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0760Y1 - 단자위치 유지력 보강 커넥터 - Google Patents

단자위치 유지력 보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0760Y1
KR200440760Y1 KR2020070004392U KR20070004392U KR200440760Y1 KR 200440760 Y1 KR200440760 Y1 KR 200440760Y1 KR 2020070004392 U KR2020070004392 U KR 2020070004392U KR 20070004392 U KR20070004392 U KR 20070004392U KR 200440760 Y1 KR200440760 Y1 KR 2004407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horizontal member
upper horizontal
receptacl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43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주영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043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07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07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07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5Resilient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Abstract

본 고안은 와이어와 보드를 접속하기 위한 핀터미널(20)과 리셉터클 터미널(30)을 결합시키는 하우징(10)을 포함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핀터미널과 리셉터클 단자를 수용할 수 있는 단자수용공간(11)을 포함하고, 상기 핀터미널(20)은 상부가로부재(21)와, 하부가로부재(22)와, 상기 상부가로부재와 하부가로부재를 연결하는 세로부재(23)를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 단자(30)는 탄성접촉부(31)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핀터미널의 상부가로부재가 마주하는 상기 단자수용공간의 내측벽에는 상기 상부가로부재측으로 돌출된 보강단턱(1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핀터미널, 리셉터클 터미널, 커넥터.

Description

단자위치 유지력 보강 커넥터{CONNECTOR FOR REINFORCING TERMINAL POSITION MAINTENANCE}
도 1은 종래의 커넥터의 측면 단면도.
도 2는 핀터미널의 결합을 도시하는 측면 단면도.
도 3은 리셉터클 터미널의 결합을 도시하는 측면 단면도.
도 4는 핀터미널과 리셉터클 터미널의 결합을 도시하는 측면 단면도.
도 5는 핀터미널의 결합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핀터미널의 결합을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
도 7은 터미널간의 결합을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
본 고안은 와이어와 보드를 접속하기 위한 핀터미널과 리셉터클 터미널을 결합시키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단자를 결합시켜 통전가능하도록 하는 커넥터는 여러가지 종류가 있다. 그 중, 와이어와 보드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지 위한 커넥터는 단자의 형상이 보드와의 결합을 위한 독특한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단자를 핀터미널이라고 일반적으로 부르며, 보드 즉 판넬의 회로에 접속해야 하기 때문에 면접촉이 가능한 형상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와이어와의 접속을 위해 와이어에 접속되는 리셉터클 터미널과 결합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핀터미널과 리셉터클 터미널의 결합을 위한 하우징을 구비한 커넥터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커넥터(3)에서는 핀터미널(1)의 상부부재(4)와 하부부재의 사이에 리셉터클 터미널(2)의 탄성부(5)(판스프링)가 계지된다. 이때 상기 핀터미널의 상부부재(4)와 하부부재는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의 계지에 의해 서로간의 간격이 벌어지게 되어 탄성력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의 탄성부(5)도 상기 상부부재에 눌려지게 되어 탄성력을 가지게 된다. 그에 따라 핀터미널과 리셉터클 터미널은 서로 고정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결합은 리셉터클 터미널에 진동이 발생하거나 강제력이 작용되어 이탈이 강제될 경우에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즉 단순한 상부부재와 탄성부간의 탄성력에 의한 결합은 상기 상부부재(4)가 급격한 외력에 의해 밀릴 수 있기 때문에 쉽게 해제된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인해 핀터미널과 리셉터클 터미널의 결합해제가 발생하여 접속이 해제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리셉터클 터미널의 외력에 의한 이탈위험에 대해 핀터미널의 위치를 확실하게 잡아줄 수 있는 구조를 사용하여 터미널(단자)의 위치 유지력을 향상시키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을 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본 고안은 와이어와 보드를 접속하기 위한 핀터미널(20)과 리셉터클 터미널(30)을 결합시키는 하우징(10)을 포함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핀터미널과 리셉터클 단자를 수용할 수 있는 단자수용공간(11)을 포함하고,
상기 핀터미널(20)은 상부가로부재(21)와, 하부가로부재(22)와, 상기 상부가로부재와 하부가로부재를 연결하는 세로부재(23)를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 단자(30)는 탄성접촉부(31)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핀터미널의 상부가로부재가 마주하는 상기 단자수용공간의 내측벽에는 상기 상부가로부재측으로 돌출된 보강단턱(1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커넥터는, 하우징과 핀터미널과 리셉터클 터미널로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되듯이 상기 하우징은 단자들을 수용하는 외부 구조로, 상기 핀터미널과 리셉터클 터미널(단자)를 수용할 수 있는 단자수용공간(1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단자 수용공간은 상기 하우징의 중간에 형성된 빈 공간으로 양쪽으로 개방되어 단자들이 진입하여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핀터미널은 보드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도전성 금속으로 되어 있으며, 리셉터클 단자와 접촉하고 평판형인 보드에 면접촉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되듯이 상부가로부재(21)와, 하부가로부재(22)와, 상기 상부가로부재와 하부가로부재를 연결하는 세로부재(23)를 포함하여 'ㄷ'자 형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세로부재(23)의 단부에 상기 가로부재들과는 반대방향으로 연장된 보드접촉부(24)를 더 구비한다. 상기 보드접촉부는 보드와의 면접촉을 위한 구성이다.
한편, 상기 하우징의 단자수용공간의 중간에는 도 3와 같이 내측면에서 공간측으로 돌출 연장된 단자걸림부(14)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단자걸림부(14)는 상기 핀터미널이 'ㄷ'자 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핀터미널이 걸릴 수 있도록 하여, 과도한 진입을 방지하고 핀터미널의 위치를 잡아주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상부가로부재(21)와 하부가로부재(22)는 서로 나란히 대향하여 위치하는데, 그 사이로 리셉터클 터미널이 진입하여 계지된다. 또한, 상기 상부가로부재와 하부가로부재는 탄성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리셉터클 단자의 진입에 의해 탄성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30)은 와이어와 결합되어 와이어를 전지거으로 접속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 탄성접촉부(3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에 도시되듯이 와이어와의 결합을 위한 와이어계지부(32)를 구비하고 있으며, 커넥터로 진입하는 측으로 상기 탄성접촉부(31)를 구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리셉터클 터미널은 단일의 금속판을 구부려서 형성한다. 본 실싱예의 리셉터클 터미널도 이와 같은 방법으로 형성되어도 무관하다. 따라서, 상기 탄성접촉부(31)는 리셉터클 터미널의 일부를 구부려서 탄성을 가지는 판 스프링 형상으로 성형한 것이다.
상기 탄성접촉부(31)는 리셉터클 터미널이 핀터미널과 결합할 때, 핀터미널의 상부가로부재와 접촉하여 단자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가로부재(21)는 도 2와 같이 단부에 상기 탄성접촉부측으로 돌출되어 단자결합시에 상기 탄성접촉부를 누를 수 있는 돌출접촉부(25)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돌출접촉부는 접촉시 상기 탄성접촉부를 깊이 누를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핀터미널과 리셉터클 터미널의 결합을 보다 견고하게 하여 단자의 위치유지가 확실하게 하도록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5와 같이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핀터미널의 상부가로부재가 마주하는 상기 단자수용공간의 내측벽에는 상기 상부가로부재측으로 돌출된 보강단턱(12)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보강단턱은 상기 핀터미널의 상부가로부재가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된다. 다만, 상기 상부가로부재(21)는 상기 리셉터클 단자와 접촉한 경우에만 상기 보강단턱(12)과 접촉하여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도 4와 같이 상기 핀터미널과 리셉터클 터미널이 결합되어, 상기 상부가로부재가 상기 탄성접촉부와 접촉하여 밀리는 경우에만 상기 보강단턱에 걸릴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가로부재는 상기 보강단턱에 의해 걸리게 되어 움직임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리셉터클 터미널의 진동이나 강제력을 받게 되더라도, 상기 상부가로부재는 상기 보강단턱에 걸려있게 되어 더 이상의 움직임이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가로부재는 상기 탄성접촉부와의 결합이 유지되고, 단자들의 위치도 유지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강단턱(12)은 도 5와 같이 측면에 이중턱(13)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가로부재(21)는 도 6과 같이 측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볼록부(26)를 더 포함하여, 상기 상부가로부재가 상기 리셉터클 단자와 접촉한 경우에 상기 볼록부가 상기 이중턱에 걸릴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은 도 6과 같이 단자수용공간의 내측면에 상기 볼록부가 통과될 수 있는 이동홈(15)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보간단턱은 도 7과 같이 측면에 이중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가로부재에 볼록부를 더 포함하기 때문에 상기 볼록부가 상기 이중턱에 걸릴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상기 상부가로부재가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과 접촉한 경우에만 상기 이중턱과 볼록부가 접촉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상부가로부재는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과의 접촉에 의해 탄성변형이 발생하여 상기 보강단턱에 걸리고, 그와 동시에 상기 볼록부가 상기 이중턱에 걸리게 되어, 상기 상부가로부재는 보다 확실하게 위치가 고정된다. 그에 따라 단자들의 위치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상기 이동홈은 도 6에 도시되었듯이 상기 볼록부가 상기 하우징내로 진입하기 위한 통로가 되는 구성이다. 상기 이동홈은 상기 단자수용공간의 내측면에 오목한 홈의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도 2와 같이 상기 핀터미널을 하우징으로 진입시키면, 도 3과 같이 상기 핀터미널은 단자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단자걸림부에 상기 세로부재가 걸려서 위치가 고정된다.
도 4와 같이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을 상기 하우징으로 진입시키면, 상기 상부가로부재와 상기 하부가로부재의 사이에 리셉터클 터미널이 계지되며, 상기 상부가로부재는 상기 탄성접촉부와 접촉하여 단자의 위치를 고정한다.
또한 도 7과 같이 상기 상부가로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보강단턱에 걸리게 되 고, 상기 볼록부는 상기 이중턱에 걸리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에 외력이 작용하더라고, 상기 상부가로부재는 이동이 방지되어 리셉터클 터미널과의 결합이 해제되지 않아, 단자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성과 작동에 의해 리셉터클 터미널의 외력에 의한 이탈위험에 대해 핀터미널의 위치를 확실하게 잡아줄 수 있는 보강구조를 사용하여 터미널(단자)의 위치 유지력을 향상시켰다. 그에 따라 핀터미널등 단자의 위치유지력을 향상시킨 커넥터를 제공하게 되었다.

Claims (5)

  1. 와이어와 보드를 접속하기 위한 핀터미널과 리셉터클 터미널을 결합시키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핀터미널과 리셉터클 단자를 수용할 수 있는 단자수용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핀터미널은 상부가로부재와, 하부가로부재와, 상기 상부가로부재와 하부가로부재를 연결하는 세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 단자는 탄성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핀터미널의 상부가로부재가 마주하는 상기 단자수용공간의 내측벽에는 상기 상부가로부재측으로 돌출된 보강단턱을 더 포함하는,
    단자위치 유지력 보강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가로부재는 상기 리셉터클 단자와 접촉한 경우에만 상기 보강단턱과 접촉하여 걸릴 수 있는, 단자위치 유지력 보강 커넥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부가로부재는 단부에 상기 탄성접촉부측으로 돌출되어 단자결합시에 상기 탄성접촉부를 누를 수 있는 돌출접촉부를 더 포함하는,
    단자위치 유지력 보강 커넥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강단턱은 측면에 이중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가로부재는 측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볼록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상부가로부재가 상기 리셉터클 단자와 접촉한 경우에 상기 볼록부가 상기 이중턱에 걸릴 수 있는, 단자위치 유지력 보강 커넥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단자수용공간의 내측면에 상기 볼록부가 통과될 수 있는 이동홈을 더 포함하는, 단자위치 유지력 보강 커넥터.
KR2020070004392U 2007-03-16 2007-03-16 단자위치 유지력 보강 커넥터 KR2004407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4392U KR200440760Y1 (ko) 2007-03-16 2007-03-16 단자위치 유지력 보강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4392U KR200440760Y1 (ko) 2007-03-16 2007-03-16 단자위치 유지력 보강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0760Y1 true KR200440760Y1 (ko) 2008-07-01

Family

ID=41639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4392U KR200440760Y1 (ko) 2007-03-16 2007-03-16 단자위치 유지력 보강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076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340730B (zh) 推入夹式保持器、推入夹组件和电连接器元件
KR102178226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100795104B1 (ko) 전기커넥터 및 소켓커넥터
KR101077462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20080101871A (ko) 커넥터
KR20020069484A (ko) 로크 기구 부착 커넥터 어셈블리
KR20020046947A (ko) 로크 기구 부착 커넥터 어셈블리
US9509079B2 (en) Assembling structure of electronic component, electrical junction box, and electronic component
EP2472678A2 (en) Connector member comprising a retainer
JP3645449B2 (ja) 端子構造
KR101166230B1 (ko) 커넥터
US20220407263A1 (en) Strap connector and assembly thereof with enhanced mating retention force
KR20080114337A (ko) 레버변형방지용 리어홀더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JP5064933B2 (ja) 電気コネクタ
CN114759401A (zh) 连接器及连接器装置
KR100545616B1 (ko) 전기 커넥터
KR101391476B1 (ko) 커넥터 결합장치
US11158972B2 (en) Socket connector assembly
KR200440760Y1 (ko) 단자위치 유지력 보강 커넥터
CN111092317B (zh) 电路基板用连接器装置
CN110364893B (zh) 具有端子按压构造的连接器装置
KR200445633Y1 (ko) 커넥터용 스페이서
JP4293887B2 (ja) コネクタ
CN210113662U (zh) 导电联接器的壳体结构
JP2010080110A (ja) 嵌合型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