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5719A -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층간 소음방지용 난방패널 - Google Patents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층간 소음방지용 난방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5719A
KR20230135719A KR1020220032786A KR20220032786A KR20230135719A KR 20230135719 A KR20230135719 A KR 20230135719A KR 1020220032786 A KR1020220032786 A KR 1020220032786A KR 20220032786 A KR20220032786 A KR 20220032786A KR 20230135719 A KR20230135719 A KR 20230135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panel
synthetic resin
hot water
connecting member
body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2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1364B1 (ko
Inventor
박성민
박재한
박현정
Original Assignee
박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민 filed Critical 박성민
Priority to KR1020220032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1364B1/ko
Publication of KR20230135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5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1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1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61Floor elements with grooved main surface
    • E04F15/02166Floor elements with grooved main surface wherein the grooves are filled with inse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1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24D3/142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integrated in prefab constructio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2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2201/023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a continuous tongue or groov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Abstract

본 발명은 폐합성수지와 신재합성수지를 이용한 패널을 형성하여 층간소음을 흡수하고 별도의 난방파이프 없이 온수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한 층간 소음방지 난방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는 신재합성수지로 된 제1몸체층, 중간층은 폐합성수지로된 제2몸체층, 하부층은 재생합성수지로 된 제3몸체층, 맨 마지막층은 신재합성수지로된 제1몸체층으로 이루어진 난방패널과, 상기 난방패널의 제2몸체층에 온수가 순환회전하도록 형성된 다수의 온수홀과, 상기 온수홀 저부 제3몸체층에 다수형성되어 소음을 흡음할 수 있도록 된 흡음공과, 상기 난방패널 일측 온수홀 전면에 연결부재가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 고정홈부와, 상기 고정홈부에 끼워져 난방패널과 난방패널을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층간 소음방지용 난방 패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층간 소음방지용 난방패널{Heating panel for noise prevention between floors using waste synthetic resin}
본 발명은 폐합성수지와 신재합성수지를 이용한 패널을 형성하여 층간소음을 흡수하고 별도의 난방파이프 없이 온수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한 층간 소음방지 난방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난방패널을 다중 압출패널로 형성하되 압출패널에는 일체형으로 온수홀을 형성하여 온수가 순환할 수 있도록 하고, 난방 온수홀 저부에 다수의 흡음공을 형성하여 층간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층간 소음방지용 난방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방패널은 온돌를 하기 위한 바닥재로서 방바닥에 온수가 순환될 수 있도록 층간슬래브 상부에 온수파이프가 설치되고 온수파이프를 보호하는 동시에 온돌 바닥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난방패널이 형성된 구조이다.
우리나라의 가옥은 전통적으로 집안에 난방을 하기 위해 방바닥에 골과 구들을 형성하고 그 위에 판판한 돌로 이루어진 구들장을 설치한 후 흙을 균일하게 발라 구들방바닥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구들방바닥은 아궁이에 불을 때면 연기와 열기가 구들과 구들 사이의 골을 지나 굴뚝으로 배출되면서 방바닥의 구들장을 달구어 방안의 바닥이 따뜻하게 하는 동시에 실내공기의 온도를 올리는 방식으로 난방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아궁이 형태의 난방 방식은 나무를 때야 함으로 항상 나무가 준비되어야 하고 사람이 일일히 불을 때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현대에는 전통적인 아궁이 난방에서 발전하여 방바닥에 온수가 순환할 수 있도록 온수파이프를 배선하여 보일러와 연결하고 온수파이프는 시멘트로 매립시켜 방바닥을 형성하여 보일러를 가동시키면 온수가 온수파이프 내를 순환하는 과정에서 방바닥과 실내를 난방함으로 전통 아궁이 난방보다 편리성을 갖게 되었다.
상기와 같이 종래에는 온수파이프를 설치하기 위해 층간슬래브 상면에 스치로 폼을 깔고 그위에 금속망을 설치한 다음 온수파이프를 지그재그로 물이 순환되도록 금속망에 결속한 후 모르타르를 이용하여 매립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살고있는 집의 방바닥을 수리하거나 온수파이프를 수리 후 모르타르 작업한 다음 바로 바닥재를 설치하지 못하고 몰르타르가 완전히 양생될 때까지 하루 이상 지나야 바닥재를 설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바닥재 시공방법은 시공후 바로 난방바닥을 사용하기 위해 난방바닥을 작업시 층간슬래브 상면에 스치로폼 설치, 스치로폼 위에 금속망 설치, 금속망 위에 온수파이프 설치, 모르타르 타설, 바닥재설치의 공정으로 이루어지므로 공사가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이 분야의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등록특허공보 제10-2266284호(등록일자 2021년06월11일)의 친환경 타일형 층간 소음방지 난방패널 구조(이하 "선행기술" 이라한다)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충격흡수층과; 상기 하부 충격흡수층의 상부에 구비되고, 내측에 복수의 공극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상부에 난방배관이 수용되는 복수의 홈이 각각 어느 하나의 공극과 다른 하나의 공극 사이마다 개별적으로 배치된 상태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허니컴 단열층과; 상기 허니컴 단열층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 충격흡수층과; 상기 상부 충격흡수층의 상부에 구비되는 마감층;을 포함하는 구성이 개시되었다.
상기 선행기술은 코르크 패드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하부 충격흡수층과 상부 충격흡수층을 통해 외부충격을 흡수하고 있으며, 하부 충격흡수층과 상부 충격흡수층 사이에 허니콤단열층을 설치하고, 허니컴 단열층의 상부방향으로 난방배관을 설치한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선행기술은 층간슬래브 상면에 코르크패드로 된 하부 충격흡수층을 깔고 그 위에 허니콤단열층을 설치한다.
상기 허니콤단열층 상부에 형성된 홈에는 난방배관이 설치되고 그 상면에 코르크패드로 된 상부충격흡수층을 설치한다.
상기 상부충격흡수층 상면에는 라미네이팅 또는 강화마루를 설치하여 마감층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선행기술은 슬림하게 하기 위해 상하부에 설치되는 상부 충격흡수층과 하부 충격흡수층이 코르크패드로 형성되고 상하 각각 두께가 2㎜∼10㎜로 이루어져 사용시 불균형으로 인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난방파이프 상면에 설치된 상부 충격흡수층과 하부에 설치된 하부 충격흡수층은 난방시 난방파이프가 열이 발생되었다 식었다 하는 과정에서 시간이 흐를수로록 신축성이 떨어져 균일한 탄성을 갖지 못하고 불균형한 탄성을 갖게 상부에 설치된 강화마루 또는 허니콤단열층에 하중이 가해지면 탄성의 불균형에 의해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은 마감층, 상부 충격흡수층, 허니콤단열층, 난방배관, 하부 충격흡수층 등 다수의 공정으로 시공해야 함으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주택의 바닥은 한번 시공하고 나면 10년에서 20년 이상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 내구성을 갖도록 난방배관을 한 후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양생후 2㎜의 스펀지 시트를 깔고 그위에 강화마루를 조립설치하는 방식으로 바닥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바닥은 강화마루 저면에서 모르타르가 양생되어 받치고 있으므로 강화마루의 변형 발생율이 적으나, 모르타르를 타설하지 않고 합성수지 시트 또는 합성수지 패널을 여러층으로 겹쳐 사용하는 경우 5년 정도의 시간이 지나면 난방배관의 열이 발생되었다 식었다 하는 과정에서 신축성이 떨어져 탄성의 불균형이 발생됨으로 사람의 하중을 받으면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종종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6628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폐합성수지, 재생합성수지, 신재합성수지를 이용하여 다중 합성수지패널을 형성하되 합성수지패널 몸체에 온수홀과 흡음공을 형성하여 별도의 온수파이프를 설치하지 않고 온수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 난방바닥의 시공을 간단 용이하게 하며, 더불어 층간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과,
또한 본 발명은 농어촌에서 발생되는 폐비닐과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폐플라스틱을 파쇄하여 재생합성수지와 함께 다층구조를 갖는 합성수지 패널을 형성함으로서 버려지는 폐비닐, 폐플라스틱를 재활용함으로 환경오염을 줄일 뿐만 아니라 폐플라스틱 및 비닐이 바다로 유입되어 물고기 생태계를 파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층간 소음방지용 난방 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부는 신재합성수지로 된 제1몸체층, 중간층은 폐합성수지로 된 제2몸체층, 하부층은 재생합성수지로 된 제3몸체층, 맨 마지막층은 신재합성수지로 된 제1몸체층으로 이루어진 난방패널과;
상기 난방패널의 제2몸체층에 온수가 순환회전하도록 형성된 다수의 온수홀과;
상기 온수홀 저부 제3몸체층에 다수형성되어 소음을 흡음할 수 있도록 된 흡음공과;
상기 난방패널 일측 온수홀 전면에 연결부재가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 고정홈부와;
상기 고정홈부에 끼워져 난방패널과 난방패널을 연결할 수 있도록 된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층간 소음방지 난방패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한짝의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연결부재는 난방패널의 온수홀과 대응되는 통공이 형성되며 일측 전면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타측 배면에는 난방패널의 고정홈부에 끼워지도록 끼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부재는 난방패널의 온수홀과 대응되는 통공이 형성되며 일측 전면에는 걸림홈에 끼워지는 단턱이 형성되고 타측 배면에는 난방패널의 고정홈부에 끼워지도록 끼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난방패널 상면에는 다수의 요홈부가 형성되어 흙, 황토, 활성탄(숯), 광물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원적외선방사부재가 채워져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난방패널의 온수홀과 대응되는 통공을 형성하고 양측에는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난방패널의 고정홈부에 끼워져 난방패널과 난방패널을 연결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난방패널 하부에 형성된 흡음공은 난방패널 저면까지 연장되도록 ∩형의 흡음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난방패널은 온수홀을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저면에 다수의 흡음공을 형성함으로써 난방용 패널과 층간소음 방지용 패널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폐합성수지, 재생합성수지, 신재합성수지를 이용하여 다중 합성수지패널을 형성하되 합성수지패널 몸체에 온수홀과 흡음공을 형성하여 별도의 온수파이프를 설치하지 않고 온수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 난방바닥 시공을 간단 용이하게 하며, 더불어 층간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효과를 가지며,
또한 본 발명은 농어촌에서 발생되는 폐비닐과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폐플라스틱을 파쇄하여 재생합성수지와 함께 다층구조를 갖는 합성수지 패널을 형성함으로서 버려지는 폐비닐, 폐플라스틱를 재활용함으로 환경오염을 줄일 뿐만 아니라 폐플라스틱 및 비닐이 바다로 유입되어 물고기의 생태계를 파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1은 종래의 층간소음방지 난방패널을 나타낸 일부 절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층간소음 방지 난방패널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 난방패널의 온수홀과 흡음공을 나타낸 정면도.
도4 및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 난방패널의 다른 실시예의 온수홀과 흡음공을 나타낸 정면도.
도6은 본 발명의 난방패널과 난방패널을 연결부재로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요부 발췌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난방패널을 이용한 온돌바닥을 나타낸 예시도.
도8은 본 발명의 난방패널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일부발췌 단면도.
도9는 본 발명의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난방패널과 난방패널을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10은 본발명의 난방패널 상면에 원적외선방사부재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의 층간소음 방지 난방패널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 난방패널의 온수홀과 흡음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난방패널(100)은 온수홀(110)을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난방을 하기 위한 별도의 온수파이프를 설치하지 않고 난방패널(100)을 설치함으로서 온수홀(110)에 의해 온수가 순환되면서 난방할 수 있도록 한 난방패널(100)과 또한 난방패널(100)의 온수홀(110) 하부에 다수의 흡음공(120)을 형성하여 층간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층간소음 방지용 패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부는 신재합성수지로 된 제1몸체층(101), 중간층은 폐합성수지로된 제2몸체층(102), 하부층은 재생합성수지로 된 제3몸체층(103), 맨 마지막층은 신재합성수지로된 제1몸체층(101)으로 이루어진 난방패널(100)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난방패널(100)의 제2몸체층(102)에 온수가 순환회전하도록 다수의 온수홀(110)을 형성한다.
상기 온수홀 (110) 저부 제3몸체층(103)에는 소음을 흡음할 수 있도록 된 다수의 흡음공(120)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의 난방패널(100)은 압출성형 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합성수지를 다층으로 압출할 수 있도록 다이스 일측에는 상하 제1몸체층(101)이 성형되도록 신재합성수지를 용융압출하는 압출기와, 다수의 온수홀(110)을 갖는 제2몸체층(102)이 성형되도록 폐합성수지를 용융압출하는 압출기와, 층간소음을 흡음할 수 있도록 흡음공(120)을 구비한 제3몸체층(103)이 성형되도록 용융압출하는 압출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다수의 압출기는 원료를 공급하는 호퍼와 각각 연결된다.
이와 같이 원료를 공급하는 각 호퍼에서 원료가 공급되면 각각의 압출기에서는 원료를 용융 압출하는 동시에 다이스에 압출 성형되는 동시에 온수홀(110)과 흡음공(120)을 갖는 난방패널(100)이 성형된다.
상기 온수홀(110)과 흡음공(120)이 형성된 난방패널(100)은 진공기(싸이징)를 통과하면서 외면이 매끈하고 균일한 면으로 형성된 다음 냉각장치에서 냉각된 후 인출기에 의해 당겨져 인출이송되는 동시에 절단기에 의해 정해진 규격으로 절단되어 난방패널이 제조된다.(이상에서 설명한 난방패널의 압출성형장치는 도시를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성형된 난방패널(100)은 후처리가공으로 일측 온수홀(110)과 흡음공(120)이 형성된 일측 전면에 연결부재(200)가 끼워질 수 있도록 고정홈부(130)를 형성한다.
상기 연결부재(200)는 난방패널(100)과 난방패널(100)을 연결시 양측 고정홈부(130)에 끼워져 난방패널(100)을 연결하여 바닥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도4 및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 난방패널의 다른 실시예의 온수홀과 흡음공을 나타낸 정면도로서, 도4는 본 발명의 난방패널에 형성되는 온수홀(110)을 원형홀로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난방패널에 형성되는 온수홀(110)을 장공으로 형성하고 그 하단에 형성되는 흡음공(120)은 난방패널 저면까지 연장되도록 ∩형의 흡음공(120' )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에서 난방패널(10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흡음공(120)(120')은 반드시 원형 또는 "∩"의 형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온수홀(110) 저부에 형성되는 홀은 중공되어 층간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흡수할 수 있는 기능이면 어느 형상의 홀이라도 무방하다.
도6은 본 발명의 난방패널과 난방패널을 연결부재로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요부 발췌 단면도이고, 도7은 본 발명의 난방패널을 이용한 온돌바닥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8은 본 발명의 난방패널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일부발췌 단면도이고, 도9는 본 발명의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난방패널과 난방패널을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난방패널은 바닥에 설치시 난방패널(100)에 형성된 온수홀(110)과 온수홀(110)이 연결되도록 설치한다.
상기 난방패널(100)과 난방패널(100)의 연결은 한짝으로 이루어진 연결부재(200)를 이용한다.
즉, 연결부재(200)는 한짝의 제1연결부재(210)와 제2연결부재(220)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연결부재(210)는 난방패널(100)의 온수홀(110)과 대응되는 통공(240)이 형성되며 일측 전면에는 걸림홈(211)이 형성되고 타측 배면에는 난방패널(100)의 고정홈부(130)에 끼워지도록 끼움돌기(230)가 형성된다.
상기 제2연결부재(220)는 연결되는 난방패널(100)의 온수홀(110)과 대응되는 통공(240) 형성되며 일측 전면에는 걸림홈(211)에 끼워지는 단턱(221)이 형성되고 타측 배면에는 난방패널(100)의 고정홈부(130)에 끼워지도록 끼움돌기(23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된 본 발명은 난방패널(100) 설치시 난방패널(100)의 온수홀(110)이 형성된 일측의 고정홈부(130)에 제1연결부재(210)의 끼움돌기(230)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접착제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또한 제2연결부재(220)는 또다른 난방패널(100)의 고정홈부(130)에 끼움돌기(230)가 끼워지도록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각각의 난방패널(100)에 제1연결부재(210)와 제2연결부재(220)를 접착고정한 후에 제1연결부제(210)의 걸림홈(211)에 제2연결부재(220)의 단턱(221)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고정한다.
이때 제1연결부재(210)와 제2연결부재(220)의 통공(240)은 각 난방패널(100)의 온수홀(110)과 일치되도록 사전에 제작되어 제1연결부재(210)와 제2연결부재(220)를 난방패널의 고정홈부(130)에 삽입 접착후 다시 제1열결부재(210)와 제2연결부재(220) 연결시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하면 연결된 난방패널(100)과 난방패널(100)의 온수홀(110)이 연결되어 온수가 온수홀(110)을 따라서 순환된다(도6 및 도7참조).
또한 본 발명의 난방패널(100)은 양측단부 마감부분의 마감난방패널(100')은 사출성형하고 중앙부에 위치하는 난방패널(100)은 압출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난방패널(100)은 온수홀(110)이 일체로 형성된 관계로 양측 단부에 위치하는 마감난방패널(100')은 온수홀(110)이 유턴하는 마감난방패널(100')과 온수가 유턴을 하고 유입부(600)와 유출부(610)가 형성된 마감난방패널(100')은 내부의 온수홀이 "⊂" 또는 "⊃" 형으로 형성됨으로 압출성형은 불가능함으로 사출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7참조).
이와 같이 설치된 본 발명은 난방패널(100)은 보일러(도시없음)에서 온수가 유입부(600)를 통하여 난방패널의 온수홀(110)를 따라서 이동한 후 일측 마감난방패널(100')의 유출부(610)를 통하여 보일러로 유입되는 방식으로 온수가 순환된다.
또한 본 발명은 난방패널(100)에 온수홀(110)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온수홀(110) 하부의 제3몸체층(103)에 형성된 흡음공(120)에 의해 층간소음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난방패널(100)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되 최상부층과 최하단층은 신재합성수지로 된 제1몸체층(101)으로 이루어지고, 제2몸체층(102)은 폐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제3몸체층(103)은 재생합성수지 또는 폐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의 난방패널(100)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압출기로 압출성형시 발포시켜 중량을 가볍게하는 동시에 소음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난방패널(100)은 제3몸체층(103)에 다수의 흡음공(120)을 형성하여 층간소음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도8참조)
상기 난방패널(100)의 제3몸체층(103)에 형성되는 흡음공(120)은 도5의 하부 제3몸체층(103)에 형성된 것과 같이 "∩"형의 흡음공 또는 반홈의 흡음공으로 형성하여 층간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난방패널(100)은 시공시 층간 슬래브(400)에 별도의 장치없이 바로 난방패널(100)을 설치한 후 그상면에 마감재(500)을 설치함으로서 설치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내부에 거주하는 사람에 의해 발생되는 생활소음을 발포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난방패널 자체에서 1차 흡수하는 동시에 온수홀(110)에서 2차 흡수하고 흡음공(120)에서 3차흡수 함으로서 층간소음을 다중으로 흡수 및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9는 본 발명의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난방패널과 난방패널을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로서 연결부재(200)인 제1연결부재(210)와 제2연결부재(220)를 이용하여 난방패널(100)과 난방패널(100)을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난방패널(100)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연결부재(200) 역시 합성수지 또는 고무재로 이루어져 접착제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접착됨으로 연결부재(200)의 통공(240)과 난방패널(100)의 온수홀(110)이 연결된 이음부에서 누수되는 일은 없다.
특히 본 발 명의 난방패널(100)과 난방패널(100)은 슬래브(400)에 대응된 상태에서 상면에 마감재가 설치됨으로 사용시 신축성과 탄성이 저하되는 일이 없으므로 불균형에 의한 마감재(500)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연결부재(200)는 제1연결부재(210)와 제2연결부재(220)로 분리하여 형성하지 않고 제1연결부재(210)와 제2연결부재(220)가 결합된 것과 같은 형상으로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10은 본발명의 난방패널 상면에 원적외선방사부재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난방패널(100)을 성형시 제1몸체층(101)을 형성하는 상부면에 다수의 요홈부(131)를 형성하여 원적외선방사부재(300)를 채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요홈부(131)에 채워지는 원적외선방사부재(300)는 황토, 흙, 광물, 활성탄(숯)의 분말로 이루어져 접착제와 혼합하여 채워진다.
상기 원적외선반사부재의 분말을 접착하는 접착제는 천연 접착제로서 전분 또는 으깬 밥풀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난방패널 상면에 다수 형성된 요홈부(131)에 원적외선방사부재를 채워 고정한 후 상부에 마감재(500)를 설치하면 난방시 온수에 의해 요홈부(131)에 채워진 원적외선방사부재(300)에서 원적외선이 방사되에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하는 동시에 집안의 냄새를 제거하고 습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폐합성수지, 재생합성수지, 신재합성수지를 이용하여 다중 합성수지패널을 형성하고, 상기 합성수지패널 몸체에 온수홀과 흡음공을 형성하여 별도의 온수파이프를 설치하지 않고 온수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 난방바닥의 시공을 간단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난방패널을 발포합성수지로 성형하고 온수홀과 흡음공을 형성함으로서 층간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1차발포합성수지에서 흡음하고, 2차로 온수홀에서 차단하며, 3차로 흡음공에서 소음을 흡수함으로 층간소음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농어촌에서 발생되는 폐비닐과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폐플라스틱을 파쇄하여 재생합성수지와 함께 다층구조를 갖는 합성수지 패널을 형성함으로서 버려지는 폐비닐, 폐플라스틱를 재활용함으로 환경오염을 줄일 뿐만 아니라 폐플라스틱과 비닐이 바다로 유입되어 물고기의 생태계를 파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의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 권리요지로 청구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고, 단순 설계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귀속됨이 당연할 것이다.
100:난방패널 101:제1몸체층
102:제2몸체층 103:제3몸체층
110:온수홀 120:흡음공
130:고정홈부 131:요홈부
200:연결부재 210:제1연결부재
211:걸림홈 220:제2연결부재
221:단턱 230:끼움돌기
240:통공 300:원적외선방사부재
400:슬래브 500:마감재
600:유입부 610:유출부

Claims (5)

  1. 상부는 신재합성수지로 된 제1몸체층, 중간층은 폐합성수지로된 제2몸체층, 하부층은 재생합성수지로 된 제3몸체층, 맨 마지막층은 신재합성수지로된 제1몸체층으로 이루어진 난방패널과;
    상기 난방패널의 제2몸체층에 온수가 순환회전하도록 형성된 다수의 온수홀과;
    상기 온수홀 저부 제3몸체층에 다수형성되어 소음을 흡음할 수 있도록 된 흡음공과;
    상기 난방패널 일측 온수홀 전면에 연결부재가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 고정홈부와;
    상기 고정홈부에 끼워져 난방패널과 난방패널을 연결할 수 있도록 된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층간 소음방지용 난방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한짝의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연결부재는 난방패널의 온수홀과 대응되는 통공이 형성되며 일측 전면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타측 배면에는 난방패널의 고정홈부에 끼워지도록 끼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부재는 난방패널의 온수홀과 대응되는 통공이 형성되며 일측 전면에는 걸림홈에 끼워지는 단턱이 형성되고 타측 배면에는 난방패널의 고정홈부에 끼워지도록 끼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층간 소음방지용 난방 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패널 상면에는 다수의 요홈부가 형성되어 흙, 황토, 숯, 광물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원적외선방사부재가 채워져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층간 소음방지용 난방 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난방패널의 온수홀과 대응되는 통공을 형성하고 양측에는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난방패널의 고정홈부에 끼워져 난방패널과 난방패널을 연결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층간 소음방지용 난방 패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패널 하부 제3몸체층에 형성된 흡음공은 난방패널 저면까지 연장되도록 ∩형의 흡음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층간 소음방지용 난방 패널.
KR1020220032786A 2022-03-16 2022-03-16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층간 소음방지용 난방패널 KR102651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786A KR102651364B1 (ko) 2022-03-16 2022-03-16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층간 소음방지용 난방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786A KR102651364B1 (ko) 2022-03-16 2022-03-16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층간 소음방지용 난방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5719A true KR20230135719A (ko) 2023-09-26
KR102651364B1 KR102651364B1 (ko) 2024-03-27

Family

ID=88191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2786A KR102651364B1 (ko) 2022-03-16 2022-03-16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층간 소음방지용 난방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136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6959A (ja) * 2001-03-16 2002-09-25 Osaka Gas Co Ltd 床暖房パネル、そのヘッダー、そのヘッダーとの接続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03646Y1 (ko) * 2002-11-18 2003-02-14 최현의 폐자원을 이용한 난방용 파이프 배관용 패널
KR100816676B1 (ko) * 2007-06-29 2008-03-27 (주)유토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층간소음방지용 방음부재
KR20160069169A (ko) * 2014-12-08 2016-06-16 (주)화성에너지 난방용 온수판넬
KR102266284B1 (ko) 2019-12-18 2021-06-17 주식회사 방앤방 친환경 타일형 층간 소음방지 난방패널 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6959A (ja) * 2001-03-16 2002-09-25 Osaka Gas Co Ltd 床暖房パネル、そのヘッダー、そのヘッダーとの接続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03646Y1 (ko) * 2002-11-18 2003-02-14 최현의 폐자원을 이용한 난방용 파이프 배관용 패널
KR100816676B1 (ko) * 2007-06-29 2008-03-27 (주)유토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층간소음방지용 방음부재
KR20160069169A (ko) * 2014-12-08 2016-06-16 (주)화성에너지 난방용 온수판넬
KR102266284B1 (ko) 2019-12-18 2021-06-17 주식회사 방앤방 친환경 타일형 층간 소음방지 난방패널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1364B1 (ko) 2024-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6630B1 (en) Composite tangled filament mat with overlying liquid moisture barrier for cushioning and venting of vapor, and for protection of underlying subfloor
US20060130416A1 (en) Flooring element
TWI328065B (en) Floor system
KR101113544B1 (ko) 공기층을 가진 건물의 층간 진동소음 차단판 성형방법
KR102651364B1 (ko)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층간 소음방지용 난방패널
KR102178968B1 (ko) 층간소음 방지구조를 포함하는 온돌
WO2014123313A1 (ko) 건물의 층간소음 차단을 위한 바닥구조
KR100701858B1 (ko) 소음방지용 차음재 및 그의 설치구조
KR101430986B1 (ko) 건축물의 온돌용 및 소음저감용으로 사용되도록 제공되는 황토판재
JP2008208628A (ja) 乾式壁材の窓上構造
KR200394430Y1 (ko) 난방용 조립식 패널어셈블리
JP2935942B2 (ja) 家 屋
KR101550559B1 (ko) 충격 및/또는 소음 감쇄형 온수 순환식 기초 바닥 패널 및 관련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16266A (ko) 팽창질석을 이용한 건축물의 층간소음 방지구조
KR200476687Y1 (ko) 플로킹막이 구비된 바닥재
JP2008095431A (ja) 床パネルとこの床パネルを用いた床構造
KR100751721B1 (ko) 황토 방바닥 및 그의 시공방법
EP0805902B1 (de) Hochwärmedämmend ausgerüsteter boden-, decken- oder wandaufbau
KR100927358B1 (ko) 중량충격음 및 경량충격음 저감 특성이 우수한 바닥 마감 구조
KR101884515B1 (ko) 기능성 패널형 바닥재 및 그 패널형 바닥재를 이용한 건식 난방 시공 방법
KR200337780Y1 (ko) 충격흡수용 차음부재
KR101514973B1 (ko) 합성수지나 frp 재질로 제공되는 소음저감재 및 이를 이용하는 건축물 바닥면의 시공방법
KR20060114427A (ko) 온열 및 이중방음효과를 갖는 바닥재 구조
KR101192515B1 (ko) 원통형 황토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JP3946538B2 (ja) 床暖房放熱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