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0628B1 - 가변형 프로브 유닛 - Google Patents

가변형 프로브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0628B1
KR102150628B1 KR1020200050144A KR20200050144A KR102150628B1 KR 102150628 B1 KR102150628 B1 KR 102150628B1 KR 1020200050144 A KR1020200050144 A KR 1020200050144A KR 20200050144 A KR20200050144 A KR 20200050144A KR 102150628 B1 KR102150628 B1 KR 102150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member
probe
base plate
fixing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0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구
김연해
황정연
강민우
전계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에스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에스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에스케이
Priority to KR1020200050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06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0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0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73Multiple probes
    • G01R1/07392Multiple probes manipulating each probe element or tip individual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2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Abstract

가변형 프로브 유닛을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프로브 유닛은 디스플레이 패널에 검사용 전기신호를 인가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복수의 전극패드와 접촉하는 복수의 프로브 블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규격에 대응하여 상기 프로브 블록들의 위치와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복수의 프로브 블록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레일을 구비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고정위치로 이동된 상기 프로브 블록을 슬라이딩이 제한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상기 프로브 블록이 상기 고정위치로 이동되었음을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제1안내부재; 상기 프로브 블록과 함께 슬라이딩 하도록 상기 프로브 블록에 마련되는 제2안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안내부재와 제2안내부재는 상호 간에 자기적인 인력을 형성하도록 적어도 하나가 영구자석으로 마련될 수 있다.

Description

가변형 프로브 유닛{variable probe uni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검사에 이용되는 가변형 프로브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검사하고자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규격에 따라 프로브 블록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가변형 프로브 유닛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 분야에서는 평판표시장치가 개발되어 기존의 브라운관(Cathode Ray Tube; CRT)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평판표시장치의 구체적인 예로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이하 LCD패널이라 함),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이하 PDP 패널이라 함), 유기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 이하 OLED 패널이라 함)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은 백라이트가 모듈화되기 전, 구동회로가 장착된 상태에서 전기신호를 인가 받아 테스트화상을 구현함으로써, 화면의 불량여부가 검사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기적인 신호(영상신호, 동기신호, 색상신호 등)를 인가하기 위한 다수의 전극패드들을 구비하고,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비는 전극패드들과 접촉하도록 다수의 프로브 블록들을 구비하는 프로브 유닛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검사시 디스플레이 패널로 전기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은 규격 별로 프로브 블록과 컨텍하는 컨텍 위치가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프로브 유닛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검사하기 위해서는 검사하고자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규격에 따라 프로브 블록의 컨텍 위치가 다르게 정렬된 프로브 유닛 중에서 알맞은 것을 선택해서 이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880215호(2003.12.24 공개)
검사하고자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응하여 프로브 블록들의 컨텍 위치를 편리하게 가변시킬 수 있는 가변형 프로브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프로브 유닛은 디스플레이 패널에 검사용 전기신호를 인가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복수의 전극패드와 접촉하는 복수의 프로브 블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규격에 대응하여 상기 프로브 블록들의 위치와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복수의 프로브 블록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레일을 구비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고정위치로 이동된 상기 프로브 블록을 슬라이딩이 제한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상기 프로브 블록이 상기 고정위치로 이동되었음을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제1안내부재; 상기 프로브 블록과 함께 슬라이딩 하도록 상기 프로브 블록에 마련되는 제2안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안내부재와 제2안내부재는 상호 간에 자기적인 인력을 형성하도록 적어도 하나가 영구자석으로 마련된다.
상기 제1안내부재는 상기 프로브 블록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접촉면에 매립되고, 상기 제2안내부재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는 상기 프로브 블록의 접촉면에 매립되며, 상기 제1안내부재와 제2안내부재는 대응하는 단부면이 상기 고정위치에서 상호 일치된 상태로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프로브 블록에 승강 가능하게 체결되는 고정핀;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고정위치에서 상기 고정핀이 하강하여 결합하는 고정홀이 마련되며, 상기 제1안내부재는 상기 고정홀 안쪽으로 상기 고정핀의 하강을 허용하도록 상기 고정홀의 상부 내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2안내부재는 상기 고정핀의 하단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제1안내부재를 상기 고정핀의 상승 방향으로 탄성지지 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안내부재는 외력이 제거된 상태에서 상면이 상기 고정홀 주변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표면과 일치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프로브 블록에 마련되는 회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 탄성지지 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프로브 블록에 승강 가능하게 체결되는 고정핀;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고정위치에서 상기 고정핀이 하강하여 결합하는 고정홀이 마련되며, 승강 동작하는 상기 고정핀의 외면을 탄력적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프로브 블록에 마련되는 걸림부재; 상기 고정핀이 상기 고정홀에 삽입하도록 하강하는 제1높이와, 상기 고정홀로부터 분리되도록 상승하는 제2높이에서 상기 걸림부재에 걸려 지지되도록 상기 고정핀 외면에 마련되는 한 쌍의 걸림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핀을 상승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 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프로브 유닛에 의하면, 검사하고자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응하여 프로브 블록들의 컨텍 위치를 편리하고 가변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프로브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프로브 유닛의 요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프로브 유닛의 프로브 블록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프로브 유닛의 요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프로브 유닛의 요부를 도시한 정단면도로, 프로브 블록이 고정위치로 이동하여 고정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프로브 유닛이 사이즈 규격이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패널에 접속한 상태를 비교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프로브 유닛에 있어서 안내부재의 일 변형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프로브 유닛의 슬라이딩부재의 사시도로, 회전부재의 일 변형례가 채용된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프로브 유닛의 변형예에 따른 요부를 도시한 정단면도로, 프로브 블록이 고정위치로 이동하여 고정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프로브 유닛(10)은 복수의 프로브 블록(100)과, 프로브 블록(100)들이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200)를 구비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은 백라이트가 모듈화되기 전, 검사장비(미도시)에 의해 화면의 불량여부가 검사될 수 있다.
검사장비는 디스플레이 패널(1)에 테스트 화상을 구현하도록 마련되고, 가변형 프로브 유닛(10)은 디스플레이 패널(1)에 테스트 화상 구현을 위한 검사용 전기신호를 인가하도록 검사장비(미도시)에 채용될 수 있다. 검사용 신호는 영상신호, 동기신호, 색상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전극패드(미도시)가 마련되고, 복수의 프로브 블록(100)들은 각각의 전극패드(미도시)에 개별적으로 접촉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에 검사용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검사용 신호를 인가 받은 디스플레이 패널(1)은 테스트 화상을 구현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의 검사시에는 이러한 테스트 화상의 정상 유무를 판단함으로써, 화면의 불량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프로브 블록(100)은 본체(110)와, 전극패드(미도시)에 접촉하도록 본체(110)에 결합하는 탐침(150)을 구비할 수 있다. 탐침(150)은 본체(110)의 후방 상부에 결합할 수 있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4는 프로브 블록(100)들의 정렬 상태를 점검하기 위해 베이스 플레이(200)의 양 단부에 설치되는 카메라를 가리킨다.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1)의 전극패드(미도시)들은 디스플레이 패널(1)의 사이즈 규격에 따라 위치와 간격이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가변형 프로브 유닛(10)은 다양한 사이즈 규격을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1)들의 검사에 공용적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프로브 블록(100)들의 위치와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200)에는 프로브 블록(100)의 본체(11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레일(410)이 마련되고, 레일(410)을 따라 고정위치로 슬라이딩 하여 이동된 프로브 블록(100)은 고정부재(300)를 통해 슬라이딩이 제한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브 블록(100)들은 디스플레이 패널(1)의 사이즈 규격에 대응하여 그 위치와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복수의 프로브 블록(100)들은 베이스 플레이트(200) 상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의 사이즈 규격에 따라 정해지는 고정위치(a,b)(도 6 참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1)은 55인치 디스플레이 패널(2) 및 65인치 디스플레이 패널(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200)에는 55인치 디스플레이 패널(2)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1고정위치(a)와, 65인치의 디스플레이 패널(3)에 대응하여 제1고정위치(a) 보다 그 사이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또는 평균적으로 넓은 복수의 제2고정위치(b)가 정해질 수 있다.
즉 65인치 디스플레이 패널(3)의 전극패드(미도시)들의 간격은 55인치 디스플레이 패널(2)의 전극패드(미도시)들 사이의 간격보다 상대적 또는 평균적으로 넓게 마련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고정위치(b) 사이의 간격은 제1고정위치(a)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는 것이다.
고정위치(a,b)는 베이스 플레이트(200) 표면에 마킹 등의 방식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가변형 프로브 유닛(10)을 보다 다양한 사이즈 규격을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1)의 검사에 이용할 수 있도록 베이스 플레이트(20)에는 3종류 이상의 복수의 고정위치들이 정해 질 수 있다.
레일(410)에는 슬라이더(42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고, 프로브 블록(100)의 본체(110)는 슬라이더(420)에 결합하는 슬라이딩부재(120)를 구비하여 레일(4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레일(410)과 슬라이더(420)는 엘엠가이드(400)를 구성하고, 슬라이딩부재(120)는 본체(110)의 전방 하부에 조립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레일(410)은 폭 방향으로 중앙 상부 양측에 경사홈(411)을 구비하고, 슬라이더(420)는 양측의 경사홈(411)을 포함하여 레일(410)의 상부 둘레를 감싸도록 레일(4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슬라이더(420)는 도브테일(dovetail) 조인트 방식으로 레일(4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고, 경사홈(411)을 덮는 슬라이더(420)의 저부 양측에는 슬라이더(420)의 슬라이딩 동작의 안정성과 정숙성을 보장하기 위해 경사홈(411)에 삽입되는 베어링(421)이 결합할 수 있다.
엘엠가이드(400)는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폭 방향 일측으로 설치되고,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폭 방향 타측에는 회로기판(미도시)의 설치를 위한 기판지지부(210)가 마련될 수 있다.
프로브 블록(100)은 기판지지부(210)에 설치되는 회로기판(미도시)과 접속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에 검사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회로기판(미도시)과 본체(110) 사이는 접속필름(미도시)을 통해 접속되고, 접속필름(미도시)은 프로브 블록(100)의 슬라이딩을 허용하도록 본체(110)를 회로기판(미도시)에 접속시킬 수 있다. 접속필름(미도시)은 본체(110)의 전방 상부로 결합될 수 있다.
엘엠가이드(400)와 기판지지부(210)는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마련되고, 레일(410)이 설치되는 부위의 베이스 플레이트(200)는 슬라이딩부재(120)의 저면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저면지지부(220)를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200)는 기판지지부(210) 쪽이 높고 저면지지부(220) 쪽이 낮게 폭 방향으로 단차지도록 마련되고, 저면지지부(220)는 레일(410)이 설치되는 후방보다 전방이 높게 되도록 단차지게 마련될 수 있다.
기판지지부(210)와 저면지지부(220) 사이의 경계에는 슬라이딩부재(120)의 전방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전방지지부(230)가 마련될 수 있다. 전방지지부(230)는 저면지지부(220)와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저면지지부(220)의 상면은 슬라이딩부재(120)의 저면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접촉하는 제1슬라이딩면(221)을 형성하고, 전방지지부(230)의 후면은 슬라이딩부재(120)의 전면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접촉하는 제2슬라이딩면(231)을 형성할 수 있다. 제1슬라이딩면(221)과 제2슬라이딩면(231)은 상호 수직으로 교차할 수 있다.
레일(410)은 저면지지부(220)의 후방 쪽으로 마련되고, 슬라이딩부재(120)는 후방 저부를 통해 슬라이더(420)에 결합할 수 있다.
슬라이딩부재(120)는 슬라이더(4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방 쪽 저부가 저면지지부(220)의 전방 쪽 상부에 지지되고, 전면이 전방지지부(230)에 지지된 상태로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고정부재(300)는 슬라이딩부재(120)에 마련되는 고정핀(310)을 포함하고,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저면지지부(220)의 전방 쪽에는 고정위치(a,b)에서 고정핀(310)이 결합하는 고정홀(222)이 마련될 수 있다. 도 5에서 미설명 부호 320은 고정핀(310)의 이탈 방지를 위해 고정핀(310)을 지지하도록 슬라이딩부재(120)에 결합하는 지지부재를 가리킨다.
고정핀(310)은 슬라이딩부재(120)에 승강 가능하게 체결되어 고정위치(a,b)에서 하강하여 고정홀(222)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가변형 프로브 유닛(10)은 프로브 블록(100)이 고정위치(a,b)로 이동되었음을 안내하는 안내부재(500)를 구비할 수 있다.
안내부재(500)는 베이스 플레이트(0200)에 고정되는 제1안내부재(510)와, 프로브 블록(100)과 함께 슬라이딩 하도록 프로브 블록(100)에 마련되는 제2안내부재(520)를 포함하고, 제1안내부재(510)와 제2안내부재(520)는 상호 간에 자기적인 인력을 형성하도록 적어도 하나가 영구자석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안내부재(510)와 제2안내부재(520) 사이의 자기적인 인력의 크기는 제1안내부재(510)와 제2안내부재(520)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 짐에 따라 커지고, 반대로 제1안내부재(510)와 제2안내부재(520) 사이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작아질 수 있다.
따라서 프로브 블록(100)의 고정위치(a,b)를 조절하기 위해 프로브 블록(100)을 베이스 플레이트(200) 상에서 슬라이딩 시키는 과정에서 작업자는 제1안내부재(510)와 제2안내부재(520) 사이의 인력의 변화를 촉각적으로 인지함으로써, 프로브 블록(100)을 편리하면서도 정확하게 고정위치(a,b)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안내부재(510)와 제2안내부재(520)는 하나가 영구자석으로 마련되고 다른 하나가 자성체로 마련되거나, 모두 영구자석으로 마련되는 등 적어도 하나가 영구자석으로 마련되어 상호 간에 자기적인 인력을 형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안내부재(500)는 영구자석이나 자성체를 통해 구성되어 별도의 전력 소모가 없이도 프로브 블록(100)을 고정위치(a,b)로 안내할 수 있게 되므로, 가변형 프로브 유닛(10)에 경제적으로 채용이 가능할 수 있다.
또 안내부재(500)는 영구자석이나 자성체를 슬라이딩부재(120)나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간단히 부착시키는 구조를 통해 구현이 가능하므로, 안내부재(500)의 추가로 인해 가변형 프로브 유닛(10)의 구성이 복잡해질 우려가 없도록 할 수 있다.
제1안내부재(510)는 제1슬라이딩면(222)에 매립되고, 제2안내부재(520)는 제1슬라이딩면(22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는 슬라이딩부재(120)의 저면에 매립되며, 제1안내부재(510)와 제2안내부재(520)는 대응하는 단부면이 고정위치에서 상호 일치된 상태로 직접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안내부재(510)와 제2안내부재(520)는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제1슬라이딩면(221)과 슬라이딩부재(120)의 저면 사이의 슬라이딩 동작에 간섭됨이 없이 고정위치(a,b)에서 상호 간에 인력을 최대로 보장받을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변형례에서 안내부재(500)의 제1안내부재(510′)는 고정홀(222′)에 마련되고, 제2안내부재(520′)는 고정핀(310′)에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안내부재(500)는 별도의 설치공간이 없이 고정부재(300) 및 고정홀(222′)에 일체화 되어 가변형 프로브 유닛(10)의 구조가 보다 간소화되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제1안내부재(510′)는 고정홀(22′2) 안쪽으로 고정핀(310′)의 하강을 허용하도록 고정홀(222′)의 상부 내측에 마련되고, 제2안내부재(520′)는 고정핀(310′)의 하단에 고정핀(310′)과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변형례에서 안내부재(500)는 제1안내부재(510′)를 고정핀(310′)의 상승 방향으로 탄성지지 하는 탄성부재(530)를 더 포함하여 고정홀(222′)을 통해 설치되는 제1안내부재(510′)와 제2안내부재(520′) 사이의 인력이 최대로 보장되도록 할 수 있다. 탄성부재(530)는 스프링을 통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1안내부재(510′)는 외력이 제거된 상태에서 상면이 고정홀(222′) 주변의 제1슬라이딩면(221)과 일치된 상태로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마련됨으로써, 제1슬라이딩면(221)과 슬라이딩부재(120)의 저면 사이의 슬라이딩 동작에 간섭됨이 없이 제1안내부재(510′)와 제2안내부재(520′) 사이의 인력이 고정위치(a,b)에서 최대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외력은 고정부재(300)가 고정홀(222′)에 고정되도록 하강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힘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안내부재(510′)에는 걸림돌기(511)가 마련되고, 고정홀(222′)에는 제1안내부재(510′)의 하강을 허용하면서 제1안내부재(510′)의 최대 상승 높이를 제1안내부재(510′)의 상면 높이가 고정홀(22′2) 주변의 제1슬라이딩면(221)의 높이와 같아지도록 제한하는 걸림홈(521)이 마련될 수 있다.
걸림돌기(511)는 제1안내부재(510′)의 외주 양측에 한 쌍으로 마련되고, 걸림홈(521)은 걸림돌기(511)의 위치에 대응하는 고정홀(222′)의 내벽 양측에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가변형 프로브 유닛(10)은 슬라이딩 접촉하는 베이스 플레이트(200)와 프로브 블록(100) 사이의 마모를 줄이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 플레이트(2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프로브 블록(100)에 마련되는 회전부재(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재(600)는 제2슬라이딩면(231)에 대응하여 슬라이딩부재(120)의 전면에 마련되는 볼(610) 또는 베어링(620) (도 8 참조)을 포함하고, 슬라이딩부재(120)의 전면 양측에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참고로 도 8은 베어링(620)의 구조가 잘 보일 수 있게 슬라이딩부재(120)를 뒤집힌 상태로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610)은 탄성부재(630)를 통해 제2슬라이딩면(231)으로 탄성 지지될 수 있고, 볼(610)과 탄성부재(630)는 이들을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싱(640)과 함께 볼플런저(650)를 형성할 수 있다. 탄성부재(630)는 스프링을 통해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회전부재(600)와 탄성부재(630)는 프로브 블록(100)과 베이스 플레이트(200) 사이의 마모방지 효과를 증대시킴은 물론, 레일(410)에 대한 프로브 블록(100)의 공차를 보상하고, 베이스 플레이트(200) 후방으로 연장되는 프로브 블록(100)들의 단부의 위치를 일치시켜 복수의 프로브 블록(100)의 탐침(150)들이 상호 길이방향으로 일치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에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630)와 고정홀(222)에 마련되는 전술한 탄성부재(530) 사이의 구별을 위해 상기 탄성부재(530,630)들은 안내부재용 탄성부재(530)와 회전부재용 탄성부재(630)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변형예에서 가변형 프로브 유닛(10)은 승강 동작하는 고정핀(310′)의 외면을 탄력적으로 가압하도록 프로브 블록(100)에 마련되는 걸림부재(700)와, 걸림부재(700)에 걸려 지지되도록 고정핀(310) 외면에 마련되는 한 쌍의 걸림홈(311,312)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걸림부재(700)는 볼플런저(710)를 포함할 수 있다. 볼플런저(710)는 케이싱(711)에 장착되는 볼(712)과, 스프링(713)를 구비할 수 있다. 볼(712)은 케이싱(711) 안쪽에 설치되는 스프링(713)에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케이싱(711) 외부로 가압되도록 케이싱(711)의 입구 쪽에 설치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재(120)에는 고정핀(310′)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홀(121)이 마련되고, 볼플런저(710)는 체결홀(121)의 측방의 슬라이딩부재(120)에 설치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재(120)와 고정핀(310′) 사이의 공차를 줄일 수 있도록 체결홀(121)은 고정핀(310′)의 슬라이딩을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고정핀(310′) 둘레를 밀착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브 블록(100)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핀(310′)은 하단과 그 상부가 고정홀(222′)과 체결홀(121)에 동시에 유동이 방지된 상태로 지지되며, 이에 따라 프로브 블록(100)은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대한 슬라이딩부재(120)의 유동이 억제되면서 위치선정에 따른 정밀도가 향상될 수 있다.
걸림홈(311,312)은 고정핀(310′)이 고정홀(222′)에 삽입하도록 하강하는 제1높이와, 고정홀(222′)로부터 분리되도록 상승하는 제2높이에서 걸림부재(700)에 걸려 지지되도록 고정핀(310′) 외면의 2지점에 고정핀(310)의 둘레를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걸림부재(700)와 걸림홈(311)의 구성에 따르면, 고정핀(310′)은 고정홀(222′)에 삽입된 상태는 물론 분리된 상태에서 프로브 블록(100)으로부터 이탈될 우려가 없게 된다.
고정핀(310′)은 제2높이에서 걸림홈(311)을 통해 걸림부재(700)에 걸려 지지된 상태에서 하단이 저면지지부(220)의 제1슬라이딩면(221) 상부로 이격되게 마련되어 슬라이딩 과정에서 저면지지부(220)와 마찰을 일으키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고정핀(310′)은 이용자의 외력에 의해 체결홀(121)을 따라 슬라이딩 하는 과정에서 걸림홈(311,312)을 통해 걸림부재(700)에 걸려 지지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이용자의 외력이 제거되면, 고정핀(310′)은 걸림부재(700)에 걸려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다시 이용자에 의해 고정핀(310′)이 승강방향으로 힘을 받게 됨에 따라 걸림부재(700)에 의한 고정핀(310′)은 걸림은 해제될 수 있다.
또 일 변형예에서 가변형 프로브 유닛(10)은 고정핀(310′)을 상승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 하는 탄성부재(8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고정핀(310′)은 헤드부가 체결홀(121)에 걸리도록 마련되고, 탄성부재(800)는 고정핀(310′)의 헤드부와 슬라이딩부재(120) 사이를 지지하도록 고정핀(310) 둘레에 끼워지는 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핀(310′)은 제1높이에서 걸림부재(700)와의 걸림이 해제됨과 동시에 즉각적으로 탄성부재(800)의 복원력에 의해 상승하여 제2높이에서 걸림부재(700)에 걸려 지지되고, 이 상태의 프로브 블록(100)은 고정핀(310)에 의한 베이스 플레이트(200′)와의 마찰이 방지된 상태에서 신속하고 안전하게 베이스 플레이트(200)를 따라 슬라이딩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800)는 고정핀용 탄성부재를 형성하여 전술한 탄성부재(530,630)들과 구분될 수 있다.
10: 가변형 프로브 유닛 100: 프로브 블록
110: 본체 120: 슬라이딩부재
200: 베이스 플레이트 210: 기판지지부
220: 저면지지부 221: 제1슬라이딩면
222: 고정홀 230: 전방지지부
231: 제2슬라이딩면 300: 고정부재
310: 고정핀 400: 엘엠가이드
410: 레일 420: 슬라이더
500: 안내부재 510: 제1안내부재
520: 제2안내부재 600: 회전부재
610: 볼 620: 베어링
630: 탄성부재 650: 볼플런저

Claims (9)

  1. 디스플레이 패널에 검사용 전기신호를 인가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복수의 전극패드와 접촉하는 복수의 프로브 블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규격에 대응하여 상기 프로브 블록들의 위치와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복수의 프로브 블록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레일을 구비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고정위치로 이동된 상기 프로브 블록을 슬라이딩이 제한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상기 프로브 블록이 상기 고정위치로 이동되었음을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제1안내부재;
    상기 프로브 블록과 함께 슬라이딩 하도록 상기 프로브 블록에 마련되는 제2안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안내부재와 제2안내부재는 상호 간에 자기적인 인력을 형성하도록 적어도 하나가 영구자석으로 마련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프로브 블록에 마련되는 회전부재;를 더 포함하는 가변형 프로브 유닛.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내부재는 상기 프로브 블록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접촉면에 매립되고,
    상기 제2안내부재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는 상기 프로브 블록의 접촉면에 매립되며,
    상기 제1안내부재와 제2안내부재는 대응하는 단부면이 상기 고정위치에서 상호 일치된 상태로 직접 접촉하는 가변형 프로브 유닛.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프로브 블록에 승강 가능하게 체결되는 고정핀;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고정위치에서 상기 고정핀이 하강하여 결합하는 고정홀이 마련되며,
    상기 제1안내부재는 상기 고정홀 안쪽으로 상기 고정핀의 하강을 허용하도록 상기 고정홀의 상부 내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2안내부재는 상기 고정핀의 하단에 마련되는 가변형 프로브 유닛.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제1안내부재를 상기 고정핀의 상승 방향으로 탄성지지 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가변형 프로브 유닛.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내부재는 외력이 제거된 상태에서 상면이 상기 고정홀 주변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표면과 일치하는 가변형 프로브 유닛.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 탄성지지 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가변형 프로브 유닛.
  8. 디스플레이 패널에 검사용 전기신호를 인가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복수의 전극패드와 접촉하는 복수의 프로브 블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규격에 대응하여 상기 프로브 블록들의 위치와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복수의 프로브 블록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레일을 구비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고정위치로 이동된 상기 프로브 블록을 슬라이딩이 제한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상기 프로브 블록이 상기 고정위치로 이동되었음을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제1안내부재;
    상기 프로브 블록과 함께 슬라이딩 하도록 상기 프로브 블록에 마련되는 제2안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안내부재와 제2안내부재는 상호 간에 자기적인 인력을 형성하도록 적어도 하나가 영구자석으로 마련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프로브 블록에 승강 가능하게 체결되는 고정핀;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고정위치에서 상기 고정핀이 하강하여 결합하는 고정홀이 마련되며,
    승강 동작하는 상기 고정핀의 외면을 탄력적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프로브 블록에 마련되는 걸림부재;
    상기 고정핀이 상기 고정홀에 삽입하도록 하강하는 제1높이와, 상기 고정홀로부터 분리되도록 상승하는 제2높이에서 상기 걸림부재에 걸려 지지되도록 상기 고정핀 외면에 마련되는 한 쌍의 걸림홈;을 더 포함하는 가변형 프로브 유닛.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을 상승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가변형 프로브 유닛.
KR1020200050144A 2020-04-24 2020-04-24 가변형 프로브 유닛 KR102150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144A KR102150628B1 (ko) 2020-04-24 2020-04-24 가변형 프로브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144A KR102150628B1 (ko) 2020-04-24 2020-04-24 가변형 프로브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0628B1 true KR102150628B1 (ko) 2020-09-02

Family

ID=72469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0144A KR102150628B1 (ko) 2020-04-24 2020-04-24 가변형 프로브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0628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9965A (ja) * 1996-02-26 1997-09-05 Nippon Maikuronikusu:Kk プローブユニット及びその調節方法
KR20060088162A (ko) * 2005-02-01 2006-08-04 주식회사 메디코아 인쇄회로기판 검사용 유니버설 픽스쳐
KR100880215B1 (ko) 2002-06-14 2009-01-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오토 프로브 검사장비
KR100923658B1 (ko) * 2006-11-09 2009-10-28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마이크로닉스 프로브 위치 맞춤 방법 및 가동식 프로브 유닛 기구 및검사장치
KR20100096546A (ko) * 2009-02-24 2010-09-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패널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US20120268151A1 (en) * 2011-04-23 2012-10-25 Li-Cheng Richard Zai Stackable probe system
JP2016511410A (ja) * 2013-03-13 2016-04-14 エクセラ・コーポレーションXcerra Corp. プリント回路基板のテスト装置のクロスメンバユニット及びそのクロスメンバユニットを有するテスト装置
KR20160093043A (ko) * 2013-12-03 2016-08-05 해피재팬, 인크. 전자 디바이스의 핸들러
KR20170064760A (ko) * 2015-12-02 2017-06-12 세메스 주식회사 프로브 검사 장치
KR101795615B1 (ko) * 2017-08-14 2017-11-09 주식회사 프로이천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이징 테스트를 위한 프로브 블록
KR101920224B1 (ko) * 2012-07-27 2018-11-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패널 검사장비 및 검사방법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9965A (ja) * 1996-02-26 1997-09-05 Nippon Maikuronikusu:Kk プローブユニット及びその調節方法
KR100880215B1 (ko) 2002-06-14 2009-01-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오토 프로브 검사장비
KR20060088162A (ko) * 2005-02-01 2006-08-04 주식회사 메디코아 인쇄회로기판 검사용 유니버설 픽스쳐
KR100923658B1 (ko) * 2006-11-09 2009-10-28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마이크로닉스 프로브 위치 맞춤 방법 및 가동식 프로브 유닛 기구 및검사장치
KR20100096546A (ko) * 2009-02-24 2010-09-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패널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US20120268151A1 (en) * 2011-04-23 2012-10-25 Li-Cheng Richard Zai Stackable probe system
KR101920224B1 (ko) * 2012-07-27 2018-11-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패널 검사장비 및 검사방법
JP2016511410A (ja) * 2013-03-13 2016-04-14 エクセラ・コーポレーションXcerra Corp. プリント回路基板のテスト装置のクロスメンバユニット及びそのクロスメンバユニットを有するテスト装置
KR20160093043A (ko) * 2013-12-03 2016-08-05 해피재팬, 인크. 전자 디바이스의 핸들러
KR20170064760A (ko) * 2015-12-02 2017-06-12 세메스 주식회사 프로브 검사 장치
KR101795615B1 (ko) * 2017-08-14 2017-11-09 주식회사 프로이천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이징 테스트를 위한 프로브 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5615B1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이징 테스트를 위한 프로브 블록
KR102033886B1 (ko) 디스플레이 패널 테스트 지그용 컨택소켓
CN105938160B (zh) 阻抗测试装置
KR100538796B1 (ko) 액정표시장치의 기판 모듈 검사장치
KR20020019407A (ko) 시험중의 디바이스를 유지하기 위한 척
KR101281693B1 (ko) 엘이디 바 검사 장치
CN206601411U (zh) 一种用于显示器件的测试治具
KR200471343Y1 (ko) 수직형 매니퓰레이터
KR102150628B1 (ko) 가변형 프로브 유닛
KR100768914B1 (ko) 프로브 검사장치
KR101014780B1 (ko) 프로브 유닛
WO2020184807A1 (ko) 웨이퍼 검사 장치
CN217506048U (zh) Pcb探针卡检测平台
KR100756438B1 (ko) 엘씨디 셀 검사용 프로빙장치
KR102295340B1 (ko) 자석 완충식 프로브핀 어레이유닛
TWI632373B (zh) 治具平台
KR101966316B1 (ko) 완충 기능을 갖는 번인 소켓
KR101383032B1 (ko) 프로브 검사장치의 프로브 카드 탈부착 구조
JP2006098296A (ja) 表示パネルの点灯検査装置
KR100867876B1 (ko) 기판 합착기
KR101105654B1 (ko) 엘이디 시험 소켓
KR101058716B1 (ko) 카메라 모듈의 화상 평가장치
KR101549640B1 (ko) 디스플레이패널의 검사장치용 프로브블럭
CN112224877A (zh) Led软基板真空吸附机构
KR20170093351A (ko) 검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