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5097B1 - 연료 전지 차량 - Google Patents

연료 전지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5097B1
KR102635097B1 KR1020210102932A KR20210102932A KR102635097B1 KR 102635097 B1 KR102635097 B1 KR 102635097B1 KR 1020210102932 A KR1020210102932 A KR 1020210102932A KR 20210102932 A KR20210102932 A KR 20210102932A KR 102635097 B1 KR102635097 B1 KR 102635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protrusion
stack
vehicle
cell st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2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2476A (ko
Inventor
유고 이치다
마사유키 이토
요시히로 시노자키
Original Assignee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32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2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7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fuel cells
    • B60L50/71Arrangement of fuel cells with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7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fuel cells
    • B60L50/72Constructional details of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01M8/247Arrangements for tightening a stack, for accommodation of a stack in a tank or for assembling different tanks
    • H01M8/2475Enclosures, casings or containers of fuel cell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01M8/2484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characterised by external manifolds
    • H01M8/2485Arrangements for sealing external manifolds; Arrangements for mounting external manifolds around a st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K2001/040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characterised by their position
    • B60K2001/0411Arrangement in the front part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K2001/040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characterised by their position
    • B60K2001/0416Arrangement in the rear part of the vehic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20Fuel cell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40Application of hydrogen technology to transportation, e.g. using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uel Cell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연료 전지 차량이며, 복수의 연료 전지 셀을 수납하는 하우징인 스택 케이스(23)와, 스택 케이스(23)의 개구를 막는 판 형상의 엔드 플레이트(24)를 구비하는 연료 전지 스택(21)을 구비하고, 엔드 플레이트(24)는, 스택 케이스 중 연료 전지 셀이 수납된 부위에 대해서 돌출되어 마련되는 돌출부(21a)를 갖고, 연료 전지 스택(21)은, 프론트 룸(11) 또는 리어 룸(51)에 배치되고, 돌출부(21a)의 높이 위치는, 돌출부(21a)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차량의 프레임의 높이 위치에 일치한다.

Description

연료 전지 차량{FUEL CELL VEHICLE}
본 개시는 연료 전지 차량에 관한 것이다.
연료 전지 스택의 소형화에 수반하여, 연료 전지 스택을 차량의 프론트 룸(모터 룸) 내에 탑재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이때, 연료 전지 스택에 구비되는 복수의 발전 셀(연료 전지 셀)은 연직 방향으로 적층된 양태로 탑재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1-051379호에는, 복수의 연료 전지 셀이 적층된 연료 전지 스택을 포함하는 연료 전지 유닛이, 대시보드의 전방에 형성된 프론트 룸에 배치된 차량에 있어서, 연료 전지 셀이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어 있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1-051379호에서는, 프론트 범퍼 프레임의 높이가, 연료 전지 스택의 연료 전지 셀 부분과 일치하고 있기 때문에, 차량의 전방이 장해물에 충돌한 경우에, 프론트 범퍼 프레임이 후방으로 이동하고, 프론트 범퍼 프레임이나 프론트 룸에 배치된 것이 연료 전지 셀에 부딪칠 가능성이 높은 구조로 되어 있다. 연료 전지 셀이 이들에 부딪친 경우에는, 적층된 복수의 연료 전지 셀 사이에 어긋남이 발생하여, 시일 성능의 저하나 발전 성능의 저하가 염려된다.
본 개시는, 연료 전지 셀의 보호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연료 전지 차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양태는, 연료 전지 차량이며, 복수의 연료 전지 셀을 수납하는 하우징인 스택 케이스와, 스택 케이스의 개구를 막는 판 형상의 엔드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연료 전지 스택을 구비하고, 엔드 플레이트는, 스택 케이스 중 연료 전지 셀이 수납된 부위에 대해서 돌출되어 마련되는 돌출부를 갖고, 연료 전지 스택은, 프론트 룸 또는 리어 룸에 배치되고, 돌출부의 높이 위치는, 돌출부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연료 전지 차량의 프레임의 높이 위치에 일치하는, 연료 전지 차량에 관한 것이다.
연료 전지 스택의 외면에 부재가 배치되어도 되고, 이 부재는, 연료 전지 스택을 사이에 두고 프레임과는 반대측의 면에 배치할 수 있다.
돌출부는, 부위에 따라 돌출량이 다르게 구성해도 된다.
차량의 프레임은, 프론트 범퍼 프레임, 사이드 프레임, 및 리어 범퍼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로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연료 전지 차량에 의하면, 충돌 시에도 연료 전지 셀의 보호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 양태의 특징, 이점과, 기술적 및 산업적 의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기에 기술될 것이며, 도면에서의 유사 번호는 유사 요소를 나타내는 것이고, 여기서:
도 1은 제1 형태의 차량(10)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며, 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2는 제1 형태의 차량(10)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며, 정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3은 연료 전지 스택(21)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4는 연료 전지 스택(21)과 프론트 범퍼 프레임(15)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제2 형태의 차량(10')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며, 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6은 제3 형태의 차량(10")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며, 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제1 형태]
1. 차량의 구조
차량은 공지된 바와 같이 많은 부재가 조합되어 이루어지고, 본 형태에 있어서도 이하에 설명하는 사항 이외에 대해서는 공지된 부재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것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필요한 사항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도 2에는, 제1 형태에 따른 차량(10) 중 프론트 룸(11)의 내부를 설명하는 도면을 나타내었다. 도 1은 측방에서 차량(10)을 본 도면이며 지면 왼쪽이 전진 방향이다. 또한 도 2는 정면에서 차량(10)을 본 도면이다. 공지된 바와 같이, 프론트 룸(11)은 대시 패널(12)의 전방에 형성된 공간이며, 여기에는 차량을 구동하기 위한 각종 기기가 수용되어 있다. 또한, 도 1, 도 2에는 프론트 타이어(13) 및 프론트 드라이브 샤프트(14)를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본 형태의 차량(10)은 다음의 구성 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다.
1.1. 프론트 범퍼 프레임
프론트 범퍼 프레임(15)은, 차체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부재의 하나이며, 전방 측단부에 마련되는 프레임이면서 동시에 완충 기능도 갖는다. 따라서 프론트 범퍼 프레임(15)은 도 1,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프론트 룸(11) 중 전방 측단부에 마련되고, 프론트 룸(11)(차량(10))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이다.
이와 같은 프론트 범퍼 프레임(15)은 공지된 것이어도 되며,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1.2. 사이드 프레임
사이드 프레임(16)은, 차체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부재의 하나이며, 좌우의 양측부에 마련되는 프레임이다. 따라서 사이드 프레임(16)은 도 1,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차량(10)의 좌우 양측부에 배치됨과 함께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이다.
이와 같은 사이드 프레임(16)은 공지된 것이어도 되며,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1.3. 연료 전지 시스템
연료 전지 시스템은, 연료 전지 스택(21), 보조 기기 유닛(30), 컨버터(31), 수소 탱크, 공기 취득 수단을 갖고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수소 탱크로부터 수소 공급 배관을 통과하여 연료 전지 스택(21)에 수소가 공급됨과 함께, 공기 취득 수단으로부터 연료 전지 스택(21)에 공기가 공급된다. 수소와 공기가 공급된 연료 전지 스택(21)에 의해 발전되고, 발전된 전력에 의해 프론트 룸(11)에 배치된 전동 모터가 구동한다.
당해 연료 전지 시스템 중, 도 1, 도 2에는 연료 전지 스택(21), 보조 기기 유닛(30), 컨버터(31)가 표시되어 있으며, 다른 부재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았다. 이들 다른 부재에 대해서는 공지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이하에 도시한 각 부재에 대하여 설명한다.
1.3a. 연료 전지 스택
도 3에는 연료 전지 스택(21)의 외관 사시도를 나타내었다. 도 1 내지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연료 전지 스택(21)은, 연료 전지 셀(22), 스택 케이스(23) 및 엔드 플레이트(24)를 갖고 있다.
연료 전지 셀(22)은 공지된 바와 같지만, 막-전극 접합체(MEA)가 2개의 세퍼레이터의 사이에 끼워져 구성되어 있다. MEA는 고체 고분자막, 부극 촉매층, 정극 촉매층, 부극 가스 확산층, 정극 가스 확산층 등에 의한 적층체이다. 그리고 연료 전지 스택(21)에서는, 이와 같은 연료 전지 셀(22)이 차량 높이 방향으로 복수 겹쳐져 있다.
스택 케이스(23)는, 겹쳐진 복수의 연료 전지 셀(22)을 그 안쪽에 수납하는 하우징이다. 본 형태에서 스택 케이스(23)는 직육면체의 하우징이며, 그 하나의 벽부가 없이, 개구되어 있음과 함께, 그 개구의 에지를 따라 개구와는 반대측에 판 형상의 편이 돌출되어, 플랜지(23a)를 형성하고 있다. 이 개구로부터 연료 전지 셀(22)을 스택 케이스(23)의 안쪽에 수납한다. 이 개구는 차량 하방으로 개구되어 있다.
스택 케이스(23)는 연료 전지 셀(22)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갖는 관점에서, 소정의 강도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두께 3㎜ 정도의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플랜지(23a)의 돌출량 A는 특별히 한정되는 일은 없지만, 이 플랜지(23a)로 스택 케이스(23)와 엔드 플레이트(24)를 볼트 및 너트 등으로 접합함과 함께, 지수성을 얻는 관점에서 어느 정도의 양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돌출량은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엔드 플레이트(24)는, 판 형상의 부재이며, 스택 케이스(23)의 개구를 막는 동시에, 스택 케이스(23)의 플랜지(23a)에 겹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예를 들어 플랜지(23a)와 엔드 플레이트(24)를 관통하도록 배치한 볼트 및 너트 등에 의해 스택 케이스(23)에 뚜껑을 덮도록 하여 엔드 플레이트(24)가 스택 케이스(23)에 고정된다.
이에 의해, 플랜지(23a)와 엔드 플레이트(24)가 겹치는 부분에는, 스택 케이스(23) 중 연료 전지 셀(22)이 수납된 부위에 대해서 돌출된 돌출부(21a)가 형성된다.
엔드 플레이트(24)는, 스택 케이스(23)의 뚜껑으로서 기능함과 함께,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돌출부(21a)에 강도를 부여하기 위해서, 엔드 플레이트(24)는 높은 강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엔드 플레이트(24)는 금속임과 함께, 그 판 두께는 적어도 스택 케이스(23)를 구성하는 벽, 플랜지(23a)의 판 두께보다도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두께가 20㎜ 이상이다.
본 형태에서는 플랜지(23a)의 단부면과 엔드 플레이트(24)의 단부면이 일치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엔드 플레이트(24)의 단부면이 플랜지(23a)의 단면으로부터 돌출되어도 된다.
1.3b. 보조 기기 유닛
보조 기기 유닛(30)은, 반응 가스 공급·순환 장치, 냉각 매체 공급·순환 장치 등을 포함하는 유닛이다.
본 형태에서 보조 기기 유닛(30)은 엔드 플레이트(24)의 면 중 스택 케이스(23)가 배치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설치되어 있다.
1.3c. 컨버터
컨버터(31)는, 연료 전지 스택(21)의 출력 전압을 승압하는 기능을 갖는 부재이며, 공지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본 형태에서 컨버터(31)는 스택 케이스(23)의 외면 중 연료 전지 셀(22)이 수납된 부위의 외면에 설치되어 있다.
1.4. 연료 전지 스택 등의 배치
본 형태에서 연료 전지 스택(21)은, 프론트 룸(11)에 다음과 같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는 도 1의 그 중 프론트 범퍼 프레임(15) 및 연료 전지 스택(21)에 주목해서 확대한 도면이며, 그 배치나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도 2, 도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연료 전지 스택(21)은, 엔드 플레이트(24)가 아래로 됨과 함께, 연료 전지 셀(22)이 상하 방향으로 겹쳐지는 방향이다.
보조 기기 유닛(30) 및 컨버터(31)는 프론트 범퍼 프레임(15) 및 사이드 프레임(16)이 존재하지 않는 측의 면에 배치된다. 즉 본 형태에서는 컨버터(31)는 연료 전지 스택(21)을 사이에 두고 프론트 범퍼 프레임(15)과는 반대측에 배치되고, 보조 기기 유닛(30)은 연료 전지 스택(21)의 하면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연료 전지 스택의 외면에 배치되는 부재로서, 보조 기기 유닛 및 컨버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연료 전지 스택(21)의 외면에 배치되는 부재는 이와 같이 프론트 범퍼 프레임(15) 및 사이드 프레임(16)이 존재하지 않는 측의 면에 배치된다.
도 1, 도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연료 전지 스택(21)의 돌출부(21a) 중, 돌출 방향이 프론트 범퍼 프레임(15)에 적합한 돌출부(21a)는, 그 적어도 일부가, 프론트 범퍼 프레임(15)이 존재하는 높이 위치의 범위(도 4에 B로 나타낸 범위의 높이 위치)에 일치하는 높이 위치로 되도록 배치된다. 돌출 방향이 프론트 범퍼 프레임(15)에 적합한 돌출부(21a)의 전부가, 당해 B의 범위에 일치하는 높이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연료 전지 스택(21)의 돌출부(21a) 중, 돌출 방향이 사이드 프레임(16)에 적합한 돌출부(21a)는, 그 적어도 일부가, 사이드 프레임(16)이 존재하는 높이 위치의 범위에 일치하는 높이 위치가 되도록 배치된다. 돌출 방향이 사이드 프레임(16)에 적합한 돌출부(21a)의 전부가, 당해 범위에 일치하는 높이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2. 효과
이상과 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차량은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프론트 범퍼 프레임과의 관계>
차량(10)이 전방의 장해물과 충돌할 때에는, 프론트 범퍼 프레임(15)이 객실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이동하고, 사이드 프레임(16)의 일부가 수축됨으로써, 충돌의 충격을 흡수하여 객실의 공간을 유지, 보호한다.
여기서, 충돌에 의한 프론트 범퍼 프레임의 후퇴량이 큰 경우에는, 프론트 범퍼 프레임 또는 프론트 범퍼 프레임과 연료 전지 스택의 사이에 배치된 부재가, 연료 전지 스택에 부딪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부재가, 스택 케이스 중 연료 전지 셀이 수납된 부분, 또는 연료 전지 셀에 직접 닿은 경우에는, 스택 케이스의 일부가 파손되어, 적층된 연료 전지 셀이 어긋날 우려가 있다. 연료 전지 셀이 어긋난 경우에는, 셀 간의 시일 성능이 저하되거나, 연료 전지 셀에 적절한 면압이 부여되지 않아 발전 성능이 저하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반하여 본 형태에 의하면, 프론트 범퍼 프레임(15)이 존재하는 높이 위치의 범위 내에 연료 전지 스택(21)의 돌출부(21a)가 위치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프론트 범퍼 프레임(15)이 후퇴했을 때에는, 우선 돌출부(21a)에 부딪친다. 상기와 같이 돌출부(21a)는 강성이 높기 때문에, 부딪친 경우에도 즉시 파손되는 일이 없다. 또한, 돌출부(21a)는, 연료 전지 셀(22)보다도 차량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확실하게 연료 전지 셀(22)이 배치된 부분보다도 먼저 돌출부(21a)가 부딪쳐서, 하중을 받아낼 수 있다. 따라서, 이것에 의하면, 차량(10)의 충돌 시에도 연료 전지 스택(21)이 손상을 받기 어렵기 때문에, 충돌 후에도 계속해서 연료 전지 스택(21)을 사용할 수 있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사이드 프레임과의 관계>
사이드 프레임(16)과 연료 전지 스택(21)의 관계도 프론트 범퍼 프레임(15)과 연료 전지 스택(21)의 관계와 마찬가지로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차량(10)의 프론트 룸(11)에 측방으로부터 다른 차량이 충돌하거나 하여, 사이드 프레임(16)이 프론트 룸(11) 안쪽으로 침입하고, 연료 전지 스택(21)에 부딪칠 때에도, 강성이 높은 돌출부(21a)에서 하중을 받아낼 수 있어, 연료 전지 스택(21)이 손상되기 어렵다.
<연료 전지 스택의 외면에 배치된 부재>
본 형태에서는, 보조 기기 유닛(30)을 연료 전지 스택(21)의 하면에 배치하고, 컨버터(31)를 연료 전지 스택(21)의 차량 후방측(즉 연료 전지 스택(21)을 사이에 두고 프론트 범퍼 프레임(15)과는 반대측)에 구비함으로써 프론트 드라이브 샤프트(14)가, 보조 기기 유닛(30)의 후방이면서 또한 컨버터(31)의 하방을, 차량(10)의 좌우 방향을 관통하여 배치된다. 이 레이아웃에 의해, 이들 부재를 차량(10)의 프론트 룸(11)에 높은 스페이스 효율로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보조 기기 유닛(30) 및 컨버터(31)의 이와 같은 배치에 의해, 충돌 시에 있어서 보조 기기 유닛(30) 및 컨버터(31)가, 프론트 범퍼 프레임(15) 및 사이드 프레임(16) 등에 겹칠 가능성이 낮아져서, 충돌 시의 수소 안전, 고전압 안전을 담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3. 기타
상기 형태에서는, 돌출부(21a)의 돌출량은 모든 부위에서 동일하게 하였다. 단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부위에 따라 돌출량을 바꿔도 된다. 예를 들어, 돌출 방향이 프론트 범퍼 프레임(15) 및 사이드 프레임(16)인 돌출부(21a)는, 다른 돌출부(21a)에 비하여 돌출량을 크게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상기한 효과를 보다 현저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제2 형태]
도 5에는, 제2 형태에 따른 차량(10')을 설명하는 도면을 나타내었다. 도 5는 도 1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차량(10')에서는, 연료 전지 스택(21)의 상방이 후퇴하고, 돌출부(21a) 측이 전방으로 나오도록 경사져 있는 점이 차량(10)과는 다르다.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제1 형태의 차량(10)과 마찬가지로 생각할 수 있으므로,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은 생략한다.
프론트 룸(11)의 상면은, 일반적으로 전방이 낮고 후방이 높다. 차량(10')에서는 연료 전지 스택(21)이 기울어 있음으로써, 연료 전지 스택(21)의 상부를 후방에 위치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프론트 룸(11)의 높이가 낮은 경우라도, 연료 전지 스택(21)을 탑재 가능하다. 또한, 연료 전지 스택(21)의 하부가 차량 전방으로 이동하고 있기 때문에 프론트 드라이브 샤프트(14)의 거리를 확보하기 쉬워져서, 프론트 룸(11)에 대한 연료 전지 스택(21)의 배치가 더욱 하기 쉬워진다.
[제3 형태]
도 6에는, 제3 형태에 따른 차량(10")을 설명하는 도면을 나타내었다. 도 6은 도 1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차량(10")에서는, 연료 전지 스택(21)은, 차량(10")의 객실보다도 후방의 리어 룸(51) 내에 수용되어 있다.
차량(10")에 있어서도, 제1 형태의 차량(10)과 마찬가지의 사고 방식으로 연료 전지 스택(21)을 배치하면 된다. 이때, 프론트 범퍼 프레임(15) 대신에 차체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하나인 리어 범퍼 프레임(55)을 생각하면 되며, 제1 형태에 있어서 정면 충돌 대신에 뒤로부터의 추돌을 생각하면 된다. 즉, 차량(10")이 후방으로부터 추돌된 경우에, 객실에 대해서 리어 범퍼 프레임(55)이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이동하고, 사이드 프레임(16)의 일부가 수축됨으로써, 충돌의 충격을 흡수하여, 객실의 공간을 유지, 보호한다. 이 구성의 경우에 있어서도, 충돌 시에 리어 범퍼 프레임(55) 또는 리어 범퍼 프레임(55)과 연료 전지 스택(21)의 사이에 탑재되는 부재가, 우선 연료 전지 스택(21)의 돌출부(21a)에 부딪친다. 이에 의해 상기한 것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Claims (8)

  1. 연료 전지 차량이며,
    복수의 연료 전지 셀을 수납하는 하우징인 스택 케이스(23)와, 상기 스택 케이스(23)를 구성하는 재료보다 두껍고, 상기 스택 케이스(23)의 개구를 막는 판 형상의 엔드 플레이트(24)를 구비하는 연료 전지 스택(21)을 구비하고,
    상기 스택 케이스(23)는, 상기 스택 케이스(23)의 상기 개구의 에지로부터 돌출된 플랜지(23a)를 갖고,
    상기 엔드 플레이트(24)는, 상기 스택 케이스(23)의 상기 플랜지(23a)에 겹쳐져 배치되고, 상기 스택 케이스(23) 중 상기 연료 전지 셀이 수납된 부위에 대해서 돌출되어 마련되는 돌출부(21a)를 갖고,
    상기 연료 전지 스택(21)은, 프론트 룸(11) 또는 리어 룸(51)에 배치되고,
    상기 돌출부(21a)의 높이 위치는, 상기 돌출부(21a)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상기 연료 전지 차량의 프레임의 높이 위치에 일치하고,
    상기 연료 전지 스택(21)이 상기 프론트 룸(11)에 배치된 때에, 상기 프레임 중 프론트 범퍼 프레임(15) 및 사이드 프레임(16)을 향해서 돌출된 상기 돌출부(21a)가 다른 상기 돌출부(21a)보다도 돌출량이 크고,
    상기 연료 전지 스택(21)이 상기 리어 룸(51)에 배치된 때에, 상기 프레임 중 리어 범퍼 프레임(55) 및 사이드 프레임(16)을 향해서 돌출된 상기 돌출부(21a)가 다른 상기 돌출부(21a)보다도 돌출량이 큰, 연료 전지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전지 스택(21)의 외면에 부재(30, 31)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부재(30, 31)는, 상기 연료 전지 스택(21)을 사이에 두고 상기 프레임과는 반대측의 면에 배치되어 있는, 연료 전지 차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30, 31)는 보조 기기 유닛(30) 또는 컨버터(31)인, 연료 전지 차량.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료 전지 셀은 상기 연료 전지 차량의 높이 방향으로 적층되어 있는, 연료 전지 차량.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택 케이스(23)의 상기 개구는 상기 연료 전지 차량의 하방으로 개구되어 있는, 연료 전지 차량.
KR1020210102932A 2020-09-07 2021-08-05 연료 전지 차량 KR1026350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49842 2020-09-07
JP2020149842A JP7259816B2 (ja) 2020-09-07 2020-09-07 車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2476A KR20220032476A (ko) 2022-03-15
KR102635097B1 true KR102635097B1 (ko) 2024-02-13

Family

ID=80266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2932A KR102635097B1 (ko) 2020-09-07 2021-08-05 연료 전지 차량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077487A1 (ko)
JP (1) JP7259816B2 (ko)
KR (1) KR102635097B1 (ko)
DE (1) DE102021120631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14473A (ja) * 2017-12-25 2019-07-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ユニット及び燃料電池車
JP2019114469A (ja) * 2017-12-25 2019-07-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車両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95876B2 (ja) 2009-08-31 2012-08-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車両
JP5998433B2 (ja) * 2011-06-21 2016-09-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JP6344342B2 (ja) * 2015-09-04 2018-06-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車両
JP6477425B2 (ja) * 2015-11-04 2019-03-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装置
JP6414095B2 (ja) * 2016-02-17 2018-10-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車両
JP6622180B2 (ja) * 2016-12-19 2019-12-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車両
JP6763337B2 (ja) * 2017-04-24 2020-09-30 トヨタ紡織株式会社 燃料電池スタックのエンドプレート
JP6907913B2 (ja) * 2017-12-08 2021-07-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車両
KR102529511B1 (ko) * 2018-06-12 2023-05-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차량의 부품 배치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14473A (ja) * 2017-12-25 2019-07-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ユニット及び燃料電池車
JP2019114469A (ja) * 2017-12-25 2019-07-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車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044289A (ja) 2022-03-17
DE102021120631A1 (de) 2022-03-10
US20220077487A1 (en) 2022-03-10
KR20220032476A (ko) 2022-03-15
CN114148186A (zh) 2022-03-08
JP7259816B2 (ja) 202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6516B2 (en) Battery mounting structure
CN110203081B (zh) 燃料电池车辆
JP3551519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車両取付構造および燃料電池収納ケース
US9199537B2 (en) Automobile with vehicle drive motor
US20180178641A1 (en) Fuel cell mounting structure
CN110707247B (zh) 蓄电池壳体和具有蓄电池壳体的机动车
US2016023346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ing a Crushable 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 Structure to the Outer Surface of a Battery Enclosure
US7086492B2 (en) Fuel cell vehicle
JP7404543B2 (ja) 筐体、電池パック及び装置
CN114342162A (zh) 电动车辆用电池箱
CN114194297A (zh) 车辆碰撞能量吸收系统和车辆
CN110239623B (zh) 车辆后部构造
KR102635097B1 (ko) 연료 전지 차량
US11664520B2 (en) Fuel cell assembly and vehicle including fuel cell assembly
CN111490282B (zh) 燃料电池组件以及端板
US20240010080A1 (en) Fuel cell vehicle
CN114148186B (zh) 燃料电池车辆
JP2018176851A (ja) 車両前部構造
US20220194196A1 (en) Battery mounting structure of electric vehicle
CN110605965A (zh) 燃料电池车辆
US20220281305A1 (en) Component Assembly for a Crash Zone of a Motor Vehicle
JP6798310B2 (ja) 車両搭載用の電池パック
JP6332305B2 (ja) 車両用の燃料電池システム
CN217945336U (zh) 机舱轮罩和纵梁的连接结构、车辆
WO2019035170A1 (ja) 燃料電池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