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4114B1 - 전자접촉기 - Google Patents

전자접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4114B1
KR920004114B1 KR1019890012948A KR890012948A KR920004114B1 KR 920004114 B1 KR920004114 B1 KR 920004114B1 KR 1019890012948 A KR1019890012948 A KR 1019890012948A KR 890012948 A KR890012948 A KR 890012948A KR 920004114 B1 KR920004114 B1 KR 920004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terminal cover
coil
terminal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2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7012A (ko
Inventor
유지 사꼬
시게하루 오쯔까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시기 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시기 모리야 filed Critical 미쯔비시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7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4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4Termin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접촉기
제 1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접촉기의 정면단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화살표 D에서 본 평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화살표 E에서 본 측면 1/2 단면도.
제 4 도는 제 2 도의 F-F선에 따른 단면도.
제 5 도는 단자커버와 고정접촉자의 조립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 6 도는 제 5 도의 화살표 Z에서 본 사시도.
제 7 도는 단자커버가 조립되는 부분을 도시한 하우징 부분도.
제 8 도는 코일접속도체의 조립부분을 도시한 부품설명도.
제 9 도는 종래의 전자접촉기의 정면단면도.
제 10 도는 종래의 전자접촉기의 평면도.
제 11 도는 고정접촉자와 하우징의 조립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1a : 홈
1b : 오목부 1e : 정지오목부
1g : 홈 50 : 단자커버
50a, 50J : 슬릿 50c : 핀
51 : 고정접촉자 51b, 52b : 삽입쇠 접속형 수단자
51g : 돌기조각 52 : 코일단자
본 발명은 삽입쇠 접속형 단자를 갖는 전자접촉기에 관한 것이다.
제 9 도 내지 제 11 도는 종래의 전자접촉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 9 도는 정면단면도, 제 10 도는 평면도, 제 11 도는 고정접촉자의 조립도를 나타낸다. 각 도면에 있어서, (1)은 몰드 성형된 하우징, (2)는 베이스, (3)은 각 극마다 1쌍씩 배치된 고정접촉자로서, 제 1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에 장착된다. 즉, 하우징(1)의 고정접촉자 부착부(1a)의 폭치수 X보다 작은 치수 Y인 ㄷ자형의 안쪽치수를 갖는 고정접촉자(3)이 부착부(1a)에 삽입된다. 이때 고정접촉자(3)의 ㄷ자형의 치수 Y가 하우징(1)의 부착부(1a)의 치수 X까지 넓혀지는 탄성력에 의해 고정접촉자(3)이 하우징(1)에 고정된다. 고정접촉자(3)의 한쪽끝에는 고정접점(3a)가 부착되어 있고, 가동접촉자(4)의 양단에 마련된 가동접점(4a)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상기 고정접촉자(3)에는 나사구멍(3b)가 형성되어 있고, 삽입쇠 접속형 수단자(5)가 고정나사(6)에 의해서 고착되어 있다.
삽입쇠 접속형 수단자(5)의 선단부(5a)는 삽입쇠 접속형 암단자(코넥터) (도시하지 않음)가 끼워져야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16)은 크로스바로서, 그 하단에서는 가동철심(7)을 연결하고, 그 상부에서는 각 극마다 마련된 상기 가동접촉자(4)를 상하로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유지하고 있다. (8)은 가동접촉자(4)에 접점 압력을 부여하는 접촉자 스프링을 나타낸다.
상기 크로스바(16)은 하우징(1)에 의해 제 7 도에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유지되어 있다. (9)는 고정철심, (10)은 조작코일을 나타내며, (9), (10) 모두 하우징(1) 및 베이스(2)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11)은 격리스프링으로서, 크로스바(16)을 위쪽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12)는 고정나사로서, 하우징(1)을 베이스(2)에 고착하고 있다. (30)은 조작코일(10)을 감는 코일틀로서 이 코일틀(30)에는 코일단자(31)이 끼워져 있고, 그 한쪽 끝에는 조작코일(10)의 끝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다른쪽 끝에는 암나사 구멍을 갖고 있고, 이 암나사 구멍에 끼워진 고정나사(33)에 의해 대략 L자형의 삽입쇠 접속형 수단자(32)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삽입쇠 접속형 수단자(32)의 선단부(32a)는 삽입쇠 접속형 암단자(도시하지 않음)가 끼워져야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조작코일(10)에 전압을 인가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자속의 흡인력으로 가동철심(7)은 고정철심(9)에 끌어당겨진다. 이것에 따라 가동철심(7)에 연결된 크로스바(16)은 격리스프링(11)의 항력을 극복해서 제 9 도의 아래방향으로 이동한다. 크로스바(16)에 유지된 가동접촉자(4)도 아래쪽으로 이동해서 그의 가동접점(4a)는 각각 대향하는 고정접점(3a)에 접촉한다. 이 접촉위치보다 조금더 크로스바(16)이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각 부의 치수가 결정되어 있으므로 크로스바(16)은 약간 접점 접촉위치보다 내려간다(초과 이동량). 이 때문에 접촉자 스프링(8)이 압축되고, 이 압축력이 가동접촉자(4)에 작용하여 접촉압력으로 되어서 제 9 도의 우측의 고정접촉자(3)과 좌측의 고정접촉자(3) 사이가 도통된다.
반대로 조작코일(10)의 전압을 단절하는 것에 의해 가동철심(7) 고정철심(9)사이의 전자력은 소멸되어서 격리스프링(11)의 힘에 의해 크로스바(16)이 제 9 도의 위쪽방향으로 이동하므로, 가동접점(4a)와 고정접점(3a)사이의 접촉이 단절되어 회로는 개로 된다. 전자접촉기로서의 회로의 폐로 및 개로의 동작은 이상과 같다.
다음에 삽입쇠 접속형 수단자(5) 및 (32)로의 코넥터의 접속 및 떼어내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9 도에서 화살표 A방향으로 삽입쇠 접속형 암단자(도시하지 않음)가 삽입 접속된다. 떼어내는 것은 역으로 화살표 B방향으로 암단자가 뽑아진다. 이 떼어내는 동작을 할 때에는 암단자(도시하지 않음)와 삽입쇠 접속형 수단자(5), (32)사이가 단단하게 결합된 경우가 많아 제 9 도의 화살표 C방향으로 흔들면서 뽑아진다.
종래의 전자접촉기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삽입쇠 접속형 수단자(5)에서 암단자를 떼어낼 때에는 고정접촉자(3)에도 제 9 도에 도시한 B 및 C방향의 힘이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제 11 도에 도시한 고정접촉자(3)의 ㄷ자형 안쪽 치수 Y가 넓혀져서 탄성의 응력한계를 초월하는 것에 의해 상기 Y 치수에 영구 변형을 일으켜 하우징(1)의 X 치수에 가까워지던가 또는 X 치수보다 커지고 만다.
이 결과 하우징(1)로의 고정이 이완되어 최악의 경우에는 덜거덕거림, 또는 고정접점(3a)의 위치변화에 의한 초과 이동량의 변화, 더 나아가서는 이탈도 일어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고정접촉자(3)의 판두께를 두껍게 하는 등의 수단으로 하우징(1)로의 고정력을 강하게 하는 대책이 필요로 되지만 이들의 대책을 실행해도, 예기치 않은 분리를 위해 큰 힘이 부여되는 불안감을 없앨 수가 없었다.
또, 삽입쇠 접속형 수단자(32)에서 암단자를 떼어내는 경우 수단자를 떼어낼 때의 힘(화살표 B, C방향의 힘)이 가해지면 코일단자(31) 또는 삽입쇠 접속형 수단자(32)가 변형되어 코일단자(31)의 끝부분에 접속된 조작코일(10)의 끝부분이 단선되어서 동작 불능상태로 된다. 또한, 부품개수가 많아서 조립에 시간이 걸리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삽입쇠 접속형 수단자의 부착 및 떼어낼 때의 강도의 증대를 도모함과 동시에 조작시의 고정접촉자 및 코일단자의 덜거덕거림이나 변형을 방지하고, 동시에 저렴한 전자접촉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도면으로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출원에서 개시되는 발명중 대표적인 것의 개요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관한 전자접촉기는 하우징에 형성한 오목부 또는 볼록부로 된 안내부에 따라서 단자커버를 삽입하여 조립하고, 이 단자커버의 슬릿을 통하는 것과 동시에 걸어 맞추어서 일체로 된 한쪽 끝이 삽입쇠 접속형 수단자를 형성하는 고정접촉자 접속도체를 마련한 것이다.
이 접속도체에 가해지는 하중을 단자커버나 하우징이 받음과 동시에 위치결정도 실행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전자접촉기는 마찬가지로 코일접속도체의 삽입쇠 접속형 수단자를 단자커버의 바깥끝 부분에 마련한 슬릿을 통하는 것과 동시에 베이스에 지지시켜서 걸어맞추게 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전자접촉기는 한쪽끝에 접점부를 갖고, 다른쪽 끝에 삽입쇠 접속형 수단자를 형성한 금속판을 굴곡해서 된 고정접촉자를 수지로 형성된 단자커버내에 삽입해서 상기 수단자를 단자커버에 마련한 슬릿에서 돌출시킴과 동시에 단자커버를 하우징의 오목부 및 홈에 삽입해서 고정시킨 것이다.
또, 단자커버를 하우징의 오목부 및 홈에 삽입할 때 단자커버의 아래면에 마련한 핀을 삽입위치에서 하우징의 정지오목부에 걸어 맞추게 한 것이다.
또한, 하우징의 극사이의 벽에 마련한 홈에 고정접촉자에 마련된 돌기조각을 삽입한 것이다.
그리고, 단자커버의 끝부분에 마련한 코일단자용 슬릿에 코일단자의 한쪽끝에 마련한 삽입쇠 접속형 수단자를 끼워서 통하게 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단자커버에 마련된 슬릿에 의해 각각의 삽입쇠 접속형 수단자가 위치결정 고정되고, 하우징의 오목부 및 홈에 의해 단자커버가 고정된다.
또, 고정접촉자의 돌기조각과 하우징의 홈에 의해 고정접촉자의 상하방향의 이동량이 억제된다.
그리고, 단자커버의 핀에 의해 단자커버의 이탈이 방지된다.
이하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 1 도는 실시예의 정면단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화살표 D에서 본 평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화살표 E에서 본 측면 1/2 단면도, 제 4 도는 제 2 도의 F-F선의 단면도로서, 코일단자 부분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제 5 도는 단자커버 및 고정접촉자의 조립방법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 6 도는 제 5 도의 화살표 Z에서 본 도면이다.
제 7 도는 단자커버가 조립되는 부분을 도시한 하우징 부분도, 제 8 도는 코일접속 도체의 조립부분을 도시한 부품의 설명도이다.
각 도면에서, 종래예와 같은 부분은 같은 부호로 표시한다. 즉, (1)은 하우징, (2)는 베이스, (4)는 가동접촉자, (16)은 크로스바, (7)은 가동철심, (8)은 접촉 스프링, (9)는 고정철심, (10)은 조작코일, (11)은 격리스프링, (12)는 고정나사를 나타낸다. (50)은 고정접촉자(51)을 수납하여 고정하는 단자커버를 나타낸다.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접촉자(51)의 한쪽 끝에는 고정접점(51a)가 형성되어 있고, 조립후는 가동접촉자(4)의 양단에 부착된 가동접점(4a)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 고정접촉자(51)의 다른쪽 끝에는 삽입쇠 접속형 수단자(이하 탭이라 한다) (51b)가 형성되어 있다. (51e)는 암단자(코넥터) (도시하지 않음) 삽입시 빠지지 않게 하는 방지용 구멍 또는 패인 부분이다.
탭(51b)의 하부에는 톱날모양의 돌기(51c)가 형성되어 있고, 이것이 단자커버(50)의 슬릿(50a)에 삽입되어서 삽입과 반대방향으로의 가고정으로 되고, 탭(51b)는 단자커버(50)에서 돌출한다.
또, 이 삽입조립시에 고정접촉자(51)의 중간부분에 마련한 돌기부(51d)도 제 6 도에 도시한 단자커버(50)의 홈(50b)에 삽입되어서 자세를 규제한다. 이때 제 1 도에 도시한 단자커버(50)의 핀(50c)고 고정접촉자(51)의 둥근구멍(51f)에 끼워서 통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해서 조립된 단자커버(50)과 고정접촉자(51)의 결합체는 제 1 도에서의 화살표 E 및 G방향에서 각각 하우징(1)에 끼워져서 조립되지만, 이때 제 5 도에 사선으로 나타내는 단자커버(50)의 측부의 윗면(50d)는 제 3 도에 도시한 하우징(1)의 홈(1a)에, 또 단자커버(50)의 각극의 선단부 윗면(50e)는 하우징(1)의 오목부(1b)로 안내되어 끼워진다.
또, 제 5 도에서의 단자커버(50) 선단에 단이 있는 부분(50f)도 대응하는 하우징(1)의 오목부에 끼워진다.
상기 삽입의 최종단계에서, 단자커버(50)의 끝부분에 마련한 U자형 구멍(50g)가 하우징(1)의 전원측 및 부하측의 양단부에 마련된 걸어맞춤 돌기(1c)에 걸어 맞추어지고, 이것에 의해 단자커버(50)의 제 1 도에서의 상하방향 위치가 규제된다.
또,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커버(50)의 핀(50c)는 삽입과정에서 하우징(1)의 삽입안내면(1d)에 의해 제 1 도의 위쪽 방향으로 올려지고, 삽입종료 단계에서는 단자커버(50)의 재질이 갖는 탄성에 의해 원래상태로 복귀해서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50c)의 선단이 하우징(1)의 정지오목부(1e)에 끼워져서 삽입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해서 빠지는 것을 멈추게 한다. 그리고 단자커버(50)의 끝부분에 마련한 구멍(50h) 및 하우징(1)의 전원측, 부하측의 양단부에 마련한 구멍(1f)인 2개의 구멍을 통해서 고정나사(12)가 베이스(2)에 고정되므로 단자커버(50)은 제 1 도에서의 상하좌우 방향의 움직임이 고정된다.
또, 단자커버(50)의 삽입과정에서 고정접촉자(51)의 고정접점(51a) 근방에 마련한 돌기조각(51g)가 하우징(1)의 각 극사이의 장벽에 마련한 홈(1g)내에 삽입되어 있고, 고정접점(51a)의 제 1 도의 상하방향 위치가 홈(1g)와 돌기조각(51g)의 두께의 여유분 이상 이동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제 4 도, 제 8 도에서 (10)은 조작코일을 나타내지만 이 조작코일(10)이 감겨져 있는 코일틀(53)의 끝부분에는 코일단자 지지부(53a)를 갖고, 이 부분의 홈(53b)에 코일단자(52)가 그 탄성력에 의해 끼워져서 고정되어 있다. 코일단자(52)의 한쪽의 끝부분(52a)에는 조작코일(10)의 끝(10a)가 감겨진 후 납땜되는 등의 방법으로 접속되고, 다른쪽의 끝부분은 삽입쇠 접속형 수단자(탭) (52b)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탭(52b)는 상기 단자커버(50)에 마련된 코일단자용 슬릿(50J)에 끼워져서 제 2 도에서의 상하좌우 방향의 위치를 규제하고 있다. 또, 제 4 도에서의 코일단자(52)의 상하방향의 위치에서, 아래쪽 방향은 코일단자(52)의 아래면이 코일틀(53)의 코일단자 지지부(53a)에 맞닿고, 위쪽방향은 단자커버(50)의 코일단자 지지돌기(50K)가 코일단자(52)의 윗면을 맞닿아서 누르는 것에 의해 규제되어서 고정되어 있다.
전자접촉기로서의 회로의 폐로, 개로동작에 대해서는 종래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고, 여기서는 삽입쇠 접속형 단자의 접속 및 떼어내기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자커버(50)의 측부의 윗면(50d)와 하우징(1)의 홈(1a), 단자커버(50)의 각극의 선단부 윗면(50e)와 하우징(1)의 오목부(1b) 및 단자커버(50)의 U자형 구멍(50g)와 하우징(1)의 걸어맞춤 돌기(1c)등의 걸어맞춤에 의해 단자커버(50)은 하우징(1)에 제 1 도의 상하방향으로 고정하고, 또한 제 1 도의 좌우방향에 대해서는 단자커버(50)의 핀(50c)와 하우징(1)의 정지오목부(1e)의 걸어맞춤 및 고정나사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고정접촉자(51)에 삽입쇠 접속형 암단자(도시하지 않음)를 접속 및 떼어낼 때에는 접속, 즉 제 1 도의 화살표 A방향의 힘에 대해서는 고정접촉자(51)의 아래면이 하우징(1)의 안내면(1d)에 맞닿고, 화살표 B방향에 대해서는 고정 접촉자(51)의 윗면이 단자커버(50)의 아래면(50l)에 맞닿는다. 이때, 단자커버(50)은 상기한 바와 같이 하우징(1)에 대해서 고정되어 있으므로 변형 및 덜거덕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화살표 C 방향으로 흔드는 힘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덜거덕거림이나 변형등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 상술한 조작시의 주변부 플라스틱 부품의 파괴강도에 대해서는 특히 화살표 B 및 C 방향의 힘에 대해서 염려되지만 이것에 대해서는 단자커버(50)의 재질을 열가소성 수지등의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료로 하는 것에 의해 고정접촉자(51)에 가해진 같은 방향의 힘을 단자커버(50)의 미소한 변형으로 에너지 흡수하는 것에 의해 파괴한계력을 증대할 수가 있다.
그리고, 단자커버(50)의 미소한 변형, 단자커버(50)과 고정접촉자(51)의 미소한 덜거덕거림이 발생한 경우에도 고정접촉자(51)의 돌기조각(51g)가 하우징(1)의 홈(1g)에 삽입되어 있는 것에 의해 고정접점(51g)의 제 1 도의 상하방향의 이동량이 매우 작게 억제되므로 초과이동량으로 나타내는 접점의 폐로에 중요한 요인의 변화가 없어 기능장해의 위험이 없어진다.
또한, 하우징과 단자커버의 고정은 핀을 이용하는 구조를 설명했지만 하우징 및 단자커버에 마련하여 이들의 탄성을 이용한 단락부에 의하는 것이라도 좋고, 양자간에 탄성부재를 마련해도 좋다.
다음에 코일단자(52)에 대한 삽입쇠 접속형 암단자(도시하지 않음)를 붙이고 떼는 것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도 고정접촉자(51)의 경우와 거의 같지만 제 4 도의 화살표 H, J, K 방향의 힘이 코일단자(52)에 작용한다. H방향의 힘에 대해서는 코일단자(52)의 아래면과 코일틀(53)의 코일단자 지지부(53a)가 맞닿는 것으로, J방향의 힘에 대해서는 코일단자(52)의 윗면과 단자커버(50)의 코일단자 지지돌기(50K)가 맞닿는 것으로, 또 화살표 K방향으로 흔드는 힘에 대해서는 단자커버(50)의 코일단자용 슬릿(50J)의 안둘레와 탭(52b)가 맞닿는 것에 의해 그 움직임을 고정하고 있어 코일단자(52)의 변형 및 덜거덕거리는 것을 방지하며, 그들에 의한 조작코일(10)의 끝(10a)의 접속부가 단선되는 것등을 방지한다.
또, 코일틀 대신에 직접 설치한 베이스에 걸어맞추게 해도 된다.
그런데 상기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에 오목부(1a)를 마련하여 이것에 단자커버(50)을 삽입하고 있지만 하우징(1)에 볼록부를 마련하고, 단자커버(50)에 오목부를 마련해서 제 1 도의 상하방향을 고정시켜도 된다.
그리고, 실시예에서는 3극분의 단자커버(50)에 고정접촉자(51) 3개를 일체로 한 것을 하우징(1)내에 삽입 조립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것을 1극씩으로 하는 것이나 극수를 증가해서 3극 이상으로 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단자커버의 슬릿에 고정접촉자와 삽입쇠 접속형 수단자를 일체로 한 것을 삽입하여 이것을 하우징에 삽입 고정하도록 했으므로, 삽입쇠 접속형 수단자로 암단자를 붙이고 뗄때 덜거덕거림이나 변형등을 극히 작게할 수 있음과 동시에 부품점수의 삭감, 삽입에 의한 조립방법 등으로 매우 저렴한 전자접촉기가 얻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 단자커버 삽입 종료위치에서 단자커버를 하우징에 걸어맞추도록 했으므로 단자커버를 뽑아내는 방향(삽입과 반대방향)으로의 고정이 확실하게 된다.
또한, 하우징이나 단자커버에 접속도체를 걸어맞추도록 했으므로 고정접촉자의 상하방향의 이동량이 억제되어 접점의 폐로에 중요한 요인의 변화가 없어 신뢰성이 높은 것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단자커버의 한쪽 끝에 마련한 코일단자용 슬릿에 코일단자의 한쪽 끝에 마련한 삽입쇠 접속형 수단자를 삽입해서 이것을 고정하고 있으므로, 암단자를 붙이고 뗄때 일어나는 힘에 의해 변형하거나 덜거덕거리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어 코일 끝의 접속부의 단선등 1차 기능을 상실하는 불합리한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Claims (13)

  1. 배선단자로서 삽입쇠 접속형 수단자를 마련한 전자 접촉기에 있어서, 고정접촉자(51)을 내부공간에 수납하고, 또한 수지로 성형된 하우징(1), 상기 하우징(1)에 형성한 오목부 또는 블록부로 되는 안내부에 따라서 외부로부터 삽입조립이 가능하고, 또한 상기 하우징(1)의 내부공간까지 관통 가능하게 마련됨과 동시에 외부로 향해서 열린 슬릿을 갖는 수지로 성형된 단자커버(50) 및 한쪽의 끝부분에 상기 고정접촉자(51)의 접점부를 갖고, 다른쪽의 끝부분에 삽입쇠 접속형 수단자를 형성시킨 굴곡된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쇠 접속형 수단자를 상기 슬릿에서 돌출시킴과 동시에 상기 단자커버와 일체로 되어서 상기 하우징(1)에 조립 가능하도록 상기 단자커버(50)에 걸어맞추는 걸어맞춤부를 마련한 고정접촉자 접속도체를 구비한 전자접촉기.
  2. 특허청구의 범위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쇠 접속형 수단자를 삽입한 상기 슬릿과 상기 고정접촉자 접속도체의 굴곡된 면에 접촉하는 상기 단자커버(50) 및 상기 하우징(1)의 걸어맞춤부에 의해 상기 수단자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전자접촉기.
  3. 특허청구의 범위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접촉자 접속도체의 걸어맞춤부가 상기 단자커버(50) 및 상기 하우징(1)에 걸어맞추는 것에 의해 상기 접속도체가 위치 결정되는 전자접촉기.
  4. 특허청구의 범위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커버(50)을 상기 하우징(1)에 삽입 조립할때 삽입이 종료된 위치에서 양자간에 마련한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단자커버를 위치결정하여 걸어맞추는 전자접촉기.
  5. 코일에 접속되는 배선단자로서 삽입쇠 접속형 수단자를 마련한 전자접촉기에 있어서, 코일을 내부공간에 수납하고, 동시에 수지로 성형된 베이스(2), 상기 베이스와 끼워맞추어져서 일체로 조립됨과 동시에 접촉자를 내부공간에 수납하고, 또한 수지로 성형된 하우징(1), 상기 하우징에 형성한 오목부 또는 볼록부로 되는 안내부에 따라서 외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에 삽입하여 조립이 가능하고, 바깥끝 부분에 관통하는 슬릿을 갖는 수지로 성형된 단자커버(50) 및 한쪽의 끝부분에 상기 코일과의 배선접속부를 마련하고, 다른쪽의 끝부분에 상기 삽입쇠 접속형 수단자를 형성시킴 굴곡된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쇠 접속형 수단자를 상기 슬릿을 통해서 돌출시킴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에 지지되고, 또한 걸어맞추어진 코일접속도체를 구비한 전자접촉기.
  6. 특허청구의 범위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쇠 접속형 수단자를 삽입한 상기 슬릿과 상기 코일접속도체를 걸어맞추는 상기 베이스(2)에 의해 상기 수단자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전자접촉기.
  7. 특허청구의 범위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접속 도체는 코일과 일체로 된 코일틀(53)을 거쳐서 상기 베이스에 지지되고, 또한 걸어맞추어진 전자접촉기.
  8. 특허청구의 범위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2)와 상기 하우징(1)은 볼트에 의해 고정된 전자접촉기.
  9. 특허청구의 범위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접속 도체는 상기 코일틀(53)에 마련된 홈에 삽입 고정되는 전자접촉기.
  10. 삽입쇠 접속형 수단자를 배선단자로서 갖는 전자접촉기에 있어서, 한쪽의 끝부분에 접점부를 갖고, 다른쪽의 끝부분에 삽입쇠 접속형 수단자를 형성한 금속판을 굴곡해서 되는 고정접촉자(51)을 수지로 성형된 단자커버(50)내에 삽입해서 상기 고정접촉자의 삽입쇠 접속형 수단자를 상기 단자커버에 마련한 슬릿에서 돌출시킴과 동시에, 하우징(1)의 전원측 및 부하측 각각의 방향에서 상기 단자커버와 고정접촉자의 삽입조립품을 상기 하우징에 형성한 오목부 및 홈으로 되는 안내부에 따라서 삽입하여 조립한 전자접촉기.
  11. 특허청구의 범위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커버(50)과 고정접촉자(51)의 삽입조립품을 상기 하우징(1)에 형성한 오목부 및 홈으로 되는 안내부에 따라서 삽입조립할때 삽입종료 위치에서 상기 단자커버의 아래면에 마련한 핀을 상기 하우징에 마련한 정지오목부에 걸어맞추는 전자접촉기.
  12. 특허청구의 범위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의 극사이의 벽에 마련된 홈에 고정접촉자의 접점부 근방에 마련된 돌기조각을 삽입한 전자접촉기.
  13. 삽입쇠 접속형 수단자를 배선단자로서 갖는 전자접촉기에 있어서, 고정접촉자를 수지로 성형된 단자커버(50)내에 삽입해서 조립한 결합체를 하우징(1)의 전원 및 부하측의 각각에서 상기 하우징의 오목부 또는 홈으로 형성된 안내부에 따라서 삽입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단자커버에 마련한 코일 단자용 슬릿에 코일단자의 한쪽 끝에 마련한 삽입쇠 접속형 수단자를 끼워서 통하게 한 전자접촉기.
KR1019890012948A 1988-10-06 1989-09-07 전자접촉기 KR9200041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5258388 1988-10-06
JP252583 1988-10-06
JP25307688 1988-10-07
JP253076 1988-10-07
JP63-255108 1988-10-11
JP25510888 1988-10-11
JP63-253076 1988-10-11
JP255108 1988-10-11
JP63-252583 1988-10-11
JP1-15808 1989-01-25
JP15808 1989-01-25
JP1015808A JPH077628B2 (ja) 1988-10-06 1989-01-25 電磁接触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7012A KR900007012A (ko) 1990-05-09
KR920004114B1 true KR920004114B1 (ko) 1992-05-25

Family

ID=27334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2948A KR920004114B1 (ko) 1988-10-06 1989-09-07 전자접촉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77628B2 (ko)
KR (1) KR9200041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0712B1 (ko) * 2002-12-09 2005-08-3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접촉기의 도선 연결장치
KR100475070B1 (ko) * 2002-12-09 2005-03-10 엘지산전 주식회사 전자접촉기의 도선 연결장치
DE10348092B4 (de) * 2003-10-16 2006-01-26 Moeller Gmbh Anordnung zur Stromschienenbefestigung für mehrphasige Schaltgeräte
JP6060631B2 (ja) * 2012-11-08 2017-01-18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電磁接触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2192634A (ja) 1990-07-30
KR900007012A (ko) 1990-05-09
JPH077628B2 (ja) 1995-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87418B1 (en) Electromagnetic relay
JPH06188039A (ja) コネクタおよびその組立方法
JP2006210289A (ja) 電磁継電器
KR20010051224A (ko) 전자기 릴레이
JPS648901B2 (ko)
JPH0438107B2 (ko)
KR101166230B1 (ko) 커넥터
KR100990021B1 (ko) 커넥터 구조
US4969844A (en) Electromagnetic contector
KR920004114B1 (ko) 전자접촉기
CN218975361U (zh) 继电器
US4087147A (en) Track lighting system connector
CN218039045U (zh) 一种继电器
US6257916B1 (en) Device for locking two mating connectors
US4611392A (en) Method of manufacturing relays
CN210113662U (zh) 导电联接器的壳体结构
WO2024114759A1 (zh) 继电器
EP0853325B1 (en) Electromagnetic relay
CN220066172U (zh) 导电片和接电装置
CN219642746U (zh) 辅助接触部分及继电器
CN214797179U (zh) 强载流继电器的推动结构
CN218447724U (zh) 一种继电器
CN219163756U (zh) 插塞连接器
US5115555A (en) Apparatus for manipulating a high density flat cable
CN219435769U (zh) 电磁继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