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2269A - 화물용 주차 엘리베이터의 자동 레벨장치 - Google Patents

화물용 주차 엘리베이터의 자동 레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2269A
KR20230132269A KR1020220029572A KR20220029572A KR20230132269A KR 20230132269 A KR20230132269 A KR 20230132269A KR 1020220029572 A KR1020220029572 A KR 1020220029572A KR 20220029572 A KR20220029572 A KR 20220029572A KR 20230132269 A KR20230132269 A KR 202301322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elevator
elevator cage
moving
lead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9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찬운
Original Assignee
동원엘리베이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원엘리베이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원엘리베이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29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2269A/ko
Publication of KR20230132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22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6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 B66B1/40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and for correct levelling at lan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92Position or motion detectors or driving means for the dete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6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 B66B1/365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mechanic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게시된 내용은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정위치에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각 층의 승강장에서 탑재 또는 하역되는 하물의 큰 하중을 지탱하여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화물용 주차 엘리베이터의 자동 레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용 주차 엘리베이터의 자동 레벨장치는
화물이 탑재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를 건물 내부에 형성되는 승강로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각 층의 승강장으로 층간 이동시키기 위한, 화물용 주차 엘리베이터의 자동 레벨장치에 있어서,
화물용 주차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의 개방에 따라 승강장에 화물 진입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
상기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바닥면에 장착되고,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구동되는 구동모터 및 감속기를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감속기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리드 스크류;
상기 리드스크류에 결합되고, 상기 리드스크류 회전에 의해 전후진 이동되는 이동브라킷;
상기 이동브라킷 양단에 복수개 장착되어 임의의 스트로크만큼 직선왕복운동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케이지에 화물 탑재시 쉬프팅되어 승강로 프레임에 외측단이 안착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처짐방지용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주차 엘리베이터의 자동 레벨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화물용 주차 엘리베이터의 자동 레벨장치{automatic leveling device for parking elevator}
본 명세서는 화물용 주차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정위치에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각 층의 승강장에서 탑재 또는 하역되는 하물의 큰 하중을 지탱하여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화물용 주차 엘리베이터의 자동 레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건물 내부에 형성되는 승강로를 따라 케이지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각 층에 마련된 승강장으로 승객 또는 화물을 층간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그 종류로는 일반 사람이 탑승하는 승객용 엘리베이터와, 화물 또는 자동차 등이 탑재되는 화물용 엘리베이터로 크게 분류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에는 각종 안전장치가 장착, 설치되어 오작동 또는 정전 등에 대비하여 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하고 있다.
특히, 화물용 엘리베이터는 건축물이나 고정된 시설물에 설치되며,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내부에 무게 하중이 큰 화물이나 화물을 운반하는 지게차, 또는 화물차 등이 탑재되기 때문에 그에 대한 안전대책의 필요성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
전술한 화물용 엘리베이터는 통 형상의 엘리베이터 케이지에 화물이 탑재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일측에 행선지 버튼이 구비됨과 동시에, 엘리베이터 케이지를 개폐하는 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도면에는 미 도시 되었으나, 종래의 화물용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내측으로 중량체의 화물을 탑재하거나, 또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내측의 화물을 하역할 때, 중량체의 화물로 인해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기준치보다 조금 하강하게 되어 건물의 승강장에 대해 높낮이가 발생되어 화물의 탑재 또는 하역 작업시 안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487593호(2018.10.10)에 화물 엘리베이터용 안전장치가 등록공고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에 중량의 화물 또는 다수의 승객이 탑재되는 경우에도 엘리베이터 케이지(또는 주차 플레이트) 처짐을 방지하여 화물 등을 안전하게 탑재, 또는 하역할 수 있도록 하고, 엘리베이터 오작동 및 안전사고 발생 위험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화물용 주차 엘리베이터의 자동 레벨장치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물의 구조 간단화로 인해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고 사후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화물용 주차 엘리베이터의 자동 레벨장치와 관련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물이 탑재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를 건물 내부에 형성되는 승강로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각 층의 승강장으로 층간 이동시키기 위한, 화물용 주차 엘리베이터의 자동 레벨장치에 있어서,
화물용 주차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의 개방에 따라 승강장에 화물 진입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
상기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바닥면에 장착되고,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구동되는 구동모터 및 감속기를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감속기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리드스크류;
상기 리드스크류에 결합되고, 상기 리드스크류 회전에 의해 전후진 이동되는 이동브라킷;
상기 이동브라킷 양단에 복수개 장착되어 임의의 스트로크만큼 직선왕복운동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케이지에 화물 탑재시 쉬프팅되어 승강로 프레임에 외측단이 안착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처짐방지용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주차 엘리베이터의 자동 레벨장치를 제공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용 주차 엘리베이터의 자동 레벨장치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엘리베이터 케이지에 중량의 화물(승객)이 탑재(탑승)되는 경우에도 엘리베이터 케이지 처짐을 방지하여 화물 등을 안전하게 탑재, 또는 하역할 수 있도록 하고, 엘리베이터 오작동 및 안전사고 발생 위험을 예방할 수 있어 안전성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물의 구조 간단화로 인해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고 고장 발생을 최소화하여 사후유지비용(A/S)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물용 주차 엘리베이터의 자동 레벨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레벨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레벨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레벨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화물용 주차 엘리베이터의 자동 레벨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물용 주차 엘리베이터의 자동 레벨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용 주차 엘리베이터의 자동 레벨장치는
화물이 탑재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를 통상적인 승강수단 구동에 의해 건물 내부에 형성되는 승강로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각 층의 승강장으로 층간 이동시키기 위한, 화물용 주차 엘리베이터의 자동 레벨장치에 있어서,
화물용 주차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110)의 개방에 따라 승강장에 자동차 등의 화물 진입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20);
엘리베이터 케이지(10)의 바닥면에 장착되고, 감지센서(2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정방향(시계 방향) 및 역방향(반시계 방향)으로 구동되는 구동모터(30) 및 구동모터(30)에 연결되는 감속기(30a)를 포함하는 구동부(100);
감속기(30a)에 연결되어 정역방향으로 회전되는 통상적인 리드스크류(lead screw)(40);
리드스크류(40)에 결합되고, 리드스크류(40) 회전에 의해 전후진 이동되는 이동브라킷(50);
이동브라킷(50)의 전면(前面) 양단에 복수개 장착되고 임의의 스트로크만큼 직선왕복운동되며, 엘리베이터 케이지(10)에 화물 탑재시 쉬프팅(shifting)되어 승강로 프레임(60)에 외측단이 안착되어 엘리베이터 케이지(10)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로드(rod) 형태의 처짐방지용 스토퍼(stopper)(7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엘리베이터 케이지(10)의 바닥면에 형성되고, 처짐방지용 스토퍼(70)의 직선왕복운동을 가이드하고, 리드스크류(40)의 외측단을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용 브라킷(80);
가이드용 브라킷(80) 내측에 형성되고, 처짐방지용 스토퍼(70)가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처짐방지용 스토퍼(70)의 반복적인 직선왕복운동으로 인해 가이드용 브라킷(80)의 결합공(도면부호 미 표기)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상적인 부싱(90)(bushing)(일 예로서, 내부식성 및 내마모성을 갖도록 황동재로 형성될 수 있고 이로 제한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용 주차 엘리베이터의 자동 레벨장치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자동차 등과 같은 중량체의 화물을 화물용 주차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케이지(10)에 탑재시키기 위해 승강장에서 해당 버튼 조작(또는 감지센서의 검출)에 의해 승강장 도어(110)를 개방시킬 경우, 주차 엘리베이터 임의위치에 설치된 감지센서(20)에 의해 승강장에 화물 진입을 감지하여 구동부(100)에 전송하게 된다(도 4의 S10 참조).
감지센서(20)에 의해 승강장에 화물 진입이 감지되어 엘리베이터 케이지(10)의 바닥면에 장착된 구동부(100)에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모터(30)를 정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연동되는 감속기(30a)에 연결된 통상의 리드스크류(40)가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도 4의 S20 참조).
리드스크류(40)가 정방향으로 회전시, 리드스크류(40)에 전후진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이동브라킷(50)이 임의거리만큼 전진이동하게 된다(도 4의 S30 참조).
이때, 리드스크류(40)에 이동브라킷(50)이 전후진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구성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 및 결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브라킷(50)이 임의거리만큼 전진이동함에 따라, 이동브라킷(50)의 양단에 형성된 로드(rod) 형태의 처짐방지용 스토퍼(70)가 전진이동하여 엘리베이터 케이지(10) 바닥면에 형성된 가이드용 브라킷(80)에 의해 안내되어 승강로 프레임(60)에 외측단이 안착된다(도 4의 S40 참조).
이때, 처짐방지용 스토퍼(70)를 가이드용 브라킷(80)을 따라 직선왕복운동시킬 경우, 가이드용 브라킷(80) 내측에 형성된 내부식성 및 내마모성을 갖도록 황동재 등이 사용되는 통상의 부싱(90)(bushing)에 의해 가이드용 브라킷(80)에 형성된 결합공(도면부호 미 표기)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건물의 승강로(120)를 따라 각 층의 승강장으로 이동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10)에 탑재된 화물의 중량으로 인해 엘리베이터 케이지(10)가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승강장과 엘리베이터 케이지(10)의 높낮이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승강장에 이동된 화물을 엘리베이터 케이지(10)에 탑재하거나, 또는 엘리베이터 케이지(10)로부터 화물을 승강장에 안전하게 하역시킬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케이지(10)로부터 화물 등의 하역작업이 종료된 경우, 구동모터(30)를 역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리드스크류(40)가 역회전하게 되어 이동브라킷(50)을 후진이동시킨다.
이로 인해, 이동브라킷(50) 양단에 형성된 로드 형태의 처짐방지용 스토퍼(70)의 외측단이 승강로 프레임(60)으로부터 이탈되어 초기위치로 복귀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케이지(10)(주차플레이트)는 엘리베이터 케이지(10)의 통상적인 승강수단(미 도시) 구동에 의해 각 층의 승강장으로 승강이동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명세서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명세서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술적사상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명세서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엘리베이터 케이지(elevator cage)
20; 감지센서
30; 구동모터
30a; 감속기
40; 리드스크류(lead screw)
50; 이동브라킷
60; 승강로 프레임
70; 처짐방지용 스토퍼
80; 가이드용 브라킷
90; 부싱(bushing)
100; 구동부
110; 승강장 도어
120; 승강로

Claims (2)

  1. 화물이 탑재되는 엘리베이터 케이지를 건물 내부에 형성되는 승강로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각 층의 승강장으로 층간 이동시키기 위한, 화물용 주차 엘리베이터의 자동 레벨장치에 있어서,
    화물용 주차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의 개방에 따라 승강장에 화물 진입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
    상기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바닥면에 장착되고,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구동되는 구동모터 및 감속기를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감속기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리드스크류;
    상기 리드스크류에 결합되고, 상기 리드스크류 회전에 의해 전후진 이동되는 이동브라킷;
    상기 이동브라킷 양단에 복수개 장착되어 임의의 스트로크만큼 직선왕복운동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케이지에 화물 탑재시 쉬프팅되어 승강로 프레임에 외측단이 안착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처짐방지용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주차 엘리베이터의 자동 레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바닥면에 형성되고, 상기 처짐방지용 스토퍼의 직선왕복운동을 가이드하고 상기 리드스크류의 외측단을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용 브라킷;
    상기 가이드용 브라킷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처짐방지용 스토퍼가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처짐방지용 스토퍼의 반복적인 직선왕복운동으로 인해 상기 가이드용 브라킷의 결합공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싱;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주차 엘리베이터의 자동 레벨장치.












KR1020220029572A 2022-03-08 2022-03-08 화물용 주차 엘리베이터의 자동 레벨장치 KR202301322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572A KR20230132269A (ko) 2022-03-08 2022-03-08 화물용 주차 엘리베이터의 자동 레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572A KR20230132269A (ko) 2022-03-08 2022-03-08 화물용 주차 엘리베이터의 자동 레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2269A true KR20230132269A (ko) 2023-09-15

Family

ID=88017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9572A KR20230132269A (ko) 2022-03-08 2022-03-08 화물용 주차 엘리베이터의 자동 레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226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42591B2 (ja) エレベータの終端安全装置
KR102270800B1 (ko) 엘리베이터용 처짐 방지시스템
KR101564880B1 (ko)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유지장치
KR20230132269A (ko) 화물용 주차 엘리베이터의 자동 레벨장치
CN207226763U (zh) 一种容量可调的货运电梯
CN210973486U (zh) 用于agv小车的升降设备的定位装置
US20190389695A1 (en) Elevator system
KR200487933Y1 (ko) 작업장용 물품 운반 엘리베이터
CN212050074U (zh) 重载货梯精确平层装置
KR20220008993A (ko) 엘리베이터의 화물 운반 보조장치
JP2006044889A (ja) 避難用エレベータ装置
KR102566204B1 (ko) 엘리베이터 카의 정위치 고정 시스템
KR102553526B1 (ko) 화물용 엘리베이터 카의 정위치 고정장치
KR102553523B1 (ko)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카 정위치 고정장치
KR102525885B1 (ko) 엘리베이터용 하중분산 지지장치
KR102596055B1 (ko) 화물용 엘리베이터의 카 정위치 고정장치
KR101157185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215048343U (zh) 提升机
KR19990074350A (ko) 주차 설비의 리프트 낙하 방지장치
KR20210023098A (ko) 화물운반 설비를 갖춘 다층 비계장치
KR102608146B1 (ko) 주차기의 타이어 스톱퍼장치
KR102566304B1 (ko) 구동 권상기가 균형추에 구비된 기계실이 필요없는 승객용, 인화물용, 화물용, 건설용 로프식 엘리베이터
CN116812722B (zh) 货梯装载支撑安全装置
CN213651550U (zh) 无机房直角开门轿厢架结构
JP6416670B2 (ja) 駐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