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2710A - 보강 필름 - Google Patents

보강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2710A
KR20230132710A KR1020230029109A KR20230029109A KR20230132710A KR 20230132710 A KR20230132710 A KR 20230132710A KR 1020230029109 A KR1020230029109 A KR 1020230029109A KR 20230029109 A KR20230029109 A KR 20230029109A KR 20230132710 A KR20230132710 A KR 20230132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eth
adhesive
acrylat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9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쇼고 사사키
료스케 아라이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32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271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9/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9/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onomers 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ring member
    • C09J139/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N-vinyl-pyrrolid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2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 C09J2301/20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the adhesive coating being discontinuou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7/00Presence of polyester
    • C09J2467/005Presence of polyester in the release coa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부재의 보강에 사용하는 보강 필름이며, 해당 부재의 양호한 굴곡성이 요구되는 부위와 양호한 검사성이 요구되는 부위 각각의 요구 특성을 구비한 점착 필름을 각각의 장소에 용이하게 접합할 수 있는 보강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보강 필름은, 1개의 박리 라이너와 1개의 보호 필름의 사이에 2개 이상의 점착 필름이 간극을 갖도록 배치되어 있는 보강 필름이며, 해당 2개 이상의 점착 필름은 각각, 기재층과 점착제층을 포함하고, 해당 2개 이상의 점착 필름의 해당 점착제층이 해당 1개의 박리 라이너와 직접 적층되고, 해당 2개 이상의 점착 필름은, 적어도 하나의 굴곡 회복 각도가 35도 이상인 점착 필름(I)과 적어도 하나의 550nm에서의 광투과율이 80% 이상인 점착 필름(II)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보강 필름{REINFORCING FILM}
본 발명은, 보강 필름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광학 부재용에 적합한 보강 필름에 관한 것이다.
기재층과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점착 필름은, 다양한 형상의 부재의 보강에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반도체 소자의 기판(예를 들어, TFT 기판 등)에 집적 회로(IC)나 연성 인쇄 회로 기판(FPC)을 접합하는 경우, 통상, 이방성 도전 필름(ACF)에 의해 열압착을 행한다. 이러한 열압착을 행할 때, 미리, 반도체 소자의 기판의 이측에 점착 필름을 접합해서 보강해 두는 경우가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또한, 근년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폴더블 디바이스나 롤러블 디바이스 등의 소위 플렉시블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일반적으로는, 유리 등의 지지 기판 상에, 박리층과 플렉시블한 필름 기판을 형성하고, 그 필름 기판 상에 TFT 기판, 또한 그 위에 유기 EL층을 형성한다. 그리고, 지지 기판을 박리하여, 플렉시블 디바이스를 제조하는 것인데, 플렉시블 표시층이 매우 얇기 때문에, 취급 등에 따라서 디바이스에 문제가 생긴다. 이 때문에, 이측에 점착 필름을 접합해서 보강해 두는 경우가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
반도체 소자의 기판이나 플렉시블 디바이스는, 반복해서 굴곡되는 경우가 있어, 기판 등에 접합한 점착 필름의 굴곡 특성이 나쁘면, 굴곡 후의 회복성이 악화되거나, 최악은 반복 굴곡에 의해 파단되어 버리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굴곡부(예를 들어, 절첩 부재의 가동 굴곡부 등)에 점착 필름을 접합한 경우, 점착 필름이 각도를 갖고 구부러지면, 구부러진 내경측에는 압축 응력이 작용하고, 구부러진 외경측에는 인장 응력이 작용하여, 굴곡부와 그 주변에는 응력 변형이 생기기 때문에, 반도체 소자의 기판이나 플렉시블 디바이스가 파손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집적 회로(IC)나 연성 인쇄 회로 기판(FPC)을 반도체 소자의 기판(예를 들어, TFT 기판 등)에 열압착을 행해서 접합할 때, 기판의 이측으로부터 접합하는 위치를 확인해서 압착을 행한다. 또한, 압착 후에, 필름의 들뜸이나 변형의 유무가 검사된다. 이 때문에, 기판의 이측에 접합하는 점착 필름에는, 투명성이 요구된다.
기판의 이측에 접합하는 점착 필름으로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양호한 굴곡성과 양호한 검사성이 요구되는데, 이들 2개의 요구 특성을 양립시키는 것은 어렵다.
일본 특허 제5600039호 공보 일본 특허 제6376271호 공보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의 문제에 대해서 검토를 거듭한 결과, 반도체 소자의 기판이나 플렉시블 디바이스에 있어서는, 양호한 굴곡성이 요구되는 부위(예를 들어, 플렉시블 표시 소자가 탑재되는 부위)와 양호한 검사성이 요구되는 부위(예를 들어, 구동 소자가 탑재되는 부위)는 다른 경우가 많은 것에 주목했다. 그리고, 이들 부위 각각의 요구 특성을 구비한 점착 필름을 각각의 장소에 용이하게 접합할 수 있으면, 상기 종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지는 않을까라고 생각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부재의 보강에 사용하는 보강 필름이며, 해당 부재의 양호한 굴곡성이 요구되는 부위와 양호한 검사성이 요구되는 부위 각각의 요구 특성을 구비한 점착 필름을 각각의 장소에 용이하게 접합할 수 있는 보강 필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보강 필름은,
1개의 박리 라이너와 1개의 보호 필름의 사이에 2개 이상의 점착 필름이 간극을 갖도록 배치되어 있는 보강 필름이며,
해당 2개 이상의 점착 필름은 각각, 기재층과 점착제층을 포함하고,
해당 2개 이상의 점착 필름의 해당 점착제층이 해당 1개의 박리 라이너와 직접 적층되고,
해당 2개 이상의 점착 필름은, 적어도 하나의 굴곡 회복 각도가 35도 이상인 점착 필름(I)과 적어도 1개의 550nm에서의 광투과율이 80% 이상인 점착 필름(II)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점착 필름(I)이 갖는 점착제층의 85℃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1.0×105Pa 미만이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점착 필름(II)가 갖는 점착제층의 170℃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5.0×103Pa 이상 5.0×105 미만이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점착 필름(I)의 면적이 상기 점착 필름(II)의 면적보다 크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보강 필름은, 광학 부재용 보강 필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재의 보강에 사용하는 보강 필름이며, 해당 부재의 양호한 굴곡성이 요구되는 부위와 양호한 검사성이 요구되는 부위 각각의 요구 특성을 구비한 점착 필름을 각각의 장소에 용이하게 접합할 수 있는 보강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 의한 보강 필름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보강 필름의 하나의 실시 형태로부터 박리 라이너를 박리한 상태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보강 필름의 다른 하나의 실시 형태로부터 박리 라이너를 박리한 상태의 개략 평면도이다.
본 명세서 중에서 「(메트)아크릴」이라는 표현이 있는 경우는, 「아크릴 및/또는 메타크릴」을 의미하고, 「(메트)아크릴레이트」라는 표현이 있는 경우는,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의미하고, 「(메트)알릴」이라는 표현이 있는 경우는, 「알릴 및/또는 메탈릴」을 의미하고, 「(메트)아크롤레인」이라는 표현이 있는 경우는, 「아크롤레인 및/또는 메타크롤레인」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서 「산(염)」이라는 표현이 있는 경우는, 「산 및/또는 그의 염」을 의미한다. 염으로서는,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염, 알칼리 토류 금속염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나트륨염, 칼륨염 등을 들 수 있다.
≪≪A. 보강 필름≫≫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보강 필름은, 1개의 박리 라이너와 1개의 보호 필름의 사이에 2개 이상의 점착 필름이 간극을 갖도록 배치되어 있는 보강 필름이며, 해당 2개 이상의 점착 필름은 각각, 기재층과 점착제층을 포함하고, 해당 2개 이상의 점착 필름의 해당 점착제층이 해당 1개의 박리 라이너와 직접 적층되어 있다.
1개의 박리 라이너와 1개의 보호 필름의 사이에 간극을 갖도록 배치되어 있는 점착 필름의 수는, 2개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2개 내지 10개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개 내지 5개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개 내지 4개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2개 내지 3개이다.
본 발명의 보강 필름의 하나의 실시 형태의 개략 단면도를 도 1에 나타낸다. 도 1은, 1개의 박리 라이너와 1개의 보호 필름의 사이에 2개의 점착 필름이 간극을 갖도록 배치되어 있는 실시 형태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강 필름(1000)은, 박리 라이너(100)와 보호 필름(200)의 사이에, 점착 필름(300a)과 점착 필름(300b)이 간극(L)을 갖도록 배치되어 있다. 점착 필름(300a)은, 기재층(10a)과 점착제층(20a)을 포함한다. 점착 필름(300b)은, 기재층(10b)과 점착제층(20b)을 포함한다.
상기 간격(L)은, 바람직하게는 0.1mm 내지 5.0mm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2mm 내지 3.0mm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3mm 내지 2.0mm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5mm 내지 1.5mm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7mm 내지 1.5mm이다.
점착 필름은, 1개의 박리 라이너와 1개의 보호 필름의 사이에 간극을 갖도록 배치되어 이루어져 있으면,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적절한 배치를 채용할 수 있다. 즉, 접합하는 대상인 부재(예를 들어, 광학 부재)가 갖는 부위(특히, 양호한 굴곡성이 요구되는 부위와 양호한 검사성이 요구되는 부위)의 요구 특성에 따라, 각각의 부위의 배치에 대응시켜서, 2개 이상의 점착 필름이 간극을 갖도록 배치시키면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보강 필름의 하나의 실시 형태로부터 박리 라이너를 박리한 상태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2는, 2개의 점착 필름이 간극을 갖도록 배치되어 있는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에서는, 점착 필름(300a)과 점착 필름(300b)이 간극(L)을 갖도록 보호 필름(200) 상에 배치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보강 필름의 다른 하나의 실시 형태로부터 박리 라이너를 박리한 상태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3은, 3개의 점착 필름이 간극을 갖도록 배치되어 있는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에서는, 점착 필름(300a)과 점착 필름(300b과 300c)이 간극(L1, L2)을 갖도록 보호 필름(200) 상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보강 필름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적절한 다른 층을 갖고 있어도 된다. 다른 층은,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다른 층으로서는, 예를 들어 후술하는 대전 방지층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보강 필름에 포함되는 2개 이상의 점착 필름 중의 적어도 하나는, 굴곡 회복 각도가 35도 이상인 점착 필름(I)이다. 상기 굴곡 회복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40도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도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0도 이상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도 이상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20도 이상이다. 상기 굴곡 회복 각도의 상한값은, 바람직하게는 180도 이하이다. 상기 굴곡 회복 각도가 상기 범위 내에 있는 점착 필름이라면, 양호한 굴곡성이 요구되는 부위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딩이나 권취 가능한 디바이스의 해당 폴딩이나 권취 가능한 부위에서의 꺾인 자국이나 감은 자국의 발생을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굴곡 회복 각도가 상기 범위 내를 벗어나서 지나치게 작으면, 양호한 굴곡성이 요구되는 부위에 적용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상기 굴곡 회복 각도의 측정 방법은 후술한다.
굴곡 회복 각도가 35도 이상인 점착 필름(I)은, 예를 들어 기재층(I)과 점착제층(I)을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보강 필름에 포함되는 2개 이상의 점착 필름 중 적어도 하나는, 550nm에서의 광투과율이 80% 이상인 점착 필름(II)이다. 상기 광투과율은, 바람직하게는 83%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85%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8% 이상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다. 상기 광투과율의 상한값은,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이다. 상기 광투과율이 상기 범위 내에 있는 점착 필름이라면, 양호한 검사성이 요구되는 부위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C 본딩 후의 검사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광투과율이 상기 범위 내를 벗어나서 지나치게 작으면, 양호한 검사성이 요구되는 부위에 적용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상기 광투과율의 측정 방법은 후술한다.
550nm에서의 광투과율이 80% 이상인 점착 필름(II)는, 예를 들어 기재층(II)와 점착제층(II)를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점착 필름(I)이 갖는 점착제층은, 그 85℃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바람직하게는 1.0×105Pa 미만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104Pa 미만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104Pa 미만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0×104Pa 미만이다. 상기 85℃에서의 저장 탄성률의 하한값은, 현실적으로는, 바람직하게는 1.0×103Pa 이상이다. 상기 85℃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상기 범위 내에 있으면, 양호한 굴곡성이 요구되는 부위에 보다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딩이나 권취 가능한 디바이스의 해당 폴딩이나 권취 가능한 부위에서의 꺾인 자국이나 감은 자국의 발생을 보다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다. 상기 85℃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상기 범위 내를 벗어나서 지나치게 낮으면, 양호한 굴곡성이 요구되는 부위에 적용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상기 85℃에서의 저장 탄성률의 측정 방법은 후술한다.
점착 필름(II)가 갖는 점착제층은, 그 170℃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바람직하게는 5.0×103Pa 이상 5.0×105 미만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5×103Pa 이상 2.5×105 미만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104Pa 이상 1.0×105 미만이다. 상기 170℃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상기 범위 내에 있으면, 양호한 검사성이 요구되는 부위에 보다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C 본딩 후의 검사성을 보다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170℃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즉, 상기 범위를 벗어나서 지나치게 높거나 또는 지나치게 낮으면, 예를 들어 IC 본딩 시 등에 기포가 들어가기 쉬워져, 양호한 검사성이 요구되는 부위에 적용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상기 170℃에서의 저장 탄성률의 측정 방법은 후술한다.
점착 필름(I)의 면적(점착 필름(I)이 복수개일 경우는 그 합계 면적)과 점착 필름(II)의 면적(점착 필름(II)가 복수개일 경우는 그 합계 면적)은, 양호한 굴곡성이 요구되는 부위와 양호한 검사성이 요구되는 부위 각각의 크기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딩이나 권취 가능한 디바이스의 경우, 대표적으로는, 플렉시블 표시 소자가 탑재되는 부위(양호한 굴곡성이 요구되는 부위)의 면적이, 구동 소자가 탑재되는 부위(양호한 검사성이 요구되는 부위)의 면적보다도 크므로, 그러한 경우에는, 점착 필름(I)의 면적(점착 필름(I)이 복수개일 경우는 그 합계 면적)은, 바람직하게는 점착 필름(II)의 면적(점착 필름(II)가 복수개일 경우는 그 합계 면적)보다 크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보강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박리 라이너를 박리한 후에, 접합하는 대상인 부재(예를 들어, 광학 부재)에 노출된 점착제층을 접합하고, 그 후, 보호 필름을 박리한다. 따라서, 접합하는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점에서, 공통의 점착 필름에 대하여, 박리 라이너의 박리력(A)은, 바람직하게는 보호 필름의 박리력(B)보다도 작다. 공통의 점착 필름에 대하여, 박리 라이너의 박리력(A)이 보호 필름의 박리력(B)보다도 크면, 박리 라이너를 점착 필름으로부터 박리하자고 할 때, 보호 필름과 점착 필름의 사이에서의 박리가 일어나버릴 우려가 있다.
박리 라이너의 박리력(A)은, 바람직하게는 0gf/25mm 이상 10gf/25mm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gf/25mm 이상 8gf/25mm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gf/25mm 이상 5gf/25mm 이하이다.
보호 필름의 박리력(B)은, 바람직하게는 2gf/25mm 이상 15gf/25mm 미만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gf/25mm 이상 12gf/25mm 미만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보강 필름은, 각종 용도에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점에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보강 필름은, 대표적으로는, 광학 부재용 보강 필름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보강 필름은, 특히, 가동 굴곡부를 갖는 벤더블 디바이스(구부리는 것이 가능한 디바이스)나 폴더블 디바이스(접는 것이 가능한 디바이스)나 롤러블 디바이스(둥글게 하는 것이 가능한 디바이스) 등의 플렉시블 디바이스에 적합하게 채용할 수 있다.
≪A-1. 점착 필름≫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보강 필름은, 2개 이상의 점착 필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보강 필름에 포함되는 2개 이상의 점착 필름 중 적어도 하나는, 굴곡 회복 각도가 35도 이상인 점착 필름(I)이며, 적어도 하나는, 550nm에서의 광투과율이 80% 이상인 점착 필름(II)이다.
점착 필름은, 기재층과 점착제층을 포함한다. 즉, 점착 필름(I)은, 기재층(I)과 점착제층(I)을 포함하고, 점착 필름(II)는, 기재층(II)와 점착제층(II)를 포함한다.
점착 필름은, 기재층과 점착제층 이외에,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적절한 다른 층을 갖고 있어도 된다. 다른 층은,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다른 층으로서는, 예를 들어 후술하는 대전 방지층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보강 필름에 포함되는 2개 이상의 점착 필름의 두께는, 동일한 두께이어도 되고, 적어도 1개가 다른 두께이어도 된다. 취급 용이성 등의 점에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보강 필름에 포함되는 2개 이상의 점착 필름의 두께는 동일한 두께인 것이 바람직하다.
<A-1-1. 기재층>
본 명세서에서, 단순히 「기재층」이라고 칭하는 경우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보강 필름에 포함되는 2개 이상의 점착 필름이 포함하는 기재층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즉, 기재층(I)도 기재층(II)도 포함하는 의미)이다.
기재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90㎛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5㎛이다. 기재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에 있으면,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발현될 수 있다.
기재층의 재료로서는, 점착 필름의 구성 요소로서 본 발명의 효과를 발현할 수 있는 것이라면, 임의의 적절한 재료를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기재층의 재료로서는, 대표적으로는 수지 재료를 들 수 있다.
기재층의 재료로서의 수지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PI),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등의 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폴리술폰,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EVA), 폴리아미드(나일론), 전방향족 폴리아미드(아라미드),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페닐렌술피드(PPS), 불소계 수지, 환상 올레핀계 폴리머(COP), 폴리카르보네이트(PC)를 들 수 있다. 기재층의 재료로서의 수지 재료는,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보강 필름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발현시킬 수 있기 위해서, 점착 필름(I)에 포함되는 기재층(I)과 점착 필름(II)에 포함되는 기재층(II)가 다른 물성을 갖고, 다른 재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층(I)은, 23℃에서의 영률이, 바람직하게는 6.0×107Pa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08Pa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108Pa 이상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8.0×108Pa 이상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0×109Pa 이상이다. 기재층(I)의 23℃에서의 영률의 상한은, 대표적으로는, 바람직하게는 1.0×1011Pa 이하이다. 기재층(I)의 23℃에서의 영률이 상기 범위 내에 있으면, 점착 필름(I)을, 양호한 굴곡성이 요구되는 부위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딩이나 권취 가능한 디바이스의 해당 폴딩이나 권취 가능한 부위에서의 꺾인 자국이나 감은 자국의 발생을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다. 기재층(I)의 23℃에서의 영률이 지나치게 낮으면, 점착 필름(I)이 각도를 갖고 구부러지면, 내경측의 압축에 대하여 외경측의 인장을 충분히 유지할 수 없을 우려가 있어, 두께가 변화하기 쉬워지고, 피착체로부터의 들뜸 등이 발생하기 쉬워질 우려가 있다. 기재층(I)의 23℃에서의 영률이 너무 높으면, 점착 필름(I)을 용이하게 변형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영률의 측정 방법은 후술한다.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발현시킬 수 있는 점에서, 기재층(I)의 재료로서의 수지 재료로서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이미드(PI),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다.
기재층(II)는, 550nm에서의 투과율이,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83%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5% 이상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88% 이상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다. 기재층(II)의 550nm에서의 투과율이 상기 범위 내에 있으면, 점착 필름(II)를, 양호한 검사성이 요구되는 부위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C 본딩 후의 검사성을 보다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기재층(II)의 550nm에서의 투과율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서 지나치게 높거나 또는 지나치게 낮으면, 양호한 검사성이 요구되는 부위에 적용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550nm에서의 투과율의 측정 방법은 후술한다.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발현시킬 수 있는 점에서, 기재층(II)의 재료로서의 수지 재료로서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이다.
기재층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적절한 첨가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기재층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적절한 표면 처리가 이루어져 있어도 된다.
<A-1-2. 점착제층>
본 명세서에서, 단순히 「점착제층」이라고 칭하는 경우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보강 필름에 포함되는 2개 이상의 점착 필름이 포함하는 점착제층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즉, 점착제층(I)도 점착제층(II)도 포함하는 의미)이다.
점착제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5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5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0㎛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5㎛이다. 점착제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에 있으면,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발현될 수 있다.
점착제층은, 점착제로 구성된다.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로서는, 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점착제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다.
아크릴계 점착제는, 이와 같이,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규정할 수 있다. 이것은, 아크릴계 점착제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이, 가열이나 자외선 조사 등에 의해 가교 반응 등을 일으킴으로써 아크릴계 점착제가 되기 때문에, 아크릴계 점착제를 그 구조에 의해 직접 특정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또한, 대략 실제적이지 않다는 사정(「불가능·비실제적 사정」)이 존재하기 때문에,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는 것」이라는 규정에 의해, 아크릴계 점착제를 「것」이라고 타당하게 특정한 것이다.
아크릴계 점착제는, 23℃에서의, 박리 속도 300mm/분, 박리 각도 180도에서의, 유리에 대한 점착력이, 바람직하게는 5N/25mm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7N/25mm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N/25mm 이상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0N/25mm 이상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5N/25mm 이상이다. 상기 점착력의 상한은 통상, 크면 클수록 좋지만, 다른 점착제 특성과의 밸런스 등을 감안하면, 바람직하게는 50N/25mm 이하이다. 상기 점착력을 상기 범위 내로 조정하면, 보강 필름으로서 바람직하게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점착력의 측정 방법은 후술한다.
아크릴계 점착제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적절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아크릴계 점착제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임의의 적절한 기재 상에 도포하고, 필요에 따라 가열이나 건조를 행하고, 필요에 따라 경화시켜서, 해당 기재 상에서 아크릴계 점착제를 시트상으로 형성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는 수단으로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적절한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도포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어 롤 코트법, 그라비아 롤 코트법, 리버스 롤 코트법, 키스 롤 코트법, 딥 롤 코트법, 바 코트법, 롤 브러시 코트법, 스프레이 코트법, 나이프 코트법, 에어 나이프 코팅법, 콤마 코트법, 다이렉트 코트법, 다이 코트법을 들 수 있다.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가열이나 건조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적절한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가열·건조의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어 60℃ 내지 180℃로 가열하는 것이나, 예를 들어 실온 정도의 온도에서, 에이징 처리를 행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경화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적절한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화의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어 열, 자외선 조사, 레이저선 조사, α선 조사, β선 조사, γ선 조사, X선 조사, 전자선 조사를 들 수 있다.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아크릴계 점착제를 형성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서는,
(1) 광중합 개시제를 사용한 중합(대표적으로는, 부분 중합)으로 조정한 아크릴계 폴리머(대표적으로는, 아크릴계 부분 중합물)를 포함하는 광경화계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광경화 반응에 의해 광경화계 아크릴계 점착제를 형성하는 방법,
(2) 열중합 개시제를 사용한 용액 중합으로 조정한 아크릴계 폴리머를 포함하는 열경화계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가교 반응에 의해 열경화계 아크릴계 점착제를 형성하는 방법
을 들 수 있다.
즉, 아크릴계 점착제로서는, 대표적으로는,
(1) 광중합 개시제를 사용한 중합(대표적으로는, 부분 중합)으로 조정한 아크릴계 폴리머(대표적으로는, 아크릴계 부분 중합물)(P1)를 포함하는 광경화계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광경화 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광경화계 아크릴계 점착제,
(2) 열중합 개시제를 사용한 용액 중합으로 조정한 아크릴계 폴리머(P2)를 포함하는 열경화계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가교 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열경화계 아크릴계 점착제
를 들 수 있다.
〔A-1-2-1. 아크릴계 폴리머(P1)〕
아크릴계 폴리머의 하나의 실시 형태는, 광중합 개시제를 사용한 중합(대표적으로는, 부분 중합)으로 조제한 아크릴계 폴리머(P1)이다. 광중합 개시제를 사용한 중합의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종래 공지의 방법 등,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적절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를 사용한 중합에서는, 대표적으로는, UV 등의 광을 조사해서 행한다.
아크릴계 폴리머(P1)는, 바람직하게는 아크릴계 부분 중합물(아크릴계 프리폴리머라고 하는 경우도 있음)이다. 아크릴계 부분 중합물은, 모노머 성분의 완전 중합물(바람직하게는, 중합 전화율이 95중량% 초과인 중합물)로서 얻어지는 것과는 달리, 모노머 성분을, 바람직하게는 중합 전화율을 95중량% 이하로 해서 얻어지는 부분 중합물이다.
아크릴계 부분 중합물의 중합 전화율은,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60중량%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하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40중량% 이하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35중량% 이하이다. 아크릴계 부분 중합물의 중합 전화율의 하한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상이다.
아크릴계 폴리머(P1)는, 모노머 성분(M1)을 중합해서 얻어지는 것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모노머 성분(M1)에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중에 포함할 수 있는 후술하는 가교제는 포함되지 않는다. 아크릴계 폴리머(P1)를 중합에 의해 얻을 때는, 모노머 성분(M1), 광중합 개시제 이외에,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적절한 첨가제를 사용해도 된다.
아크릴계 폴리머(P1)는, 이와 같이, 모노머 성분(M1)을 중합해서 얻어지는 것으로서 규정할 수 있다. 이것은, 아크릴계 폴리머(P1)는, 모노머 성분(M1)이 중합 반응을 일으킴으로써 아크릴계 폴리머(P1)가 되어, 아크릴계 폴리머(P1)를 그 구조에 의해 직접 특정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또한, 대략 실제적이지 않다는 사정(「불가능·비실제적 사정」)이 존재하기 때문에, 「모노머 성분(M1)을 중합해서 얻어지는 것」이라는 규정에 의해, 아크릴계 폴리머(P1)를 「것」으로서 타당하게 특정한 것이다.
아크릴계 폴리머(P1)는,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발현시킬 수 있는 점에서, 그 Tg가,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5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4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30℃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20℃이다. 아크릴계 폴리머(P1)의 Tg를 상기 특정 범위 내로 조정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발현시킬 수 있다.
아크릴계 폴리머(P1)의 Tg란, 아크릴계 폴리머(P1)를 구성하는 각 모노머의 단독 중합체(호모 폴리머)의 Tg 및 해당 모노머의 중량 분율(중량 기준의 공중합 비율)에 기초하여, 폭스(Fox)의 식으로부터 구해지는 값을 말한다. Fox의 식이란, 이하에 기재한 바와 같이, 공중합체의 Tg와, 해당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각각을 단독 중합한 호모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Tgi)의 관계식이다.
1/Tg=Σ(Wi/Tgi)
상기 Fox의 식에서, Tg는 공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단위: K), Wi는 해당 공중합체에서의 모노머(i)의 중량 분율(중량 기준의 공중합 비율), Tgi는 모노머(i)의 호모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단위: K)를 나타낸다. 호모 폴리머의 Tg로서는, 공지 자료에 기재된 값을 채용하는 것으로 한다.
호모 폴리머의 Tg로서,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값을 사용할 수 있다.
n-부틸아크릴레이트(BA): -55℃
라우릴아크릴레이트(LA): -23℃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 -70℃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2HEA): -15℃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4HBA): -40℃
N-비닐-2-피롤리돈(NVP): 80℃
메타크릴산메틸(MMA): 105℃
상기에서 예시한 것 이외의 호모 폴리머의 Tg에 대해서는, 「Polymer Handbook」(제3판, John Wiley & Sons, Inc., 1989)에 기재된 수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Polymer Handbook」에 복수의 수치가 기재되어 있는 경우는, conventional의 값을 채용한다. 상기 「Polymer Handbook」에 기재가 없는 모노머에 대해서는, 모노머 제조 기업의 카탈로그 값을 채용한다. 상기 「Polymer Handbook」에 기재가 없고, 모노머 제조 기업의 카탈로그 값도 제공되지 않은 모노머의 호모 폴리머의 Tg로서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07-51271호 공보에 기재된 측정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값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모노머 성분(M1)은, 바람직하게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1)와 극성기 함유 모노머(b1)를 포함한다.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1)는,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극성기 함유 모노머(b1)는,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1)의 에스테르 부분의 알킬기(이하, 「에스테르 부분의 알킬기」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에는, 수산기를 포함하는 알킬기 및 수산기 이외의 극성기를 포함하는 알킬기는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1)는, 극성기 함유 모노머(b1)와 명확하게 구별된다.
모노머 성분(M1) 중의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1)의 함유 비율은,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발현시킬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40중량% 내지 99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5중량% 내지 90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중량% 내지 80중량%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60중량% 내지 75중량%이다.
에스테르 부분의 알킬기는,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발현시킬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18의 알킬기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내지 16의 알킬기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3 내지 14의 알킬기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 내지 14의 알킬기이다.
에스테르 부분의 알킬기는,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발현시킬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쇄상 알킬기이다. 여기서 쇄상이란, 직쇄상 및 분지상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에스테르 부분의 알킬기가 탄소수 1 내지 20의 쇄상 알킬기인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1)로서는, 예를 들어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s-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헵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운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헥사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헵타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옥타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노나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에이코실(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발현시킬 수 있는 점에서, 모노머 성분(M1) 중에 포함할 수 있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1)는, 그 단독 중합체(호모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Tg)가,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8℃ 이하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이다. 상기 유리 전이 온도(Tg)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다. 모노머 성분(M1) 중에 포함할 수 있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1)의 단독 중합체(호모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아크릴계 폴리머(P1)의 점착 특성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모노머 성분(M1) 중에 포함할 수 있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1)로서, 그 단독 중합체(호모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Tg)가 상기 범위 내에 있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를 채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발현시킬 수 있다.
여기서, 모노머 성분(M1) 중에 포함할 수 있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1)의 단독 중합체(호모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Tg)로서는, 공지 자료에 기재된 값을 채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Polymer Handbook」(제3판, John Wiley & Sons, Inc., 1989)에 기재된 수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olymer Handbook」에 복수의 수치가 기재되어 있는 경우는, conventional의 값을 채용한다. 상기 「Polymer Handbook」에 기재가 없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에 대해서는, 모노머 제조 기업의 카탈로그 값을 채용한다. 상기 「Polymer Handbook」에 기재가 없고, 모노머 제조 기업의 카탈로그 값도 제공되지 않은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의 호모 폴리머의 Tg로서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07-51271호 공보에 기재된 측정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값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를 한층 더 발현시킬 수 있는 점에서, 모노머 성분(M1) 중에 포함할 수 있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1)는, 바람직하게는 그 단독 중합체(호모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Tg)가 -40℃ 내지 -10℃(바람직하게는 -35℃ 내지 -15℃,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20℃)의 범위 내에 있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1-1)를 포함한다. 모노머 성분(M1)이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1-1)를 포함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발현될 수 있다.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1-1)로서는, 예를 들어 라우릴아크릴레이트(LA)(그 단독 중합체(호모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Tg)=-23℃)를 들 수 있다.
모노머 성분(M1) 중에 포함할 수 있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1) 전량 중의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1-1)의 함유 비율은,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발현시킬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중량% 내지 90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중량% 내지 80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중량% 내지 70중량%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30중량% 내지 60중량%이다.
모노머 성분(M1) 전량 중의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1-1)의 함유 비율은,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발현시킬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중량% 내지 70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중량% 내지 60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중량% 내지 50중량%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30중량% 내지 45중량%이다.
본 발명의 효과를 한층 더 발현시킬 수 있는 점에서, 모노머 성분(M1) 중에 포함할 수 있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1)는, 바람직하게는 그 단독 중합체(호모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Tg)가 -80℃ 내지 -60℃(바람직하게는 -75℃ 내지 -60℃, 보다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65℃)의 범위 내에 있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1-2)를 포함한다. 모노머 성분(M1)이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1-2)를 포함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발현될 수 있다.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1-2)로서는, 예를 들어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그 단독 중합체(호모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Tg)=-70℃)를 들 수 있다.
모노머 성분(M1) 중에 포함할 수 있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1) 전량 중의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1-2)의 함유 비율은,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발현시킬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20중량% 내지 90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중량% 내지 80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0중량% 내지 70중량%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50중량% 내지 65중량%이다.
모노머 성분(M1) 전량 중의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1-2)의 함유 비율은,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발현시킬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중량% 내지 100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중량% 내지 90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중량% 내지 80중량%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40중량% 내지 70중량%이다.
모노머 성분(M1) 중의 극성기 함유 모노머(b1)의 함유 비율은,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발현시킬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중량% 내지 50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중량% 내지 40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중량% 내지 30중량%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중량% 내지 20중량%이다.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발현시킬 수 있는 점에서, 극성기 함유 모노머(b1)는, 바람직하게는 수산기 함유 모노머(b1-1) 및 수산기 이외의 극성기를 갖는 모노머(b1-2)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산기 함유 모노머(b1-1) 및 수산기 이외의 극성기를 갖는 모노머(b1-2) 양쪽을 포함한다.
수산기 함유 모노머(b1-1)는,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수산기 함유 모노머(b1-1)로서는, 예를 들어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시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N-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발현시킬 수 있는 점에서, 수산기 함유 모노머(b1-1)는, 그 단독 중합체(호모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Tg)가,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1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10℃이다. 수산기 함유 모노머(b1-1)의 단독 중합체(호모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아크릴계 폴리머(P1)의 점착 특성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모노머 성분(M1) 중에 포함할 수 있는 수산기 함유 모노머(b1-1)로서, 그 단독 중합체(호모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Tg)가 상기 범위 내에 있는 수산기 함유 모노머를 채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발현시킬 수 있다.
수산기 함유 모노머(b1-1)의 단독 중합체(호모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Tg)에 대해서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1)의 단독 중합체(호모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Tg)에 관한 설명을 원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를 한층 더 발현시킬 수 있는 점에서, 수산기 함유 모노머(b1-1)로서는,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알킬기의 알킬기 부분이 탄소수 2 내지 4의 직쇄상 알킬기인 히드록시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HEA)(그 단독 중합체(호모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Tg)=-15℃),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4HBA)(그 단독 중합체(호모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Tg)=-40℃)를 들 수 있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4HBA)(그 단독 중합체(호모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Tg)=-40℃)이다.
극성기 함유 모노머(b1) 중의 수산기 함유 모노머(b1-1)의 함유 비율은,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발현시킬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중량% 내지 100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중량% 내지 90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중량% 내지 85중량%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40중량% 내지 80중량%이다.
모노머 성분(M1) 중의 수산기 함유 모노머(b1-1)의 함유 비율은,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발현시킬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중량% 내지 80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중량% 내지 70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중량% 내지 60중량%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30중량% 내지 50중량%이다.
수산기 이외의 극성기를 갖는 모노머(b1-2)는,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수산기 이외의 극성기를 갖는 모노머(b1-2)로서는, 예를 들어 N-비닐-2-피롤리돈, N-비닐-2-피롤리돈 이외의 질소 함유 모노머,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 술폰산기 함유 모노머, 인산기 함유 모노머, 시아노기 함유 모노머, 산 무수물기 함유 모노머, 비닐에스테르류(예를 들어, 아세트산비닐(VAc), 프로피온산비닐, 라우르산비닐), 방향족 비닐 화합물, 아미드기 함유 모노머, 에폭시기 함유 모노머, (메트)아크릴로일모르폴린, 비닐에테르류를 들 수 있다.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산(AA), 메타크릴산(MAA), 카르복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시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이소크로톤산을 들 수 있다.
N-비닐-2-피롤리돈 이외의 질소 함유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메틸비닐피롤리돈, 비닐피리딘, 비닐피페리돈, 비닐피리미딘, 비닐피페라진, 비닐피라진, 비닐피롤, 비닐이미다졸, 비닐옥사졸, 비닐모르폴린, (메트)아크릴로일모르폴린, N-비닐카르복실산아미드류, N-비닐카프로락탐 등의 질소 함유 비닐계 모노머;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시아노기 함유 아크릴계 모노머; 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발현시킬 수 있는 점에서, 수산기 이외의 극성기를 갖는 모노머(b1-2)는, 그 단독 중합체(호모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Tg)가,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0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95℃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90℃이다. 수산기 이외의 극성기를 갖는 모노머(b1-2)의 단독 중합체(호모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아크릴계 폴리머(P1)의 점착 특성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모노머 성분(M1) 중에 포함할 수 있는 수산기 이외의 극성기를 갖는 모노머(b1-2)로서, 그 단독 중합체(호모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Tg)가 상기 범위 내에 있는 수산기 이외의 극성기를 갖는 모노머를 채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발현시킬 수 있다.
수산기 이외의 극성기를 갖는 모노머(b1-2)로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발현시킬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그 단독 중합체(호모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Tg)가 50℃ 내지 100℃인 수산기 이외의 극성기를 갖는 모노머를 들 수 있다. 이 모노머의 단독 중합체(호모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5℃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0℃이다.
수산기 이외의 극성기를 갖는 모노머(b1-2)의 단독 중합체(호모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Tg)에 대해서는, [1-2-1-1.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1)]의 항에서의 모노머 성분(M1) 중에 포함할 수 있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1)의 단독 중합체(호모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Tg)에 관한 설명을 원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를 한층 더 발현시킬 수 있는 점에서, 수산기 이외의 극성기를 갖는 모노머(b1-2)로서는, 바람직하게는 N-비닐-2-피롤리돈(그 단독 중합체(호모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Tg)=80℃)을 들 수 있다.
극성기 함유 모노머(b1) 중의 수산기 이외의 극성기를 갖는 모노머(b1-2)의 함유 비율은,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발현시킬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중량% 내지 90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중량% 내지 80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중량% 내지 70중량%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20중량% 내지 60중량%이다.
모노머 성분(M1) 중의 수산기 이외의 극성기를 갖는 모노머(b1-2)의 함유 비율은,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발현시킬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중량% 내지 20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중량% 내지 10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중량% 내지 9중량%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중량% 내지 8중량%이다.
본 발명의 효과를 한층 더 발현시킬 수 있는 점에서, 모노머 성분(M1)은, 바람직하게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1)와, 수산기 함유 모노머(b1-1) 및 수산기 이외의 극성기를 갖는 모노머(b1-2)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1), 수산기 함유 모노머(b1-1) 및 수산기 이외의 극성기를 갖는 모노머(b1-2)를 포함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그 단독 중합체(호모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Tg)가 -40℃ 내지 -10℃(바람직하게는 -35℃ 내지 -15℃,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20℃)의 범위 내에 있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1-1), 그 단독 중합체(호모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Tg)가 -80℃ 내지 -60℃(바람직하게는 -75℃ 내지 -60℃, 보다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65℃)의 범위 내에 있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1-2), 수산기 함유 모노머(b1-1) 및 수산기 이외의 극성기를 갖는 모노머(b1-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효과를 한층 더 발현시킬 수 있는 점에서, 모노머 성분(M1) 중의, 그 단독 중합체(호모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Tg)가 -40℃ 내지 -10℃(바람직하게는 -35℃ 내지 -15℃,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20℃)의 범위 내에 있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1-1), 그 단독 중합체(호모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Tg)가 -80℃ 내지 -60℃(바람직하게는 -75℃ 내지 -60℃, 보다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65℃)의 범위 내에 있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1-2), 수산기 함유 모노머(b1-1) 및 수산기 이외의 극성기를 갖는 모노머(b1-2)의 합계량의 함유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60중량% 내지 100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70중량% 내지 100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0중량% 내지 100중량%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90중량% 내지 100중량%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95중량% 내지 100중량%이다.
본 발명의 효과를 한층 더 발현시킬 수 있는 점에서, 모노머 성분(M1)은, 구체적으로는, 바람직하게는 라우릴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N-비닐-2-피롤리돈을 포함한다.
모노머 성분(M1)은,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1)와 극성기 함유 모노머(b1)의 어느 것에도 해당하지 않는 기타 모노머(c1)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기타 모노머(c1)는, 예를 들어 아크릴계 폴리머(P1)의 유리 전이 온도(Tg)의 조정, 점착 성능의 조정 등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기타 모노머는,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모노머 성분(M1) 중의 기타 모노머(c1)의 함유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20중량%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하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3중량% 이하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하이다.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중합 방법의 종류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광중합 개시제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는,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벤조인에테르계 광중합 개시제, 아세토페논계 광중합 개시제, α-케톨계 광중합 개시제, 방향족 술포닐클로라이드계 광중합 개시제, 광 활성 옥심계 광중합 개시제, 벤조인계 광중합 개시제, 벤질계 광중합 개시제, 벤조페논계 광중합 개시제, 케탈계 광중합 개시제, 티오크산톤계 광중합 개시제, 아실포스핀옥사이드계 광중합 개시제 등을 들 수 있다.
벤조인에테르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프로필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상품명 「OMNIRAD651」, IGM Resins B.V. 제조), 아니솔메틸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아세토페논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상품명 「OMNIRAD184」, IGM Resins B.V. 제조), 4-페녹시디클로로아세토페논, 4-t-부틸-디클로로아세토페논, 1-[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메틸-1-프로판-1-온(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상품명 「OMNIRAD2959」, IGM Resins B.V. 제조),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메톡시아세토페논 등을 들 수 있다.
α-케톨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2-메틸-2-히드록시프로피오페논, 1-[4-(2-히드록시에틸)-페닐]-2-히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술포닐클로라이드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2-나프탈렌술포닐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광 활성 옥심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1-페닐-1,1-프로판디온-2-(o-에톡시카르보닐)-옥심 등을 들 수 있다.
벤조인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벤조인 등을 들 수 있다.
벤질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벤질 등을 들 수 있다.
벤조페논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벤조페논, 벤조일벤조산, 3,3'-디메틸-4-메톡시벤조페논, 폴리비닐벤조페논, α-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등을 들 수 있다.
케탈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벤질디메틸케탈 등을 들 수 있다.
티오크산톤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티오크산톤, 2-클로로티오크산톤, 2-메틸티오크산톤, 2,4-디메틸티오크산톤, 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2,4-디클로로티오크산톤, 2,4-디에틸티오크산톤, 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2,4-디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도데실티오크산톤 등을 들 수 있다.
아실포스핀옥사이드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페닐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n-부틸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메틸프로판-1-일)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1-메틸프로판-1-일)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t-부틸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시클로헥실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옥틸포스핀옥시드, 비스(2-메톡시벤조일)(2-메틸프로판-1-일)포스핀옥시드, 비스(2-메톡시벤조일)(1-메틸프로판-1-일)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에톡시벤조일)(2-메틸프로판-1-일)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에톡시벤조일)(1-메틸프로판-1-일)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부톡시벤조일)(2-메틸프로판-1-일)포스핀옥시드, 비스(2,4-디메톡시벤조일)(2-메틸프로판-1-일)포스핀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2,4-디펜톡시페닐)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벤질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페닐프로필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페닐에틸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벤질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페닐프로필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페닐에틸포스핀옥시드, 2,6-디메톡시벤조일벤질부틸포스핀옥시드, 2,6-디메톡시벤조일벤질옥틸포스핀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2,5-디이소프로필페닐포스핀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2-메틸페닐포스핀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4-메틸페닐포스핀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2,5-디에틸페닐포스핀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2,3,5,6-테트라메틸페닐포스핀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2,4-디-n-부톡시페닐포스핀옥시드,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시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포스핀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이소부틸포스핀옥시드, 2,6-디메톡시벤조일-2,4,6-트리메틸벤조일-n-부틸포스핀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2,4-디부톡시페닐포스핀옥시드, 1,10-비스[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옥시드]데칸, 트리(2-메틸벤조일)포스핀옥시드 등을 들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적절한 사용량으로 설정될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발현시킬 수 있는 점에서, 모노머 성분(M1) 100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01중량부 내지 10중량부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중량부 내지 5중량부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7중량부 내지 3중량부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01중량부 내지 1중량부이다.
〔A-1-2-2. 아크릴계 폴리머(P2)〕
아크릴계 폴리머의 하나의 실시 형태는, 열중합 개시제를 사용한 용액 중합으로 조정한 아크릴계 폴리머(P2)이다. 열중합 개시제를 사용한 중합의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종래 공지의 방법 등,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적절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아크릴계 폴리머(P2)는, 모노머 성분(M2)을 중합해서 얻어지는 것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모노머 성분(M2)에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중에 포함할 수 있는 후술하는 가교제는 포함되지 않는다. 아크릴계 폴리머(P2)를 중합에 의해 얻을 때는, 모노머 성분(M2), 열중합 개시제 이외에,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적절한 첨가제를 사용해도 된다.
아크릴계 폴리머(P2)는, 이와 같이, 모노머 성분(M2)을 중합해서 얻어지는 것으로서 규정할 수 있다. 이것은, 아크릴계 폴리머(P2)는, 모노머 성분(M2)이 중합 반응을 일으킴으로써 아크릴계 폴리머(P2)가 되어, 아크릴계 폴리머(P2)를 그 구조에 의해 직접 특정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또한, 대략 실제적이지 않다는 사정(「불가능·비실제적 사정」)이 존재하기 때문에, 「모노머 성분(M2)을 중합해서 얻어지는 것」이라는 규정에 의해, 아크릴계 폴리머(P2)를 「것」이라고 타당하게 특정한 것이다.
아크릴계 폴리머(P2)는,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발현시킬 수 있는 점에서, 그 Tg가,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5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4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30℃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20℃이다. 아크릴계 폴리머(P2)의 Tg를 상기 특정 범위 내로 조정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발현시킬 수 있다.
아크릴계 폴리머(P2)의 Tg란, 아크릴계 폴리머(P2)를 구성하는 각 모노머의 단독 중합체(호모 폴리머)의 Tg 및 해당 모노머의 중량 분율(중량 기준의 공중합 비율)에 기초하여, 폭스(Fox)의 식으로부터 구해지는 값을 말한다. Fox의 식, 각종 호모 폴리머의 Tg에 대해서는, 〔A-1-2-1. 아크릴계 폴리머(P1)〕의 항에서의 설명을 원용할 수 있다.
모노머 성분(M2)은, 바람직하게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2)와 극성기 함유 모노머(b2)를 포함한다.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2)는,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극성기 함유 모노머(b2)는,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2)의 에스테르 부분의 알킬기(이하, 「에스테르 부분의 알킬기」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에는, 수산기를 포함하는 알킬기 및 수산기 이외의 극성기를 포함하는 알킬기는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2)는, 극성기 함유 모노머(b2)와 명확하게 구별된다.
모노머 성분(M2) 중의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2)의 함유 비율은,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발현시킬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40중량% 내지 99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5중량% 내지 90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중량% 내지 80중량%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60중량% 내지 75중량%이다.
에스테르 부분의 알킬기는,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발현시킬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18의 알킬기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16의 알킬기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14의 알킬기이다.
에스테르 부분의 알킬기는,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발현시킬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쇄상 알킬기이다. 여기서 쇄상이란, 직쇄상 및 분지상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에스테르 부분의 알킬기가 탄소수 1 내지 20의 쇄상 알킬기인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2)에 대해서는, 〔A-1-2-1. 아크릴계 폴리머(P1)〕의 항에서의 에스테르 부분의 알킬기가 탄소수 1 내지 20의 쇄상 알킬기인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1)에 관한 설명을 원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발현시킬 수 있는 점에서, 모노머 성분(M2) 중에 포함할 수 있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2)는, 바람직하게는 그 단독 중합체(호모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Tg)가 -80℃ 내지 -60℃(바람직하게는 -75℃ 내지 -60℃, 보다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65℃)의 범위 내에 있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2-1)를 포함한다. 모노머 성분(M2)이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2-1)를 포함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발현될 수 있다.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2-1)로서는, 예를 들어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그 단독 중합체(호모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Tg)=-70℃)를 들 수 있다.
모노머 성분(M2) 중에 포함할 수 있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2) 전량 중의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2-1)의 함유 비율은,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발현시킬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30중량% 내지 100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0중량% 내지 100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중량% 내지 100중량%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60중량% 내지 100중량%이다.
모노머 성분(M2) 전량 중의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2-1)의 함유 비율은,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발현시킬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0중량% 내지 100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60중량% 내지 100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70중량% 내지 100중량%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80중량% 내지 100중량%이다.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발현시킬 수 있는 점에서, 모노머 성분(M2) 중에 포함할 수 있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2)는, 바람직하게는 그 단독 중합체(호모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Tg)가 90℃ 내지 120℃(바람직하게는 95℃ 내지 115℃,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10℃)의 범위 내에 있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2-2)를 포함한다. 모노머 성분(M2)이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2-2)를 포함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발현될 수 있다.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2-2)로서는, 예를 들어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그 단독 중합체(호모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Tg)=105℃)를 들 수 있다.
모노머 성분(M2) 중에 포함할 수 있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2) 전량 중의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2-2)의 함유 비율은,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발현시킬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60중량% 내지 100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70중량% 내지 100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0중량% 내지 100중량%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90중량% 내지 100중량%이다.
모노머 성분(M2) 전량 중의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2-2)의 함유 비율은,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발현시킬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중량% 내지 40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중량% 내지 30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중량% 내지 20중량%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중량% 내지 15중량%이다.
모노머 성분(M2) 중의 극성기 함유 모노머(b2)의 함유 비율은,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발현시킬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중량% 내지 45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중량% 내지 40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중량% 내지 35중량%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중량% 내지 30중량%이다.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발현시킬 수 있는 점에서, 극성기 함유 모노머(b2)는, 바람직하게는 수산기 함유 모노머(b2-1) 및 수산기 이외의 극성기를 갖는 모노머(b2-2)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산기 함유 모노머(b2-1) 및 수산기 이외의 극성기를 갖는 모노머(b2-2) 양쪽을 포함한다.
수산기 함유 모노머(b2-1)는,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수산기 함유 모노머(b2-1)에 대해서는, 〔A-1-2-1. 아크릴계 폴리머(P1)〕의 항에서의 수산기 함유 모노머(b1-1)에 관한 설명을 원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발현시킬 수 있는 점에서, 수산기 함유 모노머(b2-1)는, 그 단독 중합체(호모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Tg)가,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1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10℃이다. 수산기 함유 모노머(b2-1)의 단독 중합체(호모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아크릴계 폴리머(P2)의 점착 특성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모노머 성분(M2) 중에 포함할 수 있는 수산기 함유 모노머(b2-1)로서, 그 단독 중합체(호모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Tg)가 상기 범위 내에 있는 수산기 함유 모노머를 채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발현시킬 수 있다.
수산기 함유 모노머(b2-1)의 단독 중합체(호모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Tg)에 대해서는, 〔A-1-2-1. 아크릴계 폴리머(P1)〕의 항에서의 모노머 성분(M1) 중에 포함할 수 있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1)의 단독 중합체(호모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Tg)에 관한 설명을 원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를 한층 더 발현시킬 수 있는 점에서, 수산기 함유 모노머(b2-1)로서는,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알킬기의 알킬기 부분이 탄소수 2 내지 4의 직쇄상 알킬기인 히드록시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HEA)(그 단독 중합체(호모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Tg)=-15℃),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4HBA)(그 단독 중합체(호모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Tg)=-40℃)를 들 수 있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HEA)(그 단독 중합체(호모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Tg)=-15℃)이다.
극성기 함유 모노머(b2) 중의 수산기 함유 모노머(b2-1)의 함유 비율은,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발현시킬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중량% 내지 100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중량% 내지 100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중량% 내지 100중량%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40중량% 내지 100중량%이다.
모노머 성분(M2) 중의 수산기 함유 모노머(b2-1)의 함유 비율은,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발현시킬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중량% 내지 45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중량% 내지 30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중량% 내지 25중량%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중량% 내지 20중량%이다.
수산기 이외의 극성기를 갖는 모노머(b2-2)는,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수산기 이외의 극성기를 갖는 모노머(b2-2)에 대해서는, 〔A-1-2-1. 아크릴계 폴리머(P1)〕의 항에서의 수산기 이외의 극성기를 갖는 모노머(b1-2)에 관한 설명을 원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발현시킬 수 있는 점에서, 수산기 이외의 극성기를 갖는 모노머(b2-2)는, 그 단독 중합체(호모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Tg)가,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0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95℃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90℃이다. 수산기 이외의 극성기를 갖는 모노머(b2-2)의 단독 중합체(호모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아크릴계 폴리머(P2)의 점착 특성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모노머 성분(M2) 중에 포함할 수 있는 수산기 이외의 극성기를 갖는 모노머(b2-2)로서, 그 단독 중합체(호모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Tg)가 상기 범위 내에 있는 수산기 이외의 극성기를 갖는 모노머를 채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발현시킬 수 있다.
수산기 이외의 극성기를 갖는 모노머(b2-2)로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발현시킬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그 단독 중합체(호모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Tg)가 50℃ 내지 100℃인 수산기 이외의 극성기를 갖는 모노머를 들 수 있다. 이 모노머의 단독 중합체(호모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5℃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0℃이다.
수산기 이외의 극성기를 갖는 모노머(b2-2)의 단독 중합체(호모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Tg)에 대해서는, [1-2-1-1.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1)]의 항에서의 모노머 성분(M1) 중에 포함할 수 있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1)의 단독 중합체(호모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Tg)에 관한 설명을 원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를 한층 더 발현시킬 수 있는 점에서, 수산기 이외의 극성기를 갖는 모노머(b2-2)로서는, 바람직하게는 N-비닐-2-피롤리돈(그 단독 중합체(호모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Tg)=80℃)을 들 수 있다.
극성기 함유 모노머(b2) 중의 수산기 이외의 극성기를 갖는 모노머(b2-2)의 함유 비율은,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발현시킬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중량% 내지 90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중량% 내지 80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중량% 내지 70중량%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30중량% 내지 60중량%이다.
모노머 성분(M2) 중의 수산기 이외의 극성기를 갖는 모노머(b2-2)의 함유 비율은,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발현시킬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중량% 내지 35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중량% 내지 30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중량% 내지 25중량%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중량% 내지 20중량%이다.
본 발명의 효과를 한층 더 발현시킬 수 있는 점에서, 모노머 성분(M2)은, 바람직하게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2)와, 수산기 함유 모노머(b2-1) 및 수산기 이외의 극성기를 갖는 모노머(b2-2)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2), 수산기 함유 모노머(b2-1) 및 수산기 이외의 극성기를 갖는 모노머(b2-2)를 포함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그 단독 중합체(호모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Tg)가 -80℃ 내지 -60℃(바람직하게는 -75℃ 내지 -60℃, 보다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65℃)의 범위 내에 있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2-1), 그 단독 중합체(호모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Tg)가 -120℃ 내지 -90℃(바람직하게는 -115℃ 내지 -95℃,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00℃)의 범위 내에 있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2-2), 수산기 함유 모노머(b2-1) 및 수산기 이외의 극성기를 갖는 모노머(b2-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효과를 한층 더 발현시킬 수 있는 점에서, 모노머 성분(M2) 중의, 그 단독 중합체(호모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Tg)가 -80℃ 내지 -60℃(바람직하게는 -75℃ 내지 -60℃, 보다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65℃)의 범위 내에 있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2-1), 그 단독 중합체(호모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Tg)가 -120℃ 내지 -90℃(바람직하게는 -115℃ 내지 -95℃,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00℃)의 범위 내에 있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2-2), 수산기 함유 모노머(b2-1) 및 수산기 이외의 극성기를 갖는 모노머(b2-2)의 합계량의 함유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60중량% 내지 100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70중량% 내지 100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0중량% 내지 100중량%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90중량% 내지 100중량%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95중량% 내지 100중량%이다.
본 발명의 효과를 한층 더 발현시킬 수 있는 점에서, 모노머 성분(M2)은, 구체적으로는, 바람직하게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N-비닐-2-피롤리돈을 포함한다.
모노머 성분(M2)은,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2)와 극성기 함유 모노머(b2)의 어느 것에도 해당하지 않는 기타 모노머(c2)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기타 모노머(c2)는, 예를 들어 아크릴계 폴리머(P1)의 유리 전이 온도(Tg)의 조정, 점착 성능의 조정 등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기타 모노머는,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모노머 성분(M2) 중의 기타 모노머(c2)의 함유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20중량%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하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3중량% 이하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하이다.
열중합 개시제로서는, 중합 방법의 종류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열중합 개시제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열중합 개시제는,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열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온산)디메틸, 4,4'-아조비스-4-시아노발레르산, 아조비스이소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디히드로클로라이드, 2,2'-아조비스[2-(5-메틸-2-이미다졸린-2-일)프로판]디히드로클로라이드,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온아미딘)이황산염, 2,2'-아조비스(N,N'-디메틸렌이소부틸아미딘), 2,2'-아조비스[N-(2-카르복시에틸)-2-메틸프로피온아미딘]하이드레이트(VA-057, 와코 쥰야꾸 고교(주) 제조) 등의 아조계 개시제; 과황산칼륨, 과황산암모늄 등의 과황산염, 디(2-에틸헥실)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디(4-t-부틸시클로헥실)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디-sec-부틸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t-부틸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t-헥실퍼옥시피발레이트, t-부틸퍼옥시피발레이트, 디라우로일퍼옥시드, 디-n-옥타노일퍼옥시드, 1,1,3,3-테트라메틸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디(4-메틸벤조일)퍼옥시드, 디벤조일퍼옥시드, t-부틸퍼옥시이소부티레이트, 1,1-디(t-헥실퍼옥시)시클로헥산, t-부틸하이드로퍼옥시드, 과산화수소 등의 과산화물계 개시제; 과황산염과 아황산수소나트륨의 조합, 과산화물과 아스코르브산나트륨의 조합 등의 과산화물과 환원제를 조합한 산화 환원계 개시제; 페닐 치환 에탄 등의 치환 에탄계 개시제; 방향족 카르보닐 화합물; 을 들 수 있다.
열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적절한 사용량으로 설정될 수 있다. 열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발현시킬 수 있는 점에서, 모노머 성분(M2) 100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01중량부 내지 10중량부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중량부 내지 5중량부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7중량부 내지 3중량부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01중량부 내지 1중량부이다.
〔A-1-2-3. 아크릴계 점착제의 제1 실시 형태(광경화계 아크릴계 점착제)〕
아크릴계 점착제의 제1 실시 형태는, 광경화계 아크릴계 점착제이며, 광경화계 아크릴계 점착제는, 대표적으로는, 아크릴계 폴리머(P1)를 포함하는 광경화계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광경화 반응에 의해 형성된다.
광경화계 아크릴계 점착제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에 의해, 광경화계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된다. 이러한 형성 방법으로서는, 대표적으로는, 광경화계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임의의 적절한 기재 상에 도포하고, 그 후, 도포해서 형성된 점착제층의 표면에, 다른 임의의 적절한 기재를 적재하여, 자외선 조사함으로써 경화시켜서 형성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광경화계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도포 방법으로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적절한 도포 방법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도포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롤 코트법, 그라비아 롤 코트법, 리버스 롤 코트법, 키스 롤 코트법, 딥 롤 코트법, 바 코트법, 롤 브러시 코트법, 스프레이 코트법, 나이프 코트법, 에어 나이프 코팅법, 콤마 코트법, 다이렉트 코트법, 다이 코트법을 들 수 있다.
광경화계 아크릴계 점착제의 형성 시에는, 필요에 따라, 가열을 행해도 된다. 또한, 형성된 광경화계 아크릴계 점착제 내에서의 성분 이행의 조정, 가교 반응의 진행, 광경화계 아크릴계 점착제 내에 존재할 수 있는 변형의 완화 등을 목적으로, 에이징을 행해도 된다.
광경화계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은,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1-2)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1-2)의 종류는, 아크릴계 폴리머(P1)를 제조하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1-2)의 종류와 동일하여도 되고, 달라도 된다.
광경화계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중의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a1-2)의 함유 비율은,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발현시킬 수 있는 점에서, 아크릴계 폴리머(P1)의 전량(100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20중량% 내지 90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중량% 내지 80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0중량% 내지 70중량%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50중량% 내지 65중량%이다.
광경화계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가교제(L1)를 포함한다. 가교제(L1)는,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광경화계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중의 가교제(L1)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적절한 함유량으로 설정될 수 있다. 광경화계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중의 가교제(L1)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발현시킬 수 있는 점에서, 아크릴계 폴리머(P1) 100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01중량부 내지 0.5중량부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중량부 내지 0.3중량부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중량부 내지 0.2중량부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05중량부 내지 0.1중량부이다.
가교제(L1)로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적절한 가교제를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가교제(L1)로서는, 바람직하게는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적절한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를 채용할 수 있다.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는,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이러한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1,2-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12-도데칸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다가 알코올과 (메트)아크릴산의 에스테르 화합물; 알릴(메트)아크릴레이트; 비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 에폭시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부틸디(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디(메트)아크릴레이트; 를 들 수 있다.
광경화계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은,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아크릴계 올리고머는,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광경화계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중의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적절한 함유량으로 설정될 수 있다. 광경화계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중의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발현시킬 수 있는 점에서, 아크릴계 폴리머(P1) 100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1중량부 내지 20중량부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중량부 내지 15중량부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중량부 내지 10중량부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5중량부 내지 8중량부이다.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3000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2000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0 내지 10000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8000이다. 광경화계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이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포함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발현될 수 있다.
또한,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GPC법에 의해 폴리스티렌 환산해서 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소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고속 GPC 장치 「HPLC-8120GPC」를 사용하여, 하기 조건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칼럼: TSKgel SuperHZM-H/HZ4000/HZ3000/HZ2000
용매: 테트라히드로푸란
유속: 0.6ml/분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30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300℃이다.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Tg란,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구성하는 각 모노머의 단독 중합체(호모 폴리머)의 Tg 및 해당 모노머의 중량 분율(중량 기준의 공중합 비율)에 기초하여, 폭스(Fox)의 식으로부터 구해지는 값을 말한다. Fox의 식, 각종 호모 폴리머의 Tg에 대해서는, 〔A-1-2-1. 아크릴계 폴리머(P1)〕의 항에서의 설명을 원용할 수 있다.
아크릴계 올리고머로서는, 분자 내에 환상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를 필수 성분으로 하는 모노머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아크릴계 올리고머가 바람직하고, 분자 내에 환상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및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필수 성분으로 하는 모노머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아크릴계 올리고머가 보다 바람직하다.
분자 내에 환상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는,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는,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분자 내에 환상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에서의 환상 구조로서는, 방향족성 환, 비방향족성 환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방향족성 환으로서는, 예를 들어 방향족성 탄소환(예를 들어, 벤젠환 등의 단환 탄소환이나, 나프탈렌환 등의 축합 탄소환 등), 각종 방향족성 복소환 등을 들 수 있다.
비방향족성 환으로서는, 예를 들어 비방향족성 지방족환(비방향족성 지환식 환)(예를 들어, 시클로펜탄환, 시클로헥산환, 시클로헵탄환, 시클로옥탄환 등의 시클로알칸환; 시클로헥센환 등의 시클로알켄환 등), 비방향족성 가교환(예를 들어, 피난, 피넨, 보르난, 노르보르난, 노르보르넨 등에서의 2환식 탄화수소환; 아다만탄 등에서의 3환 이상의 지방족 탄화수소환(가교식 탄화수소환) 등), 비방향족성 복소환(예를 들어, 에폭시환, 옥솔란환, 옥세탄환 등) 등을 들 수 있다. 3환 이상의 지방족 탄화수소환(3환 이상의 가교식 탄화수소환)으로서는, 예를 들어 디시클로펜타닐기, 디시클로펜테닐기, 아다만틸기, 트리시클로펜타닐기, 트리시클로펜테닐기 등을 들 수 있다.
분자 내에 환상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시클로펜틸, (메트)아크릴산시클로헥실, (메트)아크릴산시클로헵틸, (메트)아크릴산시클로옥틸 등의 (메트)아크릴산시클로알킬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이소보르닐 등의 2환식의 지방족 탄화수소환을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디시클로펜타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옥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펜타닐(메트)아크릴레이트, 1-아다만틸(메트)아크릴레이트, 2-메틸-2-아다만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2-아다만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3환 이상의 지방족 탄화수소환을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페닐 등의 (메트)아크릴산아릴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페녹시에틸 등의 (메트)아크릴산아릴옥시알킬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벤질 등의 (메트)아크릴산아릴알킬에스테르 등의 방향족성 환을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분자 내에 환상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로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발현시킬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비방향족성 환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를 들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시클로헥실(CHA), 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CHMA), 아크릴산디시클로펜타닐(DCPA), 메타크릴산디시클로펜타닐(DCPMA)을 들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디시클로펜타닐(DCPA), 메타크릴산디시클로펜타닐(DCPMA)을 들 수 있다.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구성하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는 전체 모노머 중에서의 분자 내에 환상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의 함유 비율은,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발현시킬 수 있는 점에서, 전체 모노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0중량부 내지 90중량부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중량부 내지 80중량부이다.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메틸, (메트)아크릴산에틸, (메트)아크릴산프로필, (메트)아크릴산이소프로필, (메트)아크릴산부틸, (메트)아크릴산이소부틸, (메트)아크릴산s-부틸, (메트)아크릴산t-부틸, (메트)아크릴산펜틸, (메트)아크릴산이소펜틸, (메트)아크릴산헥실, (메트)아크릴산헵틸, (메트)아크릴산옥틸, (메트)아크릴산2-에틸헥실, (메트)아크릴산이소옥틸, (메트)아크릴산노닐, (메트)아크릴산이소노닐, (메트)아크릴산데실, (메트)아크릴산이소데실, (메트)아크릴산운데실, (메트)아크릴산도데실, (메트)아크릴산트리데실, (메트)아크릴산테트라데실, (메트)아크릴산펜타데실, (메트)아크릴산헥사데실, (메트)아크릴산헵타데실, (메트)아크릴산옥타데실, (메트)아크릴산노나데실, (메트)아크릴산에이코실 등의 알킬기의 탄소수가 1 내지 20의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발현시킬 수 있는 점에서, 메타크릴산메틸(MMA)이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구성하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는 전체 모노머 중에서의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의 함유 비율은,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발현시킬 수 있는 점에서, 전체 모노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0중량부 내지 90중량부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중량부 내지 80중량부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중량부 내지 60중량부이다.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구성하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는 전체 모노머(모노머 조성물)는, 분자 내에 환상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이외에, 이들 모노머와 공중합이 가능한 다른 모노머(공중합성 모노머)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구성하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는 전체 모노머(모노머 조성물) 중의 다른 모노머(공중합성 모노머)의 함유량은, 전체 모노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50중량부 미만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중량부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중량부 이하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중량부 이하이다.
이러한 다른 모노머(공중합성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알콕시알킬에스테르(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2-메톡시에틸, (메트)아크릴산2-에톡시에틸, (메트)아크릴산메톡시트리에틸렌글리콜, (메트)아크릴산3-메톡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3-에톡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4-메톡시부틸, (메트)아크릴산4-에톡시부틸 등),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이소크로톤산, 무수 말레산 등의 산 무수물기 함유 모노머 등), 수산기 함유 모노머(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산3-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4-히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산6-히드록시헥실 등의 (메트)아크릴산히드록시알킬; 비닐알코올; 알릴알코올; 등), 아미드기 함유 모노머(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톡시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부톡시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등),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디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t-부틸아미노에틸 등), 시아노기 함유 모노머(예를 들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 술폰산기 함유 모노머(예를 들어, 비닐술폰산나트륨 등), 인산기 함유 모노머(예를 들어,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로일포스페이트 등),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모노머(예를 들어,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네이트 등), 이미드기 함유 모노머(예를 들어, 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이소프로필말레이미드 등) 등을 들 수 있다.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구성하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는 전체 모노머(모노머 조성물)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1) 아크릴산디시클로펜타닐, 메타크릴산디시클로펜타닐, 아크릴산시클로헥실 및 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모노머, 및 (2) 메타크릴산메틸을 포함한다. 이 경우,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구성하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는 전체 모노머(모노머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의 모노머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30중량부 내지 70중량부이며, (2)의 모노머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30중량부 내지 70중량부이다.
아크릴계 올리고머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적절한 중합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중합의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용액 중합 방법, 유화 중합 방법, 괴상 중합 방법,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의한 중합 방법(활성 에너지선 중합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괴상 중합 방법, 용액 중합 방법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용액 중합 방법이다.
중합에서 사용할 수 있는 용제로서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n-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톨루엔, 벤젠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n-헥산, n-헵탄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류;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등의 지환식 탄화수소류;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류; 등의 유기 용제를 들 수 있다. 용제는,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중합에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적절한 중합 개시제(예를 들어, 열중합 개시제나 광중합 개시제 등)를 채용할 수 있다. 중합 개시제는,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용액 중합을 행하는 경우에는, 유용성의 중합 개시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중합 개시제로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적절한 열중합 개시제를 채용할 수 있다. 열중합 개시제는,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이러한 열중합 개시제의 구체예에 대해서는, [1-2-2-4. 열중합 개시제]의 항의 설명을 원용할 수 있다.
열중합 개시제의 함유량으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구성하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는 전체 모노머(모노머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1중량부 내지 15중량부이다.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적절한 광중합 개시제를 채용할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는,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이러한 광중합 개시제의 구체예에 대해서는, [1-2-1-4. 광중합 개시제]의 항의 설명을 원용할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의 함유량으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구성하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는 전체 모노머(모노머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01중량부 내지 0.5중량부이다.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중합 시에는, 분자량을 조정하기 위해서(바람직하게는, 중량 평균 분자량을 1000 내지 30000으로 조정하기 위해서), 연쇄 이동제가 사용되고 있어도 된다. 연쇄 이동제로서는, 예를 들어 2-머캅토에탄올, α-티오글리세롤, 2,3-디머캅토-1-프로판올, 옥틸머캅탄, t-노닐머캅탄, 도데실머캅탄(라우릴머캅탄), t-도데실머캅탄, 글리시딜머캅탄, 티오글리콜산, 티오글리콜산메틸, 티오글리콜산에틸, 티오글리콜산프로필, 티오글리콜산부틸, 티오글리콜산t-부틸, 티오글리콜산2-에틸헥실, 티오글리콜산옥틸, 티오글리콜산이소옥틸, 티오글리콜산데실, 티오글리콜산도데실, 에틸렌글리콜의 티오글리콜산에스테르, 네오펜틸글리콜의 티오글리콜산에스테르, 펜타에리트리톨의 티오글리콜산에스테르, α-메틸스티렌 다이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본 발명의 양면 점착 테이프의 백화를 억제하는 등의 관점에서, α-티오글리세롤, 티오글리콜산메틸이 바람직하고, α-티오글리세롤이 특히 바람직하다. 연쇄 이동제는,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연쇄 이동제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구성하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는 전체 모노머(모노머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1중량부 내지 20중량부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2중량부 내지 15중량부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3중량부 내지 10중량부이다.
광경화계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적절한 기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타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점착 부여제, 무기 충전제, 유기 충전제, 금속 분말, 안료, 착색제, 박상물, 연화제, 노화 방지제, 도전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광안정제, 표면 윤활제, 레벨링제, 부식 방지제, 내열 안정제, 중합 금지제, 활제, 다른 가교제, 용제, 촉매, 가교 촉매, 가교 지연제를 들 수 있다.
〔A-1-2-4. 아크릴계 점착제의 제2 실시 형태(열경화계 아크릴계 점착제)〕
아크릴계 점착제의 제2 실시 형태는, 열경화계 아크릴계 점착제이며, 열경화계 아크릴계 점착제는, 대표적으로는, 아크릴계 폴리머(P2)를 포함하는 열경화계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가교 반응에 의해 형성된다.
열경화계 아크릴계 점착제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에 의해, 열경화계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된다. 이러한 형성 방법으로서는, 대표적으로는, 열경화계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임의의 적절한 기재 상에 도포하고, 필요에 따라 가열·건조를 행하고, 필요에 따라 경화시켜서, 해당 기재 상에서 열경화계 아크릴계 점착제를 시트상으로 형성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도포의 방법으로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도포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도포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롤 코트법, 그라비아 롤 코트법, 리버스 롤 코트법, 키스 롤 코트법, 딥 롤 코트법, 바 코트법, 롤 브러시 코트법, 스프레이 코트법, 나이프 코트법, 에어 나이프 코팅법, 콤마 코트법, 다이렉트 코트법, 다이 코트법을 들 수 있다.
열경화계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가열·건조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적절한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가열·건조의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어 60℃ 내지 180℃ 정도로 가열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경화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적절한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화의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어 자외선 조사, 레이저선 조사, α선 조사, β선 조사, γ선 조사, X선 조사, 전자선 조사를 들 수 있다.
열경화계 아크릴계 점착제의 형성 시에는, 필요에 따라, 형성된 열경화계 아크릴계 점착제 내에서의 성분 이행의 조정, 가교 반응의 진행, 광경화계 아크릴계 점착제 내에 존재할 수 있는 변형의 완화 등을 목적으로, 에이징을 행해도 된다.
열경화계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가교제(L2)를 포함한다. 가교제(L2)는,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가교제(L2)의 사용에 의해, 열경화계 아크릴계 점착제에 적당한 응집력을 부여할 수 있다. 가교제(L2)는, 가교 반응 후의 형태, 가교 반응 전의 형태, 부분적으로 가교 반응한 형태, 이들의 중간적 또는 복합적인 형태 등으로 열경화계 아크릴계 점착제에 포함될 수 있다. 가교제(L2)는, 전형적으로는, 가교 반응 후의 형태로 열경화계 아크릴계 점착제에 포함되어 있다.
열경화계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중의 가교제(L2)의 함유 비율은,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발현시킬 수 있는 점에서, 아크릴계 폴리머(P2) 100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05중량부 내지 10중량부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중량부 내지 5중량부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중량부 내지 3중량부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중량부 내지 2중량부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01중량부 내지 1.5중량부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01중량부 내지 1.3중량부이다.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실리콘계 가교제, 옥사졸린계 가교제, 아지리딘계 가교제, 실란계 가교제, 알킬에테르화 멜라민계 가교제, 금속 킬레이트계 가교제, 과산화물 등의 가교제를 들 수 있고,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발현시킬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과산화물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과산화물이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는, 이소시아네이트기(이소시아네이트기를 블록제 또는 수량체화 등에 의해 일시적으로 보호한 이소시아네이트 재생형 극성기를 포함함)를 1분자 중에 2개 이상 갖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어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환족 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를 들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어 부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저급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 시클로펜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환족 이소시아네이트류; 2,4-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메틸렌폴리페닐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류; 트리메틸올프로판/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3량체 부가물(예를 들어, 도소사 제조, 상품명 코로네이트 L), 트리메틸올프로판/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3량체 부가물(예를 들어, 도소사 제조, 상품명: 코로네이트 HL),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누레이트체(예를 들어, 도소사 제조, 상품명: 코로네이트 HX) 등의 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트리메틸올프로판 부가물(예를 들어, 미쯔이 가가꾸사 제조, 상품명: 타케네이트 D110N),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트리메틸올프로판 부가물(예를 들어, 미쯔이 가가꾸사 제조, 상품명: 타케네이트 D120N),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의 트리메틸올프로판 부가물(예를 들어, 미쯔이 가가꾸사 제조, 상품명: 타케네이트 D140N),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트리메틸올프로판 부가물(예를 들어, 미쯔이 가가꾸사 제조, 상품명: 타케네이트 D160N); 폴리에테르폴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에스테르폴리이소시아네이트, 그리고 이것들과 각종 폴리올의 부가물; 이소시아누레이트 결합, 뷰렛 결합, 알로파네이트 결합 등으로 다관능화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변형성과 응집력을 밸런스 좋게 양립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지환식 이소시아네이트이다.
에폭시계 가교제로서는, 에폭시기를 1분자 중에 2개 이상 갖는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에폭시계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어 N,N,N',N'-테트라글리시딜-m-크실렌디아민, 디글리시딜아닐린, 1,3-비스(N,N-디글리시딜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네오펜틸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소르비톨폴리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 펜타에리트리톨폴리글리시딜에테르, 폴리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 소르비탄폴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폴리글리시딜에테르, 아디프산디글리시딜에스테르, o-프탈산디글리시딜에스테르, 트리글리시딜-트리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레조르신디글리시딜에테르, 비스페놀-S-디글리시딜에테르, 분자 내에 에폭시기를 2개 이상 갖는 에폭시계 수지를 들 수 있다. 에폭시계 가교 제조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미쯔비시 가스 가가꾸사 제조의 상품명 「테트래드 C」, 「테트래드 X」를 들 수 있다.
과산화물로서는, 예를 들어 디벤조일퍼옥시드, 디쿠밀퍼옥사이드, 디-t-부틸퍼옥사이드, 디-t-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t-부틸히드로퍼옥사이드, t-부틸쿠밀퍼옥사이드, 2,5-디메틸-2,5-디(t-부틸퍼옥시)헥신-3, 2,5-디메틸-2,5-디(벤조일퍼옥시)헥산, 2,5-디메틸-2,5-모노(t-부틸퍼옥시)-헥산, α,α'-비스(t-부틸퍼옥시-m-이소프로필)벤젠, 디(2-에틸헥실)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디(4-t-부틸시클로헥실)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디-sec-부틸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t-부틸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t-헥실퍼옥시피발레이트, t-부틸퍼옥시피발레이트, 디라우로일퍼옥시드, 디-n-옥타노일퍼옥시드, 1,1,3,3-테트라메틸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디(4-메틸벤조일)퍼옥시드, t-부틸퍼옥시이소부티레이트, 1,1-디(t-헥실퍼옥시)시클로헥산, 1,1-디(t-부틸퍼옥시)시클로헥산, t-부틸퍼옥시-2-에틸헥실카르보네이트, t-아밀퍼옥시이소프로필카르보네이트, 3,5,5-트리메틸헥사노일퍼옥사이드, t-부틸퍼옥시-2-헥사노에이트, t-부틸퍼옥시피발레이트, t-헥실퍼옥시피발레이트를 들 수 있다. 과산화물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니혼 유시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상품명 「나이퍼 BMT」 시리즈, 「나이퍼 BW」 시리즈를 들 수 있다.
열경화계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은,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아크릴계 올리고머는,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아크릴계 올리고머에 대해서는, 〔A-1-2-3. 아크릴계 점착제의 제1 실시 형태(광경화계 아크릴계 점착제)〕의 항의 설명을 원용할 수 있다.
열경화계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적절한 기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타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점착 부여제, 무기 충전제, 유기 충전제, 금속 분말, 안료, 착색제, 박상물, 연화제, 노화 방지제, 도전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광안정제, 표면 윤활제, 레벨링제, 부식 방지제, 내열 안정제, 중합 금지제, 활제, 다른 가교제, 용제, 촉매, 가교 촉매, 가교 지연제를 들 수 있다.
<A-1-3. 대전 방지층>
점착 필름은, 기재층과 점착제층 이외에, 대전 방지층을 갖고 있어도 된다. 대전 방지층은, 예를 들어 기재층의 점착제층과 반대 측, 기재층과 점착제층의 사이, 점착제층의 기재층과 반대 측 등에 마련할 수 있다.
대전 방지층의 두께로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적절한 두께를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두께로서는, 바람직하게는 1nm 내지 1000nm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nm 내지 900nm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7.5nm 내지 800nm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0nm 내지 700nm이다.
대전 방지층은, 1층만이어도 되고, 2층 이상이어도 된다.
대전 방지층으로서는, 대전 방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층이라면,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적절한 대전 방지층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대전 방지층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도전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도전 코트액을 임의의 적절한 기재층 상에 코팅해서 형성되는 대전 방지층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도전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도전 코트액을 수지 기재 필름 상에 코팅해서 형성되는 대전 방지층이다. 구체적인 코팅 방법으로서는, 롤 코트법, 바 코트법, 그라비아 코트법 등을 들 수 있다.
도전성 폴리머로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적절한 도전성 폴리머를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도전성 폴리머로서는, 예를 들어 π 공액계 도전성 폴리머에 다가 음이온이 도프된 도전성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π 공액계 도전성 폴리머로서는, 폴리티오펜, 폴리피롤, 폴리아닐린, 폴리아세틸렌 등의 쇄상 도전성 폴리머를 들 수 있다. 다가 음이온으로서는, 폴리스티렌술폰산, 폴리이소프렌술폰산, 폴리비닐술폰산, 폴리알릴술폰산, 폴리아크릴산에틸술폰산, 폴리메타크릴카르복실산 등을 들 수 있다. 도전성 폴리머는,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A-2. 박리 라이너≫
박리 라이너의 두께로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발현시킬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50㎛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100㎛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이다.
박리 라이너는, 대표적으로는, 수지 기재 필름을 포함한다.
수지 기재 필름으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 구성되는 플라스틱 필름;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메틸펜텐(PMP),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EVA) 등의 α-올레핀을 모노머 성분으로 하는 올레핀계 수지로 구성되는 플라스틱 필름; 폴리염화비닐(PVC)로 구성되는 플라스틱 필름; 아세트산비닐계 수지로 구성되는 플라스틱 필름; 폴리카르보네이트(PC)로 구성되는 플라스틱 필름; 폴리페닐렌술피드(PPS)로 구성되는 플라스틱 필름; 폴리아미드(나일론), 전방향족 폴리아미드(아라미드) 등의 아미드계 수지로 구성되는 플라스틱 필름; 폴리이미드계 수지로 구성되는 플라스틱 필름;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으로 구성되는 플라스틱 필름;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등의 올레핀계 수지로 구성되는 플라스틱 필름;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폴리불화비닐, 폴리불화비닐리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클로로플루오로에틸렌-불화비닐리덴 공중합체 등의 불소계 수지 등으로 구성되는 플라스틱 필름; 을 들 수 있다.
수지 기재 필름은, 1층만이어도 되고, 2층 이상이어도 된다. 수지 기재 필름은, 연신된 것이어도 된다.
수지 기재 필름은,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표면 처리로서는, 예를 들어 코로나 처리, 플라스마 처리, 크롬산 처리, 오존 폭로, 화염 폭로, 고압 전격 폭로, 이온화 방사선 처리, 하도제에 의한 코팅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수지 기재 필름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적절한 첨가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박리 라이너는, 이형층을 갖고 있어도 된다. 박리 라이너가 이형층을 갖는 경우, 대표적으로는, 이형층의 측이, 점착 필름이 갖는 점착제층에 직접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이형층의 형성 재료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적절한 형성 재료를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형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실리콘계 이형제, 불소계 이형제, 장쇄 알킬계 이형제, 지방산아미드계 이형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실리콘계 이형제가 바람직하다. 이형층은, 도포층으로서 형성할 수 있다.
이형층의 두께로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목적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두께를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두께로서는, 바람직하게는 10nm 내지 2000nm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nm 내지 1500nm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nm 내지 1000nm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0nm 내지 500nm이다.
이형층은, 1층만이어도 되고, 2층 이상이어도 된다.
실리콘계 이형층으로서는, 예를 들어 부가 반응형 실리콘 수지를 들 수 있다. 부가 반응형 실리콘 수지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신에쯔 가가꾸 고교 제조의 KS-774, KS-775, KS-778, KS-779H, KS-847H, KS-847T; 도시바 실리콘 제조의 TPR-6700, TPR-6710, TPR-6721; 도레이·다우·코닝 제조의 SD7220, SD7226;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이형층의 도포량(건조 후)은, 바람직하게는 0.01g/m2 내지 2g/m2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g/m2 내지 1g/m2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g/m2 내지 0.5g/m2이다.
이형층의 형성은, 예를 들어 상기 형성 재료를, 임의의 적절한 층 상에, 리버스 그라비아 코트, 바 코트, 다이 코트 등, 종래 공지의 도포 방식에 의해 도포한 후에, 통상, 120 내지 200℃ 정도에서 열처리를 실시함으로써 경화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열처리와 자외선 조사 등의 활성 에너지선 조사를 병용해도 된다.
박리 라이너는, 대전 방지층을 갖고 있어도 된다.
대전 방지층에 대해서는, <A-1-3. 대전 방지층>의 항에서의 설명을 원용할 수 있다.
박리 라이너의 하나의 실시 형태는, 수지 기재 필름과 이형층을 이 순으로 포함한다. 대표적으로는, 이 실시 형태는, 수지 기재 필름과 이형층을 포함한다.
박리 라이너의 다른 하나의 실시 형태는, 수지 기재 필름과 대전 방지층과 이형층을 이 순으로 포함한다. 대표적으로는, 이 실시 형태는, 수지 기재 필름과 대전 방지층과 이형층을 포함한다.
박리 라이너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 형태는, 대전 방지층과 수지 기재 필름과 대전 방지층과 이형층을 이 순으로 포함한다. 대표적으로는, 이 실시 형태는, 대전 방지층과 수지 기재 필름과 대전 방지층과 이형층을 포함한다.
≪A-3. 보호 필름≫
보호 필름으로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적절한 보호 필름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보호 필름으로서는, 대표적으로는, 기재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점착제층을 갖는 보호 필름이며, 광학용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알려진 보호 필름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보호 필름의 점착제층의 표면에는, 필요에 따라, 박리 라이너가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 박리 라이너에 대해서는, ≪A-2. 박리 라이너≫의 항에서의 설명을 원용할 수 있다.
기재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80㎛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이다. 기재 필름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에 있으면,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발현될 수 있다.
점착제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5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5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0㎛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7㎛ 내지 30㎛이다. 점착제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에 있으면,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발현될 수 있다.
기재 필름 및 점착제층으로서는, 광학용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알려진 보호 필름에 사용할 수 있는 기재 필름 및 점착제층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18-109092호 공보에 기재된 기재 필름 및 점착제층의 설명을 원용할 수 있다.
≪≪B. 보강 필름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보강 필름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의 적절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보강 필름의 제조 방법의 대표예로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보강 필름이, 박리 라이너, 2개의 점착 필름, 보호 필름을 이 순으로 갖고, 2개의 점착 필름으로서 점착 필름(I)과 점착 필름(II)가 간극을 갖도록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보강 필름의 제조 방법의 하나의 실시 형태는, 1개의 박리 라이너 상에 2개의 점착 필름을 갖는 적층체(X)와, 보호 필름을, 각각 제조하고, 그 후, 1개의 보호 필름에, 적층체(X)의 기재층측의 면과, 보호 필름이 갖는 점착제층의 면을 첩부한다.
적층체(X)는, 예를 들어 점착 필름이 갖는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를 형성하는 점착제 조성물(대표적으로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기재층 상에 도포하고, 필요에 따라 가열·건조를 행하고, 필요에 따라 경화시켜서, 해당 기재층 상에 해당 점착제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2개의 점착 필름(I), (II) 각각이 갖는 점착제층(I), (II)의 기재층(I), (II)와는 반대 측의 면에, 2개의 점착 필름(I), (II)가 간극을 갖도록 배치되도록, 1개의 박리 라이너(이형층을 갖고 있을 때는 그 측)를 첩부해서 제조할 수 있다.
보호 필름은, 예를 들어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를 형성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기재 필름 상에 도포하고, 필요에 따라 가열·건조를 행하고, 필요에 따라 경화시켜서, 해당 기재 필름 상에 해당 점착제층을 형성해서 제조한다.
적층체(X)와 보호 필름을 첩부할 때까지의 동안에는, 보호 필름이 갖는 점착제층의 노출면을 보호하기 위해서, 임의의 적절한 박리 라이너를 첩부해 두어도 된다.
≪≪C. 보강 필름의 용도≫≫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보강 필름은, 임의의 적절한 용도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보강 필름은, 예를 들어 광학 부재나 전자 부재의 보강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광학 부재로서는, 예를 들어 LCD, LCD 등을 사용한 터치 패널, LCD에 사용되는 컬러 필터, 편광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광학 부재나 전자 부재는, 가동 굴곡부를 갖는 벤더블 디바이스(구부리는 것이 가능한 디바이스)나 폴더블 디바이스(접는 것이 가능한 디바이스)나 롤러블 디바이스(둥글게 하는 것이 가능한 디바이스) 등의 플렉시블 디바이스이어도 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 등에서의, 시험 및 평가 방법은 이하와 같다. 또한, 「부」로 기재되어 있는 경우는, 특기 사항이 없는 한 「중량부」를 의미하고, 「%」로 기재되어 있는 경우는, 특기 사항이 없는 한 「중량%」를 의미한다.
<굴곡 회복 각도의 측정>
제작한 박리 라이너가 부착된 점착 필름으로부터 박리 라이너를 박리하여, 폴리이미드 필름(우베 고산 제조, UPILEX25RN)에 첩부하고, TD 80mm×MD 25mm로 커트했다. 두께 1.5mm의 유리를 2장 겹쳐서 제작한 두께 3mm의 유리에, 커트한 샘플의 폴리이미드 필름측이 외측으로 되도록 감았다. 감을 때, 유리와 샘플의 사이에 간극이 없도록, 테이프로 고정했다. 제작한 샘플을 85℃에서 48시간 보관 후, 유리로부터 분리하여, 샘플의 굴곡 회복 각도를 분도기로 측정했다.
<550nm에서의 광투과율의 측정>
제작한 박리 라이너가 부착된 점착 필름을 TD 20mm×MD 50mm로 커트했다. 커트한 박리 라이너가 부착된 점착 필름으로부터 박리 라이너를 박리하여, 히타치 하이테크놀러지즈사 제조의 「U4100형 분광 광도계」로 투과율을 측정했다. 측정 조건은, 550nm의 투과율로 했다.
<저장 탄성률(G')의 측정>
저장 탄성률(G')은, 재료가 변형될 때 탄성 에너지로서 저장되는 부분에 상당하며, 경도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점착 필름의 점착제층만을 취출하여, 적층해서 약 1mm의 두께로 하고, 이것을 φ8mm로 펀칭하여, 원주상의 펠릿을 제작해서 측정용 샘플로 했다.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티·에이·인스트루먼트 제조, DHR)를 사용해서, 얻어진 측정 샘플을 φ8mm 패럴렐 플레이트의 지그에 고정하여, 저장 탄성률(G')을 산출했다. 측정 조건은 하기와 같다.
측정: 전단 모드
온도 범위: -60℃ 내지 200℃
승온 속도: 5℃/분
주파수: 1Hz
<대 유리 점착력의 측정>
제작한 박리 라이너가 부착된 점착 필름을 TD 25mm×MD 100mm로 커트했다. 커트한 박리 라이너가 부착된 점착 필름으로부터 박리 라이너를 박리하여, 유리(마쓰나미 가라스 제조, S2004U8)에 2kg 롤러 1왕복으로 첩부했다. 얻어진 평가용 시료를 실온에서 30분간 보관 후, 인장 시험기로 측정했다. 인장 시험기로서는, 시마즈 세이사쿠쇼사 제조의 상품명 「오토그래프 AG-Xplus HS 6000mm/min 고속 모델(AG-50NX plus)」을 사용했다. 인장 시험기에 평가용 시료를 세트한 후, 인장 시험을 개시했다. 인장 시험의 조건은, 박리 각도: 180도, 박리 속도(인장 속도): 300mm/분으로 했다. 상기 유리로부터 점착 필름을 박리했을 때의 하중을 측정하고, 그 때의 평균 하중을 점착력으로 했다.
<박리 라이너의 박리력(A)의 측정>
제작한 박리 라이너가 부착된 점착 필름을 TD 50mm×MD 100mm로 커트해서 샘플로 했다. 유리에 양면 테이프 No.31B(닛토덴코 제조)를 붙여서, 얻어진 샘플의 기재층면과 유리를 접합한 것을 평가용 시료로 하여, 박리 라이너의 박리력을 인장 시험기로 측정했다. 인장 시험기로서는, 시마즈 세이사쿠쇼사 제조의 상품명 「오토그래프 AG-Xplus HS 6000mm/min 고속 모델(AG-50NX plus)」을 사용했다. 인장 시험기에 평가용 시료를 세트한 후, 인장 시험을 개시했다. 인장 시험의 조건은, 박리 각도: 180도, 박리 속도(인장 속도): 300mm/분으로 했다. 점착 필름으로부터 박리 라이너를 박리했을 때의 하중을 측정하고, 그 때의 평균 하중을 박리 라이너의 박리력(A)으로 했다. 또한, 표에 기재된 수치는, 폭 25mm당의 측정값으로 환산한 수치이다.
<보호 필름의 박리력(B)의 측정>
제작한 보호 필름을 TD 25mm×MD 100mm로 커트했다. 제작한 박리 라이너가 부착된 점착 필름으로부터 박리 라이너를 박리하여, 유리(마쓰나미 가라스 제조, S2004U8)에 첩부했다. 상기 보호 필름의 박리 라이너를 박리하고, 점착 필름의 기재층면에 2kg 롤러 1왕복으로 첩부한 것을 평가용 시료로 하여, 실온에서 30분간 보관 후, 보호 필름의 박리력을 인장 시험기로 측정했다. 인장 시험기로서는, 시마즈 세이사쿠쇼사 제조의 상품명 「오토그래프 AG-Xplus HS 6000mm/min 고속 모델(AG-50NX plus)」을 사용했다. 인장 시험기에 평가용 시료를 세트한 후, 인장 시험을 개시했다. 인장 시험의 조건은, 박리 각도: 180도, 박리 속도(인장 속도): 300mm/분으로 했다. 점착 필름으로부터 보호 필름을 박리했을 때의 하중을 측정하고, 그 때의 평균 하중을 보호 필름의 박리력(B)으로 했다.
[제조예 1]: 점착제층(1)의 제조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1)의 제조>
모노머 성분으로서의 아크릴산2-에틸헥실(2EHA): 63중량부, N-비닐-2-피롤리돈(NVP): 15중량부, 메타크릴산메틸(MMA): 9중량부, 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HEA): 13중량부, 중합 개시제로서의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2중량부, 및 중합 용매로서의 아세트산에틸: 133중량부를,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투입하여, 질소 가스를 도입하면서 1시간 교반했다. 이와 같이 하여 중합계 내의 산소를 제거한 후, 65℃로 승온하여 5시간 반응시키고, 그 후, 70℃로 승온하여 2시간 반응시키고,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해서 고형분 농도 30중량%의 아크릴계 폴리머(1)의 용액을 얻었다. 아크릴계 폴리머(1)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80만이었다.
다음으로, 아크릴계 폴리머(1)의 용액에,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상품명 「타케네이트 D110N」, 미쯔이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제조)를 아크릴계 폴리머(1)(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고형분 환산으로 1.1중량부가 되도록 첨가하여, 이것을 혼합함으로써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1)을 제조했다.
<점착제층(1)의 제조>
표면에 실리콘계 이형층이 마련된 두께 50㎛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미쓰비시 케미컬 제조 「MRV50T100J」)을 박리 라이너(1a)(겸 중박리 필름)로 하여, 해당 박리 라이너(1a) 상에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1)을 두께 13㎛가 되도록 도포해서 도포층을 형성했다. 이어서, 박리 라이너(1a) 상에 도포층을 형성한 것을 오븐에 투입하여, 도포층을 130℃에서 1분간 건조시킨 후, 표면에 실리콘계 이형층이 마련된 두께 50㎛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미쓰비시 케미컬 제조 「MRQ50T100J」)을 박리 라이너(1b)로 해서 도포층 표면을 보호하고, 두께 13㎛의 점착제층(1)을, 박리 라이너(1a)/점착제층(1)/박리 라이너(1b)의 적층체(1)로서 제조했다.
점착제층(1)의 특성을 표 1에 나타냈다.
[제조예 2]: 점착제층(2)의 제조
<프리폴리머 조성물(2)의 제조>
프리폴리머 형성용 모노머 성분으로서의 라우릴아크릴레이트(LA) 60중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 22중량부,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4HBA) 8중량부, N-비닐-2-피롤리돈(NVP) 10중량부, 및 광중합 개시제로서의 BASF 제조 「이르가큐어 184」 0.01중량부, BASF 제조 「이르가큐어 651」 0.01중량부를 배합하고, 자외선을 조사해서 중합을 행하여, 프리폴리머 조성물(2)(중합률; 약 10%)을 얻었다.
<아크릴 올리고머의 제조>
모노머 성분으로서의 메타크릴산디시클로펜타닐(DCPMA) 60중량부 및 메타크릴산메틸(MMA) 40중량부, 연쇄 이동제로서의 α-티오글리세롤 3.4중량부, 및 중합 용매로서 농도 60%가 되도록 아세트산에틸을 혼합하여, 질소 분위기 하에서 70℃에서 1시간 교반했다. 이어서, 열중합 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0.2중량부를 투입하여, 70℃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그 후, AIBN 0.1부를 추가로 첨가하여, 80℃로 승온해서 2시간 반응시켜, 아크릴 올리고머 용액을 얻었다. 이어서, 아크릴 올리고머 용액을 85℃에서 건조시켜, 아크릴 올리고머의 파우더를 얻었다. 아크릴 올리고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5100, 유리 전이 온도(Tg)는 130℃이었다.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2)의 제조>
상기 프리폴리머 조성물(2) 100중량부에, 후첨가 성분으로서,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 37중량부,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HDDA) 0.08중량부, 상기 아크릴 올리고머 6중량부 및 실란 커플링제(신에쓰 가가꾸 제조 「KBM403」): 0.3중량부를 첨가한 후, 이들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2)을 제조했다.
<점착제층(2)의 제조>
표면에 실리콘계 이형층이 마련된 두께 7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미쓰비시 케미컬 제조 「다이어포일 MRF75」)을 박리 라이너(2a)(겸 중박리 필름)로 하여, 해당 박리 라이너(2a) 상에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2)을 두께 15㎛가 되도록 도포하여 도포층을 형성했다. 형성한 도포층 상에, 커버 시트(겸 경박리 필름)로서 편면이 실리콘 박리 처리된 두께 75㎛의 PET 필름(미쓰비시 케미컬 제조 「다이어포일 MRE75」)을 박리 라이너(2b)로서 접합했다. 얻어진 적층체에, 커버 시트측으로부터, 램프 바로 아래의 조사면에서의 조사 강도가 5mW/cm2로 되도록 위치 조절한 블랙 라이트에 의해, 자외선을 조사해서 광경화를 행하여, 두께 15㎛의 점착제층(2)을, 박리 라이너(2a)/점착제층(2)/박리 라이너(2b)의 적층체(2)로서 제조했다.
점착제층(2)의 특성을 표 1에 나타냈다.
[제조예 3]
(점착 필름(1)의 제조)
바인더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25% 수용액(도요보사 제조, 상품명 「바이로날 MD-1480」)을 고형분으로 100중량부, 도전성 폴리머를 고형분으로 20중량부, 멜라민계 가교제(스미토모 가가꾸사 제조, 상품명 「스미마르 M-50W」)를 고형분으로 5중량부를, 물/에탄올(1/1(중량비))의 혼합 용매에 첨가하여, 약 20분간 교반해서 충분히 혼합했다. 이와 같이 하여, 고형분 약 0.4%의 코팅재(X)를 조제했다. 도전성 폴리머로서는,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PEDOT) 0.5% 및 폴리스티렌술포네이트(중량 평균 분자량 15만)(PSS) 0.8%를 포함하는 수용액(Bytron P, H.C.Stark사 제조)을 사용했다.
기재층으로서의 두께 50㎛의 폴리이미드(PI) 기재(우베 고산사 제조 「UPI50RN」)의 편면에, 상기 코팅재(X)를 바 코터로 도포하고, 130℃에서 2분간 가열해서 건조시켜, 기재의 편면에 두께 40nm의 투명한 대전 방지층을 갖는 대전 방지층 구비 기재를 제작했다.
제작한 대전 방지층 구비 기재의 대전 방지층과 반대인 면에, 제조예 1에서 얻어진 적층체(1)로부터 박리 라이너(1b)를 박리하여 얻은 점착제층(1)을, 핸드 롤러를 사용해서 접합하고, 50℃, 0.5MPa로 15분간 가열 압착하여, 박리 라이너(1a)가 부착된 점착 필름(1)을 얻었다.
[제조예 4]
(점착 필름(2)의 제조)
기재층으로서의 두께 50㎛의 폴리이미드(PI) 기재(우베 고산사 제조 「UPI50RN」)의 편면에, 제조예 3에서 조제한 코팅재(X)를 바 코터로 도포하고, 130℃에서 2분간 가열해서 건조시켜, 기재의 편면에 두께 40nm의 투명한 대전 방지층을 갖는 대전 방지층 구비 기재를 제작했다.
제작한 대전 방지층 구비 기재의 대전 방지층과 반대인 면에, 제조예 2에서 얻어진 적층체(2)로부터 박리 라이너(2b)를 박리하여 얻은 점착제층(2)을, 핸드 롤러를 사용해서 접합하고, 50℃, 0.5MPa로 15분간 가열 압착하여, 박리 라이너(2a)가 부착된 점착 필름(2)을 얻었다.
[제조예 5]
(점착 필름(3)의 제조)
기재층으로서의 두께 40㎛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기재(후지 필름사 제조 「ZRD40SL(ZRG)」)의 편면에, 제조예 3에서 조제한 코팅재(X)를 바 코터로 도포하고, 130℃에서 2분간 가열해서 건조시켜, 기재의 편면에 두께 40nm의 투명한 대전 방지층을 갖는 대전 방지층 구비 기재를 제작했다.
제작한 대전 방지층 구비 기재의 대전 방지층과 반대인 면에, 제조예 1에서 얻어진 적층체(1)로부터 박리 라이너(1b)를 박리하여 얻은 점착제층(1)을, 핸드 롤러를 사용해서 접합하고, 50℃, 0.5MPa로 15분간 가열 압착하여, 박리 라이너(1a)가 부착된 점착 필름(3)을 얻었다.
[제조예 6]
(점착 필름(4)의 제조)
기재층으로서의 두께 40㎛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기재(후지 필름사 제조 「ZRD40SL(ZRG)」)의 편면에, 제조예 3에서 조제한 코팅재(X)를 바 코터로 도포하고, 130℃에서 2분간 가열해서 건조시켜, 기재의 편면에 두께 40nm의 투명한 대전 방지층을 갖는 대전 방지층 구비 기재를 제작했다.
제작한 대전 방지층 구비 기재의 대전 방지층과 반대인 면에, 제조예 2에서 얻어진 적층체(2)로부터 박리 라이너(2b)를 박리하여 얻은 점착제층(2)을, 핸드 롤러를 사용해서 접합하고, 50℃, 0.5MPa로 15분간 가열 압착하여, 박리 라이너(2a)가 부착된 점착 필름(4)을 얻었다.
[제조예 7]
(점착 필름(5)의 제조)
기재층으로서의 두께 50㎛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기재(미쓰비시 케미컬사 제조 「T100C50」)(이하, PET50으로 칭하는 경우가 있음)의 편면에, 제조예 3에서 조제한 코팅재(X)를 바 코터로 도포하고, 130℃에서 2분간 가열해서 건조시켜, 기재의 편면에 두께 40nm의 투명한 대전 방지층을 갖는 대전 방지층 구비 기재를 제작했다.
제작한 대전 방지층 구비 기재의 대전 방지층과 반대인 면에, 제조예 1에서 얻어진 적층체(1)로부터 박리 라이너(1b)를 박리하여 얻은 점착제층(1)을, 핸드 롤러를 사용해서 접합하고, 50℃, 0.5MPa로 15분간 가열 압착하여, 박리 라이너(1a)가 부착된 점착 필름(5)을 얻었다.
[제조예 8]
(점착 필름(6)의 제조)
기재층으로서의 두께 50㎛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기재(미쓰비시 케미컬사 제조 「T100C50」)(이하, PET50으로 칭하는 경우가 있음)의 편면에, 제조예 3에서 조제한 코팅재(X)를 바 코터로 도포하고, 130℃에서 2분간 가열해서 건조시켜, 기재의 편면에 두께 40nm의 투명한 대전 방지층을 갖는 대전 방지층 구비 기재를 제작했다.
제작한 대전 방지층 구비 기재의 대전 방지층과 반대인 면에, 제조예 2에서 얻어진 적층체(2)로부터 박리 라이너(2b)를 박리하여 얻은 점착제층(2)을, 핸드 롤러를 사용해서 접합하고, 50℃, 0.5MPa로 15분간 가열 압착하여, 박리 라이너(2a)가 부착된 점착 필름(6)을 얻었다.
[제조예 9]
(점착 필름(7)의 제조)
기재층으로서의 두께 7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기재(미쓰비시 케미컬사 제조 「T100-75S」)(이하, PET75로 칭하는 경우가 있음)의 편면에, 제조예 3에서 조제한 코팅재(X)를 바 코터로 도포하고, 130℃에서 2분간 가열해서 건조시켜, 기재의 편면에 두께 40nm의 투명한 대전 방지층을 갖는 대전 방지층 구비 기재를 제작했다.
제작한 대전 방지층 구비 기재의 대전 방지층과 반대인 면에, 제조예 1에서 얻어진 적층체(1)로부터 박리 라이너(1b)를 박리하여 얻은 점착제층(1)을, 핸드 롤러를 사용해서 접합하고, 50℃, 0.5MPa로 15분간 가열 압착하여, 박리 라이너(1a)가 부착된 점착 필름(7)을 얻었다.
[제조예 10]
(점착 필름(8)의 제조)
기재층으로서의 두께 7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기재(미쓰비시 케미컬사 제조 「T100-75S」)(이하, PET75로 칭하는 경우가 있음)의 편면에, 제조예 3에서 조제한 코팅재(X)를 바 코터로 도포하고, 130℃에서 2분간 가열해서 건조시켜, 기재의 편면에 두께 40nm의 투명한 대전 방지층을 갖는 대전 방지층 구비 기재를 제작했다.
제작한 대전 방지층 구비 기재의 대전 방지층과 반대인 면에, 제조예 2에서 얻어진 적층체(2)로부터 박리 라이너(2b)를 박리하여 얻은 점착제층(2)을, 핸드 롤러를 사용해서 접합하고, 50℃, 0.5MPa로 15분간 가열 압착하여, 박리 라이너(2a)가 부착된 점착 필름(8)을 얻었다.
[제조예 11]
(보호 필름의 제조)
모노머 성분으로서의 아크릴산2-에틸헥실(2EHA): 100중량부, 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HEA): 4중량부, 중합 개시제로서의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2중량부, 및 중합 용매로서의 아세트산에틸: 182중량부를,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투입하여, 질소 가스를 도입하면서 1시간 교반했다. 이와 같이 하여 중합계 내의 산소를 제거한 후, 60℃로 승온하여 4.5시간 반응시키고, 그 후, 70℃로 승온하여 4.5시간 반응시켜, 고형분 농도 35.5중량%의 아크릴계 폴리머의 용액을 얻었다. 아크릴계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80만이었다.
얻어진 아크릴계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주석 촉매(도쿄 파인케미컬 제조 「엠빌라이저 OL-1」)를 0.03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닛본 폴리우레탄 고교 제조 「코로네이트 HX」)를 5중량부, 계면 활성제(다이이찌 고교 세야꾸 제조 「아쿠알론 HS-10」)를 0.3중량부, 용매로서 톨루엔을, 가교 지연제로서 아세틸아세톤을, 용액 농도가 20%로 되도록 혼합하여, 점착제 용액을 조제했다. 아세틸아세톤은 용매량에 대하여 5중량부가 되도록 첨가했다.
얻어진 점착제 용액을 두께 50㎛의 PET 필름(미쓰비시 케미컬 제조 「T100C50」) 상에 도공하여, 130℃에서 1분간 건조 후, 박리 라이너로서 두께 50㎛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미쓰비시 케미컬 제조 「MRQ50T100J」)을 접합하여, 보호 필름을 제작했다. 점착제층의 두께는 10㎛이었다.
[실시예 1]
박리 라이너로서의 두께 50㎛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미쓰비시 케미컬 제조 「MRQ50T100J」)(세로 150mm×가로 70mm의 크기) 상에 점착 필름(I)로서, 세로 134mm×가로 70mm의 크기로 커트한 점착 필름(2)을 사용하고, 점착 필름(II)로서, 세로 15mm×가로 70mm의 크기로 커트한 점착 필름(5)을 사용하여,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배치로, 각각의 세로 방향, 가로 방향이 평행해지도록, 또한, 점착 필름(I)의 가로 방향의 변과 점착 필름(II)의 가로 방향의 변이, 1mm의 간극을 갖도록, 각 점착 필름의 점착제층이 박리 라이너측으로 되도록 해서 접합했다. 또한, 접합 전에, 각 점착 필름이 갖는 박리 라이너를 박리했다. 이어서, 제조예 11에서 얻어진 보호 필름을 세로 150mm×가로 70mm의 크기로 커트하여, 평면 방향에서 보아, 박리 라이너에 정확히 겹치도록, 각 점착 필름의 기재층측 상에 접합했다.
이상에 의해, 1개의 박리 라이너와 1개의 보호 필름의 사이에 2개의 점착 필름(2), (5)가 간극을 갖도록 배치되어 있는 보강 필름(1)을 얻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또한, 점착 필름(I)의 영역에서의 박리 라이너의 박리력(A)과 보호 필름의 박리력(B), 점착 필름(II)의 영역에서의 박리 라이너의 박리력(A)과 보호 필름의 박리력(B)을, 표 3에 나타냈다.
[실시예 2 내지 10]
점착 필름(I)로서 사용하는 점착 필름의 종류와, 점착 필름(II)로서 사용하는 점착 필름의 종류를,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보강 필름(2) 내지 (10)을 얻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또한, 점착 필름(I)의 영역에서의 박리 라이너의 박리력(A)과 보호 필름의 박리력(B), 점착 필름(II)의 영역에서의 박리 라이너의 박리력(A)과 보호 필름의 박리력(B)을, 표 3에 나타냈다.
[비교예 1 내지 10]
점착 필름(I)로서 사용하는 점착 필름의 종류와, 점착 필름(II)로서 사용하는 점착 필름의 종류를,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보강 필름(C1) 내지 (C10)을 얻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또한, 점착 필름(I)의 영역에서의 박리 라이너의 박리력(A)과 보호 필름의 박리력(B), 점착 필름(II)의 영역에서의 박리 라이너의 박리력(A)과 보호 필름의 박리력(B)을, 표 3에 나타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보강 필름은, 예를 들어 광학 부재의 보강용으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보강 필름은, 특히, 가동 굴곡부를 갖는 벤더블 디바이스(구부리는 것이 가능한 디바이스)나 폴더블 디바이스(접는 것이 가능한 디바이스)나 롤러블 디바이스(둥글게 하는 것이 가능한 디바이스) 등의 플렉시블 디바이스에 적합하게 채용할 수 있다.

Claims (5)

1개의 박리 라이너와 1개의 보호 필름의 사이에 2개 이상의 점착 필름이 간극을 갖도록 배치되어 있는 보강 필름이며,
해당 2개 이상의 점착 필름은 각각, 기재층과 점착제층을 포함하고,
해당 2개 이상의 점착 필름의 해당 점착제층이 해당 1개의 박리 라이너와 직접 적층되고,
해당 2개 이상의 점착 필름은, 적어도 하나의 굴곡 회복 각도가 35도 이상인 점착 필름(I)과 적어도 하나의 550nm에서의 광투과율이 80% 이상인 점착 필름(II)를 포함하는,
보강 필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필름(I)이 갖는 점착제층의 85℃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1.0×105Pa 미만인, 보강 필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필름(II)가 갖는 점착제층의 170℃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5.0×103Pa 이상 5.0×105Pa 미만인, 보강 필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필름(I)의 면적이 상기 점착 필름(II)의 면적보다 큰, 보강 필름.
제1항에 있어서, 광학 부재용 보강 필름인, 보강 필름.
KR1020230029109A 2022-03-09 2023-03-06 보강 필름 KR202301327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2-036417 2022-03-09
JP2022036417A JP2023131574A (ja) 2022-03-09 2022-03-09 補強フィル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2710A true KR20230132710A (ko) 2023-09-18

Family

ID=87913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9109A KR20230132710A (ko) 2022-03-09 2023-03-06 보강 필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3131574A (ko)
KR (1) KR20230132710A (ko)
CN (1) CN116731625A (ko)
TW (1) TW20234650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9U (ko) 1979-06-15 1981-01-06
JPS6376271U (ko) 1986-10-31 1988-05-20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9U (ko) 1979-06-15 1981-01-06
JPS6376271U (ko) 1986-10-31 1988-05-2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131574A (ja) 2023-09-22
TW202346504A (zh) 2023-12-01
CN116731625A (zh) 2023-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22267B2 (ja)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粘着シート、光学部材、及びタッチパネル
KR102203147B1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 점착 시트, 광학 부재 및 터치 패널
JP6508869B2 (ja)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粘着シート、光学部材、及びタッチパネル
WO2017130444A1 (ja) 応力分散フィルム、光学部材、および電子部材
KR102510144B1 (ko) 반도체 가공용 점착 시트
JP2016130747A (ja) 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EP2085444A1 (en) Photocurable acrylic viscoelastic material composition, acrylic viscoelastic material, acrylic viscoelastic material layer tape or sheet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102142895B1 (ko) 양면 점착 시트
JP7283975B2 (ja) 粘着シート
KR20170089765A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 부재, 광학 부재, 및 전자 부재
JP2014051566A (ja) 両面粘着シート
KR102501547B1 (ko) 적층체
KR20230132710A (ko) 보강 필름
KR20170089764A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 부재, 광학 부재, 및 전자 부재
WO2023105906A1 (ja) 補強フィルム
KR20230132711A (ko) 보강 필름
WO2022163166A1 (ja) アクリル系粘着剤シート、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粘着フィルム、及び、フレキシブルデバイス
TWI813996B (zh) 光學構件用黏著帶
WO2022163165A1 (ja) アクリル系粘着剤、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粘着フィルム、及び、フレキシブルデバイス
KR20140102606A (ko) 광학용 점착제층, 점착 시트, 광학 부재 및 터치 패널
WO2024106155A1 (ja) 積層体
WO2024106156A1 (ja) 積層体
KR20240049313A (ko) 점착 시트
JP2022136814A (ja) 光学用粘着シート
KR20240006448A (ko) 표면 보호 필름 구비 광학 부재, 광학 적층체 및 광학디바이스의 제조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