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2134B1 - 빈 부품의 위치를 감지하여 캐리어 테이프를 신속하게 배출하는 테이프 피더 - Google Patents
빈 부품의 위치를 감지하여 캐리어 테이프를 신속하게 배출하는 테이프 피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32134B1 KR101232134B1 KR1020110123942A KR20110123942A KR101232134B1 KR 101232134 B1 KR101232134 B1 KR 101232134B1 KR 1020110123942 A KR1020110123942 A KR 1020110123942A KR 20110123942 A KR20110123942 A KR 20110123942A KR 101232134 B1 KR101232134 B1 KR 1012321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rier tape
- tape
- component
- sensing unit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17—Feeding with belts or tap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20—Advancing webs by web-penetrating means, e.g. pins
- B65H20/22—Advancing webs by web-penetrating means, e.g. pins to effect step-by-step advancement of web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02—Web delivery apparatus, the web serving as support for articles, material or another web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05K13/021—Loading or unloading of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부품이 수납된 캐리어 테이프를 부품 실장기에 공급하기 위한 테이프 피더에 있어서, 캐리어 테이프가 로딩되는 테이프 로딩부, 상기 테이프 로딩부에서 공급된 캐리어 테이프를 이송시키기 위하여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경로를 따라서 순차적으로 설치된 제1 구동 스프라켓 및 제2 구동 스프라켓을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의하여 이송된 캐리어 테이프에서 부품을 픽업할 수 있도록 부품을 노출시키는 부품 픽업부,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부품 또는 이송홀을 감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로부터 캐리어 테이프에 부품이 수납되어 있지 않다는 감지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부품의 픽업에 필요한 이송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캐리어 테이프가 부품 픽업부를 통과하도록 상기 제1 구동 스프라켓 및/또는 제2 구동 스프라켓의 회전을 제어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는 빈 부품의 위치를 감지하여 캐리어 테이프를 신속하게 배출하는 테이프 피더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센싱부가 부품이 수납되어 있지 않은 캐리어 테이프의 영역을 고속으로 배출시키므로 부품의 공급을 위한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센싱부가 새롭게 공급된 캐리어 테이프를 감지하여 픽업부까지 고속으로 이송시키므로 새로운 테이프의 공급으로 인한 시간의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센싱부가 부품이 수납되어 있지 않은 캐리어 테이프의 영역을 고속으로 배출시키므로 부품의 공급을 위한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센싱부가 새롭게 공급된 캐리어 테이프를 감지하여 픽업부까지 고속으로 이송시키므로 새로운 테이프의 공급으로 인한 시간의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테이프 피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 부품이 수납된 캐리어 테이프를 부품 실장기에 연속하여 공급하기 위한 테이프 피더에 관한 것이다.
부품 실장기(chip mounter)는 공급기(feeder)에 의해 공급되는 전자부품을 헤드의 노즐로 진공 흡착하여 전자부품이 장착될 위치가 미리 설정된 인쇄회로기판 상에 고속ㅇ고정밀도로 실장하는 장치이다. 최근에는 전자기기의 기능이 다양화되고 사양이 높아짐과 동시에 제품이 소형화됨에 따라, 제품에 내장되는 인쇄회로기판에 고밀도의 부품 실장이 이루어질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인쇄회로기판에 부품을 실장하는 기술은 종래의 관통공 방식에서 인쇄회로기판 표면에 직접 소형, 고밀도의 부품을 실장하는 표면실장기술(surface mounted technology, SMT)방식으로 변화되고 있다. 표면실장기술에 사용되는 표면 실장기(surface mounting device, SMD)는 부품을 공급하는 형태에 따라 테이프 롤(tape roll)형, 트레이(tray)형 및 스틱(stick)형 등으로 분류되며, 부품 공급기도 표면 실장기의 종류에 따라 테이프 피더(tape feeder), 트레이 피더(tray feeder) 및 스틱 피더(stick feeder) 등과 같이 동일한 방식의 부품 공급방식을 채택하게 된다. 이 중 테이프 피더는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부품 공급기로서, 부품의 공급형태로 캐리어 테이프(carrier tape)가 적용되며, 부품을 고속 및 대량으로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캐리어 테이프는 베이스 테이프에 일정간격의 피치로 이격 형성된 수납공간에 반도체 칩 등의 소형 전자부품이 수납되어 있고, 커버 테이프에 의해 테이핑 처리되어 반도체 칩을 보호하고 있으며, 반도체 칩 등의 전자부품을 자동화 라인을 통해 인쇄회로기판위에 조립하기 위한 장치에 원활히 공급하기 위한 운송체 기능을 한다.
테이프 피더는 캐리어 테이프의 부품이 소진되면 새로운 캐리어 테이프를 교체하여 공급하거나, 기존 캐리어 테이프의 마지막 부분에 새로운 캐리어 테이프를 미리 연결하여 무 정지 상태로 연속 작업을 진행한다. 그러나 이러한 연속 작업을 위해서는 수많은 피더에 로딩된 캐리어 테이프의 부품이 언제 소모될지 모르기 때문에 상시 감시를 하여야 하고, 또 만약 부품이 대부분 소진 되었다면 캐리어 테이프에 부품이 수납된 마지막 부분과 새로운 캐리어 테이프의 새로운 시작 부분을 찾아 절단하여 마주 연결해 주는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작업이 수많은 피더에서 일어날 경우에 작업자는 쉬지 않고 감시와 연결 작업을 수행해야 하며, 만약 연결 작업이 실패하면 장치가 정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561호(본 특허출원 명세서의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특허)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방식의 테이프 피더에 대하여개시하고 있다. 상기 선행특허의 테이프 피더는 복수개의 캐리어 테이프가 연속하여 자동으로 로딩될 수 있고, 연속하여 공급된 캐리어 테이프의 커버 테이프가 픽업부에 설치된 칼날에 의하여 자동으로 벗겨짐으로써 작업자 없이도 복수개의 캐리어 테이프가 부품 실장기로 연속하여 공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테이프 피더의 경우에도 캐리어 테이프의 마지막 부분에 부품이 없는 구간(일반적인 캐리어 테이프는 롤에 권취하기 위하여 마지막의 일정한 영역에 부품이 수납되어 있지 않음)이 존재하여 부품의 마지막 지점과 시작점은 여전히 사람이 찾아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잔존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복수개의 캐리어 테이프가 연속하여 자동으로 공급되는 테이프 피더에서 캐리어 테이프에 부품이 존재하는 구간과 존재하지 않는 구간을 판단하여 부품이 없는 구간을 고속으로 배출하고, 새롭게 공급된 캐리어 테이프의 첫 번째 부품의 위치를 판단하여 상기 첫 번째 부품을 부품 픽업부로 고속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테이프 피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빈 부품의 위치를 감지하여 캐리어 테이프를 신속하게 배출하는 테이프 피더는 전자부품이 수납된 캐리어 테이프를 부품 실장기에 공급하기 위한 테이프 피더에 있어서, 캐리어 테이프가 로딩되는 테이프 로딩부, 상기 테이프 로딩부에서 공급된 캐리어 테이프를 이송시키기 위하여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경로를 따라서 순차적으로 설치된 제1 구동 스프라켓 및 제2 구동 스프라켓을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의하여 이송된 캐리어 테이프에서 부품을 픽업할 수 있도록 부품을 노출시키는 부품 픽업부,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부품 또는 이송홀을 감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로부터 캐리어 테이프에 부품이 수납되어 있지 않다는 감지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부품의 픽업에 필요한 이송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캐리어 테이프가 부품 픽업부를 통과하도록 상기 제1 구동 스프라켓 및/또는 제2 구동 스프라켓의 회전을 제어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싱부는 상기 제1 구동 스프라켓 후단에 위치하는 제1센싱부 및 상기 제2 구동 스프라켓 전단에 위치하는 제2센싱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트롤부는 제1캐리어 테이프 이후 로딩된 제2캐리어 테이프의 부품이 상기 제1센싱부에 통하여 감지되고, 상기 제2센싱부를 통하여 제2캐리어 테이프의 부품이 감지되기 전까지 제2캐리어 테이프가 부품의 픽업에 필요한 이송속도 보다 빠른 속도로 부품 픽업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구동 스프라켓의 회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센싱부 또는 제2센싱부는 캐리어 테이프의 포켓에 수납된 부품의 유무를 감지하는 포켓 센서 및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홀을 감지하는 이송 홀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포켓 센서와 상기 이송 홀 센서는 인접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테이프 피더는 아래의 효과를 가진다.
1. 센싱부가 새롭게 공급된 캐리어 테이프를 감지하여 픽업부까지 고속으로 이송시키므로 새로운 테이프의 공급으로 인한 시간의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2. 센싱부가 부품이 수납되어 있지 않은 캐리어 테이프의 영역을 고속으로 배출시키므로 부품의 공급을 위한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3. 센싱부가 인접하여 형성된 이송 홀 센서와 포켓 센서로 이루어지므로 부품 포켓에 수납된 부품의 유무 여부를 포켓의 중앙부에서 감지할 수 있어 부품의 유무를 오차없이 감지할 수 있고,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 속도를 정밀히 제어하여 스프라켓의 톱니에 정확히 맞물리도록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피더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캐리어 테이프에서 부품이 수납된 부분과 부품이 수납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테이프 피더에서 구동 스프라켓과 센싱부의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테이프 로딩부 영역에 설치된 센서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부품 픽업부 영역에 설치된 센서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연속하여 공급되는 캐리어 테이프에서 캐리어 테이프 또는 부품이 감지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부품을 감지하는 센서의 부품 감지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종래의 부품 감지 센서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이유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테이프 피더에서 인접하여 형성된 포켓 센서와 이송 홀 센서에 의하여 부품의 감지가 오차 없이 이루어지는 이유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캐리어 테이프에서 부품이 수납된 부분과 부품이 수납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테이프 피더에서 구동 스프라켓과 센싱부의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테이프 로딩부 영역에 설치된 센서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부품 픽업부 영역에 설치된 센서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연속하여 공급되는 캐리어 테이프에서 캐리어 테이프 또는 부품이 감지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부품을 감지하는 센서의 부품 감지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종래의 부품 감지 센서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이유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테이프 피더에서 인접하여 형성된 포켓 센서와 이송 홀 센서에 의하여 부품의 감지가 오차 없이 이루어지는 이유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테이프 피더는 전자부품이 수납된 캐리어 테이프를 부품 실장기에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캐리어 테이프가 로딩되는 테이프 로딩부와, 상기 테이프 로딩부에서 공급된 캐리어 테이프를 이송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하여 이송된 캐리어 테이프에서 부품을 픽업할 수 있도록 부품을 노출시키는 부품 픽업부와,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부품 또는 이송홀을 감지하는 센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프 로딩부는 복수개의 캐리어 테이프가 자동으로 연속 공급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센싱부와 연동하여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 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피더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테이프 피더(100)는 테이프 롤 거치부(10), 테이프 로딩부(20) 및 부품 픽업부(30)를 포함한다. 테이프 롤 거치부(10)는 제1테이프 롤(12)과 제2테이프 롤(11)이 장착될 수 있는 부분으로써, 복수개의 권취된 캐리어 테이프가 연속하여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테이프 로딩부(20)는 캐리어 테이프가 공급되는 부분인데, 이송 중인 캐리어 테이프가 소모되면 새로운 캐리어 테이프가 자동으로 로딩될 수 있도록 새로운 캐리어 테이프가 대기 상태로 로딩될 수 있다. 부품 픽업부(30)는 캐리어 테이프의 커버 비닐을 제거하여 부품을 노출시킴으로써 흡착 노즐이 부품을 픽업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으로서, 연속 공급된 캐리어 테이프의 커버 비닐을 자동으로 벗겨내도록 칼날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테이프 롤 거치부, 테이프 로딩부 및 부품 픽업부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한국등록특허 제1020561호에 개시되어 있다. 테이프 로딩부(20)의 하부와 부품 픽업부(30)의 하부에는 각각 제1구동 스프라켓(21)과 제2구동 스프라켓(31)이 설치되어 구동부를 구성하고 있는데, 제1구동 스프라켓(21)은 최초로 공급된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 홀과 스프라켓의 톱니가 맞물리도록 하여 캐리어 테이프를 부품 픽업부 방향으로 이송시키고, 제2구동 스프라켓(31)은 테이프 로딩부에서 공급된 캐리어 테이프를 당겨서 외부로 배출시킨다. 도면 부호로 표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테이프 피더는 캐리어 테이프의 유무 또는 부품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부를 포함하고 있고, 센싱부는 스프라켓의 회전과 연동하여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 속도를 조절한다. 센싱부의 자세한 구성과 기능은 도 3 내지 도 9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캐리어 테이프에서 부품이 수납된 부분과 부품이 수납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캐리어 테이프(200)는 스프라켓과 맞물려 이송시키도록 형성된 이송 홀(201)과 부품이 수납될 수 있는 부품 포켓(202)을 포함한다. 각각의 부품 포켓(202)에는 전자 칩과 같은 부품이 수납되어 있는데, 일반적인 캐리어 테이프는 릴 형태로 권취되어 보관되므로 캐리어 테이프의 끝 부분 일부 영역에는 부품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영역이 있다. 본 발명의 테이프 피더는 캐리어 테이프(200)의 이송 홀(201) 및/또는 부품 포켓에 수납된 부품(203)을 감지하여 부품이 없어서 픽업이 일어날 수 없는 구간에서는 부품의 픽업과정이 없이 캐리어 테이프를 고속으로 배출하고, 새로운 부품의 시작 지점에서 부품의 픽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캐리어 테이프 이송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장치를 정지하지 않고 연속적으로 부품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테이프 피더에서 구동 스프라켓과 센싱부의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테이프 로딩부 영역에서는 하부에 제1구동 스프라켓(21)이 설치되어 있고, 후단에 제1센싱부(2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부품 픽업부 영역에는 하부에 제2구동 스프라켓(31)이 설치되어 있고, 전단에 제2센싱부(32)가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센싱부는 제1구동 스프라켓 및/또는 제2구동 스프라켓의 회전 속도와 연동하여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 속도를 조절하게 된다.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 속도 조절에 대해서는 도 6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테이프 로딩부 영역에 설치된 센서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테이프 로딩부에서 캐리어 테이프(200)가 제1구동 스프라켓(21)에 의하여 이송되고, 제1구동 스프라켓(21)의 후단에 제1센싱부(22)가 설치되어 있다. 제1센싱부(22)는 새롭게 공급되는 캐리어 테이프(200)를 감지하게 되는데, 캐리어 테이프(200)의 이송 홀 또는 부품을 감지하는 방법으로 캐리어 테이프의 공급을 감지한다. 도면에서는 제1센싱부(22)의 형성 위치가 제1구동 스프라켓(21)의 후단에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제1센싱부의 형성 위치는 캐리어 테이프의 유무(정확히는 부품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면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 경로 상의 어디에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도 5는 부품 픽업부 영역에 설치된 센서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5의 (가)를 참조하면, 부품 픽업부 영역에 설치된 제2구동 스프라켓(31)의 전단에 제2센싱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제2센싱부(32)는 제1구동 스프라켓(21) 또는 제2구동 스프라켓(31)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신호를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제2센싱부(32)의 형성 위치는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 경로 상에 어디라도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지만, 부품 픽업부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 이유는 제2센싱부(32)와 제2구동 스프라켓(31)의 거리가 짧을수록 제2센싱부에서 감지된 캐리어 테이프의 정확한 위치에 따라 제2구동 스프라켓(32)의 톱니가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 홀에 정확하게 물려 들어갈 수 있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캐리어 테이프가 이송되는 동안에 캐리어 테이프가 좌우 또는 상하로 흔들리면 부품이 없는 구간을 감지할 때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캐리어 테이프의 흔들림을 잡아주기 위한 보조 가이드(도면부호 미표시)가 하부에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도 5의 (나)를 참조하면, 제2센싱부(32)는 인접하여 형성된 포켓 센서(32a)와 이송 홀 센서(32b)로 이루어진다. 포켓 센서(32a)는 캐리어 테이프의 포켓에 수납된 부품의 유무를 감지하고, 이송 홀 센서(32b)는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 홀을 감지한다. 이와 같이 포켓 센서(32a)와 이송 홀 센서(32b)가 인접하여 형성된 이유는 도 7 내지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연속하여 공급되는 캐리어 테이프에서 캐리어 테이프 또는 부품이 감지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공급된 제1캐리어 테이프(210)가 모두 소모되면 끝 부분에 부품이 수납되어 있지 않는 포켓(하얗게 표시된 부분)이 제2센싱부(32)를 통과하게 되고, 이송 홀 센서(32b)와 포켓 센서(32a)가 포켓에 부품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감지하게 된다. 이때 제2센싱부에서 신호를 전달받은 제2구동 스프라켓은 회전 속도를 빠르게 하여 캐리어 테이프를 픽업 과정없이 배출시킬 준비를 하게 되고, 부품 픽업부에 부품이 없는 포켓이 도달하면 캐리어 테이프를 빠르게 배출한다. 일반적으로 테이프 피더는 부품 픽업부에서 흡착 노즐이 부품을 픽업하기 위하여 일정한 속도로 캐리어 테이프를 이송시키는데, 부품의 픽업없이 캐리어 테이프를 빠르게 배출시킨다는 의미는 부품의 픽업에 필요한 이송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캐리어 테이프가 부품 픽업부를 통과하도록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 속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제1캐리어 테이프에서 부품이 없는 영역을 감지하는 기능은 제2센싱부가 아닌 제1센싱부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어서, 이러한 과정이 일어나기 전에 테이프 로딩부에는 새롭게 제2캐리어 테이프(220)가 공급된다. 제1센싱부(22)는 제2캐리어 테이프(220)가 감지되면, 제1구동 스프라켓이 이 신호를 전달받아서 제1캐리어 테이프(210)의 배출 속도를 감안하여 빠르게(부품 픽업부에서 부품을 픽업하기 위한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제2캐리어 테이프(220)를 부품 픽업부 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이어서, 빠르게 이송되던 제2캐리어 테이프(220)가 제2센싱부(32)에 도달하면 제2센싱부는 부품의 위치를 정확히 감지하여 부품 픽업부의 하부에 설치된 제2구동 스프라켓의 톱니에 이송 홀이 맞물릴 수 있도록 제2캐리어 테이프(220)를 이송시킨다. 이러한 과정에 의하여 제1캐리어 테이프의 부품 존재 영역(B)의 끝나면 부품 비존재 영역(A)을 스킵할 수 있고, 새롭게 공급된 제2캐리어 테이프도 부품 픽업부까지 신속하게 이송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에 작업자에 의하여 제1캐리어 테이프의 마지막 부품과 제2캐리어 테이프의 시작되는 부품을 연결하던 작업없이 연속적으로 캐리어 테이프의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테이프 피더에서는 캐리어 테이프가 연속하여 공급되므로, 제1센싱부와 제1구동 스프라켓이 연동하고 제2센싱부와 제2구동 스프라켓이 연동하는 방식 및/또는 제1센싱부와 제2구동 스프라켓이 연동하고 제2센싱부와 제1구동 스프라켓이 연동하는 방식이 모두 이용될 수 있고, 이를 위하여 테이프 피더는 센싱부의 감지 신호를 스프라켓에 전달하는 콘트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제1구동 스프라켓과 제2구동 스프라켓이 제1센싱부와 제2센싱부의 신호를 모두 받아들이므로 가능할 수 있으며, 제1센싱부와 제2센싱부의 감지신호가 연동되면 먼저 공급된 캐리어 테이프의 부품 끝 위치과 새롭게 공급된 캐리어 테이프의 부품 시작 위치를 정확하게 알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제1구동 스프라켓과 제2구동 스프라켓의 회전 속도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제1센싱부는 부품을 감지하고, 제2센싱부는 부품과 이송 홀을 동시에 감지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제1센싱부와 제2센싱부에서 부품 및/또는 이송 홀을 감지하는 다양한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부품을 감지하는 센서의 부품 감지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의 (가)를 참조하면, 캐리어 테이프에는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이송 홀(201)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부품 포켓이 형성되고, 부품 포켓에는 부품(300a, 300b, 300c)이 수납되어 있다. 이때 부품은 부품 포켓의 부피보다 작으므로 부품 포켓 내부에서 일정 부분까지 움직일 수 있다. 도 7의 (나)를 참조하면, 포켓 센서(32a)의 포켓 센싱 영역(34)이 부품 포켓(202)의 위치에서 부품의 유무를 판단하게 된다.
도 8은 종래의 부품 감지 센서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이유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의 (가)를 참조하면, 부품(300)이 부품 포켓(202)의 중앙에 위치하고 포켓 센서(32a)의 포켓 센싱 영역(34)이 부품 포켓(202)의 중앙에 위치하면 부품(300)의 유무가 오차없이 감지된다. 도 8의 (나)를 참조하면, 포켓 센서(32a)의 포켓 센싱 영역(34)이 부품 포켓(202)의 중앙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부품(300)이 부품 포켓(202) 내부에서 한 방향으로 치우친 경우에도 부품(300)의 유무가 오차없이 감지될 수 있다. 그러나 도 8의 (다)를 참조하면, 포켓 센서(32a)의 포켓 센싱 영역(34)이 부품 포켓(202)의 중앙에 위치하지 못하고, 부품(300)이 부품 포켓(202) 내부에서 한 방향으로 치우친 경우에는 부품(300)의 유무 판단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테이프 피더에서 인접하여 형성된 포켓 센서와 이송 홀 센서에 의하여 부품의 감지가 오차 없이 이루어지는 이유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이송 홀 센서(32b)가 이송 홀(201)의 위치를 감지하여 포켓 센서(32a)의 포켓 센싱 영역(34)이 부품 포켓(202)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부품의 유무를 감지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포켓 센서와 이송 홀 센서가 인접하여 형성되면, 도 8의 (다)와 같이 포켓 센서의 포켓 센싱 영역이 부품 포켓의 중앙에 위치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부품 유무 판단에 오차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부품의 크기에 따른 오차를 보상하기 위하여 캐리어 테이프를 고속으로 이동하는 중에도 이동 거리를 세분화하여 이동 중에 센서의 감지 상태를 미세 이동시 마다 거리와 비교 모니터링 하여 포켓 내부에서 부품의 유동/치우침으로 인한 센서의 오차를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포켓 센서와 이송 홀 센서가 인접하여 형성되면 캐리어 테이프가 제2구동 스프라켓의 톱니에 안정적으로 맞물리도록 전달될 수 있다. 즉,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 홀과 부품 포켓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포켓 센서와 이송 홀 센서가 위치를 서로 비교하여 캐리어 테이프의 위치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으므로 제2구동 스프라켓으로 이송되는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 홀이 정확히 제2구동 스프라켓의 톱니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제1구동 스프라켓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 구현예를 이용하여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설명된 구현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런 구현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테이프 피더 10: 테이프 롤 거치부
11: 제2테이프 롤 12: 제1테이프 롤
20: 테이프 로딩부 21: 제1구동 스프라켓
22: 제1센싱부 30: 부품 픽업부
31: 제2구동 스프라켓 32: 제2센싱부
32a: 포켓 센서 32b: 이송 홀 센서
34: 포켓 센싱 영역 35: 홀 센싱 영역
200: 캐리어 테이프 201: 이송 홀
202: 부품 포켓 203: 부품
210: 제1캐리어 테이프 220: 제2캐리어 테이프
300, 300a, 300b, 300c: 부품
11: 제2테이프 롤 12: 제1테이프 롤
20: 테이프 로딩부 21: 제1구동 스프라켓
22: 제1센싱부 30: 부품 픽업부
31: 제2구동 스프라켓 32: 제2센싱부
32a: 포켓 센서 32b: 이송 홀 센서
34: 포켓 센싱 영역 35: 홀 센싱 영역
200: 캐리어 테이프 201: 이송 홀
202: 부품 포켓 203: 부품
210: 제1캐리어 테이프 220: 제2캐리어 테이프
300, 300a, 300b, 300c: 부품
Claims (8)
- 전자부품이 수납된 캐리어 테이프를 부품 실장기에 공급하기 위한 테이프 피더에 있어서,
캐리어 테이프가 로딩되는 테이프 로딩부;
상기 테이프 로딩부에서 공급된 캐리어 테이프를 이송시키기 위하여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경로를 따라서 순차적으로 설치된 제1 구동 스프라켓 및 제2 구동 스프라켓을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의하여 이송된 캐리어 테이프에서 부품을 픽업할 수 있도록 부품을 노출시키는 부품 픽업부;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부품 또는 이송홀을 감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로부터 캐리어 테이프에 부품이 수납되어 있지 않다는 감지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부품의 픽업에 필요한 이송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캐리어 테이프가 부품 픽업부를 통과하도록 상기 제1 구동 스프라켓 및/또는 제2 구동 스프라켓의 회전을 제어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는 빈 부품의 위치를 감지하여 캐리어 테이프를 신속하게 배출하는 테이프 피더.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제1 구동 스프라켓 후단에 위치하는 제1센싱부 및
상기 제2 구동 스프라켓 전단에 위치하는 제2센싱부를 포함하는 빈 부품의 위치를 감지하여 캐리어 테이프를 신속하게 배출하는 테이프 피더.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는
제1캐리어 테이프 이후 로딩된 제2캐리어 테이프의 부품이 상기 제1센싱부에 통하여 감지되고, 상기 제2센싱부를 통하여 제2캐리어 테이프의 부품이 감지되기 전까지 제2캐리어 테이프가 부품의 픽업에 필요한 이송속도 보다 빠른 속도로 부품 픽업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구동 스프라켓의 회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빈 부품의 위치를 감지하여 캐리어 테이프를 신속하게 배출하는 테이프 피더. - 삭제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싱부 또는 제2센싱부는
캐리어 테이프의 포켓에 수납된 부품의 유무를 감지하는 포켓 센서 및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홀을 감지하는 이송 홀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포켓 센서와 상기 이송 홀 센서는 인접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빈 부품의 위치를 감지하여 캐리어 테이프를 신속하게 배출하는 테이프 피더.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23942A KR101232134B1 (ko) | 2011-11-25 | 2011-11-25 | 빈 부품의 위치를 감지하여 캐리어 테이프를 신속하게 배출하는 테이프 피더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23942A KR101232134B1 (ko) | 2011-11-25 | 2011-11-25 | 빈 부품의 위치를 감지하여 캐리어 테이프를 신속하게 배출하는 테이프 피더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32134B1 true KR101232134B1 (ko) | 2013-02-13 |
Family
ID=47899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23942A KR101232134B1 (ko) | 2011-11-25 | 2011-11-25 | 빈 부품의 위치를 감지하여 캐리어 테이프를 신속하게 배출하는 테이프 피더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32134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40730A (ko) * | 2013-10-07 | 2015-04-15 |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 테이프 피더 |
KR20150060483A (ko) * | 2013-11-25 | 2015-06-03 |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 테이프 피더 |
EP2919573A3 (en) * | 2014-03-14 | 2016-07-13 | Omron Corporation | Method for detecting components in carrier tape, sensor module, splicing device, and component mounting device |
JP2017059611A (ja) * | 2015-09-15 | 2017-03-23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部品供給装置および部品装着装置ならびに部品検出センサ |
KR102132984B1 (ko) * | 2020-02-27 | 2020-07-10 | 주식회사하이셈테크놀로지 | 칩이 포장된 캐리어 테이프의 검사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78487B1 (ko) | 2000-12-14 | 2003-03-29 |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 부품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
KR100942164B1 (ko) | 2009-03-09 | 2010-02-12 | 김광식 | 부품 실장기용 캐리어 테이프 자동공급장치 |
JP2010212486A (ja) | 2009-03-11 | 2010-09-24 | Fuji Mach Mfg Co Ltd | テープフィーダの部品供給テープ装着状態確認装置 |
KR20110042729A (ko) * | 2009-10-20 | 2011-04-27 | 김광식 | 듀얼 픽업 타입의 부품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
-
2011
- 2011-11-25 KR KR1020110123942A patent/KR10123213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78487B1 (ko) | 2000-12-14 | 2003-03-29 |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 부품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
KR100942164B1 (ko) | 2009-03-09 | 2010-02-12 | 김광식 | 부품 실장기용 캐리어 테이프 자동공급장치 |
JP2010212486A (ja) | 2009-03-11 | 2010-09-24 | Fuji Mach Mfg Co Ltd | テープフィーダの部品供給テープ装着状態確認装置 |
KR20110042729A (ko) * | 2009-10-20 | 2011-04-27 | 김광식 | 듀얼 픽업 타입의 부품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40730A (ko) * | 2013-10-07 | 2015-04-15 |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 테이프 피더 |
JP2015076447A (ja) * | 2013-10-07 | 2015-04-20 | 三星テクウィン株式会社Samsung Techwin Co., Ltd | テープフィーダ |
KR102127304B1 (ko) | 2013-10-07 | 2020-06-26 |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 테이프 피더 |
KR20150060483A (ko) * | 2013-11-25 | 2015-06-03 |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 테이프 피더 |
KR102127303B1 (ko) | 2013-11-25 | 2020-06-26 |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 테이프 피더 |
EP2919573A3 (en) * | 2014-03-14 | 2016-07-13 | Omron Corporation | Method for detecting components in carrier tape, sensor module, splicing device, and component mounting device |
JP2017059611A (ja) * | 2015-09-15 | 2017-03-23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部品供給装置および部品装着装置ならびに部品検出センサ |
KR102132984B1 (ko) * | 2020-02-27 | 2020-07-10 | 주식회사하이셈테크놀로지 | 칩이 포장된 캐리어 테이프의 검사장치 |
KR102270305B1 (ko) * | 2020-02-27 | 2021-06-29 | 주식회사하이셈테크놀로지 | 캐리어 테이프의 검사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32134B1 (ko) | 빈 부품의 위치를 감지하여 캐리어 테이프를 신속하게 배출하는 테이프 피더 | |
US8678065B2 (en) | Carrier tape feeder | |
KR101576856B1 (ko) | 캐리어 테이프 중의 부품의 유무를 검출하는 방법, 센서 모듈, 스플라이싱 장치 및 부품 실장기 | |
US8739393B2 (en) |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method | |
US10420268B2 (en) | Component supply system and component supply method | |
JP6413084B2 (ja) | 電子部品供給装置 | |
US9999169B2 (en) | Component mounting method | |
EP3379913B1 (en) | Control device for component mounting machine | |
US8530771B2 (en) | Surface mount process, surface mount system, and feeding apparatus thereof | |
CN105764318B (zh) | 电子部件供给装置 | |
CN105764320B (zh) | 电子部件供给装置以及电子部件供给方法 | |
JP6413087B2 (ja) | 電子部品供給装置 | |
EP3687268B1 (en) | Component mounting machine and method for determining dropping of component | |
KR100942164B1 (ko) | 부품 실장기용 캐리어 테이프 자동공급장치 | |
JP6413086B2 (ja) | 電子部品供給装置ならびに電子部品供給装置における部品供給テープの処理方法 | |
JP5342374B2 (ja) | 電子部品装着装置 | |
JP6572452B2 (ja) | 電子部品供給装置ならびに電子部品供給装置における部品供給テープの処理方法 | |
JP7129618B2 (ja) | テープフィーダ及び部品実装装置 | |
KR100987836B1 (ko) | 캐리어 테이프 로딩장치 | |
JP2018073964A (ja) | テープフィーダ | |
KR20130088657A (ko) | 부품 실장기용 캐리어 테이프 자동공급 장치 | |
JP2017135208A (ja) | テープフィーダ及び部品実装装置 | |
KR100503041B1 (ko) | 표면 실장기용 스틱 피이더 장치 | |
JP2000077893A (ja) | 表面実装機 | |
KR20150070295A (ko) | 부품 공급 유닛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