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7571A -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로브 정렬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로브 정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7571A
KR20230137571A KR1020220035111A KR20220035111A KR20230137571A KR 20230137571 A KR20230137571 A KR 20230137571A KR 1020220035111 A KR1020220035111 A KR 1020220035111A KR 20220035111 A KR20220035111 A KR 20220035111A KR 20230137571 A KR20230137571 A KR 20230137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robe
electromagnet
fixed
detach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5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5534B1 (ko
Inventor
최대현
Original Assignee
(주) 인텍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인텍플러스 filed Critical (주) 인텍플러스
Priority to KR1020220035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5534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03511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65534B1/ko
Publication of KR20230137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7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5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55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6Details
    • G02F1/1309Repairing; Te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1Lifting, gripping, or carrying means, for one or more sheets forming independent means of transport, e.g. suction cups, transport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브유닛의 위치 제어를 간편하고 빠르게 구현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로브 정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로브 정렬시스템.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베이스유닛과, 디스플레이 패널과 접속 가능하도록 베이스유닛에 배치되는 프로브유닛과, 베이스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베이스유닛에서 프로브유닛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프로브배치유닛과, 베이스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베이스유닛에 프로브유닛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되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자력이 발생됨에 따라 베이스유닛에 프로브유닛을 고정시키는 정지전자석유닛과, 프로브유닛에 구비되고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자력이 발생됨에 따라 프로브배치유닛에 프로브유닛을 고정시키는 탈착전자석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로브 정렬시스템{PROBE ALIGNMENT SYSTEM OF DISPLAY PANEL}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로브 정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프로브유닛의 위치 제어를 간편하고 빠르게 구현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로브 정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TFT-LCD)와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는 양산기술 확보와 연구개발의 성과로 대형화와 고해상도화가 급속도로 진전되어 노트북 컴퓨터(computer) 뿐만 아니라 대형 니터(monitor) 응 제품으로 도 개발되어 기존의 CRT(cathode ray tube) 제품을 점진적으로 대체하고 있어 디스플레이 산업에서의 그 비중이 점차 증 대되고 있다.
이와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 장치는 제조라인 최종 단계에서 점등검사를 수행하게 된다. 점등검사는 프로브유닛을 이용해 평판 디스플레이의 데이터라인과 게이트라인 각각의 단선검사와 색상검사 그리고 육안검사 등을 실시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점등검사을 실시할 때, 프로브유닛마다 개별로 설치된 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다수의 프로브유닛들이 데이터라인 또는 게이트라인에 대응하여 정위치되므로, 프로브유닛의 위치 제어가 복잡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53746호 (발명의 명칭 : 디스플레이 패널의 검사 장비, 2006. 12. 06.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61692호 (발명의 명칭 :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장치, 2019. 07. 17.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프로브유닛의 위치 제어를 간편하고 빠르게 구현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로브 정렬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로브 정렬시스템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베이스유닛; 디스플레이 패널과 접속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유닛에 배치되는 프로브유닛; 상기 베이스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베이스유닛에서 상기 프로브유닛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프로브배치유닛; 상기 베이스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베이스유닛에 상기 프로브유닛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되,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자력이 발생됨에 따라 상기 베이스유닛에 상기 프로브유닛을 고정시키는 정지전자석유닛; 및 상기 프로브유닛에 구비되고,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자력이 발생됨에 따라 상기 프로브배치유닛에 상기 프로브유닛을 고정시키는 탈착전자석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브유닛은, 상기 정지전자석유닛의 동작에 따라 상기 베이스유닛에 고정 가능하고, 상기 탈착전자석유닛의 동작에 따라 상기 프로브배치유닛에 고정 가능한 베이스바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접속되도록 상기 베이스바디의 일단부에 배치되는 프로브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프로브모듈의 접속을 위해 상기 베이스바디를 기준으로 상기 프로브모듈을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브유닛은, 상기 승강구동부가 결합되는 왕복지지부; 및 상기 프로브모듈의 위치 조절을 위해 상기 베이스바디를 기준으로 상기 왕복지지부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왕복구동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브배치유닛은, 상기 베이스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유닛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탈착전자석유닛의 동작에 따라 상기 프로브유닛이 고정 가능한 프로브탈착블럭; 상기 프로브탈착블럭에 돌출 형성되는 리니어브라켓; 및 상기 프로브탈착블럭의 슬라이드 이동을 위해 상기 베이스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리니어브라켓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리니어구동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브배치유닛은, 상기 프로브유닛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모듈;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위치감지모듈은, 상기 프로브유닛마다 구비되는 감지돌부; 및 상기 리니어브라켓에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때, 상기 감지돌부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정지전자석유닛은, 상기 프로브유닛에 구비되고, 전원의 인가에 따라 자력을 발생시키는 정지전자석부; 상기 베이스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유닛에 구비되고, 상기 정지전자석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정지전자석부가 고정 가능한 정지레일부; 상기 정지레일부와 평행하도록 상기 베이스유닛에 구비되고, 상기 프로브유닛의 슬라이드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정지가이드부; 및 상기 프로브유닛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정지가이드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정지슬라이더;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탈착전자석유닛은, 상기 프로브유닛에 구비되는 중공의 탈착지지부; 상기 탈착지지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고, 전원의 인가에 따라 자력을 발생시키는 탈착전자석부; 상기 프로브배치유닛에 대응하여 상기 탈착지지부의 일측에서 상기 탈착전자석부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탈착파지부; 상기 탈착지지부의 타측에서 상기 탈착전자석부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탈착제한부; 및 상기 탈착지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탈착제한부를 탄성 가압하는 탈착해제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탈착해제부는, 상기 탈착지지부와 상기 탈착제한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탈착가이드로드; 상기 탈착지지부와 상기 탈착제한부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고, 상기 탈착가이드로드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탈착왕복로드; 및 상기 탈착지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탈착제한부를 탄성 가압하되, 상기 탈착가이드로드와 상기 탈착왕복로드를 감싸는 탈착해제탄성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로브 정렬시스템은 상기 탈착전자석유닛에서 이격되어 상기 프로브유닛에 구비되고,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자력이 발생됨에 따라 상기 베이스유닛에 상기 프로브유닛을 고정시키는 고정전자석유닛;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전자석유닛은, 상기 프로브유닛에 구비되는 중공의 고정지지부; 상기 고정지지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고, 전원의 인가에 따라 자력을 발생시키는 고정전자석부; 상기 베이스유닛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지지부의 일측에서 상기 고정전자석부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고정파지부; 상기 고정지지부의 타측에서 상기 고정전자석부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고정제한부; 및 상기 고정지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고정제한부를 탄성 가압하는 고정해제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해제부는, 상기 고정지지부와 상기 고정제한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고정가이드로드; 상기 고정지지부와 상기 고정제한부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가이드로드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왕복로드; 및 상기 고정지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고정제한부를 탄성 가압하되, 상기 고정가이드로드와 상기 고정왕복로드를 감싸는 고정해제탄성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로브 정렬시스템에 따르면, 프로브유닛의 위치 제어를 간편하고 빠르게 구현할 수 있다. 특히, 전원의 인가에 따라 자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을 이용하므로, 프로브유닛의 이동을 부드럽게 함은 물론, 프로브유닛을 베이스유닛에 안정되게 정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브유닛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프로브모듈의 정위치에 대응하여 프로브모듈과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기적 접속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베이스바디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베이스부에 각각의 부품을 안정되게 고정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위치에 따라 베이스바디에서 프로브모듈의 위치 이동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브배치유닛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상호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프로브유닛에 대해 탈착전자석유닛의 동작에 따라 동시 이동 또는 개별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유닛에서 프로브탈착블럭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프로브유닛 사이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감지모듈의 결합 관계를 통해 프로브유닛이 베이스유닛에 고정될 때, 프로브유닛의 정지 위치를 명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감지모듈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베이스유닛에 고정된 프로브유닛의 위치 감지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지전자석유닛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베이스유닛에서 프로브유닛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프로브유닛의 정지 위치에 대응하여 전원의 인가에 따라 자력을 발생시키는 정지전자석부가 동작됨에 따라 프로브유닛을 베이스유닛에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탈착전자석유닛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전원의 인가에 따라 자력을 발생시키는 탈착전자석부가 동작됨에 따라 프로브배치유닛에 프로브유닛을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탈착해제부를 통해 탈착전자석부의 동작이 해제됨에 따라 프로브배치유닛으로부터 탈착전자석유닛을 분리시킬 수 있고, 프로브배치유닛이 동작되더라도, 프로브배치유닛으로부터 분리되어 베이스유닛에 고정된 프로브유닛의 위치 변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탈착해제부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탈착지지부를 기준으로 하는 탈착전자석부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탈착전자석부의 동작이 해제됨에 따라 탈착전자석부와 프로브배치유닛의 이격 상태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전자석유닛의 결합 관계를 통해 베이스유닛에서 정위치된 프로브유닛의 유동을 방지하고, 프로브유닛의 정위치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전자석유닛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전원의 인가에 따라 자력을 발생시키는 고정전자석부가 동작됨에 따라 베이스유닛에 프로브유닛을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해제부를 통해 고정전자석부의 동작이 해제됨에 따라 베이스유닛으로부터 고정전자석유닛을 분리시킬 수 있고, 프로브배치유닛의 동작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해제부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고정지지부를 기준으로 하는 고정전자석부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고정전자석부의 동작이 해제됨에 따라 고정전자석부와 베이스유닛의 이격 상태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로브 정렬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로브 정렬시스템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로브 정렬시스템을 도시한 요부 확대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로브 정렬시스템에서 프로브유닛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로브 정렬시스템에서 프로브유닛이 프로브배치유닛에 결합되어 베이스유닛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로브 정렬시스템에서 프로브유닛이 프로브배치유닛에서 분리되어 베이스유닛에 정지되고 프로브모듈이 디스플레이 패널에 접속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로브 정렬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로브 정렬시스템은 디스플레이 패널(D)의 전기 접속 상태를 검사할 때, 프로브유닛(20)(20)의 위치 제어를 간편하고 빠르게 구현하여 프로브유닛(20)의 위치 결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로브 정렬시스템은 베이스유닛(10)과, 프로브유닛(20)과, 프로브배치유닛(40)과, 정지전자석유닛(50)과, 탈착전자석유닛(60)을 포함하고, 고정전자석유닛(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유닛(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로브 정렬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D)이 정위치되는 부분을 설정할 수 있다. 베이스유닛(10)은 디스플레이 패널(D)에서 프로브모듈(22)이 접속되는 전극부의 배치 방향에 대응하여 베이스유닛(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베이스유닛(10)은 디스플레이 패널(D)에서 이격 배치되는 장착바디(11)와, 장착바디(11)에 돌출 형성되는 지지바디(1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프로브유닛(20)이 배치되는 장착바디(11)의 설치면은 디스플레이 패널(D)과 수직을 이루고, 프로브유닛(20)이 배치되는 지지바디(12)의 설치면은 디스플레이 패널(D)과 평행을 이루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장착바디(11)에는 정지전자석유닛(50)이 결합되고, 지지바디(12)에는 프로브배치유닛(40)이 결합되도록 한다.
프로브유닛(20)은 디스플레이 패널(D)과 접속 가능하도록 베이스유닛(10)에 배치된다. 프로브유닛(20)은 정지전자석유닛(50)을 매개로 베이스유닛(1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프로브유닛(20)은 베이스바디(21)와, 프로브모듈(22)과, 승강구동부(23)를 포함하고, 왕복지지부(24)와, 왕복구동부(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바디(21)는 정지전자석유닛(50)의 동작에 따라 베이스유닛(10)에 고정 가능하다. 베이스바디(21)는 탈착전자석유닛(60)의 동작에 따라 프로브배치유닛(40)에 고정 가능하다.
베이스바디(21)는 장착바디(11)와 실질적으로 평행한 베이스부(211)와, 베이스부(211)에 돌출 형성되어 탈착전자석유닛(60)이 결합되는 전자석지지부(212)와, 베이스부(211)에 돌출 형성되어 승강구동부(23)가 결합되는 슬라이딩지지부(213)와, 베이스부(211)에 돌출 형성되어 정지전자석유닛(50)의 정지슬라이더(54)가 결합되는 프로브지지부(214)와, 베이스부(211)에 돌출 형성되어 정지전자석유닛(50)의 정지전자석부(51)가 결합되는 정위치지지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석지지부(212)와, 슬라이딩지지부(213)와, 프로브지지부(214)와, 정위치지지부(215)는 결합되는 부품에 대응하여 상호 이격 배치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자석지지부(212)에는 후술하는 탈착전자석유닛(60)의 탈착전자석부(62)가 통과하는 전자석홀부와, 후술하는 탈착전자석유닛(60)의 탈착로드부와 탈착해제탄성부(655)가 통과하는 가이드홀부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프로브모듈(22)은 디스플레이 패널(D)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베이스바디(21)의 일단부에 배치된다.
승강구동부(23)는 디스플레이 패널(D)과 프로브모듈(22)의 접속을 위해 베이스바디(21)를 기준으로 프로브모듈(22)을 승강 이동시킨다. 승강구동부(23)는 베이스바디(21)에서 베이스부(211)의 일단부에 구비된 슬라이딩지지부(213)에 결합된다.
프로브모듈(22)은 베이스바디(21)의 베이스부(211)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부(211)에는 왕복가이드(24)가 승강 이동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프로브모듈(22)에는 왕복가이드(24)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왕복슬라이더(25)가 결합되어 베이스부(211)에서 프로브모듈(22)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프로브모듈(22)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프로브배치유닛(40)은 베이스유닛(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베이스유닛(10)에서 프로브유닛(20)을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프로브배치유닛(40)은 탈착전자석유닛(60)을 매개로 프로브유닛(20)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프로브배치유닛(40)은 프로브탈착블럭(41)과, 리니어브라켓(42)과, 리니어구동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브탈착블럭(41)은 베이스유닛(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베이스유닛(1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프로브탈착블럭(41)은 탈착전자석유닛(60)의 동작에 따라 프로브유닛(20)이 고정 가능하다. 프로브탈착블럭(41)은 한 쌍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유닛(10)의 지지바디(12)에는 한 쌍의 프로브탈착블럭(41)에 대응하여 한 쌍의 리니어가이드(44)가 평행하게 형성되고, 프로브탈착블럭(41)에는 각각 리니어가이드(44)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리니어슬라이더(45)가 결합되어 프로브탈착블럭(41)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프로브탈착블럭(41)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리니어브라켓(42)은 프로브탈착블럭(41)에 돌출 형성된다. 리니어브라켓(42)은 한 쌍의 프로브탈착블럭(41)에 대응하여 한 쌍이 상호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리니어구동부(43)는 프로브탈착블럭(41)의 슬라이드 이동을 위해 베이스유닛(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리니어브라켓(42)을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프로브배치유닛(40)은 프로브유닛(20)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모듈(4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감지모듈(46)은 프로브유닛(20)마다 구비되는 감지돌부(462)와, 리니어브라켓(42)에 구비는 위치감지부(461)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감지부(461)는 베이스유닛(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때, 감지돌부(462)를 감지하게 된다.
정지전자석유닛(50)은 베이스유닛(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베이스유닛(10)에 프로브유닛(20)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정지전자석유닛(50)은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자력이 발생됨에 따라 베이스유닛(10)에 프로브유닛(2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정지전자석유닛(50)은 정지전자석부(51)와, 정지레일부(52)와, 정지가이드부(53)와, 정지슬라이더(54)를 포함할 수 있다.
정지전자석부(51)는 프로브유닛(20)에 구비된다. 정지전자석부(51)는 베이스바디(21)의 정위치지지부(215)에 결합된다. 정지전자석부(51)는 전원의 인가에 따라 자력을 발생시킨다.
정지레일부(52)는 베이스유닛(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베이스유닛(10)에 구비된다. 정지레일부(52)는 정지전자석부(51)의 동작에 따라 정지전자석부(51)가 고정 가능하다.
정지가이드부(53)는 정지레일부(52)와 평행하도록 베이스유닛(10)에 구비된다. 정지가이드부(53)는 한 쌍이 상호 이격 배치되는 한편, 정지레일부(52)에서 이격 배치된다. 정지가이드부(53)는 프로브유닛(20)의 슬라이드 이동 경로를 형성한다.
정지슬라이더(54)는 프로브유닛(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정지가이드부(53)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정지슬라이더(54)는 한 쌍의 정지가이드부(53)에 대응하여 한 쌍이 프로브유닛(20)마다 결합된다. 정지슬라이더(54)는 베이스바디(21)의 프로브지지부(214)에 결합된다.
탈착전자석유닛(60)은 프로브유닛(20)에 구비된다. 탈착전자석유닛(60)은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자력이 발생됨에 따라 프로브배치유닛(40)의 프로브탈착블럭(41)에 프로브유닛(20)을 고정시킬 수 있다.
탈착전자석유닛(60)은 탈착지지부(61)와, 탈착전자석부(62)와, 탈착파지부(63)와, 탈착제한부(64)와, 탈착해제부(65)를 포함할 수 있다.
탈착지지부(61)는 프로브유닛(20)에서 베이스바디(21)의 전자석지지부(212)에 구비된다. 탈착지지부(61)에는 탈착전자석부(62)가 끼움 결합되는 탈착가이드(611)가 관통 형성됨에 따라 중공의 바디를 형성한다.
탈착전자석부(62)는 탈착지지부(61)의 탈착가이드(61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된다. 탈착전자석부(62)는 전원의 인가에 따라 자력을 발생시킨다.
탈착파지부(63)는 프로브배치유닛(40)의 프로브탈착블럭(41)에 대응하여 탈착지지부(61)의 일측에서 탈착전자석부(62)의 일단부에 결합된다.
탈착제한부(64)는 탈착지지부(61)의 타측에서 탈착전자석부(62)의 타단부에 결합된다.
탈착해제부(65)는 탈착전자석부(62)의 동작이 해제됨에 따라 탈착지지부(61)를 기준으로 탈착제한부(64)를 탄성 가압한다.
탈착해제부(65)는 탈착지지부(61)와 탈착제한부(64)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탈착가이드로드(651)와, 탈착지지부(61)와 탈착제한부(64)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고 탈착가이드로드(651)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탈착왕복로드(653)와, 탈착지지부(61)를 기준으로 탈착제한부(64)를 탄성 가압하되 탈착가이드로드(651)와 탈착왕복로드(653)를 감싸는 탈착해제탄성부(65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탈착가이드로드(651)와 탈착왕복로드(653) 중 어느 하나에는 탈착로드홈부(652)가 함몰 형성되고, 탈착가이드로드(651)와 탈착왕복로드(653) 중 다른 하나에는 탈착로드홈부(652)에 끼움 결합되는 탈착로드돌부(654)가 돌출 형성되므로, 탈착로드홈부(652)에서 탈착로드돌부(654)가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프로브배치유닛(40)의 프로브탈착블럭(41)과 탈착파지부(63)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고정전자석유닛(70)은 탈착전자석유닛(60)에서 이격되어 프로브유닛(20)에서 베이스부(211)의 타단부에 구비된다. 고정전자석유닛(70)은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자력이 발생됨에 따라 베이스유닛(10)의 지지바디(12)에 프로브유닛(20)을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전자석유닛(70)은 고정지지부(71)와, 고정전자석부(72)와, 고정파지부(73)와, 고정제한부(74)와, 고정해제부(75)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지지부(71)는 프로브유닛(20)에서 베이스부(211)의 타단부에 구비된다. 고정지지부(71)에는 고정전자석부(72)가 끼움 결합되는 고정가이드(711)가 관통 형성됨에 따라 중공의 바디를 형성한다.
고정전자석부(72)는 고정지지부(71)의 고정가이드(71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된다. 고정전자석부(72)는 전원의 인가에 따라 자력을 발생시킨다.
고정파지부(73)는 베이스유닛(10)의 지지바디(12)에 대응하여 고정지지부(71)의 일측에서 고정전자석부(72)의 일단부에 결합된다.
고정제한부(74)는 고정지지부(71)의 타측에서 고정전자석부(72)의 타단부에 결합된다.
고정해제부(75)는 고정전자석부(72)의 동작이 해제됨에 따라 고정지지부(71)를 기준으로 고정제한부(74)를 탄성 가압한다.
고정해제부(75)는 고정지지부(71)와 고정제한부(74)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고정가이드로드(751)와, 고정지지부(71)와 고정제한부(74)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고 고정가이드로드(751)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왕복로드(753)와, 고정지지부(71)를 기준으로 고정제한부(74)를 탄성 가압하되 고정가이드로드(751)와 고정왕복로드(753)를 감싸는 고정해제탄성부(75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가이드로드(751)와 고정왕복로드(753) 중 어느 하나에는 고정로드홈부(752)가 함몰 형성되고, 고정가이드로드(751)와 고정왕복로드(753) 중 다른 하나에는 고정로드홈부(752)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로드돌부(754)가 돌출 형성되므로, 고정로드홈부(752)에서 고정로드돌부(754)가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베이스유닛(10)의 지지바디(12)와 고정파지부(73)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로브 정렬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베이스유닛(10)에 다수의 프로브유닛(20)이 이격 배치된다. 프로브유닛(20)과 프로브배치유닛(40)이 분리된 상태에서 프로브탈착블럭(41)이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위치감지부(461)는 각각의 감지돌부(462)를 감지하여 프로브유닛(20)의 초기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프로브탈착블럭(41)이 초기 위치에 배치되고, 탈착전자석유닛(60)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다수의 프로브유닛(20)은 상호 이격된 상태로 프로브탈착블럭(41)에 고정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D)의 전극부에 대응하여 프로브탈착블럭(41)이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프로브유닛(20)의 프로브모듈(22)을 전극부 상에 배치할 수 있다.
프로브유닛(20)이 전극부 상에 배치되면, 해당 탈착전자석유닛(60)의 전원이 차단되고 프로브탈착블럭(41)에서 해당 프로브유닛(20)을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프로브유닛(20)에 구비된 정지전자석부(51)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해당 정지전자석부(51)는 정지레일부(52)에 고정된다. 또한, 해당 프로브유닛(20)에 구비된 고정전자석부(72)에도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해당 고정전자석부(72)는 베이스유닛(10)의 지지바디(12)에 고정되므로, 프로브유닛(20)을 정위치시킬 수 있다. 이때, 해당 프로브유닛(20)에서 왕복구동부(25)와 승강구동부(23)가 동작되어 프로브모듈(22)과 전극부를 접속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개별의 프로브유닛(20)을 프로브탈착블럭(41)에서 분리하고, 정지전자석부(51)와 고정전자석부(72)를 동작시켜 해당 프로브유닛(20)을 정위치시킬 수 있다. 여기서, 프로브유닛(20)과 프로브배치유닛(40)이 분리된 상태에서 프로브탈착블럭(41)이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위치감지부(461)는 각각의 감지돌부(462)를 감지하여 프로브유닛(20)의 정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프로브유닛(20)이 베이스유닛(10)에 정위치되는 경우, 정지전자석부(51)에 의해 정지레일부(52)가 자화되므로, 다른 프로브유닛(20)의 정지전자석부(51)에는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척력을 발생시켜 정지전자석부(51)와 정지레일부(52)의 분리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탈착전자석부(62)도 프로브탈착블럭(41)에서 분리되는 경우,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척력을 발생시켜 탈착전자석부(62)와 프로브탈착블럭(41)의 분리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고정전자석부(72)도 베이스유닛(10)의 지지바디(12)에서 분리되는 경우,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척력을 발생시켜 베이스유닛(10)의 지지바디(12)와 고정전자석부(72)의 분리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로브 정렬시스템에 따르면, 프로브유닛(20)의 위치 제어를 간편하고 빠르게 구현할 수 있다. 특히, 전원의 인가에 따라 자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을 이용하므로, 프로브유닛(20)의 이동을 부드럽게 함은 물론, 프로브유닛(20)을 베이스유닛(10)에 안정되게 정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브유닛(20)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프로브모듈(22)의 정위치에 대응하여 프로브모듈(22)과 디스플레이 패널(D)의 전기적 접속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베이스바디(21)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베이스부(211)에 각각의 부품을 안정되게 고정 배치할 수 있다. 또한, 프로브모듈(22)의 디스플레이 패널(D)의 위치에 따라 베이스바디(21)에서 프로브모듈(22)의 위치 이동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프로브배치유닛(40)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상호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프로브유닛(20)에 대해 탈착전자석유닛(60)의 동작에 따라 동시 이동 또는 개별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유닛(10)에서 프로브탈착블럭(41)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프로브유닛(20) 사이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위치감지모듈(46)의 결합 관계를 통해 프로브유닛(20)이 베이스유닛(10)에 고정될 때, 프로브유닛(20)의 정지 위치를 명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위치감지모듈(46)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베이스유닛(10)에 고정된 프로브유닛(20)의 위치 감지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정지전자석유닛(50)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베이스유닛(10)에서 프로브유닛(20)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프로브유닛(20)의 정지 위치에 대응하여 전원의 인가에 따라 자력을 발생시키는 정지전자석부(51)가 동작됨에 따라 프로브유닛(20)을 베이스유닛(10)에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탈착전자석유닛(60)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전원의 인가에 따라 자력을 발생시키는 탈착전자석부(62)가 동작됨에 따라 프로브배치유닛(40)에 프로브유닛(20)을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탈착해제부(65)를 통해 탈착전자석부(62)의 동작이 해제됨에 따라 프로브배치유닛(40)으로부터 탈착전자석유닛(60)을 분리시킬 수 있고, 프로브배치유닛(40)이 동작되더라도, 프로브배치유닛(40)으로부터 분리되어 베이스유닛(10)에 고정된 프로브유닛(20)의 위치 변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탈착해제부(65)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탈착지지부(61)를 기준으로 하는 탈착전자석부(62)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탈착전자석부(62)의 동작이 해제됨에 따라 탈착전자석부(62)와 프로브배치유닛(40)의 이격 상태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전자석유닛(70)의 결합 관계를 통해 베이스유닛(10)에서 정위치된 프로브유닛(20)의 유동을 방지하고, 프로브유닛(20)의 정위치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전자석유닛(70)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전원의 인가에 따라 자력을 발생시키는 고정전자석부(72)가 동작됨에 따라 베이스유닛(10)에 프로브유닛(20)을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해제부(75)를 통해 고정전자석부(72)의 동작이 해제됨에 따라 베이스유닛(10)으로부터 고정전자석유닛(70)을 분리시킬 수 있고, 프로브배치유닛(40)의 동작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해제부(75)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고정지지부(71)를 기준으로 하는 고정전자석부(72)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고정전자석부(72)의 동작이 해제됨에 따라 고정전자석부(72)와 베이스유닛(10)의 이격 상태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 베이스유닛 11: 장착바디 12: 지지바디
20: 프로브유닛 21: 베이스바디 211: 베이스부
212: 전자석지지부 213: 슬라이딩지지부 214: 프로브지지부
215: 정위치지지부 22: 프로브모듈 23: 승강구동부
24: 왕복지지부 25: 왕복구동부 26: 왕복가이드
27: 왕복슬라이더 28: 접속부재 30: 접속케이블
40: 프로브배치유닛 41: 프로브탈착블럭 42: 리니어브라켓
43: 리니어구동부 44: 리니어가이드 45: 리니어슬라이더
46: 위치감지모듈 461: 위치감지부 462: 감지돌부
50: 정지전자석유닛 51: 정지전자석부 52: 정지레일부
53: 정지가이드부 54: 정지슬라이더 60: 탈착전자석유닛
61: 탈착지지부 611: 탈착가이드 62: 탈착전자석부
63: 탈착파지부 64: 탈착제한부 65: 탈착해제부
651: 탈착가이드로드 652: 탈착로드홈부 653: 탈착왕복로드
654: 탈착로드돌부 655: 탈착해제탄성부 70: 고정전자석유닛
71: 고정지지부 711: 고정가이드 72: 고정전자석부
73: 고정파지부 74: 고정제한부 75: 고정해제부
751: 고정가이드로드 752: 고정로드홈부 753: 고정왕복로드
754: 고정로드돌부 755: 고정해제탄성부 80: 결합블럭
D: 디스플레이 패널

Claims (9)

  1.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베이스유닛;
    디스플레이 패널과 접속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유닛에 배치되는 프로브유닛;
    상기 베이스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베이스유닛에서 상기 프로브유닛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프로브배치유닛;
    상기 베이스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베이스유닛에 상기 프로브유닛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되,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자력이 발생됨에 따라 상기 베이스유닛에 상기 프로브유닛을 고정시키는 정지전자석유닛; 및
    상기 프로브유닛에 구비되고,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자력이 발생됨에 따라 상기 프로브배치유닛에 상기 프로브유닛을 고정시키는 탈착전자석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로브 정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유닛은,
    상기 정지전자석유닛의 동작에 따라 상기 베이스유닛에 고정 가능하고, 상기 탈착전자석유닛의 동작에 따라 상기 프로브배치유닛에 고정 가능한 베이스바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접속되도록 상기 베이스바디의 일단부에 배치되는 프로브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프로브모듈의 접속을 위해 상기 베이스바디를 기준으로 상기 프로브모듈을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로브 정렬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배치유닛은,
    상기 베이스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유닛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탈착전자석유닛의 동작에 따라 상기 프로브유닛이 고정 가능한 프로브탈착블럭;
    상기 프로브탈착블럭에 돌출 형성되는 리니어브라켓; 및
    상기 프로브탈착블럭의 슬라이드 이동을 위해 상기 베이스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리니어브라켓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리니어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로브 정렬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배치유닛은,
    상기 프로브유닛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로브 정렬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감지모듈은,
    상기 프로브유닛마다 구비되는 감지돌부; 및
    상기 리니어브라켓에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때, 상기 감지돌부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로브 정렬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전자석유닛은,
    상기 프로브유닛에 구비되고, 전원의 인가에 따라 자력을 발생시키는 정지전자석부;
    상기 베이스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유닛에 구비되고, 상기 정지전자석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정지전자석부가 고정 가능한 정지레일부;
    상기 정지레일부와 평행하도록 상기 베이스유닛에 구비되고, 상기 프로브유닛의 슬라이드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정지가이드부; 및
    상기 프로브유닛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정지가이드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정지슬라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로브 정렬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전자석유닛은,
    상기 프로브유닛에 구비되는 중공의 탈착지지부;
    상기 탈착지지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고, 전원의 인가에 따라 자력을 발생시키는 탈착전자석부;
    상기 프로브배치유닛에 대응하여 상기 탈착지지부의 일측에서 상기 탈착전자석부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탈착파지부;
    상기 탈착지지부의 타측에서 상기 탈착전자석부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탈착제한부; 및
    상기 탈착지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탈착제한부를 탄성 가압하는 탈착해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로브 정렬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전자석유닛에서 이격되어 상기 프로브유닛에 구비되고,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자력이 발생됨에 따라 상기 베이스유닛에 상기 프로브유닛을 고정시키는 고정전자석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로브 정렬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전자석유닛은,
    상기 프로브유닛에 구비되는 중공의 고정지지부;
    상기 고정지지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고, 전원의 인가에 따라 자력을 발생시키는 고정전자석부;
    상기 베이스유닛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지지부의 일측에서 상기 고정전자석부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고정파지부;
    상기 고정지지부의 타측에서 상기 고정전자석부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고정제한부; 및
    상기 고정지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고정제한부를 탄성 가압하는 고정해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로브 정렬시스템.
KR1020220035111A 2022-03-22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로브 정렬시스템 KR102665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5111A KR102665534B1 (ko) 2022-03-22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로브 정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5111A KR102665534B1 (ko) 2022-03-22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로브 정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7571A true KR20230137571A (ko) 2023-10-05
KR102665534B1 KR102665534B1 (ko) 2024-05-16

Family

I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746B1 (ko) 2005-06-30 2006-12-06 (주)큐엠씨 디스플레이 패널의 검사 장비
KR101961692B1 (ko) 2018-08-03 2019-07-17 주식회사 프로이천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746B1 (ko) 2005-06-30 2006-12-06 (주)큐엠씨 디스플레이 패널의 검사 장비
KR101961692B1 (ko) 2018-08-03 2019-07-17 주식회사 프로이천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504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제조하는 벤딩 장치
US20160334653A1 (en) Testing fixture
JP6643016B2 (ja) 表示装置のテスト装置及びテスト装置を利用するテスト方法
KR102665534B1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로브 정렬시스템
WO2017201797A1 (zh) 电路板测试装置及电路板测试方法
KR20230137571A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로브 정렬시스템
CN111796123A (zh) 基于显示面板的尺寸的间隔可变检查装置
KR101014780B1 (ko) 프로브 유닛
KR102329854B1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시스템
CN114427928B (zh) 一种用于线缆的多方向扰动力测试装置及测试方法
KR101529265B1 (ko) 전자 디바이스의 검사장치
KR101607087B1 (ko) 프로브
KR101833883B1 (ko) 곡면 디스플레이패널 제조 장치용 가압롤러
KR100982818B1 (ko) 기판 운반을 위한 장치
KR20070098100A (ko) 도광판 가공장치
KR200418563Y1 (ko) 도광판 가공장치
CN208952982U (zh) 一种互调测试机构
JP4489720B2 (ja) 移送装置及びこれを有する液晶パネル検査装置
EP1119232B1 (en) Micro device feeder to assembly line holding connector system
KR102153910B1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측 얼라인 및 검사장치
KR102150628B1 (ko) 가변형 프로브 유닛
KR102570532B1 (ko) 멀티 프로브 검사장치
KR101789670B1 (ko) 오엘이디 패널 검사용 커넥터
KR20140091299A (ko) 액정표시모듈 제조용 압착장치
KR102599359B1 (ko) 프로브 교체형 핀보드 및 핀보드의 프로브교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