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2706A - 배터리 시스템과 언더라이드 가드 플레이트 사이의 가스 채널용 격벽을 갖는 차량 - Google Patents

배터리 시스템과 언더라이드 가드 플레이트 사이의 가스 채널용 격벽을 갖는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2706A
KR20230132706A KR1020230029050A KR20230029050A KR20230132706A KR 20230132706 A KR20230132706 A KR 20230132706A KR 1020230029050 A KR1020230029050 A KR 1020230029050A KR 20230029050 A KR20230029050 A KR 20230029050A KR 20230132706 A KR20230132706 A KR 202301327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ge
guard plate
vehicle
battery system
underride gu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9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필립 켈너
크리스토퍼 폴크머
지몬 프리쓰
Original Assignee
독터. 인제니어. 하.체. 에프. 포르쉐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독터. 인제니어. 하.체. 에프. 포르쉐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독터. 인제니어. 하.체. 에프. 포르쉐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230132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270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62D21/155Sub-frames or under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72Floor protection, e.g. from corrosion or scra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5Gas exhaust passages comprising elongated, tortuous or labyrinth-shaped exhaust passages
    • H01M50/367Internal gas exhaust passages forming part of the battery cover or case; Double cover vent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5Gas exhaust passages comprising elongated, tortuous or labyrinth-shaped exhaust passages
    • H01M50/358External gas exhaust passages located on the battery cover or ca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K2001/040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characterised by their position
    • B60K2001/0438Arrangement under the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6Arrangements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전기 구동 장치(102)를 갖는 차량(100)에 관한 것으로, 이 차량(100)은 배터리 시스템(104) 및 언더라이드 가드 플레이트(106)를 포함하고, 언더라이드 가드 플레이트(106)는 차량(100)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터리 시스템(104) 아래에 배치되며, 배터리 시스템(104)과 언더라이드 가드 플레이트(106) 사이에는 가스 채널(108)이 형성되며, 언더라이드 가드 플레이트(106)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110)을 갖고, 격벽(110)은 제1 에지(112)를 가지며, 이 에지에서 격벽(110)이 언더라이드 가드 플레이트(106)에 고정되고, 격벽(110)은 제1 에지(112)에서부터 배터리 시스템(104) 방향으로 제2 에지(114)까지 뻗으며, 격벽(11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스 채널(108)의 일부를 형성하고, 격벽(110)은 언더라이드 가드 플레이트(106)에 아래로부터 기계 하중이 가해질 때 제1 에지(112) 또는 제1 에지(112)와 제2 에지(114) 사이가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배터리 시스템과 언더라이드 가드 플레이트 사이의 가스 채널용 격벽을 갖는 차량{VEHICLE WITH A BULKHEAD FOR A GAS DUCT BETWEEN A BATTERY SYSTEM AND A UNDERRIDE GUARD PLATE}
본 발명은 배터리 시스템과 언더라이드 가드 플레이트 사이의 가스 채널용 격벽을 갖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DE 102018210307 A1호는, 열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를 위해 배터리 시스템 배기를 위한 가스 채널이 제공되는 차량을 개시하며, 이 가스 채널은 언더라이드 가드와 배터리 시스템 사이에 배치되고, 가스 전도를 위한 플랩 또는 격벽을 구비한다.
독립 청구항 제1항은 이에 비해 개선된 차량에 관한 것이다.
특히 전기 구동 장치를 갖는 차량은 배터리 시스템과 언더라이드 가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언더라이드 가드 플레이트는 차량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터리 시스템 아래에 배치되며, 배터리 시스템과 언더라이드 가드 플레이트 사이에는 가스 채널이 형성되며, 언더라이드 가드 플레이트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를 갖고, 격벽는 제1 에지를 가지며, 이 에지에서 격벽이 언더라이드 가드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격벽은 제1 에지에서부터 배터리 시스템 방향으로 제2 에지까지 뻗으며, 격벽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스 채널의 일부를 형성하고, 격벽은 언더라이드 가드 플레이트에 아래로부터 기계 하중이 가해질 때 제1 에지 또는 제1 에지와 제1 에지 사이가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된다. 격벽은 배터리 시스템과 언더라이드 가드 플레이트 사이의 가스 전도를 위해 형성되고, 예를 들어 사고 발생 시 아래로부터 하중이 가해질 때 배터리 시스템 내로 국소 압입될 수 없다.
바람직하게, 격벽은 그의 재료 및/또는 형상으로 인해 유연한 영역을 이용해 언더라이드 가드 플레이트에 부착된다.
바람직하게, 격벽의 유연한 영역은 배터리 시스템의 방향으로 제2 에지를 가압하는 복원력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격벽은 씰(seal)을 갖고, 이 씰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터리 시스템을 향하도록 제2 에지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격벽은 장착 위치에서 대각선으로 배치되고, 이는 배터리 시스템에 대한 씰의 압착을 강화한다.
바람직하게, 격벽은 장착 위치에서 언더라이드 가드 플레이트에 대해 90°가 아닌 각도로 배치되고, 이때 가스 채널은 제2 에지 쪽으로 가면서 점점 좁아진다. 격벽은 가스 채널의 가스 압력에 의해 세워진다. 이를 통해 제2 에지는 배터리 시스템 쪽으로 가압된다. 씰이 있는 경우, 이 씰이 배터리 시스템으로 가압된다.
바람직하게, 격벽은 장착 위치에서 배터리 시스템에서부터 언더라이드 가드 플레이트까지 대각선 방향으로 뻗으며, 격벽은 제1 에지 또는 제1 에지와 제2 에지 사이에서 언더라이드 가드 플레이트 쪽으로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격벽은 제1 에지 또는 제1 에지와 제2 에지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에지 및/또는 제2 에지의 방향으로 뻗은 설정 파단점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설정 파단점은, 격벽이 접힐 때 격벽에서 사전 설정된 변형이 일어날 때부터 설정 파단점 영역이 파단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은 하기의 설명 및 도면에 명시되어 있다:
도 1은 격벽이 장착 위치에 있는 차량의 측면도이다.
도 2는 격벽이 접힌 위치에 있는 차량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언더라이드 가드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1에는 차량(100)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예시에서 차량(100)은 전기 구동 장치(102), 배터리 시스템(104) 및 언더라이드 가드 플레이트(106)를 포함한다. 본 예시에서 배터리 시스템(104)과 언더라이드 가드 플레이트(106)는 직교 좌표계의 x 방향과 y 방향으로 뻗어 있다.
언더라이드 가드 플레이트(106)는 차량(100)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교 좌표계의 z 방향으로 배터리 시스템(104)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배터리 시스템(104)과 언더라이드 가드 플레이트(106)의 사이에는 가스 채널(108)이 형성되어 있다.
언더라이드 가드 플레이트(106)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110)을 갖는다. 격벽(11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스 채널(108)의 일부를 형성한다. 격벽(110)은 예를 들어 가스 채널(108) 벽의 일부를 형성한다.
격벽(110)은 제1 에지(112)를 갖고, 이 에지에서 격벽(110)은 언더라이드 가드 플레이트(106)에 고정된다.
격벽(110)은 제1 에지(112)에서부터 배터리 시스템(104)의 방향으로 제2 에지(114)까지 뻗는다.
격벽(110)은 접힐 수 있게 형성된다. 본 예시에서는 격벽(110)이 언더라이드 가드 플레이트(106)에 아래로부터 기계 하중이 가해질 때 제1 에지(112)에서 접힐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격벽(110)이 제1 에지(112)와 제2 에지(114) 사이에서 접히도록 형성되는 구성도 제공될 수 있다.
본 예시에서 격벽(110)은 그 재료로 인해 유연한 영역을 이용해 언더라이드 가드 플레이트에 부착된다. 격벽(110)은 그 형상으로 인해 유연한 영역을 이용해 언더라이드 가드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격벽(110)이 그 재료 및 형상으로 인해 유연한 영역을 이용해 언더라이드 가드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구성도 역시 가능하다.
본 예시에서 격벽(110)은 씰(116)을 갖고, 이 씰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터리 시스템(104)을 향하도록 제2 에지(114)에 배치된다. 격벽(110)은 씰(116) 없이도 구현될 수 있다.
본 예시에서 격벽(110)은 장착 위치에서 씰(116)을 통해 배터리 시스템(104)에 접한다. 격벽(110)이 장착 위치에서 배터리 시스템에 접하지 않거나 부분적으로만 접하도록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예시에서 격벽(110)은 장착 위치에서 배터리 시스템(104)에서부터 언더라이드 가드 플레이트(106)까지 대각선 방향으로 뻗어 있다. 격벽(110)은 제1 에지(112)에서 또는 제1 에지(112)와 제2 에지(114) 사이에서 언더라이드 가드 플레이트(106) 쪽으로 접힐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본 예시에서 격벽(110)은 장착 위치에서 대각선으로 배치되어 있고, 이는 배터리 시스템(104)에 가해지는 씰(116)의 압착을 강화한다.
본 예시에서 격벽(110)은 장착 위치에서 언더라이드 가드 플레이트(106)에 대해 90°가 아닌 각도로 배치되어 있다. 가스 채널(108)은 예를 들어 제2 에지(114) 쪽으로 가면서 점점 좁아진다.
격벽(110)이 언더라이드 가드 플레이트(106)에 대해 90°의 각도로 배치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본 예시에서 격벽(110)은, 가스 채널(108) 내에 가스 압력이 발생할 경우, 가스 채널의 가스 압력에 의해 세워진다. 이를 통해 제2 에지(114)는 배터리 시스템(104) 쪽으로 가압된다. 씰(116)이 있으면, 이 씰이 배터리 시스템(104)으로 가압된다.
본 예시에서 격벽(110)은 장착 위치에서 유연한 영역에, 배터리 시스템(104)을 향해 제2 에지(114)를 가압하는 복원력(118)을 갖는다.
본 예시에서 배터리 시스템(104)은 복수의 셀(118)을 포함한다. 열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가스는 손상된 셀(118)로부터 탈기 영역(120)을 거쳐 가스 채널(108)로 빠져나갈 수 있다. 그로 인해 가스가 배터리 시스템(104)에서 빠져나오고, 이 가스가 고온인 경우 너무 많은 산소와 혼합되지 않고 배터리 시스템(104)의 외부에서 냉각된다.
본 예시에서 셀(118)은 언더라이드 가드 플레이트(106)의 변형을 초래하는 사고 발생 시 추가로 보호되는데, 이는 격벽(110)이 하나의 또는 복수의 셀(118) 내로 침투하는 대신 접히기 때문이다.
도 2는 격벽(110)이 접힌 위치에 있는 차량(100)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구불구불한 형태로 형성된 가스 채널(108)을 갖는 언더라이드 가드 플레이트(106)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본 예시에서 가스 채널(108)은 언더라이드 가드 플레이트(106)의 중앙에 배치된 탈기 영역(120)으로부터 두 측면으로 y 방향으로 구불구불한 형태로 각각의 배출구(122)까지 뻗어 있고, 이 배출구를 통해 가스가 가스 채널(108)로부터 주변으로 또는 차량(100)의 다른 가스 전도 부품쪽으로 빠져나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예시에는 복수의 격벽(110)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격벽은 y 방향으로 바로 인접한 2개의 방향 전환부(124) 사이에서 가스 채널(108) 양쪽으로 y 방향으로 뻗어 있다.
격벽(110)은 이에 추가로 또는 또 다른 예시에서, 제1 에지(112)에 또는 제1 에지(112)와 제2 에지(114) 사이에 유연한 영역 대신 설정 파단점을 갖는다. 설정 파단점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에지(112) 및/또는 제2 에지(114)의 방향으로 뻗는다.
설정 파단점은, 격벽(110)이 접힐 때 격벽(110)의 사전 설정된 변형이 일어날 때부터 설정 파단점 영역이 파단되도록 형성된다.

Claims (9)

  1. 특히 전기 구동 장치(102)를 갖는 차량(100)이며, 이 차량은 배터리 시스템(104) 및 언더라이드 가드 플레이트(106)를 포함하고, 언더라이드 가드 플레이트(106)는 차량(100)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터리 시스템(104) 아래에 배치되며, 배터리 시스템(104)과 언더라이드 가드 플레이트(106) 사이에는 가스 채널(108)이 형성되는, 차량(100)에 있어서,
    언더라이드 가드 플레이트(106)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110)을 갖고, 격벽(110)은 제1 에지(112)를 가지며, 이 에지에서 격벽(110)이 언더라이드 가드 플레이트(106)에 고정되고, 격벽(110)은 제1 에지(112)에서부터 배터리 시스템(104) 방향으로 제2 에지(114)까지 뻗으며, 격벽(11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스 채널(108)의 일부를 형성하고, 격벽(110)은 언더라이드 가드 플레이트(106)에 아래로부터 기계 하중이 가해질 때 제1 에지(112) 또는 제1 에지(112)와 제2 에지(114) 사이가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100).
  2. 제1항에 있어서, 격벽(110)은 그의 재료 및/또는 형상으로 인해 유연한 영역을 이용해 언더라이드 가드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10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격벽(110)의 유연한 영역이 배터리 시스템(104)의 방향으로 제2 에지(114)를 가압하는 복원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100).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격벽(110)은 씰(116)을 가지며, 이 씰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터리 시스템(104)을 향하도록 제2 에지(114)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100).
  5. 제4항에 있어서, 격벽(110)은 장착 위치에서 대각선으로 배치되고, 이는 배터리 시스템(104)에 대한 씰(116)의 압착을 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100).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격벽(110)은 장착 위치에서 언더라이드 가드 플레이트(106)에 대해 90°가 아닌 각도로 배치되고, 가스 채널(108)은 제2 에지(114) 쪽으로 가면서 점점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100).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격벽(110)은 장착 위치에서 배터리 시스템(104)에서부터 언더라이드 가드 플레이트(106)까지 대각선 방향으로 뻗으며, 격벽(110)은 제1 에지(112)에서 또는 제1 에지(112)와 제2 에지(114) 사이에서 언더라이드 가드 플레이트(106)의 방향으로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100).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격벽(110)은 제1 에지(112)에 또는 제1 에지(112)와 제2 에지(114)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에지(112) 및/또는 제2 에지(114)의 방향으로 뻗은 설정 파단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100)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파단점은, 격벽(110)이 접힐 때 격벽(110)의 사전 설정된 변형이 일어날 때부터 설정 파단점의 영역이 파단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100).
KR1020230029050A 2022-03-09 2023-03-06 배터리 시스템과 언더라이드 가드 플레이트 사이의 가스 채널용 격벽을 갖는 차량 KR202301327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2105536.1A DE102022105536B4 (de) 2022-03-09 2022-03-09 Fahrzeug mit einem Schott für einen Gaskanal zwischen einem Batteriesystem und einer Unterfahrschutzplatte
DE102022105536.1 2022-03-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2706A true KR20230132706A (ko) 2023-09-18

Family

ID=87759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9050A KR20230132706A (ko) 2022-03-09 2023-03-06 배터리 시스템과 언더라이드 가드 플레이트 사이의 가스 채널용 격벽을 갖는 차량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286595A1 (ko)
KR (1) KR20230132706A (ko)
CN (1) CN219642990U (ko)
DE (1) DE102022105536B4 (ko)
SE (1) SE2350213A1 (ko)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5094A (ja) * 2007-08-01 2009-02-19 Toyota Motor Corp バッテリ搭載部のエネルギー吸収構造
DE102011100626A1 (de) 2011-05-05 2012-11-08 Daimler Ag Batterie mit einer Vielzahl von Batterieeinzelzellen
US9054402B1 (en) * 2013-11-19 2015-06-09 Atieva, Inc. Electric vehicle battery pack protection system
US9397376B2 (en) * 2014-09-25 2016-07-19 Atieva, Inc. Battery pack with segmented, electrically isolated heat sink
DE102016207231B4 (de) * 2016-04-28 2022-05-05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nordnung eines elektrischen Hochvolt-Energiespeichers an einem Kraftfahrzeug
JP7369114B2 (ja) * 2017-07-26 2023-10-25 オートテック・エンジニアリング・ソシエダッド・リミターダ 電気自動車用バッテリボックスフロアおよび対応する車両本体
DE102018210307A1 (de) 2018-06-25 2020-01-0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Energiespeicher zum Speichern von elektrischer Energie für ein Kraftfahrzeug sowie Kraftfahrzeug
DE102018129158B4 (de) * 2018-11-20 2021-05-06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Sicherheitsvorrichtung für eine Batterie
DE102019127588B3 (de) * 2019-10-14 2020-12-10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Energiespeicher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und Kraftfahrzeug umfassend eine solche Energiespeicheranordnung
DE102020102221A1 (de) 2020-01-30 2021-08-05 Audi Aktiengesellschaft Batteriezelle mit Abschirmschicht, Batterie sowie Kraftfahrzeug mit einer Batterie
GB2598350A (en) * 2020-08-27 2022-03-02 Jaguar Land Rover Ltd Battery module
DE102021005538A1 (de) * 2021-11-09 2021-12-23 Daimler Ag Batterie mit Ventingeinrichtung im Batteriegehä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22105536A1 (de) 2023-09-14
US20230286595A1 (en) 2023-09-14
CN219642990U (zh) 2023-09-05
SE2350213A1 (en) 2023-09-10
DE102022105536B4 (de) 2023-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8532B1 (ko) 전기 화학적 장치 및 전기 화학적 시스템
EP3401146B1 (en) Vehicle with a tank
EP1921691B1 (en) Battery module
US9711781B2 (en) Apparatus for preventing battery overcharge
KR102214890B1 (ko) 자동차용 부하 지지 배터리 모듈 및 자동차
US20030070858A1 (en) Mounting structure of a fuel cell stack to a vehicle
KR101954043B1 (ko) 배터리 팩의 압력 개방 기구
US10263273B2 (en) In-vehicle fuel cell stack
US20210036284A1 (en) Battery housing for at least one battery cell having a ceramic or glass-like or metallic protective coating, and motor vehicle
KR20230132706A (ko) 배터리 시스템과 언더라이드 가드 플레이트 사이의 가스 채널용 격벽을 갖는 차량
CN109994754B (zh) 燃料电池车辆
CN113169414B (zh) 电池壳体、包含该电池壳体的车辆以及定置型蓄电装置
CN101740746A (zh) 用于蓄电池的保险装置
US20200036031A1 (en) Fuel cell stack
US10923755B2 (en) Mount structure for fuel cell stack
JP2007005169A (ja) 燃料電池スタック
JP2013041845A (ja) 燃料電池の保護構造
KR20220116815A (ko) 스웰링 발생 시 균일한 압력이 가해질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배터리 모듈,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US20200136166A1 (en) Stack case and outer restraining member for fuel cell
CN114537120A (zh) 电动车辆
CN116259918A (zh) 电池设备和用于从电池设备排出气体的方法
JP7256163B2 (ja) 電池モジュール
KR102635097B1 (ko) 연료 전지 차량
EP4270622A1 (en) Battery pack and electric vehicle
CN220172319U (zh) 机动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