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3384A - 유화 정발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화 정발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3384A
KR20230133384A KR1020237029158A KR20237029158A KR20230133384A KR 20230133384 A KR20230133384 A KR 20230133384A KR 1020237029158 A KR1020237029158 A KR 1020237029158A KR 20237029158 A KR20237029158 A KR 20237029158A KR 20230133384 A KR20230133384 A KR 202301333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mass
content
hair
emulsified 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9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유키 시도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만다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만다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만다무
Publication of KR20230133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338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7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insects, e.g. shella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Zo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퍼짐이 양호하고, 또한 머리카락을 세워 올리는 정발력을 높일 수 있는 유화 정발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화 정발제 조성물은, 융점이 30∼50℃인 식물유 및/또는 융점이 30∼50℃인 에스테르유(성분 A1), 또는, 성분 A1 및 바셀린(성분 A2)인 성분 A와, 융점이 50℃를 넘는 왁스(성분 B)와, 특정의 증점성 폴리머(성분 C)와, 물(성분 D)을 포함하고, 성분 A 100 질량% 중, 성분 A1의 함유량이 50.0 질량% 이상이고, 성분 A의 함유량과 성분 B의 함유량의 합계가 10.0∼40.0 질량%이고, 성분 A의 함유량과 성분 B의 함유량의 합계 100 질량% 중, 성분 A의 함유량이 10.0∼50.0 질량%이며, 성분 C의 함유량이 0.1∼1.0 질량%이다.

Description

유화 정발제 조성물
본 발명은, 모발을 정돈하는 정발제에 적합하게 이용되는 유화 정발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정발제 조성물에 요구되는 정발 성능의 하나로서, 머리카락을 세워 올리는 정발력(세움력)이 있다. 하기의 특허문헌 1, 2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은 25℃에서 고형인 왁스를 포함하는 정발제 조성물에서는, 정발 후의 모속을 단단하게 할 수 있으므로, 머리카락을 세워 올리는 정발력을 높일 수 있다.
일본국 특개2019-131522호 공보 일본국 특개2007-001887호 공보
하드 타입의 헤어 왁스로 불리는 유화 정발제 조성물에서는, 융점이 높은 고형의 왁스가 비교적 많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머리카락을 세워 올리는 정발력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융점이 높은 고형의 왁스가 비교적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유화 정발제 조성물의 퍼짐이 나빠, 사용성이 뒤떨어진다.
유화 정발제 조성물의 퍼짐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융점이 높은 고형의 왁스의 함유량을 단순히 줄인 경우에는, 머리카락을 세워 올리는 정발력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퍼짐이 양호하고, 또한 머리카락을 세워 올리는 정발력을 높일 수 있는 유화 정발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성분 (A)와, 하기 성분 (B)와, 하기 성분 (C)와, 하기 성분 (D)를 포함하고, 상기 성분 (A) 100 질량% 중, 하기 성분 (A1)의 함유량이 50.0 질량% 이상이며, 상기 성분 (A)의 함유량과 상기 성분 (B)의 함유량의 합계가 10.0 질량% 이상, 40.0 질량% 이하이고, 상기 성분 (A)의 함유량과 상기 성분 (B)의 함유량의 합계 100 질량% 중, 상기 성분 (A)의 함유량이 10.0 질량% 이상, 50.0 질량% 이하이며, 상기 성분 (C)의 함유량이 0.1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인, 유화 정발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성분 (A): 하기 성분 (A1), 또는, 하기 성분 (A1) 및 하기 성분 (A2)
성분 (A1): 융점이 30℃ 이상, 50℃ 이하인 식물유 및/또는 융점이 30℃ 이상, 50℃ 이하인 에스테르유
성분 (A2): 바셀린
성분 (B): 융점이 50℃를 넘는 왁스
성분 (C): (아크릴산 알킬/메타크릴산 스테아레스-20)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알킬(C10-30))크로스폴리머, 및 (아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 베헤네스-25)코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증점성 폴리머
성분 (D): 물
본 발명의 유화 정발제 조성물은, 하기 성분 (E)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 (E): 25℃에서 액상인 유제
본 발명의 유화 정발제 조성물은, 하기 성분 (F)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 (F): 비이온 계면활성제
본 발명의 유화 정발제 조성물은, 하기 성분 (G)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 (G): 음이온 계면활성제
본 발명의 유화 정발제 조성물은, 헤어 왁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화 정발제 조성물은, 퍼짐이 양호하고, 또한 머리카락을 세워 올리는 정발력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유화 정발제 조성물은, 융점이 30℃ 이상, 50℃ 이하인 식물유 및/또는 융점이 30℃ 이상, 50℃ 이하인 에스테르유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상기 「융점이 30℃ 이상, 50℃ 이하인 식물유 및/또는 융점이 30℃ 이상, 50℃ 이하인 에스테르유」를 「성분 (A1)」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유화 정발제 조성물은, 바셀린을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상기 「바셀린」을 「성분 (A2)」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성분 (A1), 또는 성분 (A1) 및 성분 (A2)」를 「성분 (A)」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즉, 본 발명의 유화 정발제 조성물은, 성분 (A)로서, 성분 (A1)을 포함하거나, 또는 성분 (A)로서, 성분 (A1)과 성분 (A2)의 양쪽을 포함한다. 다른 표현을 하자면, 본 발명의 유화 정발제 조성물은, 성분 (A)로서, 성분 (A1)을 포함하고, 또한, 성분 (A)로서, 성분 (A2)를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포함한다. 또한, 다른 표현을 하자면, 본 발명의 유화 정발제 조성물은, 성분 (A)로서, 성분 (A1)을 포함하고 또한 성분 (A2)를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성분 (A)로서, 성분 (A1)과 성분 (A2)의 양쪽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화 정발제 조성물은, 성분 (A)와, 융점이 50℃를 넘는 왁스와, (아크릴산 알킬/메타크릴산 스테아레스-20)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알킬(C10-30))크로스폴리머, 및 (아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 베헤네스-25)코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증점성 폴리머와, 물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상기 「융점이 50℃를 넘는 왁스」를 「성분 (B)」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상기「(아크릴산 알킬/메타크릴산 스테아레스-20)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알킬(C10-30))크로스폴리머, 및 (아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 베헤네스-25)코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증점성 폴리머」를 「성분 (C)」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상기 「물」을 「성분 (D)」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화 정발제 조성물은, 성분 (A)와, 성분 (B)와, 성분 (C)와, 성분 (D)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화 정발제 조성물에서는, 성분 (A) 100 질량% 중, 성분 (A1)의 함유량이 50.0 질량% 이상이다.
본 발명의 유화 정발제 조성물에서는, 성분 (A)의 함유량과 성분 (B)의 함유량의 합계가, 10.0 질량% 이상, 40.0 질량% 이하이다. 또, 성분 (A)의 함유량과 성분 (B)의 함유량의 합계 100 질량% 중, 성분 (A)의 함유량이, 10.0 질량% 이상, 50.0 질량% 이하이다.
본 발명의 유화 정발제 조성물에서는, 성분 (C)의 함유량이, 0.1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이다.
본 발명의 유화 정발제 조성물에서는, 상기의 구성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퍼짐이 양호하고, 또한 머리카락을 세워 올리는 정발력을 높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유화 정발제 조성물은, 해당 유화 정발제 조성물 자체가 적당한 경도를 갖기 때문에, 자(jar) 용기 등의 용기로부터 적당한 양을 손가락으로 양호하게 덜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화 정발제 조성물은, 25℃에서 액상인 유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상기 「25℃에서 액상인 유제」를 「성분 (E)」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유화 정발제 조성물은,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성분 (F)」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유화 정발제 조성물은,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성분 (G)」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유화 정발제 조성물은, 피막 형성 폴리머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상기 「피막 형성 폴리머」를 「성분 (H)」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유화 정발제 조성물은, 성분 (A)∼(H) 이외의 다른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의 성분, 예를 들면, 성분 (A), 성분 (B), 성분 (C), 성분 (E), 성분 (F), 성분 (G), 성분 (H)나 다른 성분은 각각 1종만이 이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각 성분의 함유량이란, 유화 정발제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모든 해당 성분의 함유량의 합계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성분 (A)의 함유량이란, 유화 정발제 조성물 중의 모든 성분 (A)의 함유량의 합계를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유화 정발제 조성물에 이용되는 각 성분의 상세를 설명한다.
(성분 (A))
성분 (A)는, 융점이 30℃ 이상, 50℃ 이하인 식물유 및/또는 융점이 30℃ 이상, 50℃ 이하인 에스테르유(성분 (A1))이거나, 또는 성분 (A1) 및 바셀린(성분 (A2))이다. 성분 (A)를 이용함으로써, 유화 정발제 조성물의 퍼짐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 성분 (A1)을 이용함으로써, 머리카락을 세워 올리는 정발력을 높일 수 있다. 성분 (A1) 및 성분 (A2)는 각각 1종만이 이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융점이 30℃ 이상, 50℃ 이하인 식물유」를 「성분 (A11)」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융점이 30℃ 이상, 50℃ 이하인 에스테르유」를 「성분 (A12)」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성분 (A1)은, 성분 (A11) 및/또는 성분 (A12)이다.
유화 정발제 조성물의 퍼짐을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 성분 (A11) 및 성분 (A12)의 융점은 각각 30℃ 이상, 50℃ 이하이다.
성분 (A11)로는, 시어 지방, 카카오 지방, 아스트로칼륨 무루무루 종자 지방, 망고 버터 및 팜유 등을 들 수 있다.
유화 정발제 조성물의 퍼짐을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 성분 (A11)은, 시어 지방 및/또는 카카오 지방인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 (A12)로는, 트리(카프릴산/카프린산/미리스틴산/스테아린산)글리세릴, 헥사히드록시스테아린산 디펜타에리스리틸, 스테아린산 에틸, 미리스틴산 미리스틸, 이소스테아린산 콜레스테릴, 헥사(히드록시스테아린산/스테아린산/로진산)디펜타에리스리틸 및 테트라(히드록시스테아린산/이소스테아린산)디펜타에리스리틸 등을 들 수 있다.
유화 정발제 조성물의 퍼짐을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 성분 (A12)는, 트리(카프릴산/카프린산/미리스틴산/스테아린산)글리세릴 및/또는 헥사히드록시스테아린산 디펜타에리스리틸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화 정발제 조성물의 퍼짐을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 성분 (A) 100 질량% 중, 성분 (A1)의 함유량은 50.0 질량% 이상이다.
성분 (A) 100 질량% 중, 성분 (A1)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55.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0 질량% 이상이다. 성분 (A1)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유화 정발제 조성물의 퍼짐을 한층 더 양호하게 할 수 있고, 또, 머리카락을 세워 올리는 정발력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성분 (A) 100 질량% 중, 성분 (A1)의 함유량은, 100 질량%(전량) 이하이며, 100 질량%(전량)여도 좋고, 90.0 질량% 이하여도 좋으며, 85.0 질량% 이하여도 좋고, 80.0 질량% 이하여도 좋다.
성분 (A2)의 융점은,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바람직하게는 6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이하이다. 성분 (A2)의 융점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머리카락을 세워 올리는 정발력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성분 (A2)의 융점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유화 정발제 조성물의 퍼짐을 한층 더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성분 (A) 100 질량% 중, 성분 (A2)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 질량%(미함유)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40.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5.0 질량% 이하이다. 성분 (A2)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유화 정발제 조성물의 퍼짐을 한층 더 양호하게 할 수 있고, 또, 머리카락을 세워 올리는 정발력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하는 관점에서, 본 발명의 유화 정발제 조성물 100 질량% 중, 성분 (A)의 함유량과 성분 (B)의 함유량의 합계는, 10.0 질량% 이상, 40.0 질량% 이하이다.
본 발명의 유화 정발제 조성물 100 질량% 중, 성분 (A)의 함유량과 성분 (B)의 함유량의 합계는, 바람직하게는 15.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35.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 질량% 이하이다. 상기 합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머리카락을 세워 올리는 정발력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상기 합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유화 정발제 조성물 자체의 경도를 양호하게 할 수 있고, 또, 유화 정발제 조성물의 퍼짐을 한층 더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하는 관점에서, 성분 (A)의 함유량과 성분 (B)의 함유량과의 합계 100 질량% 중, 성분 (A)의 함유량은, 10.0 질량% 이상, 50.0 질량% 이하이다.
성분 (A)의 함유량과 성분 (B)의 함유량의 합계 100 질량% 중, 성분 (A)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5.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45.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 질량% 이하이다. 성분 (A)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유화 정발제 조성물 자체의 경도를 양호하게 할 수 있고, 또, 유화 정발제 조성물의 퍼짐을 한층 더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성분 (A)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머리카락을 세워 올리는 정발력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성분 (B))
성분 (B)는, 융점이 50℃를 넘는 왁스이다. 성분 (B)를 이용함으로써, 머리카락을 세워 올리는 정발력을 높일 수 있고, 또, 정발 유지력을 높일 수 있다. 또, 성분 (B)를 이용함으로써, 유화 정발제 조성물에 적당한 경도를 부여할 수 있다. 성분 (B)는, 1종만이 이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성분 (B)의 융점은, 바람직하게는 51℃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이하이다. 성분 (B)의 융점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머리카락을 세워 올리는 정발력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성분 (B)의 융점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유화 정발제 조성물이 과도하게 굳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성분 (B)로는, 동식물 납(wax) 등의 왁스 에스테르, 광물 왁스 및 탄화수소 왁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동식물 납으로는, 카르나우바납, 해바라기 종자납, 칸델릴라납, 밀랍, 미강납, 셸락납 및 경랍(鯨蠟)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광물 왁스로는, 몬탄 왁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탄화수소 왁스는, 석유 유래의 왁스여도 되고, 합성 왁스여도 된다. 상기 탄화수소 왁스로는, 세레신, 오조케라이트, 파라핀,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및 피셔·트롭쉬 왁스(합성 왁스) 등을 들 수 있다.
성분 (A)의 함유량과 성분 (B)의 함유량의 합계 100 질량% 중, 성분 (B)의 함유량은, 50.0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55.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0 질량% 이상, 90.0 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85.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0.0 질량% 이하이다. 성분 (B)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머리카락을 세워 올리는 정발력 및 정발 유지력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성분 (B)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유화 정발제 조성물이 과도하게 굳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성분 (C))
성분 (C)는, (아크릴산 알킬/메타크릴산 스테아레스-20)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알킬(C10-30))크로스폴리머, 및 (아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 베헤네스-25)코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증점성 폴리머(적어도 1의 증점성 폴리머)이다. 성분 (C)를 이용함으로써, 유화 정발제 조성물에 적당한 경도를 부여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유화 정발제 조성물의 퍼짐을 양호하게 할 수 있고, 또, 머리카락을 세워 올리는 정발력을 높일 수 있다. 또, 성분 (C)를 이용함으로써, 유화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성분 (C)는, 1종만이 이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유화 정발제 조성물에 적당한 경도를 부여함으로써, 유화 정발제 조성물의 퍼짐을 양호하게 하고, 또한 머리카락을 세워 올리는 정발력을 높이는 관점에서, 본 발명의 유화 정발제 조성물 100 질량% 중, 성분 (C)의 함유량은, 0.1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이다.
본 발명의 유화 정발제 조성물 100 질량% 중, 성분 (C)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15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8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6 질량% 이하이다. 성분 (C)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머리카락을 세워 올리는 정발력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성분 (C)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유화 정발제 조성물의 퍼짐을 한층 더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 성분 (C)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유화 안정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성분 (D))
성분 (D)는, 물이다. 성분 (D)는, 정제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 (D)를 이용함으로써, 유화 특성을 높일 수 있어, 유화 정발제 조성물을 양호하게 얻을 수 있다.
성분 (D)의 함유량은, 다른 배합 성분의 함유량에 따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화 정발제 조성물 100 질량% 중, 성분 (D)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20.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75.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0.0 질량% 이하이다.
(성분 (E))
성분 (E)는, 25℃에서 액상인 유제이다. 본 발명의 유화 정발제 조성물은, 성분 (E)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25℃에서 액상」이란, 25℃에서 유동성이 있는 성상(性狀)을 의미한다. 성분 (E)는, 성분 (A)와는 다르고, 성분 (B)와는 다르다. 성분 (E)를 이용함으로써, 유화 정발제 조성물의 퍼짐을 한층 더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성분 (E)는, 1종만이 이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성분 (E)로는, 탄화수소유, 성분 (A1) 이외의 식물유, 및 성분 (A1) 이외의 에스테르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탄화수소유로는, α-올레핀 올리고머, 스쿠알란(합성 스쿠알란, 식물성 스쿠알란), 스쿠알렌, 유동 이소파라핀, 유동 파라핀(미네랄 오일), (C13-15)알칸,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 수소 첨가 폴리데센, 경질 이소파라핀(이소도데칸), 경질 유동 이소파라핀 및 유동 이소파라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성분 (A1) 이외의 식물유로는, 아보카도유, 아르간 오일, 올리브유, 미강유, 대두유, 옥수수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포도 종자유, 쿠쿠이넛유, 마카데미아넛유, 크람베 아비시니카 종자유, 메도우폼유 및 해바라기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성분 (A1) 이외의 에스테르유로는, 이소노난산 이소노닐, 미리스틴산 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 이소데실, 미리스틴산 옥틸도데실, 올레인산 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린산 옥틸도데실, 사과산 디이소스테아릴, 세바신산 디에틸헥실, 트리2-에틸헥산산 글리세릴, 트리(카프릴산/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 글리세릴, 테트라2-에틸헥산산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옥탄산 펜타에리스리틸, 테트라이소스테아린산 펜타에리트리트 및 데카이소스테아린산 폴리글리세릴-10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화 정발제 조성물 100 질량% 중, 성분 (E)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30.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 질량% 이하이다. 성분 (E)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정발 중의 모발 상에서의 퍼짐을 한층 더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성분 (E)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머리카락을 세워 올리는 정발력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성분 (F))
성분 (F)는, 비이온 계면활성제이다. 본 발명의 유화 정발제 조성물은, 성분 (F)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 (F)를 이용함으로써, 유화 특성을 높일 수 있어, 유화 정발제 조성물을 양호하게 얻을 수 있다. 성분 (F)는, 1종만이 이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성분 (F)로는,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모노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및 이들의 알킬렌옥시드 부가물, 폴리옥시알킬렌 알킬 에테르, 폴리옥시알킬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알킬렌 알킬페놀,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트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포름알데히드 축합물, 폴리옥시에틸렌 스테롤 및 그 유도체, 폴리옥시에틸렌 라놀린 및 그 유도체, 폴리옥시에틸렌 밀랍 유도체, 슈가 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그리고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로는, 모노올레인산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린산 소르비탄, 모노이소스테아린산 소르비탄, 모노팔미틴산 소르비탄, 모노라우린산 소르비탄, 트리올레인산 소르비탄, 트리스테아린산 소르비탄, 세스퀴스테아린산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인산 소르비탄, 세스퀴이소스테아린산 소르비탄 및 야자유 지방산 소르비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의 알킬렌옥시드 부가물로는, 모노라우린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틴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인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야자유 지방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트리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및 트리올레인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는, 모노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여도 되고,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여도 된다.
상기 모노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로는, 모노카프릴산 글리세릴, 모노카프린산 글리세릴, 모노라우린산 글리세릴, 모노미리스틴산 글리세릴, 모노팔미틴산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릴, 모노이소스테아린산 글리세릴, 모노베헨산 글리세릴, 모노올레인산 글리세릴, 모노에루카산 글리세릴, 세스퀴올레인산 글리세릴, 디스테아린산 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린산 글리세릴 및 디아라킨산 글리세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로는, 모노카프릴산 디글리세릴, 모노카프릴산 데카글리세릴, 모노카프린산 헥사글리세릴, 모노라우린산 테트라글리세릴, 모노라우린산 헥사글리세릴, 모노라우린산 데카글리세릴, 모노라우린산 폴리(4∼10)글리세릴, 모노미리스틴산 데카글리세릴, 모노스테아린산 데카글리세릴, 모노이소스테아린산 데카글리세릴, 모노스테아린산 폴리(2∼10)글리세릴, 모노올레인산 디글리세릴, 모노올레인산 헥사글리세릴, 세스퀴올레인산 디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린산 폴리(2∼10)글리세릴, 디스테아린산 폴리(6∼10)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린산 디글리세릴 및 트리스테아린산 폴리(10)글리세릴 등의 상기 모노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의 중합도 2∼10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의 알킬렌옥시드 부가물로는,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세릴 및 모노올레인산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세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옥시알킬렌 알킬 에테르로는,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세틸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라우릴 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 세틸 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 이소세틸 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 스테아릴 에테르 및 폴리옥시프로필렌 올레일 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옥시알킬렌 지방산 에스테르로는, 모노올레인산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모노라우린산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모노스테아린산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라우린산 프로필렌 글리콜 및 모노올레인산 프로필렌 글리콜 등의 프로필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화 정발제 조성물 100 질량% 중, 성분 (F)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20.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질량% 이하이다. 성분 (F)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유화 안정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성분 (G))
성분 (G)는, 음이온 계면활성제이다. 본 발명의 유화 정발제 조성물은, 성분 (G)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 (G)를 이용함으로써, 유화 정발제 조성물 중의 성분 (A) 및 성분 (B)의 함유량이 비교적 많은 경우라도, 유화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성분 (G)를 이용함으로써, 세발(洗髮) 시의 세정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성분 (G)는, 1종만이 이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성분 (G)로는, 스테아린산 칼륨, 스테아린산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고급 지방산염(고급 지방산 비누); 라우릴 황산 나트륨, 라우릴 황산 트리에탄올아민, 미리스틸 황산 나트륨, 스테아릴 황산 나트륨, 올레일 황산 나트륨 및 세틸 황산 나트륨 등의 알킬 황산 에스테르염;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황산 나트륨 및 폴리옥시에틸렌 미리스틸 에테르 황산 나트륨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황산염; 테트라데센술폰산 나트륨 등의 α-올레핀 술폰산염; 미리스토일 메틸 타우린 나트륨, 팔미토일 메틸 타우린 나트륨, 스테아로일 메틸 타우린 나트륨, 올레오일 메틸 타우린 나트륨 및 야자유 지방산 메틸 타우린 나트륨 등의 N-아실 메틸 타우린염; 술포숙신산 디옥틸 나트륨 및 술포숙신산 라우릴 이나트륨 등의 술포숙신산 알킬염; 술포숙신산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이나트륨 등의 술포숙신산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염; 라우릴 인산 나트륨, 세틸 인산 나트륨 및 세틸 인산 디에탄올아민 등의 모노알킬 인산 에스테르염;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인산 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세틸 에테르 인산 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 에테르 인산 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인산 나트륨 및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인산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인산 에스테르염; 라우로일 사르코신 칼륨, 라우로일 사르코신 트리에탄올아민, 미리스토일 사르코신 나트륨 및 야자유 지방산 사르코신 나트륨 등의 N-아실 사르코신염; 라우로일 메틸 알라닌 나트륨, 라우로일 메틸 알라닌 트리에탄올아민, 미리스토일 메틸 알라닌 나트륨 및 야자유 지방산 메틸 알라닌 나트륨 등의 N-아실-N-메틸-β-알라닌염; 라우로일 글루타민산 나트륨, 라우로일 글루타민산 트리에탄올아민, 미리스토일 글루타민산 나트륨, 스테아로일 글루타민산 칼륨, 스테아로일 글루타민산 이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아실 글루타민산 나트륨 및 야자유 지방산 아실 글루타민산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N-아실 글루타민산염; 야자유 지방산 아실 글리신 칼륨 및 야자유 지방산 아실 글리신 나트륨 등의 N-아실 글리신염; 라우릴 글리콜 초산(酢酸) 나트륨(도데칸-1,2-디올 초산 나트륨), 라우릴 글리콜 초산 칼륨, 미리스틸 글리콜 초산 나트륨, 미리스틸 글리콜 초산 칼륨, 팔미틸 글리콜 초산 나트륨, 팔미틸 글리콜 초산 칼륨, 스테아릴 글리콜 초산 나트륨, 스테아릴 글리콜 초산 칼륨, 베헤닐 글리콜 초산 나트륨 및 베헤닐 글리콜 초산 칼륨 등의 알킬 에테르 글리콜 초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유화 특성을 특히 한층 더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는, 성분 (G)는, 탄소수가 13 이상, 22 이하인 직쇄 알킬기를 갖는 고급 지방산염, 탄소수가 13 이상, 22 이하인 직쇄 알킬기를 갖는 인산계 계면활성제, 및 탄소수가 13 이상, 22 이하인 직쇄 알킬기를 갖는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음이온 계면활성제(적어도 1의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가 13 이상, 22 이하인 직쇄 알킬기를 갖는 고급 지방산염」을 「성분 (G1)」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가 13 이상, 22 이하인 직쇄 알킬기를 갖는 인산계 계면활성제」를 「성분 (G2)」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가 13 이상, 22 이하인 직쇄 알킬기를 갖는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를 「성분 (G3)」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성분 (G)는, 성분 (G1), 성분 (G2) 및 성분 (G3)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 (G1), 성분 (G2) 및 성분 (G3)에 있어서, 직쇄 알킬기의 탄소수가 13 이상, 22 이하이다.
세발 시의 세정성을 한층 더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 성분 (G)는, 성분 (G2) 및/또는 성분 (G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 (G1)은, 탄소수가 15 이상, 22 이하인 직쇄 알킬기를 갖는 고급 지방산염인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 (G1)에 있어서의 지방산으로는, 예를 들면,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및 베헨산 등을 들 수 있다. 성분 (G1)에 있어서의 염으로는, 예를 들면, 나트륨염, 칼륨염 등의 알칼리 금속염; 모노에탄올아민염, 디에탄올아민염, 트리에탄올아민염 등의 알칸올아민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고급 지방산염은, 미리염으로 조제된 고급 지방산염이 배합된 것이어도 되고, 지방산 및 염기로서 각각 배합되어, 유화 정발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지방산 및 염기로부터 형성된 것이어도 된다.
성분 (G2)로는, 알킬 인산염 및 폴리옥시알킬렌 알킬 에테르 인산염을 들 수 있다.
상기 알킬 인산염으로는, 세틸 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옥시알킬렌 알킬 에테르 인산염에 있어서의 폴리옥시알킬렌 알킬 에테르 인산은, 폴리옥시알킬렌 잔기와 1가의 포화 지방족 알코올 잔기로 구성되는 에테르(폴리옥시알킬렌 알킬 에테르)의 인산 에스테르이다. 폴리옥시알킬렌 알킬 에테르에 있어서의 폴리옥시알킬렌 잔기를 구성하는 옥시알킬렌으로는, 옥시에틸렌, 옥시프로필렌, 옥시부틸렌 등의 탄소수 2∼4의 옥시알킬렌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옥시알킬렌은, 폴리옥시에틸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옥시알킬렌은, 1종만의 옥시알킬렌을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2종 이상의 옥시알킬렌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 폴리옥시알킬렌에 있어서의 옥시알킬렌의 평균 부가 몰수는, 바람직하게는 2 이상, 25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이상, 20 이하이다.
상기 폴리옥시알킬렌 알킬 에테르를 구성하는 1가의 포화 지방족 알코올 잔기는, 1가의 포화 지방족 탄화수소기를 포함한다. 1가의 포화 지방족 탄화수소기로는, 예를 들면, 세틸기, 스테아릴기 등의 탄소수 13 이상, 22 이하(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5 이상, 22 이하)의 포화 지방족 탄화수소기를 들 수 있다. 상기 1가의 포화 지방족 탄화수소기는 직쇄상이다.
폴리옥시알킬렌 알킬 에테르 인산은, 모노에스테르체, 디에스테르체, 트리에스테르체 중 어느 것이어도 되고,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폴리옥시알킬렌 알킬 에테르 인산염으로는, 예를 들면, 무기염, 유기 아민염 및 염기성 아미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무기염으로는, 예를 들면, 나트륨염, 칼륨염 등의 알칼리 금속염; 마그네슘염, 칼슘염 등의 알칼리 토류 금속염; 암모늄염; 알루미늄염; 아연염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아민염으로는, 예를 들면, 모노에탄올아민염, 디에탄올아민염 및 트리에탄올아민염 등을 들 수 있다. 염기성 아미노산염으로는, 예를 들면, 아르기닌염 및 리신염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옥시알킬렌 알킬 에테르 인산염으로는, 예를 들면, 세테스-10 인산, 세테스-20 인산 등의 폴리옥시알킬렌 세틸 에테르 인산의 염; 스테아레스-2 인산, 스테아레스-3 인산 등의 폴리옥시알킬렌 스테아릴 에테르 인산의 염; 트리세테아레스-4 인산 등의 폴리옥시알킬렌 세테아릴 에테르 인산의 염 등을 들 수 있다.
성분 (G3)는, N-아실 아미노산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N-아실 아미노산염에 있어서의 아실기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탄소수 13∼22(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5∼22)의 직쇄 알킬기를 포함하는 지방족 아실기를 들 수 있고, 예를 들면, 미리스토일기, 팔미토일기, 스테아로일기 및 베헤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N-아실 아미노산염에 있어서의 아미노산으로는, 예를 들면, 글리신, 디메틸글리신, 트리메틸글리신, 알라닌, 발린, 로이신, 이소로이신, 세린, 트레오닌, 페닐알라닌, 티로신, 트립토판, 시스틴, 시스테인, 메티오닌, 프롤린, 히드록시프롤린, 아스파라긴산, 글루타민산,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아르기닌, 히스티딘, 리신 및 사르코신 등을 들 수 있다. 유화 안정성을 한층 더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 글루타민산이 바람직하다.
상기 N-아실 아미노산염은, 예를 들면, 나트륨염, 칼륨염 등의 알칼리 금속염; 모노에탄올아민염, 디에탄올아민염, 트리에탄올아민염 등의 알칸올아민염 등이다.
본 발명의 유화 정발제 조성물 100 질량% 중, 성분 (G)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이하이다. 성분 (G)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유화 정발제 조성물 중의 성분 (A) 및 성분 (B)의 함유량이 비교적 많은 경우라도, 유화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성분 (H))
성분 (H)는, 피막 형성 폴리머이다. 본 발명의 유화 정발제 조성물은, 성분 (H)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 (H)를 이용함으로써, 정발 유지력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성분 (H)는, 1종만이 이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성분 (H)로는, 음이온성 피막 형성 폴리머, 양이온성 피막 형성 폴리머, 양성 피막 형성 폴리머 및 비이온성 피막 형성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음이온성 피막 형성 폴리머로는, (메타)아크릴산 알킬 공중합체, (메타)아크릴산/(메타)아크릴산 알킬 공중합체, 아크릴 수지 알칸올아민, 메틸 비닐 에테르/말레인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초산 비닐/크로톤산 공중합체, 초산 비닐/크로톤산/네오데칸산 비닐 공중합체, 초산 비닐/크로톤산/프로피온산 비닐 공중합체, 초산 비닐/말레인산 모노부틸 에스테르/이소보르닐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아크릴산/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알킬 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아크릴레이트/(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산 알킬)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산 아미드) 공중합체, 우레탄-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폴리스티렌 술폰산 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또한,「(메타)아크릴」은, 「아크릴」과 「메타크릴」의 양쪽을 의미한다.
상기 양이온성 피막 형성 폴리머로는, 비닐피롤리돈·N,N-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디에틸황산염(폴리쿼터늄-11), 비닐피롤리돈/디메틸아미노프로필 메타크릴아미드/메타크릴로일아미노프로필 라우릴디메틸암모늄 클로리드 공중합체, 디메틸디알릴암모늄 클로라이드/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폴리쿼터늄-7), 아크릴산/염화 디메틸디알릴암모늄 공중합체(폴리쿼터늄-22),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메타크릴로일옥시 에틸트리메틸암모늄 클로리드 공중합체, 메타크릴산 부틸/메타크릴산 2-에톡시에틸/메타크릴로일옥시 에틸트리메틸암모늄 클로리드 공중합체, 염화 O-[2-히드록시-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비닐이미다졸륨 트리클로라이드/비닐피롤리돈 공중합체,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디메틸디알릴암모늄 클로리드, 폴리비닐피롤리돈/알킬아미노 아크릴레이트/비닐카프로락탐 공중합체, 염화 메틸비닐이미다졸륨·비닐피롤리돈 공중합체, 및 (비닐피롤리돈/디메틸아미노프로필 메타크릴아미드/라우릴디메틸아미노프로필 메타크릴아미드)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양성 피막 형성 폴리머로는, (메타크릴산 에틸 베타인/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N-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 N,N-디메틸암모늄-α-N-메틸카르복시베타인·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공중합체, N,N-디메틸-N-(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아민=N-옥시드·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공중합체, 아크릴산 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산 부틸 아미노에틸/아크릴산 옥틸 아미드 공중합체, 디알킬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공중합체의 모노클로로초산 양성화물 및 (이소부틸렌/디에틸아미노프로필 말레이미드/말레인산)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비이온성 피막 형성 폴리머로는,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초산 비닐·비닐피롤리돈 공중합체, 비닐 메틸 에테르·말레인산 에틸 공중합체 및 폴리비닐 카프로락탐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화 정발제 조성물 100 질량% 중, 성분 (H)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하이다. 성분 (H)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정발 유지력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성분 (H)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플레이킹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그 외의 성분)
본 발명의 유화 정발제 조성물은, 상술한 성분 [성분 (A)∼(H)] 이외의 성분 (다른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다른 성분으로는, 양이온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저급 알코올, 고급 알코올, 다가 알코올(당 알코올을 포함한다), 분체, 성분 (B)에 상당하지 않는 증점제, 보습제(히알루론산, 콜라겐, 판토테닐 알코올 등), 방부제(메틸파라벤, 에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이소프로필파라벤, 부틸파라벤, 이소부틸파라벤 및 페녹시에탄올 등), 중화제, pH 조정제, 향료, 자외선 흡수제, 색소, 무기 안료, 산화 방지제, 비타민류, 동물성 추출물 및 금속 이온 봉쇄제(킬레이트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른 성분은, 각각 1종만이 이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양이온 계면활성제>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로는, 모노알킬형 4급 암모늄염, 디알킬형 4급 암모늄염, 트리알킬형 4급 암모늄염, 모노알킬 에테르형 4급 암모늄염, 알킬아민 및 지방산 아미도아민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활성제>
상기 양성 계면활성제로는, 라우린산 아미도프로필 베타인 및 야자유 지방산 아미도프로필 베타인 등의 알킬 아미도 베타인형 양성 계면활성제; 알킬 글리신염, 카르복시메틸 글리신염 및 N-아실아미노에틸-N-2-히드록시에틸 글리신염 등의 글리신형 양성 계면활성제; 알킬아미노 프로피온산염 및 알킬이미노 디프로피온산염 등의 아미노 프로피온산형 양성 계면활성제; 알킬 디메틸 아미노초산 베타인, 알킬 아미도프로필 디메틸 아미노초산 베타인 및 알킬 디히드록시에틸 아미노초산 베타인 등의 아미노초산 베타인형 양성 계면활성제; 알킬 히드록시 술포베타인 등의 술포베타인형 양성 계면활성제; 알킬 카르복시메틸 히드록시에틸 이미다졸리늄 베타인 등의 이미다졸리늄형 양성 계면활성제; N-알킬-N,N-디메틸암모늄-N-프로필 술폰산염; N-알킬-N,N-디메틸암모늄-N-(2-히드록시프로필)술폰산염; N-지방산 아미도프로필-N,N-디메틸암모늄-N-(2-히드록시프로필)술폰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저급 알코올>
상기 저급 알코올로는, 에탄올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화 정발제 조성물 100 질량% 중, 상기 저급 알코올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20.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질량% 이하이다.
<고급 알코올>
상기 고급 알코올로는, 라우릴 알코올, 미리스틸 알코올, 세틸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및 올레일 알코올 등의 탄소수 12∼22의 지방족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화 정발제 조성물 100 질량% 중, 상기 고급 알코올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하이다.
<다가 알코올>
상기 다가 알코올로는,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농(濃)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트리글리세린, 글루코오스, 말토오스, 말티톨, 수크로오스, 만니톨, 소르비톨, 1,2-펜탄디올, 1,2-헥산디올 및 1,2-옥탄디올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화 정발제 조성물 100 질량% 중, 상기 다가 알코올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5.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질량% 이하이다.
<분체>
상기 분체로는, 실리카, 규조토, 셀룰로오스 분말(末; powder), 카올린, 운모, 옥수수 전분 및 탈크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화 정발제 조성물 100 질량% 중, 상기 분체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하이다.
<중화제 및 pH 조정제>
상기 중화제 및 pH 조정제로는, 트리에탄올아민, 모노에탄올아민,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탄산암모늄, 인산, 인산염(예를 들면, 인산 나트륨염 등), 구연산, 구연산염(예를 들면, 구연산 나트륨염), 유산, 유산염, 사과산 및 사과산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화 정발제 조성물 100 질량% 중, 상기 중화제의 함유량과 상기 pH 조정제의 함유량의 합계는,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하이다.
(유화 정발제 조성물의 다른 상세)
본 발명의 유화 정발제 조성물은, 유화 조성물이며, 유성 성분과 수성 성분이 유화되어 있다. 본 발명의 유화 정발제 조성물은, 수중유(O/W)형(水中油型)의 유화 정발제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화 정발제 조성물의 성상은, 왁스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화 정발제 조성물은, 왁스상 유화 정발제 조성물(소위, 헤어 왁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화 정발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각 성분을 이용하여, 혼합 및 유화를 행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혼합 및 유화에는, 호모 믹서 등이 이용된다. 유화는, 전상(轉相) 유화여도 된다. 상기 각 성분을 혼합한 후에 유화가 행하여져도 되고, 각 성분의 혼합 시에 유화가 행하여져도 된다.
이하에 본 발명의 구성과 본 발명의 효과의 관련성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이하의 본 발명의 구성과 본 발명의 효과의 관련성은 추정이며, 이하로 한정되지 않는다.
성분 (B)를 포함하는 종래의 유화 정발제 조성물은, 머리카락을 세워 올리는 정발력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성분 (B)를 포함하는 종래의 유화 정발제 조성물은, 해당 유화 정발제 조성물 자체가 비교적 굳어지기 쉽기 때문에, 퍼짐이 나쁘고, 사용성이 뒤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퍼짐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성분 (B)의 함유량을 단순히 줄인 경우에는, 머리카락을 세워 올리는 정발력이 저하된다.
이것에 대해, 본 발명의 유화 정발제 조성물은, 성분 (B)와 함께, 성분 (A) 및 성분 (C)가 특정량으로 이용되고 있으므로, 유화 정발제 조성물 자체가 적당한 경도(어느 정도의 부드러움)를 갖는다. 그 때문에, 유화 정발제 조성물의 퍼짐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 성분 (B) 및 성분 (A1)이 어느 정도의 양으로 포함되기 때문에, 머리카락을 세워 올리는 정발력을 높일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는, 하기의 성분을 이용했다.
(성분 (A))
성분 (A1):
시어 지방(융점 38℃)
카카오 지방(융점 36℃)
트리(카프릴산/카프린산/미리스틴산/스테아린산)글리세릴(융점 40℃)
헥사히드록시스테아린산 디펜타에리스리틸(융점 45℃)
성분 (A2):
바셀린 1(융점 50℃)
바셀린 2(융점 55℃)
바셀린 3(융점 45℃)
(성분 (B))
파라핀 1(융점 53℃)
파라핀 2(융점 74℃)
칸델릴라납(융점 70℃)
카르나우바납(융점 88℃)
밀랍(융점 67℃)
미강납(융점 78℃)
(성분 (C))
(아크릴산 알킬/메타크릴산 스테아레스-20)코폴리머: Rohm and Haas사 제조 「아큐린 22」
(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알킬(C10-30))크로스폴리머: 루브리졸사 제조 「페뮬렌 TR-1」
(아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 베헤네스-25)코폴리머: Rohm and Haas사 제조 「아큐린 28」
(성분 (D))
정제수
(성분 (E))
미네랄 오일
팔미틴산 에틸헥실
미리스틴산 2-옥틸도데실
피마자유
데카이소스테아린산 폴리글리세릴-10
테트라에틸헥산산 펜타에리스리틸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
(성분 (F))
세테스-20
스테아린산 소르비탄
라우린산 폴리글리세릴-10
PEG-60 수소 첨가 피마자유
이소스테아린산 PEG-20 글리세릴
(성분 (G))
디올레스-8 인산 나트륨
트리세테아레스-4 인산
스테아린산
(성분 (H))
(아크릴산 히드록시에틸/아크릴산 메톡시에틸)코폴리머
폴리쿼터늄-11
폴리쿼터늄-7
(그 외)
스테아릴 알코올(고급 알코올)
세틸 알코올(고급 알코올)
글리세린(다가 알코올)
1,3-부틸렌 글리콜(다가 알코올)
폴리옥시프로필렌 소르비트(다가 알코올)
트리에탄올아민(중화제)
수산화칼륨(중화제)
크산탄검(증점제)
카르복시비닐 폴리머(증점제)
규산(Li/Mg/Na)(증점제)
실리카(분체)
에탄올(기제(基劑))
(실시예 1∼10 및 비교예 1∼7)
하기의 표 1∼4에 나타내는 배합 성분을 배합(배합 단위는 질량%)하고, 호모 믹서를 이용해 혼합 및 유화하여, 유화 정발제 조성물을 조제했다. 표 중의 배합량(유화 정발제 조성물 100 질량% 중의 배합량)은, 순분(純分)의 배합량(단위: 질량%)으로 나타냈다.
실시예 1∼10에서 얻어진 유화 정발제 조성물의 성상은 모두 왁스상이었다.
(평가)
전문 패널 3명이, 이하의 평가를 행하였다.
(시험예 1: 머리카락을 세워 올리는 정발력)
얻어진 유화 정발제 조성물 약 2g을 손바닥 상에 덜어, 손바닥 상에서 편 후, 쇼트 헤어의 헤어 가발(레슨 마네킹, 유칼리 재팬사 제조)의 모발 상에 균일하게 도포하고, 모발의 뿌리에서부터 위쪽 방향으로 머리카락을 세워 올려 정발을 실시했다. 정발 직후에, 두정부(頭頂部) 부근의 모발의 일어섬(立上) 각도를 관찰하여, 머리카락을 세워 올리는 정발력을 하기의 기준에 따라 평가했다. 또한, 상기 각도는 수평 방향을 0°, 수직 방향을 90°로 한다.
<머리카락을 세워 올리는 정발력의 평가 기준>
○○(뛰어남): 모발이 일어선다(60°이상의 각도이다)
○(양호): 모발이 일어선다(45°이상, 60°미만의 각도이다)
×(불량): 모발이 일어서지 않는다(45°미만의 각도이다)
(시험예 2: 유화 정발제 조성물의 퍼짐)
얻어진 유화 정발제 조성물 약 2g을 손바닥 상에 덜어, 양손을 서로 비벼, 손바닥 상에서 폈다. 유화 정발제 조성물의 퍼짐을 하기의 기준에 따라 평가했다.
<유화 정발제 조성물의 퍼짐의 평가 기준>
○○(뛰어남): 양손을 맞비비는 횟수가 3회 이내이며, 손바닥 상에 균일하게 펼 수 있고, 펼 때에 저항감을 느끼지 않거나, 약간의 저항감밖에 느끼지 못했다.
○(양호): 양손을 맞비비는 횟수가 3회 이내이며, 손바닥 상에 균일하게 펼 수 있었지만, 펼 때에 분명한 저항감을 느꼈다.
×(불량): 양손을 3회 맞비벼도, 손바닥 상에 균일하게 펼 수 없었다.
(시험예 3: 유화 정발제 조성물의 경도)
자(jar) 용기 내에 수용한 유화 정발제 조성물을, 집게 손가락으로 양호하게 덜어낼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했다. 그 결과, 실시예 1∼10 및 비교예 1, 2, 5, 6에서 얻어진 유화 정발제 조성물에서는, 해당 유화 정발제 조성물이 적당한 경도를 갖고 있었기 때문에, 집게 손가락으로 양호하게 덜어낼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3, 4, 7에서 얻어진 유화 정발제 조성물은, 유화 정발제 조성물 자체가 매우 단단했기 때문에, 집게 손가락으로 양호하게 덜어낼 수 없었다.
(시험예 4: 유화 안정성)
얻어진 유화 정발제 조성물을 40℃에서 2주간 보관했다. 보관 후의 유화 정발제 조성물의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했다. 그 결과, 실시예 1∼10 및 비교예 1∼5, 7에서 얻어진 유화 정발제 조성물에서는, 2주간의 보관 전후에 있어서, 성상의 변화가 없거나 또는 거의 없고, 유화 안정성이 양호했다. 한편, 비교예 6에서 얻어진 유화 정발제 조성물에서는, 2주간의 보관 후에 해당 유화 정발제 조성물의 표면에 기름의 분리가 보여, 유화 안정성이 불량했다.
조성 및 결과를 하기의 표 1∼4에 나타낸다.
이하에, 본 발명의 유화 정발제 조성물의 처방예를 나타낸다.
(처방예 1) 헤어 왁스
시어 지방 2.0 질량%
아스트로칼륨 무루무루 종자 지방 1.0 질량%
바셀린(융점 50℃) 0.5 질량%
파라핀(융점 53℃) 10.0 질량%
카르나우바납 1.0 질량%
칸델릴라납 3.0 질량%
(아크릴산 알킬/메타크릴산 스테아레스-20)코폴리머 0.5 질량%
미네랄 오일 4.0 질량%
스쿠알란 2.0 질량%
경질 이소파라핀 1.5 질량%
피마자유 3.0 질량%
이소노난산 이소노닐 2.0 질량%
테트라2-에틸헥산산 펜타에리스리톨 1.0 질량%
세테스-40 5.0 질량%
스테아린산 소르비탄 1.0 질량%
디올레스-8 인산 나트륨 2.5 질량%
폴리쿼터늄-22 0.3 질량%
스테아릴 알코올 1.5 질량%
글리세린 3.0 질량%
트리에탄올아민 1.0 질량%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0.1 질량%
실리카 1.0 질량%
에탄올 3.0 질량%
정제수 잔부
합계 100.0 질량%
(처방예 2) 헤어 왁스
팜유 3.0 질량%
카카오 지방 2.0 질량%
헥사(히드록시스테아린산/스테아린산/로진산)디펜타에리스리틸 1.5 질량%
미강납 4.5 질량%
밀랍 2.0 질량%
폴리에틸렌 왁스 3.5 질량%
(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알킬(C10-30))크로스폴리머 1.0 질량%
올리브유 4.0 질량%
마카데미아넛유 2.0 질량%
팔미틴산 에틸헥실 5.0 질량%
데카이소스테아린산 폴리글리세릴-10 1.5 질량%
(C13-15)알칸 0.5 질량%
세테아레스-20 3.0 질량%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릴 1.0 질량%
스테아린산 4.5 질량%
아크릴 수지 알칸올아민 1.0 질량%
세탄올 0.5 질량%
1,3-부틸렌 글리콜 5.0 질량%
프로필렌 글리콜 3.0 질량%
수산화칼륨 1.0 질량%
히알루론산 나트륨 0.1 질량%
에데트산 이나트륨 0.3 질량%
에탄올 6.0 질량%
탈크 0.1 질량%
셀룰로오스 분말 0.1 질량%
향료 0.2 질량%
정제수 잔부
합계 100.0 질량%

Claims (5)

  1. 하기 성분 A와, 하기 성분 B와, 하기 성분 C와, 하기 성분 D를 포함하고,
    상기 성분 A 100 질량% 중, 하기 성분 A1의 함유량이, 50.0 질량% 이상이며,
    상기 성분 A의 함유량과 상기 성분 B의 함유량의 합계가, 10.0 질량% 이상, 40.0 질량% 이하이고,
    상기 성분 A의 함유량과 상기 성분 B의 함유량의 합계 100 질량% 중, 상기 성분 A의 함유량이, 10.0 질량% 이상, 50.0 질량% 이하이며,
    상기 성분 C의 함유량이, 0.1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인, 유화 정발제 조성물:
    성분 A: 하기 성분 A1, 또는, 하기 성분 A1 및 하기 성분 A2
    성분 A1: 융점이 30℃ 이상, 50℃ 이하인 식물유 및 융점이 30℃ 이상, 50℃ 이하인 에스테르유 중 적어도 하나
    성분 A2: 바셀린
    성분 B: 융점이 50℃를 넘는 왁스
    성분 C: (아크릴산 알킬/메타크릴산 스테아레스-20)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알킬(C10-30))크로스폴리머, 및 (아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 베헤네스-25)코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증점성 폴리머
    성분 D: 물.
  2.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 성분 E를 포함하는, 유화 정발제 조성물:
    성분 E: 25℃에서 액상인 유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기 성분 F를 포함하는, 유화 정발제 조성물:
    성분 F: 비이온 계면활성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 성분 G를 포함하는, 유화 정발제 조성물:
    성분 G: 음이온 계면활성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헤어 왁스인, 유화 정발제 조성물.
KR1020237029158A 2021-09-21 2022-03-08 유화 정발제 조성물 KR202301333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153512 2021-09-21
JPJP-P-2021-153512 2021-09-21
PCT/JP2022/009966 WO2023047638A1 (ja) 2021-09-21 2022-03-08 乳化整髪剤組成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3384A true KR20230133384A (ko) 2023-09-19

Family

ID=85720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9158A KR20230133384A (ko) 2021-09-21 2022-03-08 유화 정발제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WO2023047638A1 (ko)
KR (1) KR20230133384A (ko)
CN (1) CN116997318A (ko)
WO (1) WO2023047638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1887A (ja) 2005-06-21 2007-01-11 Arimino Kagaku Kk 毛髪化粧料
JP2019131522A (ja) 2018-02-01 2019-08-08 株式会社アリミノ 整髪料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07056B2 (ja) * 2008-04-18 2014-05-28 花王株式会社 乳化型整髪用化粧料
JP5554985B2 (ja) * 2009-12-25 2014-07-23 日清オイリオグループ株式会社 化粧料用組成物、化粧料及び当該化粧料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1887A (ja) 2005-06-21 2007-01-11 Arimino Kagaku Kk 毛髪化粧料
JP2019131522A (ja) 2018-02-01 2019-08-08 株式会社アリミノ 整髪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997318A (zh) 2023-11-03
WO2023047638A1 (ja) 2023-03-30
JPWO2023047638A1 (ko) 2023-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30237B2 (ja) 整髪剤組成物
JP6793531B2 (ja) 乳化整髪剤
JP5215002B2 (ja) 乳化型毛髪化粧料
KR20230133384A (ko) 유화 정발제 조성물
JP7497125B2 (ja) 乳化整髪剤組成物
JP7171143B2 (ja) 整髪剤組成物
JP4982335B2 (ja) 毛髪化粧料
JP2021095374A (ja) 特定の成分の組み合わせを含む安定な組成物
JP5192871B2 (ja) 洗浄剤組成物
JP2022081245A (ja) 乳化整髪剤組成物
JP2023056666A (ja) 整髪剤組成物
JP7150973B2 (ja) 整髪剤組成物
JP2023045231A (ja) 整髪剤組成物
JP2023068332A (ja) 整髪剤組成物
JP2022081246A (ja) 乳化整髪剤組成物
JP2022081371A (ja) 整髪剤組成物
JP2024065823A (ja) 整髪剤組成物
JP2022081247A (ja) 乳化整髪剤組成物
KR102361538B1 (ko) 유화 정발제 조성물
JP2023068331A (ja) 整髪剤組成物
JP7309300B2 (ja) エアゾールスプレー整髪剤
JP7220958B2 (ja) エアゾールフォーム整髪剤
JP5185574B2 (ja) 水中油型乳化整髪剤組成物
JP2020158466A (ja) 整髪剤組成物
JP2023148589A (ja) 整髪剤組成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