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1919A - 전자 계전기 - Google Patents

전자 계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1919A
KR20230131919A KR1020237027728A KR20237027728A KR20230131919A KR 20230131919 A KR20230131919 A KR 20230131919A KR 1020237027728 A KR1020237027728 A KR 1020237027728A KR 20237027728 A KR20237027728 A KR 20237027728A KR 20230131919 A KR20230131919 A KR 20230131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contact
spacer
contact piece
stopper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7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이치 오가와
료타 미노와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31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191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6Contact spring sets
    • H01H50/58Driving arrang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therewith; Mounting of driving arrangements on arm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46Contact arrangements for contactors having bridging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26Details concerning isolation between driving and switching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4Terminal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acts (AREA)
  • Manufacture Of Switches (AREA)

Abstract

가동 접촉편은 제1 가동 접점으로부터 제1 고정 접점을 향하는 제1 방향 및 제1 고정 접점으로부터 제1 가동 접점을 향하는 제2 방향을 포함하는 이동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구동축은 가동 접촉편으로부터 제2 방향으로 떨어져 배치된다. 구동축은 축부 및 축부로부터 돌출된 플랜지부를 포함한다. 스페이서는 가동 접촉편과 구동축 사이에 배치된다. 접점 스프링은 스페이서와 구동축 사이에 배치되며, 이동 방향에서 스페이서와 구동축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부세한다. 스토퍼는 협지부와 가압부를 포함한다. 협지부는 스페이서와 함께, 가동 접촉편을 이동 방향으로부터 협지한다. 가압부는 제1 가동 접점이 제1 고정 접점으로부터 개방 분리된 상태에서 구동축의 플랜지부에 의해 제2 방향으로 가압된다.

Description

전자 계전기
본 발명은 전자 계전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고정 접점을 포함하는 고정 단자, 고정 접점에 접촉 가능한 가동 접점을 포함하는 가동 접촉편, 구동축, 접점 스프링 및 구동 장치를 구비한 전자 계전기가 개시되어 있다. 구동 장치는 전자력에 의해 구동축을 이동시킨다. 구동축의 이동에 수반하여 가동 접촉편이 이동함으로써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에 접촉한다.
일본 특허 제5727862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전자 계전기에서는 구동축 및 접점 스프링이 가동 접촉편에 접촉하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축이 이동했을 때 가동 접촉편이 구동축 및 접점 스프링과 슬라이딩되어 마모 가루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전자 계전기에서 가동 접촉편의 마모 가루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전자 계전기는, 제1 고정 단자, 제2 고정 단자, 가동 접촉편, 구동축, 스페이서, 접점 스프링, 스토퍼 및 구동 장치를 구비한다. 제1 고정 단자는 제1 고정 접점을 포함한다. 제2 고정 단자는 제2 고정 접점을 포함한다. 가동 접촉편은 제1 고정 접점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1 가동 접점 및 제2 고정 접점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 가동 접점을 포함한다. 가동 접촉편은 제1 가동 접점으로부터 제1 고정 접점을 향하는 제1 방향 및 제1 고정 접점으로부터 제1 가동 접점을 향하는 제2 방향을 포함하는 이동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구동축은 가동 접촉편으로부터 제2 방향으로 떨어져 배치된다. 구동축은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부 및 축부로부터 돌출된 플랜지부를 포함한다. 스페이서는 가동 접촉편과 구동축 사이에 배치된다. 접점 스프링은 스페이서와 구동축 사이에 배치되며, 이동 방향에서 스페이서와 구동축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부세(付勢)한다. 스토퍼는 스페이서에 결합된다. 스토퍼는, 협지(挾持)부와 가압부를 포함한다. 협지부는 스페이서와 함께, 가동 접촉편을 이동 방향으로부터 협지한다. 가압부는 제1 가동 접점이 제1 고정 접점으로부터 개방 분리한 상태에서 구동축의 플랜지부에 의해 제2 방향으로 가압된다. 구동 장치는 구동축을 이동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전자 계전기에서는 구동축이 가동 접촉편로부터 떨어져 배치되며, 접점 스프링이 스페이서와 구동축 사이에 배치된다. 즉, 가동 접촉편은 구동축 및 접점 스프링과 직접 접촉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가동 접촉편의 구동축 및 접점 스프링과의 슬라이딩에 의한 마모 가루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가동 접촉편의 마모가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는 제1 가동 접점이 제1 고정 접점으로부터 개방 분리된 상태에서 구동축의 플랜지부에 의해 제2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에 따라, 이동 방향에서 가동 접촉편을 스토퍼에 의해 스페이서에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스페이서는 가동 접촉편의 장변 방향 및 단변 방향에서 가동 접촉편을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가동 접촉편은 위치 결정부에 걸림 결합하는 걸림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스페이서에 대한 가동 접촉편의 단변 방향 및 장변 방향으로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스토퍼는 스냅 핏에 의해 스페이서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간단한 방법으로 가동 접촉편을 스페이서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인서트 성형 등의 방법으로 스페이서와 가동 접촉편을 고정하는 경우에 비해 제조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스페이서는 스토퍼에 의해 가동 접촉편의 단변 방향으로부터 협지되는 한 쌍의 피협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는 한 쌍의 피협지부를 협지하는 한 쌍의 측부, 및 한 쌍의 피협지부의 제2 방향의 단부와 걸림 결합하는 한 쌍의 갈고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스토퍼와 스페이서의 스냅 핏에 의한 결합을 간단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한 쌍의 갈고리부는 제2 방향의 면이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제2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스토퍼와 스페이서의 스냅 핏에 의한 결합이 용이해진다.
전자 계전기는 가동 접촉편의 단변 방향으로부터 한 쌍의 측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벽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벽부에 의해 스토퍼와 스페이서의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스토퍼의 가압부는 한 쌍의 갈고리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한 쌍의 갈고리부를 가압부로서 기능시킬 수 있으므로, 스토퍼의 구성이 간이해진다.
스토퍼는 절연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스토퍼에 의해 접점 장치와 구동 장치 사이의 절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스페이서는 스페이서의 성형시에 수지가 주입되는 게이트구를 포함할 수 있다. 스페이서의 게이트구는 가동 접촉편에 의해 덮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스페이서의 게이트구로부터 발생한 이물질이 접점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스토퍼는 스토퍼의 성형시에 수지가 주입되는 게이트구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의 게이트구는 가동 접촉편에 의해 덮여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스토퍼의 게이트구로부터 발생한 이물질이 접점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스페이서는 제2 방향으로 개구하는 스프링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부는 스프링 수용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플랜지부에 의해 스프링 수용부의 개구를 막을 수 있으므로, 접점 스프링의 슬라이딩에 의해 발생한 마모 가루가 접점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 계전기에서 가동 접촉편의 마모 가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전자 계전기를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는 가동 접촉편 주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가동 접촉편 주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가동 접촉편 주변을 좌우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스페이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스토퍼의 사시도이다.
도 7은 가동 접촉편 주변을 상방으로부터 바라본 도면이다.
도 8은 변형예에 따른 가동 접촉편 주변의 단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전자 계전기(100)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도면을 참조할 때, X1 방향을 좌측 방향, X2 방향을 우측 방향, Y1 방향을 전방, Y2 방향을 후방, Z1 방향을 상방, Z2 방향을 하방으로 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방향은 설명의 편의상 정의되는 것이며, 전자 계전기(100)의 배치 방향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 Z1 방향은 제1 방향의 일 예이며, Z2 방향은 제2 방향의 일 예이다. 또한, 상하 방향은 이동 방향의 일 예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 계전기(100)는, 케이스(2), 접점 장치(3) 및 구동 장치(4)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2)는 대략 사각형의 상자형이며, 수지 등의 절연재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2)는, 좌벽(2a), 우벽(2b), 상벽(2c), 하벽(2d), 도시 생략한 전벽 및 후벽을 포함한다. 각 벽부는 케이스(2)의 외벽이다. 또한, 케이스(2)는 내측 지지부(21, 22)와 외측 지지부(23, 24)를 포함한다.
내측 지지부(21)는 좌벽(2a)의 내면으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내측 지지부(22)는 우벽(2b)의 내면으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내측 지지부(21, 22)의 상면은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외측 지지부(23)는 좌벽(2a)의 외면으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외측 지지부(24)는 내측 지지부(21)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외측 지지부(24)는 우벽(2b)의 외면으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외측 지지부(24)는 내측 지지부(22)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외측 지지부(23, 24)의 상면은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접점 장치(3)는 제1 고정 단자(6), 제2 고정 단자(7), 가동 접촉편(8), 가동 기구(11)를 포함한다.
제1 고정 단자(6) 및 제2 고정 단자(7)는 판 형상의 단자이며,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제1 고정 단자(6) 및 제2 고정 단자(7)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굴곡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제1 고정 단자(6) 및 제2 고정 단자(7)는 케이스(2)의 내부와 외부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제1 고정 단자(6)는, 제1 고정 접점(6a), 접점 지지부(6b), 연신부(6c) 및 외부 연결부(6e)를 포함한다. 제1 고정 접점(6a)은 케이스(2)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접점 지지부(6b)는 제1 고정 접점(6a)을 지지한다. 연신부(6c)는 접점 지지부(6b)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연신부(6c)는 내측 지지부(21)의 상면에 지지되어 있다. 외부 연결부(6e)는 좌벽(2a)으로부터 외부에 노출되어 배치되어 있다. 외부 연결부(6e)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외측 지지부(23)의 상면에 지지되어 있다. 외부 연결부(6e)는 버스바 등의 도시 생략한 외부 단자에 연결된다.
제2 고정 단자(7)는 제1 고정 단자(6)와 좌우 방향으로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제2 고정 단자(7)는, 제2 고정 접점(7a), 접점 지지부(7b), 연신부(7c) 및 외부 연결부(7e)를 포함한다. 제2 고정 단자(7)는 제1 고정 단자(6)와 좌우 대칭 형상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가동 접촉편(8)은 일방향으로 긴 판 형상의 단자이며,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가동 접촉편(8)은 케이스(2)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가동 접촉편(8)은 케이스(2)의 내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가동 접촉편(8)의 장변 방향은 좌우 방향과 일치한다. 가동 접촉편(8)의 단변 방향은 전후 방향과 일치한다.
가동 접촉편(8)은, 제1 가동 접점(8a), 제2 가동 접점(8b), 걸립 결합부(8c)를 포함한다. 제1 가동 접점(8a)은 제1 고정 접점(6a)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2 가동 접점(8b)은 제2 고정 접점(7a)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걸림 결합부(8c)는 가동 접촉편(8)의 장변 방향의 중심 부근에서 가동 접촉편(8)의 단변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내측으로 패이도록 형성되어 있다.
가동 접촉편(8)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상세하게는, 가동 접촉편(8)은 제1 방향과 제2 방향을 포함하는 이동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제1 방향은 제1 가동 접점(8a)으로부터 제1 고정 접점(6a)을 향하는 방향이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방(Z1 방향)이다. 제2 방향은 제1 고정 접점(6a)으로부터 제1 가동 접점(8a)을 향하는 방향이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방(Z2 방향)이다.
가동 기구(11)는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축(31), 스페이서(32), 접점 스프링(33) 및 스토퍼(34)를 포함한다.
구동축(31)은 수지 등의 절연재 또는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축(31)은 가동 접촉편(8)으로부터 하방으로 떨어져 배치되어 있으며, 가동 접촉편(8)과 직접 접촉하고 있지 않다. 구동축(31)은 상하 방향으로부터 보아, 가동 접촉편(8)과 중첩된다. 구동축(31)은, 가동 접촉편(8), 스페이서(32) 및 스토퍼(34)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다.
구동축(31)은, 축부(31a), 플랜지부(31b) 및 지지 돌기(31c)를 포함한다. 축부(31a)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플랜지부(31b)는 구동축(31)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31b)는 축부(31a)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축부(31a)보다 외경이 크다. 플랜지부(31b)는 축부(31a)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지지 돌기(31c)는 플랜지부(31b)의 중앙에서 상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지지 돌기(31c)의 외경은 플랜지부(31b)의 외경보다 작다. 
스페이서(32)는 하방에 개구하는 대략 사각형의 상자형이며, 수지 등의 절연재로 형성되어 있다. 스페이서(32)는 가동 접촉편(8)과 구동축(31)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스페이서(32)의 상면은 가동 접촉편(8)의 하면에 접촉하여 배치되어 있고, 하방에서 가동 접촉편(8)을 지지한다.
스페이서(32)는, 위치 결정부(32a), 한 쌍의 피협지부(32b), 한 쌍의 돌기(32c, 32d), 스프링 수용부(32e) 및 지지 돌기(32f)를 포함한다. 위치 결정부(32a)는 스페이서(32)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부(32a)는 가동 접촉편(8)의 걸림 결합부(8c)와 걸림 결합한다. 이에 따라, 스페이서(32)에 대한 가동 접촉편(8)의 단변 방향 및 장변 방향의 어긋남이 억제된다. 한 쌍의 피협지부(32b)는 스페이서(32)의 전면 및 후면에 배치되어 있고, 스토퍼(34)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부터 협지된다. 한 쌍의 돌기(32c, 32d)는 한 쌍의 피협지부(32b)의 좌우 방향의 양단에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돌기(32c, 32d)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돌기(32c, 32d)는 스토퍼(34)의 좌우 방향의 어긋남을 억제한다. 한편, 도 5에 나타내 바와 같이, 스페이서(32)는 스페이서(32)의 성형시에 수지가 주입되는 게이트구(32g)를 포함한다. 게이트구(32g)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게이트구(32g)는 가동 접촉편(8)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으며, 가동 접촉편(8)으로 덮여 있다.
스프링 수용부(32e)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방으로 개구되어 있고, 접점 스프링(33)이 수용된다. 구동축(31)의 플랜지부(31b) 및 지지 돌기(31c)는 스프링 수용부(32e)에 배치되고 있다. 지지 돌기(32f)는 스프링 수용부(32e)의 바닥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지지 돌기(32f)는 구동축(31)의 지지 돌기(31c)와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다.
접점 스프링(33)은 상하 방향으로 압축된 상태로 스페이서(32)와 구동축(31)의 플랜지부(31b)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접점 스프링(33)은 상하 방향에서 스페이서(32)와 구동축(31)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부세한다. 접점 스프링(33)은 스프링 수용부(32e)에 수용되어 있다. 접점 스프링(33)은 구동축(31)의 플랜지부(31b)와 스프링 수용부(32e)의 바닥부에 접촉하여 배치되어 있다. 접점 스프링(33)은 상단이 스페이서(32)의 지지 돌기(32f)에 장착되고, 하단이 구동축(31)의 지지 돌기(31c)에 장착되어 있다.
스토퍼(34)는 스페이서(32)에 결합되어 있다. 스토퍼(34)는 스냅 핏에 의해 스페이서(32)에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토퍼(34)는 수지 등의 절연재로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34)는 스프링성을 가지고 있다.
스토퍼(34)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협지부(34a), 한 쌍의 측부(34b), 한 쌍의 갈고리부(34c), 한 쌍의 가압부(34d)를 포함한다. 협지부(34a)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협지부(34a)는 가동 접촉편(8)의 장변 방향의 중심에 배치되어 있다. 협지부(34a)는 가동 접촉편(8)의 상부에서, 가동 접촉편(8)을 전후 방향으로 횡단하여 배치되어 있다. 협지부(34a)는 상하 방향에서 걸림 결합부(8c) 및 위치 결정부(32a)와 중첩된다. 협지부(34a)는 스페이서(32)와 가동 접촉편(8)을 전후 방향으로부터 협지한다. 즉, 가동 접촉편(8)은 스페이서(32)의 상면과 스토퍼(34)의 협지부(34a)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부터 협지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가동 접촉편(8)은 스페이서(32) 및 스토퍼(34)에 대해서 고정된다.
한 쌍의 측부(34b)는 협지부(34a)의 좌우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측부(34b)는 서로 전후 방향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측부(34b)는 스페이서(32)의 한 쌍의 피협지부(32b)를 전후 방향으로부터 협지한다. 한 쌍의 측부(34b)는 좌우 방향에서 한 쌍의 돌기(32c, 32d)에 걸림 결합한다. 즉, 한 쌍의 측부(34b)는 한 쌍의 돌기(32c, 32d)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부터 끼워져 있다.
한 쌍의 갈고리부(34c)는 한 쌍의 측부(34b)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갈고리부(34c)는 한 쌍의 측부(34b)의 하단으로부터 구동축(31)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갈고리부(34c)는 한 쌍의 피협지부(32b)의 하단과 걸림 결합한다. 이에 따라, 스토퍼(34)는 스페이서(32)에 결합되어 있다. 한 쌍의 갈고리부(34c)는 상면이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갈고리부(34c)는 하면이 테이퍼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져 있다.
한 쌍의 가압부(34d)는 한 쌍의 갈고리부(34c)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가압부(34d)는 제1 가동 접점(8a)이 제1 고정 접점(6a)으로부터 개방 분리된 상태(도 1에 나타낸 상태)에서, 구동축(31)의 플랜지부(31b)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어 있다. 한 쌍의 가압부(34d)는, 제1 가동 접점(8a)이 제1 고정 접점(6a)에 접촉된 상태에서는 구동축(31)의 플랜지부(31b)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지 않는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토퍼(34)는 스토퍼(34)의 성형시에 수지가 주입되는 게이트구(34e)를 포함한다. 게이트구(34e)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게이트구(34e)는 협지부(34a)의 하면에서 가동 접촉편(8)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고, 가동 접촉편(8)에 의해 덮여 있다.
구동 장치(4)는 케이스(2)에 수용되어 있다. 구동 장치(4)는 가동 기구(11)를 통하여 가동 접촉편(8)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구동 장치(4)는 구동축(31)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가동 접촉편(8)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구동 장치(4)는, 코일(12), 가동 철심(13), 고정 철심(14), 요크(15) 및 복귀 스프링(16)을 포함한다.
코일(12)은 전압이 인가되어 여자되면, 가동 철심(13)을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전자력을 발생시킨다. 가동 철심(13)은 구동축(31)의 축부(31a)에 일체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고정 철심(14)은 가동 철심(13)의 상방에서 가동 철심(13)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요크(15)는 코일(12)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요크(15)는 고정 철심(14)에 연결되어 있다. 복귀 스프링(16)은 가동 철심(13)을 하방으로 부세한다.
전자 계전기(100)의 동작은 대체로 종래와 동일하므로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3은 코일(12)가 여자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제1 가동 접점(8a)이 제1 고정 접점(6a)으로부터 떨어져 있고, 제2 가동 접점(8b)이 제2 고정 접점(7a)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코일(12)이 여자되면, 가동 철심(13)이 복귀 스프링(16)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구동축(31)과 함께 상방으로 이동한다. 구동축(31)의 이동에 의해 가동 접촉편(8)이 접점 스프링(33) 및 스페이서(32)를 통하여 상방으로 가압되어, 가동 접촉편(8)이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제1 가동 접점(8a)이 제1 고정 접점(6a)에 접촉하고, 제2 가동 접점(8b)이 제2 고정 접점(7a)에 접촉한다.
코일(12)로 전압의 인가가 정지되면, 복귀 스프링(16)의 부세력에 의해 가동 철심(13)과 함께 구동축(31)이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구동축(31)의 플랜지부(31b)가 스토퍼(34)의 한 쌍의 가압부(34d)를 가압함으로써 가동 접촉편(8)이 하방으로 이동하고, 제1 가동 접점(8a)이 제1 고정 접점(6a)으로부터 개방 분리되고, 제2 가동 접점(8b)이 제2 고정 접점(7a)으로부터 개방 분리된다.
전자 계전기(100)는 이너 부재(40)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너 부재(40)는 가동 기구(11)의 이동을 안내한다. 이너 부재(40)는 코일(12)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너 부재(40)는 상방으로 개구하는 대략 사각형의 상자형이며, 일부 혹은 전체가 수지 등의 절연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너 부재(40)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측부(34b)를 전후 방향으로부터 둘러싸도록 배치된 벽부(40a)를 포함한다. 벽부(40a)는 한 쌍의 측부(34b)와 전후 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벽부(40a)는 한 쌍의 피협지부(32b)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한 쌍의 측부(34b)가 벌어지는 것을 억제한다. 즉, 한 쌍의 갈고리부(34c)가 한 쌍의 피협지부(32b)로부터 벗어나, 스냅 핏에 의한 스토퍼(34)와 스페이서(32)의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억제한다.
상기 구성의 전자 계전기(100)에서는, 구동축(31)이 가동 접촉편(8)으로부터 떨어져 배치되고, 접점 스프링(33)이 스페이서(32)와 구동축(31) 사이에 배치된다. 즉, 가동 접촉편(8)은 구동축(31) 및 접점 스프링(33)과 직접 접촉하고 있지 않으므로, 가동 접촉편(8)과 구동축(31) 및 접점 스프링(33)의 슬라이딩에 의한 마모 가루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가동 접촉편(8)의 마모 가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34)는 제1 가동 접점(8a)이 제1 고정 접점(6a)으로부터 개방 분리된 상태에서, 구동축(31)의 플랜지부(31b)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된다. 이에 따라, 상하 방향에서 가동 접촉편(8)을 스토퍼(34)에 의해 스페이서(32)에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스냅 피트에 의한 스토퍼(34)와 스페이서(32)의 결합에 의해, 가동 접촉편(8)이 스페이서(32)에 고정되므로, 간단한 방법으로 가동 접촉편(8)을 스페이서(32)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인서트 성형 등의 방법으로 스페이서(32)와 가동 접촉편(8)을 고정하는 경우에 비해 제조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34)가 절연재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토퍼(34)에 의해 접점 장치(3)와 구동 장치(4) 사이의 절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전자 계전기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스페이서(32), 스토퍼(34)의 형상은 변경 가능하다. 도 8에서는 스토퍼(34)가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페이서(32)는 한 쌍의 갈고리부(50)를 포함한다. 한 쌍의 갈고리부(50)는 한 쌍의 피협지부(32b)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갈고리부(50)는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스토퍼(34)는 한 쌍의 갈고리부(50)가 걸림 결합하는 걸림 결합부(52) 및 구동축(31)의 플랜지부(31b)에 가압되는 한 쌍의 가압부(54)를 포함한다. 걸림 결합부(52)는 한 쌍의 측부(34b)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개구이다. 한 쌍의 가압부(54)는 걸림 결합부(52)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가압부(54)는 한 쌍의 측부(34b)의 일부를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4: 구동 장치 6: 제1 고정 단자
6a: 제1 고정 접점 7: 제2 고정 단자
7a: 제2 고정 접점 8: 가동 접촉편
8a: 제1 가동 접점 8b: 제2 가동 접점
31: 구동축 31a: 축부
31b: 플랜지부 32: 스페이서
33: 접점 스프링 34: 스토퍼
34a: 협지부 34d: 한 쌍의 가압부(가압부의 일 예)
100: 전자 계전기

Claims (11)

  1. 제1 고정 접점을 포함하는 제1 고정 단자;
    제2 고정 접점을 포함하는 제2 고정 단자;
    상기 제1 고정 접점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1 가동 접점 및 상기 제2 고정 접점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 가동 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가동 접점으로부터 상기 제1 고정 접점을 향하는 제1 방향 및 상기 제1 고정 접점으로부터 상기 제1 가동 접점을 향하는 제2 방향을 포함하는 이동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 접촉편;
    상기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부 및 상기 축부로부터 돌출된 플랜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 접촉편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떨어져 배치되는 구동축;
    상기 가동 접촉편과 상기 구동축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
    상기 스페이서와 상기 구동축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 방향에서 상기 스페이서와 상기 구동축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접점 스프링;
    상기 스페이서와 함께, 상기 가동 접촉편을 상기 이동 방향으로부터 협지하는 협지부 및 상기 제1 가동 접점이 상기 제1 고정 접점으로부터 개방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축의 상기 플랜지부에 의해 상기 제2 방향으로 가압되는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페이서에 결합되는 스토퍼; 및
    상기 구동축을 상기 이동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 계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가동 접촉편의 장변 방향 및 단변 방향에서 상기 가동 접촉편을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 접촉편은 상기 위치 결정부에 걸림 결합하는 걸림 결합부를 포함하는 전자 계전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스냅 핏에 의해 상기 스페이서에 결합되는 전자 계전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스토퍼에 의해 상기 가동 접촉편의 단변 방향으로부터 협지되는 한 쌍의 피협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한 쌍의 피협지부를 협지하는 한 쌍의 측부, 및 상기 한 쌍의 피협지부의 상기 제2 방향의 단부와 걸림 결합하는 한 쌍의 갈고리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 계전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갈고리부는 상기 제2 방향의 면이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상기 제2 방향으로 경사지는 전자 계전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촉편의 단변 방향으로부터 상기 한 쌍의 측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벽부를 더 구비한 전자 계전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상기 가압부는 상기 한 쌍의 갈고리부에 형성되어 있는 전자 계전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절연재로 형성되어 있는 전자 계전기.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스페이서의 성형시에 수지가 주입되는 게이트구를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의 상기 게이트구는 상기 가동 접촉편에 덮여 있는 전자 계전기.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스토퍼의 성형시에 수지가 주입되는 게이트구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의 상기 게이트구는 상기 가동 접촉편에 덮여 있는 전자 계전기.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제2 방향으로 개구하는 스프링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스프링 수용부에 배치되어 있는 전자 계전기.
KR1020237027728A 2021-03-05 2022-01-18 전자 계전기 KR202301319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35746A JP7452470B2 (ja) 2021-03-05 2021-03-05 電磁継電器
JPJP-P-2021-035746 2021-03-05
PCT/JP2022/001495 WO2022185747A1 (ja) 2021-03-05 2022-01-18 電磁継電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1919A true KR20230131919A (ko) 2023-09-14

Family

ID=83155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7728A KR20230131919A (ko) 2021-03-05 2022-01-18 전자 계전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55209A1 (ko)
JP (1) JP7452470B2 (ko)
KR (1) KR20230131919A (ko)
CN (1) CN116830231A (ko)
DE (1) DE112022000459T5 (ko)
WO (1) WO2022185747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7862U (ko) 1980-07-18 1982-02-13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24599B2 (ja) * 2009-06-19 2014-06-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接点装置
JP5529659B2 (ja) * 2010-07-16 2014-06-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接点装置
JP2014110165A (ja) * 2012-12-03 2014-06-12 Panasonic Corp 接点装置
CN105551897B (zh) * 2015-12-22 2018-11-02 厦门宏发电力电器有限公司 一种高压直流继电器及其装配方法
KR20200000311A (ko) * 2018-08-31 2020-01-0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직류 릴레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7862U (ko) 1980-07-18 1982-02-1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830231A (zh) 2023-09-29
WO2022185747A1 (ja) 2022-09-09
DE112022000459T5 (de) 2023-10-05
JP2022135740A (ja) 2022-09-15
US20240055209A1 (en) 2024-02-15
JP7452470B2 (ja) 2024-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80218B2 (ja) ばね力締付接続部
US11764015B2 (en) Electromagnetic relay
WO2020170895A1 (ja) リレー
US20150042425A1 (en) Contact mechanism and electromagnetic relay
JP2013084559A (ja) 電磁継電器
KR20230131919A (ko) 전자 계전기
US4969844A (en) Electromagnetic contector
TW201820362A (zh) 開關裝置
EP3770941A1 (en) Relay
US11373830B2 (en) Electromagnetic relay to ensure stable energization even when contact is dissolved
JP7156050B2 (ja) リレー
WO2020148995A1 (ja) リレー
CN113272930B (zh) 继电器
KR920004114B1 (ko) 전자접촉기
KR20230131920A (ko) 전자 계전기
JP6205928B2 (ja) 電磁接触器
JP7529170B2 (ja) 電磁接触器及びヘッドオンユニットの連結構造
WO2023112582A1 (ja) 電磁継電器
JP2023114093A (ja) 電磁継電器
EP2768000B1 (en) Electromagnetic switching device
KR200440760Y1 (ko) 단자위치 유지력 보강 커넥터
CN112103143A (zh) 一种储能型快速通断磁保持继电器
CN112582217A (zh) 继电器
JP2008300151A (ja) 電磁リレー
JPH04196018A (ja) 接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