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8100A - 도광판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도광판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8100A
KR20070098100A KR1020060029331A KR20060029331A KR20070098100A KR 20070098100 A KR20070098100 A KR 20070098100A KR 1020060029331 A KR1020060029331 A KR 1020060029331A KR 20060029331 A KR20060029331 A KR 20060029331A KR 20070098100 A KR20070098100 A KR 200700981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late
light guide
vertical
horizontal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9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2116B1 (ko
Inventor
김재진
정기동
Original Assignee
(주)21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21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21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060029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2116B1/ko
Publication of KR20070098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8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2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2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5Manufacturing aspects; Material aspec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4Light-guides, e.g. fibre-optic bundles, louvered or jalousie light-gui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도광판에 그루브 패턴을 형성하는 도광판 가공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도광판 가공장치는, 도광판이 안착되는 안착부; 서로 다른 극성이 교번되도록 배열되어 상기 안착부에 고정 결합되는 마그네트와,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상기 마그네트의 자기장과 인력 또는 척력이 발생되도록 자기장을 형성하는 코일이 감겨진 코어를 구비하는 이송부; 상기 코어가 상기 마그네트의 배열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코어에 전류를 교번으로 인가하는 전원부; 및 상기 코어의 이송에 따라 이송되도록 결합되어, 직선으로 이송되면서 상기 도광판에 패턴을 형성하는 가공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도광판 가공장치는, 일정한 속도로 가공팁을 이송하면서 그루브를 가공하여 그루브의 내측벽을 매끄럽게 형성함으로써 도광판의 휘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절삭방향면이 평면을 이루는 가공팁을 이용하여 그루브의 내측벽을 평탄하게 형성함으로써 도광판의 빛 굴절각을 일정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도광판의 가공면 평탄도가 낮은 경우에도 동일한 깊이의 그루브를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광판, 패턴, 절삭, 마그네트, 코어, 리니어 모터, 가공팁, 정반

Description

도광판 가공장치{Apparatus for machining light-guide plate}
도 1은 종래의 그루브 패턴 형성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그루브 패턴 형성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그루브 패턴 형성장치에 적용되는 가공팁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종래의 그루브 패턴 형성장치에 의해 가공된 도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도광판 가공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도광판 가공장치에 포함되는 세로 이송부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도광판 가공장치의 이송거리 감지구조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도광판 가공장치에 포함되는 가로 이송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도광판 가공장치에 포함되는 수직 이송부의 내부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도광판 가공장치에 포함되는 가공부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도광판 가공장치에 포함되는 가공부의 사용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안착부 110 : 정반
112 : 관통홀 114 : 핀홀
200 : 세로 이송부 210 : 세로 마그네트
220 : 세로 코어 230 : 세로 가이드레일
240 : 세로 이송블록 250 : 세로 스케일
260 : 세로 감지센서 300 : 가로 이송부
310 : 가로 마그네트 320 : 가로 코어
330 : 가로 가이드레일 340 : 가로 이송블록
350 : 가로 스케일 360 : 가로 감지센서
400 : 수직 이송부 410 : 수직 마그네트
420 : 수직 코어 430 : 수직 가이드레일
440 : 수직 이송블록 450 : 수직 스케일
460 : 수직 감지센서 500 : 가공부
510 : 가공팁
본 발명은 액정표시소자(liquid crystal display, 이하 "LCD"라 함)용 도광 판에 그루브 패턴을 형성하는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가공팁 이송수단의 마찰력을 감소시킴으로써 가공팁의 직진성과 패턴의 조도 향상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도광판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트북, 테스크탑 컴퓨터, 액정 티브이(TV)와 같은 표시장치에 이용되고 있는 LCD는 다른 화상표시기구인 씨알티(CRT)에 비해 경박단소형화 및 저소비전력을 실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므로 그 수요가 증가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 LCD는 CRT 등과 달리 스스로 빛을 내는 소자가 아니라 수광소자이므로 액정화면 외에 백라이트 유닛을 필요로 한다.
LCD의 광유닛은 형광램프(CCFL 또는 HCFL)의 설치 위치에 따라 직하식 백라이트 및 에지-라이트식 백라이트로 구분된다. 직하식 백라이트 유닛은 형광램프로부터 발생된 광을 확산판을 이용하여 균일화시킨 후, 이 광을 액정패널에 입사시키는 구조이고, 에지-라이트식 백라이트 유닛은 형광램프의 빛을 도광판을 통해 액정패널에 입사시키는 구조를 가진다.
모듈이 다기능, 고품질화되고 박형화, 경량화되는 추세에 부응하여 LCD에 설치되는 백라이트 유닛 또한 직하방식에서 에지-라이트 방식으로 발전하고 있다. 에지-라이트 방식을 채용하는 백라이트 유닛은 도광판 상에 균일한 휘도를 형성시키기 위해 발광된 빛을 산란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바, 도광판의 일면에 소정 형태의 패턴을 형성시키는 경우가 많다.
도광판에 형성되는 패턴은 TFT-LCD 모니터 등에 적용되는 그루브 패턴 타입 과, 노트북 PC 등에 적용되는 프린트 패턴 타입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도광판에 그루브를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금형에 의한 압출로 제작하는 방법, 레이저가공으로 제작하는 방법, 인쇄에 의한 방법 등이 있으나, 비교적 제조비용이 낮고 고휘도를 구현할 수 있는 가공 팁을 이용하여 도광판 표면에 "V"홈 형상의 그루브를 형성시키는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그루브 패턴 형성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그루브 패턴 형성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그루브 패턴 형성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그루브 패턴 형성장치는, 프레임(10)과, 도광판(L)을 소정 흡입력에 의해 프레임(10) 상단의 평판 플레이트(25)에 지지하기 위한 키핑유닛(20)과, X, Y 양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프레임(10)에 설치된 슬라이드 유닛(40)과, 슬라이드 유닛(40)이 작업 영역에서 ±X 방향 및 ±Y 방향으로 이동할 때 도광판(L)의 표면에 홈을 형성시킬 수 있는 가공팁(51)이 구비되며 그 가공팁(51)에 인가되는 압력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 유닛(40)에 설치되는 가공팁 어셈블리(5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작업영역이라 함은 가공팁(51)이 도광판(L)에 접촉되어 스크래치 방식에 의해 그루브 패턴을 형성시킬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하며, 상기 비작업 영역이라 함은 도광판(L)에 스크래치 작업을 하지 않는 모든 영역을 의미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은 앞서 설명한 키핑유닛(20), 슬라이드 유닛(40) 및 가공팁 어셈블리(50)가 각각 설치되며, 본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자 제어 유닛, 진공 조성 유닛, 에어 유닛 등이 설비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유닛들은 모두 프레임(10)에 설비되는 바, 각종 브라켓, 블록, 바아, 플레이트, 하우징, 커버, 칼라 등과 같은 요소들은 각각의 구성유닛들을 프레임(10)에 설비하기 위한 부속 요소들이므로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프레임(10)으로 통칭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상기 키핑유닛(20)은 가공될 도광판(L)의 사이즈에 맞도록 복수행 및 복수열 예컨데, 2열 및 2행으로 배치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해 키핑유닛(20)은 도광판(L)의 표면이 접촉되도록 다수의 흡입공(21)이 마련되며 밀폐된 공간(23)이 형성되도록 프레임(10)에 마련된 평판 테이블(25)과, 밀폐된 공간(23)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도광판(L)을 평판 테이블(25)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프레임(10)에 설치된 흡입부재(27)와, 도광판(L)을 평판 테이블(25)의 소정 셋팅 위치에 정위치시킬 수 있도록 평판 테이블(25)의 상면에 설치된 위치정렬부재(31)를 구비한다.
상기 평판 테이블(25)은 프레임(10)의 상단에 마련되며, 베이스 플레이트(29)와 접촉 플레이트(22)를 구비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부재(27)는 밀폐된 공간(23) 내부에 진공을 형성시킬 수 있는 것으로, 예컨대 진공펌프를 구비한다. 즉, 흡입부재(27)는 호스(28)에 의해 배출공(26)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흡입부재(27)는 컨트롤 유 닛(60)에 의해 제어되며, 본 장치의 작업 용량에 따라 그 규격이 결정된다.
상기 위치정렬부재(31)는 가공팁(51)의 초기 위치에 대응되는 도광판(L)의 일측 모서리 부분의 각 측변이 밀착 가능하게 설치된 하나 이상의 고정편(33)과, 도광판(L)을 고정편(33)에 밀착시키기 위한 이동편(35)을 구비한다.
상기 고정편(33)은 각각의 도광판(L)을 가공팁(51)의 초기 위치에 대응되는 지점에 용이하게 셋팅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도광판(L)의 일측 모서리 부분의 각 측변이 밀착되게 된다. 상기 고정편(33)은 대략 사각 판상의 플레이트 구조를 가지고, 평판 테이블(25)의 상면에 나사식으로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편(35)은 고정편(33)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일정 길이 만큼 형성된 가이드홈(37)을 따라 왕복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도광판(L)의 타측 모서리 부분의 각 측변에 접촉되면서 고정나사(39)에 의해 선택적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도광판(L)의 일측 모서리의 각 측변을 고정편(33)에 밀착시키고, 이동편(35)을 도광판(L)의 타측 모서리의 각 측변에 접촉시키면서 고정나사(39)로 고정시키게 되면, 그 도광판(L)은 가공팁(51)의 초기 위치에 대응되는 지점에 정확하게 셋팅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 유닛(40)은 가공팁 어셈블리(50)를 X, Y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X슬라이드(41)와 Y슬라이드(42)를 구비한다.
상기 X슬라이드(41)는 프레임(10)에 설치된 X가이드 레일(43)과, X서보 모터(44)에 의해 소정 회전수로 정역 회전되는 X리드스크류(45)에 결합된다.
상기 Y슬라이드(42)는 X슬라이드(41)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Y가이드 레일(46)과, Y서보 모터(47)에 의해 소정 회전수로 정역 회전되는 Y리드스크류(48)에 결합되도록 X슬라이드(41)에 설치된다. 상기 X슬라이드(41)는 프레임 (10)의 X방향으로 가공팁 어셈블리(50)를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고, Y슬라이드 (42)는 프레임(10)의 Y방향으로 가공팁 어셈블리(50)를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X가이드 레일(43)은 프레임(10)의 양 사이드 즉, 평판 테이블(25)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설치된다.
상기 X리드스크류(45)는 X가이드 레일(43)과 평행하게 설치되며, X슬라이드(41)에 스크류 결합된다. 따라서, X리드스크류(45)가 정역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X슬라이드(41)는 ㅁ X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게 된다.
상기 X서보 모터(44)는 X리드스크류(45)의 일단에 연결되고, 컨트롤 유닛(60)에 의해 그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가 제어된다. 따라서, X슬라이드(41)는 X서보 모터(44)의 회전수 및 회전 방향에 따라 X축 방향에서의 이동 속도 및 이동 방향이 결정되게 된다. 이러한 이동 속도 및 이동 방향은 결국, 가공팁 어셈블리(50)의 작업 속도 및 작업 방향을 결정하는 주요인이 된다.
상기 Y가이드 레일(46)은 X슬라이드(41)의 내부 공간에 그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Y리드스크류(48)는 Y가이드 레일(46)과 평행하게 설치되며, Y슬라이드(42)에 스크류 결합된다. 따라서, Y리드스크류(48)가 정역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 면 Y슬라이드(42)는 ㅁ Y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게 된다.
상기 Y서보 모터(47)는 Y리드스크류(48)의 일단에 연결되고, 컨트롤 유닛(60)에 의해 그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가 제어된다. 따라서, Y슬라이드(42)는 Y서보 모터(47)의 회전수 및 회전 방향에 따라 Y축 방향에서의 이동 속도 및 이동 방향이 결정되게 된다. 이러한 이동 속도 및 이동 방향은 결국, 가공팁 어셈블리(50)의 작업 속도 및 작업 방향을 결정하는 주요인이 된다.
한편, 상기 X서보 모터(44) 및 Y서보 모터(47)는 컨트롤 유닛(60)에 의해 순차적이며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 있고, 대안적으로 동시에 작동될 수도 있다. 상기 X서보 모터(44) 및 Y서보 모터(47)를 순차적으로 작동시키는 작업은 X,Y 서보 모터(44)(47) 중 어느 하나만 구동시키는 것으로서, 도광판(L)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직선 그루브 패턴을 형성시키기 위한 것이고, X서보 모터(44) 및 Y서보 모터(47)를 동시에 작동시키는 것은 도광판(L)의 사선 방향으로 직선 또는 곡선 그루브 패턴을 형성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 때, X서보 모터(44) 및 Y서보 모터(47)의 회전 속도를 동일하게 하면 도광판(L)의 대각선 방향으로 직선 그루브 패턴이 형성되고, X서보 모터(44) 및 Y서보 모터(47)의 회전 속도를 다르게 하면 도광판(L)에 곡선 그루브 패턴이 형성된다.
도 3은 종래의 그루브 패턴 형성장치에 적용되는 가공팁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종래의 그루브 패턴 형성장치에 의해 가공된 도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그루브 패턴 형성장치에 적용되는 가공 팁(51)은 일반적으로 원추 형상으로 형성되어, 뾰족한 꼭지점 부위로 도광판(L)에 V홈 형상의 그루브를 가공하게 된다.
이때, 종래의 그루브 패턴 형성장치에 의해 가공된 그루브는 단면이 완벽한 V 형상을 이루지 못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벽 가운데 부위가 볼록하게 형성되어 빛의 굴절각이 일정하지 아니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그루브 패턴 형성장치는 리드스크류와 서보모터를 사용하여 가공팁(51)을 이송하므로, 리드스크류 및 서보모터의 마찰력 등에 의해 이송속도가 완벽하게 일정한 상태를 유지되지 못하게 되고, 이에 따라 그루브의 내측벽이 거칠게 형성되어 휘도가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일정한 속도로 가공팁을 이송시킴으로써 그루브의 내측벽을 매끄럽게 형성할 수 있고, 그루브의 내측벽을 평탄하게 형성하여 도광판의 빛 굴절각를 일정하게 제공할 수 있고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도광판 가공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도광판 가공장치는,
도광판이 안착되는 안착부;
서로 다른 극성이 교번되도록 배열되어 상기 안착부에 고정 결합되는 마그네 트와,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상기 마그네트의 자기장과 인력 또는 척력이 발생되도록 자기장을 형성하는 코일이 감겨진 코어를 구비하는 이송부;
상기 코어가 상기 마그네트의 배열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코어에 전류를 교번으로 인가하는 전원부; 및
상기 코어의 이송에 따라 이송되도록 결합되어, 직선으로 이송되면서 상기 도광판에 패턴을 형성하는 가공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송부는,
상기 코어의 이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코어가 결합되며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상기 가이드레일에 장착되는 이송블록을 더 포함한다.
상기 이송부는,
상기 코어의 이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코어의 이송방향으로 다수의 격자가 형성되는 스케일과,
상기 코어와 결합되어 이송 시 상기 격자를 감지하여 이송 속도 및 이송 거리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이송부는,
수평 세로방향으로 이송력을 발생시키는 세로 이송부와,
상기 세로 이송부에 의해 세로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세로 이송부에 결합되며 수평 가로방향으로 이송력을 발생시키는 가로 이송부와,
상기 가로 이송부에 의해 가로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가로 이송부에 결합되며 수직방향으로 이송력을 발생시키는 수직 이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세로 이송부는,
상기 안착부에 고정 결합되는 세로 마그네트와, 상기 세로 마그네트의 배열방향으로 이송되는 세로 코어와, 상기 세로 코어의 이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세로 가이드레일과, 상기 세로 코어가 결합되며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상기 세로 가이드레일에 장착되는 세로 이송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로 이송부는,
상기 세로 이송블록에 결합되는 가로 마그네트와, 상기 가로 마그네트의 배열 방향으로 이송되는 가로 코어와, 상기 가로 코어의 이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가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로 코어가 결합되며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상기 가로 가이드레일에 장착되는 가로 이송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직 이송부는,
상기 가로 이송블록에 결합되는 수직 마그네트와, 상기 수직 마그네트의 배열 방향으로 이송되는 수직 코어와, 상기 수직 코어의 이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수직 가이드레일과, 상기 수직 코어와 상기 가공부가 결합되며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상기 수직 가이드레일에 장착되는 수직 이송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공부는 상기 도광판의 일면을 절삭하여 패턴을 형성하는 가공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공팁은 절삭방향 앞면이 평면을 이루고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도광판에 V형 단면을 갖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도광판을 절삭하는 부위가 V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공팁은, 상기 도광판을 절삭하는 끝단이 절삭방향 후면으로 갈수록 상향경사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공부는,
상기 가공팁이 상기 도광판에 접촉되도록 1차 이송된 후, 상기 가공팁과 상기 도광판 사이에 접촉압이 발생하도록 2차 이송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공부는,
상기 가공팁과 상기 도광판 사이의 접촉압을 측정하는 압력감지센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안착부는,
상면에 도광판이 수평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정반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정반은 상기 도광판이 안착되는 면에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관통홀을 통해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상기 도광판을 상기 정반에 고정시키는 공기흡입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정반은,
도광판이 안착되는 면에 다수의 핀홀이 형성되고, 상기 핀홀에 결합되어 도광판의 가장자리 끝단과 접촉됨으로써 도광판의 안착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도광판 가공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도광판 가공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도광판 가공장치는, 도광판(L)이 안착되는 안착부(100)와, 자기장에 의한 인력과 척력을 이용하여 이송력을 발생시키는 이송부(200, 300, 400)와, 상기 이송부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부와, 상기 이송부의 이송력에 의해 이송되면서 도광판(L)에 패턴을 형성하는 가공부(50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착부(100)는 도광판(L)이 안착될 뿐만 아니라 이송부와 가공부(500)가 결합되는 베이스 프레임의 역할을 하는 부재로서, 도광판(L)이 안착되는 지점에는 도광판(L)이 정확하게 수평상태로 안착될 수 있도록 정반(110)이 마련된다. 상기 정반(110)은 도광판(L)이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아니하고 수평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가공부(500)에 의해 형성되는 패턴의 깊이가 동일하게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정반(110)에 안착된 도광판(L)을 가공하기 위해서는 상기 도광판(L)을 고정시켜야 하는데, 클램프나 고정클립 등으로 도광판(L)을 고정시키는 것은 도광판(L)의 표면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본 발명에 의한 도광판 가공장치는 공기 흡입력을 이용하여 도광판(L)을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공기 흡입력으로 도광판(L)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정반(110)에는 다수의 관통홀(112)이 형성되며, 본 발명에 의한 도광판 가공장치는 도광판(L)이 안착되는 반대측 면 즉, 정반(110)의 저면으로부터 관통홀(112)을 통해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도광판(L)을 정반(110)에 고정시키는 공기흡입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광판(L)을 정반(110) 위에 위치시킨 후 공기흡입수단을 가동하여 도광판(L)의 저면에 위치하는 공기를 빨아들임으로써 도광판(L)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도광판 가공장치는 다수의 도광판(L)에 패턴을 형성하는 장치인 바, 패턴이 형성될 도광판(L)을 교체하는 과정을 수차례 반복해야 하는데, 이때 각 도광판(L)에 동일한 방향과 동일한 위치에 패턴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도광판(L)의 안착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정반(110)은, 도광판(L)이 안착되는 면에 다수의 핀홀(114)이 형성되고, 상기 핀홀(114)에 결합되어 도광판(L)의 가장자리 끝단과 접촉됨으로써 도광판(L)의 안착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핀(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용자는, 작업 위치 및 패턴의 방향 등에 따라 상기 핀홀(114)에 가이드핀을 체결한 후 상기 가이드핀에 도광판(L)의 가장자리 끝단을 밀착시킴으로써, 도광판(L) 교체 공정을 수차례 반복하더라도 보다 간편하게 모든 도광판(L)을 일정한 지점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이송부는, 상기 도광판(L)과 수평한 세로방향 즉, Y축 방향으로 이송력을 발생시키는 세로 이송부(200)와, 상기 세로 이송부(200)에 의해 세로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세로 이송부(200)에 결합되며 상기 도광판(L)과 수평한 가로방향 즉, X축 방향으로 이송력을 발생시키는 가로 이송부(300)와, 상기 가로 이송부(300)에 의해 가로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가로 이송부(300)에 결합되며 수직방향 즉, Z축 방향으로 이송력을 발생시키는 수직 이송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세로 이송부(200)는 가공부(500)를 패턴의 간격만큼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고, 상기 가로 이송부(300)는 가공부(500)를 패턴의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수직 이송부(400)는 가공부(500)를 도광판(L)에 밀착 또는 이격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사용자는 상기 세로 이송부(200)와 가로 이송부(300)를 조작하여 가공부(500)를 도광판(L)의 상측에 위치시키고 상기 수직 이송부(400)를 조작하여 가공부(500)를 도광판(L)에 밀착시킨 후, 상기 가로 이송부(300)를 이송시킴으로써 도광판(L)의 상면에 가로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패턴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하나의 패턴 형성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상기 수직 이송부(400)를 조작하여 가공부(500)를 도광판(L)과 이격되도록 상승시키고 상기 세로 이송부(200)를 조작하여 가공부(500)를 패턴의 간격만큼 세로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패턴 형성을 위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또 다른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각 이송부의 조작은 사용자에 의해 직접 이루어질 수도 있고, 사전에 짜여진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반복될 수 있다.
상기 각 이송부와 가공부(500)의 구성 및 동작은 이하 별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도광판 가공장치에 포함되는 세로 이송부(200)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도광판 가공장치의 이송거리 감지구조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상기 세로 이송부(2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극성이 교번되도록 배열되어 상기 안착부(100)에 고정 결합되는 세로 마그네트(210)와,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상기 세로 마그네트(210)의 자기장과 인력 또는 척력이 발생되도록 자기장을 형성하는 코일(미도시)이 감겨진 세로 코어(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원부로부터 상기 세로 코일로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이 변환됨에 따라 상기 세로 코어(220)의 극성은 일초에 수십 내지 수백 회 바뀌게 되고, 세 로 코어(220)의 극성이 바뀜에 따라 상기 세로 코어(220)와 세로 마그네트(210) 사이에는 인력과 척력이 매우 빠르게 교번되어 상기 세로 코어(220)가 세로 마그네트(210)의 배열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세로 마그네트(210)와 세로 코어(220) 사이의 자기장을 변환시킴으로써 직선 이송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은 각종 리니어 모터(Linear Motor)의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세로 이송부(200)는 이미 상용화되어 있는 리니어 모터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로 이송부(200)는 세로 코어(220)의 이송 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상기 세로 마그네트(210)의 배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세로 가이드레일(230)과,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상기 세로 가이드레일(230)에 장착되는 세로 이송블록(2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세로 코어(220)는 상기 세로 이송블록(240)에 결합되어, 상기 세로 가이드레일(230)을 따라 일정한 경로로 이송된다.
종래의 그루브 패턴 형성장치의 경우 가공팁(510)(51)을 이송하기 위하여 리드스크류와 서보모터를 사용하므로 리드스크류 및 서보모터의 마찰력 등에 의한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한 도광판 가공장치는 이송력이 발생하는 세로 마그네트(210)와 세로 코어(220)가 상호 접촉되지 아니하고 미세하게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마찰에 의한 문제점이 현저히 감소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도광판 가공장치는, 가공부(500)를 일정한 속도로 이송함으로써 그루브의 내측벽을 매우 매끄럽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도광판(L)의 휘도를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도광판 가공장치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로 코어(220)의 이송방향으로 즉, 상기 세로 가이드레일(23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세로 코어(220)의 이송방향으로 다수의 격자가 형성되는 세로 스케일(250)과, 상기 세로 코어(220)와 연결되도록 세로 이송블록(240)에 결합되어 이송 시 상기 격자를 감지함으로써 이송 거리를 감지하는 세로 감지센서(2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세로 스케일(250)에 형성되는 격자는 육안으로는 식별할 수 없을 정도로 매우 촘촘히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세로 감지센서(260)는 가공부(500)의 세로 방향 이동거리를 매우 정밀하게 판단하고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도광판 가공장치에 포함되는 가로 이송부(300)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로 이송부(300)는, 가로방향 즉, X축 방향으로 다수의 전극이 교번으로 배열되며 상기 세로 이송블록(240)과 결합되는 가로 마그네트(310)와, 상기 가로 마그네트(310)의 배열 방향으로 이송되는 가로 코어(320)와, 상기 가로 코어(320)의 이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가로 가이드레일(330)과, 상기 가로 코어(320)가 결합되며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상기 가로 가이드레일(330)에 장착되는 가로 이송블록(3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로 코어(320)는 가로 마그네트(310)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가로방향으로 이송되며, 가로 코어(320)와 결합된 가로 이송블록(340) 역시 가로 가이드레 일(330)을 따라 가로방향으로 이송된다. 또한 상기 가로 가이드레일(330)의 일측에는 가로 스케일(350)이 마련되고, 가로 이송블록(340)에는 가로 스케일(350)을 감지함으로써 가로 방향의 이송 거리를 검출하는 가로 감지센서(36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가로 이송부(300)의 이송원리 및 거리 검출원리는, 세로 이송부(200)의 이송원리 및 거리 검출원리와 비교하였을 때 방향에 있어 차이가 있을 뿐 구성 및 동작에 있어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상기 가로 마그네트(310)와 가로 가이드레일(330)이 세로 이송블록(240)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가로 마그네트(310)와 가로 이송블록(340)은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가로 이송부(300)는 상기 세로 코어(220)의 이송에 의해 세로 방향으로 이송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세로 이송부(200)와 가로 이송부(300)를 조작함으로써 가공부(500)를 안착부(100)의 상면 어디로도 자유롭게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로 이송부(200)가 안착부(100)에 결합되고 가로 이송부(300)가 세로 이송부(200)에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상기 세로 이송부(200)와 가로 이송부(300)의 결합위치는 상호 바뀌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로 이송부(200)와 가로 이송부(300)는 상호 직각방향으로 직선 이송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있으나, 상기 세로 이송부(200)와 가로 이송부(300)의 이송방향은 직각 이외의 각도로 교차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곡선 이송이 가능하도록 세로 마그네트(210) 및 가로 마그네트(310)의 극성이 곡선으로 배열되고 세로 가이드레 일(230) 및 가로 가이드레일(330)이 곡선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세로 이송부(200)와 가로 이송부(300)의 이송방향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도광판 가공장치에 포함되는 수직 이송부의 내부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수직 이송부(4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전극이 교번되도록 배열되어 상기 가로 이송블록(340)에 결합되는 수직 마그네트(410)와, 상기 수직 마그네트(410)의 배열 방향으로 즉, 수직방향으로 이송되는 수직 코어(420)와, 상기 수직 코어(420)가 결합되는 수직 이송블록(4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직 이송블록(440)에는 가공부(500)가 결합되어, 상기 수직 이송블록(440)이 수직 방향으로 이송됨에 따라 상기 가공부(500) 역시 수직방향으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수직 이송부(400)는 상기 가공부(500)가 수직방향으로 일정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가공부(500)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수직 가이드레일(430)이 마련된다. 상기 수직 이송블록(440)은 가공부(500)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가공부(500)가 수직 가이드레일(430)에 의해 이송 방향이 가이드됨에 따라 수직 이송블록(440) 역시 수직 가이드레일(430)에 의해 이송방향이 가이드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 가이드레일(430)은 상기 가공부(500)와 수직 이송블록(440)의 이송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가공부(500)에 결합되고 있으나, 세로 가이드레일(230)이나 가로 가이드레일(330)과 같이 수직 이송블록(440)과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이송블록(440)의 일측에는 수직방향으로 격자가 형성된 수직 스케일(450)이 결합되고, 상기 수직 스케일(450)의 격자를 감지하기 위한 수직 감지센서(460)가 상기 가로 이송블록(340)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수직 감지센서(460)는 수직 스케일(450)의 격자를 감지함으로써 수직 이송블록(440)의 이송 거리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 스케일(450)은 수직 이송블록(440)에 결합되고 수직 감지센서(460)는 가로 이송블록(340)에 결합되고 있으나, 상기 수직 스케일(450)이 가로 이송블록(340)에 결합되고 수직 감지센서(460)가 수직 이송블록(440)에 결합되도록 결합 위치가 상호 바뀔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도광판 가공장치에 포함되는 가공부(500)의 정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도광판 가공장치에 포함되는 가공부(500)의 사용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도광판 가공장치에 포함되는 가공부(500)는, 도광판(L)을 절삭할 수 있도록 경도가 큰 재질을 갖는 가공팁(5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공팁(510)은, 도광판(L)과 접촉되는 끝단의 절삭방향 형상이 가공하고자 하는 그루브의 내벽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즉, 도광판(L)에 V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그루브를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 도광판(L)과 접촉되는 가공팁(510)의 끝단 절삭방향 형상은 V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공팁(510)은 도광판(L)에 V 형 그루브를 형성할 수 있도록 도광판(L)과 접촉되는 끝단이 V 형상으로 형성되고 있으나, 상기 가공팁(51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도광판(L)에 형성하고자 하는 그루브의 형상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공팁(510)은 장시간 사용으로 인하여 날이 무디어지거나 손상되었을 때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도록 착탈 가능한 구조로 가공부(500)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종래의 가공팁(51)과 같이 도광판(L)을 절삭하는 부위가 원추형으로 형성되면 즉, 도광판(L)을 절삭하는 면이 경사를 갖는 곡면으로 형성되면, 가공팁(51)이 도광판(L)을 절삭할 때 가공팁(51)의 좌우 측단은 도광판(L)을 깨끗하게 절삭하지 못하고 도광판(L) 입자를 압착하여 뭉개는 현상이 발생되므로, 그루브의 내벽이 거칠게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가공팁(510)은 그루브의 내벽을 형성하는 좌우 측단이 도광판(L)을 압착하지 아니하고 깨끗하게 절삭함으로써 그루브의 내벽을 매끄럽게 형성할 수 있도록, 절삭방향 앞면이 평면을 이루며 절삭방향의 좌우 측단에 모서리가 형성되되도록 제작된다. 이와 같이 그루브의 내벽이 매끄럽게 형성되면, 그루브를 지나는 빛의 광량 손실이 저하되므로, 도광판(L)의 휘도가 증가된다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가공팁(510)은 고휘도의 도광판을 가공하는데 적합한 것이다.
또한, 가공팁(510)이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면 도광판(L)과의 접촉 압력이 전면에 고르게 발생되므로, 직진성이 향상되고 그루브의 깊이를 일정하게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가공팁(51)은 하측 끝단부에서는 큰 절삭력이 발생되고 곡선 구배가 형성된 외주면에는 절삭력이 크게 발생되지 아니하므로 그루브의 내벽이 가운데 부위가 볼록하게 형성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지만,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가공팁(510)은 도광판(L)을 절삭하는 모든 면에 절삭력이 고르게 발생되므로 그루브의 내벽이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그루브의 내벽이 평면으로 가공되면 그루브를 지나는 빛의 굴절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도광판(L) 상면으로 발광되는 빛이 고르게 분포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가공팁(510)의 끝단이 수평하게 형성되는 경우 절삭공정을 통해 발생되는 칩이 가공팁(510)과 도광판(L) 사이에 끼어 그루브의 형상을 변형시킬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절삭력이 가공팁(510)의 끝단 전체에 분산되므로 절삭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가공팁(510)은 상기 도광판(L)을 절삭하는 끝단이 절삭방향 후면으로 갈수록 상향경사를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가공팁(510)을 이용하여 깊이를 갖는 그루브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그루브의 깊이만큼 가공팁(510)의 끝단을 도광판(L) 내부로 인입시켜야 하는데, 상기 가공부(500)가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하강되도록 설정되면 도광판(L)의 상면이 완전한 평면이 아닌 경우 즉, 도광판(L)의 상면이 부위별로 높이 차가 있는 경우 그루브의 깊이가 일정하게 형성되지 아니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가공부(500)는,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하강되도록 구성되지 아니하고, 상기 가공팁(510)의 끝단이 상기 도광판(L)에 접촉되도록 1차로 이송된 후 상기 가공팁(510)의 끝단이 도광판(L) 내부로 인입되도록 2차로 이송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공부(500)가 1차로 이송되는 과정은 거리를 기준으로 이루어지지 아니하고 가공팁(510)의 끝단이 도광판(L)에 접촉되어 가공팁(510)의 끝단에 압력이 발생될 때까지 진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가공부(500)가 2차로 이송되는 과정 역시 거리를 기준으로 즉, 그루브의 깊이만큼 하강하도록 구성되지 아니하고 가공팁(510)의 끝단이 그루브의 깊이만큼 도광판(L) 내부로 인입되었을 때 발생하는 압력 크기만큼 가공팁(510)의 끝단에 접촉압이 발생될 때까지 진행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가공부(500)의 이송이 가공팁(510)의 끝단에 형성되는 압력을 기준으로 이루어지면, 도광판(L)의 상면에 굴곡이 형성되는 경우라도 일정한 깊이의 그루브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가공팁(510)의 끝단에 발생하는 압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가공부(500)는 상기 가공팁(510)과 상기 도광판(L) 사이의 접촉압을 측정하는 별도의 압력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도광판 가공장치는, 일정한 속도로 가공팁을 이송하면서 그루브를 가공하여 그루브의 내측벽을 매끄럽게 형성함으로써 도광판의 휘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절삭방향면이 평면을 이루는 가공팁을 이용하여 그루브의 내측벽을 평탄하게 형성함으로써 도광판의 빛 굴절각을 일정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도광판의 가공면 평탄도가 낮은 경우에도 동일한 깊이의 그루브를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도광판 가공장치는 도광판이 안착되는 지점에 정반이 마련되므로 도광판을 수평하게 위치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패턴 가공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16)

  1. 도광판(L)이 안착되는 안착부(100);
    서로 다른 극성이 교번되도록 배열되어 상기 안착부(100)에 고정 결합되는 마그네트와,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상기 마그네트의 자기장과 인력 또는 척력이 발생되도록 자기장을 형성하는 코일이 감겨진 코어를 구비하는 이송부;
    상기 코어가 상기 마그네트의 배열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코어에 전류를 교번으로 인가하는 전원부; 및
    상기 코어의 이송에 따라 이송되도록 결합되어, 직선으로 이송되면서 상기 도광판(L)에 패턴을 형성하는 가공부(5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가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코어의 이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코어가 결합되며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상기 가이드레일에 장착되는 이송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가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코어의 이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코어의 이송방향으로 다수의 격자가 형성되는 스케일과,
    상기 코어와 결합되어 이송 시 상기 격자를 감지하여 이송 속도 및 이송 거리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가공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수평 세로방향으로 이송력을 발생시키는 세로 이송부(200)와,
    상기 세로 이송부(200)에 의해 세로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세로 이송부(200)에 결합되며 수평 가로방향으로 이송력을 발생시키는 가로 이송부(300)와,
    상기 가로 이송부(300)에 의해 가로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가로 이송부(300)에 결합되며 수직방향으로 이송력을 발생시키는 수직 이송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가공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이송부(200)는,
    상기 안착부(100)에 고정 결합되는 세로 마그네트(210)와, 상기 세로 마그네트(210)의 배열방향으로 이송되는 세로 코어(220)와, 상기 세로 코어(220)의 이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세로 가이드레일(230)과, 상기 세로 코어(220)가 결합되며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상기 세로 가이드레일(230)에 장착되는 세로 이송블록(2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가공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이송부(300)는,
    상기 세로 이송블록(240)에 결합되는 가로 마그네트(310)와, 상기 가로 마그네트(310)의 배열 방향으로 이송되는 가로 코어(320)와, 상기 가로 코어(320)의 이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가로 가이드레일(330)과, 상기 가로 코어(320)가 결합되며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상기 가로 가이드레일(330)에 장착되는 가로 이송블록(3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가공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이송부(400)는,
    상기 가로 이송블록(340)에 결합되는 수직 마그네트(410)와, 상기 수직 마그네트(410)의 배열 방향으로 이송되는 수직 코어(420)와, 상기 수직 코어(420)의 이 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수직 가이드레일(430)과, 상기 수직 코어(420)와 상기 가공부(500)가 결합되며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상기 수직 가이드레일(430)에 장착되는 수직 이송블록(4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가공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부(500)는 상기 도광판(L)의 일면을 절삭하여 패턴을 형성하는 가공팁(5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가공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팁(510)은,
    절삭방향 앞면이 평면을 이루고, 좌우 측단에 모서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가공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팁(510)은,
    상기 안착부(100)에 안착된 도광판(L)에 V형 단면을 갖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절삭방향 형상이 V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가공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팁(510)은,
    상기 도광판(L)을 절삭하는 하측 끝단이 절삭방향 후면으로 갈수록 상향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가공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부(500)는,
    상기 가공팁(510)이 상기 도광판(L)에 접촉되도록 1차 이송된 후, 상기 가공팁(510)과 상기 도광판(L) 사이에 접촉압이 발생하도록 2차 이송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가공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부(500)는,
    상기 가공팁(510)과 상기 도광판(L) 사이의 접촉압을 측정하는 압력감지센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가공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100)는,
    상면에 도광판(L)이 수평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정반(1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가공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정반(110)은 상기 도광판(L)이 안착되는 면에 하나 이상의 관통홀(112)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100)는 상기 관통홀(112)을 통해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상기 도광판(L)을 상기 정반(110)에 고정시키는 공기흡입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가공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정반(110)은,
    도광판(L)이 안착되는 면에 다수의 핀홀(114)이 형성되고, 상기 핀홀(114)에 결합되어 도광판(L)의 가장자리 끝단과 접촉됨으로써 도광판(L)의 안착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가공장치.
KR1020060029331A 2006-03-31 2006-03-31 도광판 가공장치 KR100842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9331A KR100842116B1 (ko) 2006-03-31 2006-03-31 도광판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9331A KR100842116B1 (ko) 2006-03-31 2006-03-31 도광판 가공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8650U Division KR200418563Y1 (ko) 2006-03-31 2006-03-31 도광판 가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8100A true KR20070098100A (ko) 2007-10-05
KR100842116B1 KR100842116B1 (ko) 2008-06-30

Family

ID=38804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9331A KR100842116B1 (ko) 2006-03-31 2006-03-31 도광판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211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222B1 (ko) * 2009-10-06 2010-07-20 윤석헌 직선형 전동기를 이용한 대평판 레이저 마킹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052530B1 (ko) * 2009-12-17 2011-07-29 박찬성 도광필름 패턴 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패턴 형성방법
US9992877B2 (en) 2012-08-30 2018-06-05 Hyundai Motor Company Manufacturing method for a lighting apparatus for a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1814Y1 (ko) * 2002-06-24 2002-10-11 박종수 액정표시소자용 도광판의 그루브 패턴 형성 시스템
KR100493511B1 (ko) * 2002-12-27 2005-06-07 주식회사 엘 앤 에프 액정 표시 소자의 프리즘 도광판 가공용 도구
KR20050104118A (ko) * 2004-04-28 2005-11-02 주식회사 쿠키혼 레이저 발진부를 이동하여 도광판을 가공하는 레이저 장치
JP2005331402A (ja) * 2004-05-20 2005-12-02 Sumitomo Heavy Ind Ltd ステージ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222B1 (ko) * 2009-10-06 2010-07-20 윤석헌 직선형 전동기를 이용한 대평판 레이저 마킹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052530B1 (ko) * 2009-12-17 2011-07-29 박찬성 도광필름 패턴 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패턴 형성방법
US9992877B2 (en) 2012-08-30 2018-06-05 Hyundai Motor Company Manufacturing method for a lighting apparatus for a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2116B1 (ko) 2008-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6564B1 (ko) 프로브 이동장치
CN110618545B (zh) 弧形运动视觉检测机构
KR101588856B1 (ko) 액정표시패널 검사장치의 프로브 유닛 위치 조절장치
KR100842116B1 (ko) 도광판 가공장치
KR100700287B1 (ko) 액정표시패널 검사 장비의 검사 스테이지
KR100423929B1 (ko) 평판디스플레이용 도광판 브이커팅기
KR200418563Y1 (ko) 도광판 가공장치
KR100866828B1 (ko) 도광판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KR20040060698A (ko) 광학성 소재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는 가공 장치
JP2007042562A (ja) 面状発光体の精密加工とその製造方法
CN110026679A (zh) 一种大幅面多振镜激光设备
KR101020121B1 (ko) 백라이트 도광판과 그 제조장치 및 운용방법
KR100713561B1 (ko) 갠트리형 xy 스테이지
KR200291814Y1 (ko) 액정표시소자용 도광판의 그루브 패턴 형성 시스템
JP2009126780A (ja) スクライブ装置並びに方法、及びこれを利用した基板切断装置
KR20120011936A (ko) 미세형상 홈 가공장치
KR100998027B1 (ko) 스크레이퍼 및 이를 포함하는 도광판 제조 장치
JP3463060B2 (ja) Vカッター用ピンキット
JP2013229332A (ja) 導光板における光漏出防止方法及びその装置、反射材が塗布された導光板を有する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423729B1 (ko) 브이커팅기용 다핀키트
CN209615416U (zh) 一种龙门双驱结构
JP6069014B2 (ja) スリットノズルおよび基板処理装置
KR100484864B1 (ko) 액정표시소자용 도광판의 그루브 패턴 형성 시스템
JP4489720B2 (ja) 移送装置及びこれを有する液晶パネル検査装置
KR101607089B1 (ko) 액정표시패널 검사장치의 셀 장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