의 분리 또는 침전하기 쉬운 물질을 포함하는 현탁액 등의 용액을 수송 및 보관하기 위한 수지 용기에 적합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3개의 구부(141, 142, 144) 중, 가장 큰 구경을 갖는 구부(144)를 수납물 교반용의 구부로 하고 있다. 또한, 복수의 제 2 구부를 형성한 경우에는 그 중의 1개를 수납물 교반용의 구부로 한다.
여기에서, 수납물 교반용의 구부란, 예를 들면 일단에 교반 날개를 설치한 회전축을 용액 내에서 회전시켜서 용액의 교반을 행하는 경우에, 수지 용기(100)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교반 날개가 그대로의 형상으로, 즉 교반 날개를 접는 등의 처리를 행하는 일 없이 구부(140)를 통과 가능한 정도의 구경을 갖는 구부, 또는 용액의 교반을 행하는 교반 장치의 부착을 가능하게 하는 부착부를 갖는 구부 등이 상당하다. 또한, 수지 용기(100) 내로 진입하는 교반 날개 등의 재질은 수납물의 용액과의 관련성으로 선택되지만, 예를 들면 TEFLON(등록 상표) 등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부(144)는 교반 날개가 그대로 통과 가능한 정도의 구경을 갖고,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교반 날개 회전용의 구동부를 구부(144)에 장착 가능한 구성을 갖고 있다.
또한, 수지 용기(100)로부터의 용액의 배출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용액의 교반 공정 종료 후 구부(141)를 폐지하고, 구부(142)로부터 용기 내로 배출용 튜브를 삽입하고, 상기 배출용 튜브를 통해 수납물의 용액을 펌프로 빨아올리는 펌프 업 방식(구부(142)에 의해 통기), 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부(141)를 통해 용기 내에 건조 공기 또는 불활성 가스(예를 들면, 질소 가스 등)를 주입해서, 예를 들면 5~200㎪ 정도의 압력까지 용기 내를 가압하고, 구부(142)에 삽입 통과한 배출용 튜브를 통해 용액을 밀어내는 가압 방식(이때, 펌프에 의한 빨아올리기를 병용해도 좋다)을 취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성을 취함으로써, 본 실시형태의 수지 용기(100)에 의하면 간이한 장치 구성으로, 또한 용기를 밀폐한 상태에서 수납물의 교반 및 공급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수지 용기(100)의 저판(110)은 도 3에 일례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162) 및 볼록부(164) 중 적어도 일방을 가질 수 있다. 오목부(162) 및 볼록부(164)는 저판(110)에 랜덤으로 배치해도 좋고, 예를 들면 저판(110)의 직경 방향을 따라 등간격 또는 랜덤으로 배치하고, 또한 그와 같은 배열을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 또는 랜덤으로 배치해도 좋다. 또한, 오목부(162) 및 볼록부(164)를 리브상으로 하고, 파팅 라인(105)에 평행하게, 또는 수직으로 배열해도 좋다. 또한, 그와 같은 배치를 랜덤으로 조합해도 좋다.
이와 같은 오목부(162) 및 볼록부(164)를 형성한 경우, 수지 용기(100)가 분리 또는 침전하기 쉬운 물질을 포함하는 용액의 수송 및 보관에 사용될 때, 수납물의 용액을 교반시켰을 때에 용액에 난류를 발생시킬 수 있어 용액의 교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지 용기(100)는, 블로우 성형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이면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재 등의 열가소성 수지재를 사용해서 성형된다. 이때, 상이한 재질의 재료를 사용해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 층을 갖고 성형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 층으로 수지 용기(100)를 성형하는 경우에, 수납물에 접하는 최내측층(170)은 고세정도재층으로 할 수 있다. 이 고세정도재층은 수지 재료 성분이 수납물로 용출되지 않거나, 또는 일반 수지재의 용출량보다 저감된 수지재층이다. 그 일례로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재 중에서도 첨가제 등의 함유량이 극력 적은 그레이드인 것, 금속 이온 함유량이 적은 그레이드인 것, 또는 저분자량 알칸류 등의 용출량이 적은 그레이드인 것이 사용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의 수지 용기(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여러 가지의 약액 등을 수납하는 용기로서 사용 가능하며, 상술한 고세정도재층을 가짐으로써 수납물로의 영향을 저감 등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수지 용기(100)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특히 수납물의 교반이 행해지는 점에서, 최내측층(170)을 고세정도재층으로 함으로써 수납물로의 수지 재료 성분의 용출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수지제의 용기는 정전기가 발생하여 대전하기 쉽다. 본 실시형태의 수지 용기(100)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교반 장치 및 배출 장치를 취급하는 점에서, 그 때에 발생한 정전기에 의해 용기 외측에 부착된 티끌 또는 먼지가 수납물을 오염할 가능성도 우려된다. 따라서, 수지 용기(100)의 최외층에 대전 방지제 등을 사용해도 좋다. 이 대전 방지제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지속성 대전 방지제가 바람직하다.
또한, 수지 용기(100)의 열화 방지를 위해 최외층에 내후(광)제 및 자외선 흡수제 중 적어도 일방을 사용해도 좋고, 수납물의 자외선 방호를 위해 차광제(재)를 최외층에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 수지 용기(100)의 천판(130)에 3개 이상의 구부(140)를 갖는다는 기본 구성에 대해서, 상술한 변형예 또는 추가 구성은 단독으로 또는 적당히 조합해서 수지 용기(100)에 적용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상술한 제1실시형태에서는, 수지 용기(100)는 3개의 구부(141, 142, 144)를 갖는 구성을 나타내고, 또한 그 천판(130) 및 저판(110)에 대해서도 특별히 형상을 특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판(130) 및 저판(110)은 평탄한 형상도 포함하는 구성을 나타내었다.
이하에서는, 도 1 등을 참조해서 설명한 수지 용기(100)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성에 대해서 도 5a-도 5c(이하, 총칭해서 도 5라고 기재하는 경우도 있다) 및 도 6을 참조해서 설명을 행한다. 또한, 도 5 및 도 6에서는 이해의 용이화 및 설명의 생략화를 위해, 유사 구성 부분에는 도 1 등과 동일한 부호를 기재하고 있다.
여기에서, 도 5a는 도 1b에 나타내는 수지 용기(100)의 상면도에 대응한 도면이며, 수지 용기(100)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보다 상세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b는 도 5a에 나타내는 A-A부에 있어서의 수지 용기(100)의 단면도이며, 도 5c는 도 5a에 나타내는 B-B부에 있어서의 수지 용기(100)의 단면이다.
도 5a 및 도 6을 참조해서 수지 용기(100)의 천판(130)에 대해서 설명한다.
3개의 구부(141, 142, 144)를 세워서 형성하고 있는 천판(130)에 대해서, 수지 용기(100)의 축 방향(190)에 있어서 수지 용기(100)의 외측 방향(190a)에 있어서의 천판(130)의 상면을 천판 외면(130a)으로 한다. 이 천판 외면(130a)을 외측 방향(190a)에 있어서의 높이의 기준면으로서, 구부(141, 142, 144)는 각각 구부 높이(h1, h2, h3)(총칭해서, 「구부 높이(h)」라고 기재하는 경우도 있다)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부(141, 142)에 있어서의 각각의 구부 높이(h1, h2)는 동일하다. 한편, 제 2 구부에 상당하고, 또한 수납물 교반용의 구부에 상당하는 구부(144)의 구부 높이(h3)는 구부(141, 142)의 구부 높이(h1, h2)보다 낮게 설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수납물 교반용의 구부(144)의 구부 높이(h3)를 다른 구부(141, 142)보다 낮게 설정함으로써, 이하와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즉, 교반 날개 회전용 구동부를 장착할 때, 특히 파팅 라인(105)을 따라 장착하는 경우에 교반 날개 회전용 구동부가 구부(144)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는 점에서, 구부(144)로의 교반 날개 회전용 구동부의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교반 날개 회전용 구동부가 사람 손을 통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구부(144)로 장착되는 형태에서는, 구부(141, 142)를 센서가 검지해서 자동 장착을 행하는 구성이 생각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구부(144)의 구부 높이(h3)를 다른 것보다 낮게 설정해 둠으로써 상술한 검지 및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수지 용기(100) 내로의 수납물 충전 시에는, 구부(141) 및 구부(142) 중 적어도 일방에 충전기를 장착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구부(144)의 구부 높이(h3)가 구부(141, 142)의 구부 높이(h1, h2)보다 크면, 장착 시에 충전기가 구부(144)에 접촉하는 것도 상정된다. 따라서, 구부 높이(h1, h2)보다 구부 높이(h3)를 낮게 설정함으로써, 충전기의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수납물의 충전에 있어서도 이점이 있다.
또한, 수납물 교반용의 구부(144)의 구부 높이(h3)가 최소라는 관계를 갖는 한, 구부 높이(h1-h3)는 각각 상이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1 구부에 있어서의 구부(141, 142) 각각은 그 내면(141a, 142a) 및 외면(141b, 142b) 중 적어도 일방에, 바람직하게는 내면(141a, 142a)에 나사 형상부를 갖고 있다. 이들 나사 형상부에는 구부(141, 142)를 밀폐해서 수지 용기(100)의 수납물로의 이물 혼입 및 오염 방지를 도모하기 위해, 플러그가 각각 나사 결합된다. 또한, 수지 용기(100) 내의 수납물을 배출할 때에는, 플러그를 제거한 후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 가스용 튜브 및 배출용 튜브를 설치한 지그가 제 1 구부의 구부(141, 142) 중 적어도 일방에 나사 결합되고, 밀폐되어 수납물로의 이물 혼입 및 오염 방지가 도모된다.
한편, 제 2 구부의 구부(144)는 그 내면(144a)에 암나사(1441)를 갖고, 또한 그 외면(144b)에는 암나사 또는 리브(1442)를 갖는다. 또한, 리브(1442)는 오목상 또는 복록상 중 어느 형상이어도 좋다. 여기에서, 암나사(1441)는 구부(144)를 밀폐해서 수지 용기(100)의 수납물로의 이물 혼입 및 오염 방지를 도모하기 위해 플러그를 나사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며, 또한 교반 날개 회전용 구동부를 장착하기 위해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외면(144b)에 있어서의 암나사 또는 리브(1442)는 교반 날개 회전용 구동부를 장착하여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천판(130)은 수지 용기(100)의 축 방향(190)에 있어서의 수지 용기(100)의 외측 방향(190a)에 각각 높이를 상이하게 해서 천판 외면(130a)을 융기시켜서 형성한 천장면 고위부(131) 및 천장면 중위부(132)를 구부(141, 142, 144)의 주변에 갖는다.
여기에서, 천장면 고위부(131)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구부 높이(h)를 초과하는 높이(H1)를 갖고 연장되는 평탄 또는 거의 평탄한 고위면(131a)을 갖는 영역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천장면 고위부(131)는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부(141, 142, 144)가 배열되어 있는 천판(130)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파팅 라인(105)에 대해서 직각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양측 부분에 있어서의 대부분의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천장면 고위부(131)는 천장면 고위부(131)와 천장면 중위부(132)를 연결하는 부분에서 경사면으로 구성되는 연결부(131b)(도 5a 등)를 갖는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 용기(100)의 외주부에는 몸통부(120)를 외측 방향(190a)으로 연장시킨 차임부에 상당하여 L링이라고도 불릴 수 있는 외주 리브(121)가 형성되어 있지만, 천장면 고위부(131)의 높이(H1)는 외주 리브(121)의 높이보다 높게 설정하고 있다.
상술한 천장면 고위부(131)의 높이(H1)가 구부 높이(h)를 초과하는 높이인 것은, 수납물 교반용의 구부인 구부(144)로의 교반 날개 회전용 구동부 장착 시에 교반 날개 회전용 구동부가 구부(144)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고, 구부(144)를 방호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또한, 상세 후술하지만, 도 5b 및 도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 방향(190)을 따라 수지 용기(100)를 포개는 경우에는, 하측의 수지 용기(100)에 있어서의 천장면 고위부(131)는 상측의 수지 용기(100)에 있어서의 저판(110)과 접촉해서 각 수지 용기(100)의 지지부를 구성할 수 있다. 이 점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천판(130)에 있어서 천장면 고위부(131)가 큰 면적을 차지하는 것은 유리해진다.
천장면 중위부(132)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부 높이(h)보다 낮고 천판 외면(130a)을 초과하는 높이(H2)를 갖고 연장되는 평탄 또는 거의 평탄한 중위면(132a)을 갖는 영역이며, 도 5a에 있어서 스티치를 기재한 영역에 상당하다.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장면 중위부(132)는 구부(141, 142, 144)의 거의 주위를 따라, 또한 구부(141, 142)와 구부(144)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한, 천장면 중위부(132)는 천장면 중위부(132)와 천판 외면(130a)을 연결하는 부분에서 경사면으로 구성되는 연결부를 갖는다.
천장면 고위부(131) 및 천장면 중위부(132)가 상술한 바와 같이 배치됨으로써 천판 외면(130a)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팅 라인(105)을 따라 및 각 구부(141, 142, 144)의 주위를 따라 연장되게 된다. 또한, 축 방향(190)에 있어서 천장면 고위부(131)의 고위면(131a)이 가장 높고, 이어서 천장면 중위부(132)의 중위면(132a), 이어서 천판 외면(130a)의 순이 된다.
또한, 천판(130)은 그 외주부를 따라 위치하는 천장면 홈부(133)(도 6)를 갖고, 천장면 홈부(133)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 방향(190)에 있어서 천판 외면(130a)보다 낮은 깊이(d1)를 갖는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수지 용기(100)의 수납물이 유체인 경우에, 수납물의 충전, 교반, 배출에 있어서 구부(141, 142, 144)을 이용했을 때에, 천판 외면(130a)으로 유출된 유체는 천판 외면(130a)을 흘러서, 천장면 홈부(133)로 흘러들게 된다.
이어서, 저판(110)에 대해서 도 5b 및 도 5c를 참조해서 상세하게 설명을 행한다.
저판(110)은 저판(110)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저판 중앙부(100A)에 변위 저부(111)를 갖는다. 상기 변위 저부(111)는 평면으로부터 봤을 때에 있어서, 예를 들면 원형이며,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상 수지 용기(100)의 내측으로 볼록해지고, 수지 용기(110) 내에 있어서의 수납물의 중량에 따라 축 방향(190)에 있어서 수지 용기(110)의 외측으로 볼록하게 변형되는 부분이다. 여기에서 변위 저부(111)는, 외측으로 가장 변위되었을 때에도 저판(110)에 있어서의 변위 저부(111) 이외의 저판 외면(110a)(도 5b)을 초과해서 볼록해지지 않도록, 그 두께 등의 사이즈가 설계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변위 저부(111)를 가짐으로써, 구부(144)에 교반 날개 회전용 구동부를 장착해서 수납물의 교반이 행해질 때에는, 변위 저부(111)는 수납물에 난류를 발생시켜서 교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납물 교반용으로서의 구부(144)는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판(130)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천장면 고위부(131)는 구부(144)를 지나는 파팅 라인(105)에 직각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천판(130)을 갖는 수지 용기(100)에 대해서, 각 구부(141, 142, 144)를 플러그로 폐전(閉栓)한 상태에서 수지 용기(100)를 축 방향(190)을 따라 포갠 상태에서는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판(110)에 있어서의 변위 저부(111) 이외의 저판 외면(110a)과, 천장면 고위부(131)의 고위면(131a)이 접촉하고, 겹치는 수지 용기(100)끼리를 서로 지지한다.
이와 같이 겹친 상태에 있어서, 저판(110)의 변위 저부(111)가 수지 용기(110)의 외측으로 볼록하게 변형되어 있는 경우이어도, 변위 저부(111)에 대응해서 위치하는 구부(144)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천장면 고위부(131)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점에서, 변위 저부(111)와 접촉하는 일은 없다.
이상 설명한 각 실시형태를 조합한 구성을 취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상이한 실시형태로 나타내어지는 구성 부분끼리를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실시형태를 적당히 조합함으로써, 각각이 갖는 효과를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수지 용기(100)는 적어도 3개의 구부(141, 142, 144)를 갖는 구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수지 용기(100)는 제 1 구부에 상당하는 구부(141, 142) 중 1개와, 제 2 구부에 상당하는 1개의 구부(144)의, 합계 2개의 구부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제 1 구부 및 제 2 구부는 모두 평면으로부터 봤을 때에 원형형상이지만, 원형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원형 이외의 형상일 경우, 「구경」은, 예를 들면 그 1변의 길이, 또는 대각선 길이 등의 치수로 바꿔 읽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수납물 교반용의 구부(144)에는 교반 날개 회전용 구동부를 장착하는 취지를 예시했다. 물론, 이것에 한정되는 일 없이, 수납물 교반용의 구부(144)에는 수지 용기(100) 내의 수납물을 교반 가능하게 하는 수단을 적용 가능하다. 이와 같은 수단의 일례로서, 교반 날개를 사용하지 않고 교반을 행하는 구성, 예를 들면 가스 취입에 의한, 또는 수납물의 흡입 및 분출에 의한 등의 구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련해서 충분히 기재되어 있지만, 이 기술의 숙련된 사람들에 있어서는 여러 가지의 변형이나 수정은 명백하다. 그와 같은 변형이나 수정은 첨부한 청구의 범위에 의한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에 있어서, 그 중에 포함된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2021년 3월 9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No.특허출원 2021-037290호의 명세서, 도면, 특허청구의 범위, 및 요약서의 개시 내용의 전체는 참고로서 본 명세서 중에 편입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현탁액 등의 수납에 사용하는 수지 용기에 적용 가능하다.
100: 수지 용기 110: 저판
111: 변위 저부 130: 천판
130a: 천판 외면 131: 천장면 고위부
131a: 고위면 132: 천장면 중위부
132a: 중위면 133: 천장면 홈부
140: 구부 141, 142: 제 1 구부
144: 제 2 구부 162: 오목부
164: 볼록부 170: 최내측층
190: 축 방향

Claims (10)

  1. 저판(110), 상기 저판의 외주로부터 일어선 원통상의 몸통부(120), 및 상기 몸통부의 상단을 폐색하는 천판(130)이 일체 성형된 통형의 수지 용기(100)로서,
    상기 천판은 상기 수지 용기의 내외를 관통하는 구부(140)를 적어도 3개 갖고,
    상기 구부는 최소 구경을 갖는 제 1 구부(141, 142)와, 최소 구경의 1-5배에 있어서의 임의 배수의 구경을 갖는 제 2 구부(144)를 갖고,
    제 2 구부 중 1개는 수납물 교반용의 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용기는 열가소성 수지재를 사용해서 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조되고, 모든 상기 구부는 제조에 의해 발생하는 파팅 라인 상에 위치하는 수지 용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판은 수납물의 교반 효율을 향상시키는 오목부(162) 또는 볼록부(164)를 저판 내면(110b)에 갖는 수지 용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부(144)에 있어서의 상기 수납물 교반용의 구부는 그 내면(144a)에 암나사(1441)를 갖고, 또한 그 외면(144b)에는 수나사 또는 리브(1442)를 갖는 수지 용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용기(100)의 축 방향(190)에 있어서, 상기 구부(141, 142, 144)는 상기 천판의 천판 외면(130a)으로부터 상기 수지 용기의 외측 방향(190a)으로 구부 높이(h)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천판은 상기 천판 외면으로부터 상기 외측 방향에 있어서 각각 높이가 상이한 천장면 고위부(131: 천장면 A부) 및 천장면 중위부(132: 천장면 저부)를 상기 구부의 주변에 갖고, 여기에서 천장면 고위부는 상기 구부 높이를 초과하는 높이(H1)로 연장되는 고위면(131a)을 갖고, 천장면 중위부는 상기 구부 높이보다 낮고 상기 천판 외면을 초과하는 높이(H2)로 연장되는 중위면(132a)을 갖는 수지 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부에 있어서의 수납물 교반용의 구부 높이(h3)는 상기 제 1 구부의 구부 높이(h1, h2)보다 낮은 수지 용기.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천판은 천판의 외주부를 따라 배치되는 천장면 홈부(133)를 갖고, 상기 천장면 홈부는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천판 외면보다 낮은 깊이(d1)를 갖는 수지 용기.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판은 저판 중앙부(100A)에 변위 저부(111)를 갖고, 상기 변위 저부는, 통상 상기 수지 용기의 내측으로 볼록하며, 상기 수지 용기 내의 수납물 중량에 따라 상기 수지 용기의 외측으로 볼록하게 변형되는 부분인 수지 용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물 교반용의 구부는 상기 천판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상기 천장면 고위부는 수납물 교반용의 구부를 지나는 직경 방향에 대한 직각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지 용기의 축 방향으로 2개의 수지 용기를 포갠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저판에 있어서의 상기 변위 저부 이외의 저판 외면(110a)과, 상기 천장면 고위부의 상기 고위면은 접촉해서 서로를 지지하는 수지 용기.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용기는 폴리에틸렌재로 복수 층으로 제작되고, 수납물에 접하는 최내측층(170)은 고세정도재층인 수지 용기.
KR1020237030020A 2021-03-09 2022-02-25 수지 용기 KR202301385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37290 2021-03-09
JP2021037290 2021-03-09
PCT/JP2022/007961 WO2022190909A1 (ja) 2021-03-09 2022-02-25 樹脂容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8523A true KR20230138523A (ko) 2023-10-05

Family

ID=83226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0020A KR20230138523A (ko) 2021-03-09 2022-02-25 수지 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WO2022190909A1 (ko)
KR (1) KR20230138523A (ko)
CN (1) CN116997511A (ko)
TW (1) TW202243812A (ko)
WO (1) WO2022190909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1060A (ja) 2001-06-28 2003-01-15 Canon Inc 研磨液供給装置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45000A (en) * 1997-12-02 2000-04-04 Rauworth; Barry Lee Blow molded drum
JP4986659B2 (ja) * 2006-03-23 2012-07-25 藤森工業株式会社 培養袋及び培養器
JP4771315B2 (ja) * 2006-08-31 2011-09-1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多層ブロー容器
JP5443733B2 (ja) * 2008-11-11 2014-03-19 コダマ樹脂工業株式会社 樹脂製ドラム
JP2010228800A (ja) * 2009-03-30 2010-10-14 Kodama Jushi Kogyo Kk 樹脂容器
JP2014234174A (ja) * 2013-05-31 2014-12-15 出光興産株式会社 容器内に貯蔵されたスラリーの排出方法
CN206152691U (zh) * 2016-10-27 2017-05-10 武汉绿色音符环保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硅藻泥用搅拌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1060A (ja) 2001-06-28 2003-01-15 Canon Inc 研磨液供給装置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243812A (zh) 2022-11-16
JPWO2022190909A1 (ko) 2022-09-15
WO2022190909A1 (ja) 2022-09-15
CN116997511A (zh) 2023-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3598B2 (en) Closure/connector for liner-based dispense containers
ES2639815T3 (es) Procedimiento de utilización de un contenedor
US11905641B2 (en) Detergent additive box and mounting structure thereof, and distribution box
BRPI0401084B1 (pt) Recipiente de transporte e de armazenamento para líquidos
JP2012035884A (ja) 60リットル内袋複合容器及び薬液排出チューブ
RU2003136612A (ru) Пластиковая бочка
JP6430430B2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用ボトルキャップ
KR20230138523A (ko) 수지 용기
CN104691906B (zh) 内袋复合容器用分配装置及其制造方法
US9656850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the overflow of a fluid reservoir
JPH0272046A (ja) 化学製品の運搬並びに貯蔵用容器
JP2017508677A (ja) 化学溶液収容瓶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73707B1 (ko) 유체공급장치
US20130026167A1 (en) Container sealing system
KR200351956Y1 (ko) 공기통로가 형성된 용기
KR20040017479A (ko) 포토레지스트 수용용기의 캡
CN213263812U (zh) 液体容器出口换气装置及液体容器
US20220002032A1 (en) Water container for camping
CN217554705U (zh) 一种容器
CN212131318U (zh) 阀门
JP7013610B1 (ja) 容器及び容器組立体
WO2024122081A1 (ja) プラスチック容器
KR102285044B1 (ko) 위험물운반용기용 교반기
JP7163579B2 (ja) 包装容器
KR200487158Y1 (ko) 결합이 용이하면서 액체가 배출될 때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결합되는 액체용기용 공기순환 패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