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5044B1 - 위험물운반용기용 교반기 - Google Patents

위험물운반용기용 교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5044B1
KR102285044B1 KR1020190100511A KR20190100511A KR102285044B1 KR 102285044 B1 KR102285044 B1 KR 102285044B1 KR 1020190100511 A KR1020190100511 A KR 1020190100511A KR 20190100511 A KR20190100511 A KR 20190100511A KR 102285044 B1 KR102285044 B1 KR 102285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driving means
fixing rod
cam lock
stir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0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0678A (ko
Inventor
서창식
박갑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우이엔지
박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우이엔지, 박갑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우이엔지
Priority to KR1020190100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5044B1/ko
Publication of KR20210020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0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5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5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1F15/0066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40Mounting or supporting mixing devices or receptacles; Clamping or holding arrangements therefor
    • B01F35/41Mounting or supporting stirrer shafts or stirrer units on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addles or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1Coup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2Driving arrangements
    • B01F35/321Disposition of the drive
    • B01F35/3214Disposition of the drive at the upper side of the axis, e.g. driving the stirrer from the top of a receptacle
    • B01F7/1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rrosive chemic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10Manholes; Inspection openings; Cov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54Gates or closures
    • B01F2015/00084
    • B01F2015/0011
    • B01F2015/00603
    • B01F2015/00649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2035/35Use of other general mechanical engineering elements in mixing devices
    • B01F2035/351Sea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2035/35Use of other general mechanical engineering elements in mixing devices
    • B01F2035/352Bearings

Abstract

본 발명은 위험물운반용기용 교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위험물운반용기의 캠락뚜껑에 운반용기의 내부 위험물을 교반할 수 있도록 하여, 신규로 제작하는 위험물운반용기는 물론 기존에 제작된 위험물운반용기에도 교반기의 설치가 매우 용이하도록 된 위험물운반용기용 교반기 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위험물운반용기용 교반기(1000,2000)는, 축중심에 구동수단의 구동축이 끼워지고, 타단에 교반축이 끼워지는 한편, 외주면에는 구동축과 교반축이 동기회전하도록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샤프트고정로드(1100,2100)와; 샤프트고정로드의 일단에서 축방향중심으로 끼워져 샤프트고정로드의 외주면에서 동기회전부재로 샤프트고정로드와 구동축이 동기회전하도록 된 구동수단(1200,2200)과; 샤프트고정로드의 타단에서 축방향중심으로 교반축이 고정됨과 더불어, 이 교반축의 소정위치에 날개가 구비된 교반수단(1300,2300)과; 구동수단과 샤프트고정로드 및 교반수단이 축중심에 고정되어 구동수단의 회전에 의해 교반수단의 날개가 회전할 수 있게 되는 한편, 캠락뚜껑의 축방향 중심으로 끼워져 캠락뚜껑의 상부면에 유체가 누출되지 않도록 고정된 하우징(1400,2400)과; 하우징의 상부가 축방향 중심에 끼워져 고정됨과 더불어 위험물을 수용하는 위험물운반용기의 상부면에 설치된 캠락몸체와 착탈가능하게 끼워도록 된 캠락뚜껑(1500,250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위험물운반용기용 교반기{AGITATOR FOR CONTAINER OF DANGEROUS MATERIALS}
본 발명은 위험물운반용기용 교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위험물운반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위험물을 교반할 수 있도록 된 위험물운반용기용 교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화성 또는 부식성을 가짐으로써 보관 및 운반에 주의를 가져야 하는 위험물을 운반하는 경우 플라스틱 합성수지 재질의 운반용기는 내용물에 의해 용해될 수 있으므로 금속재질의 위험물 운반용기가 사용된다.
이러한 위험물 운반용기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4각기둥 형상의 탱크본체인 몸통부와, 이 몸통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개폐할 수 있도록 된 맨홀뚜껑부와, 상기 몸통부의 측면에 마련되어 내용물을 확인하기 위한 내용물 확인부와, 상기 몸통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내용물을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설치된 토출부와, 상기 몸통부로 위험물을 투입하기 위해 몸통부에 용접한 캠락몸통과 이 캠락몸통에 선택적으로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캠락뚜껑으로 이루어진 캠락 구조의 위험물투입부가 적어도 한 곳 이상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근래에 들어서 원가절감을 이유로 맨홀뚜껑부는 설치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종래 교반기가 부착된 위험물 운송용기는 대한민국실용공개 제20-2007-0000650호로 공지된 것과 같이, IBCs TANK를 제작함에 있어서 상부에 약 1M정도의 반원구를 형성하고, 모서리 측면을 프레임 내장 이중겹침용접기법을 사용하여 IBCs TANK의 강도를 강화한 후, IBCs TANK에 교반기를 장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IBCs TANK상단에 너비 1m의 반원구를 형성하여 강도를 보강하고, 그 반원구에 교반기 장착을 위한 플랜지를 용접부착하고, 플랜지 구멍에 교반기축을 관통시켜서 임펠라(프로펠라)를 장착하여 에어 동력을 이용하여 구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몸통부의 상부에 설치된 맨홀과는 별도로 교반기가 설치되어 교반기의 설치에 따른 비용이 매우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기존에 제조된 위험물운반용기에는 교반기를 설치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참조문헌: 대한민국실용공개 제20-2007-0000650호 고안의 명칭 "IBCs TANK(중형위험물 운송용 용기) 교반기부착,프레임내장 이중겹침용접, 충격완화기 장착".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요구사항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위험물을 투입하기 위해 운반용기의 상부에 설치한 캠락몸통에 체결하는 캠락뚜껑에 캠락몸통을 통해 운반용기의 내부로 설치하여 위험물을 교반할 수 있도록 하여, 신규로 제작하는 위험물운반용기는 물론 기존에 제작된 위험물운반용기에도 교반기의 설치가 매우 용이하도록 된 위험물운반용기용 교반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교반기의 사용이 끝나고 재충전이나 기타 이유로 인해 이동을 해야 할 때는 교반기를 손쉽게 캠락몸통에서 분리하여 별도로 보관하기 용이하도록 된 위험물운반용기용 교반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위험물운반용기용 교반기 는, 축방향 중심의 일단에 구동수단의 구동축이 끼워지도록 구동축끼움구멍이 일정길이 형성되고, 축방향 중심의 타단에 교반축이 일정길이 끼워지도록 교반축끼움구멍이 형성되는 한편, 외주면에는 상기 구동축과 교반축이 동기회전하도록 동기회전수단조립부가 형성된 샤프트고정로드와; 상기 샤프트고정로드의 일단에서 축방향중심으로 끼워져 샤프트고정로드의 외주면에서 동기회전수단조립부를 통해 축중심으로 고정되는 동기회전부재로 고정되어 샤프트고정로드와 구동축이 동기회전 하도록 된 구동수단과; 상기 샤프트고정로드의 타단에서 축방향중심으로 끼워져 샤프트고정로드의 외주면에서 동기회전수단조립부를 통해 축중심으로 체결되는 동기회전부재로 일정길이의 교반축이 고정됨과 더불어, 이 교반축의 소정위치에 날개가 구비된 교반수단과; 상기 구동수단과 샤프트고정로드 및 교반수단이 축중심에 고정되어 상기 구동수단의 회전에 의해 교반수단의 날개가 회전할 수 있게 되는 한편, 캠락뚜껑의 축방향 중심으로 끼워져 캠락뚜껑의 상부면에 유체가 누출되지 않도록 고정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가 축방향 중심에 끼워져 고정됨과 더불어 위험물을 수용하는 위험물운반용기의 상부면에 설치된 캠락몸체와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도록 된 캠락뚜껑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교반수단의 날개와 교반축 및 샤프트고정로드가 끼워짐과 더불어 샤프트고정로드의 외주면과 밀착되어 회전을 안내하도록 형성된 회전지지부와, 상기 회전지지부의 상부에는 구동수단의 구동축을 지지하는 구동수단하부하우징이 끼워져 안착되도록 된 구동수단수용부와, 상기 캠락뚜껑의 축방향 중심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체결되도록 구동수단수용부의 외측면에 일정길이로 형성된 숫나사부와, 상기 회전지지부와 구동수단수용부의 경계면에 형성된 오링설치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고정로드의 외주면과 하우징의 회전지지부 사이에는 오링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지지부와 구동수단수용부의 경계면에 형성된 오링설치홈에 오링이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상부 외주면에는 구동수단하부하우징을 구동수단수용부에 안착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수단이 축방향을 향해 설치되어, 상기 샤프트고정로드의 외주면과 하우징의 회전지지부로 오일이 누수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구동수단수용부와 구동수단하부하우징의 사이로 오일이 누출되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축을 지지하는 구동수단하부하우징에 형성된 나사부가 체결되도록 축중심에 형성된 구동수단하부하우징체결부와, 상기 구동수단하부하우징체결부의 반대쪽에서 구동수단의 구동축과 고정된 샤프트고정로드와 끼워져 회전을 안내하도록 된 베어링이 안착되는 베어링안착홈과, 상기 베어링안착홈에 안착된 베어링을 축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한 멈춤링을 설치하기 위한 멈춤링설치홈과, 상기 캠락뚜껑 축방향 중심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체결되도록 베어링안착홈의 외측면에 일정길이로 형성된 숫나사부와, 상기 구동수단하부하우징체결부의 외측면에 숫나사부 보다 직경이 크게 확경되어 계단진 형태로 되어 경계면이 캠락뚜껑의 상부면에 밀착되도록 된 플랜지부를 갖추고, 상기 숫나사부에는 캠락뚜껑의 상부면과 플랜지부의 경계면 사이로 유체가 누출되지 않도록 하우징고정너트가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캠락뚜껑에 구비된 플랜지부의 경계면에 오링안착홈이 형성되어 제1오링이 안착설치되고, 상기 구동수단하부하우징체결부가 형성된 일측면에 오링안착홈이 형성되어 구동수단과의 사이에 제2오링이 안착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험물운반용기용 교반기에 의하면, 위험물운반용기의 캠락몸통과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캠락뚜껑에 캠락몸통의 중심으로 유입되어 운반용기의 내부 위험물을 교반할 수 있도록 하여, 신규로 제작하는 위험물운반용기는 물론 기존에 제작된 위험물운반용기에도 교반기의 설치가 매우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위험물운반용기용 교반기에 의하면, 교반기의 사용이 끝나고 재충전이나 기타 이유로 인해 이동을 해야 할 때는 교반기를 손쉽게 캠락몸통에서 분리하여 별도로 보관하기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가 설치된 위험물운반용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우측면도,
도 3은 도 1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운반용기용 교반기를 나타내는 종단면조립도,
도 5는 도 4의 분해단면도,
도 6은 도 4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상세도,
도 7은 도 6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도 6의 샤프트고정로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운반용기용 교반기를 나타내는 종단면조립도,
도 10은 도 9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운반용기용 교반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운반용기용 교반기(1000)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샤프트고정로드(1100)와, 구동수단(1200)과, 교반수단(1300)과, 하우징(1400)과, 캠락뚜껑(15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샤프트고정로드(1100)는, 축방향 중심의 일단에 구동수단의 구동축(1210)이 끼워지도록 구동축끼움구멍(1110)이 일정길이 형성되고, 축방향 중심의 타단에 교반축(1310)이 일정길이 끼워지도록 교반축끼움구멍(1120)이 형성되는 한편, 외주면에는 상기 구동축과 교반축이 동기회전하도록 동기회전수단조립부(1130)가 형성된다.
상기 구동축끼움구멍(1110)과 교반축끼움구멍(1120)은 직경이 서로 다르게 표현되어 있으나, 상기 구동축(1210)과 교반축(1310)의 직경을 갖게 하여 구동축끼움구멍(1110)과 교반축끼움구멍(1120)의 직경을 동일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기 구동축끼움구멍(1110)으로 구동수단(1200)의 구동축(1210)이 끼워져 상기 동기회전수단조립부(1130)로 조립되는 동기회전부재(1600)에 의해 샤프트고정로드(1100)가 구동수단(1200)의 구동축(1210)과 동기적으로 회전하게 되는 한편, 상기 교반축끼움구멍(1120)으로 교반축(1310)이 끼워져 동기회전수단조립부(1130)로 조립되는 동기회전부재(1600)에 의해 구동수단(1200)의 구동축(1210)과 교반축(1310)이 샤프트고정로드(1100)를 매개로 동기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1200)는, 에어모터이거나 또는 모터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샤프트고정로드의 일단에서 축방향중심으로 끼워져 샤프트고정로드의 외주면에서 동기회전수단조립부(1130)를 통해 축중심으로 고정되는 동기회전부재(1600)로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수단(1200)이 작동하여 구동축(1100)이 회전하게 되면 샤프트고정로드(1100)와 동기적으로 회전하여 교반수단(1300)의 교반축(1310)을 회전시키게 되어 후술하는 날개(1320)에 의해 위험물운반용기(10)의 내부에 수용된 유체를 교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교반수단(1300)은, 상기 샤프트고정로드(1100)의 타단에서 축방향중심으로 끼워져 샤프트고정로드의 외주면에서 동기회전수단조립부(1130)를 통해 축중심으로 체결되는 동기회전부재(1600)로 일정길이의 교반축(1310)이 고정됨과 더불어, 이 교반축(1310)의 소정위치에 후술하는 캠락뚜껑(1500)에 형성된 암나사부(1510)의 직경보다 작은 회전 직경을 갖는 날개(132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축(1100)이 회전하게 되면 샤프트고정로드(1100)를 매개로 교반수단(1300)의 교반축(1310)에 고정된 날개(1320)를 회전시켜 위험물운반용기(10)의 내부에 수용된 유체를 교반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400)은, 상기 구동수단(1200)과 샤프트고정로드(1100) 및 교반수단(1300)이 축중심에 고정되어 상기 구동수단의 회전에 의해 교반수단(1300)의 날개(1320)가 회전할 수 있게 되는 한편, 상기 캠락뚜껑(1500)의 축방향 중심으로 끼워져 캠락뚜껑(1500)의 상부면에 유체가 누출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상기 하우징(1400)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교반수단(1300)의 날개(1320)와 교반축(1310) 및 샤프트고정로드(1100)가 끼워짐과 더불어 샤프트고정로드(1100)의 외주면(1140)과 밀착되어 회전을 안내하도록 형성된 회전지지부(1410)와, 상기 회전지지부의 상부에는 구동수단(1200)의 구동축(1210)을 지지하는 구동수단하부하우징(1220)이 끼워져 안착되도록 된 구동수단수용부(1420)와, 상기 캠락뚜껑(1500)의 축방향 중심에 형성된 암나사부(1510)에 체결되도록 구동수단수용부(1420)의 외측면에 일정길이로 형성된 숫나사부(1430)와, 상기 회전지지부(1410)와 구동수단수용부(1420)의 경계면에 오링설치홈(144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고정로드(1100)가 회전지지부(1410)에서 회전가능하게 되고, 상기 구동수단수용부(1420)에 구동수단(1200)의 구동수단하부하우징(1220)이 끼워져 안착조립되며, 상기 숫나사부(130)가 캠락뚜껑(1500)의 축방향 중심에 형성된 암나사부(1510)에 체결된 상태로 유체의 누출이 발생하지 않도록 용접등으로 고정하게 되는 한편, 상기 오링설치홈(1440)에 오링(1800)이 설치되어 상기 회전지지부(1410)와 구동수단수용부(1420)의 경계면으로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캠락뚜껑(1500)은, 상기 하우징(1400)의 상부에 형성된 숫나사부(1430)가 축방향 중심에 형성된 암나사부(1510)에 체결되어 고정됨과 더불어, 상술한 위험물을 수용하는 위험물운반용기(10)의 상부면(11)에 설치된 캠락몸체(20)와 착탈가능하게 끼울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기존에 설치된 위험물운반용기(10)의 캠락뚜껑(1500)축충심에도 암나사부(1510)를 가공하게 되면 본 발명의 교반기를 설치하기 매우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샤프트고정로드(1100)의 외주면(1140)과 하우징(1400)의 회전지지부(1410) 사이에는 오링(1700)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지지부(1410)와 구동수단수용부(1420)의 경계면에 형성된 오링설치홈(1440)에 오링(1800)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고정로드(1100)의 외주면(1140)과 하우징(1400)의 회전지지부(1410) 사이와 회전지지부(1410)와 구동수단수용부(1420)의 경계면 사이로 오링(1700,1800)에 의해 유체가 누출되지 않게 된다.
또 상기 하우징(1400)의 상부 외주면에는 구동수단하부하우징(1220)을 구동수단수용부(1420)에 안착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멈춤나사 또는 멈춤핀과 같은 고정수단(1900)이 축방향을 향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수단(1900)에 의해 구동수단수용부(1420)에 구동수단하부하우징(1220)을 안착시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위험물을 투입하기 위해 위험물운반용기(10)의 상부(11)에 설치한 캠락몸통(20)에 체결하는 캠락뚜껑(1500)에 캠락몸통을 통해 운반용기의 내부로 설치하여 위험물을 교반할 수 있도록 하여, 신규로 제작하는 위험물운반용기는 물론 기존에 제작된 위험물운반용기에도 교반기(1000)의 설치가 매우 용이 할 뿐만 아니라, 교반기의 사용이 끝나고 재충전이나 기타 이유로 인해 이동을 해야 할 때는 교반기(1000)를 손쉽게 캠락몸통(20)에서 분리하고, 교반기가 조립되지 않은 여분의 캠락뚜껑을 캠락몸통에 체결하여 별도로 보관 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본 발명 위험물운반용기용 교반기(2000)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위험물운반용기용 교반기(2000)는, 샤프트고정로드(2100)와, 구동수단(2200)과, 교반수단(2300)과, 하우징(2400)과, 캠락뚜껑(25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샤프트고정로드(2100)는, 축방향 중심의 일단에 구동수단(2200)의 구동축(2210)이 끼워지도록 구동축끼움구멍(2110)이 일정길이 형성되고, 축방향 중심의 타단에 교반축(2310)이 일정길이 끼워지도록 교반축끼움구멍(2120)이 형성되는 한편, 외주면에는 상기 구동축과 교반축이 동기회전하도록 동기회전수단조립부(2130,2140)가 형성된다.
상기 구동축끼움구멍(2110)과 교반축끼움구멍(2120)은 직경이 서로 다르게 가공될 수 있으나, 상기 구동축(2210)과 교반축(2310)의 직경을 갖게 하여 구동축끼움구멍(2110)과 교반축끼움구멍(2120)의 직경을 동일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기 구동축(2210)과 교반축(2310)이 구동축끼움구멍(2110)과 교반축끼움구멍(2120)에 끼워져 동기회전수단조립부(2130,2140)에 조립된 동기회전부재(2600)로 구동축(2210)과 교반축(2310)이 샤프트고정로드(2100)를 매개로 동기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2200)은, 상기 샤프트고정로드(2100)의 일단에서 축방향중심으로 구동축(2210)이 끼워져 샤프트고정로드의 외주면에서 동기회전수단조립부(2130)를 통해 축중심으로 고정되는 고정핀과 같은 동기회전부재(2610)로 고정되어 샤프트고정로드와 구동축이 동기회전 하도록 조립되고, 이 구동축(2210)을 지지하는 구동수단하부하우징(2220)에 나사부(222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축(2210)은 샤프트고정로드(2100)의 일단으로 끼워져 동기회전수단조립부(2130)를 통해 축중심으로 고정되는 고정핀과 같은 동기회전부재(2610)로 고정되는 한편, 상기 구동축(2210)을 지지하는 구동수단하부하우징(2220)에 형성된 나사부(2221)가 상기 하우징(2400)의 축중심에 체결되어 고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교반수단(2300)은, 상기 샤프트고정로드(2100)의 타단에서 축방향중심으로 끼워져 샤프트고정로드의 외주면에서 동기회전수단조립부(2140)를 통해 축중심으로 체결되는 동기회전부재(2620)로 일정길이의 교반축(2310)이 고정됨과 더불어, 이 교반축(2310)의 소정위치에 후술하는 캠락뚜껑(2500)에 형성된 관통구멍(2510)의 직경보다 작은 회전 직경을 갖는 날개(232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축(2210)의 회전력이 샤프트고정로드(2100)를 매개로 교반축(2310)로 전달되어 날개(2320)를 회전시켜 위험물운반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유체를 교반하게 된다.
한편, 다른 실시예의 요부인 상기 하우징(2400)은, 상기 구동수단(2200)과 샤프트고정로드(2100) 및 교반수단(2300)이 축중심에 고정되어 상기 구동수단(2200)의 회전에 의해 교반수단(2300)의 날개(2320)가 회전할 수 있게 되는 한편, 캠락뚜껑(2500)의 축방향 중심으로 끼워져 캠락뚜껑의 상부면에 유체가 누출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좀더 상기 하우징(24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구동수단(2200)의 구동축(2210)을 지지하는 구동수단하부하우징(2220)에 형성된 나사부(2221)가 체결되도록 축중심에 형성된 구동수단하부하우징체결부(2410)와, 상기 구동수단(2200)의 구동축(2210)과 고정된 샤프트고정로드(2100)와 끼워져 회전을 안내하도록 된 베어링(2700)이 구동수단하부하우징체결부의 반대쪽에서 안착되는 베어링안착홈(2420)과, 상기 베어링안착홈(2420)에 안착된 베어링(2700)을 축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한 멈춤링(2800)을 설치하기 위한 멈춤링설치홈(2430)과, 상기 캠락뚜껑(2500)의 축방향 중심에 형성된 암나사부(2510)에 체결되도록 베어링안착홈(2420)이 형성된 외주면에 일정길이로 형성된 숫나사부(2440)와, 상기 구동수단하부하우징체결부(2410)의 외측면에 숫나사부(2440)보다 직경이 크게 확경되어 계단진 형태로 되어 경계면이 캠락뚜껑의 상부면에 밀착되도록 된 플랜지부(2450)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구동수단하부하우징체결부(2410)를 통해 구동수단(2200)의 구동축(2210)을 넣고 구동수단(2200)을 회전하게 되면, 이 구동수단(2200)의 구동수단하부하우징(2220)에 형성된 나사부(2221)가 구동수단하부하우징체결부(2410)에 체결되어 고정되게 되고, 상기 베어링안착홈(2420)에는 베어링(2700)을 끼워서 멈춤링설치홈(2430)에 멈춤링(2800)을 설치하여 베어링(2700)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한편, 상기 숫나사부(2440)는 캠락뚜껑(2500)의 축중심에 형성된 관통구멍(2510)으로 끼워져 후술하는 하우징고정너트(2900)로 고정되어 상기 플랜지부(2450)의 경계면이 캠락뚜껑의 상부면에 밀착되게 된다.
또한 상기 캠락뚜껑(2500)은, 공지의 캠락뚜껑에 축방향 중심으로 관통구멍(2510)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하우징(2400)의 숫나사부(2440)가 끼워져 고정됨과 더불어 위험물을 수용하는 위험물운반용기의 상부면에 설치된 도 1 및 도 2의 캠락몸체(20)와 착탈가능하게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캠락뚜껑(2500)의 관통구멍(2510)으로 상기 샤프트고정로드(2100)와 구동수단(2200) 및 교반수단(2300)과 베어링(2700)이 설치된 하우징(2400)의 숫나사부(2440)를 끼우고 하우징고정너트(2900)로 고정하게 된다.
또 상기 캠락뚜껑(2500)에 구비된 플랜지부(2450)의 경계면(2451)에 오링안착홈(2451a)이 형성되어 제1오링(2460)이 안착설치되고, 상기 구동수단하부하우징체결부(2410)가 형성된 일측면에 오링안착홈(2451b)이 형성되어 구동수단(2200)과의 사이에 제2오링(2470)이 안착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오링(2460)에 의해서 캠락뚜껑(2500)과 하우징(2400)의 사이로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또 상기 제2오링(2470)에 의해서 상기 구동수단(2200)과 하우징(2400)의 사이로 유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숫나사부(2440)에 하우징고정너트(2900)가 체결되어 캠락뚜껑(2500)의 상부면과 플랜지부(2450)의 경계면 사이에 설치된 제1오링(2460)이 오링안착홈(2451a)에 안착되어 유체가 누출되지 않게 된다.
또 상기 베어링(2700)이 설치된 쪽으로 멈춤링(2800)이 설치된 곳에 베어링을 보호할 수 있도록 오일시일이 더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위험물운반용기 20: 캠락몸통
1000,2000: 위험물운반용기용 교반기 1100,2100: 샤프트고정로드
1200,2200: 구동수단 1300,2300: 교반수단
1310,2310: 교반축 1320,2320: 날개
1400,2400: 하우징 1410: 회전지지부
1420: 구동수단수용부 1430: 숫나사부
1440: 오링설치홈 1500,2500: 캠락뚜껑
1510: 암나사부 1600,2600: 동기회전부재
1700,1800: 오링 1900: 고정수단
2410: 구동수단하부하우징체결부 2420: 베어링안착홈
2430: 멈춤링설치홈 2440: 숫나사부
2450: 플랜지부 2460: 제1오링
2470: 제2오링 2510: 관통구멍
2700: 베어링 2800: 멈춤링
2900: 하우징고정너트

Claims (5)

  1. 축방향 중심의 일단에 구동수단의 구동축이 끼워지도록 구동축끼움구멍이 일정길이 형성되고, 축방향 중심의 타단에 교반축이 일정길이 끼워지도록 교반축끼움구멍이 형성되는 한편, 외주면에는 상기 구동축과 교반축이 동기회전하도록 동기회전수단조립부가 형성된 샤프트고정로드와;
    상기 샤프트고정로드의 일단에서 축방향중심으로 끼워져 샤프트고정로드의 외주면에서 동기회전수단조립부를 통해 축중심으로 고정되는 동기회전부재로 고정되어 샤프트고정로드와 구동축이 동기회전 하도록 된 구동수단과;
    상기 샤프트고정로드의 타단에서 축방향중심으로 끼워져 샤프트고정로드의 외주면에서 동기회전수단조립부를 통해 축중심으로 체결되는 동기회전부재로 일정길이의 교반축이 고정됨과 더불어, 이 교반축의 소정위치에 날개가 구비된 교반수단과;
    상기 구동수단과 샤프트고정로드 및 교반수단이 축중심에 고정되어 상기 구동수단의 회전에 의해 교반수단의 날개가 회전할 수 있게 되는 한편, 캠락뚜껑의 축방향 중심으로 끼워져 캠락뚜껑의 상부면에 유체가 누출되지 않도록 고정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가 축방향 중심에 끼워져 고정됨과 더불어 위험물을 수용하는 위험물운반용기의 상부면에 설치된 캠락몸체와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도록 된 캠락뚜껑을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은,
    상기 교반수단의 날개와 교반축 및 샤프트고정로드가 끼워짐과 더불어 샤프트고정로드의 외주면과 밀착되어 회전을 안내하도록 형성된 회전지지부와,
    상기 회전지지부의 상부에는 구동수단의 구동축을 지지하는 구동수단하부하우징이 끼워져 안착되도록 된 구동수단수용부와,
    상기 캠락뚜껑의 축방향 중심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체결되도록 구동수단수용부의 외측면에 일정길이로 형성된 숫나사부와,
    상기 회전지지부와 구동수단수용부의 경계면에 형성된 오링설치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운반용기용 교반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고정로드의 외주면과 하우징의 회전지지부 사이에는 오링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지지부와 구동수단수용부의 경계면에 형성된 오링설치홈에 오링이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상부 외주면에는 구동수단하부하우징을 구동수단수용부에 안착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수단이 축방향을 향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운반용기용 교반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축을 지지하는 구동수단하부하우징에 형성된 나사부가 체결되도록 축중심에 형성된 구동수단하부하우징체결부와,
    상기 구동수단하부하우징체결부의 반대쪽에서 구동수단의 구동축과 고정된 샤프트고정로드와 끼워져 회전을 안내하도록 된 베어링이 안착되는 베어링안착홈과,
    상기 베어링안착홈에 안착된 베어링을 축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한 멈춤링을 설치하기 위한 멈춤링설치홈과,
    상기 캠락뚜껑 축방향 중심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체결되도록 베어링안착홈의 외측면에 일정길이로 형성된 숫나사부와,
    상기 구동수단하부하우징체결부의 외측면에 숫나사부 보다 직경이 크게 확경되어 계단진 형태로 되어 경계면이 캠락뚜껑의 상부면에 밀착되도록 된 플랜지부를 갖추고,
    상기 숫나사부에는 캠락뚜껑의 상부면과 플랜지부의 경계면 사이로 유체가 누출되지 않도록 하우징고정너트가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운반용기용 교반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캠락뚜껑에 구비된 플랜지부의 경계면에 오링안착홈이 형성되어 제1오링이 안착설치되고,
    상기 구동수단하부하우징체결부가 형성된 일측면에 오링안착홈이 형성되어 구동수단과의 사이에 제2오링이 안착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운반용기용 교반기.
KR1020190100511A 2019-08-16 2019-08-16 위험물운반용기용 교반기 KR102285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511A KR102285044B1 (ko) 2019-08-16 2019-08-16 위험물운반용기용 교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511A KR102285044B1 (ko) 2019-08-16 2019-08-16 위험물운반용기용 교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678A KR20210020678A (ko) 2021-02-24
KR102285044B1 true KR102285044B1 (ko) 2021-08-05

Family

ID=74688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0511A KR102285044B1 (ko) 2019-08-16 2019-08-16 위험물운반용기용 교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504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2449A (ja) 2006-07-06 2008-01-24 Akira Kiko Kk 攪拌造粒装置
JP2008173621A (ja) * 2007-01-22 2008-07-31 Accord System:Kk 姿形可変翼付き攪拌機
KR200451440Y1 (ko) 2010-07-27 2010-12-15 주식회사 지노믹코리아 세척과 교반기능이 향상된 솔루션 교반장치
KR101692864B1 (ko) * 2016-04-01 2017-01-06 주식회사 제일플랜트 누체 건조기의 교반축 조립체
JP2018050484A (ja) 2016-09-26 2018-04-05 佐竹化学機械工業株式会社 撹拌培養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2449A (ja) 2006-07-06 2008-01-24 Akira Kiko Kk 攪拌造粒装置
JP2008173621A (ja) * 2007-01-22 2008-07-31 Accord System:Kk 姿形可変翼付き攪拌機
KR200451440Y1 (ko) 2010-07-27 2010-12-15 주식회사 지노믹코리아 세척과 교반기능이 향상된 솔루션 교반장치
KR101692864B1 (ko) * 2016-04-01 2017-01-06 주식회사 제일플랜트 누체 건조기의 교반축 조립체
JP2018050484A (ja) 2016-09-26 2018-04-05 佐竹化学機械工業株式会社 撹拌培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678A (ko) 2021-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1572B2 (en) Mixing bag or vessel having a receiver for a fluid-agitating element
EP2408901A1 (fr) Recipient-melangeur avec palier d'arbre en partie supérieure.
JP5771529B2 (ja) 容器のための蓋
CA3061334C (en) Fluid mix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mixing and improving homogeneity of fluids
US20160288065A1 (en) Mixer Assembly Apparatus and Method
US9770697B2 (en) Closing cover for a container provided with a seal
KR102285044B1 (ko) 위험물운반용기용 교반기
CN105358671A (zh) 包括轴套的容器
KR101788644B1 (ko) 교반기
KR101946939B1 (ko) 교반 봉 장치 및 교반 봉 장치를 가진 액체용 이송 및 저장 컨테이너
ATE491510T1 (de) Behälter für flüssige stoff, wobei der behälter als rührbehälter ausgestattet ist
JPH09292040A (ja) パレット容器に装着される大型遮断コック装置
CN210079321U (zh) 一种液液混合pe槽
US5575560A (en) Paint tote with colapsible liner and tote agitator
JP2008155476A (ja) 2液混合樹脂材の真空注入方法
US562642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porting and agitating a substance
US20160038895A1 (en) Self supporting in-container mix/blend system
JPH0622425Y2 (ja) 撹拌機
CN217029935U (zh) 用于底置搅拌器的密封隔离器
CN112469931B (zh) 用于密封旋转机器的轴的关闭装置以及旋转机器
US20150103620A1 (en) Bulk mixing container and locking bearing therefor
KR101789094B1 (ko) 교반기
KR20190001769U (ko) 교반기
KR20230138523A (ko) 수지 용기
JP2003176873A (ja) メカニカルシールの封液方法および封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