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5000A - 캠 클러치 - Google Patents

캠 클러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5000A
KR20230135000A KR1020230033396A KR20230033396A KR20230135000A KR 20230135000 A KR20230135000 A KR 20230135000A KR 1020230033396 A KR1020230033396 A KR 1020230033396A KR 20230033396 A KR20230033396 A KR 20230033396A KR 20230135000 A KR20230135000 A KR 20230135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row
cams
inner ring
se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3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 쿠레마츠
츠바사 스기야
에이이치 나카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ublication of KR20230135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5000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0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 F16D41/08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with provision for altering the freewheeling action
    • F16D41/084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with provision for altering the freewheeling action the intermediate coupling members wedging by pivoting or ro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0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 F16D41/069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the intermediate members wedging by pivoting or rocking, e.g. spra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0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 F16D41/069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the intermediate members wedging by pivoting or rocking, e.g. sprags
    • F16D41/07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the intermediate members wedging by pivoting or rocking, e.g. sprags between two cylindrical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8/00Electrically-actuated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04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combined with a clutch for locking the driving and driven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0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 F16D41/08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with provision for altering the freewheeling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Arrangement And Mounting Of Devices That Control Transmission Of Motive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고정밀도의 제어를 불필요하게 함과 동시에 캠의 자세를 강제적으로 변경할 때의 구동력이 작고 클러치 동작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높은 응답성을 얻을 수 있어 모드 전환의 자유도가 높은 캠 클러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내륜(110)과 외륜(120) 사이에 케이지 부재(150)에 지지되어 둘레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캠(140)을 구비하는 캠 클러치(100)로서, 복수의 캠(140)이 회전축 방향으로 복수 열로 배치되어 케이지 부재(150)가 고정된 내륜(110) 또는 외륜(120)과 상대적인 회전각의 제어가 가능하고, 적어도 1개의 열에 대응하는 캠(140)의 캠면과 접촉하여 자세를 변경 가능한 캠 자세 제어면(171)을 갖는 셀렉터(170)를 구비하고, 캠 자세 제어면(171)은 캠 작동부(172)보다 반경 방향 캠(140)측으로 돌출하는 형상으로 캠(140)을 작동하지 않는 자세로 변경하는 캠 해제부(173)를 갖는다.

Description

캠 클러치{CAM CLUTCH}
본 발명은 외륜 및 내륜의 상대 회전 동작을 허용하는 프리(free) 상태와 외륜 및 내륜의 상대 회전 동작을 금지하는 로크(lock) 상태를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 캠 클러치에 관한 것이다.
회전력의 전달과 차단을 제어하는 클러치로서 내륜 및 외륜의 상대적인 회전 동작을 금지(회전력을 전달)하는 로크 상태와 내륜 및 외륜의 상대적인 회전 동작을 허용(회전력 차단)하는 프리 상태의 전환을, 캠 또는 스플러그의 자세를 강제적으로 변경하여 실시하는 캠 클러치가 공지이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내륜과 외륜 사이의 둘레 방향으로 설치된 복수의 캠을 강제적으로 기울이는 수단으로서 복수의 핀 부재를 구비한 캠 자세 변경부를 갖고, 핀 부재가 상대적으로 둘레 방향으로 이동하여 캠의 측면을 둘레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캠의 자세를 강제적으로 변경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등록특허 제6882699호 공보
이러한 캠 클러치에서는, 로크 상태로부터 프리 상태로 전환할 때에, 캠의 맞춤력(係合力)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는 캠의 자세 변경에 큰 구동력을 필요로 하고, 내외륜의 토크 전달이 되고 있는 상태로의 전환이 원활하게 할 수 없는 우려가 있었다.
또한, 내외륜 궤도면을 손상시킬 우려도 있어, 캠의 자세를 변화시키기 위한 기구나 액추에이터도 구동력에 따라 대형화할 필요가 있었다.
특허문헌 1에 공지된 캠 클러치는 응답성이 높고, 소기의 토크 용량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핀 부재가 핀의 경동(傾動) 중심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으므로 캠의 자세 변경을 위해서 어느 정도 큰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지만, 각 핀의 상대적인 위치를 고정밀도로 확보할 필요가 있고, 또한 캠의 자세 변경시에 캠 자세 변경부의 회전 각도를 고정밀도로 제어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간단한 구성으로 고정밀도의 제어를 필요로 하지 않음과 동시에, 캠의 자세를 강제적으로 변경할 때의 구동력이 작고, 클러치 동작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높은 응답성을 얻을 수 있어 모드 전환의 자유도가 높은 캠 클러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동축 상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있는 내륜 및 외륜과, 상기 내륜과 상기 외륜 사이에 둘레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캠과, 상기 외륜 또는 상기 내륜과 회전 방향으로 고정되어 복수의 캠을 지지하는 케이지 부재를 구비한 캠 클러치로서, 상기 케이지 부재가 회전 방향으로 고정된 상기 외륜 또는 상기 내륜과 상대적인 회전각의 제어가 가능한 셀렉터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캠이 회전축 방향으로 복수열로 배치되고, 상기 셀렉터는 상기 복수의 캠열의 캠의 자세를 각각 변경 가능한 복수의 자세 변경부를 갖고, 적어도 1개의 열의 캠에 대응하는 상기 자세 변경부는 상기 캠의 캠면과 접촉함과 동시에 상기 캠의 자세를 변경 가능한 캠 자세 제어면을 갖고, 상기 캠 자세 제어면은, 상기 캠이 통상으로 동작하는 캠 작동면부와, 상기 캠 작동면보다 반경 방향 상기 캠측으로 돌출하는 형상으로 상기 캠을 작동하지 않는 자세로 변경하는 캠 해제면을 가짐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캠이 회전축 방향으로 복수 열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셀렉터가 복수의 캠열의 캠의 자세를 각각 변경 가능한 복수의 자세 변경부를 갖고 있으므로, 복수 열의 캠의 자세를 1개의 셀렉터의 회전에 의해 각각 변경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고, 복수의 모드를 1개의 셀렉터의 회전각의 제어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1개의 열의 캠에 대해서, 캠 자세 제어면이 캠면과 접촉하여 캠의 자세를 변경 가능하고, 캠 작동부와 캠 작동부보다 반경 방향 캠측으로 돌출하는 형상으로 캠을 작동하지 않는 자세로 변경하는 캠 해제부를 가지므로, 캠 해제부의 어느 위치에서도 캠의 동작을 해제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캠에 대한 위치를 고정밀도로 정렬할 필요가 없고, 또한 셀렉터의 회전각의 고정밀도의 제어도 불필요해진다.
또한, 캠 자세 제어면에 대응하는 열에서는, 캠의 자세를 강제적으로 변경할 때의 구동력이 작고, 전환을 위한 부품이나 액추에이터를 소형화할 수 있고 저렴하게 제작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클러치 동작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높은 응답성을 얻을 수 있고, 내외륜 궤도면을 손상시키지 않으므로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캠 자세 제어면에 대응하는 열의 전환(切替)은 캠의 단면(端面)을 올려서 전환하기 때문에, 셀렉터의 전환각을 고정밀도로 제어하지 않고 크게 취할 수 있으며, 각 치수 공차, 제어 오차에 좌우되지 않고 확실한 동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로 인해, 캠 자세 제어면에 대응하는 열에서 캠의 동작을 해제 상태로 유지하고, 또한 다른 열의 모드 전환을 위한 셀렉터의 회전이 허용됨으로써, 1개의 셀렉터의 회전에 의해서 전환하는 복수의 모드의 조합 자유도가 향상된다.
본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에 따르면, 제1 열 캠이 로크 상태인 경우, 셀렉터로 토크를 받을 필요가 없으므로, 셀렉터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고, 내구성이 더욱 향상된다.
본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에 따르면, 제1 열 캠과 제2 열 캠 모두 캠 자세 제어면에 대응함으로써, 모든 모드에서 셀렉터의 회전각의 고정밀도의 제어가 불필요해진다.
본 청구항 4에 따른 발명에 따르면, 2 개의 독립적인 내륜에 대해 1개의 셀렉터로 모드 전환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청구항 5에 따른 발명에 따르면, 다른 종류의 캠을 포함함으로써, 셀렉터로 전환되는 모드마다 토크 전달 특성이나 응답 속도 특성 등이 다른 경우에도 최적으로 맞추는 것이 가능하다.
본 청구항 6에 따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1개의 열의 내륜과 외륜 사이에 내륜의 외주면과 외륜의 내주면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된 간격 유지 부재를 가짐으로써, 간격 유지 부재에 의해서 동심 유지 기능을 가지므로 다른 베어링 부재를 생략할 수 있어 축 방향으로 콤팩트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내륜과 외륜의 축심이 고정밀도로 일치함으로써 복수의 캠의 동작의 편차가 저감하여 클러치 동작의 안정성이 더욱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캠 클러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캠 클러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캠 클러치의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캠 클러치의 동작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캠 클러치의 동작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캠 클러치의 동작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캠 클러치의 동작 설명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들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캠 클러치(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 축 상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내륜(110) 및 외륜(120)과, 내륜(110)과 외륜(120) 사이에서 동력의 전달 및 차단을 실시하는 복수의 캠(140)과, 외륜(120)과 회전 방향으로 고정되어 복수의 캠(140)을 지지하는 케이지 부재(150)와, 외륜(120)과 상대적인 회전각의 제어가 가능한 셀렉터(170)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캠(140)은 회전축 방향으로 제1 열 캠(141)과 제2 열 캠의 2열에 배치되고, 제1 열 캠과 제2 열 캠은 각각 역방향의 원웨이 클러치를 구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셀렉터(170)는, 제1 열 캠(141)의 자세를 변경 가능한 자세 변경부인 캠 압압부(押壓付)(175)와, 제2 열 캠(142)의 자세를 변경 가능한 자세 변경부인 캠 자세 제어면(171)을 갖고 있다.
캠 자세 제어면(171)은, 제2 열 캠(142)이 통상으로 동작하는 캠 작동부(172)와, 캠 작동부(172)보다 반경 방향 제2 열 캠(142)측으로 돌출하는 형상으로 제2 열 캠(142)을 작동하지 않는 자세로 변경하는 캠 해제부(173)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열 캠(142)의 외륜(120)측의 캠면은, 셀렉터(170)의 캠 자세 제어면(171)과만 접촉하고 외륜(120)의 내주면과는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회전축 방향의 일부가 외륜(120)의 내주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캠 압압부(175)는 제1 열 캠(141)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핀 형상부를 갖고, 셀렉터(170)의 회전에 의해서 제1 열 캠(141)의 측면을 둘레 방향으로 가압하여 제1 열 캠(141)의 자세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캠 압압부(175)는 셀렉터 본체(176)와 별개의 부품으로 구성되고, 사용시에는 캠 압압부(175)와 셀렉터 본체(176)가 일체로 회전하는 셀렉터(170)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열 캠(141)의 외륜(120)측의 캠면은 외륜(120)과만, 내륜(110)측의 캠면은 내륜(110)과만 접촉 가능하게 구성되고, 셀렉터(170)의 회전에 의해서 캠 압압부(175)가 제1 열 캠(141)의 측면을 가압함으로써 제1 열 캠(141)이 작동하지 않는 자세로 변경된다.
셀렉터(170)는 액추에이터(180)에 의해 외륜(120)과 상대적으로 회전 구동되고, 외륜(120)과의 상대적인 회전각을 제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륜(120)과 액추에이터(180)가 고정부에 고정됨으로써, 외륜(120)과 셀렉터(170)의 상대적인 회전각이 액추에이터(180)에 의해 제어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캠 클러치(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륜(110)이 외륜(120)에 대해서 양방향의 상대 회전 동작이 허용되는 2 way 프리 상태와, 일 방향 회전 동작이 허용되고 반대 방향 회전 동작이 금지되는 1 way 로크 상태와, 양방향 회전 동작이 금지되는 2 way 로크 상태가 셀렉터(170)의 회전각에 의해 전환된다.
2 way 프리 상태(도 4의 하단 우측: 0°의 위치)에서는, 제2 열 캠(142)의 외륜(120)측의 캠면은 셀렉터(170)의 캠 자세 제어면(171)의 캠 해제부(173)에 접촉하고, 제2 열 캠(142)이 원웨이 클러치로서 동작하지 않는 자세로 유지되고, 제1 열 캠(141)의 내륜(110)측의 측면은 셀렉터(170)의 캠 압압부(175)에 가압되어, 제1 열 캠(141)이 원웨이 클러치로서 동작하지 않는 자세로 유지되고 있다.
1 way 로크 상태(도 4의 하단 중앙: -α°의 위치)에서는, 제2 열 캠(142)의 외륜(120)측의 캠면은 셀렉터(170)의 캠 자세 제어면(171)의 캠 해제부(173)에 접촉하고, 제2 열 캠(142)이 원웨이 클러치로서 동작하지 않는 자세로 유지되고, 셀렉터(170)의 캠 압압부(175)가 제1 열 캠(141)의 내륜(110)측의 측면으로부터 떨어져 있고, 제1 열 캠(141)이 원웨이 클러치로서 동작하는 자세가 된다.
2 way 로크 상태(도 4의 하단 좌측: -α-α°의 위치)에서는, 제2 열 캠(142)의 외륜(120)측의 캠면은 셀렉터(170)의 캠 자세 제어면(171)의 캠 작동부(172)에 접촉하고, 제2 열 캠(142)이 원웨이 클러치로서 동작하는 자세가 되고, 셀렉터(170)의 캠 압압부(175)가 제1 열 캠(141)의 내륜(110) 측의 측면으로부터 떨어져 있고, 제1 열 캠(141)이 원웨이 클러치로서 동작하는 자세가 된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캠 클러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열 캠(141)과 제2 열 캠(142)이 셀렉터(170)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되고, 제1 열 캠(141)의 내륜(110)측의 캠면의 일부는 셀렉터(170)의 제1 열 캠(141)의 자세를 변경 가능한 자세 변경부인 캠 자세 제어면(171b)과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2 way 프리 상태(도 5의 하단 우측: 0°의 위치)에서는, 제2 열 캠(142)의 외륜(120)측의 캠면은 셀렉터(170)의 캠 자세 제어면(171)의 캠 해제부(173)에 접촉하고, 제2 열 캠(142)이 원웨이 클러치로서 동작하지 않는 자세로 유지되고, 제1 열 캠(141)의 내륜(110)측의 캠면의 일부는 셀렉터(170)의 캠 자세 제어면(171b)의 캠 해제부(173b)와 접촉하고 제1 열 캠(141)이 원웨이 클러치로서 동작하지 않는 자세로 유지되고 있다.
1 way 로크 상태(도 5의 하단 중앙: -α°의 위치)에서는, 제2 열 캠(142)의 외륜(120)측의 캠면은 셀렉터(170)의 캠 자세 제어면(171)의 캠 해제부(173)에 접촉하고, 제2 열 캠(142)이 원웨이 클러치로서 동작하지 않는 자세로 유지되고, 제1 열 캠(141)의 내륜(110)측의 캠면은 셀렉터(170)의 캠 자세 제어면(171b)의 캠 해제부(173b)로부터 떨어져 내륜(110)측의 외주면과 접촉 가능하게 되어, 제1 열 캠(141)이 원웨이 클러치로서 동작하는 자세가 된다.
2 way 로크 상태(도 5의 하단 좌측: -α-α°의 위치)에서는, 제2 열 캠(142)의 외륜(120)측의 캠면은 셀렉터(170)의 캠 자세 제어면(171)의 캠 작동부(172)에 접촉하고, 제2 열 캠(142)이 원웨이 클러치로서 동작하는 자세가 되고, 제1 열 캠(141)의 내륜(110) 측의 캠면은 셀렉터(170)의 캠 자세 제어면(171b)의 캠 해제부(173b)로부터 떨어져 내륜(110) 측의 외주면과 접촉 가능하게 되어, 제1 열 캠(141)이 원웨이 클러치로서 동작하는 자세가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열 캠(142)에 대한 캠 해제부(173)의 원주 방향의 길이를 짧게 하고, 제1 열 캠(141)에 대한 캠 해제부(173b)의 원주 방향의 길이 길게 함으로써, 1 way 로크 상태의 회전이 저지되는 방향을 역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캠 클러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의 캠 클러치(100)의 셀렉터(170)를 회전축 방향의 반대측에 제2 내륜(112)과 제2 외륜(122)이 설치되고, 그 사이에 제3 열 캠(143)을 배치한 것이다.
제2 외륜(122)은 외륜(120)과 마찬가지로 고정부에 고정되고, 제2 내륜(112)은 내륜(110)과는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3 열 캠(143)의 제2내륜(112)측의 캠면의 일부가 셀렉터(170)의 제3 열 캠(143)의 자세를 변경 가능한 자세 변경부인 캠 자세 제어면(171c)과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내륜(110)의 회전은,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2 way 프리 상태(도 6의 하단 우측에서 2번째: 0°의 위치), 1 way 로크 상태(도 6의 하단 좌측에서 2번째: -α°의 위치), 2 way 로크 상태(도 6의 하단 좌측: -α-α °의 위치)로 전환 가능하다.
이들 위치에서는, 제3 열 캠(143)의 제2 내륜(112)측의 캠면의 일부는 셀렉터(170)의 캠 자세 제어면(171c)의 캠 해제부(173c)와 접촉하고, 제3 열 캠(143)이 원웨이 클러치로서 작동하지 않는 자세로 유지되고, 제2 내륜(112)은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2웨이 프리(2 way free) 상태가 된다.
그리고, 내륜(110)의 회전이 2 way 프리 상태이고 제2 내륜(112)이 2 way 프리 상태(도 6의 하단 우측에서 2번째: 0°의 위치)로부터, 셀렉터(170)를 반대로 회전 조작하면(도 6의 하단 우측: +α°의 위치), 제3 열 캠(143)의 제2 내륜(112)측의 캠면은 셀렉터(170)의 캠 자세 제어면(171c)의 캠 해제부(173c)로부터 멀어져 제2 내륜(112)측의 외주면과 접촉 가능해져, 제3 열 캠(143)이 원웨이 클러치로서 동작하는 자세가 된다.
이 때, 제1 열 캠(141)의 측면을 가압하는 캠 압압부(175)가 제1 열 캠(141)의 자세 변경의 한계 이상으로 눌려지는 경우, 도 6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캠 압압부(175)가 되밀어지고, 필요 이상으로 제1 열 캠(141)의 측면을 누르지 않는 탄성기구 등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캠 클러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2 실시 형태의 캠 클러치의 제2 열 캠(142)의 더욱 회전축 방향의 셀렉터(170)의 반대측에 제2 내륜(112)과 제2 외륜(122)을 설치하고, 그 사이에 제3 열 캠(143)을 배치한 것이다.
제2 외륜(122)은 외륜(120)과 마찬가지로 고정부에 고정되고, 제2 내륜(112)은 내륜(110)과는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3 열 캠(143)의 제2 외륜(122)측의 캠면의 일부가 셀렉터(170)의 제3 열 캠(143)의 자세를 변경 가능한 자세변경부인 캠 자세 제어면(171d)과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내륜(110)의 회전은, 전술한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2 way 프리 상태(도 7의 하단 우측에서 2번째: 0°의 위치), 1 way 로크 상태(도 7의 하단 좌측에서 2번째: -α °의 위치), 2 way 로크 상태(도 7의 하단 좌측: -α-α °의 위치)로 전환 가능하다.
이들 위치에서는, 제3 열 캠(143)의 제2 외륜(122)측의 캠면의 일부는 셀렉터(170)의 캠 자세 제어면(171d)의 캠 해제부(173d)와 접촉하고, 제3 열 캠(143)이 원웨이 클러치로서 작동하지 않는 자세로 유지되고, 제2 내륜(112)은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2 way 프리 상태가 된다.
그리고, 내륜(110)의 회전이 2 way 프리 상태이고 또한 제2 내륜(112)이 2 way 프리 상태(도 7의 하단 우측에서 2번째: 0°의 위치)로부터, 셀렉터(170)를 반대로 회전 조작하면(도 7의 하단 우측: +α°의 위치), 제3 열 캠(143)의 제2 외륜(122)측의 캠면은 셀렉터(170)의 캠 자세 제어면(171d)의 캠 해제부(173d)로부터 떨어져 제2 외륜(122)측의 내주면과 접촉 가능하고, 제3 열 캠(143)이 원웨이 클러치로서 동작하는 자세가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상술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일탈하지 않고 여러 가지 설계 변경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도시된 액추에이터(180)는 셀렉터(170)의 외주에 맞물리는 웜 기어가 장착된 모터를 상정하고 있지만, 외륜(120), 제2 외륜(122)에 대해서 셀렉터(170)를 상대적으로 회전 구동시키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다.
또한, 제3, 제4 실시 형태에서는, 독립 회전할 수 있는 제2 내륜을 갖지만, 한층 더 독립 회전하는 내륜이 3개 이상이라도 좋고, 그 수에 따라, 캠의 열수도 4열 이상이라도 좋다.
또한, 내륜과 외륜 사이에, 간격 유지 부재로서 복수의 롤러가 캠과 동일 원주 상에 배치되어도 좋고, 간격 유지 부재는 내륜의 외주면 및 외륜의 내주면과 슬라이딩하도록 배치된 블록 부재여도 좋고, 간격 유지 부재가 케이지 부재(150)에 고정되거나 혹은 케이지 부재(150)와 일체로 형성되고 있어도 좋다.
또한, 각 열의 캠은, 그 요구되는 토크 내성 등에 따라 다른 형상으로 해도 좋다.
또한, 내륜을 고정부에 고정하고, 내륜에 대해서 셀렉터의 회전각을 제어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100        ···캠 클러치
110        ···내륜
112        ···제2 내륜
120        ···외륜
122        ···제2 외륜
140        ···캠
141        ···제1 열 캠
142        ···제2 열 캠
143        ···제3 열 캠
150        ···케이지 부재
170        ···셀렉터
171        ···캠 자세 제어면
172        ···캠 작동부
173        ···캠 해제부
175        ···캠 압압부
176        ···셀렉터 본체
180        ···액추에이터

Claims (6)

  1. 동축 상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내륜 및 외륜과, 상기 내륜과 상기 외륜 사이에 둘레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캠과, 상기 외륜 또는 내륜과 회전 방향으로 고정되어 복수의 캠을 지지하는 케이지 부재를 구비한 캠 클러치로서,
    상기 케이지 부재가 회전 방향으로 고정된 상기 외륜 또는 내륜과 상대적인 회전각의 제어가 가능한 셀렉터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캠이 회전축 방향으로 복수열로 배치되고,
    상기 셀렉터는 상기 복수의 캠열의 캠의 자세를 각각 변경 가능한 복수의 자세 변경부를 갖고,
    적어도 1개의 열의 캠에 대응하는 상기 자세 변경부는, 상기 캠의 캠면과 접촉함과 동시에 상기 캠의 자세를 변경 가능한 캠 자세 제어면을 갖고,
    상기 캠 자세 제어면은, 상기 캠이 통상으로 동작하는 캠 작동부와, 상기 캠 작동부보다 반경 방향 상기 캠측으로 돌출하는 형상으로 상기 캠을 작동하지 않는 자세로 변경하는 캠 해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클러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캠이 회전축 방향으로 적어도 제1 열과 제2 열의 2열로 배치되고,
    제1 열 캠의 외주측의 캠면은 상기 외륜과만, 내주측의 캠면은 상기 내륜과만 접촉 가능하고,
    제2 열 캠의 외주측 또는 내주측의 캠면은 상기 셀렉터의 상기 캠 자세 제어면과 접촉 가능하고,
    상기 셀렉터는, 상기 제1 열 캠의 측면을 둘레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 열 캠의 자세를 변경 가능한 캠 압압부로 이루어지는 자세 변경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클러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캠이 회전축 방향으로 적어도 제1 열과 제2 열의 2열로 배치되고,
    제1 열 캠의 외주측의 캠면은 상기 외륜과만 접촉 가능하고, 내주측의 캠면은 상기 셀렉터의 상기 캠 자세 제어면과 접촉 가능하고,
    제2 열 캠의 내주측의 캠면은 상기 내륜과만 접촉 가능하고, 외주측의 캠면은 상기 셀렉터의 상기 캠 자세 제어면과 접촉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클러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캠이 회전축 방향으로 적어도 제1 열 내지 제3 열의 3열로 배치되고,
    상기 내륜은, 제1 열 캠 및 제2 열 캠과 접촉 가능한 제1 내륜과, 상기 제1 내륜과는 독립하여 회전 가능하고 제3 열 캠과 접촉 가능한 제2 내륜을 갖고,
    제3 열 캠의 외주측 또는 내주측의 캠면은 상기 셀렉터의 상기 캠 자세 제어면과 접촉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클러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캠은 다른 종류의 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클러치.
  6.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열의 상기 내륜과 상기 외륜 사이에, 상기 내륜의 외주면과 상기 외륜의 내주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간격 유지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클러치.
KR1020230033396A 2022-03-15 2023-03-14 캠 클러치 KR202301350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2-040022 2022-03-15
JP2022040022A JP2023135023A (ja) 2022-03-15 2022-03-15 カムクラッ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5000A true KR20230135000A (ko) 2023-09-22

Family

ID=87849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3396A KR20230135000A (ko) 2022-03-15 2023-03-14 캠 클러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846329B2 (ko)
JP (1) JP2023135023A (ko)
KR (1) KR20230135000A (ko)
CN (1) CN116771816A (ko)
DE (1) DE102023106435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02392A1 (ja) * 2010-02-17 2011-08-25 株式会社ユニバンス 動力伝達装置
WO2012026021A1 (ja) * 2010-08-26 2012-03-01 株式会社ユニバンス 動力伝達装置
US20140202821A1 (en) * 2013-01-24 2014-07-24 Joshua A. Schotten Modified sprag assemblies for one-and two-way clutch applications
JP6882699B2 (ja) 2019-05-20 2021-06-02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カムクラ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846329B2 (en) 2023-12-19
CN116771816A (zh) 2023-09-19
DE102023106435A1 (de) 2023-09-21
JP2023135023A (ja) 2023-09-28
US20230296144A1 (en) 2023-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56963A1 (en) Cam clutch
US6612962B2 (en) Toroidal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2003314645A (ja) トロイダル型無段変速機及び無段変速装置
KR20230135000A (ko) 캠 클러치
US5679090A (en) Half-toroidal-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having two sets of three rollers
JP2002266903A (ja) 二方向クラッチおよびそれを用いたシートリフタ
KR20230121005A (ko) 캠 클러치
JP2004257533A (ja) トロイダル型無段変速機及び無段変速装置
KR20230157889A (ko) 캠 클러치
JP4078752B2 (ja) トロイダル型無段変速機
JP3794862B2 (ja) 動力断続装置
CN112469914B (zh) 一种离合器组件
US20240068529A1 (en) Cam clutch
JP4442236B2 (ja) トロイダル型無段変速機
US20230332652A1 (en) Cam clutch
JP4432483B2 (ja) トロイダル型無段変速機
JPH11118011A (ja) トロイダル型無段変速機のパワーローラ軸受
JP3427652B2 (ja) トロイダル型無段変速機
JP4399922B2 (ja) トロイダル型無段変速機
KR20230022116A (ko) 캠 클러치
JP5849643B2 (ja) トロイダル型無段変速機
CN117980619A (zh) 致动机构
JP4815785B2 (ja) トロイダル型無段変速機
JPH10196751A (ja) トロイダル型無段変速機
JP2002340121A (ja) トロイダル型無段変速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