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0592A - 들뜸 방지 구조의 부품 피더 - Google Patents

들뜸 방지 구조의 부품 피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0592A
KR20230130592A KR1020230114593A KR20230114593A KR20230130592A KR 20230130592 A KR20230130592 A KR 20230130592A KR 1020230114593 A KR1020230114593 A KR 1020230114593A KR 20230114593 A KR20230114593 A KR 20230114593A KR 20230130592 A KR20230130592 A KR 20230130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substrate
jig
tape
gu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4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종배
최현규
Original Assignee
에스티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티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14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0592A/ko
Publication of KR20230130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059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17Feeding with belts or tapes
    • H05K13/0419Feeding with belts or tapes tape fee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20Advancing webs by web-penetrating means, e.g. pins
    • B65H20/22Advancing webs by web-penetrating means, e.g. pins to effect step-by-step advancement of we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들뜸 방지 구조의 부품 피더에 관한 것이다. 부품 들뜸 방지 구조의 부품 피더는 이송 몸체(11)에 형성된 유도 경로를 따라 부품 기재(16)가 이송되도록 유도하면서 부품 픽업을 위한 위치가 형성된 테이프 가드(12); 및 테이프 가드(12)를 따라 이송되는 부품 기재(16) 또는 부품을 유도 경로의 정해진 위치에 고정시키는 풀링 수단이 형성된 유도 지그(13)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들뜸 방지 구조의 부품 피더{A Component Feeder with a Structure of Keeping a Component from Being Floated}
본 발명은 들뜸 방지 구조의 부품 피더에 관한 것이고, 캐리어 테이프에 수용되는 이송되는 부품이 이송 경로의 정해진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픽업 오류와 같은 이송 오류가 방지되도록 하는 부품 들뜸 방지 구조의 부품 피더에 관한 것이다.
제품의 대량 생산을 위하여 동일 부품이 자동 생산 공정에 연속적으로 공급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캐리어 테이프를 이송시켜 부품을 공급하는 피더가 사용될 수 있다. 캐리어 테이프는 부품 수용 홈이 형성된 기재 및 기재의 위쪽에 결합되어 부품을 보호하는 보호 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캐리어 테이프가 픽업 위치로 이송되기 전 보호 테이프가 제거되어야 하고, 노출된 부품이 픽업 장치에 의하여 픽업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피더가 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특허등록번호 10-0942164는 부품 실장기용 캐리어 테이프 자동 공급 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또한 특허공개번호 10-2014-0031009는 전자부품 캐리어 테이프 공급 장치 및 캐리어 테이프 공급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을 위한 피더에 의하여 다양한 종류의 전자부품이 이송될 수 있고, 다수 개의 피더가 부품 공급 장치에 배치되어 전자부품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부품 공급 구조에서 부품의 이송 과정에서 캐리어 테이프 또는 부품이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고, 픽업 수단이 부품 고정 위치로 이송되어 부품을 픽업할 수 있다. 그러나 캐리어 테이프 또는 부품이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지 못하고, 예를 들어 이송 경로의 바닥 면으로부터 들뜬 상태가 되면 이송 거리에 오차가 발생되거나, 부품의 픽업 오류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러므로 캐리어 테이프 또는 부품이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 경로를 따라 안정적으로 이송되거나, 부품이 정해진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수단이 만들어질 필요가 있지만 선행기술은 이와 같은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 1: 특허등록번호 10-0942164(김광식, 2010.02.12. 공고) 부품 실장기용 캐리어 테이프 자동 공급 장치 선행기술 2: 특허공개번호 10-2014-0031009(한화테크윈 주식회사, 2014.03.12. 공개) 전자부품 캐리어 테이프 공급 장치 및 전자부품 캐리어 테이프 공급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의 이송 과정에서 캐리어 테이프 또는 부품이 정해진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부품 들뜸 방지 구조의 부품 피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부품을 미리 정해진 위치로 이송시켜 픽업이 되도록 하는 부품 피더는 이송 몸체에 형성된 유도 경로를 따라 부품 기재가 이송되도록 유도하면서 부품 픽업을 위한 위치가 형성된 테이프 가드; 및 테이프 가드를 따라 이송되는 부품 기재 또는 부품을 유도 경로의 정해진 위치에 고정시키는 풀링 수단이 형성된 유도 지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풀링 수단은 진공 흡착 방식 또는 자성 고정 방식이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유도 지그의 적어도 일부를 진공 상태로 형성하는 기체 조절 수단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유도 지그는 유도 경로를 따라 연장되는 블록 몸체; 블록 몸체에 형성된 기재 이송 경로; 및 기재 이송 경로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진공 형성 홀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테이프 가드에 픽업 부분이 형성되고, 풀링 수단은 픽업 부분에서 부품이 픽업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작동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부품은 부품 기재에 형성된 포켓에 수용된 엘이디 소자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부품 들뜸 방지 구조의 부품 피더는 예를 들어 진공 흡입 방식 또는 자성 고정 방식에 의하여 부품의 이송 과정 또는 픽업 과정에서 부품이 미리 결정된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이송 거리 오류 또는 부품 픽업 오류가 방지되도록 한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품 피더는 부품 공급 효율 및 조립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품 피더는 엘이디 소자와 같은 전자 부품을 비롯하여 다양한 공급 수단에 적용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은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품 들뜸 방지 구조의 부품 피더에 적용되는 캐리어 테이프 또는 부품을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부품 풀링 수단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품 들뜸 방지 구조의 부품 피더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품 피더에 적용되는 유도 지그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품 피더에 적용되는 테이프 가드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부품 피더에 의하여 부품이 이송되어 픽업이 되는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품 들뜸 방지 구조의 부품 피더에 적용되는 캐리어 테이프 또는 부품을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부품 풀링 수단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부품을 미리 정해진 위치로 이송시켜 픽업이 되도록 하는 부품 피더는 이송 몸체(11)에 형성된 유도 경로를 따라 부품 기재(16)가 이송되도록 유도하면서 부품 픽업을 위한 위치가 형성된 테이프 가드(12); 및 테이프 가드(12)를 따라 이송되는 부품 기재(16) 또는 부품을 유도 경로의 정해진 위치에 고정시키는 풀링 수단이 형성된 유도 지그(13)를 포함한다.
부품 피더는 릴에 감겨진 테이프 형태의 기재(16)를 이송시키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기재(16)는 테이프 또는 스트립 형상으로 연장되는 기재 베이스(161); 기재 베이스(161)에 형성된 부품 포켓(162)에 수용된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부품 포켓(162)은 기재 베이스(16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선형으로 서로 분리되어 균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부품 포켓(162)에 부품이 배치될 수 있고, 부품 포켓(162)의 측면에 기재 베이스(161)의 연장 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이송 유도 홀(16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기재 베이스(161)의 위쪽 면에 커버 테이프가 결합되어 부품 포켓에 수용된 부품이 보호될 수 있다. 이송 유도 홀(163)에 예를 들어 스프로킷(15)의 이빨이 결합되어 기재(16)의 이송이 정밀하게 제어될 수 있다. 기재(16)의 이송 거리의 탐지 또는 제어는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기재(16)는 다수 개의 부품이 연속적으로 수용되어 이송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부품이 수용된 기재(16)는 이송 몸체(11)에 형성된 유도 경로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유도 경로는 이송 몸체(11)의 위쪽 부분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유도 경로에 테이프 가드(12)가 결합될 수 있다. 테이프 가드(12)는 유도 경로를 따라 연장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이송 몸체(11)에 분리 가능하도록 또는 교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테이프 가드(12)는 이송 몸체(11)의 끝 부분에 형성된 잠금 모듈(14)에 의하여 이송 몸체(11)에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가 되거나,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테이프 가드(12)는 기재(16)가 유도 경로를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되도록 하면서 픽업 위치에서 부품 픽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기재(16)로부터 커버 테이프를 분리시켜 부품이 노출되어 픽업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면서 분리된 커버 테이프 및 부품이 픽업된 빈 기재를 배출 경로로 유도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테이프 가드(12)의 아래쪽에 유도 지그(13)이 배치될 수 있고, 유도 지그(13)에 부품 또는 기재(16)의 들뜸을 방지하는 풀링 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유도 지그(13)에 기재 이송 경로(131)가 형성될 수 있고, 기재(16)는 기재 이송 경로(131)를 따라 이송될 수 있고, 기재 이송 경로(131)에 풀링 수단(PM)이 형성될 수 있다. 기재 이송 경로(131)는 유도 지그(13)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홈 형상이 될 수 있고, 기재(16)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질 수 있다. 기재(16)의 아래쪽 부분이 기재 이송 경로(131)의 이송 면에 접촉된 상태로 기재(16)가 이송될 수 있고, 풀링 수단(PM)에 의하여 기재(16) 또는 부품이 아래쪽 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다. 풀링 수단(PM)은 예를 들어 자성체, 기체 흡인 수단, 당김 수단과 같이 부품 또는 기재(16)를 이송 면에 대하여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당길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풀링 수단(PM)은 이송 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기체 유도 홀이 될 수 있다. 또는 풀링 수단(PM)은 이송 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가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부품이 적재된 기재(16)가 기재 이송 경로(131)를 따라 이동되면서 커버 테이프가 기재(16)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부품 포켓에 수용된 부품이 노출될 수 있다. 부품이 외부로 노출되면, 픽업 수단에 의하여 픽업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버 테이프가 분리되는 과정에서, 노출된 부품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또는 부품이 픽업이 되는 과정에서 부품이 들뜨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고, 풀링 수단(PM)에 의하여 이와 같은 들뜸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부품의 이송 오류가 방지되면서 이와 동시에 부품의 픽업 오류가 방지될 수 있다. 풀림 수단(PM)은 다양한 방법으로 기재(16) 또는 부품을 이송 면의 정해진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품 들뜸 방지 구조의 부품 피더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유도 지그(13)의 적어도 일부를 진공 상태로 형성하는 기체 조절 수단(26, 27, 28)을 포함한다. 부품 피더는 기재가 감길 릴(ree1)이 배치되는 릴 블록(21)을 포함할 수 있고, 릴에 감겨진 기재를 픽업 위치로 유도하는 유도 경로(GP)를 포함한다. 유도 경로(GP)는 릴 블록(21)으로부터 테이프 가드(12)가 배치된 이송 몸체(11)의 앞쪽 끝 부분까지 연장될 수 있다. 부품 피더에 다양한 조절 버튼이 설치된 핸들(22)이 설치될 수 있고, 구동 모터(M)의 작동에 의하여 릴이 회전되면서 기재가 유도 경로(GP)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유도 경로(GP)를 따라 이동되는 기재는 밀착 모듈(23)에 의하여 유도 경로(GP)의 바닥 면에 밀착되어 유도 경로(GP)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재는 유도 경로(GP)에 밀착된 상태에서 테이프 가드(12)로 유도될 수 있다. 테이프 가드(12)의 아래쪽에 유도 지그(13)가 배치될 수 있고, 테이프 가드(12)로 기재가 유도된 이후 유도 지그(13)로 유도될 수 있다. 테이프 가드(12)에 의하여 기재로부터 커버 테이프가 분리되면서 부품이 외부로 노출되어 부품이 픽업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함께 그리고 부품이 픽업 위치로 이동되기 전 기체 조절 수단(26, 27, 28)이 작동될 수 있다. 기체 조절 수단(26, 27, 28)은 외부로부터 기체를 유입시키는 기체 커플러(26); 유입된 기체를 흡입하거나, 배출시켜 유도지그(13)를 감압 또는 진공 상태로 만들거나, 대기압 또는 이와 유사한 압력 상태로 만드는 감압 작동 유닛(27); 및 감압 또는 진공 상태의 압력 수준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 유닛(28)을 포함한다. 기체 커플러(26)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기체가 유동 튜브(261)로 유입될 수 있고, 유동 튜브(261)는 감압 작동 유닛(27)과 유도 지그(13)를 연결하는 조절 튜브(262)와 연결될 수 있다. 감압 작동 유닛(27)은 예를 들어 기체를 흡입시키거나, 배출시키는 실린더 구조 또는 이와 유사한 기체 유동 조절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감압 작동 유닛(27)의 기재의 이송 제어에 따라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로킷(15)에 의하여 기재의 이송 거리가 정밀하게 제어될 수 있고, 부품이 이송 위치에 따라 감압 작동 유닛(27)이 작동되어 유도 지그(13)가 진공 상태로 또는 감압 상태로 만들어지거나, 대기압 상태로 될 수 있다. 부품이 픽업 위치에 도달하면 감압 작동 유닛(27)이 작동되어 유도 지그(13)가 진공 상태로 만들어져 부품이 정해진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부품이 유도 지그(13)의 정해진 위치에서 고정되면 픽업 장치가 픽업 위치로 이동하여 부품을 픽업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또는 픽업 직전에 감압 작동 유닛(27)이 작동되어 유도 지그(13)가 대기압 상태로 회복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부품이 안정적으로 픽업될 수 있고, 이후 부품이 픽업되면 다시 기재가 이송되어 다음 부품이 픽업 위치로 이동되면서 감압 작동 유닛(27)이 작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감압 작동 유닛(27)은 부품이 이송과 연동되어 작동될 수 있다. 부품이 픽업된 기재는 배출 경로(EP)를 따라 이동될 수 있고, 기재로부터 분리된 커버 테이프가 또한 다른 적절한 경로를 따라 배출될 수 있다. 기체 조절 수단(26, 27, 28)은 다양한 방법으로 작동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품 피더에 적용되는 유도 지그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유도 지그(13)는 전체적으로 선형으로 연장되는 지그 몸체(31); 지그 몸체(31)의 위쪽 면에 형성된 기재 이송 경로(131); 지그 몸체(31)의 앞쪽 끝 부분에 아래쪽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고정 돌출 블록(32)을 포함할 수 있다. 유도 지그(13)는 고정 돌출 블록(32)에 의하여 부품 피더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기재 이송 경로(131)는 기재의 폭에 대응되는 일정한 폭을 가지면서 선형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기재 이송 경로(131)의 앞쪽 부분에 상대적으로 넓은 폭을 가지면서 연장되는 유입 부분(3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선형 홈 형상을 가지는 기재 이송 경로(131)의 바닥 면에 기체 조절 수단과 기체 유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다수 개의 진공 형성 홀(31_1 내지 31_N)이 형성될 수 있다. 진공 형성 홀(31_1 내지 31_N)은 기재에 형성된 부품 포켓에 대응되도록 서로 분리되어 선형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진공 형성 홀(31_1 내지 31_K)은 기재 이송 경로(131)의 바닥 면의 중간 부분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부품 고정 수단 또는 풀링 수단이 기재 이송 경로(131)에 배치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품 피더에 적용되는 테이프 가드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테이프 가드(12)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벽 및 한 쌍의 벽의 위쪽 가장자리를 서로 결합시키는 천정 면으로 이루어지는 가드 몸체(41); 및 가드 몸체(41)의 뒤쪽 및 앞쪽에 형성되어 테이프 가드(12)를 부품 피더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체결 유닛(42, 47)을 포함할 수 있다. 가드 몸체(41)의 천정 면에 스프로킷의 이빨이 돌출되어 회전되도록 하는 선형 회전 유도 홀(48)이 형성될 수 있다. 천정 면에 커버 테이프가 분리된 기재(16)를 아래쪽 방향으로 밀착시키는 밀착 탭(451)이 배치된 분리 부위(45); 및 커버 테이프가 분리되어 노출된 부품이 픽업이 되는 픽업 부위(43)가 형성될 수 있다. 픽업 부위(43)에 픽업이 되지 않은 경우 기재(16)를 아래쪽으로 유도하는 유도 탭(431)이 형성될 수 있고, 픽업 부위(43)의 측면에 커버 테이프의 분리에 따라 발생되는 접착 잔여물의 배출을 위한 선형 홀 형상의 배출 홀(46)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천정 면에 부품이 픽업이 된 기재의 유도를 위한 배출 유도 유닛(441)이 배치된 배출 유도 부분(44)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테이프 가드(12)의 천정 면의 아래쪽에 유도 지그(13)가 결합되어 부품 또는 기재의 들뜸이 방지되어 부품이 안정적으로 픽업되도록 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부품 피더에 의하여 부품이 이송되어 픽업이 되는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부품은 부품 기재(16)에 형성된 포켓(162)에 수용된 엘이디 소자가 될 수 있다. 구동 모터(M)의 작동이 제어되어 이송 몸체(11)를 따라 이송되는 기재(16)의 이송이 정밀하게 제어될 수 있다. 테이프 가드(12)의 앞쪽 끝 부분에 형성된 체결 유닛이 잠금 유닛(14)에 결합되어 테이프 가드(12)가 유도 지그(13)의 위쪽 부분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구동 모터(M)의 작동에 의하여 부품이 수용된 기재가 테이프 가드(12)의 아래쪽에 배치된 유도 지그(13)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기재(16)는 테이프 형상이 될 수 있고, 기재(16)에 서로 분리되어 선형을 따라 부품 포켓(162)이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부품 포켓(162)에 예를 들어 엘이디 소자 또는 전자 부품이 수용될 수 있고, 수용 포켓(162)의 아래쪽 면에 진공 홀(VH)이 형성될 수 있다. 테이프 가드(12)에 의하여 커버 테이프가 분리되어 부품이 노출된 부품 포켓(162)에 위치하는 부품이 픽업 위치(PP)로 이동되면, 기체 커플러(26)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 또는 이와 유사한 기체를 흡입하거나, 배출하여 유도 지그(13)의 압력을 조절하는 감압 작동 유닛이 작동되어 유도 지그(13)가 감압 또는 진공 상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에 의하여 기재(16)를 이송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밀착시키는 압력이 작동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진공 홀(VH)을 통하여 부품 포켓(162)에 수용된 부품에 압력이 작동되어 부품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픽업 장치가 이동될 수 있고, 픽업 장치에 의하여 부품이 픽업이 되기 전 감압 작동 유닛이 작동되고 이에 따라 부품 포켓(162)이 대기압 상태가 되어 부품이 안정적으로 픽업이 될 수 있다. 부품이 픽업이 된 후 다시 기재(16)가 이송되어 부품이 노출된 부품 포켓(162)이 다시 픽업 위치로 이동되면 다시 감압 작동 유닛이 작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기재(16)에 배치된 모든 부품이 안정적으로 픽업될 수 있다.
다양한 부품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급 피더에 의하여 이송될 수 있고 부품의 종류에 의하여 본 발명은 제한되지 않는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 이송 몸체 12: 테이프 가드
13: 유도 지그 16: 부품 기재
21: 릴 블록 26, 27, 28: 기체 조절 수단
31: 블록 몸체 31_1 내지 31_N: 진공 형성 홀
131: 기재 이송 경로 162: 부품 포켓

Claims (2)

  1. 테이프 또는 스트립 형상으로 연장되는 기재 베이스(161); 및 기재 베이스(161)에 형성된 부품 포켓(162)을 포함하고 기재 베이스(161)의 위쪽 면에 커버 테이프가 결합되는 부품 기재(16)의 부품 포켓(162)에 수용된 부품을 미리 정해진 위치로 이송시켜 픽업이 되도록 하는 부품 피더에 있어서,
    이송 몸체(11)에 형성된 유도 경로를 따라 부품 기재(16)가 이송되도록 유도하면서 부품 픽업을 위한 위치가 형성된 테이프 가드(12);
    테이프 가드(12)를 따라 이송되는 부품 기재(16) 또는 부품을 유도 경로의 정해진 위치에 고정시키는 풀링 수단이 형성된 유도 지그(13); 및
    유도 지그(13)의 적어도 일부를 진공 상태로 형성하는 기체 조절 수단(26, 27, 28)을 포함하고,
    테이프 가드(12)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벽 및 한 쌍의 벽의 위쪽 가장자리를 서로 결합시키는 천정 면으로 이루어지는 가드 몸체(41); 및 가드 몸체(41)의 뒤쪽 및 앞쪽에 형성되어 테이프 가드(12)를 부품 피더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체결 유닛(42, 47)을 포함하고, 테이프 가드(12)의 천정 면의 아래쪽에 유도 지그(13)가 결합되고,
    가드 몸체(41)의 천정 면에 커버 테이프가 분리된 부품 기재(16)를 아래쪽 방향으로 밀착시키는 밀착 탭(451)이 배치된 분리 부위(45); 및 커버 테이프가 분리되어 노출된 부품이 픽업이 되는 픽업 부위(43)가 형성되고, 픽업 부위(43)의 측면에 커버 테이프의 분리에 따라 발생되는 접착 잔여물의 배출을 위한 선형 홀 형상의 배출 홀(46)이 형성되고, 천정 면에 부품이 픽업이 된 부품 기재의 유도를 위한 배출 유도 유닛(441)이 배치된 배출 유도 부분(44)이 형성되고,
    풀링 수단은 픽업 부위에서 부품이 픽업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작동되고,
    유도 지그(13)는 유도 경로를 따라 선형으로 연장되는 지그 몸체(31); 지그 몸체(31)의 위쪽 면에 부품 기재(16)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는 선형 홈 형상으로 형성된 기재 이송 경로(131); 지그 몸체(31)의 앞쪽 끝 부분에 아래쪽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유도 지그(13)를 부품 피더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돌출 블록(32); 및 기재 이송 경로(131)의 바닥 면의 중간 부분을 따라 형성되고 부품 포켓에 대응되도록 서로 분리되어 형성된 다수 개의 진공 형성 홀(31_1 내지 31_N)을 더 포함하고, 기재 이송 경로(131)의 앞쪽 부분에 기재 이송 경로(131)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지면서 연장되는 유입부분(33)이 형성되고,
    부품이 수용된 부품 포켓(162)의 아래쪽 면에 진공 홀(VH)이 형성되고, 부품이 픽업 위치(PP)로 이동되면 유도 지그(13)의 압력을 조절하는 감압 작동 유닛의 작동에 의하여 유도 지그(13)가 감압 상태로 되어 부품 기재(16)를 이송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밀착시키는 압력이 작동됨과 동시에 진공 홀(VH)을 통하여 부품 포켓(162)에 수용된 부품에 압력이 작동되어 고정되고, 픽업 장치에 의하여 부품이 픽업되기 전 감압 작동 유닛의 작동에 따라 부품 포켓(162)이 대기압 상태가 되어 부품이 픽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들뜸 방지 구조의 부품 피더.
  2. 청구항 1에 있어서, 부품은 부품 기재(16)에 형성된 부품 포켓(162)에 수용된 엘이디 소자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들뜸 방지 구조의 부품 피더.
KR1020230114593A 2020-06-19 2023-08-30 들뜸 방지 구조의 부품 피더 KR202301305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4593A KR20230130592A (ko) 2020-06-19 2023-08-30 들뜸 방지 구조의 부품 피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190 2020-06-19
KR1020230012663A KR20230022907A (ko) 2020-06-19 2023-01-31 들뜸 방지 구조의 부품 피더
KR1020230114593A KR20230130592A (ko) 2020-06-19 2023-08-30 들뜸 방지 구조의 부품 피더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2663A Division KR20230022907A (ko) 2020-06-19 2023-01-31 들뜸 방지 구조의 부품 피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0592A true KR20230130592A (ko) 2023-09-12

Family

ID=7917841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5940A KR20210157369A (ko) 2020-06-19 2021-09-23 들뜸 방지 구조의 부품 피더
KR1020230012663A KR20230022907A (ko) 2020-06-19 2023-01-31 들뜸 방지 구조의 부품 피더
KR1020230114593A KR20230130592A (ko) 2020-06-19 2023-08-30 들뜸 방지 구조의 부품 피더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5940A KR20210157369A (ko) 2020-06-19 2021-09-23 들뜸 방지 구조의 부품 피더
KR1020230012663A KR20230022907A (ko) 2020-06-19 2023-01-31 들뜸 방지 구조의 부품 피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2021015736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164B1 (ko) 2009-03-09 2010-02-12 김광식 부품 실장기용 캐리어 테이프 자동공급장치
KR20140031009A (ko) 2012-09-04 2014-03-12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전자부품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 및 전자부품 캐리어 테이프 공급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164B1 (ko) 2009-03-09 2010-02-12 김광식 부품 실장기용 캐리어 테이프 자동공급장치
KR20140031009A (ko) 2012-09-04 2014-03-12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전자부품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 및 전자부품 캐리어 테이프 공급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7369A (ko) 2021-12-28
KR20230022907A (ko) 2023-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25514B2 (ja) バルクフィーダおよび電子部品実装装置
JP6286150B2 (ja) 電子部品キャリアテープ供給装置及び電子部品キャリアテープ供給方法
CN107135642B (zh) 部件供给装置
WO1997024912A1 (fr) Dispositif d'alimentation en elements
TWI657027B (zh) 物品供應裝置
US5295294A (en) Tray and electronic parts supplying apparatus
JP5487022B2 (ja) 部品装着装置、及び部品供給装置
JP5925524B2 (ja) 電子部品供給装置及び電子部品実装装置
KR101232134B1 (ko) 빈 부품의 위치를 감지하여 캐리어 테이프를 신속하게 배출하는 테이프 피더
KR20230130592A (ko) 들뜸 방지 구조의 부품 피더
JP2022168137A (ja) 部品実装装置
KR20060049194A (ko) 부품 배치 장치 및 방법
KR101969673B1 (ko) 테이프 피더
KR100420875B1 (ko) 벨트형 부품을 장착 장치에 전달하는 방법 및 장치
JP3660470B2 (ja) 電子部品装着装置における部品供給装置
JP4194857B2 (ja) 電子部品装着装置
JP4667113B2 (ja) 電子部品装着装置
KR101224871B1 (ko) 캐리어 테이프의 자동 공급 장치
JP2020109797A (ja) テープフィーダおよび部品実装装置
WO2022224553A1 (ja) 部品供給装置、部品実装装置、および、部品供給方法
JP4849082B2 (ja) テープフィーダ
CN111386756B (zh) 带式供料器
KR102148146B1 (ko) 진공 형성 구조를 가진 캐리어 테이프 피더 및 그에 의한 전자부품의 픽업 방법
JPH04105399A (ja) 電子部品装着装置
JP4873682B2 (ja) パーツフィー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